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542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542A
KR20130099542A KR1020120021138A KR20120021138A KR20130099542A KR 20130099542 A KR20130099542 A KR 20130099542A KR 1020120021138 A KR1020120021138 A KR 1020120021138A KR 20120021138 A KR20120021138 A KR 20120021138A KR 20130099542 A KR20130099542 A KR 20130099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obile terminal
lcd assembly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18735B1 (en
Inventor
주원석
김청우
김재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1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735B1/en
Publication of KR20130099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5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7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reduce the width of bezel by engaging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ssembly to a frame using a bracket. CONSTITUTION: A frame (105) is prepared inside of a body. The frame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body. A flat panel type LCD assembly (203) is located inside the body. A bracket (205) is engaged with at least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LCD assembly. An engagement member (207) engages the bracket to the frame.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LCD 어셈블리를 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종래에 비하여 베젤의 폭 및 이동 단말기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ducing the width of a bezel and the thickness of a mobile terminal compared to the related art, because the LCD assembly can be coupled to a frame using a bracket.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or a mobile phone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a multimedia device having a complex function such as photographing or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music or a moving picture fi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The terminal can move It may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it is present.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the terminal, it is contemplat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ortion of the terminal.

단말기는 점차 경박단소(輕薄短小)화 되어가고 있어, 두께와 크기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As terminals become increasingly thin and thin, there are attempts to minimize thickness and size.

본 발명은 브라켓을 이용하여 LCD 어셈블리를 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종래에 비하여 베젤의 폭 및 이동 단말기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that can reduce the width of the bezel and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as compared to the prior art because the LCD assembly can be coupled to the frame using a bracket.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바디의 강성을 보강하는 프레임; 상기 바디의 내측에 위치한 평판형태의 LCD 어셈블리; 상기 LCD 어셈블리의 외주 중 적어도 일측에 결합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A frame provided inside the body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body; A flat LCD assembly located inside the body; A bracket coupled to at least one side of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LCD assembly; And it may include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bracket to the frame.

상기 브라켓은, 복수 개가 상기 LCD 어셈블리의 변(邊) 중 적어도 복수의 변에 결합될 수 있다.The bracket may be coupled to at least a plurality of sides of the LCD assembly.

상기 복수의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for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brackets.

상기 브라켓은, 상기 LCD 어셈블리의 외주에 탄성결합될 수 있다.The bracket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CD assembly.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브라켓을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부재, 상기 브라켓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볼트, 상기 브라켓이 상기 프레임에 걸림결합되도록 하는 후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may be any one of an adhesive member for adhering the bracket to the frame, a bolt for fixing the bracket to the frame, and a hook for engaging the bracket with the frame.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LCD 어셈블리를 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종래에 비하여 베젤의 폭 및 이동 단말기 두께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CD assembly can be coupled to the frame using a bracket, the width of the bezel and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related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I-I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 LCD 어셈블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II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LCD assembly of FIG. 3.
5 and 6 are diagrams showing a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n addition, the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navigation.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etc.,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mobile terminals.

도 1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바디일 수 있다. 바 형태의 바디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ar-shaped body. The bar-shaped body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이동 단말기(100)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프론트 케이스(101)와 배터리커버(102)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front case 101 and the battery cover 10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assembly is completed.

프론트 케이스(10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前面) 부분일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151)와, 음향출력부(152), 전면카메라(121a), 사용자 입력부(131),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case 101 may be a front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front case 101 may include a display 151, an audio output unit 152, a front camera 121a, a user input unit 131, a microphone 122, an interface 170, and the like.

디스플레이(151)는 프론트 케이스(101) 전면(前面)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과정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2D 영상 및/또는 3D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The display 151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front case 101. The display 151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display 151 may represent a 2D image and / or a 3D image.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음향출력부(151)는 복수 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화음을 출력하거나, 벨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152)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be a speaker for outputting a sign language sound. There may be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151. For example,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152 may be provided for outputting a sign language or outputting a ring tone.

전면카메라(121a)는 사용자 측을 촬영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면카메라(121a)를 통하여 촬영한 자신의 영상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와 화상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The front camera 121a may be positioned to photograph the user side. For example, the user may conduct a video call with another user based on his / her own image captured by the front camera 121a.

