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905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입체감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입체감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905A
KR20130094905A KR1020120016162A KR20120016162A KR20130094905A KR 20130094905 A KR20130094905 A KR 20130094905A KR 1020120016162 A KR1020120016162 A KR 1020120016162A KR 20120016162 A KR20120016162 A KR 20120016162A KR 20130094905 A KR20130094905 A KR 20130094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depth
depth information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운
김형래
박재성
성준호
조봉환
황민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6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4905A/ko
Priority to EP13155404.0A priority patent/EP2629537A3/en
Priority to US13/770,599 priority patent/US20130215225A1/en
Publication of KR20130094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2013/0074Stereoscopic image analysis
    • H04N2013/0081Depth or disparity estimation from stereoscopic imag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입체감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를 포함하는 3D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좌안영상신호와 상기 우안영상신호 사이의 시점의 차이를 나타내는 변이정보를 계산하는 변이정보 계산부와; 상기 계산된 변이정보와 상기 3D 영상신호를 생성한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촬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의 제1깊이정보를 계산하는 깊이정보 계산부와; 상기 제1깊이정보에 기초한 제1깊이 맵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는 입체영상 변환부와; 상기 제1깊이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메뉴 버튼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UI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체영상 변환부는, 상기 메뉴 버튼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제2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제2깊이 맵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한다. 이에 의해 입체영상의 제작자 의도에 맞는 입체감이 표현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입체감을 조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입체감 조정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입체감 조정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HREE-DIMENSIONAL EFFE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입체감 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 의도에 맞도록 3D 영상의 입체감을 조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입체감 조정방법에 대한 것이다.
입체영상(또는 3D 영상)은 2대 이상의 카메라 또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다. 이렇게 촬영된 입체영상은 객체의 위치와 깊이에 따라 수평변이가 발생하고 이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입체영상이 표시될 때 입체감의 수준을 결정하는 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입체 영상의 객체 사이의 정확한 변이의 표현이 입체영상의 입체감 표현 수준을 결정하게 된다.
입체영상은 사용자의 좌안을 위한 좌안영상과 사용자의 우안을 위한 우안영상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좌안영상과 상기 우안영상을 교대로 시청할 때 양안시차에 의하여 입체감을 인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좌안영상과 상기 우안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변이의 차이에 따라 사용자가 인지하는 입체감이 상이하다. 따라서, 입체영상을 제작할 때 객체의 변이 값을 제어하는 것은 입체감 표현에 있어서 중요하게 된다.
그러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경우 영상 왜곡 등의 문제로 인하여 모든 객체의 변이를 제어하기는 어렵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수신한 입체영상을 스케일링 등과 같은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과정 중에 입체영상신호의 왜곡, X-토크(X-talk) 등의 다양한 아티팩트(artifact)에 의하여 변이 값이 변하여 실제로 제작자가 의도한 입체감이 표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영상의 제작자 의도에 맞는 입체감이 표현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입체감을 조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입체감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를 포함하는 3D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좌안영상신호와 상기 우안영상신호 사이의 시점의 차이를 나타내는 변이정보를 계산하는 변이정보 계산부와; 상기 계산된 변이정보와 상기 3D 영상신호를 생성한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촬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의 제1깊이정보를 계산하는 깊이정보 계산부와; 상기 제1깊이정보에 기초한 제1깊이 맵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는 입체영상 변환부와; 상기 제1깊이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메뉴 버튼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UI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체영상 변환부는, 상기 메뉴 버튼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제2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제2깊이 맵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영상 변환부는, 상기 제1 깊이 맵을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를 제1 3D 영상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깊이 맵을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를 제2 3D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3D 영상 및 상기 제2 3D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깊이정보 계산부는, 상기 제1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소정 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메뉴 버튼은, 상기 제1깊이정보를 조정할 영역 선택 메뉴 및 상기 선택 영역을 위한 깊이 값 조정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깊이 값 조정 메뉴는 상기 깊이정보 계산부에 의하여 계산된 사용자 선택을 위한 소정 범위가 반영된다.
