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005U - Ca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Google Patents

Ca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005U
KR20140003005U KR2020120010342U KR20120010342U KR20140003005U KR 20140003005 U KR20140003005 U KR 20140003005U KR 2020120010342 U KR2020120010342 U KR 2020120010342U KR 20120010342 U KR20120010342 U KR 20120010342U KR 20140003005 U KR20140003005 U KR 201400030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cradle
main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34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대웅
Original Assignee
조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대웅 filed Critical 조대웅
Priority to KR2020120010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005U/en
Publication of KR201400030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005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Abstract

본 고안은 노트북, 태블릿 PC, 넷북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넣어서 다닐 수 있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케이스의 내부에 여러 단계로 각도를 전환시킬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한 새로운 형태의 케이스를 구현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용 전자기기를 다양한 자세로 편리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 및 사용과 관련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in whic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notebook, a tablet PC, and a netbook can be carried.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new type of case having a stand capable of changing angles in various stages inside the case, thereby protec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rom external impacts or scratch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s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in various postures and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convenience and convenience of us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Ca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0001] CA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0002]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트북, 태블릿 PC, 넷북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넣어서 다닐 수 있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such as a notebook, a tablet PC, a netbook, and the like.

최근 통신 및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을 입어 노트북, PDA, 포터블 게임기, MP3 플레이어, 넷북,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가 급속도로 대중화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notebook computers, PDAs, portable game machines, MP3 players, netbooks, tablet PCs and the like are rapidly becoming popular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technologies.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각기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많은 부품들이 요구되어 고가의 제품들이 많을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역할을 담당하는 LCD 패널을 구비하고 휴대가 쉽게 소형화되어 외부충격에 민감하므로 이들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케이스가 출시되고 있다.Suc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required to have many parts in order to realize various functions, so that they are not only expensive but also have an LCD panel which serves as a display, There are a variety of cases available for protection.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는 외부충격으로부터 휴대용 전자기기들을 보호할 뿐 아니라, 스크래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The case of su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not only protect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from external impact but also provides a function of preventing scratches and the like.

보통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가정에서 이용할 때 뿐만 아니라 야외에서도 자주 사용되는데, 편평한 곳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고개를 숙여야 하는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쉽게 피로해지는 등 태블릿 PC를 사용하기 쉽도록 적절한 각도로 거치시킬 필요가 있다.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tablet PCs are often used in outdoor as well as at home. When placed on a flat surface, it is easy to use the tablet PC, such as being easily tired when the user uses his / her head for a long time. It is necessary to mount it at an appropriate angle.

예를 들면, 휴대용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용이한 동영상 시청을 위해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면에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대를 사용해야 하나, 통상 스탠드 기능을 갖는 케이스의 경우 케이스 본연의 형상이 크게 변경되어 외관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고, 케이스와 거치대를 별도로 사용하는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의 주변용품에 따른 구매비용이 증대되며, 케이스와 거치대를 별도로 관리해야 함으로써 취급 및 관리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watching a moving picture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 is necessary to use a cradle capable of plac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n the ground for easy viewing of a moving picture. In the case of a case having a stand func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ppearance is poor. When the case and the cradle are used separately, the cost for purchas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pends on the peripheral equipment. In addition, the case and the cradle must be separately managed.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케이스와 거치대를 결합시킨 제품이 일부 제시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recently, a product combining a case and a holder has been proposed.

예를 들면, 국내 공개특허 10-2012-0033436호, 공개특허 10-2012-0115872호, 등록실용신안 20-0463477호, 등록실용신안 20-0455182호 등에는 거치대와 케이스를 결합시킨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이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Nos. 10-2012-0033436, 10-2012-0115872,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63477,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55182, and the like, Have been disclosed.

