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457A - Apparatus for regulating temperature in central cool/heating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gulating temperature in central cool/hea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457A
KR20130097457A KR1020120019121A KR20120019121A KR20130097457A KR 20130097457 A KR20130097457 A KR 20130097457A KR 1020120019121 A KR1020120019121 A KR 1020120019121A KR 20120019121 A KR20120019121 A KR 20120019121A KR 20130097457 A KR20130097457 A KR 20130097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oom
temperature
heating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원준호
Original Assignee
원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준호 filed Critical 원준호
Priority to KR1020120019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7457A/en
Publication of KR20130097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4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 F24F3/048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with temperature control at constant rate of air-flow
    • F24F3/052Multiple duct systems, e.g. systems in which hot and cold air are supplied by separate circuits from the central station to mixing chambers in the spaces to be conditio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regulating temperature in a central cool and heating system is provided to enable the individual temperature regulation of each room using a blowing regulation unit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lowing regulation unit in each room. CONSTITUTION: A device for regulating temperature in a central cool and heating system comprises an air conditioning duct (50), a central cooling and heating device (41), a central air conditioner (40), an intake controller (210),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200). The air conditioning duct is installed inside a building (10) to supply heating or cooling air to a room. The central cooling and heating device produces cooling or heating air. The central air conditioner is built in with the central cooling and heating device and circulates the heating or cooling air produced by the central cooling and heating device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duct. The intake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and allows the heating or cooling air circulated by the central air conditioner to flow into the ro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controls the intake controller and the air intake amount of the heating or cooling air into the room. [Reference numerals] (40) Central air conditioner; (AA) Room 7; (BB) Room 8; (CC) Fourth floor; (DD) Room 6; (EE) Third floor; (FF) Room 3; (GG) Room 4; (HH) Room 5; (II) Second floor; (JJ) Room 1; (KK) Room 2; (LL) First floor; (MM) Heating; (NN) Cooling

Description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서의 온도 조절 장치{Apparatus for regulating temperature in central cool/heating system} Apparatus for regulating temperature in central cool /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서의 온도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중앙 냉난방 시스템의 환경에서도 각방마다 온도를 센싱하여 이 센싱된 온도에 맞게 댐퍼(damper)의 개폐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개별 방마다 냉난방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장치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control system in a central air-conditio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by sensing the temperature in each room even in the environment of the central air-conditioning system to adjust the degree of damper (damper) according to the sensed temperature by heating and cooling in each room It is about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to control.

일반적으로, 산업화의 급속한 진전에 따른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쾌적한 생활환경의 확보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면서 에너지 소비량이 모든 분야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In general, energy consumption is rapidly increasing in all fields as the desire for securing a pleasant living environment is increased due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due to the rapid progress of industrialization.

특히, 고층건물이 증가되고 있는 시점에서 공조 시스템의 고효율화가 건물의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상기 공조시스템은 건물의 LCC(Life Cycle Cost)에서 가장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는 에너지 비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에 설계 초기단계에서부터 건물의 특성에 적합한 시스템이 선정되도록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한다.In particular, as the number of high-rise buildings is increasing, the high efficiency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s becoming the most important field in the design of buildings. Since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s directly related to the energy cost, which accounts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life cycle cost (LCC) of the building, it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to select a syste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from the early stage of the design.

상기 공조시스템에는 각 소요처마다 개별적으로 공조기와 실외기를 설치하여 냉난방을 실시하는 개별식 공조시스템과, 냉동기, 보일러, 공조기 등이 설치된 중앙 기계실로부터 공조에 필요한 공기를 덕트를 통하여 소요처나 실내에 공급하는 중앙식 공조시스템이 있다.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each air conditioner is equipped with an air conditioner and an outdoor unit individually to provide cooling and heating, and air required for air conditioning from a central machine room equipped with a refrigerator, a boiler, an air conditioner, etc. is supplied to a required place or the room through a duct. There is a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상기 개별식 공조시스템은 실외기의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사용자 및 인근 거주자에게 불쾌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고, 각각의 공조기기에 대한 실외기 설치면적을 필요로 한다. 최근 적용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공냉식 멀티 시스템의 경우, 실외기 설치대수를 줄 일 수는 있으나, 여전히 필요한 수량의 실외기를 반드시 설치해야만하며, 이러한 실외기의 설치로 인한 외관상, 미관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The individual air conditioning system creates an unpleasant living environment for users and neighboring residents due to the noise and vibration of the outdoor unit, and requires an outdoor unit installation area for each air conditioner. In the case of the air-cooled multi-system which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outdoor units installed, but still need to install the required number of outdoor units, and appearance and aesthetic problems are caus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outdoor units.

또한, 각 개별 소요처마다 설치가 편리한 곳에 실외기가 설치되므로 실외기의 분산설치로 인한 집중관리가 불리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냉매의 액화를 위한 응축방식에 있어서 열수송능력의 차에 의해 수냉식에 비해 실외기 설치면적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utdoor unit is installed in a convenient place for each individual plac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entralized management due to the distributed installation of the outdoor unit is disadvantageous, and in the condensation method for the liquefaction of the refrigerant, compared to the water-cooled typ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heat transport capaci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outdoor unit is increased.

