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754A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highlight video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highlight vide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754A
KR20130127754A KR1020120051509A KR20120051509A KR20130127754A KR 20130127754 A KR20130127754 A KR 20130127754A KR 1020120051509 A KR1020120051509 A KR 1020120051509A KR 20120051509 A KR20120051509 A KR 20120051509A KR 20130127754 A KR20130127754 A KR 20130127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ptured
recording
captured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5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75669B1 (en
Inventor
김광철
박윤서
송혜원
배정만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1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669B1/en
Publication of KR20130127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7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6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a highlight video characterized by capturing a video screen when a user wishes to record a portion of the video screen during photographing a video so that the video of a certain time amount of before and after the capture time can be automatically recorded as the highlight video. When the user photographs the video, the photographed video is temporally stored in a RAM, and when capture signals are generated, the capture video corresponding to a certain time before and after the time of sensing capture signals is extracted from the RAM to be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As such, the user can extract only a desired portion of video during photographing the video to easily and conveniently manufacture and record the highlight video. [Reference numerals] (10) Photographing unit;(20) Storage unit;(30) Image recording unit;(40) Display unit;(50) Input unit;(60) Communication unit;(70) Control unit

Description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highlight video}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highlight video}

본 발명은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동영상 촬영 중에 그 일부만 기록하고 싶은 동영상 화면이 발생했을 때 그 동영상 화면을 순간 포착하면 포착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 분량의 동영상이 하이라이트 동영상으로 자동 기록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light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a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video screen that only a portion of it is desired to be recorded occurs during video recording, when the video screen is captured at a moment, a certain amount of video before and after the capture point is a highlight video. A method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rding a highlight movie are recorded.

많은 사람들은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 폰 등을 가지고 사진을 찍거나 동영상을 촬영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기록한다. Many people record photos or videos by taking pictures or shooting videos with camcorders, digital cameras, smartphones, etc.

동영상을 촬영하고 기록할 때 기록된 동영상의 모든 장면이 사용자에게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만 재미있고 기억할 만한 장면이 언제 나올 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모든 장면을 촬영하고 기록하는 것이다. When shooting and recording a movie, not every scene of the recorded movie is required by the user. Just because you don't know when a fun and memorable scene will come out, you're shooting and recording every scene.

동영상 파일은 용량이 커서 캠코더, 카메라, 스마트 폰 등의 동영상 기록 장치에 많은 동영상 파일을 저장할 수 없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재미있고 기억할 만한 장면이 담긴 동영상 파일이 많은 용량을 차지할 때 삭제할 지 아니면 다른 저장매체로 저장할 지 동영상 파일에 대한 처리에 곤란을 겪을 때가 많다. 또한 사용자가 재미있고 기억할 만한 장면이 담긴 동영상 파일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을 때 용량이 큰 동영상 파일을 공유하는 것은 쉽지 않다.Video files are large and cannot store many video files on video recording devices such as camcorders, cameras and smartphones. From a user's point of view, it's often difficult to deal with video files that contain funny and memorable scenes when they take up a lot of space. Also, sharing large video files is not easy when users want to share a video file with fun and memorable scenes with others.

최근에는 이러한 동영상 파일에 대하여 불필요한 장면을 덜어내고 필요한 장면만 취하여 저장 용량을 줄일 수 있는 후 편집 기능이 동영상 기록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Recently, a post-editing function has been applied to a moving picture recording apparatus that can reduce storage capacity by removing unnecessary scenes and taking only necessary scenes.

그러나 사용자 입장에서는 촬영 후 동영상 파일에서 불필요한 장면을 삭제하고 원하는 장면만을 취해 하이라이트 동영상을 제작하는 편집과정이 쉽지 않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editing process of deleting an unnecessary scene from a video file and taking a desired scene to produce a highlight video after shooting is not easy and cumbersom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 중에 원하는 장면만을 취해 쉽고 편리하게 하이라이트 동영상을 제작하여 기록할 수 있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light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easily and conveniently create and record a highlight video by taking only a desired scene during shoot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영상 파일에서 원하는 장면만을 취해 쉽고 편리하게 하이라이트 동영상을 제작하여 기록할 수 있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light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easily and conveniently create and record a highlight video by taking only a desired scene from a video fil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촬영한 동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동영상을 기록하는 영상 기록부와, 순간 포착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와, 상기 순간 포착 신호를 감지하면 순간 포착 신호 감지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에 해당하는 포착 동영상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영상 기록부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this end, the highlight video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for converting a photographed video photographed by the subject to an electrical signal, a storage unit for temporarily storing the video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An image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a moving picture temporarily stored in a storage unit,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instantaneous capture signal, and detecting the captured video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the detection of the instantaneous capture signal when the momentary capture signal is detected. And a controller for recording the video recording unit.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방법은 순간 포착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순간 포착 신호가 감지되면 순간 포착 신호 감지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에 해당하는 포착 동영상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포착 동영상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cording a highlight video, including: generating an instant capture signal; extracting a captured video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the detection of the instant capture signal; Recording the extracted captured moving picture.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은 제1 영역에 동영상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와, 제2 영역에 동영상 파일이 저장되는 갤러리 아이콘이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거나 특정 버튼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 감지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에 해당하는 포착 동영상의 썸네일이 제3 영역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recording a highlight video, including displaying a video screen in a first area, displaying a gallery icon in which a video file is stored in a second area, and displaying the first video. And if a touch is detected in a region or a touch of a specific button is detected, a thumbnail of a captured video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the touch sensing time is displayed on the third reg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촬영 중에 원하는 부분의 동영상만을 추출하여 쉽고 편리하게 하이라이트 동영상을 제작하여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create and record the highlight video by extracting only the video of the desired portion during shooting.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기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면서 원하는 부분의 동영상만을 추출하여 쉽고 편리하게 하이라이트 동영상을 제작하여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create and record the highlight video by extracting only the video of the desired portion while playing the pre-stored video file.

