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218A - A remote control with the sensors - Google Patents

A remote control with the sens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218A
KR20130104218A KR1020120025542A KR20120025542A KR20130104218A KR 20130104218 A KR20130104218 A KR 20130104218A KR 1020120025542 A KR1020120025542 A KR 1020120025542A KR 20120025542 A KR20120025542 A KR 20120025542A KR 20130104218 A KR20130104218 A KR 20130104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sensor
control
electronic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5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찬열
박원용
심현구
박영식
윤기훈
Original Assignee
(주) 유원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원컴텍 filed Critical (주) 유원컴텍
Priority to KR1020120025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4218A/en
Publication of KR20130104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2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 remote control with a sensor is provided to detect a natural movement of a hand by using the sensor, thereby controll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based on the detected signal. CONSTITUTION: A remote control (100) is a sphere. If a user of the remote control moves the remote control, a sensor installed inside the remote control detects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If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corresponds to a control signal which is previously determined, the remote control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an electronic device to the electronic device. The user controls the electronic device by moving the remote control in a certain shaped path or in a certain direction.

Description

센서를 구비한 리모컨{A remote control with the sensors}Remote control with sensors {A remote control with the sensors}

본 발명은 3차원 센서를 리모컨(Remote control :리모트 컨트롤) 적용하여,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에 사용하고자 하며, 특히 텔레비전, 오디오, 모니터, 홈 시어터(Home theater),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등의 전자 기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three-dimensional sensor to the remote control (Remote control: remote control), to be used for remote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in particular television, audio, monitor, home theater (Home theater), home automation (Home automation) An apparatus for effectively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종래의 리모컨은 적외선(IR), 무선, 유선 통신을 통해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기로서, 음성 인식 기능이 제공되는 단말기에서 음성 인식으로 상하좌우 이동버튼, 실행버튼, 기능 등록/삭제 버튼과 같은 기능이 제공되면 버튼 누름식으로 구현되는 일반 리모컨과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Conventional remote control is a device that can control the terminal through infrared (IR), wireless, wired communication, such as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 button, execution button, function registration / deletion button in the speech recognition in the terminal provided with speech recognition function If the function is provided, it can implement the same function as the general remote control implemented with the push of a button.

이러한 리모컨은 마우스 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상하좌우 이동 버튼, 마우스 위치의 버튼을 실행하는 실행버튼,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 버튼, 단말기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선택 버튼과 같은 다수의 기능 버튼들이 구비되어 있다. The remote control includes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such as up, down, left, and right moving buttons that move the mouse cursor up, down, left and right buttons, execution buttons for executing mouse position buttons, power button for turning on / off power, and function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terminal functions. It is provided.

이렇게 편리한 리모컨이지만 네비게이션이나 멀티미디어 기기와 같은 단말기와 호환되는 리모컨은 사용 프로그램에 따라 적용되는 단말기가 별도로 존재하고, 모든 단말기에 리모컨 기능이 지원되는 것이 아니므로 대부분의 단말기에는 정해진 리모컨 이외의 단말기는 사용하지 못 하는 경우가 많고, 리모컨이 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This convenient remote control is compatible with terminals such as navigation and multimedia devices, but there are separate terminals that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program used, and not all terminals support remote control functions. In many ca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mote control does not provide all the functions of the terminal.

또한, 지금까지의 리모콘은 선행 특허(대한민국 공개 번호 : 10-2010-0076551) 와 같이 휴먼 인터페이스적인 요소를 가지기 않고, 단지 기계적 버튼에 의한 제어가 주를 이루었다.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up to now does not have a human interface element as in the prior patent (Korean Publication No. 10-2010-0076551), and only the control by a mechanical button has been the main.

하지만, 지금은 감성을 요구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가 더 요구되는 시대이지만, 리모콘 부분에서도 이러한 감성적 제어를 하는 리모콘이 개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now is a time when a human interface device that requires emotion is more demanded, but in the remote control portion of the remote control that has such emotional control is not developed enough.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스러운 손의 움직임을 센서로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로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 시스템을 제공하므로서, 감성을 요구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시대에 맞는 리모콘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system suitable for the human interface era that requires emotion by providing a remote control system that detects natural hand movements with a sensor and controls various electronic devices with the detected signal.