상기 제2 3D영상은, 제1 깊이 맵 중 상기 영역 선택 메뉴에 의하여 선택되지 않은 영역을 블러 처리 또는 소정 컬러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촬영정보는, 상기 3D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3D 카메라 시점의 기준선(baseline) 거리정보 및 상기 3D 카메라의 초점거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입체감 조정 방법에 있어서,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를 포함하는 3D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좌안영상신호와 상기 우안영상신호 사이의 시점의 차이를 나타내는 변이정보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변이정보와 상기 3D 영상신호를 생성한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촬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의 제1깊이정보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제1깊이정보에 기초한 제1깊이 맵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깊이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메뉴 버튼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 버튼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제2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제2깊이 맵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입체감 조정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깊이 맵을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를 제1 3D 영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깊이 맵을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를 제2 3D 영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3D 영상 및 상기 제2 3D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깊이정보 계산단계는, 상기 제1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소정 범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 버튼은, 상기 제1깊이정보를 조정할 영역 선택 메뉴 및 상기 선택 영역을 위한 깊이 값 조정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깊이 값 조정 메뉴는 상기 깊이정보 계산부에 의하여 계산된 사용자 선택을 위한 소정 범위가 반영된다.
상기 제2 3D영상은, 제1 깊이 맵 중 상기 영역 선택 메뉴에 의하여 선택되지 않은 영역을 블러 처리 또는 소정 컬러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촬영정보는, 상기 3D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3D 카메라 시점의 기준선(baseline) 거리정보 및 상기 3D 카메라의 초점거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체영상의 제작자 의도에 맞는 입체감이 표현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입체감을 조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입체감 조정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변이정보 계산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입체영상 변환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수신부(110), 신호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사용자입력부(140), UI생성부(15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체영상 촬영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입체영상신호(또는 3D 영상신호)의 변이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변이정보와 상기 입체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촬영정보를 이용하여 깊이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 계산된 깊이정보에 따라 깊이 맵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깊이 맵은 객체 또는 소정 영역에 할당된 깊이 값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입체영상을 촬영한 제작자는 상기 표시된 깊이 맵을 보고 제작 의도에 맞게 입체감이 표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 깊이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메뉴 버튼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어, 제작의도에 맞게 입체감이 표현되지 않은 경우에는 깊이 값을 조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체 영상 제작 과정 중 입체 영상의 입체감이 제작 의도에 맞게 표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또한 입체감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가 제공하는 영상신호를 기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TV 또는 모니터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TV로 구현되는 경우,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영상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또는 스마트 TV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외부의 영상소스(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신호처리부(120)로 전달하며, 지상파, 위성방송, 케이블 방송, 디지털 방송, IP방송을 제공하는 방송신호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110)는 안테나(미도시) 및/또는 튜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10)는 외부의 영상소스(미도시)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210)는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규격이나 영상소스(미도시) 및 디스플레이장치(200)의 구현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을 가진다. 예를 들어, 수신부(21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입체영상 촬영장치(미도시)로부터 3D 영상신호(또는 입체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3D 영상신호는 사용자의 좌안을 위한 좌안영상신호 및 사용자의 우안을 위한 우안영상신호를 포함한다.
신호처리부(120)는 변이정보 계산부(121), 깊이정보 계산부(123) 및 입체영상 변환부(125)를 포함한다.
