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840A - 비-최적화된 핸드오프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비-최적화된 핸드오프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840A
KR20130094840A KR1020137015648A KR20137015648A KR20130094840A KR 20130094840 A KR20130094840 A KR 20130094840A KR 1020137015648 A KR1020137015648 A KR 1020137015648A KR 20137015648 A KR20137015648 A KR 20137015648A KR 20130094840 A KR20130094840 A KR 20130094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packet data
wireless communication
request
con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9123B1 (ko
Inventor
준 왕
게오르게 체리안
시펭 추
스리니바산 바라수브라마니안
아난드 파라니고운더
아지쓰 탐 페이야필리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94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simultaneous multiple data streams, e.g. cooperative multipoint [CoMP], carrier aggregation [CA] 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3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between licens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 통신을 위한 비-최적화된 핸드오프들의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는 LTE(long-term evolution) 네트워크로부터 eHRPD(evolved high rate packet data) 네트워크로의 비-최적화된 핸드오프를 강화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LTE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eHRPD 네트워크로의 핸드오프 동안 중단 간극을 감소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가 또한 논의된다. 일 양상에서, 소스 네트워크로부터 타겟 네트워크로의 무선 디바이스의 핸드오프와 연관된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데이터 비활동의 기간 동안, 제 1 네트워크에 부착하고 제 1 네트워크와의 콘택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 1 네트워크는 제 2 네트워크에 비해 비-선호 네트워크이다. 방법은 또한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생성된 콘택스트에 기초하여 제 2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동시에 제 1 네트워크와의 적어도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최적화된 핸드오프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SYSTEMS AND METHODS FOR NON-OPTIMIZED HANDOFF}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0년 11월 16일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ED NON OPTIMIZED HANDOVER"인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1/414,365호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가특허는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본 출원은, 또한 2011년 2월 7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IMPROVED NON-OPTIMIZED HANDOFF FROM A FIRST NETWORK TO A SECOND NETWORK"인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1/440,382호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가특허는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분야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통신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LTE(long-term evolution) 네트워크로부터 eHRPD(evolved high rate packet data) 네트워크로의 핸드오프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및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전개된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 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예를 들어, 대역폭, 전송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스템들은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3GPP2, 3GPP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등과 같은 규격들에 따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들은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의 전송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모바일 디바이스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고-레이트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들에 대한 요구가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강화된 성능을 갖는 효율적이고 강건한 통신 시스템들의 구현에 대한 노력이 있어 왔다. 예를 들어, 최근 몇 년들에서, 사용자들은 모바일 통신들로 고정선 통신들을 대체하기 시작하였고, 높은 음성 품질, 신뢰 가능한 서비스 및 낮은 가격들을 더욱 더 요구하였다.
증가하는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코어 네트워크들의 진화가 라디오 인터페이스들의 진화에 이어졌다. 예를 들어, 3GPP에 의해 선도되는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코어 네트워크를 진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결과적인 EPC(Evolved Packet Core)는 운용자가 복수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을 통해 하나의 공통 패킷-기반 코어 네트워크를 전개하고 활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IP(Internet Protocol)에 기초한 다중-액세스 코어 네트워크이다. EPC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최적화된 이동성을 제공하며 상이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 간의(예를 들어, LTE와 HRPD(High Rate Packet Data) 간의) 효율적인 핸드오버들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표준화된 로밍 인터페이스는 운용자들이 다양한 액세스 기술들을 통해 가입자들에게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는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의 다양한 구현들은 각각 몇 개의 양상들을 가지며, 그 양상들 중 어떤 단일의 양상도 여기서 기술된 바람직한 속성들을 단독으로 전담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함 없이, 몇몇 주도적인 특징들이 여기서 기술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청구 대상의 하나 이상의 구현들의 상세들은 첨부 도면들 및 아래의 설명에서 기술된다. 다른 특징들, 양상들 및 이점들은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다음의 도면들의 상대적 치수들은 제 축적대로 그려진 것이 아니라는 것에 주의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되는 청구 대상의 일 양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의 방법의 구현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데이터 비활동의 기간 동안, 제 1 네트워크에 부착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콘택스트(context)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제 2 네트워크에 비해 비-선호 네트워크이다. 이 방법은 또한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생성된 콘택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동시에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적어도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네트워크로 스위칭하는 단계, 예를 들어, 롱 텀 에볼루션 라디오 액세스 기술로부터 이볼브드 고속 패킷 데이터 라디오 액세스 기술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스위칭은 원래의 콘택스트를 복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원래의 콘택스트를 복구하는 것은 시그널링 채널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제 1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복구는 또한 제 1 네트워크 상에 트래픽 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은 트래픽 채널이 설정되기 이전에 전송된다. 소스 네트워크는 롱 텀 에볼루션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일 수 있고, 소스 네트워크는 이볼브드 고속 패킷 데이터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술되는 청구 대상의 다른 양상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데이터 비활동의 기간 동안, 제 1 네트워크에 부착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콘택스트(context)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제 2 네트워크에 비해 비-선호 네트워크이다.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오와의 생성된 콘택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동시에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적어도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시그널링 채널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타겟 네트워크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술되는 청구 대상의 또 다른 양상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데이터 비활동의 기간 동안, 제 1 네트워크에 부착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콘택스트(context)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제 2 네트워크에 비해 비-선호 네트워크이다. 이 장치는 또한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생성된 콘택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동시에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적어도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되는 청구 대상의 다른 양상은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데이터 비활동의 기간 동안, 제 1 네트워크에 부착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콘택스트(context)를 생성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제 2 네트워크에 비해 비-선호 네트워크이다. 이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또한,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생성된 콘택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동시에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적어도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유지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도 1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도 1의 통신 네트워크의 특정한 통신 엔티티들의 기능적 블록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예시적인 사용자 장비(UE)의 기능적 블록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핸드오프가 발생하기 이전에 도 2의 다양한 엔티티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신호 흐름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신호 흐름도.
