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580A -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580A
KR20130118580A KR1020120041550A KR20120041550A KR20130118580A KR 20130118580 A KR20130118580 A KR 20130118580A KR 1020120041550 A KR1020120041550 A KR 1020120041550A KR 20120041550 A KR20120041550 A KR 20120041550A KR 20130118580 A KR20130118580 A KR 20130118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rvice page
registered
contents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김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진 filed Critical 김용진
Priority to KR1020120041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8580A/ko
Publication of KR20130118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음성 통화 중 접속된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통화 상대방에 대한 서비스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비스페이지제공단계;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 노출되도록 등록된 컨텐츠 중, 상기 음성 통화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인식된 특정 키워드와 대응하도록 등록된 컨텐츠를 추출하는 컨텐츠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된 컨텐츠가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는 서비스페이지재구성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등록 시간 경과로 인해 사장되어 있던 컨텐츠를 활성화하여 컨텐츠의 활용성과 이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는 데 있다.

Description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VOICE CALL}
본 발명은 음성 통화 중 통화 상대방에 의해 등록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통화 중 통화 상대방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음성 통화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특정 키워드(주제)가 인식될 경우, 관련된 컨텐츠를 컨텐츠 목록 최상위에 배치하여 제공함으로써, 컨텐츠의 활용성과 이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음성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SNS(Social Network Service) 및 클라우드 서비스 등의 경우 컨텐츠의 생산 및 제공에 집중하여 컨텐츠의 양적 팽창에 주력함으로써, 생산된 컨텐츠의 효과적인 유통 및 활용에 대한 방안이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컨텐츠가 점점 많이 쌓이게 될 경우 과거에 생산된 컨텐츠는 더 이상 퍼블리싱되지 않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그로 인해 컨텐츠의 활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즉, 지금까지 SNS와 클라우드 서비스 등에서 제공해 온 컨텐츠 리스트업 방법의 경우, 컨텐츠가 퍼플리싱된 시간 순서가 일반적이었다.
이로 인해, 컨텐츠의 총량은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중 대부분은 스토리지 내에서 개념적으로만 존재할 뿐 거의 또는 전혀 유통되지 않고 사장되는 컨텐츠의 수가 급속하게 증대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컨텐츠를 카테고라이징(Categorizing)하고 태깅(Tagging)하며 검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퍼블리싱된 컨텐츠의 사장을 막고 유통을 촉진하는 노력이 있어 왔으나, 이와 같은 방법들은 사용자의 노력과 의지가 필요하였고 컨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 제한 때문에 그 효과는 매우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음성 통화 중 통화 상대방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음성 통화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특정 키워드(주제)가 인식될 경우, 관련된 컨텐츠를 컨텐츠 목록 최상위에 배치하여 제공함으로써, 등록 시간 경과로 인해 사장되어 있던 컨텐츠를 활성화하여 컨텐츠의 활용성과 이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컨텐츠장치는 음성 통화 중 접속된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통화 상대방에 대한 서비스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비스페이지제공부; 및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 노출되도록 등록된 컨텐츠 중, 상기 음성 통화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인식된 특정 키워드와 대응하도록 등록된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컨텐츠가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는 서비스페이지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페이지구성부는,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의 컨텐츠 등록 시간을 기준으로 나중에 등록된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지정하며,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2 이상의 컨텐츠가 추출될 경우, 상기 2 이상의 컨텐츠 중 나중에 등록된 특정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페이지구성부는, 상기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각각에 대해 접속자 별 노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접근 권한을 지정하며, 상기 음성 통화 중, 상기 서비스페이지에 접속중인 상기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특정 컨텐츠의 노출 여부에 대한 변경이 요구될 경우, 상기 접근 권한을 재지정하고, 상기 단말장치와의 음성 통화가 종료될 경우, 상기 재지정된 접근 권한을 원상태로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페이지구성부는, 상기 접근 권한 재지정에 따라 특정 컨텐츠가 노출될 경우, 상기 노출된 특정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은, 음성 통화 중 접속된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통화 상대방에 대한 서비스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비스페이지제공단계;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 노출되도록 등록된 컨텐츠 중, 상기 음성 통화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인식된 특정 키워드와 대응하도록 등록된 컨텐츠를 추출하는 컨텐츠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된 컨텐츠가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는 서비스페이지재구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페이지재구성단계는,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2 이상의 컨텐츠가 추출될 경우,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의 컨텐츠 등록 시간을 기준으로 나중에 등록된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기 지정된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상기 2 이상의 컨텐츠 중 나중에 등록된 특정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재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각각에 대해 접속자 별 노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접근 권한을 지정하는 접근권한설정단계; 상기 음성 통화 중, 상기 서비스페이지에 접속중인 상기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특정 컨텐츠의 노출 여부에 대한 변경이 요구될 경우, 상기 접근 권한을 재지정하는 접근권한재지정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와의 음성 통화가 종료될 경우, 상기 재지정된 접근 권한을 원상태로 복구하는 권한복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페이지재구성단계는, 상기 접근 권한 재지정에 따라 특정 컨텐츠가 노출될 경우, 상기 노출된 특정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음성 통화 중 