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057A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057A
KR20130142057A KR1020130011934A KR20130011934A KR20130142057A KR 20130142057 A KR20130142057 A KR 20130142057A KR 1020130011934 A KR1020130011934 A KR 1020130011934A KR 20130011934 A KR20130011934 A KR 20130011934A KR 20130142057 A KR20130142057 A KR 20130142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substrate
pattern
dumm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9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1465B1 (en
Inventor
황성주
김건모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916,550 priority Critical patent/US10090374B2/en
Priority to JP2013124630A priority patent/JP6262450B2/en
Priority to TW102121506A priority patent/TWI600151B/en
Priority to EP13172565.7A priority patent/EP2677542B1/en
Priority to CN201310241731.0A priority patent/CN103515412B/en
Publication of KR20130142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0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4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 first line formed on a substrate, a second line intersecting with the first line, and an electrostatic distribution pattern insulated from and intersecting with the second line. The side of the first line is vertical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Description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본 발명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기(ESD) 유입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prevents damage caused by electrostatic discharge (ESD).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며, 유기 발광 소자의 유기 발광층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생성된 여기자(exciton)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하여 발광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energy generated when an exciton generated by combining electrons and holes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alls from the excited state to the ground state. Emits light.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낱개로 제조될 수도 있으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하나의 모기판 상에 다수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형성한 후, 각각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로 절단하여 제조한다. 이 경우,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패널 검사는 각각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로 절단된 후에 수행하는 경우, 검사의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각각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로 분리하기 이전에 모기판 상에서 원장 단위로 패널 검사가 수행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may be manufactured individually, but a plurality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may be formed on one mother substrate to improve productivity, and then cut into each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this case, the panel inspec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performed after being cut by each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so the efficiency of the inspection is inferior. The inspection is performed.

다만, 원장 단위의 패널 검사 시에 사용된 검사 배선, 이른바 원장 배선은 모기판 절단 이후에도 여전히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남게 되고, 원장 배선을 통해 정전기가 유입되어 내부 소자의 손상이 발생한다.However, the test wiring used for the panel inspection of the ledger unit, so-called ledger wiring, remains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ven after cutting the mother substrate, and static electricity flows through the ledger wiring, causing damage to internal elements.

특히, 각각의 유기발광 표시장치 사이에 더미(dummy) 공간을 두어 모기판 절단 시에 2번 절단하는 공정(2 Step Cutting)을 수행하는 경우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남는 원장 배선의 양이 적었으나, 생산의 효율성을 위해 더미 공간을 없애고 1번 절단하는 공정(1 Step Cutting)에서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남는 원장 배선의 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정전기 유입에 따른 손상이 더 문제시 되고 있다.In particular, when a two-step cutting process is performed in a dummy space betwe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the amount of ledger wiring remaining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small. In order to remove the dummy space and cut onc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the amount of ledger wires remaining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s relatively increased, which causes more damage due to static electricity.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정전기 유입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caused by the inflow of static electricity.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배선, 상기 제1 배선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제2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정전기 분산 패턴을 포함한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strate, a first wiring formed on the substrate, a second wiring insulated from and intersecting the first wiring, and an insulation from the second wiring. And intersect with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호 절연되어 교차하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층에 형성되며, 적어도 일단이 상기 기판의 측벽에 정렬된 더미 배선, 상기 더미 배선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더미 교차 배선, 및 상기 더미 교차 배선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정전기 분산 패턴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 substrate, a gate line and a data line formed on the substrate, and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and are the same as one of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A dummy wiring formed in the layer and having at least one end aligned with the sidewalls of the substrate, a dummy crossing wiring insulated from and intersecting the dummy wiring, and an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insulated from and intersecting the dummy crossing wiring.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배선, 상기 제1 배선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제2 배선, 상기 제2 배선과 절연되어 교차하며,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정전기 분산 패턴, 및 상기 정전기 분산 패턴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반도체 패턴을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 substrate, a first wiring formed on the substrate, a second wiring insulated from and intersecting the first wiring, and an insulation from the second wiring. And intersect with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urve shape, and a semiconductor pattern insulated from and cross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즉, 정전기 유입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due to static electricity inflow can be provided.

또, 모기판 상에 형성된 각각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1번 절단하는 공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정전기 유입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process of cutting each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ormed on the mother substrate onc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due to static electricity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 배치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기판 측벽 정렬배선의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기판 측벽 비정렬 배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2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2의 D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 배치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 배치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영역과 정전기 분산 영역을 비교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other substrat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lanar layou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A in Fig.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substrate sidewall alignment lines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bstrate sidewall misaligned wiring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B of FIG. 2.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C of FIG. 2.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D of FIG. 2.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of FIG. 9.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lanar layou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I-XIII ′ of FIG. 12.
1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lanar layou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XV ′ of FIG. 14.
1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ixel area and an electrostatic dispersion area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elements or layers are referred to as being "on " other elements or layers, including both intervening layers or other elements directly on or in betwee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기판(10)은 복수의 셀(CE)을 포함한다. 각 셀(CE)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 셀(CE)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other substrat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mother substrate 10 includes a plurality of cells CE. Each cell CE may be arranged in a matrix shape. Each cell CE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nd the same size.

각 셀(CE)간 경계에는 커팅 라인(CL)이 정의되어 있고, 커팅 라인(CL)을 따라 잘린 각 셀(CE)들은 하나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로 수확될 수 있다. 모기판(10)의 주변부에는 모기판 구동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모기판 구동부(11)와 인접하는 셀(CE) 사이에도 커팅 라인(CL)이 정의되며, 커팅에 의해 모기판 구동부(11)는 셀(CE)로부터 분리 및 제거될 수 있다.A cutting line CL is defined at a boundary between each cell CE, and each cell CE cut along the cutting line CL may be harvested with on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The mother substrate driver 11 may be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mother substrate 10. The cutting line CL is defined between the mother substrate driver 11 and the adjacent cell CE, and the mother substrate driver 11 may be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cell CE by cutting.

모기판(11) 상에는 복수의 신호 배선(12)들이 형성된다. 신호 배선(12)의 구체적인 예로는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전원 공급 라인, 검사 배선 등을 들 수 있다. 몇몇 신호 배선(12_1)들, 예컨대 게이트 라인이나 데이터 라인들은 복수의 셀(CE)들을 가로지를 수 있다. 다른 몇몇 신호 배선(12_2)들은 특정 셀(CE)을 가로지르지 못하고, 특정 셀(CE)에 그 말단이 위치하거나, 특정 셀(CE) 내로 진입하였다가 꺾여 다시 진입한 방향으로 되돌아 갈 수 있다. A plurality of signal wires 12 are formed on the mother substrate 11. Specific examples of the signal wiring 12 include a gate line, a data line, a power supply line, an inspection wiring, and the like. Some signal wires 12_1, for example, gate lines or data lines, may cross the plurality of cells CE. Some of the other signal lines 12_2 may not cross the specific cell CE, and the terminal may be located at the end of the specific cell CE, or may enter the specific cell CE and be folded back to return to the entered direction.

적어도 일부의 신호 배선(12)들은 모기판 구동부(11)와 연결될 수 있다. 모기판 구동부(11)는 신호 배선(12)이나 그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소자들을 테스트 또는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각종 전기적 신호(전압이나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의 예로서, 검사 신호를 신호 배선(12)에 제공하여 그에 연결된 복수의 셀(CE) 및 그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에 대한 점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검사 신호를 신호 배선에 제공하여 각 셀(CE)이나 화소의 소자들에 대하여 에이징 검사, 누설 전류 검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At least some signal wires 12 may be connected to the mother substrate driver 11. The mother substrate driver 11 may provide various electrical signals (voltage or current) for testing or simulating the signal wire 12 or element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hereto. As an example of the test, a test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signal line 12 to perform lighting inspection on a plurality of cells C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ells CE and the pixels included therein. In addition, the test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signal line to perform an aging test, a leakage current test, or the like for each cell CE or pixel element.