도 5는 핸드오프가 발생할 때 도 2의 다양한 엔티티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신호 흐름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신호 흐름도.
도 6은 핸드오프가 발생할 때 도 2의 다양한 엔티티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신호 흐름을 예시하는 다른 예시적인 신호 흐름도.
도 7a는 VSNCP 메시지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b는 다른 VSNCP 메시지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c는 다른 VSNCP 메시지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핸드오프가 발생하기 이전에 도 2의 다양한 엔티티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신호 흐름을 예시하는 다른 예시적인 신호 흐름도.
도 9는 구성 요청 메시지 포맷을 예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
도 11은 소스 네트워크로부터 타겟 네트워크로의 무선 디바이스의 핸드오프와 연관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기능적 블록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최적화된 핸드오프를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공통적인 관행에 따라, 도면들에서 예시되는 다양한 특징들은 제 축적대로 그려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특징들의 치수들은 명확성을 위해 임의로 확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 중 일부는 정해진 시스템, 방법 또는 디바이스의 모든 컴포넌트들을 도시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명세서 및 도면들 전체에 걸쳐서 유사한 특징들을 나타내는데 이용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의 구현들의 다양한 양상들이 이하 기술된다. 여기서 기술되는 양상들은 매우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기술되는 임의의 특정한 구조 및/또는 기능은 단지 예시적이라는 것이 명백해야 한다. 본 개시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여기서 기술되는 양상이 임의의 다른 양상들에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 양상들 중 2개 이상이 다양한 방식들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서 기술된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및/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기술된 양상들 중 하나 이상 이외에 또는 그에 추가한 다른 구조 및/또는 기능을 이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및/또는 이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단어 "예시적인"은 "예, 보기, 또는 예시로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여기서 이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여기서 기술되는 임의의 구현이 반드시 다른 구현들보다 선호되거나 유리한 것으로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은 임의의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조 및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시된다. 상세들이 설명의 목적을 위해 다음의 설명에서 기술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들 특정한 상세들을 이용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임이 인지되어야 한다. 다른 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프로세스들은 불필요한 상세들로 본 개시의 설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시된 구현들에 의해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기재되는 원리들 및 특징들에 부합하는 최광의의 범위로 허여될 것이다.
여기서 기술되는 기법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OFDMA(Orthogonal FDMA) 네트워크들, SC-FDMA(Single-Carrier FDMA) 네트워크들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단어들 "네트워크들" 및 "시스템들"은 종종 상호 교환 가능하게 이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W-CDMA(Wideband-CDMA) 및 LCR(Low Chip Rate)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E-UTRA(Evolved UTRA), IEEE 802.11, IEEE 802.16, IEEE 8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E-UTRA, 및 GSM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부분이다.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이용하는 UMTS의 릴리즈이다. UTRA, E-UTRA, GSM, UMTS 및 LTE는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란 명칭의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된다. cdma2000은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란 명칭의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된다. 이들 다양한 라디오 기술들 및 표준들은 당 분야에 알려져 있다.
단일 캐리어 변조 및 주파수 도메인 등화를 활용하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하나의 기법이다. SC-FDMA는 OFDMA 시스템의 것과 유사한 성능 및 본질적으로 동일한 전체 복잡도를 갖는다. SC-FDMA 신호는 그의 고유한 단일 캐리어 구조로 인해 더 낮은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을 갖는다. SC-FDMA는 특히 더 낮은 PAPR이 전송 전력 효율의 견지에서 모바일 단말에 크게 유리한 업링크 통신들에서 지대한 관심을 끌어왔다. 이는 현재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이볼브드 UTRA에서 업링크 다중 액세스 방식에 대한 잠정적인 표준(working assumption)이다.
또한, 다음의 설명에서, 간결함 및 명료함을 이유로, LTE(Long Term Evolution)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시스템들과 연관되는 용어가 이용된다. LTE E-UTRA 기술은 추가로 "3GPP TS 23.401: E-UTRAN 액세스를 위한 GRPS 강화들(릴리즈 8)"에서 기술되며, 그에 의해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eHRPD(Evolved High Rate Packet Data) 등과 관련된 기술들 및 연관된 표준들과 같은 다른 기술들에 응용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상이한 기술들과 연관되는 용어들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려되는 기술에 의존하여, LTE에서 이용되는 사용자 장비(UE)는 때때로, 몇 개만 말하자면, 모바일 스테이션, 사용자 단말, 가입자 유닛, 액세스 단말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LTE에서 이용되는 서빙 게이트웨이(SGW)는 때때로 게이트웨이, HRPD 서빙 게이트웨이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LTE에서 이용되는 이볼브드 노드 B(eNB)는 때때로 액세스 노드,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노드 B, HRPD 기지국(BTS) 등으로 불릴 수 있다. 상이한 용어들은 응용 가능하면 상이한 기술들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여기서 주의되어야 한다.