접속된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통화 상대방에 대한 서비스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비스페이지제공단계;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 노출되도록 등록된 컨텐츠 중, 상기 음성 통화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인식된 특정 키워드와 대응하도록 등록된 컨텐츠를 추출하는 컨텐츠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된 컨텐츠가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는 서비스페이지재구성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각각에 대해 접속자 별 노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접근 권한을 지정하는 접근권한설정단계; 상기 음성 통화 중, 상기 서비스페이지에 접속중인 상기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특정 컨텐츠의 노출 여부에 대한 변경이 요구될 경우, 상기 접근 권한을 재지정하는 접근권한재지정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와의 음성 통화가 종료될 경우, 상기 재지정된 접근 권한을 원상태로 복구하는 권한복구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음성 통화 중 통화 상대방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음성 통화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특정 키워드(주제)가 인식될 경우, 관련된 컨텐츠를 컨텐츠 목록 최상위에 배치하여 제공함으로써, 등록 시간 경과로 인해 사장되어 있던 컨텐츠를 별도의 노력없이 편리하게 배포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텐츠를 단순히 많이 노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통화 내용을 기반으로 이용자가 현재 관심있고 이용하기를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몰입도와 이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용자가 시간/상황/장소/상대방에 따라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자신의 컨텐츠를 노출/숨김/변경/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능동적인 컨텐츠 제공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통화 당사자간의 컨텐츠 뿐만 아니라 기업의 광고 컨텐츠의 노출 로직에도 반영할 수 있다. 즉, 현재 통화 당사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키워드에 매칭된 키워드의 광고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노출함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컨테츠 배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음성 통화 중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에 접속하여 컨텐츠 목록을 수신하는 발신단말장치(100)와 발신단말장치(100)의 서비스페이지에 접속하여 컨텐츠 목록을 수신하는 착신단말장치(400); 발신단말장치(100)와 착신단말장치(400) 각각에 대한 서비스 가입을 수행하고, 각각의 서비스페이지에 대한 접속 주소를 제공하는 서비스장치(200), 및 음성 통화 중 통화 상대방의 서비스페이지에 접속한 발신단말장치(100)와 착신단말장치(400)를 대상으로 각각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기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컨텐츠장치(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서비스장치(200)와 컨텐츠장치(300)의 경우 독립적인 구성 요소로서 적용되었으나, 서비스장치(200)의 기능을 컨텐츠장치(300)에서 모두 수행하는 통합된 구성의 적용 또한 가능하다.
한편, 발신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400)는 모두 컨텐츠장치(300)를 통해 제공되는 자신의 서비스페이지에 컨텐츠를 등록하고, 음성 통화 중 통화 상대방의 서비스페이지에 접속하여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요청에 따라 특정 컨텐츠에 접속하는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신단말장치(100)와 착신단말장치(400) 간 음성 통화 중 발신단말장치(100)가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에 접속하여 컨텐츠 목록을 수신하는 동작을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착신단말장치(400)는 서비스 가입을 수행하여 자신의 서비스페이지에 컨텐츠 등록을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신단말장치(400)는 서비스장치(300)에 접속하여 서비스 가입을 수행하고, 자신의 서비스페이지 구성을 위한 접속 주소를 할당받는다. 아울러, 착신단말장치(400)는 서비스장치(300)로부터 할당된 접속 주소를 기초로 컨텐츠장치(300)에 접속하여 자신의 서비스페이지를 구성하고, 해당 서비스페이지 상에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예컨대, 사진, 동영상, URL 링크, 어플리케이션, 및 지도 등을 등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컨텐츠장치(300)는 착신단말장치(400)로부터 요청되는 컨텐츠를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장치(300)는 착신단말장치(400)로부터 요청되는 컨텐츠 자체만을 등록할 수도 있고 컨텐츠에 텍스트(제목, 본문) 등 다른 컨텐츠를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 등록 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컨텐츠 제목(태그)을 입력/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입력된 내용은 해당 컨텐츠의 태그(키워드)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 밖에, 컨텐츠의 특성 별로 태깅 가능한 요소를 모두 활용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태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컨대, 뉴스 북마크의 경우 뉴스의 제목을 태그 키워드로 활용할 수 있고, 쇼핑몰은 상품명, 일반 웹페이지는 메타 키워드, 사진은 촬영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대략의 지명이 자동적으로 태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착신단말장치(400)는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각각에 대해 접속자 별 노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접근 권한을 추가로 지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신단말장치(400)는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각각에 대한 접근 권한, 예컨대, 전체 공개 저장(예: 서비스페이지가 팝업되는 모든 통화 상대방에게 공개), 친구 공개 저장(예: 서비스페이지가 팝업되는 통화 상대방 중 '친구'로 지정된 상대방에게 공개), 비공개(예: 서비스페이지에만 등록)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컨텐츠장치(300)는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각각에 대한 접근 권한을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장치(300)는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예: 썸네일 형태) 하단에 아이콘 또는 텍스트로 해당 컨텐츠에 설정된 접근 권한을 표시함으로써, 착신단말장치(400)로 하여금 자신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가 전체 공개인지 비공개인지, 특정 그룹에 공개되어 있다면 어떤 그룹인지를 이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장치(300)는 접근 권한 표시를 위해 아이콘 또는 텍스트를 녹색과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만약 통화 상대방이 해당 컨텐츠에 설정된 공개 그룹에 해당할 경우에는 녹색 아이콘 또는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통화 상대방이 해당 컨텐츠에 설정된 공개 그룹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에는 적색 아이콘 또는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발신단말장치(100)는 착신단말장치(400)와의 음성 통화 중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에 접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신단말장치(100)는 착신단말장치(400)와의 음성 통화 중, 착신단말장치(400)의 식별정보(예: 전화번호)를 기초로 서비스장치(300)에 착신단말장치(400)에 대한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서비스 가입이 확인될 경우, 서비스장치(300)로부터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접속 주소를 수신하게 된다.