그러나, 종래의 제품들은 거치대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아 구조적으로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작이나 취급이 까다롭고 무게 또한 무거우며, 또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각도에 한계가 있는 등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이 있다.
Conventional products, however, are not only structurally complicated due to a large number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radle, they are difficult to operate and handle, are heavy in weight, and have limitations on the angle at whic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mounted. .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케이스의 내부에 여러 단계로 각도를 전환시킬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한 새로운 형태의 케이스를 구현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용 전자기기를 다양한 자세로 편리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 및 사용과 관련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ch is capable of realizing a new type of case equipped with a cradle capable of changing angles in various stages inside a cas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ch can improve convenience for protection and us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conveniently mounted in various postures and u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는 내부에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함과 더불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케이스로서, 기본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을 위한 개폐가능한 구조의 본체 및 덮개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거치대는 본체의 바닥에 힌지부를 통해 그 하단부가 연결되어 젖힘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로워 거치대와, 상기 로워 거치대의 상단부에 접힘부를 통해 그 하단부가 연결되어 젖힘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어퍼 거치대로 이루어진다. The cas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mmodates there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n be used by being mounted 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case is basically composed of a main body and a cov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accommoda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lower stand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hrough a hinge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stand, and a folded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and, And an upper cradle which is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cradle.

따라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는 로워 거치대와 어퍼 거치대 간의 다양한 자세 전환을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를 여러 각도로 거치하여 각 상황에 맞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refor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mounted at various angles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in various situations through various posture switching between the lower stand and the upper stand.

여기서, 상기 거치대의 로워 거치대와 어퍼 거치대는 좌우 폭이 같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퍼 거치대는 로워 거치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상하 길이를 가지면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전체 면적 또는 상단부를 통해 받쳐줄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lower stand and the upper stand of the cradle ar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the same width, and the upper cradle has a relatively long vertical length as compared with the lower stand, and can suppor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entire area or the upper end Structure is preferable.

그리고, 상기 본체의 바닥에는 어퍼 거치대의 상단부를 지지하여 어퍼 거치대의 눕혀진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복수의 지지편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의 지지편은 본체 바닥에 한쪽 단부가 고정되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세워서 사용하거나 미사용시 본체 바닥에 눕혀놓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 bottom of 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for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upper mount so as to maintain the upright posture of the upper mount. The support pieces a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It can be used standing upright or lying down on the floor when not in use.

특히,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는 거치대의 자세를 다양하게 전환시켜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여러 상황에 맞게 거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Particularly,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mounted in various situations by variously changing the posture of the cradle.

예를 들면, 로워 거치대를 위로 세우고 어퍼 거치대를 경사지게 눕힌 자세로 전환시켜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어퍼 거치대의 전면으로 받쳐줄 수 있거나, 또 로워 거치대를 뒷쪽으로 바닥에 눕히고 어퍼 거치대를 경사지게 세운 자세로 전환시켜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어퍼 거치대의 상단부로 받쳐줄 수 있거나, 또 로워 거치대를 앞쪽으로 바닥에 눕히고 어퍼 거치대를 수직으로 세운 자세로 전환시켜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어퍼 거치대의 상단부로 받쳐줄 수 있는 등 다양한 자세 전환을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를 편리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ower stand may be set up and the upper stand may be turned to an inclined position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supported on the front of the upper stand, or the lower stand can be folded back on the floor and the upper st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upper cradle or the lower cradle can be laid on the floor in the front side and the upper cradle can be turned into the vertical standing position to suppor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n the upper end of the upper cradl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conveniently mounted and used.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손쉽게 개폐할 수 있는 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진 케이스를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외부의 충격이나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 or scratch by using a case made of a body and a cover which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둘째,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거치대의 각도를 상황에 맞게 여러 단계로 전환시켜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다양한 자세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mounted in various postures by switching the angle of the cradle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various stag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셋째, 본체 및 덮개, 그리고 접힘 구조의 거치대만으로 구성되므로서, 구조가 단순하고 매우 가벼워 취급이나 휴대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매우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Third, since it is composed of only the main body, the cover, and the folding structure stan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very light, so that it is easy to handle and carry,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여러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ternal structur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various use states of a cas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부 구조와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front views showing an external structure and an internal structur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는 내부에 휴대용 전자기기를 받쳐놓을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cas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s a holder for suppor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rein,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for the user to conveniently us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이를 위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집어넣을 수 있는 본체(10)와 덮개(11)가 마련되고, 이때의 본체(10)와 덮개(11)는 지퍼 등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For this purpose, a main body 10 and a lid 11 are provided, in which the main body 10 and the lid 11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zipper or the like.