상술한 모기판 구동부(11)의 대안적 실시예 또는 조합 실시예로서, 프로브(probe)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배선 패드부가 모기판(10)의 주변부에 마련될 수 있다. As an alternative or combination embodiment of the mother substrate driver 11 described above, a wiring pad unit capable of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using a probe may be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the mother substrate 10.

모기판 구동부(11)나 특정 셀(CE)에서 이웃하는 다른 셀(CE)로 연장하여 진입 또는 진출한 신호 배선(12)은 모기판(10)이 커팅 라인(CL)을 따라 절단될 때 함께 절단된다. 따라서, 절단된 셀(CE)의 기판(도 2의 '110')의 측벽과 절단된 신호 배선(12)의 단부는 실질적으로 상호 정렬될 것이다. The signal line 12 which enters or exits the mother substrate driver 11 or another cell CE from a specific cell CE is cut together when the mother substrate 10 is cut along the cutting line CL. do. Accordingly, the sidewalls of the substrate 110 (110 in FIG. 2) of the cut cell CE and the ends of the cut signal wire 12 will be substantially aligned with each other.

모기판(110)은 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절단된 셀(CE)에서, 기판(도 2의 '110')의 측벽은 기판(도 2의 '110')의 일면 또는 타면에 대해 수직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절단된 신호 배선(12)의 단부도 기판의 일면 또는 타면에 대해 수직일 수 있다. 더 나아가, 기판(도 2의 '110')의 측벽과 신호 배선(12) 단부의 면은 동일한 평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mother substrate 110 may be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Accordingly, in the cut cell CE, the sidewall of the substrate 110 '110' of FIG. 2 may be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0'110 'of FIG. 2. Similarly, the end of the cut signal wire 12 may also be perpendicular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Furthermore, the sidewalls of the substrate 110 '110' and the surface of the signal wire 12 end may be disposed in the same plan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 배치에 관한 개략도로서, 도 1의 모기판으로부터 커팅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수확된 하나의 셀에 대응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 배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lanar layou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ar layou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to one cell that is cut and cut along a cutting line from the mother substrate of FIG. 1. Shows.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A of FIG. 2.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이 정의된 기판(11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PX)가 배치될 수 있다. 각 화소(PX)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 화소(PX)는 복수의 색상 중 어느 하나를 표상하는 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PX)는 적색 화소, 녹색 화소, 청색 화소 중 하나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화소(PX)에는 백색 화소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2 and 3,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may include a substrate 110 in which a display area DA and a non-display area NDA are defined. A plurality of pixels PX may be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DA. Each pixel PX may be arranged in a matrix shape. Each pixel PX may be a pixel represen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colors. For example, each pixel PX may be one of a red pixel, a green pixel, and a blue pixel. In some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pixels PX may further include white pixels.

일 실시예에서, 각 화소(PX)는 해당하는 색상에 상응하는 색을 발광하는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화소는 적색 유기 발광층을, 녹색 화소는 녹색 유기 발광층을, 청색 화소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 화소(PX)는 백색 발광층을 포함하되, 빛이 방출되는 경로 상에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컬러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each pixel PX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layer that emits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lor. For example, the red pixel may include a red organic emission layer, the green pixel may include a green organic emission layer, and the blue pixel may include a blue organic emission layer. In another embodiment, each pixel PX may include a white light emitting layer, and a red, green, or blue color filter may be installed on a path through which light is emitted.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주변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인 표시 영역(DA)의 이웃하는 2개의 변 외측에 비표시 영역이 형성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지만, 하나의 변 외측에만 비표시 영역이 위치하거나, 3개 또는 4개의 변 외측에 비표시 영역이 위치할 수도 있다. The non-display area NDA may be located at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area DA. In the drawing, a case in which a non-display area is formed outside two neighboring sides of the rectangular display area DA is illustrated, but the non-display area is located only outside one side or non-outside on three or four sides. The display area may be located.

비표시 영역(NDA)에는 구동부(111)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11)는 게이트 구동부(111_1), 데이터 구동부(111_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11)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거나,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구동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칩은 인쇄회로기판이나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외부 기판에 실장된 후, 구동부(111)에 마련된 패드부에 접속할 수도 있다. The driver 111 may be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The driver 111 may include a gate driver 111_1, a data driver 111_2, and the like. The driving unit 111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chip that generates and provides a driving signal or receives and transfers a driving signal. In another embodiment, the driving chip may be mounted on an external substrate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n connected to a pad unit provided in the driving unit 111.

기판(110) 상에는 복수의 배선들이 배치된다. 배선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배선은 단일 도전막으로 이루어지거나, 복수의 도전막이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A plurality of wirings are disposed on the substrate 110. The wiring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Wiring may be made of a single conductive film or a plurality of conductive films may be stacked.

몇몇 배선은 적어도 일단이 기판(110)의 측벽(110s)에 정렬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배선은 본 명세서에서 기판 측벽 정렬배선(AW)으로 지칭된다. 평면도 상 기판 측벽 정렬배선(110s)은 적어도 일단이 기판(110)의 에지(edge)까지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Some wires may be at least one end aligned with the sidewalls 110s of the substrate 110. Such wiring is referred to herein as substrate sidewall alignment wiring (AW). At least one end of the substrate sidewall alignment line 110s extends to an edge of the substrate 110 in plan view.

기판 측벽 정렬배선(AW)은 당초 모기판(도 1의 '10') 상에서는 이웃하는 셀(도 1의 'CE') 또는 모기판 구동부(도 1의 '12') 측으로 연장되었지만, 모기판(도 1의 '10')이 커팅 라인(도 1의 'CL')을 따라 절단됨에 따라 그 단부가 기판(110)의 측벽(110s)에 정렬된 것일 수 있다. The substrate sidewall alignment line AW originally extended to the neighboring cell ('CE' in FIG. 1) or the mother substrate driver ('12' in FIG. 1) on the mother substrate ('10' in FIG. 1), but the mother substrate ( As the '10' of FIG. 1 is cut along the cutting line (“CL” of FIG. 1), an end thereof may be aligned with the sidewall 110s of the substrate 110.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기판 측벽 정렬배선의 단면도들이다. 도 4는 기판 측벽 정렬배선(AW_1)의 단부의 측면(AW_1s)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예각(θ1)으로 경사져 있고, 하단부가 기판(110)의 측벽(110s)에 정렬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5는 기판 측벽 정렬 배선(AW_2)의 단부의 측면(AW_2s)이 기판(110)의 일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어, 기판(110)의 측벽(110s)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경우를 예시한다. 모기판(도 1의 '10')이 커팅 라인(도 1의 'CL')을 따라 절단될 때 배선이 함께 절단될 경우, 도 5와 같이 기판(110)의 일면을 기준으로 배선의 단부의 측면이 이루는 각은 기판(110)의 측벽(110s)이 이루는 각과 동일할 것이다. 더 나아가, 기판(110)의 측벽(110s)과 절단된 기판 측벽 정렬 배선(AW_2) 단부의 측면(AW_2s)은 동일한 평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substrate sidewall alignment lines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side surface AW_1s of the end of the substrate sidewall alignment line AW_1 is at least partially inclined at an acute angle θ1, and the lower end is aligned with the sidewall 110s of the substrate 110. FIG. 5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side surface AW_2s of the end of the substrate sidewall alignment line AW_2 is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idewall 110s of the substrate 110. When the wires are cut together when the mother substrate ('10' of FIG. 1) is cut along the cutting line ('CL' of FIG. 1), as shown in FIG. An angle formed by the side surface may be the same as an angle formed by the sidewall 110s of the substrate 110. Furthermore, the sidewalls 110s of the substrate 110 and the side surfaces AW_2s of the ends of the cut sidewall alignment wiring AW_2 may be disposed in the same plane.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몇몇 배선은 모든 단부가 기판의 측벽에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선은 본 명세서에서 기판 측벽 비정렬 배선(NAW)으로 지칭된다. Referring again to FIGS. 2 and 3, some other wires may not have all ends aligned with the sidewalls of the substrate. Such wiring is referred to herein as substrate sidewall unaligned wiring (NAW).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기판 측벽 비정렬 배선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측벽 비정렬 배선(NAW)은 단부가 기판(110s)의 측벽(110s)으로부터 소정 간격(d1) 이격된다. 기판 측벽 비정렬 배선(NAW) 단부의 측면(NAWs)은 기판(110)의 일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 예컨대 예각의 경사각(θ2)을 가질 수 있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bstrate sidewall misaligned wiring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substrate sidewall unaligned wiring NAW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wall 110s of the substrate 110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1. The side surfaces NAWs of the end portions of the substrate sidewall misalignment wiring NAW may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for example, an inclination angle θ2 of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평면도 상으로 볼 때, 기판 측벽 비정렬 배선(NAW)은 모든 단부가 기판(110)의 에지까지 연장되지 않고, 에지로부터 이격된 형상을 갖는다. In plan view, the substrate sidewall unaligned wiring NAW does not extend to the edge of the substrate 110 at all ends but has a shape spaced apart from the edge.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기판(110) 상에 형성된 몇몇 배선은 실제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어 화소, 화소 내의 전극, 구동칩 등과 같은 다양한 소자에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배선(121)일 수 있다. 다른 몇몇 배선은 모기판에서는 신호가 인가되었지만, 커팅된 후에는 구동 신호나 검사 신호 등의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더미 배선(122)일 수 있다. 더미 배선(122)은 신호 배선으로부터 플로팅된 플로팅 배선일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S. 2 and 3, some wirings formed on the substrate 110 may be signal wirings 121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to various elements such as pixels, electrodes, driving chips, and the like. Can be. Some other wires may be dummy wires 122 where signals are applied from the mother substrate, but signals such as driving signals or test signals are not applied after being cut. The dummy wiring 122 may be a floating wiring floating from the signal wiring.

