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1491A - Melody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 Google Patents

Melody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1491A
KR20130111491A KR1020130091156A KR20130091156A KR20130111491A KR 20130111491 A KR20130111491 A KR 20130111491A KR 1020130091156 A KR1020130091156 A KR 1020130091156A KR 20130091156 A KR20130091156 A KR 20130091156A KR 20130111491 A KR20130111491 A KR 20130111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elody
unit
toys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1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05535B1 (en
Inventor
서선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리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리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리그
Priority to KR1020130091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535B1/en
Publication of KR20130111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4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5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09B15/002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 G09B15/003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with indication of the keys or strings to be played 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PURPOSE: A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is provided to enable an infant or a young child to increase sensation and interest for music without resistance while playing with blocks. CONSTITUTION: A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comprises: multiple melody block joints; multiple melody block sensors (331); a musical performance control unit (110); and a reproducing unit (200). The melody block joint is detachably combined with the melody blocks of various heights. The melody block sensor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melody block by sensing an unevenness pattern (�밧�), which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a melody block connected through multiple mechanical switches installed at the inner side of the melody block joint, and is programmed in order to output the electrical signal by recognizing the melody block regardless of a combination direction of the melody block the unevenness pattern which is not radial symmetry. The musical performance control unit includes a melody block performance unit which plays a tone having a pitc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ombined melody block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outputted from each melody block sensor and performs melody by successively remaking the tones according to the arranged order of the melody block joints. The reproducing unit plays the melody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usical performance control unit. [Reference numerals] (100) Control unit; (110) Performance control unit; (111) Melody block performing unit; (113) Stored melody performing unit; (115) Harmony performing unit; (117) Connection performing unit; (130) Memory; (150) Game processing unit; (150-1) First game processing unit; (150-n) N^th game processing unit; (200) Reproducing unit; (310) Sound source designating interface; (330) Detection unit interface; (350) Emitting operation unit; (500) Operatoin unit; (510) Tempo direction unit; (530) Volume direction unit; (550) Mode designating unit; (570) Game designating unit; (900) Communication unit between devices

Description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melody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melody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음악 교육에 적합한 블록 완구가 개시된다. A block toy suitable for music education is disclosed.

블록 쌓기 완구 중에 블록을 쌓아 올림에 따라 멜로디를 재생함으로써 정서면에 도움이 되거나 흥미를 돋구고자 하는 것들이 있다. 2010. 1. 20.자로 등록된 한국 특허제939,166호에는 놀이판 위에 단위 블록을 쌓으면 그 단위 블록들로 이루어지는 입체 조형물의 형상에 따라 음악을 연주하거나 발광하는 블록 완구가 개시된다. 이 단위 블록들은 표면의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며, 놀이판 본체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한다. 여기서는 블록의 조립/분리 형태에 따라 음계, 옥타브, 음길이, 음색, 셈 여림 등의 음악적 요소를 정의하고, 블록의 조립/분리 형태를 감지하여 멜로디가 재생된다. Among the building blocks, there are some things you want to help or inspire your emotions by playing melodies as you build blocks. Korean Patent No. 939,166, registered as January 20, 2010, discloses a block toy that plays music or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shape of a three-dimensional sculpture composed of the unit blocks when the unit blocks are stacked on a play board. These unit blocks are powered from the outside through terminals on the surface, and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lay board body. Here, the musical elements such as scale, octave, musical length, timbre, and summation are defined according to the assembly / separation form of the block, and the melody is reproduced by detecting the assembly / separation form of the block.

그러나 이 발명에 따른 블록 완구는 각 블록들이 내부에 고가의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무선통신부를 포함하여 원가가 상승할 뿐 아니라, 블록 표면의 전기적인 단자에 의존하므로, 기구적인 한계로 인해 전기적인 접속이 안정적이지 않고, 표면의 오염 등으로 인해 시간이 지나면 접촉 불량이 발생하여 작동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block to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only expensive because each block includes an expensive microprocessor o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but also depends on the electrical terminals on the block surface, so that electrical connection is stable due to mechanical limitations. Instead, due to surface contamination, etc., there is a problem that a poor contact occurs and the operation is not properly performed.

한편, 음악 교육을 위한 발명으로 2006. 6. 14.자 공개된 공개공보 2006-0064731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전자악보는 오선지가 그려진 전자보드의 구멍들에 음표 블록을 삽입하면 그 음표 블록을 인식하여 순차적으로 재생한다. 유사한 발명으로 2001. 11. 9.자로 공개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12275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자동 연주 장치는 표면에 악보와 음표가 그려지고 양측면에 암수 커넥터가 마련된 음악 블록들을 좌우로 연결하여 결합하면, 높은 음 자리표가 그려진 본체 블록이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 음악 블록들을 인식하여 해당하는 음표들을 순차적으로 연주한다. On the other hand, the invention for music education is disclosed in the publication 2006-0064731 published June 14, 2006. The electronic musical s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note block and sequentially plays it when the note block is inserted into the holes of the electronic board on which the wrong line is drawn. A similar invention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312275, published on November 9, 2001. In the automatic pla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musical notes and musical notes are drawn on the surface and male and female connectors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main block drawn with the clef recognizes the music block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or. Play the notes in sequence.

이러한 음악 연주 블록들은 전문적인 악보에 의존하여 유아나 소아의 경우에는 흥미를 가지기 어렵다.
These music playing blocks rely on professional music scores, making it difficult for children and toddlers to be interested.

제시된 발명은 유아나 소아가 어려움이나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블록 쌓기 놀이를 하면서 음악에 대한 감각과 흥미를 높일 수 있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that can increase the sense and interest in music while playing blocks for children without feeling difficulty or rejection.

나아가 음악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ggest a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that can visually understand music.

더 나아가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오동작하지 않는 내구성을 가진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 of musical educational toys which does not malfunction even after long us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상에 따르면,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는 높이가 상이한 복수의 멜로디 블록들과, 각각에 멜로디 블록들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멜로디 블록 결합부에 설치되며, 각각이 그 대응되는 멜로디 블록 결합부에 결합된 멜로디 블록의 높이에 따라 상이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멜로디 블록 감지부들과, 멜로디 블록 감지부들로부터 출력된 전기적인 신호들에 따라 결합된 각 멜로디 블록들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진 음을 순차적으로 재생하여 멜로디를 연주하도록 제어하는 멜로디 블록 연주부를 포함하는 연주 제어부와, 연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멜로디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lock for educational toys for music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elody blocks of different heights, and a melody block coupling portion in which the melody blocks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each of the corresponding melody The plurality of melody block detectors output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melody block coupled to the block coupling unit, and the heights of the respective melody blocks combined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s output from the melody block detectors. And a reproducing control unit including a melody block player for reproducing a melody by sequentially reproducing a note having a height, and a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the melody under the control of the reproducing control unit.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블록 완구는 멜로디 블록 결합부의 내측에 그 결합된 블록을 향해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부와, 연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현재 연주되는 음의 위치에 대응하는 조명부를 발광시키는 발광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block toy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installed inside the melody block coupling unit toward the coupled block, and a light emission driving unit that emits the ligh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rrently playing sound under the control of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It may further include.

