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746A -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746A
KR20130139746A KR1020127027913A KR20127027913A KR20130139746A KR 20130139746 A KR20130139746 A KR 20130139746A KR 1020127027913 A KR1020127027913 A KR 1020127027913A KR 20127027913 A KR20127027913 A KR 20127027913A KR 20130139746 A KR20130139746 A KR 20130139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user
face
use stat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7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야스오 마사끼
세이 고노
Original Assignee
푸나이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나이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푸나이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9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7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0)와, 표시부가 표면에 설치되는 케이스(20)와, 케이스의 기울기를 검지함으로써 케이스 및 표시부의 적어도 사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상태 검출 센서(53)와, 유저의 얼굴을 촬상 가능한 촬상부(11)와,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유저의 얼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얼굴 방향의 검출을 행함과 함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와,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51)를 구비하고 있다.Provided is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a screen in an appropriate display direction even when a user's face direction cannot be detected.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s a state for detecting at least a use state of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by detecting the display unit 10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e case 20 provided with the display unit on the surface, and the inclination of the case. The face direction is detected by the face detection function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sensor 53, the imaging section 11 capable of imaging the user's face, and the data of the user's face captured by the imaging section. And a control unit 51 for controlling to switch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detection resul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Description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부와 표시부가 설치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having a display unit and a case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종래, 표시부와 표시부가 설치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3081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having a display portion and a case in which the display portion is provided is known. Such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is disclosed, for example,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130816.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30816호 공보에는, 텔레비전 방송 영상(화면 표시)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가 표면에 설치되는 휴대 전화기 본체(케이스)와, 유저의 얼굴을 촬상 가능한 카메라(촬상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30816호 공보에 의한 휴대 전화기는, 유저가 휴대 전화기 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표시부에 의해 텔레비전 방송 영상의 시청을 개시한 경우에, 카메라에 의해 유저의 얼굴을 촬상하고, 촬상된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으로 텔레비전 방송 영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130816 disclos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television broadcast image (screen display), a mobile phone body (case)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on the surface, and a camera (imaging unit) capable of capturing a user's face. A mobile phon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provided with is disclosed.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130816 discloses a user's face photographed by a camera when the user starts viewing the television broadcast image by the display unit while the user holds the mobile phone main body. The display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a television broadcast video in a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ace direction of the captured user.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30816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9-130816

그러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30816호 공보에 의한 휴대 전화기(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에서는, 카메라의 촬상 범위에 유저가 없는 경우 등, 카메라에 의해 유저의 얼굴을 촬상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30816호 공보에 의한 휴대 전화기에서는,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텔레비전 방송 영상(화면 표시)을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서 표시부에 표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a mobile phon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according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130816, when a user's face cannot be imaged by a camera, such as when there is no user in the imaging range of the camera, the user Face direction cannot be detected. For this reason, in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130816, when the user's face direction cannot be detected, the television broadcast video (screen display) is used as an appropriate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face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play cannot be display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a screen in an appropriate display direction even when a user's face direction cannot be detected. To provide.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따른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가 표면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기울기를 검지함으로써 케이스 및 표시부의 적어도 사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상태 검출 센서와, 유저의 얼굴을 촬상 가능한 촬상부와,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유저의 얼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얼굴 방향의 검출을 행함과 함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와,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 case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on a surface, and a stat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t least a use state of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by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case. And an image capturing unit capable of capturing a user's face, and a face direction detection by a face detection function based on data of the user's fac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switch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따른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검출되는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와,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검출되는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만 기초하여 표시부의 화상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와는 달리,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도, 케이스의 기울기를 검지하는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케이스가 어떤 상태(자세)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도,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태(자세)에 기초하여,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display of the display unit is perform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user's face direction detected by the face detection function and the detection resul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By changing the directions, unlike the case where the image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based only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detected by the face detection function,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cannot be detected. Even if it is, the state detection sensor which detects the inclination of a case can detect what state (posture) a case is. Thus, even when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cannot be detected, the screen can be displayed in an appropriate display direction based on the state (posture)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상기 하나의 국면에 따른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케이스 및 표시부의 사용 상태를 검출한 후에,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촬상부에 의한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을 행할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촬상부의 기동에 앞서,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케이스 및 표시부의 사용 상태를 검출하고,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서 촬상부를 기동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촬상부에 의한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을 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촬상부를 불필요하게 기동하는 동작 처리를 행하는 일이 없으므로,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시키는 동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In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according to the one aspect, preferably, after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use state of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It is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for determining whether to detect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With such a configuration, prior to the start of the imaging unit, the state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use state of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imaging unit needs to be activ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resul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Thereby, when it is not necessary to detect the direction of a user's face by the imaging unit,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n operation process for unnecessarily starting the imaging unit, so that the operation of displaying the screen in the proper display direc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

상기 하나의 국면에 따른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소정의 사용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는,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사용 상태보다도,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를 우선시켜서,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화면 표시 방향과,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기울기에 기초하는 화면 표시 방향이 다른 경우가 발생하기 쉬운 소정의 사용 상태인 경우에,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를 우선시킴으로써, 보다 실제의 사용 양태에 맞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서 표시시킬 수 있다.In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according to one of the above aspects, preferably, when the predetermined use state is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the control unit has a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rather than the use state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It is comprised so that a detection result may be given priority and it switches to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of a face of a user.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user's face direction and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based on the inclination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are in a predetermined use state that is likely to be different, By giving priority to the detection result, it can display as a screen display direction more suited to actual usage.

상기 소정의 사용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 전환하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사용 상태는,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이며, 제어부는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사용 상태보다도,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를 우선시켜서,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드러누워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기울기에 기초하는 검출 결과에서는 유저가 화면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판별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하는 상태인 경우에는 유저의 얼굴 방향을 우선적으로 검출함과 함께,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보다 실제의 사용 양태에 맞는 적절한 화면 표시 방향으로서 표시시킬 수 있다.In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which switches to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when the predetermined use state is detected, Preferably, the predetermined use state is a use state in which the case is held by hand and used. When the use state of gripping and using the case by hand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gives priority to the detection result in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over the use state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and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switch to a display direction. In such a configuration,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how the user is viewing the screen in the detection result based on the inclination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in the case of using the case lying down while holding the case by hand. In the case of holding by the hand,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is preferentially detected and the screen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can be switched to display as a suitable screen display direction that is more suitable for the actual usage. have.

상기 소정의 사용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 전환하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유저의 얼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의 얼굴 방향이 표시부의 상하 방향을 따른 기준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 이내에서 경사져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유지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저의 얼굴 방향이 표시부의 상하 방향으로 완전히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 엄격하게 반응해서 화면 표시 방향이 빈번하게 전환되는 것과 같은 상황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빈번한 표시 화면의 전환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만큼, 유저에 의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which switches to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when the predetermined use state is detected, Preferably, the control unit is based on data of the face of the user picked up by the imag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face direction is inclin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control is performed to hold the display unit without changing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In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void a situation in which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is frequently switched in strict response to the state in which the user's face direction does not coincide completel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so that frequent display screen switching operations are performed. As a result, the operability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by the user can be improved.

상기 유저의 얼굴 방향이 기준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 이내에서 경사져 있는 경우에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유지하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각도 범위는 유저의 얼굴 방향이 기준선에 대해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각각 대략 동일하게 기울여진 각도 범위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저의 얼굴 방향이 기준선에 대해 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도, 대략 마찬가지 감도로 화면 표시 방향의 전환의 가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얼굴 방향의 경사 방향에 의존하지 않고,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조작성을 균일화시킬 수 있다.In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which is maintained without changing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is inclin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is preferably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Angle ranges tilted approximately equal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line. With such a configuration, even if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is inclined in any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is switched with almost the same sensitivity. Therefore, the operability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an be made uniform without depending on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face direction.

이 경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촬상부는, 기준선을 따른 표시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촬상부에 의한 유저의 얼굴 방향의 특정을, 표시부의 상하 방향을 따른 기준선을 중심으로 해서 행할 수 있으므로,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경사 방향을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preferably, the imaging section is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section along the reference line. In such a configuration, the user's face direction can be specified by the imaging unit centered on the reference lin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user's face direction can be detected with high accuracy.

상기 소정의 사용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 전환하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가 아닌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가 손에 의해 파지되어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케이스가 재치면 등에 고정적으로 재치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케이스가 재치면 등에 고정적으로 재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시부의 방향과 그 표시부를 유저가 보는 경우의 유저의 얼굴 방향은 일정한 관계에 있음과 함께,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유저의 얼굴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경우에는 얼굴 검출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상태 검출 센서의 검출 결과를 이용해서,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which switches to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when the predetermined use state is detected, Preferably, the control unit uses the case by hand holding the case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When it is detected that it is not a state, it is comprised so that control of switching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a display part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a state detection sensor. In this way,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ase is not held by the h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case is fixedly placed on a mounting surface or the like. When the case is fixedly placed on a mounting surface or the like,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por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when the user views the display portion are in a constant relationship, and the face of the user is higher than the case where the case is held and used by hand. In this case, the screen cannot be detected in an appropriate display direction by performing a control to switch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tate detection sensor without using the face detection function in this case. I can display it.

이 경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가 아닌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촬상부를 기동하지 않고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촬상부를 불필요하게 기동하는 동작 처리를 행하는 일이 없으므로,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시키는 동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촬상부가 기동되지 않는 만큼,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In this case, preferably, when it is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that the case is not in the use state in which the case is held by hand, the control unit does not start the imaging unit, an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It is comprised so that control to switch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a display part may be performed. In such a configuration, the operation processing to start the imaging unit unnecessarily is not performed, so that the operation of displaying the screen in the proper display direc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In additi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an be reduced as long as the imaging unit is not activated.

상기 소정의 사용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 전환하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태 검출 센서는, 케이스의 기울기를 검지함으로써, 케이스 및 표시부를 재치면에 세워서 사용하는 제1 사용 상태와, 케이스 및 표시부를 재치면에 눕혀서 사용하는 제2 사용 상태와, 소정의 사용 상태로서의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제3 사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사용 상태인지를 검출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고, 제어부는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적어도 제3 사용 상태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를 우선시켜서,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 전환함과 함께,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제1 사용 상태 또는 제2 사용 상태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케이스가 재치면에 재치되어 있는 제1 사용 상태 및 제2 사용 상태인 경우에는,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제3 사용 상태인 경우에는,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유저의 얼굴 방향과 합치한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which switches to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when the predetermined state of use is detected, Preferably, the state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case to detect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Use of any one of the first use state to stand on the mounting surface, the second use state to use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lying on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third use state to hold the case as a predetermined use state by hand. It is provided in order to detect whether it is a state, and a control part gives priority to the detection result of a user's face direction, when a state detection sensor detects that it is at least a 3rd use state, and displays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user's face direction. When switching to, and when it is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that the first use state or the second use stat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a detection sensor, it is comprised so that control to switch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a display part may be performed.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case is in the first use state and the second use state placed on the mounting surface, the screen can be displayed in an appropriate display direction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In the third use state in which the case is gripped by hand, the screen can be displayed in an appropriate display direction that matches the user's face direction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user's face direction.