신호 배선(121)은 게이트 라인(121_1) 및 데이터 라인(121_2)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라인(121_1)은 제1 방향(X1)으로 연장되고, 데이터 라인(121_2)은 제1 방향(X1)과 교차하는 제2 방향(X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X1)과 제2 방향(X2)은 상호 직교할 수 있다. 평면도 상에서 게이트 라인(121_1)과 데이터 라인(121_2)은 상호 교차하지만, 이들은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됨으로써 상호 절연될 수 있다. The signal wire 121 may include a gate line 121_1 and a data line 121_2. The gate line 121_1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1, and the data line 121_2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X2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X1. The first direction X1 and the second direction X2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lthough the gate line 121_1 and the data line 121_2 cross each other on the top view, they may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by being disposed on different layers with an insulating layer therebetween.

이웃하는 게이트 라인(121_1)과 이웃하는 데이터 라인(121_2)이 교차하여 정의되는 영역에는 화소(PX)가 배치될 수 있다. 즉, 게이트 라인(121_1)과 데이터 라인(121_2)은 각각 이웃하는 화소(PX)의 경계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The pixel PX may be disposed in an area defined by the intersection of the neighboring gate line 121_1 and the neighboring data line 121_2. That is, the gate line 121_1 and the data line 121_2 may be arranged along the boundary of the neighboring pixel PX.

게이트 라인(121_1)과 데이터 라인(121_2)은 인접하는 화소(PX)에 대응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라인(121_1)은 화소(PX) 측으로 확장되거나 분지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121_2)은 화소(PX) 측으로 확장되거나 분지된 소스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전극은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The gate line 121_1 and the data line 121_2 may include electrodes corresponding to the adjacent pixels PX. For example, the gate line 121_1 may include a gate electrode extended or branched toward the pixel PX side. The data line 121_2 may include a source electrode extended or branched toward the pixel PX side. These electrodes can form a thin film transistor which is a switching element.

게이트 라인(121_1)과 데이터 라인(121_2)은 각각 기판(110)의 일측변으로부터 타측변까지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라인(121_1)과 데이터 라인(121_2)은 비표시 영역(NDA)에 위치하는 폭이 확대된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ate line 121_1 and the data line 121_2 may be formed to cros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110, respectively. The gate line 121_1 and the data line 121_2 may include pad portions having an enlarged width position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도 7은 도 2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2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FIG. 7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B of FIG. 2.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C of FIG. 2.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게이트 라인(121_1)과 데이터 라인(121_2)은 각각 표시 영역의 선폭(GW1, DW1)에 비해 확대된 폭(GW2, DW2)을 갖는 게이트 패드부(121_1p) 및 데이터 패드부(121_2p)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라인(121_1)과 데이터 라인(121_2)은 게이트 패드부(121_1p) 및 데이터 패드부(121_2p)를 지나 기판(110)의 측벽(110s)까지 연장되어, 그 단부가 기판(110)의 측벽(110s)에 정렬될 수도 있다. 즉, 게이트 라인(121_1)과 데이터 라인(121_2)은 기판 측벽 정렬 배선일 수 있다. 기판(110)의 측벽(110s)에 정렬된 게이트 라인(121_1)과 데이터 라인(121_2)의 단부의 선폭(GW3, DW3)은 표시 영역 내에서의 선폭(GW1, DW1)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게이트 패드부(121_1p)와 데이터 패드부(121_2p)는 생략될 수도 있다.7 and 8, the gate line 121_1 and the data line 121_2 each have a gate pad part 121_1p having an enlarged width GW2 and DW2 compared to the line widths GW1 and DW1 of the display area. The data pad part 121_2p may be included. The gate line 121_1 and the data line 121_2 extend through the gate pad portion 121_1p and the data pad portion 121_2p to the sidewall 110s of the substrate 110, and the end portion thereof may be a sidewall of the substrate 110. 110s). That is, the gate line 121_1 and the data line 121_2 may be substrate sidewall alignment lines. The line widths GW3 and DW3 at the ends of the gate line 121_1 and the data line 121_2 aligned with the sidewalls 110s of the substrate 11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ine widths GW1 and DW1 in the display area.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gate pad part 121_1p and the data pad part 121_2p may be omitted.

이하, 더미 배선 및 그 주변 구조물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2의 D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더미 배선(122)은 일단이 기판(110)의 측벽(110s)에 정렬될 수 있다. 기판(110) 상에 복수의 더미 배선(122)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의 더미 배선(122) 중 적어도 일부는 기판 측벽 정렬 배선(AW)일 수 있다. Hereinafter, the dummy wiring and the surround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D of FIG. 2.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of FIG. 9. 2, 9, and 10, one end of the dummy wire 122 may be aligned with the sidewall 110s of the substrate 110. A plurality of dummy wires 122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10, and in this case,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dummy wires 122 may be substrate sidewall alignment wires AW.

더미 배선(122)은 기판(110)의 측벽(110s)을 시작점으로 하여 기판(11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몇몇 더미 배선(122)은 화소(PX)가 배치된 표시 영역(DA)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더미 배선(122)은 게이트 라인(121_1) 또는 데이터 라인(121_2)과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더미 배선(122)은 게이트 라인(121_1) 또는 데이터 라인(121_2)과 동일한 물질을 이용하여 동일한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dummy wire 122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substrate 110 using the sidewalls 110s of the substrate 110 as a starting point. Some dummy wires 122 may extend to the display area DA where the pixel PX is disposed.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dummy wiring 122 may be formed on the same layer as the gate line 121_1 or the data line 121_2. In this case, the dummy wiring 122 may be made of the same process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gate line 121_1 or the data line 121_2, and may have the same stacked structure.

더미 배선(122)은 더미 교차 배선(124)과 하나 이상의 스폿(SP1)에서 절연되어 교차할 수 있다. 더미 교차 배선(124)은 비표시 영역(NDA)에 위치할 수 있다. 더미 교차 배선(124)은 더미 배선(122)과 상이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더미 교차 배선(124)과 더미 배선(122) 사이에는 절연막(130)이 개재될 수 있다.The dummy wire 122 may be insulated from and intersect the dummy cross wire 124 at one or more spots SP1. The dummy crossover wiring 124 may be locat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The dummy crossover wiring 124 may be formed on a different layer from the dummy wiring 122. An insulating layer 13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dummy crossover wiring 124 and the dummy wiring 122.