또한, 다음의 설명에서, 간결함 및 명료함을 이유로, eHRPD(evolved High Rate Packet Data) 시스템들과 연관된 용어가 또한 이용된다. E-UTRAN과 eHRPD 간의 네트워킹과 연관된 양상들은 추가로 "3GPP2 X.P0057: E-UTRAN - eHRPD 접속 및 인터워킹: 코어 네트워크 양상들"에서 기술되며, 그에 의해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은 다른 기술들에 응용 가능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다수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예를 들어, 셀들(102a 내지 102g)과 같은 하나 이상의 셀들(102)로 분할될 수 있다. 셀들(102a 내지 102g)의 통신 커버리지는 예를 들어, 노드들(104a 내지 104g)과 같은 하나 이상의 노드들(104)(예를 들어, 기지국)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노드(104)는 대응하는 셀(102)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노드들(104)은 예를 들어, AT들(106a 내지 106l)과 같은 복수의 액세스 단말들(AT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각각의 AT(106)는 정해진 순간에 순방향 링크(FL) 및/또는 역방향 링크(RL) 상에서 하나 이상의 노드들(104)과 통신할 수 있다. FL은 노드로부터 AT로의 통신 링크이다. RL은 AT로부터 노드로의 통신 링크이다. FL은 또한 다운링크로서 지칭될 수 있다. 추가로, RL은 또한 업링크로서 지칭될 수 있다. 노드들(104)은 예를 들어, 적절한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들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 있고, 서로 통신할 수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AT(106)는 하나 이상의 노드들(104)을 통해 다른 AT(1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큰 지리적인 영역에 걸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들(102a 내지 102g)은 인근 또는 시골 환경에서 수 평방 마일 내의 몇 개의 블록들만을 커버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각각의 셀은 추가로 하나 이상의 섹터들(도시되지 않음)로 분할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노드(104)는 예를 들어, 인터넷 또는 다른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통신 네트워크로 그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의 액세스를 액세스 단말(AT)(106)에 제공할 수 있다.
AT(106)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 라우터, 개인용 컴퓨터, 서버 등)일 수 있다. 액세스 단말(AT)은 또한 사용자 장비(UE)로서, 모바일 스테이션(MS)으로서, 또는 단말 디바이스로서 여기서 지칭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AT들(106a, 106h, 106j)은 라우터들을 포함한다. AT들(106b 내지 106g, 106i, 106k, 및 106l)은 모바일 전화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AT들(106a 내지 106l) 각각은 임의의 적합한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도 1의 통신 네트워크의 특정한 통신 엔티티들의 기능적 블록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현재 동작하는 위치의 네트워크의 구성에 의존하여, 멀티모드 디바이스가 다수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RAT들), 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 또는 eHRPD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가 예시하는 바와 같이, 시스템(200)은 LTE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여 이볼브드 노드 B(eNB)(208a)(예를 들어,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등)와 UE(206) 간에 무선 라디오 통신들을 제공하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eHRPD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여 HRPD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210)(예를 들어,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등)과 UE(206) 간에 무선 라디오 통신들을 제공하는 RAN을 도시한다. 논의의 단순함을 위해, 도 2는 RAN 내의 UE(206) 및 하나의 eNB(208a) 및 다른 RAN 내의 하나의 HRPD BTS(208b)을 도시하지만, 각각의 RAN은 임의의 수의 UE들 및/또는 eNB들/HRPD BTS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일 양상에 따라, eNB(208a) 및 HRPD BTS(208b)는 순방향 링크 또는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UE(206)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UE(206)는 역방향 링크 또는 업링크 채널을 통해 eNB(208a) 및 HRPD BTS(209b)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RAN들은 LTE, LTE-A, HSPA, CDMA, HRPD(high rate packet data), eHRPD(evolved HRPD), CDMA2000, GSM, GPRS, EDGE(enhanced data rate for GSM evolution), UMTS 등과 같은(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음)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RAN들 및 구체적으로 eNB(208a) 및 HRPD BTS(208b)는 과금(예를 들어, 서비스들에 대한 이용 과금들 등), 보안(예를 들어,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 가입자 관리, 이동성 관리, 베어러 관리, QoS 핸들링, 데이터 흐름들의 정책 제어 및/또는 외부 네트워크들(220)과의 상호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RAN들 및 코어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RAN(210)으로부터의 제어 시그널링을 위한 종단점(end-point)일 수 있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216)를 포함할 수 있다. MME(216)는 이동성 관리(예를 들어, 트래킹), 인증 및 보안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MME(216)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RAN들과 통신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또한 코어 네트워크를 LTE RAN에 접속하는 사용자 평면 노드인 서빙 게이트웨이(S-GW)(21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또한 코어 네트워크를 eHRPD RAN에 접속하는 HRPD 서빙 게이트웨이(HSGW)(214)를 포함할 수 있다. eHRPD RAN은 또한 HRPD BTS(208b)와 HSGW(214) 간의 패킷들의 중계를 관리하는 이볼브드 패킷 제어 기능(ePCF) 엔티티(212) 및 이볼브드 액세스 노드(eAN)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MME(216)는 S11 인터페이스를 통해 S-GW(210) 또는 