상기 목적은, 센서, 통신 모듈, 밧테리 등이 구비된 센서를 구비한 리모컨에서, 상기 리모컨은 구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리모컨의 사용자가 상기 리모컨을 이동 시키면, 상기 리모컨의 내부에 구비된 센서가 리모컨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리모컨의 움직임이 미리 정해진 전자 기기의 제어 신호와 일치하면, 상기 리모컨은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자기기에 보내므로서 달성된다.The object is, in the remote control having a sensor, a sensor, a communication module, a battery is provided, the remote control has a spherical shape, when the user of the remote control moves the remote control, the sensor provided inside the remote control When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is sensed and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coincides with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remote controller is achieved by sending a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그리고, 상기 리모컨을 일정한 모양의 경로 이동을 하거나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 시켜서 전자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리모컨에 이미지 센서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 주위에서 이미지 형상을 표현한다. Then, the electronic device is controlled by moving the remote controller in a predetermined path or mov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further including an image sensor on the remote controller to express an image shape around the image sensor.

또한, 상기 리모컨에 제어 신호를 보내면 상기 리모컨은 진동 혹은 빛으로 출력하며, 상기 리모컨에 무선 전력 에너지를 수신 받을 수 있는 코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signal is sent to the remote control, the remote control outputs a vibration or light, the remote control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il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energy.

본 발명에 따르면, 구형 센서를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전자 기기를 제어하도록 하므로서, 감성을 요구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시대에 맞는 리모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mote controller suitable for the human interface era that requires emotion, by naturally moving the spherical sensor to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센서를 구비한 리모컨의 형상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리모컨 블록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리코컨을 사용하는 실시예의 방법이다.
도 8은 자세 측정 센서의 간단한 원리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이미지 센서를 통한 전자 기기 제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이미지를 통한 판단을 진행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리모컨을 작동시키는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리모컨을 통해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서버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1 to 3 are diagrams of embodiments showing the shape of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remote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show a method of an embodiment using the recocon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simple principle of an attitude measuring sensor.
9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electronic device control through an image sensor.
11 is a flowchart of making a judgment through an image.
12 is a view showing a flow chart for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remot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receiving information via a serv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리모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그리고, 상기 리모컨은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써,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모컨을 구의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센서를 통한 제어 원리가 같다면, 상기 형상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The remote controller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by forming an overall appearance. Although the remote controller is illustrated in the shape of a sphe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 control principle through the sensor is the same, it is not limited to the shap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센서를 구비한 리모컨의 형상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1 to 3 are diagrams of embodiments showing the shape of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처럼, 본 발명의 센서를 구비한 리모컨(100)은 구의 형상을 가지며, 그 표면에 LED 소자(15), 버튼(11) 및 이미지 센서(13) 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LED 소자(15)는 센서의 작동 상황을 빛으로 표현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며, 버튼(11)은 센서 작동 시작을 위해 사용하는 시작 버튼이며, 또한, 이미지 센서(13)는 이미지의 형태를 분석하여 센서를 작동하는 데에 사용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1, the remote controller 100 having th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herical shape, and an LED element 15, a button 11, and an image sensor 13 are provided on a surface thereof. In this case, the LED element 15 is provided to express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nsor with light, the button 11 is a start button used to start the sensor operation, and the image sensor 13 is in the form of an image. It is used to analyze the sensor and operate it.

도 2는 구형 캡슐(10) 내부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상기 구형 캡슐은 상부 캡슐(10-1)과 하부 캡슐(10-2)로 분리되고, 상기 상하부 캡슐(10-1)(10-2)은 단차를 통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상하부 캡슐(10-1)(10-2) 내부에는 내부홈(12-1)(12-2)이 구비되어, 본 발명의 리모컨(100)을 작동하기 위한 밧테리나 부품(16)(17)등이 장착되게 된다.2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interior of a spherical capsule 10. The spherical capsule is separated into an upper capsule 10-1 and a lower capsule 10-2, and the upper and lower capsules 10-1 and 10-2 are mutually coupled through a step, and the upper and lower capsules 10- 1) (10-2) is provided with internal grooves (12-1) (12-2), the battery or parts (16, 17), etc. for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

도 3은 본 발명의 리모콘을 충전하는 충전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리모컨(100)의 특징은 구슬 모양 같은 구의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본 발명의 리모컨(100)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를 별도로 구비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무선 충전 방법을 적용한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brief description of the charging method for charging the remot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eature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hape of a sphere like a bead, it is difficult to separately provide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remote controll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wireless charging method.