아울러, 발신단말장치(100)는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신단말장치(100)는 서비스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접속 주소를 토대로 컨텐츠장치(300)에 접속하여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목록에 지정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에 따라 목록에 포함된 컨텐츠를 예컨대, 썸네일 형태로 배열하여 특정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때, 컨텐츠장치(300)로부터 최초 제공되는 컨텐츠 목록의 경우, 서비스페이지 상의 컨텐츠 등록 시간을 기준으로 새롭게 등록된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컨텐츠의 정렬 순서가 지정된 상태로 전달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서비스 가입 여부 확인 과정에서, 착신단말장치(400)가 서비스 가입자가 아닐 경우에는, 발신단말장치(100)는 자신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컨텐츠장치(3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이때, 컨텐츠장치(300)는 음성 통화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인식된 키워드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장치(300)는 발신단말장치(100)와 착신단말장치(400)간 음성 통화 내용 즉, 착신단말장치(400)의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를 착신단말장치(400)로부터 수신한다. 이와 관련하여, 착신단말장치(400)는 발신단말장치(100)와의 음성 통화 중, 발신단말장치(100)와 마찬가지로 발신단말장치(100)의 서비스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탑재된 음성인식 엔진의 구동 또는 별도의 음성인식장치(도시안됨)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여 컨텐츠장치(3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음성 인식 동작의 경우 음성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착신단말장치(400)에 의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반복 주기의 경우 일정시간(예: 매 10초)을 기준으로 하거나, 대화의 일시적인 중단 시점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컨텐츠장치(300)는 통화 내용으로부터 인식된 키워드를 기초로 컨텐츠 목록을 재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장치(300)는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 중 상기 수신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컨텐츠가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여 발신단말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컨텐츠장치(300)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츠가 추출될 경우, 복수의 컨텐츠 중 등록 시간을 기준으로 나중에 등록된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정렬 순서를 재지정함으로써, 등록 시간 경과로 인해 사장되어 있던 컨텐츠가 우선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컨텐츠장치(300)는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접근 권한을 재지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장치(300)는 음성 통화 중, 착신단말장치(400)로부터 자신의 서비스페이지에 접속중인 발신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특정 컨텐츠의 노출 여부에 대한 변경이 요구될 경우, 지정된 접근 권한을 재지정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에 대한 공개 여부를 일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장치(300)는 음성 통화 중 접근 권한 재지정에 따라 특정 컨텐츠(예: 계좌번호)가 공개될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여, 발신단말장치(100)에 전달함으로써, 해당 컨텐츠를 발신단말장치(100)에 푸쉬(Push)한 효과를 갖도록 한다. 반면, 컨텐츠장치(300)는 접근 권한 재지정에 따라 특정 컨텐츠가 비공개로 전환될 경우, 해당 컨텐츠를 컨텐츠 목록에서 제거함으로써, 발신단말장치(100)로 하여금 해당 컨텐츠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하며 나아가, 음성 통화가 종료될 경우, 상기 재지정된 접근 권한을 최초 지정 상태로 복구하게 된다. 이때, 컨텐츠장치(300)는 통화 종료가 되어 해당 컨텐츠의 접근 권한이 원상태로 복구되어도 컨텐츠에 접속하여 이용중인 발신단말장치(100)가 통화 후에도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나아가, 발신단말장치(100)는 컨텐츠장치(300)로부터 재지정된 컨텐츠 목록을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신단말장치(100)는 컨텐츠장치(300)로부터 음성 인식 결과 또는 접근 권한 변경에 따라 컨텐츠의 정렬 순서가 재지정된 컨텐츠 목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목록에 지정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에 따라 목록에 포함된 컨텐츠를 예컨대, 썸네일 형태로 배열하여 특정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현재 통화 당사자 즉, 착신단말장치(400)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특정 컨텐츠가 우선적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발신단말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목록 중 특정 컨텐츠가 선택될 경우,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여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발신단말장치(100)의 컨텐츠 디스플레이 형태의 경우, 예컨대,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 메뉴 영역, 사용자 프로필 영역, 및 컨텐츠 영역으로 구분된 화면 영역 중, 컨텐츠 영역에 배열하는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1줄에 배열되는 컨텐츠의 개수는 기본적으로 4개이나, 기본 단위의 크기 변경에 따라 변동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1줄에 컨텐츠 1개가 배열되는 '게시판' 형식의 적용 또한 가능하다. 또한, 컨텐츠 기본 단위의 크기는 서비스 기획 의도, 서비스 설정, 사용자 설정 등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발신단말장치(100)의 컨텐츠 정렬 형태의 경우,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 등록(생산) 시간 기준으로, 과거의 컨텐츠는 아래로, 최신 컨텐츠는 최상위에 배치하게 된다. 또한, 컨텐츠의 개수가 많아 서비스 화면에 모두 배열되지 못할 경우에는 최신 컨텐츠를 최상위부터 배열하고 과거의 컨텐츠는 화면 영역을 벗어나 배열하여 스크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컨텐츠의 개수가 화면의 크기를 벗어날 경우 페이지를 나누어 표시하는 방안 또한 가능하다.
