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977A - U-healthcare system and exercise amount measuring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U-healthcare system and exercise amount measuring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977A
KR20130104977A KR1020120026995A KR20120026995A KR20130104977A KR 20130104977 A KR20130104977 A KR 20130104977A KR 1020120026995 A KR1020120026995 A KR 1020120026995A KR 20120026995 A KR20120026995 A KR 20120026995A KR 20130104977 A KR20130104977 A KR 20130104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ser
user terminal
momentum
health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57210B1 (en
Inventor
최용근
곽영호
Original Assignee
(주)엠에이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이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엠에이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20026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210B1/en
Priority to PCT/KR2012/011392 priority patent/WO2013137550A1/en
Publication of KR20130104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9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2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3Repetitive work cycles; Sequence of movements
    • G09B19/0038Spor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PURPOSE: A u-health care system and a momentum measuring device for the same are provided to accurately measure momentum of a user. CONSTITUTION: A momentum measuring device (20) is loaded on sporting equipment (10) used by a user and is communicated and connected with a user terminal (100) by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Sensing values which is sensed by the momentum measuring device are delivered to a u-health care server (200) through a center medium of the user terminal after being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u-health care server are connected through a wire and wireless network (300). A screen is indicated through a fixing terminal of a large screen if the user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mart phone etc. [Reference numerals] (10) Exercise equipment; (300) Wire/wireless network; (AA) Momentum measuring device of this invention is loaded; (BB) Inside your house; (CC) Communication (ex.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DD) U-healthcare App mounted; (EE) Momentum DB included

Description

유-헬스케어시스템 및 이를 위한 운동량 측정 장치{u-healthcare system and exercise amount measuring apparatus therefor}[0001] U-HEALTH CARE SYSTEM AND MEASUREMENT MEASUREMENT DEVICE [0002]

본 발명은 u-헬스케어시스템과 이에 관련된 운동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health care system and an associated exercise quantity measurement device.

사람의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으로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일 방식으로서, 근전도 측정, 심박수 측정, 혈압 측정, 신체온도 측정 등의 생체 센서를 이용하여 운동량 또는 소모 칼로리를 추정/계산하려는 방식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근전도 측정, 혈압 측정, 신체온도 측정 등을 위해, 운동 주체인 사용자의 신체에 해당 센서를 부착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운동에 많은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device and a method for measuring the amount of exercise of a person, a method of estimating / calculating the amount of exercise or consumed calories using a biosensor such as an EMG measurement, a heart rate measurement, a blood pressure measurement, a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exist.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user must attach the sensor to the body of the user, which is the subject of exercise, in order to measure electromyography,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and the like.

다른 방식으로서, 사용자가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병진운동 등을 특정 센서로 센싱해냄으로써, 이러한 진동 또는 병진운동을 기초로 사용자의 운동량 또는 소모 칼로리를 추정/계산하려는 방식(ex. 만보기 등)이 또한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의 운동을 매우 단순화하여 운동량 등을 추정/계산하므로, 그 추정/계산치가 정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사용자에 의한 다양한 운동 형태/ 운동 자세/ 운동 종류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In another method, a vibration or translation motio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he user's motion is sensed by a specific sensor, and a method of estimating / calculating the user's exercise amount or consumed calorie based on the vibration or translational motion Etc.) are also present.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estimation / calculation value is not accurate because the user's motion is greatly simplified and the momentum is estimated / calculated. Also, there is a limit that does not reflect various types of exercise / there was.

또한 종래의 u-헬스케어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 센싱 결과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건강 관련 지표의 안내, 질병 예방 등에 주로 초점을 두고 있었고, 사용자의 운동과 관련하여 실시간 측정 및 관리해주기 위한 시스템과 관련하여서는 구체적으로 상용화되고 있는 사례가 드문 상태이다. 일부, 헬스클럽 등과 연계하여 운동 관련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사례도 추진되고 있으나, 이는 헬스클럽 또는 체육시설 내에서의 운동에 한정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댁 내에서 운동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이때에도 적용될 수 있는 매우 간편하고 저렴한 방식의 u-헬스케어시스템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u-healthcare system collects results of user's bio-signal sensing, mainly focuses on guidance of health-related indexes and prevention of diseases, and provides a system for real- There is a very rare case of being commercially available. In some cases, an exercise-related management system is established in cooperation with a health club, but this is limited to exercise in a health club or a sports facility, and it is assumed that a user exercises directly in the home A very simple and inexpensive u-healthcare system that can be applied is not yet available.

본 발명은 개선된 운동량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u-헬스케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momentum measuring device and a u-health car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사용자의 운동량(운동에너지) 측정 과정에서 병진운동에너지 이외에 회전운동에너지까지도 모두 반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량을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운동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mentum measuring device capable of more accurately measuring a momentum of a user by allowing rotational kinetic energy to be reflected in a user's momentum (kinetic energy) measuring process in addition to translational kinetic energy to be.

이를 위해, 사용자의 운동량(운동에너지)을 측정함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이외에도 고도 센서를 이용하며, 재귀적 추정/측정이 가능한 칼만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병진운동 및 회전운동을 보다 정밀히 측정한다.For this purpose, in order to measure the user's momentum (kinetic energy), the translational motion and rotational motion are measured more precisely by using an altitude sensor in addition to the acceleration sensor / gyro sensor and a Kalman filter capable of recursive estimation / measurement.

또한 운동기구 또는 운동보조기구를 이용한 사용자의 다양한 운동 자세/ 운동 패턴 등에 따른 운동 종류를 간단히 센서 조합으로 판단해내고, 이를 통해 판단해낸 특정 종류의 운동에서 사용자의 운동량(운동에너지)에 대응되는 칼로리 소모량을 보다 정확히 계산해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운동 과정에서 사용자의 운동/행동에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운동량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kind of exercise based on various exercise attitudes / exercise patterns of the user using the exercise device or the exercise assisting device by using the sensor combination, and to determine the calorie corresponding to the exercise amount (kinetic energ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consumption more accurately and provides a devic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exercise which can minimize disturbance of the user's movement / behavior during the exercise process.

또한 운동량 측정 장치를 착탈식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운동기구에 손쉽게 적용하여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mentum measuring device can be detachable, so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to various exercise devices to measure the momentum.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운동량 측정 장치와, 사용자 단말, u-헬스케어 서버 간의 통신 연동을 통해, 운동기구(운동량 측정 장치가 탑재됨)를 이용한 사용자의 댁 내의 운동에 대하여 그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u-헬스케어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해당 운동에 관한 다양한 정보, 안내, 관리를 제공받을 수 있는 u-헬스케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 movement of a user's home using a fitness device (mounted with a momentum measurement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link between a momentum measurement device and a user terminal and a u- Healthcare system capable of receiving various information, guidance, and management about the exercise from the u-healthcare server through the terminal of the u-healthcare server in real time.

이러한 u-헬스케어시스템은, 그 서버와 사용자 단말 간 통신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해당 운동과 관련된 실시간 보조/안내를 제공하며, 더 나아가 헬스클럽 업체 단말과 통신 연계됨으로써 원격에서도 다양한 운동 체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운동 관리 프로그램 또는 운동 보조 게임의 형태로 가상의 운동 보조자/설계자 혹은 원격의 타 사용자와의 협업을 통해 운동의 즐거움 및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The u-healthcare system provides real-time assistance / guidance related to the exercise to the user via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and further provides a variety of exercise experiences remotely by communicating with the health club vendor terminal And can be designed to greatly enhance the enjoyment and efficiency of the movement through collaboration with a virtual athletic assistant / designer or other remote user in the form of an exercise management program or an exercise assistant g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운동기구에 탑재된 운동량 측정 장치와, 사용자 단말과, u-헬스케어 서버를 포함하는 u-헬스케어시스템으로서,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u-healthcare system including a momentum measurement device mounted on a fitness device, a user terminal, and a u-healthcare server,

상기 u-헬스케어 서버는,The u-healthcare server comprises:

상기 운동량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운동기구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 관련 센싱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운동량에 상응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환산하고, 상기 환산된 칼로리 소모량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며,Calculating a user's amount of exercis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when the user's exercise-related sensing information using the exercise device measured by the exercise amount measuring device is received, converting the calorie consumptio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exercise amount, And transmits data on the converted calorie consumption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달된 칼로리 소모량에 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표출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may display data on the transmitted calorie consump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운동기구에 탑재된 운동량 측정 장치와, 사용자 단말과, u-헬스케어 서버를 포함하는 u-헬스케어시스템으로서,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u-health care system including a momentum measurement device mounted on a fitness device, a user terminal, and a u-healthcare server,

상기 사용자 단말은,The user terminal comprises:

상기 운동량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운동기구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 관련 센싱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운동량에 상응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환산하고, 상기 환산된 칼로리 소모량에 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표출하고, 상기 산출된 운동량 및 상기 산출된 칼로리 소모량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u-헬스케어 서버로 전달하며,Calculating a user's amount of exercis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when the user's exercise-related sensing information using the exercise device measured by the exercise amount measuring device is received, converting the calorie consumptio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exercise amount, Displaying the converted calorie consumption data on a screen of a display device,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calculated amount of exercise and the calculated calorie consumption amount to the u-healthcare server,

