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460A -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 same - Google Patents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460A
KR20130098460A KR1020120020004A KR20120020004A KR20130098460A KR 20130098460 A KR20130098460 A KR 20130098460A KR 1020120020004 A KR1020120020004 A KR 1020120020004A KR 20120020004 A KR20120020004 A KR 20120020004A KR 20130098460 A KR20130098460 A KR 20130098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ge
screen
ite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0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11249B1 (en
Inventor
김운영
박준식
이고은
김정은
이강섭
이건식
이형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0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249B1/en
Priority to EP12189336.6A priority patent/EP2615564A1/en
Priority to US13/679,360 priority patent/US9582605B2/en
Priority to CN201210592947.7A priority patent/CN103209349B/en
Publication of KR20130098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4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2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computing device and a user interface (UI) provid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conveniently access information or functions by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s related to a category and a button. CONSTITUTION: An interface module receives a command signal from an input unit, and a control unit (250) provides a first UI for connecting to a personal page of a user in a computing device based on the command signal to a predetermined area of a screen. A display module continually provides the personal page with the page of the provided screen. The display module provide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personal page in the first UI, directional information for connecting to the personal page, and image information for the predetermined part of the personal page. [Reference numerals] (210) Broadcast receiving unit; (220) Network interface; (230) External device interface; (240) Demodulating unit; (250) Control unit; (260) Video output unit; (270) Audio output unit; (280) Power supply unit; (290) User interface; (300) Remote controller

Description

컴퓨팅 디바이스 및 UI 제공 방법{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 SAME}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 SAME}

본 발명은 컴퓨팅 디바이스 기술(computing device technology)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mputing device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uting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I) in the computing device.

아날로그 방송 시대에서 디지털 방송 시대로 전환된 지금, 이제 TV는 단순히 바보 상자를 떠나 스마트한 디지털 기기로 인식되고 있다.In the transition from the analog broadcasting age to the digital broadcasting age, TV is now seen as a smart digital device instead of simply a silly box.

하지만, TV에 스마트 기능을 포함하였으나, 여전히 모든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However, although the TV includes a smart function, it is still insufficient to meet the needs of all users.

예컨대, 원하는 기능이나 컨텐트(content)에 접근하기 위해 많은 뎁쓰 네비게이션(depth navigation)이 필요하여 불편함을 준다거나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는 경우에 각자의 취향이나 니즈(needs)를 모두 반영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오히려 모든 사용자에게 불만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는 단지 불편함을 넘어서 스마트 기기라는 TV에 대한 인식을 다시 바보 상자로 취급할 수도 있으며, 제품에 대한 구매 욕구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a lot of depth navigation is required to access a desired function or content, which may be inconvenient, or when a plurality of users use a single digital device, all of their tastes or needs may be met. It may be too difficult to reflect, which may cause complaints to all users. This is more than just an inconvenience, the recognition of the TV as a smart device can be treated as a stupid box again, there is a problem that reduces the desire to purchase a product.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user)가 소정 항목(item), 버튼(button) 등을 포인팅(pointing)하면, 해당 항목, 버튼 등에 관련 또는 링크된(related or linked) 부가 정보(additional information) 내지 부가 기능(additional function)을 제공함으로써, 원하는 또는 필요한 정보를 빠르고 쉽게 액세스(access)할 수 있도록 가이드(guide)하여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computing device)를 더욱 스마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points to a predetermined item, a button, or the like, the associated item, a button, etc. are related or linked. By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dditional functions to guide users quickly and easily to access the information they need, they can use the computing device smarter. It is to work to do.

한편, 본 발명에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의 하나로 각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들)(personalization page(s))을 제공하고, 각자의 개인화 페이지(들) 액세스 편의를 위한 새로운 개념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사용자는 자신만의 고유의 맞춤형 개인화 페이지를 보다 쉽고 편리하며 빠르게 액세스하여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rsonalization page (s) of each user as one of customized services to a plurality of users using the computing device, and provides a new concept for convenience of accessing each personalization page (s). We want to define and provide an interface. Thu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each user can more easily, conveniently and quickly access their own personalized personalized page to utilize the computing device.

본 명세서에서는 컴퓨팅 디바이스 및 UI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Disclosed herein is a computing device and a method of providing a UI.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UI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는, 입력 수단으로부터 커맨드 신호(command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커맨드 신호에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의 각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personalization page) 액세스를 위한 제1 UI를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I로부터 선택된 개인화 페이지를 기 제공중인 화면의 페이지와 연속 또는 불연속하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UI는, 상기 각 개인화 페이지 식별을 위한 정보, 해당 개인화 페이지 접근을 위한 방향성 정보 및 해당 개인화 페이지의 소정 부분에 대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a UI in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command signal from an input means; Providing a first UI to a predetermined area on a screen for accessing a personalization page of each user of the computing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command signal; An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providing a personalized page selected from the first UI with a page of a previously provided screen, wherein the first UI include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personalized page and accessing the corresponding personalized page. And at least one of directional information for and imag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personalized page.

본 발명에 따른 UI를 제공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 예는, 입력 수단으로부터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수신된 커맨드 신호에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의 각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personalized page) 액세스를 위한 제1 UI를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UI로부터 선택된 개인화 페이지를 기 제공중인 화면의 페이지와 연속 또는 불연속하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UI에, 상기 각 개인화 페이지 식별을 위한 정보, 해당 개인화 페이지 접근을 위한 방향성 정보 및 해당 개인화 페이지의 소정 부분에 대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공한다.An example of a computing device providing a UI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terface module for receiving a command signal from an input means; A controller configured to provide a first UI for accessing a personalized page of each user of the computing device to a predetermined area on the screen based on the received command signal; And a display module configured to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provide a personalized page selected from the first UI with a page of a previously provided screen, wherein the display module includes, on the first UI,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personalized page; And at least one of directional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personalized page and image information abou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personalized page.

본 발명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사용자가 소정 항목, 버튼 등을 포인팅하면, 해당 항목, 버튼 등에 관련 또는 링크된 부가 정보 내지 부가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정보나 기능을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액세스할 수 있어 컴퓨팅 디바이스를 더욱 스마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when a user points to a predetermined item, button, etc., the user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or additional functions related to or linked to the item, button, etc. so that the user can access the information or function more quickly and easily, thereby making the computing device smart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둘째, 복수의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각 사용자에 맞춤형 개인화 페이지(들)와 그 액세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 이용에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ly, when a plurality of users use the computing device, by providing each user with personalized personalized page (s) and an interface for access thereof,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pursue convenience in using the compu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가 포함된 전체 시스템의 일 예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 예에 대한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 제어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모컨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7 내지 15는 본 발명에 따라 포인터가 컴퓨팅 디바이스의 소정 항목에 포인팅되는 경우에 UI의 제공 방법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6 내지 17은 본 발명에 따라 개인화된 메뉴를 구성하는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개인화 페이지 접근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9와 20은 본 발명에 따라 개인화 페이지 접근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19 내지 20에서 선택된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 제공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 내지 25는 본 발명에 따라 개인화 페이지 접근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6 내지 3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를 위한 UI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UI 제공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xample of an entire system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 comput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n example of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using an input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illustrated in FIG. 5;
7 to 15 illustrate embodiments of a method of providing a UI when a pointer is pointed to a predetermined item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to 17 illustrate an example of a method of configuring a personalized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ersonalized page acces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9 and 20 illustrate an example of a personalized page acces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ersonalized page providing screen of a user selected in FIGS. 19 to 20;
22 to 25 illustrate another example of a personalized page acces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6-35 illustrate an example of a UI for personalized page acces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3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a U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ease of description, and the" module "and" part "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As used herein,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on the name of the term, and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명세서에서 “컴퓨팅 디바이스(computing device)”라 함은, 고정형 또는 이동형 방송 수신기, PC(노트북 포함), 스마트 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 PC(Tablet PC)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등 컨텐트를 처리 또는/및 출력할 수 있는 모든 디지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출원인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컴퓨팅 디바이스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예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이러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는 네트워크 TV(network TV), 스마트 TV(smart TV), IPTV, 웹 TV(web TV) 등이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V)이 포함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term “computing device” refers to a fixed or mobile broadcast receiver, a PC (including a laptop),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or a tablet PC. It can include any digital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and / or outputting content. However, hereinafter,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is used as a computing device as an example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the convenience of the applica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Meanwhile,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may include a digital TV such as a network TV, a smart TV, an IPTV, a web TV, or the like.

그리고, 이하 본 명세서에서 “입력 수단(input means)”이라 함은, 일반 리모컨, 마우스(mouse), 포인터(pointer), 공간 리모컨 등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제어 신호 포함)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모든 기기를 포함한다. 한편,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도 본 발명을 위한 입력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소정 항목(item) 또는 버튼(button) 등 UI에 입력 수단의 포인터가 포인팅(pointing)(또는 롤-오버(Roll-over))되면, 기제공되던 항목 또는 버튼 등 UI가 변경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변경 제공되는 UI는 종래 제공되던 UI의 속성 등을 고려하여 미리 결정된 부가 정보(additional information) 내지 부가 기능(additional function)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크기(size), 컬러(color), 모양(shape), 위치(location) 등이 변경되어 사용자에게 해당 UI가 포인팅 또는 선택(selection)되었음을 더욱 쉽게 인식하고 추가 정보나 기능의 실행 등의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input means” refers to data, signals (including control signal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computing devices such as a general remote controller, a mouse, a pointer, and a spatial remote controller. This includes all devices that can be sent and received. Meanwhile,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means for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ointer of an input means is pointed (or rolled over) to a UI such as a predetermined item or a button of a computing device, the UI such as a previously provided item or a button is provided. A change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change-provided UI may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or additional function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roperties of the UI provided in the related art, and may include size, color, and shape. The shape, location, etc. may be changed to make it easier for the user to recognize that the UI is pointing or selected, and to provide convenience such as execut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 function.

한편, 이하 본 명세서에서 “패밀리 메뉴(family menu)”라 함은,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복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경우에, 각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도모하고자 구성한 UI를 통칭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를 통해 각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미리 자신만의 고유한 또는 맞춤형 스타일(customized or personalized style)로 구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화 페이지(personalization page)를 저장하면, 이후 상술한 패밀리 메뉴 또는 별도의 인터페이스(후술)를 통하여 각 사용자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인화 페이지를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패밀리 메뉴를 통하여 단지 개인화 페이지 이외에도 개인화 페이지와 유사하게 구성된 페이지들도 유사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개인화 페이지와 유사하게 구성된 페이지로는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종 디지털 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페이지도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개인화 페이지는 예컨대, 소정 메뉴, 메뉴의 구성 항목, 그 밖의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제공 가능한 모든 UI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패밀리 메뉴 내 각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에 대한 액세스, 각 개인화 페이지 간의 이동이나 변경 등의 경우 이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인지하고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효과도 누릴 수 있도록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amily menu” refers to a UI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use of each user when a plurality of users use one computing device. For example, if each user stores at least one or more personalization pages configured in their own customized or personalized style according to their taste through the computing device, the family menu or One or more personalized pages of each user can be accessed through a separate interface (described below).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provide pages similar to the personalized page in a similar manner in addition to the personalized page through the family menu. For example, a page configured similarly to the personalized page may also include a control page for controlling various digital devices connected to a home network. Such a personalized page may be, for example, a menu, a configuration item of the menu, or any UI that can be provided by other computing devices. On the other hand, the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ccess to each user's personalized page in the family menu, move or change between each personalized page, it is easier and more convenient to recognize and have a visual effect to the user You can define and provide a new interfac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가 포함된 전체 시스템의 일 예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ntire system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전체 시스템은 컴퓨팅 디바이스(100), 방송국(broadcast station)(110), 서버(internal or external server)(120), 외부 디바이스(external device)(130), 외부 TV(external or second TV)(140),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15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entire system includes a computing device 100, a broadcast station 110, an internal or external server 120, an external device 130, and an external TV. second TV 140, mobile device 150, and the like.

방송국(110)은 컨텐트, 서비스 또는/및 네트워크 프로바이더의 개념으로, 단지 컨텐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양방향으로 컴퓨팅 디바이스(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broadcast station 110 is a concept of a content, a service, and / or a network provider,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computing device 100 in both directions, instead of merely providing content.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 또는 인터넷과 같은 매체를 통하여 방송국(110)으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거나 소정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서버(120), 외부 디바이스(130), 외부 TV(140), 모바일 디바이스(150) 등과 각각 유, 무선의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그 밖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서버(120), 외부 디바이스(130), 외부 TV(140), 모바일 디바이스(150) 등도 상호 간에 유,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1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방송국(110)과도 유,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computing device 100 may receive content or transmit predetermined data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110 through a medium such as terrestrial, cable, satellite, or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120, the external device 130, the external TV 140, the mobile device 150, and the lik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lthough not shown elsewhere, the server 120, the external device 130, the external TV 140, and the mobile device 150 may also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may not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puting device 100. The broadcasting station 110 may also be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network.

