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716A -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716A
KR20130139716A KR1020120063418A KR20120063418A KR20130139716A KR 20130139716 A KR20130139716 A KR 20130139716A KR 1020120063418 A KR1020120063418 A KR 1020120063418A KR 20120063418 A KR20120063418 A KR 20120063418A KR 20130139716 A KR20130139716 A KR 20130139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code
terminal device
data
cloud service
acces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진
Original Assignee
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3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9716A/ko
Publication of KR20130139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7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관리를 QR 코드와 같은 이차원코드를 이용하여 달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생성 또는 확보한 음성, 문서, 동영상 데이터를 클라우드 상에 저장하고 그 저장공간에 접근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이차원코드를 사용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METHOD OF MANAGING DATA OF CLOUD SERVICE USING TWO-DIMENSIONAL COD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CLOUD SERVICE DATA-MANAGEMENT PROGRA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를 QR 코드와 같은 이차원코드를 이용하여 달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생성 또는 확보한 음성, 문서, 동영상 데이터를 클라우드 상에 저장하고 그 저장공간에 접근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이차원코드를 사용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아이폰이나 아이팟, 아이패드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이나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각종의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그리고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 등을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플레이, 방송 수신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추게 되었으며, 특히 브라우저를 내장하여 무선랜이나 무선데이터통신을 통해 인터넷을 액세스할 수 있게 되어 휴대용 정보단말로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휴대단말기에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다양한 부가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강력한 네트워크 접속기능을 활용한 어플리케이션이 제안되고 있는데, 예컨대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현한다거나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를 이용한 정보전달 기능은 그 좋은 예이다.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향후 더욱더 활발하게 이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본 발명에서도 새로운 방식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관리를 QR 코드와 같은 이차원코드를 이용하여 달성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생성 또는 확보한 음성, 문서, 동영상 데이터를 클라우드 상에 저장하고 그 저장공간에 접근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이차원코드를 사용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은, 제 1 단말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소스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제 1 단말장치가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소스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는 제 2 단계; 제 1 단말장치가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제 2 단말장치에서 이차원코드를 획득하는 제 4 단계; 제 2 단말장치가 이차원코드로부터 액세스 정보를 추출하는 제 5 단계; 제 2 단말장치가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소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 6 단계; 제 2 단말장치가 소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 4 단계는, 제 1 단말장치가 이차원코드를 메시지로 제 2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4 단계는, 제 1 단말장치가 이차원코드를 외부 인쇄장치에 전달하여 인쇄물을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 제 2 단말장치가 카메라부를 통해 인쇄물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제 2 단말장치가 이미지로부터 이차원코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4 단계는, 제 1 단말장치가 이차원코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제 2 단말장치가 카메라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제 2 단말장치가 이미지로부터 이차원코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소스 데이터는 제 1 단말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데이터, 제 1 단말장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생성한 동영상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상과 같은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문서, 동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상에 저장한 후 그 저장공간에 접근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이차원코드로 생성하여 선택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이들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저렴한 