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694A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practical lectures - Google Patents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practical lectur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694A
KR20130124694A KR1020120048006A KR20120048006A KR20130124694A KR 20130124694 A KR20130124694 A KR 20130124694A KR 1020120048006 A KR1020120048006 A KR 1020120048006A KR 20120048006 A KR20120048006 A KR 20120048006A KR 20130124694 A KR20130124694 A KR 20130124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er
lecture
instructor
terminal
assi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0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승호
민경란
안진희
유능화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8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4694A/en
Publication of KR20130124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6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lecture assistance system for providing practical le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ecture assistance server for storing lecturer accounts, learner accounts, lecture plans, practice videos, and question and answer messages in a database, managing the database, and providing data searched by requests through a network; a learner assisting terminal for connecting to the lecture assistance server by manipulation of a learner, restrictively accessing the learner accounts, the practice videos, and the question and answer messages, displaying the practice videos, inputting question or input messages of the learner to a lecturer or different learners, and displaying answer messages from the lecture or the different learners; and a lecturer assisting terminal for connecting to the lecture assistance server by manipulation of a lecturer, accessing the lecturer accounts, the learner accounts, the practice videos, and the question and answer messages, displaying the question messages transmitted from the learner assisting terminal in a screen, and inputting answer messages of the lecturer.

Description

실습형 강의를 위한 강의 보조 장치,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PRACTICAL LECTURES}Teaching aids, systems and methods for hands-on lectures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PRACTICAL LECTURES}

본 발명은 교육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습형 강의를 위한 강의 보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ducational ser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teaching assistant technology for hands-on lectures.

컴퓨터에 기반하는 산업이 다양하게 발전함에 따라 대학을 비롯한 다양한 교육 기관에서 컴퓨터 기반의 실습형 강의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As the computer-based industry develops in various ways, the demand for computer-based, hands-on lectures is increasing at universities 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 강좌,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강좌와 같은 컴퓨터 기반의 실습형 강의에서, 교수자가 이론 강의와 실습 지도를 동시에 제공하고 학습자는 각자 자리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습 문제를 직접 실행해보는 방식으로 컴퓨터 기반의 실습형 강의가 진행된다.For example, in computer-based hands-on classes such as programming courses and graphical application courses, instructors provide both theoretical and hands-on instruction, and learners can use computer-based methods to execute hands-on problems in their own computers. Hands-on lectures are held.

실습형 강의에서는 기술 습득 수준에서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학습자들에게 일률적인 강의를 진행하기보다는 학습자들끼리 서로를 지도하고 돕게 하는 동료교수법은 교수자의 강의와 연계하여 학습 성취를 높이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다. 교수자가 많은 수의 학습자들을 개별 지도할 수 없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교수자의 강의 도중에 학습자끼리 서로 묻고 답변하는 것은 자칫 강의 분위기를 흐릴 수 있고 교수자의 강의를 방해할 수 있다.Because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kill acquisition in hands-on classes, peer teaching, which allows learners to guide and assist one another rather than conducting one-on-one, can be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in conjunction with instructor's teaching. have. This is especially true because the instructor cannot individually teach a large number of learners. However, interrogators' questions and answers to each other during the lecture may blur the atmosphere of the lecture and may interfere with the lecturer's lecture.

또한 실습형 강의에서 교수자가 대형 스크린이나 각 학습자 자리에 비치된 컴퓨터의 모니터에 실습 시범 영상을 보여주면서 실습 지도를 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학습자는 강의 내용을 노트에 정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실습 시범 영상을 옮겨 그릴 수도 없고 노트로 정리하다보면 화면을 놓치기 일쑤다.Also, in the hands-on class, the instructor can give a hands-on instruction while showing a demonstration video on a large screen or a computer monitor provided in each learner's seat. In this case, it is often difficult for the learner to organize the lecture contents in a notebook. You can't move the lab demonstration video, and you can't miss the screen if you organize it with notes.

컴퓨터 기반의 실습형 강의가 아닌 일반적인 실습형 강의에서도 마찬가지의 어려움이 있다.The same difficulty exists in general, non-computer-based lectures.

따라서, 실습형 강의에서 교수자나 동료 학습자에게 강의를 방해하지 않고 질문하고 답변할 수 있으며, 실습 시범 영상을 이용한 실습 지도 시에 학습자가 강의 내용을 정리하기 쉽게 할 수 있는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이 필요하다.Therefore, in a hands-on class lecture, students can answer questions and answers without disturbing the class, and need a hands-on lecture assistant system that can make it easier for learners to organize lecture contents when teaching hands-on lab videos. Do.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습형 강의에서 교수자나 동료 학습자에게 강의를 방해하지 않고 질문하고 답변할 수 있으며, 실습 시범 영상을 이용한 실습 지도 시에 학습자가 강의 내용을 정리하기 쉽게 할 수 있는 실습형 강의 보조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question and answer to the instructor or fellow learners in the hands-on lectures without disturbing the lecture, the practice that can make it easy for the learner to organize the contents of the lecture during the practice guidance using the practice demonstration video To provide auxiliary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the stee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은Practical teaching aid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교수자 계정, 학습자 계정, 강의 계획, 실습 영상, 질문/답변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관리하고 요청에 따라 검색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강의 보조 서버;A teaching assistant server that stores and manages an instructor account, a student account, a lesson plan, a training video, a question / answer message in a database, and provides the retrieved data through a network according to a request;

학습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강의 보조 서버에 접속하여 학습자 계정, 실습 영상, 질문/답변 메시지에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고, 실습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학습자로부터 교수자 또는 다른 학습자를 상대로 하는 질문 메시지 또는 입력 메시지를 입력받을 수 있고 교수자 또는 다른 학습자로부터 답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 및By accessing the teaching assistant server according to the learner's operation, the student's account, the practice video, the question / answer message can be limitedly accessed, the practice video can be displayed, the question message to the instructor or another learner from the learner, or A learner auxiliary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an input message and displaying an answer message from an instructor or another learner; And

교수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강의 보조 서버에 접속하여 교수자 계정, 학습자 계정, 실습 영상, 질문/답변 메시지에 접근할 수 있고,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질문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교수자로부터 답변 메시지를 입력받을 수 있는 교수자 보조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By accessing the teaching assistant server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operation, the teacher's account, the learner's account, the practice video, and the question / answer message can be accessed. It may include an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that can be input.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한 강의실에 설치되고, 강의 계획에 따라 지정된 강의 시간에 상기 교수자 보조 단말기 및 해당 강의에 등록된 학습자의 학습자 보조 단말기가 접속되면, 접속된 교수자 보조 단말기 및 학습자 보조 단말기로써 비개방적인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강의실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and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of the learner registered in the lecture are connected at a specified lecture time according to the lesson plan,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and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are connected. The classroom gateway may further include an open wireless network.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은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actical teaching aid system

학습자가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 표시되는 실습 영상에 따라 강의 내용을 실습하도록 동작하는 학습자 실습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learner training terminal operable to learn the lecture contents according to the training image displayed on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상기 교수자 보조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실습 단말기의 화면을 조회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may operate to inquire a screen of at least one learner training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은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actical teaching aid system

교수자의 조작에 따라 실습 시범을 위한 작업 화면을 캡처하고 캡처된 영상을 실습 영상으로서 공유를 위해 출력하도록 동작하는 교수자 강의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structor lecture terminal operative to capture a work screen for a demonstration for training and output the captured image for sharing as a training image according to an instructor's manipulation.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교수자 강의 단말기는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structor lecture terminal is

교수자의 조작에 따라 미리 실습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강의 보조 서버에 저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instructor's manipulation, a training image may be generated in advance and stored in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강의 보조 서버는 필기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관리하도록 동작하고,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is operative to store and manage handwritten data in a database,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는 강의 중에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필기 객체들을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강의 보조 서버에 저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may be operable to generate handwriting data including handwriting objects input from the learner during the lecture and store the writing data in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필기 데이터는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필기 객체들과 실습 영상에 대한 상기 필기 객체들의 상대적 위치 및 시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handwriting data may include handwriting objects input from a learner and relative position and visual information of the handwriting objects with respect to the training imag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는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is

