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764A - Terminal apparatus, serve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erminal apparatus, serve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764A
KR20130142764A KR1020120066274A KR20120066274A KR20130142764A KR 20130142764 A KR20130142764 A KR 20130142764A KR 1020120066274 A KR1020120066274 A KR 1020120066274A KR 20120066274 A KR20120066274 A KR 20120066274A KR 20130142764 A KR20130142764 A KR 20130142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2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용현
박재성
정배은
민형석
박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6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2764A/en
Publication of KR20130142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7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G06Q50/5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A terminal apparatus is disclosed. The terminal apparatus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with other terminal apparatuses from a server; an input unit receiving a user command; and a control unit generating first information for the approva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inputted by the input unit and transmitting the first information to a server.

Description

단말 장치, 서버, 통신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 방법{TERMINAL APPARATUS, SERVE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Terminal device, server,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TERMINAL APPARATUS, SERVE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 장치, 서버, 통신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 정보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 단말 장치를 연결하는 서버, 복수의 단말 장치와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device, a server,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device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a server connecting the terminal device,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and servers, and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종류의 단말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음성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휴대폰 뿐만이 아니라 TV, 컴퓨터 등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단말 장치들을 이용하여 통화 기능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단말 장치들간 위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개발되었다.Thanks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kinds of terminal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ly, a terminal device providing a video call function as well as a conventional voice call function has been developed, and a call function may be provided using not only a mobile phone but also a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a network such as a TV and a computer. In addition, recently, a system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such terminal devices has been developed.

최근 이러한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개인 정보 보호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단말 장치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중요한 개인 정보로서 그 이용이 엄격하게 제안되고 있다. 이에 따라, 위치 공유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효율적으로 보호, 관리하기 위한 방안이 요청된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such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problem. In particula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has been proposed to be strictly used as important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ly, when using a location sharing system, a method for efficiently protecting and managing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 정보의 보호, 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단말 장치, 서버, 통신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need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device, a server,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location informa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제2 단말 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수신된 제1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or the second terminal device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 second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receiving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a storage unit storing the received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stored first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불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Here,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and the first information is dis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n this case,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may store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second terminal device is approved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and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store the first information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불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econd information i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the second information is disapproved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In the case of informati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타 단말 장치에 의한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1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by the other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er, the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and the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approve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server.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명령인 경우 승인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불승인 명령인 경우 불승인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Here, when the user command is an approval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approval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o the server, and the user command is a disapproval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Disapproval information can be sent to the serv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 이동에 따라 획득된 상기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가 상기 서버로 기 전송된 위치 정보와 상이한 경우, 상기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transmit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o the server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obtai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transmitted to the server. .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타 단말 장치에 의한 위치 공유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위치 공유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은, 상기 서버로 전송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될 수 있다.The controller, upon receiving a location sharing request by the other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er, generates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may be received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erv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서버로 제2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단말 장치,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1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device for reques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second terminal to the server, and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a second terminal device generating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server according to a server to transmit and a user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Here, the server receives and stores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when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stored first informati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o transmi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은,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제2 단말 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controlling a server may include receiving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or a second terminal device from a first termin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Receiving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request for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storing the received first information,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stor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first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불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The transmitting of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f the first information is dis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그리고,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second terminal device approves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The transmitting to the device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또한,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불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The transmitting of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when the second information i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If the second information is dis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서버로부터 타 단말 장치에 의한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1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in a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communicating with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by another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er, receiving a user command for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nd generating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server.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명령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명령인 경우 승인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불승인 명령인 경우 불승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He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he generating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may include approval information and the approval information when the user command is an approval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if the user command is a disapproval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disapproval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그리고,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 이동에 따라 획득된 상기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가 상기 서버로 기 전송된 위치 정보와 상이한 경우, 상기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o the server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obtai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transmitted to the server. Can be.

또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타 단말 장치에 의한 위치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위치 공유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은, 상기 서버로 전송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location sharing request by the other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er, receiving a user command for the received location sharing request, and determining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2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may be received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제1 단말 장치가, 서버로 제2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 control method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step of requesting, by a first terminal device, location information of a second terminal to a server, the server reques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Transmitting the user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whether the second terminal device accepts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server, the server stor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is approved, and the serve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whether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approved. It includes the steps: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또는 불승인 정보를 각 단말 장치가 관리하지 않고 하나의 서버를 통해 관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치 정보의 보호, 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described above, the approval or dis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device may be managed through one server without managing each terminal device, thereby protecting and manag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정보의 양도 줄어들게 되어 네트워크 부하 및 트래픽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mount of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is also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network load and traffic cos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quence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illustrated in FIG. 1.
3 is a sequence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shown in FIG. 1.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shown in FIG. 4.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server shown in FIG. 1.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은 제1 단말 장치(100-1), 제2 단말 장치(100-2) 및 서버(200)를 포함한다. 제1 단말 장치(100-1), 제2 단말 장치(100-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특히, 스마트폰)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TV, 데스크탑 PC, 노트북, 테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 장치와 서버, 제2 단말 장치와 서버는 각각 RF(Radio Frequency), 위성, LTE(Long Term Evolution), Wi-Fi, 인터넷 등 다양한 통신 기술을 이용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first terminal device 100-1, a second terminal device 100-2, and a server 200. As shown in FIG. 1,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may be a mobile phone (particularly, a smart phon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PC, a notebook, a tablet PC, and the like. Here, the first terminal device and the server,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the server may be connected via a network using variou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RF (Radio Frequency), satellite, Long Term Evolution (LTE), Wi-Fi, the Internet.

