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6206A -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6206A
KR20130126206A KR1020120050106A KR20120050106A KR20130126206A KR 20130126206 A KR20130126206 A KR 20130126206A KR 1020120050106 A KR1020120050106 A KR 1020120050106A KR 20120050106 A KR20120050106 A KR 20120050106A KR 20130126206 A KR20130126206 A KR 20130126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event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1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두리
김재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0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6206A/en
Publication of KR20130126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2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two-way content which stores at least one content and comprises a content server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and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through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and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at least one physical position. Each display device comprises: a display for processing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er through the IP network, displaying the content, and displaying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displayed in part of a screen; an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obtain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display, receiv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display from the content server based 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P network, and display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Reference numerals] (400) IP network

Description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Interactive con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본 발명은 양방향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이동 통신 장치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wo-way con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to a user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out affecting the content being 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이 중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쇼핑몰, 터미널, 관공서, 버스 정류장, 공항, 호텔, 병원, 지하철 등 대중이 움직이는 동선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대중에게 정보, 광고와 같은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적인 이미지뿐만이 아니라 음향, 동영상 등과 함께 동적으로 변하는 화면을 보여줌으로써, 시청자에게 더 매력적인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더 많은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광고와 정보 전달 용도의 미디어 시장에서 주목받으며 대체되고 있다.There are several ways to serve content in both directions using a display device. Among them, digital signage provides contents such as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s to the public by using display devices installed on moving lines such as shopping malls, terminals, government offices, bus stops, airports, hotels, hospitals and subways.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can show not only static images but also dynamically changing screens along with sound and video, which can provide more attractive screens to viewers and show more information. Attention is being replaced by.

또한 디지탈 사이니지 시스템은 주로 컴퓨터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키오스크의 형태로써 터치 스크린, 사운드, 동영상 등과 함께 제공되어 사용자와 대화형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나 탐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있으며, 콘텐츠를 재생중인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한번에 한 명의 사용자만이 디스플레이 장치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signage system is a kiosk mainly composed of a computer and a display device, and is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a sound, a video, and the like so that the user can interact with the user. To this end, the display device is designed to allow interaction or navigation with the user,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input from the user on a display device that is playing content and transmit the content to the content server. However, this configurat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only one user needs to perform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device at a time.

이와 같이 종래의 디지탈 사이니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여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고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이 동일한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옥외 광고 형태로 대중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시점에는 해당 사용자에게 종속되어 반응해야 하므로 일정기간 대중에게 광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즉, 종래에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일정 시간 디스플레이 장치가 특정 사용자에게 종속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야 하기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눈높이에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a conventional digital signage provides a two-way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 touch screen of a display device, an operation of receiving an input from a user and outputting a screen is performed on the same display. Therefore, even though the display device is a device for delivering a message to the public in the form of outdoor advertising, when the user receives an input, the display device must be dependent on the user and react to the public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at is, conventionally, there is a problem that a certain time display device must be used dependently for a specific user for two-way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must be installed at the eye level of the user because the user must receive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대중을 향한 콘텐츠 노출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개별 사용자에게는 고객 맞춤형 정보를 동시에 서비스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activ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to individual users while continuously maintaining content exposure to the public on a display device.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중인 콘텐츠에 영향을 주지 않고 특정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상기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that enables a specific user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at a desired time without affecting the content being played on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텐츠 제공자가 대중에게 전달하고 싶은 정보와 함께 개별 사용자의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와의 직접적인 소통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ety of content that can induce direct participation of the individual user with information that the content provider wants to deliver to the public, interactive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to induce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user and To provide a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텐츠 서버와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를 독립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콘텐츠 관리자가 재생중인 콘텐츠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that allows the content manager to control the content without affecting the content being played by independently separating the content server, the display device, and the input device.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 서버,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이동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서버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IP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화면의 일부에 상기 디스플레이중인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위한 접속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부터 상기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nteractiv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server, a display unit including at least one display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content server stores one or more content and transmits the content and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via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The display apparatus processes and displays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er via the IP network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being displayed on a part of the scree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btains the access information from the display device, and receives and displays additional information of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from the content server through the IP network based on the obtained access information.

상기 콘텐츠는 광고 콘텐츠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content is advertising content.

