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221A -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221A
KR20130112221A KR1020120034448A KR20120034448A KR20130112221A KR 20130112221 A KR20130112221 A KR 20130112221A KR 1020120034448 A KR1020120034448 A KR 1020120034448A KR 20120034448 A KR20120034448 A KR 20120034448A KR 20130112221 A KR20130112221 A KR 20130112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obot
dialogue
advertisemen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5316B1 (ko
Inventor
이응혁
이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플래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플래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플래닛
Priority to KR1020120034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316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음성 기반 대화 서비스에 광고 및 콘텐츠를 접목시킨, 로봇에서의 광고 및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을 바탕으로 대화문을 생성하고, 상기 대화문을 바탕으로 생성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로봇; 및 상기 로봇으로부터 입력된 대화문을 광고 및 콘텐츠 문장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광고 및 콘텐츠 문장과 로봇의 모션정보를 포함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로봇으로 전송하는 대화 서비스 장치;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VERSATION SERVICE CONNECTED WITH ADVERTISEMENTS AND CONTENTS USING ROBOT}
본 발명은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기반 대화 서비스에 광고 및 콘텐츠를 접목시킨, 로봇에서의 광고 및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혁명과 빅 데이터(big data) 시대에 접어들면서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와 정보 검색에 대한 요구가 늘어가고 있다.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의 대표격인 대화 서비스는 최근 아이폰의 시리(Siri)로 대중화되어 가고 있으며, 음성 인식 수준에 있어서는 구글(google)의 클라우드 기반 분산 서버 음성 인식 기술은 이미 상당한 수준에 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2012년 2월 국내 심심이(Simsimi)가 미국 아이폰 앱 2에 오르면서 대화 인터페이스에 대한 관심은 상당히 고조되어 있다.
이러한 최근 추세는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의 기술적 완성도가 상당한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대화 매지니먼트(대화문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술)의 서비스 또한 이미 대중화되고 있다는 징조를 나타낸다.
기존 2007년 이전만 해도 음성 인식 기술이 고립 단어 수준이라 자연어 기반의 대화 서비스를 진행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최근 자연어 기반 음성 인식의 기술과 대화 엔진을 기술력으로 로봇에서의 대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다.
한편, 대화형 로봇을 이용한 시스템과 관련해서는 한국공개특허 10-2011-0060039호(이하, '선행문헌') 외에 다수 출원 및 공개되어 있다.
선행문헌에 시스템은, 유저의 얼굴을 촬영한 영상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는 영상처리모듈; 유저의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음성정보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는 음성처리모듈; 상기 영상처리모듈로부터 추출되는 영상이미지의 특징점과 유저DB에 등록된 유저의 디지털 처리된 영상이미지를 매칭시켜 유저를 인식하고, 인식된 유저의 디지털 처리된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영상매칭모듈; 상기 영상매칭모듈로부터 유저 인식이 이루어질 때, 상기 음성처리모듈로부터 추출되는 특정점에 해당하는 배경 이미지를 배경이미지DB로부터 탐색하여 출력하는 배경변환모듈; 상기 영상매칭모듈과 배경변환모듈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유저에 대한 디지털 처리된 영상이미지와 배경이미지가 디스플레이시, 상기 배경이미지에 해당하는 캐릭터로 변환한 후 유저와의 대화를 위한 정보를 대화DB에서 추출하여 유저와의 질의/응답 대화를 진행하는 대화처리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선행문헌과 같은 종래에는, 음성 기반 대화 서비스에 광고 및 콘텐츠 정보를 연계하여 제공하는 서비스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성 기반 대화 서비스에 광고 및 콘텐츠를 접목시킨, 로봇에서의 광고 및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음성을 바탕으로 대화문을 생성하고, 상기 대화문을 바탕으로 생성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로봇; 및 상기 로봇으로부터 입력된 대화문을 광고 및 콘텐츠 문장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광고 및 콘텐츠 문장과 로봇의 모션정보를 포함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로봇으로 전송하는 대화 서비스 장치; 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로봇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대화문을 생성하여 대화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가 로봇으로부터 입력된 대화문을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가 출력된 대화문을 분석하여, 