한편, 외부 디바이스(130)는 USB 메모리, HDD, PC,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종 디지털 기기 등이 포함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50)는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130 may include a USB memory, an HDD, a PC, various digital devices connected to a home network, and the mobile device 150 may include a notebook, a smart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예컨대, TV 시청 중 또는 TV의 일반 기능을 실행 중 선호 채널, 선호 프로그램, 특정 기능 등에 따라, 화면을 캡쳐하고 고유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고, 메뉴의 종류 내지 뎁쓰(depth)에 따라 또는 그와 상관없이 본 발명과 관련된 개인화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 또는 복잡한 뎁스 네비게이션(Depth navigation)이 없이도 원하는 또는 이용 빈도가 높은 기능에 관해 생성된 각 사용자만의 개인화 페이지를 자유롭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이용시 별도의 뎁쓰 네비게이션을 거치지 않더라도 쉽고 간편하고 빠르게 접근 및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사용자의 제품 이용 만족도를 고취시켜 제품 구매 욕구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100 may capture a screen and generate and provide a unique application according to a favorite channel, a favorite program, or a specific function, for example, while watching TV or executing a general function of the TV. Personalization pag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or without regard to depth. Therefore, each user's personalized page generated for a desired or frequently used function can be freely and conveniently used without a large number or complicated depth navigation, and it is easy and simple even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depth navigation. It can be accessed and executed quickly for user convenience. This, in turn, enhances the user's desire to use the product,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 purchase desir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 예에 대한 상세 블록도이다.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 comput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UI를 제공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 예는, 입력 수단으로부터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수신된 커맨드 신호에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의 각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personalization page) 액세스를 위한 제1 UI를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1 UI로부터 선택된 개인화 페이지를 기 제공중인 화면의 페이지와 연속 또는 불연속하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UI에, 상기 각 개인화 페이지 식별을 위한 정보, 해당 개인화 페이지 접근을 위한 방향성 정보 및 해당 개인화 페이지의 소정 부분에 대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공한다.An example of a computing device providing a UI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n interface module for receiving a command signal from an input means, a first for accessing a personalization page of each user of the computing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command signal.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UI to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screen, and a display module for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providing the personalized page selected from the first UI with the page of the screen being provided. Here,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personalized page, directional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personalized page, and image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personalized page in the first UI. .

한편, 상기에서, 연속이라 함은, 상기 선택된 개인화 페이지가 기 제공중인 화면의 페이지를 완전히 대체하여 화면 전체에 제공되기 전까지 상기 기 제공중인 화면과 소정 비율로 공존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말하고, 불연속이라 함은 상기 연속 이외의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예컨대, 패밀리 메뉴를 통하여 개인화 페이지가 중첩적 또는 공존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개인화 페이지로 바로 전환되는 경우 등을 말한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continuous means that the selected personalized page is provided to coexist with the previously provided screen at a predetermined rate until it completely replaces the page of the previously provided screen and is provided to the entire screen. Refers to a case other than the above, for example, a case in which a personalized page is not provided to overlap or coexist through a family menu, but is directly switched to the personalized page.

또한,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UI 내 특정 사용자 리스트 또는 소정 항목이 포인팅되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1 UI 내 특정 사용자 리스트가 포인팅된 경우에는, 미리 해당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 제공을 위해 링크된, 식별 정보 내지 사용자 인증창, 해당 개인화 페이지 미리 보기 썸네일 이미지, 해당 개인화 페이지에 관한 부가 정보 내지 부가 기능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이 순차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UI 내 소정 항목이 포인팅된 경우에는, 미리 해당 항목의 속성(attributes)에 따라 링크된 정보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제공을 위해 해당 항목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변경이라 함은, 상기 해당 항목이 포인팅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고 상기 링크 정보 및 링크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제공을 위하여, 크기 변경, 컬러 변경, 3D 포맷 전환, 테두리 포커싱, 하이라이트 처리와 같이 해당 항목 자체의 외관을 포인팅 이전과 다르게 구성 또는/및 해당 항목의 서브 UI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링크 정보(linked information)에는 채널(channel) 정보, 프로그램(program or event) 정보, 시간(time) 정보, 타이틀(title) 정보, 장르(genre) 정보, 그레이드(grade) 정보, 시청률(viewing rate) 정보,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 해상도(resolution) 정보, 관련 컨텐트 링크(related content linking) 정보, 디스플레이 성능(display capability)에 관한 정보, 코덱(codec) 정보, 저장 용량(storage capability) 정보, 즉시 녹화/녹화 예약/시청(instant recording/recording reservation/reproducing) 정보, 액세스 가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링크 기능(linked function)에는 업데이트 링크(update-linked) 기능, 시리즈 정보 링크(series-linked) 기능, 녹화/예약 녹화(recording/recording reservation) 기능, 타임-쉬프트(time-shift) 기능, 캡쳐(capture) 기능, 편집(editing)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말한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a specific user list or a predetermined item in the first UI is pointed to according to the received command signal, and if the specific user list in the first UI is pointed to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rresponding user in advance At least one or each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authentication window, the personalization page preview thumbnail imag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or additional functions related to the personalization page, which are linked to provide the personalization page, may be sequentially provide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change the corresponding item to provide at least one of linked information and a function according to attributes of the corresponding item when the predetermined item in the first UI is pointed o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Can be.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mentioned chang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corresponding item is pointed, and in order to provide at least one of the link information and the link function, such as size change, color change, 3D format conversion, border focusing, highlight processing, and the like. This refers to providing the appearance of the item itself differently from before pointing and / or providing the item as a sub UI of the item. In addition, the linked information includes channel information, program or event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title information, genre information, grade information, and viewer ratings. viewing rate information, thumbnail image, resolution information, related content linking information, display capability information, codec information, storage capability At least one or more of information, instant recording / recording reservation / reproducing information, access availability information, and the linked function includes an update-linked function and a series of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ries-linked function, a recording / recording reservation function, a time-shift function, a capture function, and an editing function .

그리고 상기에서, 제어부는, 기 구비되었거나 유/무선 네트워크 또는 외부 기기를 통해 다운로드 받은 템플릿 중 하나를 이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 내 각 사용자에 맞춤형 개인화 페이지를 구성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각 사용자에 대해 저장된 개인화 페이지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각 개인화 페이지 식별 정보, 속성 정보,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로 이웃하여 연속 또는 순차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화면 분할 요청을 포함한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화면 분할 요청에 대응되는 분할된 화면의 구성을 위한 제2 UI를 제공하되, 상기 제2 UI는, 상기 요청된 개수만큼 화면이 분할된 형태의 화면 영역을 표시하는 제1 항목과, 상기 제1 항목과 함께 동일 레벨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화 페이지에 대한 제2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항목의 개인화 페이지가 제1 항목의 각 영역에 드래그&드롭(drag&drop)되면, 상기 제2 UI는 사라지고 분할된 각 영역에 드래그&드롭된 개인화 페이지가 각각 화면 전체에 확대되어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configure and store a personalized page for each user in the computing device by using one of templates provided or downloaded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or an external device, and stored for each use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ersonalization pages, at least one of each personalization p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ribute information, and thumbnail image may be controlled to be provided consecutively or sequentially in the neighboring personalization page of the user, and the screen division request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input means. Receiving a command signal including a, and providing a second UI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divided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creen split request, wherein the second UI, the screen area of the screen divided form by the requested number A first item to be written and provided at the same level together with the first item A second item for one or more personalized pages, and when the personalized page of the second item is dragged & dropped to each area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UI disappears and dragged and dropped to each divided area Each of the personalized pages can be controlled to be enlarged and provided on the entire screen.

컴퓨팅 디바이스는, 화면상에 제공되는 OSD 데이터에 대한 좌표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which generates and stores coordinate information about the OSD data provided on the screen.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방송 수신부(210), 복조부(2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 제어부(250), 비디오 출력부(260), 오디오 출력부(270), 전원 공급부(28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29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입력 수단 예를 들어, 리모컨(remote controller)(300)와 통신을 통하여 소정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소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리모컨(30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mputing device 20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er 210, a demodulator 240, a network interface 220,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230, a controller 250, a video output unit 260, An audio output unit 270, a power supply unit 280, and a user interface 290 are included. The computing device 200 may receive predetermined data or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an input means, for example, a remote controller 300. The remote controller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to be described later.

방송 수신부(210)는, RF(Radio Frequency) 튜너 또는 셋톱박스(STB; Set-Top Box) 등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수신부(2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의 단일 캐리어(single carrier)의 RF 방송 신호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의 복수 캐리어(multiple carriers)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unit 210 may be an interface for receiving broadcast data from a radio frequency (RF) tuner or a set-top box (STB). For example, the broadcast receiver 210 may receive an RF broadcast signal of a single carrier of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method or an RF broadcast signal of multiple carriers of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method. Can be.

복조부(240)는, 방송 수신부(210)에서 변환되는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복조부(240)는 예컨대, 방송 수신부(2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에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The demodulator 240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broadcast receiver 210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In this case, the demodulator 240 performs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broadcast receiver 210 is an ATSC scheme.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30)는, 외부 장치와 컴퓨팅 디바이스(200) 사이에 예컨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여기서, 상기 외부장치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블루-레이(Blu-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을 포함), 셋톱박스(STB)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는 예를 들어,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230 is an interface for data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computing device 200 via, for example, a wired or wireless network. Here,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a DVD (Digital Versatile Disc), a Blu-ray,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including a laptop), a set top box (STB), and the lik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230 may include, for example, a USB terminal, a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CVBS)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 S-video terminal (analog), a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and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HDMI). Interface) terminal, RGB terminal, D-SUB terminal and the lik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220 i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computing device 200 to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220 may include, for example, an Ethernet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a wired network, and for example, a WLAN (Wireless LAN) for connection with a wireless network.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nd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communication standards may be used.

사용자 인터페이스(29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25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25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리모컨(3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29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컨(300)으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25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신호를 리모컨(210)으로 송신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290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250 or transmi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250 to an external device (eg, the remote controller 300).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290 may receive control signals such as power on / off, channel selection, and screen setting from the remote controller 300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n RF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Alternatively,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250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ler 210.

비디오 출력부(260)는, 제어부(25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오디오 출력부(270)는, 제어부(25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한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28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28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250), 영상 표시를 위한 비디오 출력부(26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27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video output unit 260 converts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or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etc.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230 into an R, G, and B signal, respectively. Generate a drive signal. The audio output unit 270 receives and outputs a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250,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The power supply unit 280 may supply corresponding power to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mputing device 200. In particular, the power supply unit 280 may include a controller 250 tha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a video output unit 260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n audio output unit for audio output ( 270 may be powered.

한편, 제어부(250)는 후술할 도 3 내지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3과 4에 도시된 제어부는 각각 개별 실시 예일 수도 있고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may be individual embodiments or may be implemented as one modul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50/350)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controller 250/3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50/350)는, 역다중화부(351), 영상 디코더(352), 스케일러(352), OSD 생성부(357), 믹서(354),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그리고 포맷터(35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50/350)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음성 처리부, 데이터 처리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250/350 may include a demultiplexer 351, an image decoder 352, a scaler 352, an OSD generator 357, a mixer 354, and a frame rate converter 355. And a formatter 356. Here,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ler 250/350 may further include a voice processor, a data processor, and the like.

역다중화부(351)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상기 역다중화부(351)는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면,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The demultiplexer 351 demultiplexes an input stream. For example, when the MPEG-2 TS is input, the demultiplexer 351 may demultiplex it and separate the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respectively.

영상 디코더(352)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53)는, 복호화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비디오 출력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The image decoder 352 decodes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and the scaler 353 performs scaling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image signal can be output from the video output unit.

OSD 생성부(357)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믹서(354)는, OSD 생성부(357)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52, 353)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mixing)할 수 있다.The OSD generator 357 generates an OSD signal according to a user input or itself. Therefore, the mixer 354 may mix the OSD signal generated by the OSD generator 357 and the decoded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s 352 and 353.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는,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The frame rate converter 512 may convert the frame rate of the input video. For example, the frame rate converter 355 converts the frame rate of 60 Hz to 120 Hz or 240 Hz.

포맷터(356)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비디오 출력부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포맷터(356)는,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차분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The formatter 356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frame rate converter 355, changes the format of the signal to be suitable for the video output unit, and outputs the signal. For example, the formatter 356 may output R, G, and B data signals, and the R, G, and B data signals may be output a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or mini-LVDS. Can b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입력 수단들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4 illustrates an example of input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a comput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수신기(400)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UID; User Interface Device)가 원격제어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수신기 전용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UID) 외에도 연동 가능한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휴대용 기기도 원격제어장치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order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user interface devices (UIDs) capable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igital receiver 400 may be used as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 Meanwhile, in addition to a user interface device (UID) dedicated to a digital receiver,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that can be linked may also be a remote control device.

원격제어장치의 통신 수단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다양한 통신 규격이 이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may be, for exampl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may be used.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UID)는, 통상적인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410) 이외에 매직 리모트 콘트롤러(420), 키보드와 터치패드가 구비된 리모트 콘트롤러(4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device (UID) may include a magic remote controller 420, a remote controller 430 equipped with a keyboard and a touch pad,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410.

매직 리모트 콘트롤러(440)는, 리모트 콘트롤러 내부에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탑재하여 손의 떨림이나 회전을 인식할 수 있다. 즉, 매직 리모트 콘트롤러(440)는 사용자의 상하좌우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시켜 원하는 동작 예를 들어, 채널이나 메뉴를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The magic remote controller 440 may include a gyro sensor inside the remote controller to recognize hand shaking and rotation. That is, the magic remote controller 440 moves the pointer according to the user's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trol a desired operation, for example, a channel or a menu.

키보드와 터치패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430)는, 키보드를 통하여 텍스트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고, 터치패드를 통하여 포인터의 이동 및 사진이나 동영상의 확대, 축소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The remote controller 430 having a keyboard and a touch pad facilitates text input through a keyboard, and facilitates movement of a pointer and control of enlargement and reduction of a picture or video through the touch pad.