상기 콘텐츠의 추가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특정 항목의 상세 정보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is detailed information of a specific item of the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이벤트 안내 정보와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의 접속 정보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아 팝업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apparatus receives the event guide information and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event guide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server through an IP network and outputs the pop-up form.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의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이벤트 상세 정보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btains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event guide information from the display device, and receives the event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from the content server through the IP network based on the obtained access information. In one embodiment.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상기 이벤트 상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이벤트에 참여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는 이벤트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esses the content server and participates in an event based on the event detail information, and the content server transmits an event result to at least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제공 방법은 이동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중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위한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장치에서 상기 획득된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IP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IP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bidirectional content may include obtaining access information for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from a display device displaying the conten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obtaining the access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Request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by accessing the content server through an IP network based on the request, and receiving and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through the IP network. do.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콘텐츠를 재생중인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닌 이동 통신 장치를 입력 도구로 사용하여 해당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정보를 이동 통신 장치로 제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동시에 사용자와 직접 소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onnects to a corresponding content serv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s an input tool, rather than a display device that is playing content, and the content server provides desired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t a desired time. By doing s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irectly communicating with the user without affecting the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시에 여러명의 사용자와 양방향 커뮤니켄이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더 많은 대중의 시선을 모을 수 있는 높은 곳에도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may simultaneously perform two-way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users, and the display device may be installed at a high place where more eyes of the public can be collected.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콘텐츠의 정보를 보고, 콘텐츠 제공자(또는 콘텐츠 관리자)는 콘텐츠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view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regardless of the place and time, and the content provider (or the content manager) can manage and control the content.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강제 노출성의 일방적 정보뿐만이 아니라 고객맞춤형 정보를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give customer-specific information as well as unilateral information of forced expos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양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의 일 실시예를 보인 본 발명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제공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제공 화면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제공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제공 화면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제공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8의 (a),(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제공 화면을 보인 도면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flow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in the interactive content providing system of FIG. 1.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and 4 (b) illustrate a screen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6 (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interactive content providing scre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and (b) of FIG. 8 illustrate a screen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y it will be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by whic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s not limit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artisan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rresponding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the name of the term, and on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out.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In addition, specific structural to functional descriptions of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disclosed herein are on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and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These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of disclosure,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and / or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termed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특정 사용자와 직접적인 소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디지탈 사이니지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은 디지탈 사이니지 시스템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양방향 콘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는 시스템은 모두 본 발명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that enables direct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user without affecting the content being 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directional content providing system is applied to a digital signage system. Since this is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gital signage system, and any system capable of serving interactive content also applies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터치패드, 네트워크 등의 IT 기술이 추가되면서 대중들이 직접 광고 화면에 터치를 하여 원하는 추가 정보를 가져오거나 이벤트에 참여하는 등 광고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기능들을 사용하여 일방적으로 콘텐츠의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 서버와 콘텐츠 시청 고객간에 서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기존에 만들어진 고정된 내용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과 더불어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정보들이나 고객 맞춤형 정보들을 제공하는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As IT technologies such as a touch pad and a network are added to the digital signa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blic can directly provide a function of directly participating in an advertisement, such as bringing additional information desired by participating in an advertisement or participating in an event. It became. By using these functions, it is possible to create content that provides two-way communication service that can interact with content server and content viewers rather than unilaterally deliver the content of the cont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content that provides information that changes in real time or provides customized information, in addition to playing the existing fixed content.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이동 통신 장치를 입력 장치로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대중에게 노출 중인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노출 중인 콘텐츠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상기 이동 통신 장치에서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s an input device in the digital signage system, so that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exposed to the public on the display device is not affected on the content exposed on the display device. To be acquired.

즉,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콘텐츠를 재생중인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닌 이동 통신 장치를 입력 도구로 사용하여 해당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정보를 이동 통신 장치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필요에 따른 모든 입력을 이동 통신 장치를 통해 제공받음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중인 콘텐츠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사용자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양방향 콘텐츠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accesses a corresponding content serv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s an input tool, rather than a display device that is playing content, and the content server provides desired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t a desired tim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interactive content service that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a user without affecting the content being played on the display device by receiving all inputs as necessary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전체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양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의 일 실시예를 보인 본 발명의 도면이다. 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bidirectional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flow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in the interactive content providing system of FIG. 1.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크게 디스플레이 장치(100), 콘텐츠 서버(200), 이동 통신 장치(300) 및 IP 네트워크(400)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각각은 물리적으로 구분된 각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각 공간은 실내가 될 수도 있고, 실외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콘텐츠 서버는 동일한 물리적 장소에 설치될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다른 장소에 설치될 수도 있다.Interactiv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content server 200,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nd the IP network 400. One or more display apparatuses 100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display apparatuses 100 is located in each physically separated space. Each space can be indoor or outdoor. The at least one display device and the content server may be installed in the same physical location or may be physically installed in another location.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 콘텐츠 서버(200), 및 이동 통신 장치(300)는 IP 네트워크(40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콘텐츠 서버(200) 또는 이동 통신 장치(300)와 콘텐츠 서버(200) 간의 요청/응답, 데이터의 전송은 IP 네트워크(400)를 통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display apparatus 100, the content server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300 ar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through the IP network 400, and 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content server 200 or mobile communication. The request / response and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device 300 and the content server 200 are performed through the IP network 400.

