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147A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screen service linkage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screen service link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147A
KR20130117147A KR1020120039977A KR20120039977A KR20130117147A KR 20130117147 A KR20130117147 A KR 20130117147A KR 1020120039977 A KR1020120039977 A KR 1020120039977A KR 20120039977 A KR20120039977 A KR 20120039977A KR 20130117147 A KR20130117147 A KR 20130117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client
visual pattern
screen server
unique visua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9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알인터네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알인터네이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알인터네이비
Priority to KR1020120039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7147A/en
Publication of KR20130117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14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7Graphical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PURPOSE: An N screen service linking and providing method and a system thereof are provided to allow an internet access multimedia device in which a designated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to be linked to an N screen service by using a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design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CONSTITUTION: If a specific visual pattern which is generated by an N screen server is shown on a web client based on an identification key which is used to identify each web client which accesses to the N screen server, a pattern recognition unit (103) obtains the specific visual pattern by operating a camera.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transmits an identification key and log in information of a user, which are restored from the obtained specific visual pattern, to the N screen server. A content inquiry unit (104) receives a content list for the user from the N screen server. A replay control unit (105) transmits information about content, which is selected by the user, and a replay command to the N screen server. [Reference numerals] (100) Mobile terminal; (101) Log in unit; (102) Camera; (103) Pattern recognition unit; (104) Content inquiry unit; (105) Replay control unit; (200) N screen server; (201) Web server; (202) Member management unit; (203) Pattern generation unit; (204) Terminal matching unit; (205) Streaming unit; (206) Member DB; (207) Contents DB; (300) Web terminal; (301) Web client; (302) Display; (303) Contents play unit

Description

N스크린 서비스 연동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SCREEN SERVICE LINKAGE}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screen service interwork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SCREEN SERVICE LINKAGE}

본 발명은 인터넷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N 스크린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et multimedia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N screen service.

유무선 인터넷 접속 속도가 증가하고 다양한 크기와 용도에 따른 인터넷 접속 장치들이 저렴해짐에 따라 한 사람이 다수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멀티미디어 장치들을 보유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멀티미디어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하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연속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N 스크린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다.As wired / wireless internet access speeds increase and internet access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sizes and uses become cheaper, a person has a large number of Internet-accessible multimedia devices and an appropriate multimedia device is used as needed. In line with this trend, N-screen services, which provide one multimedia content to be viewed continuously on different multimedia devices, have been in the spotlight.

N 스크린 서비스에서 어떤 한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감상 중이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른 기기에서 연속적으로 감상하기 위해서는, 회원의 인증이나 결제 기능,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중단 위치를 저장하는 기능 등을 서버에서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각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N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continuously watch the multimedia content that was being viewed on one multimedia device in another N-screen service on another device, the server must provide a member's authentication, payment function, and a function of storing the playback stop posi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run a dedicated application that can provide N screen service in each multimedia device.

그러나 스마트폰 등을 제외하면 멀티미디어 기기에 제3자 어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을 설치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거나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 제작사의 협조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한 설치나 협조가 가능하더라도, 원활한 N 스크린 서비스를 위해 수많은 멀티미디어 기기에 맞는 전용 어플리케이션들을 각각 개발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except for a smart phone or the like, installing a third party application on a multimedia device may not be permitted or may require cooperation of a multimedia device manufacturer. Even if such installation or cooperation is possib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each of the dedicated applications for numerous multimedia devices must be developed for smooth N screen ser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인터넷 접속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N 스크린 서비스를 연동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interworking an N screen service in an Internet access multimedia device in which a dedicated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there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방법은,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N 스크린 서버에 접속한 웹 클라이언트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 키에 기초하여 상기 N 스크린 서버에서 생성된 고유 시각적 패턴이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표시되면,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고유 시각적 패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If a unique visual pattern generated at the N screen server is displayed on the web client based on an identification key uniquely identifying a web client accessing an N screen server, the mobile terminal obtaining an image of the unique visual pattern;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획득된 고유 시각적 패턴에서 복원된 식별 키와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상기 N 스크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by the mobile terminal, the identification key restored from the obtained unique visual pattern and logi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N screen server; And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N 스크린 서버로부터 사용자를 위한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정보와 재생 명령 정보를 상기 N 스크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receiving, by the mobile terminal, a content list for the user from the N screen server, and transmitting content information and playback command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to the N screen serv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시각적 패턴은 1차원 바코드, 2차원 QR 코드 또는 컬러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nique visual pattern may be at least one of a one-dimensional barcode, a two-dimensional QR code, or a color cod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방법은,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N 스크린 서버가, 접속한 웹 클라이언트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 키에 기초한 고유 시각적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고유 시각적 패턴을 포함하는 동적 페이지를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Generating, by an N screen server, a unique visual pattern based on an identification key that uniquely identifies a connected web client, and providing the web client with a dynamic page including the generated unique visual pattern;