본 발명에 따른 EPG, 썸네일, 채널 브라우저, 시청률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기 위하여, 사용자는 특정 메뉴 항목 선택 등의 다양한 동작을 상술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UID)를 통하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order to receive information on EPG, thumbnail, channel browser, viewer rating, et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easily perform various operations such as selecting a specific menu item through the above-described various UIDs.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 제어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using an input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500)의 스크린상에, 리모컨(5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501)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리모컨(510)을 좌우(도 5(b)) 또는 상하(도 5(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모컨(510)은,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501)가 이동되어 표시되어 공간 리모콘으로 명명되기도 한다.Referring to FIG. 5A, a pointer 501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5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mputing device 500. The user may move or rotate the remote controller 510 left and right (FIG. 5B) or up and down (FIG. 5C). The remote controller 510 may be referred to as a spatial remote controller by moving the pointer 501 according to a movement in 3D space.

한편,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리모컨(510)을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컴퓨팅 디바이스(500)의 스크린상에 표시된 포인터(501)도 왼쪽으로 이동한다. 리모컨(51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리모컨(5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컴퓨팅 디바이스(500)로 전송되고, 이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500)는 리모컨(5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501)의 좌표를 산출하며,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501)를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5B,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ler 510 to the left side, the pointer 501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mputing device 500 also moves to the left sid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510 sensed by the sensor of the remote controller 510 is transmitted to the computing device 500, through which the computing device 500 receives a pointer from th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510. The coordinates of 501 may be calculated, and the pointer 501 may be displayed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coordinates.

한편, 도 5(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리모컨(510)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컴퓨팅 디바이스(500)의 스크린상에 표시된 포인터(501)도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C,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ler 510 downward, the pointer 501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mputing device 500 also moves downward.

상술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리모컨(510)을 이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500)의 스크린상의 특정 영역을 액세스할 수 있다.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a user may use a remote controller 510 to access a particular area on the screen of the computing device 500.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모컨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5.

도 6을 참조하면, 리모컨(700)은, 무선통신부(740), 사용자 입력부(750), 센서부(760), 출력부(770), 전원공급부(710), 저장부(720) 및 제어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remote controller 7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40, a user input unit 750, a sensor unit 760, an output unit 770, a power supply unit 710, a storage unit 720, and a control unit ( 730).

무선통신부(740)는, 임의의 외부 기기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700)은, 컴퓨팅 디바이스(600)로 리모컨(7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좌표 정보가 담긴 커맨드 신호를 RF 모듈(741)을 통하여 전송하거나 컴퓨팅 디바이스(6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74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700)은 필요에 따라 IR 모듈(742)을 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600)로 포인터 좌표 정보,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포함한 커맨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40 may communicate with any external devic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ler 700 transmits a command signal containing coordinat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etc. to the computing device 600 through the RF module 741, or transmits a signal transmitted by the computing device 600. It may receive through the RF module 741.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700 may transmit a command signal including pointer coordinate information, power on / off,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etc. to the computing device 600 through the IR module 742 as necessary.

사용자 입력부(750)는, 키 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750 may be configured as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센서부(760)는, 자이로 센서(761) 또는/및 가속도 센서(762)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761)는, 리모컨(7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761)는, 리모컨(7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가속도 센서(762)는, 리모컨(700)의 이동 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그 밖에, 센서부(760)는 거리 측정 센서(미도시) 등을 더 구비하여, 컴퓨팅 디바이스(600)와의 거리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The sensor unit 760 may include a gyro sensor 761 or / and an acceleration sensor 762. The gyro sensor 761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The gyro sensor 761 may sense information about a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based on the x, y, and z axes. The acceleration sensor 762 may sense information regarding a moving speed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In addition, the sensor unit 760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measuring sensor (not shown) or the like, and sense a distance from the computing device 600.

출력부(770)는, 사용자 입력부(75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컴퓨팅 디바이스(6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770)는 사용자 입력부(75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740)를 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6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77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772),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773), 또는/및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774)을 구비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770 may output a video or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 manipulation of the user input unit 750 or correspon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puting device 600. For example, the output unit 770 may include an LED module 771 that is turned on when the user input unit 750 is manipul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computing device 6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40, and a vibration module that generates vibration ( 772, a sound output module 773 for outputting sound, and / or a display module 774 for outputting an image.

전원공급부(710)는, 리모컨(7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710)는 리모컨(7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710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The power supply unit 710 may reduce power waste by stopping power supply when the remote controller 700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time.

저장부(720)는, 리모컨(7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720 stores various types of programs, application data, and the like necessary for controlling or operating the remote controller 700.

제어부(730)는, 리모컨(7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730)는, 사용자 입력부(75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 신호 또는 센서부(770)에서 센싱한 리모컨(7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커맨드 신호를 무선 통신부(740)를 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600)로 전송하거나 리모컨(700) 자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측정 센서에서 센싱된 값을 기초로 신호 세기의 강약을 조절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730 controls various matter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730 may transmit a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750 or a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sensed by the sensor unit 770. Through the transmission to the computing device 600 or to control the remote control 700 itself. For example, power consumption may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signal strength based on the value sensed by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 내 UI의 제어, 출력에 관한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control and output of a UI in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크게 리모컨 등 입력 수단(input means)의 포인터의 위치 또는 포인팅 여부에 따라, 소정 항목(item), 버튼(button) 등에 미리 링크된 정보(linked information) 내지 기능(linked function)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관련 정보나 기능을 더욱 쉽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은 물론, 컴퓨팅 디바이스를 더욱 스마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guide)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포인터의 위치 또는 포인팅 여부에 따라, 복수의 이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미리 구성된 개인화 페이지(personalization page) 액세스를 위한 UI를 제공하고, 각 개인화 페이지 UI를 액세스함에 있어서 새로운 개념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자와 후자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양자가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linked to a predetermined item, a button, etc. in advance is link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pointing of a pointer of an input means such as a remote controller. functions to provide users with easier access to relevant information or functions, as well as guide the use of computing devices smarter.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pointing of the pointer, a UI for access to a personalization page (personalization page) preconfigured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can use the computing device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Embodiments of providing a new concept interface in accessing a personalized page UI will be described.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er and the latter may be made separately, but it is obvious that both may be performed in combination.

포인트 point 포인팅에On pointing 따른 부가 정보 내지 부가 기능 제공 실시 예 Additional information to provide additional func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7 내지 15는 본 발명에 따라 포인터가 컴퓨팅 디바이스의 소정 항목에 포인팅되는 경우에 UI의 제공 방법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7 to 15 illustrate embodiments of a method of providing a UI when a pointer is pointed to a predetermined item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컴퓨팅 디바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모컨과 같은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포인터의 포인팅 위치 변화에 따른 계산된 좌표 정보가 포함된 커맨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디바이스는 스크린상에 제공 또는 출력되는 OSD에 대한 좌표 정보를 미리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에 저장되는 좌표 정보는 비단 메뉴 항목들뿐만 아니라 후술할 패밀리 메뉴에 따른 각종 템플릿을 포함하여 컨텐트에 대한 영역 등 스크린상에 제공되는 모든 영역과 해당 영역에서 제공되는 각종 항목 내지 데이터에 대한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테이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계속하여 포인터의 포인팅 좌표 정보를 저장부에 기 저장된 좌표 정보와 비교하여 특정 항목이 포인팅 즉, 포인터가 특정 항목을 포인팅하는 지를 판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uting device may receive a command signal including calculated coordinate informa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inting position of the pointer from an external input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ler. In this case, the computing device may store coordinate information about the OSD provided or output on the screen in a storage unit in advance. The coordinat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cludes not only menu items but also various areas provided on the screen, such as areas for content, including various templates according to a family menu to be described later, and coordinates for various items or data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areas. Information may be included and may be implemented in a table form. Accordingly, the computing device continuously compares the point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pointer with the coordinate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to determine whether the specific item is pointing, that is, the pointer points to the specific item.

도 7(a)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소정 항목에 포인터가 위치 또는 포인팅되기 전의 모습(normal)이고, 도 7(b)는 포인팅 또는 포인팅 이후의 모습이다. FIG. 7A is a view before a pointer is positioned or pointed to a predetermined item of a computing device, and FIG. 7B is a view after a pointing or pointing.

도 7(b)를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소정 항목이 포인팅된 경우, 해당 항목의 포인팅 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해당 항목의 테두리를 포커싱(focusing) 처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when a certain item is pointed, the computing device may focus the edge of the item so as to identify that the item is pointed.

도 8(a)를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의 스크린상에는 중앙 영역(810)에 방송 프로그램(broadcast program)이 출력되고, 하단 영역에 메뉴 항목(검색 메뉴, 웹 브라우저 메뉴 등)이 출력되고 있다. 한편, 포인터(815)는, 도 8(a)의 하단 메뉴 항목의 우측에 위치하여 아직 어떠한 항목도 포인팅하고 있지 않다.Referring to FIG. 8A, a broadcast program is output to the central region 810 on a screen of a computing device, and menu items (a search menu, a web browser menu, etc.) are output to a lower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pointer 815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menu item of Fig. 8A and does not point to any item yet.

도 8(b)를 참조하면, 포인터(820)가 중앙 영역(810)을 포인팅하고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된 포인터의 포인팅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포인팅 위치에 매핑(mapping) 가능한 항목이 있는지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8B, the pointer 820 points to the center area 810. As described above, the computing device determines the pointing position of the moved pointer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tem that can be mapped to the pointing position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information.

컴퓨팅 디바이스는 판단 결과 도 8(b)의 방송 프로그램 화면 제공 영역(810)이 포인팅 되었으면, 상기 방송 프로그램 화면 제공 영역의 테두리(830)를 포커싱 또는 컬러를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포인터를 통해 현재 자신이 어느 위치를 포인팅하고 있는지 또는 원하는 항목에 대한 제어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of determination, when the broadcast program screen providing area 810 of FIG. 8B is pointed to, the computing device changes the focusing or color of the edge 830 of the broadcast program screen providing area as shown. Thus, the user can control which position he or she is currently pointing to or through the desired item through the pointer.

도 9(a) 내지 9(b)는, 전술한 도 7 내지 8를 참조하고 미리 구성하여 저장된 링크 정보 내지 링크 기능이 더 부가되는 예시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의 스크린상에 최근 시청 채널을 표시하는 항목이 제공되는데, 해당 항목(910)에서는 썸네일 이미지와 간략한 채널 넘버가 함께 제공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포인팅 된 소정 항목(910)에 대하여 전술한 도 7 내지 8과 같이 해당 항목의 테두리를 포커싱 처리(930)함과 동시에, 해당 항목의 소정 영역(940)에 부가 정보 내지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부가 정보로는 채널 명(방송국), 디스플레이 정보(HD/SD/3D 등)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정보 내지 부가 기능의 내용이나 제공되는 영역 등은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된 더욱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9 (a) to 9 (b) are examples in which link information or a link function stored in advance by referring to FIGS. 7 to 8 described above is further added. Referring to FIG. 9A, an item for displaying a recent viewing channel on a screen of a computing device is provided, which is provided with a thumbnail image and a brief channel number. Referring to FIG. 9B, the computing device focuses 930 an edge of a corresponding item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pointed predetermined item 910, and at the same time, a predetermined area 940 of the item. )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or additional functions. Referring to FIG. 9B,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channel name (broadcasting station), display information (HD / SD / 3D, etc.). Here,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e content of the additional function, the provided area, and the like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한편, 도 10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의 소정 항목이 포인터에 의해 포인팅되기 전(도 10(a))과 후(도 10(b) 내지 (d))의 모습에 대한 다양한 예시들을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in FIG. 10,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xamples of the appearance of a predetermined item of the computing device before (point 10 (a)) and after (figure 10 (b) to (d)) are pointed out by a pointer. It is shown.

도 10(b) 내지 (d)를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포인터에 의해 소정 항목이 포인팅되면, 컬러 변경, 테두리 포커싱, 크기 변경, 3D 처리, 하이라이트 처리 등과 함께 또는 별개로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 정보는 예를 들어, 해당 항목의 타입에 따라 그 제공되는 부가 정보의 종류 내지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즉, 부가 정보는 해당 항목에 관련된 부가 정보만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 메뉴 항목이 포커싱된 경우 그와 무관한 채널 정보, 타이틀 정보, 장르 정보를 제공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해당 메뉴 항목에 직접적인 부가 정보 예를 들어, 스피커 항목이라면 소리의 크기 조절을 위한 정보나 적정 소리 레벨에 대한 정보 등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포커싱된 경우에 부가 정보(information 1, information 2, information 3)가 단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c)를 참조하면 채널 정보, 프로그램 정보, 시간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d)를 참조하면 타이틀 정보, 장르 정보, 그레이드(grade) 정보, 시청률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도 10(b) 내지 (d)는 각각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서로 조합되어 부가 정보가 결정되고 제공될 수도 있다. 그 밖에, 도 10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부가 정보로는 썸네일 이미지, 해상도 정보, 관련 컨텐트 링크 정보, 2D/3D/HD/SD 등 디스플레이 성능에 관한 정보, 코덱 정보, 저장 용량 정보, 녹화/녹화 예약/시청 정보, 액세스 가능 여부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부가 정보는 저장부에 전술한 좌표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테이블화 될 수도 있으며 각각 별개로 저장되고 링크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를 링크 정보로 명명할 수도 있다.10B and 10D, when a predetermined item is pointed by a pointer, the computing device may provide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together with or separately from color change, border focusing, size change, 3D processing, highlight processing, and the like. Can be. Here, the type or content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d may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rresponding item, for example. That is,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only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item. For example, when a simple menu item is focused,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channel information, title information, and genre information irrelevant to it. In this case, additional information directly on the menu item, for example, a speaker item, may provide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sound volume or information on an appropriate sound level. Referring to FIG. 10 (b), it is shown that additional information (information 1, information 2, information 3) is provided only when focused. Referring to FIG. 10 (c), channel information, program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are provided. Is provided, and referring to FIG. 10 (d), title information, genre information, grade information, and viewer rating information are provided. 10 (b) to 10 (d) may be provided separately, but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nd provid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0,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thumbnail image, resolution information, related content link information, information on display performance such as 2D / 3D / HD / SD, codec information, storage capacity information, recording / recording reservation. / Viewing information, accessibility information, etc. may be included. On the other hand, such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stored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coordinate information in a storage unit and tabulated, and may be stored separately and connected by a link. Therefore, such information may be referred to as link information.