사용자 입력부(131)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1)는 정전식으로 감지되고 사용자의 입력이 가해지면 빛이 발생할 수도 있다.The user input unit 131 is manipul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The user input unit 131 may be detected as capacitive and light may be generated when a user input is applied.

사용자 입력부(131)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인 버튼(physical button)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user input unit 131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or may be a tactile manner in which the user operates while having a tactile feeling. For example, it may be a physical button.

사용자 입력부(131)에는 사용빈도가 높거나 주요한 기능이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종료, 음향 조절 등의 기능이 사용자 입력부(131)에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1 may be assigned a high frequency of use or a major function. For example, a function such as starting, terminating, or adjusting soun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 or the application may be allocated to the user input unit 131.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마이크(122)는 이동 단말기(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있을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may be a device for acquiring a voice or the like of the user. The microphone 122 may be located below the mobile terminal 100.

인터페이스(170)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USB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170 may include a USB port for connecting with an external device.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후면에 배터리커버(102)가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배터리커버(102)가 노출된 후면에는, 이어폰잭(171)과, 안테나(124)와, 카메라(121b)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battery cover 102 exposed on its rear surface. The earphone jack 171, the antenna 124, and the camera 121b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cover 102 that is exposed.

이어폰잭(171)은 이어폰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어폰잭(171)은, 음향신호를 전달하는 단자 뿐 아니라, 이어폰에 마련된 버튼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작신호의 수신을 위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earphone jack 171 may be an interface for outputting sound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earphone. The earphone jack 171 may include not only a terminal for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but also a terminal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or adjusting a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a button provided in the earphone.

안테나(124)는 DMB 등의 시청을 위한 방송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신호의 원활한 수신을 위하여 사용자는 바디에서 안테나(124)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antenna 124 may be used to obtain a broadcast signal for viewing a DMB or the like. For example, in order to smoothly receive a broadcast signal, the user may draw out the antenna 124 from the body and use the same.

카메라(121b)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측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카메라(121b)는, 입체화된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를 통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좌안(left eye)용 영상과 우안(right eye)용 영상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은, 3D 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되어 사용자가 입체감을 느끼게 될 수 있다.The camera 121b may be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amera 121b may capture a stereoscopic video. For example, an image may be photographed through a first camera and a second camera, and may include an image for a left eye and an image for a right eye.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may be output through a display capable of expressing a 3D image so that a user may feel a 3D effect.

카메라 플래쉬(123)는 카메라(121b)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카메라 플래쉬(123)는, 영상의 촬영시에 작동할 수 있다.The camera flash 123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camera 121b. The camera flash 123 may operate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an image.

도 3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I-I 방향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LCD 어셈블리(203)와, LCD 어셈블리(203)의 외주(外周)에 결합된 브라켓(205, bracket)과, 브라켓을 이동 단말기(100)의 프레임(105)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207)를 포함할 수 잇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LCD assembly 203, a bracket 205 coupled to an outer periphery of the LCD assembly 203, and a bracket. It may include a coupling member 207 for coupling to the frame 105 of the mobile terminal 100.

LCD 어셈블리(203)는, 실질적으로 영상을 표출하는 부분일 수 있다. LCD 어셈블리(203)는, 복수의 레이어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The LCD assembly 203 may be a portion that substantially displays an image. The LCD assembly 203 may have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layers are combined.

LCD 어셈블리(203)의 전면(前面) 측에는 윈도우(201)가 위치할 수 있다. 윈도우(201)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플라스틱, 유리, 강화 플라스틱, 강화 유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LCD 어셈블리(203)에서 표출된 영상은, 윈도우(201)를 통해 외부에서 관찰된다.The window 201 may be located at the front side of the LCD assembly 203. The window 201 may be composed of substantially transparent plastic, glass, tempered plastic, tempered glass, or the like. The image displayed by the LCD assembly 203 is observ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indow 201.