등록된 각종 광고 및 콘텐츠를 바탕으로 상기 대화문을 광고 및 콘텐츠 문장으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가 변환된 광고 및 콘텐츠 문장과, 이와 관련된 로봇의 모션정보를 포함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가 로봇의 모션정보가 포함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상기 로봇으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로봇이 수신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출력하는 단계; 및 (g) 상기 로봇이 대화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대화문'에 포함된 로봇의 모션정보에 따라 로봇 모션을 구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향후 자연어 기반 음성 인터페이스는 대부분 서비스 로봇에서 필수 인터페이스로 장착될 가능성이 농후하기에, 본 발명과 같은 대화 서비스에 광고 및 콘텐츠를 연계시키는 방법은 로봇에서 가장 보편적인 광고 및 서비스 제공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 기반 대화 서비스를 통해 음성 검색 분야 또는 외국어 교육 서비스 등으로 확장되어 운영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로봇 뿐 아니라 자연어 기반 음성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기타 모든 장치(태블릿 PC, 모바일)에도 본 발명과 같은 대화식 광고 및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인식이 없이도 텍스트 기반 대화 서비스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광고 집행 및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효과도 있으며, 특정의 로봇, 광고 및 콘텐츠에 종속되지 않은 대화 서비스 플랫폼 기반의 시스템으로서, 다수 로봇업체와 광고주, 콘텐츠 제공자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대화 서비스 장치의 문장 변환부에 관한 세부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S)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100) 및 대화 서비스 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로봇(100)은 사용자의 음성을 바탕으로 대화문을 생성하고, 상기 대화문을 바탕으로 생성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대화 클라이언트부(110), 대화 동작부(120), 연동 규격부(130) 및 채팅 관리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대화문은 음성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화 클라이언트부(11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대화문을 생성하여 대화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며,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로봇의 모션정보를 포함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때, 대화 클라이언트부(110)는 수신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설정하겠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바, 디스플레이창을 통해 문자 형태로 출력되거나, 음성과 함께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로봇의 모션정보는 광고 및 콘텐츠 표현을 부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로봇의 동작에 관한 정보로서, 해당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과 관련된 로봇의 행동 명령 정보일 수 있다.
대화 동작부(120)는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대화문'에 포함된 로봇의 모션정보에 따라 로봇 모션을 구동시킨다.
연동 규격부(130)는 로봇들 간의 또는 로봇 내부 장치 간의 연동을 위한 공통 규격을 설정하여 적용한다. 이때, 연동 규격부(130)는 로봇들 간의 또는 로봇 내부 장치 간의 연동 규격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연동 규격 데이터베이스(131)가 구성되어 있어,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공통 규격을 설정할 수 있다.
참고로, 로봇 간 또는 로봇의 내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규격은 각기 다르다. 따라서, 로봇 또는 장치를 핸들링하기 위한 공통 규격이 필요하다. 이러한 규격은, 인터페이스 형태이며, 어플리케이션 앱과 하부 장치간 디커플링(decoupling)을 위한 추상화된 형태와 기능 중심의 규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채팅 관리부(140)는 상기 대화 클라이언트부(110)를 통해 수행되는 기본적인 대화 서비스 이외에, 추가적인 대화 서비스의 재미를 더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와 채팅이 가능한 채팅 어플리케이션 앱을 관리한다. 따라서, 로봇(100)은 채팅 및 기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창 및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화 서비스 장치(200)는 로봇(100)으로부터 입력된 대화문을 광고 및 콘텐츠 문장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광고 및 콘텐츠 문장과 로봇의 모션정보를 포함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로봇(10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상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 서비스부(210), 대화 출력부(220), 문장 변환부(230), 광고 및 콘텐츠 등록부(240), 광고 및 콘텐츠 분석부(250) 및 이력 관리부(26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대화 서비스부(210)는 로봇(100)으로부터 대화문을 입력받으며, 상기 대화문에 따른 광고 및 콘텐츠 문장과, 로봇의 모션정보가 포함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상기 로봇(100)으로 전송한다.
