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306A - Service system for userself-editing of digital textbook and user terimianl and edi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ervice system for userself-editing of digital textbook and user terimianl and edi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306A
KR20130123306A KR1020130024340A KR20130024340A KR20130123306A KR 20130123306 A KR20130123306 A KR 20130123306A KR 1020130024340 A KR1020130024340 A KR 1020130024340A KR 20130024340 A KR20130024340 A KR 20130024340A KR 20130123306 A KR20130123306 A KR 20130123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gital textbook
digital
unit
ed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3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시환
황선홍
Original Assignee
두산동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동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동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23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3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textbook which provides content of the existing textbook and reference book, workbook and glossary in the form of multimedia like moving pictures or animation and virtual reality without temporal and spatial restriction at school or home. The service system constitutes a layer by dividing the content into unit content of minimum unit, and edits and applies meta data of original unit content as maintaining the original unit content of the digital textbook through the work of adding or deleting unit content of each layer at a desired position when the digital textbook is edited, so that a general user can edit digital textbook customized to each user directly. [Reference numerals] (100) User terminal;(200)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300-1) Wire and wireless Internet;(300-3)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cription

디지털 교과서의 개별 편집이 가능한 서비스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 및 이의 편집 방법{SERVICE SYSTEM FOR USERSELF-EDITING OF DIGITAL TEXTBOOK AND USER TERIMIANL AND EDITING METHOD THEREOF}SERVICE SYSTEM FOR USERSELF-EDITING OF DIGITAL TEXTBOOK AND USER TERIMIANL AND EDI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개별 편집이 가능한 디지털 교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교 및 가정에서 시공간의 제약 없이 기존의 교과서와 참고서, 문제집, 용어사전 등의 내용을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 가상 현실과 같이 멀티미디어 방식으로 제공하는 디지털 교과서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원 데이터는 변경하지 않고 원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변경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개별 편집함으로써 일반 사용자까지도 쉽게 편집이 가능한 서비스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 및 이의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textbook that can be individually edited, and more specifically, to textbooks, reference books, problem books, glossaries, etc., without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at school and home, in a multimedia manner such as video, animation, and virtual rea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system, a user terminal, and a method for editing the digital textbook, which can be easily edited even by a general user by changing the metadata of the original data without changing the original data of the digital textbook.

디지털 교과서(Digital Textbook)는 특정 과목이나 특정 분야에 대하여 텍스트 파일, PDF 파일, 이미지 파일 혹은 동영상 파일을 사용하여, 연속적인 페이지로서 휴대용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도록 콘텐츠화 되어 있는 학습 교재이다. Digital textbooks are textbooks, PDF files, image files, or video files for a specific subject or a specific field, so that they can be displayed on a display of a portable terminal as a continuous page.

이러한 디지털 교과서는 기존 서책형 교과서를 전자화하여 서책이 가지는 장점과 아울러, 검색, 요점 출력 등의 부가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 애니메이션 또는 가상 현실 등 멀티미디어 방식의 학습 기능을 제공하여 편리성과 학습 효과성을 극대화한 디지털 학습 교재로서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These digital textbooks provide the convenience of bookshelf by electronicizing existing book-type textbooks, and provide additional convenience functions such as search and output of points, and provide multimedia learning functions such as animation or virtual reality to maximize conveni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 digital learning textbook.

일반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는 컴퓨터 혹은 휴대용 단말기 상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이다. 종래,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선보이고 있는 각종 디지털 교과서는 동화상, 소리, 그림, 텍스트 등을 멀티미디어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만들고, 기록매체인 씨디타이틀(CD-Title) 메모리 소자 등에 저장한 후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독자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In general, digital textbooks are recording media that can be read on a computer or portable terminal. Conventionally, various digital textbooks introduced to teach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re made of multimedia authoring tools such as moving pictures, sounds, pictures, and texts, and stored on CD-Title memory devices, which are recording media, and then computer or portable. By using a terminal can be reproduced independently.

기존에 선보이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예컨대 1학년 1학기 수학 과목에 대한 디지털 교과서를 실행하였을 때, 제작사의 로고와 안내문이 동화상으로 재생되고, 이어서 해당 과목명이 음성데이터에 따른 설명과 함께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난 후, 단원에 대한 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표시된 화면에서 해당 단원을 선택하면 그 단원에 대한 세부 내용이 화면에 표시된다.In the case of the existing digital textbooks, for example, when a digital textbook for a first-semester mathematics course is executed, the logo and guide of the producer are reproduced as a moving picture, and the subject name is then animated with a description of the voice data. After that, the screen for the unit is displayed. If you select a unit from the displayed screen, the details of the unit are displayed on the screen.

즉, 다양한 차별성과 변화를 강조하기 위해 탄생된 멀티미디어 성격의 디지털 교과서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일률적인 제작이 관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기존 서책용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내용을 가지고 표시되기 때문에 획일적인 학습 교재를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other words, despite the fact that it is a digital textbook with a multimedia nature that was created to emphasize various differences and changes, it is still common practice to produce uniform textbooks, And the like.

또한, 디지털 교과서의 장점으로 데이터의 편집, 제작 등의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일반 사용자들이 개별적으로 데이터를 편집, 관리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제작자 측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획일적인 학습 교재를 제공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advantages of digital textbooks are that it is easy to manage data editing and production.However, it is not possible for general users to edit and manage data individually. There is only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디지털 교과서의 콘텐츠를 최소 단위의 단위 콘텐츠로 구분하여 레이어(layer)를 구성하고, 이러한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할 때 각 레이어의 단위 콘텐츠를 원하는 위치에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등의 작업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원 단위 콘텐츠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원 단위 콘텐츠에 해당하는 메타 데이터만을 편집하여 적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에게 맞는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일반 사용자가 직접 편집하는 것이 가능한 서비스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 및 이의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onstitutes a layer by dividing the contents of the digital textbook into the unit content of the minimum unit, and the desired position of the unit contents of each layer when editing the digital textbook. Service system that allows general users to directly edit customized digital textbooks for each user by editing and applying only metadata corresponding to the raw content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contents of digital textbooks by adding or deleting them. And to provide a user terminal and a method of editing thereof.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디지털 교과서의 개별 편집이 가능한 서비스 시스템은, 디지털 디지털 교과서의 각 페이지별로 콘텐츠의 형식에 따라 다수의 레이어로 구성하고, 각 레이어에는 콘텐츠 내용을 일정 단위에 따라 구분한 단위 콘텐츠 및 상기 단위 콘텐츠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 메타 데이터를 링크하여 관리하는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 상기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교과서에 대하여 재생 및 편집이 가능하고, 편집 시 상기 디지털 교과서의 원 단위 콘텐츠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첨부하는 방식에 의해 상기 원 단위 콘텐츠에 해당하는 메타 데이터를 편집하거나, 또는 새로운 신규 단위 콘텐츠를 원하는 위치에 첨부하고 상기 신규 단위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편집된 메타 데이터를 토대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별 개인 저장 공간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저장하는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 DB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교과서를 구성하는 다수의 레이어는 삽입할 단위 콘텐츠의 속성(형식)이 지정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편집할 단위 콘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단위 콘텐츠의 속성에 맞는 레이어가 자동 선택되고 선택된 레이어 상에서 삽입할 위치의 좌표가 자동 생성되어 지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ystem capable of individually editing the digital textbook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content for each page of the digital digital textbook, and each layer includes the content content. A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that links and manages unit content classifi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unit and metadata includ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it content; It is possible to play and edit the digital textbook provided from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and edit the metadata corresponding to the raw content by moving and attaching the raw content of the digital textbook to a desired position when editing. Or a user terminal attaching new new unit content to a desired location and generating metadata for the new unit content to generate a customized digital textbook based on the edited metadata; Personal storage space for each user includes a customized digital textbook content DB for storing the customized digital textbooks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the plurality of layers constituting the digital textbook has a property (type) of the unit content to be inserted is specified; When the unit content to be edited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a layer suitable for the attribute of the selected unit content is automatically selected, and coordinates of a position to be inserted on the selected layer are automatically generated and specified.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교과서를 요청하고 요청한 디지털 교과서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하여 재생 및 편집이 가능하고, 편집 시 상기 수신한 디지털 교과서에 포함되어 있는 원 단위 콘텐츠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첨부하는 방식에 의해 상기 원 단위 콘텐츠에 해당하는 메타 데이터를 편집하거나, 새로운 신규 단위 콘텐츠를 원하는 위치에 첨부하고 상기 신규 단위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편집된 메타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별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the us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s operation;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for requesting a digital textbook desir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and receiving the requested digital textbook; And play and edit the digital textbook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nd correspond to the raw content by moving and attaching the raw content included in the received digital textbook to a desired position during edit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ent providing unit for editing the metadata, or attaching a new new unit content to a desired position, and generates the metadata of the new unit content to edit the digital textbook customized for each user based on the edited metadata .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개별 편집이 가능한 방법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받아 재생 및 편집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편집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할 화면의 포맷 및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선택된 디지털 교과서의 단위 콘텐츠를 원하는 위치로 첨부하는 방식에 의해 상기 단위 콘텐츠에 해당하는 메타 데이터를 편집하거나, 새로운 신규 단위 콘텐츠를 불러와 원하는 위치에 첨부하여 상기 신규 단위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하는 단계; 편집한 메타 데이터 및 상기 편집한 메타 데이터에 의해 생성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individually editing a digital textbook in a us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diting method in a user terminal that receives and plays and edits a digital textbook desired by a user based on a network. Receiving a format of a screen for editing a digital textbook and a selection for the digital textbook; Editing the metadata corresponding to the unit content by attaching the unit content of the selected digital textbook to the desired location, or importing new new unit content and attaching it to the desired location to generate the metadata for the new unit content Editing the digital textbook in a fashion; And storing the edited metadata and the customized digital textbook generated by the edited metadata.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학습 교재로서의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자가 불러 와 사용자에 맞는 개별 편집이 가능하므로 효과적인 맞춤형 학습 수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textbook as a digital learning textbook can be called by the user and individually edited for the user, so that effective customized learning can be performed.