상기 u-헬스케어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와 관련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The u-health care server may store and man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형태의 운동량 측정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운동량(운동에너지) 측정 과정에서 병진운동에너지 이외에 회전운동에너지까지도 모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이외에도 고도 센서를 이용하며, 재귀적 추정/측정이 가능한 칼만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병진운동 및 회전운동을 보다 정밀히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mproved type of momentum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flect rotational kinetic energy in addition to the translational kinetic energy in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user's momentum (kinetic energy), and in addition to the acceleration sensor / gyro sensor, And using a Kalman filter capable of recursive estimation / measurement,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translational motion and the rotational motion more precise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형태의 운동량 측정 장치에 의하면, 운동기구 또는 운동보조기구를 이용한 사용자의 다양한 운동 자세/ 운동 패턴 등에 따른 운동 종류를 간단히 센서 조합으로 판단해내고, 이를 통해 판단해낸 특정 종류의 운동에서 사용자의 운동량(운동에너지)에 대응되는 칼로리 소모량을 보다 정확히 계산해낼 수 있으며, 운동 과정에서 사용자의 운동/행동에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음. 또한 운동량 측정 장치를 착탈식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운동기구에 손쉽게 적용하여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improved form of exercise quantity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type of exercise according to various exercise attitudes / exercise patterns of the user using the exercising device or the exercise assisting devic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calorie consump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mentum (kinetic energy) more precisely in the specific kind of exercise performed, and to minimize disturbance of the user's exercise / action in the exercise process. In addition, the momentum measuring device can be detachable, so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to various exercise devices to measure the momentu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헬스케어시스템은, 상술한 운동량 측정 장치와, 사용자 단말, u-헬스케어 서버 간의 통신 연동을 통해, 운동기구(운동량 측정 장치가 탑재됨)를 이용한 사용자의 댁 내의 운동에 대하여 그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u-헬스케어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해당 운동에 관한 다양한 정보, 안내, 관리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u-healthcar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in which a user's home using a fitness device (mounted with a momentum measurement devic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above-described exercise amount measurement device and a user terminal and a u- The user can receive various information, guidance, and management about the exercise in real time from the u-healthcare server through his / her terminal.

또한 이러한 u-헬스케어 시스템에 의하면, 그 서버와 사용자 단말 간 통신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해당 운동과 관련된 실시간 보조/안내를 제공하며, 더 나아가 헬스클럽 업체 단말과 통신 연계됨으로써 원격에서도 다양한 운동 체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운동 관리 프로그램 또는 운동 보조 게임의 형태로 가상의 운동 보조자/설계자 혹은 원격의 타 사용자와의 협업을 통해 운동의 즐거움 및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u-healthcare system,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real-time assistance / guidance related to the exercis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Further, by communicating with the health club terminal, And can greatly improve the enjoyment and efficiency of the exercise by collaborating with a virtual athletic assistant / designer or other remote user in the form of an exercise management program or an exercise assistant game.

도 1은 본 발명의 u-헬스케어시스템 전반에 관한 개념도.
도 2는 운동 관리 시스템으로서 기능하는 u-헬스케어시스템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의 일 예.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u-헬스케어시스템에 이용되는 운동량 측정 장치에 관한 일 예시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헬스케어 서버에 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량 측정 장치 및 u-헬스케어시스템을 통한 운동량 측정 및 운동 보조/관리 방법에 관한 일 예시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량 측정 장치 및 u-헬스케어시스템을 통한 운동량 측정 및 운동 보조/관리 방법에 관한 다른 예시의 순서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overall u-health ca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of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a u-healthcare system functioning as a movement management system.
3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 momentum measurement device for use in a u-healthcare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u-healthcar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of an example of a method of measuring exercise amount and aiding / managing method using a momentum measuring apparatus and a u-health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of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measuring exercise amount and aiding / managing method using a momentum measuring apparatus and a u-health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설명][Description of Fig. 1]

도 1은 본 발명의 u-헬스케어시스템 전반에 관한 개념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overall u-healthca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u-헬스케어시스템의 전체 개념을 살펴보면, 중앙의 u-헬스케어 서버(후술할 도 2의 도면부호 200번 참조)는, 1) 첫째로, 유비쿼터스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계됨으로써, 그 사용자의 운동 및 건강을 보조/관리해주며, 2) 둘째로, 현실의 타 사용자 또는 가상의 경쟁자와의 경쟁 관계 도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가상의 운동 대결/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해주며, 3) 셋째로, 헬스클럽 또는 체육시설 단말과의 통신 연계를 통해 해당 업체/시설의 관리자 또는 운동 설계자와의 연계 또는 그로부터의 운동 보조/관리도 실시간으로 가능하도록 해주며, 또한 그 헬스클럽 또는 체육시설 내의 특정 룸 내에서의 운동 관련 실시간 아케이드 운동 게임도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물론 이외에도 더욱 다양한 기능들이 더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 central u-health care server (refer to reference numeral 200 of FIG. 2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1) firstly, by communicating with a user terminal in a ubiquitous mobile environment Secondly, it enables virtual online games to be played / played by introducing competition with other users or virtual competitors in real life. Thirdly, it is possible to connect with a fitness club or a sports facility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a manager or a sports designer of the company / facility, or exercise aids / management therefrom in real time. In addition, Real-time arcade sports games in a specific room within the room. Needless to say, more various functions can be added.

즉, 본 발명의 u-헬스케어시스템은, 건강 관리 및 의료 연계 기능을 기존의 헬스케어시스템의 기능은 물론, 여기에 헬스클럽 또는 체육시설에서의 운동 보조/관리 기능, 게임/오락(엔터테인먼트)/멀티미디어/가상현실 등의 요소 등을 포괄한 토털 헬스케어시스템을 구현한다.
In other words, the u-health ca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health care and medical care function by providing functions of an existing health care system as well as exercise aids / management functions, games / entertainment (entertainment) in a health club or athletic facility, / Multimedia / Virtual Reality, and so on.

이러한 본 발명의 u-헬스케어시스템을 통해 제공 가능한 다양한 기능들 중에서도, 특히, 사용자의 운동을 실시간 보조/관리/체크해주기 위한 운동 관리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즉, 상술한 1)번 기능)에 초점을 둘 때, 본 발명의 u-헬스케어시스템은 후술할 도 2 내지 도 4와 같은 시스템 구성을 갖출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상술한 다양한 기능 및 요소 중에서도, 특히, 운동 관리 시스템으로서의 특화된 기능 및 요소들을 중심으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mong the various function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u-healthca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 function (i.e., function 1) described above as a motion management system for real time assistance / management / check of a user's motion is focused In addition, the u-healthca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system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2 to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i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articularly,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functions and elements as a motion management system, among the above-described various functions and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는 도 2 이하의 도면들에 관한 설명의 집중을 위해, 사용자가 댁 내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명세서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이러한 장소적 제한은 본 발명의 핵심 원리를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사항이 아니라는 것은 당업자라면 자명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for the purpose of concentrating the explanations relating to the drawings of FIG. 2 and subsequent drawings, the case where a user exercises in the home will be mainly described.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essential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의 설명][Description of FIG. 2]

도 2는 운동 관리 시스템으로서 기능하는 u-헬스케어시스템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의 일 예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운동 관리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헬스케어시스템은, 운동량 측정 장치(20)와, 사용자 단말(100), u-헬스케어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2 is an example of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a u-healthcare system functioning as a movement management system. Referring to FIG. 2, a u-health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erforming a function as a movement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momentum measurement device 20, a user terminal 100, a u- (200).

이때, 운동량 측정 장치(20)는 사용자가 운동에 이용하는 운동기구(10)에 탑재된다. 도 2에서는, 그러한 운동기구의 일 예로서 커틀벨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운동량 측정 장치(20)가 탑재될 운동기구는 특별한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exercise amount measuring device 20 is mounted on the exercise device 10 used by the user for exercise. In Fig. 2, a coulter bell is shown as an example of such exercise apparatus.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xercise device on which the exercise amount measuring device 20 is mount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이때, 본 명세서에서 "운동량 측정 장치가 운동기구에 '탑재'된다"라고 함은, 애초에 그 운동기구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운동량 측정 장치가 고정 삽입되어 있는 형태로 제작되거나 또는 고정 부착된 형태로 제작되는 등과 같이 제작 단계에서부터 운동기구와 운동량 측정 장치가 일체화되어 있는 케이스를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mounted on a fitness devi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that the fitness device is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the exercise quantity measurement device 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inserted, And a case in which the exercise device and the exercise amount measuring device are integrated from the manufacturing stage.