비용으로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코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제 1 휴대단말기(102), 클라우드 서버(110), 제 2 휴대단말기(1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휴대단말기(102, 104)는 각종의 단말장치, 예컨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컴퓨터, 개인용컴퓨터, 키오스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1 휴대단말기(102)는 본 발명에서 이차원코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제 1 휴대단말기(102)는 사용자에 의해 소스 데이터가 특정되면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110)에 제공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소스 데이터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데이터와 사용자가 카메라 등으로 생성한 동영상 데이터(UCC 동영상 데이터)를 가정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음성, 문서,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나서, 제 1 휴대단말기(102)는 클라우드 서버(110)에 저장된 소스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는데, 그 일 예로는 클라우드 서버(110)가 액세스 정보를 제 1 휴대단말기(102)로 리턴하는 것이다. 액세스 정보는 URL 정보일 수도 있고, 임의의 포맷으로 생성된 식별코드일 수도 있다. 제 1 휴대단말기(102)는 이러한 액세스 정보가 포함되도록 이차원코드(예컨대, QR 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제 1 휴대단말기(102)는 이렇게 생성된 이차원코드를 배포함으로써 제 3 자가 이러한 소스 데이터를 손쉽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이후에 자신이 소스 데이터를 용이하게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이차원코드를 배포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원코드를 메시지(예: MMS, 카카오톡 메시지, 페이스북 메시지, E-메일, 트위터 메시지 등)으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여 다른 단말장치에서 캡쳐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인쇄물(즉석 스티커 포함) 또는 명함에 인쇄하여 다른 사람에게 배포하여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상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휴대단말기(102)는 카메라부를 통해 제 1 휴대단말기(102)에 의해 생성된 이차원코드를 획득한다. 이를 통해, 이차원코드에 포함된 액세스 정보를 참조하여 소스 데이터(음성, 문서,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저장위치를 확인하고, 클라우드 서버(110)로부터 이차원코드에 상응하는 소스 데이터를 제공받아 각자의 포맷에 대응하여 음향으로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로 표시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양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이차원코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차원코드(1)는 3개의 위치결정용 심볼(2), 데이터 영역(3), 타이밍 셀(4), 정정검출용 셀(5)을 포함한다. 전체는 셀 수가 종횡 동수 21x21의 정방형 모양으로 배치되고, 각 셀은 광학적으로 다른 2 종류의 셀(흰색 셀 또는 검은색 셀)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이밍 셀(4)은 경사의 교대 명암 셀이고, 정정검출용 셀(5)은 타이밍 셀도 겸하고 있다.
위치결정용 심볼(2)은 이차원코드(1)의 4개의 모서리 중에서 3개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 셀의 명암 배치는 검은색 정방형(2a) 내의 중심에 희색의 축소 정방형(2b)이 형성되고, 그 안의 중심에 검은색 축소 정방형(2c)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치결정용 심볼(2)의 중심을 대표적인 각도에서 가로지르는 주사선 3개에 의한 명암 검출 패턴에 따르면 각 주사선에 대한 주파수 성분비는 어둡다:희다:어둡다:희다:어둡다에 대해 1:1:3:1:1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차원코드가 회전되어 있어도 일정 방향의 주사 처리만으로 위치결정용 심볼의 주파수 성분비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위치결정용 심볼의 중심 위치가 용이하게 조기에 판명되기 때문에 이차원코드의 위치를 신속히 특정할 수 있다.
타이밍 셀(4)은 이차원코드의 한 모서리로부터 대각선상에 흰색 셀(4a), 검은색 셀(4b)을 교대로 배치한 구조이다. 즉, 이차원코드의 데이터 영역(3) 내에 형성되며, 각 데이터 셀의 좌표를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타이밍 셀(4)을 이용하여 데이터 영역(3)의 각 데이터 셀(6)의 좌표를 구하기 위해 우선 각 타이밍 셀의 중심 좌표를 구하고, 이차원코드 근처에 각 셀의 중심 좌표를 통과하는 가상선을 긋고, 이러한 가상선의 교점을 각 데이터 셀의 좌표로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타이밍 셀을 배치하여 데이터 셀의 좌표를 구한다면 타이밍 셀을 나란히 배치하는 것보다 데이터 비율을 높게 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3) 중 돌출하고 있는 영역(3a, 3b)에 대해서는 타이밍 셀(4)로부터 종횡의 가상선을 긋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협소한 범위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문제가 없다. 또한, 영역 3a, 3b는 위치결정용 심볼(2)들 사이에 끼어 있는 영역이기 때문에 그 위치결정용 심볼의 명암으로부터 가상선을 긋기 시작하여 교점을 획득하여 정확한 좌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3) 내에 표시되어 있는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코드의 더로움이나 파손 등에 대해서도 복원할 수 있는 오류 정정 부호와 오류 검출을 하는 CRC 부호를 부가하여 코드화되어 있다. 특히, 코드의 더러움이나 파손에 대해서는 버스트 오류 정정 부호가 적당하고, 정정 효율이 좋은 리드 솔로몬 부호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스트 오류 정정 부호로 코드화되는 각 캐릭터 데이터(복수 비트)를 데이터 셀 영역에 할당한다. 각각의 캐릭터는 각 비트에 해당하는 셀(6a)을 정방형에 가깝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캐릭터의 데이터가 8비트와 패리티가 1비트의 9셀(b0~b8)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캐릭터의 각 셀군을 정방형에 가까워지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더러움이나 파손에 대한 캐릭터 단위의 손상이 적고 오류 정정이 쉽고 판독 성능이 높아진다.