즉, 무선 충전기(110)이 본체(111)에 구형 리모컨(112)이 장착될 수 있는 구형태의 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무선 전력 충전을 위한 코일(113)이 구비되는 구조가 된다. That is, the wireless charger 1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groove 112 having a spherical shape in which the spherical remote controller 112 can be mounted is formed in the main body 111, and the coil 113 for charging the wireless power is provided in the groove. Becomes

그리고, 본 발명의 리모컨(100) 하부에도 코일(14)이 내장되어 무선 충전기(110) 본체(111)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력 에너지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무선 충전기를 발명하는 기술이 아니며, 통상의 무선 충전기를 본 발명에 적용하는 것이므로, 기술적으로 가능한 모든 무선 충전 방식이 본 발명에는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coil 14 is embedd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ceive the wireless power energy transmitted from the main body 111 of the wireless charger 110.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technology for inventing a wireless charger, it is a natural wireless charger because it applies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all technically possible wireless charging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리모컨 블록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remote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중앙처리장치(CPU)(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리모컨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롬(26a)은 표시장치의 수행프로그램을 제어하고, 램(26b)은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이이피롬(26c)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이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타를 보관한다. In the figur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25 i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M 26a controls the execution program of the display device, the RAM 26b stores data generated when the program is executed, and the EPIROM 26c stores data needed by the user and data necessary for processing the program. Keep it.

통신모듈(23)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경한다. 본 발명에서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원거리 통신 모듈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The communication module 23 is a radio frequency, tunes to an RF channel, amplifies an input voice signal, and converts an RF signal received from an antenna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n the present invention,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used in principle, but it is obvious that a long range communication module can also be used.

여기서 원거리 통신은 광역 통신망과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통상의 통신 모듈을 의미한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은 본 발명의 리모컨과 리모컨이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 간의 통신 모듈을 의미한다. Here, the telecommunication means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the wide area network.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a communication module between the remot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vice to be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

통상 근거리 통신 망은 블루트스(Bluetooth), UWB(Ultra-Wide Band, 초광대역통신), 지그비(Zigbee), 와이브리(Wibree), 바이너리 CDMA(Binary CDMA)적외선 통신 및 RS-232 포트 등이 있으며 그밖에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모든 통신 수단을 의미한다. 즉, 발명에서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발명하는 것이 아니며, 통상의 무선 통신 모듈을 본 발명에 적용하는 것이므로, 기술적으로 가능한 모든 무선 통신 방식이 본 발명에는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Local area networks typically include Bluetooth, Ultra-Wide Band (UWB), Zigbee, Wibree, Binary CDMA (Infrared CDMA) infrared communication, and RS-232 ports. In addition, it means all means of communication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vent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ince a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all technically possibl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무선 충전기(24)는 무선충전기(110)에서 송신하는 전력 에너지를 수신하여 본 발명의 리모컨 밧테리에 전력 에너지로서 저장하기 위한 일련의 장치를 말한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er 24 refers to a series of devices for receiving the power energy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er 110 and storing it as power energy in the remote control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센서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나, 우선적으로는 3 차원 자세 측정 센서가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리모컨(100)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속 센서, 중력감지센서, 다양한 자이로스콥프 센서, 지자기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디지털 나침반 센서, 근접 센서, 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kinds of sensors, but presupposes that the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ement sensor is used first, but additionally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remote contro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ensors may be provided. That is, the sensor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 gravity sensor, various gyroscope sensors, a geomagnetic sensor, a gravity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digital compass sensor, a proximity sensor, an optical sensor, and the like.