eAN/ePCF(212)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HSGW(210) 및 S-GW(214)는 eHRPD 네트워크 및 EPC 간의 상호동작(interoperability)을 용이하게 하도록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MME(216) 및 S-GW(210)는 RAN에서 종결하는 및/또는 RAN에서 시작하는 제어 시그널링 및 사용자에 대한 단일의 종단점을 제공하기 위한 단일 노드로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또한 정책 및 과금 규칙 기능(PCRF)(230)을 포함할 수 있다. PCRF(230)는 S-GW(210), HSGW(214), PDN GW(218) 및 코어 네트워크(220)와 통신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또한 코어 네트워크(및 RAN들)와 외부 네트워크 간의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게이트웨이(GW)(218)를 포함할 수 있다. PDN GW(218)는 패킷 필터링, QoS 정책수립, 과금, IP 어드레스 할당 및 외부 네트워크들로의 트래픽의 라우팅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S-GW(210) 및 PDN GW(218)는 S5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도 2에서 별개의 노드들로서 예시되지만, S-GW(210) 및 PDN GW(218)은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220)에서 사용자 평면 노드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단일 네트워크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일 양상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또한 서로 통신할 수 있고 추가로 PDN-GW(218) 및 HSGW(214)와 각각 통신할 수 있는 3GPP 인증, 인가 및 어카운팅(AAA) 서버/프록시(234) 및 3GPP2 AAA 서버/프록시(236)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또한 MME(216) 및 3GPP AAA 서버/프록시(234)와 통신할 수 있는 홈 가입자 서비스(HSS) 엔티티(23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PDN GW(218)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들과 통신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외부 네트워크들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IMS(IP multimedia subsystem) 및/또는 IP 네트워크와 같은(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음)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IP 네트워크는 인터넷, 로컬 영역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 인트라넷 등일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구성은 단지 하나의 가능한 구성의 예이며 다수의 다른 구성들 및 부가적인 컴포넌트들이 이하에 기술되는 다양한 양상들 및 구현들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예시적인 사용자 장비(UE)의 기능적 블록도의 예를 도시한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상이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RAT들)을 이용하여, 이를 테면, LTE 또는 eHRPD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는 다중모드일 수 있다. 디바이스(302)는 여기서 기술된 다양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일 예이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도 1 내지 도 2에서 예시된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디바이스(302)는 디바이스(302)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3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4)는 중앙 프로세싱 장치(CPU)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306)는 명령 및 데이터를 프로세서(304)에 제공한다. 메모리(306)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4)는 메모리(306)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에 기초하여 논리 및 산술 연산들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306) 내의 명령들은 여기서 기술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실행 가능할 수 있다.
메모리(306) 내의 데이터는 구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 데이터는 메모리(306) 내에 사전로딩될 수 있다. 구성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SIM 카드, 다운로드, 오버 디 에어(over the air)를 통해) 디바이스(302)의 사용자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프로세서(304)는 구성 데이터에 추가로 기초하여 논리 및 산술 연산들을 수행할 수 있다. 포함될 수 있는 하나의 타입의 구성 데이터는 네트워크 선호도들이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302)는 eHRPD 네트워크와 대조적으로 LTE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을 선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LTE 네트워크는 선호 네트워크로서 지칭될 수 있고, eHRPD 네트워크는 비-선호 네트워크로서 지칭될 수 있다. 선호도는 사용자 입력, 서비스 제공자 입력, 서비스 제공자, 대역폭, 가입, 라디오 액세스 기술, 시그널링 모드 등과 같은 팩터들에 기초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네트워크 선호도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호도에 의해 조직되는 몇 개의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선호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304)는 디바이스(302)가 제 2 네트워크를 탐색하게 할 수 있다. 제 2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는 디바이스(302)가 네트워크들의 리스트를 통해 지속하게 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프로세서(306)는 이전에 이용 가능하지 않았지만, 바람직한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재시도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현되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컴포넌트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범용 마이크로 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DSP들(digital signal processors),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D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제어기들, 상태 머신들, 게이팅된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전용 하드웨어 유한 상태 머신들, 또는 정보의 계산 또는 다른 