KR20140004290U - Smartphone case with a charge connector - Google Patents

Smartphone case with a charge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290U
KR20140004290U KR2020130001097U KR20130001097U KR20140004290U KR 20140004290 U KR20140004290 U KR 20140004290U KR 2020130001097 U KR2020130001097 U KR 2020130001097U KR 20130001097 U KR20130001097 U KR 20130001097U KR 20140004290 U KR20140004290 U KR 201400042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connection plug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0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은숙
김문배
Original Assignee
류은숙
김문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은숙, 김문배 filed Critical 류은숙
Publication of KR201400042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29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로서, 전기적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는 휴대단말 커넥터와 USB 커넥터를 일체로 구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스마트폰의 요입부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의 위치에 고정설치되거나 또는 전후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착탈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에 연결접속되는 상기 휴대단말 커넥터; 및 상기 케이스의 덮개의 내측면 또는 저면에 전후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전력단자 또는 PC에 연결접속되는 상기 USB 커넥터;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접속핀부는 항시 스마트폰의 요입부에 인서트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따른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는 조립이 용이하여 제조단가면에서 경제적이며, 케이스와 일체화되어 있어 휴대하기 간편하고, 언제 어디서나 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connector integrated type smartphone case, comprising: a case integrally provided with a portable terminal connector and a USB connector, which are connected by an electrical connecting means; A portable terminal connector fixedly installed at a position of the case corresponding to a concave portion of a smartphone housed in the case, installed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or removably installed, and connected to the smartphone; And a USB connector which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on an inner surface or a bottom surface of the lid of the case and which is protruded from the case and connected to a power terminal or a PC,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piece type smartphone case with integrated charging connector is easy to assemble and is economical at the manufacturing end face, and is integrated with the case, so that it can be easily carried and can be charged anytime and anywhere.

Description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Smartphone case with a charge connector}[0001] Smartphone case with a charge connector [0002]

본 고안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접속하는 휴대단말 커넥터와 PC나 전력단자 등에 접속하는 USB커넥터로 구성된 충전커넥터를 내장시켜 일체화한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phone case having a built-in charging connector in which a charging connector including a portable terminal connector connected to a smart phone and a USB connector connected to a PC or a power terminal is integrated .

최근 정보기기들의 급격한 기술발전으로 인해 PC기능, 인터넷기능까지 갖추고 있는 스마트폰이 나날이 발전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스마트폰이 고가이다 보니 보호차원에서, 또는 스크래치 등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필름, 및 폰케이스에 대한 수요가 더불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다양한 스마트폰 케이스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다.Due to the recent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information devices, smart phones equipped with PC functions and Internet functions are being developed day by day, and the demand for them is rapidly increasing. In addition, as these smart phones are expensiv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protection films and phone cases in order to prevent scratches or the like, and various smartphone cases are sold on the market accordingly.

그러나, 스마트폰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다보니 밧데리 소모가 빠르다는 것이 단점이다.However, it is a disadvantage that the smartphone consumes a lot of battery power when it runs various programs using smartphone.

이와 같은 스마트폰을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기와 케이블을 갖추어야 하는데 이를 별도로 휴대하고 다니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다.In order to charge such a smartphone, a separate charger and a cable must be provided, bu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it separately.

이에 본 출원인은 연구끝에 본 고안과 같이 늘상 휴대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충전커넥터를 일체화시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C 등이 있는 곳에서는 언제 어디에서나 손쉽게 밧데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As a result,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made it possible to easily carry the battery connector by integrating the charging connector into the case of the smart phone, which is always carri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easily charge the battery at any place where the PC is locat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하기 간편하고, 언제 어디서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충전커넥터를 내장한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ne-piece smartphone case with a built-in charging connector which is easy to carry and can be charged anytime and anywher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기적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는 휴대단말 커넥터와 USB 커넥터를 일체로 구비한 케이스;A case integrally provided with a portable terminal connector and a USB connector, which are connected by an electrical connecting means;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스마트폰의 요입부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의 위치에 고정설치되거나 또는 전후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착탈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에 연결접속되는 상기 휴대단말 커넥터; 및A portable terminal connector fixedly installed at a position of the case corresponding to a concave portion of a smartphone housed in the case, installed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or removably installed, and connected to the smartphone; And