도 11(a)를 참조하면, 화면 중앙에 방송 컨텐트가 제공되는 영역(1110)과 그 하단 영역에 소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메뉴 항목이 제공되고 있으며, 포인터는 하단 영역의 마이 메뉴 항목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영역(1110)의 우측에 포인팅 된 마이 메뉴 항목과 관련된 기능 또는 메뉴 항목이 제공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1 (a), a region 1110 in which broadcast content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a screen and a menu item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function in a lower region thereof are provided, and the pointer is located at a My Menu item in the lower region. In addition, a function or a menu item related to the My Menu item pointing to the right side of the area 1110 is provided.

도 11(b)를 참조하면, 화면 중앙의 방송 컨텐트가 제공되는 영역(1110)에 포인터(1115)가 위치하고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포인터가 위치한 영역을 판단하여, 해당 영역이 포인팅되었음을 인지하면, 포인팅된 해당 영역에 대해 미리 저장된 링크 정보를 제공한다. 도 11(b)에서는 영역(1110)이 포커싱 처리(1120)되고, 라이브 방송임을 나타내는 아이콘(1125)과 컨텐트 타이틀, 시간 정보, 로고(logo) 등의 아이콘(1130)이 제공되었다.Referring to FIG. 11B, a pointer 1115 is positioned in an area 1110 where broadcast content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mputing device determines that the area where the pointer is located, and recognizes that the area is pointed, the computing device provides pre-stored link information for the pointed area. In FIG. 11B, an area 1110 is focused 1120, and an icon 1125 indicating that the broadcast is live broadcast and an icon 1130 such as a content title, time information, and a logo are provided.

전술한 도 11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 12(a)를 참조하면, 화면 하단의 3D 월드(3D world)라는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그 상단에 3D 컨텐트에 관한 이미지 항목들이 제공된다. 여기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1205)가 화면 중앙에 제공되는 소정 컨텐트에 관한 이미지 항목(1210)을 포인팅하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포인팅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포인팅 위치(또는 영역)의 항목에 링크 정보가 있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하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포인터의 위치를 해당 영역에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링크 정보(1225,1230)를 해당 항목의 소정 영역에 출력하고, 해당 항목이 포인팅 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도록 테두리를 포커싱 처리(1220)한다.In a manner similar to FIG. 11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 12A, when a menu item called 3D world is selec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mage items related to 3D content are provided at the top thereof. Here, as shown in FIG. 12B, when the pointer 1205 points to an image item 1210 about predetermined content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the computing device identifies the pointing position and identifies the pointing position ( Or whether there is link information in the item of the region). In other words, the computing device outputs the link information 1225 and 1230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orresponding item while positioning the pointer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focuses the border 1220 to identify that the item is pointed. )do.

한편, 도 13(a) 내지 (b)에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는 식별된 포인팅 위치에 링크 부가 정보(1330,1340)를 제공함에 있어서, 전술한 내용과 다르게, 포인팅 위치의 항목의 이미지 등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 링크 정보로 썸네일 이미지와 해당 컨텐트의 별점 정보 등에 따라 필요한 공간을 계산하고, 그에 따라 기존 이미지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이는 링크 정보 내지 기능의 속성 또는 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Meanwhile, in FIGS. 13A and 13B, the computing device provides the link additional information 1330 and 1340 to the identified pointing position, and, unlike the foregoing description, determines the size of the image or the like of the item at the pointing position. You can change it. Referring to FIG. 13 (b), the necessary space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thumbnail image and the star poin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s link information, and the size of the existing image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ly.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nature or the amount of link information or function.

또한, 도 14(a) 내지 (b)를 참조하면, 단지 컨텐트에 대한 항목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포인팅(1405)된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링크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컴퓨팅 디바이스는 소정 항목이 선택되면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편의 도모를 위해 적절한 링크 정보 내지 기능을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4A to 14B, when an application item is pointing 1405 as well as an item for content, the size of an icon representing the application may be adjus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depending on the link information, the computing device may select and provide appropriate link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for convenience of the user when a predetermined item is selected.

그 밖에, 도 15(a) 내지 (b)를 참조하면, 화면 상단에 제공된 메뉴 아이콘만 존재하고 특정 아이콘이 포인팅되면, 그 하단에 해당 메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예를 들어, “Home”과 같은 텍스트 정보)와 함께 해당 아이콘이 포인팅 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도록 아이콘 자체를 3D 처리, 하이라이트 처리하거나 테두리를 포커싱 처리하거나 아이콘 자체의 컬러를 변경할 수도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5A and 15B, when only a menu icon provided at the top of a screen exists and a specific icon is pointed to,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menu at the bottom thereof (for example, “Home”). In addition, the icon itself may be 3D processed, highlighted, focused on the border, or the color of the icon itself may be changed to identify that the icon is pointing.

상술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는 외부의 입력 수단과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단지 포인터의 포인팅 위치만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포인팅 위치의 변화를 계속하여 추적하여 스크린에 제공된 컨텐트(메뉴, 방송 프로그램 등)의 타입과 항목들의 속성에 기초한 링크 정보나 링크 기능을 손쉽고 별도의 뎁쓰 네비게이션을 통하지 않고도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uting device not only changes the pointing position of the pointer through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an external input means, but also continuously tracks the change of the pointing position to provide the type of content (menu, broadcast program, etc.) provided on the screen. Link information or link functions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items can be provided easily and without access through a separate depth navigation.

한편, 컴퓨팅 디바이스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단지 포인팅된 항목의 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링크 정보 또한, 반드시 예시된 형식에 한정되지 않고 메인-서브 형식, 3D 형식 등 사용자의 인식 편의 내지 이용 편의를 고려하여 포인팅 식별, 링크 정보 내지 기능을 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포인팅되었으면, 업데이트 정보와 함께 업데이트를 위한 링크 정보도 제공할 수 있으며, 소정 방송 프로그램을 포인팅하면, 시리즈 정보 링크 기능, 녹화/예약 녹화 기능, 타임-쉬프트, 캡쳐 기능, 편집 기능 등 콘텐츠 속성에 따른 다양한 이용 가능한 기능이 포인팅만으로 별도의 뎁쓰 네비게이션을 통하지 않고도 바로 이용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computing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area of the pointed item, and the link informa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format, but considering the user's recognition convenience or convenience, such as a main-sub format and a 3D format. Pointing identification, link information or functions can be easily provided. For example, when an application item is pointed, it may provide link information for updating together with the update information. When a predetermined broadcast program is pointed, the series information link function, recording / reserved recording function, time-shift, capture function, Various available functions according to the content property such as editing function can be provided to be used immediately without pointing through the depth navigation simply by pointing.

한편, 전술한 UI 제공 방법의 일 예는, 후술할 UI 제공 방법의 예시와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함께 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컴퓨팅 디바이스는,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 이후에 상기 개인화 페이지 내 소정 항목이 포인팅되는 경우, 그에 관한 링크 정보나 링크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이다.Meanwhile, one example of the UI providing method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example of the UI providing method to be described later or may be provided in a combined form. For example, the computing device may provide link information or a link function about a predetermined item in the personalized page after accessing the personalized page.

패밀리family 메뉴 & 개인화된 메뉴 제공 실시 예 Menu & Personalized Menu Provision Embodiment

다음으로, 복수의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UI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개인화 페이지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다만, 이러한 용어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차용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Next, a method of providing a UI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can use the computing device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will be described. To this e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described above, the term personalization page is us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these terms are borrowed to expla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te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개인화 페이지는 각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신만의 고유한 메뉴 항목이나 컨텐트 등의 이용 편의를 위해 구성한 페이지(들)를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로 개인화 페이지는 개인화된 메뉴, 맞춤형 메뉴, 맞춤형 페이지 등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The personalized pag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page (s) configured for each user's convenience of using one or more unique menu items or contents in using the computing device. For this reason, a personalized page may be referred to as a personalized menu, a customized menu, a customized page, and the lik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는, 개인화 페이지를 제공함에 있어서, 그 액세스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소개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인터페이스 예시들을 참고하고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a personalized page, introduces a variety of interfaces for the convenience of its access. For this, see the interfac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먼저, 각 사용자를 위한 개인화 페이지 구성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고, 구성된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UI 제공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a personalized page for each user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a method of providing a UI including an interface for accessing the configured personalized pag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의 개인화 페이지를 액세스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가지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하나는, 개인화 페이지에 관한 패밀리 버튼 또는 항목을 통한 접근이고, 다른 하나는 외부 입력 장치의 포인터를 통한 접근이다.How a user accesses a personalized page of a comput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fined in a variety of ways. However,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by using two example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e is access via a family button or item on a personalized page, and the other is access through a pointer of an external input device.

도 16 내지 17은 본 발명에 따라 개인화된 메뉴를 구성하는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6 to 17 illustrate an example of a method of configuring a personalized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 내지 (d)는 예컨대,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개인화 페이지 구성을 위한 수단의 일 예로, 템플릿일 수 있다. 이러한 템플릿은 미리 제조업체(manufacturer)에서 컴퓨팅 디바이스에 임베디드(embedded) 형태로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유/무선 네트워크나 USB와 같은 외부 기기를 통하여 다운로드(download) 받아 이용할 수 있다. 16A to 16D may be templates, for example, as a means for personalizing page configuration provided by a computing device. Such templates may be provided in advance by the manufacturer in an embedded form in a computing device or may be downloaded and used by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wired / wireless network or a USB as needed by a user.

한편, 도 16(a) 내지 (b)는 각 영역이 미리 셋팅된 템플릿이고, 도 16(c) 내지 (d)는 기본 구성만을 포함하여 사용자 정의가 가능한 템플릿의 예시들이다. 여기서, 도 16(a) 내지 (b)와 16(c) 내지 (d)의 차이는, 전자의 템플릿은 완성형으로 별도의 수정이 불가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해당 템플릿의 선택만을 결정할 수 있다면, 후자는 기본 골격만을 제공하고 템플릿 구성 자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마음대로 수정, 편집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는 전자와 마찬가지로 골격 자체는 수정 불가능하나 각 영역에 위치할 컨텐트의 종류만을 마음대로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16 (a) to (b) is a template in which each area is set in advance, Figures 16 (c) to (d) are examples of templates that can be customized, including only the basic configuration. Here, the difference between FIGS. 16 (a) to (b) and 16 (c) to (d) is that if the former template is completed and cannot be separately modified and only the selection of the template can be determin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he latter provides only the basic skeleton and provides the template configuration itself so that users can modify and edit it as they wish. In the latter case, as in the former case, the skeleton itself may not be modified, but may be configured to change only the type of content to be located in each region.

예를 들어, 도 16(a)를 참조하면, 각 영역은 방송 프로그램 제공 영역,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영역, SNS 서비스 제공 영역 등이 미리 정해져 있다. 이에 반해, 도 16(c)는 단지 영역만이 구분되어 존재할 뿐, 각 영역이 반드시 방송 서비스 영역, SNS 서비스 영역,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영역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6(a) 내지 (d)의 각 영역의 크기, 컬러, 해상도, 글자 모양, 언어 등은 개별적으로 사용자가 자유롭게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도 16(a) 내지 (d)에 예시된 각 템플릿은 예를 들어, 스크린의 각 좌우상하 끝에 포인터 접근에 따라 출력되는 화살표 아이콘에 의해 다른 템플릿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6A, a broadcast program providing area, an application list area, an SNS service providing area, and the like are predetermined in each area. On the contrary, in FIG. 16C, only regions are divided and each reg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broadcast service region, an SNS service region, and an application service region. In addition, the size, color, resolution, letter shape, language, and the like of each area of FIGS. 16A to 16D may be freely controlled by the user individually. In this case, each template illustrated in FIGS. 16 (a) to (d) may be moved to another template by, for example, an arrow icon that is output according to a pointer approach at each of the left and righ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creen.

일 예로, 도 17을 참조하면, 도 16(a) 내지 (d)에서 사용자가 16(a)의 템플릿(1700)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하자.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7, assume that the user selects the template 1700 of 16 (a) in FIGS. 16A to 16D.