조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엔티티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또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머신-판독 가능한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기타 등으로서 지칭되든지 간에, 임의의 타입의 명령들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명령들은 (예를 들어, 소스 코드 포맷, 이진 코드 포맷, 실행 가능한 코드 포맷,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코드의 포맷으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이 여기서 기술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디바이스(302)는 또한 예를 들어, 무선으로 및/또는 다수의 알려진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를 통해 데이터 또는 명령들의 전송 및 수신을 허용하도록 전송기(310) 및 수신기(312)를 포함할 수 있는 하우징(308)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기(310) 및 수신기(312)는 트랜시버(314) 내로 조합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단일의 또는 복수의 전송 안테나들은 하우징(308)에 부착되어 트랜시버(314)에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302)가 UE 또는 AT(106a) 또는 AP(104a) 또는 eNB(208a), 또는 HRPD BTS(208b)를 구현하는데 이용될 때, 디바이스(302)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302)는 또한 다수의 전송기들, 다수의 수신기들, 및/또는 다수의 트랜시버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디바이스(302)는 또한 트랜시버(314)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레벨을 검출하고 정량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용될 수 있는 신호 검출기(318)를 포함한다. 신호 검출기(318)는 총 에너지, 심볼 당 서브 캐리어 마다의 에너지, 전력 스펙트럼 밀도 및 다른 신호들로서 이러한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디바이스(302)는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32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30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데이터 버스 외에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할 수 있는 버스 시스템(322)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디바이스(302)는 또한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처럼 다른 컴포넌트들 또는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적으로 기술되었지만, 디바이스(302)에 관하여 기술된 기능적 블록들이 별개의 구조적인 엘리먼트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4) 및 메모리(306)는 단일의 칩 상에서 실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304)는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레지스터들과 같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다양한 블록들의 기능의 기능적 블록들 또는 부분들 중 하나 이상은 단일의 칩 상에서 실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특정한 블록의 기능은 2개 이상의 칩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용어 "회로"는 기능적인 용어로서가 아니라 구조적인 용어로서 해석된다는 것이 자명해져야 한다. 예를 들어, 회로는 도 3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및/또는 메모리 셀들, 유닛들, 블록들 등의 형태로 다수의 집적 회로 컴포넌트들과 같은 회로 컴포넌트들의 어그리게이트(aggregate)일 수 있다. UE(206a)에 관하여 기술된 기능적 블록들 중 하나 이상 및/또는 기능적 블록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들은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으로서,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통신과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UE가 네트워크 전체에 걸쳐서 이동할 때, UE는 하나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부분으로부터 다른 RAT를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모드 UE는 LTE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로부터 eHRPD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으로 천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핸드오프는 네트워크에 결합된 하나의 채널로부터 다른 채널로 진행중인 호(ongoing call) 또는 데이터 세션을 전달하는 프로세스를 지칭할 수 있다. 채널은 현재 채널과 상이한 네트워크에 결합되거나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있을 수 있다. 용어 "핸드오버"는 또한 핸드오프를 지칭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핸드오프를 수행할 때, UE와 타겟 네트워크는 다양한 시그널링을 교환하고 새로운 세션을 설정하고 타겟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트래픽 채널을 구성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에서 어떠한 중단도 핸드오프 동알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일 양상에서, 핸드오프는 타겟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그널링을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중단을 감소시키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101 인터페이스와 같은 인터페이스는 UE(206)가 eHRPD 라디오 세션 및 HSGW(214) 콘텍스트를 설정하고 유지하도록 허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최적화된" 핸드오프는 UE(206)가 LTE RAN에서 활성인 동안 eHRPD 및 PPP 콘택스트의 사전-설정 및 유지를 허용할 수 있다. 활성 핸드오프 동안, 트래픽 채널 할당 프로시저들은 인터페이스에 의해 정의되는 터널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최적화된" 핸드오프들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중단 간극을 예를 들어, 300 밀리초 미만까지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끊김 없는 VoIP(voice over IP) 전달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짧을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핸드오프는 "비-최적화"될 수 있다. "비-최적화되는" 핸드오프는 2개의 상이한 상황들에 적용할 수 있다. 