상기 중앙공조방식(Central AHU System)중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전공기방식(All Air System)은 냉난방에 필요한 열량을 공기를 이용하여 공조기로부터 각 공조존까지 수송해야 하기 때문에 물을 열매체로 이용할 경우에 비하여 열매체 수송용 에너지(전기동력) 소비량이 냉방시 약 8배, 난방시 약 17배 정도 증가한다. The All Air System, which is widely used in the Central AHU System, has to transport heat required for heating and cooling from the air conditioner to each air conditioning zone by using air as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water as a heat medium. Energy consumption for transporting heat medium increases about 8 times when cooling and about 17 times when heating.

시스템 설계시 중앙공조방식은 실별 냉난방부하특성과 환기특성이 유사한 여러 공조존을 한 대의 공조기가 담당하는 방식이며, 공조존의 전체 대표값을 기준으로 온/습도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In the design of the system, the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is a system in which one air conditioner is in charge of several air conditioning zones having similar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characteristics and ventilation characteristics, and controls temperature / humidity based on the total representative value of the air conditioning zone.

이러한 중앙공조방식의 일반적인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건물 내에 다수의 방1 내지 방3(30)이 구획되어 구성되고, 이들 방(30)에 온난 및/또는 냉방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조화용 덕트(50)가 형성되고, 이 공기 조화용 덕트(50)에 이러한 공기를 순환시키는 중앙 공조기(40)가 구성된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general concept of the central air conditioning method. Referring to FIG. 1, a plurality of rooms 1 to 3 30 are partitioned in one building, and an air conditioning duct 50 is provided to supply warming and / or cooling air to these rooms 30. Then, the central air conditioner 40 which circulates this air to this air conditioning duct 50 is comprised.

물론, 중앙 공조기(40)에는 온난 및/또는 냉방용 공기를 발생시키는 냉난방 공급장치(41)가 구성되며, 각 방(30)의 천정에는 공기 조화용 덕트(50)와 연결되는 송풍구(20)가 구성된다.Of course, the central air conditioner 40 is configured with a cooling and heating supply device 41 for generating warm and / or cooling air, the air outlet 20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on the ceiling of each room (30) Is composed.

그런데, 이러한 중앙공조방식의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 의할 경우, 일방적으로 방(30)쪽으로 일정한 공기가 유입되다 보니 개별적으로 온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By the way, when the central air-conditioning system of the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control the temperature individually because the constant air flows in one direction toward the room (30).

부연하면, 어떤 방의 생활자는 실내온도가 18℃인 상태를 원할 수 있는데, 중앙공조방식의 경우 모든 방의 온도가 일률적으로 20℃로 맞추어 지게 되므로 방마다 개별적으로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In other words, the living room of a certain room may want a state in which the room temperature is 18 ℃, in the case of the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because the temperature of all rooms are uniformly set to 20 ℃ has the disadvantage that you can not control the room temperature individually in each room.

본 발명은 위에서 제기된 종래기술에 따른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중앙공조방식의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서도 개별적으로 방마다 온도 조절이 가능한 온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that can individually control the temperature in each room in the central air-conditioning system of the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서의 온도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건물(10) 내에 설치되어 방(30)으로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조화용 덕트(50); 상기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생성하는 중앙 냉난방 공급 장치(41); 상기 중앙 냉난방 공급 장치(41)가 내부에 설치되면, 상기 중앙 냉난방 공급 장치(41)에 의해 생성된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공기 조화용 덕트(50)를 통하여 순환시키는 중앙 공조기(40); 상기 공기 조화용 덕트(5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 공조기(40)에 의해 순환되는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상기 방(30)안으로 유입시키는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 및 상기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방(30)안으로의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 유입량을 조절하는 온도 제어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in a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10 to supply the air for heating or cooling air to the room (30); A central air conditioning supply unit 41 for generating the heating air or cooling air; A central air conditioner (40) for circulating the heating air or the cooling air generated by the central air conditioning supply device (41)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when the central air conditioning supply device (41) is installed inside; An inflow rate control unit (210)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to introduce heating air or cooling air circulated by the central air conditioner (40) into the room (30);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200 controlling the inflow rate control unit 210 to adjust the inflow amount of heating air or cooling air into the room 30.

또한, 상기 온도 제어기(200)는, 방(30)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부(310); 상기 온도 센서부(310)가 센싱한 상기 방(30)의 측정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방(30)의 측정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 차이만큼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 유입량을 제어하는 공기 유입량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온도 제어부(300); 및 상기 온도 제어부(300)의 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 유입량 제어 정보를 상기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제 1 통신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the temperature sensor unit 310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room 30; Air inflow control information for receiving the measurement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room 30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310 to control the heating air or cooling air inflow amount by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room 30 A temperature control unit 300 for generating a;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360 for transmitting the air inflow control information to the inflow control unit 21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00.