더미 교차 배선(124)은 게이트 라인(121_1) 또는 데이터 라인(121_2) 등과 같은 신호 배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미 배선(122)이 게이트 라인(121_1)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경우, 더미 교차 배선(124)은 데이터 라인(121_2)일 수 있다. 반면, 더미 배선(122)이 데이터 라인(121_2)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경우, 더미 교차 배선(124)은 게이트 라인(121_1)일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더미 교차 배선(124)은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다른 더미 배선일 수도 있다. The dummy crossover wiring 124 may be a signal wire such as a gate line 121_1 or a data line 121_2. For example, when the dummy wiring 122 is formed on the same layer as the gate line 121_1, the dummy crossing wiring 124 may be a data line 121_2. On the other hand, when the dummy wiring 122 is formed on the same layer as the data line 121_2, the dummy crossing wiring 124 may be the gate line 121_1. In alternative embodiments, the dummy crossover wiring 124 may be another dummy wiring to which no signal is applied.

더미 교차 배선(124)은 교차되는 더미 배선(122)이 정렬되어 있는 기판(110)의 측벽(110s)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기판(110)의 일 측벽(110s)이 제2 방향(X2)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더미 배선(122)은 그 측벽(110s)을 시작점으로 제2 방향(X2)에 수직한 제1 방향(X1)으로 연장되며, 더미 교차 배선(124)은 제2 방향(X2)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dummy crossover wires 124 may extend along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idewalls 110s of the substrate 110 on which the dummy wires 122 that cross each other are aligned. For example, one sidewall 110s of the substrate 110 is form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X2, and the dummy wire 122 is a first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X2 starting from the sidewall 110s. The dummy cross line 124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X2.

더미 배선(122)의 인근에는 정전기 분산 패턴(126)이 형성될 수 있다. 정전기 분산 패턴(126)은 더미 배선(122)과는 이격되며, 더미 교차 배선(124)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스폿(SP2, SP3)에서 절연되어 교차할 수 있다. 더미 교차 배선(124)과 정전기 분산 패턴(126) 사이에는 절연막(130)이 개재될 수 있다. 기판 측벽 정렬 배선(NAW)으로서의 복수개의 더미 배선(122)이 마련된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정전기 분산 패턴(126)은 각 더미 배선(122)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n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may be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dummy wiring 122. The static electricity dissipation pattern 126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ummy wiring 122, and may cross each other by being insulated from one or more spots SP2 and SP3 with respect to the dummy crossing wiring 124. An insulating layer 13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dummy crossover wiring 124 and the static electricity dissipation pattern 126. When a plurality of dummy wires 122 are provided as the substrate sidewall alignment wires NAW,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ummy wires 122 one-to-one,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정전기 분산 패턴(126)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전기 분산 패턴(126)은 더미 교차 배선(124)이 교차하는 인접한 더미 배선(122)과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고, 더 나아가 더미 배선(122)과 동일한 물질을 이용하여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static electricity dissipation pattern 126 may be formed on the same layer as the adjacent dummy wiring 122 where the dummy cross wiring 124 intersects, or may be formed by the same process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dummy wiring 122. have.

더미 배선(122)과 정전기 분산 패턴(126)은 게이트 라인(121_1)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더미 교차 배선(124)은 데이터 라인(121_2)이거나 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연장 방향을 갖는 신호 배선 또는 더미 배선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더미 배선(122)과 정전기 분산 패턴(126)은 데이터 라인(121_2)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더미 교차 배선(124)은 게이트 라인(121_1)이거나 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연장 방향을 갖는 신호 배선 또는 더미 배선일 수 있다. The dummy wiring 122 and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on the same layer as the gate line 121_1. In this case, the dummy crossover line 124 may be the data line 121_2 or a signal line or a dummy line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extension direc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dummy wiring 122 and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on the same layer as the data line 121_2. In this case, the dummy crossover wiring 124 may be a gate line 121_1 or a signal wire or a dummy wire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extension direction.

적층 구조에 관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판(110) 상에 더미 배선(122)과 정전기 분산 패턴(126)이 형성되고, 이들을 절연막(130)이 덮으며, 절연막(130) 상에 더미 교차 배선(124)이 형성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stacked structure, the dummy wiring 122 and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are formed on the substrate 110, and the insulating film 130 is covered, and the dummy cross wiring is formed on the insulating film 130. 124 may be formed.

정전기 분산 패턴(126)은 기판(110)의 측벽(110s)에 정렬되지 않는 기판 측벽 비정렬 배선(NAW)일 수 있다. 즉, 정전기 분산 패턴(126)은 기판(110)의 측벽(110s)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정전기 분산 패턴(126)은 비표시 영역(ND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정전기 분산 패턴(126)은 다른 신호 배선이나 구동 회로와 이격되어 형성되거나, 신호 배선의 밀도가 낮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may be a substrate sidewall unaligned wiring NAW that is not aligned with the sidewall 110s of the substrate 110. That is,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inward from the sidewall 110s of the substrate 110.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may be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In addition, the static electricity dissipation pattern 126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other signal lines or driving circuits, or may be formed in a region having a low density of signal lines.

정전기 분산 패턴(126)은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정전기 분산 패턴(126)과 더미 교차 배선(124)이 상호 절연되어 교차하는 스폿(SP2, SP3)은 복수개일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교차 스폿(SP2, SP3)의 수는 2개이다.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may be formed in a closed curve shape. In this cas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spots SP2 and SP3 in which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and the dummy crossover wiring 124 cross each other by being insulated from each other. The number of intersection spots SP2 and SP3 illustrated in the figure is two.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정전기 분산 패턴(126)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전기 분산 패턴(126)의 상호 마주 보는 제1 변(126_1) 및 제3 변(126_3)은 더미 교차 배선(124)과 교차하고, 제2 변(126_2)은 더미 교차 배선(124)의 외측에, 제4 변(126_4)은 더미 교차 배선(124)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더미 교차 배선(124)의 외측은 더미 교차 배선(124)을 기준으로 기판의 측벽에 가까운 방향을, 더미 교차 배선(124)의 내측은 더미 교차 배선(124)을 기준으로 기판(110)의 측벽(110s)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다시 말해 기판(110)의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may be rectangular in shape. The first side 126_1 and the third side 126_3 facing each other of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cross the dummy crossover wiring 124, and the second side 126_2 extends outside the dummy crossover wiring 124. The fourth side 126_4 may be located inside the dummy crossover wire 124. Here, the outer side of the dummy crossover wiring 124 is a direction close to the sidewall of the substrate with respect to the dummy crossover wiring 124, and the inside of the dummy crossover wiring 124 has the substrate 110 based on the dummy crossover wiring 124.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idewalls 110s of the substrate 110 may refer to a direction toward a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110.

정전기 분산 패턴(126)은 더미 배선(122)의 연장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경우 제1 변(126_1) 및 제3 변(126_3)이 더미 배선(12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정전기 분산 패턴(126)과 그에 가장 인접한 더미 배선(122) 사이에는 더미 배선(122)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연장 방향을 갖는 다른 배선이 개재되지 않을 수 있다.The static electricity dissipation pattern 126 may include a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he same as a direction in which the dummy wire 122 extends. In FIG. 9, the first side 126_1 and the third side 126_3 extend in substantially the same direction as the dummy wiring 122. Other wires having the same extension direction as that of the dummy wire 122 may not be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and the dummy wire 122 closest thereto.

정전기 분산 패턴(126)은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모서리부의 수는 4개이다. 각 모서리부는 상대적으로 뽀족하게 형성됨으로써, 정전기를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정전기 분산 패턴(126)의 적어도 하나 또는 모든 모서리부의 내각은 직각 또는 예각일 수 있다.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may include at least one corner portion. The number of corner port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 is four. Each corner portion is formed to be relatively pointed, thereby inducing static electricity.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interior angle of at least one or all of the corners of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may be right angle or acute angle.

