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061A -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061A
KR20130115061A KR1020120057710A KR20120057710A KR20130115061A KR 20130115061 A KR20130115061 A KR 20130115061A KR 1020120057710 A KR1020120057710 A KR 1020120057710A KR 20120057710 A KR20120057710 A KR 20120057710A KR 20130115061 A KR20130115061 A KR 20130115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digital content
scrolling
speed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석
Original Assignee
안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석 filed Critical 안재석
Priority to PCT/KR2013/00297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54341A1/ko
Priority to US14/391,385 priority patent/US20150089369A1/en
Publication of KR20130115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에서의 스크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화면에서 터치 포인트를 원형 궤적을 그리며 드래그하면 드래그 방향과 원형 궤적의 크기에 따라 각각 스크롤 방향과 스크롤 속도가 결정되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의 작은 화면 크기에도 불구하고 재생 시간이 긴 멀티미디어 파일이나 항목 개수가 많은 목록을 처리할 때에도 정밀하고 직관적인 스크롤 제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Method for scrolling digital content in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단말들의 사양이 고급화되면서 모바일 단말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트는 그 용량이나 포맷의 제약에서 점점 자유로워지고 있다. 모바일 단말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트의 용량이 점점 늘어나는 반면, 모바일 단말은 휴대성을 내포해야 하므로 제공할 수 있는 화면 크기에 한계가 있다. 화면 크기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에서는 고용량의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예를 들면 동영상을 재생하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으로 탐색하는 경우, 많은 내용을 포함하는 텍스트 파일을 보다가 원하는 부분으로 이동하는 경우, 많은 수의 연락처를 브라우즈하는 경우 등 디지털 컨텐트를 작은 화면을 통해 스크롤해야 하는 경우 기존 기술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하면 직선 모양의 단일 스크롤 바를 이용하기 때문에 정밀한 스크롤 제어가 어렵고 스크롤 방법도 직관적이지 않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에서는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에서 동영상이나 음악 등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할 때는 도 1a와 같이 스크롤 바(100)가 화면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스크롤 바 상에 표시된 버튼(101)을 좌우로 드래그하여 원하는 부분을 탐색한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의 특성상 화면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롤 바(100)의 길이도 제한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동영상이나 음악의 전체 재생 시간이 길수록 정밀한 제어가 어려워진다. 특히,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간이나 남은 시간 등 부가적인 정보를 표시해야 하는 공간도 필요하기 때문에 스크롤 바에 할당할 수 있는 공간이 더욱 제한된다. 나아가, 향후 멀티미디어 압축 기술, 메모리 제조 기술, 통신 기술 등 모바일 관련 기술이 발달할수록 모바일 단말에서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시간은 점점 늘어날 것인데, 이에 반해 모바일 단말의 화면 크기는 휴대 편의성을 고려할 때 일정 크기 이상 늘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결국 직선 모양의 단일 스크롤 바의 길이 역시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도 1b는 복수 개의 항목들(items)을 스크롤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의 항목들은 연락처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일반적인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많은 연락처들을 브라우즈하기 위해서는 화면을 터치한 후, 터치 포인트(102)를 상하 또는 좌우로 계속 플릭(flick)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는, 사용자가 스크롤 바 상의 화살표(103)를 터치하거나 스크롤 바의 버튼(104)을 상하 또는 좌우로 드래그해야 하는데, 연락처의 개수가 많을수록 브라우즈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또한 정밀한 스크롤 제어가 어렵다.
따라서, 제한적인 크기의 화면을 가지는 모바일 단말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재생 시간이 긴 멀티미디어 파일을 탐색하거나 항목 개수가 많은 목록들을 브라우즈할 때 효율적이고 정밀하게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에서 제한적인 화면 크기에도 불구하고 직관적이고도 정밀하게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원형 궤적을 그리며 드래그(drag)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방향이 시계 방향인지 반시계 방향인지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스크롤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원형 궤적의 크기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스크롤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스크롤 방향 및 스크롤 속도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스크롤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롤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방향이 시계 방향이면 스크롤 방향이 정방향이고, 상기 드래그 방향이 반시계 방향이면 스크롤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롤 방법은 서로 다른 스크롤 속도에 매핑된 원형 궤적들의 기준 선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원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지털 컨텐트는 하나의 동영상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이며, 상기 스크롤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동영상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재생 위치를 저속 또는 고속으로 탐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지털 컨텐트는 복수 개의 독립된 항목들(items)을 포함하는 목록이며, 상기 스크롤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항목들을 브라우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스크롤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수신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원형 궤적을 그리며 드래그(drag)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방향이 시계 방향인지 반시계 방향인지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스크롤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원형 궤적의 크기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스크롤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스크롤 방향 및 스크롤 속도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스크롤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의 작은 화면 크기에 비해 재생 시간이 긴 멀티미디어 파일이나 항목 개수가 많은 목록을 스크롤할 때에도 정밀하고 직관적인 스크롤 제어가 가능하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모바일 단말에서의 스크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 디지털 컨텐트는 모바일 단말에서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스크롤 가능한 모든 디지털 데이터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예를 들면 오디오 파일이나 비디오 파일, 텍스트 파일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항목들, 예를 들면 연락처들, 파일 이름들, 아이콘들의 목록일 수도 있다.