상기 소정의 사용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 전환하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태 검출 센서는, 소정의 사용 상태에 더하여, 적어도 표시부가 재치면에 대향하도록 엎어 놓은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는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케이스가 유저에 의해 파지된 소정의 사용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되고, 또한 표시부가 재치면에 대향하도록 엎어 놓은 상태의 기울기가 검출된 경우에, 얼굴 검출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함과 함께,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유저에 의해 케이스가 파지된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검출되고, 또한 표시부가 재치면에 대향하도록 엎어 놓은 상태의 기울기가 검출된 경우에,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하지 않고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화면 표시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케이스가 유저에 의해 파지된 소정의 사용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되고, 또한 표시부가 재치면에 대향하도록 엎어 놓은 상태의 기울기가 검출된 경우에는, 유저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되므로, 이 경우에는,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함으로써,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표시부가 재치면에 대향하도록 엎어 놓은 상태의 기울기라고 검출된 경우라도, 케이스가 유저에 의해 파지되어 있다고 검출된 경우에는, 유저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고(예를 들면, 반듯하게 누워서 위를 향해 표시부를 보고 있다고) 생각되므로, 이 경우에는,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유저의 얼굴 방향과 합치한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which switches to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when the predetermined use state is detected, Preferably, the state detection sensor has at least the display unit again in addition to the predetermined use state. 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state lying up to face the tooth surface, the control unit is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that the case is not a predetermined use state held by the user, and the inclina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display is upside down facing the mounting surface Is detected, the system enters the standby mode without using the face detection function and detects that the predetermined state of use of the case is held by the user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and the display unit faces up to the mounting surface. When the tilt of the released state is detected,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does not enter standby mode. It is comprised so that control to display the screen display based on a detection result will be performed.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state detection sensor detects that the case is not in a predetermined use state held by the user, and when the display unit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upside down to face the mounting surface, the user displays the portable information. Since it is considered that the terminal is not used, the power saving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an be achieved by shifting to the standby mode. On the other hand, eve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isplay part is held by the user, eve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isplay part is inclined to face the mounting surface, the user is using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screen can be displayed in an appropriate display direction consistent with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하지 않고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화면 표시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할 때,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케이스 및 표시부의 사용 상태를 검출하는 기능을 유지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저에 의해 케이스가 파지된 상태에 있어서, 촬상부에 의해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이 불가능할 것 같은 상황 하에서도, 검출 기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 검출 센서를 이용해서 즉시 케이스 및 표시부의 사용 상태(자세)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시키는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preferably, the control unit notifies the use state of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when performing the control to display the screen display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user's face direction without shifting to the standby mode. It is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to hold the function to detect.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case is held by the user,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can be immediately used by using the state detection sensor in which the detection function is maintained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imaging unit cannot detect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Since the use state (posture) of can be detected, the operation of displaying the screen in the proper display direction can be reliably performed.

상기 소정의 사용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 전환하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태 검출 센서는, 케이스의 기울기를 검지함으로써, 적어도 케이스 및 표시부를 재치면에 세워서 사용하는 제1 사용 상태와, 케이스 및 표시부를 재치면에 눕혀서 사용하는 제2 사용 상태와, 소정의 사용 상태로서의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제3 사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사용 상태인지를 검출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는 제1 사용 상태에서의 제1 기울기와, 제2 사용 상태에서의 제2 기울기가, 서로 다른 기울기가 되도록 재치면에 설치 가능한 외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케이스의 외형 형상에 기초하여, 제1 사용 상태와 제2 사용 상태의 다른 기울기로 케이스를 재치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사용 상태와 제2 사용 상태를 용이하게 판별해서 특정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사용 상태 및 제2 사용 상태에 대응한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which switches to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when the predetermined state of use is detected, preferably, the state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case, at least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Any one of the first use state to stand up on the mounting surface, the second use state to use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lying on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third use state to hold the case as a predetermined use state by hand. It is provided in order to detect whether it is a use state, and a case is comprised so that the 1st inclination in a 1st use state and the 2nd inclination in a 2nd use state may have an external shape which can be installed in a mounting surface so that i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In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case can be installed on the mounting surface at different inclinations of the first use state and the second use state based on the outer shape of the case, the first use state is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use state can be easily identified and specified, and the screen can be displayed in an appropriate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 state and the second use state.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케이스는, 제1 기울기와 제2 기울기가, 상대적으로 90도 이상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는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취득되는 케이스의 외형 형상에 기초하는 제1 사용 상태와 제2 사용 상태의 90도 이상 다른 케이스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제1 사용 상태와 제2 사용 상태를 판별해서 특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케이스의 외형 형상에 기초하는 90도 이상의 기울기의 차이에 따라, 제1 사용 상태와 제2 사용 상태를 확실하게 판별해서 검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preferably, the cas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inclination and the second inclination are relatively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90 degrees or more, and the control unit uses the first use based on the outer shape of the case acquir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The first use state and the second use state can be determined and specified on the basis of the inclinations of the cases different from the state and the second use state by 90 degrees or more.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first use state and the second use state can be reliably discriminated and detect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inclination of 90 degrees or more based on the outer shape of the case.

상기 하나의 국면에 따른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가 검출되었을 때에,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유저의 얼굴 데이터로부터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금회 검출된 기울기 값이 전회에 검출된 기울기 값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 들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저가 케이스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금회 검출된 기울기 값이 전회에 검출된 기울기 값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 들어 있는 경우에는, 전회에 기울기 값이 검출되었을 때의 기울기로부터 기울기가 크게 변화하고 있지 않으므로, 유저와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크게 변화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유지함으로써, 유저의 얼굴 방향과 합치한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according to the one aspect, preferably,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from the face data of the user imaged by the imaging unit, when the use state of gripping and using the case by han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is detected. In the case where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cannot be detected, when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is determined to b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from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last time,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is not switched. It is configured to maintain.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from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last time while the user is holding the case, the inclination value was detected last time. Since the inclination does not change greatly from the inclination at the tim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In this case, the screen can be displayed in an appropriate display direction that matches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by maintaining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without changing the display por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유저의 얼굴 데이터로부터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금회 검출된 기울기 값이 전회에 검출된 기울기 값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를 초과해서 변화하고 있다고 검출된 경우에는,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유저의 얼굴 방향을 다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저가 케이스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금회 검출된 기울기 값이 전회에 검출된 기울기 값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를 초과해서 변화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회에 기울기 값이 검출되었을 때의 기울기로부터 기울기가 크게 변화하고 있으므로, 유저와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크게 변화하고 있거나 또는 유저가 케이스를 잡는 방향을 변경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에,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유저의 얼굴 방향을 다시 검출함으로써, 다시 검출한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유저의 얼굴 방향과 합치한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preferably, when the control unit cannot detect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from the face data of the user picked up by the imaging unit,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this time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is detected last time. When it is detected from the inclination value that it is changing beyond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the face detection function is configured to detect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again. In such a configuration, in the state where the user is holding the case,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this time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is changed from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last time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Since the inclination is greatly changed from the inclination when this is detected, it is considered that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is greatly changed 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is holding the case is changed. In this case, by detecting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again by the face detection function, the screen can be displayed in an appropriate display direction consistent with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detected result of the detected face direction of the user.

이 경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때에,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케이스 및 표시부의 사용 상태를 검출하는 기능을 유지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는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유저의 얼굴 방향을 다시 검출하는 제어를 행한 결과,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다고 판단했을 때,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저에 의해 케이스가 파지된 상태에 있어서, 촬상부에 의해 유저의 얼굴 방향의 재검출이 불가능할 것 같은 상황 하에서도, 상태 검출 센서를 이용해서 즉시 케이스 및 표시부의 사용 상태(자세)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시키는 동작을 중단하지 않고 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preferably,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for holding the function of detecting the case and the use state of the display uni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when detecting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by the face detection function.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that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cannot be detected as a result of performing control for detecting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again by the face detection function,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is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It is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to switch.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case is held by the user, even if it is impossible for the imaging unit to redetect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the state of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can be immediately used using the state detection sensor. ) Can be detected without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displaying the screen in the proper display direction.

상기 하나의 국면에 따른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기울기 각도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태 검출 센서는, 케이스의 기울기를 검지함으로써, 적어도 케이스 및 표시부를 재치면에 세워서 사용하는 제1 사용 상태와, 케이스 및 표시부를 재치면에 눕혀서 사용하는 제2 사용 상태와, 소정의 사용 상태로서의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제3 사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사용 상태인지를 검출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고, 제어부는 기억부에 기억된 사용 상태가 변경되기 전의 기울기 각도와, 기억부에 기억된 사용 상태가 변경된 후의 기울기 각도를 비교함으로써, 제1 사용 상태 및 제2 사용 상태를 판별해서 특정함과 함께,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제3 사용 상태를 판별해서 특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 상태가 변경되는 전후에서의 기울기 각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상기한 3가지의 사용 상태를 확실하게 판별해서 특정할 수 있다.In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according to the one aspect, preferably,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nclination angle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is further provided, and the state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case to at least the case and Any one of a first use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placed on the mounting surface, a second use state in which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are laid on the mounting surface, and a third use state in which the case as a predetermined use state is held by hand. And a tilt angle before the use stat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changed and a tilt angle after the use stat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changed, thereby controlling the first use state and The second use state is determined and specified, and the third use state used by holding the case by hand is determined. It is configured to be specific.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above three usage states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an be reliably determined and specified on the basis of the change of the inclination angle before and after the usage state is changed.

이 경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기울기 각도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시간과 함께 변화하는 경우에,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제3 사용 상태를 판별해서 특정함과 함께,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기울기 각도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시간과 함께 변화하지 않은 경우에, 제1 사용 상태 또는 제2 사용 상태를 판별해서 특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기울기 각도의 시간적인 변화를 취득함으로써,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사용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해서 특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preferably,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nd specifies the third use state in which the case is gripped by hand when the inclination angle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changes with tim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addition, when the inclination angle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does not change with tim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first use state or the second use state is determined and specified. In such a configuration, by acquiring a temporal change in the inclination angle, the use stat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an be more accurately determined and specified.

