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267A - 휴대 단말기의 콘텐츠 뷰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콘텐츠 뷰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267A
KR20130097267A KR1020120018779A KR20120018779A KR20130097267A KR 20130097267 A KR20130097267 A KR 20130097267A KR 1020120018779 A KR1020120018779 A KR 1020120018779A KR 20120018779 A KR20120018779 A KR 20120018779A KR 20130097267 A KR20130097267 A KR 20130097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ge
content view
mode
p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종성
양희철
허승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7267A/ko
Priority to US13/767,272 priority patent/US20130222431A1/en
Priority to EP13155512.0A priority patent/EP2631763A2/en
Priority to CN2013100564989A priority patent/CN103336646A/zh
Publication of KR2013009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60Rotation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모드가 변경되어도 콘텐츠들의 배열을 변경 전과 동일하게 유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 모드 변경과 상관없이 콘텐츠를 직관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콘텐츠 뷰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방법은 랜드스케이프 모드(landscape mode)로 콘텐츠 뷰의 적어도 두 페이지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 모드가 상기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portrait mode) 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은 각각 다수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패널 각각에는 하나의 콘텐츠가 위치 가능하며, 상기 다수의 패널의 배열은 상기 표시 모드의 변경과 상관없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콘텐츠 뷰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S VIEW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콘텐츠 뷰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의 표시 모드를 고려하여 콘텐츠 뷰(contents view)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콘텐츠 뷰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뷰는 다수의 콘텐츠를 나열하여 표시하는 화면(screen)을 의미한다.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문서, 아이콘, 섬네일(thumbnail),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이 될 수 있다.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듀얼 표시 모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듀얼 표시모드는 랜드스케이프 모드(landscape mode)와 포트레이트 모드(portrait mode)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랜드스케이프 모드는 화면의 가로가 세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포트레이트 모드는 화면의 세로가 가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휴대 단말기는 센서를 구비하고, 이러한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회전(rotation)을 감지하며,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콘텐츠 뷰의 서식(form)을 상기 결정된 표시 모드에 맞게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 단말기는 콘텐츠의 크기, 콘텐츠들 간의 간격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들이 변경 전과 다르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뷰의 재배열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것이므로, 시각적으로 불편하고 사용자가 콘텐츠를 직관적으로 이용함에 있어서 방해 요소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표시 모드가 변경되어도 콘텐츠들의 배열을 변경 전과 동일하게 유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 모드 변경과 상관없이 콘텐츠를 직관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콘텐츠 뷰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듀얼 표시 모드를 고려한 콘텐츠 뷰의 편집 화면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방법은 랜드스케이프 모드(landscape mode)로 콘텐츠 뷰의 적어도 두 페이지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 모드가 상기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portrait mode) 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은 각각 다수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패널 각각에는 하나의 콘텐츠가 위치 가능하며, 상기 다수의 패널의 배열은 상기 표시 모드의 변경과 상관없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뷰의 편집 화면에서 페이지들은 서로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장치는 랜드스케이프 모드(landscape mode)로 콘텐츠 뷰의 적어도 두 페이지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포트레이트 모드(portrait mode)로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상기 포트레이트 모드로 표시 모드를 변경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은 각각 다수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패널 각각에는 하나의 콘텐츠가 위치 가능하며, 상기 다수의 패널의 배열은 상기 표시 모드의 변경과 상관없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뷰 편집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본 발명은 표시 모드가 변경되어도 콘텐츠들의 배열을 변경 전과 동일하게 유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 모드 변경과 상관없이 콘텐츠를 직관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이 서로 구분되어 있는 편집 화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콘텐츠 뷰를 편집할 때, 페이지를 구분하면서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콘텐츠 뷰는 적어도 두 페이지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두 페이지가 동시에 표시된다. 포트레이트 모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가 표시된다. 따라서 표시 모드가 변경되더라도 표시되는 페이지의 수만 다를 뿐, 콘텐츠 뷰의 배열은 일관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페이지는 다수의 패널(panel)을 포함한다. 패널들은 해당 페이지에서 그리드(grid)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패널에는 콘텐츠가 위치할 수 있다. 즉 패널은 콘텐츠 뷰에서 하나의 콘텐츠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여기서 인접한 패널끼리는 합쳐질 수 있다. 이렇게 합쳐진 패널에도 콘텐츠가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다른 페이지의 패널들끼리는 합쳐지지 않는다. 