변이정보 계산부(121)는 수신부(110)로부터 수신한 3D 영상신호의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의 시점의 차이를 나타내는 변이정보(Disparity Information)를 계산한다. 또한 변이정보 계산부(121)는 상기 3D 영상신호에 포함되는 객체의 좌안 및 우안 영상신호 사이의 시점의 차이를 나타내는 변이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변이정보 계산부(121)는 수신한 3D 영상신호의 변이정보를 계산하기 위하여 상기 3D 영상신호의 영역 별 계조 값, 객체 별 경계정보 또는 객체 분할 정보 등을 이용하여 변이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변이정보 계산부(121)는 변이정보 추정에 사용되고 있는 알려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변이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변이정보 계산부(121)는 상기 3D 영상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영역별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별로, 또는 픽셀 단위 별로 변이정보를 계산할 수 있고, 상기 변이정보 계산의 크기 단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계층적으로 변이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도 2는 변이정보 계산부(12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A)는 수신부(110)로 수신된 입력 3D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변이정보 계산부(121)는 상기 입력된 3D 영상신호의 소정 영역 별 또는 객체 별로 변이정보를 계산하여 변이 영상(disparity image)을 생성할 수 있다. (B)는 바로 변이정보 계산부(121)에 의하여 계산된 변이정보가 반영된 변이 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깊이정보 계산부(123)는 변이정보 계산부(121)에서 계산한 변이정보와 상기 3D 영상신호를 생성한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촬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의 제1깊이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촬영정보는 상기 3D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3D 카메라 시점의 기준선 거리정보 및 상기 3D 카메라의 초점거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입체영상 촬영장치(미도시)는 3D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3D 카메라 또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체영상 촬영장치는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을 분리하여 촬영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3D 카메라 시점의 기준선 거리정보는 상기 좌안용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와 상기 우안용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 사이의 거리를 포함한다. 상기 3D 카메라의 초점거리정보는 상기 3D 카메라의 렌즈와 주초점 사이의 거리를 포함한다.
깊이정보 계산부(123)는 상기 변이정보 계산부(121)에서 계산한 변이정보(d)와 상기 3D 카메라 시점의 기준선 거리정보(B) 및 상기 3D 카메라의 초점거리정보(f)를 이용하여 하기 수식에 따라 제1깊이정보(Z)를 계산할 수 있다.
<수식 1>
Figure pat00001
깊이정보 계산부(123)에 의하여 계산된 제1깊이정보(Z)는 입체영상 촬영장치에 의하여 촬영된 3D 영상신호의 실제 깊이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1깊이정보(Z)는 3D 영상신호를 제작하는 제작자의 의도에 맞을 수도 있고, 맞지 않을 수도 있다. 입체영상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3D 영상신호를 촬영할 때 제작자의 의도가 항상 그대로 반영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변이정보 계산부(121)는 3D 영상신호의 소정의 영역별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별로 변이정보를 계산할 수 있고, 이 변이정보는 깊이정보 계산부(123)로 출력한다. 깊이정보 계산부(123)는 상기 변이정보에 기초하여 3D 영상신호의 소정 영역 별,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별로 깊이 값(제1깊이정보)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깊이정보 계산부(123)는 상기 계산된 제1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깊이 값을 조정할 수 있는 소정의 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입체영상 변환부(125)는 깊이정보 계산부(123)에 의하여 계산되는 제1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제1 깊이 맵(또는 깊이 이미지, depth image)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깊이 맵은 소정의 영역 별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별로 각 깊이 값(깊이정보)를 수치로써 함께 보여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또는 3D 영상 제작자)는 상기 생성된 제1깊이 맵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의도(또는 제작자의 의도)에 맞는 입체감이 표현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깊이 맵에 의한 입체감 표현이 사용자 또는 제작자의 의도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후술할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하여 특정 키 입력이 수신되면, 후술할 UI생성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서 상기 제1깊이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메뉴버튼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입체영상 변환부(125)는 상기 메뉴버튼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깊이 값이 조정된 제2 깊이 맵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제작자는 상기 제2 깊이 맵을 확인함으로써 입체감을 확인할 수 있다.