또한, 상기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는, 상기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는, In addition, the inflow control unit 210, the inflow control unit 210,

상기 제 1 통신부(360)로부터 상기 온도 유입량 제어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는 제 2 통신부(410); 수신된 온도 유입량 제어 정보에 따라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400); 상기 모터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530)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420); 및 상기 공기 조화용 덕트(50)와 연통되며, 상기 모터(5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방(30)안으로의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 유입량을 제어하는 유입량 조절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 second communication unit 410 for receiving the temperature inflow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60 by wire or wirelessly; A microprocessor 400 generating a motor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temperature inflow control information; A motor driver 420 for driving the motor 530 according to the motor control signal; And an inflow rate adjusting unit 430 communicating with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and controlling the inflow amount of heating air or cooling air into the room 30 by driving the motor 530. You can do

또한, 상기 유입량 조절부(430)는, 상기 공기 조화용 덕트(50)와 연통되는 덕트 연결부(540); 상기 덕트 연결부(540)와 연통되며, 상기 덕트 연결부(540)를 통하여 상기 방(30)안으로 유입되는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 유입량을 조절하는 전동 댐퍼(500); 및 상기 전동 댐퍼(500)와 연통되어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상기 방(30)으로 송풍시키는 디퓨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low rate adjusting unit 430, the duct connecting portion 540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An electric damper (500) communicating with the duct connecting portion (540) and adjusting the amount of heating air or cooling air flowing into the room (30) through the duct connecting portion (540);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ffuser 220 in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damper 500 to blow air for heating or cooling air to the room (30).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유입량 조절부(430)는, 상기 공기 조화용 덕트(50)와 연통되는 덕트 연결부(540); 상기 덕트 연결부(540)와 연통되며, 상기 덕트 연결부(540)를 통하여 상기 방(30)안으로 유입되는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 유입량을 회전수에 따라 조절하는 원심팬; 상기 원심팬을 구동시키는 모터(530); 및 상기 원심팬과 연결되어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상기 방(30)으로 송풍시키는 디퓨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inflow rate adjusting unit 430, the duct connecting portion 540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A centrifugal fan communicating with the duct connection part 540 and adjusting a heating or cooling air inflow amount introduced into the room 30 through the duct connection part 540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A motor 530 for driving the centrifugal fan;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centrifugal fan and comprises a diffuser 220 for blowing air for heating or cooling air to the room (30).

본 발명에 의하면, 방마다 송풍 조절부 및 이 송풍 조절부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기를 구성함으로써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서도 개별적으로 방마다 온도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air conditioner and the tempera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for each room, even in the central air-conditioning system,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emperature can be adjusted for each room individually.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건물의 온도가 화재 등으로 인해 일정 온도까지 상승하게 되면 댐퍼가 차단됨으로써 화재 등으로 인한 열기를 차단하거나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uilding rises to a certain temperature due to a fire or the like, the damper is blocked to block heat from the fire or prevent the fire from spreading.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중앙 냉난방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온도 조절이 가능한 중앙 냉난방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온도 제어기(200)의 회로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의 회로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입량 조절부(430)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capable of adjusting individual tempera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shown in FIG. 2.
FIG. 4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inflow rate control control unit 210 shown in FIG. 2.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inflow rate adjusting unit 430 shown i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서의 온도 조절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in a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온도 조절이 가능한 중앙 냉난방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건물(10) 내에 설치되어 방(30)으로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조화용 덕트(50); 상기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생성하는 중앙 냉난방 공급 장치(41); 상기 중앙 냉난방 공급 장치(41)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중앙 냉난방 공급 장치(41)에 의해 생성된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공기 조화용 덕트(50)를 통하여 순환시키는 중앙 공조기(40); 상기 공기 조화용 덕트(5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 공조기(40)에 의해 순환되는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상기 방(30)안으로 유입시키는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 및 상기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방(30)안으로의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 유입량을 조절하는 온도 제어기(200)를 포함한다.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capable of adjusting individual tempera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duct 50 installed in the building 10 to supply heating air or cooling air to the room 30; A central air conditioning supply unit 41 for generating the heating air or cooling air; A central air conditioner (40) installed inside the central air conditioning supply unit (41) for circulating heating air or cooling air generated by the central air conditioning supply unit (41) through an air conditioning duct (50); An inflow rate control unit (210)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to introduce heating air or cooling air circulated by the central air conditioner (40) into the room (30);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200 for controlling the inflow rate control unit 210 to control the inflow amount of heating air or cooling air into the room 30.

일반적으로 건물(10) 내에는 다수의 방1 내지 방8(30) 들이 격벽으로 구획되어 구성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편의상 창문, 문 등을 생략하고 방의 개념만을 도시하였다. In general, a plurality of rooms 1 to 8 (30) in the building 10 is divided into partitions. In FIG. 2, only the concept of a room is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windows and doors.

또한, 건물(10) 내측에는 공기 조화용 덕트(50)가 설치되어 각 방(30)의 천장에 설치된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와 연결된다.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 4에 도시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is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10 and is connected to the inflow amount control controller 210 installed on the ceiling of each room 30. 4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inflow rate control control unit 21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물론, 공기 조화용 덕트(50)는 건물(10)의 일측에 설치된 중앙 공조기(40)와 연결되며, 이 중앙 공조기(40)에는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미도시), 순환된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미도시) 및 중앙 공조기(40)에는 중앙 냉난방 공급장치(41)가 구비된다. Of course,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air conditioner 4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uilding 10, the central air conditioner 40, the discharge unit (not shown) for discharging the air for heating or cooling air, A central air-conditioning and supplying device 41 is provided in the suction unit (not shown) and the central air conditioner 40 for sucking the circulated heating air or cooling air.