대화 출력부(220)는 대화 서비스부(210)를 통해 입력된 대화문을 출력한다.
한편, 상기 로봇(100)으로부터 텍스트 데이터가 아닌 음성 데이터 형태의 대화문이 입력될 경우, 대화 서비스부(210)는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여 텍스트 문장으로 변환하며, 대화 출력부(220)는 대화 데이터베이스(221)가 구성되어, 변환된 텍스트 문장을 대화문으로 생성할 수 있다.
문장 변환부(230)는 대화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된 대화문을 광고 및 콘텐츠 문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1), 광고 및 콘텐츠 문장 생성모듈(232), 빈도 설정모듈(233) 및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생성모듈(234)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1)는 다양한 광고 및 콘텐츠 문장과, 해당 광고 및 콘텐츠에 관한 로봇의 모션정보 등이 등록되어 있다.
광고 및 콘텐츠 문장 생성모듈(232)은 상기 대화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된 대화문을 분석하여, 상기 광고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1)에 등록된 각종 광고 및 콘텐츠를 바탕으로 상기 대화문을 광고 및 콘텐츠 문장으로 변환한다.
이때, 광고 및 콘텐츠 문장 생성모듈(232)은 출력된 대화문과의 패턴 매칭을 통해 광고 및 콘텐츠 문장으로 변환하거나, 출력된 대화문 내용의 의미를 분석하여 광고 및 콘텐츠 문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 매칭을 통한 광고 및 콘텐츠 문장으로의 변환에 관한 예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예) 출력 대화문 => ' * 영화 * 좋아하니 ' 일 경우,
광고 및 콘텐츠 문장 => '디아블로 3 영화 재미있던데'
즉, 광고 및 콘텐츠 문장 생성모듈(232)은 '영화' 라는 단어에 따라, 광고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1)에 등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디아블로 3 영화 재미있던데' 와 같은 '영화' 에 관한 광고 및 콘텐츠 문장으로 변환한다.
한편, 대화 중 광고 또는 콘텐츠의 노출 빈도가 너무 높을 경우, 대화 서비스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빈도 설정모듈(233)은 광고 및 콘텐츠의 노출 주기 또는 빈도 등의 조건을 설정한다.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생성모듈(234)은 상기 광고 및 콘텐츠 문장 생성모듈(232)을 통해 변환된 광고 및 콘텐츠 문장과, 광고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1)에 등록되어 있는, 변환된 광고 및 콘텐츠 문장과 관련된 로봇의 모션정보를 포함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생성하여 대화 서비스부(210)로 전송한다. 이때,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은 음성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형태일 수 있다.
한편,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생성모듈(234)은 로봇(100)과의 대화 중, 현재 출력되는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이 광고 및 콘텐츠 문장으로 변화된 것임을 알려주는 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대화 출력부(200)를 통해 출력된 출력문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대화 서비스부(210)를 통해 로봇(100)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음성으로 전송할 경우, 채널을 분리하여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수 있다.
광고 및 콘텐츠 등록부(240)는 광고주 및 콘텐츠 제공자 컴퓨터(10)로부터 광고 및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문장 변환부(230)의 광고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1)로 등록시킨다.
구체적으로, 광고 및 콘텐츠 등록부(240)는 기본적인 광고 및 콘텐츠 문장 패턴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광고주 및 콘텐츠 제공자 컴퓨터(10)로부터 광고 및 콘텐츠와, 이와 관련된 로봇 모션정보에 관한 등록요소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광고 및 콘텐츠 문장 패턴들을 편집 및 자동 생성하여 문장 변환부(230)의 광고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1)로 등록시킨다.