이외에도, 본 명세서에서 "운동량 측정 장치가 운동기구에 '탑재'된다"라고 함은, 운동량 측정 장치가 그 운동기구와 별개로 제작된 후, 사용자에 의해 그 운동기구에 부착 또는 삽입되는 케이스도 포괄한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위 케이스를 더 세분화하여 설명할 때, '사용자에 의해 추후 부착되는 경우'란, 일 예로, 그 운동량 측정 장치에 밴딩 장치, 고정 걸이, 접착 요소 등과 같은 착탈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이를 통해 운동기구와 일체화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추후 삽입되는 경우'란, 일 예로, 운동기구에 운동량 측정 장치를 고정 삽입시킬 수 있는 홈, 삽입구 등이 구비되어 있어 그 곳에 삽입시킴으로써 운동기구와 일체화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위의 첫 번째 예에서와 같이, 운동량 측정 장치가 착탈 수단을 구비한 경우는,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어떠한 운동기구(여기서, 운동기구는 반드시 운동기구로서 제작된 것 이외에도, 일반 도구/기구이지만 사용자가 운동하는데 이용하는 모든 기구(예를 들어, 야구 방망이 등일 수도 있음)을 포함함)에도 그 운동량 측정 장치를 적용(활용)할 수 있어, 그 활용성 측면에서 매우 큰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mounted on a fitness devi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that a case in which a momentum measurement device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fitness device, do.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when the above case is further subdivided, the term 'attached later by the user' means, for example, a detachment means such as a banding device, a fixing hook, And it is possible to integrate with the exercise equipment through this. In addition, the 'case to be inserted later by the user' is, for example, a case where a groove, an insertion hole, or the like capable of fixing the momentum measuring device to the exercise device is provided and is integrated with the exercise device . Here, as in the first example above, when the momentum measuring device is provided with the detachment means,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use any exercise device he or she wants to use, in which, besides the exercise device, (Including, for example, a baseball bat, etc.) that the user uses to exercise, but also has a great advantage in terms of its applicability.

또한, 본 발명에서, 운동량 측정 장치(20)는 통신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도 2의 경우, 블루투스, WiFi Direct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운동량 측정 장치(20)와 사용자 단말(100) 간에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반드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통신 연결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은 운동량 측정 장치(20)로부터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추정)할 수 있는 센싱값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되는 센싱값들에 관해서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mentum measurement device 20 may be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user terminal 100 by having a communication module. 2,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exercise amount measurement device 20 and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or WiFi Direc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course. Through su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receive sensing values from the momentum measurement device 20 that can measure (estimate) the user's momentum. At this time, the received sensing valu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도 2에서는, 운동량 측정 장치(20)에 의해 센싱된 센싱값들이,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된 이후 그 사용자 단말(100)의 중간 매개를 통해 u-헬스케어 서버(200)로 전달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도 아님은 자명하다. 일 예로, 운동량 측정 장치(20)에는 WiFi 모듈 등의 통신 모듈이 탑재됨으로써, 운동량 측정 장치(20)에 의해 측정된 센싱값들이 댁 내에 존재하는 특정 AP(Access Point)를 매개로 하여 u-헬스케어 서버(200)로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집중 및 편의를 위해, 전자의 케이스(즉, 사용자 단말(100)의 매개로 센싱값들이 u-헬스케어 서버(200)로 전달되는 케이스)를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2, the sensing values sensed by the exercise amount measuring device 20 are transmitted to the u-healthcare server 200 via the intermediary of the user terminal 100 after being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momentum measuring device 20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WiFi module, so that the sensed values measured by the momentum measuring device 20 are transmitted to a u- Or may be delivered directly to the care server 200.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the sake of explanation and convenience, the case of the former case (that is, the case where the mediated sensing values of the user terminal 100 are transmitted to the u-health care server 200) do.

사용자 단말(100)은 운동량 측정 장치(20) 및 u-헬스케어 서버(200)와 통신함으로써, 일 실시예에 따라, 운동량 측정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센싱값들을 u-헬스케어 서버(200)로 전송하고, u-헬스케어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운동 보조/관리 데이터 및 화면들을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communicates with the u-healthcare server 200 through the momentum measurement device 20 and the u-healthcare server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nsed values received from the momentum measurement device 20, And displays the exercise aids / management data and screens received from the u-healthcare server 200 on a screen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aids.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00)과 u-헬스케어 서버(200) 간은 유/무선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운동량 측정 장치(20)와 사용자 단말(100) 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운동량 측정 장치(20) 및 u-헬스케어 서버(200)와 데이터 연계를 위한 특정 App 또는 프로그램(본 명세세에서는, u-healthcare App이라 명명함)이 탑재(또는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u-health care server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wired / wireless network 300 and the momentum measurement device 20 and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ay be connect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user terminal 100 is also connected to the u-healthcare server 200 and the momentum measurement device 20 and a specific application or program for data associ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u- healthcare app) may be installed (or installed).

또한, u-헬스케어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운동 보조/관리 데이터 및 화면들을 사용자 확인을 위해 화면 상에 표시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method can be used as a method of displaying the exercise aids / management data and screens received from the u-health care server 200 on the screen for user confirmation.

일 예로, 사용자 단말(100)이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인 경우, 물론 그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휴대 단말과 연결된 대화면의 고정 단말(ex. TV(110)을 통해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대화면의 고정 단말로 화면 영상을 송출하는 방식으로는, 휴대 단말(100)이 대화면의 고정 단말(110)과 HDMI 케이블 등을 통해 유선 연결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HDMI 미러링되는 방식, 무선 HDMI 등의 무선 방식을 통해 화면이 고정 단말(110)로 전송되는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들이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00 i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displayed through a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However, as shown in FIG. 2, A method of transmitting a screen image to a fixed terminal on a large screen may be a method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 fixed terminal 110 on a large screen through an HDMI cable or the like Various methods such as a method in which a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mirrored by an HDMI, a method in which a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fixed terminal 110 through a wireless method such as wireless HDMI, etc. may be used.

도 2에서와는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이 앞서 설명한 u-healthcare App이 설치된 스마트 TV 등과 같은 대화면의 단말인 경우에는, 그 스마트 TV의 대화면을 통해 u-헬스케어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운동 보조/관리 데이터 및 화면이 직접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설명을 통해서 쉽게 짐작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운동 보조/관리 데이터 및 화면이 표시될 스크린은, 사용자가 운동 중 확인하기에 편리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확인하기 편리한 크기를 가지면 무방하며, 특별한 제한을 둘 필요는 없다.2, when the user terminal is a large-screen terminal such as a smart TV equipped with the u-healthcare app described above, the exercise assist / management function received from the u-healthcare server 200 through the large screen of the smart TV, Data and the screen may be displayed directly. As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screen on which the exercise assistance / management data and the screen are to be displayed may have a size tha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check during exercise and has a convenient size for confirmation, There is no need to.

또한, 이상에서는, 운동 보조/관리 데이터가 영상을 통해 표출되는 경우만을 주로 설명하였지만, 음성 등 오디오 신호로 출력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을 보조/관리하는데 도움을 주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 자체에서 또는 이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착용한 블루투스 헤드셋 등을 통해 오디오 출력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case in which the exercise assistance / management data is expressed through the image is mainly described. However, it may be helped to assist / manage the user's exercise by outputting audio signals such as voice. In this case, the audio output may be performed at the user terminal 100 itself or through a Bluetooth headset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worn by the user.

u-헬스케어 서버(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동량 측정 장치(20)로부터 측정된 센싱값들을 사용자 단말(100)의 매개를 통해 전달받고, 이와 같은 센싱값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운동량 또는/및 사용자가 실행하고 있는 운동 종류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 등의 운동 관련 데이터(이하, 이를 상술한 바와 같이, 운동 보조/관리 데이터라 함)를 저장 관리하고, 그러한 운동 보조/관리 데이터 및 이의 표출/안내를 위한 화면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러한 u-헬스케어 서버(200)의 역할 및 상세 기능에 관해서는 도 4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u-healthcare server 200 receives the sensed values measured by the exercise amount measuring device 20 through the medium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calculates the momentum of the user based on the sensed values Related data such as the amount of calories consumed according to the user's mo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exercise-assisted / management data,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calculated momentum and / or the exercise kind performed by the user And transmits a screen for the exercise assist / management data and its presentation / guidance to the user terminal 100. [ The roles and detailed functions of the u-health care server 2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후술할 도 4를 통해서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겠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1) 운동량 산출, 2) 칼로리 환산, 3) 운동 보조/관리 데이터 및 화면을 생성 등을 모두 상기 u-헬스케어 서버(200)에서 처리 및 수행하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겠지만, 위 항목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자 단말(100)(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u-healthcare App)에서 직접 처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그 처리 결과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u-헬스케어 서버(200)로 전달되어 저장 관리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momentum calculation, 2) calorie conversion, and 3) motion aiding / management data and a screen are all generated by u - Healthcare server 200 will be described mainly, but some or all of the above items may be processed in the user terminal 100 (more specifically, u-healthcare App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Needless to say, it can be processed directly. In this case, the processing result may be transferr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o the u-healthcare server 200 and stored and managed.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량 측정 장치 및 u-헬스케어 서버의 블록도에 관해 설명한 후, 도 5의 순서도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량 측정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3 and 4, a block diagram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momentum and a u-healthcar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 chart of FIG. 5, A method of measuring the momentum will be described.