그리고, 본 발명의 리모컨(100)에는 별도로 이미지 센서(13)가 구비되어 손의 동작이나 모양의 형상을 감지하여 전자 기기의 제어 신호로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mage sensor 13 to provide an algorithm that can be used as a control signal of the electronic device by detecting the shape of the motion or shape of the hand.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가속 센서를 상징적으로 나타내었지만,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등을 이용하거나 소형의 탄성 혹은 기계적인 부품을 사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통상의 모든 센서를 더 의미하기도 한다.Meanwhile, although the acceleration sensor is represented symbol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also mean all conventional sensors that detect movement by using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MEMS) or the like using small elastic or mechanical parts.

또한, 발명에서는 리모컨의 출력 방법으로 LED 소자(15) 이외에 진동 소자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센서가 작동되거나 시작을 알리게 되거나 할 때, 리모컨이 진동하므로서 사용자는 작동 상태를 알게 된다. In addition, the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vibration element in addition to the LED element 15 as an output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Therefore, when the sensor is activated or notified of the start, the remote control vibrates so that the user knows the operation state.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리코컨을 사용하는 실시예의 방법이다.5 to 7 show a method of an embodiment using the recoc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리모컨(100)을 제어하는 실시예의 한 방법이다. 즉 도면에서처럼, 구형 형상을 가진 본 발명의 리모컨(100)을 손으로 굴리면서 V 자 모양의 경로 이동(100a)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경로 이동(100a)은 본 발명의 센서(100a)에 의해 감지되게 된다.5 is a method of an embodiment of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l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while rolling the remote contro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pherical shape by hand can have a V-shaped path movement (100a), the path movement (100a) as described above is the sensor ( 100a).

즉, 본 발명에서는 3 차원 자세 측정 센서가 구비되어 리모컨(100)의 회전 경로 이동(100a)을 감지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ement sensor is provided to detect the rotation path movement 100a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또한, 도 6에서처럼, 본 발명의 리모컨(100)을 좌 혹은 우로 회전하는 것도 감지할 수 있다. 3차원 자세 측정 센서에 의해 회전하면서 평형이 변하게 되는 정도도 감지할 뿐 아니라, 디지털 나침반에 의해 방향 전환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it can also be sensed to rotate the remote contro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left or right. Not only does it detect the degree of change in equilibrium as it is rotated by the three-dimensional attitude sensor, but it can also detect a change of direction by a digital compass.

또한, 방향 전환 알고리즘은 예를들어 오른쪽으로 회전하면 소리를 높이거나 채널을 올리거나 메뉴 방향을 위로 이동하거나 할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으며, 왼쪽으로 돌리면 그 반대 방향으로 정해질 수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edirection algorithm can be set to, for example, rotate to the right to turn up the sound, raise the channel, or move the menu up, and to the left to reverse the direction.

이때, 3 차원 자세 측정 센서를 통해 리모컨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은, 리모컨을 회전시키다 보면 자연스럽게 리모컨의 수평이 바뀌게 되고, 바뀌는 평형의 방향으로 회전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rotation of the remote control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ement sensor, the rotation of the remote control naturally changes the horizontal level, it can also detect the direction of rot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hanging equilibrium.

도 7은 센서를 통해 경로 이동(100a)을 감지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7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llustrating a principle of detecting a path movement 100a through a sensor.

본 발명에서 구비된 센서는 디지털 나침반도 포함되며, 상기 디지털 나침반에 의해 상하 좌우가 정해지게 되면 좌표가 만들어 진다. 그리고, 상기 좌표를 기준으로 해서, 리모컨의 회전 이동 경로(100a)가 정해지게 된다. The sensor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digital compass, and the coordinates are made up, down, left and right by the digital compass. Then, the rotational movement path 100a of the remote controller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ordinates.

따라서, 상기 회전 이동 경로(100a)가 어떠한 모양을 가졌는가를 판단하게 된다.Therefore, it is determined what shape the rotation movement path 100a has.