도 2에서는 순환된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흡입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방(30)의 바닥면에 흡입 수단을 설치하여 이 흡입 수단과 중앙 공조기(40)를 덕트로 연통하여 난방용 공기 및/또는 냉방용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does not show the configuration of sucking the circulated heating air or cooling air, but a suction means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om 30 so that the suction means and the central air conditioner 4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duct. It is possible to circulate cooling air.

이때 흡입부, 배출부 및 중앙 냉난방 공급장치(41)는 공기를 유입 및/또는 배출시키기 위해 격리 프레임에 의해 구획되어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uction part, the discharge part and the central air-conditioning supply device 41 are partitioned by the isolation frame to introduce and / or discharge the air.

상기 흡입부(미도시)는 공기 조화용 덕트(50)를 따라 순환된 공기(Return Air)가 흡입하며, 흡입된 공기를 중앙 냉난방 공급장치(4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이러한 공기 흡입 기능을 위해 흡입 송풍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intake unit (not shown) is sucked by the return air (return air) along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delivering the sucked air to the central air conditioning supply (41). Of course, a suction blower (not shown) may be provided for the air suction function.

이 흡입 송풍기는 원심팬의 회전에 의해 일측으로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타측으로는 순환된 공기를 중앙 냉난방 공급장치(41)로 배출하게 된다. 흡입 송풍기의 구동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한 예를 들어 원심팬과 이 원심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uction blower sucks the indoor air on one side by the rotation of the centrifugal fan and discharges the circulated air to the central air conditioning supply device 41 on the other side. There may be various driving methods of the suction blower. For example, the suction blower may include a centrifugal fan and a fan motor for rotating the centrifugal fan.

중앙 냉난방 공급장치(41)는 흡입부(미도시)를 통하여 유입된 일정량의 실내공기와 일정량의 실외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코일형상의 열교환기(미도시)와 열교환기 후단에 설치되어 과냉된 온도를 가열하는 재열히터(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central air-conditioning and supply device 41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coil-shaped heat exchanger (not shown) and the heat exchanger that heats the mixed air mix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indoor air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unit (not shown). And a reheat heater (not shown) for heating the supercooled temperature.

따라서, 중앙 냉난방 공급장치(41)는 실외에 설치된 히트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 유입된 혼합공기를 냉각 또는 승온시켜 배출부(미도시)를 통해 이 배출부와 연통된 공기 조화용 덕트(50)쪽으로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배출한다. Therefore, the central air-conditioning supply device 41 is connected to a heat pump (not shown) installed outdoors to cool or warm up the introduced mixed air, and an air conditioning duct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rt through a discharge part (not shown) ( Vent the heating or cooling air towards 50).

중앙 냉난방 공급장치(41)에 대하여는 이미 널려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에 대하여는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central air-conditioning and supply device 41 is already widely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를 계속 참조하여 설명하면, 방(30) 내부에는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온도 제어기(200)가 설치된다. 온도 제어기(200)와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는 유선 및/또는 무선(211)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제어기(2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 3에 도시된다. 도 3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에는 이러한 온도 제어기(200)의 외관이 부분 확대도로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2,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is electrically installed in the room 30 to electrically control the inflow rate control controller 210.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and the inflow rate control unit 210 may be connected by wire and / or wireless 211.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such a temperature controller 200 is shown in FIG. 3. 3 will be described later. 2 shows an appearance of such a temperature controller 200 in a partial enlarged view.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는 디퓨저(220)와 연통된다. 디퓨저(220)는 난방용 및/또는 냉방용 공기를 방(30) 안에 확산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inflow rate control unit 21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iffuser 220. The diffuser 220 diffuses and supplies heating and / or cooling air into the room 30.

사용자는 온도 제어기(200)를 이용하여 방(30)의 실내온도를 체크하고 실내온도에 따라 온도를 내리거나 올릴 수 있도록 조작이 가능하며, 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는 방(30)안으로 유입되는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함으로써 방(30)의 실내온도를 내리거나 올릴 수 있다. The user can check the room temperature of the room 30 by using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and can be manipulated to lower or raise th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room temperature, an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inflow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room. The room temperature of the room 30 can be lowered or raised by adjusting the inflow amount of the heating air or cooling air introduced into the 30.

또한, 도 2에서는 건물(10)의 각 층마다 방이 다양하게 구획되므로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와 디퓨저(220)가 바로 연통될 수도 있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통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FIG. 2, since the rooms are partitioned in various ways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10, the inflow control unit 210 and the diffuser 220 may be directly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or may be communicated at regular intervals.

예를 들면, 1층의 경우에는 복수인 방1과 방 2이 있으므로 공기 조화용 덕트(50),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와 디퓨저(220)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floor, since there are a plurality of rooms 1 and 2,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the inflow control unit 210 and the diffuser 220 are sequentially connected.