상기 고유 시각적 패턴으로부터 복원된 식별 키와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N 스크린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웹 클라이언트를 매칭하는 단계;When the identification key restored from the unique visual pattern and the user's login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N screen server match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eb client;

상기 N 스크린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Providing, by the N screen server, a content list to the mobile terminal; And

상기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 정보와 상기 컨텐츠에 관한 재생 명령 정보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N 스크린 서버가 수신된 컨텐츠 정보 및 재생 명령 정보에 따라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content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content list and the reproduction comm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content ar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N screen server streaming the content to the web client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and the reproduction command information; Can b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N 스크린 서버가 접속한 웹 클라이언트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 키에 기초한 고유 시각적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고유 시각적 패턴을 포함하는 동적 페이지를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는,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unique visual pattern based on an identification key uniquely identifying a web client to which the N screen server has connected, and providing the web client with a dynamic page including the generated unique visual pattern. ,

상기 웹 클라이언트의 접속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N 스크린 서버가 상기 웹 클라이언트를 유일하게 식별시킬 수 있는 식별 키를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n identification key that allows the N screen server to uniquely identify the web client in response to a connection attempt of the web client;

상기 생성된 식별 키를 기초로 하여 고유 시각적 패턴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Dynamically generating a unique visual pattern based on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key; And

상기 생성된 고유 시각적 패턴을 포함하는 동적 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generating and providing the dynamic page including the generated unique visual pattern to the web clien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일 수 있다.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may be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an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computer is record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N 스크린 서버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시스템에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In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an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system including an N screen serv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N 스크린 서버에 접속한 웹 클라이언트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 키에 기초하여 상기 N 스크린 서버에서 생성된 고유 시각적 패턴이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표시되면, 카메라를 구동하여 상기 고유 시각적 패턴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고유 시각적 패턴에서 복원된 식별 키와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상기 N 스크린 서버에 전송하는 패턴 인식부;When a unique visual pattern generated at the N screen server is displayed on the web client based on an identification key uniquely identifying a web client accessing the N screen server, the camera is driven to acquire an image of the unique visual pattern. A pattern recognizing unit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key restored from the obtained unique visual pattern and the user's login information to the N screen server;

상기 N 스크린 서버로부터 사용자를 위한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하는 컨텐츠 조회부; 및A content inquiry unit for receiving a content list for a user from the N screen server; And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정보와 재생 명령 정보를 상기 N 스크린 서버로 전송하는 재생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playback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playback command information on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to the N screen serv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웹 클라이언트가 접속되는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시스템의 N 스크린 서버 장치에 있어서,In the N screen server apparatus of the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system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eb client are connecte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웹 클라이언트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 키에 기초한 고유 시각적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고유 시각적 패턴을 포함하는 동적 페이지를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패턴 생성부;A pattern generator which generates a unique visual pattern based on an identification key uniquely identifying the web client, and provides the web client with a dynamic page including the generated unique visual pattern;

상기 고유 시각적 패턴으로부터 복원된 식별 키와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웹 클라이언트를 매칭하는 단말기 매칭부; 및A terminal matching unit match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eb client when the identification key restored from the unique visual pattern and the user's login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 정보와 상기 컨텐츠에 관한 재생 명령 정보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 정보 및 재생 명령 정보에 따라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스트리밍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n a content list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content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content list and playback comm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content ar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content is streamed to the web client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and playback command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streaming uni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턴 생성부는 In one embodiment, the pattern generation unit