또다른 양상에 따라, 멜로디 블록 감지부는 결합되는 멜로디 블록의 하부에 형성된 요철(凹凸) 패턴을 인식하도록 멜로디 블록 결합부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의 기계적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melody block detect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mechanical switches installed inside the melody block coupling portion to recognize the uneven patter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elody block to be coupled.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멜로디 블록 감지부는 결합되는 멜로디 블록의 방향에 무관하게 멜로디 블록을 인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melody block detector may recognize the melody block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combined melody block.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멜로디 블록은 블록 하부에서 위쪽으로 빛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안내부에서 안내된 빛을 블록 상부에서 확산시키는 상부 확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melody block may include a guide for guiding light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block, and an upper diffuser for diffusing light guided by the guide from the top of the block.

추가적으로, 연주 제어부는 멜로디 블록을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두 그룹에 대응되는 멜로디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연주하되, 그 높이에 대응하는 음들을 동시에 동기화시켜 연주하는 화음 연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rformanc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hord player that divides the melody block into two groups, sequentially plays melody blocks corresponding to the two groups, and simultaneously synchronizes the notes corresponding to the heights.

추가적으로, 블록 완구는 타 블록 완구와 통신하는 장치간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연주 제어부는 장치간 통신부를 통해 타 블록 완구의 연주 제어부와 연동하여 두 블록 완구에 결합된 블록들의 높이에 대응하는 음들을 동시에 동기화시켜 연주하는 화음 연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ock toy further includes an inter-device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block toys,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of the other block toys through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unit to the notes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blocks coupled to the two block toys It may further include a chord player to play in synchronization at the same time.

또다른 양상에 따라, 블록 완구는 타 블록 완구와 통신하는 장치간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연주 제어부는 장치간 통신부를 통해 타 블록 완구의 연주 제어부와 연동되어 두 블록 완구에 결합된 블록들의 높이에 대응하는 음들을 순차적으로 연주하는 연결 연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block toy further comprises an inter-device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block toys,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is interlocked with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of the other block toys through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unit at the height of the blocks coupled to the two block toys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laying unit that sequentially plays corresponding notes.

추가적으로, 블록 완구는 재생부를 통해 멜로디를 재생하고, 멜로디 블록 감지부들로부터 출력된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결합된 각 멜로디 블록들을 식별하여 그 식별 결과에 따라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진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ock toy may further include a game progress unit for reproducing the melody through the playback unit, identifying each melody block combined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s output from the melody block detectors, and proceeding with the game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result. .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블록 완구는 복수의 음원 블록들과, 음원 블록들 중 하나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음원 블록 결합부에 설치되며, 음원 블록의 종류에 따라 연주 제어부로 상이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여 연주 제어부가 재생하는 음원의 종류를 지정하는 음원 블록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the block toy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ound source blocks, and a sound source block coupling unit to which one of the sound source blocks is detachably coupled, and outputs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to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ound source block.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ound source block detector for designating a type of a sound source reproduced by the performance controller.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블록 완구는 상면에 각 멜로디 블록 결합부들과 연주 제어부를 제어하는 조작부가 배치되고 하면은 테이블 형태로 된 놀이판 본체와, 놀이판 본체가 상면이 위로 혹은 뒤집어져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네 귀퉁이에 다리가 끼워져 고정되는 다리끼움 구멍들이 형성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다리끼움 구멍들에 삽입되는 4개의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block toy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for controlling each melody block coupling portion and the play control uni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lay board body in the form of a table, the play board body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upside down or upside down It may include a frame in which the leg fitting holes are formed by fitting the legs at four corners, and four legs inserted into the leg fitting holes of the frame.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블록 완구는 메모리에 저장된 멜로디를 추출하여 재생부가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저장멜로디 연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the block toy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melody player for extracting the melody stored in the memory to control the playback unit to play.

유아가 높이가 상이한 멜로디 블록을 놀이판 본체의 멜로디 블록 결합부에 결합시키면, 그 블록들의 높이에 따라 고저가 정해지는 음들이 순차적으로 연주되어 멜로디가 재생된다. 유아는 단순한 블록의 높이에 따라 음의 고저가 달라지는 것을 통해 블록 놀이의 흥미가 멜로디에 대한 흥미로 전환되고 음악에 대한 감각을 배울 수 있게 되며 정서적으로도 도움이 된다. When the infant couples the melody blocks having different heights to the melody block coupling portion of the play board body, the notes of which height is set according to the heights of the blocks are sequentially played to reproduce the melody. By changing the height of the soun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imple block, the infant can turn the interest of the block play into the interest of the melody, learn the sense of music, and it can be emotionally helpful.

현재 재생되는 블록이 발광함에 의해 유아는 시각적으로 더 집중하게 되어 음의 고저가 블록의 높이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더 쉽게 지각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빛의 발광에 의해 달성되는 미적인 변화에 의해 유아의 정서를 함양할 수 있다. As the currently playing block emits light, the infant becomes more visually focused, and it is easier to perceptually learn that the pitch of the soun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lock.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ultivate the emotion of the infant by the aesthetic change achieved by the light emission.

음원 블록을 달리 끼움에 의해 재생되는 음의 음색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단조로움에서 벗어나 유아의 흥미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소리들이 모두 음의 고저로 표현될 수 있다는 사실을 학습할 수 있다. You can change the tone of the sound played by inserting the sound block in various ways, so that you can get rid of monotony and increase the interest of young children, and learn that all kinds of sounds can be expressed with high and low sound. have.

복수의 블록 완구를 연결함에 의해, 두 마디 정도밖에 연주할 수 없는 블록 완구의 한계를 넘어서 보다 긴 멜로디를 연주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두 개의 블록 완구를 쌍으로 지정함에 의해, 두 블록 완구가 동기화되어 재생함으로써 화음을 연출할 수 있다. 이러한 화음의 기본적인 원리를 유아는 감각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lock toys, it is possible to play longer melodies beyond the limit of block toys that can play only two words. In addition, by designating two block toys in pairs, chords can be produced by synchronizing and playing the two block toys. Infants can sensibly learn the basic principles of chords.

또한 어느 정도 학습이 완료된 유아는 재생되는 멜로디에 해당하는 블록을 찾아서 결합시키는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러한 게임을 통해 유아는 다양한 음원에 대해 절대음감이나 멜로디를 감각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ddler who has completed the learning to some extent may enjoy a game of finding and combining blocks corresponding to the melody to be played. These games allow toddlers to sensibly learn absolute sounds or melodies for a variety of sound source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 완구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멜로디 블록(90) 중의 하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3b는 도 3a에 도시된 멜로디 블록(90)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c는 멜로디 블록(90)의 밑면에서 바라본 요철 패턴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멜로디 블록 결합부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멜로디 블록 결합부의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멜로디 블록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appearance of a block for teaching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block toy shown in FIG.
3A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appearance of one of the melody blocks 9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elody block 90 shown in FIG. 3A.
3C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the uneven patterns seen from the bottom of the melody block 90.
4A is a plan view of a melody block coup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lody block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a.
5 illustrates a fastening structure of a melody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lock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발명의 양상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examples. Hereinaft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 완구의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는 멜로디를 재생하는 회로가 구현된 인쇄회로기판과 부품들이 내장되는 놀이판 본체(10)와, 놀이판 본체(10)가 상면이 위로, 혹은 뒤집어져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네 귀퉁이에 다리가 끼워져 고정되는 다리끼움 구멍들(31~34)이 형성된 프레임(30)과, 프레임(30)의 다리끼움 구멍들(31~34)에 삽입되는 4개의 다리들(71~74)을 포함할 수 있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appearance of a block for teaching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block toy shown in FIG. As illustrated, the block to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tached from the play board body 10 hav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parts in which the circuit for reproducing the melody is implemented, and the play board body 10 being turned upside down or upside down. Frame 30 having leg fitting holes 31 to 34 coupled to each other and having legs fixed at four corners, and four leg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s 31 to 34 of the frame 30. (71-74).