또한, 콘텐츠의 제작자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까지도 쉽게 편집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edit not only the content creator but also the general user, thereby satisfying the user's needs.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이 편집한 디지털 교과서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가 개별 편집한 디지털 교과서를 함께 공유할 수 있어, 이의 활용도 및 구매 서비스까지 확대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not only the digital textbook edited by the user but also other users can share the digital textbook edited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utilization and purchase service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편집이 가능한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의 콘텐츠에 관하여 레이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의 단위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개별 편집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 단계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선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편집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편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8은 회원들 간의 그룹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를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that can be individually edit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yer structure of contents of a digital text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form of storing information on unit content of a digital text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individually editing a digital textbook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view of some steps of FIG. 6.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ng a digital textbook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edi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5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diting method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providing a digital text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technical method for editing a digital text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llustrating a group between members.
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xecuting a digital text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and effect thereof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case where it is judg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lurred to a known configuration, do.

이하의 발명에서 언급하는 디지털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레이어(layer) 구조를 기반으로 구성되고, 각 레이어에 해당하는 콘텐츠는 일정 단위로 구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콘텐츠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한다. The digital textbook mentioned in the following invention is basically composed based on a layer structure, and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layer includes at least one unit content or metadata for at least one unit content divided into predetermined units. Include.

따라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단위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는 제한된 개념으로 단위 콘텐츠를 재생 또는 뷰어하는 데 필요한 파일 위치 링크, 옵션 등의 속성 정보를 의미하며, 이러한 단위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는 단위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의 속성 정보(전체 메타데이터)에 포함되어 메타 패키지(meta package) 형태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etadata of the unit content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property information such as file location links and options required for playing or viewing the unit content in a limited concept, and the metadata of the unit content includes the unit content. It can be included in the property information (full metadata) of digital textbooks, which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in the form of meta packages.

한편, 본 발명에서 동일한 내용을 가지고 사용자에게 일률적으로 제공되는 디지털 교과서를 표준형 디지털 교과서라 하고,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을 편집하여 각 사용자별로 제공되는 디지털 교과서를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라 한다. 표준형 디지털 교과서는 사용자 인증과 상관없이 제공이 가능하지만,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는 사용자 인증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만 제공이 가능하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digital textbook uniformly provided to the user with the same contents is called a standard digital textbook, and a digital textbook provided for each user by editing the contents of the digital textbook is called a customized digital textbook. Standard digital textbooks can be provided regardless of user authentication, but customized digital textbooks can onl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user authent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편집이 가능한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 service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edit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은 유무선 인터넷(300-1), AP(300-2)를 이용한 망, 이동통신망(300-3) 등 여러 가지 이질적인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간 사용자별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through various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a wired / wireless internet 300-1, a network using the AP 300-2,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0-3. Provides a user-specific digital textbook between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200.

사용자 단말(100)은 일반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디지털 교과서의 재생 및 편집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탑재한 단말이라면 단말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다. The user terminal 100 is a terminal possessed by a general user and may be applied to a terminal equipped with a program capable of playing and editing a digital textbook, regardless of the type of terminal.

사용자 단말(100)은 유무선 인터넷(300-1), AP(300-2)를 이용한 망, 이동통신망(300-3)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로 재생 또는 편집할 디지털 교과서를 요청하고 제공받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편집한 사용자별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생성한 경우 생성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업로드한다. The user terminal 100 may play or edit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any one of a wired and wireless Internet 300-1, a network using the AP 300-2,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0-3. Request and receive digital textbooks.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and uploads the generated customized digital textbook to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200 when generating a customized digital textbook for each user edited through an editing program.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는 각종 디지털 교과서에 관한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디지털 교과서의 요청이 있으면 통신망을 통해 해당 디지털 교과서의 콘텐츠 정보를 제공한다.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200 stores and manages content information regarding various digital textbooks, and provides conten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igital textbook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hen a digital textbook is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또한,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개별 편집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수신하면 업로드하고,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여부에 따라 원하는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개, 공유, 판매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는 각 사용자 단말(100)에게 사용자별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저장할 개인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200 uploads the personalized edited digital textbook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uploads it to the other user. Optionally offer public, share and sell.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200 provides each user terminal 100 with a personal storage space for storing user-specific digital textbooks.

그러면, 이상의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100)에 대하여 세부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Then,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200 and the user terminal 100 for implementing the above service system will be described.

도 2는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의 콘텐츠에 관하여 레이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yer structure of contents of a digital text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사용자 인증부(220), 가입자 정보 DB(230), 디지털 교과서 제공부(240), 콘텐츠 DB(250)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 2,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210, a user authentication unit 220, a subscriber information DB 230, and a digital textbook providing unit 240. And a content DB 250.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여러 통신망(도 1에 도시한 유무선 인터넷(300-1), AP(300-2)를 이용한 망, 이동통신망(300-3))을 통해 사용자 단말(도 1의 1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페이스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210 is a user terminal (100 in FIG. 1)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wired / wireless internet 300-1 shown in FIG. 1, a network using an AP 300-2,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0-3). Interfac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사용자 인증부(220)는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로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도 1의 100)에 대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을 다수의 사용자가 편집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자별로 관리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공개, 공유,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입력되는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가 가입자 정보 DB(230)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220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on the user terminal (100 of FIG. 1) connected to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200. This is a process required to manage customized digital textbooks edited by multiple users for each user and to provide public, sharing and sales services upon user's request. Such user authentic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ID or password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of FIG. 1) matches the user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ubscriber information DB 230. FIG.

디지털 교과서 제공부(240)는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디지털 교과서의 요청이 있으면 콘텐츠 DB(250)에 기 저장된 데이터에서 해당 디지털 교과서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도 1의 100)이 요청한 디지털 교과서가 표준형이 아닌 사용자별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이면, 디지털 교과서 제공부(240)는 사용자 인증부(220)와 연동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친 사용자 단말(100)에게만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한다. The digital textbook providing unit 240 extracts and provides a corresponding digital textbook from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content DB 250 when a digital textbook is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of FIG. 1). At this time, if the digital textbook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100 of FIG. 1) is not a standard type, but a customized digital textbook for each user, the digital textbook providing unit 240 is connected to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220 and has undergone user authentication. ) Provide customized digital textbooks only.

또한, 디지털 교과서 제공부(24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수신하게 되면 콘텐츠 DB(250)의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 DB(254)에 업로드하고, 사용자 단말(도 1의 100)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여부에 따라 해당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개, 공유, 판매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공개, 공유, 판매 서비스는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의 전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고, 또는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패키지(package)한 메타 패키지(meta package)만을 공개, 공유, 판매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igital textbook providing unit 240 receives the customized digital textbook from the user terminal (100 of FIG. 1)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10, uploads the customized digital textbook content DB 254 of the content DB 250.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of FIG. 1), the corresponding customized digital textbook is provided to other users to be disclosed, shared, and sold. In this case, the disclosure, sharing, and selling service may be implemented by providing a total of customized digital textbooks, or by publishing, sharing, and selling only meta packages that package metadata about customized digital textbooks. Can be implemented.

여기서, 공개는 단지 참조용으로 다른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정도를 의미하고, 공유는 다른 사용자에게 소스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데이터(메타 데이터) 자체를 직접 활용(편집)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유는 서비스에 가입한 모든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도 있고 특정 그룹이나 특정 사용자를 지정하여 공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판매는 다른 사용자에게 개별 편집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의 메타 패키지를 유료, 무료로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콘텐츠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유료 판매로 인해 수익을 창출할 수가 있다. Here, the disclosure means only the degree to be shown to other users for reference, and sharing means providing the source data to other users so that they can directly use (edit) the data (meta data) itself. Shares can be shared with all users subscribed to the service, or they can be shared with specific groups or specific users. In addition, selling means allowing other users to sell meta-packages of individually edited custom digital textbooks for a fee and for free. In this case, revenue can be generated due to the paid sales as well as the activation of the contents.

콘텐츠 DB(250)는 각종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저장한다.The content DB 250 stores content information about various digital textbooks.

이러한 콘텐츠 DB(250)는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제작되어 일반 사용자에게 동일하게 제공하는 표준형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 DB(252)와, 각 사용자가 개별 편집하여 사용자의 수준, 기호에 맞게 편집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 DB(254)로 구분할 수 있다. The content DB 250 is a standard digital textbook content DB 252 produced by a content creator and provided to a general user in the same manner, and a customized digital textbook content DB edited to each user's level and preference by individual users. (254).

표준형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 DB(252) 및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 DB(254)는 각 표준형 디지털 교과서 및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에 포함되는 콘텐츠 정보로 각 페이지별로 구성되는 다수의 레이어(Layer) 정보, 각 레이어에 링크되는 단위 콘텐츠와 메타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메타 데이터는 단위 콘텐츠를 해당 레이어 상에 표시하기 위한 위치 정보, 크기 정보, 콘텐츠 형식, 포맷 등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The standard digital textbook content DB 252 and the customized digital textbook content DB 254 are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standard digital textbook and the customized digital textbook, and a plurality of layer information configured on each page and linked to each layer Unit content, metadata, and the like. The meta data includes attribute information such as position information, size information, content format, format, etc. for displaying the unit content on the corresponding layer.

특히,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 DB(254)는 사용자별로 할당되는 개인 저장 공간으로서, 각 사용자가 편집한 메타데이터 및 단위 콘텐츠가 신규한 경우 신규 단위 콘텐츠까지 저장한다. In particular, the personalized digital textbook content DB 254 is a personal storage space allocated to each user, and stores new unit content when metadata and unit content edited by each user are new.