상기 웹 클라이언트의 접속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웹 클라이언트를 유일하게 식별시킬 수 있는 식별 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식별 키를 기초로 하여 고유 시각적 패턴을 동적으로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고유 시각적 패턴을 포함하는 동적 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Generate an identification key uniquely identifying the web client in response to a connection attempt of the web client, dynamically generate a unique visual pattern based on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key, and generate the generated unique visual pattern And generate a dynamic page to include and provide to the web client.

본 발명의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인터넷 접속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N 스크린 서비스를 연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method a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 N screen service can be interworked in an Internet access multimedia device in which a dedicated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thereon.

또한 본 발명의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인터넷 접속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회원의 인증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회원 여부를 인증할 수 있으므로, 보안이 제공되지 않는 장소에서도 개인 신원을 노출되는 위험 없이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method a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ember can be authenticated without directly inputting the member's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to an Internet-accessible multimedia device, personal identity is exposed even in a place where security is not provided. You can use N screen service without it.

본 발명의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를 인터넷 접속 멀티미디어 기기의 N 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인터넷 TV 등에서 특별하게 제작 또는 설정된 리모콘 없이도 원격으로 손에 든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편안하게 멀티미디어 감상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method a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having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therein can be used as a remote control device for N screen service of an internet-connected multimedia device. You can remotely control your multimedia viewing with your mobi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시스템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방법에서 멀티미디어 기기의 접속 및 인증 절차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방법에서 멀티미디어 기기의 원격 제어 절차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and authentication procedure of a multimedia device in an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procedure of a multimedia device in an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For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set forth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nly,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시스템을 예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와 도 2를 참조하면,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시스템(10)은 모바일 단말기(100), N 스크린 서버(200), 인터넷 접속과 멀티미디어 재생이 가능한 웹 단말기(300), 네트워크(4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1 and 2, the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system 10 includes a mobile terminal 100, an N screen server 200, a web terminal 300 capable of internet access and multimedia playback, and a network 400. Can be implemented.

모바일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PDA, 태블릿과 같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할 수 있는 정보 처리 기능과, 예를 들어 네트워크(400)를 통해 N 스크린 서버(2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소정 해상도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휴대용 정보 처리 기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has, for example, an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 capable of installing and driving a user application such as a smart phone, a PDA, a tablet, and the like, for example, by accessing the N screen server 200 through a network 400 to the data. It can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amera function for acquiring an image with a predetermined resolution, and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user input.

N 스크린 서버(2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와 웹 단말기(300)에 각각 접속될 수 있고, 대량의 회원 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며 수 많은 외부 웹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대량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동시적으로 네트워크(40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웹 서버 기능을 갖출 수 있다.The N screen server 200 can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eb terminal 300 via the network 400, respectively, and can process a large amount of member information and can be mass-produced at the request of numerous external web clients. It is possible to have a web server function that can transmit the multimedia stream of the network through the network 400 at the same time.

웹 단말기(3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N 스크린 서버(200)에 연결될 수 있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 N 스크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브라우징할 수 있는 웹 클라이언트 기능, 예를 들어 태블릿, 스마트 TV, 개인용 컴퓨터(PC), 셋톱박스와 같이 N 스크린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수신 및 재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가지는 정보 처리 기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web terminal 300 has a wired or wireless interfa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N screen server 200 through the network 400, a web client function that can browse web services provided by the N screen server 200, for example. It can be implemented as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that can receive and play the multimedia stream provided by the N screen server 200 such as a tablet, a smart TV, a personal computer (PC), and a set-top box.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기(100)는 로그인부(101), 카메라(102), 패턴 인식부(103), 컨텐츠 조회부(104), 재생 제어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login unit 101, a camera 102, a pattern recognition unit 103, a content inquiry unit 104, and a playback control unit 105.