상기 IP 네트워크(400)는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될 수 있다.The IP network 400 may be a wireless LAN (WLAN), a Wi-Fi, a wireless broadband (Wibro),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or the like. Can b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 영상 처리부(130), 및 사용자 입력 처리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content reproduction processor 120, an image processor 130, and a user input processor 140. At this time, not all components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ose illustrated in FIG.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상기 통신부(110)는 IP 네트워크(400)를 통해 상기 콘텐츠 서버(200)와 통신한다. 상기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는 상기 콘텐츠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는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130)는 상기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포맷에 맞게 처리한 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 처리부(140)는 터치 등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 처리부(140)는 선택적(optional)이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tes with the content server 200 through the IP network 400. The content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120 reproduces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server 200. At this time, the content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120 executes a program (or application) for reproduction to play the content. The image processor 130 processes an image of the content reproduced by the content reproduction processor 120 according to a display format and displays the image on a screen. The user input processor 140 processes a user input using a touch or the like. The user input processor 140 is optional.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 및 영상 처리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나 광고 콘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재생 중인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이동 통신 장치(300)에서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추가 정보의 접속 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접속 정보는 콘텐츠의 접속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콘텐츠 서버(200)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apparatus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isplays information or advertisement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server 200 on the screen by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content reproduction processor 120, and the image processor 130. In addition, the display apparatus 100 receives and displays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server 200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300 can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being played. . The access information may be access information of the content.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receive and display ev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200.

상기 접속 정보는 QR(Quick Response) 코드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고,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같은 문자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상기 QR 코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에 관련된 동영상, 사진, 문자, URL 등을 포함한다.The access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Quick Response (QR) code or in the form of a character such as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The QR code includes a video, a picture, a text, a URL, and the like related to the content being 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만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방송 수신 및 처리 기능을 가지고 있다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의 일부에 특정 채널의 방송을 디스플레이하고, 화면의 다른 일부에 광고와 같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If the display apparatus 100 has a broadcast receiving and processing function,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a broadcast of a specific channel on a part of the screen and display content such as an advertisement on another part of the screen. .

상기 콘텐츠 서버(200)는 IP 네트워크(4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이동 통신 장치(300)로 콘텐츠 및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전송한다. 또는 상기 콘텐츠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The content server 200 transmits the content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to the display device 100 and / or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rough the IP network 400. Alternatively, ev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may be transmitted.

이때 상기 콘텐츠 서버(200)는 하나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콘텐츠 관리, 콘텐츠 재생 제어, 스케쥴링 등을 위해 각 기능별로 나누어 물리적으로 여러 대의 서버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또는 콘텐츠 관리자)가 아닌 다수의 콘텐츠 제공자를 허용하고자 할 경우에 콘텐츠 제공자와 해당 콘텐츠 제공자에게 등록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서버를 구축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content server 200 may be configured as one, but may be physically divided into several servers for each function for content management, content playback control, and scheduling. In addition, when it is desired to allow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ers other than one content provider (or content manager), a separate server for managing a content provider and a display device registered with the content provider may be constructed.

이에 더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200)는 다수개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저장부를 구비한다. 또한 각 디스플레이 장치로 콘텐츠를 구분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음식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고, B라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아파트 광고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서버(200)는 등록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스트, 콘텐츠 리스트, 스케쥴링 정보 등 콘텐츠 재생 및 재생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content server 200 may store a plurality of contents, and includes a storage unit for this purpose. In addition, content may be separately transmitted to each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A may transmit food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display device B may transmit apartment advertisement content. The content server 200 has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ent reproduction and reproduction control such as a list of registered display devices, a content list, and scheduling information.

이때 콘텐츠 제공자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 서버(200)에 접속하여 콘텐츠 관리 및 콘텐츠 재생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자는 이동 통신 장치(300)를 통해 콘텐츠 서버(200)에 접속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콘텐츠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ent provider may access the content server 20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to perform content management and content playback control.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er may access the content server 2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o control content playback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regardless of the place and time.

본 발명은 콘텐츠 서버(20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하는 콘텐츠를 메인 정보라 하고, 이동 통신 장치(200)로 제공하는 상기 콘텐츠의 추가 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를 서브 정보라 하기도 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메인 화면이라 하고, 이동 통신 장치(300)의 화면을 서브 화면이라 하기도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server 200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called main information,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or event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be referred to as sub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referred to as a main screen, and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may be referred to as a sub screen.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중인 콘텐츠의 접속 정보를 사용자를 통해 획득한 후 콘텐츠 서버(200)에 접속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접속 정보는 이동 통신 장치(300)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획득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URL을 입력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서버(200)에서 이동 통신 장치(300)로 제공되는 콘텐츠의 추가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상세 정보가 될 수도 있고, 이벤트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에 관련된 이벤트에 직접 참여할 수도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btains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content being played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user, accesses the content server 200, and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server 200.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access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photographing with a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may be obtained by a user directly inputting a URL. In addition,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server 20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may be detailed information of content being 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or may be even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user may directly participate in an event related to the content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IP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 장치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에 콘텐츠 서버(200)와 통신이 가능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전에 설치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는 QR 코드, URL 등과 같은 접속 정보를 사용하여 직접 콘텐츠 서버(200)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may be any mobile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 application and accessing an IP network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gram (or applica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ntent server 200 is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in advance. Alternatively, the access information server 200 may directly access the content server 200 using access information such as a QR code and a URL.