따라서, 임의 디지털 교과서에 대하여 특정 페이지의 재생이 있으면 디지털 교과서 제공부(240)는 표준형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 DB(252) 또는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 DB(254)로부터 특정 페이지에 해당하는 레이어 정보와 각 레이어에 링크되어 있는 단위 콘텐츠 및 메타 데이터를 제공받아, 메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속성 정보를 토대로 단위 콘텐츠를 레이어 상에 배치하고 레이어간 중첩하여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Therefore, if there is a reproduction of a specific page for any digital textbook, the digital textbook providing unit 240 is assigned to the 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age and to each layer from the standard digital textbook content DB 252 or the customized digital textbook content DB 254. Based on the linked unit content and the metadata, the unit content is disposed on the layer based on the attribu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tadata, and the unit content is superimposed between the layer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이를 위한 디지털 교과서는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지털 교과서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콘텐츠 형식에 따라 다수의 레이어(layer: 10, 20, 30, 40)로 구성되고, 각 레이어(10, 20, 30, 40)는 일정 단위에 따라 콘텐츠 내용을 구분한 단위 콘텐츠와, 단위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한다. A digital textbook for this purpose may be specifically implemented as shown in FIG. 3. That is, the digital textbook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layers 10, 20, 30, and 40) according to content types such as text, images, and videos, and each layer (10, 20, 30, 4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unit. It includes unit content which divided content content, and metadata of a unit content.

예를 들어, 디지털 교과서가 여러 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 페이지는 콘텐츠 형식에 따라 다수의 레이어로 구성되고, 각 레이어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영역, 이미지 파일 단위,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강조 표시, 추가 내용 입력 등) 등과 같이 일정 단위에 따라 구분한 단위 콘텐츠(pd-000001, tx-001001, ph-00001, vd-00001 등)가 하나 또는 하나 이상 링크되어 있다. 따라서, 해당 페이지를 표시할 때 단위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다수의 레이어를 겹쳐 표시한다.For example, if a digital textbook is composed of several pages, each pag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the content type, and each layer has a certain area, an image file unit, or a memo input by a user as shown in FIG. 4A. One or more unit contents (pd-000001, tx-001001, ph-00001, vd-00001, etc.) classifi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unit, such as (highlight display, input of additional content, etc.) are linked. Therefore, when displaying the page, a plurality of layers including the unit content are overlaid.

다수의 레이어(10, 20, 30, 40)는 그리드 레이어(Grid Layer: 10), 텍스트 레이어(Text Layer: 20), 포토 또는 영상 레이어(30), 애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 Layer: 40)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ayers 10, 20, 30, and 40 may be divided into a grid layer 10, a text layer 20, a photo or image layer 30, an application layer 40, and the like. Can be.

그리드 레이어(10)는 맨 하단의 레이어로 제1 레이어라고도 부르며, 다른 콘텐츠의 재생 위치를 동기화할 수 있는 기준 좌표 평면(Grid)으로 작용한다. 또한, 그리드 레이어(10)는 PDF 포맷의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어서 PDF 레이어라고도 하며, PDF 렌더링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grid layer 10 is also referred to as a first layer, which is the bottom layer, and functions as a reference coordinate grid that can synchronize the playback positions of other contents. In addition, since the grid layer 10 is composed of data in PDF format, it is also called a PDF layer and performs a function of PDF rendering.

텍스트 레이어(20)는 제2 레이어라고도 부르며, 렌더러(Renderer)와 데이터(Data)를 포함한다. 데이터(Data)는 XML, HTML 등의 포맷으로 저장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의미하며, 렌더러(Renderer)는 텍스트 데이터를 호출하여 미리 저작되어 있는 템플릿과 결합하도록 한다.The text layer 20 is also called a second layer and includes a renderer and data. Data refers to text data stored in a format such as XML, HTML, etc., and a renderer calls text data to be combined with a template that is pre-authored.

포토 또는 영상 레이어(30)는 제3 레이어라고도 부르며, 그림이나 동영상 등의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포토 또는 영상 레이어(30)는 원본 파일을 불러 와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The photo or image layer 30 is also called a third layer and includes data about an image such as a picture or a video. The photo or image layer 30 may be recycled by importing an original file and utilizing text data.

또한, 텍스트 레이어(20), 포토 또는 영상 레이어(30)는 데이터의 내용에 따라 또는 추가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여부에 따라 다수 개 적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xt layer 20, the photo or image layer 30 may be stacked in plural numbers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data or additionally updated.

또한, 텍스트 레이어(20), 포토 또는 영상 레이어(30)는 캡션(caption), 옵션(option), 및 매칭 데이터(matching data) 등의 링크 정보만 메타 데이터로 수록하고 원본 파일(단위 콘텐츠)은 별도 저장해 두어, 해당 레이어(20, 30)를 표시할 때 메타 데이터와 매칭되는 원본 파일(단위 콘텐츠)을 불러올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xt layer 20, the photo or image layer 30 includes only link information such as caption, option, and matching data as metadata, and the original file (unit content) By storing separately, when displaying the layers 20 and 30, the original file (unit content) matching the metadata may be loaded.

메타 데이터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콘텐츠명(252a), 콘텐츠 종류(252b), 위치 정보(252c), 데이터의 포맷(252d) 등을 포함한다. 위치 정보(252c)는 레이어 정보까지 포함한다. The meta data includes unit content name 252a, content type 252b, location information 252c, data format 252d,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4B. The location information 252c includes layer information.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의 구성은 각 레이어별로 더욱 세부적으로 단위 콘텐츠별로 개별 편집을 가능하게 제공한다. 특히, 단위 콘텐츠의 데이터는 그대로 유지하고, 단위 콘텐츠를 원하는 위치에 삽입 또는 삭제하는 작업에 의해 메타 데이터만을 변경하여 편집하는 방식을 통해 서비스 사입자 측은 원 디지털 교과서의 데이터 관리가 용이하면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에게 편집의 자율성을 보장해 준다.As such, the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textboo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or individual editing by unit content in more detail for each layer. In particular, the subscribers can easily manage the data of the original digital textbooks while subscribing to the service by changing and editing only the metadata by inserting or deleting the unit contents in a desired position. It guarantees autonomy of editing for one user.

도 5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데이터 처리부(140), 콘텐츠 제공부(150),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110, an inputter 120, a display 130, a data processor 140, a content provider 150, and a storage 160.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도 1의 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페이스한다. 즉,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교과서를 요청하면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도 1의 200)로 요청하고, 요청한 디지털 교과서를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도 1의 200)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부(140)로 전달한다.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interface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200 of FIG. 1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when a user requests a digital textbook through the input unit 120,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200 of FIG. 1) is requested, and the requested digital textbook is received from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200 of FIG. 1). 140).

입력부(120)는 원하는 디지털 교과서를 요청하고 요청한 디지털 교과서의 접근, 재생 및 편집을 위한 클릭(click), 드래그(drag) 등의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 받는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단말에 구비되는 키 패드,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requests a desired digital textbook and receives a user's manipulation signal such as a click or drag for accessing, playing, and editing the requested digital textbook.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keypad, a touch pad, and the like provided in the terminal.

디스플레이부(130)는 콘텐츠 제공부(150)의 제어에 따라 편집 화면, 재생 화면을 제공한다. The display unit 130 provides an edit screen and a playback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ent provider 150.

데이터 처리부(14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한 디지털 교과서의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콘텐츠 제공부(150)로 전달한다.The data processor 140 encodes the data of the digital textbook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ontent provider 150.

저장부(160)는 디지털 교과서를 재생 또는 표시할 수 있는 뷰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프로그램(162)을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160 stores a viewer program for playing or displaying a digital textbook, and stores an editing program 162 for editing a digital textbook.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60)는 콘텐츠 제공부(150)에서 편집한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 정보 즉, 메타 데이터를 편집 정보 DB(164)에 저장하여 패키지화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and package the edit information, that is, metadata of the digital textbook edited by the content provider 150, in the edit information DB 164.

추가로, 저장부(160)는 디지털 교과서의 단위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 개인이 소지한 파일을 삽입할 경우 이를 단위 콘텐츠로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160 may store the unit content of the digital textbook, and in particular, when inserting a file possessed by a user, it may store it as the unit content.

콘텐츠 제공부(150)는 데이터 처리부(140)를 통해 수신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하여 재생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The content providing unit 150 provides a reproduction and editing function for the digital textbook received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140.

디지털 교과서 재생부(152)는 뷰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재생하고, 디지털 교과서 편집부(154)는 편집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한다. The digital textbook reproducing unit 152 executes the viewer program to reproduce the digital textbook, and the digital textbook editing unit 154 executes the editing program to edit the digital textbook.

편집 시, 콘텐츠 제공부(150)의 디지털 교과서 편집부(154)는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의 포맷 및 편집 방법을 선택적으로 입력받고, 선택한 화면 포맷에 편집 도구(tool)를 이용하여 디지털 교과서의 단위 콘텐츠 또는 신규 단위 콘텐츠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것으로 편집한다. 이때, 편집은 단위 콘텐츠 자체를 편집하는 것이 아니라 단위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변경하여 편집하는 것을 의미한다. When editing, the digital textbook editing unit 154 of the content providing unit 150 selectively receives a format and an editing method of a screen desired by the user, and uses unit tools of a digital textbook using an editing tool for the selected screen format. Edit by inserting or deleting new unit content. In this case, the editing means not editing the unit content itself, but changing and editing the metadata of the unit content.

신규 단위 콘텐츠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얻은 정보이거나, 사용자 개인이 획득한 이미지 파일, 텍스트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을 포함한다.The new unit content may b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n internet search, or may include an image file, a text file, a video file, etc. obtained by an individual user.

화면의 포맷은 하기의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을 삽입할 영역들이 지정된 일종의 편집 양식을 제공한다. As shown in FIG. 9, the format of the screen provides a kind of editing style in which regions for inserting text, an image, a video, and the like are designated.