또한 N 스크린 서버(200)는 웹 서버(201), 회원 관리부(202), 패턴 생성부(203), 단말기 매칭부(204), 스트리밍부(205), 회원 DB(206), 컨텐츠 DB(207)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N screen server 200 includes a web server 201, a member manager 202, a pattern generator 203, a terminal matching unit 204, a streaming unit 205, a member DB 206, and a content DB 207. ) May be included.

웹 단말기(300)는 웹 클라이언트(301), 디스플레이(302), 컨텐츠 재생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The web terminal 300 may include a web client 301, a display 302, and a content playback unit 303.

구체적으로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시스템(10)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system 10 may operate as follows.

먼저 모바일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N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가 제작하여 배포하는 앱(app) 형태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상태이거나,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웹 브라우저와 함께 동작하는 소정의 플러그인, 동적 라이브러리(Active-X), 스크립트 등을 구동한 상태이다. First, the mobile terminal 100 is driven by a user's operation, preferably in the state of driving a dedicated application in the form of an app (app) produced and distributed by a service provider in order to provide an N screen service, or in some embodiments, the web. It has run certain plug-ins, dynamic libraries (Active-X), scripts, etc. that work with the browser.

사용자는 N 스크린 서비스의 회원이거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게스트이고, 전용 앱 또는 웹 브라우저가 실행된 모바일 단말기(100)의 로그인부(101)에서 로그인하여 네트워크(400)를 통해 N 스크린 서버(200)에 접속되어 있다.The user is a member of the N screen service or a guest who can use at least some functions, and logs in at the login unit 101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which a dedicated app or a web browser is executed, and the N screen server ( 200).

웹 단말기(300)에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고 웹 클라이언트(301)가 실행되어 있다.The web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the network 400 and the web client 301 is executed.

단계(S21)에서, 웹 단말기(30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웹 클라이언트(301)에서 URL 주소 입력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N 스크린 서비스 제공자의 웹 서버, 즉 N 스크린 서버(200)의 웹 서버(201)에 접속한다.In step S21, the web terminal 300 is a web server of the N screen service provider, that is, a web server of the N screen server 200 in a conventional manner such as inputting a URL address in the web client 301 by a user's operation. 201 is connected.

단계(S22)에서, N 스크린 서버(200)의 웹 서버(201)는 웹 단말기(300)의 웹 클라이언트(301)로부터 접속이 있을 경우에, 웹 단말기(300)의 사용 인증을 위한 식별 키에 상응하는 고유 시각적 패턴을 포함하여 동적으로 생성된 웹 페이지를 웹 단말기(300)에 제공한다.In step S22, when there is a connection from the web client 301 of the web terminal 300, the web server 201 of the N screen server 200 is assigned to an identification key for use authentication of the web terminal 300. FIG. Provide the web terminal 300 with the dynamically generated web page including the corresponding unique visual pattern.

구체적으로, 웹 단말기(300)의 웹 클라이언트(301)의 접속 시도에 대응하여 N 스크린 서버(200)의 웹 서버(201)가 패턴 생성부(203)에 웹 단말기(300)의 사용 인증을 위한 고유한 시각적 패턴의 생성을 요청한다.Specifically, in response to an attempted connection of the web client 301 of the web terminal 300, the web server 201 of the N screen server 200 may use the pattern generator 203 to authenticate the use of the web terminal 300. Request the creation of a unique visual pattern.

식별 키와 고유한 시각적 패턴은 소정의 제한된 시간 동안에 N 스크린 서버(200)에 접속하는 모든 웹 단말기(300)를 일시적으로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각 웹 단말기(300)마다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key and the unique visual pattern may be provided differently for each web terminal 300 so as to temporarily and uniquely identify all web terminals 300 accessing the N screen server 200 for a predetermined limited time. .

