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264A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264A
KR20130113264A KR1020120035706A KR20120035706A KR20130113264A KR 20130113264 A KR20130113264 A KR 20130113264A KR 1020120035706 A KR1020120035706 A KR 1020120035706A KR 20120035706 A KR20120035706 A KR 20120035706A KR 20130113264 A KR20130113264 A KR 20130113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mobile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병기
김홍식
이지용
Original Assignee
홍병기
김홍식
이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병기, 김홍식, 이지용 filed Critical 홍병기
Priority to KR1020120035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3264A/ko
Publication of KR20130113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20Software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자체적으로 등록한 이미지를 모바일 기기에서 인식하고 미리 설정해둔 이미지나, 영상물을 재생시키도록 해주는 기술인 AR 기술 위에 부가적인 효과, 예를 들어 사운드나 가상 렌더링된 이미지나 영상물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제작함으로써 사업목적에 최적화된 응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PPARATUS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SERVICE US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증강현실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생성한 3D 가상 공간과 상호 작용이 추가되는 분야로서, 가상 공간은 현실 세계를 바탕으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가상 공간을 인체의 오감(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을 통해 느낌으로써 몰입감을 갖게 된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가상 현실(VR)의 하나의 분야에서 파생된 기술로서, 현실 세계와 가상의 체험을 결합한 것을 의미한다. 즉,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을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가상 현실은 모든 환경을 컴퓨터를 통해 가상환경으로 제작하여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지만, 증강 현실은 현실 세계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가상의 물체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향상된 현실감을 줄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증강 현실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이 위치해 있는 실제 환경을 인식함과 동시에, 실제 영상 위에 표현된 가상의 정보도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증강 현실은 현실 영상과 가상의 그래픽을 접목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보다 현실감있고 정확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가상 객체들을 화면에서 원하는 자리에 정확히 위치시켜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가상 객체에 대한 3차원 좌표가 필요하며, 이 좌표는 카메라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값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문제는 카메라의 영상에서 현실 세계의 어떤 지점이나 물체에 대한 카메라의 3차원 좌표를 확보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2대 이상의 카메라가 필요하므로 3차원 위치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으로 증강 현실에서는 가상 객체를 위치시킬 마커(marker)를 현실 세계의 공간에 배치하고 상기 마커를 기준으로 상대적 좌표를 추출하여 가상 객체를 위치시킬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하는 마커 기반 인식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종래의 증강현실 기술에서는 복수의 마커에 대한 인식이 가능했으나 단순히 여러 개의 마커를 독립적으로 인식하는 것에 불과하고, 복수의 마커가 가상 객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호 작용 수단으로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가상 객체를 보다 풍부하게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해서 아래 3가지 타입의 비즈니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1. Normal AR
2. 음반사업용
3. 건설업 홍보용
기본적으로, AR기술을 이용해서 마커가 되는 이미지, 즉 인식할 이미지를 사업분야마다 다르게 적용하여 그에 맞는 가성영상을 렌더링하거나 이미지를 모바일 기기(아이패드, 갤럭시탭 등)에서 볼 수 있고, 그에 적합한 사운드 효과를 제공한다.
AR기술은 그 자체적으로 등록한 이미지를 모바일 기기에서 인식하고 미리 설정해둔 이미지나 영상물을 재생시키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 위에 부가적인 효과, 예를 들어 사운드나 가상 렌더링된 이미지나 영상물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제작함으로써 사업목적에 최적화된 응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록한 이미지를 모바일 기기에서 인식하고 미리 설정해둔 이미지나 영상물을 재생시키도록 하는 AR 기술 위에 부가적인 효과, 예를 들어 사운드나 가상 렌더링된 이미지나 영상물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제작함으로써 사업목적에 최적화된 응용 소프트웨어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AR 서비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AR 기술을 이용해서 마커가 되는 이미지, 즉 인식할 이미지를 각각 사업분야마다 다르게 적용해서 그에 맞는 가상영상을 렌더링하거나 이미지를 모바일 기기(아이패드, 갤럭시 탭 등)에서 볼 수 있고, 그에 적합한 사운드 효과를 제공한다.
AR 기술은 그 자체적으로 등록한 이미지를 모바일 기기에서 인식하고 미리 설정해둔 이미지나, 영상물을 재생시키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AR 기술 위에 부가적인 효과, 예를 들어 사운드나 가상 렌더링된 이미지나 영상물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제작함으로써 사업목적에 적합한 응용 소프트웨어를 만들고자 한다.
가령 순수 AR 기능을 이용하여 교육이나 컨텐츠에 관련된 분야에서 단순한 책자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해줌으로써 상품가치를 더욱 풍부하게해주는 컨텐츠 사업분야와, 상품을 판매하는데 있어 제공되는 홍보용 브로슈어 같은 책자에 멀티미디어 기능을 얹어 보다 다양한 설명과 그 상품이 가지는 품격을 올려 주는 홍보용 도구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서비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물은 이미지나 렌더링, 동영상 모두가 가능하고, 특히 이미지나 간단한 렌더링 영상이 절절히 선택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기본적인 영상물 이외에 동영상이나 사운드, 애니메이션과 같은 멀티미디어가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컨텐츠풀 서버가 별도로 구비되어 모바일 기기로 해당 영상을 제공해줄 때 스트리밍 서비스 등을 통해 서버로부터 요청 클라이언트로 영상 컨텐츠가 제공될 수도 있다.
특히, 인식된 이미지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제작하는 것은 상당한 난이도의 기술이 필요한 바,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부분에 기술 포인트를 가진다.
모바일 기기
등록된 영상물
영상