상기 하나의 국면에 따른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태 검출 센서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기울기 센서에 의해, 용이하게, 케이스의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In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according to the one aspect, preferably, the state detection sensor includes an inclination sensor. If comprised in this way, the inclination sensor can detect the inclination of a case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측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프레임의 액정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표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측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길이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해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가 파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길이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해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가 파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프레임 및 액정 표시부를 재치면에 세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프레임 및 액정 표시부를 재치면에 눕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도 1에 도시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프레임 및 액정 표시부를 재치면에 대해 엎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의 폭 방향과 유저의 얼굴의 상하 방향이 대략 일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의 폭 방향에 대해 유저의 얼굴 방향이 약 -45도 ∼ 약 +45도 사이에서 경사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의 길이 방향과 유저의 얼굴의 상하 방향이 대략 일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유저의 얼굴 방향이 약 -45도 ∼ 약 +45도 사이에서 경사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상태(핸드헬드 상태 이외인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 변경 및 유지 플로우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의 상태(핸드헬드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 변경 및 유지 플로우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whole perspective view for demon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sid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rface sid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of the fram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shown in FIG. 1 is provid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is gripped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shown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is gripped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illustrated i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am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shown in FIG. 1 are placed on a mounting surface;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am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shown in FIG. 1 are laid on a mounting surface; FIG.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shown in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ame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shown in FIG. 1 are placed upside down on a mounting surface;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dth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shown in FIG. 1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substantially coincide.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is inclined between about -45 degrees and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shown in FIG.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shown in FIG. 1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is inclined between about -45 degrees and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shown in FIG.
FIG. 1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isplay direction change and maintenance flow corresponding to a state (state other than the handheld stat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shown in FIG. 1; FIG.
1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isplay direction change and maintenance flow corresponding to the state (handheld stat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shown in FIG. 1;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12,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는,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10)(도 1 참조)와, 액정 표시부(10)가 표면에 설치되는 프레임(20)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액정 표시부(10)는 본 발명의 「표시부」의 일례이고, 프레임(20)은 본 발명의 「케이스」의 일례이다. 이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는, 유저에 의해 파지된 상태(도 3 및 도 4 참조)에서 사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를 재치면(100)에 세운 상태(도 5 참조) 및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를 재치면(100)에 눕힌 상태(도 6 참조)에서도 사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저에 의해 파지된 상태는, 본 발명의 「소정의 사용 상태」 및 「제3 사용 상태」의 일례이고,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를 재치면(100)에 세운 상태는, 본 발명의 「제1 사용 상태」의 일례이다. 또한,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를 재치면(100)에 눕힌 상태는, 본 발명의 「제2 사용 상태」의 일례이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see FIG. 1)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It is mainly comprised by the frame 20 provided in the surface.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is an example of the "display part" of this invention, and the frame 20 is an example of the "case" of this invention.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s configured to be usable in a state held by the user (see FIGS. 3 and 4), and is mounted on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used also in the state (refer FIG. 5) standing up, and the state in which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were laid on the mounting surface 100 (refer FIG. 6). In addition, the state gripped by the user is an example of the "predetermined use state" and "third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ate in which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are placed on the mounting surface 100 is It is an example of the "first use state" of this invention. In addition, the state which laid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on the mounting surface 100 is an example of the "second use state" of this invention.

이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는, 인터넷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인터넷 접속을 함으로써 스트리밍 배신의 수신 및 재생 출력 기능, 메일 기능, 비디오 채팅 기능 및 음성 채팅 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는, 인터넷 접속을 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리모콘 모드로 이행함으로써, 미디어 플레이어 및 텔레비전 장치(도시 생략) 등의 리모콘으로서 사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는,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를 세운 상태(도 5 참조)에서는, 소규모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가젯)에 의해, 캘린더나 시계 등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nnect to the Internet.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use a reception and playback output function, a mail function, a video chat function, and a voice chat function of streaming distribution by connecting to the Internet.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s configured to be used as a remote controller such as a media player and a television device (not shown) by shifting to the remote controller mode even when the Internet connection is not made. In addition,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can display a calendar, a clock, etc. by small application software (gadget) in the state which mounted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refer FIG. 5). Do.

다음으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액정 표시부(10) 및 프레임(2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액정 표시부(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 기능을 갖고 있고, 유저가 액정 표시부(10)에 표시된 조작 버튼(10a)을 누름으로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른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액정 표시부(10)의 화살표 X1 방향측에는, 카메라 유닛(1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카메라 유닛(11)은,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를 사용하는 경우 등에, 유저의 얼굴을 촬상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카메라 유닛(11)은, 본 발명의 「촬상부」의 일례이다.Next, the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and the frame 20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s demonstrated in detail. As shown in FIG. 1,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has a touch panel function, and the user is configured to allow operation according to an application program by pressing an operation button 10a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have. Moreover, the camera unit 11 is provided in the arrow X1 direction 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The camera unit 11 has a function of capturing the face of the user, for example, when using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n a state hel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camera unit 11 is an example of the "imaging part" of this invention.

또한, 카메라 유닛(11)의 근방에는, 마이크 유닛(1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마이크 유닛(12)은, 예를 들면 음성 채팅 및 비디오 채팅 시 등의 음성을 입력하는 기능을 갖는다.In addition, the microphone unit 12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camera unit 11. The microphone unit 12 has a function of inputting voice, for example, during voice chat and video chat.

또한, 프레임(20)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액정 표시부(10)가 설치되어 있는 표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부(21, 22 및 23)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21 및 22)는 프레임(20)의 길이 방향(X 방향)의 양 쪽의 단부 근방에 프레임(20)의 폭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21(도 2 참조) 및 22)는 각각, 프레임(20)의 폭 방향(Y 방향)의 한 쪽 단부측(화살표 Y1 방향측)으로부터 다른 쪽 단부측(화살표 Y2 방향측)을 향해서 서서히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돌기부(21 및 22)는 각각, 프레임(20)의 길이 방향(화살표 X1 방향 및 화살표 X2 방향)에서 보아, 프레임(20)의 폭 방향의 다른 쪽측(화살표 Y2 방향측)으로부터 한 쪽측(화살표 Y1 방향측)을 향해서 테이퍼 형상으로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쐐기모양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ame 20 is formed of resin. 1 and 2,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 22, and 23 are integrally provided on the surface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liquid crystal display portion 10 of the frame 20 is provided. . The protrusions 21 and 22 are provided so as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frame 20 near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frame 2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projection part 21 (refer FIG. 2) and 22 are respectively an edge part from one end side (arrow Y1 direction side) of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frame 20, respectively. It is comprised so that thickness may gradually increase toward a side (arrow Y2 direction side). That is, the projections 21 and 22 are each seen from the other side (arrow Y2 direction side) of the frame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row X1 direction and arrow X2 direction) of the frame 20, respectively.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come wedge-shaped in taper shape toward an edge toward the arrow Y1 direction side).

상기한 바와 같이 돌기부(21 및 22)를 구성함으로써,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21) 및 돌기부(22)의 화살표 Y2 방향측의 면을 아래로 해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를 재치면(100)에 재치함으로써, 돌기부(21 및 22)는,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를 세운 상태에서 프레임(20)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21(도 2 참조) 및 22)는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를 재치면(100)에 대해 소정의 각도 θ 경사져서 눕힌 상태에서, 프레임(20)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By configuring the protrusions 21 and 22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5,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s placed with the face on the arrow Y2 direction side of the protrusion 21 and the protrusion 22 downward. By placing on the mounting surface 100, the protrusions 21 and 22 can support the frame 20 in a state where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are upright.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protrusions 21 (see FIG. 2) and 22 are inclined to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at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100.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frame 20.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돌기부(21 및 22)를 구성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21 및 22)는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유저로부터 보아 가로 방향으로 해서 유저가 양손으로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22)는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해서 한 손(왼손)으로 파지 가능하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protrusions 21 and 22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3, the protrusions 21 and 22 allow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to be ope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X direction). As viewed from the side, the user can grasp with both hands.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projection part 22 can hold | grip with one hand (left hand), mak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into a vertical direction.

또한, 돌기부(2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폭 방향(Y 방향)의 다른 쪽 단부(화살표 Y2 방향 단부) 근방이고, 또한 돌기부(21 및 2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부(23)의 내부에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차 전지(리튬 이온 전지)가 내장(수납)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2, the projection part 23 is in the vicinity of the other end (arrow Y2 direction edge part) of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frame 20, and is between the projection parts 21 and 22. As shown in FIG. It is installed. Inside the protrusion 23, a secondary battery (lithium ion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s built in (stored).

또한, 돌기부(21 및 22)의 다른 쪽 단부측(화살표 Y2 방향측)의 단부면에는, 각각 적외선 통신부(31 및 32)가 내장되어 있다. 이들 적외선 통신부(31 및 32)는, 후술하는 리모콘 모드 시에, 미디어 플레이어 및 텔레비젼 장치(도시 생략) 등을 조작 가능한 소정의 신호(리모콘 신호)를 포함하는 적외선을 발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frared communication units 31 and 32 are incorporated in the end faces of the other end side (arrow Y2 direction side) of the protrusions 21 and 22, respectively. These infrared communication units 31 and 32 are configured to emit infrared rays including a predetermined signal (remote control signal) capable of operating a media player, a television device (not shown), or the like in the remote control mode described later.

또한, 액정 표시부(10)의 길이 방향(X 방향)의 화살표 X2 방향측의 부분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 모드용 각종 스위치(33)가 설치되어 있다. 정보 처리 장치 모드용 각종 스위치(33)는, 각각 메일, 비디오 및 음성 채팅 등을 처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 모드에서 사용되는 스위치이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 모드용 각종 스위치(33)의 화살표 X2 방향측의 근방에는, 4 방향 이동 스위치(34)(선택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4 방향 이동 스위치(34)의 중심 부분에는, 결정 스위치(35)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4 방향 이동 스위치(34) 및 결정 스위치(35)는, 각각 리모콘 모드 및 정보 처리 장치 모드 양 쪽에서 사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1, the various switches 33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odes are provided in the part of the liquid-crystal display part 10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arrow X2 direction side. The various switches 33 for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ode are switches used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ode for processing mail, video, voice chat and the lik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our-way movement switch 34 (selection switch)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arrow X2 direction side of the various switches 33 for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ode. Moreover, the determination switch 35 is provided in the center part of the 4-way movement switch 34. These four-way movement switches 34 and determination switches 35 are configured to be usable in both the remote control mode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ode, respectively.

또한, 4 방향 이동 스위치(34)의 화살표 Y2 방향측에는, 리모콘 모드와 정보 처리 장치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리모콘 모드 천이 스위치(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4 방향 이동 스위치(34)의 화살표 Y1 방향측에는, 리모콘 모드에 있어서의 리모콘 조작 대상 기기(텔레비전 등)의 표시부에 OSD 표시된 조작 화면을 현재의 상태로부터 1개 전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뒤로 기능 스위치(37)가 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e remote control mode transition switch 36 which can switch a remote control mode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ode is provided in the arrow Y2 direction side of the 4-way movement switch 34. As shown in FIG. In addition, on the arrow Y1 direction side of the four-way movement switch 34, a function switch for returning the operation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target device (television, etc.) in the remote control mode to the previous one from the present state. (37) is provided.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화살표 X1 방향측의 측면부(24)에는 복수의 접속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속부(40)는 2개의 USB 접속부(41 및 42)와, HDMI 접속부(43)와, 음성 케이블 접속부(44)와, 전원 커넥터(45)를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40 are provided in the side surface portion 24 on the arrow X1 direction side of the frame 20. This connecting portion 40 includes two USB connecting portions 41 and 42, an HDMI connecting portion 43, an audio cable connecting portion 44, and a power supply connector 45.