이를 위해 패턴 생성부(203)는 예를 들어 특정 시구간 동안에 웹 단말기(300)를 유일하게 식별시킬 수 있는 식별 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 키를 암호화하여 또는 암호화하지 않고 식별 키를 기초로 고유 시각적 패턴을 동적으로 생성한다. 고유 시각적 패턴은 바코드, QR 코드, 2차원 칼라 코드 등일 수 있다.To this end, the pattern generator 203 generates an identification key that can uniquely identify the web terminal 300 for a specific time period, for example, and encrypts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key based on the identification key with or without encryption. Dynamically generate unique visual patterns. The unique visual pattern may be a barcode, QR code, two dimensional color code, or the like.

웹 서버(201)는 생성된 고유 시각적 패턴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여 네트워크(400)를 통해 웹 단말기(300)의 웹 클라이언트(301)에 제공한다. The web server 201 dynamically generates a web page including the generated unique visual pattern and provides it to the web client 301 of the web terminal 300 through the network 400.

단계(S23)에서, 웹 단말기(300)가 고유 시각적 패턴을 포함한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302)에 표시한다.In step S23, the web terminal 300 displays the web page including the unique visual pattern on the display 302.

단계(S24)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100)의 카메라(102)를 활성화하면서 패턴 인식부(103)가 웹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302)에 표시된 고유 시각적 패턴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고유 시각적 패턴으로부터 식별 키를 복원하며, 식별 키와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네트워크(400)를 통해 N 스크린 서버(200)의 단말기 매칭부(204)에 전달한다.In step S24,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103 acquires an image of the unique visual pattern displayed on the display 302 of the web terminal 300 while activating the camera 102 of the mobile terminal 100 by a user's manipulation. The identification key is recovered from the acquired unique visual pattern, and the identification key and the user logi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matching unit 204 of the N screen server 200 through the network 400.

단계(S21) 내지 단계(S24)의 절차를 예시하기 위해 도 3을 잠시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방법에서 멀티미디어 기기의 접속 및 인증 절차를 예시한 개념도이다.Referring briefly to FIG. 3 to illustrate the procedures of steps S21 to S24,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and authentication procedure of a multimedia device in an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3에서, 고유 시각적 패턴은 예를 들어 QR 코드로서 생성된다.In FIG. 3, a unique visual pattern is generated, for example, as a QR code.

스마트폰인 모바일 단말기(100)에는 전용 앱(31)이 실행된 상태이며, 사용자가 로그인되어 있다. 스마트 TV인 웹 단말기(300)에는 웹 클라이언트(301)로서 웹 브라우저(32)가 실행되어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which is a smartphone, is in a state where a dedicated app 31 is executed and a user is logged in. In the web terminal 300 which is a smart TV, a web browser 32 is executed as a web client 301.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의 주소 창에 N 스크린 서버(200)의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주소를 입력하면, 웹 주소로부터 QR 코드(33)를 포함하여 동적으로 생성된 웹 페이지(34)가 수신되고, 웹 브라우저에는 QR 코드가 촬영 시에 QR 코드 내에 포함되는 정보의 왜곡나 누락이 없도록 적절한 크기로 디스플레이(302)에 표시된다.When a user enters a web address providing a web service of the N screen server 200 in an address window of a web browser, a dynamically generated web page 34 including a QR code 33 is received from the web address, In the web browser, the QR c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2 in an appropriate size so that there is no distortion or omission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사용자가 전용 앱의 패턴 인식부(103) 및 카메라(102)를 이용하여 웹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302)에 표시된 QR 코드를 촬영하면, 패턴 인식부(103)가 촬영된 QR 코드(35)로부터 식별 키를 복원한다.When the user photographs the QR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302 of the web terminal 300 by using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103 and the camera 102 of the dedicated app,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103 photographs the QR code 35 Restore the identification key.

다시 도 1 및 도 2로 돌아가서, 단계(S25)에서는, N 스크린 서버(200)의 단말기 매칭부(204)는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식별 키와 사용자 회원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로그인한 사용자가 현재 식별 키로 특정되는 웹 단말기(300)를 이용 중이라고 보고, 모바일 단말기(100)와 웹 단말기(300)를 서로 매칭한다.1 and 2, in step S25, the terminal matching unit 204 of the N screen server 200 i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key and the user memb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obile terminal ( In step 100, the logged-in user sees that the web terminal 300 specified by the identification key is in use, and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eb terminal 300 match each other.