[도 3의 설명][Description of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u-헬스케어시스템에 이용되는 운동량 측정 장치에 관한 일 예시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 momentum measurement device for use in a u-healthcare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량 측정 장치(20)는, 운동기구에 탑재되며, 사용자가 해당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는 순간 순간(즉, 특정 주기의 매시점마다)의 속도를 센싱하기 위한 제1 센서(ex. 가속도 센서(24) 등)와, 해당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에 관한 각속도를 센싱하기 위한 제2 센서(ex. 자이로 센서(26) 등)와, 해당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 과정에서의 위치 변화 또는 고도 변화를 센싱할 수 있는 제3 센서(ex. 고도 센서(28) 등)를 포함한다. 다만, 도 3에 예시된 센서들은 일 예시에 불과하며, 각각 해당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의 속도, 가속도, 고도 변화(혹은 위치 변화)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들이라면 그 센서의 종류 또는/및 명칭에 관계없이 여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3, the exercise quantity measuring device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exercise machine, and measures the instantaneous moment (that is, every time point of a specific cycle) A second sensor (e.g., a gyro sensor 26 or the like) for sensing an angular velocity with respect to a motion using the exercise mechanism, and a second sensor And a third sensor (e.g., an altitude sensor 28 or the like) capable of sensing a position change or an altitude change during a movement process using a fitness instrument. However, the sensors illustrated in FIG. 3 are merely examples, and if the sensors are capable of sensing the speed, acceleration, and altitude change (or positional change) of the movement using the respective exercise devices, then the types and /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hereto regardless.

또한 운동량 측정 장치(20)는, 측정된 운동량 관련 정보(즉, 위 센서들로부터 출력된 센싱값들)를 외부(예를 들어, 도 2의 사용자 단말(100) 또는 u-헬스케어 서버(200) 등,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함)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측정된 센싱 결과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운동량 측정 장치(20)의 통신 모듈(22)을 통해서 댁 내의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단말 내에 설치된 u-healthcare App을 통해 그 전달된 센싱 정보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u-헬스케어 서버(200)로 다시 전송하게 된다.The momentum measuring device 20 may also be configured to measure the momentum related information (i.e., the sensed values output from the upper sensors) from the outside (e.g.,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u-healthcare server 200 ), And the like, hereinafter, assumed to be the user terminal 100).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ed sensing results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2 of the momentum measuring device 20, 100 transmits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u-healthcare server 200 connected via the wired / wireless network through the u-healthcare App installed in the terminal.

또한, 앞서도 설명한 바이지만, 본 발명의 운동량 측정 장치(20)는, 실시예에 따라, 운동기구와는 별개로 제작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운동기구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운동량 측정 장치(20)는, 운동기구에 탈부착하기 위한 추가적 구성요소(예를 들어, 밴딩 장치, 고정 걸이, 접착 요소 등과 같은 착탈 수단)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exercise quantity measuring devic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o that the exercise device 20 may be attached to a fitness devic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user. In such a case, the momentum measuring apparatus 20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for example, a bending device, a fixing hook, a detaching means such as an adhesive element) for detachably attaching to the exercise device.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운동량 측정 장치(20) 자체 내에, 가속도 센서(24)를 통해 센싱된 속도 값의 오차 보정을 위해, 고도 센서(28)의 센싱 결과인 고도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될 속도 값과의 재귀적 비교 및 보정을 수행하는, 칼만필터부가 더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센싱된 속도 값의 재귀적 비교 및 보정 작업의 처리 부담을 고려하여, u-헬스케어 서버(200)(혹은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u-healthcare App일 수도 있음) 내에 전술한 칼만필터부가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도 4 참조). 이러한 칼만필터부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병진운동 신호의 잡음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order to correct the error of the velocity value sens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24, the momentum measurement device 20 itself may be provided with the acceleration sensor 24 based on the altitude information which is the sensing result of the altitude sensor 28 A Kalman filter unit that performs recursive comparison and correction with the velocity value to be calculated may be further included.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cursive comparison of the sensed speed value and the processing burden of the correction job,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healthcare server 200 (or the u-healthcare App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above-described Kalman filter unit is included (see FIG. 4). Such a Kalman filter unit can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program, which can perform noise cancellation of the translational motion signal.

[도 4의 설명][Description of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헬스케어 서버에 관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u-healthcar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헬스케어 서버(200)는, 송수신부(210), 운동량 산출부(220), 칼로리 환산부(230), 운동 보조/관리부(240), 장치 연계부(250) 및 운동 관리를 위한 각종 DB를 포함할 수 있다.4, a u-healthcar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10, a momentum calculation unit 220, a calorie conversion unit 230, an exercise assistance / management unit 240, A device linkage unit 250, and various DBs for exercise management.

여기서, 각종 DB로는, 운동량 DB(262), 운동 종류 DB(264), 사용자 DB(266), 운동 안내 DB(268)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운동량 DB(262)에는 예를 들어 후술할 운동량-칼로리 소모량 환산 테이블 또는 환산 함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운동 종류 DB(264)에는 각 운동 종류에 따른 운동 자세/패턴, 운동의 시퀀스 등에 관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DB(266)에는 회원인 사용자에 관한 각종 개인 정보 및 신체/건강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운동 안내 DB(268)에는 운동 자세/패턴, 종류, 운동 계획 등을 정지 영상/ 동영상/ 3D 영상/ 음성/ 사운드/ 가상 현실 등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 연계부(250)는, u-헬스케어 서버(200)와 외부의 단말(일 예로, 사용자 단말(100), 운동량 측정 장치(20), 혹은 외부의 헬스클럽 업체 서버 또는 단말, 외부의 체육시설, 의료진, 병원 등이 사용하는 단말 등일 수 있음)과의 장치 연계를 하기 위한 구성이다.Here, the various DBs may include a momentum DB 262, a motion type DB 264, a user DB 266, an exercise guidance DB 268, and the like. The exercise amount DB 262 may store a momentum-calorie consumption amount conversion table or a conversion func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exercise type DB 264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exercise attitude / pattern, the sequence of the exercise, and the like according to each type of exercise. The user DB 266 may store various kinds of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who is a member, body / health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exercise guide DB 268 may store data for guiding the user through the exercise posture / pattern, type, exercise plan, and the like through still images / moving images / 3D images / sounds / sounds / virtual reality. The device interfacing unit 250 is connected to the u-healthcare server 200 and an external terminal (e.g., a user terminal 100, a momentum measuring device 20 or an external health club vendor server or terminal, A terminal used by a medical staff, a hospital, etc.).

u-헬스케어 서버(200)는, 송수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운동량 측정 장치(20)에 의해 센싱된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앞서도 설명한 바이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100)의 매개 없이, 그 센싱된 정보들을 운동량 측정 장치(2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The u-healthcare server 200 can receive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momentum measuring device 20 from the user terminal 100 via the transceiver 210. [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nsed information may be directly received from the momentum measuring apparatus 20 without medi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u-헬스케어 서버(200)의 운동량 산출부(220)는, 이와 같이 전송된 센싱 정보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운동량을 산출한다. 이때, 산출되는 운동량은 다양한 물리량이 이용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운동량 관련 물리량으로서 운동에너지가 이용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운동량의 계산을 위해, 측정의 매 시점마다의 순간속도를 이용하여 병진운동에너지를, 그리고 그 매 시점마다의 각속도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에너지를 계산한 후, 이를 종합하여 전체 운동에너지를 산출하는 방식을 이용한다.The momentum calculating unit 220 of the u-healthcare server 200 calculates the amount of exercise according to the user's motion based on the thus-transmitted sensing information. At this time, various physical quantities can be used for the calculated momentum, but in this specification, it is assumed that the kinetic energy is used as the momentum-related physical quantity. 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alculation of the momentum, the rotational kinetic energy is calculated using the translational kinetic energy and the angular velocity at each time point using the instantaneous velocity at each time of measurement, This is used to calculate the total kinetic energy.