또한 원하는 장면이 나올 때 그 장면의 전후 일정 시간 분량의 동영상만을 기록함으로써 기록하고자 하는 포착 동영상의 전후 맥락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적정한 용량의 하이라이트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a desired scene comes out, only a certain amount of moving pictures are recorded before and after the scen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duce a highlight video having an appropriate capacity without damaging the front and rear context of the captured video to be recorded.

또한 본 발명은 동영상 촬영이나 재생 중에 사용자의 한 번의 터치만으로 매우 간편하게 터치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 분량의 동영상을 하이라이트 동영상으로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very easy to record a certain amount of video before and after the touch point as a highlight video with a single touch of the user during video recording or playback.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포착 동영상에 대하여 특수효과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하이라이트 동영상을 임의로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set a special effect for the captured video has the effect that can be processed arbitrarily the highlight video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또한 본 발명은 포착 동영상의 썸네일이 표시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포착 동영상의 생성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e generation of the captured video by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at displays a thumbnail of the captured vide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촬영 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재생 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갤러리 화면.
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highlight video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ighlight video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reen shot of the user interface for recording a highlight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yback screen of a user interface for recording a highlight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allery screen of a user interface for recording a highlight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and effect thereof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ll-known configura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ighlight video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는 촬영부(10), 저장부(20), 영상 기록부(30), 표시부(40), 입력부(50), 통신부(60), 제어부(7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highlight video recording apparatus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10, a storage unit 20, an image recording unit 30, a display unit 40, an input unit 50, a communication unit 60, a control unit 70, and the like. Include.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는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스마트 폰, 노트북, 태블릿 PC,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되고 동영상 파일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매체가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가능하다. The highlight video recording device may be a digital camcorder, a digital camera,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a tablet PC, a computer,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recording medium capable of recording a video and recording a video file may be provided. Any device may be used.

촬영부(10)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촬영한 동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촬영부(10)는 광 영상신호를 받아 들이는 렌즈와 광 영상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반도체소자로 구성된다. 촬영부(10)에서 출력된 전기신호는 제어부(70)에서 영상 처리(image processing)된다. The photographing unit 10 converts the photographed video by photographing a subject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photographing unit 10 includes a lens that receives an optical image signal and a semiconductor element that converts the optical imag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 is imag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70.

저장부(20)는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임시 저장(buffering)한다. 즉, 촬영부(10)에서 출력된 전기신호가 제어부(70)에서 영상 처리되어 하나의 이미지로서 저장부(20)에 연속적으로 저장된다. 저장부(20)는 램(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에 할당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20 temporarily buffers the video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0. That is,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 is image-processed by the controller 70 and continu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 as one image. The storage unit 20 may be allocated to a volatile memory such as RAM.

영상 기록부(30)는 저장부(20)에 임시 저장된 동영상을 기록한다. 촬영이 시작되면 촬영된 동영상은 저장부(20)에 버퍼링 되고 촬영이 종료되면 저장부(20)에 임시 저장된 동영상은 영상 기록부(30)로 이동하여 기록된다. 영상 기록부(30)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광학 디스크 또는 다른 대용량의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mage recording unit 30 records the moving picture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 When shooting starts, the captured video is buffered in the storage unit 20, and when shooting ends, the video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 moves to the image recording unit 30 and is recorded. The image recorder 30 may include a flash memory, a hard disk, an optical disk, or another mass storage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기록부(30)는 순간 포착된 동영상을 기록한다. 즉, 저장부(20)에 임시 저장된 동영상에서 순간 포착된 부분이 추출되어 영상 기록부(30)에 기록될 수 있다. The image recording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the captured video. That is, a part captured in the moving picture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 may be extracted and recorded in the image recording unit 30.

표시부(40)는 촬영된 동영상 또는 재생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표시부(40)는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40 displays a captured video or a reproduced video. The display unit 40 may be configured as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and an LED.

입력부(50)는 촬영 개시, 촬영 종료, 순간 포착 등을 위한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킨다. 입력부(50)는 다수의 버튼이나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고, 표시부(40)에 터치패드가 부착되어 표시부(40)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면 입력부(50)는 표시부(4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가 풀 터치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전면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의 입력부(50)는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입력동작을 수행한다. The input unit 50 generates an event signal for shooting start, shooting stop, instant capture, and the like. The input unit 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or a keypad. When the touch pad is attached to the display unit 40 and the display unit 40 is a touch screen, the input unit 5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play unit 40. Can be. When the highlight video recor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ont touch screen such as a full touch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the input unit 50 of the highlight video recording device performs an input operation through a user's touch.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50)를 통해 사용자는 순간 포착 횟수나 순간 포착 동영상의 시간 분량을 설정하거나 순간 포착 동영상에 대한 특수효과를 설정할 수 있다. Through the input unit 5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set the number of instant capturing times, the amount of time of the capturing video, or set a special effect on the capturing video.

통신부(60)는 영상 기록부(30)에 기록된 동영상 파일을 외부의 장치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60)는 영상 기록부(30)에 기록된 순간 포착 동영상 파일을 외부의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60)는 2G, 3G, 4G, WiBro, WiMax, LTE 등 다양한 세대의 이동 통신규격이나 무선랜(W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규격이나 RFI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접 또는 근방 통신규격이 적용된 송수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60 transmits the moving image file recorded in the image recording unit 30 to an external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the captured video file recorded in the image recording unit 30 to an external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60 is a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of various generations such as 2G, 3G, 4G, WiBro, WiMax, LTE, or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WLAN, Wi-Fi, Bluetooth, Zigbee, etc. It may be configured as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to which a standard or a near or near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RFID o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s applied.

제어부(70)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The controller 70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highlight video recording device as a whole.