모바일 단말기(100)와 웹 단말기(300)가 매칭되면, 단계(S26)에서, 모바일 단말기(100)의 컨텐츠 조회부(104)는 사용자 회원이 보유하고 있거나 재생 이력이 있거나 사용자가 검색한 컨텐츠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회원 DB(206) 및 컨텐츠 DB(207)로부터 검색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에 표시한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eb terminal 300 is matched, in step S26, the content inquiry unit 104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held by the user member, have a playing history, or the content searched by the user, etc. The list of contents including the list is searched for from the member DB 206 and the content DB 207 and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이어서 단계(S27)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0)의 재생 제어부(105)가 컨텐츠의 선택과 재생에 관련된 동작 명령 정보를 N 스크린 서버(200)의 스트리밍부(205)로 전송한다.Subsequently, in step S27, the playback control unit 105 of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operation comm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ion and playback of content to the streaming unit 205 of the N screen server 20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

단계(S28)에서, N 스크린 서버(200)의 스트리밍부(205)는 동작 명령에 따라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표시할 수 있는 스트리밍 재생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스트리밍 재생 웹 페이지가 웹 단말기(300)의 웹 클라이언트(301)에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0)에 입력한 제어 조작에 따라 웹 단말기(300)에서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한다. 웹 클라이언트(301)는 예를 들어 코덱을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부(303)의 도움을 받아 컨텐츠 스트리밍을 디코딩할 수 있다.In step S28, the streaming unit 205 of the N screen server 200 dynamically generates a streaming playback web page capable of displaying streaming content according to an operation command, and the generated streaming playback web page is a web terminal. By being displayed on the web client 301 of 300, the content is reproduced on the web terminal 300 according to a control operation input by the us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web client 301 may decode the content streaming with the help of the content reproducing unit 303 including the codec.

단계(S29)에서, N 스크린 서버(200)의 회원 관리부(202)는 컨텐츠 재생에 관한 정보를 추적하여 회원 DB(206)에 저장한다.In step S29, the member manager 202 of the N screen server 200 keeps track of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playback and stores it in the member DB 206.

단계(S25) 내지 단계(S29)의 절차를 예시하기 위해 도 4을 잠시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방법에서 멀티미디어 기기의 원격 제어 절차를 예시한 개념도이다.Referring briefly to FIG. 4 to illustrate the procedures of steps S25 to S29,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procedure of a multimedia device in an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4에서, 모바일 단말기(100)에는 컨텐츠 리스트(41)와 재생 인터페이스(42)가 각각 표시된다. 사용자가 컨텐츠 리스트(41) 중에서 원하는 컨텐츠(43)를 선택하고 재생 인터페이스(42)에서 재생 명령 등을 입력하면, 해당하는 컨텐츠(43)의 재생 화면(44)이 디스플레이(302)에 표시되기 시작한다. 이전에 시청한 이력이 있는 컨텐츠라면 시청이 중단된 시점부터 재생될 수 있다.In FIG. 4,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content list 41 and a playback interface 42, respectively. 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content 43 from the content list 41 and inputs a playback command or the like in the playback interface 42, the playback screen 44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43 start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302. do. If the content has a previously viewed history, the content can be played from the point where the viewing is stopped.

이러한 N 스크린 서비스 Such N Screen Servi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of the equivalent or equivalent vari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Further,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n optical disk,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 hard disk, a nonvolatile memory, and the like, and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10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시스템
100 모바일 단말기 101 로그인부
102 카메라 102 패턴 인식부
104 컨텐츠 조회부 105 재생 제어부
200 N 스크린 서버 201 웹 서버
202 회원 관리부 203 패턴 생성부
204 단말기 매칭부 205 스트리밍부
206 회원 DB 207 컨텐츠 DB
300 웹 단말기 301 웹 클라이언트
302 디스플레이 303 컨텐츠 재생부
10 N screen service interlock system
100 Mobile Terminal 101 Login
102 Camera 102 Pattern Recognition Unit
104 Content inquiry section 105 Playback control section
200 N Screen Server 201 Web Servers
202 Membership Manager 203 Pattern Generator
204 Terminal Matching Unit 205 Streaming Unit
206 Members DB 207 Contents DB
300 Web Terminal 301 Web Client
302 Display 303 Content Playback