입체영상 변환부(125)는 상기 제1깊이 맵을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를 제1 3D 영상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깊이 맵을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를 제2 3D 영상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후술할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3D 영상 및 상기 제2 3D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부(130)에서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깊이정보를 조정하지 않은 제1 3D 영상 및 깊이 정보를 조정한 제2 3D 영상을 함께 보면서 사용자 의도 또는 제작자 의도에 부합하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2 3D 영상은, 입력된 3D 영상 중에서 UI생성부(150)에 의하여 생성된 메뉴 버튼에 의하여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영역을 블러 처리 또는 소정의 단일 컬러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비선택 영역에 대한 처리설정에 대하여 UI생성부(150)가 별도의 메뉴 버튼을 생성하고, 상기 메뉴 버튼을 통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비선택 영역의 처리가 설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3D 영상의 경우 깊이 정보를 할당한 영역만 입체감을 갖는 것으로 표시되므로, 사용자(또는 제작자)는 직관적으로 입체감의 적정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상기 기재한 3D 영상신호처리 이외에 일반적인 영상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20)는 상기 기재한 영상처리 이외에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음성신호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 음성신호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처리된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신호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예를 들어,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어부(67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및 입력 패널(panel)이나,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된다. 또는, 사용자입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입력메뉴(미도시)를 통해 기 설정된 커맨드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도 있다.
UI생성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서, 제1깊이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메뉴버튼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30)로 출력한다.
상기 메뉴버튼은 상기 제1깊이정보를 조정할 영역 선택 메뉴 및 상기 선택 영역을 위한 깊이 값 조정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깊이 값 조정 메뉴는 상기 깊이정보 계산부(123)에 의하여 계산된 사용자 선택을 위한 소정 범위가 반영된다.
상기 영역 선택 메뉴를 선택하면, 포인터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3D 영상 상의 소정 영역 또는 소정 객체를 지정함으로써, 사용자가 깊이정보를 조정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깊이 값 조정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영역 선택 메뉴에 의하여 선택된 영역의 제1깊이정보에 기초한 소정의 범위가 바 형태, 숫자 형태, 범위 지정 형태 등으로 표시되어,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하여 어느 하나의 깊이 값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UI생성부(150)는 상기 영역 선택 메뉴에 의하여 선택되지 않은 비 선택 영역에 대한 처리 설정 메뉴를 생성 및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비선택 영역의 처리 설정 메뉴는 블러 처리 메뉴 및/또는 특정 컬러 표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체영상 변환부(125)는 상기 비선택 영역 처리 설정 메뉴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선택에 따라 비선택 영역의 처리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각 구성요서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입체영상 변환부(125)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깊이정보 계산부(123)를 통하여 제1깊이정보가 수신되면, 입체영상 변환부(125)는 상기 제1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제1깊이맵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201). 상기 제1깊이맵은 각 영역의 깊이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하여 특정 키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UI생성부(150)를 제어하여 제1깊이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메뉴버튼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사용자는 상기 메뉴버튼을 통하여 제1깊이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뉴버튼을 통하여 사용자가 제1깊이정보 중에서 깊이 값이 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바이패스하고, 그 이외는 깊이 값을 0으로 조정하는 것으로 입력하면(202), 입체영상 변환부(125)는 제1깊이 맵 중에서 깊이 값이 0 초과하는 영역의 깊이 값은 그대로 두고, 깊이 값이 0 이하인 깊이 값은 0으로 수정한 제2 깊이 맵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도시할 수 있다(203). 상기 깊이 값 조정 메뉴의 구현 예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영역선택 메뉴를 통하여 소정의 객체만을 선택하면, 선택 객체 이외의 영역에 할당된 깊이 값을 “0”으로 조정할 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입체영상 변환부(125)는 상기 제2 깊이맵에 기초하여 수신부(110)로 수신된 3D 영상신호를 입체영상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하여 특정 키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가 깊이 값을 할당하지 않은 영역에 대한 처리설정메뉴가 UI생성부(150)에 의하여 생성되어 표시되고, 사용자는 상기 처리설정메뉴를 통하여 사용자가 깊이 값을 할당하지 않은 영역에 대하여 블러 처리 또는 단일 컬러로 표시 처리를 설정할 수 있다(204).