상기 케이스의 덮개의 내측면 또는 저면에 전후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전력단자 또는 PC에 연결접속되는 상기 USB 커넥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B connector is installed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on an inner surface or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of the case, and is protruded from the case and connected to a power terminal or a PC.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에서,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케이스는 상기 스마트폰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된 저면과 덮개로 구성된 지갑형 케이스 또는 고정부가 구비된 저면만으로 구성된 단일형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e is a single case consisting of a bottom surface having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smartphone to the case and a bottom case having a wallet-type case or a fixing par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에서,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케이스의 저면의 하부에는 상기 휴대단말 커넥터가 배치되는 제1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A first guide hol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is disposed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a bottom surface of the case,

상기 케이스의 덮개의 내측면 일측 또는 케이스의 저면의 일측에는 상기 USB 커넥터가 안착되고 가이드되는 제2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guide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of the case or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to which the USB connector is seated and guid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에서,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 가이드홀의 입구측에는 제1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휴대단말 커넥터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A first latch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inlet side of the first guide hole to prevent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ase,

상기 제2 가이드홀의 입구측과 내측에는 제2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USB 커넥터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latch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inlet side and an inner side of the second guide hole so that the USB connector is not separated from the cas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에서,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휴대단말 커넥터는 둥근 갈고리형상 또는 'ㄷ'자 형상 또는 '

Figure utm00001
'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may have a circular claw shape or a 'C' shape or a '
Figure utm00001
Quot; shap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에서,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휴대단말 커넥터는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와 상기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의 전단부의 말미에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요입부에 인서트되는 휴대단말 접속플러그로 구성되며,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comprises a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and a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formed at the end of the front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base and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smartphone,

상기 휴대단말 커넥터의 휴대단말 접속플러그는 항시 상기 스마트폰에 인서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is always inserted in the smart phon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에서,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휴대단말 커넥터의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는 후단부폭이 전단부폭보다 넓게 형성되거나 또는 후단부가 플러그형태로 형성되고,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base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may have a rear end width larger than a front end width or a rear end formed in a plug shape,

상기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의 외측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에서,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USB 커넥터는 USB 접속플러그 지지대와 상기 USB 접속플러그 지지대의 전단부의 말미에 형성되어 상기 전력단자나 PC에 연결접속되는 USB 접속플러그로 구성되며, The USB connector includes a USB connection plug support and a USB connection plug formed at the end of the front end of the USB connection plug support and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r the PC,

상기 USB 접속플러그 지지대는 후단부폭이 전단부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USB 접속플러그 지지대의 상부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B connection plug support base has a rear end width larger than a front end width, and a protrus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SB connection plug support bas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에서,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전기적 연결수단은 연결케이블이나 또는 도금기판과 접점 또는 콘센트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means is a connection cable or a plating substrate and a contact or an outlet devic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에서,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케이스의 저면 또는 덮개에는 플레이트가 부착되며,A plate is attached to the bottom or cover of the case,

상기 플레이트에는 다각형 모양의 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olygonal cutout is formed in the plate.

본 고안에 따른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는 조립이 용이하여 제조단가면에서 경제적이며, 케이스와 일체화되어 있어 별도로 소지하지 않아도 되고 휴대하기 간편하고, 언제 어디서나 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phone case with a built-in charging connector is easy to assemble and is economical at the manufacturing end face, and is integrated with the case, so that it is not required to carry it separately, is portable and can be charged anytime and anywher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는 접속핀이 스마트폰의 요입부에 항시 인서트되어 있으므로, 요입부에 먼지가 끼거나 습기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전하느라 뺐다 꼈다 하는 동작이 거의 없으므로, 잦은 충전동작에 의해 요입부와 접속핀부의 접지상태가 불완전해지는 문제발생소지가 없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on pin is always inserted in the recessed portion of the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ust from getting caught in the recessed portion or moistu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grounding state of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connection pin portion becomes incomplete due to frequent charging operation.

