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104A - 이기종 공간 데이터베이스간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기종 공간 데이터베이스간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104A
KR20130119104A KR1020120042004A KR20120042004A KR20130119104A KR 20130119104 A KR20130119104 A KR 20130119104A KR 1020120042004 A KR1020120042004 A KR 1020120042004A KR 20120042004 A KR20120042004 A KR 20120042004A KR 20130119104 A KR20130119104 A KR 20130119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spatial database
change
agent
re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김성환
지무성
이형주
정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2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9104A/ko
Publication of KR20130119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1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이기종 공간 데이터베이스간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동기화 대상 테이블 내의 레코드에 대한 변경 사항 발생 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변경 사항이 발생한 레코드에 대한 정보를 변동 사항 테이블에 기록하는 변동 사항 감지 모듈;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변동 사항 테이블에 기록된 상기 변경 사항을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제1 동기화 에이전트; 및 상기 제1 동기화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데이터 수신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변경 사항을 상기 목적지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제2 동기화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기종 공간 데이터베이스간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SPATIAL DATA BETWEEN DIFFERENT SPATIAL DATABAS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종류의 공간 데이터베이스(spatial database)간의 지리 정보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지리정보시스템은 지리공간적으로 참조 가능한 모든 형태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조정, 분석,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을 의미한다. 최근 컴퓨터 기술 및 네트워크 관련 기술이 발달하면서 전국 단위의 통합적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도시계획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려는 시도들이 증가하고 있다.
지리정보시스템의 근간을 이루는 요소 중 하나는 공간 데이터베이스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리정보시스템의 경우 각 지역별로 해당 지역의 지리정보를 기록한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중앙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취합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중앙의 공간 데이터베이스(목적지 공간 데이터베이스)는 각 지역별 공간 데이터베이스(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테이블 단위로 복제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뿐, 레코드 단위의 동기화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하나의 레코드만이 변경되더라도 테이블 전체를 다시 복제하여야 하는 바, 비효율적이고 변경 사항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와 목적지 공간 데이터베이스가 서로 다른 제품일 경우에는 양 데이터베이스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형식이 서로 달라 동기화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제품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리정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원천지(source)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리 정보 데이터의 변경 사항을 중앙저장소의 목적지(target)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은, 상기 하나 이상의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동기화 대상 테이블 내의 레코드에 대한 변경 사항 발생 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변경 사항이 발생한 레코드에 대한 정보를 변동 사항 테이블에 기록하는 변동 사항 감지 모듈;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변동 사항 테이블에 기록된 상기 변경 사항을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제1 동기화 에이전트; 및 상기 제1 동기화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데이터 수신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변경 사항을 상기 목적지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제2 동기화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방법은, 변동 사항 감지 모듈에서, 상기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동기화 대상 테이블의 레코드에 대한 변경 사항 발생 시 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변동 사항 감지 모듈에서, 상기 변경 사항이 발생한 레코드에 대한 정보를 변동 사항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 제1 동기화 에이전트에서,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변동 사항 테이블에 기록된 상기 변경 사항을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동기화 에이전트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데이터 수신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변경 사항을 상기 목적지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를 경우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중 변경 사항이 발생한 레코드만을 선택적으로 중앙의 데이터베이스로 동기화할 수 있어 효율적인 데이터의 동기화가 가능한 동시에 최신의 데이터를 빠르게 반영할 수 있으며, 또한 서로 다른 종류의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경우에도 데이터베이스간 동기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방법(400)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 중간저장소 공간 데이터베이스(104),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 목적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8), 제2 동기화 에이전트(110) 및 메시지 관리 에이전트(112)를 포함한다.
원천지(source) 공간 데이터베이스(102)는 지역별로 수집된 지리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는 지리정보가 관리되는 단위 지역별로, 예를 들어 행정구역상 구 또는 읍 별로 설치 및 관리될 수 있다.
도 2는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는 공간정보 테이블(200), 변동 사항 테이블(202) 및 변동 사항 감지 모듈(204)을 포함한다.
공간정보 테이블(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지역별로 수집된 지리정보가 저장된 테이블이다. 일반적으로 공간 데이터베이스는 공간객체(점, 선, 폴리곤) 들의 집합을 하나의 테이블(또는 레이어) 단위로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되는 공간정보 테이블(200)에 저장된 지리정보는 후술할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 및 제2 동기화 에이전트(110) 등에 의하여 중간저장소 공간 데이터베이스(104) 및 목적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8)에 동기화되어 저장된다. 즉, 후술할 설명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이상 동기화 대상 테이블은 공간정보 테이블(200)을 의미한다.