다리들(71~74)은 다리끼움 구멍들(31~34)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프레임(30)의 내측면에는 놀이판 본체(10)를 지지하는 걸림턱(3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놀이판 본체(10)는 상면과 하면이 테두리를 사이에 두고 나사 결합되며, 그 사이 공간에 회로가 실장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인쇄회로기판 및 부품들이 설치된다. 일 양상에 따라, 놀이판 본체(10)는 상면이 위로, 혹은 뒤집어진 상태로 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아이들이 음악 연주 놀이를 할 때에 놀이판 본체(10)는 상면을 위로 하여 프레임(30)에 결합된다. 그렇지 않을 때 놀이판 본체(10)를 뒤집어서 프레임(30)에 결합하면, 테이블이 되어 다른 놀이나 학습에도 사용할 수 있다. 테이블로 사용할 때 저장된 음원, 예를 들면 아이들이 좋아하는 엠피쓰리(MP3) 음원이 재생될 수도 있다. The legs 71 to 74 may be fitted into the leg fitting holes 31 to 34. An engaging surface 32 supporting the play board body 10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rame 30. In one embodiment, the play board body 10 is screwed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with the edge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one or more printed circuit boards and components having circuits mounted therebetween are installed therebetween. According to one aspect, the play board body 10 may be coupled to the frame 30 with the top face up or upside down. In this embodiment, the playboard body 10 is coupled to the frame 30 with the top face up when children play music. Otherwise, when the play board body 10 is turned upside down and coupled to the frame 30, it becomes a table and can be used for other play and learning. When used as a table, a stored sound source, for example, an MP3 sound source that children like may be played.

추가적으로, 프레임(30)의 하면에는 프레임과 동일한 위치에 다리끼움 구멍들(51~54)이 형성되고, 블록들이나 기타 물건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수납장(5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리들(71~74)은 다리끼움 구멍들(31~34)로부터 분리되어 수납장(50)에 수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 완구의 정리가 간편해지고 부품들의 분실이 방지되며, 단정하게 보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30 may be provided with the fitting holes (51 ~ 54) form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frame, the cabinet 50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blocks or other objects. . For example, the legs 71 to 74 may be separated from the fitting holes 31 to 34 to be stored in the cabinet 50. This simplifies the arrangement of the block toys, prevents the loss of parts, and keeps them neatly stored.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테이블 형태의 블록 완구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음악 교육을 위한 블록 완구는 기차 형태일 수 있다. 각 기차의 상부에는 놀이판 본체(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하부에는 블록을 정리하여 담는 수납장이 구비될 수 있다. 기차 형태의 블록 완구들을 서로 연결하면, 각각의 기차에 삽입된 블록들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table-type block toy. For example, a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may be in the form of a train. A play board body 10 is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each train, and a lower cabinet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arrange blocks. By connecting block toys in the form of trains, blocks inserted in each train can be continuously reproduc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놀이판 본체(10)의 상면에는 멜로디 블록들이 결합되는 멜로디 블록 결합부들(11)과, 조작 패널(90)이 설치된다. In one embodiment, the melody block coupling parts 11 to which the melody blocks are coupled and the operation panel 9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y board body 10.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멜로디 블록(90) 중의 하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3b는 도 3a에 도시된 멜로디 블록(90)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멜로디 블록들은 대응되는 음의 높이에 따라 비례하는 높이를 가지며, 그 음정은 하부의 요철 패턴(95)에서 코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멜로디 블록(90)은 블록 하부에서 위쪽으로 빛을 안내하는 안내부(93)와, 안내부(93)에서 안내된 빛을 블록 상부에서 확산시키는 상부 확산부(9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부(93)의 밑면은 빛이 유입되도록 투명하고, 그 측면의 표면에는 안내되는 빛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반사시키는 내측 방향 거울면(97)이 형성된다. 상부 확산부(91)의 표면에는 블록의 상단이 블록마다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표면에 다양한 색상으로 코팅될 수 있다. 3A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appearance of one of the melody blocks 9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elody block 90 shown in FIG. 3A. In one embodiment, the melody blocks have a height proportional to the height of the corresponding note, the pitch being coded in the lower uneven pattern 95.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elody block 90 may include a guide 93 for guiding light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block, and an upper diffuser for diffusing light guided from the guide 93 above the block. 91). In one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93 is transparent so that light is introduced, and the inner side mirror surface 97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ide surface to reflect inwardly so that the guided light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On the surface of the upper diffusion portion 91 may be coated in a variety of colors on the surface so that the top of the block emits light in various colors for each block.

멜로디 블록 감지부(331)는 결합되는 멜로디 블록(90)의 하부에 형성된 요철(凹凸) 패턴을 인식하도록 멜로디 블록 결합부(11)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의 기계적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요철(凹凸) 패턴은 멜로디 블록(90)의 하부 외측벽에 형성되고, 멜로디 블록 결합부(11)의 내측벽에 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기계적인 스위치(40)가 설치될 수 있다.  The melody block detector 331 may include a plurality of mechanical switches installed inside the melody block combiner 11 to recognize a concave-convex pattern formed under the melody block 90 to be coupled. In one embodiment, the uneven pattern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wall of the melody block 90, a plurality of mechanical switches 40 corresponding to the inner wall of the melody block coupling portion 11 may be installed. have.

도 3c는 멜로디 블록(90)의 밑면에서 바라본 요철 패턴들(95)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c의 패턴들은 회전 방향으로 대칭이며, 2개의 면에서만 감지하더라도 서로 식별이 가능한 패턴이다. 3C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the uneven patterns 95 viewed from the bottom of the melody block 90. The patterns of FIG. 3C are symmetrical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are 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even if only two surfaces are detected.