이하, 상술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의 정전기의 진행 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기판 측벽 정렬 배선(AW)인 더미 배선(122)은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에지까지 연장되어 있고, 그 일단이 기판(110) 측벽(110s)에 정렬되어 있으므로, 더미 배선(122)의 측면은 외부에 직접 노출될 수 있다. Hereinafter, an electrostatic propagation path in the aforemention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2, 9, and 10, the dummy wiring 122, which is the substrate sidewall alignment wiring AW, extends to the edg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and one end thereof is sidewall 110s of the substrate 110. Side), the side surface of the dummy wiring 122 may be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외부는 여러 상황에서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를 테스트하거나, 패키징하는 경우 또는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보관이나 정상적인 사용 중에 외부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다. 외부에서 발생된 정전기는 유기발광 표시장치(100) 내부로 인가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유입되는 최초 시작점은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외부 표면이 될 것이다. 정전기는 도전성 물질을 통해 잘 전달된다. 따라서,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표면 중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면은 정전기 유입의 주된 경로가 될 수 있다.The exterio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may generate static electricity in various situations. For example, external static electricity may be generated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is tested or packaged, or during storage or normal u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outside may be applied in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The initial starting point of the static electricity flowing from the outside will be the outer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100. Static electricity is well transmitted through the conductive material. Therefore, the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which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a main path for the inflow of static electricity.

상술한 것처럼, 기판 측벽 정렬 배선(AW)인 더미 배선(122)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그 측면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서 외부의 정전기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정전기는 더미 배선(122)을 따라 전달될 수 있다. 더미 배선(122)이 표시 영역(DA)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정전기는 표시 영역(DA)까지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표시 영역(DA)에 전달되는 정전기의 양이 많으면, 인접하는 화소(PX)의 소자 또는 신호 배선에 데미지를 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ummy wiring 122, which is the substrate sidewall alignment wiring AW,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ts side surface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external static electricity may flow therethrough. The introduced static electricity may be transferred along the dummy wiring 122. If the dummy wire 122 extends to the display area DA, static electricity may be transferred to the display area DA. If the amount of static electricity transferred to the display area DA is large, damage may occur to elements or signal wires of the adjacent pixels PX.

한편, 더미 배선(122)을 따라 전달되는 정전기의 일부는 교차 배선(124)과의 교차 스폿(SP1)에서 교차 배선(124)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 결과, 더미 배선(122) 연장 방향을 따라 표시 영역(DA) 측으로 유입되는 정전기의 양이 줄어 들게 되어, 화소의 소자 또는 신호 배선의 데미지가 감소할 수 있다. 더미 배선(122)과 교차 배선(124)은 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절연되어 있지만, 이들이 최대로 근접하는 교차 스폿(SP1)에서 더미 배선(122)의 정전기는 인접하는 교차 배선(124)으로 점핑되어 전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ortion of the static electricity transferred along the dummy wiring 122 may be transferred to the cross wiring 124 side at the cross spot SP1 with the cross wiring 124. As a result, the amount of static electricity flowing into the display area DA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ummy wiring 122 decreases, so that damage to the elements of the pixel or the signal wiring can be reduced. Although the dummy wiring 122 and the cross wiring 124 are insulated and not electrically connected, the static electricity of the dummy wiring 122 jumps to the adjacent cross wiring 124 at the cross spot SP1 where they are closest to each other. Can be delivered.

교차 배선(124)으로 점핑된 정전기는 교차 배선(12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전달된다. 교차 배선(124)을 통해 전달되는 정전기가 정전기 분산 패턴(126)과의 교차 스폿(SP2, SP3)에 이르게 되면, 그 일부가 정전기 분산 패턴(126) 측으로 점핑되어 전달될 수 있다. 정전기 분산 패턴(126)에 전달된 정전기는 정전기 분산 패턴(126)의 연장 방향을 따라 분산될 수 있다. 외부에서 유입된 정전기의 일부가 정전기 분산 패턴(126)에 전달됨에 따라, 더미 배선(122)을 통해 표시 영역(DA)으로 전달되는 정전기의 양이 더욱 감소하여 표시 영역(DA)의 데미지가 줄어들 수 있다. 정전기 분산 패턴(126)이 비표시 영역(NDA)에 위치하고, 다른 신호 배선이나 구동 회로와 이격되어 형성되거나, 신호 배선의 밀도가 낮은 영역에 형성되는 경우, 정전기 분산 패턴(126)에 정전기가 전달되더라도 전체적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Static electricity jumped to the cross wiring 124 is transferr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ross wiring 124. When the static electricity transferred through the cross wiring 124 reaches the cross spots SP2 and SP3 with the 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a part of the static electricity may be jumped and transferred to the 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Static electricity transferred to the 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may be distribut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As a portion of the static electricity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s transferred to the 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the amount of static electricity transferred to the display area DA through the dummy wiring 122 is further reduced to reduce damage of the display area DA. Can be. When the static electricity dispersing pattern 126 is position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spaced apart from other signal wirings or driving circuits, or formed in a region with low density of signal wirings, static electricity is transferred to the static electricity dispersing pattern 126. Even so, the influence on the overal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is minimal.

한편, 정전기 분산 패턴(126)에 전달된 정전기는 정전기 분산 패턴(126)의 모서리부에 집중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에너지 집중에 따라 정전기 분산 패턴(126)의 모서리부가 녹거나 타버릴 수 있다. 그러나, 정전기 분산 패턴(126)이 일부 손상되더라도, 그 자체는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표시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데다가, 정전기 분산 패턴(126)의 형성 위치가 상대적으로 타 소자들과 거리가 멀어 다른 소자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오히려, 외부로부터 유입된 강력한 에너지를 표시 품질에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tatic electricity transferred to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may be concentrat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in this case, the edge portion of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may melt or burn out according to energy concentration. However, even if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is partially damaged, it does not affect the display qua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100, and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is relatively far from other elements. Is far away and does not directly affect other devices, so this is not a problem. Rather, it may be evaluated that the energy emitted from the outside was effectively discharged while minimizing the influence on the display quality.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와 동일한 평면 배치를 가지면서 도 10의 실시예 이외의 다양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110) 상에 더미 교차 배선(124)이 형성되고, 이를 절연막(130)이 덮으며, 절연막(130) 상에 더미 배선(122)과 정전기 분산 패턴(126)이 형성된다. 다른 구성은 도 10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llustrates that the same planar arrangement as FIG. 9 may have various stacking structures other than the embodiment of FIG. 10. Referring to FIG. 11,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dummy crossover wiring 124 is formed on a substrate 110, an insulating film 130 is covered, and a dummy wire ( 122 and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are formed. Since other configuration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in the embodiment of FIG. 10,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 배치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1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lanar layou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I-XIII ′ of FIG. 12.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정전기 분산 패턴(126)에 오버랩된 반도체 패턴(140)을 더 포함하는 점이 도 9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 12 and 13,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emiconductor pattern 140 overlapping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9.

반도체 패턴(140)은 정전기 분산 패턴(126)과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반도체 패턴(140)이 더미 교차 배선(124)의 외측에 위치하는 정전기 분산 패턴(126) 제2 변(126_2)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경우를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반도체 패턴(140)이 정전기 분산 패턴(126) 제4 변(126_4), 제1 변(126_1) 또는, 제3 변(126_3)과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다른 변과 교차하는 2개 이상의 반도체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하나의 변을 교차하는 2개 이상의 반도체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예시적으로 열거된 반도체 패턴의 수 및 위치는 더욱 다양하게 조합 가능하다.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may be formed to intersect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is formed to intersect the second side 126_2 of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positioned outside the dummy crossover line 124.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may be formed to intersect the fourth side 126_4, the first side 126_1, or the third side 126_3 of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In addition, two or more semiconductor patterns that cross different sides may be formed. Furthermore, two or more semiconductor patterns crossing one side may be formed. The number and 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patterns exemplarily listed above may be combined in various ways.