컴퓨팅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된 템플릿의 각 영역을 포인팅하면 해당 사용자만의 맞춤형 화면 즉, 개인화 페이지 구성을 위한 UI(1710 내지 1760)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템플릿 자체의 크기를 스크린 대비 사이즈를 줄임으로써 좌우상하의 여백에 사용자의 포인터에 따른 관련 UI를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공된 템플릿(1700)의 제1 방송 프로그램 영역(1705)을 포인팅하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디폴트 채널 또는 편집 화면 이전에 시청중인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화면을 화면의 소정 영역에 띄워 제공한다. 이 경우 제공된 채널의 화면을 포인터로 드래그&드롭하여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 영역(1705)에 위치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컴퓨팅 디바이스는 선호 채널로 선택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UI를 개별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역(1745)을 포인팅하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미리 PIP(Picture in Picture)로 설정해 놓은 채널을 튜닝하여 제공할 수도 있고, 제1 방송 프로그램 영역(1705)과 중복되지 않되 방송 프로그램, PIP, 영화, 게임, 블루-레이 등 컴퓨팅 디바이스가 현재 액세스 가능한 비디오 컨텐트 중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템플릿 내 각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포인팅되면, 포인팅된 영역과 관련된 컨텐트의 예시들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 편의를 도모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소정 영역에 출력될 컨텐트를 선택함에 있어서, 해당 영역을 포인팅함으로써 바로 출력될 수도 있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 화면을 제공하여 드래그&드롭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영역에 다수의 컨텐트가 제공되는 경우에 그 순서나 배치 등을 조절하기 위해 드래그&드롭(Drag&Drop)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영역(1735)을 예로 들면,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제공되나, 이 경우 자신의 관심 애플리케이션이나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쉽게 접근하기 힘든 경우에는 이를 드래그&드롭 방식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배치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각 영역에 각 컨텐트가 결합된 경우에도 각 영역에 포인터가 포인팅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링크 정보나 링크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포인팅 시간에 따라 최초 링크 정보가 제공된 이후에 계속하여 포인터가 포인팅 즉, 소정 시간 이상 포인팅이 계속되면 링크 기능 항목으로 변경 제공된다거나 포인터의 움직임에 따라 링크 정보 또는/및 링크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points to each area of the selected template, the computing device may provide UIs 1710 to 1760 for constructing a personalized page, that is, a personalized page. As illustrated in FIG. 17, the size of the template itself may be reduced by reducing the size of the template, thereby providing a related UI according to the user's pointer in the left and right upper and lower margins as shown. For example, when the user points to the first broadcast program region 1705 of the provided template 1700, the computing device provides a broadcast program screen of the channel being viewed before the default channel or the edit screen to display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creen. . In this case, the screen of the provided channel may be dragged and dropped with a pointer to be located in the first broadcast program area 1705, and the computing device may individually provide a UI for inquiring whether to select the preferred channel. It may be set automatically. In addition, when the second broadcast program region 1745 is pointed, the computing device may tune and provide a channel previously set by a user in picture in picture (PIP), and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broadcast program region 1705. Computing devices, such as broadcast programs, PIPs, movies, games, Blu-rays, etc. may provide one of the currently accessible video content. When each area in the template is pointed by the user in this manner, examples of content related to the pointed area are provided to facilitate the user's selection.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finally selects the content to be output to the predetermined area, it may be output directly by pointing to the corresponding area, as shown in FIG. 17, provide an example screen to drag and drop It may be.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contents are provided in one area, a drag & drop method may be used to adjust the order, arrangement, and the like. Taking the application list area 1735 as an example, a plurality of application lists are provided. In this case, when the application of interest or the frequently used application is difficult to access easily, the application list area 1735 adjusts the position by dragging and dropping to make the arrangement different. You can also adjust. In addition, even when each content is finally combined in each area, the user may provide link information or a link func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inter is pointed in each area. For example, if the pointer continues pointing after the initial link information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ointing time, that is, when the pointer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link function item is changed or provid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inter. May be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이, 개인화 페이지를 구성함으로써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각 사용자는 자신만의 고유한 맞춤형 개인화 페이지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가족 간에도 아빠, 엄마, 아들, 딸 모두 각자의 관심사, 취향 등이 서로 다른데, 통일된 메뉴만을 고집한다면, 서로 원하는 정보나 컨텐트의 접근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개인별로 차별화된 메뉴 등과 같은 개인화 페이지를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나 컨텐트의 접근이 매우 쉽고 간편하며 시간도 절약되어 편리함을 느낄 수 있다. 한편, 각 개인화 페이지는 비밀번호나 락(lock)을 설정함으로써 함부로 다른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컴퓨팅 디바이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비밀번호를 한 번만 입력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접근이나 기타 필요한 로그인 등을 한 번에 이루어지도록 설정하여 편리성을 추구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개인화 페이지를 하나 또는 그 이상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s described above, by constructing a personalized page, each user using the computing device can have his or her own customized personalized page. For example, dads, moms, sons, and daughters all have different interests and tastes, but if they insist on a unified menu, they will feel uncomfortable because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access the information or content they want. Sinc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personalized page such as a menu differentiated for each individual, such as the present invention, access to desired information or content is very easy, simple, and time-saving. On the other hand, each personalized page can be easily accessed by other users by setting a password or lock. Meanwhile, as described below, when the user selects his menu, the computing device may set convenience to access the application or other necessary login at once by entering a password only once. In addition, a user may have one or more personalized pages.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전술한 개인화 페이지 구성 방법 설명에 이어 그 이용 즉, 컴퓨팅 디바이스의 UI 제공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personalized pag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garding its use, that is, providing the UI of the computing device.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sonalized page acces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어 저장된 개인화 페이지를 액세스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경로 내지 방법에 따를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18, a user may follow the following path or method for accessing a personalized page preconfigured and stored in a computing device. However, this i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일 예는, 멀티-유저(multi-user)의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와 관련된 패밀리 메뉴를 통한 액세스 방법이고, 다른 예는 패밀리 메뉴를 이용하지 않고도 외부 입력 장치의 포인팅 위치에 따라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 방법이다.One example is an access method through a family menu associated with multi-user personalized page access, and another example is a personalized page access method according to a pointing position of an external input device without using a family menu.

전자의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는 도 19 내지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포인터를 패밀리 메뉴를 액세스(포인팅 포함)하면, 패밀리로 묶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의 리스트를 제공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때, 패밀리는 멀티-유저에 대한 식별을 위한 일 예로서, 멀티-유저들 사이에 또 다른 분류로 패밀리-1, 패밀리-2와 같이 복수의 패밀리가 존재할 수도 있다. 한편, 패밀리는 단순하게 멀티-유저에 대해서만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장르, 테마, 성별, 이름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정의하여 분류하고 식별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In the former case, the computing device may select a user by providing a list of one or more users in the family when the user accesses the pointer to the family menu (including pointing), as shown in FIGS. 19-20. How to make your personalized page accessible. In this case, as an example for identifying the multi-user, the family may have a plurality of families, such as family-1 and family-2, as another classification between the multi-users. On the other hand, the family may not only be defined for multi-users but may be defined and classified as one or more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such as genre, theme, gender, name, and the like and may be provided.

후자의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는 현재 화면상에 출력되는 OSD의 종류, 레벨 등에 기초하여, 패밀리 메뉴를 바로 액세스하기 힘들거나 상기 패밀리 메뉴를 액세스하지 않더라도 포인터를 컴퓨팅 디바이스의 화면 내 소정 영역 일 예로, 좌우 상하 테두리 즉, 화면의 가장자리 쪽으로 포인팅하면 사용자 리스트가 포함된 화살표 모양의 아이콘(1820)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드래그 또는 해당 아이콘(1820)을 선택한 후 포인터를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해당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로 접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이콘(1820)은 예컨대, 화살표를 통해 해당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와 관련된 방향성 정보도 나타낼 수 있다.In the latter case, the computing device may not be able to directly access the family menu or based on the type, level, etc. of the OSD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Pointing toward the top or bottom edge, that is, the edge of the screen, provides an arrow shaped icon 1820 with a user list, and the user drags or selects the icon 1820 and then moves the pointer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or vice versa. To access the user's personalized page. Here, the icon 1820 may also indicate direc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ccess to the personalized page through, for example, an arrow.

이하 전술한 전자와 후자의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의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former and latter personalized page ac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the former personalized page access method will be described.

도 19과 20은 본 발명에 따라 패밀리 메뉴를 통한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9 내지 20에서 선택된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 제공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9 and 20 illustrate a personalized page access method through a family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ersonalized page providing screen of a user selected in FIGS. 19 to 20.

컴퓨팅 디바이스는 포인터(1910/2010)가 패밀리 메뉴(모드) 항목(1920/2020)에 포인팅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밀리 메뉴 항목이 수평(도 19) 또는 수직(도 20)으로 확장되면서 확장된 영역에 패밀리로 묶인 사용자의 리스트(1920/2020)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pointer 1910/2010 is pointed to a family menu (mode) item 1920/2020, the computing device expands to a horizontal (FIG. 19) or vertical (FIG. 20), as shown in FIG. 19.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st (1920/2020) of users grouped in the extended area.

이때, 사용자가 다시 사용자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선택된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19 내지 20에서 나단(Nathan)이 선택되면, 도 21과 같이 패밀리 항목은 나단만 표시되고 이전 페이지에서 나단 고유의 개인화 페이지가 전환(불연속) 출력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user lists again, the computing device provides a personalized page of the selected user. For example, when Nathan is selected in FIGS. 19 to 20, only Nathan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21, and Nathan's own personalized page is switched (discontinuously) on the previous page.

다음으로, 후자의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latter personalized page access method will be described.

여기서,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 방법은, 기존의 화면 인터페이스와 달리 눈에 보이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화면에 제공된 페이지와 이웃하여 즉, 경계면이 서로 맞닿아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눈에 보이지는 않으나 상하좌우에 미리 정한 배열이나 순서에 따라 개인화 페이지가 더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방향성 정보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이동시키면 소정 개인화 페이지가 기 제공중인 화면의 페이지와 연속하게 제공된다. 이 경우, 만약 사용자가 소정 방향으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해당 방향에 미리 링크 또는 구성된 개인화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어 있음(empty)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는 비단 사용자가 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전에 미리 각 방향에 대해 미리 어떤 방향은 비어 있고 어떤 방향은 개인화 페이지가 있는 지를 식별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이 경우에 비어 있는 방향의 경우에는 다른 방향과 구별되게 아이콘 모양, 컬러 등을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Here, the personalized page access method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page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computing devi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creen interface, that is, the boundary surfa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being cut off. In other words, there are more personalized pages that are not visible but have a predetermined arrangement or order i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moves the pointer based on the directional information, the predetermined personalized page is continuously provided with the page of the screen being provided. In this case, if the user moves the pointer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t may display empty if there is no link or a personalized page configured in advance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This may even provide for the user to identify in advance which directions are empty and which directions have a personalized page before each user moves the pointer.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empty direction, an icon shape, color, etc.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other directions.

사용자 1에서 사용자 2 또는 페이지 1에서 페이지 2와 같이 화면 전환 요청이 수신되면, 화면이 깜빡이면서 순간적으로 화면 전체가 일순간에 전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 달이 하나의 개인화 페이지 구성 화면 또는 기제공중인 화면의 페이지에서 다른 하나의 개인화 페이지 구성 화면으로 전환시에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소정 비율로 공존하게 구성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When a screen switching request is received from user 1 to user 2 or page 1 to page 2, the screen flickers and the entire screen is instantaneously switch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month is a single personalized page configuration screen or It is configured to coexist at a predetermined rate while maintaining continuity when switching from a page of a previously provided screen to another personalized page composition screen.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later.

도 22 내지 25는 본 발명에 따라 포인팅 위치에 따라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22 to 25 illustrate a personalized page access method according to a point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를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포인터(2210)가 소정 위치 또는 영역에 포인팅되면,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를 위한 UI(2230)를 제공한다. 이러한 UI(2230)는 예를 들어, 프리미엄 서비스임을 표시하면서 포커싱되어 전체 사각형 틀의 테두리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소정 사용자의 이름을 포함한 소정 방향의 화살표 아이콘(2220)이 함께 제공된다. 이하에서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를 위한 UI의 모양, 크기 등은 예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22, when the pointer 2210 is poi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r area, the computing device provides a UI 2230 for personalized page access. The UI 2230 is focused, for example, indicating that it is a premium service, and is composed of a border of an entire rectangular frame, and an arrow icon 222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cluding the name of a predetermined user is provided therein. Hereinafter, the shape, size, and the like of the UI for accessing the personalized page are exemplifi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화면 상단 테두리 부근을 포인팅하면,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를 위한 UI(2230)을 제공한다. 이 경우, UI(2220)는 화면 상단 방향에 제시카를 위한 개인화 페이지가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23과 같이, 사용자가 화면을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그 상부에 제시카를 위한 개인화 페이지가 나타나고, 이때 화면에는 소정 비율 즉, 제시카를 위한 개인화 페이지가 드러난 비율만큼 기 제공중인 페이지가 사라져 양 페이지가 공존한다. 이는 제시카를 위한 개인화 페이지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면, 전 화면이 제시카를 위한 개인화 페이지로 전환되는 시점까지 계속하여 양 페이지가 공존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UI(2220)를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화면 중앙 영역(2310-2310’)까지 드래그한 경우로, 상기 화면 중앙 영역(2310-2310’)를 기준으로 화면 상단에는 개인화 페이지의 하단 일부(2530)이 제공되고, 화면 하단에는 기 제공 중인 페이지의 상단 일부(2520)가 함께 제공되고 있다.The computing device provides a UI 2230 for personalized page access when the user points near the top edge of the screen. In this case, the UI 2220 may display that there is a personalization page for Jessica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creen. That is, as shown in FIG. 23, when the user drags the screen downward, the personalized page for Jessica appears on the upper part of the screen, and the previously provided page disappears by the predetermined ratio, that is, the ratio of the personalized page for Jessica appears. Pages coexist If thi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tio of personalized pages for Jessica, both pages coexist until the entire screen is switched to the personalized page for Jessica. Referring to FIG. 23, the computing device is a case in which the user drags the UI 2220 downward and drags it to the screen center area 2310-2310 ′, and the screen is based on the screen center area 2310-2310 ′. A lower portion 2530 of the personalized page is provided at the top, and an upper portion 2520 of the page being provided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물론,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화살표 아이콘을 선택(포인팅)하면, 사용자 인증 정보창을 제공하여 액세스 가부를 확인하도록 하거나 해당 개인화 페이지를 바로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Of course, when the user selects (points to) the arrow icon, the computing device may provide a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ndow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access is made, or may switch and provide the personalized page directly.