단계 210에서, 모바일 단말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원형 궤적을 그리며 드래그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된다. 사용자의 터치 포인트가 정확한 원을 그리지 않더라도 모바일 단말이 원형 궤적으로 인식하도록 적절한 오차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모바일 단말은 드래그 방향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원형 궤적을 그리는 드래그 방향이 시계 방향이면 스크롤 방향이 정방향이고 반시계 방향이면 스크롤 방향이 역방향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동영상이나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 정방향은 빨리 감기(Fast Forward) 방향을 의미하고, 역방향은 되감기(Rewind) 방향을 의미한다.
텍스트 문서나 항목들의 목록을 브라우즈 하는 경우, 정방향이면 아래쪽으로 스크롤되고 역방향이면 위쪽으로 스크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230에서, 원형 궤적의 크기에 따라 스크롤 속도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직관적인 제어를 위해 원형 궤적의 크기가 클수록, 즉 곡률이 작을수록 빠른 스크롤 속도가 적용되고 원형 궤적의 크기가 작을수록, 즉 곡률이 클수록 빠른 스크롤 속도가 적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물론, 반대의 경우로 구현할 수도 있다.
스크롤 속도가 다르다는 것은 터치 포인트가 이동한 원형 궤적 상의 거리가 동일하더라도 그에 따라 스크롤되는 구간의 범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터치 포인트가 크기가 서로 다른 두 원형 궤적을 각각 한 바퀴씩 그리는 경우, 큰 원형 궤적을 한 바퀴 그리는 동안 스크롤되는 구간은 작은 원형 궤적을 한 바퀴 그리는 동안 스크롤되는 구간의 2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큰 원형 궤적의 스크롤 속도가 작은 원형 궤적보다 더 빠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작은 원형 궤적을 그려서 보다 정밀하게 스크롤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큰 원형 궤적과 작은 원형 궤적을 한 바퀴 그리는 동안 스크롤되는 구간의 범위는 두 원형 궤적들 모두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포인트가 이동한 원형 궤적 상의 호에 대한 중심각은 두 원형 궤적들 모두에 대해 동일하지만 호의 길이는 다르기 때문에 스크롤 속도가 달라진다. 즉, 동일한 구간을 스크롤하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호의 길이는 큰 원형 궤적의 경우가 더 길기 때문에 작은 원형 궤적의 스크롤 속도가 더 빠르다고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큰 원형 궤적을 이용하여 보다 정밀하게 스크롤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원형 궤적의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은 특정한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드래그에 의한 궤적에 대해 곡률의 근사값을 계산하여 원형 궤적의 크기를 결정할 수도 있고, 화면에 서로 다른 크기의 반지름을 가지는 원형 기준 선들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터치 포인트가 어느 기준 선을 따라 드래그되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한 원형 궤적의 크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220과 단계 230은 순서가 바뀌어 수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240에서, 모바일 단말은 단계 230에서 결정된 스크롤 방향 및 스크롤 속도에 따라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스크롤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점선은 사용자의 터치 포인트가 드래그되면서 그린 궤적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다양한 크기의 원형 궤적을 따라 터치 포인트를 드래그할 수 있으며, 원형 궤적의 크기에 따라 스크롤 속도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원형 궤적이 클수록 빠른 스크롤 속도가 적용되도록 구현할 경우, 스크롤 속도는 ①, ②, ③ 순서로 빨라진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반드시 터치 스크린의 특정 영역에서 터치 포인트를 드래그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원형 궤적 ④를 따라 터치 포인트를 드래그할 수도 있으며, 스크롤 방향과 스크롤 속도는 단지 각각 드래그 방향과 원형 궤적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이 수행되는 동안 모바일 단말에는 현재의 스크롤 속도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SPR(Seconds Per Rotation), 즉 원형 궤적 한 바퀴 당 탐색 속도 또는 IPR(Items Per Rotation), 즉 원형 궤적 한 바퀴 당 항목 개수를 나타내는 형식(310)으로 스크롤 속도가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현 방식에 따라 SPR이나 IPR이 모든 원형 궤적들에 대해 동일하더라도 원형 궤적의 크기에 따라 스크롤 속도는 차이가 날 수 있다. 