또한, 데이터 영역(3)에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음성, 문서,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위치에 대한 액세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300)는 무선통신부(302), 카메라부(304), 조작부(306), 전원공급부(308), 디스플레이부(310), 음향출력부(312), 저장부(314), 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와 같은 형태의 휴대단말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무선통신부(302)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인터넷 모듈, 근거리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110)와 연동하여 음성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망 상에서 기지국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통화 호 신호,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인터넷 모듈은 무선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이고, 근거리통신 모듈은 근거리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카메라부(304)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31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304)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314)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부(302)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304)는 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인쇄된 이차원코드를 촬영하여 해당 화상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조작부(306)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는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패드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308)는 외부 전원이나 내부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0)는 휴대단말기(300)에서 처리되는 각종의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300)가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I)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300)가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 그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또는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10)는 이차원코드에 포함된 액세스 정보를 활용하여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110)로부터 획득한 동영상 데이터(소스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310)는 액정 디스플레이,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플랙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312)는 통화모드 등에서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되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출력부(312)는 이차원코드에 포함된 액세스 정보에 따라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110)로부터 획득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314)는 제어부(3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그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마이크부(206)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고, 녹음모드인 경우에는 오디오 파일로 생성되어 내부 저장공간에 임시 또는 영구하게 저장된다. 마이크부(206)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휴대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통화, 이미지 처리 등을 위한 관련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이차원코드를 생성하거나 카메라부(304)를 통해 획득된 이차원코드에 포함된 액세스 정보를 참조하여 음성, 문서,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저장위치를 확인하고, 클라우드 서버(110)로부터 이차원코드에 상응하는 음성, 문서, 동영상 데이터를 제공받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코드 생성기([도 1]에서 제 1 휴대단말기(102)에 대응함)는 소스 데이터로서 마이크부(316)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으면(S402), 그 입력된 음성 데이터(오디오 파일)를 클라우드 서버에 제공하여 저장하도록 한다(S404).
그리고 나서, 이차원코드 생성기(102)는 음성 데이터의 클라우드 서버(110) 상에 저장위치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이러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도록 이차원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406).
이때, 이차원코드 생성기(102)는 이차원코드를 생성한 이후에 이를 배포하는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의 저장위치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차원코드 생성기(102)는 이차원코드를 생성한 이후에 음성 데이터의 저장위치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인쇄 정보로 제공하여, 이차원코드가 외부의 인쇄장치(프린터)에 의해 즉석 스티커, 명함, 홍보물 등으로 인쇄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단말기([도 1]에서 제 2 휴대단말기(104)에 대응함)의 카메라부(304)를 통해 이차원코드가 획득되면(S408), 휴대단말기(104)는 관련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미지 처리를 통해 이차원코드(예: QR 코드)에 포함된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며, 다시 이를 참조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데이터의 클라우드 상에 저장위치를 확인한다(S410).
또한, 휴대단말기(104)는 클라우드 서버(110)로부터 이차원코드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고(S412), 그 제공된 음성 데이터를 음향출력부(31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414).
[도 5]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코드 생성기([도 1]에서 제 1 휴대단말기(102)에 대응함)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카메라부(304)를 통해 동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면(S502), 그 생성된 동영상 데이터를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110)에 제공하여 저장하도록 한다(S504).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코드 생성기(102)는 동영상 데이터의 클라우드 서버(110)상에 저장위치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506).