도 3b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멜로디 블록(90)은 안내부(93)와 상부 확산부(91)를 일체로 하나의 부품으로 제조하여, 그 상부에 컬러로 코팅하고 하부 외면에는 거울면(97)을 코팅한 후, 하부에 요철 패턴(95)이 형성된 블록 본체(99)에 끼워서 제조할 수 있다. As is apparent from FIG. 3B, the melody block 9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manufactured by forming the guide 93 and the upper diffusion 91 as a single piece, coating the upper part in color and the lower outer surface. After the mirror surface 97 is coated, the mirror surface 97 may be manufactur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block body 99 having the uneven pattern 95 formed thereon.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판 본체(10)의 상면에는 각각에 멜로디 블록들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멜로디 블록 결합부(11)들이 형성된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멜로디 블록 결합부(11)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그 측 단면도이다. 멜로디 블록 결합부(11)의 내측벽에는 결합되는 멜로디 블록(90)의 하부 외측벽에 형성된 요철(凹凸) 패턴을 인식하도록 복수의 기계적인 스위치(40)가 설치된다. 이 패턴들의 요부(凹部)에서 스위치는 돌출된 비활성 상태이고, 철부(凸部)에서 스위치는 눌러진 활성 상태로 회로에 의해 감지된다. 8개의 스위치들은 그 '온', '오프' 상태가 각각 이진수 '0'과 '1'로 인식되어 8비트 이진수 코드로 인식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도' 는 "01111110", '레' 는 "01000000"로 인식된다. '레' 의 경우 블록을 90도 돌려 끼우면 "00000100"로 인식되겠지만 이 두 코드 모두 '레' 로 인식되도록 프로그래밍함으로써 블록이 끼워지는 방향에 상관 없이 동일한 계이름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록의 패턴을 회전 대칭으로 하거나, 블록의 패턴을 인식한 프로그램에서 회전을 고려하거나, 이 둘을 조합함으로써 블록이 끼워지는 방향에 상관없이 동일한 계이름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Melody block coupling parts 1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y board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melody blocks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4A is a plan view of the melody block coupling portion 1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4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thereof. A plurality of mechanical switches 40 ar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melody block coupling part 11 so as to recognize an uneven pattern formed on the lower outer wall of the melody block 90 to be coupled. In the recesses of these patterns the switch is projected inactive and in the recess the switch is sensed by the circuit in the pressed active state. The eight switches have their 'on' and 'off' states recognized as binary '0' and '1', respectively, and can be recognized as 8-bit binary code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C, 'degree' is recognized as '01111110' and 'les' as '01000000'. In case of 'Le', it will be recognized as '00000100' by inserting the block 90 degrees, but by programming both codes as 'Le', it can be recognized as the same system name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ock is insert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ake the pattern of the block rotationally symmetrical, to consider the rotation in a program that recognizes the pattern of the block, or to combine the two to recognize the same system name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ock is inserted.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멜로디 블록 결합부(11)의 내측에 그 결합된 블록을 향해 설치되어 현재 연주되는 멜로디 블록을 발광시키는 복수의 조명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부(20)는 발광 다이오드(25)와, 예를 들면 아크릴과 같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며 밑면 및 측벽에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이 코팅되는 광가이드부재(21)를 포함한다. 광가이드부재(21)의 상면은 투명하며, 멜로디 블록(90)의 안내부(93) 밑면에 밀착되어 빛을 연속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20 installed inside the melody block combiner 11 toward the combined block to emit light of the currently played melody block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4B, in one embodiment, the lighting unit 20 is formed of a light emitting diode 25 and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acryl, and a groove into which the light emitting diode is fitted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The side wall includes a light guide member 21 coated with a reflective surface for reflecting light.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member 21 is transparent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93 of the melody block 90 to guide light continuously.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요철(凹凸) 패턴은 멜로디 블록의 하부 밑바닥에 형성되고, 멜로디 블록 결합부의 바닥에 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기계적인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uneven pattern is formed at the bottom bottom of the melody block, a plurality of mechanical switches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melody block coupling portion may be installed.

도 5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멜로디 블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의 위 도면은 이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의 하부 밑바닥에 형성된 요철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정해진 위치에 돌출된 기둥들(61)을 없애거나 남기는 패터닝에 의해 블록의 식별정보가 표현될 수 있다. 도 5의 아래 도면은 이 실시예에 대응되는 블록 결합부(11)의 바닥에 형성된 멜로디 블록 감지부(331)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감지부는 기계적인 누름 스위치(미도시)가 도시된 키캡(keycap)(63) 아래에 설치되어 있어, 도 5a에 도시된 요철 패턴의 돌봉이 결합되면 키캡(63)이 바닥면(65)에 대해 하강하면서 누름 스위치가 기계적으로 눌러지고, 제어부(110)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그 스위치 온/오프 여부를 스캔하여 패턴을 인식한다. 그러나, 기계적인 스위치 외에 광학적인 감지나 기타 접촉 스위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도, 패턴은 방사대칭으로 형성되어, 블록이 결합되는 방향에 무관하도록 동일하게 인식될 수 있다. 그러나, 비록 패턴이 방사대칭이 아니더라도, 상이한 패턴을 제어부(110)가 동일하게 인식하도록 프로그래밍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5 shows one embodiment of a melody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upper figure of FIG. 5 shows an example of the uneven pattern formed at the bottom bottom of the block in this embodim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lock may be expressed by patterning to remove or leave the pillars 61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position. 5 shows an example of the melody block detector 331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lock coupling unit 11 corresponding to this embodiment. The illustrated sensing unit is installed under a keycap 63 in which a mechanical push switch (not shown) is shown, and when the protrusions of the uneven pattern shown in FIG. 5A are combined, the keycap 63 is bottomed 65. The push switch is mechanically pressed while descending relative to, and the microprocessor of the controller 110 scans whether the switch is on or off and recognizes the pattern. However, in addition to mechanical switches, optical sensing or other contact switches may be us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pattern is formed radially symmetrically, so that the pattern can be recognized the same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ocks are combined. However, even if the pattern is not radially symmetrical, the same effect can be achieved by programming the controller 110 to recognize the different pattern the same.

멜로디 블록의 식별을 위한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블록에 내장된 알에프 아이디(RF-ID)나, 광학적인 패턴을 인식하는 구성이 될 수도 있다. The configuration for identifying the melody block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 example, an RFID ID embedded in the block or a configuration for recognizing an optical pattern.