또한, 발신단말장치(100)의 음성인식 결과에 따른 컨텐츠 정렬 형태의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 중에서 음성인식 결과와 매칭된 컨텐츠를 서비스 화면 최상위에 노출시키게 되며, 지속적인 음성인식 동작 결과에 따른 컨텐츠 목록이 전달될 경우, 기존에 배열되어 있던 컨텐츠 들은 아래로 밀고 새로운 컨텐츠들을 최상위에 위치시키게 된다. 한편, 음성인식 기능에 의하여 추출된 컨텐츠가 이미 서비스 화면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컨텐츠를 최상위로 재정렬하게 된다. 아울러, 음성인식 기능에 의하여 동시 추출된 컨텐츠가 2개 이상일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컨텐츠 중에서 최근에 등록된 컨텐츠를 최상위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컨텐츠장치(300)는 발신단말장치(100)와 착신단말장치(400) 간 음성 통화 중, 접속된 발신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비스페이지제공부(310);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기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구성하는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착신단말장치(400)로부터 요청되는 컨텐츠를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서비스장치(300)로부터 할당된 접속 주소를 기초로 컨텐츠장치(300)에 접속하여 자신의 서비스페이지를 구성하는 착신단말장치(4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페이지 상에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예컨대, 사진, 동영상, URL 링크, 어플리케이션, 및 지도 등을 등록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착신단말장치(400)로부터 요청되는 컨텐츠 자체만을 등록할 수도 있고 컨텐츠에 텍스트(제목, 본문) 등 다른 컨텐츠를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 등록 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컨텐츠 제목(태그)을 입력/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입력된 내용은 해당 컨텐츠의 태그(키워드)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 밖에, 컨텐츠의 특성 별로 태깅 가능한 요소를 모두 활용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태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컨대, 뉴스 북마크의 경우 뉴스의 제목을 태그 키워드로 활용할 수 있고, 쇼핑몰은 상품명, 일반 웹페이지는 메타 키워드, 사진은 촬영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대략의 지명이 자동적으로 태깅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각각에 대해 접속자 별 노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접근 권한을 추가로 지정하여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착신단말장치(400)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각각에 대한 접근 권한, 예컨대, 전체 공개 저장(예: 서비스페이지가 팝업되는 모든 통화 상대방에게 공개), 친구 공개 저장(예: 서비스페이지가 팝업되는 통화 상대방 중 '친구'로 지정된 상대방에게 공개), 비공개(예: 서비스페이지에만 등록)로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예: 썸네일 형태) 하단에 아이콘 또는 텍스트로 해당 컨텐츠에 설정된 접근 권한을 표시함으로써, 착신단말장치(400)로 하여금 자신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가 전체 공개인지 비공개인지, 특정 그룹에 공개되어 있다면 어떤 그룹인지를 이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장치(300)는 접근 권한 표시를 위해 아이콘 또는 텍스트를 녹색과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만약 통화 상대방이 해당 컨텐츠에 설정된 공개 그룹에 해당할 경우에는 녹색 아이콘 또는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통화 상대방이 해당 컨텐츠에 설정된 공개 그룹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에는 적색 아이콘 또는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접속된 발신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음성 통화 중, 서비스페이지제공부(310)를 통해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에 접속한 발신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상의 컨텐츠 등록 시간을 기준으로 새롭게 등록된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컨텐츠의 정렬 순서가 지정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발신단말장치(100)는 수신된 컨텐츠 목록에 지정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에 따라 목록에 포함된 컨텐츠를 예컨대, 썸네일 형태로 배열하여 특정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음성 통화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인식된 키워드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발신단말장치(100)와 착신단말장치(400)간 음성 통화 내용 즉, 착신단말장치(400)의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를 착신단말장치(400)로부터 수신한다. 이와 관련하여, 착신단말장치(400)는 발신단말장치(100)와의 음성 통화 중, 발신단말장치(100)와 마찬가지로 발신단말장치(100)의 서비스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탑재된 음성인식 엔진의 구동 또는 별도의 음성인식장치(도시안됨)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여 컨텐츠장치(3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음성 인식 동작의 경우 음성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착신단말장치(400)에 의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반복 주기의 경우 일정시간(예: 매 10초)을 기준으로 하거나, 대화의 일시적인 중단 시점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통화 내용으로부터 인식된 키워드를 기초로 컨텐츠 목록을 재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 중 상기 수신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컨텐츠가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여 발신단말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츠가 추출될 경우, 복수의 컨텐츠 중 등록 시간을 기준으로 나중에 등록된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정렬 순서를 재지정함으로써, 등록 시간 경과로 인해 사장되어 있던 컨텐츠가 우선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접근 권한을 재지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음성 통화 중, 착신단말장치(400)로부터 자신의 서비스페이지에 접속중인 발신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특정 컨텐츠의 노출 여부에 대한 변경이 요구될 경우, 지정된 접근 권한을 재지정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에 대한 공개 여부를 일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음성 통화 중 접근 권한 재지정에 따라 특정 컨텐츠(예: 계좌번호)가 공개될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여, 발신단말장치(100)에 전달함으로써, 해당 컨텐츠를 발신단말장치(100)에 푸쉬(Push)한 효과를 갖도록 한다. 