이때, 이차원코드 생성기(102)는 이차원코드를 생성한 이후에,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위치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차원코드 생성기(102)는 이차원코드를 생성한 이후에,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위치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인쇄 정보로 제공하여, 이차원코드가 외부의 인쇄장치(프린터)에 의해 즉석 스티커, 명함, 홍보물 등으로 인쇄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도 1]에서 제 2 휴대단말기(104)에 대응함)의 카메라부를 통해 이차원코드가 획득되면(S508), 휴대단말기(104)는 이차원코드(예: QR 코드)에 포함된 액세스 정보를 참조하여 동영상 데이터의 클라우드 서버(110)상에 저장위치를 확인한다(S510).
또한, 휴대단말기(104)는 클라우드 서버(110)로부터 이차원코드에 상응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제공받고(S512), 그 제공된 동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해 표시 출력할 수 있다(S514).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2, 104 : 휴대단말기
110 : 클라우드 서버
300 : 휴대단말기
302 : 무선통신부
304 : 카메라부
306 : 조작부
308 : 전원공급부
310 : 디스플레이부
312 : 음향출력부
314 : 저장부
316 : 마이크부
320 : 제어부

Claims (6)

  1. 제 1 단말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소스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말장치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소스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말장치가 상기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제 2 단말장치에서 상기 이차원코드를 획득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2 단말장치가 상기 이차원코드로부터 액세스 정보를 추출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2 단말장치가 상기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소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2 단말장치가 상기 소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장치가 상기 이차원코드를 메시지로 상기 제 2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장치가 상기 이차원코드를 외부 인쇄장치에 전달하여 인쇄물을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장치가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인쇄물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장치가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이차원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장치가 상기 이차원코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장치가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장치가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이차원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소스 데이터는 상기 제 1 단말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데이터, 상기 제 1 단말장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생성한 동영상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63418A 2012-06-13 2012-06-13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30139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418A KR20130139716A (ko) 2012-06-13 2012-06-13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418A KR20130139716A (ko) 2012-06-13 2012-06-13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716A true KR20130139716A (ko) 2013-12-23

Family

ID=49984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418A KR20130139716A (ko) 2012-06-13 2012-06-13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971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6167A (zh) * 2017-01-03 2017-06-09 上海读意科技有限公司 一种二维码录音系统
CN109451561A (zh) * 2018-10-08 2019-03-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设备联网的方法和智能联网设备
KR102249273B1 (ko) * 2019-12-04 2021-05-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6167A (zh) * 2017-01-03 2017-06-09 上海读意科技有限公司 一种二维码录音系统
CN109451561A (zh) * 2018-10-08 2019-03-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设备联网的方法和智能联网设备
KR102249273B1 (ko) * 2019-12-04 2021-05-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7990B2 (en) Two-dimensional code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EP2833284B1 (en) Method of controlling NFC-related service provision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US8033469B2 (en) Apparatus for performing multimedia-based data transmission and associated method
CN109146760B (zh) 一种水印生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190355122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cessing Document
EP2731371A2 (en) Method and device for user terminal pairing
CN111125601B (zh) 文件传输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03561072A (zh) 一种基于互联网的云数据处理方法及云数码相框
CN103853819A (zh) 一种信息获取的方法、终端及系统
CN106599758A (zh) 一种画质处理方法及终端
CN102902943A (zh) 一种二维码扫描的方法、处理装置及终端
CN107230065B (zh) 一种二维码显示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992768B (zh) 一种信息保护的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1935542A (zh) 视频处理方法、视频播放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830819A (zh) 编码、解码方法、编码端和解码端
CN113723136A (zh) 条码矫正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901283B (zh) 资源转移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116582B1 (ko)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방법
KR20130139716A (ko)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9396211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barcode
RU2617547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nfc
KR20150109597A (ko) 터치 패널, 이동 단말기 그리고 무선 입력장치
WO2015022995A1 (ja) 情報再生表示システムおよび情報表示装置
CN203574690U (zh) 一种云数码相框
KR20120138567A (ko) 콘텐츠 변환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콘텐츠 변환을 위해 사용되는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