다음으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프레임(20)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CPU)(51)와, 기억부(메모리)(52)와, 기울기 센서(53)가 설치되어 있다. 기억부(52)는, 제어부(51)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기울기 센서(53)는, 본 발명의 「상태 검출 센서」의 일례이다.Nex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7, the frame 20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ncludes a control unit (CPU) 51 and a storage unit (memory) 52 that are in charge of controlling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 And the inclination sensor 53 are provided. The storage unit 52 stores an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51. In addition, the inclination sensor 53 is an example of the "state detection sensor" of this invention.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울기 센서(53)는 프레임(20)(도 1 참조)의 기울기를 취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기울기 센서(53)는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를 재치면(100)에 세워서 사용하는 상태(이하, 세운 상태(도 5 참조)라 함),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를 재치면(100)에 눕혀서 사용하는 상태(이하, 눕힌 상태(도 6 참조)라 함) 및 프레임(20)을 유저의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상태(이하, 핸드헬드 상태(도 3 및 도 4 참조)라 함) 중 어느 하나의 사용 상태인지를 검출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울기 센서(53)는, 세운 상태(도 5 참조), 눕힌 상태(도 6 참조) 및 핸드헬드 상태(도 3 및 도 4 참조)뿐만 아니라,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가 재치면(100)에 대향하도록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도 8 참조)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Here, in this embodiment, the inclination sensor 53 has a function of acquiring the inclination of the frame 20 (refer FIG. 1). In addition, the tilt sensor 53 is a state in which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 are placed on the mounting surfa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upright state (see FIG. 5)),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A state in which 10 is laid on the mounting surfa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aid state (see FIG. 6)) and a state in which the frame 20 is held and used by a user's h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ndheld state (FIG. 3) and (see FIG. 4). Incidentally, the tilt sensor 53 includes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 as well as the upright state (see FIG. 5), the lying down state (see FIG. 6), and the handheld state (see FIG. 3 and FIG. 4). It is comprised so that detection of the state (not used state) (refer FIG. 8) which was laid so as to face the mounting surface 100 is possible.

또한, 전술한 프레임(20)의 외형 형상에 의해, 세운 상태(도 5 참조)에서의 기울기와, 눕힌 상태(도 6 참조)에서의 기울기와,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도 8 참조)에서의 기울기는, 프레임(20)의 재치면(100)에 대한 각도가 서로 90도 이상 다르기 때문에, 제어부(51)는 프레임(20)의 재치면(100)에 대한 다른 기울기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각 상태를 판별해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를 재치면(100)에 세워서 사용하는 상태에서의 기울기는, 본 발명의 「제1 기울기」의 일례이고,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를 재치면(100)에 눕혀서 사용하는 상태에서의 기울기는, 본 발명의 「제2 기울기」의 일례이다.Moreover, the inclination in the upright state (refer FIG. 5), the inclination in the lying down state (refer FIG. 6), and the upright state (not in use state) (refer FIG. 8) by the external shape of the frame 20 mentioned above. Inclination of the frame 20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more than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100 of the frame 20, so that the control unit 51 is easily based on another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100 of the frame 20. It is possible to identify and specify each state. In addition, the inclination in the state which uses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on the mounting surface 100 is an example of the "first inclination" of this invention, and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Is an example of the "second incl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핸드헬드 상태(도 3 및 도 4 참조)에서는, 유저가 미묘하게 움직이는 것에 기인해서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값이 검출 시간마다 변화하기 때문에, 제어부(51)는 세운 상태, 눕힌 상태 및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울기 센서(53)는 핸드헬드 상태(도 3 및 도 4 참조)인 경우에도,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을 세로로 해서 사용하는 세로 방향에서의 사용 상태(이하, 세로잡이 상태(도 4 참조)라 함)와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을 옆으로 눕혀서 사용하는 가로 방향에서의 사용 상태(이하, 가로잡이 상태(도 3 참조)라 함)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세로잡이 상태와 가로잡이 상태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부(10)가 약 90도 회전되기 때문에, 기울기 센서(53)는 세로잡이 상태와 가로잡이 상태의 다른 기울기를 용이하게 판별해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handheld state (see FIGS. 3 and 4), since the detected value detected by the tilt sensor 53 changes for each detection time due to the subtle movement of the user, the controller 51 is in a state of standing,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lying down and lying down (unused) states. In addition, even when the inclination sensor 53 is in the handheld state (see FIGS. 3 and 4), the use s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20 is used vertically (hereinafter, in the vertical hold state (FIG. 4) and a use st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rabbing state (see Fig. 3)) in the transverse direction used by lay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20 sideways. 3 and 4, sin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 is rotated about 90 degrees, the inclination sensor 53 is different from the vertical and the intercepted states.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inclination and specify it.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51)는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의 사용 상태 또는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의 검출 결과와, 카메라 유닛(11)의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검출되는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의 사용 상태 또는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를 판별해서 특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51)는 상기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검출 결과와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부(10)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Here,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part 51 is a detection result of the use state of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or the upright state (nonuse state), and the camera unit 11 Is used to determine and specify the use state or upright state (not in use state) of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detected by the face detection function. . And the control part 51 is comprised so that the control which switches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said inclination sensor 53, and the detection result of the user's face direction.

구체적으로는, 유저에 의해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자세(상태)가 변경된 경우에, 제어부(51)는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세운 상태(도 5 참조), 눕힌 상태(도 6 참조), 핸드헬드 상태(도 3 및 도 4 참조) 및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도 8 참조)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판별해서 특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51)는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세운 상태(도 5 참조) 또는 눕힌 상태(도 6 참조)인 것을 판별해서 특정한 경우에는,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세운 상태(도 5 참조) 또는 눕힌 상태(도 6 참조)에 대응해서 액정 표시부(10)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유저에 의해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자세(상태)가 변경된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51)는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핸드헬드 상태가 아닌 것이 검출된 경우에,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부(10)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Specifically, when the posture (stat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s chang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51 is in a state of standing up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tilt sensor 53 (see FIG. 5),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d specify one of the states of the lying down state (see FIG. 6), the handheld state (see FIGS. 3 and 4), and the upright state (unused state) (see FIG. 8). And the control part 51 discriminates | determines that it is in the upright state (refer FIG. 5) or lying down (refer FIG. 6)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and, in the specific case,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Based on a detection result, it is comprised so that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may be switched corresponding to the upright state (refer FIG. 5) or the lying down state (refer FIG. 6). In other words, when the posture (stat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s chang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51 detects that the tilt sensor 53 is not in the handheld state. The control which switches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is compris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1).

또한, 제어부(51)는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핸드헬드 상태(도 3 및 도 4 참조)인 것을 판별해서 특정한 경우에는,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검출된 핸드헬드 상태보다도,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를 우선시켜서,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1)는 카메라 유닛(11)에 의해 촬상된 유저의 얼굴 방향을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검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유저의 얼굴의 상하 방향이 액정 표시부(10)의 폭 방향(Y 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방향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액정 표시부(10)의 폭 방향(Y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설정해서 화면 표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part 51 determines that it is a handheld state (refer FIG. 3 and FIG. 4)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and, in the specific case, the handheld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It is configured to prioritize the detection result of the user's face direction over the state, and to switch to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face direction.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and FIG. 10, the control unit 51 has a function of detecting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1 by the face detection function. When determining that the up-down direction is a direction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the display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screen display by setting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in the up-down direction. have.

이 경우, 제어부(51)는 유저의 얼굴 방향이 액정 표시부(10)의 폭 방향(Y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기준선(일점쇄선)에 대해 약 -45도 ∼ 약 +45도 사이(도 10 참조)에서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액정 표시부(10)의 폭 방향(Y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설정해서 화면 표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1)는 유저의 얼굴의 상하 방향이 액정 표시부(10)의 길이 방향(X 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방향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액정 표시부(1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설정해서 화면 표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51)는 유저의 얼굴 방향이 액정 표시부(1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기준선(일점쇄선)에 대해 약 -45도 ∼ 약 +45도 사이(도 12 참조)에서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액정 표시부(1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설정해서 화면 표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51 is between about -45 degrees to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single-dotted line)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extends along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see FIG. 10). In the case of inclining at a height),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is se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as to display the screen display. 11 and 12, when the controller 51 determines that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is substantially the same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 The length direction (X direction) of 10) is set to an up-down direction, and it is comprised so that a screen display may be displayed. Further, the control unit 51 is between about -45 degrees to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single-dotted line)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see FIG. 12). In the case of tilting at, the length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is se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as to display the screen display.

여기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11)은 액정 표시부(1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기준선을 따른 액정 표시부(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에서는, 특히 길이 방향(X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설정한 경우에, 카메라 유닛(11)에 대해 좌우 방향(Y 방향)으로 약 -45도 ∼ 약 +45도 사이에서 유저의 얼굴 방향이 경사져도, 화면 표시의 상하 방향이 길이 방향에 대응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Here, as shown in FIG. 12, the camera unit 11 is disposed outside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along a reference lin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That is, in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particularly wh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is set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ut -45 degrees to about +45 degre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mera unit 11. Even if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is inclined, the state in which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creen display correspond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maintained.

또한, 제어부(51)는 특정한 사용 상태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기동하거나, 또는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1)는 세운 상태(도 5 참조)라고 특정한 경우에는, 유저가 조작하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51)는 눕힌 상태(도 6 참조)라고 특정한 경우에는, 유저가 조작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51)는 핸드헬드 상태(도 3 및 도 4 참조)라고 특정한 경우에도, 유저가 조작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정한 사용 상태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유저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1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tart an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a specific use state or to perform control for shifting to the standby mod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1 is configured to start an application program that does not presuppose to be operated by the user in the case of being specified as the upright state (see FIG. 5). Moreover, the control part 51 is comprised so that the application program on the assumption that a user may operate may be started, in the case of being specified as the lying state (refer FIG. 6). Further, the control unit 51 is configured to start an application program on the premise that the user operates even in the case of specifying the handheld state (see FIGS. 3 and 4). In addition, the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a specific use state is preset by the user.

또한, 제어부(51)는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검출되는 기울기 값이 상시 조금씩 변화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가 재치면(100)에 재치되어 있는 상태(도 5, 도 6 및 도 8의 상태) 또는 유저에 의해 파지되어 있는 상태(도 3 및 도 4의 상태)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검출되는 기울기 값이 상시 조금씩 변화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51)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가 유저에 의해 파지되어 있는 상태라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검출되는 기울기 값이 안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51)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가 재치면(100)에 재치되어 있는 상태라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51 determines whether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is constantly changing little by little, so that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s placed on the mounting surface 100 (FIG. 5). 6 and 8) or the state held by the user (state of FIGS. 3 and 4). When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is constantly changing little by little, the control part 51 is comprised so that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may be judged as a state hold | gripped by the user. Moreover, when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is stable, the control part 51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s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100.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51)는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가 재치면(100)에 대향하도록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도 8 참조)인 것을 특정한 경우에, 상기한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부(51)는 사용 상태(세운 상태, 눕힌 상태 및 핸드헬드 상태)일 때와는 달리, 유저에 의해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part 51 is in the state which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faced with the mounting surface 100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unused state) (refer FIG. 8). Is specified to control the transition to the above standby mod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51 is configured not to start the application program used by the user, unlike in the use state (upright state, lying down state and handheld stat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51)는 핸드헬드 상태의 기울기 값이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는,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도 8 참조)와 마찬가지의 기울기 값이 검출된 경우라도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51)는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화면 표시를 액정 표시부(10)에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유저가 프레임(20)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어부(51)는 프레임(20)에 관해서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의 기울기가 검출된 경우를 포함해서 어떤 상태라도,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하지 않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inclination value of the handheld state is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the control unit 51 has the same inclination value as in the upright state (unused state) (see Fig. 8). Even if detected, it is configured not to enter the standby mode. In this case, the control part 51 is comprised so that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may display the screen display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a user's face direction.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user is holding the frame 20, the control unit 51 enters the standby mode in any state, including the case where the inclination of the upright state (unused state) with respect to the frame 20 is detected. It is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that does not shift.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8,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 변경 및 유지 플로우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3-8, 13, and 14, the display direction change and maintenance flow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are demonstrated.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1)가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취득된 기울기 값이 변화한 것(이벤트 발생)을 인식함으로써,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사용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 변경 및 유지 플로우가 개시된다.As shown in FIG. 13, the control part 51 recognizes that the inclination value acquir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changed (event occurrence), and th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use stat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s shown. The direction change and maintenance flow is disclosed.