이에 관하여, 구체적 방식의 일 예를 운동에너지 산출 순서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속도 센서(24), 자이로 센서(26), 고도 센서(28)를 통해 출력된 센싱값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해당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의 각 샘플링 순간의 (i번째) 속도 (v_i), 각속도 (w_i)를 구한다. 여기서, 해당 샘플링 순간의 속도는 상기 가속도 센서(24)에 의해, 각속도는 상기 자이로 센서(26)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이때 획득된 속도는 해당 운동에 의한 병진운동에너지를 산출하는데 이용되고, 각속도는 해당 운동에 의한 회전운동에너지를 산출하는데 이용된다. 이 경우, 병진운동에너지를 산출하는데 이용될 속도 값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가속도 센서(24)에 의해 획득된 값 그대로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그 센서에 의한 측정 오차의 보정을 수행한 이후의 속도 값이 이용될 수도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량 측정 장치(20)는 고도 센서(28)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바, 이러한 고도 센서(28)를 통해서 획득된 고도 값을 시간에 따라 미분을 하게 되면 해당 샘플링 시점의 속도가 계산된다. 따라서, 고도 센서(28)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얻어진 속도 값과, 가속도 센서(24)에 의해 출력된 속도 값을 양 입력으로 하여, 칼만필터(Kalman Filter)를 이용하여 재귀적 분석을 수행하면, 센서의 물리적 특성에 기인한 오차가 보정된 보다 정확한 값의 속도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는, 이와 같이 오차 보정된 속도 값을 이용함으로써 병진운동에너지 산출의 정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재귀적 분석을 수행하는 칼만필터는 운동량 산출부(220) 내에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형태로 포함 구현될 수 있다.In this regard, an example of a concret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a kinetic energy calculation sequenc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sensed values output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24, the gyro sensor 26, and the altitude sensor 28, the (i-th) speed v_i of each sampling instant of the exercise using the user's corresponding exercise mechanism ) And an angular velocity w_i. Here, the velocity of the sampling instant may be obtain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24, and the angular velocity may be acquired by the gyro sensor 26. [ The obtained velocity is used to calculate the translational kinetic energy by the corresponding motion, and the angular velocity is used to calculate the rotational kinetic energy by the corresponding motion. In this case, the velocity value to be used for calculating the translational kinetic energy may be the same as the value obtain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locity value after performing the correction of the measurement error by the sensor may be used. 3, the apparatus 20 for measuring moment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ltitude sensor 28. The altitude value obtained through the altitude sensor 28 is time- When the differential is made, the speed at the sampling time is calculated. Therefore, when the recursive analysis is performed using the Kalman filter using both the velocity value obtained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altitude sensor 28 and the velocity value output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24 as both inputs , It is possible to obtain a more accurate velocity value in which the error due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 is corrected. Theref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uracy of calculation of translational kinetic energy can be further improved by using the error-corrected speed value. At this time, the Kalman filter for performing the recursive analysis described above may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software program in the momentum calculator 220.

상술한 방식에 의해, 해당 운동기구의 샘플링 순간 순간의 속도 (v_i), 각속도 (w_i)를 이용하여 이를 에너지 식(즉, E_i = 1/2 * m * v_i^2 + 1/2 * I * w_i^2)에 대입하면, 해당 샘플링 시점의 전체 운동에너지를 산출할 수 있다.(I.e., E_i = 1/2 * m * v_i ^ 2 + 1/2 * I *) using the velocity v_i and the angular velocity w_i of the instantaneous sampling moment of the exercise instrument, w_i ^ 2), the total kinetic energy at the sampling time can be calculated.

이와 같이, 해당 샘플링 시점마다 산출된 전체 운동에너지, 또는, 수 주기의 샘플링 시점을 합산한 특정 시간 동안의 전체 운동에너지에 근거하여, u-헬스케어 서버(200)의 칼로리 환산부(230)는, 해당 운동에너지에 상응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한다. 이때, 운동량(본 예에서는, 상기 산출된 운동에너지)을 칼로리 소모로 환산하는데는, 운동량-칼로리 소모량 환산 테이블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운동량-칼로리 소모량 환산 테이블은 운동량 DB(262)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calorie conversion unit 230 of the u-healthcare server 200 converts the total kinetic energy calculated at each sampling time or the total kinetic energy for a specific time obtained by summing sampling periods of several cycles , And calculates calorie consumption corresponding to the kinetic energy. At this time, to convert the momentum (in this example, the calculated kinetic energy) into calorie consumption, a table for converting the amount of exercise-calorie consumption may be used. At this time, the exercise amount-calorie consumption amount conversion table may be stored in the exercise amount DB 262 in advance.

여기서, 운동량-칼로리 소모량 환산 테이블은, 단순히 운동에너지와 그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의 상관 관계를 1대1로 맵핑해둔 테이블이 이용될 수도 있겠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운동 종류에 따라 운동량-칼로리 소모량을 달리 맵핑해둔 더 세분화된 환산 테이블을 이용한다. 동일 운동량의 경우에도, 운동 종류(혹은 운동 자세/패턴 등)에 따라 칼로리 소모량이 상이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운동 종류를 감안한 환산 테이블은, 사전에 오랜 기간 축적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작성될 수 있다. 또한 운동 종류 이외에도 사용자의 일반 체형/몸무게/체지방/근육량 등과 같은 신체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에 특화된(혹은 표준화된) 운동량-칼로리 소모량 환산 테이블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Here, the table in whic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inetic energy and the calorie consumption amount is simply mapped may be used.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ercise amount-calorie consumption amount table Which are mapped differently. This is because, even in the case of the same exercise amount, the calorie consumption amount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exercise (or exercise attitude / pattern, etc.). As described above, the conversion table in consideration of the kind of exercise can be created on the basis of the database accumulated in advance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o the exercise type, a specific (or standardized) momentum-calorie consumption conversion table may be used for the user's body data based on the body data such as the general body type / weight / body fat / muscle volume of the user.

즉, u-헬스케어 서버(200)의 칼로리 환산부(230)는, 전술한 운동량-칼로리 소모량 환산 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산출된 전체 운동에너지(E_total)와 운동 종류를 입력 값으로 하였을 때, 그 산출된 운동에너지 및 운동 종류에서의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 물론, 이상에서는, 환산 테이블을 이용하여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다른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칼로리 = f(E_total, 운동 종류)"의 함수로 나타난다고 가정하면, 칼로리와 E_total의 관계 함수f를 각각의 운동 종류(혹은 자세 또는 패턴)에 따라 만들어두고 이를 이요한 회귀분석을 통해, 해당 운동기구를 이용한 특정 운동 종류에서 해당 운동에너지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하는 것도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다.That is, when the calorie conversion unit 230 of the u-healthcare server 200 uses the calculated total kinetic energy E_total and the kind of exercise as input values by using the above-described exercise amount-calorie consumption amount conversion table, The calculated kinetic energy and the calorie consumption in the exercise type can be calculated. Of cours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calorie consumption using the conversion table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other methods may be used. 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it appears as a function of "calorie = f (E_total, kind of exercise)", the relationship function f of calorie and E_total is made according to each kind of exercise (or posture or pattern)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calorie consumption amount according to the kinetic energy in a specific exercise type using the exercise device.

여기서, 운동량-칼로리 소모량 환산에 이용되는 기초 자료로서, 상기 운동 종류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첫 번째 케이스로는, 사용자가 자신이 특정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하고자 하는 운동 종류를 선택하는 방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에 설치된 u-healthcare App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UI(user interface)를 통해서 자신이 하고자 하는 운동 종류를 선택(또는 입력)한 경우, 그 선택된 운동 종류에 관한 정보가 u-헬스케어 서버(200)로 전송됨으로써, u-헬스케어 서버(200)는 운동량-칼로리 소모량 환산에 기초가 될 운동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Here, as the basic data used for converting the amount of exercise-calorie consumption, the type of exercise can be largely determined in two ways. In the first case, the user can be determined by the way in which he or she selects the type of exercise desired by a particular exercise device. For example, when a user selects (or inputs) a type of exercise desired by a user via a UI (user interface) displayed through a u-healthcare App installed in his / her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healthcare server 200, the u-healthcare server 200 can confirm the type of exercise to be based on the conversion of the amount of exercise-calorie consumption.

두 번째 케이스로는, 운동량 측정 장치(20)로부터 u-헬스케어 서버(200)로 전달된 각종 센서의 센싱값들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자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운동의 종류를 추정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고도 센서(28)에 의해 센싱된 고도 정보의 변화량, 가속도 센서(24)에 의해 센싱된 병진운동 관련 정보, 자이로 센서(26)에 의해 센싱된 회전운동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종류 DB(264)에 기저장된 운동 종류의 각 패턴들과의 비교 과정에 의해, 운동량 산출부(220)는 해당 운동에 관한 운동량(즉, 본 예에서는 운동에너지) 계산 이외에도 해당 운동에 관한 운동 종류를 추정해냄으로써, 현재 사용자가 진행하고 있는 운동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칼로리 환산부(230)는 이와 같이 확인(추정)된 운동 종류에 기초하여, 산출된 운동량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해낼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u-헬스케어 서버(200)는 위에서와 같은 처리 과정을 통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운동 기구를 가지고 다양한 운동 자세/패턴을 취하는 경우에도, 그때의 운동에너지는 물론 운동종류까지도 정확히 예측해냄으로써, 이를 통해 칼로리 소모량 또한 그 운동 상황을 반영하여 보다 정밀히 계산할 수 있게 된다.In the second case, a method of estimating the kind of exercise being performed by the current user based on the sensing values of various sensors transmitted from the momentum measuring device 20 to the u-healthcare server 200 is used . For example,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ltitude information sensed by the altitude sensor 28, the information about the translational motion sens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24,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rotational motion sensed by the gyro sensor 26, The exercise amount calculating unit 220 may calculate the exercise amount related to the exercise in addition to the calculation of the exercise amount (i.e., the kinetic energy in this example) by the process of comparing with the patterns of the exercise type previously stored in the DB 264 By estimating,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type of exercise the current user is proceeding with. At this time, the calorie conversion unit 230 may calculate the calorie consumption amoun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exercise amount, based on the kind of exercise thus confirmed (estimated).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healthcare server 200 performs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so that even when the user takes a variety of exercise postures / patterns with a specific exercise device, By precisely predicting the kinetic energy as well as the type of exercise, the calorie consumption can be calculated more precisely by reflecting the exercise situ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계산된 칼로리 소모량에 관한 결과는 다시 u-헬스케어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되고, 그 결과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고, 도 2의 시스템 구성도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다른 단말 화면(ex. TV 화면)일 수도 있음)를 통해, 사용자가 실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result of the calorie consumption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from the u-health care server 200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resul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which may be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Which may be another terminal screen (e.g., a TV screen) of the user as in the configuration diagram).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의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운동 보조 및 관리(ex. 해당 운동에 대한 운동 자세 교정/안내, 그 다음 세트의 다른 자세/패턴의 운동 제시, 목표 운동량과의 실시간 비교 등)가 추가적으로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관련하여서는 후술할 도 5 및 도 6의 순서도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u-헬스케어 서버(200)에 관련된 블록도 중 운동 보조/관리부(240)의 기능 및 역할에 관련하여서도, 도 5 및 도 6의 순서도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above example, the case of calorie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user's exercise is taken as an example. However, various exercise aids and management (eg, exercise / posture correction / guidance for the exercise, presentation of motion of another set / Real-time comparison, etc.) may be additionally possible. 5 and 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exercise assistant / managing unit 240 in the block diagram relating to the u-healthcare server 200 of FIG. 4 will be described together in the flowcharts of FIG. 5 and FIG.