일 시나리오에서, UE(206)가 하나의 RAT와 다른 RAT 사이에서 천이할 때, UE는 핸드오프를 수행할 때 이용할 타겟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콘택스트)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우선 LTE RAN으로의 접속을 설정하고, 추후에 자신이 앞서 접속을 설정하지 않은 eHRPD RAN으로 천이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이하에 기술될 바와 같이, eHRPD 라디오 세션의 설정, eHRPD 파일롯 획득 및 오버헤드 업데이트의 수행, 및 다양한 다른 동작들과 같은 작업들은 핸드오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상당한 중단 간극은 다양한 신호들이 교환되고 동작이 완료될 때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시나리오에서, 부분적인 콘택스트가 존재하는 eHRPD RAN과 같은 타겟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프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우선 eHRPD RAN으로의 접속을 설정하고 추후에 LTE RAN으로 천이할 수 있다. UE가 LTE와의 새로운 세션을 설정할 때, UE와 eHRPD 네트워크는 eHRPD RAN과의 설정된 콘택스트에 관한 특정한 정보를 저장 또는 보유할 수 있다. 추후에, UE가 원래의 eHRPD RAN으로 천이하는 경우, UE와 eHRPD 네트워크는 새로운 세션을 설정하고 트래픽 채널을 구성하는 등을 하기 위해 이 정보(즉,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eHRPD RAN과 같은 타겟 RAN과 데이터를 교환하기 시작하기 위해, 새로운 라디오 세션 및 새로운 PPP 콘택스트는 핸드오프가 완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eHRPD RAN과 PPP 콘택스트를 설정하는 것은 추가로 다른 작업들 중에서도, LCP(link control protocol) 콘택스트, 인가 콘택스트(예를 들어, EAP-AKA(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for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를 이용하여), VSNCP(vendor specific network control protocol) 콘택스트 및 QoS 콘택스트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부분적인 콘택스트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라디오 세션, LCP 콘택스트 및 인가 콘택스트는 부분적인 콘택스트의 이용을 통해 구성될 수 있고, 핸드오프 동안 수행된다 하더라고 완전히 수행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것은 핸드오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중단을 감소할 수 있는 반면에, VSNCP 콘택스트는 핸드오프 프로시저 동안 여전히 설정되어야 할 수 있다. VSNCP 콘택스트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트래픽 흐름에 상당한 두절들을 야기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중단 간극을 여전히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에서, eHRPD 세션/PPP 부분적인 콘택스트는 LTE에 캠프 온 한 이후에 생성될 수 있다. eHRPD 세션 및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eHRPD로 천이하기 이전에 LTE 데이터를 보류(suspend)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택스트 생성의 타이밍 및 부분적인 콘택스트의 후속 유지(maintenance)는 핸드오프를 개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UE는 그것이 LTE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떠났다는 것을 e노드 B가 알게 하기 위해 e노드 B와 통신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이는 LTE 시스템에 통지함 없이 페이징을 누락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 구현 특정 해결책은 디바이스에 복잡도를 부가한다. 다른 양상에서, UE가 LTE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할 때 eHRPD 시스템에서 eHRPD 세션/PPP 부분적인 콘택스트가 업데이트된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UE가 LTE 트래픽 채널 상에 있거나 및/또는 UE가 MSK(master session key) 수명 및 부분적인 콘택스트 타이머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UE가 eHRPD로 튜닝할 수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이 모든 구현들에서 가능한 것은 아닐 수 있다. 그러므로 부분적인 콘택스트는 LTE로부터 eHRPD로 핸드오프가 발생할 때 만료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핸드오프 수행 이득은 "부분적인 콘택스트 유지(partial context maintenance)"의 이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오프 중단 시간의 분석은 최적화된 핸드오프가 대략 100ms(터널을 통해 획득된 TCA(traffic channel assignment)에 기초한 트래픽 채널의 튜닝 및 단절(break) 시간으로 인해) 소요된다는 것을 표시한다. 또한, 비-최적화된 핸드오프는 대략 1.6초(오버헤드 메시징 프로세싱, HRPD 액세스 및 TCA, VSNCP 프로시저, QoS 셋업 등으로 인해) 소요된다. 초기에 eHRPD에 등록하고 유휴 상태에서 LTE의 세션 및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유지하는 특정한 구현들에서, 핸드오프는 대략 1.6초(오버헤드 메시지 프로세싱, HRPD 액세스 + TCA, VSNCP 프로시저, QoS 셋업 등으로 인해) 소요될 수 있다. 이는 표준 비-최적화된 핸드오프들에 비해 어떠한 개선들도 제공하지 않는다. 몇몇 구현들에서, 이는 사실상 서비스를 저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단절들이 스트리밍 미디어에 지원될 수 있다. 그러나 스트리밍 미디어는 또한 충분한 데이터를 버퍼링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및 VT(video telephony)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들은 S101 기반 최적화된 핸드오프를 포함할 수 있다. 단절은 실시간 서비스에 대해 약 100ms 일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eHRPD 세션 및 PPP 세션 유지는 UE가 LTE의 깊은(deep) 커버리지에 있는 경우 유용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LTE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동안 UE는 eHRPD에 대한 서브넷 경계들로 이동할 수 있다. UE가 계속 서브넷 경계를 검출하고 eHRPD 네트워크에 재-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UE가 LTE 커버리지 하에서 잘 있는 경우에는, eHRPD의 서브넷이 변경될지라도, 변경들은 관련이 없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아마도 UE가 eHRPD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핸드오프는 LTE 커버리지의 에지에서 필요로 될 수 있다. 몇몇 전개들에서, LTE 커버리지의 에지에 제한된 수의 eHRPD 서브넷들만이 존재한다. LTE에 커버리지 공백(coverage hole)이 존재하고 UE가 eHRPD로 천이될 필요가 있는 이벤트시에, 세션 천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빈번한 이벤트로 간주되지 않는다. 몇몇 구현들은 LTE 네트워크가 LTE 커버리지의 에지를 어떻게 표시할 수 있는지를 명확히 특정하지 않는다.