제어부(70)는 촬영부(10)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저장부(20)에 버퍼링하고 영상 처리된 동영상을 표시부(40)에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70)는 영상 기록부(30)에 기록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여 표시부(40)에 디스플레이한다. The controller 70 processes the video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0, buffers the video in the storage unit 20, and displays the processed video on the display unit 40. The controller 70 reproduces the moving image file recorded in the image recording unit 30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4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70)는 입력부(50)에 의한 순간 포착 신호를 감지하면 순간 포착 감지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에 해당하는 포착 동영상을 저장부(20)로부터 추출하여 영상 기록부(30)에 기록한다. 촬영 중 또는 동영상 파일 재생 중에 포착 동영상은 1개 이상 제작가능하며, 만약 포착 동영상이 복수 개 발생한 경우, 제어부(70)는 복수 개의 포착 동영상을 연결하여 하나의 동영상으로 만들 수 있다. When the controller 70 detects the momentary capture signal by the input unit 50, the controller 70 extracts a captured video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the momentary capture detection time from the storage unit 20 to record an image recording unit 30. ). One or more captured videos may be produced during shooting or playing a video file. If a plurality of captured videos are generated, the controller 70 may connect the plurality of captured videos to form a single video.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ighlight video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가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시작하면(S10), 촬영된 동영상이 저장부(20)에 버퍼링된다(S20). 다음, 제어부(70)는 동영상 촬영 중에 순간 포착 신호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S30). 사용자는 촬영된 동영상 화면을 보면서 포착하고 싶은 화면이 발생하면 입력부(50)를 통해 순간 포착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First, when a user starts shooting using a camera (S10), the captured video is buffered in the storage unit 20 (S20). Next, the controller 70 checks whether an instant capture signal is detected during video recording (S30). The user may generate a momentary capture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50 when a screen to be captured is generated while viewing the captured video screen.

순간 포착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촬영된 동영상의 버퍼링 동작만이 진행되고, 순간 포착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70)는 저장부(20)에서 순간 포착 신호가 감지된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 분의 포착 동영상을 추출한다(S50). If the instant capture signal does not occur, only the buffering operation of the captured video proceeds. If the instant capture signal is generated, the controller 70 captures the captured video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the time when the instant capture signal is detected in the storage unit 20. It is extracted (S50).

일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다. 사용자가 포착 동영상의 시간 분량을 설정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A certain time is set by the user. The manner in which the user sets the amount of time of the captured video may vary.

첫 번째 방식은 사용자가 포착 동영상의 총 시간 분량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그 총 시간 분량을 감지 시점의 전후로 동일하게 나누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부(50)를 통해 포착 동영상의 분량을 5초로 설정한 경우 감지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2.5초~이후 2.5초 총 5초 분량의 동영상이 포착될 수 있다. The first method is to automatically divide the total amount of time equally before and after the detection time when the user sets the total amount of time of the captured video. 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the amount of captured video to 5 seconds through the input unit 50, a total of 5 seconds of video for 2.5 seconds to 2.5 seconds after the detection time may be captured.

두 번째 방식은 사용자가 감지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및 이후 시간 분량을 각각 설정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전 3초 이후 2초로 시간을 설정하여 총 5초의 포착 동영상이 추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the second method, the user sets a time amount before and after the detection time,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user may set the time to 2 seconds after the previous 3 seconds so that a total of 5 seconds of captured video can be extracted.

한편, 제어부(70)는 포착 동영상을 추출하기 전에 순간 포착 신호 발생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S40). 이 경우 순간 포착 신호 발생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N)를 초과하면 동영상 포착이 수행되지 않고, 기 설정된 횟수(N) 이하인 경우에만 동영상 포착이 수행된다. 사용자는 입력부(50)를 통해 순간 포착 신호 발생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70 may check the number of instant capture signal generation before extracting the captured video (S40). In this case, if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instantaneous acquisition signal exceeds the preset number N, the video capture is not performed, and the video capture is performed only when the preset number 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number N. The user may set the number of instant capture signal generations through the input unit 50.

상기 순간 포착 신호가 감지되어 포착 동영상이 저장부(20)로부터 추출되면, 추출된 포착 동영상은 영상 기록부(30)에 기록된다(S60). 추출한 포착 동영상이 기록될 때 다양한 특수효과가 적용되어 기록될 수 있다. When the captured video is detected and the captured video is extracted from the storage unit 20, the extracted captured video is recorded in the video recording unit 30 (S60). When the extracted captured moving picture is recorded, various special effects may be applied and recorded.

즉, 사용자는 입력부(50)를 통해 포착 동영상에 대한 필터, 백그라운드뮤직, 화면전환 등의 다양한 특수효과를 설정해 놓을 수 있다. That is, the user may set various special effects such as a filter, a background music, a screen change, and the like for the captured video through the input unit 50.

제어부(70)는 포착 동영상을 기록할 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수효과가 확인되면 포착 동영상에 대하여 특수효과 처리를 한 후 특수효과 처리된 포착 동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If the special effect set by the user is confirmed when recording the captured video, the controller 70 may perform the special effect processing on the captured video, and then record the captured video processed with the special effects.

또한 포착 동영상이 복수 개일 때 제어부(70)는 각 포착 동영상을 기록하는 동시에 복수 개의 포착 동영상을 묶어 하나의 동영상으로 생성한 후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전환에 대한 특수효과가 설정되어 있다면 포착 동영상 사이에 화면전환 특수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aptured moving images, the controller 70 may record each captured moving image and simultaneously generate a plurality of captured moving images as a single moving image and record the captured moving image. In this case, if a special effect on the screen transition is set, the screen transition special effect may be applied between captured videos.

다음, 제어부(70)는 촬영 종료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70). 촬영 종료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동영상 촬영은 계속되고, 만약 촬영 종료 신호가 발생한 경우 동영상 촬영은 정지되고 동영상 파일에 대한 기록 요청이 있는지 확인한다(S80). Next, the controller 70 checks whether a shooting end signal is generated (S70). If the shooting end signal does not occur, the video shooting continues, and if the shooting end signal occurs, the video recording is stopped and checks whether there is a request for recording the video file (S80).