이와 달리, 3층의 경우에는 하나의 방6만이 있으므로 공기 조화용 덕트(50),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가 직접 연결되고, 디퓨저(220)는 약간의 간격을 두고 공기 조화용 덕트(50)에 직접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third floor, since there is only one room 6,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and the inflow control unit 210 are directly connected, and the diffuser 220 has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at a slight interval. Is connected directly to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온도 제어기(200)의 회로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온도 제어기(200)는, 방(30)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부(310); 상기 온도 센서부(310)가 센싱한 상기 방(30)의 측정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방(30)의 측정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 차이만큼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 유입량을 제어하는 공기 유입량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온도 제어부(300); 및 상기 온도 제어부(300)의 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 유입량 제어 정보를 상기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제 1 통신부(3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3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shown in FIG. 2. Referring to FIG. 3,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unit 310 sensing a temperature of a room 30; Air inflow control information for receiving the measurement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room 30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310 to control the heating air or cooling air inflow amount by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room 30 A temperature control unit 300 for generating a;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360 for transmitting the air inflow control information to the inflow control unit 21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00.

계속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온도 센서(310)는 방(30)의 실내온도를 센싱하며, 센싱된 온도 정보를 온도 제어부(3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3, the temperature sensor 310 senses the room temperature of the room 30 and transmits the sensed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temperature controller 300.

입력부(32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서 여러 개의 숫자, 특수문자 등의 키버튼, 다이얼 버튼 등이 구성된다. 물론, 입력부(320)를 터치 패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input unit 320 is a means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is composed of a key button, a dial button and the like of a number, special characters. Of course, the input unit 32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pad.

전원부(330)는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전원부(330)는 상용 전원과 지속적으로 연결되는 방식도 가능하고, 건전지 등과 같은 휴대용 전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ower supply unit 330 serves to supply power to each component. Of course, the power supply unit 330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commercial power source, or a portable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may be used.

저장부(340)는 온도 제어부(300) 내에 구비되는 메모리일 수 있고, 별도의 메모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34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SRAM(Static RAM), FRAM(Ferro-electric RAM), PRAM(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DRAM(Dynamic RAM), SDRAM(Synchronos Dynamic RAM), DDRSDRAM(Double Data Rate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이 될 수 있다. The storage 340 may be a memory provided in the temperature controller 300 or may be a separate memory. Therefore, the storage unit 340 may include a hard disk drive, a flash memory,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static RAM (SRAM), a ferro-electric RAM (FRAM), a phase-change RAM (PRAM), and an MRAM (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magnetic RAM) and / or a volatile memory such as a dynamic RAM (DRAM), a synchronos dynamic RAM (SDRAM), a double data rate SDRAM (DDRSDRAM), or the like.

또한, 저장부(340)에는 센서부(310)가 센싱한 상기 방(30)의 측정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방(30)의 측정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 차이만큼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 유입량을 제어하는 공기 유입량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40 receives the measurement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room 30 sensed by the sensor unit 310 and supplies the heating air or the cooling air inflow amount by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room 30 and the measurement temperature. Programs, data, and the like for generating air inflow control information to be controlled are stored.

부연하면, 공기 조화기 덕트(40)에 보내지는 중앙냉난방 공급장치(41)의 배출 온도, 상기 방(30)별로 일정한 유동구조하에서의 공기 조화기 덕트(도 2의 40)를 통해 각 방(30)에 설치된 각 유입량 조절 제어부(도 2의 210)까지의 유동저항(정압손실) 차이를 고려하여 각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의 개폐 각도 데이터와 이에 따른 온도의 감온율 및/또는 온도의 승온율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로 설정되어 저장된다. 이들 데이터는 실험적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설계자에 따라 달리 설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더 이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In other words, each room 30 through the air conditioner duct (40 in FIG. 2) under the constant flow structure of the central air-conditioning supply device 41, which is sent to the air conditioner duct 40, for each room 30,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in flow resistance (static pressure loss) to each of the inflow control unit (210 in Figure 2) install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data of the inflow control unit 210 and the temperature reduction rate and / or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the temperature The data is set as reference data and stored. Since these data can be experimentally calculated and can be desig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signer,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디스플레이부(350)는 LED(Light Emitting Diode),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등으로 구성되며, 온도 제어부(300)에 의해서 처리된 온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디스플레이부(350)가 터치 패널로 구성되면 입력부(320)가 구성될 필요가 없어진다.The display unit 350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the like, and can display temperatur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emperature controller 300. Of course, when the display unit 350 is configured as a touch panel, the input unit 320 does not need to be configured.

온도 제어부(3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며, 온도 센서부(130)를 이용하여 방(30)의 실내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5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정보에 따라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 유입량을 제어하는 공기 유입량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360)를 통하여 전송하는 알고리즘이 구현된다.The temperature controller 300 includes a microprocessor, measures the room temperature of the room 30 using the temperature sensor 130, and displays temperature information on the display 350.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an algorithm for generating air inflow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inflow amount of heating air or cooling air and transmitting 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60 is implemented.