다른 양상에서, 특정한 최적화는 UE에 복잡도를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획득 이후에 eHRPD를 선택하기 위한 요건은 기존의 프로시저들(예를 들어, MMSS(Multimode System Selection) 프로시저들)에 대한 수정들을 요구한다. 이는 이 제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디바이스에서 특정한 차선책들(specific workarounds)을 포함시킬 수 있다. LTE 데이터는 eHRPD 세션 및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eHRPD로 천이하기 이전에 보류될 필요가 있다. 또한, eHRPD를 통한 콘택스트의 유지는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깊은 LTE 커버리지에 있고 e노드 B가 eHRPD 이웃 정보를 송신할 때 부가적인 또는 중복적인 HRPD 세션 유지는 배터리 자원들을 소모할 수 있다. 부분적인 PPP 콘택스트는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는 UE가 LTE로부터 eHRPD로 천이를 요구할 필요가 있을 때까지는 불필요할 수 있으며, 상기 천이는 LTE 네트워크의 경계들 상에서만 발생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UE 구현에 기초하여, UE는 전력 공급 시와 같이 데이터 비활동의 기간 동안 eHRPD 네트워크 상에서 초기 부착을 수행할 수 있다. UE는 LTE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할지라도 eHRPD 네트워크 상에서 "초기 부착"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이 단계는 "모드 세팅(Mode Setting)" 값을 "글로벌 세팅(Global setting)" 대신 "C2K 모드"로 세팅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UE는 eHRPD를 통해 전체 콘택스트를 생성하고 이어서 LTE로 천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SGW는 LTE로부터 PMIP 취소(revocation)를 수신할 때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HSGW는 부분적인 콘택스트 타이머(예를 들어, UE 콘택스트 유지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부분적인 콘택스트 타이머는 큰 값으로 초기화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부분적인 콘택스트 천이 시에 MSK 수명 값의 잔여 값으로 세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분적인 콘택스트가 제 1 네트워크 상에서 생성되고 유지되며, 제 2 선호되는 네트워크로가 이용 가능하기 않게 되는 경우 핸드오프를 받아들기이 위해 이동 가능하다. 이 접근법은 위의 예에서, eHRPD 네트워크인 제 1 네트워크에 대한 콘택스트의 타이밍 및 유지를 해결한다. 부분적인 콘택스트가 전체 콘택스트로 복구되는 방법을 최적화하는 것은 또한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히 논의될 바와 같이 핸드오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4는 핸드오프가 발생하기 이전에 도 2의 다양한 엔티티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신호 흐름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신호 호름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는 eHRPD RAN과의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설정하기 위해 핸드오프가 발생하기 이전에 교환될 수 있는 신호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의 예를 도시한다. 일 양상에서, 이는 사전-등록 단계로서 기술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UE는 LCP, A10 및 인증 콘택스트의 설정을 포함할 수 있는, eHRPD RAN에 대한 부분적인 부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및 아래에서 기술되는 도면들은 UE(206)가 eHRPD(402) 상에서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설정하도록 결정할 때 도 2에서 도시된 다양한 엔티티들 사이에서 흐를 수 있는 신호들의 예들을 예시한다.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설정하기 위해, UE는 eAN/ePCF(212)와 함께 eHRPD 세션 설정(404) 및 디바이스 인증(406)(예를 들어, A12 인증을 이용하여)을 수행한다. 이는 HSGW(214)의 A10 접속 셋업 및 PPP(point to point) LCP 설정(408)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EAP-AKA 인증 콘택스트(410a, 410b 및 410c)가 또한 설정된다. 인증 이후에, HSGW(212)는 가입자 프로파일, 디폴트 APN(access point name), 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부분적인 콘택스트에 대한 다른 필수적인 정보(412)를 캐시할 수 있다. HSGW는 이어서 부분적인 콘택스트(414)를 유지할 수 있다. 부분적인 콘택스트가 설정된 이후, UE는 E-UTRA 네트워크(416)로 튜닝할 수 있다.
부분적인 콘택스트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이후,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이용한 실제 핸드오프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핸드오프-단계 동안 교환될 수 있는 신호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의 예를 도시한다. 핸드오프-단계에서, UE는 VSNCP 콘택스트를 설정하고 핸드오프 부착을 수행할 수 있지만, 부분적인 콘택스트가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LCP 및 인가 콘택스트를 설정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eHRPD로의 핸드오프가 필수적이라고 UE(206)가 결정할 때(504) UE는 E-UTRA 네트워크에서 동작중일 수 있다(502). 파일롯 획득 및 오버헤드 업데이트(506)가 수행되고 트래픽 채널이 설정된다(508). UE(206)는 UE(206)와 연관된 A10 세션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활성 시작" 메시지를 송신하고(510) A11-등록 대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512). VSNCP 동작들(514)은 이어서 eHRPD 상에서 필요한 각각의 PDN(packet data network) 접속에 대해 수행된다. PDN 접속에 대해, 아래에서 추가로 기술될 바와 같이, PDN-ID, PDN-타입, APN, PDN 어드레스, 프로토콜 구성 옵션들 및 부착 타입을 포함할 수 있는 VSCNP 구성-요청 메시지가 송신된다(516). HSGW(214)는 이어서 PCRF(230)와 함께 게이트웨이 제어 세션 셋업(518)을 수행할 수 있다. PMIP(proxy mobile IP)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가 이어서 송신될 수 있고(520), P-GW(218)는 QoS 정책 파라미터들을 리트리브(retrieve)하도록 PCRF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522). PMIP 바인딩-ack 메시지는 이어서 응답으로 HSGW(214)에 송신될 수 있다(524). 이 지점에서, HSGW(214)는 VSNCP 구성-ack 메시지를 UE에 송신하고(526) VSNCP 구성-요청 메시지(528)를 송신할 수 있다(528). VSNCP 구성-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PDN-ID 및 IPv4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응답하여, UE(206)는 VSNCP 구성-ack 메시지를 HSGW(214)에 송신할 수 있고(530), eHRPD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전달이 이어서 시작될 수 있다(532).