반면,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접근 권한 재지정에 따라 특정 컨텐츠가 비공개로 전환될 경우, 해당 컨텐츠를 컨텐츠 목록에서 제거함으로써, 발신단말장치(100)로 하여금 해당 컨텐츠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하며 나아가, 음성 통화가 종료될 경우, 상기 재지정된 접근 권한을 최초 지정 상태로 복구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통화 종료가 되어 해당 컨텐츠의 접근 권한이 원상태로 복구되어도 컨텐츠에 접속하여 이용중인 발신단말장치(100)가 통화 후에도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나아가,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컨텐츠장치(300)에 재지정된 컨텐츠 목록을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음성 인식 결과 또는 접근 권한 변경에 따라 컨텐츠의 정렬 순서가 재지정된 컨텐츠 목록을 발신단말장치(100)에 전달함으로써, 발신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수신된 컨텐츠 목록에 지정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에 따라 컨텐츠를 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하여 현재 통화 당사자 즉, 착신단말장치(400)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특정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음성 통화 중 통화 상대방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음성 통화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특정 키워드(주제)가 인식될 경우, 관련된 컨텐츠를 컨텐츠 목록 최상위에 배치하여 제공함으로써, 등록 시간 경과로 인해 사장되어 있던 컨텐츠를 별도의 노력없이 편리하게 배포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텐츠를 단순히 많이 노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통화 내용을 기반으로 이용자가 현재 관심있고 이용하기를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몰입도와 이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용자가 시간/상황/장소/상대방에 따라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자신의 컨텐츠를 노출/숨김/변경/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능동적인 컨텐츠 제공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술한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착신단말장치(400)는 서비스 가입을 수행하여 자신의 서비스페이지에 컨텐츠 등록을 요청한다(S110-S130).
바람직하게는, 착신단말장치(400)는 서비스장치(300)에 접속하여 서비스 가입을 수행하고, 자신의 서비스페이지 구성을 위한 접속 주소를 할당받는다. 아울러, 착신단말장치(400)는 서비스장치(300)로부터 할당된 접속 주소를 기초로 컨텐츠장치(300)에 접속하여 자신의 서비스페이지를 구성하고, 해당 서비스페이지 상에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예컨대, 사진, 동영상, URL 링크, 어플리케이션, 및 지도 등을 등록하게 된다.
이에, 컨텐츠장치(300)가 착신단말장치(400)로부터 요청되는 컨텐츠를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한다(S140).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장치(300)는 착신단말장치(400)로부터 요청되는 컨텐츠 자체만을 등록할 수도 있고 컨텐츠에 텍스트(제목, 본문) 등 다른 컨텐츠를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 등록 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컨텐츠 제목(태그)을 입력/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입력된 내용은 해당 컨텐츠의 태그(키워드)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 밖에, 컨텐츠의 특성 별로 태깅 가능한 요소를 모두 활용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태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컨대, 뉴스 북마크의 경우 뉴스의 제목을 태그 키워드로 활용할 수 있고, 쇼핑몰은 상품명, 일반 웹페이지는 메타 키워드, 사진은 촬영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대략의 지명이 자동적으로 태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착신단말장치(400)는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각각에 대해 접속자 별 노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접근 권한을 추가로 지정한다. 즉, 착신단말장치(400)는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각각에 대한 접근 권한, 예컨대, 전체 공개 저장(예: 서비스페이지가 팝업되는 모든 통화 상대방에게 공개), 친구 공개 저장(예: 서비스페이지가 팝업되는 통화 상대방 중 '친구'로 지정된 상대방에게 공개), 비공개(예: 서비스페이지에만 등록)로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발신단말장치(100)가 착신단말장치(400)와의 음성 통화 중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에 접속한다(S150-S180).
바람직하게는, 발신단말장치(100)는 착신단말장치(400)와의 음성 통화 중, 착신단말장치(400)의 식별정보(예: 전화번호)를 기초로 서비스장치(300)에 착신단말장치(400)에 대한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서비스 가입이 확인될 경우, 서비스장치(300)로부터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접속 주소를 수신하게 된다.
이에, 발신단말장치(100)는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수신한다(S190-S200).
바람직하게는, 발신단말장치(100)는 서비스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접속 주소를 토대로 컨텐츠장치(300)에 접속하여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목록에 지정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에 따라 목록에 포함된 컨텐츠를 예컨대, 썸네일 형태로 배열하여 특정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때, 컨텐츠장치(300)로부터 최초 제공되는 컨텐츠 목록의 경우, 서비스페이지 상의 컨텐츠 등록 시간을 기준으로 새롭게 등록된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컨텐츠의 정렬 순서가 지정된 상태로 전달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서비스 가입 여부 확인 과정에서, 착신단말장치(400)가 서비스 가입자가 아닐 경우에는, 발신단말장치(100)는 자신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컨텐츠장치(3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나아가, 컨텐츠장치(300)가 음성 통화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인식된 키워드를 수신한다(S210-S220).