도 24를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화면 좌측 또는 우측 테두리가 포인팅되면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 UI(2440)를 제공한다. 이 경우, UI(2440)는 화면 우측 방향에 제시카를 위한 개인화 페이지가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화면을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시카를 위한 개인화 페이지를 기 제공중인 페이지와 연속성을 가지면서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24, the computing device provides a personalized page access UI 2440 when the left or right edge of the screen is pointed to. In this case, the UI 2440 may indicate that a personalization page for Jessica exists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screen. Therefore, when the user drags the screen to the left direction, the computing device provides a personalized page for Jessica with continuity with the previously provided page, as shown in FIG. 24.

따라서, 도 23 내지 24에서 그 방향으로 계속하여 드래그하면, 결국 도 25와 같이 화면 전체는 제시카를 위한 개인화 페이지만 남게 된다. 이 경우, 패밀리 메뉴는 제시카라고 표시하여 해당 페이지가 제시카를 위한 개인화 페이지임을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ly, if the drag continues in the direction in FIGS. 23 to 24, the entire screen remains only a personalized page for Jessica as shown in FIG. 25. In this case, the family menu may be displayed as Jessica to indicate that the page is a personalized page for Jessica.

한편, 여기서, 다시 다른 개인화 페이지를 액세스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패밀리 메뉴를 이용하거나 포인터를 포인팅하여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access another personalized page agai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performed by using a family menu or by pointing the pointer.

또한, 상기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있는 경우, 자신에게 개인화된 메뉴 화면을 액세스하기 위해 화면 상단, 하단, 우측단 및 좌측단 중 어느 곳을 액세스해야 할지 모를 경우도 있다. 이는 패밀리 메뉴와 연동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아무 곳이나 포인팅하였을 경우, 특정 사용자를 위한 개인화된 메뉴 선택 아이콘이 제공되면, 그 경우 포인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리스트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스트로부터 사용자를 선택하여 해당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원하는 메뉴 화면을 접근할 수도 있고, 만약 미리 각 사용자의 개인화된 메뉴 화면이 방향이 고정되었다면, 상기에서 리스트로부터 특정 사용자를 선택하면, 해당 사용자의 개인화된 메뉴 화면이 스크린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포인팅된 액세스에서 화살표 아이콘의 방향을 통하여 알려줄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s, there may be a case where one of the top, bottom, right and left ends of the screen may be accessed in order to access the menu screen personalized to the user. This may be done in conjunction with a family menu, or when pointing anywhere, if a personalized menu selection icon is provided for a specific user, in that case, a list may b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using a pointer. In this case, the user can access the desired menu screen by selecting a user from the list and moving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f the personalized menu screen of each user is fixed in advance, if a specific user is selected from the list above, The pointed access can also be indicated by the direction of the arrow icon in the pointed access where the personalized menu screen is located relative to the screen.

도 26 내지 35는 본 발명에 따라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를 위한 UI 제공의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26 내지 35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패밀리 항목을 액세스하거나 소정 영역을 포인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편의상 이하에서는 패밀리 모드라고 명명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26 내지 35의 UI는 평면적(2D)으로 구성되거나 입체적(3D)로 구성될 수도 있다.26-35 illustrate examples of providing a UI for personalized page acces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S. 26 to 35 may be performed by accessing a family item or pointing to a predetermined region, as described above, and for convenience, will be described below as a family mode. Meanwhile, the UI of FIGS. 26 to 35 may be configured in planar (2D) or stereoscopic (3D).

다시 말하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패밀리 모드가 요청되면, 도 26 내지 35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패밀리 모드 액세스를 위한 UI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UI는, 화면상에 기 제공중인 화면이나 메뉴는 사라지고 독립적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함께 제공되되 상기 기 제공중인 화면이나 메뉴는 상기 UI에 비하여 뒷면에 위치하거나 흐리게 제공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family mode is requested by the user, the computing device provides a UI for family mode access in any of FIGS. 26-35. At this time, the UI, the screen or menu that is previously provided on the screen disappears or is provided independently or provided together, but the previously provided screen or menu may be located behind or blurred in comparison to the UI.

도 26의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는 패밀리 모드 요청시, 중앙에 현재 제공 중인 화면을 표시하는 아이콘(family mode)(2610)를 기준으로 동서남북 각 방향에 패밀리 즉, 개인화 페이지를 구성한 각 사용자에 관한 아이콘(2620 내지 2650)을 제공한다. 이때, 각 방향의 아이콘(2620 내지 2650)은 미리 구성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방향 수정도 가능하다. 또한, 포인팅 된 이후에 개인화 페이지를 추가하기 위한 개인화 페이지 구성 화면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또는 크기, 컬러, 모양, 텍스트 등 다양한 정보의 수정이 가능하다. 물론, 정당한 권원이 있는 경우에만 수정 또는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FIG. 26, when the family mode request is made, the computing device may display an icon for each user who configures a family, i.e., a personalization page, in each direction of the north, south, east, and south directions based on a family mode 2610 that displays a screen currently being provided in the center. 2620 to 2650). In this case, the icons 2620 to 2650 in each direction may be fixed in advance and may be modified by the user. In addition, after being pointed to, a personalized page configuration screen for adding a personalized page may be switched. Alternatively, various information such as size, color, shape, and text can be modified. Of course, it can be configured to be modified or controlled only if there is a legitimate authority.

도 26에서는 동쪽 방향에 아빠의 개인화 페이지, 서쪽 방향에 나단의 개인화 페이지, 북쪽 방향에 메리의 개인화 페이지 그리고 남쪽 방향에 엄마의 개인화 페이지가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In FIG. 26, it can be identified that Dad's personalization page in the east direction, Nathan's personalization page in the west direction, Mary's personalization page in the north direction, and Mom's personalization page in the south direction.

여기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각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에 대해 별도의 추가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6을 보면, 북쪽 방향의 메리는 “Mary(3)”과 같이 제공된다. 이는 메리를 위한 개인화 페이지가 3개가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와 같이, 숫자를 병기하거나 알파벳을 병기하거나 또는 개수만큼 계층(layer) 구조로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서쪽 방향의 나단의 경우에는, “Nathan-1”과 같이 표시되어, 복수 개의 개인화 페이지가 있음을 표시할 수 있고, 이 경우 “Nathan-1” 아래에 해당 페이지의 속성 내지 특징(“sports mode”)이 더 병기할 수 있다. 한편, 남쪽 방향의 엄마의 개인화 페이지 아이콘의 경우, 패밀리 모드에서 가장 기본 페이지 즉, 디폴트 페이지임을 나타내거나 특정 시간(오후 8:00 내지 9:00)에는 엄마의 개인화 페이지가 디폴트로 전환됨을 표시할 수도 있다.Here, the computing device may further provide additional additional information for each user's personalized pag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6, Mary in the north direction is provided as "Mary (3)". This shows that there are three personalized pages for Mary.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computing device may write numbers together, write alphabets together, or express the number of layers in a layer structure. In addition, in the case of Nathan in the west direction, it may be displayed as “Nathan-1” to indicate that there are a plurality of personalized pages, in which case the attributes or features of the page under “Nathan-1” (“sports mode ”) can be used more.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personalized page icon in the south direction may indicate that the most basic page, that is, the default page in the family mode, or that the mother's personalized page switches to the default at a certain time (8:00 to 9:00 pm). It may be.

도 27을 참조하면, 도 26과 동일한 내용에서 방향이 더 추가된 경우이다. 이는 패밀리로 링크된 사용자가 더 많은 경우 또는 특정 사용자가 별도로 추가한 개인화 페이지를 계층 구조가 아닌 한번에 식별 가능하도록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된 것보다 더욱 많은 경우에는 현재 방향에서 계속하여 평면적으로 더욱 확장하여 아이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하나의 화면에 한번에 모두 표시하기가 힘든 경우에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표시할 수도 있고, 컴퓨팅 디바이스는 이 경우에 소정 방향에 아이콘이 더 있음을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7, a direction is further added in the same content as that of FIG. 26. This can be used when there are more users linked to the family or when a user wants to configure a personalized page separately added by a specific user at once rather than in a hierarchical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more cases than illustrated,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extend in a planar manner to provide an icon. In this case, when it is difficult to display all on one screen at a time, it may be displayed while mov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dragging with a pointer, and the computing device may display in this case to identify that there are more icons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You may.

한편, 이러한 분류는 단지 사용자 기준이 아니라, 테마별, 장르별, 시간대별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하고 수정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classification can be classified and modified by various criteria such as themes, genres, and time zones, not just user criteria.

도 28은 도 27과 유사하나, 사각 틀 형태가 아닌,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구성하였다. 이 경우, 도 28은 3D로 구성하여 고리 형태나 구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FIG. 28 is similar to FIG. 27 but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rather than a rectangular frame shape. In this case, FIG. 28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ing or sphere in 3D.

도 29 역시 마찬가지로, UI가 정면의 패밀리 모드를 기준으로 계층 구조로 메리, 아빠, 나단, 엄마 등의 순으로 계단 형태로 제공된다. 이때, 개인화 페이지가 복수 개인 아이콘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예를 들어, 메리 또는 나단과 같이, 다시 평면적 또는 계층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29, likewise, the UI is provided in a staircase form in the order of Mary, Dad, Nathan, Mom, etc. in a hierarchical structure based on the front family mode. In this case, the icon having a plurality of personalized pages may be displayed again in a horizontal or vertical manner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Mary or Nathan.

한편, 도 29의 경우, 메리가 선택되면, 패밀리 모드를 표시하는 아이콘은 사라지거나 가장 뒤로 이동하고, 메리가 가장 전면에 위치한다. 이 경우 메리를 포인팅하면, 3개의 개인화 페이지를 가진 아이콘의 수평 또는 수직으로 펼쳐져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엄마가 만약 선택되면, 엄마가 가장 상위에 위치하고, 순차적으로 다른 아이콘들이 하위에 위치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case of FIG. 29, when Mary is selected, the icon representing the family mode disappears or moves backward, and Mary is located at the front. In this case, if you point to Mary, the icon with three personalized pages can be laid out horizontally or vertically. If the mother is selected later, the mother is located at the top, and other icons are sequentially placed at the bottom.

한편, 도 29의 UI는 단지 상위뿐만 아니라 하위도 한 번에 식별 가능하도록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순차로만 액세스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아이콘이 하위에 위치하여도 한 번에 최상위로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이다. Meanwhile, the UI of FIG. 29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n inclination such that not only an upper part but also a lower part can be identified at a time. That way, not only can you access them sequentially, but you can also access the top level at a time, even if the icon you want is below it.

도 30의 경우에는, 수직 구조로 구성한 패밀리 모드이다. 이때, 상위 또는 하위의 개념은 없을 수도 있다. 단지 블록 구조 각 아이콘을 표시하여, 역삼각형이나 삼각형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아빠를 위한 아이콘의 경우, 아빠-1(스포츠), 아빠-2(뉴스), 나단-a(정치), 나단-b(경제), 나단-c(역사) 등 각 페이지의 속성이나 특징도 함께 병기하여 접근 편의를 기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FIG. 30, it is a family mode comprised by the vertical structure. At this time, there may be no concept of the upper or lower. By simply displaying each icon of the block structure, it can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n inverted triangle or a triangular structure. In this case, for the icon for Dad, the attributes of each page such as Dad-1 (Sports), Dad-2 (News), Nathan-a (Politics), Nathan-b (Economy), Nathan-c (History) Features can also be used together to facilitate access.

도 31은 평면 형태로 구성된 패밀리 모드 UI로써, 각 방향에 페이지 액세스를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고,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그에 대한 서브 아이콘 등을 제공할 수 있다.FIG. 31 is a family mode UI configured in a flat form, and may display icons for page access in each direction, and provide a sub-icon and the like when a specific icon is selected.

도 32는, 원형으로 패밀리 모드 UI를 구성한 예로써, 원 내부를 분할하여 분할된 각 영역이 페이지 아이콘 또는 홈 아이콘이 들어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사용자가 복수의 개인화 페이지를 구비하고 있거나 하면, 개수를 표시하거나 개수만큼 작은 크기의 원을 더 정의할 수도 있다. 또한, 원 아이콘 내부에는 식별자와 함께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나단 19세 이상 프로그램 제한과 같이…).FIG. 32 is an example of configuring a family mode UI in a circle, and may divide the inside of the circle so that each divided area may have a page icon or a home icon. On the other hand, if one user has a plurality of personalized pages, the number of circles or as small as the number may be further defined. In addition, the original icon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identifier (for example, Nathan 19 or older program restriction…).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원형이 아닌 원뿔, 원기둥, 피라미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정의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t may be defined and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cones, cylinders, pyramids, not the circular.

도 33은 전술한 방식과는 조금 다르게 특정 영역이 포인팅된 경우, 해당 영역과 관련된 방향의 UI만 제공되는 경우이다. 이때, 상기 UI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와 함께 방향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각뿔 형태에 관련 개인화 페이지의 일부가 이미지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3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specific area is pointed differently from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only a UI in a direc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area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UI may provide direc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 In addition, a part of the personalized page related to the quadrangular pyrami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image.