상기 강의 보조 서버로부터 이전 실습 영상들을 조회하고,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실습 영상 및 필기 데이터를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It may be operable to query previous training images from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and to display the training images and the writing data selected by the learn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교수자 보조 단말기는, Instructor auxiliary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교수자 계정, 학습자 계정, 강의 계획, 실습 영상, 질문/답변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관리하고 요청에 따라 검색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 제공하는 강의 보조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교수자 보조 단말기로서,Instructor Assistant, which stores and manages instructor accounts, learner accounts, lesson plans, lab videos, question and answer messages in a database, and provides access to lecture assistant servers that provide retrieved data to at least one learner assistant terminal over the network on request. As a terminal,

상기 강의 보조 서버에 접속하여 출석한 것으로 판정된 학습자들이 실습을 수행하는 학습자 실습 단말기들의 썸네일(thumb nail)화면을 상기 학습자 실습 단말기들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동작하는 학습자 화면 수신부; 및A learner screen receiving unit operable to receive and display thumbnail screens of learner training terminals for which learners who are determined to be present by accessing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receive training from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s; And

학습자가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를 통해 교수자에게 입력한 질문 메시지, 교수자가 질문 메시지에 관하여 등록한 답변 메시지, 또는 학습자들끼리 주고받는 질문/답변 메시지 등을 표시하도록 동작하는 질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arner may include a question processing unit operable to display a question message input to the instructor through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an answer message registered by the instructor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message, or a question / answer message exchanged between learner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학습자 보조 단말기는,Learner auxiliary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교수자 계정, 학습자 계정, 강의 계획, 실습 영상, 질문/답변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관리하고 요청에 따라 검색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교수자 보조 단말기에 제공하는 강의 보조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로서,Learner assistant, learner account, lesson plan, practice video, question and answer messages can be stored in a database and managed as a database, and learners can access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that provides retrieved data to the teacher assistant through the network.

교수자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강의 보조 서버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교수자가 직접 교수자 강의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작업 화면으로서 상기 교수자 강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실습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강의 처리부; 및A lecture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be selected by an instructor and received from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or to display a training image received from the instructor's lecture terminal as a work screen directly executed by the instructor's lecture terminal on a display; And

학습자로부터 교수자 또는 다른 학습자를 상대로 하는 질문 메시지 또는 입력 메시지를 입력받을 수 있고 교수자 또는 다른 학습자로부터 답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는 질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arner may receive a question message or an input message for an instructor or another learner, and may include a question processing unit for displaying an answer message from the instructor or another learner.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강의 처리부는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ing unit of the steel

강의 중에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필기 객체들을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강의 보조 서버에 저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It is operable to generate handwriting data including handwriting objects input from the learner during the lecture and to store the writing data in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는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is

상기 강의 보조 서버로부터 이전 실습 영상들을 조회하고,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실습 영상 및 필기 데이터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는 이전 강의 조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revious lecture retrieval unit for retrieving previous training images from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and superimposing and displaying the training image and the writing data selected by the learner.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질문 처리부는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query processing unit

다른 동료 학습자들의 학습자 실습 단말기들로부터 작업 화면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It is operable to receive and display thumbnail images of a work screen from learner training terminals of other fellow learner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실습형 강의 보조 방법은,Training method for supporting the training stee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교수자 계정, 학습자 계정, 강의 계획, 실습 영상, 질문/답변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관리하고 요청에 따라 검색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교수자 보조 단말기 또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 제공하는 강의 보조 서버를 이용하는 실습형 강의 보조 방법으로서,Instructor-led lectures using a lecture assistant server that stores and manages instructor accounts, learner accounts, lesson plans, lab videos, question / answer messages in a database, and provides retrieved data to instructor assistants or learner assistant terminals over a network. As an auxiliary method,

상기 강의 보조 서버로부터 또는 교수자 강의 단말기로부터 실습 영상을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서 공유하는 단계; 및Sharing a training image in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from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or an instructor lecture terminal; And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서, 학습자가 교수자 또는 다른 동료 학습자를 지정하여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 입력한 질문 메시지 또는 질문을 받은 교수자가 상기 교수자 보조 단말기에 입력하거나 또는 동료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 입력한 답변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a learner designates an instructor or another colleague learner, the question message or question received by the instructor auxiliary terminal inputted to the instructor auxiliary terminal or a peer learner inputted to his or her learner auxiliary terminal And displaying an answer messag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실습형 강의 보조 방법은,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aining method for teaching steel,

학습자가 질문을 할 동료 학습자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서 다른 학습자들의 학습자 실습 단말기들의 썸네일 화면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nd displaying thumbnail screens of learner training terminals of other learners in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to select a fellow learner to ask a question.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실습형 강의 보조 방법은,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aining method for teaching steel,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서, 학습자로부터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 공유된 실습 영상 위에 중첩하여 필기 객체들을 입력받고, 입력된 필기 객체들과 실습 영상에 대한 필기 객체들의 상대적 위치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를 상기 강의 보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the lecture assistant receives the writing objects superimposed on the shared training image shared by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and provides writing data includ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input writing objects and the writing objects with respect to the training imag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server.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실습형 강의 보조 방법은,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aining method for teaching steel,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서 학습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강의 보조 서버로부터 이전의 실습 영상들을 조회하고,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실습 영상 및 필기 데이터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nquiring a previous training image from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according to a learner's manipulation in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and displaying the training image and the handwritten data selected by the learner.

본 발명의 실습형 강의 보조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따르면, 교수자는 쉽게 실습 시범 영상을 학습자와 공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ach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ructor can easily share the training demonstration image with the learner.

본 발명의 실습형 강의 보조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따르면, 학습자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 공유되는 실습 시범 영상에 중첩하여 즉석에서 필기를 할 수 있고, 필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추후에 저장된 필기와 실습 시범 영상을 중첩하여 다시 보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actical teaching assista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arner can write on the fly by superimposing on a training demonstration image shared by a learner assistant terminal, and can save the writing, and later stored writing and training demonstration The images can be overlaid and viewed again.

본 발명의 실습형 강의 보조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따르면, 학습자는 다른 학습자의 학습자 실습 단말기에 표시되는 실습 영상을 공유할 수 있고, 다른 학습자의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 또는 교수자의 교수자 보조 단말기에 질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actical teaching assista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arner can share a training image displayed on a learner's practice terminal of another learner, and a question message to a learner's assistant terminal of another learner or an instructor's assistant terminal of another instructor. Can be trans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습형 강의 보조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actical lecture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raining lecture assist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ssisting a training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For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set forth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nly,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을 예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raining lecture assist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raining lecture assist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10)은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와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 강의실 게이트웨이(300) 및 강의 보조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teaching type teaching assistant system 10 includes an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an instructor lecture terminal 150, a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a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and a classroom gateway 300. And lecture secondary server 400.

컴퓨터 기반의 실습형 강의의 경우에는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 또는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가 필요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비 컴퓨터 기반의 실습형 강의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 또는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mputer-based training class, the instructor teaching terminal 150 or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may be required, but when applied to the general non-computer based training class, the instructor teaching terminal 150 or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may not necessarily be necessary.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는 교수자의 조작에 따라 강의 보조 서버(400)에 접속하여 교수자 계정, 학습자 계정, 강의 계획, 강의 자료, 실습 영상, 질문/답변 메시지에 접근할 수 있고, 강의 시에는 교수자의 조작에 따라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 대해 실습 영상을 표시할 것을 지시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의 화면을 조회할 수 있으며,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서 전송된 질문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교수자로부터 답변 메시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operation can access the instructor account, learner account, lecture plan, lecture materials, training video, question / answer messages, lecturers during the lecture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200 can be instructed to display the training image, at least one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200 questions transmitted You can display a message on the screen and receive an answer message from the instructor.

만약 실습 영상을 미리 준비하지 않았다면, 강의 시에 교수자가 실습 작업을 하면서 얻는 실습 시범 화면을 실시간적으로 그대로 공유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는 교수자의 조작에 따라 작업 중인 실습 시범 화면을 캡처(capture)하고 캡처된 실습 화면 녹화 영상을 실습 영상으로서 공유를 위해 출력할 수 있다.If you haven't prepared a video of the lab in advance, you can share in real time the demonstration screen that the instructor gets while working. In this case, the instructor lecture terminal 150 may capture a training demonstration screen in operation according to an instructor's operation and output the captured training screen recording image as a training image for sharing.