Claims (1)

  1. 본 발명은 그 자체적으로 등록한 이미지를 모바일 기기에서 인식하고 미리 설정해둔 이미지나, 영상물을 재생시키도록 해주는 기술인 AR 기술 위에 부가적인 효과, 예를 들어 사운드나 가상 렌더링된 이미지나 영상물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제작함으로써 사업목적에 최적화된 응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KR1020120035706A 2012-04-05 2012-04-05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30113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706A KR20130113264A (ko) 2012-04-05 2012-04-05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706A KR20130113264A (ko) 2012-04-05 2012-04-05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264A true KR20130113264A (ko) 2013-10-15

Family

ID=4963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706A KR20130113264A (ko) 2012-04-05 2012-04-05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32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7515A1 (en) * 2014-04-30 2015-11-05 Longsand Limited Augmented reality without a physical trigg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7515A1 (en) * 2014-04-30 2015-11-05 Longsand Limited Augmented reality without a physical trig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4467B2 (en) Video conferenc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storage device
US10755485B2 (en) Augmented reality product preview
US100897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an augmented reality view in a specific location
US20190180509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presentation of first and second virtual-or-augmented reality content
KR100930370B1 (ko) 증강현실 저작 방법 및 시스템과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10235806B2 (en) Depth and chroma information based coalescence of real world and virtual world images
KR20140082610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전시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US201901305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when to provide eye contact from an avatar to a user viewing a virtual environment
CN111273766B (zh) 用于生成链接到物品模拟现实表示的示能表示的方法、设备和系统
US2018002554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rendering information for virtual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WO2022095468A1 (zh) 增强现实场景下的展示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
Adcock et al. Visualization of off-surface 3D viewpoint locations in spatial augmented reality
JP2022507502A (ja) 拡張現実(ar)のインプリント方法とシステム
TWI694355B (zh) 即時渲染影像的追蹤系統、追蹤方法以及非暫態電腦可讀取媒體
US20170039768A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content based on pop-up book and method thereof
KR20130113264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Fradet et al. [poster] mr TV mozaik: A new mixed reality interactive TV experience
WO2017147826A1 (zh) 智能设备的图像处理方法及装置
KR101588409B1 (ko) 마커를 이용하여 표출되는 증강 현실 객체에 대한 입체 사운드 제공 방법
Kim et al. Haptic interaction with objects in a picture based on pose estimation
KR20100138193A (ko) 터치스크린기반 사용자 인터랙션을 지원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장치
KR20180042094A (ko) 화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자막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JP6680886B2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を表示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159705B1 (ko) 빌보드 기반 3차원 가상현실에 의한 물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0376A (ko) 디아이디 입체영상콘트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