또다른 양상에 따라 놀이판 본체(10)의 상면에는 음원 블록 결합부들(13-1, 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블록들은 표시하는 음의 종류, 예를 들면 피아노, 트럼펫, 실로폰, 드럼 등의 악기 소리, 개소리, 새소리 등의 동물 소리, 계이름을 노래하는 사람소리, 방귀소리 등을 아동들이 식별할 수 있도록 표면에 그림이 그려져 있다. 음원 블록을 바꾸어 결합시키면 그에 따라 블록 완구에서 재생되는 음의 종류가 바뀔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ound source block coupling parts 13-1 and 13-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y board body 10. In one embodiment, the sound source blocks may be a kind of sound to be displayed, for example, a piano, a trumpet, a xylophone, a musical instrument such as a drum, an animal sound such as a dog sound, a bird sound, a person singing a system name, a fart sound, and the like. The pictures are painted on the surface for their identification. Changing and combining the sound source blocks may change the types of sounds played in the block toys accordingly.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판 본체(10)의 상면에는 조작 패널(90)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패널(90)은 전원 온오프 및 재생음의 볼륨을 조절하는 노브(91)와, 박자, 즉 빠르기를 조절하는 노브(92)와, 게임의 종류를 지정하는 노브(93)와, 연결 연주/화음 연주를 선택하는 슬라이드 스위치(94)와, 연주모드/게임모드/저장멜로디 연주모드를 선택하는 슬라이드 스위치(96)와, 블록을 끼운 후 재생을 지시하는 재생 버튼(95)을 구비한다. 두 슬라이드 스위치의 모드들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the operation panel 9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y board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operation panel 90 includes a knob 91 for adjusting power on / off and volume of a playback sound, a knob 92 for adjusting a beat, or speed, and a knob 93 for designating a type of game. A slide switch 94 for selecting a linked performance / chord performance, a slide switch 96 for selecting a performance mode / game mode / save melody performance mode, and a playback button 95 for instructing playback after inserting a block; It is provided. The modes of the two slide switches ar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그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제어부(100)와, 운영 프로그램과 음원 데이터 및 실행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130)와, 음원을 재생하는 재생부(200)를 포함한다. 제어부(100)에서 블록으로 표현된 구성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대응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각 블록의 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현되는 전자제품을 기술함에 있어서 이들을 기능적으로 정의하는 것이 피할 수 없다는 점이 이해되어져야 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능적으로 구분한 각 블록들은 상호간에 엄격하게 구별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lock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the block for teaching education of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100 implemented as a microprocessor and a program executed by the same, a memory 130 in which an operating program, sound source data, and execution data are stored, and a sound source. And a reproducing unit 200 for reproducing. Components represented by blocks in the controller 100 are implemented by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microprocessor. Th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ubstance of each block includes program code, and that functional definitions of them are inevitable in describing electronics that are implemented including computer programs. In addition, each block that functionally separates such program code should not be strictly interpreted from each other.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하나의 플래쉬 메모리일 수도 있고, EEPROM과 RAM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재생부(200)는 미디(MIDI) 음원을 재생하는 재생부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들은 두 줄이 삽입될 수 있고, 이 두 줄은 연속적으로 혹은 동기화되어 동시에 화음으로 연주될 수 있다. 따라서 재생부(200)는 혼합기(mixer)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부(200)는 두 개의 미디 재생기와, 이들 출력을 혼합하는 혼합기와, 혼합기의 출력을 지시된 정도로 증폭하는 증폭기와,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가청 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30 may be, for example, one flash memory, or may be composed of an EEPROM and a RAM. In one embodiment, the playback unit 200 is a playback unit that plays back a MIDI sound sourc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blocks may be inserted with two strings, which may be played in chords simultaneously or in synchronization. Therefore, the regeneration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mixer circuit. For example, the playback unit 200 may include two MIDI players, a mixer for mixing these outputs,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mixer to the indicated degree,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amplified audio signal as an audible signal. have.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는 각각에 멜로디 블록들(9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멜로디 블록 결합부(11)에 설치되며, 각각이 그 대응되는 멜로디 블록 결합부(11)에 결합된 멜로디 블록(90)의 높이에 따라 상이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멜로디 블록 감지부들(331)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멜로디 블록 감지부(331)는 결합되는 멜로디 블록의 하부 외측벽에 형성된 요철(凹凸) 패턴을 인식하도록 멜로디 블록 결합부의 내측벽에 설치된 복수의 기계적인 스위치를 포함하되, 멜로디 블록이 결합되는 방향에 무관하게 멜로디 블록을 인식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c와 도 4a, 도 4b에 관련된 설명을 참조한다. Blocks for teaching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installed in the melody block coupling unit 11 detachably coupled to each of the melody blocks 90, each of which is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melody block coupling unit 11 It includes a plurality of melody block detectors 331 for outputting a different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melody block 90. In one embodiment, the melody block detector 331 includes a plurality of mechanical switche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melody block coupling portion to recognize the uneven pattern formed on the lower outer wall of the melody block to be coupled, the melody block Recognize melody blocks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y are combin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C, 4A, and 4B.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부 인터페이스(330)는 이들 스위치들을 스캔하여 이진값으로 제어부(10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멜로디 블록 감지부들(331)이 제어부(100)의 입출력 포트들로 개별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In an embodiment, the detector interface 330 may scan these switches and output the binary values to the controller 100 as a binary value. However, the melody block detectors 331 may be individually input to the input / output ports of the controller 100.

제어부(100)는 멜로디 블록 감지부들(331)로부터 출력된 전기적인 신호들에 따라 결합된 각 멜로디 블록들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진 음을 순차적으로 재생하여 멜로디를 연주하도록 제어하는 멜로디 블록 연주부(111)를 포함하는 연주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주 제어부(110)는 조작부(500)의 빠르기 지시부(510), 볼륨 지시부(530)에서 지시된 볼륨 및 빠르기에 따라 재생부(200)를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00 plays a melody block by sequentially playing a sound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each melody block combined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s output from the melody block detectors 331 to play the melody. And a performance control unit 110 that includes 111. In one embodiment,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playback unit 200 according to the speed indicator 510 of the operation unit 500, the volume and the speed indicated by the volume indicator 530.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블록 완구는 복수의 음원 블록들 중 하나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음원 블록 결합부(13)에 설치되며, 음원 블록의 종류에 따라 연주 제어부(110)로 상이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여 연주 제어부(110)가 재생하는 음원의 종류를 지정하는 음원 블록 감지부(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the block toy is installed in the sound source block combiner 13 to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 blocks is detachably coupled, and outputs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to the play controller 11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ound source block. The sound control block 110 may further include a sound source block detector 311 which designates a type of a sound source to be reproduced.

음원 블록의 하부에는 멜로디 블록과 유사하게 요철 패턴, 광학 패턴 혹은 알에프 아이디와 같은 수단이 구비되어 놀이판 본체(10) 내부의 회로가 음원 블록을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음원 데이터들은 놀이판 본체(10) 내부의 메모리에 모두 저장되어 있고, 음원 블록은 단지 이들 중 하나를 지정하는 기능을 한다. Similar to the melody block, the lower portion of the sound source block is provided with a means such as an uneven pattern, an optical pattern or an RFID ID to enable a circuit inside the play board body 10 to identify the sound source block. The sound source data available in this embodiment are all stored in a memory inside the play board body 10, and the sound source block only functions to designate one of them.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음원 블록의 내부에는 알에프 아이디가 내장되고, 알에프 아이디의 내부 메모리에는 각 음원의 미디(MIDI) 데이터가 저장되어 직접 놀이판 본체(10) 내부의 회로에 구비된 알에프 아이디 리더(reader) 회로가 음원 데이터를 읽어갈 수 있다. 또다른 예로 음원 블록의 내부에 메모리가 구비되고 음원 블록 결합부에 구비된 전기적인 접점을 통해 이들 메모리의 데이터를 놀이판 본체(10) 내부의 회로를 통해 읽어낼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블록 내부에 음원 데이터가 구비되기 때문에 음원 블록을 구매함으로써 새로운 종류의 멜로디를 추가로 즐길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For example, an RFID ID is embedded in the sound block, and the MIDI data of each sound source is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RFID ID so that the RFID ID reader circuit is directly provided in a circuit inside the play board main body 10. Can read sound source data. As another example, a memory may be provided inside the sound source block, and data of these memories may be read through a circuit inside the play board body 10 through electrical contacts provided in the sound source block coupling unit.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ound source data is provided inside the sound source block, a new kind of melody can be additionally enjoyed by purchasing the sound source block.