도 1과 2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및 정면도.1 and 2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of a charging connector-integrated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및 2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및 정면도이다.1 and 2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smartphone case with a built-in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100)는 전기적 연결수단인 케이블(C)로 연결된 휴대단말 커넥터와 USB 커넥터를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케이스에 삽입되는 스마트폰(P)의 요입부에 인서트되도록 요입부와 대응되는 케이스 위치에 형성된 휴대단말 커넥터(30), 및 후단은 상기 휴대단말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단은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전력단자 또는 PC에 연결접속되는 USB 커넥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써, 휴대단말 커넥터(30)와 USB 커넥터(40)는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harging connector integrated smartphone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phone case having a portable terminal connector connected with a cable C as an electrical connecting means and a USB connector, A USB connector 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and having a front end protruded from the case and connected to a power terminal or a PC,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being formed at a cas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ortion to be inserted; And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and the USB connector 40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case.

전기적 연결수단은 휴대단말 커넥터(30)와 USB 커넥터(4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휴대단말 커넥터(30)의 후단과 USB 커넥터(40)의 후단에 고정연결된 연결케이블(C)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서블한 얇은 기판에 전도성물질을 증착하여 형성된 도금기판을 케이스 바닥면에 위치시키고 도금기판에 휴대단말 커넥터(30)와 USB 커넥터(40)에 형성된 접점을 접촉시킴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케이스에 콘센트형태를 내장시키고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를 휴대단말 커넥터(30) 후단이나 USB 커넥터(40) 후단에 형성한 콘센트장치를 이용하여 착탈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electrical connecting means electrically connects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and the USB connector 4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and the connecting cable C fixed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USB connector 4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placing a plating substrate formed by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a flexible thin substrat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and contacting the contacts formed on the USB connector 40 with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on the plating substrate Or 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ocket in which an outlet form is embedded and a plug corresponding thereto is removab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or an outlet device formed at a rear end of the USB connector 40 Of course.

케이스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을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된 저면(10)과 덮개(20)로 구성된 지갑형 케이스만을 예시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고정부가 구비된 저면만으로 구성된 단일형 케이스 형태 또는 당업자 수준에서 변형가능한 모든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케이스에 형성되는 홈이나 공간들은 케이스에 설치 내지 부착되는 휴대단말 커넥터(30)와 USB 커넥터(40)의 형상, 배치되는 위치, 그 작동방법 및 전기적 연결수단에 따라 당업자 수준에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ase is not limited to the wall-type case including the bottom surface 10 and the lid 20 having th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smartphone to the case,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single-piece case configuration consisting of only the bottom surface provided, or any shape that can be modified at the level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grooves or spaces formed in the case may be modified at the level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depending on the shape, arrangement position, operating method and electrical connecting means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and the USB connector 40 installed or attached to the case Of course it is.

우선, 케이스에 휴대단말 커넥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케이스의 저면(10)의 하부에 휴대단말 커넥터(30)의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34)가 안착되고 가이드되는 적정 폭의 제1 가이드홀(15)을 형성하고, 제1 가이드홀(15)의 입구에는 제1 걸림턱(17)을 형성한다. 이는 휴대단말 커넥터(30)를 밀거나 당길때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First, in order to mount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in the case,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34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10 of the case, and a first guide hole 15 And a first stopping protrusion 17 is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first guide hole 15. [ This is to prevent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from being detach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is pushed or pulled.

여기서, 휴대단말 커넥터와 USB커넥터가 케이블(C)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가이드홀(15)에 휴대단말 커넥터(30)와 연결된 연결케이블(C)의 여분이 길이가 배치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휴대단말 커넥터(30)의 휴대단말 접속플러그(32)를 스마트폰(P)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우선 휴대단말 커넥터(30)의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34)를 밀거나 당겨 뺀 다음 스마트폰(P)을 케이스에 끼우고 스마트폰의 요입부(P1)에 휴대단말 접속플러그를 인서트하여 연결할때, 케이블의 여분의 길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He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and the USB connector are connected by the cable C, the space of the connection cable C, which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in the guide hole 15, . In order to connect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32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to the smartphone P, first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34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is pushed or pulled out, P) to the case and inserting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into the recessed portion (P1) of the smartphone, the extra length of the cable is required.

휴대단말 커넥터와 USB커넥터가 케이블(C)로 연결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바닥면에 배치되는 도금기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및 휴대단말 커넥터가 케이스에 고정설치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여분의 공간이 필요치 않음은 당연하다.When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and the USB connecto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plating board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is fixed to the case, as described later, It is natural that space is not needed.