제 1 통신부(360)는 생성된 공기 유입량 제어 정보를 유입량 조절 제어부(도 2의 21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유선 통신 회로 또는 무선 통신 회로가 구성된다. 무선 통신 회로의 경우 통신기술은 WIBRO, Zigbee, 블루투쓰, IrDA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or 360 transmits the generated air inflow control information to the inflow control unit 210 of FIG. 2. Of course, the communication can be wired or wireless. For this purpose, a wired communication circuit or a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is configured. In the cas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BRO, Zigbee, Bluetooth, IrDA,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의 회로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는, 상기 제 1 통신부(360)로부터 상기 온도 유입량 제어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는 제 2 통신부(410); 수신된 온도 유입량 제어 정보에 따라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400); 상기 모터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530)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420); 및 상기 공기 조화용 덕트(50)와 연결되며, 상기 모터(5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방(30)안으로의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 유입량을 제어하는 유입량 조절부(4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 4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inflow rate control control unit 210 shown in FIG. 2. Referring to FIG. 4, the inflow rate adjustment control unit 210 may includ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410 which receives the temperature inflow rat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60 by wire or wirelessly; A microprocessor 400 generating a motor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temperature inflow control information; A motor driver 420 for driving the motor 530 according to the motor control signal; And an inflow rate adjusting unit 430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and controlling the inflow amount of heating air or cooling air into the room 30 by driving the motor 530. do.

계속 도 4를 참조하면, 제 2 통신부(410)는 도 3에 도시된 제 1 통신부(360)와 유사한 기능을 하며, 제 1 통신부(360)와 통신을 수행하여 온도 유입량 제어 정보를 수신받아 마이크로프로세서(4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10 functions similar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60 shown in FIG. 3,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60 to receive temperature inflow control information and receive a microcomputer.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to the processor 400.

마이크로프로세서(400)는 전송된 온도 유입량 제어 정보에 따라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모터 구동부(42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방(30)의 실내온도가 26℃이고 사용자가 실내온도를 24℃로 설정(즉, 설정온도가 된다)하였다면 설정온도와 실내온도 차는 2℃가 된다. The microprocessor 400 generates a motor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temperature inflow control information to control the motor driver 420. For example, if the room temperature of the room 30 is 26 ° C. and the user sets the room temperature to 24 ° C. (ie, becomes the set temperatu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t temperature and the room temperature is 2 ° C.

이를 위해서는 2℃ 차이만큼의 난방용 공기에 대한 유입량을 제한하여 실내온도를 낮추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400)는 온도 유입량 제어 정보에 따라 모터(미도시)의 회전횟수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회전횟수만큼 모터(미도시)를 회전시키도록 모터 구동부(420)에 전송하게 된다. To this end, the room temperature is lowered by limiting the inflow rate of the heating air by a difference of 2 ° C. Therefore, the microprocessor 400 calculates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motor (not show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flow control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number of rotations to the motor driver 420 to rotate the motor (not shown) by the calculated number of rotations. .

모터 구동부(420)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는 DC(Direct Current) 또는 AC(Alternating Current) 모터 또는 스텝핑 모터가 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모터 구동부(420)에는 DC 또는 AC를 제어하는 회로가 구성된다.The motor operated by the motor driver 420 may be a direct current (AC) or alternating current (AC) motor or a stepping motor. Of course, in this case, the motor driver 420 is configured with a circuit for controlling DC or AC.

물론,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의 유입량에 따른 감온율 또는 승온율이 계산되어 데이터로 저장부(도 3의 340)에 저장되어 있으며, 또한 이에 따른 개폐 정도의 데이터도 저장된다. 따라서, 이 데이터에 따라 공기 유입량을 제한하게 된다. 부연하면, 모터 구동부(420)가 모터의 회전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킴으로써 유입량 조절부(430)가 일정 각도로 개폐되어 유입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게 된다. Of course, the temperature reduction rate or the temperature increase rate according to the inflow amount of the heating air or the cooling air is calcula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40 of FIG. 3 as data, and also the data of the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ly. Therefore, the air inflow amount is limited according to this data. In other words, the motor driving unit 420 reduces or increases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motor to open and close the inflow amount adjusting unit 430 at an ang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inflow amount.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입량 조절부(430)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유입량 조절부(430)는, 상기 공기 조화용 덕트(50)와 연결되는 덕트 연결부(540); 상기 덕트 연결부(540)를 통하여 상기 방(도 2의 30)안으로 유입되는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 유입량을 조절하는 전동 댐퍼(500); 상기 전동 댐퍼(500)를 구동시키는 모터(530); 및 상기 전동 댐퍼(500)와 연결되어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상기 방(30)으로 송풍시키는 디퓨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inflow rate adjusting unit 430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5, the inflow amount adjusting unit 430 may include a duct connecting part 540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An electric damper 500 for controlling heating air or cooling air inflow amount introduced into the room (30 of FIG. 2) through the duct connection part 540; A motor 530 for driving the electric damper 500; And a diffuser 220 connected to the electric damper 500 to blow air for heating or air for cooling to the room 30.

계속 도 5를 참조하면, 덕트 연결부(540)는 공기 조화용 덕트(40)와 연통되고, 전기적으로 개폐 정도가 조절되는 전동 댐퍼(500)가 덕트 연결부(540)에 연통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duct connection part 540 communicates with the air conditioning duct 40, and an electric damper 500 electrically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the duct connection part 540 communicates with the duct connection part 540.

물론, 전동 댐퍼(500)에는 이러한 개폐 정도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530)가 구성된다. 전동 댐퍼(500)와 연통되며 천장(520)에 설치되는 디퓨저(220)가 구성된다. 도 5에서는 디퓨저(220)가 수동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전동 디퓨저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the electric damper 500 is configured with a motor 530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The diffuser 220 communicates with the electric damper 500 and is installed on the ceiling 520. In FIG. 5, the diffuser 220 is manually operated. However, an electrically operated electric diffuser may be used.