예를 들면, 상기 본체(10)와 덮개(11)는 사각의 케이스 형태를 이룰 수 있게 되고, 한 변을 통해 일체로 붙어 있는 동시에 나머지 세 변에 걸쳐 지퍼가 설치되어, 지퍼를 열고 닫는 조작으로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main body 10 and the lid 11 can be formed into a quadrangular case shape. The main body 10 and the lid 11 are integrally attached through one side, and the zipper is provided across the remaining three sides. It can be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손잡이(19)가 부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손으로 들고 다닐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A handle 19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it is convenient for a user to easily carry it by hand.

이러한 본체(10) 및 덮개(11)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는 하드한 재질보다는 천이나 가죽 등과 같은 소프트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se ma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lid 11 is preferably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cloth or leather rather than a hard material.

특히,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다양한 각도로 눕히거나 세울 수 있는 거치대(12)가 마련된다. Particularly, inside the main body 10, there is provided a cradle 12 capable of laying down or er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t various angles.

상기 거치대(12)는 본체(10)의 내부 사이즈에 맞는 사각의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앞뒤로 자유롭게 접거나 꺽을 수 있는 로워 거치대(14)와 어퍼 거치대(16)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The cradle 12 comprises a combination of a lower cradle 14 and an upper cradle 16 which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ize of the main body 10 and can freely fold or fold back and forth.

상기 로워 거치대(14)는 본체(10)측에 연결되어 어퍼 거치대(16)를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하단부가 힌지부(13)에 의해 본체(10)의 바닥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단부는 접힘부(15)에 의해 어퍼 거치대(16)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The lower stand 14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side to support the upper stand 16. The lower end of the lower stand 14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by a hinge 13, 15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platform 16.

즉, 상기 로워 거치대(14)는 본체(10)의 한쪽 변에 근접한 위치에서 본체 좌우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그 하단부 전체 구간이 접착이나 박음질 등의 구조로 이루어진 힌지부(13)에 의해 본체 바닥에 일체식으로 연결되므로서, 이때의 힌지부(13)를 이용하여 앞뒤로 손쉽게 젖혀질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lower stand 14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t a position close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entire low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hinge portion 13 having a structure such as adhesiv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turned back and forth by using the hinge portion 13 at this time.

상기 어퍼 거치대(16)는 로워 거치대(14)측에 연결되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받쳐주는 수단으로서, 하단부가 접힘부(15)에 의해 로워 거치대(14)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upper cradle 16 is connected to the lower cradle 14 to suppor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radle 14 by the folded portion 15 in parallel .

이에 따라, 상기 어퍼 거치대(16)는 접힘부(15)를 이용하여 앞뒤로 손쉽게 젖혀질 수 있게 되고, 그 상단부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를 받쳐줄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upper holder 16 can be easily tilted back and forth by using the folded portion 15,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holder 16 can suppor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여기서, 상기 접힘부(15)는 거치대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쉽게 젖혀질 수 있도록 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Here, the folded portion 15 may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radle, and may be easily folded.

예를 들면, 상하 두 장의 커버 속에 로워 거치대(14)와 어퍼 거치대(16)를 나란히 배치한 다음, 각 거치대의 연접부위를 따라 커버를 박음질함으로써, 각 거치대 사이에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경계라인을 접힘부(15)로 이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ower and upper holder 14 and the upper holder 16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upper and lower covers, and then the cover is stitched along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respective holders to form a folded line 15).

이러한 상기 로워 거치대(14)와 어퍼 거치대(16)는 좌우 폭이 같은 하드(Hard)한 재질의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특히 어퍼 거치대(16)는 로워 거치대(14)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상하 길이를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어퍼 거치대(16)가 긴 상하 길이를 이용하여 주로 자세를 가변시키면서 다양한 각도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받쳐줄 수 있게 된다. The lower holder 14 and the upper holder 16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hard plate having the same wid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Particularly, the upper holder 16 has a relatively long vertical length So that the upper holder 16 can suppor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t various angles while varying the attitude mainly by using the long vertical length.