서로 크기가 다른 두 원형 궤적들을 예로 들면, 큰 원형 궤적의 경우 작은 원형 궤적보다 원주의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두 원형 궤적들의 SPR이나 IPR이 동일하더라도 터치 포인트가 동일한 중심각에 대한 호를 따라 이동하였을 때 큰 원형 궤적의 스크롤 속도가 더 느리기 때문에 사용자는 큰 원형 궤적을 이용하여 더욱 정밀하게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대적인 스크롤 속도의 배율을 나타내는 형식(320)으로 스크롤 속도가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터치 포인트가 원형 궤적 ①을 한 바퀴 도는 경우 스크롤되는 구간과 동일한 구간을 스크롤하기 위해 원형 궤적 ②를 두 바퀴 돌거나 원형 궤적 ③을 네 바퀴를 돌아야 하는 것으로 설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터치 포인트가 원형 궤적 ①을 따라 드래그되는 동안 스크롤 속도는 가장 작은 원형 궤적 ③을 기준 속도로 하여 X4로 표시되고, 원형 궤적 ②를 따라 드래그되는 동안 스크롤 속도는 X2로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화면에 원형 궤적들의 기준 선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원들이 표시된다. 즉, 사용자는 적절한 오차 범위 내에서 이 원형 기준 선들을 따라 드래그하는 경우 해당 기준 선에 매핑된 스크롤 속도로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으며, 원형 기준 선들은 각각 서로 다른 스크롤 속도에 매핑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 종류의 기준 선들(①, ②, ③)을 도시하였으나 기준 선들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기준 선 ①이 8배속, 기준 선 ②가 4배속, 기준 선 ③이 1배속의 스크롤 속도에 매핑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에는 기준 선들이 모두 동심원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구현 예에 따라 기준 선들의 위치는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포인트는 P0, P1, P2, P3의 순서로 점선 궤적을 따라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 포인트가 원형 기준 선들 사이 영역에서 이동하는 경우에는 스크롤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두 기준 선들 사이에서 터치 포인트가 이동하는 경우 바깥쪽 기준 선에 의한 스크롤 속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터치 포인트가 P0에서 P1로 이동하는 동안 스크롤 방향은 정방향이고 스크롤 속도는 1배속이다. 터치 포인트가 P1에서 P2로 이동하는 동안 궤적은 기준 선들을 따라 움직이는 원형 궤적이 아니므로 스크롤은 수행되지 않는다. 터치 포인트가 P2에서 P3로 이동하는 동안 스크롤 방향은 역방향이고 스크롤 속도는 8배속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2 실시예와 같이 화면에 원형 기준 선들이 표시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준 선들을 2개만 예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기준 선들 사이의 영역에서도 터치 포인트와 두 기준 선들 간의 거리에 따라 스크롤 속도가 달라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포인트에서 가까운 기준 선에 의한 스크롤 속도가 적용되도록 한다. 또한, 기준 선 ①은 8배속, 기준 선 ②가 4배속 스크롤 속도에 매핑된 것으로 가정한다.
터치 포인트는 P0, P1, P2, P3, P4의 순서로 점선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며 P1, P1는 터치 포인트의 위치로부터 기준 선 ①, ②까지의 거리가 동일한 지점이다.
터치 포인트가 P0에서 P1로 이동하는 동안 스크롤 방향은 역방향이며, 터치 포인트의 위치가 기준 선 ②보다는 기준 선 ①에 가까우므로 스크롤 속도는 8배속이다. 터치 포인트가 P1에서 P2로 이동하는 동안 스크롤 방향은 역방향이며, 터치 포인트의 위치가 기준 선 ①보다는 기준 선 ②에 가까우므로 스크롤 속도는 4배속이다. 터치 포인트가 P2에서 P3으로 이동하는 동안 스크롤 방향은 역방향이며, 터치 포인트의 위치가 기준 선 ②보다는 기준 선 ①에 가까우므로 스크롤 속도는 8배속이다. 터치 포인트가 P3에서 P4으로 이동하는 동안 스크롤 방향은 정방향이며, 터치 포인트의 위치는 여전히 기준 선 ②보다는 기준 선 ①에 가까우므로 스크롤 속도는 8배속으로 유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 통신부(601)는 3G/4G와 같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기지국과의 호 설정, 데이터 통신 등을 수행한다. 서브 통신부(60)는 블루투스나 NFC 등 근거리 통신을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방송부(603)는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카메라부(604)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렌즈 및 광학 소자들을 포함한다. 도 6에는 두 개의 카메라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카메라가 포함될 수도 있도 있고 세 개 이상의 카메라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센서부(605)는 모바일 단말(6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중력 센서, 빛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사람의 근접도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GPS 수신부(606)는 인공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입출력부(610)은 외부 기기나 사람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버튼, 마이크, 스피커, 진동 모터, 커넥터, 키패드 등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618)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여기서의 터치 입력은 드래그, 플릭, 탭 등 다양한 제스쳐에 의해 감지된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617)는 터치 스크린(618)을 통해 입력된 터치 입력을 제어부(650)에 전달한다. 전원 공급부(619)는 모바일 단말(60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 소스와 연결된다.