콘텐츠 뷰의 편집 화면에서는 패널의 윤곽선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페이지의 윤곽선도 표시될 수 있다. 편집이 종료되면 상기 윤곽선들의 표시는 종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방법 및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핸드헬드(hand-held)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게임기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방법 및 장치는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콘텐츠 뷰의 모든 페이지를 동시에 표시하고,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10), 키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무선통신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마이크(MIC), 스피커(SPK), 센서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표시부(130)의 전면에 장착되고, 터치스크린(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터치이벤트를 발생시켜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00)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이벤트를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80)는 터치이벤트에 응답하여 콘텐츠 뷰를 편집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제스처의 형태는 터치(Touch), 탭(Tap), 롱 탭(Long Tap), 드래그(Drag) 및 스윕(Sweep)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을 누르는 터치제스처이다. 탭은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손가락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즉, 드롭(Drop)하는 터치제스처이다. 롱 탭은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손가락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터치제스처이다.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터치제스처이다. 스윕은 플릭(Flick)이라고도 하는데, 손가락을 튀기듯이 빠르게 이동시킨 다음 떼는 터치제스처이다. 한편 터치스크린(110)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및 압력 방식(pressure typ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이벤트를 생성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키 이벤트는 전원 온/오프 이벤트, 볼륨 조절 이벤트, 화면 온/오프 이벤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키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제어부(180)로부터 입력받은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이하 줄여 '앱(App)'이라 한다) 실행 화면, 배경 화면, 콘텐츠 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부(130)의 화면이 켜지면 표시되는 화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잠금 해제를 위한 터치이벤트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잠금 화면 대신 홈 화면 또는 앱 실행 화면 등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홈 화면은 다수의 앱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앱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수의 앱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해당 앱을 실행한다. 그리고 표시부(130)는 선택된 앱의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상기 화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화면을 서브 화면으로써 상기 메인 화면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30)는 배경 화면을 표시하고, 그 위에 콘텐츠 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콘텐츠 뷰의 편집 화면을 표시하고, 그 위에 후보군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듀얼 표시 모드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듀얼 표시 모드는 랜드스케이프 모드와 포트레이트 모드를 의미한다.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표시부(130)는 콘텐츠 뷰의 모든 페이지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표시부(130)는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하여, 텍스트, 오디오 및 비디오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크게 데이터 영역과 프로그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의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표시부(130)에 의해 표시되는 상술한 화면들 그리고 휴대 단말기의 운영을 위한 다양한 설정 값들을 저장할 수 있고, 붙여 넣기 등을 위해 복사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의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부팅 및 상술한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프로그램 영역은 듀얼 표시 모드를 고려하여 콘텐츠 뷰를 편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데이터 통신 및 디지털 방송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15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근거리 통신 모듈(예컨대, 와이파이(Wi-Fi) 모듈) 및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제어부(180)로부터 입력받은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를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로 전송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등의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를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센서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이동 속도, 이동 방향 및 회전(rotation) 등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센서부(170)는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센서부(170)는 감지된 물리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 신호를 다시 데이터로 AD(Analog to Digital)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회전하면 센서부(170)는 이와 관련한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의 회전을 감지하고, 이에 응답하여 화면의 표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80)는 콘텐츠 뷰 표시 방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터치이벤트 감지부(210), 모드변환이벤트 감지부(220) 및 콘텐츠 뷰 제어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이벤트 감지부(210)는 터치스크린(110)에 연결된다. 그리고 터치이벤트 감지부(210)는 터치스크린(110)으로부터 터치이벤트를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이벤트를 콘텐츠 뷰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전달된 터치이벤트는 터치 지점, 터치의 이동 방향, 터치제스처 정보 등을 포함한다.