이때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는 사용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가 콘텐츠 서버(200)에 접속할 경우에 일반 사용자와 콘텐츠 제공자를 구별하기 위한 인증 절차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인증의 상세한 방법에는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한다.In this case,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may be used by a user or a content provider,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distinguishing a general user from a content provider is requir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ccesses the content server 200. Do.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method of authentication is not limi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는 대중에게 지속적으로 노출시키면서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제1 실시예라 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는 대중에게 지속적으로 노출시키면서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에 관련된 이벤트에 참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를 제2 실시예라 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200)에 등록된 콘텐츠 관리 및 재생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를 제3 실시예라 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acquir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while continuously displaying the content being 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public.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ferred to as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participate in an event related to the content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while continuously displaying the content being 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to the public.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embodiment.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content management and playback control registered in the content server 200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ferred to as the third embodiment.

각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each embodiment is as follows.

제1 1st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는 대중에게 지속적으로 노출시키면서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접속 정보를 획득한 후 콘텐츠 서버(200)에 접속하여 상기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다. 상기 추가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 전체의 상세 정보가 될 수도 있고, 콘텐츠를 구성하는 항목들 중 특정 항목의 상세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여러 종류의 음식 항목으로 구성되는 음식 광고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디스플레이 중인 음식 광고 콘텐츠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디스플레이 중인 특정 음식의 상세 정보를 사용자가 보고 싶을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의 일부에 상기 특정 음식의 상세 정보를 보기 위한 접속 정보를 QR 코드 또는 URL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server is obtained after acquiring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display apparatus 100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300 while continuously displaying the content being 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public. Access to 200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ntire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or may be detailed information of a specific item among items constituting the content. For example, suppose that the display apparatus 100 receives and displays food advertisement content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food items from the content server 200. In this cas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when a user wants to see detailed information of a specific food being displayed without affecting the food advertisement content being displayed. To this end, th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the access information for view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food on a part of a screen in the form of a QR code or a URL.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보인 도면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콘텐츠 서버(200)는 서버에 등록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인하고(S501), 확인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해당 콘텐츠를 전송한다(S502). 상기 콘텐츠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콘텐츠를 재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503). 본 발명은 상기 콘텐츠가 광고 콘텐츠라고 가정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지속적으로 상기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광고 형태는 정지 영상일 수도 있고, 동영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콘텐츠의 상세 정보에 대한 접속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That is, the content server 200 checks the display device registered in the server (S501),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confirmed display device 100 (S502). The display apparatus 100 receiving the content reproduces the received content and displays the content on the screen (S503). The present invention assumes that the content is advertising content. Thereafter, the display apparatus 100 continuously displays the advertisement content. In this case, the displayed advertisement form may be a still image or a video. In addition, th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connection information about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상세 정보를 원할 경우, 상기 사용자는 이동 통신 장치(3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는 획득된 접속 정보로 상기 콘텐츠 서버(200)에 접속하여 상기 콘텐츠의 상세 정보를 요청한다(S504). 상기 콘텐츠 서버(200)는 요청된 콘텐츠의 상세 정보를 검색한 후(S505), 검색된 상세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로 전송한다(S506).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는 수신된 상세 정보를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507). When the user wants detailed information of content being 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the user obtains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display apparatus 100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ccesses the content server 200 with the obtained access information and request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S504). The content server 200 retrieve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requested content (S505), and then transmits the retrieved detailed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S506).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processes and displays the received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creen (S507).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지속적으로 광고 콘텐츠를 노출하면서, 상기 광고 콘텐츠의 상세 정보를 이동 통신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특히 도 4의 (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의 일부에 특정 채널의 방송이 디스플레이되고, 화면의 다른 일부에 광고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예이다. 도 4의 (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광고 콘텐츠의 상세 정보가 이동 통신 장치(3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4 illustrates an example of display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o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while continuously expos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4A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broadcast of a specific channel is displayed on a part of a scree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an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on another part of the screen. 4B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detailed information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being 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300.