여기서, 상기 로워 거치대(14)와 어퍼 거치대(16)를 합친 전체 면적은 본체(10)가 가지는 전체 면적에 상응하는 크기(실질적으로는 약간 작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사용시 로워 거치대(14)와 어퍼 거치대(16)를 편평하게 펼쳐놓게 되면 본체(10)의 내부에 꼭맞게 수용되면서 본체 바닥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Here, the total area of the lower holder 14 and the upper holder 16 may b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total area of the main body 10 (substantially a slightly smaller size), so that the unused lower holder When the upper stand 14 and the upper stand 16 are laid flat, they can be fit tightly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and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이에 따라, 상기 로워 거치대(14)는 주로 아래쪽에서 눕혀지거나 세워지면서 어퍼 거치대(16)를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로워 거치대(14)의 지지를 받는 어퍼 거치대(16)는 윗쪽에서 눕혀지거나 세워지면서 그 전체 면적 또는 상단부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를 받쳐줄 수 있게 된다. The lower cradle 14 is supported by the lower cradle 14 so that the upper cradle 16 supported by the lower cradle 14 can be laid or raised from above, So that it can suppor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entire area or the upper end thereof.

물론, 상기 로워 거치대(14)와 어퍼 거치대(16)는 힌지부(13)와 접힘부(15)에 의해 위와 같은 자세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Of course, the lower stand 14 and the upper stand 16 can be switched to the above positions by the hinge portion 13 and the folded portion 15. [

한편, 상기 어퍼 거치대(16)의 눕혀진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수단으로 지지편(17)이 마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iece 17 is provided as a means for maintaining the lying position of the upper placing table 16.

상기 지지편(17)은 본체(10)의 바닥 좌우 폭 중간 위치에서 한쪽 단부가 박음질이나 접착 등으로 고정되는 길다란 띠 모양의 부재로서, 하단의 고정부위를 기준으로 상단을 위로 들어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본체(10)의 바닥에 자연스럽게 눕혀지면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The supporting piece 17 is an elongated band-shaped member fixed at one end of the bottom 10 of the main body 10 by means of stapling or gluing or the like, And when it is not used, it can be naturally lai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and can be closely contacted.

여기서, 상기 지지편(17)은 약간의 자체 강성을 가지면서도 플렉시블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가죽 등과 같은 재질의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ing piece 17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leather which can exhibit a flexible characteristic while having a little self-rigidity.

이러한 지지편(17)은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본체(10)의 하단부 가장자리 위치에 하나의 제1지지편(17a)이 구비되고, 이곳에서부터 본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또 하나의 제2지지편(17b)이 구비되는 등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편(17)이 구비될 수 있게 된다.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17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 single first support piece 17a may b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And at least two support pieces 17 such as a second support piece 17b are provided.

이러한 지지편(17)은 어퍼 거치대(16)의 상단부를 지지하여 어퍼 거치대(16)가 눕혀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며,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하단을 걸쳐놓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는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 형태에 따라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게 된다. The supporting piece 17 supports the upper end of the upper placing table 16 to keep the upper placing table 16 in a lying position or can also be used for placing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 can be usefully us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그리고, 상기 덮개(11)의 바닥에는 상단측 양쪽 모서리 부위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액정 홀더(20)가 조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액정 홀더(20)는 휴대용 전자기기, 예를 들면 노트북의 액정 모니터 상단부 양쪽 모서리 부분을 집어 넣어 고정시킬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A liquid crystal holder 20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lid 11 so as to be inclined at both edges of the upper side. The liquid crystal holder 20 at this time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It can be used as an application in which corner portions can be inserted and fixed.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ccordingly, the use stat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여러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4 is a side view showing various use state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있는 거치대(12)는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사용 형태에 맞게 다양한 자세로 전환되면서 휴대용 전자기기(100)를 여러 각도로 받쳐줄 수 있게 된다. 4, the cradle 12 in the cas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supported at various angles while being switched to various poses according to the usage form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

예를 들면, 베이직 모드(Basic Mode)로서, 거치대(12)의 로워 거치대(14)와 어퍼 거치대(16)를 편평하게 편 상태에서 그 위에 휴대용 전자기기(100)를 그대로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다(a).For example, as a basic mode, the lower holder 14 and the upper holder 16 of the holder 12 may be flatly laid flat,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placed thereon as it is a).

또, 타이핑 모드(Typing Mode)로서, 거치대(12)의 로워 거치대(14)를 경사지게 위로 세우고, 어퍼 거치대(16)를 앞쪽으로 경사지게 눕힘과 동시에 그 상단부를 제2지지편(17b)에 건 상태에서 어퍼 거치대(16)에 휴대용 전자기기(100)를 올려 놓고 사용할 수 있다(b).As the typing mode, the lower holder 14 of the holder 12 is sloped up, the upper holder 16 is slanted downward forward,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holder is hooked on the second holder 17b (B),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placed on the upper stand 16.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본체 하단부는 제1지지편(17a)에 걸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prevented from slipping by being hooked on the first support piece 17a.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거치 형태는 사용자가 타이핑 등의 작업을 할 때 편리한 거치 형태이다. The mounting typ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a convenient mounting type when the user performs a work such as typing.