회전이벤트 감지부(220)는 센서부(170)에 연결된다. 그리고 회전이벤트 감지부(220)는 센서부(170)로부터 회전이벤트를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이벤트를 콘텐츠 뷰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전달된 회전이벤트는 각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콘텐츠 뷰 제어부(230)는 표시부(130) 및 저장부(140)와 연결된다. 콘텐츠 뷰 제어부(230)는 저장부(140)로부터 콘텐츠 뷰를 수신한다. 그리고 콘텐츠 뷰 제어부(230)는 수신된 콘텐츠 뷰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특히 콘텐츠 뷰 제어부(230)는 터치이벤트 감지부(210)로부터 전달받은 터치이벤트에 의거하여 콘텐츠 뷰를 편집하고 이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그리고 콘텐츠 뷰 제어부(230)는 편집된 콘텐츠 뷰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표시부(130)의 표시 모드는 휴대 단말기(100)의 회전과 상관없이, 사용자 임의대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되어 있지 않다면 콘텐츠 뷰 제어부(230)는 회전이벤트 감지부(22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이벤트에 의거하여 표시부(130)의 표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뷰 제어부(230)는 결정된 표시 모드로 콘텐츠 뷰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콘텐츠 뷰 제어부(230)의 기능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텐츠 뷰 제어부(230)는 모드 변환부(231)와 편집부(2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드 변환부(231)는 센서부(170)로부터 회전이벤트를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이벤트를 기반으로 표시 모드를 결정한다. 결정된 표시 모드가 현재 설정된 표시 모드와 일치하면 모드 변환부(231)는 현재 설정된 표시 모드를 유지한다. 반면 결정된 표시 모드와 현재 설정된 표시 모드가 다르면 모드 변환부(231)는 표시부(130)의 표시 모드를 상기 결정된 표시 모드로 다시 설정한다. 즉 모드 변환부(231)는 상기 결정된 표시 모드로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표시부(130)는 콘텐츠 뷰의 모든 페이지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표시부(130)는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 뷰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편집부(232)는 감지된 터치이벤트가 콘텐츠의 편집을 위한 터치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콘텐츠 뷰의 어느 한 지점을 롱 탭 하면 터치스크린(110)은 롱 탭과 관련한 터치이벤트를 발생하여 터치이벤트 감지부(210)로 전달한다. 터치이벤트 감지부(210)를 이를 감지하여 편집부(232)로 전달한다. 여기서 콘텐츠의 편집을 위한 터치제스처는 롱 탭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형태의 터치제스처 예컨대, 투 탭(two tap) 등이 콘텐츠의 편집을 위한 터치제스처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별 결과 감지된 터치이벤트가 롱 탭에 해당되면 편집부(232)는 콘텐츠 뷰의 편집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편집부(232)는 패널들의 윤곽선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가 위치하는 패널은 윤곽선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편집부(232)는 콘텐츠가 위치하지 않는 빈 패널만 윤곽선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편집부(232)는 페이지의 윤곽선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페이지들 간의 간격을 좀 더 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페이지들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편집부(232)는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패널에 콘텐츠를 위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패널을 탭 하면 편집부(232)는 탭이 된 패널 주위로 후보군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된 후보군에서 콘텐츠를 탭 하면 편집부(232)는 탭이 된 콘텐츠를 해당 패널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편집부(232)는 사용자의 터치제스처 예컨대, 드래그에 응답하여 인접한 패널들끼리 합칠 수 있다. 그리고 편집부(232)는 합쳐진 패널에 콘텐츠를 위치시킬 수 있다. 다만 편집부(232)는 다른 페이지의 패널들끼리는 합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는 콘텐츠가 두 페이지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편집부(232)는 편집 완료 이벤트를 터치이벤트 감지부(210)로부터 전달받게 되면, 편집 완료된 콘텐츠 뷰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그리고 편집부(232)는 편집 완료된 콘텐츠 뷰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GPS 모듈 및 카메라 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입력부는 상술한 터치스크린(110) 및 키입력부(120) 이외에, 터치패드, 트랙볼, 키보드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1에서 표시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콘텐츠 뷰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뷰는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설명에서는 콘텐츠 뷰가 좌측 페이지 및 우측 페이지 이렇게, 두 페이지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한다.