바람직하게는, 컨텐츠장치(300)는 발신단말장치(100)와 착신단말장치(400)간 음성 통화 내용 즉, 착신단말장치(400)의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를 착신단말장치(400)로부터 수신한다. 이와 관련하여, 착신단말장치(400)는 발신단말장치(100)와의 음성 통화 중, 발신단말장치(100)와 마찬가지로 발신단말장치(100)의 서비스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탑재된 음성인식 엔진의 구동 또는 별도의 음성인식장치(도시안됨)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여 컨텐츠장치(3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음성 인식 동작의 경우 음성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착신단말장치(400)에 의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반복 주기의 경우 일정시간(예: 매 10초)을 기준으로 하거나, 대화의 일시적인 중단 시점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컨텐츠장치(300)가 통화 내용으로부터 인식된 키워드를 기초로 컨텐츠 목록을 재구성한다(S230).
바람직하게는, 컨텐츠장치(300)는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 중 상기 수신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컨텐츠가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여 발신단말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컨텐츠장치(300)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츠가 추출될 경우, 복수의 컨텐츠 중 등록 시간을 기준으로 나중에 등록된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정렬 순서를 재지정함으로써, 등록 시간 경과로 인해 사장되어 있던 컨텐츠가 우선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컨텐츠장치(300)는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접근 권한을 재지정할 수 있다. 즉, 컨텐츠장치(300)는 음성 통화 중, 착신단말장치(400)로부터 자신의 서비스페이지에 접속중인 발신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특정 컨텐츠의 노출 여부에 대한 변경이 요구될 경우, 지정된 접근 권한을 재지정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에 대한 공개 여부를 일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장치(300)는 음성 통화 중 접근 권한 재지정에 따라 특정 컨텐츠(예: 계좌번호)가 공개될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여, 발신단말장치(100)에 전달함으로써, 해당 컨텐츠를 발신단말장치(100)에 푸쉬(Push)한 효과를 갖도록 한다. 반면, 컨텐츠장치(300)는 접근 권한 재지정에 따라 특정 컨텐츠가 비공개로 전환될 경우, 해당 컨텐츠를 컨텐츠 목록에서 제거함으로써, 발신단말장치(100)로 하여금 해당 컨텐츠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하며 나아가, 음성 통화가 종료될 경우, 상기 재지정된 접근 권한을 최초 지정 상태로 복구하게 된다. 이때, 컨텐츠장치(300)는 통화 종료가 되어 해당 컨텐츠의 접근 권한이 원상태로 복구되어도 컨텐츠에 접속하여 이용중인 발신단말장치(100)가 통화 후에도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발신단말장치(100)가 컨텐츠장치(300)로부터 재지정된 컨텐츠 목록을 수신하여 특정 컨텐츠에 접속한다(S240-S270).
바람직하게는, 발신단말장치(100)는 컨텐츠장치(300)로부터 음성 인식 결과 또는 접근 권한 변경에 따라 컨텐츠의 정렬 순서가 재지정된 컨텐츠 목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목록에 지정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에 따라 목록에 포함된 컨텐츠를 예컨대, 썸네일 형태로 배열하여 특정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현재 통화 당사자 즉, 착신단말장치(400)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특정 컨텐츠가 우선적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발신단말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목록 중 특정 컨텐츠가 선택될 경우,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여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장치(3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착신단말장치(400)로부터 요청되는 컨텐츠를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한다(S31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서비스장치(300)로부터 할당된 접속 주소를 기초로 컨텐츠장치(300)에 접속하여 자신의 서비스페이지를 구성하는 착신단말장치(4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페이지 상에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예컨대, 사진, 동영상, URL 링크, 어플리케이션, 및 지도 등을 등록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착신단말장치(400)로부터 요청되는 컨텐츠 자체만을 등록할 수도 있고 컨텐츠에 텍스트(제목, 본문) 등 다른 컨텐츠를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 등록 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컨텐츠 제목(태그)을 입력/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입력된 내용은 해당 컨텐츠의 태그(키워드)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 밖에, 컨텐츠의 특성 별로 태깅 가능한 요소를 모두 활용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태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컨대, 뉴스 북마크의 경우 뉴스의 제목을 태그 키워드로 활용할 수 있고, 쇼핑몰은 상품명, 일반 웹페이지는 메타 키워드, 사진은 촬영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대략의 지명이 자동적으로 태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각각에 대해 접속자 별 노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접근 권한을 추가로 지정하여 관리한다(S32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착신단말장치(400)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각각에 대한 접근 권한, 예컨대, 전체 공개 저장(예: 서비스페이지가 팝업되는 모든 통화 상대방에게 공개), 친구 공개 저장(예: 서비스페이지가 팝업되는 통화 상대방 중 '친구'로 지정된 상대방에게 공개), 비공개(예: 서비스페이지에만 등록)로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예: 썸네일 형태) 하단에 아이콘 또는 텍스트로 해당 컨텐츠에 설정된 접근 권한을 표시함으로써, 착신단말장치(400)로 하여금 자신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가 전체 공개인지 비공개인지, 특정 그룹에 공개되어 있다면 어떤 그룹인지를 이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장치(300)는 접근 권한 표시를 위해 아이콘 또는 텍스트를 녹색과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만약 통화 상대방이 해당 컨텐츠에 설정된 공개 그룹에 해당할 경우에는 녹색 아이콘 또는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통화 상대방이 해당 컨텐츠에 설정된 공개 그룹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에는 적색 아이콘 또는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접속된 발신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한다(S330-S34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음성 통화 중, 서비스페이지제공부(310)를 통해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에 접속한 발신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상의 컨텐츠 등록 시간을 기준으로 새롭게 등록된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컨텐츠의 정렬 순서가 지정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발신단말장치(100)는 수신된 컨텐츠 목록에 지정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에 따라 목록에 포함된 컨텐츠를 예컨대, 썸네일 형태로 배열하여 특정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나아가, 음성 통화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인식된 키워드를 수신한다(S35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발신단말장치(100)와 착신단말장치(400)간 음성 통화 내용 즉, 착신단말장치(400)의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를 착신단말장치(400)로부터 수신한다. 