[도 5의 설명][Description of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량 측정 장치 및 u-헬스케어시스템을 통한 운동량 측정 및 운동 보조/관리 방법에 관한 일 예시의 순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easuring exercise amount and aiding / managing method using a momentum measuring apparatus and a u-health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512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운동기구(10)에 탑재된 운동량 측정 장치(20)로부터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즉, 도 3의 각 센서들로부터 출력된 센싱값들)를 전달받는다.In step S512, the user terminal 100 acquires user movement information (i.e., the sensing values output from the respective sensors in Fig. 3)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tion from the momentum measurement device 20 mounted on the exercise device 10 Receive.

만일 상기 센싱값들이 최초 수신된 경우라면, 일 예에 따라, 단계 S514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단말 내에 설치된 u-healthcare App을 자동 구동(실행)시킬 수 있다. 물론, 자동 구동의 경우 이외에 사용자에 의해 수동 구동되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사용자가 u-healthcare App을 구동시킬 수도 있지만, 도 5에서는 수동 구동을 하지 않더라고, 센싱값의 전달에 따라 자동 구동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u-healthcare App은 실행 이후, 사용자의 운동이 완료되어 사용자가 그 App을 실행 종료시키기 전까지, u-헬스케어 서버(200) 및 운동량 측정 장치(20)와 계속적으로 통신 연계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운동량 측정 및 운동 보조/관리/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If the sensing values are received for the first time, the user terminal 100 may automatically execute (execute) the u-healthcare App installed in the terminal, as in step S514, according to an example. Of course, it is obvious that there may be cases in which the apparatus is manually driven by a user other than the case of automatic driving. That is, although the user may drive the u-healthcare App before starting the exercise, FIG. 5 shows a case in which the device is automatically driven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sensing value even though the user does not perform manual driving. At this time, the u-healthcare application continuously communicates with the u-healthcare server 200 and the exercise quantity measuring device 20 until the exercise of the user is completed and the user ends the execution of the app, And exercise / assistance / management / guidance can be performed.

단계 S516에서, 사용자 단말(100)(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u-healthcare App)은 운동량 측정 장치(20)로부터 전달된 센싱값들을 u-헬스케어 서버(20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u-헬스케어 서버(200)의 운동량 산출부(220)는, 단계 S518에서, 전달된 센싱값들에 기초하여, 운동량(즉, 운동에너지)을 산출하고 또한 운동 종류를 추정한다. 전달된 센싱값들에 기초하여 운동량 산출 및 운동 종류를 추정하는 방법들에 관해서는 앞선 도 4의 설명을 통해 기재하였는 바, 여기서는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step S516, the user terminal 100 (more specifically, the u-healthcare App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the sensing values transmitted from the momentum measuring device 20 to the u-healthcare server 200 . Accordingly, the momentum calculating unit 220 of the u-healthcare server 200 calculates the amount of exercise (i.e., kinetic energy) and estimates the kind of exercise based on the sensed values transmitted in step S518. Estimation of the momentum based on the transmitted sensing values and methods for estimating the kind of mo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앞선 단계를 통해 운동량 산출 및 운동 종류가 추정되면, 단계 S520에서, u-헬스케어 서버(200)의 칼로리 환산부(230)는 그 두 입력값에 근거하여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계산에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운동량-칼로리 소모량 환산 테이블 또는 환산 함수 등이 이용될 수 있다.If the exercise amount calculation and exercise type are estimated through the preceding steps, the calorie conversion unit 230 of the u-healthcare server 200 can calculate the calorie consumption amount based on the two input values in step S520.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exercise amount-calorie consumption amount conversion table or the conversion function can be used for the calculation.

이와 같이 환산된 칼로리 소모량 관련 데이터는 단계 S522에 따라 다시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되며, 사용자 단말(100)의 u-healthcare App은 이를 화면 상에 표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 과정에서의 운동량(즉, 여기서는 환산된 칼로리 소모량임)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한다.The calorie consumption amount data thus converte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again in accordance with step S522. The u-healthcare App of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the calorie consumption amount data on the screen, (That is, the converted calorie consumption amount here)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를 때, u-헬스케어 서버(200)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른 운동 보조/관리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단계 S526및 S528에서와 같이, 그 추정된 운동 종류 및 산출된 운동량(또는 칼로리), 그리고 운동 시간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해당 운동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안내 데이터(즉, 음성/텍스트/영상 등의 안내 정보들)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Also, in accordance with a particula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healthcare server 2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motion aiding / manag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s in steps S526 and S528, (I.e., guidance information such as voice / text / video) that can be helpful for the user to perform the exercise, based on the type, the calculated momentum (or calorie) As shown in FIG.

이때, 단계 S526에서와 같은 안내 데이터의 추출 및 생성은, 도 4를 참조할 때, u-healthcare 서버(200)의 운동 보조/관리부(2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그 안내 데이터는 운동 안내 DB(268)에 저장된 데이터들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 데이터란, 일 예로, 운동 동작/자세/시퀀스를 사용자에게 음성/텍스트으로 안내하기 위한 데이터, 사용자가 따라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동영상 데이터 또는 정지 영상/애니메이션/가상 현실 데이터 등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표출된 안내 정보 및 영상들에 따라(단계 S530 참조), 자신의 운동 동작/자세 등을 보조받거나 후속할 운동 시퀀스를 안내받을 수 있다.
4, extraction and generation of the guidance data as in step S526 can be performed by the exercise aiding / managing unit 240 of the u-healthcare server 200, Data stored in the DB 268 may be used. For example, the guide data may include data for guiding a movement / attitude / sequence to a user in voice / text, moving image data for guiding the user to follow the movement / still / animation / . ≪ / RTI > According to this, according to the guide information and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 by the user (refer to step S530), the user can be informed of a motion sequence to be assisted or followed by his / her motion / posture.

이상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운동량 측정 장치(20)로부터 출력된 센싱값이 사용자 단말(100)을 거쳐 u-헬스케어 서버(200)로 전달되고, 그 전달된 센싱값들에 기초하여 운동량 산출, 운동 종류 추정, 칼로리 산출, 운동 보조/관리 관련 데이터 추출, 사용자 단말(100)로의 전달 및 안내와 관련된 전반적 기능을 u-healthcare 서버(200)에서 수행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5, the sensing value output from the momentum measuring apparatus 20 is transmitted to the u-healthcare server 200 via the user terminal 100, and based on the transmitted sensed values, Healthcare server 200 performs an overall function related to the calculation, calculation, calorie calculation, exercise assistant / management related data extraction, delivery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guidance.