반도체 패턴(14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도체 패턴(140)은 제1 변(140_1), 제2 변(140_2), 제3 변(140_3) 및 제4 변(140_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변(140_1), 제2 변(140_2), 제3 변(140_3) 및 제4 변(140_4)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 예시하는 반도체 패턴(140)의 형상은 실질적인 직사각형 형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정전기 분산 패턴(126)을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lin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may include a first side 140_1, a second side 140_2, a third side 140_3, and a fourth side 140_4. Any one of the first side 140_1, the second side 140_2, the third side 140_3, and the fourth side 140_4 may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The shape of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illustrated in the figure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line type crossing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반도체 패턴(140)의 제1 변(140_1)과 제3 변(140_3)은 각각 평행하며, 교차 스폿(SP4, SP5)에서 정전기 분산 패턴(126)의 제2 변(126_2)과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턴(140)의 제2 변(140_2)과 제4 변(140_4)은 각각 평행하며, 교차 배선(124)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반도체 패턴(140)의 제2 변(140_2)과 제4 변(140_4)은 제1 변(140_1)과 제3 변(140_3)으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4개의 돌출 부분은 직사각형 형상의 실질적인 모서리부를 구성하는데, 이와 같은 모서리부는 상대적으로 정전기를 집중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first side 140_1 and the third side 140_3 of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may perpendicularly cross the second side 126_2 of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at the intersection spots SP4 and SP5. Can be. The second side 140_2 and the fourth side 140_4 of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ross wiring 124. The second side 140_2 and the fourth side 140_4 of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may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side 140_1 and the third side 140_3. The four protruding portions constitute a substantial corner portion of a rectangular shape, which may serve to relatively concentrate static electricity.

반도체 패턴(140)은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단결정 실리콘이나,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140)은 화소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을 구성하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may be formed of amorphous silicon, polycrystalline silicon, single crystal silicon, or an oxide semiconductor.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channel region of the thin film transistor provided in the pixel.

더미 배선(122)과 정전기 분산 패턴(126) 사이에는 제1 절연막(130_1)이 개재되고, 반도체 패턴(140)과 정전기 분산 패턴(126) 사이에는 제2 절연막(130_2)이 개재될 수 있다. 제1 절연막(130_1)은 상술한 도 10 및 도 11의 절연막(1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 절연막(130_2)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질화막 또는 이들을 조합 적층한 적층막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절연막(130_2)은 반도체 패턴(140)을 덮을 뿐만 아니라,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판(110)의 전면(whole surface)을 덮을 수 있다. 이 경우, 더미 배선(122)과 정전기 분산 패턴(126)은 제2 절연막(130_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insulating layer 130_1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dummy wiring 122 and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30_2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and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The first insulating film 130_1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sulating film 130 of FIGS. 10 and 11 described above. As the second insulating film 130_2, a silicon oxide film, a silicon nitride film, a silicon oxynitride film, or a laminated film including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applie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30_2 not only covers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cover the whole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In this case, the dummy wiring 122 and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may be form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30_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절연막(130_1)은 화소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 층간 절연막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고, 제2 절연막(130_2)은 화소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insulating film 130_1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hin film transistor interlayer insulating film provided in the pixel,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130_2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gate insulating film of the thin film transistor provided in the pixel. .

본 실시예에서, 더미 패턴(122)을 통해 유입된 외부 정전기가 정전기 분산 패턴(126)까지 전달되는 것은 도 9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더 나아가, 정전기 분산 패턴(126)에서 분산되는 정전기의 일부가 그에 교차하는 반도체 패턴(140)으로 점핑되어 더욱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더미 배선(122)을 통해 표시 영역(DA) 내부로 유입되는 정전기의 양을 효과적으로 분산 및 감소시킬 수 있다. 반도체 패턴(140)이 비표시 영역(NDA)에 위치할 경우, 반도체 패턴(140)에 정전기가 전달되더라도 전체적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반도체 패턴(140)에 에너지가 집중되어 패턴이 타버리는 등 손상되더라도 전체적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미치는 영향이 작을 것임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In this embodiment, the external static electricity introduced through the dummy pattern 122 is transferred to the 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some of the static electricity dispersed in the 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may be further dispersed by jumping to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crossing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Therefore, the amount of static electricity flowing into the display area DA through the dummy wiring 122 can be effectively dispersed and reduced. When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is position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even if static electricity is transferred to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the influence on the overal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minimal.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energy is concentrated in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and the pattern is damaged, the impact on the overal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ll be small.

상술한 반도체 패턴(140)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도전 패턴으로 치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전기 분산 메커니즘이 작용할 것임은 물론이다.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described above may be replaced with a conductive pattern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Of course, in this case, the substantially same static electricity dissipation mechanism will work.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 배치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1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lanar layou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XV ′ of FIG. 14.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반도체 패턴(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 패턴층(150)을 더 포함하는 점이 도 12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 14 and 15,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differs from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12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conductive pattern layer 15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도전 패턴층(150)은 반도체 패턴(140)과 상이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도전 패턴층(150)과 반도체 패턴(14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막이 개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전 패턴층(150)과 반도체 패턴(140) 사이의 절연막은 제1 절연막(130_1)일 수 있다.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50 may be formed on a layer different from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At least one insulating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50 and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insulating film between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50 and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may be the first insulating film 130_1.

도전 패턴층(150)은 더미 교차 배선(124)과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전 패턴층(150)은 더미 교차 배선(124)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50 may be formed on the same layer as the dummy crossover line 124. In addition,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5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dummy crossover line 124.

도전 패턴층(150)은 반도체 패턴(140)의 제2 변(140_2)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된 제1 도전 패턴층(150_1) 및 반도체 패턴(140)의 제4 변(140_4)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된 제2 도전 패턴층(150_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 패턴층(150_1)과 제2 도전 패턴층(150_2)은 상호 물리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50 at least partially overlaps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150_1 and the fourth side 140_4 of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the second side 140_2 of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The overlapped second conductive pattern layer 150_2 may be include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150_1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layer 150_2 may be phys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 도전 패턴층(150_1) 및 제2 도전 패턴층(150_2)은 더미 교차 배선(124)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연장 방향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150_1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layer 150_2 may have an extension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dummy crossover line 124,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도전 패턴층(150)과 반도체 패턴(140)이 오버랩된 영역에는 콘택(151_1, 151_2, 151_3, 151_4)이 형성된다. 도전 패턴층(150)과 반도체 패턴은(140) 콘택(151_1, 151_2, 151_3, 151_4)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콘택(151_1, 151_2, 151_3, 151_4)은 제1 절연막(130_1)과 제2 절연막(130_2)을 관통하는 콘택홀 내에 도전 물질이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콘택(151_1, 151_2, 151_3, 151_4)의 구성 물질은 도전 패턴층(150)의 구성 물질과 동일할 수 있다. Contacts 151_1, 151_2, 151_3, and 151_4 are formed in regions where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50 and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overlap.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50 and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tacts 151_1, 151_2, 151_3, and 151_4. The contacts 151_1, 151_2, 151_3, and 151_4 may be formed by filling conductive materials in contact holes penetrating the first insulating layer 130_1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30_2. The material of the contacts 151_1, 151_2, 151_3, and 151_4 may be the same as the material of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50.

정전기 분산 패턴(126), 반도체 패턴(140), 및 도전 패턴층(150)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and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50 may have a shape of a thin film transistor.

본 실시예의 경우, 더미 패턴(122)을 통해 유입된 외부 정전기가 반도체 패턴(140)까지 전달될 뿐만 아니라, 반도체 패턴(140)에 전달된 정전기의 일부가 콘택(151_1, 151_2, 151_3, 151_4)을 통해 도전 패턴층(150) 측으로 더욱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가 도전 패턴층(150)까지 더욱 분산되어서, 더미 배선(122)을 통해 표시 영역(DA) 내부로 유입되는 정전기의 양을 효과적으로 분산 및 감소시킬 수 있다. 도전 패턴층(150)이 비표시 영역(NDA)에 위치할 경우, 도전 패턴층(150)에 정전기가 전달되더라도 전체적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도전 패턴층(150)에 에너지가 집중되어 도전 패턴층(150)의 양단이 타버리는 등 손상되더라도 전체적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미치는 영향이 작을 것임은 물론이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not only external static electricity introduced through the dummy pattern 122 is transferred to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but also a part of the static electricity transferred to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is contacts 151_1, 151_2, 151_3, and 151_4. Through it may be further transferred to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50 side. Accordingly, the static electricity may be further dispersed to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50, thereby effectively dispersing and reducing the amount of static electricity flowing into the display area DA through the dummy wiring 122. When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50 is position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even if static electricity is transferred to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50, the influence on the overal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minimal. Although energy is concentrated in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50 and both ends of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50 are damaged, the impact on the overal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be small.