상기의 편집 방법은 편집할 단위 콘텐츠를 편집 화면으로 불러오는 방법으로, 그래픽적으로 디지털 교과서가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편집할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위치에 매칭되는 단위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단위 콘텐츠에 대한 정보(메타 데이터)가 저장된 텍스트 형태의 테이블에서 단위 콘텐츠명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방법, 디지털 교과서의 디렉토리 파일을 기반으로 해당 단위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above editing method is a method of bringing the unit content to be edited into the edit screen, selecting a region to be edited by the user on a screen displaying a digital textbook, and selecting unit content matching the selected position, A method of selecting and applying unit content names from a textual table in which information (meta data) is stored, or selecting a corresponding unit content based on a directory file of a digital textbook may be used.

또한, 콘텐츠 제공부(150)는 디지털 교과서 편집부(154)를 통해 편집한 메타 데이터를 또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외부의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로 전달하여 업로드 요청하고, 업로드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공개, 공유, 판매 여부를 설정한다.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er 150 delivers the metadata edited through the digital textbook editing unit 154 or a customized digital textbook including the metadata to an external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to upload. And set whether to publish, share, and sell customized digital textbooks upload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교과서에 대하여 편집할 때, 사용자의 편의상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을 보고 디지털 교과서의 단위 콘텐츠를 이용하여 편집하지만 실제 디지털 교과서 자체를 가공하지 않고 디지털 교과서의 메타 데이터를 가공하는 것에 의해 편집하는 구체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Therefore, when the user terminal 100 edits a digital textbook provided by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the user terminal 100 edits the content of the digital textbook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uses the unit content of the digital textbook, but actually edits the digital textbook. It provides a specific structure for editing by processing the digital textbook metadata without processing the digital textbook itself.

다음으로, 상기의 사용자 단말 및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의 구성에 기초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재생 및 편집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예시된 화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method of reproducing and editing a digital textbook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scree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개별 편집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일부 단계에 대한 상세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individually editing a digital textbook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etailed view of some steps of FIG. 6.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 과정을 설명한다.First, a process of editing a digital textboo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사용자 단말은 기 저장되어 있는 편집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사용자 로그인을 통해 인증을 받는다(S100). 이 인증 과정은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생성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자별로 관리하고 제공하기 위한 과정으로 볼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executes a pre-stored editing program and is authenticated through a user login (S100). This certification process can be viewed as a process for managing and providing customized digital textbooks generated by multiple users on a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따라서, 사용자 로그인 과정(S100)은 도시한 것처럼 편집 전에 수행할 수 있지만, 이의 시간적 순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후의 편집한 정보를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로 전송할 때 수행할 수 있고, 또는 중간 과정에서 사용자별 작업에 따라 인증이 필요할 시 언제든지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login process (S100) may be performed before editing as shown, but is not limited to the temporal order thereof, and may be performed when transmitting the edited information to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in the interim process. Depending on the specific task, it can be performed at any time when authentication is required.

이후,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로그인을 통해 인증을 받았거나 또는 편집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화면에 편집할 화면을 안내하고, 안내 화면에서 사용자가 편집하기를 원하는 화면의 포맷 즉, 편집 양식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다(S110). 또, 편집할 디지털 교과서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Subsequently, when the user terminal is authenticated through a user login or executes an editing program, a screen to be edit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 selection of a format of the screen that the user wants to edit, ie, an editing form, is input from the guide screen. (S110). It also accepts a selection of digital textbooks to edit.

화면의 포맷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The format of the screen may have various formats as shown in FIG. 9.

편집 화면(9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에 편집을 위한 조작 메뉴를 표시하여 안내하는 메뉴 바(91)와, 사용자 인증을 위해 로그인 실행 메뉴를 표시하여 안내하는 로그인 메뉴(91a),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할 화면의 포맷이 설정되어 있어서 해당 영역(92a, 92b)에 원하는 단위 콘텐츠를 삽입하여 편집하는 편집 창(92) 등을 포함하여 제공한다. The edit screen 90 includes a menu bar 91 for displaying and guiding an operation menu for editing on the screen, a login menu 91a for displaying and guiding a login execution menu for user authentication, as shown in FIG. Since the format of the screen for editing the digital textbook is set, the editing window 92 for inserting and editing desired unit contents in the corresponding areas 92a and 92b is provided.

이때, 편집 창(92)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삽입할 수 있는 세 개의 박스 영역을 도시하고 박스 영역 이외의 배경에는 텍스트 또는 배경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는 화면 포맷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박스 영역의 개수, 크기, 위치 비율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dit window 92 shows three box areas into which an image or a video can be inserted, and a screen format into which text or a background image can be inserted into a background other than the box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number, size, and position ratio of the regions.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선택한 화면의 포맷을 표시하고, 표시된 화면의 포맷에 이용할 편집 방법 메뉴를 선택 가능하게 화면에 표시하여 안내하고, 이로부터편집 방법의 선택을 입력받는다(S120, S130).Referring back to FIG. 6, the user terminal displays a format of the selected screen, displays a guide to select an editing method menu to be used for the format of the displayed screen, and receives a selection of an editing method therefrom (S120, S130).

여기서의 편집 방법은 편집할 단위 콘텐츠를 편집 화면으로 불러오는 방법을 말한다. 편집 방법은 그래픽적으로 디지털 교과서가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편집할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위치에 매칭되는 단위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단위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텍스트 형태의 테이블에서 단위 콘텐츠명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방법, 디지털 교과서의 디렉토리 파일을 기반으로 해당 단위 콘텐츠를 선택하여 적용하는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editing method here refers to a method of bringing up unit content to be edited into the editing screen. The editing method is to select the area to be edited by the user on the screen displaying the digital textbook graphically and to select the unit content that matches the selected position, and select the unit content name from the textual table in which the information on the unit content is stored. It may include a method of applying, a method of selecting and applying the unit content based on the directory file of the digital textbook. This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5.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은 선택한 편집 방법에 따라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하고 편집한 정보를 토대로 레이어 구조의 사용자별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생성한다(S140). Next, the user terminal edits the digital textbook according to the selected editing method and generates a user-specific digital textbook having a layer structure based on the edited information (S140).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이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하나의 화면 상에 편집할 대상 화면과 편집 화면을 동시에 표시한다(S142). 편집할 대상 화면은 뷰어 프로그램을 통해 편집할 대상 디지털 교과서를 표시하는 화면이고, 편집 화면은 도 9에서와 같이 화면의 포맷을 제공하는 화면을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simultaneously displays the target screen to be edited and the edit screen on one screen as shown in FIG. 7 (S142). The target screen to be edited is a screen displaying a target digital textbook to be edited through a viewer program, and the edit screen includes a screen providing a format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9.

이후,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선택한 편집 방법에 따라 편집할 대상 화면에 해당 디지털 교과서의 단위 콘텐츠를 표시하고, 편집 화면에서는 편집 도구를 이용하여 편집할 대상 화면에 표시된 단위 콘텐츠를 이용하여 편집한다(S144, S146).Thereafter, the user terminal displays the unit content of the corresponding digital textbook on the target screen to be edited according to the editing method selected by the user, and edits the unit content displayed on the target screen to be edited using an editing tool on the edit screen (S144). , S146).

예를 들면, 선택한 편집 방법에 따라 불러 온 단위 콘텐츠를 편집 화면에서 이동하기, 복사하기 등의 편집 도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영역으로 삽입함으로써 편집할 수 있다. 또는 외부로부터 획득한 새로운 신규 단위 콘텐츠를 불러 와 원하는 영역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selected unit content can be edited by inserting it into a desired area by using an editing tool such as moving or copying in the edit screen. Alternatively, new new unit content obtained from outside can be imported and inserted into the desired area for editing.

이렇게 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단위 콘텐츠 또는 신규 단위 콘텐츠가 삽입되면 사용자 단말은 삽입된 단위 콘텐츠 또는 신규 단위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메타 데이터에 반영하여 새로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레이어 구조의 사용자별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생성한다. When unit content or new unit content is inserted through the editing program, the user terminal generates new metadata by reflec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serted unit content or new unit content in the metadata, and based on the generated metadata Create your own custom digital textbooks.

이후, 사용자 단말이,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편집한 단위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단말 내 저장부에 디지털 교과서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S150). 편집한 단위 콘텐츠가 신규 단위 콘텐츠인 경우, 신규 단위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뿐만 아니라 신규 단위 콘텐츠 자체도 저장부에 저장한다. Thereafter, as illustrated in FIG. 6, the user terminal divides and stores the metadata of the edited unit content for each digital textbook in the storage unit in the terminal (S150). When the edited unit content is new unit content, not only the metadata of the new unit content but also the new unit content itself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이후, 사용자 단말이, 편집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여 생성한 사용자별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이의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S160).Thereafter, the user terminal may transmit a user-specific digital textbook generated by including the edited metadata to the network-based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and request an upload thereof (S160).

이때, 사용자 단말은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공개, 공유, 판매 여부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설정 여부에 따라 추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공유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특정 그룹, 특정 사용자를 지정하여 원하는 사용자에게만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is set by setting whether to open, share, or sell the customized digital textbook to other user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hared service, a user can designate a specific group and a specific user to share only with a desired user.

일 예로, 도 10은 편집 방법에서, 그래픽적으로 디지털 교과서가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편집할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한 위치에 매칭되는 단위 콘텐츠를 선택하여 적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For example,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ng and applying unit content corresponding to a selected position when a user selects an area to be edited on a screen on which a digital textbook is displayed graphically in an editing method.