이와 같이 콘텐츠의 상세 정보를 위한 입력 및 출력이 특정 사용자의 이동 통신 장치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중이 시청 중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특정 사용자의 입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시에 여러명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각 이동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콘텐츠의 상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더 많은 대중의 시선을 모을 수 있는 높은 곳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상세 정보도 이동 통신 장치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As such, since the input and output for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are made independently by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a specific user, the display device being viewed by the public can continuously reproduce and display the content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input of the specific user. .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with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through each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out affecting the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user may also receiv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stalled at a height where more public eyes can be coll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제2 Second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를 대중에게 지속적으로 노출시키면서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에 관련된 이벤트에 참여하는데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 서버(200)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관련된 이벤트 안내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는 팝업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일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벤트의 접속 정보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이벤트 접속 정보는 QR 코드 또는 URL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따라서 특정 사용자는 이동 통신 장치(3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이벤트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200)에 접속하여 해당 이벤트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후 사용자는 이동 통신 장치(300)에 표시된 이벤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를 통해 해당 이벤트에 직접 참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종류의 음식 항목으로 구성되는 음식 광고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중에 특정 음식을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는 이벤트 안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었다고 가정하자. 이때 디스플레이 중인 음식 광고 콘텐츠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특정 사용자를 상기 이벤트에 참여시키고 싶을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articipate in an event related to the content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while continuously exposing the content being 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public. That is, the display apparatus 100 receives and displays event gu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200 while the content is being displayed. In this case, the event guid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part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in a pop-up form. In addition,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displays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event. In an embodiment, the event access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QR code or a URL. Accordingly, a specific user obtains event access information from th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ccesses the content server 200, and receives corresponding event information. Thereafter, the user may directly participate in the corresponding even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based on the even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For example, suppose that an event guide screen for receiving a specific food for free is displayed while food advertisement content consisting of various kinds of food item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In this cas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when a specific user wants to participate in the event without affecting the food advertisement content being displayed.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보인 도면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콘텐츠 서버(200)는 서버에 등록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인하고(S511), 확인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해당 콘텐츠를 전송한다(S512). 상기 콘텐츠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콘텐츠를 재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513). 본 발명은 상기 콘텐츠가 광고 콘텐츠라고 가정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지속적으로 상기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광고 형태는 정지 영상일 수도 있고, 동영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콘텐츠의 상세 정보에 대한 접속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That is, the content server 200 checks the display device registered in the server (S511),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confirmed display device 100 (S512). The display apparatus 100 having received the content reproduces the received content and displays the content on the screen (S513). The present invention assumes that the content is advertising content. Thereafter, the display apparatus 100 continuously displays the advertisement content. In this case, the displayed advertisement form may be a still image or a video. In addition, th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connection information about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한편, 상기 콘텐츠 서버(200)는 이벤트가 등록되었는지를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시간마다 검색한다(S514). 만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에 관련된 이벤트가 검색되었다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이벤트 안내 정보를 전송한다(S515).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되는 이벤트 안내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한다(S516). 이때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는 화면의 특정 영역에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고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콘텐츠 서버(200)로부터 이벤트 안내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만 화면의 특정 영역에 팝업 형식으로 이벤트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server 200 searches whether the event is registered periodically or every specific time (S514). If an event related to the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found, event gui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S515). Then, the display apparatus 100 processes and displays the received event guide information (S516). In this embodiment, the event guid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pop-up form on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That is, th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the event guide information in a pop-up format in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only when the event gui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server 200 while continuously display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만일 특정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이벤트 안내 정보를 보고 해당 이벤트에 참여하고 싶다면, 이동 통신 장치(300)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이벤트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는 획득된 접속 정보로 상기 콘텐츠 서버(200)에 접속하여 이벤트 정보를 요청한다(S517). 상기 콘텐츠 서버(200)는 요청된 이벤트 정보를 검색한 후(S518), 검색된 이벤트 정보를 이동 통신 장치(300)로 전송한다(S519).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를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520). 여기서 이벤트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 중인 이벤트 안내 정보와 동일할 수도 있고 좀 더 상세한 이벤트 정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에 디스플레이 중인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 안내 뿐만 아니라 이벤트 참여 방법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If a specific user wants to view the event guide information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participate in the corresponding event, the event access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display apparatus 100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ccesses the content server 200 with the obtained access information and requests event information (S517). The content server 200 retrieves the requested event information (S518) and transmits the retrieved event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S519).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processes and displays the received event information on the screen (S520). The event information may be the same as the event guide information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or may be more detailed even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event information being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includes not only event information but also an event participation method.

이때 사용자가 이동 통신 장치(300)에 디스플레이 중인 이벤트에 참여하고 싶다면,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를 이용하여 이벤트에 참여하고,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는 콘텐츠 서버(200)로 이벤트 참여 정보를 전송한다(S521). 여기서 상기 이벤트 참여 정보는 사용자의 참여 의사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해당 이벤트를 위해 부가적으로 입력한 정보, 또는 이동 통신 장치(300)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user wants to participate in the event being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e user participates in the event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ransmits the event participation information to the content server 200. It transmits (S521). The event particip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not only the user's intention to participate, but also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for the corresponding event, or us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상기 콘텐츠 서버(200)는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참여 정보를 기반으로 이벤트를 처리한다(S522). 그리고 이벤트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이동 통신 장치(300)로 전송한다(S523,S524).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는 이벤트 결과 내용과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로 전송하는 이벤트 결과 내용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이동 통신 장치(300)로 전송되는 이벤트 결과 내용은 이벤트에 참여한 특정 사용자의 당첨 여부와 당첨된 사용자의 이벤트 이용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되는 이벤트 결과 내용은 상기 이벤트에 당첨된 모든 사용자 정보와 이벤트 이용 방법이 포함되고,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로 전송되는 이벤트 결과 내용은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의 이벤트 당첨 여부와 당첨되었을 경우의 이벤트 이용 방법이 포함될 수도 있다.The content server 200 processes an event based on event particip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S522). The event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300 in operation S523 and S524. In this case, the event result contents transmit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event result content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30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or example, the event result content transmit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may include whether a specific user who participated in the event wins and how to use the event of the winner. As another example, the event result content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ll user information and an event usage method that win the event, and the event result content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includes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t may include whether to win the event of the 300 and how to use the event when winning.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이동 통신 장치(300)는 수신된 이벤트 결과 내용을 각각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525,S526).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300 process and display the received event result contents on the screen (S525 and S526).