동영상 파일에 대한 기록 요청이 있으면 촬영 종료 전까지 저장부(20)에 임시 저장된 동영상이 영상 기록부(30)로 이동하여 기록된 후 촬영 종료되고(S90), 동영상 파일에 대한 기록 취소가 있으면 임시 저장된 동영상은 영상 기록부(30)에 기록되지 않고 촬영 종료된다(S100). If there is a recording request for the video file, the video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 moves to the video recorder 30 and is recorded until the recording is finished, and then the recording ends (S90). Shooting is terminated without being recorded in the image recording unit 30 (S100).

도 2의 순서도에 따르면, 촬영 종료 신호 발생 이후 동영상 파일 기록 요청에 대한 확인 단계가 진행되나, 동영상 파일 기록 요청에 대한 확인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기록한 포착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즉, 포착 동영상이 기록된 후 촬영 종료 신호 발생 시 동영상 파일 기록과 동시에 포착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거나, 촬영 종료 신호가 발생하고 동영상 파일 기록 요청에 대한 확인 후 포착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lowchart of FIG. 2, after the shooting end signal is generated, a confirmation step for the video file recording request is performed, but a step for displaying a screen for playing the captured video recorded before or after the confirmation step for the video file recording request is performed. Can be. That is, a screen for playing back a captured video at the same time as recording a video file when a recording end signal occurs after the captured video is recorded, or a screen for playing back a captured video after confirmation of a video file recording request is generated. Can be displayed.

또한, 도 2는 촬영 중에 하이라이트 동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는데, 도 2의 순서도는 동영상 파일 재생 시 하이라이트 동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FIG. 2 illustrates a process of producing a highlight video during shooting. The flowchart of FIG. 2 may be equally applied to a process of producing a highlight video when playing a video file.

동영상 파일 재생을 시작하면 동영상이 재생되고 사용자로부터 순간 포착 신호가 입력되면 순간 포착 신호가 감지된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 분의 동영상을 추출하여 포착 동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순간 포착 신호가 감지되어 포착 동영상을 추출하기 전에 순간 포착 신호 발생 횟수를 확인할 수 있고, 재생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기록한 포착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video file starts to be played, the video is played, and when the instant capture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the captured video can be recorded by extracting a certain amount of video before and after the time when the instant capture signal is detected. Similarly, the number of instant capture signals may be checked before the captured video signal is detected and the captured video is extracted, and when a reproduction end signal is input, a screen for playing the recorded captured video may be displayed.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3 to 5 show screens of a user interface for highlight movie recor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전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의 사용자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의 표시부(40)와 입력부(5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of a user interface of a highlight video recording device configured as a front touch screen, such as a smart phone and a tablet PC,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40 and the input unit 50 of the highlight video recording device may be integrally formed.

도 3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촬영화면은 동영상 화면이 표시되는 제1 영역(100), 제1 영역(100)의 우측에 위치하여 각종 버튼 또는 아이콘이 표시되는 제2 영역(200), 제1 영역(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포착 동영상의 썸네일이 표시되는 제3 영역(300)으로 구성된다. In FIG. 3, a photographing screen of a user interface includes a first region 100 where a video screen is displayed, a second region 200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region 100, and various buttons or icons displayed thereon, and a first region. It is composed of a third area 300 located below 100 to display thumbnails of captured video.

제1 영역(100)은 현재 촬영 중인 장면이 표시되는 부분이다. 촬영부(10)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이 제어부(70)에서 영상 처리되어 저장부(20)에 버퍼링되면서 제1 영역(100)에 동영상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제1 영역(100)에 표시된 동영상 화면을 보면서 기록하고 싶은 화면을 포착할 수 있다. The first area 100 is a portion in which a scene currently being shot is displayed. The video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0 is processed by the controller 70 and is buffered in the storage unit 20 to display the video in the first area 100. The user may capture a screen to be recorded while watching the video screen displayed on the first area 100.

제2 영역(200)은 포착 동영상 및 동영상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갤러리를 나타내는 갤러리 아이콘(202), 촬영을 시작하거나 종료하기 위한 촬영 개시/종료 버튼(204), 동영상을 포착하기 위한 순간 포착 버튼(206) 등을 포함한다. The second area 200 includes a gallery icon 202 representing a gallery in which captured video and video files are stored, a recording start / end button 204 for starting or ending recording, and a moment capturing button for capturing a video ( 206) and the like.

순간 포착 버튼(206)에는 5라는 특정 숫자가 표시되어 있는데 이 특정 숫자는 순간 포착 시 포착되는 동영상의 시간분량으로 포착 동영상의 재생 시간과 동일한 의미이다. 즉, 순간 포착 신호 감지 시점의 전후 시간의 총 분량이 5초라는 것을 의미한다. 5초 분량의 포착 동영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후 2.5초에 해당하는 동영상일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전후 다른 시간인 동영상일 수도 있다. 순간 포착 버튼(206)에 표시된 특정 숫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The momentary capture button 206 is marked with a specific number of 5, which is the amount of time of the video captured during the momentary capture and is equivalent to the playback time of the captured video. That is, it means that the total amount of time before and after the detection of the instantaneous acquisition signal is 5 seconds. As described above, the captured video of 5 seconds may be a video corresponding to 2.5 seconds before and after, or may be a video at different times before and after the user's setting. The specific number displayed on the capturing button 206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제3 영역(300)은 순간 포착 시 포착 동영상의 생성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포착 동영상의 썸네일(302), 포착 동영상에 대한 특수효과를 설정할 수 있는 특수효과 아이콘(304) 등을 포함한다. The third area 300 includes a thumbnail 302 of the captured video for visually representing the generation of the captured video when capturing the moment, an annotation icon 304 for setting a special effect for the captured video, and the like.

포착 동영상이 1개인 경우 하나의 썸네일만이 표시되고, 포착 동영상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썸네일이 포개져 표시될 수 있다. 썸네일의 표시 방식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순간 포착 신호 발생 횟수를 N회로 설정한 경우 N개까지의 썸네일이 포개져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re is one captured video, only one thumbnail may be displayed, 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aptured videos, a plurality of thumbnails may be superimposed and displayed. The display method of the thumbnail may be changed by the user's setting. That is, when the user sets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instantaneous acquisition signal to N times, up to N thumbnails may be displayed in a superimposed manner.