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콘텐츠 뷰가 표시되는 동안 단계 302에서 제어부(180)는 회전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감지된 회전이벤트를 기반으로 표시 모드를 결정한다. 이때 결정된 표시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이면 단계 303에서 제어부(180)는 콘텐츠 뷰의 표시 모드를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 모드로 변경한다. 즉 단계 303에서 표시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좌측 페이지와 우측 페이지의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좌측 페이지와 우측 페이지의 일부가 표시되는 동안 단계 304에서 제어부(180)는 페이지 이동 이벤트를 감지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우측 페이지의 일부를 터치하면 터치스크린(110)은 이와 관련한 터치이벤트를 발생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터치이벤트에 응답하여, 페이지를 넘기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즉 단계 305에서 표시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좌측 페이지의 일부와 우측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으로 표시 모드가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 모드로 변경되면, 컨텐츠 뷰가 두 페이지로 분할되어 표시될 뿐, 컨텐츠들의 배열은 변경 전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모드의 변경과 상관없이 콘텐츠를 직관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01에서 표시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콘텐츠 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는 동안 단계 402에서 제어부(180)는 편집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편집 이벤트가 감지되면 단계 403에서 제어부(180)는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콘텐츠 뷰의 편집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단계 403에서 표시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콘텐츠 뷰의 각각의 페이지들을 구분되게 표시한다. 즉 표시부(130)는 각 페이지들의 윤곽선을 표시할 수 있다.
편집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단계 404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콘텐츠 뷰에 콘텐츠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단계 404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기존의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단계 404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인접한 패널들끼지 합치고, 이렇게 합쳐진 패널에 콘텐츠를 위치시킬 수 있다. 다만 제어부(180)는 다른 페이지의 패널들끼리는 합치지 않는다.
한편, 편집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단계 405에서 제어부(180)는 편집 완료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편집 완료 이벤트가 감지되면 단계 406에서 제어부(180)는 상술한 단계 404에서 편집 완료된 콘텐츠 뷰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1에서 표시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포트레이트 모드로 콘텐츠 뷰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130)는 제 1 페이지와 제 2 페이지의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는 동안 단계 502에서 제어부(180)는 편집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편집 이벤트가 감지되면 단계 503에서 제어부(180)는 포트레이트 모드로 편집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단계 503에서 표시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제 1 페이지와 제 2 페이지의 일부를 구분되게 표시한다. 즉 표시부(130)는 각 페이지들의 윤곽선을 표시한다.
편집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단계 504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제 1 페이지에 콘텐츠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단계 504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제 1 페이지에서 기존의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 2 페이지의 일부는 편집될 수 없으며, 사용자는 제 2 페이지를 편집하기 위해 페이지를 넘길 필요가 있다. 즉 사용자가 제 2 페이지의 일부를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제 1 페이지의 일부와 제 2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페이지의 일부와 제 2 페이지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 2 페이지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단계 504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인접한 패널들끼리 합치고, 이렇게 합쳐진 패널에 콘텐츠를 위치시킬 수 있다. 다만 제어부(180)는 다른 페이지의 패널들끼리는 합치지 않는다.