우선, 스텝 S1에 있어서, 제어부(51)(도7 참조)에 의해, 기울기 센서(53)로부터 취득한 기울기 값이 인식(평가)되고, 기울기 값이 기억부(52)에 기억된다. 그리고, 스텝 S2에 있어서, 기억된 과거의 기울기 값과 금회 기억된 기울기 값의 변화의 상태에 기초하여,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가 세운 상태(도 5 참조), 눕힌 상태(도 6 참조),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도 8 참조) 및 핸드헬드 상태(도 3 및 도 4 참조)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지가 결정된다. 즉, 기억된 과거의 기울기 값 및 금회 기억된 기울기 값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는 경우에는, 핸드헬드 상태로 결정된다. 또한, 기억된 과거의 기울기 값 및 금회 기억된 기울기 값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지 않고, 금회 기억된 기울기 값이 세운 상태의 기울기 값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 세운 상태로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금회 기억된 기울기 값이 눕힌 상태의 기울기 값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 눕힌 상태로 결정되고, 금회 기억된 기울기 값이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의 기울기 값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로 결정된다.First, in step S1, the inclination value acquired from the inclination sensor 53 is recognized (evaluated) by the control part 51 (refer FIG. 7), and the inclination value is memorize | stored in the memory | storage part 52. FIG. In step S2, the state where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stands (see Fig. 5) and the lying state (see Fig. 6) is based on the state of the stored past inclination value and the change of the inclination value stored this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one of the up state (unused state) (see FIG. 8) and the handheld state (see FIG. 3 and FIG. 4). That is, when the stored inclination value and the stored inclination value are changing little by little, it is determined as a handheld state. In addition, when the stored inclination value and the presently stored inclination value do not change little by little, and the inclination value stored this time is in the range of the inclination value of the upright state, it is determined as a standing state. Similarly, if the tilt value stored this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tilt value in the lying state, it is determined to be in the laid state, and if the tilt value stored this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tilt value in the up state (unused state), It is determined by the state (unused state).

그 후, 스텝 S3에 있어서, 제어부(51)에 의해, 결정된 상태가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취득된 기울기 값이 변화하기 전(이벤트 발생 전)의 상태로부터 변경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스텝 S3에 있어서, 결정된 상태가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취득된 기울기 값이 변화하기 전(이벤트 발생 전)의 상태로부터 변경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4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4에 있어서, 상태의 변경이 되어 있지 않으므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변경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그대로 유지되고, 스텝 S5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5에 있어서, 액정 표시부(10)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방향도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고,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 변경 및 유지 플로우가 종료한다.Then, in step S3, it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part 51 whether the determined state was changed from the state before the inclination value acquir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changed (before the event occurrence). 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 that the determined state is not changed from the state before the inclination value acquir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has changed (before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 In step S4, since the state is not changed, the application program is not changed, and the application program is maintained as it is, and the procedure proceeds to step S5. And in step S5, the display direction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is also not changed, it is maintained as it is, and the display direction change and maintenance flow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are complete | finished.

또한, 스텝 S3에 있어서, 결정된 상태가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취득된 기울기 값이 변화하기 전(이벤트 발생 전)의 상태로부터 변경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6에 있어서, 제어부(51)에 의해, 변경된 상태가 프레임(20)을 유저의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상태(핸드헬드 상태(도 3 및 도 4 참조))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스텝 S6에 있어서, 변경된 상태가 핸드헬드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텝 S21(도 14 참조)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6에 있어서, 변경된 상태가 핸드헬드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7로 진행한다.In addition, in step S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mined state is changed from the state before the inclination value acquir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changed (before the event occurrence), it progresses to step S6. In step S6,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whether the changed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frame 20 is held and used by the user's hand (handheld state (see FIGS. 3 and 4)).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6 that the changed state is a handheld stat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1 (see FIG. 14) to be described lat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 that the changed state is not a handheld state, the flow proceeds to step S7.

그리고, 스텝 S7에 있어서, 제어부(51)에 의해, 변경된 상태가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가 재치면(100)에 대향하도록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도 8 참조)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스텝 S7에 있어서, 변경된 상태가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8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8에 있어서, 제어부(51)에 의해,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되어,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 변경 및 유지 플로우가 종료한다. 또한, 스텝 S7에 있어서, 변경된 상태가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9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한 스텝 S6에 있어서의 「아니오」의 판단(핸드헬드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이후의 처리 플로우에서는, 카메라 유닛(11)을 기동하지 않고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부(10)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가 행해진다.And in step S7, is the state which the state which changed by the control part 51 the state in which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were placed so as to oppose the mounting surface 100 (unused state) (refer FIG. 8)?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 that the changed state is an upright state (nonuse stat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8. In step S8, the control unit 51 shifts to the standby mode, and the display direction change and maintenance flow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ends. In addition, in step S7,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d state is not an upright state (nonuse state), it progresses to step S9. In addition, in the process flow after determination of "no" in said step S6 (when it judges that it is not a handheld state), it is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without starting the camera unit 11. The control which switches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is performed.

그 후, 스텝 S9에 있어서, 제어부(51)에 의해, 변경된 상태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스텝 S9에 있어서, 세운 상태, 눕힌 상태 및 핸드헬드 상태의 각각에 대해서 자동적으로 기동시키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유저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스텝 S9에 있어서, 변경된 상태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전술한 스텝 S4 및 스텝 S5로 진행하고,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 변경 및 유지 플로우가 종료한다. 또한, 스텝 S9에 있어서, 변경된 상태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10으로 진행한다.Then, in step S9, the control part 51 determines whether the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state is set. That is, in step S9,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application program which automatically starts each of the upright state, the lying down state, and the handheld state is set by the user. 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9 that the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state is not set, it progresses to step S4 and step S5 mentioned above and changes the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And the maintenance flow ends.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9 that the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state is se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

그리고, 스텝 S10에 있어서, 제어부(51)에 의해, 설정되어 있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현재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스텝 S10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현재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술한 스텝 S4 및 스텝 S5로 진행하고,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 변경 및 유지 플로우가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0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현재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11로 진행한다.In step S10,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whether the set application program is the same application program as the application program currently being use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 that the set application program is the same application program as the application program currently being used,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application program. Therefor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 and step S5 described above, and displays the portable information. The display direction change and maintenance flow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1 ends. In addition, in step S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t application program is not the same application program as the application program currently being used, it progresses to step S11.

그 후, 스텝 S11에 있어서, 변경된 상태에 대응하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동되고, 스텝 S12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12에 있어서,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으로 변경 또는 표시 방향이 유지되고,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 변경 및 유지 플로우가 종료한다. 예를 들면, 눕힌 상태 또는 핸드헬드 상태의 가로잡이 상태로부터 세운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는, 액정 표시부(10)에 표시되는 표시 방향은 180도 회전되어 변경된다. 또한, 핸드헬드 상태 중 세로잡이 상태 또는 세운 상태로부터 눕힌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는, 액정 표시부(10)에 표시되는 표시 방향은 90도 또는 270도 회전되어 변경된다. 또한, 핸드헬드 상태 중 가로잡이 상태로부터 눕힌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는, 액정 표시부(10)에 표시되는 표시 방향은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Thereafter, in step S11, the application program set by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state is started,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S12. In step S12, the change or display direction is maintained in the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and the display direction change and maintenance flow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ends. For example, in the case of changing from the lying state of the lying state or the handheld state to the upright state, the display direction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 is changed by being rotated 180 degrees. In the case of the handheld state, the display direction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 is changed by being rotated by 90 degrees or 270 degrees when it is changed from the vertical position to the vertical position. In the case where the state of the handheld is changed from the obstructed state to the laid state, the display direction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remains unchanged.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스텝 S6에 있어서, 제어부(51)에 의해, 변경된 상태가 핸드헬드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대한 처리 플로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4, the process flow about the case where the control part 51 judges that the changed state is a handheld state in step S6 is demonstrated in detail.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6(도 13 참조)에 있어서 변경된 상태가 핸드헬드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1에 있어서,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사용 상태의 검출 기능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어부(51)에 의해, 카메라 유닛(11)이 기동된다. 그리고, 스텝 S22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22 이후의 처리 플로우에서는,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프레임(20)에 관해서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의 기울기가 검출된 경우라도, 전술한 스텝 S8(도 13 참조)과 같은 스탠바이 모드로는 이행하지 않고, 카메라 유닛(11)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부(10)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가 행해진다.As shown in FIG. 1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d state is the handheld state in step S6 (see FIG. 13), the state in which the detection function of the use state by the tilt sensor 53 is maintained in step S21. In this case, the camera unit 11 is activated by the control unit 51. The flow then advances to step S22. In addition, in the process flow after step S22, even when the inclination of the state which laid down with respect to the frame 20 (unused state) is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it is the same as that of step S8 (refer FIG. 13) mentioned above. The control for switching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is perform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camera unit 11 without shifting to the standby mode.

그 후, 스텝 S22에 있어서, 제어부(51)에 의해, 카메라 유닛(11)에 의해 촬상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있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스텝 S22에 있어서,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있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3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23에 있어서, 제어부(51)에 의해, 액정 표시부(10)에 표시되는 화면 표시가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으로 변경 또는 유지되고,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 변경 및 유지 플로우가 종료한다. 예를 들면, 세운 상태로부터 핸드헬드 상태의 가로잡이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는, 액정 표시부(10)에 표시되는 표시 방향은 180도 회전된다. 또한, 세운 상태, 눕힌 상태 또는 핸드헬드 상태의 가로잡이 상태로부터 핸드헬드 상태 중 세로잡이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는, 액정 표시부(10)에 표시되는 표시 방향은 90도 또는 270도 회전된다. 또한, 눕힌 상태로부터 핸드헬드 상태 중 가로잡이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는, 액정 표시부(10)에 표시되는 표시 방향은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After that, in step S22,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whether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could be detected based on the data picked up by the camera unit 11.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22 that the user's face direction can be detec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3. And in step S23, the screen display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is changed or maintained by the control part 51 to the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a user's face, and the stat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The corresponding display direction change and maintenance flow ends. For example, in the case of changing from the upright state to the intermittent state of the handheld state, the display direction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 is rotated 180 degre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changing from the intercepting state in the upright state, the lying down state, or the handheld state to the vertically held state in the handheld state, the display direction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is rotated by 90 degrees or 270 degrees. In addition, when it is changed from the down state to the interception state among the handheld states, the display direction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remains unchanged.