블록 완구는 음원 블록 감지부(311)를 구동하며, 그 입력된 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하는 음원 지정 인터페이스(31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음원 지정 인터페이스(310)는 제어부(100)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입출력 포트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The block toy may further include a sound source designation interface 310 for driving the sound source block detector 311 and outputting the input signal to the controller 100. The sound source designation interface 310 may be connected to one of the input / output ports of the microprocessor constituting the controller 100.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블록 완구는 연주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현재 연주되는 음의 위치에 대응하는 조명부(20)를 발광시키는 발광 구동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구동부(350)는 조명부(20)의 발광 다이오드(25)가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어레이 발광 다이오드(Array-LED) 구동칩이며, 제어부(350)는 발광 구동부(350)의 레지스터에 값을 기록함으로써 해당 비트의 발광 다이오드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block toy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ssion driver 350 that emits the lighting unit 2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rrently played sound under the control of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111. In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driver 350 is an array LED driver chip to which the light emitting diodes 25 of the lighting unit 20 are individually connected, and the controller 350 is a register of the light emitting driver 350. By writing the value in, it is possible to turn on / off the LED of the corresponding bit.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블록 완구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멜로디를 추출하여 재생부(200)가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저장멜로디 연주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멜로디는 다양한 미디 음원의 연주를 포함하는 미디 음악일 수도 있고, 엠피쓰리 음원일 수도 있다. 블록 완구를 즐기는 아동은 자신이 블록으로 연주를 제어하지 않고 저장된 신나는 음악을 들을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the block toy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melody player 113 for extracting the melody stored in the memory 130 to control the playback unit 200 to play. The storage melody may be MIDI music including performance of various MIDI sources, or may be an MP3 sound source. Children who play block toys may listen to exciting music stored without having to control their playing with blocks.

추가적으로, 연주 제어부는 멜로디 블록을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두 그룹에 대응되는 멜로디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연주하되, 그 높이에 대응하는 음들을 동시에 동기화시켜 연주하는 화음 연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블록 완구에 있어서 2줄의 음원 블록 결합부를 각 줄에 따라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두 그룹에서 오른쪽에 결합된 블록부터 순차적으로 두 블록에 대응되는 음들이 동시에 동기화되어 연주됨으로써 유아가 화음에 대한 감각을 가지도록 도와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rformanc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hord player that divides the melody block into two groups, sequentially plays melody blocks corresponding to the two groups, and simultaneously synchronizes the notes corresponding to the heights. For example, in the block toy shown in FIG. 1, two lines of sound source block coupling units may b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each line. In the two groups, the blocks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may be sequentially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infant may have a sense of harmony.

추가적으로, 블록 완구는 타 블록 완구와 통신하는 장치간 통신부(900)를 더 포함하고, 연주 제어부(110)는 장치간 통신부(900)를 통해 타 블록 완구의 연주 제어부와 연동하여 두 블록 완구에 결합된 블록들의 높이에 대응하는 음들을 동시에 동기화시켜 연주하는 화음 연주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간 통신부(900)는 예를 들면 RS-232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블록 완구끼리 직렬 통신 케이블로 연결함으로써 두 블록 완구를 연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장치간 통신부(900)를 두 개 구비함으로써 3개 이상의 블록 완구를 연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가장 앞단에 연결된 블록 완구가 마스터가 되어 모든 블록 완구를 제어한다. 마스터 블록 완구는 모드 지정부(550)에서 지정된 재생 모드를 체크한다. 만약 재생 모드가 화음 연주 모드이면, 화음 연주부(115)가 실행된다. Additionally, the block toy further includes an inter-device communication unit 900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block toys,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110 is coupled to the two block toys in cooperation with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of the other block toys through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unit 900 A chord player 115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play the notes corresponding to the heights of the blocks.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unit 900 may be, for example, an RS-232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Block toys can be linked with each other by connecting them with a serial communication cable. Furthermore, by providing two communication device 900 between the devices it is possible to interlock three or more blocks toys. At this time, the block toy connected to the front end becomes the master and controls all block toys. The master block toy checks the reproduction mode designated by the mode designation unit 550. If the playback mode is a chord playing mode, the chord playing unit 115 is execu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터 블록 완구의 화음 연주부(115)는 조작부(500)에서 지시된 빠르기와 볼륨 정보를 장치간 통신부(900)를 통해 슬레이브 블록 완구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후에 마스터 블록 완구의 화음 연주부(115)는 연주 개시를 슬레이브 블록 완구에게 지시한 후, 자신의 멜로디 블록 검출부(331)를 읽어들여 조작부(500)에서 지시된 빠르기와 볼륨으로 각 멜로디 블록에 해당하는 음을 순차적으로 연주할 수 있다. 슬레이브 블록 완구의 화음 연주부(115)는 장치간 통신부(900)를 통해 수신한 빠르기와 볼륨 정보에 따라 재생부(200)를 설정하고 대기하다가 장치간 통신부(900)를 통해 연주 개시 지시를 수신하면, 자신의 멜로디 블록 검출부(331)를 읽어들여 각 멜로디 블록에 해당하는 음을 순차적으로 연주하도록 재생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hord playing unit 115 of the master block toy may transmit the speed and volum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operation unit 500 to the slave block toy through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unit 900. Thereafter, the chord playing unit 115 of the master block toy instructs the slave block toy to start playing, and then reads its own melody block detection unit 331 to each melody block at the speed and volume indicated by the operation unit 500. You can play the corresponding notes sequentially. The chord playing unit 115 of the slave block toy sets and plays the playback unit 200 according to the speed and volum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unit 900, and then receives a play start instruction through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unit 900. In this case, the playback unit 200 may be controlled to read its own melody block detector 331 and sequentially play a sound corresponding to each melody block.

또다른 양상에 따라, 블록 완구는 타 블록 완구와 통신하는 장치간 통신부(900)를 더 포함하고, 연주 제어부(110)는 장치간 통신부(900)를 통해 타 블록 완구의 연주 제어부와 연동되어 두 블록 완구에 결합된 블록들의 높이에 대응하는 음들을 순차적으로 연주하는 연결 연주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간 통신부(900)는 예를 들면 RS-232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블록 완구끼리 직렬 통신 케이블로 연결함으로써 두 블록 완구를 연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장치간 통신부(900)를 두 개 구비함으로써 3개 이상의 블록 완구를 연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가장 앞단에 연결된 블록 완구가 마스터가 되어 모든 블록 완구를 제어한다. 마스터 블록 완구는 모드 지정부(550)에서 지정된 재생 모드를 체크한다. 만약 재생 모드가 연결 연주 모드이면, 연결 연주부(117)가 실행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block toy further includes an inter-device communication unit 900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block toys,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110 is interlocked with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of the other block toys through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unit 900 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laying unit 117 for sequentially playing the sounds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blocks coupled to the block toys.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unit 900 may be, for example, an RS-232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Block toys can be linked with each other by connecting them with a serial communication cable. Furthermore, by providing two communication device 900 between the devices it is possible to interlock three or more blocks toys. At this time, the block toy connected to the front end becomes the master and controls all block toys. The master block toy checks the reproduction mode designated by the mode designation unit 550. If the play mode is the connected playing mode, the connected playing unit 117 is execu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터 블록 완구의 연결 연주부(117)는 조작부(500)에서 지시된 빠르기와 볼륨 정보를 장치간 통신부(900)를 통해 슬레이브 블록 완구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후에 마스터 블록 완구의 연결 연주부(117)는 자신의 멜로디 블록 검출부(331)를 읽어들여 조작부(500)에서 지시된 빠르기와 볼륨으로 각 멜로디 블록에 해당하는 음을 순차적으로 연주할 수 있다. 이후에 마스터 블록 완구의 연결 연주부(117)는 연주 개시를 슬레이브 블록 완구에게 지시한다. 슬레이브 블록 완구의 연결 연주부(117)는 장치간 통신부(900)를 통해 수신한 빠르기와 볼륨 정보에 따라 재생부(200)를 설정하고 대기하다가 장치간 통신부(900)를 통해 연주 개시 지시를 수신하면, 자신의 멜로디 블록 검출부(331)를 읽어들여 각 멜로디 블록에 해당하는 음을 순차적으로 연주하도록 재생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nnection playing unit 117 of the master block toy may transmit the speed and volum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operation unit 500 to the slave block toy through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unit 900. Subsequently, the connection playing unit 117 of the master block toy reads its own melody block detection unit 331 and sequentially plays the notes corresponding to each melody block at the speed and volume indicated by the operation unit 500. Thereafter, the connection playing unit 117 of the master block toy instructs the slave block toy to start playing. The connection player 117 of the slave block toy sets the playback unit 200 according to the speed and volum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unit 900, waits, and receives a play start instruction through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unit 900. In this case, the playback unit 200 may be controlled to read its own melody block detector 331 and sequentially play a sound corresponding to each melody block.