실시예에 따라서는,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는 교수자의 조작에 따라 실습 강의 전에 미리 실습 영상을 생성하여 강의 보조 서버(400)에 저장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instructor lecture terminal 150 may generate a training image in advance before the training lecture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operation and store the training image in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습 시범 화면은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에 실시간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가리키고, 실습 화면 녹화 영상은 실습 시범 화면을 녹화한 영상을 가리키며, 실습 시범 영상은 교수자가 강의 시에 활용하려고 미리 생성해서 강의 보조 서버(400)에 저장해 둔 영상을 가리키나, 실습 화면 녹화 영상과 실습 시범 영상은 즉각적인 시범인지 사전 녹화된 영상인지의 차이만 있을 뿐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으며, 소스를 구별하지 않고 맥락에 따라 실습 영상이라는 용어로 통칭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actice demonstration screen refers to a screen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lecturer lecture terminal 150, the practice screen recording image refers to an image recorded on the demonstration demonstration screen, and the demonstration demonstration image is displayed by the instructor. Refers to a video generated in advance for use in a lecture and stored in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but the lab screen recording video and the lab demonstration video are only intrinsically different from an immediate demonstration or a pre-recorded video. It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term "practice video" according to the context without distinguish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본 명세서에서 영상은 통상적인 압축된 동영상 또는 압축된 정지영상들의 집합일 수도 있고, 화면에 변화가 적은 실습 영상의 특성을 이용한 특수한 포맷의 영상일 수도 있으며, 사전 제작된 영상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플래시 애니메이션과 같이, 변형 가능한 이미지 클립과 동작 스크립트로 이루어진 애니메이션일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mage may be a normal compressed video or a set of compressed still images, or may be a video in a special format using characteristics of a practice video with little change on the screen. Like Flash animations, it can also be animations that consist of deformable image clips and action scripts.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는 학습자의 조작에 따라 강의 보조 서버(400)에 접속하여 학습자 계정, 강의 계획, 강의 자료, 실습 화면 녹화 영상, 실습 시범 영상, 질문/답변 메시지에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고, 실습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강의 중에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여 강의 보조 서버(400)에 저장하며, 학습자로부터 교수자 또는 다른 학습자를 상대로 하는 질문 메시지 또는 입력 메시지를 입력받을 수 있고 교수자 또는 다른 학습자로부터 답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200 accesses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according to the learner's operation, and has limited access to the learner's account, the lecture plan, the lecture data, the training screen recording image, the training demonstration image, and the question / answer message. It can display a practice video, generate handwriting data input from the learner during the lecture and store it in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and receive a question message or input message for the instructor or another learner from the learner. Alternatively, a response message can be displayed from another learner.

필기 데이터는 예를 들어 터치 패드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로 입력한 그래픽 객체, 키보드나 가상 키보드로 입력한 문자 객체, 문자 인식을 통해 변환 입력된 문자 객체, 나아가 클립 아트, 이미지, 스프레드시트 등의 외부 삽입 객체 등이 배치된 투명 레이어와 같이 예시될 수 있다.Handwriting data can be inserted into external objects such as graphic objects entered with a finger or stylus on the touch pad, text objects entered with a keyboard or virtual keyboard, converted text objects through character recognition, and even clip art, images, spreadsheets, etc. The object and the like may be illustrated as a transparent layer disposed.

필기 데이터로서 레이어는 입력된 필기 객체들과 실습 영상에 대한 필기 객체들의 상대적 위치 및 시각을 포함하여 구조화될 수 있다.As handwriting data, the layer may be structured including the relative position and time of the input writing objects and the writing objects with respect to the training image.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와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는 소정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 처리 능력,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갖추어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할 수 있고, 데이터를 업로드 및 다운로드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PDA, 태블릿,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정보 처리 기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습형 강의 보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and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have a predetermined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and a user input interface, so that the user can install and drive a user application desired, and upload and download data.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by installing and driving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a practical lecture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PDA, a tablet, a notebook, and the like.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와 학습자 강의 단말기(250)는 소정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 처리 능력,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갖추어 실습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할 수 있고, 데이터를 업로드 및 다운로드할 수 있는, 예를 들어 PC와 같은 정보 처리 기기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instructor lecture terminal 150 and the learner lecture terminal 250 may be equipped with a predetermined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and a user input interface to install and run a training application, and to upload and download data.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as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 PC.

한편,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와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 또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와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는 각각 별개의 정보 처리 단말기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두 개의 구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진 하나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and the instructor lecture terminal 150, or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and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s, respectively. It may be implemented in on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separate display area.

강의실 게이트웨이(300)는 특정한 강의실에 설치되고, 강의 계획에 따라 지정된 강의 시간에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 및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가 접속되면, 접속된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 및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로써 비개방적인, 다시 말해 강의와 무관한 단말기들의 접속은 제한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The classroom gateway 300 is installed in a specific classroom, and when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the instructor lecture terminal 150,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and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are connected at a designated lecture time according to the lecture plan. In addition, as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the instructor lecture terminal 150,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and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a non-open, in other words, connection of the non-lecture-related terminals is restricted. Can be configured.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10)은 강의실 게이트웨이(300) 대신에 일반적인 무선 랜 AP(access point) 겸 라우터(router)를 이용할 수도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training class assistant system 10 may use a general wireless LAN access point (AP) and router instead of the classroom gateway 300.

강의 보조 서버(400)는 교수자 계정, 학습자 계정, 실습 영상, 질문/답변 메시지, 필기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관리하고 요청에 따라 검색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may store and manage an instructor account, a learner account, a training image, a question / answer message, and handwriting data in a database, and provide the retrieved data through a network according to a request.

강의실 게이트웨이(300)는 예를 들어 IEEE 802.11의 규격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접속한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 및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로써 유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강의실 게이트웨이(300)는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 및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로써 하나의 서브넷을 구성할 수 있도록, 접속하는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 및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에 적절한 서브넷 마스크를 가지고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넷 마스크는 강의 시에 접속이 필요한 단말기들의 수에 따라 미리 지정될 수 있다.The classroom gateway 300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wireless access point (AP) according to the IEEE 802.11 standard, and has an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an instructor lecture terminal 150, a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and the like.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may configure a wired or wireless network. Preferably, the classroom gateway 300 includes an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an instructor lecture terminal 150, a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and a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to configure one subnet. An IP address may be dynamically allocated to the terminal 100, the instructor lecture terminal 150,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and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with an appropriate subnet mask. In this case, the subnet mask may be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that need to be connected at the time of lecture.

실시예에 따라, 강의실 게이트웨이(300)의 기능은 예를 들어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가 대신 수행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강의 보조 서버(400)가 강의실 게이트웨이(300)와 통합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 강의실 게이트웨이(300), 강의 보조 서버(400)가 통합적으로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unction of the classroom gateway 300 may be performed by the instructor lecture terminal 150 instead. Alternatively,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with the classroom gateway 300. Instructor lecture terminal 150, classroom gateway 300,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in one device.

강의 보조 서버(400)는 교수자 계정 DB(401), 학습자 계정 DB(402) 및 강의 DB(403)을 관리할 수 있다. 강의 보조 서버(400)는 강의 시작 전에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에서 녹화된 실습 시범 영상을 수신하여 강의 DB(403)에 저장할 수 있고, 강의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의 실시간 작업 화면, 즉 실습 화면을 캡처한 실습 화면 녹화 영상을 강의 DB(403)에 저장할 수 있다.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may manage an instructor account DB 401, a learner account DB 402, and a lecture DB 403.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may receive a training demonstration image recorded by the lecturer lecture terminal 150 and store it in the lecture DB 403 before the lecture starts. During the lecture,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may display a real-time work screen of the lecturer lecture terminal 150. That is, the training screen recording image capturing the training screen may be stored in the lecture DB 403.

또한 강의 보조 서버(400)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강의 DB(403)로부터 실습 시범 영상 또는 실습 화면 녹화 영상을 검색하여 강의실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강의자 보조 단말기(100)와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 멀티캐스트(multicast)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retrieves the training demonstration image or the training screen recording image from the lecture DB 403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and the lecturer assistant terminal 100 and the learner through the classroom gateway 300. The secondary terminal 200 may be multicasted.

나아가 강의 보조 서버(400)는, 학습자가 강의 중에 또는 강의 후에 실습 시범 영상 또는 실습 화면 녹화 영상과 중첩되도록 생성한 필기 데이터와 질문/답변 메시지를 학습자 계정 DB(402)과 연계하여 강의 DB(403)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connects the learner's account DB 402 with the handwriting data and the question / answer message generated by the learner to be superimposed with the training demonstration image or the training screen recording image during or after the lecture. ) Can be stored and managed.