또한, 케이스내에 휴대단말 커넥터와 USB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C)이나 도금기판(미도시)의 삽입라인을 형성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it is natural to form an insertion line of a cable C or a plating board (not show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and the USB connector in the case.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관련해서는, 휴대단말기나 스마트폰 기종에 따라 4핀, 5핀, 19핀, 30핀으로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기종에 맞추어 해당 휴대단말 접속플러그를 구비하여 휴대단말기나 스마트폰의 요입부에 인서트하면 된다.In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various plugs are formed by 4-pin, 5-pin, 19-pin and 30-pin depending on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smart phone model. However, Insert it into the recessed part.

이와 같이 케이스의 저면 하부위치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홀내에 휴대단말 커넥터를 위치시키고 케이블 삽입라인내에 케이블(C)을 삽입시킨후에는 케이스의 저면(10) 상부면에 얇은 플레이트(18)를 부착시킨다. 이 플레이트에 의해 제1 가이드홀(15)은 공간이 형성되고, 여분의 연결케이블은 제1 가이드홀 내부에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After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is positioned in the first guide hole formed at the lower position of the bottom of the case and the cable C is inserted into the cable insertion line, the thin plate 18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10 of the case . The first guide hole (15) is formed with a space by this plate, and the extra connecting cable can be located only inside the first guide hole.

다음으로, 케이스에 USB 커넥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케이스 덮개(20)의 내측면 또는 케이스의 저면(10)의 일측에 USB 커넥터(40)의 USB 접속플러그(42)와 USB 접속플러그 지지대(44)가 안착되고 가이드되는 적정 폭과 길이의 제2 가이드홀(25)을 형성한다. 제2 가이드홀(25)은 USB 커넥터(40)의 USB 접속플러그 지지대(44) 전체가 외측으로 이탈되거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형태로 구성한다. 즉, USB 접속플러그 지지대(44)가 일정거리만큼만 전후진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가이드홀의 입구측과 내부측에 제2 걸림턱(27)을 형성한다. 물론, 제2 가이드홀의 형태나 모양이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The USB connection plug 42 of the USB connector 40 and the USB connection plug support 44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cover 20 or the bottom surface 10 of the case, A second guide hole 25 having a proper width and length is formed. The second guide hole 25 is formed in a '+' shape so that the entirety of the USB connection plug support base 44 of the USB connector 40 is not moved outward or pushed inward. That is, the second latching jaws 27 are formed on the inlet side and the inside side of the second guide hole so that the USB connection plug support 44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by a certain distance. Obviously, the shape and shape of the second guide hole are not limi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또한, 휴대단말 커넥터와 USB커넥터가 케이블(C)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제2 가이드홀(25)의 내부에는 USB 커넥터(40)와 연결된 연결케이블(C)의 여분이 길이가 배치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USB 커넥터(40)를 PC나 전력공급단자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USB 커넥터(40)를 바깥방향으로 밀어 USB 접속플러그(42)가 제2 가이드홀의 입구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야 하고, 전력공급이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 제2 가이드홀 안쪽방향으로 밀어 넣는 구성에서, 케이블의 여분의 길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and the USB connector are connected by the cable C, a spare portion of the connection cable C connected to the USB connector 4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guide hole 25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pace of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n order to connect the USB connector 40 to the PC or the power supply terminal, the USB connector 40 should be pushed outward so that the USB connection plug 42 protrudes from the inlet of the second guide hole to the outside. And thereafter, the cable is pushed inward in the second guide hole again, so that an extra length of the cable is required.

휴대단말 커넥터와 USB커넥터가 케이블(C)로 연결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바닥면에 배치되는 도금기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여분의 공간이 필요치 않음은 당연하다.
When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and the USB connecto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lating substrat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without being connected by the cable C, it is natural that such an extra space is not required.

또한, 케이스의 저면(10)의 일측에 USB 커넥터(40)가 안착되고 가이드되는 제2 가이드홀(미도시)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USB 커넥터를 케이스 배면에서 밀거나 당겨 제2 가이드홀 입구로부터 돌출할 수 있도록 제2 가이드홀의 바닥면에 적정길이의 다각관통절개부를 내외측 관통되도록 형성한다.
In the case of forming the second guide hole (not shown) in which the USB connector 40 is seated and gu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10 of the case, the USB connector is pushed or pulled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A polygonal through-cut portion having an appropriate length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guide hole so as to penetrate in and out.