한편, 편집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단계 505에서 제어부(180)는 편집 완료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편집 완료 이벤트가 감지되면 단계 506에서 제어부(180)는 상술한 단계 504에서 편집 완료된 제 1 페이지와 제 2 페이지의 일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화면 예시도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콘텐츠 뷰(600)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표시부(130)는 제 1 페이지(610)와 제 2 페이지(620)를 포함하는 콘텐츠 뷰(600)를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들은 일렬로 나란히 배열된다. 또한 콘텐츠들은 크기가 제각각일 수 있다. 즉 도면 부호 611은 하나의 패널에 할당된 콘텐츠이고 612는 두 개의 패널에 할당된 콘텐츠이며 613은 네 개의 패널에 할당된 콘텐츠이다. 또한 콘텐츠 뷰(600)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콘텐츠 뷰(600)는 시계 위젯(611), 메모(612), 날씨 위젯(613), 비디오 플레이어(62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622) 및 이미지(6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콘텐츠 뷰(600)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90도 정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뷰(600)의 표시 모드를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포트레이트 모드로 콘텐츠 뷰(600)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 모드가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 모드로 변경되면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페이지(610)와 제 2 페이지(620)의 일부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페이지(610)와 제 2 페이지(620)의 일부는 도 6보다 확대될 수 있다. 단 콘텐츠들의 배열이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2 페이지(620)의 일부를 탭 하면, 화면은 도 7 (a)에서 도 7 (b)로 전환된다. 즉 제 2 페이지(620)의 일부에 대한 탭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페이지(610)의 일부와 제 2 페이지(620)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페이지(610)의 일부와 제 2 페이지(620)는 도 6보다 확대될 수 있다. 단 콘텐츠들의 배열이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6으로 돌아가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콘텐츠 뷰(600)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콘텐츠 뷰(600)의 임의의 지점을 롱 탭 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뷰(600)의 편집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부(130)는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콘텐츠 뷰(600)의 편집화면을 표시한다. 즉 표시부(13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제 1 페이지(610)의 윤곽선(810)과 제 2 페이지(620)의 윤곽선(82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제 1 페이지(610)와 제 2 페이지(620)의 간격(T)을 벌려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콘텐츠가 비어 있는 패널의 윤곽선(83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콘텐츠 뷰(600)의 편집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90도 정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화면의 표시 모드를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포트레이트 모드로 편집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편집 화면의 표시 모드가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 모드로 변경되면 도 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페이지(610) 및 제 2 페이지(620)의 일부와 함께 이들의 윤곽선(810, 820)들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페이지(610)와 제 2 페이지(620)의 일부는 도 8보다 확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2 페이지(620)의 일부를 탭 하면, 화면은 도 9 (a)에서 도 9 (b)로 전환된다. 즉 제 2 페이지(620)의 일부에 대한 탭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도 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페이지(610)의 일부 및 제 2 페이지(620)와 함께 이들의 윤곽선(810, 820)들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 (b)에서 제 1 페이지(610)의 일부와 제 2 페이지(620)는 도 8보다 확대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콘텐츠 없이 랜드스케이프 모드의 편집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패널(1010)에서 제 2 패널(1020)로 드래그를 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도 10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패널(1010)과 제 2 패널(1020)을 하나로 합칠 수 있다. 물론 합쳐진 패널은 원래대로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0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합쳐진 패널 내에 분리 버튼(105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분리 버튼(1050)을 탭 하면, 제어부(180)는 합쳐진 패널을 원래대로 분리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0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3 패널(1030)에서 제 4 패널(1040)로 드래그를 할 수 있다. 제 3 패널(1030)과 제 4 패널(1040)은 서로 인접하고 있으나 페이지가 다르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제 3 패널(1030)과 제 4 패널(1040)를 하나로 합치지 않는다. 이때 제어부(180)는 합쳐질 수 없음을 사용자에게 표시부(130)나 스피커(SPK)를 통해 안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콘텐츠 뷰(600)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뷰(600)의 표시 모드를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콘텐츠 뷰(600)의 표시 모드가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 모드로 변경되면 도 1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페이지(610)와 제 2 페이지(620)의 일부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페이지(610)와 제 2 페이지(620)의 일부는 도 6의 크기와 동일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2 페이지(620)의 일부를 탭 하면, 화면은 도 11 (a)에서 도 11 (b)로 전환된다. 즉 제 2 페이지(620)의 일부에 대한 탭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도 1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페이지(610)의 일부와 제 2 페이지(620)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페이지(610)의 일부와 제 2 페이지(620)는 도 6의 크기와 동일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콘텐츠 뷰(600)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뷰(600)의 표시 모드를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콘텐츠 뷰(600)의 표시 모드가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 모드로 변경되면 도 1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페이지(610)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1 페이지(610)에 대해 왼쪽 방향으로 플릭하면 화면은 도 12 (a)에서 도 12 (b)로 전환된다. 즉 제 1 페이지(610)가 표시된 상태에서 왼쪽 방향으로의 플릭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도 1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페이지(620)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와,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롬(ROM)과, 램(RAM)과,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뷰 표시 방법 및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휴대 단말기