변동 사항 테이블(202)은 공간정보 테이블(200) 내의 특정 레코드에 대한 데이터의 변경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테이블이다. 이때, 상기 데이터의 변경이란, 데이터의 추가, 삭제 또는 업데이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변동 사항 테이블(202)은 공간정보 테이블(200) 내의 변경이 발생한 레코드의 기본 키(Primary key) 값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변동 사항 감지 모듈(204)은 상기 하나 이상의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의 동기화 대상 테이블인 공간정보 테이블(200) 내의 레코드에 대한 변경 사항 발생 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변경 사항이 발생한 레코드에 대한 정보를 변동 사항 테이블(202)에 기록한다. 변동 사항 감지 모듈(204)은, 공간정보 테이블(200) 내의 레코드에 대한 데이터의 삽입(insert), 삭제(delete) 또는 업데이트(update) 중 어느 하나의 연산이 발생한 경우 트리거(trigger)되어, 상기 연산이 발생한 레코드의 정보를 변동 사항 테이블(202)에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변동 사항 감지 모듈(204)은 상기 변경 사항이 발생한 레코드의 기본 키(Primary key)를 변동 사항 테이블(202)에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중간저장소 공간 데이터베이스(104)는 지역별로 위치한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된 지리정보가 1차적으로 동기화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중간저장소 공간 데이터베이스(104)는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보다는 더 큰 행정구역 단위 별로(예를 들어, 시 또는 군 단위) 설치 및 관리될 수 있다.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는 지역별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된 지리정보를 중간저장소 공간 데이터베이스(104)에 동기화시켜 저장한다.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는 기 설정된 주기 별로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의 변동 사항 테이블(202)에 기록된 데이터를 조회하여 공간정보 테이블(200)에 변경 사항이 발생한 레코드의 정보를 알아내고, 상기 변경 사항이 발생한 레코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공간정보 테이블(200)로부터 추출한 뒤 이를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한다. 이때, 만약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 내의 공간정보 테이블(200)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schema)와 중간저장소 공간 데이터베이스(104)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가 서로 상이한 경우,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는 추출된 상기 데이터의 스키마(schema)를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104)에 대응되도록 변환하여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한다.
목적지(target) 공간 데이터베이스(108)는 중간저장소 공간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된 지리정보가 최종적으로 동기화되어 저장되는 최상위의 데이터베이스이다. 즉, 목적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8)에는 각 지역별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된 지리정보가 통합되어 저장 및 관리된다.
제2 동기화 에이전트(110)는 중간저장소 공간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된 지리정보를 목적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8)에 동기화시켜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제2 동기화 에이전트(110)는 제1동기화 에이전트(106)로부터 동기화 데이터 수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동기화 데이터 수신 요청 메시지에 따라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된 변경 사항을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로부터 수신하여 목적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8)에 동기화하여 저장한다.
메시지 관리 에이전트(112)는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 및 제2 동기화 에이전트(110) 간의 상기 동기화 데이터 수신 요청 메시지 및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중계한다. 즉,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 및 제2 동기화 에이전트(110)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메시지 관리 에이전트(112)를 통하여 전달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는 스케줄링부(300), 동기화부(302), 로그 관리부(304) 및 시스템 제어부(306)를 포함한다.
스케줄링부(300)는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 및 중간저장소 공간 데이터베이스(104)간의 동기화 주기를 설정한다. 스케줄링부(300)는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의 관리자로부터 동기화 주기를 입력 받고, 입력된 상기 값에 따라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 및 중간저장소 공간 데이터베이스(104)간의 동기화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동기화부(302)는 스케줄링부(300)에서 설정된 주기마다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의 변동 사항을 중간저장소 공간 데이터베이스(104)에 동기화한다. 동기화부(302)는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의 접속 정보, 중간저장소 공간 데이터베이스(104)의 접속 정보 및 각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동기화 대상 테이블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각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변동 사항을 읽어 들인 후 양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한다.