도 1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영역과 정전기 분산 영역을 비교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에서는 정전기 분산 영역이 도 1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갖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상술한 다른 다양한 예들로 치환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ixel area and an electrostatic dispersion area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6,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region has the same cross-sectional structure as that of FIG. 15 as an example. However,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region may be replaced with other examples described above.

도 16을 참조하면, 기판(100)의 전면(whole surface)에 버퍼층(112)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12)은 기판(110)으로부터 침투하는 수분 또는 불순물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a buffer layer 112 may be formed on the whole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The buffer layer 112 may prevent diffusion of moisture or impurities penetrating from the substrate 110.

화소 영역(I)의 버퍼층(102) 상에는 반도체층(142)이 형성되고, 정전기 분산 영역(II)의 버퍼층(112) 상에는 반도체 패턴(140)이 형성된다. 반도체층(142)은 게이트 전극(128)과 오버랩된 채널 영역, 채널 영역 양단에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소스/드레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142) 및 반도체 패턴(140)은 예를 들어, 비결정 실리콘층을 결정화한 폴리실리콘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miconductor layer 142 is formed on the buffer layer 102 of the pixel region I, and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is formed on the buffer layer 112 of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region II. The semiconductor layer 142 may include a channel region overlapping the gate electrode 128 and a source / drain region doped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impurities at both ends of the channel region. The semiconductor layer 142 and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polysilicon layer in which an amorphous silicon layer is crystallized.

반도체층(142) 및 반도체 패턴(140) 상에는 제1 절연막(130_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막(130_1)은 게이트 절연막일 수 있다. The first insulating layer 130_1 may be form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142 and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The first insulating layer 130_1 may be a gate insulating layer.

화소 영역(I)에서 제1 절연막(130_1) 상에는 게이트 전극(128)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8)은 반도체층(142)과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정전기 분산 영역(II)의 제1 절연막(130_1) 상에는 정전기 분산 패턴(126), 및 더미 패턴(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정전기 분산 패턴(126)은 일부가 반도체 패턴(140)과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8), 정전기 분산 패턴(126) 및 더미 패턴(122)은 각각 동일한 층에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ixel region I, the gate electrode 128 may be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30_1. The gate electrode 128 may be formed to overlap the semiconductor layer 142. In addition, an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and a dummy pattern 122 may be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30_1 of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region II.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may be formed so that a portion thereof overlaps with the semiconductor pattern 140. The gate electrode 128,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and the dummy pattern 122 may be formed on the same layer, respectively, and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게이트 전극(128), 정전기 분산 패턴(126) 및 더미 패턴(122) 상에는 제2 절연막(130_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막(130_2)은 층간 절연막일 수 있다.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30_2 may be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128,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26, and the dummy pattern 122.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30_2 may be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화소 영역(I)의 제2 절연막(130_2) 상에는 소스 전극(154_1) 및 드레인 전극(154_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정전기 분산 영역(II)의 제2 절연막(130_2) 상에는 제1 도전 패턴층(150_1) 및 제2 도전 패턴층(150_2)이 형성될 수 있다. 소스 전극(154_1) 및 드레인 전극(154_2)은 제2 절연막(130_2) 및 제1 절연막(130_1)을 관통하는 콘택홀(155_1, 155_2)을 통해 하부의 반도체층(142)과 연결되고, 제1 도전 패턴층(150_1) 및 제2 도전 패턴층(150_2)은 콘택홀(151_1, 151_3)을 통해 하부의 반도체 패턴(140)과 연결될 수 있다. The source electrode 154_1 and the drain electrode 154_2 may be form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30_2 of the pixel region I. In addition, a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150_1 and a second conductive pattern layer 150_2 may be form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30_2 of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region II. The source electrode 154_1 and the drain electrode 154_2 are connected to the lower semiconductor layer 142 through the contact holes 155_1 and 155_2 penetrating the second insulating film 130_2 and the first insulating film 130_1.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150_1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layer 150_2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emiconductor pattern 140 through the contact holes 151_1 and 151_3.

소스 전극(154_1) 및 드레인 전극(154_2), 제1 도전 패턴층(150_1) 및 제2 도전 패턴층(150_2)은 각각 각각 동일한 층에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ource electrode 154_1 and the drain electrode 154_2,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150_1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layer 150_2 may be formed on the same layer, respectively, and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소스 전극(154_1) 및 드레인 전극(154_2), 제1 도전 패턴층(150_1) 및 제2 도전 패턴층(150_2) 상에는 평탄화막(160)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lanarization layer 160 may be formed on the source electrode 154_1 and the drain electrode 154_2,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layer 150_1,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layer 150_2.

화소 영역(I)의 평탄화막(160) 상에는 화소 전극인 제1 전극(170)이 형성된다. 제1 전극(170)은 평탄화막(160)에 구비된 콘택홀(162)을 통해 드레인 전극(154_2)과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170, which is a pixel electrode, is form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160 of the pixel region I. The first electrode 170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54_2 through the contact hole 162 provided in the planarization layer 160.

제1 전극(170) 상에는 화소 정의막(180)이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80)은 제1 전극(170)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화소 정의막(180)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170) 상에는 유기 발광층(185)이 위치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185) 상에는 공통 전극인 제2 전극(19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90)의 정전기 분산 영역(II)에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pixel defining layer 180 may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70. The pixel defining layer 180 may expose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70. The organic emission layer 185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170 exposed by the pixel defining layer 180. The second electrode 190, which is a common electrode, may be formed on the organic emission layer 185. The second electrode 190 may extend to the static dispersion region II of the second electrode 190.

상술한 제1 전극(170)은 애노드 전극이고, 제2 전극(190)은 캐소드 전극일 수 있으며, 반대로 제1 전극(170)이 캐소드 전극이고, 제2 전극(190)이 애노드 전극일 수도 있다. The first electrode 170 described above may be an anod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90 may be a cathode electrode. In contrast, the first electrode 170 may be a cathod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90 may be an anode electrode. .

전면 발광형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경우, 제1 전극(170)은 반사형 도전막으로 형성되고, 제2 전극(190)은 투과형 도전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배면 발광형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경우, 제1 전극(170)은 투과형 도전막으로 형성되고, 제2 전극(190)은 반사형 도전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OLED display, the first electrode 170 may be formed of a reflective conductive film, and the second electrode 190 may be formed of a transmissive conductive film. On the other hand, in the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first electrode 170 may be formed of a transmissive conductive film, and the second electrode 190 may be formed of a reflective conductive film.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유기발광 표시장치 110: 기판
122: 더미 배선 124: 더미 교차 배선
126: 정전기 분산 패턴 140: 반도체 패턴
150: 도전 패턴층
10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10: substrate
122: dummy wiring 124: dummy cross wiring
126: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140: semiconductor pattern
150: conductive pattern layer