110: 터치스크린 120: 키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150: 무선통신부 160: 오디오 처리부
170: 센서부 180: 제어부
210: 터치이벤트 감지부 220: 회전이벤트 감지부
230: 콘텐츠 뷰 제어부 231: 모드 변환부
232: 편집부

Claims (18)

  1. 듀얼 표시 모드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뷰 표시 방법에 있어서,
    랜드스케이프 모드(landscape mode)로 콘텐츠 뷰의 적어도 두 페이지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 모드가 상기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portrait mode) 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은 각각 다수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패널 각각에는 하나의 콘텐츠가 위치 가능하며, 상기 다수의 패널의 배열은 상기 표시 모드의 변경과 상관없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뷰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 중에서 제 1 페이지와 제 2 페이지의 일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뷰 표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는,
    페이지 이동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제 1 페이지의 일부와 상기 제 2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뷰 표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페이지의 일부와 상기 제 2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페이지와 상기 제 2 페이지의 일부가 표시되는 동안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상기 제 2 페이지의 일부에 대한 터치이벤트가 감지되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뷰 표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상기 콘텐츠 뷰가 표시되는 동안 편집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을 서로 구분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뷰 표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을 서로 구분되게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의 윤곽선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뷰 표시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을 서로 구분되게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의 간격을 벌려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뷰 표시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레이트 모드로 상기 제 1 페이지와 상기 제 2 페이지의 일부가 표시되는 동안 편집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제 1 페이지와 상기 제 2 페이지의 일부가 서로 구분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뷰 표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회전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 회전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회전이벤트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표시 모드가 상기 포트레이트 모드이면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뷰 표시 방법.
  10. 듀얼 표시 모드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뷰 표시 장치에 있어서,
    랜드스케이프 모드(landscape mode)로 콘텐츠 뷰의 적어도 두 페이지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포트레이트 모드(portrait mode)로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상기 포트레이트 모드로 표시 모드를 변경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은 각각 다수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패널 각각에는 하나의 콘텐츠가 위치 가능하며, 상기 다수의 패널의 배열은 상기 표시 모드의 변경과 상관없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뷰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모드가 상기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결정되면,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 중에서 제 1 페이지와 제 2 페이지의 일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뷰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페이지와 상기 제 2 페이지의 일부가 표시되는 동안 입력부로부터 페이지 이동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제 1 페이지의 일부와 상기 제 2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뷰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로써 터치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페이지 이동 이벤트는 상기 제 2 페이지의 일부에 대한 터치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뷰 표시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상기 콘텐츠 뷰가 표시되는 동안 입력부로부터 편집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을 서로 구분되게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뷰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의 윤곽선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뷰 표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콘텐츠 뷰의 페이지들의 간격을 벌려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뷰 표시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트레이트 모드로 상기 제 1 페이지와 상기 제 2 페이지의 일부가 표시되는 동안 입력부로부터 편집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제 1 페이지와 상기 제 2 페이지의 일부가 서로 구분되게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뷰 표시 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회전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회전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회전이벤트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 모드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표시 모드로 상기 콘텐츠 뷰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뷰 표시 장치.