또한, 스텝 S22에 있어서,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4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24에 있어서, 제어부(51)에 의해,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검출된 기울기 값에 기초하여, 검출된 기울기 값이 전회에 검출된 기울기 값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이상으로 변화한 것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유저가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를 큰 각도 범위에서 움직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스텝 S24에 있어서, 검출된 기울기 값이 전회에 검출된 기울기 값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변화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5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25에 있어서, 액정 표시부(10)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현재 액정 표시부(10)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 표시 방향이 유지되고,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 변경 및 유지 플로우가 종료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2 that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cannot be detected, the flow proceeds to step S24. And in step S24, based on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by the control part 51, whether the detected inclination value changed more than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range from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last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has moved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n a large angle range. 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4 that the detected inclination value has changed within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from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last time, the flow proceeds to step S25. And in step S25,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is maintained, without changing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and respond |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The display direction change and maintenance flow ends.

또한, 스텝 S24에 있어서,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검출된 기울기 값에 기초하여, 검출된 기울기 값이 전회에 검출된 기울기 값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이상으로 변화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6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26에 있어서, 제어부(51)에 의해, 얼굴 검출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재차 유저의 얼굴 방향이 다시 검출된다.In addition, in step S2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inclination value changed from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last time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based on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it progresses to step S26. Proceed. And in step S26, by using the face detection function by the control part 51, the face direction of a user is detected again.

그리고, 스텝 S27에 있어서,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있었는지 여부가 재차 판단된다. 그리고, 스텝 S27에 있어서,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있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전술한 스텝 S23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23에 있어서, 액정 표시부(10)에 표시되는 화면 표시가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으로 변경 또는 유지되고,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 변경 및 유지 플로우가 종료한다.In step S27, it is determined again whether or not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can be detected.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27 that the user's face direction can be detec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3 described above. Then, in step S23, the screen display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is changed or maintained in the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and the display direction is changed and maintained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The flow ends.