Claims (33)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배선;
상기 제1 배선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제2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정전기 분산 패턴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Board;
First wiring formed on the substrate;
A second wiring insulated from and intersecting the first wiring; And
And an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insulated from and intersecting the second wir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은 적어도 일단이 상기 기판의 측벽에 정렬된 기판 측벽 정렬 배선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wiring is a substrate sidewall alignment wiring having at least one end aligned with the sidewall of the substrat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의 일단의 측면은 상기 기판의 측벽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ide of one end of the first wiring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side wall of the substrat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의 일단의 측면은 상기 기판의 일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ide of one end of the first wiring is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은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더미 배선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wiring is a dummy wiring to which a driving signal is not applied.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의 일단과 상기 기판의 측벽은 동일한 절단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2,
One end of the first wiring and the sidewall of the substrate are formed by the same cutting proces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정전기 분산 패턴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bstrate includes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wherein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is positioned in the non-display are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분산 패턴은 상기 기판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기판의 측벽과 정렬되지 않는 기판 측벽 비정렬 배선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walls of the substrate and is not aligned with the sidewalls of the substra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과 상기 정전기 분산 패턴은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wiring and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are formed on the same lay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분산 패턴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선과 복수의 스폿에서 교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has a rectangular shape and crosses the second wiring at a plurality of spo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분산 패턴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반도체 패턴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miconductor pattern insulated from and cross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패턴은 제1 변, 제2 변, 제3 변, 및 제4 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4 변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다른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miconductor pattern may include a first side, a second side, a third side, and a fourth side,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sides is connected to at least the other.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의 측벽에 가까운 방향인 제2 배선의 외측에서 상기 정전기 분산 패턴과 상기 반도체 패턴이 교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and the semiconductor pattern cross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wiring in a direction close to the sidewall of the substrate with respect to the second wiring.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패턴과 연결된 도전 패턴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nductive pattern layer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pattern.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턴층은 상기 반도체 패턴과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절연막에 형성된 콘택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is formed with the semiconductor pattern and the insulat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tact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턴층은 상기 제2 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is formed on the same layer as the second wiring.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분산 패턴, 상기 절연막, 상기 반도체 패턴 및 상기 도전 패턴층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the insulating film, the semiconductor pattern, and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constitute a thin film transistor.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호 절연되어 교차하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층에 형성되며, 적어도 일단이 상기 기판의 측벽에 정렬된 더미 배선;
상기 더미 배선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더미 교차 배선; 및
상기 더미 교차 배선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정전기 분산 패턴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Board;
Gate lines and data lines formed on the substrate and insulated from and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 dummy wiring formed on the same layer as any one of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and at least one end of which is aligned with a sidewall of the substrate;
A dummy crossover wiring that is insulated from and crosses the dummy wire; And
And an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insulated from and intersecting the dummy crossover wiring.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의 일단의 측면은 상기 기판의 측벽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ide of one end of the dummy wiring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side wall of the substrate.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의 일단의 측면은 상기 기판의 일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side of one end of the dummy wiring is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의 일단과 상기 기판의 측벽은 동일한 절단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One end of the dummy wiring and the sidewall of the substrate are formed by the same cutting process.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분산 패턴은 상기 기판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기판의 측벽과 정렬되지 않는 기판 측벽 비정렬 배선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walls of the substrate and is not aligned with the sidewalls of the substrate.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과 상기 정전기 분산 패턴은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the dummy wiring and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are formed on the same layer.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교차 배선은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중 다른 하나와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the dummy crossover line is formed on the same layer as the other one of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분산 패턴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반도체 패턴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a semiconductor pattern insulated from and cross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패턴과 연결된 도전 패턴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nductive pattern layer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pattern.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턴층은 상기 반도체 패턴과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절연막에 형성된 콘택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is formed with the semiconductor pattern and the insulat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tact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턴층은 상기 더미 교차 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is formed on the same layer as the dummy crossover line.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분산 패턴, 상기 절연막, 상기 반도체 패턴 및 상기 도전 패턴층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And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the insulating film, the semiconductor pattern, and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constitute a thin film transistor.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배선;
상기 제1 배선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제2 배선;
상기 제2 배선과 절연되어 교차하며,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정전기 분산 패턴; 및
상기 정전기 분산 패턴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Board;
First wiring formed on the substrate;
A second wiring insulated from and intersecting the first wiring;
An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insulated from and intersecting with the second wiring and formed in a closed curve shape; And
And a semiconductor pattern insulated from and cross the electrostatic dispersion pattern.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패턴과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며, 콘택을 통해 상기 반도체 패턴과 연결된 도전 패턴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31. The method of claim 30,
And a conductive pattern layer formed with the semiconductor pattern and the insulating layer therebetween and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pattern through a contact.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턴층은 상기 더미 교차 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The conductive pattern layer is formed on the same layer as the dummy crossover line.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은 적어도 일단이 상기 기판의 측벽에 정렬된 기판 측벽 정렬 배선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31. The method of claim 30,
And the first wiring is a substrate sidewall alignment wiring having at least one end aligned with the sidewall of the substrate.
KR1020130011934A 2012-06-18 2013-02-01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0514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16,550 US10090374B2 (en) 2012-06-18 2013-06-12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JP2013124630A JP6262450B2 (en) 2012-06-18 2013-06-13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TW102121506A TWI600151B (en) 2012-06-18 2013-06-18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EP13172565.7A EP2677542B1 (en) 2012-06-18 2013-06-18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CN201310241731.0A CN103515412B (en) 2012-06-18 2013-06-18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057 2012-06-18
KR20120065057 2012-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057A true KR20130142057A (en) 2013-12-27
KR102051465B1 KR102051465B1 (en) 2019-12-05

Family

ID=49985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934A KR102051465B1 (en) 2012-06-18 2013-02-01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62450B2 (en)
KR (1) KR102051465B1 (en)
TW (1) TWI600151B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587A (en) * 2015-07-08 2017-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170026969A (en) * 2015-08-31 2017-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170047463A (en) * 2015-10-22 2017-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static protection storage patter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53836B (en) 2014-05-07 2016-10-1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Display device
KR102331171B1 (en) * 2014-08-01 2021-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1939A (en) * 1993-12-07 1995-06-23 Sony Corp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KR19990066081A (en) * 1998-01-21 1999-08-16 윤종용 Wiring structure including electrostatic protection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000000878A (en) * 1998-06-05 2000-01-15 윤종용 Lcd
KR20080041384A (en) * 2006-11-07 2008-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039811A (en) * 2008-10-08 2010-04-1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Display device
KR20110049341A (en) * 2009-11-05 2011-05-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substrate for being applied in the same
KR20110054725A (en) * 2009-11-18 2011-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10064583A (en) * 2009-12-08 2011-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Gate in panel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0098A (en) * 1994-02-18 1995-08-29 Sanyo Electric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586049B2 (en) * 1996-05-07 2004-11-1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LCD panel
JP2002026333A (en) * 2000-07-11 2002-01-25 Nec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active matrix board
TWI229440B (en) * 2003-10-09 2005-03-11 Au Optronics Corp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structure
JP4306654B2 (en) * 2005-07-26 2009-08-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Transistor array panel
US8139174B2 (en) * 2006-01-10 2012-03-20 Chimei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images involving display pixels and non-display pixels
KR101238005B1 (en) * 2006-05-17 2013-03-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076362B2 (en) * 2006-09-22 2015-07-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motherboard for the same
KR100947448B1 (en) * 2008-06-11 2010-03-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abricating Method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1939A (en) * 1993-12-07 1995-06-23 Sony Corp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KR19990066081A (en) * 1998-01-21 1999-08-16 윤종용 Wiring structure including electrostatic protection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000000878A (en) * 1998-06-05 2000-01-15 윤종용 Lcd
KR20080041384A (en) * 2006-11-07 2008-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039811A (en) * 2008-10-08 2010-04-1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Display device
KR20110049341A (en) * 2009-11-05 2011-05-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substrate for being applied in the same
KR20110054725A (en) * 2009-11-18 2011-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10064583A (en) * 2009-12-08 2011-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Gate in panel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587A (en) * 2015-07-08 2017-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170026969A (en) * 2015-08-31 2017-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170047463A (en) * 2015-10-22 2017-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static protection storage patter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0151B (en) 2017-09-21
TW201405801A (en) 2014-02-01
KR102051465B1 (en) 2019-12-05
JP2014002381A (en) 2014-01-09
JP6262450B2 (en)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8422B1 (en) Large Area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978672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60806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13636A (e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5146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886346B2 (en)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93688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1361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588659B1 (en) Display device
CN103633112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60047133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P2677542B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KR20190012970A (en)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aratus and multi screen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884463B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21769A (en) Display device
WO2024032210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2016000868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60032405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03875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7008101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repairing the same
CN215955282U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thereof
KR20110003723A (en) Array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WO2023108726A1 (en) Display panel and mobile terminal
CN114171552A (en) Displ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WO2024000292A1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