추가적으로, 블록 완구는 재생부(200)를 통해 멜로디를 재생하고, 멜로디 블록 감지부들(331)로부터 출력된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결합된 각 멜로디 블록들을 식별하여 그 식별 결과에 따라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진행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게임진행부(150-1)는 재생부(200)를 통해 게임을 위해 메모리(130)에 저장된 4 마디 분의 멜로디를 반복하여 연주하면서 멜로디 블록 검출부(331)에 결합되는 멜로디 블록을 인식한다. 각 멜로디 블록 검출부(331)에 연주되는 멜로디의 해당 위치의 음정과 상이한 음정을 가진 멜로디 블록이 결합되면 에러를 알리는 비프음이 출력된다. 올바른 멜로디 블록이 결합되면 축하하는 짧은 멜로디가 출력된다. 전체 4 마디 분이 모두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예를 들어 "참 잘 했어요"라는 칭찬 멘트가 출력될 수 있다. 정해진 시간 안에 완료하지 못한 경우 예를 들어 "한번 더 도전하세요"라는 멘트가 출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ock toy plays a melody through the play unit 200, and identifies each melody block combined in accordance with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melody block detectors 331 to play the game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result The process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For example, the first game progressing unit 150-1 is melody coupled to the melody block detection unit 331 while repeatedly playing 4 melodies stored in the memory 130 for the game through the play unit 200. Recognize the block. When a melody block having a different pitch from the pitch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melody played in each melody block detector 331 is combined, a beep sound notifying an error is output. When the correct melody block is combined, a short melody congratulating is output. If all four sections complete successfully, a complimentary comment that says, "Well done" can be printed. If you do not complete in a certain amount of time, for example, the words "challenge once more" may be printed.

예를 들어 제 2 게임진행부(150-2)는 완구 내에서 말한 계이름에 맞는 블록을 꽂는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재생부(200)에서 음성 멘트로 16개의 계이름이 출력되고, 그에 따라 아동은 해당하는 블록을 찾아 순차적으로 블록 완구에 결합한다. 멜로디 블록 검출부(331)에 결합되는 멜로디 블록을 인식한다. 각 멜로디 블록 검출부(331)에 지시된 계이름과 상이한 계이름에 대응되는 멜로디 블록이 결합되면 에러를 알리는 비프음이 출력된다. 올바른 멜로디 블록이 결합되면 축하하는 짧은 멜로디가 출력된다. 전체 4 마디 분이 모두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예를 들어 "참 잘 했어요"라는 칭찬 멘트가 출력될 수 있다. 정해진 시간 안에 완료하지 못한 경우 예를 들어 "한번 더 도전하세요"라는 멘트가 출력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game progress unit 150-2 may play a game of inserting a block corresponding to the system name mentioned in the toy. 16 system names are output from the reproducing unit 200 as voice comments, and accordingly, the child finds the corresponding block and sequentially combines the block toys. Recognize the melody block coupled to the melody block detector 331. When a melody block corresponding to a system name different from the system name indicated by each melody block detector 331 is combined, a beep sound notifying an error is output. When the correct melody block is combined, a short melody congratulating is output. If all four sections complete successfully, a complimentary comment that says, "Well done" can be printed. If you do not complete in a certain amount of time, for example, the words "challenge once more" may be printed.

예를 들어 제 3 게임 진행부(150-3)는 드럼 게임 혹은 박자에 맞추어 블록을 꽂는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재생부(200)에서 박자를 알리는 북소리가 출력되고, 그에 맞추어 재빨리 블록을 결합시키면 성공이다. 북소리에 얼마나 정확히 동기하여 블록이 결합되는지가 체크되며, 블록의 종류는 체크되지 않는다. 동기의 정도가 벗어나면 점수가 감점되고, 최종적으로 획득한 점수가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ird game progress unit 150-3 may play a drum game or a game of inserting blocks according to the beat. A drum sound notifying the beat is output from the playback unit 200, and successively combining blocks accordingly is successful. It is checked how exactly the blocks are combin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rum sound, and the type of the block is not checked. If the degree of motivation is off, the score may be deducted, and the finally obtained score may be output by voice.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당업자라면 도출할 수 있는 자명한 변형예들을 포괄한다. 첨부된 청구범위는 이러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양상들은 기술적으로 모순이 없는 한 상호간에 독립적이며, 다양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청구항에 추가로 한정된 양상들은 기술적으로 양립할 수 있는 다른 청구항들에 기재된 양상들과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ncompasses obv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deri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these modifications. In addition,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utually independent and may be variously combined, unless technically contradictory. For example, aspects further defined in each claim may be variously combined with aspects described in other claims that are technically compatible.

10 : 놀이판 본체 30 : 프레임
50 : 수납장 71~74 : 다리
90 : 멜로디 블록
100 : 제어부 110 : 연주 제어부
130 : 메모리 150 : 게임진행부
310 : 음원지정 인터페이스 330 : 감지부 인터페이스
350 : 발광 구동부 500 : 조작부
900 : 장치간 통신부
10: play board body 30: frame
50: cabinet 71-74: legs
90: Melody Block
100: control unit 110: play control unit
130: memory 150: game progression
310: sound source designation interface 330: sensor interface
350: light emission drive unit 500: operation unit
900 communication device

Claims (10)