Claims (11)

N 스크린 서버에 접속한 웹 클라이언트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 키에 기초하여 상기 N 스크린 서버에서 생성된 고유 시각적 패턴이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표시되면,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고유 시각적 패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획득된 고유 시각적 패턴에서 복원된 식별 키와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상기 N 스크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N 스크린 서버로부터 사용자를 위한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정보와 재생 명령 정보를 상기 N 스크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방법.
If a unique visual pattern generated at the N screen server is displayed on the web client based on an identification key uniquely identifying a web client accessing an N screen server, the mobile terminal obtaining an image of the unique visual pattern;
Transmitting, by the mobile terminal, the identification key restored from the obtained unique visual pattern and logi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N screen server; And
Receiving, by the mobile terminal, a content list for the user from the N screen server, and transmitting content information and playback command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to the N screen ser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시각적 패턴은 1차원 바코드, 2차원 QR 코드 또는 컬러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ique visual pattern is at least one of a one-dimensional barcode, two-dimensional QR code or color code. N 스크린 서버가, 접속한 웹 클라이언트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 키에 기초한 고유 시각적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고유 시각적 패턴을 포함하는 동적 페이지를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고유 시각적 패턴으로부터 복원된 식별 키와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N 스크린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웹 클라이언트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N 스크린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 정보와 상기 컨텐츠에 관한 재생 명령 정보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N 스크린 서버가 수신된 컨텐츠 정보 및 재생 명령 정보에 따라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방법.
Generating, by an N screen server, a unique visual pattern based on an identification key that uniquely identifies a connected web client, and providing the web client with a dynamic page including the generated unique visual pattern;
When the identification key restored from the unique visual pattern and the user's login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N screen server match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eb client;
Providing, by the N screen server, a content list to the mobile terminal; And
If the content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content list and the play comm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content ar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N screen server streaming the content to the web client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and the play command information;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metho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N 스크린 서버가 접속한 웹 클라이언트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 키에 기초한 고유 시각적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고유 시각적 패턴을 포함하는 동적 페이지를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웹 클라이언트의 접속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N 스크린 서버가 상기 웹 클라이언트를 유일하게 식별시킬 수 있는 식별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식별 키를 기초로 하여 고유 시각적 패턴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고유 시각적 패턴을 포함하는 동적 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generating a unique visual pattern based on an identification key uniquely identifying a web client to which the N screen server has connected, and providing the web client with a dynamic page including the generated unique visual pattern,
Generating an identification key that allows the N screen server to uniquely identify the web client in response to a connection attempt of the web client;
Dynamically generating a unique visual pattern based on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key; And
Generating a dynamic page including the generated unique visual pattern and providing the generated dynamic page to the web clien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시각적 패턴은 1차원 바코드, 2차원 QR 코드 또는 컬러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nique visual pattern is at least one of a one-dimensional barcode, a two-dimensional QR code, and a color code. 컴퓨터에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Claims 1 to 5 in the computer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N 스크린 서버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시스템에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N 스크린 서버에 접속한 웹 클라이언트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 키에 기초하여 상기 N 스크린 서버에서 생성된 고유 시각적 패턴이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표시되면, 카메라를 구동하여 상기 고유 시각적 패턴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고유 시각적 패턴에서 복원된 식별 키와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상기 N 스크린 서버에 전송하는 패턴 인식부;
상기 N 스크린 서버로부터 사용자를 위한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하는 컨텐츠 조회부; 및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정보와 재생 명령 정보를 상기 N 스크린 서버로 전송하는 재생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In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system including an N screen server,
When a unique visual pattern generated at the N screen server is displayed on the web client based on an identification key uniquely identifying a web client accessing the N screen server, the camera is driven to acquire an image of the unique visual pattern. A pattern recognizing unit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key restored from the obtained unique visual pattern and the user's login information to the N screen server;
A content inquiry unit for receiving a content list for a user from the N screen server; And
And a playback controller for transmitting content information and playback comm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to the N screen serv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시각적 패턴은 1차원 바코드, 2차원 QR 코드 또는 컬러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of claim 7, wherein the unique visual pattern is at least one of a one-dimensional barcode, a two-dimensional QR code, or a color code. 모바일 단말기와 웹 클라이언트가 접속되는 N 스크린 서비스 연동 시스템의 N 스크린 서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 키에 기초한 고유 시각적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고유 시각적 패턴을 포함하는 동적 페이지를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패턴 생성부;
상기 고유 시각적 패턴으로부터 복원된 식별 키와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웹 클라이언트를 매칭하는 단말기 매칭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 정보와 상기 컨텐츠에 관한 재생 명령 정보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 정보 및 재생 명령 정보에 따라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스트리밍부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버 장치.
In the N screen server device of the N screen service interworking system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eb client are connected,
A pattern generator which generates a unique visual pattern based on an identification key uniquely identifying the web client, and provides the web client with a dynamic page including the generated unique visual pattern;
A terminal matching unit match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eb client when the identification key restored from the unique visual pattern and the user's login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a content list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content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content list and playback comm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content ar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content is streamed to the web client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and playback command information. N screen server device including a streaming uni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패턴 생성부는
상기 웹 클라이언트의 접속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웹 클라이언트를 유일하게 식별시킬 수 있는 식별 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식별 키를 기초로 하여 고유 시각적 패턴을 동적으로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고유 시각적 패턴을 포함하는 동적 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 스크린 서버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attern generation unit
Generate an identification key uniquely identifying the web client in response to a connection attempt of the web client, dynamically generate a unique visual pattern based on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key, and generate the generated unique visual pattern N screen serv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rable to generate a dynamic page to include and provide to the web clien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시각적 패턴은 1차원 바코드, 2차원 QR 코드 또는 컬러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 스크린 서버 장치.The N screen server apparatus as set forth in claim 9, wherein the unique visual pattern is at least one of a one-dimensional barcode, a two-dimensional QR code, and a color code.
KR1020120039977A 2012-04-17 2012-04-1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screen service linkage KR2013011714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977A KR20130117147A (en) 2012-04-17 2012-04-1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screen service lin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977A KR20130117147A (en) 2012-04-17 2012-04-1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screen service link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147A true KR20130117147A (en) 2013-10-25