다만, 교수자 계정 DB(401), 학습자 계정 DB(402) 및 강의 DB(403)는 설명의 편의 상 별개의 DB인 것처럼 예시하였지만, 하나의 통합된 DB로 구축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좀더 세부적으로 분할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However, the instructor account DB 401, the learner account DB 402, and the lecture DB 403 are illustrated as separate DB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may be constructed as one integrated DB, or otherwise differently in more detail. It may be divided and operated.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와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는 세부적인 강의 활동 시에 서로 협동하여 교수자의 강의와 학습자의 학습을 보조하여야 하므로, 두 단말기(100, 200)의 세부적인 구성요소들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될 수 있다.Since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and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should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the detailed lecture activity to assist the instructor's lecture and the learner's learning, the detailed components of the two terminals 100 and 200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Can be associated with the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도 1에서,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는 제어부(101), 로그인부(102), 일정 관리부(103), 학습자 화면 수신부(104), 질문 처리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FIG. 1,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may include a controller 101, a login unit 102, a schedule manager 103, a learner screen receiver 104, and a question processor 105. .

교수자가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에서 강의 보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처음에 제어부(101)가 실행되고, 제어부(101)는 로그인부(102)를 활성화한다. 로그인부(102)는 강의실 게이트웨이(300)를 거쳐 강의 보조 서버(400)에 접속하여 교수자의 로그인 정보를 확인한다.When the instructor executes the lecture assistant application in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the controller 101 is initially executed, and the controller 101 activates the login unit 102. The login unit 102 accesses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through the classroom gateway 300 and checks the login information of the instructor.

로그인 정보가 확인되면, 제어부(101)는 일정 관리부(103)를 활성화한다. 일정 관리부(103)는 강의 DB(403)를 참조하여 교수자의 실습형 강의 과목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login information is confirmed, the controller 101 activates the schedule manager 103. The schedule manager 103 may display a list of instructor's hands-on lecture subjects on the display with reference to the lecture DB 403.

일정 관리부(103)는 교수자가 표시된 강의 과목들 중 특정 강의 과목을 선택하면, 로그인 시점이 강의 계획에 상응하는 강의 시간이고 또한 지정된 강의실에 상응하는 강의실 게이트웨이(300)를 통한 접속인지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instructor selects a specific lecture subject among the displayed lecture subjects, the schedule manager 103 may determine whether the login time is a lecture time corresponding to the lecture plan and access through the classroom gateway 300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classroom. .

만약 계획된 강의 시간이 아니거나 또는 지정된 강의실이 아닌 강의실의 강의실 게이트웨이(300)에 접속된 경우라면, 일정 관리부(103)는 강의 시간이 아니라는 또는 지정된 강의실이 아니라는 오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교수자는 질문 처리부(105) 등을 활성화하여 소정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If it is not a scheduled lecture time or connected to the classroom gateway 300 of the classroom that is not the designated classroom,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103 may display an error message indicating that the lecture time is not or is not the designated classroom.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instructor may activate the question processing unit 105 or the like to process a predetermined task.

만약 계획된 강의 시간 내에 지정된 강의실에서 접속된 경우라면, 일정 관리부(103)는 학습자 화면 수신부(104)를 활성화한다.If the connection is made in the designated classroom within the scheduled lecture time,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103 activates the learner screen receiving unit 104.

학습자 화면 수신부(104)는 강의 보조 서버(400)의 출결 관리부(414)에서 출석한 것으로 판정된 학습자들의 학습자 실습 단말기들(250)의 썸네일(thumb nail)화면을 각 학습자 실습 단말기들(250)로부터 수신하여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The learner screen receiving unit 104 displays thumbnail screens of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s 250 of the learners determined to be present in the attendance management unit 414 of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Received from the display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instructor auxiliary terminal 100.

질문 처리부(105)는 학습자가 강의 중에 실습에 관하여 질문을 하기 위해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를 통해 교수자에게 입력한 질문 메시지, 교수자가 질문 메시지에 관하여 등록한 답변 메시지, 또는 학습자들끼리 주고받는 질문/답변 메시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The question processing unit 105 is a question message input to the instructor through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the answer message registered by the instructor for the question message, or questions exchanged between the learners / learner to ask questions about the practice during the lecture Answer messages can be displayed.

학습자로부터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 질문 메시지가 입력되었을 때에,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의 질문 처리부(105)는 입력된 질문 메시지의 내용을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에 곧바로 표시할 수도 있지만, 그때마다 교수자가 질문을 확인하느라 강의 진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질문 메시지의 입력 사실이나 현재 열람되지 않은 질문 메시지의 수를 알리는 시각적 표시만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도 있다.When the question message is input to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from the learner, the question processing unit 105 of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may immediately display the contents of the input question message on the display of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In order to prevent the instructor from interfering with the lecture while checking the question, a visual indication indicating the input of the question message or the number of question messages that are not currently viewe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이어서,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는 제어부(151), 로그인부(152), 일정 관리부(153), 강의 처리부(154), 강의 자료 관리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lecturer lecture terminal 150 may include a controller 151, a login unit 152, a schedule manager 153, a lecture processor 154, and a lecture data manager 155.

교수자가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에서 강의 보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처음에 제어부(151)가 실행되고, 제어부(151)는 로그인부(152)를 활성화한다. 로그인부(152)는 강의실 게이트웨이(300)를 거쳐 강의 보조 서버(400)에 접속하여 교수자의 로그인 정보를 확인한다.When the instructor executes the lecture assistance application in the instructor lecture terminal 150, the controller 151 is initially executed, and the controller 151 activates the login unit 152. The login unit 152 accesses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through the classroom gateway 300 and checks the login information of the instructor.

로그인 정보가 확인되면, 제어부(151)는 일정 관리부(153)를 활성화한다. 일정 관리부(153)는 강의 DB(403)를 참조하여 교수자의 실습형 강의 과목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login information is confirmed, the controller 151 activates the schedule manager 153. The schedule manager 153 may display a list of instructor's hands-on lecture subjects on the display with reference to the lecture DB 403.

일정 관리부(153)는 교수자가 표시된 강의 과목들 중 특정 강의 과목을 선택하면, 로그인 시점이 강의 계획에 상응하는 강의 시간이고 또한 지정된 강의실에 상응하는 강의실 게이트웨이(300)를 통한 접속인지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instructor selects a particular lecture subject among the displayed lecture subjects, the schedule manager 153 may determine whether the login time is a lecture time corresponding to the lecture plan and access through the classroom gateway 300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classroom. .

만약 계획된 강의 시간이 아니거나 또는 지정된 강의실이 아닌 강의실의 강의실 게이트웨이(300)에 접속된 경우라면, 일정 관리부(153)는 강의 시간이 아니라는 또는 지정된 강의실이 아니라는 오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교수자는 강의 자료 관리부(155) 등을 활성화하여 실습 시범 영상의 사전 녹화 등과 같은 소정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If it is not a scheduled lecture time or connected to the classroom gateway 300 of the classroom that is not the designated classroom,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153 may display an error message indicating that the lecture time is not or is not the designated classroom.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instructor may activate the lecture data management unit 155 or the like to process predetermined tasks such as pre-recording of the demonstration demonstration video.

만약 계획된 강의 시간 내에 지정된 강의실에서 접속된 경우라면, 일정 관리부(153)는 강의 처리부(154)를 활성화한다.If the connection is made in the designated classroom within the scheduled lecture time,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153 activates the lecture processing unit 154.

강의 처리부(154)는 교수자가 미리 강의 DB(403)에 등록한 실습 시범 영상이 있으면 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만약 교수자가 실습 시범 영상 중에서 선택하여 학습자들에게 공유하고자 한다면, 교수자에 의해 선택된 실습 시범 영상을 강의 보조 서버(400)로부터 강의실 게이트웨이(300)에 접속한 학습자 보조 단말기들(200)에 전송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The lecture processing unit 154 displays the list on the display if there are training demonstration images registered by the instructor in the lecture DB 403, and if the instructor selects among the training demonstration images and shares them with the learners, the training selected by the teacher The demonstration image may be instructed to be transmitted from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to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s 200 connected to the classroom gateway 300.