이때, 광고 및 콘텐츠의 등록요소는 다음과 같다.
1. 광고 등록 요소
(1) 광고 제품이나 서비스명
(2) 제품이나 서비스 속성 : 제품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속성으로서, 식품, 가전제품, 무형, 계절과 관계있는 제품이나 서비스, 문화, 영화, 음악 등
(3) 광고 문장 패턴 : 광고 문장 패턴들이 기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광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광고 문장 패턴이 추가될 수 있다.
(4) 멀티미디어 정보 및 로봇의 모션정보 : 광고 문장과 함께 표현될 광고의 멀티미디어 및 로봇의 모션정보(동작)를 등록한다.
멀티미디어 광고가 가능한 로봇인 경우에는, 그에 따른 광고도 함께 제공되도록 한다. 광고에 관련한 로봇의 동작을 직접 저작할 수 있지만 보통은 기본적인 템플릿 형태의 모션정보(동작)를 조합하여 등록 가능하다.
2. 콘텐츠 등록 요소
(1) 콘텐츠 및 서비스명
(2) 콘텐츠 서비스 속성 : 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속성으로서, 영어, 어학, 오락, 건강, 요리, 날씨, 문화, 영화, 음악 등
(3) 콘텐츠 문장 패턴 : 콘텐츠 문장 패턴들이 기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콘텐츠 활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콘텐츠 문장 패턴이 추가될 수 있다.
(4) 멀티미디어 및 로봇의 모션정보 : 콘텐츠 문장과 함께 표현될 콘텐츠의 멀티미디어 및 그에 따른 로봇의 모션정보(동작)를 등록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이 가능한 로봇인 경우에는, 그에 따른 콘텐츠도 함께 제공되도록 한다. 콘텐츠에 관련한 로봇의 동작을 직접 저작할 수 있지만 보통은 기본적인 템플릿 형태의 모션정보(동작)를 조합하여 등록 가능하다.
광고 및 콘텐츠 분석부(250)는 상기 로봇(100)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 대화문' 에 포함된 광고 및 콘텐츠의 노출에 관한 정보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광고 및 콘텐츠 분석부(250)는 광고 및 콘텐츠가 어떤 문장으로 출력되는지 또는 광고 및 콘텐츠의 노출 빈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대화 서비스부(210)와 연동되어, 로봇(100)으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저장 및 분석하고,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광고주 및 콘텐츠 제공자 컴퓨터(10)로 제공한다.
이력 관리부(260)는 사용자의 관심분야 및 대화 이력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이력 관리부(260)는 사용자의 관심정보 및 로봇(100)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바탕으로 사용자별 이력을 관리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관심정보는, 최근 관심주체, 일반적인 성향 정보, 광고 집행 이력 및 콘텐츠 이용현황 등의 정보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시스템을 통한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하여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 서비스 장치(200)의 광고 및 콘텐츠 등록부(240)는 광고주 및 콘텐츠 제공자 컴퓨터(10)로부터 광고 및 콘텐츠와, 이와 관련한 로봇 모션정보에 관한 등록요소를 입력받아 문장 변환부(230)의 광고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1)로 등록시킨다(S10).
또한, 로봇(100)의 대화 클라이언트부(11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형태의 대화문을 생성하여(S20), 대화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S30).
이후, 대화 서비스 장치(200)의 대화 서비스부(210)는 로봇(100)으로부터 입력된 대화문을 출력하며(S40), 문장 변환부(230)의 광고 및 콘텐츠 문장 생성모듈(232)은 상기 대화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된 대화문을 분석하여, 광고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1)에 등록된 각종 광고 및 콘텐츠를 바탕으로 상기 대화문을 광고 및 콘텐츠 문장으로 변환한다(S50).