일 예에 따른 화면(90-1)에는 하나의 화면 상에 편집할 디지털 교과서를 표시하는 편집할 대상 화면창(94)과, 편집할 화면의 포맷을 제공하는 편집 창(92)이 동시에 표시된다. In the screen 90-1 according to an example, an edit target screen window 94 displaying a digital textbook to be edited on one screen and an edit window 92 providing a format of the screen to be edited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

이 화면(90-1)을 통한 편집 방법은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할 때 편집할 단위 콘텐츠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집이 가장 쉬운 방법이다. The editing method through this screen 90-1 is the easiest way for the user to edit since the content of the unit content to be edited is visually displayed when editing the customized digital textbook.

편집할 대상 화면창(94)에 표시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에서 특정 이미지(C1)를 선택하거나 특정 영역(C2)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한 특정 이미지(C1) 또는 특정 영역(C2)을 드래그(drag)하여 편집 창(92)의 각 영역(92a, 92b)으로 이동시키면 결과적으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에는 드래그한 특정 이미지(C1)나 특정 영역(C2)의 메타 데이터가 첨부되고 화면에 표시될 때에는 첨부된 메타 데이터와 매칭되는 단위 콘텐츠가 표시된다. In the content of the digital textbook displayed on the target screen window 94 to be edited, a specific image C1 may be selected or a specific region C2 may be selected. Then, the selected specific image C1 or the specific region C2 is dragged and moved to each of the regions 92a and 92b of the editing window 92. As a result, the customized digital textbook may include the specific image C1 or the dragged image. When the metadata of the specific area C2 is attach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unit content matching the attached metadata is displayed.

여기서, 드래그는 화면 상에서 지정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이동은 마우스, 터치 입력을 통해 원하는 콘텐츠를 직접 이동시키거나 키보드 입력 장치를 통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편집 창(92)의 각 영역(92a, 92b)에 드래그한 콘텐츠는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으로서 저장되고 표시된다. In this case, dragging means designating and moving on the screen, and the moving may directly move a desired content through a mouse or a touch input or perform a command through a keyboard input device. The content dragged to the respective areas 92a and 92b of the editing window 92 is stored and displayed as the content of the customized digital textbook.

다른 예로, 도 11은 편집 방법에서, 메타 데이터가 저장된 텍스트 형태의 테이블에서 단위 콘텐츠명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As another example, FIG. 11 illustrates a method of selecting and applying unit content names from a text type table in which metadata is stored in an editing method.

다른 예에 따른 화면(90-2)은 편집할 대상 화면창(94)에 단위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메타 데이터 테이블이 표시되고, 편집 창(92)에는 편집하고자 하는 양식(즉, 화면의 포맷)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In the screen 90-2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 metadata table including information on unit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window 94 to be edited, and the form (i.e., format of the screen) to be edited is displayed on the edit window 92. ) Is displayed.

메타 데이터 테이블은 단위 콘텐츠명, 콘텐츠 형식 등에 관한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보여주는 것으로, 그래픽으로 보여주는 도 10의 화면(92-1)과는 다르다.The meta data table shows information on the unit content name, content type, etc. in text form,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creen 92-1 of FIG. 10.

사용자가 메타 데이터 테이블에서 임의의 단위 콘텐츠(MA-IM-000004, MA-PD-000005: S)를 선택하고, 선택한 단위 콘텐츠(S)를 드래그와 같은 명령을 조작하여 편집 창(92)으로 삽입한다. 그러면,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에 단위 콘텐츠를 반영할 레이어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The user selects arbitrary unit contents (MA-IM-000004, MA-PD-000005: S) from the metadata table, and inserts the selected unit contents (S) into the edit window 92 by operating a command such as dragging. do. Then, a layer for reflecting the unit content may be set in the customized digital textbook and displayed accordingly.

또 다른 예로, 도 12는 편집 방법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디렉토리 파일을 기반으로 해당 단위 콘텐츠를 선택하여 적용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As another example, FIG. 12 illustrates a method of selecting and applying corresponding unit content based on a directory file of a digital textbook in an editing method.

다른 예에 따른 화면(90-3)은 편집할 대상 화면창(94)에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파일의 디렉토리 파일의 내용이 표시되고, 편집 창(92)은 편집하고자 하는 양식의 화면의 포맷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In the screen 90-3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contents of the directory file of the data file stored in the terminal are displayed on the screen window 94 to be edited, and the edit window 92 is the format of the screen of the form to be edited. This illustrates what is displayed.

도면에서는 편의상 "00 00 00 000"으로 표시하였으나 실제로는 파일명과 파일 형식 등으로 표시된다.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it is indicated as "00 00 00 000", but is actually indicated by a file name and a file format.

물론, 디렉토리 형태뿐만 아니라 각각의 파일이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고,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하여 편집 창(92)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선택한 파일의 내용이 편집 창(92)의 각 영역(92a, 92b)에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Of course, not only the directory but also each file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con, and the selected icon is selected and moved to the edit window 92 so that the contents of the selected file are applied to the respective areas 92a and 92b of the edit window 92. can do.

또 다른 예로, 도 13은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디지털 교과서를 제외하고, 인터넷이나 외부의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편집할 신규 단위 콘텐츠를 불러오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As another example,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loading new unit content to be edited from the Internet, an external terminal, or a user terminal, except for a digital textbook provided from a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도 13에 따른 화면(91-4)에는 한 쪽에는 인터넷이나 특정 자료 서버, 단말과 연결되는 편집할 대상 화면창(94)이 표시되고, 다른 한 쪽에는 편집할 양식의 화면 포맷에 제공되는 편집 창(92)이 표시된다. On the screen 91-4 according to FIG. 13, an editing target screen window 94 connected to the Internet or a specific data server and a terminal is displayed on one side, and the editing provided on the screen format of a form to be edited on the other side. Window 92 is displayed.

이를 위해 편집할 대상 화면창(94)에는 별도로 특정 자료 서버에 접속할 액세스 주소를 입력하는 주소창(미도시) 또는 검색창(52)이 표시되고, 검색창(52)에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검색한 그 결과가 편집할 대상 화면창(94)에 표시된다. For this purpose, an address window (not shown) or a search box 52 for inputting an access address to access a specific data server is displayed on the target screen window 94 to be edited, and a desired keyword is entered in the search box 52 to search. The result is displayed in the target screen window 94 to be edited.

이때, 검색 대상은 인터넷을 통한 정보일 수 있고, 회원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에서 자신만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콘텐츠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arch target may be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information stored in a member terminal, and the user may be content stored in his or her own storage space in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예를 들어, 광개토 대왕을 검색하게 되면, 편집할 대상 화면창(94)에는 광개토 대왕에 대하여 검색한 결과 정보가 표시되고, 표시된 내용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단위 영역(S1)과 지도 이미지를 선택하여 편집 창(92)의 각 영역(92a, 92b)으로 이동시키면, 선택한 단위 영역(S1) 및 지도 이미지에 해당하는 내용이 각 영역에 반영되어 표시된다. For example, when searching for the photovoltaic Great King, the search result information on the photogenic Great King is displayed on the target screen window 94 to be edited, and the user selects an arbitrary unit area S1 and a map image from the displayed content. When moving to the respective areas 92a and 92b of the editing window 92,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unit area S1 and the map image are reflected and displayed in each area.

또 다른 예로, 도 14는 편집 창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직접 편집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As another example, FIG. 14 illustrates an example of directly editing a digital textbook in an editing window.

즉, 편집 창(91)에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교과서를 불러 와 표시하고, 표시된 화면에서 특정 영역(C1)이나 특정 이미지(C2)를 선택하고 조작 메뉴 또는 핫 키를 조작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선택한 데이터에 대한 삭제, 저장, 검색, 찾기 등의 편집 메뉴(30a)가 표시된다. 표시된 편집 메뉴를 선택하여 특정 이미지(C2)를 삭제하거나 다른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대체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digital textbook provided from the server is called up and displayed in the edit window 91, the specific screen C1 or the specific image C2 is selected on the displayed screen, the operation menu or the hot key is operated,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n editing menu 30a for deleting, saving, searching, and searching for the selected data is displayed. By selecting the edit menu displayed, the specific image C2 may be deleted or replaced with another image or video.

예를 들어, 메뉴 표시(30a)에서 삭제를 선택하면 해당 데이터가 편집 창(92)에서 삭제되고, 찾기를 선택하면 저장부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고 제공한 데이터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For example, selecting Delete in the menu display 30a deletes the corresponding data in the edit window 92. Selecting Find provides the pre-stored data in the storage and selects and replaces the desired data from the provided data. To be provided.

또 다른 예로, 도 15는 편집 창에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편집 종류를 통합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As another example, FIG. 1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type of editing for a digital textbook in an editing window.

편집화면의 메뉴 바(91)에서 통합 편집 메뉴를 선택하면 화면 내에 편집가능한 다양한 종류가 통합적으로 표시되고, 표시된 종류에서 원하는 편집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편집 항목으로 바로 접근이 가능하다. When the integrated edit menu is selected in the menu bar 91 of the edit screen, various types that can be edited in the screen are collectively displayed, and the user can directly access the desired edit item by selecting the desired edit type from the displayed type.

예를 들어, 다양한 편집 종류에서 '단위 콘텐츠 편집'을 선택하면, 도 11에서 표시한 단위 콘텐츠 테이블이 표시되고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단위 콘텐츠를 선택하여 개별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기존의 원 단위 콘텐츠에 대한 재생 또는 뷰어 방식을 편집한 경우 해당 단위 콘텐츠와 매칭되는 메타 데이터에 추가적으로 편집한 메타 데이터를 적용하고, 단위 콘텐츠 자체를 편집하는 경우에는 편집할 새로운 단위 콘텐츠를 개인 저장 공간에 저장하고 새로운 단위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한 메타 데이터를 디지털 교과서에 추가하여 적용한다.For example, if 'unit content editing' is selected from various types of editing, the unit content table shown in FIG. 11 is displayed and individual editing can be performed by selecting unit content by a predetermined algorithm. In this case, when the playback or viewer method of the original unit content is edited, the additionally edited metadata is applied to the metadata matching the unit content, and when the unit content itself is edited, the new unit content to be edited is personalized. Store the data in the storage space, generate metadata for the new unit content, and apply the generated metadata to the digital textbook.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선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ng a digital textbook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 단말이 화면에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목록 화면을 표시한다(S200).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목록은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고, 또는 주기마다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제공할 수 있다. First, the user terminal displays a list screen for the digital textbook on the screen (S200). The list of digital textbooks can be provided in real time in cooperation with a network-based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or updated data can be stored and provided every cycle.