이와 관련하여, 착신단말장치(400)는 발신단말장치(100)와의 음성 통화 중, 발신단말장치(100)와 마찬가지로 발신단말장치(100)의 서비스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탑재된 음성인식 엔진의 구동 또는 별도의 음성인식장치(도시안됨)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여 컨텐츠장치(3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음성 인식 동작의 경우 음성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착신단말장치(400)에 의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반복 주기의 경우 일정시간(예: 매 10초)을 기준으로 하거나, 대화의 일시적인 중단 시점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통화 내용으로부터 인식된 키워드를 기초로 컨텐츠 목록을 재구성한다(S370-S38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 중 상기 수신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컨텐츠가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여 발신단말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츠가 추출될 경우, 복수의 컨텐츠 중 등록 시간을 기준으로 나중에 등록된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정렬 순서를 재지정함으로써, 등록 시간 경과로 인해 사장되어 있던 컨텐츠가 우선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착신단말장치(400)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접근 권한을 재지정할 수 있다(S360, S38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음성 통화 중, 착신단말장치(400)로부터 자신의 서비스페이지에 접속중인 발신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특정 컨텐츠의 노출 여부에 대한 변경이 요구될 경우, 지정된 접근 권한을 재지정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에 대한 공개 여부를 일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음성 통화 중 접근 권한 재지정에 따라 특정 컨텐츠(예: 계좌번호)가 공개될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여, 발신단말장치(100)에 전달함으로써, 해당 컨텐츠를 발신단말장치(100)에 푸쉬(Push)한 효과를 갖도록 한다. 반면, 컨텐츠장치(300)는 접근 권한 재지정에 따라 특정 컨텐츠가 비공개로 전환될 경우, 해당 컨텐츠를 컨텐츠 목록에서 제거함으로써, 발신단말장치(100)로 하여금 해당 컨텐츠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하며 나아가, 음성 통화가 종료될 경우, 상기 재지정된 접근 권한을 최초 지정 상태로 복구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통화 종료가 되어 해당 컨텐츠의 접근 권한이 원상태로 복구되어도 컨텐츠에 접속하여 이용중인 발신단말장치(100)가 통화 후에도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컨텐츠장치(300)에 재지정된 컨텐츠 목록을 전달한다(S39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페이지구성부(320)는 음성 인식 결과 또는 접근 권한 변경에 따라 컨텐츠의 정렬 순서가 재지정된 컨텐츠 목록을 발신단말장치(100)에 전달함으로써, 발신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수신된 컨텐츠 목록에 지정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에 따라 컨텐츠를 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하여 현재 통화 당사자 즉, 착신단말장치(400)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특정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에 따르면, 음성 통화 중 통화 상대방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음성 통화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특정 키워드(주제)가 인식될 경우, 관련된 컨텐츠를 컨텐츠 목록 최상위에 배치하여 제공함으로써, 등록 시간 경과로 인해 사장되어 있던 컨텐츠를 별도의 노력없이 편리하게 배포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텐츠를 단순히 많이 노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통화 내용을 기반으로 이용자가 현재 관심있고 이용하기를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몰입도와 이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용자가 시간/상황/장소/상대방에 따라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자신의 컨텐츠를 노출/숨김/변경/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능동적인 컨텐츠 제공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통화 당사자간의 컨텐츠 뿐만 아니라 기업의 광고 컨텐츠의 노출 로직에도 반영할 수 있다. 즉, 현재 통화 당사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키워드에 매칭된 키워드의 광고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노출함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음성 통화 중 통화 상대방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음성 통화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특정 키워드가 인식될 경우, 관련된 컨텐츠를 컨텐츠 목록 최상위에 배치하여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발신단말장치
200: 서비스장치
300: 컨텐츠장치
310: 서비스페이지제공부 320: 서비스페이지구성부
400: 착신단말장치

Claims (10)

  1. 음성 통화 중 접속된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통화 상대방에 대한 서비스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비스페이지제공부; 및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 노출되도록 등록된 컨텐츠 중, 상기 음성 통화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인식된 특정 키워드와 대응하도록 등록된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컨텐츠가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는 서비스페이지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페이지구성부는,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의 컨텐츠 등록 시간을 기준으로 나중에 등록된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지정하며,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2 이상의 컨텐츠가 추출될 경우, 상기 2 이상의 컨텐츠 중 나중에 등록된 특정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페이지구성부는,
    상기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각각에 대해 접속자 별 노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접근 권한을 지정하며,
    상기 음성 통화 중, 상기 서비스페이지에 접속중인 상기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특정 컨텐츠의 노출 여부에 대한 변경이 요구될 경우, 상기 접근 권한을 재지정하고,
    상기 단말장치와의 음성 통화가 종료될 경우, 상기 재지정된 접근 권한을 원상태로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페이지구성부는,
    상기 접근 권한 재지정에 따라 특정 컨텐츠가 노출될 경우, 상기 노출된 특정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장치.