본 발명에서는 V 자 모양의 이동 경로를 가지면 소리(Volume)의 제어로 약속될 수 있고, C 자 모양의 이동 경로를 가지면 채널(Channel)의 제어로 약속할 수 있고, M 자 모양의 이동 경로를 가지면 메뉴 선택이 제어로 약속할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이동 경로는 다양한 약속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센서의 신호를 메모리에 정해진 알고리즘과 CPU의 제어로 판단하여 수행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V-shaped movement path can be promised to control the volume (Volume), if the C-shaped movement path can be promised to control the channel (Channel), the M-shaped movement path Having a menu selection can promise to control. Similarly, various movement paths can be defined by various appointments, and this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judging the signal of the sensor by the algorithm set in the memory and the control of the CPU.

도 8은 자세 측정 센서의 간단한 원리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8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simple principle of an attitude measuring sensor.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3차원 자세 측정 센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원구 모양이 센서(21a) 내부에 전해질 용액(21c)을 구비하고, 상기 전해질 용액(21c)을 감지할 수 있는 전극 패턴(21b)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원구 모양의 센서(21a)가 회전하게 되면 전해질 용액(21c)의 위치가 센서(21a) 내에서 바뀌게 되고, 그 바뀌게 되는 위치를 전극 패턴(21b)이 감지할 수 있게 된다.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ement sensor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herical shape is provided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21c inside the sensor 21a, the electrolyte solution 21c to detec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ectrode pattern 21b. Therefore, when the spherical sensor 21a is rotated, the posi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21c is changed in the sensor 21a, and the electrode pattern 21b can detect the changed position.

그리고,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센서(21a)가 회전하게 되면, 센서의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리모컨(100)이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 정도가 상기 센서(21a)에 의해 감지되게 된다는 것이다.Then, when the sensor 21a is rotated by the same principle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angle of the sensor can be detected. As a result, when the remote contro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the degree of rotation is detected by the sensor 21a.

한편, 본 발명의 리모컨에서 센서가 작동되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디지탈 나침판 없이 3차원 센서로 만 리모컨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ensor operates in the remot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controlled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only with a three-dimensional sensor without a digital compass.

즉, 본 발명의 리모컨(100)을 손으로 움직여 기울이면, 리모컨의 기울기 변화가 생기고, 상기 변화된 기울기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3 차원 위치 센서(21a)가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기울기가 변화되는 방향을 CPU(25)가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판단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remote contro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and tilted by hand, a tilt change of the remote control occurs, and the changed tilt is sensed by the 3D position sensor 21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n, the CPU 25 determin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clination changes by the determined algorithm.

그러한 방법으로 리모컨이 어떠한 이동 경로(100a)를 가지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센서의 기울기가 변하게 되면, 센서 내의 전해질 용액의 수평(기울기)이 변하게 되고, 전해질 용액(21c)과 전극 패턴(21b)이 만나는 접점이 변화되므로,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리모컨의 기울기 변화가 감지되게 된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movement path 100a the remote control has. When the inclination of the sensor is changed, the horizontal (til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in the sensor is changed, and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electrolyte solution 21c and the electrode pattern 21b is changed, and as a result, the change in the tilt of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cted. do.

도 9 내지 도 10은 이미지 센서를 통한 전자 기기 제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9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electronic device control through an image sensor.

본 발명에서는 이미지 센서(13)를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리모컨(100)에 구비되 이미지 센서(13) 근처에서 다양한 손 동작을 실시하게 되면, 상기 손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손동작 신호가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unction for inputting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image sensor 13. That is, when various hand motions are performed near the image sensor 13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 motion is detected and the detected hand motion signal can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도 9의 (A)는 손가락으로 방향을 가르킬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의 (B)는 특정 형태 예를들면 가위, 바위, 보와 같은 손 모양을 나타낼 수 있는 도면이다. 9 (A)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nger can point the direction, Figure 9 (B) is a view that can show the shape of the hand, such as a specific shape, for example, scissors, rocks, beams.

도 10은 각 모양에 따른 이미지를 패턴화하여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각각의 패턴에 대한 좌표값에 해당되는 데이터의 존재 유무 분석에 따라 손가락이 가르키는 방향 혹은 가위, 바위, 보 같은 손 모양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atterning and analyzing an image according to each shape. That i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ta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values for each pattern,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direction of the finger or the shape of the hand such as scissors, rocks, and beams.