또한, 스텝 S27에 있어서,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8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28에 있어서, 검출 기능이 유지된 상태의 기울기 센서(53)에 의해서 검출된 기울기 값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부(10)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 표시 방향이 변경되고,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 변경 및 유지 플로우가 종료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7 that the user's face direction cannot be detected, the flow proceeds to step S28. And in step S28,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is changed based on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of the state in which the detection function was maintained, and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 The display direction change and maintenance flow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1) ends.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검출되는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와,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부(10)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검출되는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만 기초하여 액정 표시부(10)의 화상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와는 달리, 카메라 유닛(11)에 의해 촬상된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도, 프레임(20)의 기울기를 검지하는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프레임(20)이 어떤 상태(자세)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메라 유닛(11)에 의해 촬상된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도,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상태(자세)에 기초하여,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is switch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user's face direction detected by the face detection function and the detection result by the tilt sensor 53. Thus, unlike the case where the image display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is switched based only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detected by the face detection function,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1 is changed. Even if it cannot detect, the inclination sensor 53 which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frame 20 can detect what state (posture) of the frame 20 is. Thereby, even whe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1 cannot be detected, the screen can be displayed in an appropriate display direction based on the state (posture) detected by the tilt sensor 53. hav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의 사용 상태를 검출한 후에,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카메라 유닛(11)에 의한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을 행할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도 13에 도시하는 스텝 S6의 판단)를 행함으로써, 카메라 유닛(11)의 기동에 앞서,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의 사용 상태를 검출하고,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서 카메라 유닛(11)을 기동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메라 유닛(11)에 의한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을 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카메라 유닛(11)을 불필요하게 기동하는 동작 처리를 행하는 일이 없으므로,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시키는 동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use state of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is detected by the tilt sensor 53,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tilt sensor 53, The tilt sensor 53 is performed prior to the start of the camera unit 11 by performing control (determination in step S6 shown in FIG. 13) to determine whether to detect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by the camera unit 11. ), The use state of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can be detected, and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amera unit 11 needs to be activ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result by the tilt sensor 53. As a result, when it is not necessary to detect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by the camera unit 11, the operation processing for unnecessarily starting the camera unit 11 is not performed, so that the screen is displayed in the proper display direction.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소정의 사용 상태(핸드헬드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는,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사용 상태보다도,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를 우선시켜서,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화면 표시 방향과,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기울기에 기초하는 화면 표시 방향이 다른 경우가 발생하기 쉬운 소정의 사용 상태(핸드헬드 상태)인 경우에,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를 우선시킴으로써, 보다 실제의 사용 양태에 맞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서 표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a predetermined use state (handheld state) is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the face of the user is more than the use state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By prioritiz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irection and switching to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face direction,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user's face direction and the screen display based on the inclination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In the case of a predetermined use state (hand-held state) where the direction is likely to be different,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ace direction is given priority, so that it can be displayed as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more suited to the actual use mod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20)을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핸드헬드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사용 상태보다도,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를 우선시켜서,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프레임(20)을 손으로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드러누워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기울기에 기초하는 검출 결과에서는 유저가 화면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판별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프레임(20)을 손으로 파지하는 상태인 경우에는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함과 함께,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보다 실제의 사용 양태에 맞는 적절한 화면 표시 방향으로서 표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 state (handheld state) of gripping and using the frame 20 by hand is detected, the user is used more than the use state detected by the tilt sensor 53. The tilt sensor 53 is used in the case where the frame 20 is laid down and used in the state where the frame 20 is held by hand by giving priority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ace direction and switching to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face direction. In the detection result based on the inclination of the use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how the user views the screen. Therefore, when the frame 20 is held by hand,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is detected and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is detected. By switching to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it can be displayed as an appropriate screen display direction suitable for a more practical use mod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11)에 의해 촬상된 유저의 얼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의 얼굴 방향이 액정 표시부(10)의 상하 방향(도 10의 Y 방향, 도 12의 X 방향)을 따른 기준선(도 10 및 도 12에 있어서, 액정 표시부(10) 상에 나타낸 일점쇄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 이내에서 경사져 있는 경우에, 액정 표시부(10)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유지함으로써, 유저의 얼굴 방향이 액정 표시부(10)의 상하 방향으로 완전히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 엄격하게 반응해서 화면 표시 방향이 빈번하게 전환되는 것과 같은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빈번한 표시 화면의 전환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만큼, 유저에 의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mentioned above, based on the data of the user's face image picked up by the camera unit 11, the user's face direction is the up-down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the Y-direction, Screen displa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when inclin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along the X direction in FIG. 12 (one dashed line shown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in FIGS. 10 and 12). By keeping the direction unchanged, it is possible to avoid a situation in which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is frequently switched in strict response to a state in which the user's face direction does not completely coincid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Thereby, the operability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by a user can be improved as much as switching operation of a display screen is not frequently perform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 범위를, 유저의 얼굴 방향이 기준선에 대해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각각 약 45도로 동일하게 기울여진 각도 범위로서 구성함으로써, 유저의 얼굴 방향이 기준선에 대해 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도, 대략 마찬가지 감도로 화면 표시 방향의 전환의 가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얼굴 방향의 경사 방향에 의존하지 않고,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조작성을 균일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is formed by configuring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as the angle range in which the user's face direction is equally inclined at about 45 degre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line. Even if it is inclined in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is switched with almost the same sensitivity. Therefore, the operability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can be made uniform regardless of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a face direction.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11)을, 기준선을 따른 액정 표시부(10)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카메라 유닛(11)에 의한 유저의 얼굴 방향의 특정을, 액정 표시부(10)의 상하 방향을 따른 기준선을 중심으로 해서 행할 수 있으므로,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경사 방향을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above-mentioned, the camera unit 11 is arrange | positioned outside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along a reference line, and specification of the user's face direction by the camera unit 11 is carried out. Since it can carry out centering on the reference line along the up-down direction of (10),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a user's face direction can be detected with high precision.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프레임(20)을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핸드헬드 상태)가 아닌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부(10)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20)이 손에 의해 파지되어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프레임(20)이 재치면(100) 등에 고정적으로 재치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프레임(20)이 재치면(100) 등에 고정적으로 재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액정 표시부(10)의 방향과 그 액정 표시부(10)를 유저가 보는 경우의 유저의 얼굴 방향과는 일정한 관계에 있음과 함께,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유저의 얼굴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경우에는, 얼굴 검출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기울기 센서(53)의 검출 결과를 이용해서, 액정 표시부(10)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it is detected that it is not the use state (handheld state) which grasps and uses the frame 20 by han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as mentioned above, the inclination sensor 53 is carried out. The control which switches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is perform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is. In this way,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frame 20 is not held by the h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frame 20 is fixedly placed on the mounting surface 100 or the like. And when the frame 20 is fixedly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100, etc., the relationship of the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and the user's face direction when a user sees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is fixed. In addition, since the user's face cannot be detected more often than when used by holding by hand, in this case, the liquid crystal is used by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ilt sensor 53 without using the face detection function. By performing a control for switching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10, the screen can be displayed in an appropriate display direction.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프레임(20)을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가 아닌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카메라 유닛(11)을 기동하지 않고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부(10)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카메라 유닛(11)을 불필요하게 기동하는 동작 처리를 행하는 일이 없으므로,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시키는 동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11)이 기동되지 않는 만큼,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that the frame 20 is not in a use state in which the frame 20 is held by hand, the tilt is performed without starting the camera unit 11.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sensor 53, the control which switches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is performed. As a result, the operation processing for unnecessarily starting the camera unit 11 is not performed, so that the operation of displaying the screen in the proper display direc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In additi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can be reduced as long as the camera unit 11 is not activat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적어도 핸드헬드 상태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를 우선시켜서,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 액정 표시부(10)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함과 함께,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세운 상태 또는 눕힌 상태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부(10)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프레임(20)이 재치면(100)에 재치되어 있는 세운 상태 및 눕힌 상태인 경우에는,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을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핸드헬드 상태인 경우에는,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유저의 얼굴 방향과 합치한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ilt sensor 53 detects at least the handheld state, the detection result of the user's face direction is given priority to display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user's face direction. When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is changed in the direction and it is detected that the upright state or lying down state is inclin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the liquid crystal is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By switching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10, the tilt sensor 53 displays the screen in the proper display direction when the frame 20 is in an upright state and in a laid state placed on the mounting surface 100. can do. In the case of the handheld state in which the frame 20 is grasped by hand, the screen can be displayed in an appropriate display direction consistent with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프레임(20)이 유저에 의해 파지된 핸드헬드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되고, 또한 액정 표시부(10)가 재치면(100)에 대향하도록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의 기울기가 검출된 경우에, 얼굴 검출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함과 함께,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핸드헬드 상태라고 검출되고, 또한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의 기울기가 검출된 경우에,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하지 않고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화면 표시를 액정 표시부(10)에 표시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핸드헬드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되고, 또한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의 기울기가 검출된 경우에는, 유저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되므로, 이 경우에는,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함으로써,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의 기울기라고 검출된 경우에도, 핸드헬드 상태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유저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를 사용하고 있다고(예를 들면, 반듯하게 누워서 위를 향해 액정 표시부(10)를 보고 있다고) 생각되므로, 이 경우에는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유저의 얼굴 방향과 합치한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tilt sensor 53 detects that the frame 20 is not in a handheld state held by the user,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 is placed on the mounting surface 100. In the case where the tilt of the face down state (unused state) is detected, the device shifts to the standby mode without using the face detection function and is detected as a handheld state by the tilt sensor 53 and is also placed upside down. When the inclination of the state (nonuse state) is detected,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displays the screen display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user's face direction without shifting to the standby mode. Thereby,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tilt sensor 53 is not in the handheld state and the tilt of the upright state (unused state) is detected, the user thinks that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s not used. In this case, the power saving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can be achieved by shifting to the standby mode. On the other hand, even when it is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that the inclined state (nonuse state) is inclined, when it is detected that it is a handheld state, the user is using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 For example, it is considered that the user is lying on his back and looking upwards, so that the screen is displayed in an appropriate display direction that matches the user's face direction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user's face direction. can do.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하지 않고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화면 표시를 액정 표시부(10)에 표시시킬 때,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의 사용 상태를 검출하는 기능을 유지함으로써, 유저에 의해 프레임(20)이 파지된 상태에 있어서, 카메라 유닛(11)에 의해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이 불가능할 것 같은 상황 하에서도, 검출 기능이 유지되고 있는 기울기 센서(53)를 이용해서 즉시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의 사용 상태(자세)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시키는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creen display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user's face direction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without shifting to the standby mode, the frame by the tilt sensor 53 ( By maintaining the function of detecting the use stat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 the camera unit 11 is unlikely to detect the user's face in the state where the frame 20 is held by the user. Even under the circumstances, since the use state (posture) of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can be immediately detected using the inclination sensor 53 in which the detection function is maintained, an operation of displaying the screen in the proper display direction Can be surely perform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20)을, 세운 상태에서의 기울기와, 눕힌 상태에서의 기울기가, 서로 다른 기울기가 되도록 재치면(100)에 설치 가능한 외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프레임(20)의 외형 형상에 기초하여, 세운 상태와 눕힌 상태의 다른 기울기로 프레임(20)을 재치면(100)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세운 상태와 눕힌 상태를 용이하게 판별해서 특정할 수 있음과 함께, 세운 상태 및 눕힌 상태에 대응한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20 is configured to have an external shape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mounting surface 100 such that the inclination in the upright state and the inclination in the lying down state are different inclinations. By this, since the frame 20 can be installed on the mounting surface 100 at a different inclination in the upright state and in a lying down state, based on the outer shape of the frame 20,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The up state and the down state can be easily distinguished and specified, and the screen can be displayed in an appropriate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up state and the down stat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취득되는 프레임(20)의 외형 형상에 기초하는 세운 상태와 눕힌 상태의 90도 이상 다른 프레임(20)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세운 상태와 눕힌 상태를 판별해서 특정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프레임(20)의 외형 형상에 기초하는 90도 이상의 기울기의 차이에 따라, 세운 상태와 눕힌 상태를 확실하게 판별해서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inclination of the frame 20 which is 90 degrees or more in the upright state and the lying down state based on the outer shape of the frame 20 acquir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By determining the upright state and the lying down state so as to be able to specify, the upright state and the lying down state can be reliably discriminated and detect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inclination of 90 degrees or more based on the outer shape of the frame 20.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저가 프레임(20)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카메라 유닛(11)에 의해 촬상된 유저의 얼굴 데이터로부터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금회 검출된 기울기 값이 전회에 검출된 기울기 값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 들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액정 표시부(10)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유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유저가 프레임(20)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금회 검출된 기울기 값이 전회에 검출된 기울기 값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 들어 있는 경우에는, 전회에 기울기 값이 검출되었을 때의 기울기로부터 기울기가 크게 변화하고 있지 않으므로, 유저와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크게 변화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에, 액정 표시부(10)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유지함으로써, 유저의 얼굴 방향과 합치한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cannot detect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from the face data of the user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1 in the state of holding the frame 20.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is within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from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last time,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is maintained without switching. Thereby, when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this time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in the state in which the user is holding the frame 20 falls within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from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last time, the inclination value last time Since the inclination does not change greatly from the inclination when this is detected, it is considered that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In this case, the screen can be displayed in an appropriate display direction that matches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by maintaining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without switching.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저가 프레임(20)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카메라 유닛(11)에 의해 촬상된 유저의 얼굴 데이터로부터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금회 검출된 기울기 값이 전회에 검출된 기울기 값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를 초과해서 변화하고 있다고 검출된 경우에는, 카메라 유닛(11)의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유저의 얼굴 방향을 다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저가 프레임(20)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금회 검출된 기울기 값이 전회에 검출된 기울기 값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를 초과해서 변화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회에 기울기 값이 검출되었을 때의 기울기로부터 기울기가 크게 변화하고 있으므로, 유저와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크게 변화하고 있거나 또는 유저가 프레임(20)의 잡는 방향을 변경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에,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유저의 얼굴 방향을 다시 검출함으로써, 다시 검출한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유저의 얼굴 방향과 합치한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cannot detect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from the face data of the user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1 in the state of holding the frame 20. In the case where it is detected that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is changing beyond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from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last time, the user's face detection function of the camera unit 11 And to detect the face direction again. Thereby, when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this time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changes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from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last time, while the user is holding the frame 20, the last time. Since the inclination is greatly changed from the inclination when the inclination value is detected, it is considered that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is greatly changing or the user is chang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ame 20 is held. do. In this case, by detecting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again by the face detection function, the screen can be displayed in an appropriate display direction consistent with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detected result of the detected face direction of the user.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유저의 얼굴 방향을 다시 검출한 결과,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 기울기 센서(53)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부(10)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유저에 의해 프레임(20)이 파지된 상태에 있어서, 카메라 유닛(11)에 의해 유저의 얼굴 방향의 재검출이 불가능할 것 같은 상황 하에서도, 기울기 센서(53)를 이용해서 즉시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의 사용 상태(자세)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표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시키는 동작을 중단하지 않고 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is detected again by the face detection function, when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cannot be detect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tilt sensor 53. By configuring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0 to be switched, in a situation where the frame 20 is held by the user, the camera unit 11 may not be able to redetect the direction of the user's face. In addition, since the use state (posture) of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can be detected immediately using the inclination sensor 53, the operation which displays a screen in a suitable display direc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interrupting.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억부(메모리)(52)에 기억된 사용 상태가 변경되기 전의 기울기 각도와, 기억부(52)에 기억된 사용 상태가 변경된 후의 기울기 각도를 비교함으로써, 세운 상태와 눕힌 상태를 판별해서 특정함과 함께, 프레임(20)을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를 판별해서 특정함으로써, 사용 상태가 변경되는 전후에서의 기울기 각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가 상기한 3가지의 사용 상태를 확실하게 판별해서 특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inclination angle before the use state stored in the storage unit (memory) 52 is changed and the inclination angle after the use state stored in the storage unit 52 is changed. By determining and specifying the standing state and the lying down state, and determining and specifying the use state of gripping and using the frame 20 by hand, based on the change of the tilt angle before and after the use state is changed,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can reliably discriminate and specify the above three use states.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검출된 기울기 각도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시간과 함께 변화하는 경우에, 프레임(20)을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를 판별해서 특정함과 함께, 기울기 센서(53)에 의해 검출된 기울기 각도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시간과 함께 변화하지 않은 경우에, 세운 상태 또는 눕힌 상태를 판별해서 특정함으로써, 기울기 각도의 시간적인 변화를 취득함으로써,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사용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해서 특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clination angle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53 changes with tim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use state in which the frame 20 is gripped by hand and used. When the tilt angle detected by the tilt sensor 53 does not change with tim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upright or lying down state is determined and specified, thereby determining the temporal angle of the tilt angle. By acquiring the change, the use stat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can be more accurately determined and specified.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형태의 설명이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내지고, 또한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In addition, it should be thought that embodiment disclosed this time is an illustration and restrictive at no poi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not by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s but by the claims, and includes all changes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equivalent to the claims.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을 유저의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핸드헬드 상태인 경우에만, 얼굴 검출 기능을 이용해서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한 예에 대해서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레임을 유저의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핸드헬드 상태 이외의 상태인 경우에도, 얼굴 검출 기능을 이용해서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해도 된다.For example, although the said embodiment showed the example which detected the direction of a user's face using the face detection function only in the case of the handheld state which grasps and uses a frame with a user's hand, this invention is limited to this. It doesn't work. Even in a state other than the handheld state in which the frame is held by the user's hand,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may be detected using the face detection function.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상태 검출 센서의 일례로서 기울기 센서(53)를 이용한 예에 대해서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가속도 센서 등의 기울기 센서 이외의 센서를 이용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said embodiment showed about the example using the inclination sensor 53 as an example of the state detection sensor of this inven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in order to detect the stat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you may use sensors other than inclination sensors,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울기 센서(53)가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를 재치면에 세워서 사용하는 세운 상태,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를 재치면(100)에 눕혀서 사용하는 눕힌 상태, 프레임(20)을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핸드헬드 상태 및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가 재치면(100)에 대향하도록 뒤집어 놓여진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 중 어느 하나만을 검출하는 예에 대해서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세운 상태, 눕힌 상태, 핸드헬드 상태 및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에 더하여,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를 벽면에 걸어 유지하는 등, 세운 상태, 눕힌 상태, 핸드헬드 상태 및 엎어 놓은 상태(불사용 상태) 이외의 상태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the inclination sensor 53 stands up and uses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on a mounting surface, and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are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100. FIG. Lie down state to use lying down, hand-held state to use by holding the frame 20 by hand and upside down state in which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 are placed upside down to face the mounting surface (100) Although the example which detects only any one was show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in the upright, lying down, handheld, and upside down states, in addition to standing up, lying down, handheld, and upright (unused), such as holding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on a wall You may make it detect other states (nonuse state).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울기 센서(53)가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를 재치면(100)에 세워서 사용하는 세운 상태 및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를 재치면(100)에 눕혀서 사용하는 눕힌 상태로 재치 가능한 외형 형상으로 프레임(20)을 구성한 예에 대해서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별도의 부재의 스탠드 등을 프레임(케이스)에 부착함으로써, 기울기 센서(53)가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를 재치면(100)에 세워서 사용하는 세운 상태 및 프레임(20) 및 액정 표시부(10)를 재치면(100)에 눕혀서 사용하는 눕힌 상태로 재치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the inclination sensor 53 puts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on the mounting surface 100, and uses the upright state, and when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10 are mounted ( Although the example which comprised the frame 20 by the external shape which can be mounted in the lying state used lying down on 100) was show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y attaching a stand or the like of a separate member to the frame (case), the tilt sensor 53 stands up and uses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 on the mounting surface 100, and the frame 20 and the liquid crystal. The display unit 10 may be placed in a flat state to be used by lying on the mounting surface 100.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리모콘 모드 시에,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하여 리모콘 신호를 포함하는 적외선을 출사함으로써, 제어 대상 기기의 리모콘 제어를 행하는 예에 대해서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Bluetooth(등록상표) 및 Zigbee(등록상표) 등의 무선 통신 규격을 이용함으로써 제어 대상 기기의 리모콘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Moreover, although the said embodiment showed the example which performs remote control control of a control object apparatus by emitting infrared rays containing a remote control signal to a control object apparatus in the remote control mod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remote control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may be performed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and Zigbee (registered trademark).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제어부의 처리 동작을 개시 시에는 이벤트 구동적으로 기재하고, 개시 이행의 처리 동작은 플로우 구동적으로 기재한 플로우차트를 이용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의 처리 동작을 완전한 이벤트 구동형으로 행해도 되고, 완전한 플로우 구동형으로 행해도 되고, 병행 처리적으로 행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although the process operation of the control part was described in the event drive at the time of starting, the process operation of the start transition was demonstrated using the flowchart which described the flow drive, but this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may be performed in a complete event drive type, may be performed in a complete flow drive type, or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processing.