이때 상기 콘텐츠 서버(200)는 각 이동 통신 장치로부터 이벤트 참여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바로 처리하여 그 결과를 알려줄 수도 있고, 미리 정한 기간 동안 각 이동 통신 장치로부터 이벤트 참여 정보를 수신한 후 이벤트 종료 시점에 처리하여 그 결과를 알려줄 수도 있다. 또한 이벤트 참여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서도 입력될 수 있으며, 이것은 선택적(optional)이다.In this case, the content server 200 may immediately process each time the event particip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each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inform the result thereof, or, after receiving the event participation information from each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event end time. It can also be processed and given the result. Event participation information may also be input through the display apparatus 100, which is optional.

이후, 상기 콘텐츠 서버(200)는 해당 이벤트가 종료되면 이벤트 종료 알림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527).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에서 이벤트 안내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한다(S528). 만일 이벤트 안내 정보가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다면, 상기 이벤트 안내 팝업을 종료시킨다. Thereafter, when the corresponding event ends, the content server 200 transmits an event end notification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S527). Then, the display apparatus 100 ends the display of the event guide information on the screen (S528). If the event guid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popup, the event guide popup is terminated.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지속적으로 광고 콘텐츠를 노출하면서, 상기 콘텐츠의 이벤트 안내 정보를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특히 도 6의 (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의 일부에 특정 채널의 방송이 디스플레이되고, 화면의 다른 일부에 광고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예이다. 도 6의 (b)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의 일부에 팝업 형태로 이벤트 안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displays advertisement content and displays event guide information of the content in a pop-up form. In particular, FIG. 6A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broadcast of a specific channel is displayed on a part of a scree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an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on another part of the screen. 6B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event guid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pop-up form on a part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이와 같이 콘텐츠에 관련된 이벤트의 참여를 위한 입력 및 출력이 특정 사용자의 이동 통신 장치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중이 시청 중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특정 사용자의 입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시에 여러명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각 이동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콘텐츠에 관련된 이벤트에 직접 참여하고 그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더 많은 대중의 시선을 모을 수 있는 높은 곳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에 관련된 이벤트에도 이동 통신 장치를 통해 직접 참여하고 그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Since inputs and outputs for participation in an event related to the content are made independently of a specific user'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display device that the public is watching can continuously play and display the content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input of the specific user. Can b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participate in the event related to the content and receive the result through each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out affecting the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user can directly participate in the event related to the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stalled at a higher level where more public eyes can be coll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be provided with the result.

제3 Third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콘텐츠 제공자(또는 콘텐츠 관리자)가 이동 통신 장치(300)를 이용하여 콘텐츠 서버(200)에 등록된 콘텐츠의 관리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즉, 콘텐츠 제공자는 이동 통신 장치(300)를 이용하여 콘텐츠 서버(200)에 접속한 후 콘텐츠 서버(200)에 등록된 콘텐츠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는 화면을 요청하고, 이동 통신 장치(300)에 표시된 콘텐츠 제어 화면에서 상기 콘텐츠를 관리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의 제어 및 관리는 특정 콘텐츠의 재생, 멈춤, 스케쥴링 등이 포함된다. 이 경우에도 콘텐츠 제공자는 이동 통신 장치(300)를 사용하여 콘텐츠 서버(200)에 접속하고 콘텐츠 서버(200)에 저장된 콘텐츠 및 콘텐츠 제어 정보를 사용 및 수정하기 때문에, 제1,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대중에게 노출중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자인 레스토랑 매니저가 레스토랑이 아닌 집에서 식사를 하는 도중에 레스토랑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콘텐츠나 콘텐츠에 관련된 이벤트의 재생을 제어하기 원할 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content provider (or a content manager) to manage and control content registered in the content server 200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at is, the content provider requests a screen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the content registered in the content server 200 after accessing the content server 200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e content control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may manage or control the content.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content includes playing, pausing, scheduling, and the like of specific content. In this case, the content provider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o access the content server 200 and uses and modifies the content and the content control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ent server 200. Similarly,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affect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exposed to the public. For example, when a restaurant manager who is a content provider wants to control the playback of content or an event related to the content on a display device in a restaurant while eating at home rather than at a restaurant,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have.