Family

ID=4963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977A KR20130117147A (en) 2012-04-17 2012-04-1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screen service link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714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687A (en) * 2014-01-28 2015-08-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Web-based Screen Sharing and Cont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687A (en) * 2014-01-28 2015-08-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Web-based Screen Sharing and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42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 public device to a private device with pre- installed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s
KR1019932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device and contents using QR code
US9055313B2 (en) Device activation using encoded representation
US20180348721A1 (en) Automati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guration
US9875480B2 (en) System, method, and infrastructure for real-time live streaming content
US111533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 public device to a private device using mirroring applications
US9674181B2 (en) Surveillance camera renting service
US20150100463A1 (en) Collaborative home retailing system
US10946586B2 (en) Framework for entertainment device communication of embeddable printable objects to printing devices
US111533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 public device to a private device without pre-installed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s
US106306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 public device to a private device providing a pre-installed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JP5896222B2 (en) Terminal device, relay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content identification system
KR20200109889A (en) Computer programs for online content services
KR2013011714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screen service linkage
KR101517000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tching a terminal and an external equipment by using a NFC tagging
US201901018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tertainment Printables
CN113347501B (en) Video playing method and device
KR100950074B1 (en) Universal memory device and broadcasting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device
KR20200109893A (en) Coputer progam
KR20200109896A (en) Recording medium
KR20200109878A (en) Online content service system
KR20200109892A (en) Computer programs recording medium for online content services
JP2014063321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account creation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