또한, 문장 변환부(230)의 빈도 설정모듈(233)은 광고 및 콘텐츠의 노출 주기 또는 빈도 등의 조건을 설정하며(S60),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생성모듈(234)은 변환된 광고 및 콘텐츠 문장과, 이와 관련된 로봇의 모션정보를 포함한 음성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형태의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생성한다(S70).
이후, 대화 서비스 장치(200)의 대화 서비스부(210)는 로봇의 모션정보가 포함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상기 로봇(100)으로 전송한다(S80).
또한, 로봇(100)의 대화 클라이언트(110)는 수신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음성으로 출력하고(S90), 연동 규격부(130)는 로봇들 간의 또는 로봇 내부 장치 간의 연동을 위한 공통 규격을 설정하여 적용하며(S100), 대화 동작부(120)는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대화문'에 포함된 로봇의 모션정보에 따라 로봇 모션을 구동시킨다(S110).
뒤이어, 광고 및 콘텐츠가 어떤 문장으로 출력되는지 또는 광고 및 콘텐츠의 노출 빈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화 서비스 장치(200)의 광고 및 콘텐츠 분석부(250)는 상기 대화 서비스부(210)와 연동되어, 로봇(100)으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저장 및 분석하여(S120), 분석정보를 광고주 및 콘텐츠 제공자 컴퓨터(10)로 제공하며(S130), 이력 관리부(260)는 사용자의 관심정보 및 로봇(100)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바탕으로 사용자별 이력을 관리한다(S14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봇(10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대화 서비스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하며, 이 과정에서 로봇(100)에 음성 인식 모듈이 탑재 여부와 상관없이, 서비스 되도록 대화 서비스가 구성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음성 합성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대화 서비스의 서버 구성도 로봇의 특성에 따라서 설정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로봇 110: 대화 클라이언트부
120: 대화 동작부 130: 연동 규격부
140: 채팅 관리부 200: 대화 서비스 장치
210: 대화 서비스부 220: 대화 출력부
230: 문장 변환부 240: 광고 및 콘텐츠 등록부
250: 광고 및 콘텐츠 분석부 260: 이력 관리부
231: 광고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232: 광고 및 콘텐츠 문장 생성모듈
233: 빈도 설정모듈 234: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생성모듈

Claims (22)

  1.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바탕으로 대화문을 생성하고, 상기 대화문을 바탕으로 생성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로봇(100); 및
    상기 로봇(100)으로부터 입력된 대화문을 광고 및 콘텐츠 문장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광고 및 콘텐츠 문장과 로봇의 모션정보를 포함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로봇(100)으로 전송하는 대화 서비스 장치(200); 를 포함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100)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대화문을 생성하여 대화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며,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로봇의 모션정보를 포함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대화 클라이언트부(110); 및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대화문'에 포함된 로봇의 모션정보에 따라 로봇 모션을 구동시키는 대화 동작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문과,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은,
    음성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대화 클라이언트부(110)는, 수신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식, 디스플레이창을 통해 문자 형태로 출력하는 방식, 음성과 함께 문자 형태로 출력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의 모션정보는,
    광고 및 콘텐츠 표현을 부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로봇의 동작에 관한 정보로서, 해당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과 관련된 로봇의 행동 명령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100)은,
    로봇들 간의 또는 로봇 내부 장치 간의 연동을 위한 공통 규격을 설정하여 적용하는 연동 규격부(1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100)은,
    사용자와 채팅이 가능한 채팅 어플리케이션 앱을 관리하는 채팅 관리부(1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로봇(100)으로부터 대화문을 입력받으며, 상기 대화문에 따른 광고 및 콘텐츠 문장과, 로봇의 모션정보가 포함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상기 로봇(100)으로 전송하는 대화 서비스부(210);
    상기 대화 서비스부(210)를 통해 입력된 대화문을 출력하는 대화 출력부(220); 및
    상기 대화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된 대화문을 광고 및 콘텐츠 문장으로 변환하는 문장 변환부(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 변환부(230)는,
    다양한 광고 및 콘텐츠 문장과, 해당 광고 및 콘텐츠에 관한 로봇의 모션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광고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1);