디지털 교과서 목록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교과서의 선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10).In the digital textbook list screen, the user terminal checks whether there is a selection of a digital textbook from the user (S210).

선택이 있으면 선택한 디지털 교과서를 표시한다(S220). 이때의 표시는 선택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명칭과, 사용자별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가 존재하면 표준형과 맞춤형으로 구분하여 보여주는 정도로 표시된다. 사용자별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가 존재하지 않으면 디지털 교과서의 명칭만 보여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디지털 교과서의 과목이름, 디지털 교과서를 열람한 이전 내역,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간략 설명 등에 대한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If there is a selection, the selected digital textbook is displayed (S220). In this case, the name of the selected digital textbook and the user-specified digital textbook, if present, are displayed in a degree that is divided into standard type and customized. If there is no user-specific digital textbook, only the name of the digital textbook can be shown. In some cases, information on the subject name of the digital textbook, the history of viewing the digital textbook, and a brief description of the digital textbook may be displayed together.

이후, 사용자 단말이 화면에 표시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표준형 디지털 교과서의 재생 요청이 있으면, 해당 표준형 디지털 교과서를 불러 와 화면에 표시한다(S230, S232). Thereafter, when the user terminal requests a reproduction of the standard digital textbook from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digital textbook displayed on the screen, the corresponding standard digital textbook is retriev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S230 and S232).

또, 사용자 단말이 화면에 표시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의 재생 요청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증을 거치고, 사용자 인증에 승인된 경우에만 요청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수신하고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240, S242, S244).In addition, when a user terminal inputs a request for reproducing a personalized digital textbook from a user with respect to the digital textbook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terminal may receive and display the requested personalized digital textbook only when approved for user authentication. S240, S242, S244).

또, 화면에 표시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재생 요청이 아닌 표준형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 요청이 입력되면, 편집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앞서 설명한 도 6의 과정을 수행한다(S250, S252). In addition, when a user inputs a request for editing a standard digital textbook instead of a reproduction request from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digital textbook displayed on the screen, the editing program is executed and the process of FIG. 6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S250 and S252).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providing a digital text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 16은 이해를 돕기 위해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을 수행한 홍길동(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저장 정보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For reference, FIG. 16 illustrates a type of stored information stored in a user terminal of Hong Gil-dong (user) who has edited a digital textbook for better understanding.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는 사용자별로 고유한 분류 코드를 발급받게 되고, 개인 저장 공간을 할당받는다.A user who subscribes to the service receives a unique classification code for each user and is allocated a personal storage space.

따라서, 개인 저장 공간에는 홍길동이라는 사용자 정보와 함께 발급받은 분류 코드(XX XX XXX XX)가 저장되고, 홍길동이 편집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정보가 페이지당 레이어 구조로 저장된다. Accordingly, the personal storage space stores the classification code (XX XX XXX XX) issued along with the user information called Hong Gil-dong, and the information on the customized digital textbook edited by Hong Gil-dong is stored in a layer structure per page.

예를 들어, 중2 역사 과목 13페이지에는 편집한 화면 포맷 형태(17)와 각 화면 포맷의 영역에 링크된 단위 콘텐츠 정보(17a, 17b)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 For example, in the thirteenth page of the second history subject, the edited screen format form 17 and the unit content information 17a and 17b linked to each screen format region are matched and stored.

따라서, 홍길동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서 개별 편집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의 화면 표시를 선택하고, 중2 역사 교과서를 선택한 다음 13페이지를 선택하면, 개별 편집된 화면 포맷과 각 영역에 링크된 단위 콘텐츠의 내용이 표시된 화면을 볼 수가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Hong Gil-dong selects the screen display of a personalized digital textbook individually edited on the user terminal, selects a middle history textbook, and then selects page 13, the content of the individually edited screen format and the unit content linked to each area is displayed. You will see the displayed screen.

도 17은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17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technical method for editing a digital textbook.

앞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본원 발명에서는 다수의 레이어 구조를 사용하여 디지털 교과서 편집에 활용하고 있다. 즉, 도 17에서와 같이 각각의 콘텐츠 데이터와 연결된 다수의 레이어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콘텐츠 데이터의 링크 및 속성 정보는 앞의 실시 예에 준한다.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plurality of layer structures to edit digital textbooks. That is, as shown in FIG. 17, the plurality of layer structures are connected to each piece of content data. In addition, the link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content data are the same as in the above embodiment.

그러나, 더 편리한 편집 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도 17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이어 구조 특징은 아래와 같다. However, features of the 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7 for implementing a more convenient editing structure are as follows.

1) 다수의 레이어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레이어는 가상의 레이어 구조이며, 각 레이어의 크기는 같고, 적용되는 좌표의 크기도 동일하다. 1) It has a plurality of layer structures, each layer is a virtual layer structure, the size of each layer is the same, the size of the applied coordinates are also the same.

즉,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이어(11)(편의상 가장 아래부터 제 1 레이어라고 칭함), 제 2 레이어(22) 및 제 N 레이어(99)의 크기는 모두 같다. 그리고, "X"와 "Y"의 크기는 모든 레이어에 그대로 적용된다. 즉 "X" 값이 100 mm 이면 모든 레이어의 "X" 값의 크기가 100mm 이다.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17, the sizes of the first layer 11 (called the first layer from the bottom for convenience), the second layer 22, and the Nth layer 99 are all the same. The size of "X" and "Y" is applied to all layers as they are. In other words, if the value of "X" is 100 mm, the value of "X" of all layers is 100 mm.

그리고, 제 1 레이어(11), 제 2 레이어(22) 및 제 N 레이어(99)의 좌표는 동일하다. 도 17의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레이어의 좌표 눈금(도 17에서는 하나의 실시예로 1에서 100까지의 좌표가 도시됨)의 크기가 같다. 하나의 좌표 눈금 간격 사이의 크기도 같고, 좌표의 수도 같다는 것이다.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layer 11, the second layer 22, and the Nth layer 99 are the same. As shown in the diagram of FIG. 17, the coordinate scales of all layers (coordinates from 1 to 100 are shown in FIG. 17 as one embodiment in FIG. 17) are the same. The magnitudes between one coordinate scale are the same, and the number of coordinates is the same.

2) 각각의 레이어는 링크되는 콘텐츠 속성이나 특징을 지정하게 된다. 2) Each layer specifies the content property or feature to be linked.

예를 들어, 제 1 레이어(11)는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가 링크되도록 지정되고, 제 2 레이어(22)는 이미지 콘텐츠 데이터가 링크되도록 지정될 수가 있으며, 제 3 레이어(33)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링크되도록 지정될 수가 있다. 물론 반드시 제 1 레이어(11)는 텍스트 레이어이어야 하고, 제 2 레이어(22)는 반드시 이미지 레이어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레이어(11)가 이미지 레이어가 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layer 11 may be designated to link text content data, the second layer 22 may be designated to link image content data, and the third layer 33 may be designated to link application data. Can be specified. Of course, the first layer 11 must be a text layer, and the second layer 22 is not necessarily an image layer. The first layer 11 may be an image layer.

즉, 각 레이어마다 지정되는 콘텐츠의 속성이나 특징의 순서는 바뀔 수 있어도 각 레이어마다 콘텐츠 속성이나 특징은 지정된다는 것이다. In other words, even if the order of the properties or features of the content designated for each layer can be changed, the content properties or features are designated for each layer.

3) 하나의 레이어에 데이터가 2 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고, 각각의 레이어에는 좌표 상의 위치와 데이터 저장 위치만 저장되며, 콘텐츠 데이터는 별도의 저장 장소에 저장한다. 3) There may be two or more pieces of data in one layer. Each layer stores only coordinate positions and data storage positions, and stores content data in a separate storage location.

이때, 별도의 저장 장소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메모리부 혹은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이다. In this case, the separate storage place is a database of the memory unit of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200.

따라서, 다수의 레이어를 가진 디지털 교과서 편집 시에는 레이어 상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위치(5)와 크기를 지정하고, 링크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면 편집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refore, when editing a digital textbook having a plurality of layers, the editing is performed by specifying the position 5 and size of the content data on the layer and specifying the linked content data.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위치(5)를 지정한다는 것은 좌표상에서 위치를 지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위치(5)를 좌표상에서 지정하기 위해서는 4 개의 꼭지점(도면에서 각각의 콘텐츠 위치(5)의 네 꼭지점을 1,2,3,4로 표시함)의 좌표를 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콘텐츠의 위치가 직사각형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실질적으로는 1번 꼭지점과 4번 꼭지점의 좌표상의 위치만 지정하면 된다.  Therefore, designating the location 5 of the content data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designating the location in coordinates. As shown in FIG. 17, in order to designate the content position 5 on the coordinates, the coordinates of four vertices (four vertices of each content position 5 in the drawing are indicated as 1,2,3,4) are designated. I mean. Of course, since the location of the content is generally rectangular, only the positions on the coordinates of vertices 1 and 4 are practically specified.

4) 미리 다수의 정해진 레이어(도 17에서는 “SL”로 표시하였다.) 이외에 편집자가 레이어를 추가하여 추가 레이어(도 17에서는 “AL”로 표시하였다.)를 더 만들 수가 있다.4) In addition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layers (indicated by “SL” in FIG. 17), an editor may add a layer to create an additional layer (indicated by “AL” in FIG. 17).