또한 사용자는 순간 포착 신호 발생 횟수를 N회로 설정하고 N개까지의 하이라이트 동영상의 개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순간 포착 신호 발생 횟수를 3회로 하고 3개의 포착 동영상의 한 묶음이 3개까지 생성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개져 있는 3개 포착 동영상의 썸네일이 3개까지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set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instant capture signal to N times and the number of up to N highlight videos. For example, the user may set the number of instant capture signals to be generated three times and generate up to three bundles of three captured video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up to three thumbnails of three captured videos may be displayed.

또한 사용자는 특수효과 아이콘(304)을 이용하여 포착 동영상에 적용할 다양한 특수효과를 설정할 수 있다. 특수효과 아이콘(304)은 동영상 화면을 편집할 수 있는 필터 아이콘, 백그라운드뮤직을 삽입할 수 있는 백그라운드뮤직 아이콘, 복수 개의 포착 동영상 간 화면전환을 위한 화면전환 아이콘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아이콘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set various annotations to be applied to the captured video using the annotation icon 304. Annotation icon 304 is an icon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a filter icon for editing a video screen, a background music icon for inserting a background music, and a screen switching icon for switching between a plurality of captured videos. It may be provided.

사용자가 촬영 개시/종료 버튼(204)을 터치하여 동영상 촬영을 시작한다. 동영상 촬영 중에 포착하고 싶은 화면이 나오면 사용자는 순간 포착 버튼(206)을 누른다. 그러면 순간 포착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 분량의 포착 동영상이 기록되면서 포착 동영상의 썸네일(302)이 표시된다. The user touches the shooting start / end button 204 to start shooting a video. When a screen to be captured comes out during video recording, the user presses the moment capture button 206. Then, the captured video of a certain amount of time before and after the capturing moment is recorded, and the thumbnail 302 of the captured video is displayed.

포착 동영상의 썸네일은 순간 포착의 횟수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썸네일이 포개져 표시될 수도 있고 또는 작은 썸네일이 분리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The thumbnail of the captured video may be displayed in a manner that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e number of instant captures. That is, as shown in FIG. 3, thumbnails may be displayed by being stacked or small thumbnails may be displayed separately.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순간 포착 버튼(206)을 이용하여 포착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영역(100)을 터치하는 경우에도 순간 포착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ture of the captured video using the capturing button 206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apturing may occur even when the first area 100 is touched.

상술한 바와 같이 동영상에 대한 순간 포착을 하고 동영상 촬영을 종료하기 위해 촬영 개시/종료 버튼(204)을 누르면 동영상 촬영은 종료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pturing start / end button 204 is pressed in order to capture the moment and end the video recording, the video recording is terminated.

동영상 촬영이 종료될 때 제3 영역(300)에 표시된 썸네일(302)이 갤러리 아이콘(202)으로 이동하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연출될 수 있다. 즉, 썸네일(302)이 제1 영역(100)을 날아가 갤러리 아이콘(202)으로 들어가고 제3 영역(300)에는 썸네일(302)이 사라지는 장면이 표시되어, 사용자는 동영상 촬영 종료와 함께 포착 동영상이 갤러리로 저장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n animation effect in which the thumbnail 302 displayed in the third area 300 moves to the gallery icon 202 when the video recording is finished may be produced. That is, the thumbnail 302 flies to the first area 100 to enter the gallery icon 202, and the third area 300 displays a scene where the thumbnail 302 disappears. You will be able to visually see what is being saved to the gallery.

촬영 개시/종료 버튼(204)의 터치에 의해 동영상 촬영이 종료될 때 자동으로 촬영된 동영상이 기록되거나 동영상 파일 기록 요청 단계를 거쳐 촬영된 동영상이 기록될 수 있다. When the image capturing is terminated by the touch of the image capturing start / end button 204, the image captured automatically may be recorded or the image captured by the video file recording request step may be recorded.

동영상 촬영이 종료되면 또는 동영상 파일 기록 요청에 대한 확인 이후 포착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화면이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포착 동영상의 재생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재생화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영상 촬영 종료 후 또는 동영상 파일 기록 요청에 대한 확인 후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갤러리 아이콘(202)을 터치하여 도 5의 갤러리 화면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When the video shooting ends or after the confirmation of the video file recording request, a screen for playing the captured video may be automatically displayed. 4 shows a playback screen of the captured video. As described above, the playback screen of FIG. 4 may be automatically displayed after the end of video recording or after the confirmation of the video file recording request. However, the user may check the gallery screen of FIG. 5 by touching the gallery icon 202. Of course.

도 4를 참조하면, 포착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재생버튼(102)을 터치하여 포착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포착 동영상을 재생할 때 사용자는 프레임 바(110)를 보고 원하는 부분부터 포착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screen for playing captured video is displayed. The user can play the captured video by touching the play button 102. When playing the captured video, the user may look at the frame bar 110 and play the captured video from a desired portion.