케이스의 덮개(20)의 내측면에는 얇은 제2 플레이트(28)를 부착시키고, 제2 플레이트는 케이스 덮개의 공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공간부 모양을 취하되 길이는 조금 작은 절개부(29)를 내어 사용자 손에 의해 USB 커넥터를 제2 가이드홀의 내외측 방향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한다.
A second plate 28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20 of the case and the second plate has a shape of a sp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pace portion of the case lid, So that the USB connector can be pushed or pulled in the inward and outward directions of the second guide hole by the user's hand.

휴대단말 커넥터(3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정보 등을 후술하는 USB 커넥터(40)를 통해 연결된 PC와 호환가능하도록 하는 접속부로서,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스마트폰(P)의 요입부(P1)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측 위치에 형성되며, 둥근 갈고리형상 또는 'ㄷ'자 또는 '

Figure utm00002
'자 형상을 가진다. 이는 휴대단말 커넥터가 스마트폰(P)의 요입부(P1)에 인서트된 후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와 같은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is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o supply electric power and to make various programs or information compatible with a PC connected through a USB connector 4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formed at a posi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P1 of the smartphone P and has a rounded hook shape,
Figure utm00002
'Shap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in order to prevent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from being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as much as possibl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P1 of the smartphone P.

이와 같은 휴대단말 커넥터(30)는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34)와 상기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요입부에 인서트되는 휴대단말 접속플러그(32)로 구성된다. 상기 휴대단말 커넥터(30)가 케이스에 일체화되도록 구성되는 형태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측에 고정설치되거나 또는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한도에서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해 케이스 내외측방향으로 전후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별도로 착탈가능하게 구비한 후 전기적 연결수단에 의해 접속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34 and a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32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base and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smartphone. The form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is integrated with the case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in the case inward or outward by the pushing or pulling operation as long as it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case or is not released from the case Or may be detachably provided separately and then connected by electrical connection means.

이하 휴대단말 커넥터(30)를 케이스에 일체화시키는 구성에 따라 나누어 휴대단말 커넥터(30)의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34) 후단부의 형상, USB 커넥터(40)와의 전기적 연결방법 및 그 작동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hape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34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the electrical connection method with the USB connector 40, and the operation func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is integrated into the case Then,

(a) 휴대단말 커넥터(30)를 케이스 하부측에 고정설치하는 경우(a) When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둥근 갈고리형상 또는 'ㄷ'자 또는 '

Figure utm00003
'자 형상의 휴대단말 커넥터(30)의 후단을 케이스에 삽입되는 스마트폰(P)의 요입부에 대응되는 케이스 하부측 위치에 구비된 제1 가이드홈에 부착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A round claw shape or a "c" or "
Figure utm00003
Shaped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is fixed to the first guide groov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smartphone P inserted into the case by using attaching means.

이때, 휴대단말 커넥터(30)의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34) 후단에는 케이블(C)을 고정시키거나, 또는 케이스 제1 가이드홈(15)의 바닥면이나 내측면에 구비된 도금기판과 접할 수 있는 접점을 형성하여 USB 커넥터(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고정배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able C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34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or the cable is connected to the plating substrat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first guide groove 15 And can be fixedly arranged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B connector 40.

(b) 휴대단말 커넥터(30)를 미는 동작에 의해 케이스 내외측으로 전후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경우(b) When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by pushing the connector 30

휴대단말 커넥터(30)의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는 후단부폭이 전단부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휴대단말 커넥터(30)를 케이스 외측으로 밀때 제1 가이드홈(15)의 제1 걸림턱(17)에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의 후단부가 걸려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base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has a rear end width larger than the front end width so that the first engagement protrusion 17 of the first guide groove 15 is push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is pushed outside the case. So that the rea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is hooked and not released from the case.

여기서,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의 외측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돌기(36)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휴대단말 접속플러그를 케이스 내외측으로 밀어 스마트폰에 인서트하거나 뺄때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protrusions 36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ut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so that the user can push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se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the plug in the smartphone.