한편,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이 두 개의 단말 장치(100-1, 100-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두 개 이상의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communication system illustrated in FIG. 1 has been described as including two terminal devices 100-1 and 100-2,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may include two or more terminal devices.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2 단말 장치(100-2)는 서버(200)를 통해 서로의 위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2 단말 장치(100-2)는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이 가능하며, 음성 또는 영상 통화 중 제1 단말 장치(100-1)의 사용자가 제2 단말 장치(100-2)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궁금한 경우 제2 단말 장치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제2 단말 장치(100-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may share location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erver 200. In detail,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may perform a voice or video call function, and a user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may perform a voice or video call. 2 If the user's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2 is curiou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may be checked by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구체적으로, 제1 단말 장치(100-1)는 서버를 통해 제2 단말 장치(200-1)로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2 단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제1 단말 장치(100-1)의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해 승인 또는 불승인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2 단말 장치(100-2)는 사용자의 승인 또는 불승인 명령에 따라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이하 제1 정보라 한다)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전송하며, 서버(200)는 제1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저장된 제1 정보에 따라 제1 단말 장치로 위치 정보를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정보가 제1 단말 장치에 대한 승인 정보인 경우, 서버(200)는 제1 단말 장치(100-1)로 제2 단말 장치(100-2)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며, 제1 단말 장치(100-1)는 제2 단말 장치(100-2)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지도에 제2 단말 장치(100-2)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may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200-1 through a server. The second terminal device may receive an approval or disapproval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from the user.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generates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approved according to a user's approval or disapproval command,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and the server 200. Stores the first information. Thereafter,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stored first information. If the first information i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first terminal device,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and display the lo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on the map.

한편, 제2 단말 장치(100-2)의 사용자가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 요청의 수신 자체를 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사용자의 승인이 있는 경우에 타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위치 공유 요청이란, 단말 장치간 위치 공유 서비스 이용하기 위해 특정 단말 장치에서 타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승인 요청을 의미하며, 타 단말 장치에 위치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서는 위치 공유 요청의 승인이 전제되어야 한다. Meanwhile,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does not want to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tself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another terminal device when the user approves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refers to an approval request transmitted from a specific terminal device to another terminal device in order to use a location sharing service between terminal devices, and in order to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from another terminal device, approval of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must be assumed.

구체적으로, 제1 단말 장치(100-1)는 서버를 통해 제2 단말 장치(200-1)로 위치 공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제1 단말 장치(100-1)의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해 승인 또는 불승인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2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승인 또는 불승인 명령에 따라 위치 공유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이하 제2 정보라 한다)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전송하며, 서버(200)는 제2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제2 단말 장치(100-2)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저장된 제2 정보에 따라 제1 단말 장치(100-1)로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may transmit a location sharing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200-1 through a server. The second terminal device may receive an approval or disapproval command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from the user. The second terminal device generates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whethe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is approv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 user's approval or disapproval command, and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second information. Save it. Subsequent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ccording to the stored second information.

한편, 복수의 단말 장치가 타 단말 장치로 위치 정보 요청을 한 경우, 타 단말 장치는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각각 입력받을 수 있으며, 각 단말 장치에 대한 제1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각 단말 장치에 대한 제1 정보를 저장하고, 이후 타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저장된 제1 정보에 따라 복수의 단말 장치로 위치 정보를 전송할지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from other terminal devices, the other terminal devices may receive user commands for location information request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respectively, and include a first command for each terminal devic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nd sent to the server. The server may store the first information about each terminal device, and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nother terminal device, may separately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according to the stored first information.

또한, 복수의 단말 장치가 타 단말 장치로 위치 공유 요청을 한 경우, 타 단말 장치는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각각 입력받을 수 있으며, 각 단말 장치에 대한 제2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각 단말 장치에 대한 제2 정보를 저장하고, 이후 타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저장된 제2 정보에 따라 복수의 단말 장치로 위치 정보를 전송할지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terminal apparatuses request a location sharing request to other terminal apparatuses, the other terminal apparatuses may receive user commands for location sharing request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terminal apparatuses, respectively,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nd sent to the server. The server may store the second information about each terminal device, and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nother terminal device, may determine individually whether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according to the stored second information.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설명한 통신 시스템은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2 단말 장치(100-2) 간 음성 또는 영상 통화중 위치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통화중이 아닌 경우에도 단말 장치 간 위치 공유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syste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has been described as using a location sharing service during a voice or video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It is possible to use a location sharing service between terminal devices even when not in a cal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FIG. 2 is a sequence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illustrated in FIG. 1.

도 2에 따르면, 제1 단말 장치(100-1)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공유 요청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받는다(S1). 그리고, 입력받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위치 공유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한다(S2). 서버(200)는 수신된 위치 공유 요청을 제2 단말 장치(100-2)로 전송한다(S3). According to FIG. 2,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receives a user command for requesting a location sharing from a user (S1). Then, according to the received user command transmits a location sharing request to the server 200 (S2).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received location sharing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S3).

제2 단말 장치(100-2)는 수신된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S4), 사용자 명령에 따라 위치 공유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이하 제2 정보라고 한다.)를 생성하고(S5), 생성된 제2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6). 이후, 서버(200)는 수신된 제2 정보를 저장한다(S7).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receives a user command for the received location sharing request (S4), and generates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In operation S5, the generated seco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S6). Thereafter, the server 200 stores the received second information (S7).