즉, 이미지 센서(13)를 통해서 손가락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고, 손 모양을 판단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가락의 방향과 손 모양의 동작이 미리 정해진 방향과 동작이라면, 상기 손가락의 방향과 손 모양의 동작을 통해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가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finger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image sensor 13 and the shape of the hand can be determined. If the direction and the motion of the finger are predetermined directions and motions,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direction and the motion of the finger.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이미지 센서로서 CCD 소자 혹은 CMOS 이미지 센서 등이 될 수 있고, 또한 휴대용 전자제품에서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모든 센서 혹은 카메라 소자를 사용할 수가 있다. The image sensor to b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CD device or a CMOS image sensor, or any sensor or camera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n image in a portable electronic product may be used.

도 11은 이미지를 통한 판단을 진행하는 순서도이다. 11 is a flowchart of making a judgment through an image.

리모컨 기능이 시작되고 이미지 센서를 통한 입력이 시작되면, 이미지 센서(13)는 센싱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선택 혹은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센서의 이미지 신호를 분석하고 이미지를 패턴화하게 된다.(440- 446 단계) When the remote control function is started and the input through the image sensor is started, the image sensor 13 transmits the sensed data, analyzes the image signal of the sensor by a selected or determined algorithm, and patterns the image. 446 steps)

통상 카메라 화소는 백만 화소가 훨씬 넘게 되며, 따라서 패턴화 하므로서 좌표의 눈금 값을 일정한 수로 하여 중앙처리장치(CPU)가 빠른 계산을 하게 하는 것이다.Normally, the camera pixel is much more than one million pixels, so tha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performs a quick calculation by patterning the scale value of the coordinates by patterning.

각각 센서의 패턴된 데이터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그에 맞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정해진 알고리즘이 있게되면,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종료 명령 유무에 의해 종료하거나 다시 시작하게 된다.(450 - 454 단계)Each of the patterned data of the sensor is determined,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output to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re is a predetermined algorithm, the electronic devic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algorithm. Then, it terminates or restarts with or without the shutdown command (steps 450-454).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기를 제어할 때, 앞의 도면에서 설명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통상의 적외선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적외선 출력을 통해 전자 기기의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described in the previous drawings is used. However, it is natural that a normal infrared diode may be us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of an electronic device through an infrared output.

도 12는 본 발명의 리모컨을 작동시키는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flow chart for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리모컨의 스위치 버튼(11)을 누르면 리모컨(100)이 동작 상태가 되고, 이때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 수 있도록 진동소자(27)가 진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실행은 CPU(25)의 제어를 통해 실행하게 된다.(S100 - S105)When the switch button 11 of the remote control is pressed, the remote control 100 is in an operating state, and the vibrating element 27 vibrates so that the user can know the operating state. This execution is execu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25. (S100-S105)

그리고, 센서를 V 자 혹은 M 자 등 정해는 경로 이동(100a)을 하도록 하여 리모컨을 통한 전자 기기의 제어 명령을 수행한다. 이때, 어떠한 정해진 제어 명령의 이동 경로(혹은 와우 회전)가 전자 기기의 제어 명령과 일치하면, LED 소자(15)를 통해 정해진 불빛으로 출력되거나, 혹은 진동 소자(27)를 통해 정해진 진동(예를 들면 2 번 정도 진동할 수가 있다.)으로 출력할 수가 있다.(S115 - S120) Then, to determine the sensor, such as V-shaped or M-shaped to move the path (100a) performs a control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remote control. At this time, if the movement path (or the cochlear rotation) of the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matches the control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it is outputted as the predetermined light through the LED element 15 or the predetermined vibration (for example, the vibration element 27). Can be vibrated about 2 times.) (S115-S120).

메모리부에 저장된 제어 명령과, 이동 경로가 일치함을 CPU는 판단하게 된다.The CPU determines that the control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matches the movement path.