제어부(650)는 메모리(66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유닛들을 제어하고, 모바일 단말(600)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메모리(66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동 통신 모듈(661), Wi-Fi 모듈(662), 블루투스 모듈(663), DMB 모듈(662), 카메라 모듈(665), 센서 모듈(666), GPS 모듈(667), 스크롤 제어 모듈(668), 동영상 재생 모듈(669), 오디오 재생 모듈(67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각 모듈들은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모듈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을 것이므로 여기서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방법을 실행하는 스크롤 제어 모듈(668)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화면이나 복수의 항목들을 브라우즈하는 화면에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418)을 통해 터치 포인트를 원형 궤적을 따라 드래그시키면 제어부(650)는 스크롤 제어 모듈(1468)을 실행함으로써 스크롤 방향과 스크롤 속도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해당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스크롤을 수행한다. 사용자의 직관적인 스크롤 제어를 위해, 드래그 방향이 시계 방향이면 정방향, 반시계 방향이면 역방향으로 스크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디지털 컨텐트는 하나의 동영상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이 될 수 있으며, 스크롤을 수행함으로써 재생중인 파일 내에서 저속 또는 고속으로 탐색이 수행된다. 또는, 디지털 컨텐트가 복수 개의 독립된 항목들을 포함하는 목록인 경우 스크롤을 수행함으로써 복수 개의 항목들이 브라우즈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원형 궤적을 그리며 드래그(drag)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방향이 시계 방향인지 반시계 방향인지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스크롤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원형 궤적의 크기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스크롤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스크롤 방향 및 스크롤 속도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스크롤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드래그 방향이 시계 방향이면 스크롤 방향이 정방향이고, 상기 드래그 방향이 반시계 방향이면 스크롤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스크롤 속도에 매핑된 원형 궤적들의 기준 선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원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트는 하나의 동영상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이며, 상기 스크롤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동영상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재생 위치를 저속 또는 고속으로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트는 복수 개의 독립된 항목들(items)을 포함하는 목록이며, 상기 스크롤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항목들을 브라우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수신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원형 궤적을 그리며 드래그(drag)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방향이 시계 방향인지 반시계 방향인지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스크롤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원형 궤적의 크기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스크롤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스크롤 방향 및 스크롤 속도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스크롤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방향이 시계 방향이면 정방향이고, 상기 드래그 방향이 반시계 방향이면 역방향이 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서로 다른 스크롤 속도에 매핑된 원형 궤적들의 기준 선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원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트는 하나의 동영상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이며, 상기 스크롤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동영상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재생 위치를 저속 또는 고속으로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트는 복수 개의 독립된 항목들(items)을 포함하는 목록이며, 상기 스크롤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항목들을 브라우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20057710A 2012-04-10 2012-05-30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KR20130115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2977 WO2013154341A1 (ko) 2012-04-10 2013-04-09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US14/391,385 US20150089369A1 (en) 2012-04-10 2013-04-09 Method for scrolling through digital content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device for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106 2012-04-10
KR20120037106 2012-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061A true KR20130115061A (ko) 2013-10-21

Family

ID=49634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710A KR20130115061A (ko) 2012-04-10 2012-05-30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89369A1 (ko)
KR (1) KR201301150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2670A (en) * 2014-01-31 2015-08-05 Sony Corp Computing device
KR20190128379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우리은행 가속형 조그셔틀 기반 목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10747388B2 (en) 2016-03-14 2020-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149465B1 (ko) * 2019-03-22 2020-08-3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1907B2 (en) 2007-05-24 2010-07-06 Smiths Medical Asd, Inc. Expert system for insulin pump therapy
AU350149S (en) * 2013-01-09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357606B2 (en) 2013-03-13 2019-07-23 Tandem Diabetes C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on of insulin pumps and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JP6317343B2 (ja) * 2013-06-19 2018-04-2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D756357S1 (en) 2014-09-02 2016-05-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A161248S (en) 2014-09-02 2016-04-18 Apple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372319B2 (en) * 2014-11-13 2019-08-06 Here Global B.V.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nabling scrubbing of a media file
USD765700S1 (en) 2015-06-07 2016-09-06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70011583A (ko) * 2015-07-23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탐색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983688B2 (en) * 2016-06-12 2021-04-20 Apple Inc. Content scrubber bar with real-world time indications