    상기 대화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된 대화문을 분석하여, 상기 광고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1)에 등록된 각종 광고 및 콘텐츠를 바탕으로 상기 대화문을 광고 및 콘텐츠 문장으로 변환하는 광고 및 콘텐츠 문장 생성모듈(232); 및
    상기 광고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1)에 등록된 광고 및 콘텐츠 문장과, 이와 관련된 로봇의 모션정보를 포함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생성하는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생성모듈(23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 변환부(230)는,
    광고 및 콘텐츠의 노출 주기 또는 빈도 조건을 설정하는 빈도 설정모듈(233);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및 콘텐츠 문장 생성모듈(232)은,
    출력된 대화문과의 패턴 매칭을 통해 광고 및 콘텐츠 문장으로 변환하거나, 출력된 대화문 내용의 의미를 분석하여 광고 및 콘텐츠 문장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200)는,
    광고주 및 콘텐츠 제공자 컴퓨터(10)로부터 광고 및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문장 변환부(230)로 등록시키는 광고 및 콘텐츠 등록부(2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및 콘텐츠 등록부(240)는,
    기본적인 광고 및 콘텐츠 문장 패턴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광고주 및 콘텐츠 제공자 컴퓨터(10)로부터 광고 및 콘텐츠와, 이와 관련된 로봇 모션정보에 관한 등록요소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광고 및 콘텐츠 문장 패턴들을 편집 및 자동 생성하여 상기 문장 변환부(230)의 광고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1)로 등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로봇(100)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 대화문' 에 포함된 광고 및 콘텐츠의 노출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는 광고 및 콘텐츠 분석부(25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고 및 콘텐츠 분석부(250)는, 상기 대화 서비스부(210)와 연동되어, 로봇(100)으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저장 및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광고주 및 콘텐츠 제공자 컴퓨터(1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의 관심분야 및 대화 이력을 관리하는 이력 관리부(2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관리부(260)는,
    사용자의 관심정보 및 로봇(100)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바탕으로 사용자별 이력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로봇(100)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대화문을 생성하여 대화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200)가 로봇(100)으로부터 입력된 대화문을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200)가 출력된 대화문을 분석하여, 등록된 각종 광고 및 콘텐츠를 바탕으로 상기 대화문을 광고 및 콘텐츠 문장으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200)가 변환된 광고 및 콘텐츠 문장과, 이와 관련된 로봇의 모션정보를 포함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200)가 로봇의 모션정보가 포함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상기 로봇(100)으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로봇(100)이 수신한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출력하는 단계; 및
    (g) 상기 로봇(100)이 대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대화문'에 포함된 로봇의 모션정보에 따라 로봇 모션을 구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a-1) 대화 서비스 장치(200)가 광고주 및 콘텐츠 제공자 컴퓨터(10)로부터 광고 및 콘텐츠와, 이와 관련한 로봇 모션정보에 관한 등록요소를 입력받아 등록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전에,
    (d-1)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200)가 광고 및 콘텐츠의 노출 주기 또는 빈도의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이전에,
    (g-1) 상기 로봇(100)이 로봇들 간의 또는 로봇 내부 장치 간의 연동을 위한 공통 규격을 설정하여 적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이후에,
    (h)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200)가 로봇(100)으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저장 및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광고주 및 콘텐츠 제공자 컴퓨터(10)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이후에,
    (i) 상기 대화 서비스 장치(200)가 사용자의 관심정보 및 로봇(100)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바탕으로 사용자별 이력을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문과,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은,
    음성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로봇(100)이 '광고 및 콘텐츠 대화문' 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식, 디스플레이창을 통해 문자 형태로 출력하는 방식, 음성과 함께 문자 형태로 출력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방법.