브라켓(207)은, LCD 어셈블리(203)의 외주측에 결합될 수 있다. LCD 어셈블리(203)는 자체의 강성이 낮을 수 있다. 또한 LCD 어셈블리(203)의 특성상, LCD 어셈블리(203) 자체를 프레임(105)에 결합함이 난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 어셈블리(203)의 배면에 위치한 반사시트가 노출됨으로 인하여 LCD 어셈블리(203)를 고정하기 곤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LCD 어셈블리(203)에 결합된 브라켓(207)이 프레임(105)에 부착되거나, LCD 어셈블리(203)에 결합된 브라켓(207)이 프론트 케이스(101) 측에 결합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다만, 이와 같은 일반적인 방법은, 브라켓(207)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100)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하거나 프론트 케이스(101) 측의 베젤(bezel) 두께(H3)가 증가되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프론트 케이스(101) 측에 브라켓(207)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물을 구성하여야 하므로, 그 만큼 베젤 두께(H3)가 증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7)은, 아래에 기술하는 구성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 및/또는 베젤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bracket 207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LCD assembly 203. The LCD assembly 203 may have low rigidity thereof.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CD assembly 203, it may be difficult to couple the LCD assembly 203 itself to the frame 105. For example, it may be difficult to fix the LCD assembly 203 because the reflective sheet located on the back of the LCD assembly 203 is exposed. Therefore, it is common that the bracket 207 coupled to the LCD assembly 203 is attached to the frame 105, or the bracket 207 coupled to the LCD assembly 203 is coupled to the front case 101 side. However, this general method may hav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entire mobile terminal 100 or increasing the bezel thickness H3 on the front case 101 side due to the bracket 207. That is, since the structure for coupling the bracket 207 to the front case 101 side should be configured, it means that the bezel thickness H3 can be increased by that amount. The bracket 20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 or the thickness of the bezel by the configuration described below.

브라켓(207)은, LCD 어셈블리(203)의 외주측에만 결합될 수 있다. 즉, 종래와 달리 LCD 어셈블리(203)의 하측면과 브라켓(207)이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브라켓(207)의 일부가 LCD 어셈블리(203)의 외주측의 하단에만 위치함으로 인하여, 중앙공간(209)의 활용도가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다른 구조물을 중앙공간(209)에 설치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전체적은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bracket 207 may be coupled only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LCD assembly 203. That is, unlike the related art, the lower side of the LCD assembly 203 and the bracket 207 may not be directly coupled. Furthermore, since a part of the bracket 207 is located only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LCD assembly 203, the utilization of the central space 209 can be increased. For example, by installing another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central space 209 means that the overall volume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reduced.

브라켓(207)은, 프론트 케이스(101)가 아닌 프레임(105)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207)이 프레임(105)에 결합됨으로 인하여, LCD 어셈블리(203)와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프론트 케이스(101) 측에 설치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베젤의 두께(H3)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어셈블리(203)와의 결합을 위한 구조물을 프론트 케이스(101) 측에 설치하면, 설치에 필요하였던 공간만큼 베젤을 얇게 설계할 수 있다. 베젤의 두께(H3)가 얇아지면, 외관이 좀더 미려해지며 디스플레이(151)의 면적을 더 크게 확보할 수 있다.The bracket 207 may be coupled to the frame 105 instead of the front case 101. Since the bracket 207 is coupled to the frame 105, a separate structure for coupling with the LCD assembly 203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at the front case 101 side. Therefore, the thickness H3 of the bezel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minimized. For example, if the structure for coupling with the LCD assembly 203 is installed on the front case 101 side, the bezel can be designed as thin as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bezel (H3) is thin, the appearance becomes more beautiful and can secure a larger area of the display 151.

브라켓(207)은, LCD 어셈블리(203)의 변(邊)에 탄성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207)의 일측은 “C" 자 형태로 마련되어, LCD 어셈블리(203)의 변에 억지끼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브라켓(207)이 LCD 어셈블리(203)의 변에 억지끼움되면, 이동 단말기(1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LCD 어셈블리(203)가 브라켓(207)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LCD 어셈블리(203)와 결합된 브라켓(207)의 타측은 LCD 어셈블리(203)의 하측면 측으로 굽혀져 있을 수 있다. LCD 어셈블리(203)의 하측면 측으로 굽혀진 부분은, 프레임(105)과의 결합부 역할을 할 수 있다.The bracket 207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sides of the LCD assembly 203. For example, one side of the bracket 207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 which means that it can be pressed on the side of the LCD assembly 203. The bracket 207 is forced to the side of the LCD assembly 203 When fitted, the LCD assembly 203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racket 207 eve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207 coupled with the LCD assembly 203 It may be ben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LCD assembly 203. The portion ben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LCD assembly 203 may serve as an engaging portion with the frame 105.