Claims (20)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0)와,
상기 표시부가 표면에 설치되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의 기울기를 검지함으로써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사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상태 검출 센서(53)와,
유저의 얼굴을 촬상 가능한 촬상부(11)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유저의 얼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얼굴 방향의 검출을 행함과 함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와,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51)
를 구비한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1).
A display unit 10 for displaying information,
A case 20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on a surface thereof;
A state detection sensor 53 for detecting at least a use state of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by detecting an inclination of the case;
An imaging unit 11 capable of imaging the face of the user;
The display unit detects the face direction by a face detection function based on the data of the face of the user picked up by the imaging unit, an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ace direction and the detection resul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the display unit. Control unit 51 for controlling to switch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1 provided 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표시부의 사용 상태를 검출한 후에,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부에 의한 상기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을 행할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by the imaging unit based on a detection resul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after detecting the use state of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소정의 사용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사용 상태보다도, 상기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를 우선시켜서,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predetermined use state is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the control unit gives priority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over the use state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and corresponds to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And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onfigured to control to switch to a screen display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사용 상태는, 상기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사용 상태보다도, 상기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를 우선시켜서,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predetermined use state is a use state in which the case is held and used by hand,
When the use state of gripping and using the case by hand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gives priority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over the use state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and thus, to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for switching to a corresponding screen display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유저의 얼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의 얼굴 방향이 상기 표시부의 상하 방향을 따른 기준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 이내에서 경사져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유지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is inclin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data of the face of the user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to hold the display unit without changing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는, 상기 유저의 얼굴 방향이 상기 기준선에 대해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대략 동일하게 기울여진 각도 범위인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is an angle range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is inclined approximately equally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lin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상기 기준선을 따른 상기 표시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imaging unit is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unit along the reference li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상기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가 아닌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resul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when it is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that the case is not in a use state in which the case is held by hand.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상기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가 아닌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촬상부를 기동하지 않고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it is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that the case is not in a use state in which the case is held by hand, the control unit does not start the imaging unit, and based on a detection resul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the display unit does not start.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for switching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 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기울기를 검지함으로써,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표시부를 재치면에 세워서 사용하는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표시부를 재치면에 눕혀서 사용하는 제2 사용 상태와, 상기 소정의 사용 상태로서의 상기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제3 사용 상태 중 어느 사용 상태인지를 검출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적어도 상기 제3 사용 상태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를 우선시켜서, 유저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방향으로 전환함과 함께,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상기 제1 사용 상태 또는 상기 제2 사용 상태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state detection sensor includes: a first use state in which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stand on the mounting surface by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case; a second use state in which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are laid on the mounting surface; It is provided in order to detect which use state among the 3rd use states which hold | grip and use the said case as said predetermined use state by hand,
When the state detection sensor detects that the third use state is at least, the control unit gives priority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and switches to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And when it is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that the first use state or the second use state is detected, control is performed to switch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based on a detection resul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which is compris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 센서는, 상기 소정의 사용 상태에 더하여, 적어도 상기 표시부가 재치면에 대향하도록 엎어 놓은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상기 케이스가 유저에 의해 파지된 상기 소정의 사용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되고, 또한 상기 표시부가 재치면에 대향하도록 엎어 놓은 상태의 기울기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얼굴 검출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함과 함께,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유저에 의해 상기 케이스가 파지된 상기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검출되고, 또한 상기 표시부가 재치면에 대향하도록 엎어 놓은 상태의 기울기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하지 않고 상기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화면 표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In addition to the predetermined use state, the state detection sensor is configured to detect a state in which at least the display unit is placed so as to face the mounting surface,
The control unit detects that the face is not in the predetermined use state held by the user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and when the inclina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faces up to the mounting surface is detected, the face is detected. In the standby mode without using the detection function, the state detection sensor detects that the case is held in the predetermined use state by the user, and the display unit is in an upright state to face the mounting surface. And carry out control for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a screen display based on a detection result of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without shifting to the standby mode when a tilt is detec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하지 않고 상기 유저의 얼굴 방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화면 표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할 때,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표시부의 사용 상태를 검출하는 기능을 유지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use state of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when performing the control to display the screen display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without shifting to the standby mode.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for holding a function of detect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 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기울기를 검지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표시부를 재치면에 세워서 사용하는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표시부를 재치면에 눕혀서 사용하는 제2 사용 상태와, 상기 소정의 사용 상태로서의 상기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제3 사용 상태 중 어느 사용 상태인지를 검출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사용 상태에서의 제1 기울기와, 상기 제2 사용 상태에서의 제2 기울기가, 서로 다른 기울기가 되도록 재치면에 설치 가능한 외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state detection sensor includes a first use state in which at least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are placed on the mounting surface by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case, and a second use state in which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are laid on the mounting surface. It is provided in order to detect which use state of the 3rd use state which hold | grips and uses the said case as said predetermined use state by hand,
The cas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inclination in the first use state and the second inclination in the second use state have an external shape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mounting surface such that the inclinat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기울기와 상기 제2 기울기가, 상대적으로 90도 이상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케이스의 외형 형상에 기초하는 상기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제2 사용 상태의 상기 90도 이상 서로 다른 상기 케이스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제2 사용 상태를 판별해서 특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cas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inclination and the second inclin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more than 90 degrees.
The said control part is based on the inclination of the said case different from the said 1st use state based on the outer shape of the said case acquired by the said state detection sensor, and the said 90th degree or more of the said 2nd use state, and the said 1st use.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onfigured to determine a state and the second use state so as to be specif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상기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가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유저의 얼굴 데이터로부터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금회 검출된 기울기 값이 전회에 검출된 기울기 값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 들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유지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control unit cannot detect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from the face data of the user picked up by the imaging unit when the use state of gripping and using the case by han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is detected, And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that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this time is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from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last time, control is performed to maintain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without changing the display unit. Mobi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유저의 얼굴 데이터로부터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금회 검출된 기울기 값이 전회에 검출된 기울기 값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를 초과해서 변화하고 있다고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유저의 얼굴 방향을 다시 검출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n the control unit cannot detect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from the face data of the user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is predetermined from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last time. The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is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for detecting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again by the face detection functio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hange is over the angle rang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상기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때에,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표시부의 사용 상태를 검출하는 기능을 유지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굴 검출 기능에 의해 상기 유저의 얼굴 방향을 다시 검출하는 제어를 행한 결과, 상기 유저의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없다고 판단했을 때,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control to hold a function of detecting the case and the use state of the display uni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when detecting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by the face detection function.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result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cannot be detected as a result of performing control of detecting the face direction of the user again by the face detection function, And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onfigured to control to switch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기울기 각도를 기억하는 기억부(52)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태 검출 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기울기를 검지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표시부를 재치면에 세워서 사용하는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표시부를 재치면에 눕혀서 사용하는 제2 사용 상태와, 상기 소정의 사용 상태로서의 상기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제3 사용 상태 중 어느 사용 상태인지를 검출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사용 상태가 변경되기 전의 기울기 각도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사용 상태가 변경된 후의 기울기 각도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사용 상태 및 상기 제2 사용 상태를 판별해서 특정함과 함께, 상기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상기 제3 사용 상태를 판별해서 특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52 for storing the inclination angle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The state detection sensor includes a first use state in which at least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are placed on the mounting surface by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case, and a second use state in which the case and the display unit are laid on the mounting surface. It is provided in order to detect which use state of the 3rd use state which hold | grips and uses the said case as said predetermined use state by hand,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first use state and the second use state by comparing an inclination angle before the use state stored in the storage unit with the inclination angle after the use stat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changed. And specifying the third use state in which the case is gripped by hand and used for identificatio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울기 각도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시간과 함께 변화하는 경우에, 상기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하는 상기 제3 사용 상태를 판별해서 특정함과 함께, 상기 상태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울기 각도가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서 시간과 함께 변화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 사용 상태 또는 상기 제2 사용 상태를 판별해서 특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nd specifies the third use state of gripping and using the case by hand when the inclination angle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changes with tim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configured to discriminate and specify the first use state or the second use state when the inclination angle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does not change with time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 센서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 정보 표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tate detection sensor includes a tilt sensor.
KR1020127027913A 2011-04-06 2011-04-06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KR2013013974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8737 WO2012137327A1 (en) 2011-04-06 2011-04-06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746A true KR20130139746A (en) 2013-12-23

Family

ID=4696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913A KR20130139746A (en) 2011-04-06 2011-04-06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139746A (en)
WO (1) WO201213732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9878B (en) * 2013-03-11 2022-06-21 索尼公司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3763505A (en) * 2013-12-31 2014-04-30 华为技术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suitable for screen direction switching in video cal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856B1 (en) * 2003-06-14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cre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JP2005100084A (en) * 2003-09-25 2005-04-14 Toshiba Corp Image processor and method
JP4679194B2 (en) * 2005-03-23 2011-04-27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JP2009049512A (en) * 2007-08-14 2009-03-05 Toshiba Corp Screen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5527797B2 (en) * 2009-08-06 2014-06-25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Electron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7327A1 (en)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0334B2 (en) Mobi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JP671266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erating device, and auxiliary equipment
KR20130038843A (en)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KR101866272B1 (en) Apparatas and method of user based using for grip sensor in a portable terminal
JP5625462B2 (en) Mobi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US8307130B2 (en) Control system, oper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JP5445285B2 (en) Mobi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JP3990744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934157B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direction changing method
KR1018185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f view mode using face recognition
JP5327060B2 (en) Mobi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US8786751B2 (en) Display control system,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220322B2 (en) Game system,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game program, and game processing device
KR20150122362A (en) Mobile terminal
US8634872B2 (en) Mobile terminal for distinguishing an ear during a call and method thereof
KR20140142778A (en) Method for correcting coordination of electronic pen and potable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30139746A (en)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JP2000250434A (en) Portable information equipment and gravitational direction detector
WO2011161892A1 (en) Operation control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input device
CN106095117A (en) The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of picture display mode
KR20140117184A (en) Display apparatus and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TWI442304B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irection thereof
CN212156577U (en) Hand-held cloud platform
JP2022065826A (en) Oper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3207736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