상술한 (S1) 내지 (S7)의 과정은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2 단말 장치(100-2)가 서로 통화중이 아닌 상태에서도 언제든지 가능하며, 위치 정보 요청을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과정들이다.The above-described processes of (S1) to (S7) may be performed at any time even when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are not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should be preceded for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It is the process of doing.

이후, 제1 단말 장치와 제2 단말 장치간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중, 제1 단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정보 요청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S8). 그리고, 입력받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위치 정보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한다(S9). Thereafter, during a voice or video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device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the first terminal device receives a user command for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S8). Then, according to the received user comman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rver 200 (S9).

서버(200)는 기 저장된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제2 단말 장치(100-2)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그리고, 제2 정보가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승인 정보인 경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제2 단말 장치(100-2)로 전송하고(S11), 제 2정보가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불승인 정보인 경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제2 단말 장치(100-2)로 전송하지 않는다.The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by using the previously stored second information (S10). When the second information i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S11), and the second information is dis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not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제2 단말 장치(100-2)는 위치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S12), 사용자 명령에 따라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이하 제1 정보라고 한다.)를 생성하고(S13), 생성된 제1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14). 이후, 서버(200)는 수신된 제1 정보를 저장한다(S15). When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receives a user command for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S12), and determines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omman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first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S14). Thereafter, the server 200 stores the received first information (S15).

한편, 제2 단말 장치(100-2)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제2 단말 장치(100-2)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S16). 구체적으로, 제2 단말 장치(100-2)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위도 정보 및 경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 장치(100-2)는 생성된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17).Meanwhile, when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receives an approval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user,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S16). In detail,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may receive a GPS signal from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atellite and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using the received GPS signal. In operation S17,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transmits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서버(200)는 제2 단말 장치(100-2)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기 저장된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18). 그리고, 제1 정보가 제1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정보인 경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제1 단말 장치(100-1)로 전송하고(S19), 제1 정보가 제1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불승인 정보인 경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제1 단말 장치(100-1)로 전송하지 않는다.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the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using the previously stored first information (S18).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S19), and the first information is the first terminal device. In the case of disapproval information for the request for location informati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s not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제1 단말 장치(100-1)는 서버(200)로부터 제2 단말 장치(100-2)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에 제2 단말 장치(100-2)의 위치를 표시한다(S20). 구체적으로, 제1 단말 장치(100-1)는 외부로부터 지도를 수신하거나, 제1 단말 장치(100-1)에 기 저장된 지도를 로딩하여, 제2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위도 정보 및 경도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제2 단말 장치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from the server 200,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on the map us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he position is displayed (S20). In detail,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receives a map from the outside or loads a map previously stored in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so that the latitu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The lo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may be displayed on the map using the longitude information.

한편, (S16) 내지 (S20)의 과정은 제2 단말 장치의 위치 이동에 따라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 장치(100-2)는 (S16) 에서 생성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새로운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단말 장치(100-2)가 새롭게 획득한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가 저장된 위치 정보 즉, 서버(200)로 기 전송된 위치 정보와 상이한 경우, 새롭게 획득된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2 단말 장치(100-2)로부터 새로운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제1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1 정보가 제1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정보인 경우, 수신된 새로운 위치 정보를 제1 단말 장치(100-1)로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S16) to (S20) may be repeated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In detail,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may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in S16 and generate new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preset time interval. I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newly acquired terminal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the lo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obtain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newly obtained terminal device. And transmit to 200. When the server 200 receives new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the server 200 checks previously stored first information. If the first information i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the received new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이에 따라, 제1 단말 장치(100-1)로부터 제2 단말 장치(100-2)의 위치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제1 단말 장치(100-1)는 제2 단말 장치(100-2)의 위치 이동에 따른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re is no update request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may transmit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movement of -2) can be provided to the user.

한편, 제1 단말 장치(100-1)가 제2 단말 장치(100-2)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도중 제2 단말 장치(100-2)의 사용자가 위치 정보 요청을 중단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거나, 제1 단말 장치(100-1)와 제2 단말 장치(100-2)간의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제2 단말 장치(100-2)는 위치 정보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Meanwhile, while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inputs a user command for stopp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lternatively, when the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ends,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may stop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1 단말 장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로, 제2 단말 장치는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장치로 설명하였으나, 제1 단말 장치 및 제2 단말 장치는 서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device is described as a terminal device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is described as a terminal device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However, the first terminal device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perform the same function. The second terminal device may operate in the same manner when the second terminal device request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특히, 도 3은 복수의 단말 장치(100-1, 100-3)가 하나의 단말 장치(100-2)에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sequence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case where a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100-1 and 100-3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from one terminal device 100-2.

도 3에 따르면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3 단말 장치(100-3)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공유 요청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받는다(S51). 그리고, 입력받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위치 공유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한다(S52). 서버(200)는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3 단말 장치(100-3)로부터 각각 수신된 위치 공유 요청을 제2 단말 장치(100-2)로 전송한다(S53).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100-3 receive a user command for requesting a location sharing from a user (S51). In operation S52,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according to the received user command.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100-3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respectively (S53).

제2 단말 장치(100-2)는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3 단말 장치(100-3)의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각각 입력받아(S54), 사용자 명령에 따라 위치 공유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이하 제2 정보라고 한다.)를 생성하고(S55), 생성된 제2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56). 이후, 서버(200)는 수신된 제2 정보를 저장한다(S57). 즉, 서버(200)에는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3 단말 장치(100-3) 각각에 대한 제2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receives a user command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100-3, respectively (S54), and positions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sharing reque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information) is generated (S55), and the generated seco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S56). Thereafter, the server 200 stores the received second information (S57). That is, the server 200 may store second information about each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100-3.