또, 서핑 모드(Surfing Mode)로서, 거치대(12)의 로워 거치대(14)를 뒷쪽으로 바닥에 눕히고, 어퍼 거치대(16)를 경사지게 세운 상태에서 어퍼 거치대(16)의 상단을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상단부, 즉 본체와 모니터 간의 경계부위 틈새에 걸쳐 놓고 사용할 수 있다(c). In the surfing mode, the lower holder 14 of the holder 12 is laid on the floor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holder 16 is hel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holder 16 is inclined) (C) It can be placed over the upper part of the boundary, that is, the gap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monitor.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본체 하단부는 제1지지편(17a)에 걸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prevented from slipping by being hooked on the first support piece 17a.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거치 형태는 사용자가 웹 서핑 등의 작업을 할 때 편리한 거치 형태이다. Su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a convenient type of operation when the user performs a task such as surfing the web.

또, 데스크 모드(Desk Mode)서, 거치대(12)의 로워 거치대(14)를 뒷쪽으로 바닥에 눕히고, 어퍼 거치대(16)를 경사지게 세운 상태에서 어퍼 거치대(16)의 상단을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상단부, 즉 본체와 모니터 간의 경계부위 틈새에 걸쳐 놓고 사용할 수 있다(d). In the desk mode, the lower stand 14 of the stand 12 is laid on the floor,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stand 16 is slid on the upper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D) It can be us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nitor, that is, across the gap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monitor.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본체 하단부는 제2지지편(17b)에 걸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prevented from slipping by being hooked on the second support piece 17b.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거치 형태는 서핑 모드에 비해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본체 각도를 좀더 세운 형태로서, 사용자가 별도의 무선 키보드 등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 또는 외장 하드를 사용하는 입력 작업을 할 때 편리한 거치 형태이다.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mounted 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by using a separate wireless keyboard or by using an external hard disk It is a convenient mounting form when doing input work.

또, 월 모드(Wall Mode)로서, 거치대(12)의 로워 거치대(14)을 앞쪽으로 바닥에 눕히고, 어퍼 거치대(16)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어퍼 거치대(16)의 상단을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상단부에 걸쳐 놓고 사용할 수 있다(e). In the wall mode, the lower stand 14 of the stand 12 is laid on the floor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stand 16 is placed 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 100) (e).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본체 하단부는 제2지지편(17b)에 걸어서 미끄러 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prevented from slipping by being hooked on the second support piece 17b.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거치 형태는 뒷쪽으로 벽 등이 있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휴대용 전자기기(100)를 효율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형태이다.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mounted in a state in which a sufficient space can not be secured due to a back wall and the like.

이와 같이, 케이스 내부에 다양하게 자세를 전환시킬 수 있는 거치대를 일체 구비함으로써, 각종 상황이나 작업에 맞게 휴대용 전자기기를 효과적으로 거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is manne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conveniently and conveniently used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and operations by providing a stand that can switch various attitudes inside the case.

10 : 본체 11 : 덮개
12 : 거치대 13 : 힌지부
14 : 로워 거치대 15 : 접힘부
16 : 어퍼 거치대 17 : 지지편
18 : 고정부 19 : 손잡이
20 : 액정 홀더
10: Body 11: Cover
12: cradle 13: hinge
14: Lower stand 15: Fold
16: upper holder 17:
18: fixed part 19: handle
20: liquid crystal holder

Claims (7)