전동 댐퍼(500)와 디퓨저(220) 사이에는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연부(550)가 구성된다. 이 유연부(550)를 일자로 세우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눕혀서 공기 조화용 덕트(50)와의 연결을 수월하게 한다. A flexible part 550 is configured between the electric damper 500 and the diffuser 220 to facilitate installation. This flexible part 550 is straightened or laid down as shown in FIG. 5 to facilitate connection with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또한, 전동 댐퍼(500)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천장(520) 상에 점검구(121)가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heck hole 121 may be configured on the ceiling 520 for maintenance of the electric damper 500.

물론, 도 5에서는 이해를 위해 전동 댐퍼(500)와 디퓨저(220)가 바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디퓨저(220)는 전동 댐퍼(500)로부터 일정한 차이를 두고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디퓨저(220)가 전동 댐퍼(500)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디퓨저(220)와 전동 댐퍼(500) 사이에는 공기 통로를 위한 공기 통로관(미도시)이 구성된다.
Of course, FIG. 5 illustrates that the electric damper 500 and the diffuser 220 are directly connected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but the diffuser 220 may be configured with a predetermined difference from the electric damper 500. In addition, a plurality of diffusers 220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ic damper 500. Of course, in this case, an air passage tube (not shown) for the air passage is configured between the diffuser 220 and the electric damper 50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동 댐퍼(500)의 개폐 정도를 이용하지 않고 원심팬(미도시)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원심팬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부연하면, 유입량을 증가시키려면 회전수를 늘리고, 유입량을 감소시키려면 회전수를 감소시킨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entrifugal fan (not shown) without using the opening / closing degree of the electric damper 500. In this case, the flow rat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centrifugal fan. In other words, increase the rotation speed to increase the flow rate, and decrease the rotation speed to decrease the flow rat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화재 등으로 인해 건물 온도가 일정 온도까지 상승하게 되면 전동 댐퍼(500)가 완전히 클로즈된다. 따라서, 화재 등으로 인한 열기를 차단하거나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uilding temperature rises to a certain temperature due to a fire or the like, the electric damper 500 is completely closed.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o block the heat due to the fire or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fire.

10: 건물
20: 송풍구
30: 방
40 : 중앙 공조기
41: 중앙 냉난방 공급 장치
50: 공기 조화용 덕트
200: 온도 제어기
210: 유입량 조절 제어부
220: 디퓨저(diffusor)
300: 온도 제어부
310: 온도 센서부
320: 입력부
330: 전원부
340: 저장부
350: 디스플레이부
360: 제 1 통신부
400: 마이크로 프로세서
410: 제 2 통신부
420: 모터 구동부
430: 유입량 조절부
500: 댐퍼
530: 모터
540: 덕트 연결부
550: 유연부
560: 점검구
10: building
20: blowhole
30: room
40: central air conditioner
41: central air conditioning unit
50: air conditioning duct
200: temperature controller
210: inflow control unit
220: diffuser
300: temperature control unit
310: temperature sensor unit
320: input unit
330: power supply
340:
350: display unit
360: first communication unit
400: microprocessor
410: second communication unit
420: motor drive unit
430: flow rate control unit
500: damper
530: motor
540: duct connection
550: flexible part
560: check hole

Claims (5)