이후, 제1 단말 장치(100-1), 제2 단말 장치(100-2) 및 제3 단말 장치(100-3)의 다자간 음성 또는 영상 통화 중,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3 단말 장치(100-3)는 각각 사용자로부터 위치 정보 요청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S58). 그리고,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3 단말 장치(100-3)는 입력받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위치 정보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한다(S59). Thereafter,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first terminal device during the multi-party voice or video call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100-3. 3, the terminal device 100-3 receives user commands for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respectively (S58).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100-3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rver 200 according to the received user command (S59).

서버(200)는 기 저장된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제2 단말 장치(100-2)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하여(S60), 판단결과에 따라 위치 정보 요청을 제2 단말 장치(100-2)로 전송한다(S61). 구체적으로,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3 단말 장치(100-3)에 대한 제2 정보를 확인하여, 각 단말 장치별로 제2 단말 장치로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에 대한 제2 정보는 승인 정보이고, 제3 단말 장치에 대한 제2 정보는 불승인 정보인 경우, 서버(200)는 제1 단말 장치(100-1)의 위치 정보 요청을 제2 단말 장치(100-2)로 전송하고, 제3 단말 장치(100-3)의 위치 정보 요청은 제2 단말 장치(100-2)로 전송하지 않는다. The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using the pre-stored second information (S60),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apparatus 100-2 transmits the data to the apparatus 100-2 (S61). Specifically, by checking the secon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100-3, it is determined whether to transmit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for each terminal device. Can be. For example, when the secon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device is approv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about the third terminal device is disapproval information, the server 200 determin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The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of the third terminal device 100-3 is not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제2 단말 장치(100-2)는 위치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S62), 사용자 명령에 따라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이하 제1 정보라고 한다.)를 생성하고(S63), 생성된 제1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64). When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receives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receives a user command for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S62), and determines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omman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first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S64).

제2 단말 장치(100-2)가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3 단말 장치(100-3)의 위치 정보 요청을 모두 수신한 경우, 제2 단말 장치(100-2)는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3 단말 장치(100-3)의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각각 입력 받고,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3 단말 장치(100-3)에 대한 제1 정보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receives both of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s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100-3,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receives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100-3 receive user commands for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device 100-3, respectively, and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100-3. Each of first information about may be generated.

서버(200)는 제2 단말 장치(100-2)로부터 수신된 제1 정보를 저장한다(S15). 한편, 제2 단말 장치(100-2)는 (S62)에서 사용자로부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제2 단말 장치(100-2)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S66). 제2 단말 장치(100-2)가 수신된 모든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하여 불승인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에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지 않지만,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해 승인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라면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 장치(100-2)는 생성된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67).The server 200 stores the fir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S15). Meanwhile, when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receives an approval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user in S62,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S66). If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receives the disapproval command for all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s, the location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but if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receives the approval command for the at least one terminal device, the lo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can do. In operation S67,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transmits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서버(200)는 제2 단말 장치(100-2)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기 저장된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제1 단말 장치 및 제3 단말 장치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하고(S68), 판단 결과에 따라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69). 구체적으로,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3 단말 장치(100-3)에 대한 제1 정보를 확인하여, 각 단말 장치별로 위치 정보를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에 대한 제1 정보는 승인 정보이고, 제3 단말 장치에 대한 제1 정보는 불승인 정보인 경우, 서버(200)는 제2 단말 장치(100-2)의 위치 정보를 제1 단말 장치(100-1)로 전송하고, 제3 단말 장치(100-3)로는 전송하지 않는다.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the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by using the previously stored first information. In operation S68,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n detail, first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100-3 may be checked to determine whether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or each terminal device. For example, when the first information on the first terminal device is approval information and the first information on the third terminal device is disapproval information, the server 200 determin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not to the third terminal device 100-3.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3 단말 장치는 서버(200)로부터 제2 단말 장치(100-2)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제2 단말 장치(100-2)의 위치를 표시한다(S20). 구체적으로,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3 단말 장치(100-3)는 외부로부터 지도를 수신하거나, 기 저장된 지도를 로딩하여, 제2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위도 정보 및 경도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제2 단말 장치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from the server 200, the second terminal device on the map us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he position of 100-2 is displayed (S20). In detail,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100-3 receive a map from the outside or load a previously stored map, and include latitu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The lo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may be displayed on the map using the longitude information.

한편,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66) 내지 (S70)의 과정은 제2 단말 장치의 위치 이동에 따라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3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100-2)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도중 제2 단말 장치(100-2)의 사용자가 위치 정보 요청을 중단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거나, 제1 단말 장치(100-1), 제2 단말 장치(100-2) 및 제3 단말 장치(100-3)간의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제2 단말 장치(100-2)는 위치 정보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he processes of S66 to S70 may be repeated as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is performed. In addition, while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stops reques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100, when a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100-3 ends. 2) may stop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1 단말 장치 및 제3 단말 장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로, 제2 단말 장치는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장치로 설명하였으나, 제1 단말 장치, 제2 단말 장치 및 제3 단말 장치는 서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 또는 제3 단말 장치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device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are described as terminal devices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is described as a terminal device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but the first terminal device,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and may operate in the same manner when the second terminal device request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or the third terminal device.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shown in FIG. 1. According to FIG. 4, the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nd a controller 130.