한편, 이미지 센서(13)를 통한 제어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센서 주변에서 수신호를 통해 제어하게 되면,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미지의 패턴을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감지된 이미지가 정해진 제어 명령의 이미지와 일치하게 되면, LED 소자(15)를 통해 정해진 불빛으로 출력될 수도 있고 혹은 진동 소자(27)를 통해 정해진 진동(예를 들면 2 번 정도 진동할 수가 있다.)으로 출력할 수가 있다. (S125 - S130)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 via the hand signal around the sensor to perform a control command through the image sensor 13, it determines the pattern of the image detected through the image sensor, and the image of the control command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may be output through the LED element 15 through a predetermined light, or may be output through the vibration element 27 with a predetermined vibration (for example, by vibrating twice). (S125-S130)

메모리부에 저장된 제어 명령과, 이미지가 일치함을 CPU는 판단하게 된다. The CPU determines that the control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the image match.

상기와 같은 전자 기기의 제어 동작이 수행되면, CPU는 통신 모듈을 통해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When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s performed, the CPU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이때, 통상적인 기술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적외선 다이오드를 통한 제어 신호를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으나, 당연히 적외선 다이오드를 통한 전자 기기 제어 신호로도 출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S135)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garded as a conventional technology, bu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pecifically mention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infrared diode, but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output as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signal through the infrared diode (S135).

그리고 다시, 버튼(11)을 누르면, 리모컨의 동작 상태는 휴면 상태가 되어, 다시 시작 버튼이 눌려질 때까지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는 않게 된다.(S140- S145) When the button 11 is pressed aga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mote controller becomes a dormant state, and the control signal is not output until the start button is pressed again (S140-S145).

결과적으로 구형의 형상을 가지는 리모컨이 있으며, 상기 리모컨의 사용자가 상기 리모컨을 이동 시키면, 상기 리모컨의 내부에 구비된 센서가 리모컨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리모컨의 움직임이 미리 정해진 전자 기기의 제어 신호와 일치하면, 상기 리모컨은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자기기에 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a result, there is a remote control having a spherical shape, when the user of the remote control moves the remote control, a sensor provided inside the remote control detects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i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of the electronic device If matched with, the remote controller can send a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도 13은 본 발명의 리모컨을 통해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remot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리모컨으로 제어를 실시하세 되면,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70)의 화면에 메뉴 화면(75)이 표시되도록 할 수가 있다. 즉 리모컨(100)을 시작하게 되면, 전자 기기 화면에 시작 메뉴가 선택되도록 리모컨에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M 자 V 자 등 정해진 제어 신호를 하게 되어도 각각 해당되는 메뉴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When the control is performed by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nu screen 75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70 to be controlled. That is, when the remote controller 100 starts, the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so that the start menu is selected on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even if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such as the M-shaped V-shape can be displayed so that the corresponding menu screen, respectively.

도 14는 서버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14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receiving information via a server.

본 발명의 리모컨(100)은 클라우드와 통신(유무선 인터넷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서버(50) 혹은 클라우드 서버(50))와 통신)을 하여 동영상등의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은 Wifi 등과 같은 통신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의 통신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remote contro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municate with the cloud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50 or the cloud server 50 in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to receive information such as a video. The communication may use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but is not limited to the communication method.

통상 상기 서버(50)는 관리자 혹은 운영자들이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입력부(65),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출력부(67), 각종 정보와 서비스 운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55) 및 정보를 제어하고 통제하며 출력하는 것을 관장하는 제어부(60)가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 생략하였지만 인터넷 혹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자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가 더 구성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정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모든 정보 파일을 의미한다.In general, the server 50 may include an input unit 65 for managing or inputting information by an administrator or an operator, an output unit 67 for outputting 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a database unit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lated to service operation ( 55) and a controller 60 for controlling, controll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interface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n accessor through the Internet or a communication network is naturally constructed. . 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means all information files such as an image, a moving image, and a text.

그리고, 본 발명의 리모컨(100)은 서버(50)를 통해 얻은 다양한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가 있다. 이러한 기능은, 중앙처리장치의 역할을 하는 CPU(25),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6)가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rver 50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performs control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In this function, the CPU 25 serving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memory unit 26 stor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can play a role.