도 34는 도 33과 유사하나, 도 33이 해당 영역만의 UI를 제공함에 비하여, 소정 영역이 포인팅되면, 동시에 모든 방향의 UI가 동시에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페이지가 어느 방향에 있는지 더욱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이때, 해당 페이지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숫자, 알파벳, 계층 구조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는 해당 페이지를 그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나머지 방향의 UI는 사라지나 현재 페이지는 그만큼 비율로 이동되거나 또는 그대로 존재하고 원하는 페이지가 덮어질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페이지가 존재하면, 드래그 되는 만큼 각 페이지가 전체가 아닌 일부로 표현되고, 다시 특정 페이지를 선택하면, 전체로 확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단 페이지가 3개가 존재한다면, 나단을 선택하여 수평방향으로 오른쪽 끝까지 드래그하면 메리, 아빠, 엄마에 대한 UI는 사라지고 전체 화면에 나단 페이지들만 존재한다. 다만, 이 경우 화면 전체에 나단의 제1 페이지(디폴트 페이지 또는 제1 우선순위 페이지)가 제공되고, 나머지 두 페이지는 화면의 소정 영역에 선택 가능하도록 이미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화면 전체는 나단에 대한 것이나, 3개의 페이지들이 축소되어 한꺼번에 출력되고, 최종적으로 선택된 페이지가 전체 화면으로 확대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나머지 화면은 선택 가능하도록 이미지 형태로 소정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FIG. 34 is similar to FIG. 33. However, while FIG. 33 provides a UI of only the corresponding region, when a predetermined region is pointed, the UIs of all directions are simultaneously provided. Thus, the user can more easily identify in which direction the desired page is in. In this cas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pages, the pages may be displayed in numbers, alphabets, and hierarchies. Alternatively, if you drag the page in that direction, the UI in the other direction disappears, but the current page may be moved in proportion or remain as it is, and the desired page may be covered. On the other hand, if there are a plurality of pages, each page is represented as part rather than all as much as it is dragged, and if a specific page is selected again, it may be expanded and provided as a whole. For example, if there are three Nathan pages, selecting Nathan and dragging all the way to the r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isappears the UI for Mary, Dad, and Mom and only Nathan pages exist on the entire screen. However, in this case, the first page (default page or first priority page) of Nathan may be provided in the entire screen, and the remaining two pages may be provided in an image form so as to be selectable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creen. Alternatively, the entire screen is for Nathan, but three pages may be reduced and output at once, and the finally selected page may be expanded and provided to the entire screen.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remaining screens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area in the form of an image so as to be selectable.

마지막으로, 도 35는 화면 분할 요청에 따라 패밀리 모드를 제공하는 것인 것, 패밀리 모드 진입 이후 사용자에 의해 화면 분할 요청이 있는 경우에 그 처리를 위한 것이다. 이는 예컨대, 다수의 사용자가 화면 내에서 각자의 페이지를 동시에 이용 가능하게 된다.Finally, FIG. 35 is to provide a family mode according to the screen division request, and is for processing when there is a screen division request by the user after entering the family mode. This allows, for example, multiple users to simultaneously use their respective pages within the screen.

예를 들어, 패밀리 모드에서 화면 분할 요청이 수신되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도 35와 같은 UI를 제공한다. 여기서, 화면은 복수 개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 영역에 위치할 각 페이지 아이콘이 그 주변에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 또는 방식으로 정의되어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된다.For example, when a screen division request is received in the family mode, the computing device provides a UI as shown in FIG. 35. Here, the scree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creens, and each page icon to be positioned in each area is provided to be defined and selectable in various forms or manners a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나단을 A 영역(화면의 반, 좌측 영역)으로 드래그하고, 메리를 B 영역(화면의 반, 우측 영역)으로 드래그하면, 각 UI는 사라지고 화면은 반으로 분할되어 동시에 나단의 페이지와 메리의 페이지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는 각 페이지에 대해 개별적으로 수신기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필요한 경우, 비디오 디코더나 오디오 디코더를 더 구비하거나 순차적으로 또는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오디오의 경우에는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영역의 페이지에 대한 오디오만을 스피커로 제공하거나 우선순위가 낮은 영역의 페이지에 대한 오디오는 별도의 헤드폰 등을 통해 제공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you drag Nathan to the A area (half and left of the screen) and Mary to B area (half or right of the screen), each UI will disappear and the screen will be split in half and simultaneously Nathan's page. And Mary's page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computing device should be able to control each configuration of the receiver separately for each page. If necessary, a video decoder or audio decoder may be further provided, or may be provided sequentially or in accordance with priority. However, in the case of audio, only audio for a page of a high priority area may be provided as a speaker or audio for a page of a low priority area may be provided through a separate headphone or the like according to priority.

상술한 도 26 내지 35의 패밀리 모드 UI에서 소정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이 되면, 상기 UI가 사라지고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가 바로 제공될 수도 있고, 화면의 소정 영역에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의 일부가 먼저 프리뷰(preview)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해당 프리뷰를 선택하거나 드래그 등을 통해 바로 화면 전환할 수도 있다. 또는 현재 페이지는 그대로 상태에서 선택된 페이지가 덮어쓰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When the icon representing the personalization page of the predetermined user is selected in the above-described family mode UI of FIGS. 26 to 35, the UI may disappear and the user's personalization page for the selected icon may be immediately provided, or the icon selected in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screen may be selected. A portion of the user's personalization page for may be provided first as a preview. In this case, the user may directly change the screen by selecting or dragging the preview. Alternatively, the current page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selected page is overwritten as it is.

한편, 개인화 페이지로 전환된 상태에서 컴퓨팅 디바이스의 전원이 오프(off)되고 이후 다시 전원이 온(on)되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전원 온 이전 최종 페이지가 제공될 수도 있고, 패밀리 메뉴 또는 디폴트 메뉴나 라이브 방송이 제공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omputing device is powered off and then powered on again after being switched to a personalized page, the computing device may be provided with the last page before powering on, and the family menu or default menu or live Broadcast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화면의 상하좌우, 대각선 등 소정 영역이 포인팅되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를 위한 UI를 제공하는데, 이 경우 해당 영역의 UI만을 제공할 수도 있으나, 액세스 편의를 위하여 한 영역만 포인팅되어도 그와 관련 있거나 링크된 모든 UI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특정 방향에서 제공되는 UI는 패밀리 모드 즉, 개인화 페이지 액세스와 관련된 메뉴 등이 아니라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인 홈 페이지로 돌아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상단 영역이 포인팅되면, 화면 상단 쪽에 연결된 개인화 페이지에 대한 UI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상하좌우 방향에 연결된 개인화 페이지에 대한 UI가 제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area such as up, down, left, right, diagonal lines, etc. of the screen is poi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ing device provides a UI for accessing a personalized page. In this case, only a UI of the corresponding area may be provided. Only pointing may provide all the UIs related or linked to it. Meanwhile, the UI provided in a specific direction may be set to return to the main home page of the computing device rather than the family mode, that is, the menu related to the personalized page access. For example, when the upper area of the screen is pointed, not only the UI for the personalized pag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creen but also the UI for the personalized page connect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be provided.

한편, 상기에서는 주로 각 방향에서 개인화 페이지만 얘기하였으나, 소정 방향은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전자기기 제어를 위한 제어 페이지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32와 같이, 분할된 화면의 일부가 제어 페이지일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personalization page is mainly described in each direction, but the predetermined direction may be replaced by a control page for controlling other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2, a part of the divided screen may be a control page.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UI 제공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3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a U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컴퓨팅 디바이스는, 개인화된 메뉴를 구성(S10)하고, 화면상에 제공되는 OSD 데이터에 대한 좌표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S20)한다.The computing device configures a personalized menu (S10), generates and stores coordinate information on OSD data provided on the screen (S20).

컴퓨팅 디바이스는, 입력 수단으로부터 포인터의 좌표 정보를 포함한 커맨드 신호를 수신(S30)하여, 수신되는 커맨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의 포인팅 위치를 식별(S40)한다.The computing device receives a command signal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pointer from the input means (S30), and identifies the pointing position of the pointer based on the received command signal (S40).

컴퓨팅 디바이스는, 식별된 입력 수단의 포인팅 위치에 근거하여 부가 정보와 부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UI, 개인화된 메뉴를 구성한 사용자에 관한 서브 UI 및 개인화된 메뉴 화면 액세스를 위한 UI 중 어느 하나에 관한 UI를 제공(S50)한다.The computing device relates to any one of a UI including at least one of additional information and additional functions based on a pointing position of the identified input means, a sub-UI relating to a user configuring a personalized menu, and a UI for accessing a personalized menu screen. Provide a UI (S50).

상기에서, 부가 정보 또는 부가 기능은, 저장되는 OSD 데이터에 대한 좌표 정보와 링크되며, 해당 좌표 정보의 UI의 컨텐트의 속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가 정보는, 채널 정보, 프로그램 정보, 시간 정보, 타이틀 정보, 장르 정보, 그레이드(grade) 정보, 시청률 정보, 썸네일 이미지, 해상도 정보, 관련 컨텐트 링크 정보, 디스플레이 성능에 관한 정보, 코덱 정보, 저장 용량 정보, 녹화/녹화 예약/시청 정보, 액세스 가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부가 기능으로는, 업데이트 링크 기능, 시리즈 정보 링크 기능, 녹화/예약 녹화 기능, 타임-쉬프트, 캡쳐 기능, 편집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 정보 및 부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UI는, 상기 부가 정보 및 부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기 위해 기존 UI의 크기 변경, 컬러 변경, 테두리 포커싱 처리 중 적어도 하나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additional information or additional functions may be linked with coordinate information on the stored OSD data an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ttributes of the content of the UI of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channel information, program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title information, genre information, grade information, rating information, thumbnail image, resolution information, related content link information, displa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codec information, storage capacity information, recording / recording reservation / viewing information, and access availability information. The additional functions include an update link function, a series information link function, a recording / reserved recording function, and a time-shift. And at least one of a capture function and an editing function. In addition, the UI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additional fun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ize change, a color change, and an edge focusing process of the existing UI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additional function.

상기에서, S10 단계는, 미리 저장된 템플릿을 이용하거나 유/무선 네트워크 또는 외부 기기를 통해 다운로드 받은 템플릿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In the above, step S10 may use a template stored in advance or one of the templates downloaded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or an external device.

한편, 개인화된 메뉴를 구성한 복수의 사용자에 관한 서브 UI는, 해당 UI가 액세스되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제공된 서브 UI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사용자를 위해 구성된 개인화된 메뉴 화면으로 전환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b-UI for a plurality of users of the personalized menu provides a list of the plurality of users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UI is accessed, the computing device is, among the list of the provided sub UI When either one is selected, it can be provided to switch to the personalized menu screen configured for the user.

또한, 개인화된 메뉴 화면 액세스를 위한 UI는, 소정 위치에 입력 수단의 포인터가 포인팅된 경우 현재 화면상에 제공되는 제1 사용자의 개인화된 메뉴 화면이 아닌 제2 사용자의 개인화된 메뉴 화면 접근을 위한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 및 상기 접근 방향에 관한 식별 아이콘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포인터의 포인팅 이후 포인팅 위치의 변경에 따라, 제2 사용자의 개인화된 메뉴 화면을 제공하되,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화면상에 상기 변경된 포인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의 개인화된 메뉴 화면과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화된 메뉴 화면이 공존한다.In addition, the UI for accessing the personalized menu screen is for accessing the personalized menu screen of the second user instead of the personalized menu screen of the first user provided on the current screen when the pointer of the input means is poi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n identification icon relating to the identifier of the second user and the approach direction, wherein the computing device provides a personalized menu screen of the second user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inting position after the pointer is pointed, The personalized menu screen of the second user and the personalized menu screen of the first user coexis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hanged pointer on the screen.

이상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포인터 등 입력 수단이 소정 항목 또는 버튼 등에 위치하면, 해당 항목 또는 버튼 등에 관련된 부가 정보 내지 부가 기능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추가 정보 내지 기능을 더욱 쉽고 간편하게 접근 및 액세스할 수 있어 컴퓨팅 디바이스를 더욱 스마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각 사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 즉, 개인화 페이지를 제공하고 각 개인화된 메뉴 간의 이동 또는 접근을 위한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 이용에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the input means such as a pointer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item or button, etc., the additional information or additional func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item or button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access and access the additional information or function more easily and simply. By making the computing device smarter and providing multiple users with a customized service, i.e. a personalized page and a new interface for moving or accessing each personalized menu. For convenience, the user may use the computing device.