JP6591941B2 (ja) * 2016-07-21 2019-10-1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容易に軸移動量の倍率設定が可能な手動ハンドル送り機能を備えた数値制御装置
USD916862S1 (en) * 2018-05-10 2021-04-20 Wells Fargo Bank, N.A.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079919B1 (en) 2018-05-10 2021-08-03 Wells Fargo Bank, N.A. Personal computing devices with improved graphical user interfaces
USD875765S1 (en) 2018-08-10 2020-02-18 Tandem Diabetes Car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75766S1 (en) 2018-08-10 2020-02-18 Tandem Diabetes Car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64217S1 (en) 2018-08-20 2019-10-22 Tandem Diabetes Car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80496S1 (en) * 2018-08-20 2020-04-07 Tandem Diabetes Car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64219S1 (en) 2018-08-20 2019-10-22 Tandem Diabetes Car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82622S1 (en) 2018-08-22 2020-04-28 Tandem Diabetes Car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75767S1 (en) 2018-08-23 2020-02-18 Tandem Diabetes Car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0695S1 (en) 2019-04-22 2021-09-14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2697S1 (en) 2019-04-22 2021-03-09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2693S1 (en) 2019-04-22 2021-03-09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3313S1 (en) 2019-04-22 2021-03-16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4058S1 (en) 2019-04-22 2021-03-23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3314S1 (en) 2019-04-22 2021-03-16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4051S1 (en) 2019-04-22 2021-03-23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4049S1 (en) 2019-04-22 2021-03-23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817142B1 (en) 2019-05-20 2020-10-27 Facebook, Inc. Macro-navigation within a digital story framework
US10757054B1 (en) 2019-05-29 2020-08-25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privacy controls
US11388132B1 (en) 2019-05-29 2022-07-12 Meta Platforms, Inc. Automated social media replies
USD907053S1 (en) 2019-05-31 2021-01-0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4739S1 (en) * 2019-06-05 2021-03-30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4705S1 (en) 2019-06-05 2021-03-30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2700S1 (en) 2019-06-05 2021-03-09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24255S1 (en) 2019-06-05 2021-07-06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7533S1 (en) 2019-06-06 2021-04-27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8264S1 (en) 2019-06-06 2021-05-04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6915S1 (en) 2019-06-06 2021-04-20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4757S1 (en) 2019-06-06 2021-03-30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1306S1 (en) 2020-01-20 2021-09-21 Tandem Diabetes Car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92582S1 (en) * 2021-03-29 2023-07-18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9501A (zh) * 2009-02-23 2012-03-07 胜利电子株式会社 触摸屏控制方法及触摸屏装置
US8760417B2 (en) * 2010-10-15 2014-06-24 Sap Ag Touch-enabled circle control for time and date entr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2670A (en) * 2014-01-31 2015-08-05 Sony Corp Computing device
US10747388B2 (en) 2016-03-14 2020-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90128379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우리은행 가속형 조그셔틀 기반 목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2149465B1 (ko) * 2019-03-22 2020-08-3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89369A1 (en) 2015-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5061A (ko)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US11681430B2 (en) Electronic device using auxiliary inpu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0016706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013368B1 (en) Foldable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9020500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995278B1 (ko) 터치 디바이스의 ui 표시방법 및 장치
EP2450781B1 (en) Mobile terminal and screen change control method based on input signals for the same
US90814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275132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nd recor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performing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102107469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EP2733628A2 (en) Screen display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CN103391469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20140365950A1 (en)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method in portable terminal
KR20140091633A (ko) 모바일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에 따른 추천 항목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
KR20140111088A (ko) 문지르기 제스처를 검출하여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6535B1 (ko)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10040352A (ko) 리스트 스크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디바이스
TWI559759B (zh) 進度指示列的顯示方法和相關裝置
KR101251761B1 (ko)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KR20150006235A (ko) 결합된 ui 구성 요소를 제공하는 휴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3154341A1 (ko)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KR20170028195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7027948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radio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98175B1 (ko) 모바일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수신되는 키 패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081550A (ko) 페이지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