통신부(110)는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100)가 타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에는, 통신부(110)는 서버(200)로부터 타 단말 장치에 의한 위치 공유 요청,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위치 공유 요청 및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가 타 단말 장치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통신부(110)는 서버(200)로 위치 공유 요청 및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200)로부터 타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200. In detail,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nother terminal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a location sharing request an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by another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er 200.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sharing reques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requests location information from another terminal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a location sharing request and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rver 200, and the other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er 200. Can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Ethernet, PLC(Power Line Communcation), IEEE 1394, WAN(Wide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등과 같은 유선 통신 기술 및 RF(Radio Frequency), Wi-Fi, IEEE 802.11,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IEEE 802.15와 같은 무선 통신 기술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a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Ethernet, Power Line Communcation (PLC), IEEE 1394, Wide Area Network (WAN), Local Area Network (LAN), etc., and Radio Frequency (RF), Wi-Fi, IEEE Various modules capabl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802.11,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IEEE 802.15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performs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3G (3rd Generation),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oution (LTE), and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It may further include.

입력부(12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30)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써, 입력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패널은 터치패드(Touch Pad) 혹은 각종 기능키, 숫자키, 특수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Key Pad) 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입력부(120)는 단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에서 전송되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R 수신부(미도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input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n input panel a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various user commands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user commands to the controller 130. Here, the input panel may be a key pad or a touch screen having a touch pad or various function keys, numeric keys, special keys, and character keys. In addition, the input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n IR receiver (not shown)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device 100.

한편, 입력부(120)는 단말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가 스마트 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전원 온/오프, 벨소리 변경, 음성 또는 영상 통화 착신, MMS 발신,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 스마트 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각종 기능을 실행하도록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조작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input unit 120 may receive various user commands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a user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smart phone may be input such as power on / off, changing a ring tone, receiving a voice or video call, sending an MMS, or executing an application. Can b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other components to execute various functions corresponding to a user manipul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For example, when a power-off command is input, the controller 130 may cut off power supplied to each component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when an application execution command is input, the controller 130 may execute a specific application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have.

특히, 입력부(120)는 단말 장치(100)가 타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에는 타 단말 장치의 위치 공유 요청 및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서버(200)에 저장된 위치 공유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위치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UI에 따라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한 위치 공유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를 승인에서 불승인으로, 또는 불승인에서 승인으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가 타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타 단말 장치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other terminal device, the input unit 120 may receive a user command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of the other terminal device. In addition, the input unit 120 may receive a user command for changing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a location sharing request stored in the server 200. Specifically, a user executes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a location sharing service, and change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o approve a location sharing request for a specific terminal device from approval to disapproval, or disapproval to approval according to a UI provided by the application. You can enter a user command.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requests location information from another terminal device, the terminal device 100 may receive a user command for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nother terminal device.

제어부(130)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는 단말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is,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terminal device 100 to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특히, 타 단말 장치의 위치 공유 요청 또는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명령에 따라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제2 정보 또는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제1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위치 공유 요청 또는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명령이 입력되면, 타 단말 장치에 대한 승인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전송하고, 위치 공유 요청 또는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불승인 명령이 입력되면, 타 단말 장치에 대한 불승인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a user command for a location sharing request or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of another terminal device is input, the server 200 generates the second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or the first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Can be controlled to transmit. Specifically, when the approval command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input,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the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other terminal device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200, and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When a disapproval command is input, disapproval information for another terminal device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한편, 입력부(120)를 통해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n approval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the controller 130 ma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단말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GPS 신호 수신부(140), 저장부(150), 음성 수집부(160), 출력부(170), 수신부(180) 및 신호 처리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4에 도신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구성은 그 기능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shown in FIG. 4. According to FIG. 4, the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4, the GPS signal receiver 140, the storage 150, the voice collector 160, the output 170, the receiver 180, and the lik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processor 190.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5, the components overlapping with those shown in FIG. 4 have the same functions,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GPS 신호 수신부(140)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GPS 신호는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서 GPS 신호 수신부(140)는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저장부(150)에 기 저장된 삼각측량법을 이용한 알고리즘에 따라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GPS signal receiver 140 receives a GPS signal from a GPS satellite. The received GPS signal is used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To this end, the GPS signal receiver 140 may receive GPS signals from three or more GPS satellites. The controller 130 ma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algorithm using a triangulation method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using the received GPS signal.

저장부(150)는 단말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사진, 동영상, 음악과 같은 컨텐츠 등이 저장되는 저장 매체로서, 각종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의 기억장치로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저장부(150)는 제어부(130)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 제어부(130)의 동작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RAM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E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및 를 저장하기 위한 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0 is a storage medium that stores various programs and contents such as photos, videos, and music necessary for opera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nd is implemented as a storage device such as various memories and a hard disk drive (HDD). It is possible.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50 may include a ROM for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30, a RAM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30,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EE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for storing various reference data and may be further provided for storing.

특히, 저장부(150)는 GPS 신호를 위치 정보로 변경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GPS 신호 수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GPS 신호 및 저장부(150)에 저장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an algorithm for changing the GPS signal into location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50 ma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by using the GP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GPS signal receiver 140 and an algorithm stored in the storage 150.

또한, 저장부(150)는 제어부(150)에 의해 생성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에 저장된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는 새롭게 생성된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100)의 위치 이동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새로운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새로운 위치 정보가 생성되면, 제어부(150)는 저장부(150)에 기 저장된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100)의 위치가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의 위치가 이동되었다고 판단되면 새로운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타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위치 정보의 업데이트 요청 없이도 단말 장치의 새로운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torage 150 may stor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5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stored in the storage 150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movement of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compared to the newly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ler 150 may generate new location information at preset time intervals. When the new lo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controller 150 may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has been moved by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15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has been moved, the new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Accordingly, a user of another terminal device can be provided with new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without requesting to update the location information.