KR1020120018779A 2012-02-24 2012-02-24 휴대 단말기의 콘텐츠 뷰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30097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79A KR20130097267A (ko) 2012-02-24 2012-02-24 휴대 단말기의 콘텐츠 뷰 표시 방법 및 장치
US13/767,272 US20130222431A1 (en) 2012-02-24 2013-02-1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view display in a mobile device
EP13155512.0A EP2631763A2 (en) 2012-02-24 2013-02-1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View Display in a Mobile Device
CN2013100564989A CN103336646A (zh) 2012-02-24 2013-02-22 用于移动装置中的内容视图显示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79A KR20130097267A (ko) 2012-02-24 2012-02-24 휴대 단말기의 콘텐츠 뷰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267A true KR20130097267A (ko) 2013-09-03

Family

ID=4790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779A KR20130097267A (ko) 2012-02-24 2012-02-24 휴대 단말기의 콘텐츠 뷰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222431A1 (ko)
EP (1) EP2631763A2 (ko)
KR (1) KR20130097267A (ko)
CN (1) CN1033366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82288S1 (en) 2011-12-23 2013-05-14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4161S1 (en) * 2012-11-26 2016-04-19 Nero Ag Device with a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AU350581S (en) * 2013-02-22 2013-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with icon for an electronic device
USD780792S1 (en) * 2013-02-27 2017-03-07 Fujifilm Corporation Display screen for image-editing apparatus
US9106757B2 (en) * 2013-03-26 2015-08-11 Lg Uplus Corp. Terminal, server, and method for actively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mmunication contents
USD732066S1 (en) * 2013-08-09 2015-06-16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2064S1 (en) * 2013-08-09 2015-06-16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8310S1 (en) 2013-08-09 2017-02-07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2568S1 (en) * 2013-08-09 2015-06-23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8902S1 (en) * 2013-08-09 2015-09-15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9870S1 (en) * 2013-08-09 2015-09-29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2065S1 (en) * 2013-08-09 2015-06-16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1111S1 (en) 2013-08-30 2016-11-08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45877S1 (en) * 2013-10-17 2015-12-22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5217S1 (en) * 2013-12-30 2016-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0757S1 (en) * 2013-12-30 2016-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992327B1 (en) * 2014-01-03 2018-06-05 Amazon Technologies, Inc. Interaction lock mode for mobile devices
US9836205B2 (en) 2014-02-27 2017-12-05 Dropbox, Inc. Activating a camera function within a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US10346023B2 (en) * 2014-02-27 2019-07-09 Dropbox, Inc. Selectively emphasizing digital content
CN104978115B (zh) * 2014-04-02 2019-09-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内容显示方法及装置
USD753165S1 (en) * 2014-06-03 2016-04-05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0259S1 (en) * 2014-06-03 2016-06-28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1831S1 (en) * 2014-06-03 2016-07-19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60048305A1 (en) * 2014-08-14 2016-02-18 Microsoft Corporation Group-Based User Interface Rearrangement
USD839289S1 (en) 2014-09-18 2019-01-29 Aetna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10108S1 (en) * 2014-09-18 2018-02-13 Aetna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63328S1 (en) 2014-09-18 2019-10-15 Aetna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0422S1 (en) 2014-09-18 2019-02-12 Aetna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31675S1 (en) 2014-12-24 2018-10-23 Airbnb, Inc. Computer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39302S1 (en) * 2017-08-28 2019-01-29 Adp,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JP1659894S (ko) * 2017-09-27 2020-05-25
JP7129248B2 (ja) * 2018-07-05 2022-09-01 フォルシアクラリオ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情報制御装置、及び表示変更方法
USD896261S1 (en) * 2018-09-12 2020-09-15 Beijing Kuaimajiabian Technology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96260S1 (en) * 2018-09-12 2020-09-15 Beijing Kuaimajiabian Technology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200091522A (ko) 2019-01-22 2020-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1073549A1 (zh) * 2019-10-15 2021-04-22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转屏画面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4380A (en) * 1996-09-27 1998-03-31 Adams; James S. Method for controlling the presentation of displays in a multi-window computer environment
US6008809A (en) * 1997-09-22 1999-1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viewing multiple windows within a dynamic window
US6832355B1 (en) * 1998-07-28 2004-12-14 Microsoft Corporation Web page display system
US6724403B1 (en) * 1999-10-29 2004-04-20 Surfcast,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ple information sources
US7765490B2 (en) * 2001-07-18 2010-07-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oftware applications using a tiled user interface