당해 명세서에서는 도 1 내지 36을 설명의 편의상 각각 설명하고 있으나, 각 도면의 특징 중 일부를 결합하여 다른 실시 예를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In this specification, although FIGS. 1 to 36 ar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obvious that other embodiments are implemented by combining some of the features of each drawing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both the object invention and the method invention are described, and description of both invention can be supplementally applied as needed.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발명은 모두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Method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100: 컴퓨팅 디바이스 110: 방송국
120: 서버 130: 외부 디바이스
140: 외부 TV 150: 모바일 디바이스
100: computing device 110: broadcasting station
120: server 130: external device
140: external TV 150: mobile device

Claims (20)

컴퓨팅 디바이스(computing device)에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 수단으로부터 커맨드 신호(command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커맨드 신호에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personalization page) 액세스를 위한 제1 UI를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I로부터 선택된 개인화 페이지를 기 제공중인 화면의 페이지와 연속 또는 불연속하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UI는,
상기 각 개인화 페이지 식별을 위한 정보, 해당 개인화 페이지 접근을 위한 방향성 정보 및 해당 개인화 페이지의 소정 부분에 대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I) in a computing device (computing device),
Receiving a command signal from the input means;
Providing a first UI to a predetermined area on a screen for accessing a personalization page of a user of the computing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command signal; And
Providing the personalized page selected from the first UI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with the page of the screen that is being provided.
The first UI includes:
And at least one of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personalized page, directional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personalized page, and image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personalized p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이라 함은,
상기 선택된 개인화 페이지가 기 제공중인 화면의 페이지를 완전히 대체하여 화면 전체에 제공되기 전까지 상기 기 제공중인 화면과 소정 비율로 공존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inuous means
And the selected personalized page coexists with the pre-provided screen at a predetermined ratio until the selected personalized page completely replaces the page of the pre-provided screen and is provided on the entire scree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UI 내 특정 사용자 리스트 또는 소정 항목이 포인팅(pointing)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user list or a predetermined item in the first UI is poin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command signal;
≪ / RTI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UI 내 특정 사용자 리스트가 포인팅된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 제공을 위해 링크된, 식별 정보 내지 사용자 인증창, 해당 개인화 페이지 미리 보기 썸네일 이미지, 해당 개인화 페이지에 관한 부가 정보 내지 부가 기능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이 순차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a specific user list in the first UI is pointed to
At least one or each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authentication window, the personalization page preview thumbnail imag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or additional functions related to the personalization page, which are linked to provide the personalization page of the user, are sequentially provided. Wa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UI 내 소정 항목이 포인팅된 경우에는,
미리 해당 항목의 속성(attributes)에 따라 링크된 정보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제공을 위해 해당 항목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a predetermined item in the first UI is pointed,
And modifying the item in advance to provide at least one of linked information and functions according to attributes of the item in adva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이라 함은,
상기 해당 항목이 포인팅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고 상기 링크 정보 및 링크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제공을 위하여, 크기 변경, 컬러 변경, 3D 포맷 전환, 테두리 포커싱, 하이라이트 처리와 같이 해당 항목 자체의 외관을 포인팅 이전과 다르게 구성 또는/및 해당 항목의 서브 UI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above change means
In order to identify that the item is pointed and to provide at least one of the link information and the link function, the appearance of the item itself is changed before the pointing such as resizing, color changing, 3D format switching, border focusing, highlighting, and the like. Differently configured and / or provided as a sub UI of the item.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linked information)에는 채널(channel) 정보, 프로그램(program or event) 정보, 시간(time) 정보, 타이틀(title) 정보, 장르(genre) 정보, 그레이드(grade) 정보, 시청률(viewing rate) 정보,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 해상도(resolution) 정보, 관련 컨텐트 링크(related content linking) 정보, 디스플레이 성능(display capability)에 관한 정보, 코덱(codec) 정보, 저장 용량(storage capability) 정보, 즉시 녹화/녹화 예약/시청(instant recording/recording reservation/reproducing) 정보, 액세스 가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링크 기능(linked function)에는 업데이트 링크(update-linked) 기능, 시리즈 정보 링크(series-linked) 기능, 녹화/예약 녹화(recording/recording reservation) 기능, 타임-쉬프트(time-shift) 기능, 캡쳐(capture) 기능, 편집(editing)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6,
The linked information includes channel information, program or event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title information, genre information, grade information, and viewing rate. ) Information, thumbnail image, resolution information, related content linking information, display capability information, codec information, storage capability information, At least one of instant recording / recording reservation / reproducing information and access grant information,
The linked function includes an update-linked function, a series-linked function, a recording / recording reservation function, a time-shift function, and a capture function. and at least one of a capture function and an editing function.
제3항에 있어서,
기 구비되었거나 유/무선 네트워크 또는 외부 기기를 통해 다운로드 받은 템플릿(template) 중 하나를 이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 내 각 사용자에 맞춤형 개인화 페이지를 구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Constructing and storing a personalized personalized page for each user in the computing device using one of templates provided or downloaded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or an external device;
≪ / RTI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사용자에 대해 저장된 개인화 페이지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각 개인화 페이지 식별 정보, 속성 정보,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로 이웃하여 연속 또는 순차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f there are multiple personalization pages stored for each user,
And at least one of each of the personalized p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thumbnail image is consecutively or sequentially provided to the personalized page of the corresponding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화면 분할 요청을 포함한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면 분할 요청에 대응되는 분할된 화면의 구성을 위한 제2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UI는, 상기 요청된 개수만큼 화면이 분할된 형태의 화면 영역을 표시하는 제1 항목과, 상기 제1 항목과 함께 동일 레벨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화 페이지에 대한 제2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항목의 개인화 페이지가 제1 항목의 각 영역에 드래그&드롭(drag&drop)되면, 상기 제2 UI는 사라지고 분할된 각 영역에 드래그&드롭된 개인화 페이지가 각각 화면 전체에 확대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a command signal including a screen division request through the input means;
Providing a second UI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divided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creen split request;
The second UI includes a first item for displaying a screen area in which the screen is divided by the requested number, and a second item for at least one personalized page provided at the same level together with the first item. ,
When the personalized page of the second item is dragged & dropped on each area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UI disappears and the personalized page dragged and dropped on each divided area is enlarged and provided on the entire screen. How to feature.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컴퓨팅 디바이스(computing device)에 있어서,
입력 수단으로부터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수신된 커맨드 신호에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의 각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personalization page) 액세스를 위한 제1 UI를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UI로부터 선택된 개인화 페이지를 기 제공중인 화면의 페이지와 연속 또는 불연속하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UI에, 상기 각 개인화 페이지 식별을 위한 정보, 해당 개인화 페이지 접근을 위한 방향성 정보 및 해당 개인화 페이지의 소정 부분에 대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공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In a computing device (UI) providing a user interface (UI),
An interface module for receiving a command signal from an input means;
A controller configured to provide a first UI for accessing a personalization page of each user of the computing device to a predetermined area on the screen based on the received command signal; And
And a display module configured to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provide the personalized page selected from the first UI with a page of a previously provided screen.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nd providing the first UI with at least one of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personalized page, directional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personalized page, and image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personalized pag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이라 함은,
상기 선택된 개인화 페이지가 기 제공중인 화면의 페이지를 완전히 대체하여 화면 전체에 제공되기 전까지 상기 기 제공중인 화면과 소정 비율로 공존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inuous means
And the selected personalized page coexists with the previously provided screen at a predetermined rate until the selected personalized page completely replaces the page of the currently provided screen and is provided on the entire scree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UI 내 특정 사용자 리스트 또는 소정 항목이 포인팅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user list or a predetermined item in the first UI is poin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command sig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UI 내 특정 사용자 리스트가 포인팅된 경우에는,
미리 해당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 제공을 위해 링크된, 식별 정보 내지 사용자 인증창, 해당 개인화 페이지 미리 보기 썸네일 이미지, 해당 개인화 페이지에 관한 부가 정보 내지 부가 기능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이 순차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dicates that a specific user list in the first UI is pointed to,
Controlling at least one or each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user authentication window, a corresponding personalized page preview thumbnail image, and additional information or additional functions related to the personalized page, which are linked to provide the personalized page of the user in advance, in order. Characterized by a computing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UI 내 소정 항목이 포인팅된 경우에는,
미리 해당 항목의 속성(attributes)에 따라 링크된 정보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제공을 위해 해당 항목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If a predetermined item in the first UI is poin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controlling to change the corresponding item in advance to provide at least one of linked information and functions according to attributes of the corresponding item.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이라 함은,
상기 해당 항목이 포인팅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고 상기 링크 정보 및 링크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제공을 위하여, 크기 변경, 컬러 변경, 3D 포맷 전환, 테두리 포커싱, 하이라이트 처리와 같이 해당 항목 자체의 외관을 포인팅 이전과 다르게 구성 또는/및 해당 항목의 서브 UI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above change means
In order to identify that the item is pointed and to provide at least one of the link information and the link function, the appearance of the item itself is changed before the pointing such as resizing, color changing, 3D format switching, border focusing, highlighting, and the like. Compu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differently and / or provided in the sub-UI of the item.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linked information)에는 채널(channel) 정보, 프로그램(program or event) 정보, 시간(time) 정보, 타이틀(title) 정보, 장르(genre) 정보, 그레이드(grade) 정보, 시청률(viewing rate) 정보,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 해상도(resolution) 정보, 관련 컨텐트 링크(related content linking) 정보, 디스플레이 성능(display capability)에 관한 정보, 코덱(codec) 정보, 저장 용량(storage capability) 정보, 즉시 녹화/녹화 예약/시청(instant recording/recording reservation/reproducing) 정보, 액세스 가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링크 기능(linked function)에는 업데이트 링크(update-linked) 기능, 시리즈 정보 링크(series-linked) 기능, 녹화/예약 녹화(recording/recording reservation) 기능, 타임-쉬프트(time-shift) 기능, 캡쳐(capture) 기능, 편집(editing)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6,
The linked information includes channel information, program or event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title information, genre information, grade information, and viewing rate. ) Information, thumbnail image, resolution information, related content linking information, display capability information, codec information, storage capability information, At least one of instant recording / recording reservation / reproducing information and access grant information,
The linked function includes an update-linked function, a series-linked function, a recording / recording reservation function, a time-shift function, and a capture function. and at least one of a capture function and an editing func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구비되었거나 유/무선 네트워크 또는 외부 기기를 통해 다운로드 받은 템플릿 중 하나를 이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 내 각 사용자에 맞춤형 개인화 페이지를 구성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Computing device that controls to configure and store a personalized page for each user in the computing device by using one of the templates provided or downloaded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or an external devic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사용자에 대해 저장된 개인화 페이지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각 개인화 페이지 식별 정보, 속성 정보,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 사용자의 개인화 페이지로 이웃하여 연속 또는 순차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control unit,
If there are multiple personalization pages stored for each user,
And at least one of each of the personalized p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thumbnail image is consecutively or sequentially provided to the personalized page of the corresponding us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화면 분할 요청을 포함한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화면 분할 요청에 대응되는 분할된 화면의 구성을 위한 제2 UI를 제공하되,
상기 제2 UI는, 상기 요청된 개수만큼 화면이 분할된 형태의 화면 영역을 표시하는 제1 항목과, 상기 제1 항목과 함께 동일 레벨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화 페이지에 대한 제2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항목의 개인화 페이지가 제1 항목의 각 영역에 드래그&드롭(drag&drop)되면, 상기 제2 UI는 사라지고 분할된 각 영역에 드래그&드롭된 개인화 페이지가 각각 화면 전체에 확대되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Receiving a command signal including a screen split request through the input means, and provides a second UI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divided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creen split request,
The second UI includes a first item for displaying a screen area in which the screen is divided by the requested number, and a second item for at least one personalized page provided at the same level together with the first item. ,
When the personalized page of the second item is dragged & dropped on each area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UI disappears and the personalized page dragged and dropped on each divided area is enlarged and provided in the entire screen. Compu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20020004A 2012-01-11 2012-02-28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 same KR1019112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004A KR101911249B1 (en) 2012-02-28 2012-02-28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 same
EP12189336.6A EP2615564A1 (en) 2012-01-11 2012-10-19 Computing device for performing at least one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3/679,360 US9582605B2 (en) 2012-01-11 2012-11-16 Generating user specific application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a use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210592947.7A CN103209349B (en) 2012-01-11 2012-12-31 Comput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for performing at least on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004A KR101911249B1 (en) 2012-02-28 2012-02-28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460A true KR20130098460A (en) 2013-09-05
KR101911249B1 KR101911249B1 (en) 2018-10-24

Family

ID=4945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004A KR101911249B1 (en) 2012-01-11 2012-02-28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249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9343A1 (en) *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O2016104907A1 (en) * 2014-12-24 201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by same digital device
KR20180060360A (en) * 2016-11-29 2018-06-07 (주)휴먼엔시스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user-defined UI in administrative management program provided in cloud computing
US10681419B2 (en) 2013-12-24 2020-06-09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3467685A (en) * 2021-07-29 2021-10-01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rolling display, LED screen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532A (en) * 2001-12-11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TV environment through user authentification and apparatus thereof
KR20080077269A (en) * 2005-12-14 2008-08-21 야파 코포레이션 Image display device
KR20090069385A (en) * 2007-12-26 2009-07-01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User interface method and set-top box for iptv
KR20100037973A (en) * 2008-10-02 2010-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thereof
KR20110138925A (en) * 2010-06-22 201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f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532A (en) * 2001-12-11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TV environment through user authentification and apparatus thereof
KR20080077269A (en) * 2005-12-14 2008-08-21 야파 코포레이션 Image display device
KR20090069385A (en) * 2007-12-26 2009-07-01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User interface method and set-top box for iptv
KR20100037973A (en) * 2008-10-02 2010-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thereof
KR20110138925A (en) * 2010-06-22 201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f thereof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9343A1 (en) *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794616B2 (en) 2013-12-24 2017-10-17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681419B2 (en) 2013-12-24 2020-06-09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972796B2 (en) 2013-12-24 2021-04-06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336960B2 (en) 2013-12-24 2022-05-17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6104907A1 (en) * 2014-12-24 201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by same digital device
KR20160078204A (en) * 2014-12-24 201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US9998784B2 (en) 2014-12-24 2018-06-12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digital device for controlling content within a multi-view screen
KR20180060360A (en) * 2016-11-29 2018-06-07 (주)휴먼엔시스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user-defined UI in administrative management program provided in cloud computing
CN113467685A (en) * 2021-07-29 2021-10-01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rolling display, LED screen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249B1 (en)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2627B2 (en)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188208B2 (en) Display apparatus for classifying and searching content, and method thereof
US9137476B2 (en) User-defined home screen for ultra high definition (UHD) TV
US2019011010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subscreens on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therefor
US9106956B2 (en) Method for displaying program information and image display apparatus thereof
CN107637089B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346120B2 (en) Method of displaying image by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and electronic apparatus controll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US9582605B2 (en) Generating user specific application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a use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55553A (en)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KR101913256B1 (en) Apparatus of processing a ser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same
KR101911249B1 (en)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 same
KR20180057473A (en) Rotat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s
KR20160060846A (en)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KR20110072970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3905753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CN115022695A (en) Display device and Widget control display method
KR20120132054A (en)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1259639B (en) Self-adaptive adjustment method of table and display equipment
KR20160004631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