또한, 휴대단말 커넥터(30)의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34) 후단에는 여분의 길이를 가진 케이블(C)을 구비하여 휴대단말 커넥터(30)의 전후진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케이스의 제1 가이드홈(15) 바닥면이나 내측면에 구비된 도금기판과 접할 수 있는 접점을 형성하여 USB 커넥터(40)와 연결되도록 한다.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may be provided with a cable C having an extra length at the rea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34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to facilitat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A contact point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plating substrat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groove 15 is formed and connected to the USB connector 40.

(c) 휴대단말 커넥터(30)를 별도로 구비한 후 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경우(c) In a cas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is separately provided and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ase

휴대단말 커넥터(30)의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의 후단부를 플러그 형태로 형성하고, 케이스의 제1 가이드홈(15)에는 대응되는 콘센트를 구비하여,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의 후단부를 대응되는 콘센트에 끼움결합하여 접속되도록 한다.A rear end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base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ug and a socket corresponding to the first guide groove 15 of the case is provided to connec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base to the corresponding receptacle So as to be connected.

이때,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의 후단부와 대응되는 콘센트가 서로 연결되어 접속되는 형태는 공지된 다양한 접속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의 후단부가 콘센트에 끼움결합된 후 콘센트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별도의 이탈방지고정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ous known connection devices can be applied to the form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and the corresponding receptacle are connect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separation preventing fixture (not shown) so that the rear end of the plug support base is fitted into the outlet and then fixed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outlet.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 커넥터의 구성적 특징에 의해 휴대단말 접속플러그는 항시 스마트폰에 인서트되도록 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 커넥터의 형태가 둥근 갈고리형상 또는 'ㄷ'자 또는 '

Figure utm00004
' 형상이므로 휴대단말 접속플러그가 스마트폰에 인서트되면 커넥터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거나 미미하여 커넥터부분에 의하여 심미감이 부족하거나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단점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can be inserted in the smart phone at all times, and the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is a round hook shape,
Figure utm00004
The shape of the connector portion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and there is no disadvantage that the connector portion does not have a sense of aesthetics or inconvenience to the user.

USB 커넥터(40)는 PC 또는 전력공급단자에 연결되어 스마트폰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정보 등을 스마트폰과 PC가 호환가능하도록 하는 접속부로서, USB 접속플러그(42)와 USB 접속플러그 지지대(44)로 구성되며, 케이스의 덮개(20)의 일측에 형성된 제2 가이드홀(25) 또는 케이스의 저면(10)의 일측에 형성된 제2 가이드홀(미도시)에 배치된다. 또한, USB 접속플러그 지지대는 후단부폭이 전단부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밀거나 당길때 제2 걸림턱(27)에 USB 접속플러그 지지대의 후단부가 걸려 케이스로부터 이탈되거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이때, USB 커넥터(40)의 USB 접속플러그 지지대 후단은 상기 휴대단말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단의 USB 접속플러그는 미는 작동에 의해 케이스로부터 일정길이만큼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The USB connector 40 is a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a PC or a power supply terminal to supply power to the smartphone or to make various programs and information compatible with the smartphone and the PC. The USB connector 40 includes a USB connection plug 42, (Not shown)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10 of the case or a second guide hole 25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20 of the case. In addition, when the rear end of the USB connection plug support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front end width and is pushed or pulled, the rear end of the USB connection plug support is hooked on the second engagement protrusion 27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case or pushed inward. At this time, the rear end of the USB connection plug support of the USB connector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and the USB connection plug of the front end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case by pushing operation.

또한, USB 접속플러그 지지대(44)의 상부면에는 다단돌기(46)를 더 형성하여, 사용자가 USB 접속플러그 지지대를 밀거나 당길때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a multi-stepped projection 46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SB connection plug support 44 to facilitate the user pushing or pulling the USB connection plug support.

또한, 본 고안의 케이스 저면내에는 자성체를 더 구비하여 충전시 스마트폰 케이스를 PC등에 부착하여 안정적으로 충전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magnetic body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smartphone case can be stably charged by being attached to a PC or the like.