건물(10) 내에 설치되어 방(30)으로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조화용 덕트(50);
상기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생성하는 중앙 냉난방 공급 장치(41);
상기 중앙 냉난방 공급 장치(41)가 내부에 설치되면, 상기 중앙 냉난방 공급 장치(41)에 의해 생성된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공기 조화용 덕트(50)를 통하여 순환시키는 중앙 공조기(40);
상기 공기 조화용 덕트(5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 공조기(40)에 의해 순환되는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상기 방(30)안으로 유입시키는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 및
상기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방(30)안으로의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 유입량을 조절하는 온도 제어기(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서의 온도 조절 장치.
An air conditioning duct 50 installed in the building 10 to supply heating air or cooling air to the room 30;
A central air conditioning supply unit 41 for generating the heating air or cooling air;
A central air conditioner (40) for circulating the heating air or the cooling air generated by the central air conditioning supply device (41)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when the central air conditioning supply device (41) is installed inside;
An inflow rate control unit (210)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to introduce heating air or cooling air circulated by the central air conditioner (40) into the room (30); And
Temperature controller 200 for controlling the inflow amount control unit 210 to adjust the inlet air for heating or cooling air into the room (30)
Temperature control device in the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기(200)는,
방(30)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부(310);
상기 온도 센서부(310)가 센싱한 상기 방(30)의 측정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방(30)의 측정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 차이만큼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 유입량을 제어하는 공기 유입량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온도 제어부(300); 및
상기 온도 제어부(300)의 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 유입량 제어 정보를 상기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제 1 통신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서의 온도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A temperature sensor unit 310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room 30;
Air inflow control information for receiving the measurement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room 30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310 to control the heating air or cooling air inflow amount by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room 30 A temperature control unit 300 for generating a; And
Temperature control in the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360 for transmitting the air inflow control information to the inflow control unit 210 by wire or wireless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00.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량 조절 제어부(210)는,
상기 제 1 통신부(360)로부터 상기 온도 유입량 제어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는 제 2 통신부(410);
수신된 온도 유입량 제어 정보에 따라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400);
상기 모터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530)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420); 및
상기 공기 조화용 덕트(50)와 연통되며, 상기 모터(5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방(30)안으로의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 유입량을 제어하는 유입량 조절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서의 온도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low control unit 210,
A second communication unit 410 for receiving the temperature inflow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60 by wire or wirelessly;
A microprocessor 400 generating a motor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temperature inflow control information;
A motor driver 420 for driving the motor 530 according to the motor control signal; And
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flow rate adjusting unit 430 for controlling the inflow of heating air or cooling air into the room 30 by the drive of the motor 530 Temperature control device in the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량 조절부(430)는,
상기 공기 조화용 덕트(50)와 연통되는 덕트 연결부(540);
상기 덕트 연결부(540)와 연통되며, 상기 덕트 연결부(540)를 통하여 상기 방(30)안으로 유입되는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 유입량을 조절하는 전동 댐퍼(500);
상기 전동 댐퍼(500)를 구동시키는 모터(530); 및
상기 전동 댐퍼(500)와 연결되어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상기 방(30)으로 송풍시키는 디퓨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서의 온도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flow rate adjusting unit 430,
A duct connection part 540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An electric damper (500) communicating with the duct connecting portion (540) and adjusting the amount of heating air or cooling air flowing into the room (30) through the duct connecting portion (540);
A motor 530 for driving the electric damper 500; And
And a diffuser (220) connected to the electric damper (500) to blow heating air or cooling air into the room (3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량 조절부(430)는,
상기 공기 조화용 덕트(50)와 연통되는 덕트 연결부(540);
상기 덕트 연결부(540)와 연통되며, 상기 덕트 연결부(540)를 통하여 상기 방(30)안으로 유입되는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 유입량을 회전수에 따라 조절하는 원심팬;
상기 원심팬을 구동시키는 모터(530); 및
상기 원심팬과 연결되어 난방용 공기 또는 냉방용 공기를 상기 방(30)으로 송풍시키는 디퓨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서의 온도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flow rate adjusting unit 430,
A duct connection part 540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conditioning duct 50;
A centrifugal fan communicating with the duct connection part 540 and adjusting a heating or cooling air inflow amount introduced into the room 30 through the duct connection part 540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A motor 530 for driving the centrifugal fan; And
And a diffuser (220) connected to the centrifugal fan to blow heating air or cooling air into the room (30).
KR1020120019121A 2012-02-24 2012-02-24 Apparatus for regulating temperature in central cool/heating system KR201300974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121A KR20130097457A (en) 2012-02-24 2012-02-24 Apparatus for regulating temperature in central cool/hea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121A KR20130097457A (en) 2012-02-24 2012-02-24 Apparatus for regulating temperature in central cool/heat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457A true KR20130097457A (en) 2013-09-03

Family

ID=4944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121A KR20130097457A (en) 2012-02-24 2012-02-24 Apparatus for regulating temperature in central cool/hea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7457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092A (en) * 2015-03-10 2016-09-21 조성로 Building cooling and heating system using underground wind
KR101714685B1 (en) 2015-11-13 2017-03-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ollecting energy information and apparatus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CN106871329A (en) * 2016-12-28 2017-06-20 中瑞新源能源科技(天津)股份有限公司 A kind of central air-conditioning energy-saving system
KR20180136591A (en) * 2017-06-13 2018-12-26 주식회사 조이산업 Individual control system of central heating and cooling facilit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092A (en) * 2015-03-10 2016-09-21 조성로 Building cooling and heating system using underground wind
KR101714685B1 (en) 2015-11-13 2017-03-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ollecting energy information and apparatus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CN106871329A (en) * 2016-12-28 2017-06-20 中瑞新源能源科技(天津)股份有限公司 A kind of central air-conditioning energy-saving system
KR20180136591A (en) * 2017-06-13 2018-12-26 주식회사 조이산업 Individual control system of central heating and cooling fac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5337B (en) Air supply method of air conditioner
EP1811239B1 (en) Method of controlling blowing direction in sleeping operation mode of air conditioner
CN102338446A (en) Air conditioner
JP6832760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building
KR20130097457A (en) Apparatus for regulating temperature in central cool/heating system
KR20080078332A (en) Air-conditioning system
KR101526338B1 (en) Dehumidification controlling method for Air conditioner
JP6578672B2 (e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JP6200663B2 (en) Ventilation system
KR20160049933A (en) Apparatus for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JP2013072582A (en) Apparatus for heating and drying bathroom
JP2012013261A (en) Control device of circulator
WO2022070178A1 (en) Air convection system
JP2023025275A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826721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236170B1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of radiant floor and air condition
JP2022078976A (en)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13057473A (en) Bathroom heater-dryer
KR20180087813A (en) Air conditioning system,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90147A (en) Heater that provides comportable heating
KR20100048546A (en) Air-conditioner and the control method
KR20180035291A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346626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440722Y1 (en) Spray apparatus of an air conditioner
JP2020008246A (en) Air conditioning system, model selection method of air conditioning system, model selection device of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odel selection system of air cond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