포착 동영상을 본 후 사용자는 다시 동영상 촬영을 위해 촬영복귀버튼(104)을 터치하여 도 3의 촬영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다. 포착 동영상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싶은 경우에는 공유버튼(106)을 터치하여 다른 사람들의 휴대 단말로 포착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After viewing the captured video, the user may return to the photographing screen of FIG. 3 by touching the photographing return button 104 to photograph the photograph again. When the captured video is to be shared with other people, the captured video may be touched to transmit the captured video to other people's portable terminals.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공유버튼(106)을 터치하면 이 메일, 메신저, 다양한 SNS 링크를 포함하는 윈도우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메일, MMS, 메신저, SNS를 통해 포착 동영상을 전송하여 다른 사람들과 하이라이트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다. 특히 PC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외부의 서버와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동 가능한 SNS 프로그램에서 친구관계가 설정된 사람들에게 자동으로 포착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포착 동영상을 공유하기 원하는 사람을 선택하여 포착 동영상 공유 그룹을 설정해 놓고, 공유버튼(106)을 터치하면 포착 동영상 공유 그룹에 속한 사람들의 단말로 포착 동영상이 자동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으로 간직하고 싶은 특정 장면을 담은 동영상을 편집하고, 그 편집된 동영상을 SNS 사이트에서 친구 관계를 맺은 다른 모바일 단말기와 공유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어지게 되며, 예컨대 자동차 동호회에 가입한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에 이상이 발생하는 시점을 전후한 포착 동영상을 촬영하면 곧바로 자동차 동호회에 가입한 SNS 친구들의 단말기로 해당 포착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SNS 내에서의 동영상 이용률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찬가지로, 스마트폰 사용자가 한국의 카카오톡이나 틱톡과 같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로 상대방 단말기와 대화를 나누는 도중에 본 발명에 따른 포착 동영상 기능을 실행시켜서 자동으로 편집된 포착 동영상을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FIG. 4, when the share button 106 is touched, a window including an e-mail, a messenger, and various SNS links may be displayed. You can share your highlights with others by sending captured videos via email, MMS, messenger or SNS. In particular, in the SNS program that can be run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that interworks with an external server o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PC or a smartphone, a captured video can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people who have established friend relationships.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a person who wants to share the captured video, sets the captured video sharing group, and touches the share button 106, the captured video may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people belonging to the captured video sharing group. In this case, a cumbersome procedure of editing a video containing a specific scene that you want to keep with a smartphone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that can execut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aring the edited video with other mobile terminals having a friend relationship on an SNS site There is no need to go through, for example, when a user who joins a car group takes a captured video around the tim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his vehicle, the captured video can be shared to the terminal of the SNS friends who joined the car group. It can increase the user convenience and increase the video usage rate in the SNS. Similarly,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smart phone user to send the automatically edited captured video to the counterpart by executing the captured video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having a conversation with the other terminal using a mobile instant messenger such as KakaoTalk or TickTalk in Korea. Do.

만약 사용자가 포착 동영상의 기록을 원치 않으면 삭제버튼(108)을 터치하여 포착 동영상을 영상 기록부에서 삭제할 수 있다. If the user does not want to record the captured video, the captured video may be deleted from the video recording unit by touching the delete button 108.

도 5는 포착 동영상과 풀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갤러리 화면을 나타낸다. 갤러리는 포착 동영상을 담고 있는 포착 동영상 폴더(Cube Clip)(112)와 풀 동영상 파일을 담고 있는 풀 동영상 폴더(All video)(114)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포착 동영상이 연결되어 생성된 동영상은 포착 동영상 폴더(112)에 저장될 수 있다. 5 shows a gallery screen storing captured video and full video files. The gallery includes a captured clip folder 112 containing captured videos and a full video folder 114 containing full video files. A video generat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aptured videos may be stored in the captured video folder 112.

사용자가 포착 동영상 폴더(112)를 터치하면 포착 동영상 폴더 안에 들어 있는 포착 동영상의 초기화면(116)이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풀 동영상 폴더(14)를 터치하면 풀 동영상 폴더에 들어 있는 동영상의 초기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user touches the captured video folder 112, the initial screen 116 of the captured video contained in the captured video folder is displayed. Similarly, when the full video folder 14 is touched, an initial screen of a video included in the full video folder may be displayed.

사용자가 포착 동영상의 초기화면(116)을 터치하면 도 4와 같은 재생화면에서 포착 동영상을 재생하여 포착 동영상을 볼 수 있다. When the user touches the initial screen 116 of the captured video, the captured video can be viewed by playing the captured video on the playback screen as shown in FIG. 4.

지금까지 사용자가 동영상을 촬영하면서 포착 동영상을 만드는 과정을 도 3 내지 도 5의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가지고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은 동영상 재생 중에 포착 동영상을 만드는 과정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So far, the process of creating a captured video while the user photographs the video has been described with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FIGS. 3 to 5, and this process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process of creating a captured video during video playback.

즉, 동영상 재생 중에 포착하고 싶은 화면이 나오면 순간 포착 버튼을 터치하여 순간 포착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 분의 포착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포착 동영상은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포착 동영상이 생성되어 기록된 후 재생이 종료되면 기록된 포착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포착 동영상 재생화면에서 포착 동영상을 재생하고 삭제하거나 다른 사람들에 포착 동영상을 전송하여 다른 사람과 포착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다. That is, when a screen to be captured during the video playback is displayed, the captured video may be generated by touching a moment capturing button, and the captured video may be generated in a thumbnail format before and after the capturing moment. After the captured movie is created and recorded, when playback ends, the screen for playing the recorded captured movie is displayed, and the user can play and delete the captured movie from the captured movie playback screen, or send the captured movie to others to Capture videos can be shar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순간 포착 신호가 입력부를 통해서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순간 포착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Although the instant capture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input uni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stant capture signal may be generated in various ways.

사용자 입장에서 동영상 촬영 중 기록하기 원하는 화면이 나왔을 때 그 포착 시점을 정확히 포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인식기술(recognition technology)을 통해 포착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It may be difficult for the user to accurately capture the capture time when a screen to be recorded during the video recording is displayed. Therefore, the capturing operation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through various recognition technologies.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특정 단어 예를 들어,'포착' 이라는 단어를 얘기하면 '포착'이란 단어를 음성 인식하여 자동으로 포착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아기가 일정 dB 이상의 울음소리를 낸다거나 생일 폭죽이 터지는 순간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포착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using the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when a user speaks a specific word, for example, the word 'capture', the captur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recognizing the word 'capture'. Alternatively, the captur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recognizing the moment when the baby makes a certain dB or more crying or birthday firecrackers.