  5. 음성 통화 중 접속된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통화 상대방에 대한 서비스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비스페이지제공단계;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 노출되도록 등록된 컨텐츠 중, 상기 음성 통화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인식된 특정 키워드와 대응하도록 등록된 컨텐츠를 추출하는 컨텐츠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된 컨텐츠가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는 서비스페이지재구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페이지재구성단계는,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2 이상의 컨텐츠가 추출될 경우,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의 컨텐츠 등록 시간을 기준으로 나중에 등록된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기 지정된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상기 2 이상의 컨텐츠 중 나중에 등록된 특정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재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각각에 대해 접속자 별 노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접근 권한을 지정하는 접근권한설정단계;
    상기 음성 통화 중, 상기 서비스페이지에 접속중인 상기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특정 컨텐츠의 노출 여부에 대한 변경이 요구될 경우, 상기 접근 권한을 재지정하는 접근권한재지정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와의 음성 통화가 종료될 경우, 상기 재지정된 접근 권한을 원상태로 복구하는 권한복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페이지재구성단계는,
    상기 접근 권한 재지정에 따라 특정 컨텐츠가 노출될 경우, 상기 노출된 특정 컨텐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9. 음성 통화 중 접속된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통화 상대방에 대한 서비스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비스페이지제공단계;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 노출되도록 등록된 컨텐츠 중, 상기 음성 통화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인식된 특정 키워드와 대응하도록 등록된 컨텐츠를 추출하는 컨텐츠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된 컨텐츠가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노출 우선순위를 갖도록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재지정하는 서비스페이지재구성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컨텐츠 각각에 대해 접속자 별 노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접근 권한을 지정하는 접근권한설정단계;
    상기 음성 통화 중, 상기 서비스페이지에 접속중인 상기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특정 컨텐츠의 노출 여부에 대한 변경이 요구될 경우, 상기 접근 권한을 재지정하는 접근권한재지정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와의 음성 통화가 종료될 경우, 상기 재지정된 접근 권한을 원상태로 복구하는 권한복구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20041550A 2012-04-20 2012-04-20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30118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550A KR20130118580A (ko) 2012-04-20 2012-04-20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550A KR20130118580A (ko) 2012-04-20 2012-04-20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580A true KR20130118580A (ko) 2013-10-30

Family

ID=4963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550A KR20130118580A (ko) 2012-04-20 2012-04-20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858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211A (ko) * 2014-10-07 2016-04-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677553B2 (en) 2013-06-28 2017-06-13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US9695811B2 (en) 2013-06-28 2017-07-04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US9695810B2 (en) 2013-06-28 2017-07-04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US9714648B2 (en) 2013-06-28 2017-07-25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US9726164B2 (en) 2013-06-28 2017-08-08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US10634127B2 (en) 2013-06-28 2020-04-28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7553B2 (en) 2013-06-28 2017-06-13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US9695811B2 (en) 2013-06-28 2017-07-04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US9695810B2 (en) 2013-06-28 2017-07-04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US9714648B2 (en) 2013-06-28 2017-07-25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US9726164B2 (en) 2013-06-28 2017-08-08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US10634127B2 (en) 2013-06-28 2020-04-28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KR20160042211A (ko) * 2014-10-07 2016-04-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23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working plurality of applications
CN107809492B (zh) 分享信息的生成方法和系统
KR20130118580A (ko)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103824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panded content tag sharing
US20140279061A1 (en) Social Media Branding
US10911565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ssociating a service account
US201501935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US20130326371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haring Information
US20110044512A1 (en) Automatic Image Tagging
CN105531700A (zh) 通过扩充服务的内容的自动扩充
CN107889070A (zh) 图片处理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1467151A (zh) 用于提供元数据条目的方法、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WO2014184745A1 (en) Automatic website generation
US10339175B2 (en) Aggregating photos captured at an event
KR101616914B1 (ko)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적응 객체 구성 방법,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적응 객체 구성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US99064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ing live computer network events
CN106651505A (zh) 一种用户端商家信息个性展示系统及方法
CN104424340A (zh) 社交网络应用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9223782B2 (en) System for performing instructions that are dependent upon received media-based messages and associated methods and components
KR101342039B1 (ko) Nfc 기반 홍보 마케팅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N104090878B (zh) 一种多媒体查找方法、终端、服务器及系统
CN109697129A (zh) 一种信息分享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659147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8200284A1 (en) Media sharing based on identified physical objects
CN105589870B (zh) 网页广告的过滤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