강의 처리부(154)는 만약 교수자가 직접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의 작업 화면을 학습자들에게 공유하고자 한다면, 실습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포어그라운드로 활성화하고, 실습 프로그램의 작업 화면을 캡처한 실습 화면 녹화 영상을 강의실 게이트웨이(300)에 접속한 학습자 보조 단말기들(200)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할 수 있다.The lecture processing unit 154, if the instructor wants to directly share the work screen of the lecturer lecture terminal 150 to the learners, running the practice program or activate in the foreground, the practice screen recording image captured the work screen of the practice program May be broadcasted to learner assistant terminals 200 connected to the classroom gateway 300.

이 경우에, 강의실 게이트웨이(300)에 대한 접속에 의해 구성된 네트워크 내의 모든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 실습 시범 화면이 동시에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 대한 실습 시범 화면의 브로드캐스트의 시작, 중지 등의 조작은 교수자가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를 통해 통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raining demonstration screens may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all learner assistant terminals 200 in the network configured by the connection to the classroom gateway 300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operations such as starting and stopping broadcast of the training demonstration screen for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may be controlled by the instructor through the teacher lecture terminal 150.

한편, 강의 처리부(154)는 캡처한 실습 시범 화면 영상을 강의 보조 서버(400)의 강의 DB(403)에 저장할 수 있다.The lecture processing unit 154 may store the captured training demonstration screen image in the lecture DB 403 of the lecture assistance server 400.

강의 자료 관리부(155)는 교수자가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를 통해 실습 시범 영상 또는 실습 화면 녹화 영상을 강의 DB(403)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lecture data management unit 155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the instructor to manage the training demonstration image or the training screen recording image through the lecture lecture terminal 150 in the lecture DB 403.

이어서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를 살펴보면, 학습자 단말기(200)는 제어부(201), 로그인부(202), 일정 관리부(203), 출결 관리부(204), 강의 처리부(205), 질문 처리부(206), 이전 강의 조회부(207)를 포함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the learner terminal 200 includes the controller 201, the login unit 202, the schedule manager 203, the attendance manager 204, the lecture processor 205, and the question processor 206. The previous lecture inquiry unit 207 may be included.

학습자가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서 강의 보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제어부(201)가 최초로 실행되고, 제어부(201)가 로그인부(202)를 활성화한다. 로그인부(202)는 강의실 게이트웨이(300)를 거처 강의 보조 서버(400)에 접속하여 학습자의 로그인 정보를 확인한다.When the learner executes the lecture assistant application in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the controller 201 is first executed, and the controller 201 activates the login unit 202. The login unit 202 checks the login information of the learner by accessing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via the classroom gateway 300.

로그인 정보가 확인되면, 제어부(201)는 일정 관리부(203)를 활성화한다. 일정 관리부(203)는 강의 DB(403)를 참조하여 학습자의 수강 과목들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login information is confirmed, the controller 201 activates the schedule manager 203. The schedule manager 203 may display a list of students taking courses on the display with reference to the lecture DB 403.

일정 관리부(203)는 학습자가 표시된 수강 과목들 중 특정한 과목을 선택하면, 로그인 시점이 강의 계획에 따른 강의 시간 내이고 또한 지정된 강의실에 상응하는 강의실 게이트웨이(300)를 통한 접속인지 판단한다.When the learner selects a particular subject among the displayed courses, the schedule manager 203 determines whether the login time is within the lecture time according to the lecture plan and is connected through the classroom gateway 300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classroom.

일정 관리부(203)는 예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반의 RTLS(real time location system)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어느 강의실에 입실했는지 판단하고, 공중에 탐색된 여러 무선 신호들 중에서 입실한 강의실에 상응하는 강의실 게이트웨이(300)의 무선 신호를 탐색하여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가 그 강의실 게이트웨이(300)에 접속하게 함으로써 다른 강의실의 강의실 게이트웨이에 접속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도 있다.The schedule management unit 203 determines which classroom the learner has entered by using a real time location system (RTLS) based 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for example.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may be connected to the classroom gateway 300 by searching for a radio signal of the corresponding classroom gateway 300 to prevent the mistake of connecting to the classroom gateway of another classroom.

만약 계획된 강의 시간이 아니거나 또는 지정된 강의실이 아닌 강의실의 강의실 게이트웨이(300)에 접속된 경우라면, 일정 관리부(203)는 강의 시간이 아니라는 또는 지정된 강의실이 아니라는 오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학습자는 질문 처리부(206), 이전 강의 조회부(207) 등에 접근하여 일정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If it is not a scheduled lecture time or if it is connected to the classroom gateway 300 of the classroom that is not the designated classroom, the scheduler 203 may display an error message indicating that it is not the lecture time or is not the designated classroom.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learner may approach the question processor 206, the previous lecture inquiry unit 207, or the like to process a predetermined task.

만약 계획된 강의 시간 내에 지정된 강의실에서 접속된 경우라면, 일정 관리부(203)는 출결 관리부(204)와 강의 처리부(205)를 활성화할 수 있다.If the connection is made in the designated classroom within the scheduled lecture time,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203 may activate the attendance management unit 204 and the lecture processing unit 205.

출결 관리부(204)는 강의실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강의 보조 서버(400)에 학습자 보조 단말기들(200)의 접속 상태를 기초로 각 학습자들의 출석 상황을 모니터링한다.The attendance manager 204 monitors the attendance status of each learner based o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s 200 to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through the classroom gateway 300.

강의 처리부(205)는 교수자가 미리 강의 DB(403)에 등록한 실습 시범 영상 중에서 교수자에 의해 선택되어 강의 보조 서버(400)로부터 멀티캐스트되는 실습 시범 영상의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교수자가 직접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에서 실행 중인 작업 화면을 캡처한 실습 화면 녹화 영상의 데이터를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실습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The lecture processing unit 205 receives data of a practice demonstration image that is selected by an instructor and multicasted from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from among the practice demonstration images registered by the instructor in the lecture DB 403, or the instructor lectures directly by the instructor. Data of a training screen recording image capturing a working screen running in the terminal 150 may be received from the lecturer lecture terminal 150, and the received training image may be displayed on a display.

실시예에 따라서는 네트워크 내의 모든 보조 학습자 단말기(200)에 실습 영상이 동시에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강의 처리부(205)가 표시되는 실습 영상을 제어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강의 처리부(205)는 실습 영상을 제한적으로, 예를 들어 일시 정지, 빨리 재생 등의 수준에서 제어할 수도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lecture processing unit 205 may not control the displayed training image so that the training images may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all auxiliary learner terminals 200 in the network. 205 may control the training video on a limited basis, for example, at a level such as pause or fast playback.

강의 처리부(205)는 디스플레이되는 실습 영상에 중첩되는 학습자의 필기 객체들을 터치 패드, 스타일러스, 키보드, 가상 키보드 등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 처리부(205)는 입력된 필기 객체들을 일정 시간 단위마다, 입력이 중단될 때, 또는 학습자가 지시할 때에, 적어도 하나의 투명 레이어에 합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lecture processing unit 205 may receive the learner's writing objects superimposed on the displayed training image by a user input interface such as a touch pad, a stylus, a keyboard, a virtual keyboard,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lecture processing unit 205 may synthesize and store the input writing objects in at least one transparent layer every predetermined time unit, when the input is interrupted, or when the learner indicates.

강의 처리부(205)는 학습자의 조작에 따라 질문 처리부(206)를 활성화할 수 있다. 학습자는 강의 중에 교수자에게, 또는 동료 학습자에게 질문을 하거나, 다른 동료 학습자로부터의 질문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해, 또는 강의 중이나 강의 후에 질문/답변 메시지들을 조회하기 위해 질문 처리부(206)를 활성화할 수 있다.The lecture processing unit 205 may activate the question processing unit 206 according to the learner's manipulation. The learner may ask the instructor 206 to ask a teacher or fellow learner during a lecture, enter an answer message to a question message from another peer learner, or query question / answer messages during or after a lecture. It can be activated.

실시예에 따라 질문 처리부(206)는 먼저 누구에게 질문할 것인지 파악하기 위해 다른 동료 학습자들의 실습 상태를 살펴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질문 처리부(206)는 다른 동료 학습자들의 학습자 실습 단말기들(250)의 작업 화면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일괄적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배열할 수 있다. 학습자는 썸네일 이미지들을 살펴보고, 앞서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동료 학습자를 선택하여 그 학습자의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 질문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question processing unit 206 may first examine the training state of other fellow learners to determine who to ask. To this end, the question processing unit 206 may collectively receive thumbnail images of work screens of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s 250 of other peer learners and arrange them on the display. The learner looks at the thumbnail images, selects a peer learner who appears to be leading, and sends a question message to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of the learner.