다만, 위에서의 운동량 산출, 칼로리 산출, 운동 보조/관리 데이터의 추출 및 안내 등은 사용자 단말(100)의 u-healthcare App에서 직접 처리할 수도 있으며, 운동 종류 또한 사용자가 직접 입력(선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 순서도를 도 6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However, the exercise amount calculation, calorie calculation, exercise assistant / management data extraction and guidance can be directly processed in the u-healthcare app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type of exercise can be directly input by the user have. Therefore, a flowchart focusing on the case of such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의 설명][Description of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량 측정 장치 및 u-헬스케어시스템을 통한 운동량 측정 및 운동 보조/관리 방법에 관한 다른 예시의 순서도이다.FIG. 6 is a flow chart of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measuring exercise amount and aiding / managing method using a momentum measuring apparatus and a u-health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612에서, 사용자는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자신의 단말에서 u-healthcare App을 구동시킨다. 이때, 단계 S614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그 구동된 App의 UI 화면을 통해서 자신이 하고자 하는 운동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 S616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운동 종류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u-헬스케어 서버(200)로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운동 종류와 관련된 데이터들이란, 앞서도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그 선택된 운동과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보조/안내 정보들(일 예로, 운동 자세/시퀀스 등을 안내하기 위한 텍스트/음성/동영상 등등)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In step S612, the user activates the u-healthcare App at his / her terminal before starting the exercise. At this time, as in step S614, the user can select the kind of exercise desired by the user through the UI screen of the driven app.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0 may request the u-healthcare server 200 for data related to the kind of exercise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 to step S616. Here, the data related to the type of exercise selected by the user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so that the assist / guide information (e.g., an exercise posture / sequence, etc.) Text / audio / video etc.) may be applicable here.

앞선 단계에서와 같이, 선택 운동 관련 데이터 요청을 수신한 u-헬스케어 서버(200)는, 단계 S618 및 S620에 따라, 사용자 DB(266), 운동 종류 DB(264), 운동 안내 DB(268) 등을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의 신체정보, 기존에 수행하였던 운동 스케쥴/계획/시퀀스 등을 고려하여, 해당 사용자에 알맞은 운동 관련 데이터를(또는 선택된 운동 종류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일 수도 있음) 추출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전달받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보조/관리/안내에 알맞은 운동 시퀀스 등에 관련된 안내 영상 및 정보를 화면 상에 표출할 수 있다(단계 S622 참조).The u-healthcare server 200 receiving the request motion data request requests the user DB 266, the exercise type DB 264, the exercise guide DB 268, and the exercise instruction DB 268 in accordance with steps S618 and S620, (Or all data related to the selected exercise type) corresponding to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the exercise schedule / plan / sequence that has been performed, and the like, And can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100. In this case, based on the received data, the user terminal 100 can display on the screen guidance images and information related to a motion sequence or the like suitable for the user's exercise assistance / management / guidance (refer to step S622).

이후, 사용자가 단말 화면을 통해 제공된 안내 정보/영상 등을 보면서 운동을 하게 되면, 단계 S624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운동량 측정 장치(20)로부터 각 센싱값들을 전달받게 된다. 이때, 도 6의 실시예의 경우 운동량 산출 및 칼로리 환산(단계 S626 참조)은, 도 5에서와 달리, u-헬스케어 서버(200)가 아닌 사용자 단말(100)(사용자 단말(100)의 u-healthcare App일 수 있음)에서 직접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도 6의 경우, 앞선 도 4의 블록도에서 u-헬스케어 서버(200)의 구성요소인, 운동량 산출부(220), 칼로리 환산부(230)와 동일/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가 사용자 단말(100)(또는 App, 이하 같음)에 탑재될 수 있으며, 운동 보조 관리부(240)와 동일/유사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도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될 수 있다.Then, when the user performs the exercise while watching the guidance information / image provided on the terminal scree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the respective sensing values from the momentum measuring device 20 as in step S624. 6, the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exercise and the calorie conversion (refer to step S626) may be performed using the u-healthcare server 200, the u-healthcare server 200, healthcare app). Therefore, in the case of FIG. 6, in the block diagram of FIG. 4, a component having the same / similar function as the momentum calculating unit 220 and the calorie converting unit 230, which are components of the u-healthcare server 200,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00 (or an application hereinafter), and a component having the same / similar function as the exercise assistance management unit 240 may b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00. [

또한 이와 같은 케이스에서는, 위 운동량 산출, 칼로리 환산을 위한 환산 테이블 또는 함수 등은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위 환산 테이블 또는 함수가 u-헬스케어 서버(200) 쪽에 저장되고, 필요할 때마다 사용자 단말(100)이 서버(200)로 필요한 데이터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6의 경우는, 도 5에서와 달리, 운동 종류의 추정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운동 종류에 근거하여 운동량을 산출하게 된다.In such a case, the above-mentioned momentum amount calculation, conversion table or function for calorie conversion may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0. Of course, the above conversion table or function may be stored in the u-healthcare server 200 side, and the user terminal 100 may request the server 200 for necessary data whenever necessary. In the case of FIG. 6, unlike FIG. 5, the type of exercise is not estimated, and the amount of exercise is calculated based on the type of exercise input by the user.

이때, 환산된 칼로리 소모량은 화면을 통해 표출된다(단계 S628 참조). 이 경우, 그 칼로리 소모량 및 운동량은 u-헬스케어 서버(200)로 전달됨으로써(단계 S630), u-헬스케어 서버(200)가 사용자의 운동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갱신 저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단계 S632 참조). 이외에도, 사용자가 금번에 행한 운동 시퀀스, 운동 시간 등과 같은 정보도 함께 서버(200) 측으로 전달되어 갱신/관리됨으로써, 사용자의 후속 운동을 보조/관리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the converted calorie consumption amount is expressed on the screen (see step S628). In this case, the calorie consumption and the exercise amount may be transmitted to the u-healthcare server 200 (step S630) so that the u-healthcare server 200 can continuously update and store the exercise-related information of the user See step S632).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uch as the exercise sequence and the exercise time that the user has performed at this time is also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and updated / managed, thereby being used to assist / manage the user's subsequent exercis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10)