음성 수집부(160)는 사용자 음성을 수집한다. 특히, 예를 들어, 음성 수집부(16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로 구현되어, 단말 장치(100)에 내장되어 일체형을 이루거나, 단말 장치(100)와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음성 수집부(160)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형태, 또는 식탁이나 테이블에 놓일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수집된 사용자의 음성을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voice collector 160 collects user voices. In particular, for example, the voice collector 160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phone for collecting a user's voice, and may be integrated into the terminal device 100 to form an integrated body or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eparat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have. When implemented in a separate form, the voice collector 16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the user grasps it by hand or in a form that can be placed on a table or table, an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he collected user's vo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한편, 음성 수집부(160)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 음성은 단말 장치(100)간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가 음성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라면 단말 장치(100)의 제어에 사용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user voice collected through the voice collector 160 may be used for a voice or video call between the terminal devices 100.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provides a voice control function,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used to control the terminal device 100.

출력부(170)는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출력부(170)는 디스플레이부(171) 및 오디오 출력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70 outputs at least one of audio and video. To this end, the output unit 17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71 and an audio output unit 172.

디스플레이부(171)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으로 구현되어, 단말 장치(100)를 통해 제공 가능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71)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위치 공유 요청 또는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1)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타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 타 단말 장치의 위치 표시한 지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71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or the like, and thus, the terminal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display screen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171 may display a GUI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for a location sharing request or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71 may provide the user with a map of the location of the oth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terminal device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한편, 디스플레이부(171)는 터치패드와 함께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면적, 터치 입력의 압력까지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7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at forms a mutual layer structure together with the touch pad, and the touch screen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input position, an area, and even a pressure of the touch input.

오디오 출력부(172)는 스피커 또는 잭 등과 같은 출력 포트로 구현되어,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단말 장치(100)를 이용한 통화 중 사용자에게 타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72 may be implemented as an output port such as a speaker or a jack, and output various audio signals. In particular, a voice of a user of another terminal device may be output to the user during a call using the terminal device 100.

수신부(180)는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180)는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송국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컨텐츠 파일을 전송하는 웹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마련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각종 기록 매체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기록 매체 재생 장치란 CD, DVD, 하드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The receiver 180 receives various contents. In detail, the receiver 180 receives content from a broadcasting station transmitting broadcast program content using a broadcast network or a web server transmitting content files using the Internet.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content from various recording medium playback apparatuses provided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or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 The recording medium playback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plays back content stored in various types of recording media such as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memory card, USB memory,

방송국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수신부(180)는 튜너(미도시), 복조기(미도시), 등화기(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반면, 웹 서버와 같은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수신부(18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각종 기록 매체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수신부(180)는 기록 매체 재생 장치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부(180)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receiving content from a broadcasting station, the receiver 18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cluding a tuner (not shown), a demodulator (not shown), an equalizer (not shown),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of receiving content from a source such as a web server, the receiver 180 may be implemented as a network interface card (not shown).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receiving contents from the various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e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unit 180 may be implemented as an interface un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As such, the receiver 18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신호 처리부(190)는 수신부(18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가 출력부(11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컨텐츠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The signal processor 190 performs signal processing on the content so that the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180 can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10.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190)는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에 대해 디코딩, 스케일링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171)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비디오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특히, 서버(200)로부터 타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 맵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71)에 출력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ignal processor 190 may convert the video signal into a form that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71 by performing operations such as decoding, scaling, and frame rate conversion on the video signal included in the content. In particular,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nother terminal device is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the map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71.

또한, 신호 처리부(190)는 통화중 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타 단말 장치 사용자의 음성 또는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에 대해 디코딩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오디오 출력부(172)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오디오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90 performs a signal processing such as decoding on an audio signal included in the voice or content of another terminal device user received from the other terminal device during a call, and outputs the signal from the audio output unit 172. The audio signal can be converted.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서버(200)는 제1 통신부(210), 제2 통신부(220), 저장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server shown in FIG. 1. According to FIG. 6, the server 20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a storage unit 230, and a control unit 240.

제1 통신부(210)는 제1 단말 장치(100-1)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부(210)는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제2 단말 장치에 대한 위치 공유 요청 및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1. In detail,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may receive a location sharing request and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or the second terminal device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제2 통신부(220)는 제2 단말 장치(100-1)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부(220)는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공유 요청 및 위치 정보 요청을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공유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2 정보 및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제2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1. In detail,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may transmit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Then, the second terminal device may receive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and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ls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may be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이를 위해, 제1 통신부(210) 및 제2 통신부(22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에 따른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제1 통신부 및 제2 통신부가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서버(200)는 네트워크 내의 다양한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통신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To this e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FIG. 6,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have been described as separate components, but the server 200 may be implemented as one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various terminal devices in the network.

저장부(230)는 제2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위치 공유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2 정보 및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1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제1 정보는 위치 정보를 요청한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 위치 정보를 요청받은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 및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 경우를 예로 들면, 제1 정보에는 위치 정보를 요청한 제1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를 요청받은 제2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또는 불승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정보는 위치 정보를 요청한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 위치 정보를 요청받은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 및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230 stores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and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device reques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device reques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first terminal device reques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that has requeste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terminal device that has been requeste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pproval or disapproval inform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Similarly, the second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device reques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device reques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approved.