이동 단말기(100) 전체의 두께는, 윈도우(201)부터 프레임(105)에 이르는 두께인 제1 두께(H1)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제1 두께(H1)를 감소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제2 두께(H2)에 해당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즉, LCD 어셈블리(203)를 감싸는 형태의 브라켓(207)이 마련되어 있던 종래에 비해서 공간활용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entir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ffected by the first thickness H1, which is a thickness from the window 201 to the frame 105. That is, in order to reduc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100,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first thickness H1.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tilize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hickness H2. In other words, the space utilization is higher than that in the conventional bracket 207 that surrounds the LCD assembly 203 is provided. Therefor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reduced.

결합부재(207)는, 브라켓(205)이 프레임(209)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재(207)의 양면에는 접착성분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207)의 일면은 브라켓(205)에 접착되고 타면은 프레임(209)에 접착되어, 브라켓(205)이 프레임(209)에 부착되도록 한다.The coupling member 207 may allow the bracket 205 to be attached to the frame 209. Both sides of the coupling member 207 may be coated with an adhesive component. Therefore, one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207 is bonded to the bracket 205 and the other surface is bonded to the frame 209, so that the bracket 205 is attached to the frame 209.

도 4는 도 3 LCD 어셈블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LCD assembly of FIG. 3.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CD 어셈블리(203)에는, 브라켓(205)이 결합될 수 있으며, 각 브라켓(205)은 각 결합부재(207)에 부착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 bracket 205 may be coupled to the LCD assembly 2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bracket 205 may be attached to each coupling member 207.

LCD 어셈블리(203)는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LCD 어셈블리(203)의 각 변에는 브라켓(205)이 결합될 수 있다. The LCD assembly 203 may be rectangular in shape. Brackets 205 may be coupled to each side of the LCD assembly 203.

브라켓(205)은, 변에 대응되도록 직선형일 수 있다. 각 브라켓(205a 내지 205d)는 각 변에 결합될 수 있다.The bracket 205 may be straight so as to correspond to the sides. Each bracket 205a to 205d may be coupled to each side.

결합부재(207)는, 각 브라켓(205a 내지 205d)에 대등되도록 각 결합부재(207a 내지 207d)로 구분될 수 있다. 결합부재(207)에는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205)은 결합부재(207)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LCD 어셈블리(203)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Coupling member 207 may be divided into each coupling member (207a to 207d) to be equivalent to each bracket (205a to 205d). The bonding member 207 may be coated with an adhesive material. Therefore, the bracket 205 can be firmly attached to the coupling member 207, and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LCD assembly 203 can be fixed.