내부에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함과 더불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케이스로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을 위한 개폐가능한 구조의 본체(10) 및 덮개(11)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12)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12)는 본체(10)의 바닥에 힌지부(13)를 통해 그 하단부가 연결되어 젖힘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로워 거치대(14)와, 상기 로워 거치대(14)의 상단부에 접힘부(15)를 통해 그 하단부가 연결되어 젖힘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어퍼 거치대(16)로 구성되어, 상기 로워 거치대(14)와 어퍼 거치대(16) 간의 자세 전환을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를 여러 각도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A case which accommodate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side and can be used by being mounted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main body (10) and a lid (11)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for accommoda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a cradle (12)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folding unit 12 includes a lower holder 14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via a hinge 13 so that a low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and a foldable portion 15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ower holder 14, And an upper cradle 16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cradle 14 so as to be able to be tilted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mounted at various angles by changing the posture between the lower cradle 14 and the upper cradle 16. [ Wherein the case is made of a met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2)의 로워 거치대(14)와 어퍼 거치대(16)는 좌우 폭이 같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퍼 거치대(16)는 로워 거치대(14)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상하 길이를 가지면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전체 면적 또는 상단부를 통해 받쳐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holder 14 and the upper holder 16 of the cradle 12 are formed in the same plate shape as the widt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holder 14. The upper holder 16 has a longer vertical length than the lower holder 14 Where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entire area or the upper end thereo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바닥에는 어퍼 거치대(16)의 상단부를 지지하여 어퍼 거치대(16)의 눕혀진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복수의 지지편(1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17) ar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pport (16) to maintain the lying position of the upper support (1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지지편(17)은 본체 바닥에 한쪽 단부가 고정되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세워서 사용하거나 미사용시 본체 바닥에 눕혀놓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pport piece (17) of the main body (1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can be laid down or laid on the main body floor when not in us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2)는 로워 거치대(14)를 위로 세우고 어퍼 거치대(16)를 경사지게 눕힌 자세로 전환시켜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어퍼 거치대(16)의 전면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radle (12) is configured to stand the lower cradle (14) upright and to switch the upper cradle (16) cas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2)는 로워 거치대(14)를 뒷쪽으로 바닥에 눕히고 어퍼 거치대(16)를 경사지게 세운 자세로 전환시켜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어퍼 거치대(16)의 상단부로 받쳐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cradle (1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cradle (14) is laid on the bottom side and the upper cradle (16) is switched to a tilted posture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upper cradle Portable electronics cas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2)는 로워 거치대(14)를 앞쪽으로 바닥에 눕히고 어퍼 거치대(16)를 수직으로 세운 자세로 전환시켜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어퍼 거치대(16)의 상단부로 받쳐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cradle 12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uppor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cradle 16 by lowering the lower cradle 14 forward and turning the upper cradle 16 vertically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KR2020120010342U 2012-11-13 2012-11-13 Ca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4000300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342U KR20140003005U (en) 2012-11-13 2012-11-13 Ca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342U KR20140003005U (en) 2012-11-13 2012-11-13 Ca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005U true KR20140003005U (en) 2014-05-22

Family

ID=52443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342U KR20140003005U (en) 2012-11-13 2012-11-13 Ca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005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657A (en) * 2018-02-07 2019-08-16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10155948A (en) 2020-06-17 2021-12-24 최수호 Multi-ba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657A (en) * 2018-02-07 2019-08-16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10155948A (en) 2020-06-17 2021-12-24 최수호 Multi-ba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7306B1 (en) Protective apparatus for tablet electronic device
US10716376B2 (en) Folding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EP3500906B1 (en) Protective case
JP3174558U (en) Multi-function protective case
US8899415B2 (en) Electronic device case having variable angle stand
WO2020080547A1 (en) A folding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1903614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case magnets
US20110297581A1 (en) Portable, adjustable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30016468A1 (en) Wireless keyboard for tablet pc with stand
US20120211377A1 (en) Combination protective case and stand for a tablet device and keyboard
US20140029197A1 (en) Electronic device
US20110284420A1 (en) Combination protective case and stand for a tablet device and keyboard
US20130270980A1 (en) Protective sheath
US20130069878A1 (en) Portable computer with adjustable keyboard
US20130075280A1 (en) Combination cover and stand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140224676A1 (en) Low profile protective cover configurable as a stand with integrated battery
KR101243217B1 (en) Combination case and supporter for handheld terminal
JP2011253514A (en) Case for tablet pc
EP3111127A1 (en) Stand for a portable device with a graphic user interface display
US20140118897A1 (en) Electronic device
US20160045003A1 (en) Size-adaptive mobile device cover
KR200464678Y1 (en) Tablet PC Bag
KR20140003005U (en) Ca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0716375B2 (en) Folding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0469396Y1 (en) Multi FUNCTION POUCH FOR ELECTRON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