이때 이동 통신 장치(300)는 사용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 서버(200)에 접속할 경우에 일반 사용자와 콘텐츠 제공자를 구별하기 위한 인증절차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인증의 상세한 방법에는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한다.In this case,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may be used by a user or a content provider,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distinguishing a general user from a content provider is required when accessing the content server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method of authentication is not limited.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보인 도면이다. 특히 도 7은 이동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예를 보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reproduction of specific conten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즉, 콘텐츠 제공자는 이동 통신 장치(300)를 이용하여 콘텐츠 서버(200)에 접속한 후 콘텐츠 서버(200)에 등록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스트를 요청한다(S551). 그러면 상기 콘텐츠 서버(200)는 등록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검색하고(S553),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리스트를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로 전송한다(S553).That is, the content provider requests the list of display devices registered in the content server 200 after accessing the content server 200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S551). Then, the content server 200 searches for registered display devices (S553), and transmits the list of searched display device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S553).

이때 상기 콘텐츠 제공자가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스트를 보고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면(S554),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는 선택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콘텐츠 서버(200)에 요청한다(S555). 그러면 상기 콘텐츠 서버(200)는 선택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를 검색한 후(S556), 검색된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로 전송한다(S557). In this case, when the content provider views a list of display devices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nd selects a specific display device (S554),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displays the content list of the selected display device on the content server 200. ) Is requested (S555). Then, the content server 200 searches for the content of the selected display device (S556) and transmits the searched content li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S557).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자가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에 표시된 콘텐츠 리스트를 보고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면(S558),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는 상기 콘텐츠 서버(200)에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재생을 요청한다(S559). 그러면 상기 콘텐츠 서버(200)는 재생을 요청받은 콘텐츠를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S560),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되는 콘텐츠를 재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561).In addition, when the content provider selects a specific content by viewing the content list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S558),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requests the content server 200 to play the selected content. (S559). Then, the content server 200 transmits the content requested for playback to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100 (S560), and the display device 100 plays the received content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S561).

도 7은 콘텐츠 제공자가 이동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예를 보이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다. 즉, 콘텐츠 제공자는 이동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콘텐츠의 재생 뿐만 아니라 멈춤, 스케쥴 관리, 이벤트 등록/시작/종료 요청 등 다양하게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content provider controls playback of specific content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is is only one embodiment. That is, the content provider may control the content in various ways such as stopping, schedule management, event registration / start / end request, as well as playing specific content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제공자가 이동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웹사이트로 구축되어 PC, 이동 통신 장치 등 IP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통하여 접속하여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gram (or application) for the content provider to manage and control the content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established as a website, and is accessed through any device capable of accessing an IP network such as a PC an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t can be configured to manage and control.

도 8은 콘텐츠 제공자가 이동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이벤트를 제어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콘텐츠 서버(200)는 동일한 물리적 장소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특히 도 8의 (a)는 디스플레이 장치(예, 레스토랑 TV)와 원격에 위치한 콘텐츠 제공자가 이동 통신 장치를 통해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음식 메뉴의 이벤트 정보의 재생을 제어하는 예이다. 도 8의 (b)는 콘텐츠 제공자가 이동 통신 장치를 통해 요청한 특정 음식 메뉴의 이벤트 정보가 콘텐츠 서버로부터 레스토랑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예이다.FIG. 8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content provider controls an event of content being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100 located remotel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this case, 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content server 200 may be installed in the same physical place or may be installed in different physical locations. In particular, FIG. 8A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display device (eg, a restaurant TV) and a content provider remotely access a content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control reproduction of event information of a specific food menu. 8B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event information of a specific food menu requested by a content provid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transmitted from a content server to a display device in a restaurant and displayed.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를 관리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입력 및 출력이 콘텐츠 제공자의 이동 통신 장치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중이 시청 중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특정 사용자의 입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ince the inputs and outputs for managing or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display device are independently performed by the content provider'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display device being viewed by the public continuously plays the content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input of a specific user. Can be displayed.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can be seen from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a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통신부
120: 콘텐츠 재생 처리부 130: 영상 처리부
140: 사용자 입력 처리부 200: 콘텐츠 서버
300: 이동 통신 장치 400: IP 네트워크
100: display device 110: communication unit
120: content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130: image processing unit
140: user input processing unit 200: content server
300: mobile communication device 400: IP network