역으로, 강의 중에 다른 학습자의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로부터 질문 메시지를 받을 경우에는 질문 처리부(206)는 학습자로 하여금 질문에 응답할 것인지 거부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고, 응답하기로 했을 경우에는 답변 메시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답변 메시지는 텍스트로 작성될 수도 있지만 현재 작업 중인 화면을 캡처한 이미지일 수도 있다.Conversely, when receiving a question message from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of another learner during the lecture, the question processing unit 206 may allow the learner to determine whether to answer or reject the question, and to respond to the question. You can receive an answer message. The reply message may be in text, but may be an image of the screen you are currently working on.

실시예에 따라, 질문 처리부(206)는 질문/답변 메시지를 해당하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 직접 전송할 수도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질문 처리부(206)는 강의 보조 서버(400)의 질문 처리부(415)를 거쳐 질문/답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question processor 206 may directly transmit a question / answer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question processor 206 may be a question processor of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A question / answer message may be transmitted via 415.

이전 강의 조회부(207)는 강의 DB(403)에서 상기 강의 보조 서버로부터 이전 실습 영상들을 조회하고,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실습 영상 및 필기 데이터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previous lecture inquiry unit 207 may inquire the previous training images from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in the lecture DB 403, and superimpose and display the training image selected by the learner and the writing data.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는 제어부(251), 로그인부(252), 일정 관리부(253), 학습자 화면 송신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may include a controller 251, a login unit 252, a schedule manager 253, and a learner screen transmitter 254.

학습자가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에서 강의 보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제어부(251)가 최초로 실행되고, 제어부(251)가 로그인부(252)를 활성화한다. 로그인부(252)는 강의실 게이트웨이(300)를 거처 강의 보조 서버(400)에 접속하여 학습자의 로그인 정보를 확인한다.When the learner executes the lecture assistance application in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the controller 251 is executed for the first time, and the controller 251 activates the login unit 252. The login unit 252 checks the learner's login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via the classroom gateway 300.

로그인 정보가 확인되면, 제어부(251)는 일정 관리부(253)를 활성화한다. 일정 관리부(253)는 강의 DB(403)를 참조하여 학습자의 수강 과목들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login information is confirmed, the controller 251 activates the schedule manager 253. The schedule manager 253 may display a list of students taking courses on the display with reference to the lecture DB 403.

일정 관리부(253)는 학습자가 표시된 수강 과목들 중 특정한 과목을 선택하면, 로그인 시점이 강의 계획에 따른 강의 시간 내이고 또한 지정된 강의실에 상응하는 강의실 게이트웨이(300)를 통한 접속인지 판단한다.When the learner selects a particular subject among the displayed courses, the schedule manager 253 determines whether the login time is within the lecture time according to the lecture plan and is connected through the classroom gateway 300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classroom.

만약 계획된 강의 시간이 아니거나 또는 지정된 강의실이 아닌 강의실의 강의실 게이트웨이(300)에 접속된 경우라면, 일정 관리부(253)는 강의 시간이 아니라는 또는 지정된 강의실이 아니라는 오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If it is not the scheduled lecture time or if it is connected to the classroom gateway 300 of the classroom that is not the designated classroom,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253 may display an error message indicating that the lecture time is not or is not the designated classroom.

만약 계획된 강의 시간 내에 지정된 강의실에서 접속된 경우라면, 일정 관리부(253)는 학습자 화면 송신부(254)를 활성화할 수 있다.If the access is made in the designated classroom within the scheduled lecture time, the schedule manager 253 may activate the learner screen transmitter 254.

학습자 화면 송신부(254)는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의 썸네일 화면을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고, 다른 학습자의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썸네일 화면을 해당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learner screen transmitter 254 may transmit a thumbnail screen of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to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and transmits a thumbnail screen to a corresponding learner assistant terminal when a request of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of another learner is requested. And transmit to 200.

실시예에 따라, 학습자 화면 송신부(254)는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의 썸네일 화면과 함께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의 실습 위치 식별 정보를 함께 보낼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learner screen transmitter 254 may send training posi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together with the thumbnail screen of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이 경우에,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의 하드웨어가 가지는 몇가지의 고유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학습자가 선택한 실습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고 또는 학습자로부터 입력받은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좌석에 부착된 좌석 번호를 실습 위치 식별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raining location selected by the learner may be identified based on som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ardware of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earner, for example, a seat number attached to the seat. Can be used as training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강의 보조 서버(400)는 교수자 계정 DB(401), 학습자 계정 DB(402), 강의 DB(403), 강의 보조 시스템 제어부(411), 로그인부(412), 강의 일정 관리부(413), 출결 관리부(414), 강의 진행 처리부(415), 질문 처리부(416), 이전 강의 처리부(417)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includes an instructor account DB 401, a learner account DB 402, a lecture DB 403, a lecture assistant system control unit 411, a login unit 412, a lecture schedule management unit 413, an attendance management unit. 414, the lecture progress processing unit 415, the question processing unit 416, and the previous lecture processing unit 417.

로그인부(412)는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 또는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로부터 로그인 정보의 확인 요청이 있으면 교수자 계정 DB(401), 학습자 계정 DB(402)로부터 교수자 계정 또는 학습자 계정에 대한 로그인이 적법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If the login unit 412 has a request for confirmation of login information from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the instructor lecture terminal 150,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or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the instructor account DB 401, the learner account It is checked from the DB 402 whether the login for the instructor account or the learner account is legal.

강의 일정 관리부(413)는 로그인부(412)에서 적법한 로그인으로 판단한 경우에,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의 일정 관리부(103) 또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의 일정 관리부(203)와 연계하여, 교수자 계정 DB(401), 학습자 계정 DB(402) 및 강의 DB(403)를 검색하고 검색된 교수자의 강의 과목 리스트 또는 학습자의 수강 과목 리스트를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 또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의 일정 관리부(103, 203)에 각각 전송한다.When the lecture schedule manager 413 determines that the login 412 is a legitimate login, the lecturer associates with the schedule manager 103 of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or the schedule manager 203 of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of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or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searches the account DB 401, the learner account DB 402, and the lecture DB 403, and retrieves a list of the instructor's lecture subjects or the learner's taken subject list. Transmit to 103 and 203, respectively.

출결 관리부(414)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로부터 로그인이 계획된 강의 시간 내에서, 그리고 지정된 강의실의 강의실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접속된 것이라면, 해당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의 학습자가 해당 강의에 출석한 것으로 판정하고, 해당 강의에 수강 신청한 학습자들의 강의 출석에 관한 판정 결과를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의 학습자 화면 수신부(104)에 전송한다.Attendance management unit 414, if the login from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200 is connected within the scheduled lecture time and through the classroom gateway 300 of the designated classroom, the learner of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200 attends the lecture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attendance of the learners who have enrolled in the lecture is transmitted to the learner screen receiving unit 104 of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나아가 출결 관리부(414)는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에서 전달되는 학습자의 실습 위치에 관한 식별 정보를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의 학습자 화면 수신부(104)에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attendance manager 414 may provide the learner screen receiving unit 104 of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learner's training position delivered from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강의 진행 처리부(415)는,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의 강의 처리부(154)의 요청에 따라 강의 DB(403)에 미리 업로딩된 실습 시범 영상을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강의 진행 처리부(415)는 실습 시범 영상을 모든 학습자 보조 단말기들(200)에 멀티캐스트하거나 또는 개별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 유니캐스트할 수 있다.The lecture progress processing unit 415 may transmit, to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200, a demonstration image uploaded in advance to the lecture DB 403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lecture processing unit 154 of the lecturer lecture terminal 15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lecture progress processor 415 may multicast the training demonstration image to all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s 200 or unicast the individual learner assistant terminals 200.

질문 처리부(416)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질문 메시지, 다른 학습자의 질문 메시지에 관하여 입력된 답변 메시지, 교수자 보조 단말기(200)로부터 질문 메시지에 관하여 입력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질문/답변 메시지를 강의 DB(403)에 저장할 수 있다.The question processing unit 416 receives a question message input from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200, an answer message input with respect to another student's question message, an answer message input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message from the instructor auxiliary terminal 200, The received question / answer message may be stored in the lecture DB 403.