JP2004133733A (ja) * 2002-10-11 2004-04-30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50081155A1 (en) * 2003-10-02 2005-04-14 Geoffrey Martin Virtual player capable of handling dissimilar content
US7426697B2 (en) * 2005-01-18 2008-09-16 Microsoft Corporation Multi-application tabbing system
US8296684B2 (en) * 2008-05-23 2012-10-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avigating among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US20080073936A1 (en) * 2006-09-21 2008-03-27 Jen-Her Jeng Multi-Window Presentation System, Multi-Window File Edi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126321B2 (en) * 2007-09-04 2021-09-21 Apple Inc. Application menu user interface
US8245155B2 (en) * 2007-11-29 2012-08-14 Sony Corporation Computer implemented display, graphical user interface, design and method including scrolling features
KR20090058073A (ko) * 2007-12-04 2009-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US8555193B2 (en) * 2008-01-17 2013-10-08 Google Inc. System for intelligent automated layout and management of interactive windows
KR101320919B1 (ko) * 2008-01-29 2013-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분할 화면을 통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US8151215B2 (en) * 2008-02-07 2012-04-03 Sony Corporation Favorite GUI for TV
KR100980683B1 (ko) * 2008-09-01 2010-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메뉴 리스트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081471B2 (en) * 2008-09-19 2015-07-14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viding modal window views for widgets on web pages
US20100087230A1 (en) * 2008-09-25 2010-04-08 Garmin Lt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er interface
US8600446B2 (en) * 2008-09-26 2013-12-03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interface with dual windows
KR20100120483A (ko) * 2009-05-06 2010-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CN101882051B (zh) * 2009-05-07 2013-02-2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行动装置及控制该行动装置用户界面的控制方法
US20100293501A1 (en) * 2009-05-18 2010-11-18 Microsoft Corporation Grid Windows
KR101613838B1 (ko) * 2009-05-19 201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홈 스크린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8555185B2 (en) * 2009-06-08 2013-10-0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ultiple display regions
US8656314B2 (en) * 2009-07-30 2014-02-18 Lenovo (Singapore) Pte. Ltd. Finger touch gesture for joining and unjoining discrete touch objects
US8839128B2 (en) * 2009-11-25 2014-09-16 Cooliris, Inc. Gallery application for content viewing
US8698845B2 (en) * 2010-01-06 2014-04-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interactive popup views
US8694902B2 (en) * 2010-01-06 2014-04-0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difying a multi-column application
US9911221B2 (en) * 2010-10-27 2018-03-06 Google Llc Animated page turning
US8745505B2 (en) * 2010-12-10 2014-06-03 Mitel Networks Corporation Web based desktop environment
US8872855B2 (en) * 2011-07-21 2014-10-28 Flipboard, Inc. Adjusting orientation of content regions in a page layout
US20130227476A1 (en) * 2012-02-24 2013-08-29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ement of information on a graphic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36646A (zh) 2013-10-02
US20130222431A1 (en) 2013-08-29
EP2631763A2 (en)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7267A (ko) 휴대 단말기의 콘텐츠 뷰 표시 방법 및 장치
US114874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sor control and text selection and editing based on gesture-based touch inputs received in a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US10452333B2 (en)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 therefor
KR10202034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JP5982369B2 (ja) タッチ感応式デバイスにおけるフォルダー運用方法および装置
US96457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KR101974852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단말에서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장치
KR102052424B1 (ko)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KR20130097266A (ko) 휴대 단말기의 콘텐츠 뷰 편집 방법 및 장치
US96904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pplication using key inputs or combination thereof
KR20130052151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CN104007894A (zh) 便携式设备及其多应用操作方法
KR101929316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키패드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06541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19530A (ko) 멀티 터치 핑거 제스처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장치
US98362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tching input of application to output of another application
KR20140028223A (ko) 주소록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845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01652B1 (ko)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019531A (ko) 홈 화면의 오브젝트 메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985888B1 (ko) 전자 게시판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29827A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휴대 단말
KR20130140361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