입체영상 변환부(125)는 수신부(110)로 수신된 3D 영상신호에 대하여 상기 생성한 제2 깊이 맵에 기초하여 입체영상으로 변환하되, 상기 깊이 값이 할당되지 않은 영역에 대하여는 블러 처리 또는 단일 컬러로 표시되도록 처리한 입체영상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205). 이로써, 사용자(또는 제작자)는 해당 객체의 입체감이 적정한 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입체영상이 처리되어 표시되는 과정 중에 신호의 왜곡, X-talk 등과 같은 다양한 아티팩트(artifact) 등에 의하여 변이정보가 변하여 시청자에게 전달 시 최초 제작자의 제작의도와 다르게 표현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검토하여 수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입체감 조정 방법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수신부(110)는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를 포함하는 3D 영상신호를 수신한다(S301). 신호처리부(120)의 변이정보 계산부(121)는 상기 좌안영상신호와 상기 우안영상신호 사이의 시점의 차이를 나타내는 변이정보를 계산하여 깊이정보 계산부(123)로 출력한다(S302). 깊이정보 계산부(123)는 상기 변이정보와, 상기 3D 영상신호를 생성한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촬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의 제1깊이정보를 계산하고, 이를 입체영상 변환부(125)로 출력한다(S303). 입체영상 변환부(125)는 상기 제1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제1깊이 맵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S304).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하여 특정 키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UI생성부(150)를 제어하여 제1깊이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메뉴버튼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도록 한다(S305). 상기 메뉴버튼을 통하여 사용자선택이 입력되면, 입체영상 변환부(125)는 상기 사용자선택에 따라 깊이정보가 조정된 제2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제2깊이 맵을 생성한다(S306). 입체영상 변환부(125)는 상기 제1깊이맵을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를 제1 3D 영상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깊이맵을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를 제2 3D 영상으로 변환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3D 영상 및 상기 제2 3D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S307).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장치 110: 수신부
120: 신호처리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사용자입력부 150: UI생성부
160: 제어부

Claims (14)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를 포함하는 3D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좌안영상신호와 상기 우안영상신호 사이의 시점의 차이를 나타내는 변이정보를 계산하는 변이정보 계산부와;
    상기 계산된 변이정보와 상기 3D 영상신호를 생성한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촬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의 제1깊이정보를 계산하는 깊이정보 계산부와;
    상기 제1깊이정보에 기초한 제1깊이 맵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는 입체영상 변환부와;
    상기 제1깊이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메뉴 버튼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UI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체영상 변환부는, 상기 메뉴 버튼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제2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제2깊이 맵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 변환부는,
    상기 제1 깊이 맵을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를 제1 3D 영상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깊이 맵을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를 제2 3D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3D 영상 및 상기 제2 3D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정보 계산부는,
    상기 제1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소정 범위를 계산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버튼은,
    상기 제1깊이정보를 조정할 영역 선택 메뉴 및 상기 선택 영역을 위한 깊이 값 조정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깊이 값 조정 메뉴는 상기 깊이정보 계산부에 의하여 계산된 사용자 선택을 위한 소정 범위가 반영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3D영상은, 상기 영역 선택 메뉴에 의하여 선택되지 않은 영역을 블러 처리 또는 소정 컬러로 표시된 것인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촬영정보는,
    상기 3D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3D 카메라 시점의 기준선(baseline) 거리정보 및 상기 3D 카메라의 초점거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
  8. 디스플레이장치의 입체감 조정 방법에 있어서,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를 포함하는 3D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좌안영상신호와 상기 우안영상신호 사이의 시점의 차이를 나타내는 변이정보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변이정보와 상기 3D 영상신호를 생성한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촬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의 제1깊이정보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제1깊이정보에 기초한 제1깊이 맵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깊이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메뉴 버튼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 버튼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제2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제2깊이 맵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입체감 조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깊이 맵을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를 제1 3D 영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깊이 맵을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신호를 제2 3D 영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입체감 조정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3D 영상 및 상기 제2 3D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입체감 조정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정보 계산단계는,
    상기 제1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소정 범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체감 조정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버튼은,
    상기 제1깊이정보를 조정할 영역 선택 메뉴 및 상기 선택 영역을 위한 깊이 값 조정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깊이 값 조정 메뉴는 상기 깊이정보 계산부에 의하여 계산된 사용자 선택을 위한 소정 범위가 반영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체감 조정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3D영상은, 제1 깊이 맵 중 상기 영역 선택 메뉴에 의하여 선택되지 않은 영역을 블러 처리 또는 소정 컬러로 표시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체감 조정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촬영정보는,
    상기 3D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3D 카메라 시점의 기준선(baseline) 거리정보 및 상기 3D 카메라의 초점거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체감 조정방법.