실시예에 따라서, 질문/답변 메시지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들(200) 사이에서 또는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와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 사이에서 직접 전송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 서는 질문/답변 메시지는 질문 처리부(416)에 일단 수신된 다음에 목적하는 보조 단말기들(100, 200)에 전송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question / answer message may be sent directly between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s 200 or between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and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question / answer message Once received by the query processing unit 416 may be transmitted to the target auxiliary terminals (100, 200).

이전 강의 처리부(417)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서 이전 강의를 요청할 경우에, 이전에 녹화된 실습 영상들의 리스트를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학습자에 의해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서 선택된 실습 영상과, 함께 저장된 필기 데이터, 내지는 질문/답변 메시지를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previous lecture processor 417 requests the previous lecture from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200, the previous lecture processor 417 transmits a list of previously recorded training images to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200 and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200 by the learner. The selected training image, the handwritten data stored together, or the question / answer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2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습형 강의 보조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ssisting a training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실습형 강의 보조 방법은 단계(S31)의 로그인 절차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ethod of assisting a practical lecture may start from the login procedure of step S31.

단계(S31)에서, 교수자가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에서, 또는 학습자가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서 각각 강의실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강의 보조 서버(400)에 접속함으로써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에 로그인한다.In step S31, the instructor logs in to the instructional lecture assistant system by connecting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through the classroom gateway 300 at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or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respectively. do.

단계(S32)에서, 학습자 보조 단말기들(200) 및 학습자 실습 단말기들(250)이 강의실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강의 보조 서버(400)에 접속한 경우에, 학습자가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 및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에 입력한 로그인 정보 및 강의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자들의 출석 여부를 판정한다.In step S32, when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s 200 and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s 250 access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through the classroom gateway 300,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and The learner's presence or absence is determined based on the login information and the lesson plan information input to the learner's training terminal 250.

단계(S33)에서는, 학습자 실습 단말기들(250)이 강의실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강의 보조 서버(400)에 접속한 경우에,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가 학습자 실습 단말기(250)로부터 썸네일 화면을 수신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썸네일 화면과 함께 실습 위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33, when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s 250 access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through the classroom gateway 300,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displays a thumbnail screen from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 250. In some embodiments, the training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together with the thumbnail screen.

단계(S34)에서, 교수자가 실습형 강의를 개시하면서, 교수자 강의 단말기(150)로부터 실시간적인 실습 화면 녹화 영상을 강의실 게이트웨이(300)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서브네트워크 내에서 브로드캐스트하거나, 또는 강의 보조 서버(400)로부터 미리 저장된 실습 시범 영상을 강의실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멀티캐스트함으로써, 학습자 보조 단말기들(200)에 실습 영상을 공유한다.In step S34, while the instructor initiates a hands-on lecture, the instructor lecture terminal 150 broadcasts a real-time training screen recording video in one subnetwork configured by the classroom gateway 300, or lectures. The training images stored in advance from the auxiliary server 400 are multicasted through the classroom gateway 300 to share the training images with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s 200.

단계(S35)에서,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가 실습형 강의 중에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 공유된 실습 영상 위에 중첩하여 필기 객체들을 입력받고, 입력된 필기 객체들과 실습 영상에 대한 필기 객체들의 상대적 위치를 포함하는 레이어와 같은 방식으로 필기 데이터를 강의 보조 서버(400)에 저장한다.In step S35,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200 receives the writing objects superimposed on the shared training image shared with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200 during the training class, and receives the input writing objects and the writing objects for the training image. The writing data is stored in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in the same manner as the layer including the relative position.

선택적인 단계(S36)에서, 학습자가 질문을 할 동료 학습자를 선택하고자 할 경우에,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가 다른 학습자들의 학습자 실습 단말기들(250)의 썸네일 화면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한다.In an optional step S36, when the learner wants to select a fellow learner to ask a question,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receives and displays thumbnail screens of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s 250 of other learners.

단계(S37)에서, 학습자가 교수자 또는 다른 동료 학습자를 지정하여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에 입력한 질문 메시지 또는 질문을 받은 교수자 또는 동료 학습자가 입력한 답변 메시지를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 또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가 표시할 수 있다.In step S37, the learner designates an instructor or another fellow learner to answer the question message input to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or the answer message input by the instructor or fellow learner who received the question. The terminal 200 may display.

실시예에 따라,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와 교수자 보조 단말기(100) 사이에서 전달되는 질문 메시지 또는 답변 메시지는 강의 보조 서버(400)의 질문 처리부(416)를 거쳐 전송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question message or the answer message transmitted between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and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100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question processor 416 of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단계(S38)에서, 학습자가 학습자 보조 단말기(200)를 통해 강의 보조 서버(400)에 저장된 이전의 실습 영상, 필기 데이터 또는 질문/답변 메시지를 조회하고 다시 보기할 수 있다.In step S38, the learner may query and view the previous training image, the writing data, or the question / answer message stored in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400 through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2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of the equivalent or equivalent vari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Further,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n optical disk,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 hard disk, a nonvolatile memory, and the like, and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10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
100 교수자 보조 단말기 150 교수자 강의 단말기
200 학습자 보조 단말기 250 학습자 실습 단말기
300 강의실 게이트웨이 400 강의 보조 서버
10 hands-on lecture assistance system
100 Instructor Auxiliary Terminal 150 Instructor Lecture Terminal
200 Learner Assistant 250 Learner Practice Terminal
300 classroom gateways 400 classroom secondary servers

Claims (18)