영상인식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특정 인물이나 사물이 화면으로 들어올 때 포착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현재 촬영중인 피사체에 대한 특정 동작이 인식되는 경우 포착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중인 아기가 갑자기 넘어질 때 그 동작을 인식하여 포착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When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is used, a captur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when a specific person or object enters the screen. Alternatively, the captur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when a specific operation on the current photographing subject is recognized. For example, when the baby being photographed suddenly falls, the captur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recognizing the motion.

동작인식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하이라이트 영상 기록장치를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일 때 포착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동작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포착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하이라이트 영상 기록장치에 중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의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When using the 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the captur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en the highlight image recording apparatus is mov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In order to automatically perform a capturing operation through motion recognition, a motion recognition sensor such as a gravity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may be provided in the highlight image recording apparatus.

위치인식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하이라이트 영상 기록장치가 특정 영역에 들어 왔을 때 포착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미리 GPS 좌표상의 특정 지역을 설정해 놓고, 하이라이트 영상 기록장치가 특정 지역에 들어온 것으로 감지되면 자동으로 포착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using the position recognition technique, the captur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en the highlight image recording apparatus enters a specific area. The user sets a specific area on the GPS coordinates in advance, and the capturing operation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the highlight image recorder is detected as entering the specific area.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소정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둘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a user interface for recording the above-mentioned highlight video as a software program and record the sam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예컨대, 기록 매체는 각 재생 장치의 내장형으로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 ROM 등이거나, 외장형으로 CD-R, CD-RW와 같은 광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hard disk, a flash memory, a RAM, a ROM, or the like embedded in each reproduction apparatus, or an external optical disk such as a CD-R or a CD-RW, a compact flash card, a smart media, have.

이 경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한 프로그램은, 순간 포착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순간 포착 신호가 감지되면 순간 포착 신호 감지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에 해당하는 포착 동영상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포착 동영상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gram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a momentary capture signal, extracting a captured video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the momentary capture signal is detected when the momentary capture signal is detected; And recording the extracted captured video.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한 프로그램은, 제1 영역에 동영상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와, 제2 영역에 동영상 파일이 저장되는 갤러리 아이콘이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거나 특정 버튼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 감지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에 해당하는 포착 동영상의 썸네일이 제3 영역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rogram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displaying a moving picture screen in a first area, displaying a gallery icon storing a moving picture file in a second area, and touching a touch in the first area. When a touch of a specific button is sensed or a touch of a specific button is detected,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recording a highlight video including displaying a thumbnail of a captured video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the touch detection time is displayed in a third area.

상기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을 위한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용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관리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요청이 있을 때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장치로서 동작하여 하이라이트 동영상을 제작하고 기록할 수 있다. The program for recording the highlight video may be provided in an application form. The application server stores and manages the application for recording the highlight video in the database, and transmits the application to the client terminal when the client terminal requests it. The client terminal downloads the application, installs it, and executes the application.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client terminal may operate as a highlight video recording device to produce and record a highlight video.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also known as a program,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 script or cod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Computer programs do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files in the file system.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a single file provided to the requested program, or in multiple interactive files (e.g., a file storing one or more modules, subprograms, or portions of code) (E.g., one or more scripts stored 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A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run on multiple computers or on one computer, located on a single site or distributed across multiple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s network.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Computer-readable media suitable for storing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nd data includ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such as, for example, EPROM, EEPROM, and flash memory devices, such as magnetic disks such as internal hard disks or external disks, And DVD-ROM disks, including non-volatile memory, media and memory devices. The processor and memory may be supplemented by, or incorporated in, special purpose logic circuits.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 동작과 구현물은 디지털 전자회로로 구현되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구현물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또는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functional operations and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embodied in digital electronic circuitry,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or a combination of any of the foregoing. The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computer program products, that is, one or more modules associated with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ncoded on a program storage medium of the type for control of, or for execution by, Lt; / RTI >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for example, a back-end component such as a data server, or may include a middleware component, such as an application server, or may be a web browser or a graphical user, for example a user, who may interact with an implementation of the subject- Front-end components such as client computers with interfaces, or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such back-end, middleware, or front-end components.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may be interconnected by any form or medium of digital data communication such as, for example,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도면은 동작과정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해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While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depict operational process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should be performed in the order shown, in order to obtain the desired results,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should be performed.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 기재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Further,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For example, the operations described in the claim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still achieving desirable result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he techniqu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촬영부 20: 저장부
30: 영상 기록부 40: 표시부
50: 입력부 60: 통신부
70: 제어부
10: recording unit 20: storage unit
30: video recording unit 40: display unit
50: input unit 60: communication unit
70:

Claims (23)