KR1020120016162A 2012-02-17 2012-02-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입체감 조정방법 KR20130094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162A KR20130094905A (ko) 2012-02-17 2012-02-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입체감 조정방법
EP13155404.0A EP2629537A3 (en) 2012-02-17 2013-02-15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US13/770,599 US20130215225A1 (en) 2012-02-17 2013-02-19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162A KR20130094905A (ko) 2012-02-17 2012-02-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입체감 조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905A true KR20130094905A (ko) 2013-08-27

Family

ID=4790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162A KR20130094905A (ko) 2012-02-17 2012-02-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입체감 조정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215225A1 (ko)
EP (1) EP2629537A3 (ko)
KR (1) KR201300949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67919A1 (en) * 2013-03-15 2014-09-18 Quanta Computer, Inc. Modifying a digital video signal to mask biological information
KR101509993B1 (ko) * 2013-11-29 2015-04-16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색상 차이에 의한 인지깊이 추정방법
KR101886209B1 (ko) * 2016-04-19 2018-08-08 (주)휴맥스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44104B1 (ko) 2017-08-22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의 표시 효과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8348B1 (en) * 1998-05-27 2001-03-27 In-Three, Inc. System and method for dimensionalization processing of images in consideration of a pedetermined image projection format
ES2599858T3 (es) * 2006-03-31 2017-02-03 Koninklijke Philips N.V. Codificación eficaz de múltiples vistas
MY155378A (en) * 2008-07-24 2015-10-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satile 3-d picture format
US9094660B2 (en) * 2010-11-11 2015-07-28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Hierarchical hole-filling for depth-based view synthesis in FTV and 3D vide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29537A3 (en) 2014-04-16
US20130215225A1 (en) 2013-08-22
EP2629537A2 (en)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4036B (zh) 2d至3d使用者介面內容資料轉換
EP2448276B1 (en) GUI provid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EP2410753B1 (en) Image-processing method for a display device which outputs three-dimensional content, and display device adopting the method
US9729845B2 (en) Stereoscopic view synthesis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40333739A1 (en) 3d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US20100091091A1 (en) Broadcas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wo-dimensional image thereof
WO2010092823A1 (ja) 表示制御装置
US20100134603A1 (en)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nd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utput method
US20130038611A1 (en) Image conversion device
US1038999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3DTV image adjustment
JP2014103689A (ja) 立体映像エラー改善方法及び装置
JP2011239398A (ja) 設定メニューを表示する方法及び対応するデバイス
US9118903B2 (en) Device and method for 2D to 3D conversion
EP2434768A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pplied to the same
KR20120055991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9490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입체감 조정방법
US9667951B2 (en) Three-dimensional television calibration
EP2398244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113689810B (zh) 图像显示设备及其方法
US841628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23733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ubtitle applied to display apparatus
TWI502960B (zh) 二維轉三維轉換裝置及其方法
JP2014225736A (ja) 画像処理装置
KR2014008126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