교수자 계정, 학습자 계정, 강의 계획, 실습 영상, 질문/답변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관리하고 요청에 따라 검색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강의 보조 서버;
학습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강의 보조 서버에 접속하여 학습자 계정, 실습 영상, 질문/답변 메시지에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고, 실습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학습자로부터 교수자 또는 다른 학습자를 상대로 하는 질문 메시지 또는 입력 메시지를 입력받을 수 있고 교수자 또는 다른 학습자로부터 답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 및
교수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강의 보조 서버에 접속하여 교수자 계정, 학습자 계정, 실습 영상, 질문/답변 메시지에 접근할 수 있고,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질문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교수자로부터 답변 메시지를 입력받을 수 있는 교수자 보조 단말기를 포함하는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
A teaching assistant server that stores and manages an instructor account, a student account, a lesson plan, a training video, a question / answer message in a database, and provides the retrieved data through a network according to a request;
By accessing the teaching assistant server according to the learner's operation, the student's account, the practice video, the question / answer message can be limitedly accessed, the practice video can be displayed, the question message to the instructor or another learner from the learner, or A learner auxiliary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an input message and displaying an answer message from an instructor or another learner; And
By accessing the teaching assistant server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operation, the teacher's account, the learner's account, the practice video, and the question / answer message can be accessed, and the question message sent from the learner's auxiliary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answer message is sent from the instructor. Practical lecture assistant system that includes an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that can be input.
청구항 1에 있어서, 특정한 강의실에 설치되고, 강의 계획에 따라 지정된 강의 시간에 상기 교수자 보조 단말기 및 해당 강의에 등록된 학습자의 학습자 보조 단말기가 접속되면, 접속된 교수자 보조 단말기 및 학습자 보조 단말기로써 비개방적인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강의실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and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of the learner registered in the lecture are connected to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and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at a designated lecture time according to the lesson plan. Practical lecture assistanc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classroom gateway constituting a wireless networ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은
학습자가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 표시되는 실습 영상에 따라 강의 내용을 실습하도록 동작하는 학습자 실습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수자 보조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실습 단말기의 화면을 조회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ining lecture assistance system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learner training terminal operable to learn the lecture contents according to the training image displayed on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The instructor assistant terminal is operable to assist in teaching the screen of at least one learner training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은
교수자의 조작에 따라 실습 시범을 위한 작업 화면을 캡처하고 캡처된 영상을 실습 영상으로서 공유를 위해 출력하도록 동작하는 교수자 강의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ining lecture assistance system
And an instructor lecture terminal operable to capture a work screen for a demonstration of a training according to an instructor's operation and output the captured image for sharing as a training video.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교수자 강의 단말기는
교수자의 조작에 따라 미리 실습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강의 보조 서버에 저장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structor lecture terminal
The lecture-type lecture assist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to generate a training image in advance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or's operation to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의 보조 서버는 필기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관리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는 강의 중에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필기 객체들을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강의 보조 서버에 저장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is operative to store and manage handwritten data in a database,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is operable to generate handwriting data including the handwriting objects input from the learner during the lecture and to store in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필기 데이터는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필기 객체들과 실습 영상에 대한 상기 필기 객체들의 상대적 위치 및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The hands-on lecture assisting system of claim 6, wherein the handwriting data includes handwriting objects input from a learner and relative positions and visual information of the handwriting objects with respect to the training imag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는
상기 강의 보조 서버로부터 이전 실습 영상들을 조회하고,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실습 영상 및 필기 데이터를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형 강의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And training the supervised training images from the teaching assistant server and displaying the training images and the writing data selected by the learner.
교수자 계정, 학습자 계정, 강의 계획, 실습 영상, 질문/답변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관리하고 요청에 따라 검색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 제공하는 강의 보조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교수자 보조 단말기로서,
상기 강의 보조 서버에 접속하여 출석한 것으로 판정된 학습자들이 실습을 수행하는 학습자 실습 단말기들의 썸네일(thumb nail)화면을 상기 학습자 실습 단말기들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동작하는 학습자 화면 수신부; 및
학습자가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를 통해 교수자에게 입력한 질문 메시지, 교수자가 질문 메시지에 관하여 등록한 답변 메시지, 또는 학습자들끼리 주고받는 질문/답변 메시지 등을 표시하도록 동작하는 질문 처리부를 포함하는 교수자 보조 단말기.
Instructor Assistant, which stores and manages instructor accounts, learner accounts, lesson plans, lab videos, question and answer messages in a database, and provides access to lecture assistant servers that provide retrieved data to at least one learner assistant terminal over the network on request. As a terminal,
A learner screen receiving unit operable to receive and display thumbnail screens of learner training terminals for which learners who are determined to be present by accessing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receive training from the learner training terminals; And
And a question processing unit operable to display a question message inputted by the learner to the instructor through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an answer message registered by the instructor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message, or a question / answer message exchanged between learners.
교수자 계정, 학습자 계정, 강의 계획, 실습 영상, 질문/답변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관리하고 요청에 따라 검색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교수자 보조 단말기에 제공하는 강의 보조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로서,
교수자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강의 보조 서버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교수자가 직접 교수자 강의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작업 화면으로서 상기 교수자 강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실습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강의 처리부; 및
학습자로부터 교수자 또는 다른 학습자를 상대로 하는 질문 메시지 또는 입력 메시지를 입력받을 수 있고 교수자 또는 다른 학습자로부터 답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는 질문 처리부를 포함하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
Learner assistant, learner account, lesson plan, practice video, question and answer messages can be stored in a database and managed as a database, and learners can access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that provides retrieved data to the teacher assistant through the network.
A lecture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be selected by an instructor and received from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or to display a training image received from the instructor's lecture terminal as a work screen directly executed by the instructor's lecture terminal on a display; And
A learner auxiliary terminal including a question processing unit that can receive a question message or an input message for an instructor or another learner from a learner, and display an answer message from an instructor or another learn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강의 처리부는
강의 중에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필기 객체들을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강의 보조 서버에 저장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rocessing unit of the steel
Learner auxiliary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rable to generate handwriting data including handwriting objects input from the learner during the lecture and to store in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강의 보조 서버로부터 이전 실습 영상들을 조회하고,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실습 영상 및 필기 데이터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는 이전 강의 조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previous lecture inquiry unit for retrieving previous training images from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and displaying the training image and the writing data selected by the learner in a superimposed mann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질문 처리부는
다른 동료 학습자들의 학습자 실습 단말기들로부터 작업 화면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question processing unit
Learner auxiliary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rable to receive and display thumbnail images of the work screen from learner training terminals of other peer learners.
교수자 계정, 학습자 계정, 강의 계획, 실습 영상, 질문/답변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관리하고 요청에 따라 검색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교수자 보조 단말기 또는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 제공하는 강의 보조 서버를 이용하는 실습형 강의 보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의 보조 서버로부터 또는 교수자 강의 단말기로부터 실습 영상을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서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서, 학습자가 교수자 또는 다른 동료 학습자를 지정하여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 입력한 질문 메시지 또는 질문을 받은 교수자가 상기 교수자 보조 단말기에 입력하거나 또는 동료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 입력한 답변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습형 강의 보조 방법.
Instructor-led lectures using a lecture assistant server that stores and manages instructor accounts, learner accounts, lesson plans, lab videos, question / answer messages in a database, and provides retrieved data to instructor assistants or learner assistant terminals over a network. In the auxiliary method,
Sharing a training image in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from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or an instructor lecture terminal; And
In the learner auxiliary terminal, a learner designates an instructor or another colleague learner, the question message or question received by the instructor auxiliary terminal inputted to the instructor auxiliary terminal or a peer learner inputted to his or her learner auxiliary terminal Practical instructional assistanc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n answer message.
청구항 14에 있어서,
학습자가 질문을 할 동료 학습자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서 다른 학습자들의 학습자 실습 단말기들의 썸네일 화면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형 강의 보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And receiving and displaying thumbnail screens of learner training terminals of other learners in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in order to select a fellow learner to ask a question to the learner.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서, 학습자로부터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 공유된 실습 영상 위에 중첩하여 필기 객체들을 입력받고, 입력된 필기 객체들과 실습 영상에 대한 필기 객체들의 상대적 위치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를 상기 강의 보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형 강의 보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In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the lecture assistant receives the writing objects superimposed on the shared training image shared by the learner assistant terminal, and provides writing data includ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input writing objects and the writing objects with respect to the training image. Practical lecture assistanc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in the server.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보조 단말기에서 학습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강의 보조 서버로부터 이전의 실습 영상들을 조회하고,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실습 영상 및 필기 데이터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형 강의 보조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learner assistance terminal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querying the previous training images from the lecture assistant server according to the learner's operation, and superimposed and displayed the training image and the handwriting data selected by the learner. Way.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강의 보조 방법을 컴퓨터에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18.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implementing a lecture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7 on a computer.
KR1020120048006A 2012-05-07 2012-05-07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practical lectures KR201301246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006A KR20130124694A (en) 2012-05-07 2012-05-07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practical lectu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006A KR20130124694A (en) 2012-05-07 2012-05-07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practical lectu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694A true KR20130124694A (en) 2013-11-15

Family

ID=4985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006A KR20130124694A (en) 2012-05-07 2012-05-07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practical lectur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469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0956A (en) * 2015-10-22 2015-12-16 北京石油化工学院 Classroom teaching auxiliary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1876441B1 (en) * 2017-11-16 2018-07-13 주식회사 와토솔루션 Virtual education system for engine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0956A (en) * 2015-10-22 2015-12-16 北京石油化工学院 Classroom teaching auxiliary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1876441B1 (en) * 2017-11-16 2018-07-13 주식회사 와토솔루션 Virtual education system for engine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92503A1 (en) Intelligent blackboard and teaching system for intelligent classroom
CN101777273A (en) Multi-interactive learning and teaching system
CN107066619A (en) User's notes generation method, device and terminal based on multimedia resource
CN110570699B (en) Intelligent cl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live broadcast teaching
US20160163212A1 (en) Active Learner Multi-media Assessment System
CA2838426A1 (en) Method for conducting a collaborative event and system employing same
US20140272887A1 (en) Interactive asynchronous education
KR20150112193A (en) Smart school system based on interactive educational solution and method thereof
KR20130135734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ractive learning management and educational matters
KR20150001228A (en) A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 attendance using QR code on mobile terminals
JP6795301B2 (en) Learning support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220032460A (en) Remote lecturing method and system
US20120045745A1 (en) Remote class service system
US20230260417A1 (en) On-Line Instructional System And 3D Tools For Student-Centered Learning
KR20130124694A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practical lectures
KR20110092633A (en) Medical education method based on wep
CN105450699A (en) Multimedia information interaction system and interaction method
KR20140119504A (en) IT actual training education SYSTEM USING CLOUD COMPUTING
KR20140122415A (en) Method for generating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30042843A (en) System for managementing capability membral using online education content and method therefor
US20180308378A1 (en) Interactive environment for the learning process
KR20130124693A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ssisting lectures with cooperative learning
KR20150089425A (en) Mathematics learning system for self leading using internet network
KR20010068143A (en) A method of two way remote education by using computer system
KR20130100813A (en) On-line broadcasting learning system based on e-book and on-line broadcasting learn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