높이가 다양한 멜로디 블록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멜로디 블록 결합부와;
멜로디 블록 결합부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의 기계적인 스위치를 통해 결합되는 멜로디 블록의 하부에 형성된 요철(凹凸) 패턴을 인식하여 그 멜로디 블록의 높이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되, 방사대칭이 아닌 요철 패턴에 대해서도 멜로디 블록이 결합되는 방향에 무관하게 동일한 멜로디 블록으로 인식하여 동일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도록 프로그래밍된 복수의 멜로디 블록 감지부들과;
각 멜로디 블록 감지부들로부터 출력된 전기적인 신호들에 따라 결합된 각 멜로디 블록들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진 음을 재생하되, 멜로디 블록 결합부의 배열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재생하여 멜로디를 연주하도록 제어하는 멜로디 블록 연주부를 포함하는 연주 제어부와;
연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멜로디를 재생하는 재생부;
를 포함하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A plurality of melody block coupling parts to which melody blocks of various heights can be detachably coupled, respectively;
A plurality of mechanical switche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melody block joining portion to recognize a concave and convex pattern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melody block and output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melody block, A plurality of melody block sensing units which are programmed to recognize the pattern as the same melody block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melody blocks are combined and output the same electrical signal;
Controls to play the melody by sequentially playing the sound having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each melody block combined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s output from the respective melody block detectors in the order of arrangement of the melody block combiner. A playing control unit including a melody block playing unit;
A playback unit for reproducing the melody under the control of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Music educational block toys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블록 완구는 :
멜로디 블록 결합부의 내측에 그 결합된 블록을 향해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부와;
연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현재 연주되는 음의 위치에 대응하는 조명부를 발광시키는 발광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lock toys are: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installed inside the melody block coupling unit toward the combined block;
A light emission driver to emit an illumination unit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 currently played sound under the control of the performance controller;
Music educational block toys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블록 완구는 :
블록 하부에서 위쪽으로 빛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안내부에서 안내된 빛을 블록 상부에서 확산시키는 상부 확산부를 포함하는 멜로디 블록;
을 더 포함하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lock toys are:
A melody block including a guide portion for guiding light up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block and an upper diffusion portion for diffusing light guided by the guide portion above the block;
Toys for music edu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블록 완구가 :
복수의 음원 블록들과;
음원 블록들 중 하나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음원 블록 결합부에 설치되며, 음원 블록의 종류에 따라 연주 제어부로 상이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여 연주 제어부가 재생하는 음원의 종류를 지정하는 음원 블록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lock toys are:
A plurality of sound source blocks;
One of the sound source blocks is installed in the sound source block coupling unit detachably coupled, the sound source block detection unit for specifying the type of the sound source reproduced by the play control unit by outputting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to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ound source block ;
Music educational block toys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블록 완구는 :
메모리에 저장된 멜로디를 추출하여 재생부가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저장 멜로디 연주부;
를 더 포함하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lock toys are:
A storage melody player which extracts the melody stored in the memory and controls the playback unit to play back;
Music educational block toys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연주 제어부가 :
멜로디 블록을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두 그룹에 대응되는 멜로디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연주하되, 그 높이에 대응하는 음들을 동시에 동기화시켜 연주하는 화음 연주부;를 더 포함하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The melody block is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he melody blocks corresponding to the two groups, but a chord playing unit for playing in synchronization with the notes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t the same time; further comprising a block for musical edu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블록 완구는 타 블록 완구와 통신하는 장치간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연주 제어부는 장치간 통신부를 통해 타 블록 완구의 연주 제어부와 연동하여 두 블록 완구에 결합된 블록들의 높이에 대응하는 음들을 동시에 동기화시켜 연주하는 화음 연주부;를 더 포함하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lock toy further comprises a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nother block toy.
The music playing block further comprises a chord playing unit for synchronizing and playing the sounds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blocks coupled to the two block toys in conjunction with the play control of the other block toys through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블록 완구는 타 블록 완구와 통신하는 장치간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연주 제어부는 장치간 통신부를 통해 타 블록 완구의 연주 제어부와 연동되어 두 블록 완구에 결합된 블록들의 높이에 대응하는 음들을 순차적으로 연주하는 연결 연주부;를 더 포함하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lock toy further comprises a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nother block toy.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performance unit for intermittently playing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blocks coupled to the two block toys in connection with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of the other block toys through the inter-device communication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블록 완구가 :
재생부를 통해 멜로디를 재생하고, 멜로디 블록 감지부들로부터 출력된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결합된 각 멜로디 블록들을 식별하여 그 식별 결과에 따라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진행부;를 더 포함하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lock toys are:
And a game progress unit for reproducing the melody through the reproduction unit, identifying each melody block combined according to the electric signals output from the melody block detection units, and proceeding the game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result.
제 1 항에 있어서, 블록 완구는 :
상면에 각 멜로디 블록 결합부들과 연주 제어부를 제어하는 조작부가 배치되고 하면은 테이블 형태로 된 놀이판 본체와;
놀이판 본체가 상면이 위로 혹은 뒤집어져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네 귀퉁이에 다리가 끼워져 고정되는 다리끼움 구멍들이 형성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다리끼움 구멍들에 삽입되는 4개의 다리;
를 포함하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lock toys are:
An operation unit for controlling each melody block coupling unit and a play control unit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play plate body having a table shape;
A frame in which the play board body is detachably coupled with its top surface turned upside down or with leg fitting holes formed with four legs fitted and fixed at four corners;
Four leg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s of the frame;
Music educational block toys comprising a.
KR1020130091156A 2013-07-31 2013-07-31 melody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KR1014055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156A KR101405535B1 (en) 2013-07-31 2013-07-31 melody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156A KR101405535B1 (en) 2013-07-31 2013-07-31 melody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612A Division KR101513690B1 (en) 2012-03-29 2012-03-29 melody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491A true KR20130111491A (en) 2013-10-10
KR101405535B1 KR101405535B1 (en) 2014-06-11

Family

ID=4963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156A KR101405535B1 (en) 2013-07-31 2013-07-31 melody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5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060B1 (en) * 2014-09-24 2017-04-2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Educational music board using block and music edu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101683022B1 (en) * 2016-02-29 2016-12-08 주식회사 휴인텍 Training aids for cording studying
KR101831334B1 (en) * 2016-03-15 2018-02-23 주식회사 휴인텍 Training aids for cording study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498Y1 (en) * 2002-02-05 2002-05-04 주식회사토이테크 Digital toy for education
KR100883587B1 (en) * 2006-04-18 2009-02-13 주식회사 라이벌코리아 Intelligent toy and control method there 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5535B1 (en)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690B1 (en) melody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US8420923B1 (en) Music playing device for symphonic compositions
US8079890B2 (en) Building block toy set
US9108114B2 (en) Tangible user interface and a system thereof
US5668333A (en) Musical rainbow toy
KR101405535B1 (en) melody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KR20130111492A (en) Melody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GB2275207A (en) Talking playset
US6454627B1 (en) Musical entertainment doll
KR102002226B1 (en) Music block and 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907341B1 (en) Electronic musical note
KR20030066839A (en) Digital toy for education
JP2004233853A (en) Music learning toy
TWM526433U (en) Musical toy
CN220142603U (en) Pixel musical instrument toy for children
CN206045393U (en) It is a kind of can independent assortment melody Music building block
US9403101B2 (en) Multiple activity toy
CN217690481U (en) Intelligence building blocks piano
KR100203473B1 (en) An electroic piano for children
KR200274498Y1 (en) Digital toy for education
KR200305518Y1 (en) Hangul Learning Device for an Infant
KR200435886Y1 (en) The Piano Toy
TWM369522U (en) Game apparatus with music memorizing
KR20180062622A (en) Sound output device linked color and method thereof
KR101479638B1 (en) Training apparatus for sense of pitch and training method for sense of pitch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