예를 들어, "Power Point" 혹은 "HWP" 프로그램에 관한 콘텐츠 데이터가 링크될 수 있도록 추가 레이어를 더 만들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레이어(SL)이 4 개 레이어(반드시 4 개가 한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가정하면, N개의 레이어를 더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새로 만들게 되는 레이어가 링크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속성도 지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you can create additional layers so that content data about "Power Point" or "HWP" programs can be linked.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predetermined layer SL is four layers (not necessarily four), N layers may be further created. At this time, the attribute of the content data to which the newly created layer is linked may also be designated.

또한, 편집자가 새로운 메모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 레이어 등도 지정하여 메모 레이어를 추가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memo layer may be added by specifying a memo layer that allows an editor to input new memo information and the like.

5) 각각의 레이어에 존재하는 콘텐츠 위치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5) Content positions present in each layer do not overlap each other.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이어(11)에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는 위치에, 제 2 레이어(22)에서는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을 디지털 교과서 편집 시 자동 기능으로 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the content data is not present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tent data exists in the first layer 11 and in the second layer 22. And, this function can be an automatic function when editing digital textbooks.

즉, 제 1 레이어(11)의 콘텐츠 위치(5)의 1번 꼭지점의 좌표가 (7,7)이고, 4번 꼭지점의 좌표가 (15, 80)이라면, 제2 레이어(22) 상의 (7,7) 좌표와 (15,80) 좌표 내에는 콘텐츠가 위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if the coordinate of the vertex 1 of the content location 5 of the first layer 11 is (7,7) and the coordinate of the vertex 4 is (15,80), the (7) on the second layer 22 , 7) so that the content is not located within the coordinates and (15,80) coordinates.

이러한 중첩 방지 기능은 프로그램으로 자동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지나치게 엄격하게 적용되지 않도록, 각 콘텐츠 위치(5)가 25 % 이상 중첩되지 않도록 하는 중첩 기준이 제한될 수가 있다. 그리고, 위치가 중첩되지 않는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각각의 콘텐츠 위치(5)의 좌표가 중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This nesting prevention feature can be executed automatically by a program. At this time, in order not to be applied too strictly, overlapping criteria may be limited such that each content position 5 does not overlap more than 25%. And, the non-overlapping positions mean that the coordinates of each content position 5 do not overlap as a result.

예를 들면, 제 1 레이어(11)의 콘텐츠 위치(5)의 "X" 좌표 범위가 7에서 15까지라면, 제 2 레이어(22)의 콘텐츠 위치(5)의 "X" 좌표는 15에서부터이거나 적어도 13에서부터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X" coordinate range of the content location 5 of the first layer 11 is from 7 to 15, the "X" coordinate of the content location 5 of the second layer 22 is from 15 or May be located from at least 13.

6) 디지털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빈도수를 집계할 수 있다. 6) The frequency of content data used in digital textbooks can be counted.

예를 들어, 도 4b에서 보여진 단위 데이터(252a) "MA-PD-0001" 가, 디지털 교과서 편집시 중1 교과서 100 페이지, 중2 교과서 50 페이지 및 150 페이지에 각각 링크되도록 편집되었다면, 상기 단위 데이터(252a) "MA-PD-0001"는 3회 사용된 것이며, 이러한 빈도수를 집계하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unit data 252a " MA-PD-0001 " (252a) "MA-PD-0001" is used three times and is to count these frequencies.

도 18은 회원들 간의 그룹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18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llustrating a group between members.

회원 가입시 디지털 교과서 편집 권한이 부여된 회원과 편집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회원을 구별할 수 있다. 즉, 교사 회원으로 가입되면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이 가능하며, 교사 회원과 동일 그룹으로 소속된 학생 회원은 동일 그룹의 교사 회원이 편집한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When registering,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members who are authorized to edit digital textbooks and those who are not authorized to edit. That is, when a member is a teacher member, digital textbooks can be edited, and student members belonging to the same group as the teacher member can be provided with digital textbooks edited by teacher members of the same group.

도 19는 디지털 교과서를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xecuting a digital textbook.

사용자 단말에서 프로그램이 시작되고 디지털 교과서가 실행되면, 아이디 등을 입력하는 로그인을 실시하게 된다(S300 - S310).When the program is started in the user terminal and the digital textbook is executed, a login for inputting an ID or the like is performed (S300 to S310).

이러한 과정을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이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에 접속을 하여야 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 독자적으로 단말 내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실행할 수 있다. For this process, the user terminal must access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200. In some cases, the digital textbook may be executed in the terminal independently of the user terminal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200.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가 디지털 교과서 편집이 가능한 회원인가를 판단하게 된다(S315). 디지털 교과서가 편집이 가능하다는 것은 앞서 실시 예에서 제시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When the user accesses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200 and logs i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200 is a member capable of editing the digital textbook (S315). The fact that a digital textbook can be edited means that the digital textbook can be edited through various method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이후,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이 선택되면, 편집할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한다(S320). 예컨대, 도 10에서 도 16에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하여 디지털 교과서에서 표시될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editing of the digital textbook is selected, the content data to be edited is selected (S320). For example, the content data to be displayed in the digital textbook may be selected using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6.

이후, 사용자 또는 편집자에 의해 표시하고자 하는 디지털 교과서의 페이지가 지정되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의 속성에 맞는 레이어가 선택된다(S325).Subsequently, when a page of a digital textbook to be displayed by a user or an editor is designated, a layer matching the attribute of the selected content data is selected (S325).

예를 들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의 속성이 이미지 데이터이고, 디지털 교과서의 지정된 페이지에서 이미지 데이터는 제 2 레이어에 위치하게 된다면,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는 편집자가 레이어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아도 제 2 레이어에 자동으로 위치하게 된다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property of the selected content data is image data and the image data is located on the second layer in the designated page of the digital textbook, the selected image data is automatically located on the second layer without the editor specifying the layer separately. Will be done.

또한, 편집자가 레이어 내에 콘텐츠가 표시될 위치를 지정하게 되면, 지정된 위치의 좌표가 생성된다(S330, S335).In addition, when the editor designates the position where the content is displayed in the layer, coordinates of the designated position are generated (S330 and S335).

예컨대, 도 17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제 1 레이어(11)에 존재하는 콘텐츠의 위치(5)를 지정하게 되면, 상기 지정된 콘텐츠 위치(5)의 좌표(1번 꼭지점의 좌표가 (7,7) 혹은 4번 꼭지점의 좌표가 (15, 80)))는 자동으로 생성하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17, when the location 5 of the content existing in the first layer 11 is designated, the coordinate of the designated content location 5 (the coordinate of vertex 1 is (7,7) Or vertex 4 coordinates (15, 80))) will be automatically generated.

이후,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의 편집이 종료되면, 콘텐츠 데이터의 저장 위치 레이어, 위치 좌표 등이 저장된다(S340). 이때 상기의 정보는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한 회원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editing of the selected content data is finished, the storage location layer, the position coordinates, and the like of the content data are stored (S340).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personal database of the member who edited the digital textbook.

본 발명의 디지털 교과서 편집은 개별 편집이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으로, 개별 편집이 완성된 다음에 편집된 정보는 회원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의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 정보는 개인 사용자 단말기(100)의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도 있다.  The digital textbook ed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a method capable of individual editing, and the edited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ber's personal database after the individual editing is completed. Alternatively, the edit information of the digital textbook may be stored in a memory unit of the personal user terminal 100.

아울러,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이 허용되지 않은 회원일 경우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을 실행할 수 없으며, 단지 동일 그룹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이 실행되었으면,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실행하여 개인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350).In addition, if the member is not allowed to edit the digital textbook, the editing of the digital textbook cannot be executed, and if the digital textbook is edited in the same group, the edited digital textbook is executed to be displayed on the personal user terminal 100. It may be (S350).

이후, 디지털 교과서 실행이 종료되면 이의 프로그램을 종료한다(S345, S355).Thereafter, when the execution of the digital textbook is terminated, the program is terminated (S345, S355).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he techniqu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사용자 단말 200: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
300-1: 유무선 인터넷 300-2: AP(Access Point)
3003-: 이동통신망 210: 통신 인터페이스부
220: 사용자 인증부 230: 가입자 정보 DB
240: 디지털 교과서 제공부 250: 콘텐츠 DB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입력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데이터 처리부
150: 콘텐츠 제공부 152: 디지털 교과서 재생부
154: 디지털 교과서 편집부 160: 저장부
162: 디지털 교과서 편집툴 164: 편집 정보 DB
100: user terminal 200: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300-1: Wired and Wireless Internet 300-2: AP (Access Point)
3003-: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1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20: user authentication unit 230: subscriber information DB
240: digital textbook provider 250: content DB
11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20: input unit
130: display unit 140: data processing unit
150: content provider 152: digital textbook playback unit
154: digital textbook editing unit 160: storage unit
162: Digital Textbook Editing Tool 164: Editing Information DB

Claims (19)