본 고안에서는 휴대단말기로 스마트폰(P)에 적용되는 것을 예시로하여 언급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통상적으로 휴대가능한 것으로서 다양한 기종 및 다양한 형태의 핸드폰, 태블릿, 노트북PC, MP3, PDA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applied to the smartphone P by way of example, but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portable terminal. Various types and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s, tablets, notebook PCs, MP3s, PDAs And the like.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case assembl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저면 및 덮개의 제1 가이드홀 및 제2 가이드홀에 휴대단말 커넥터와 USB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대응되게 삽입하거나 고정한 후, 그 위에 각각의 플레이트를 부착시킨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and the USB connecto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hole and the second guide hole of the case bottom surface and the cover, respectively, and are inserted or fixed correspondingly. .

다음, 휴대단말 접속플러그를 밀거나 당기고 해당 스마트폰을 케이스의 고정부에 삽입한 후 스마트폰의 요입부에 휴대단말 접속플러그를 인서트시키거나, 또는 케이스에 고정된 휴대단말 커넥터의 경우에는 휴대단말 접속플러그에 스마트폰의 요입부를 인서트시키면서 해당 스마트폰을 고정부에 삽입한다.Next,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is pushed or pulled, the smart phone is inserted into the fixed portion of the case, and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smart phone, or in the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fixed to the case, Insert the smartphone into the fixing part while inserting the fitting part of the smart phone into the connection plug.

이후, 충전이 필요하거나 정보교환이 필요할 때는 스마트폰을 케이스에 고정시킨 채, USB 커넥터만을 케이스로부터 돌출시켜 전력공급단자나 PC등에 연결시킨다.
Later, when charging is required or information exchange is required, the smartphone is fixed to the case, and only the USB connector is protruded from the case to connect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r the PC.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s well as equivalents thereof.

100: 스마트폰 케이스
10: 케이스 저면 20: 케이스 덮개
30: 휴대단말 커넥터 40: USB 커넥터
100: Smartphone case
10: Case bottom 20: Case cover
30: portable terminal connector 40: USB connector

Claims (10)

전기적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는 휴대단말 커넥터와 USB 커넥터를 일체로 구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스마트폰의 요입부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의 위치에 고정설치되거나 또는 전후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착탈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에 연결접속되는 상기 휴대단말 커넥터; 및
상기 케이스의 덮개의 내측면 또는 저면에 전후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전력단자 또는 PC에 연결접속되는 상기 USB 커넥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A case integrally provided with a portable terminal connector and a USB connector, which are connected by an electrical connecting means;
A portable terminal connector fixedly installed at a position of the case corresponding to a concave portion of a smartphone housed in the case, installed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or removably installed, and connected to the smartphone; And
And a USB connector which is installed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on an inner surface or a bottom surface of the lid of the case and is protruded from the case and connected to a power terminal or a PC.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스마트폰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된 저면과 덮개로 구성된 지갑형 케이스 또는 고정부가 구비된 저면만으로 구성된 단일형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se is a single case including only a bottom surface having a bottom wall having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smartphone to the case and a wallet-type case having a cover or a bottom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의 하부에는 상기 휴대단말 커넥터가 배치되는 제1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덮개의 내측면 일측 또는 케이스의 저면의 일측에는 상기 USB 커넥터가 안착되고 가이드되는 제2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guide hol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is disposed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a bottom surface of the case,
And a second guide hole for receiving and guiding the USB connecto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of the case or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홀의 입구측에는 제1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휴대단말 커넥터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2 가이드홀의 입구측과 내측에는 제2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USB 커넥터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latch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inlet side of the first guide hole to prevent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ase,
And a second latch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inlet side and an inner side of the second guide hole so that the USB connector is not separated from the case.
상기 휴대단말 커넥터는
둥근 갈고리형상 또는 'ㄷ'자 형상 또는 '
Figure utm00005
'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A round claw shape or a 'C' shape or a '
Figure utm00005
&Quot;.< / RTI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 커넥터는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와 상기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의 전단부의 말미에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요입부에 인서트되는 휴대단말 접속플러그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 커넥터의 휴대단말 접속플러그는 항시 상기 스마트폰에 인서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comprises a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and a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formed at the end of the front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base and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smartphone,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is always inserted in the smart phon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 커넥터의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는 후단부폭이 전단부폭보다 넓게 형성되거나 또는 후단부가 플러그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휴대단말 접속플러그 지지대의 외측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base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or may have a rear end width larger than a front end width or a rear end formed in a plug shape,
Wherein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lug suppo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커넥터는 USB 접속플러그 지지대와 상기 USB 접속플러그 지지대의 전단부의 말미에 형성되어 상기 전력단자나 PC에 연결접속되는 USB 접속플러그로 구성되며,
상기 USB 접속플러그 지지대는 후단부폭이 전단부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USB 접속플러그 지지대의 상부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B connector includes a USB connection plug support and a USB connection plug formed at the end of the front end of the USB connection plug support and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r the PC,
Wherein the USB connection plug support base has a rear end width larger than the front end width, and a project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SB connection plug support ba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수단은 연결케이블이나 또는 도금기판과 접점 또는 콘센트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ical connection means is a connection cable or a plating substrate and a contact or an outlet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 또는 덮개에는 플레이트가 부착되며,
상기 플레이트에는 다각형 모양의 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A plate is attached to the bottom or cover of the case,
Wherein the plate is formed with a polygonal cut-out portion.
KR2020130001097U 2013-01-03 2013-02-13 Smartphone case with a charge connector KR20140004290U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0075 2013-01-03
KR2020130000075 2013-01-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290U true KR20140004290U (en) 2014-07-14