한편, 저장부(230)는 제2 통신부(220)가 제2 단말 장치(100-2)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the storage unit 230 may store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제어부(240)는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40)는 제2 단말 장치(100-2)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저장부(230)에 저장된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 장치(100-2)는 위치 정보를 패킷 형태로 수신하며, 위치 정보가 포함된 패킷에는 패킷을 전송한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패킷을 수신할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패킷을 전송한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240)는 위치 정보가 포함된 패킷이 수신되면, 패킷을 전송한 단말 장치와 패킷을 수신할 단말 장치를 확인하고, 제1 정보와 비교하여 패킷을 수신할 제1 단단말 장치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rver 200. In particular,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the controller 240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firs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230. You can judge. In detail, the second terminal device 100-2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packet, and the packet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ransmitting the pack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o receive the packet, and a packe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hat transmits the message is included. When the packet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240 checks the terminal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packet and the terminal device that will receive the packet, and compares it with the first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the packet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that will receive the packet. It can be determined.

제어부(240)는 제1 정보가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정보인 경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제1 정보가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불승인 정보인 경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지 않는다.The controller 240 transmit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nd receive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dis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Do not transmit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또한, 제어부(240)는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저장부(230)에 저장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제2 정보가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승인 정보인 경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제2 정보가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불승인 정보인 경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지 않는다. 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the controller 240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230. Can be. In detail, the control unit 240 transmit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when the second information i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and receives the received information when the second information is dis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not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또는 불승인 정보를 각 단말 장치가 관리하지 않고 하나의 서버를 통해 관리할 수 있으므로 위치 정보의 보호, 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ince the terminal device can manage the approval or dis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device through one server,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efficiently protected and managed.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정보의 양도 줄어들게 되어 네트워크 부하 및 트래픽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mount of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is also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network load and traffic cost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먼저, 단말 장치(100)는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S710). 구체적으로, 타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 요청이 서버(200)로 전송되면, 서버(200)로부터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S720).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로부터 승인 명령 또는 불승인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1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전송한다(S730).First,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S710). In detail,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of another terminal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In operation S720, a user command for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received. Specifically, the user may receive an approval command or a disapproval command. When the user command is input, the terminal device 100 generates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and transmits the first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S730).

구체적으로, 제1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730)는, 입력받은 사용자 명령이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명령인 경우 승인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명령이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불승인 명령인 경우 불승인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step S730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first information to the server, if the received user command is an approval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ransmitting the approval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o the server 200, If the user command is a disapproval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he disapproval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To this en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또한, 단말 장치(100)의 위치 이동에 따라 획득된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가 서버로 전송된 위치 정보와 상이한 경우,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o the server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obtai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device 100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erver.

그리고, 서버(200)로부터 타 단말 장치에 의한 위치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사용자 명령에 따라 위치 공유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710)에서 위치 정보 요청은 서버로 전송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될 수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불승인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에는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지 않는다.And, receiving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by the other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er 200, receiving a user command for the received location sharing request, and the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o the server 200 may further include. In operation S710,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may be received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erver. That is, when a user receives a disapproval command for a location sharing request,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not receiv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서버(200)는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S810). 그리고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S820). 이후,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1 정보를 수신하고(S830), 수신한 제1 정보를 저장한다(S840). 이후,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제2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S850), 저장된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S860). 구체적으로, 제1 정보가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정보인 경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제1 정보가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불승인 정보인 경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지 않는다. The server 200 receives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S810). In operation S820,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Thereafter,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approved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S830), and the received first information is stored (S840). Thereafter, when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S850),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stored first information (S860). In detail,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dis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Do not transfer to the device.

한편,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제2 단말 장치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정보 요청을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S820)는 저장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정보가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승인 정보인 경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제2 정보가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불승인 정보인 경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지 않는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second terminal device approves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In operation S820,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may transmi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stored second information. In detail, when the second information i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When the second information is dis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removed. 2 Do not transmit to the terminal devic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1 단말 장치가, 서버로 제2 단말 장cl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S910). 그리고, 서버가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S920). 제2 단말 장치는,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S930). 그리고, 제2 단말 장치는, 입력받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한다(S940). 구체적으로, 제2 단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승인 정보를 전송하고, 불승인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불승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S950), 이후,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시되면(S960), 저장된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S970). 구체적으로, 서버는,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가 승인 정보인 경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불승인 정보인 경우 위치 정보를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지 않는다.First, the first terminal device requests the server for location information on the second terminal long cl (S910). In operation S920, the server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The second terminal device receives a user command for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S930). The second terminal device generates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ccording to the received user command (S940). In detail, the second terminal device may transmit the approval information when the user receives an approval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nd may transmit the disapproval information when the disapproval command is input. The server stores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S950). Then,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S960), whether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approved.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970]. In detail, the server transmit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when the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approval information, and does not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when the information on the disapproval information is disapproved.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서버의 제어 방법은 단말 장치 및 서버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er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executable i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server. Such a program can be stored in various types of recording media and used.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비휘발성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de for carrying out the above-described methods may be stored in a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a ROM (Read Only Memory), an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an 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 a hard disk, And may be stored in various types of nonvolatile recording media such as a USB memory, a CD-ROM, and the like.