피사체를 촬영하여 촬영한 동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동영상을 기록하는 영상 기록부와,
순간 포착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와,
상기 순간 포착 신호를 감지하면 순간 포착 신호 감지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에 해당하는 포착 동영상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영상 기록부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
A photographing unit that photographs a subject and converts the photographed video into an electrical signal;
A storage unit for temporarily storing a video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 image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a moving picture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instantaneous acquisition signal,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extract a captured video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the detection of the instant capture signal from the storage unit and to record the captured video signal to the image record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순간 포착 신호의 횟수 또는 상기 일정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input unit sets the number of the instant capture signals or the predetermined tim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일정 시간에 해당하는 포착 동영상에 대하여 특수효과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input unit sets a special effect for the captured video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착 동영상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포착 동영상을 연결하여 하나의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generate a single video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aptured video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aptured video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 동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captured video to the outside.
순간 포착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순간 포착 신호가 감지되면 순간 포착 신호 감지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에 해당하는 포착 동영상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포착 동영상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방법.
Generating an instantaneous acquisition signal;
Extracting a captured video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the instant captured signal is detected when the instant captured signal is detected;
And recording the extracted captured moving pictu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포착 신호의 횟수 또는 상기 일정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setting the number of times of the momentary capture signal or the predetermined time.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에 해당하는 포착 동영상에 대하여 특수효과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방법.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And setting a special effect on the captured video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ti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 동영상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포착 동영상을 연결하여 하나의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generating a single video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aptured videos when the captured videos are plur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 동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ransmitting the captured video to the outsi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포착 동영상을 기록하는 단계 이후 촬영 종료 신호 또는 재생 종료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기록한 포착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displaying a screen for reproducing the captured captured video when a shooting end signal or a reproduction end signal is generated after the recording of the captured captured video.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포착 신호는 동영상 촬영 또는 재생 중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moment capture signal is generated during video recording or playbac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포착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는 특정 버튼이나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순간 포착 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generating of the momentary capture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a momentary capture signal by a touch of a specific button or a us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포착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는 음성인식, 영상인식, 동작인식 및 위치인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순간 포착 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generating of the momentary capture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the momentary capture signal by at least one of voice recognition, image recognition, motion recognition, and position recognition.
제6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 to 14. 제1 영역에 동영상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와,
제2 영역에 동영상 파일이 저장되는 갤러리 아이콘이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거나 특정 버튼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 감지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에 해당하는 포착 동영상의 썸네일이 제3 영역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방법.
Displaying the video screen on the first area;
Displaying a gallery icon storing a video file in a second area;
When a touch is detected in the first area or a touch of a specific button is detected, a thumbnail of the captured video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the touch detection time is displayed in the third area, and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recording a highlight video. Way.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 동영상이 복수 개 생성되는 경우 포착 동영상의 썸네일이 포개져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a plurality of thumbnails of the captured videos are displayed when the plurality of captured videos are generate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화면은 동영상 촬영 또는 재생에 의해 표시되며,
상기 포착 동영상의 썸네일이 제3영역에 표시되는 단계 이후 촬영 종료 또는 재생 종료가 감지되면 상기 썸네일이 상기 갤러리 아이콘으로 이동하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video screen is displayed by video recording or playback,
And displaying an animation effect of moving the thumbnail to the gallery icon when the end of recording or the end of playback is detected after the thumbnail of the captured video is displayed in the third area. How to provide a user interfa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버튼에 포착 동영상의 재생 시간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a playback time of the captured video is displayed on the specific butt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 동영상에 적용되는 특수효과를 설정하기 위한 특수효과 아이콘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displaying a special effects icon for setting a special effect applied to the captured video.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화면은 동영상 촬영 또는 재생에 의해 표시되며,
상기 포착 동영상의 썸네일이 제3영역에 표시되는 단계 이후 촬영 종료 또는 재생 종료가 감지되면 상기 포착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video screen is displayed by video recording or playback,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recording a highlight video, wherein a screen for playing the captured video is displayed when a capturing end or playback end is detected after the thumbnail of the captured video is displayed in the third area. Way.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화면에 상기 포착 동영상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버튼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버튼을 터치하면 기 설정된 그룹에 속한 사람들의 단말로 상기 포착 동영상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And displaying a sharing button for sharing the captured video on a screen for playing the captured video.
When the sharing button is touched, the captured video is transmitted to a terminal of people belonging to a preset group.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하나의 하이라이트 동영상 기록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3.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recording a highlighted moving pi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6 to 22.
KR1020120051509A 2012-05-15 2012-05-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highlight video KR1014756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509A KR101475669B1 (en) 2012-05-15 2012-05-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highlight vide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509A KR101475669B1 (en) 2012-05-15 2012-05-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highlight vide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754A true KR20130127754A (en) 2013-11-25
KR101475669B1 KR101475669B1 (en) 2014-12-24

Family

ID=49855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509A KR101475669B1 (en) 2012-05-15 2012-05-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highlight vide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66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3556A1 (en) * 2014-04-04 2015-10-08 Red.Com, Inc. Video camera with capture modes
KR101703129B1 (en) * 2015-11-25 2017-02-07 배형진 Method sharing video among multiple users and application stored in medium for execu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180A (en) 2021-12-27 2023-07-0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Highlight video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sidering the contexts of image and audio information of a vide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2312A (en) * 2004-03-02 2005-06-02 변동환 Retroactive digital camcoder
JP4849174B2 (en) * 2010-02-19 2012-01-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Imaging apparatus, moving image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3556A1 (en) * 2014-04-04 2015-10-08 Red.Com, Inc. Video camera with capture modes
US9224045B2 (en) 2014-04-04 2015-12-29 Red.Com, Inc. Video camera with capture modes
US9536150B2 (en) 2014-04-04 2017-01-03 Red.Com, Inc. Video camera with capture modes
EP3127322A4 (en) * 2014-04-04 2017-03-15 Red.Com, Inc. Video camera with capture modes
JP2017515368A (en) * 2014-04-04 2017-06-08 レッド.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Video camera with capture mode
US10026451B2 (en) 2014-04-04 2018-07-17 Red.Com, Llc Video camera with capture modes
US10403325B2 (en) 2014-04-04 2019-09-03 Red.Com, Llc Video camera with capture modes
KR101703129B1 (en) * 2015-11-25 2017-02-07 배형진 Method sharing video among multiple users and application stored in medium for execu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669B1 (en)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653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21530146A (en) Video recording methods, devices, terminal equipment and storage media
EP3195601B1 (en) Method of providing visual sound imag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2019001330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955134B2 (en) System and methods for simultaneously capturing audio and image data for digital playback
US9124548B2 (en) Method for uploading media fi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101565476B1 (en)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storage medium for operating television application
CN104954719B (en) A kind of video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2016009894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video,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JP2017514427A (en) REPRODUCTION CONTROL METHOD, REPRODUCTION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O2018095252A1 (en) Video recording method and device
CN105407273A (en) Image photograph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JP2017063497A (en)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ing method, and photographing control program
KR1013906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highlight clip
US10972811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EP27934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all in communication system
KR10147566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highlight video
CN105391935B (en) Th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of image capture unit
US9088760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CN113286073A (en) Imaging method, imag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1049527B2 (en) Selecting a recording mode based on available storage space
US9307113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648925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reproducing captured image data
US20120062764A1 (en) Data managemen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CN106528197A (en) Shooting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