로그 관리부(304)는 동기화부(302)에서의 동기화 수행 기록 및 동기화 수행 중 발생하는 오류 정보를 기록한다. 이와 같은 로그 관리부(304)를 통하여 관리자는 지리 정보의 동기화 상태 및 오류 발생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306)는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의 동작 상태를 상기 웹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부(306)는 관리자의 웹 인터페이스를 통합 접근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형 WAS(Web Application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는 시스템 제어부(306)를 통하여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를 기동 또는 중지하거나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각종 설정을 변경하거나 또는 동기화 주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방법(400)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의 변동 사항 감지 모듈(204)은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의 동기화 대상 테이블의 레코드에 대한 변경 사항 발생 시 이를 감지하고(402), 상기 변경 사항이 발생한 레코드에 대한 정보를 변동 사항 테이블(202)에 기록한다(404). 전술한 바와 같이, 변동 사항 감지 모듈(204)은 상기 동기화 대상 테이블의 레코드에 대한 데이터의 삽입(insert), 삭제(delete) 또는 업데이트(update) 중 어느 하나의 연산이 발생한 경우, 해당 레코드에 변경 사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변경 사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레코드의 기본 키(Primary key)를 상기 변동 사항 테이블(202)에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이후,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변동 사항 테이블(202)을 검색하여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에 변동 사항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조회하고(406), 변경 사항이 발생된 경우 변동 사항 테이블(202)에 기록된 변경 사항을 수신한 뒤(408), 이를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104)에 동기화하여 저장한다(410). 구체적으로,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는 변경 사항 테이블(202)에 기록된 기본 키를 조회한 후, 상기 기본 키에 해당하는 레코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는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2)에서 추출된 상기 데이터의 스키마(schema)를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104)에 대응되도록 변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는 제2 동기화 에이전트(110)로 동기화 데이터 수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동기화 데이터 수신 요청 메시지는 메시지 관리 에이전트(112)에 의하여 중계된다(412, 414). 상기 동기화 데이터 수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2 동기화 에이전트(110)는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메시지 관리 에이전트(112)를 경유하여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로 전송한다.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제1 동기화 에이전트(106)는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된 변경 사항을 제2 동기화 에이전트(110)로 송신하고(420), 이를 수신한 제2 동기화 에이전트(110)는 수신된 변경 사항을 목적지 공간 데이터베이스(108)에 동기화하여 저장한다(422)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방법들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102: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
104: 중간저장소 공간 데이터베이스
106: 제1 동기화 에이전트
108: 목적지 공간 데이터베이스
110: 제2 동기화 에이전트
112: 메시지 관리 에이전트
200: 공간정보 테이블
202: 변동 사항 테이블
204: 변동 사항 감지 모듈
300: 스케줄링부
302: 동기화부
304: 로그 관리부
306: 시스템 제어부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원천지(source)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리 정보 데이터의 변경 사항을 중앙저장소의 목적지(target)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동기화 대상 테이블 내의 레코드에 대한 변경 사항 발생 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변경 사항이 발생한 레코드에 대한 정보를 변동 사항 테이블에 기록하는 변동 사항 감지 모듈;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변동 사항 테이블에 기록된 상기 변경 사항을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제1 동기화 에이전트; 및
    상기 제1 동기화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데이터 수신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변경 사항을 상기 목적지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제2 동기화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동 사항 감지 모듈은, 상기 동기화 대상 테이블의 레코드에 대한 데이터의 삽입(insert), 삭제(delete) 또는 업데이트(update) 중 어느 하나의 연산이 발생한 경우, 해당 레코드에 변경 사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동 사항 감지 모듈은, 상기 변경 사항이 발생한 레코드의 기본 키(Primary key)를 상기 변동 사항 테이블에 기록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에이전트는, 상기 변경 사항 테이블에 기록된 기본 키에 해당하는 레코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에이전트는, 상기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상기 데이터의 스키마(schema)를 상기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도록 변환하여 상기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에이전트는,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동기화 주기를 설정하는 스케줄링부;
    상기 스케줄링부에서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변동 사항 테이블에 기록된 상기 변동 사항 테이블에 기록된 상기 변경 사항을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동기화부;
    상기 동기화부에서의 동기화 수행 기록 및 동기화 수행 중 발생하는 오류 정보를 기록하는 로그 관리부; 및
    웹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동기화 에이전트의 동작 상태를 상기 웹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접속 정보, 상기 중간저장소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접속 정보 및 동기화 대상 테이블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에이전트 및 상기 제2 동기화 에이전트 간의 상기 동기화 데이터 수신 요청 메시지를 중계하는 메시지 관리 에이전트를 더 포함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9. 하나 이상의 원천지(source)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리 정보 데이터의 변경 사항을 중앙저장소의 목적지(target)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변동 사항 감지 모듈에서, 상기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동기화 대상 테이블의 레코드에 대한 변경 사항 발생 시 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변동 사항 감지 모듈에서, 상기 변경 사항이 발생한 레코드에 대한 정보를 변동 사항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
    제1 동기화 에이전트에서,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변동 사항 테이블에 기록된 상기 변경 사항을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동기화 에이전트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데이터 수신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변경 사항을 상기 목적지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변동 사항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화 대상 테이블의 레코드에 대한 데이터의 삽입(insert), 삭제(delete) 또는 업데이트(update) 중 어느 하나의 연산이 발생한 경우, 해당 레코드에 변경 사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변동 사항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 사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레코드의 기본 키(Primary key)를 상기 변동 사항 테이블에 기록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 사항 테이블에 기록된 상기 기본 키를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기본 키에 해당하는 레코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원천지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상기 데이터의 스키마(schema)를 상기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도록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중간저장소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단계의 수행 이후,
    상기 제1 동기화 에이전트에서, 메시지 관리 에이전트를 경유하여 상기 제2 동기화 에이전트로 상기 동기화 데이터 수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방법.