운동기구에 탑재된 운동량 측정 장치와, 사용자 단말과, u-헬스케어 서버를 포함하는 u-헬스케어시스템으로서,
상기 u-헬스케어 서버는,
상기 운동량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운동기구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 관련 센싱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운동량에 상응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환산하고, 상기 환산된 칼로리 소모량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달된 칼로리 소모량에 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헬스케어시스템.
A u-healthcare system including a momentum measurement device mounted on a fitness device, a user terminal, and a u-healthcare server,
The u-healthcare server comprises:
Calculating a user's amount of exercis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when the user's exercise-related sensing information using the exercise device measured by the exercise amount measuring device is received, converting the calorie consumptio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exercise amount, And transmits data on the converted calorie consump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the u-healthcar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express the data on the calorie consumption delivered through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운동기구에 탑재된 운동량 측정 장치와, 사용자 단말과, u-헬스케어 서버를 포함하는 u-헬스케어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운동량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운동기구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 관련 센싱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운동량에 상응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환산하고, 상기 환산된 칼로리 소모량에 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표출하고, 상기 산출된 운동량 및 상기 산출된 칼로리 소모량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u-헬스케어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u-헬스케어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와 관련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헬스케어시스템.
A u-healthcare system including a momentum measurement device mounted on a fitness device, a user terminal, and a u-healthcare server,
The user terminal,
When the exercise-related sensing information of the user using the exercise apparatus measured by the exercise amount measuring device is received, calculate the exercise amount of the user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convert the calorie consumption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exercise amount, Expressing the converted calorie consumption data through a screen of a display device, transferring at least one of the calculated exercise amount and the calculated calorie consumption amount to the u-healthcare server,
The u-healthcare server, the u-healthcar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in relation to the us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 측정 장치는,
상기 운동기구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에 관한 특정 주기의 매 시점마다의 속도를 센싱하기 위한 제1 센서와,
상기 운동기구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에 관한 특정 주기의 매 시점마다의 가속도를 센싱하기 위한 제2 센서와,
상기 운동기구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에 관한 특정 주기의 매 시점마다의 고도 또는 위치 변화를 센싱하기 위한 제3 센서와,
상기 제1 내지 제3 센서로부터 출력된 센싱 정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u-헬스케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헬스케어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omentum measuring device comprises:
A first sensor for sensing a speed at each time point of a specific cycle of the user's motion using the exercise device,
A second sensor for sensing acceleration at every time point of a specific cycle related to the exercise of the user using the exercise device;
A third sensor for sensing an altitude or a positional change at each time point of a specific period of the user's motion using the exercise device,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information output from the first to third sensors to the user terminal or the u-healthcare server
U-healthcare system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 산출은,
상기 제1 및 제3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속도 값을 이용하여 병진운동에너지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회전운동에너지를 산출하고, 상기 병진운동에너지 및 상기 회전운동에너지를 합산한 전체 운동에너지의 산출에 의하고,
상기 칼로리 소모량 환산은,
상기 산출된 전체 운동에너지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종류를 입력으로 하였을 때의 운동량-칼로리 소모량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운동량-칼로리 소모량 환산 테이블 또는 환산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칼로리 소모량을 환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헬스케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momentum calculation may be performed,
The translational kinetic energy is calculated using the velocity value determin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third sensors, and the rotational kinetic energy is calculated using the acceleration value determin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sensor. By calculating the total kinetic energy of the sum of the translational kinetic energy and the rotational kinetic energy,
The calorie consumption conversion may be performed,
U by converting the calorie consumption by using an exercise amount-calorie consumption conversion table or a conversion function show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calculated total kinetic energy and the user's exercise type as the input of the exercise type. -Healthcare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정보에 기초한 속도 값의 결정은,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출력된 속도 값과, 상기 제3 센서로부터 출력된 고도 값을 미분하여 획득된 속도 값을 두 입력으로 하였을 때,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이용한 재귀적 분석을 통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헬스케어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termination of the velocity valu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third sensors comprises:
When the speed value obtained by differentiating the speed value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and the altitude value output from the third sensor are input, it is determined through recursive analysis using a Kalman filter. U-healthcare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칼로리 소모량 환산에 이용되는 일 입력으로서 상기 운동 종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자신이 수행하고자 선택한 운동 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헬스케어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ype of exercise as a work input used for converting the calorie expenditure is a type of exercise the user has selected to perform through the user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칼로리 소모량 환산에 이용되는 일 입력으로서 상기 운동 종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센서로부터 출력된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운동 자세, 운동 패턴, 운동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예측된 운동 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헬스케어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xercise type as a work input used for the conversion of the calorie expenditure,
And a motion sequence estim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a motion pattern, a motion pattern, and a motion sequence estimated to be performed by the user according to sensing information output from the first to third sensors. Healthcare syste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헬스케어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 건강정보, 현재까지의 운동 수행 정보, 운동 계획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사용자 DB와,
상기 운동 종류에 따른 운동 스케쥴, 운동 시퀀스, 운동 자세, 운동 소요/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안내 정보를 텍스트/음성/사운드/정지영상/동영상/애니메이션/가상현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하는 운동 안내 DB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운동량 측정 및 운동 보조/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구현된 미리 지정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탑재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상기 미리 지정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 상기 운동기구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종류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맞는 운동 관련 상기 안내 정보를 상기 u-헬스케어 서버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운동 과정 중에 상기 안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헬스케어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u-healthcare server comprises:
A user DB for storing and managing at least one user information of the user's body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current exercise information, and exercise plan,
The guidance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exercise schedule, the exercise sequence, the exercise attitude, and the exercise duration / duration according to the exercise type is stored in at least one form of text / voice / sound / still image / animation / animation / And a motion guide DB for managing,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equipped wit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program implemented to perform momentum measurement and exercise assistance / management,
Receiving, from the u-healthcare server, the exercise-related gu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ercise type of the user and the user information using the exerciser when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s the guide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guide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during the exercise process.
운동량 측정 장치로서,
운동기구에 일체화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착탈 수단과,
상기 운동기구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에 관한 특정 주기의 매 시점마다의 속도를 센싱하기 위한 제1 센서와,
상기 운동기구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에 관한 특정 주기의 매 시점마다의 가속도를 센싱하기 위한 제2 센서와,
상기 운동기구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에 관한 특정 주기의 매 시점마다의 고도 또는 위치 변화를 센싱하기 위한 제3 센서와,
상기 제1 내지 제3 센서로부터 출력된 센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의 통신 디바이스 또는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운동량 측정 장치.
As momentum measuring device,
Detachable means for fixing integrally to the exercise equipment,
A first sensor for sensing a speed at each time point of a specific cycle of the user's motion using the exercise device,
A second sensor for sensing acceleration at every time point of a specific cycle related to the exercise of the user using the exercise device;
A third sensor for sensing an altitude or a positional change at each time point of a specific period of the user's motion using the exercise device,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sensing information output from the first to third sensors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or server
Momentum measurement device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출력된 속도 값과, 상기 제3 센서로부터 출력된 고도 값을 미분하여 획득된 속도 값을 두 입력으로 한 재귀적 분석을 통해 오차 보정된 속도 값을 획득하기 위한 칼만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칼만 필터부에 의해 출력된 오차 보정된 속도 값을 상기 외부의 통신 디바이스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량 측정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Kalman filter unit is further configured to obtain an error-corrected speed value through recursive analysis using the speed value obtained by differentiating the speed value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and the altitude value output from the third sensor. Including,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the error-corrected speed value output by the Kalman filter unit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or server.
KR1020120026995A 2012-03-16 2012-03-16 u-healthcare system and exercise amount measuring apparatus therefor KR1014572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995A KR101457210B1 (en) 2012-03-16 2012-03-16 u-healthcare system and exercise amount measuring apparatus therefor
PCT/KR2012/011392 WO2013137550A1 (en) 2012-03-16 2012-12-24 U-healthcare system, and exercise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amount of exerc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995A KR101457210B1 (en) 2012-03-16 2012-03-16 u-healthcare system and exercise amount measuring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977A true KR20130104977A (en) 2013-09-25
KR101457210B1 KR101457210B1 (en) 2014-10-31

Family

ID=4916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995A KR101457210B1 (en) 2012-03-16 2012-03-16 u-healthcare system and exercise amount measuring apparatus theref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7210B1 (en)
WO (1) WO2013137550A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756A (en) 2015-04-10 2016-10-20 김철균 The acquisition management method of exercise information and the acquisition management terminal of exercise information
KR20170024314A (en) * 2015-08-25 2017-03-07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FinTech System For Conversion Of The Momentum To Currency
CN107233696A (en) * 2017-06-27 2017-10-10 东北林业大学 A kind of multifunctional dumbbell
KR20180065988A (en) 2018-05-18 2018-06-18 와이유헬스 주식회사 Smart Health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reof
KR101880198B1 (en) * 2016-08-19 2018-07-19 최준 Apparatus for managing exercise program using smart b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
KR20200082990A (en) * 2018-12-31 2020-07-08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tness management method through VR Sports
KR102432395B1 (en) 2022-02-17 2022-08-11 권상언 Displaying quantity of motion intuitively weight training system
KR20230134002A (en) 2022-03-10 2023-09-20 주식회사 씨에이네트웍스 System for guiding state of exerci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849B1 (en) * 2014-12-23 2017-04-06 이희섭 Method of providing user customized exercise contents
KR101948204B1 (en) 2017-09-18 2019-02-14 주식회사 니어네트웍스 Augmented Reality Based Autonomous Shoulder Rehabilitation Exercise System
CN108389620A (en) * 2018-05-11 2018-08-10 天津职业技术师范大学 A kind of wearable sport health monitor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20210120162A (en) 2020-03-25 2021-10-07 김요섭 Smart pins for automatic recording of kinetic data, and automatic recording system for kinetic data
CN113689933A (en) * 2021-08-30 2021-11-23 杨宏强 Information system for accelerating rehabilitation surger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606B1 (en) * 2004-10-27 2007-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y Health By Using Health Machine And Mobile Terminal
KR20090060861A (en) * 2007-12-10 2009-06-15 신혁 Calorie watch type display module and portable heath care monitor apparatus including the display module
KR100892665B1 (en) 2008-02-19 2009-04-15 (주)개선스포츠 How to service health weights to know the position and amount of exercise
KR20100001681A (en) * 2008-06-27 2010-01-06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diet management
KR101032978B1 (en) * 2009-04-29 2011-05-09 한국과학기술원 Dumbbell set which can provide feedbacks of exercise and manage records using motion sensor
KR101198037B1 (en) * 2010-05-03 2012-11-07 남의철 Kettlebell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756A (en) 2015-04-10 2016-10-20 김철균 The acquisition management method of exercise information and the acquisition management terminal of exercise information
KR20170024314A (en) * 2015-08-25 2017-03-07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FinTech System For Conversion Of The Momentum To Currency
KR101880198B1 (en) * 2016-08-19 2018-07-19 최준 Apparatus for managing exercise program using smart b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
CN107233696A (en) * 2017-06-27 2017-10-10 东北林业大学 A kind of multifunctional dumbbell
KR20180065988A (en) 2018-05-18 2018-06-18 와이유헬스 주식회사 Smart Health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reof
KR20200082990A (en) * 2018-12-31 2020-07-08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tness management method through VR Sports
KR102432395B1 (en) 2022-02-17 2022-08-11 권상언 Displaying quantity of motion intuitively weight training system
KR102432394B1 (en) 2022-02-17 2022-08-11 권상언 Displaying quantity of motion intuitively weight training system
KR20230134002A (en) 2022-03-10 2023-09-20 주식회사 씨에이네트웍스 System for guiding state of exerci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37550A1 (en) 2013-09-19
KR101457210B1 (en) 201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210B1 (en) u-healthcare system and exercise amount measuring apparatus therefor
US9479913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653856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gathering and processing biometric and biomechanical data
KR101687252B1 (en) Management system and the method for customized personal training
US8386008B2 (en) Activity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201701362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hysical rehabilitation and motion training
KR101931724B1 (en) Health navigation system
US20100169110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EP3057016A1 (en) Collection and display of athletic information
CA2698078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gathering and processing biometric and biomechanical data
CN104126184A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personal training that includes training programs
CN105659237A (en) Promoting physical activity
Park et al. A multipurpose smart activity monitoring system for personalized health services
CN111760261B (en) Sports optimiza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US20230191232A1 (en) Performance evaluation equipment, systems and related methods
JP2009153856A (en) Golf improvement support system
JP2017221350A (en) Support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support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support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support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KR20180099145A (en) Exercise informait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70043159A (en)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905776A (en) Elderly health detection system applying motion sensing game and detection method for elderly health de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