브라켓(205)이, 프레임(105)에 위치한 결합부재(207)에 결합됨으로 인하여 LCD 어셈블리(203)를 고정하기 위하연 구조물로 인하여 베젤의 폭이 넓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bracket 205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207 positioned in the frame 105, the width of the bezel may be prevented from being widened due to the lower lead structure for fixing the LCD assembly 203.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5 and 6 are diagrams showing a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205)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bracket 205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205)은 LCD 어셈블리(203)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브라켓(205)이, 일 측이 개방된 사각형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브라켓(205)의 개방된 일 측을 통하여, 브라켓(205)이 LCD 어셈블리(203)에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the bracket 205 may be slidingly coupled to the LCD assembly 203. That is, the bracket 205 means that one side may have an open rectangular shape. Through the open side of the bracket 205, the bracket 205 may be coupled to the LCD assembly 203.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205)을 연결하는 보강부재(208)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208)는 각각의 브라켓(205)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강부재(208)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브라켓(205)은, 보강부재(208)에 삽입되는 형태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5B, a reinforcing member 208 connecting the bracket 205 may be further provided. The reinforcing member 208 may serve to connect the respective brackets 205. The reinforcing member 208 may be a rubber material. The bracket 205 may be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member 208.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205)은 두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LCD 어셈블리의 두 변에 하나의 브라켓(205)이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As shown in FIG. 6, the bracket 205 may be composed of two parts. That is, it means that one bracket 205 may be coupled to two sides of the LCD assembly.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브라켓(205)과 프레임(105)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211)가 접착재일 수 있다. 즉, 다른 구성의 개입없이, 접착성 재질을 도포하여 브라켓(205)과 프레임(105)을 결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mber 211 coupling the bracket 205 and the frame 105 may be an adhesive material. That is, it means that the bracket 205 and the frame 105 can be combined by applying an adhesive material without the intervention of other components.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브라켓(205)과 프레임(105)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211)가 볼트(213)일 수 있다. 즉, 브라켓(205)의 연장부(217)와 바디에서 연장된 결합부(215)를 볼트(213)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볼트(213)를 이용하면, LCD 어셈블리(203)를 보다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mber 211 coupling the bracket 205 and the frame 105 may be a bolt 213. That is, it means that the extension portion 217 of the bracket 205 and the coupling portion 215 extending from the body can be fastened using the bolt 213. By using the bolt 213, the LCD assembly 203 can be fastened more firmly.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브라켓(205)이 프레임(105)에 걸림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브라켓(205)의 연장부(219)가 프레임(105)에 걸림결합되어, 브라켓(205)이 프레임(105)에서 이탈되지 않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w the bracket 205 to be engaged with the frame 105. That is, the extension 219 of the bracket 205 is engaged with the frame 105, which means that the bracket 205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frame 105.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이동 단말기 101: 프론트 바디
102 : 배터리커버 103 : 리어 바디
100: mobile terminal 101: the front body
102: battery cover 103: rear body

Claims (5)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바디의 강성을 보강하는 프레임;
상기 바디의 내측에 위치한 평판형태의 LCD 어셈블리;
상기 LCD 어셈블리의 외주 중 적어도 일측에 결합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body;
A frame provided inside the body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body;
A flat LCD assembly located inside the body;
A bracket coupled to at least one side of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LCD assembly; And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bracket to the fra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복수 개가 상기 LCD 어셈블리의 변(邊) 중 적어도 복수의 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acket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at least a plurality of sides of the LCD assembly.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reinforcing member for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bracke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LCD 어셈블리의 외주에 탄성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acket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elastical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CD assemb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브라켓을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부재, 상기 브라켓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볼트, 상기 브라켓이 상기 프레임에 걸림결합되도록 하는 후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member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adhesive member for attaching the bracket to the frame, the bolt for fixing the bracket to the frame, the hook for engaging the bracket to the frame.
KR1020120021138A 2012-02-29 2012-02-29 Mobile terminal KR1019187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138A KR101918735B1 (en) 2012-02-29 2012-02-29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138A KR101918735B1 (en) 2012-02-29 2012-02-29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542A true KR20130099542A (en) 2013-09-06
KR101918735B1 KR101918735B1 (en) 2018-11-15

Family

ID=49450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138A KR101918735B1 (en) 2012-02-29 2012-02-29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73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2638B2 (en) 2015-02-02 2017-03-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2638B2 (en) 2015-02-02 2017-03-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735B1 (en)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6889B2 (en) Cover glass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17189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ide speaker hole
US8880129B2 (en) Mobile terminal
US20150261033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4012692A1 (en) Displa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EP3187966B1 (en) Mobile terminal
US10976770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KR2017012043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088703B2 (en) Window for preventing camera distortion in an electronic device
US20170076658A1 (en)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25916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fabricating case thereof
US9137906B2 (en) Mobile terminal
KR20160041300A (en) Mobile terminal
US10742788B2 (en) Mobile terminal
KR20130099542A (en) Mobile terminal
CN210380944U (en) Electronic device
KR101561909B1 (en) Portable terminal
KR101899072B1 (en) Camera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KR101651136B1 (en) Smart watch
KR20150062026A (en) Mobile terminal
KR20130054551A (en) Mobile terminal
KR20180096180A (en) Mobile terminal
US9474173B2 (en) Portable terminal
KR20170079475A (en) Mobile terminal
KR101981315B1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