Claims (12)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전송하는 콘텐츠 서버;
하나 이상의 물리적 위치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IP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화면의 일부에 상기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위한 접속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부터 상기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
A content server that stores one or more content and transmits the content and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through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A display device installed at one or more physical locations, each display device processing and displaying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er via an IP network, and simultaneously accessing information for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being displayed on a part of a scree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d
An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at obtains the access information from the display device and receives and displays additional information of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from the content server through an IP network based on the obtained access information. Interactive content provid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광고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content is advertising cont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추가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특정 항목의 상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2,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is detailed information of a specific item of the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이벤트 안내 정보와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의 접속 정보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아 팝업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device
And receiving event guide information and access information of the event guide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server through an IP network and outputting the pop-up for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의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이벤트 상세 정보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Acquiring access information of the event guide information from the display device, and receiving and displaying event detail information of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from the content server through an IP network based on the obtained access information; Interactive content delivery syste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상기 이벤트 상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이벤트에 참여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는 이벤트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esses the content server and participates in an event based on the event detail information, and the content server transmits an event result to at least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Interactive content providing system.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양방향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이동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위한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장치에서 상기 획득된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IP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IP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방법.
In the bidirec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bidirectional content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content server that stores one or more content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server,
Acquiring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from the display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Request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by accessing the content server through an IP network based on the obtained access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receives and displays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through an IP network.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광고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ent is advertising conten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추가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특정 항목의 상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is detailed information of a specific item of the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이벤트 안내 정보와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의 접속 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isplay apparatus receives the event guide information of the content being displayed and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event guide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server and displays the pop-up form.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의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장치에서는 상기 획득된 이벤트 안내 정보의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IP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콘텐츠의 이벤트 상세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콘텐츠의 이벤트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cquiring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event guide information from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Request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vent detail information of the content by accessing the content server through an IP network based on the obtained access information of the event guide inform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ceiving and displaying event details of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serv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상기 이벤트 상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이벤트에 참여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는 이벤트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콘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esses the content server and participates in an event based on the event detail information, and the content server transmits an event result to at least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Interactive content providing method.
KR1020120050106A 2012-05-11 2012-05-11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KR201301262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106A KR20130126206A (en) 2012-05-11 2012-05-11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106A KR20130126206A (en) 2012-05-11 2012-05-11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206A true KR20130126206A (en) 2013-11-20

Family

ID=4985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106A KR20130126206A (en) 2012-05-11 2012-05-11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620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464A (en) * 2014-04-25 2015-11-06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Advertisement display panel for convenience sto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89B1 (en) * 2006-11-17 2008-08-01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watching control system having an auto picture pop-up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090064559A (en) * 2006-10-16 2009-06-19 (주)제이슨알앤디 Syste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be added to content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090068700A (en) * 2007-12-24 2009-06-29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p-up and set-top box
KR20110012502A (en) * 2009-07-30 2011-02-09 (주)이비솔루션 System and method for intermediating trades of goods on-l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4559A (en) * 2006-10-16 2009-06-19 (주)제이슨알앤디 Syste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be added to content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0849689B1 (en) * 2006-11-17 2008-08-01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watching control system having an auto picture pop-up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090068700A (en) * 2007-12-24 2009-06-29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p-up and set-top box
KR20110012502A (en) * 2009-07-30 2011-02-09 (주)이비솔루션 System and method for intermediating trades of goods on-lin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심근호 외 1인."QR코드를 이용한 IPTV 콘텐츠의 인터랙션 정보 접근 방법".방송공학회논문지.2012.03.30.제17권 제2호,(제295면 내지 제304면) *
심근호 외 1인."QR코드를 이용한 IPTV 콘텐츠의 인터랙션 정보 접근 방법".방송공학회논문지.2012.03.30.제17권 제2호,(제295면 내지 제304면)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464A (en) * 2014-04-25 2015-11-06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Advertisement display panel for convenience sto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3051C (en) Improvement type audio program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distribution type community network
US9590837B2 (en) Interaction of user devices and servers in an environment
CN104244075B (en) A kind of sharing media information method and system
CN102460407A (en) Virtual desktop services
CN103841004B (en) Method for information display and information server
CN102918835A (en) Controllable device companion data
KR20120087277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implemented in multiple screen devices
CN103167327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of information interaction
JP2006053903A (en) Display device, terminal device, delivery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2008140353A (en) System for collectively displaying plurality of pieces of social network information
EP2437512B1 (en) Social television service
JPWO2014034195A1 (en)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ontent providing method, program, information storage medium, broadcast station apparatus, and data structure
JP2012114525A (en) Moving image comment reply management device, moving image comment evaluation management device and terminal program
CN107885562B (en)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JP6083039B1 (en) Notification method and notification server for push notification to portable terminal
CN104010198A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video delivery information from being shielded
KR20130126206A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KR20120076639A (en) Network server, custom-built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5069244A (en) Distribution system, distribution method, and program
EP2838248B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5429659A (en) Near-distance communication service apparatus
US201501997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advertisement related to tailored interactive content
JP2016173670A (en) Information output device, information output method, and program
KR101611554B1 (en) system for two-way interactive advertisement in digital theater
WO2012161546A2 (en) Control system for a user control of a network access media device using a run-time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