또한, 단말 장치 및 서버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럭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장치 및 서버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bus is not shown in the above-described block diagram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between each component in the display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server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bus. Further, each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or such as a CPU, a microprocessor, or the like that performs the various step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 단말 장치 100-1 : 제1 단말 장치
100-2 : 제2 단말 장치 100-3 : 제3 단말 장치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제어부 140 : GPS 신호 수신부
150 : 저장부 160 : 음성 수집부
170 : 출력부 171 : 디스플레이부
172 : 오디오 출력부 180 : 수신부
190 : 신호 처리부 200 : 서버
210 : 제1 통신부 220 : 제2 통신부
230 : 저장부 240 : 제어부
100: terminal device 100-1: first terminal device
100-2: second terminal device 100-3: third terminal device
110: communication unit 120: input unit
130 control unit 140 GPS signal receiving unit
150: storage unit 160: voice collector
170: output unit 171: display unit
172: audio output unit 180: receiver
190: signal processing unit 200: server
210: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storage unit 240: control unit

Claims (18)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제2 단말 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수신된 제1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A first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or a second terminal device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receives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received first information;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stored first informa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불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and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dis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Not transmitting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nd stores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second terminal device approves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불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If the second information i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if the second information is dis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the received location And do not transmit the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서버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타 단말 장치에 의한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1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A terminal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a server,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by another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er;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nd transmit the generated first information to the server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명령인 경우 승인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불승인 명령인 경우 불승인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If the user command is an approval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ransmitting the approval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o the server, and if the user command is a disapproval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disapproval information to the server.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 이동에 따라 획득된 상기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가 상기 서버로 기 전송된 위치 정보와 상이한 경우, 상기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And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obtai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transmitted to the server, transmitt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o the serv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타 단말 장치에 의한 위치 공유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위치 공유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은,
상기 서버로 전송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When receiving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by the other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er,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generates the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and transmits to the serve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nd the terminal device is received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erver.
서버로 제2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단말 장치;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1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A first terminal device for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on a second terminal from a server;
A serve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And a second terminal device for generating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server according to a user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he server comprises:
Receives and stores the first information on the approva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tored first inform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제2 단말 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Receiving a request for location information on a second terminal device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Transmitt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Receiving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Storing the received first information;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stored first inform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불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and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dis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Not transmitting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Storing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second terminal device approves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The transmitting of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may include: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불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transmitting of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may include:
If the second information i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if the second information is disapproval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the received location And do not transmit the inform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서버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타 단말 장치에 의한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1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communicating with a server,
Receiving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by another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er;
Receiving a user command for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nd
And generating,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request for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first information to the serv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1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명령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승인 명령인 경우 승인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불승인 명령인 경우 불승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first information to the server,
If the user command is an approval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ransmit the approval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if the user command is a disapproval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generate and transmit the disapproved information to the server.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 이동에 따라 획득된 상기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가 상기 서버로 기 전송된 위치 정보와 상이한 경우, 상기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ransmitt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o the server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obtai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transmitted to the server. A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타 단말 장치에 의한 위치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위치 공유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위치 공유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은,
상기 서버로 전송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Receiving a location sharing request by the other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er;
Receiving a user command for the received location sharing request; And
Generating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sharing request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cond information to the serve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h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received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erver.
제1 단말 장치가, 서버로 제2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Requesting, by the first terminal devic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server;
Transmitting, by the serve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Receiving, by the second terminal device, a user comman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Generating, by the second terminal device, information on whether to approv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server;
Storing, by the server, information on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is approved;
The serve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whether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s approved.
KR1020120066274A 2012-06-20 2012-06-20 Terminal apparatus, serve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301427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274A KR20130142764A (en) 2012-06-20 2012-06-20 Terminal apparatus, serve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274A KR20130142764A (en) 2012-06-20 2012-06-20 Terminal apparatus, serve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764A true KR20130142764A (en) 2013-12-30

Family

ID=4998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274A KR20130142764A (en) 2012-06-20 2012-06-20 Terminal apparatus, serve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276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5929A1 (en) * 2014-09-05 2016-03-10 ㈜스파코사 Location monitoring system using crowd netw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3164A (en) * 2005-09-21 2007-03-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service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ts system
KR20090028997A (en) * 2007-09-17 2009-03-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and its method using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3164A (en) * 2005-09-21 2007-03-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service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ts system
KR20090028997A (en) * 2007-09-17 2009-03-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and its method using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5929A1 (en) * 2014-09-05 2016-03-10 ㈜스파코사 Location monitoring system using crowd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72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ecurity domains for a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S103755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in portable terminal
KR101982243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849278B2 (en) Mobile device activation
US9749329B2 (en) Network connection managing device, system and method
US8266341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rol method of external device
KR102266194B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output device between multimedia devices to send and receive data
US9121921B2 (en)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and system for dual SIM mobile terminals
US20160337689A1 (en) Decoding apparatus, decoding method, encoding apparatus, and encoding method
CN105517103A (en) Network access method and device based on intelligent terminal device
CN1024847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unctions between devices via a network
US201201589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access point in mobile terminal
EP3016438A1 (en) Termina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assisted connection establishment
US10291967B2 (en) Function upgrade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60019693A (en) Us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137805A (en) Terminal device, content transmission method, content transmission program, and content reproduction system
US20120084564A1 (en) Security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point
KR102246099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Driving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KR20130142764A (en) Terminal apparatus, serve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110963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edia content playback management
CN105376399A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a smart device
Cabarcos et al. Multi-device Single Sign-on for cloud service continuity
US20120314884A1 (en) Portable streaming media device
CN110896567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WIFI
JP2015053535A (en)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84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17

Effective date: 2019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