KR1020120034448A 2012-04-03 2012-04-03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85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448A KR101385316B1 (ko) 2012-04-03 2012-04-03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448A KR101385316B1 (ko) 2012-04-03 2012-04-03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221A true KR20130112221A (ko) 2013-10-14
KR101385316B1 KR101385316B1 (ko) 2014-04-30

Family

ID=4963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448A KR101385316B1 (ko) 2012-04-03 2012-04-03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3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2381B2 (en) 2015-09-18 2018-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WO2019125486A1 (en) * 2017-12-22 2019-06-27 Soundhound, Inc. Natural language grammars adapted for interactive experiences
KR102313875B1 (ko) 2021-04-14 2021-10-18 주식회사 파이엇 투명 엘시디 디스플레이적용 로봇 및 그 제어방법
US11900928B2 (en) 2017-12-23 2024-02-13 Soundhound Ai Ip, Llc System and method for adapted interactive experien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935B1 (ko) * 2005-05-06 2006-11-10 (주)아이디스 네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46483B1 (ko) * 2016-01-04 2016-08-12 이준영 웹상 컨텐츠의 광고 방법 및 시스템
US11880866B2 (en) 2020-11-12 202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through voice assista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128A (ko) * 2000-08-02 2000-12-05 엄주천 캐릭터를 이용한 음성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
JP4534427B2 (ja) * 2003-04-01 2010-09-01 ソニー株式会社 ロボット制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764174B1 (ko) * 2006-03-03 2007-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대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90067822A (ko) * 2007-12-21 2009-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실 인자를 반영하는 혼합 세계 생성 시스템 및 구현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2381B2 (en) 2015-09-18 2018-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WO2019125486A1 (en) * 2017-12-22 2019-06-27 Soundhound, Inc. Natural language grammars adapted for interactive experiences
JP2019125357A (ja) * 2017-12-22 2019-07-25 サウンドハウン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インタラクティブなエクスペリエンスに適合させた自然言語文法
US11900928B2 (en) 2017-12-23 2024-02-13 Soundhound Ai Ip, Llc System and method for adapted interactive experiences
KR102313875B1 (ko) 2021-04-14 2021-10-18 주식회사 파이엇 투명 엘시디 디스플레이적용 로봇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316B1 (ko)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316B1 (ko) 로봇을 이용한 광고 및 콘텐츠 연계형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50254B2 (en) Producing comprehensible subtitles and captions for an effective group viewing experience
WO2018102980A1 (zh) 语音交互方法、装置及系统
US10614487B1 (en) Server for enabling voice-responsive content as part of a media stream to an end user on a remote device
US20190311709A1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formatted transcription of multimedia content
US20210217413A1 (en) Voice activated interactive audio system and method
US20170046124A1 (en) Responding to Human Spoken Audio Based on User Input
KR102353286B1 (ko) 음성 구동 컴퓨팅 인프라에 의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렌더링 관리
CN110460872B (zh) 视频直播的信息显示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10991380B2 (en) Generating visual closed caption for sign language
KR102335090B1 (ko) 보안 처리 환경에서의 데이터 전송
US20080088735A1 (en) Social media platform and method
US20120317492A1 (en) Providing Interactive and Personalized Multimedia Content from Remote Servers
CN111800671B (zh) 用于对齐段落和视频的方法和装置
JP2019154045A (ja) インタラクティブな動画生成
US8332225B2 (en) Techniques to create a custom voice font
WO2022170848A1 (zh) 人机交互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以及计算机介质
CN109582825B (zh) 用于生成信息的方法和装置
KR20220141891A (ko) 디지털 액션 실행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모드 선택
WO2023122444A1 (en) Language model prediction of api call invocations and verbal responses
CN110379406B (zh) 语音评论转换方法、系统、介质和电子设备
US20170325003A1 (en) A video signal captio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CN109065019B (zh) 一种面向智能机器人的故事数据处理方法及系统
CN114064943A (zh) 会议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6189663A (zh) 韵律预测模型的训练方法和装置、人机交互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