Family

ID=513897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410U KR200467455Y1 (en) 2013-01-03 2013-01-16 Smartphone case with a charge connector
KR2020130001097U KR20140004290U (en) 2013-01-03 2013-02-13 Smartphone case with a charge connecto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410U KR200467455Y1 (en) 2013-01-03 2013-01-16 Smartphone case with a charge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67455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440B1 (en) 2014-08-27 2016-01-21 (주)링크솔루션 A case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KR20180001406U (en) * 2016-10-31 2018-05-11 한재환 Smartphone Case united USB Memo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488B1 (en) * 2013-10-07 2015-07-09 (주)디엠에이씨인터내셔널 Cable that can be put away cell phone case
ES1096381Y (en) * 2013-10-14 2014-03-13 Geotap Games S L Case for electronic devices
KR101478467B1 (en) * 2013-11-08 2015-01-02 최상효 Portable terminal case with usb connector
KR102192148B1 (en) * 2013-12-27 2020-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Protective co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KR20150083298A (en) * 2014-01-09 2015-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ase
KR200487132Y1 (en) * 2018-01-10 2018-08-08 류호현 Wireless Charging Case for Smartphone
CN108512972A (en) * 2018-03-15 2018-09-07 深圳市汇创达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obile phone shell with USB data li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119B1 (en) * 2004-02-19 2006-12-27 주식회사 이소디앤티 Mobile phone with USB interface
KR20110002938U (en) * 2009-09-16 2011-03-23 박재복 Recharging Battery Built in Protecting Case for Mobile 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440B1 (en) 2014-08-27 2016-01-21 (주)링크솔루션 A case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KR20180001406U (en) * 2016-10-31 2018-05-11 한재환 Smartphone Case united USB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455Y1 (en)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4290U (en) Smartphone case with a charge connector
US9356267B1 (en) Protective battery case to partially enclose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7868589B2 (en) Portable media player cordless charger
US9134761B2 (en) Attachable charger
US7175474B1 (en) Power adapter having replaceable plugs
US20150207350A1 (en) Power charging socket
US8662929B2 (en) Thumb drive chassis structure
US20140306661A1 (en) Convenient Docks for Directly Charg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7367846B1 (en) Multi-function power adaptor
CN101877948A (en) Electronic device
US20140094054A1 (en) Credit card shaped charging and data cable
US20110057614A1 (en) Power Supply Adapter
KR200469127Y1 (en) case for mobile phone
US20130342158A1 (en) In-vehicle charging adaptor device
EP2278669A2 (en) Power supply adapter
CN211183783U (en) Power adapter and charging kit
CN210517260U (en) Charging head
CN210296737U (en) USB charger
KR101417739B1 (en) Portable device with gender
TWM607900U (en) Mouse assembly
CN208461486U (en) Back splint battery
GB2475467A (en) Power supply adapter for supplying multiple devices
CN217984007U (en) Portable power source with line
CN202134933U (en) Mobile phone seat charger
CN209805462U (en) Mobile power supply with data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