100 ; 리모컨 10 : 구형캡슐
10- 1 상부 캡슐 10-2 하부 캡슐
11 : 버튼 이미지 12-1, 12-2 : 내부 홈
13 : 이미지 센서 14 ; 리모콘 코일
16, 17 : 내부 부품 15 ; LED 소자
21 : 3 차원 센서 23 : 통신 모듈
24 : 무선충전기 25 ; CPU
26a,b,c, : 메모리 소자 110 ; 충전기
111 : 충전기 본체 112 ; 장착부
113 : 충전기 코일 100a : 리모콘 이동 경로
100; Remote Controller 10: Spherical Capsule
10-1 upper capsule 10-2 lower capsule
11: button image 12-1, 12-2: internal groove
13: image sensor 14; Remote control coil
16, 17: internal component 15; LED element
21: three-dimensional sensor 23: communication module
24: wireless charger 25; CPU
26a, b, c,: memory element 110; charger
111: charger main body 112; Mounting portion
113: charger coil 100a: remote control movement path

Claims (5)

센서, 통신 모듈, 밧테리 등이 구비된 센서를 구비한 리모컨에서,
상기 리모컨은 구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리모컨의 사용자가 상기 리모컨을 이동 시키면, 상기 리모컨의 내부에 구비된 센서가 리모컨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리모컨의 움직임이 미리 정해진 전자 기기의 제어 신호와 일치하면, 상기 리모컨은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자기기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구비한 리모컨.
In the remote control having a sensor equipped with a sensor, a communication module, a battery, and the like,
The remote control has a spherical shape, when the user of the remote control moves the remote control, a sensor provided inside the remote control detects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And when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coincides with a control signal of a predetermined electronic device, the remote controller send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electron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을 일정한 모양의 경로 이동을 하거나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 시켜서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구비한 리모컨.The remote control having a sens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s controlled by moving the remote control in a predetermined shape or mov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에 이미지 센서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 주위에서 이미지 형상을 표현하므로서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구비한 리모컨.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mage sensor on the remote controller to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by expressing an image shape around the image sensor. 제2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에 제어 신호를 보내면 상기 리모컨은 진동 혹은 빛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구비한 리모컨.The remote control having a sensor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when the control signal is sent to the remote control, the remote control outputs vibration or l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에 무선 전력 에너지를 수신 받을 수 있는 코일이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구비한 리모컨.
The remote control having a sens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mote control may further include a coil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energy.
KR1020120025542A 2012-03-13 2012-03-13 A remote control with the sensors KR201301042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542A KR20130104218A (en) 2012-03-13 2012-03-13 A remote control with the sens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542A KR20130104218A (en) 2012-03-13 2012-03-13 A remote control with the sens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218A true KR20130104218A (en) 2013-09-25

Family

ID=4945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542A KR20130104218A (en) 2012-03-13 2012-03-13 A remote control with the sens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421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708B1 (en) * 2015-02-05 2016-07-21 (주) 미디어인터랙티브 Apparatus for controlling external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708B1 (en) * 2015-02-05 2016-07-21 (주) 미디어인터랙티브 Apparatus for controlling external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566B1 (en) Remote controlle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US10318011B2 (en) Gesture-controlled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JP65232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9377860B1 (en) Enabling gesture input for controlling a presentation of content
US934462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functionality of an interface to control orientations of a camera on a device
CN107707817B (en) video shoo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2015010943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urveillance camera and system thereof
KR102273024B1 (en) Method for device controlling another device and the same device
JP2015121979A (en) Wearable inform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KR20150012274A (en) Operating a computing device by detecting rounded objects in image
KR101876284B1 (en) Wearable map and image display
KR20170076544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KR20210136043A (en) Interacting with smart devices using pointing controllers
CN105320398A (en)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ler thereof
CN108431760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50145729A (en) Method for moving screen and selecting service through fingerprint input,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fingerprint sensor and computer program
US10338685B2 (en) Methods and apparatus recognition of start and/or stop portions of a gesture using relative coordinate system boundaries
US20160306434A1 (en) Method for interacting with mobile or wearable device
KR20130104218A (en) A remote control with the sensors
KR102546714B1 (en) Electronic Device and Cradle
JP2015146058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20180038326A (en) Mobile robot
WO2016121034A1 (en) Wearable device, input method, and program
KR20170038461A (en) Emotional robot system using a smart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s
KR20230026228A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horeography learning inform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