디지털 교과서의 각 페이지별로 콘텐츠의 형식에 따라 다수의 레이어로 구성하고, 각 레이어에는 콘텐츠 내용을 일정 단위에 따라 구분한 단위 콘텐츠 및 상기 단위 콘텐츠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 메타 데이터를 링크하여 관리하는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
상기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교과서에 대하여 재생 및 편집이 가능하고, 편집 시 상기 디지털 교과서의 원 단위 콘텐츠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첨부하는 방식에 의해 상기 원 단위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편집하거나, 또는 새로운 신규 단위 콘텐츠를 원하는 위치에 첨부하고 상기 신규 단위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편집된 메타 데이터를 토대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별 개인 저장 공간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저장하는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 DB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교과서를 구성하는 다수의 레이어는 삽입할 단위 콘텐츠의 속성(형식)이 지정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편집할 단위 콘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단위 콘텐츠의 속성에 맞는 레이어가 자동 선택되고 선택된 레이어 상에서 삽입할 위치의 좌표가 자동 생성되어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과서의 개별 편집이 가능한 서비스 시스템.
Digital textbooks are composed of multiple layers for each page of the digital textbook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content, and each layer links and manages the unit content that divides the content cont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unit and metadata including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unit content. Management server;
Edit and edit the digital textbook provided from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and edit the metadata of the raw content by moving and attaching the raw content of the digital textbook to a desired position when editing. Or a user terminal attaching a new new unit content to a desired location and generating metadata for the new unit content to generate a customized digital textbook based on the edited metadata;
As a personal storage space for each user includes a customized digital textbook content DB for storing a customized digital textbook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In the plurality of layers constituting the digital textbook, a property (type) of unit content to be inserted is designated, and when unit content to be edited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a layer matching the property of the selected unit content is automatically selected and on the selected layer. Service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editing of a textboo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to insert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specifi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수신하여 업로드하고,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지털 교과서의 재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 또는 기 저장되어 있는 표준형 디지털 교과서를 구분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과서의 개별 편집이 가능한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Receiving and uploading a customized digital textbook from the user terminal, and after receiving a request for reproducing the digital textbook from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customized digital textbook for the digital textbook or the standard digital textbooks stored in advance. A service system that allows individual editing of digital textbook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저장할 상기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 DB를 사용자에게 할당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설정 여부에 따라 해당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공개, 공유,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과서의 개별 편집이 가능한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Allocating the customized digital textbook content DB to store the customized digital textbook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and providing a public, sharing, sales service for the customized digital textbook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set Service system for individual editing of digital textbook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는,
상기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이 가능한 회원에 대하여 관리하고, 동일 그룹 내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이 실행되면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상기 동일 그룹 내 회원에게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과서의 개별 편집이 가능한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igital textbook management server,
Manage the digital textbook for the members who can edit, and if the digital textbook is edited in the same group, the edited digital textbook is provided only to the members of the same group, the service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editing of the digital textbook .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교과서를 요청하고 요청한 디지털 교과서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하여 재생 및 편집이 가능하고, 편집 시 상기 수신한 디지털 교과서에 포함되어 있는 원 단위 콘텐츠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첨부하는 방식에 의해 상기 원 단위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편집하거나, 새로운 신규 단위 콘텐츠를 원하는 위치에 첨부하고 상기 신규 단위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편집된 메타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별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생성하는 콘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An input unit to receive a user's operation;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for requesting a digital textbook desir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and receiving the requested digital textbook; And
The metadata of the raw content can be reproduced and edited with respect to the digital textbook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nd the raw content included in the received digital textbook is moved and attached to a desired position during editing. Or a content providing unit for attaching new new unit content to a desired position and generating metadata of the new unit content to generate a customized digital textbook for each user based on the edited metadata.
And a user termin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 디지털 교과서는,
각 페이지별로 콘텐츠의 형식에 따라 다수의 레이어를 구성하고, 각 레이어에는 일정 단위에 따라 콘텐츠 내용을 구분한 단위 콘텐츠 및 상기 단위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메타 데이터를 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gital textbook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 user terminal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for each page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content, and attached to each layer the unit content that divides the content cont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unit and metadata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it conten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서의 편집을 위한 편집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서 편집한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editing program for editing in the content providing unit and storing the metadata edited by the content providing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생성한 사용자별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의 관리 서버로 전달하여 업로드하고, 상기 업로드한 사용자별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의 공개, 공유, 판매 여부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ent providing unit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up whether the user-specific digital textbooks for each user via the communication interface to transfer to the external management server, uploading, and setting whether to upload, share, or sell the customized user-specific digital textbook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단위 콘텐츠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얻은 정보이거나, 사용자 개인이 소지한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을 캡쳐한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new unit content i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n internet search, or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ent captured by the user owned images, text, video.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수신한 디지털 교과서의 단위 콘텐츠에 대하여 편집할 때,
편집할 단위 콘텐츠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단위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상기 메타 데이터를 텍스트 형태로 표시한 테이블에서 편집할 단위 콘텐츠명을 선택하여 적용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교과서의 디렉토리 파일을 기반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ent providing unit,
When editing the unit content of the received digital textbook,
Change the metadata of the unit content by moving the unit content to be edited to a desired position, or select and apply the unit content name to be edited from a table in which the metadata is displayed in text form, or apply the directory file of the digital textbook.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pplicable to the bas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레이어는 전체 크기 및 레이어 상의 위치 좌표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lurality of layers is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verall size and location coordinates on the layer are the sam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레이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추가가 가능하고, 추가한 레이어에 대하여 단위 콘텐츠의 속성을 지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lurality of layers may be added according to a user's needs, and the user terminal may specify a property of unit content with respect to the added lay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레이어 상에 위치되는 단위 콘텐츠는 위치 좌표가 레이어간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unit content located on the plurality of layer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coordinates do not overlap each other between layer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레이어는 하나의 레이어에 두 개 이상의 단위 콘텐츠가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lurality of layers is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unit content can be inserted into one layer.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받아 재생 및 편집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편집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할 화면의 포맷 및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선택된 디지털 교과서의 단위 콘텐츠를 원하는 위치로 첨부하는 방식에 의해 상기 단위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편집하거나, 새로운 신규 단위 콘텐츠를 불러와 원하는 위치에 첨부하여 상기 신규 단위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하는 단계;
편집한 메타 데이터 및 상기 편집한 메타 데이터에 의해 생성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개별 편집이 가능한 방법.
An editing method in a user terminal that receives and plays and edits a digital textbook desired by a user based on a network,
Receiving a selection of a format of a screen for editing the digital textbook and a selection for the digital textbook;
By editing the metadata of the unit content by attaching the unit content of the selected digital textbook to the desired location, or by importing new new unit content and attaching it to the desired location, the metadata of the new unit content is generated. Editing the digital textbook;
Storing the edited metadata and the customized digital textbook generated by the edited metadata
Method for allowing individual editing of the digital textbook in the user terminal comprising a.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반으로 제공받은 디지털 교과서는
각 페이지별로 콘텐츠의 형식에 따라 다수의 레이어를 구성하고, 각 레이어에는 일정 단위에 따라 콘텐츠 내용을 구분한 단위 콘텐츠 및 상기 단위 콘텐츠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 메타 데이터를 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개별 편집이 가능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Digital textbooks provided on the network basis
In the user terminal, a plurality of layers ar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content type for each page, and each layer is attached with the unit content that classifies the content cont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unit and metadata includ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it content. Independent editing of digital textbooks.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편집한 메타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관리 서버로 전달하여 업로드하고, 상기 업로드한 메타 데이터에 대한 공개, 공유, 판매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디지털 교과서의 개별 편집이 가능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Transmitting, by the user terminal, the edited metadata to an external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uploading the metadata, and setting whether to publish, share, or sell the uploaded metadata;
Method for enabling individual editing of the digital textbook in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하는 단계는,
화면 상에 표시된 디지털 교과서 내용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단위 콘텐츠를 원하는 위치로 첨부하여 상기 단위 콘텐츠를 메타 데이터를 편집하는 방법, 상기 단위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가 저장된 테이블에서 원하는 단위 콘텐츠명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방법, 또는 상기 디지털 교과서의 디렉토리 파일을 기반으로 편집할 단위 콘텐츠를 선택하여 적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개별 편집이 가능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Editing the digital textbook,
A method of editing the metadata of the unit content by attaching the desired unit content to the desired positio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digital textbook displayed on the screen, and selecting the desired unit content name from the table in which the metadata of the unit content is stored. And a method of selecting and applying unit content to be edited based on the directory file of the digital textbook.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단위 콘텐츠의 첨부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얻은 정보를 캡쳐하는 방법, 사용자 개인이 소지한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을 캡쳐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개별 편집이 가능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Attachment of the new unit content,
A method of captur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n internet search, and a method of capturing images, texts, and videos possessed by an individual user.

KR1020130024340A 2012-05-02 2013-03-07 Service system for userself-editing of digital textbook and user terimianl and editing method thereof KR2013012330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6146 2012-05-02
KR1020120046146 2012-05-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306A true KR20130123306A (en) 2013-11-12

Family

ID=4985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340A KR20130123306A (en) 2012-05-02 2013-03-07 Service system for userself-editing of digital textbook and user terimianl and edi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330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1868A (en) * 2017-01-04 2017-05-31 汤应 A kind of tutoring system for College Computer Edu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1868A (en) * 2017-01-04 2017-05-31 汤应 A kind of tutoring system for College Computer Edu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7016B2 (en) Sharing of presets for visual effects or other computer-implemented effects
US7996436B2 (en) Media management system
CN101431528B (en) Server and clien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method and program
US8977963B1 (en) In place expansion of aggregated views
US20140040712A1 (en) System for creating stories using images, and methods and interfaces associated therewith
US200903076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sharing a presentation
US201001221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reading
US95163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ariable video production, distribution and presentation
JP2007533015A (en) Media package and media packa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15995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 system
KR100803580B1 (en) Electronic music distribu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synchronous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format
KR201000818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contents by integrated channel management
Cesar et al. Fragment, tag, enrich, and send: Enhancing social sharing of video
US20140143835A1 (en) Web-Based Digital Publishing Platform
US201600630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scouting information
US20140025662A1 (en) Content search method based on cloud service, and system and terminal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1001318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ing moving picture
US9721321B1 (en) Automated interactive dynamic audio/visual performance with integrated data assembly system and methods
KR2013002043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multimedia packag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package service
US20140201611A1 (en) Contextual mapping based learning by converting information
KR20130123306A (en) Service system for userself-editing of digital textbook and user terimianl and editing method thereof
KR20130122345A (en) Vedio contents service system and method
US201403102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covery, grouping and sharing of media content
JP6250610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and distribution device
US9471615B2 (en) Enhancing content mediated eng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