  15. 청구항 9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42004A 2012-04-23 2012-04-23 이기종 공간 데이터베이스간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91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004A KR20130119104A (ko) 2012-04-23 2012-04-23 이기종 공간 데이터베이스간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004A KR20130119104A (ko) 2012-04-23 2012-04-23 이기종 공간 데이터베이스간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104A true KR20130119104A (ko) 2013-10-31

Family

ID=4963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004A KR20130119104A (ko) 2012-04-23 2012-04-23 이기종 공간 데이터베이스간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9104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6590A (ko) * 1999-01-27 2001-01-26 스테븐 디.피터스 다중 데이터베이스의 동기장치 및 방법
JP2002007441A (ja) * 2000-06-26 2002-01-11 Hitachi Software Eng Co Ltd 分散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
KR20050116549A (ko) * 2004-06-08 2005-12-13 주식회사 엘비에스플러스 유무선 분산 환경하의 공간 데이터간의 데이터 전송과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러한 방법의 실행을 위한 분산공간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KR20060019439A (ko) * 2004-08-27 2006-03-03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090070932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케이티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6590A (ko) * 1999-01-27 2001-01-26 스테븐 디.피터스 다중 데이터베이스의 동기장치 및 방법
JP2002007441A (ja) * 2000-06-26 2002-01-11 Hitachi Software Eng Co Ltd 分散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
KR20050116549A (ko) * 2004-06-08 2005-12-13 주식회사 엘비에스플러스 유무선 분산 환경하의 공간 데이터간의 데이터 전송과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러한 방법의 실행을 위한 분산공간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KR20060019439A (ko) * 2004-08-27 2006-03-03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090070932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케이티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22360B (zh) 数据迁移系统和方法
US201100296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email attachments
KR101662212B1 (ko) 부분동기화 지원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부분동기화 방법
CN107122361B (zh) 数据迁移系统和方法
KR101268440B1 (ko)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843702B (zh) 一种用于数据备份的方法以及装置
US20110208695A1 (en) Data synchronization between a data center environment and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CN106250270A (zh) 一种云计算平台下的数据备份方法
JP5686034B2 (ja) クラスタシステム、同期制御方法、サーバ装置および同期制御プログラム
CN101865695B (zh) 用于刷新位置代码数据的方法和系统
US20110055151A1 (en) Processing Database Operation Requests
KR20140137842A (ko) 데이터 부재 태깅 기반의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CN103763368B (zh) 一种跨数据中心的数据同步方法
CN105205182A (zh) 多机房部署系统及跨机房的业务数据处理方法
CN103166980A (zh) 互联网数据拉取方法和系统
CN110008197A (zh) 一种数据处理方法、系统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5446724A (zh) 软件参数的管理方法及装置
CN102708166B (zh) 数据复制方法、数据恢复方法及装置
CN114491518A (zh) 一种越权访问的检测方法、装置、系统及介质
CN112328702A (zh) 数据同步方法及系统
CN103853612A (zh) 一种基于分布式存储下的数字家庭内容读数据的方法
CN204926097U (zh) 数据隔离存储系统
CN109947592A (zh) 一种数据同步方法、装置以及相关设备
KR20130119104A (ko) 이기종 공간 데이터베이스간 지리 정보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US11205049B2 (en) Method for managing semantic information on M2M/IoT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