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핸드오프 동안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트래픽 데이터가 교환되기 시작할 수 있기 이전에 상당한 중단 간극을 야기할 수 있다. 방금 기술된 것과 같은 중단 간극은 "비-최적화된" 핸드오프들을 이용하여 실시간 서비스들을 전개하는데 관심있는 운용자들 대해 바람직하지 않거나 심지어 수용 불가능할 수 있다. 모바일 스테이션(MS)이 우선 LTE 시스템에서 전력 공급되는 경우, LTE로부터 eHRPD로의 MS 핸드오프가 발생할 때 eHRPD 시스템에서 어떠한 부분적인 콘택스트도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부분적인 콘택스트는 MS가 LTE로부터 eHRPD로의 비-최적화된 핸드오프를 수행할 때 만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일 양상에서, 제안된 해결책은 eHRPD 세션 및 부분적인 콘택스트가 설정되게 하고, UE가 LTE로부터 eHRPD로 이동하기 이전에 이를 업데이트된 채로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이 방식으로, 시스템은 추가의 하드웨어를 부가하가나 비용을 증가시킨 없이 중단 간극을 감소시킬 수 있고, LTE 네트워크로부터 eHRPD 네트워크로의 핸드오프들 동안 가능한 한 끊김 없이 실시간 서비스들이 지속되도록 허용하는 것과 같은(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음) 다양한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부분적인 콘택스트가 VSNCP 콘택스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VSNCP 콘택스트는 핸드오프 동안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트래픽이 송신될 수 있기 이전에 증가된 중단 간극을 초래할 수 있다. 일 구현에 따라, VSNCP 콘택스트를 설정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VSNCP 구성-요청 메시지들은 예를 들어, DoS(데이터 오버 시그널링; data over signaling)을 이용하여 액세스 채널과 같은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UE(206)로부터 eHRPD 네트워크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아래에 추가로 기술될 바와 같이, VSNCP 메시지에 대한 새로운 구성 옵션은 VSNCP 콘택스트를 설정할 때 송신되도록 요구되는 옥텟(octet)들의 수를 감소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핸드오프가 발생할 때 도 2의 다양한 엔티티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신호 흐름을 예시하는 다른 예시적인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특히, 도 6은 VSNCP 콘택스트 설정 동작에 의해 야기된 중단 간극을 감소시키기 위해 핸드오프-단계 동안 교환될 수 있는 신호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eHRPD로의 핸드오프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UE(206)가 결정할 때(604) UE는 E-UTRAN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중일 수 있다(602). 타겟 eHRPD 네트워크와의 부분적인 콘택스트는 이전에 설정되었을 수 있다. 파일롯 획득 및 오버헤드 업데이트가 수행된다(606). 도 5와 대조적으로, 트래픽 채널이 설정되기 이전에, VSNCP 구성-요청 메시지와 함께 접속 요청이 DoS를 이용하여 시그널링 채널 상에서 eAN/ePCF(212)로 송신될 수 있다(608). 예를 들어, 액세스 채널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VSNCP 데이터 패킷에 의해 이용되는 옥텟들의 수는 최소로 감소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eAN/ePCF(212)는 이어서 VSNCP 구성-요청 메시지를 HSGW에 송신할 수 있다(610). 이 지점에서, HSGW(214)는 PCRF(230)와의 게이트웨이 제어 세션 셋업을 수행할 수 있다(612). PMIP(proxy mobile IP)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가 이어서 송신될 수 있고(614), P-GW(218)는 예를 들어, QoS 정책 파라미터들을 리트리브하도록 PCRF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616). PMIP 바인딩-ack 메시지가 이어서 응답으로 HSGW(214)에 송신될 수 있다(618). 시그널링 채널을 이용하여 VSNCP 구성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은 트래픽 채널이 설정되기 이전에 또는 그 동안에 VSNCP 콘택스트 설정 프로시저들이 시작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래픽 채널 설정 및 VSNCP 셋업 프로시저들(PMIP 바인딩과 함께)이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트래픽 채널 설정이 VSNCP 셋업 및 PMIP 바인딩보다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기 때문에, 동작들을 병렬로 수행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VSNCP 셋업 및 PMIP 바인딩을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감출 수 있다. 따라서 VSNCP 셋업 및 PMIP 바인딩을 위해 필요한 시간은 중단 간극에 부가적으로 기여하지 않을 수 있다.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VSNCP 구성-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은 이에 따라 VSNCP 콘택스트 설정이 트래픽 채널 셋업의 완료에 의존해야 할 필요가 없을 수 있기 때문에 핸드오프 프로세스 동안 상당한 시간 절감들을 유도할 수 있다.
도 6을 지속하면, 트래픽 채널 셋업 프로시저들은 UE(206)가 VSNCP 구성-요청(608)을 송신한 이후 수행된다(620). 트래픽 채널 셋업은 VSNCP 콘택스트 설정 동작들로 인해 중간 간극을 최소로 또는 전혀 유도하지 않도록 610, 612, 614, 616 및 618에서 교환된 메시지들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트래픽 채널이 셋업되면(620), UE(206)는 UE(206)와 연관된 A10 세션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으며, "활성 시작" 메시지(622)를 송신하고 A11-등록 대답 메시지(624)를 수신할 수 있다. 이 지점에서, HSGW(214)는 VSNCP 구성-ack 메시지(626)를 UE(206)에 송신할 수 있다. HSGW(214)는 또한 VSNCP 구성-요청 메시지(628)를 UE(206)에 송신할 수 있고, UE(206)는 응답으로 VSNCP 구성-ack 메시지(630)를 HSGW(214)에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전달은 또한 eHRPD(632) 상에서 시작할 수 있다.
도 7a는 VSNCP 메시지 포맷의 예를 도시한다.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VSNCP 시그널링 데이터 패킷들의 크기를 감소(예를 들어, 요구되는 옥텟들의 수의 감소)시키는 것은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VSNCP 구성-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핸드오프 동안 중단 간극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프로세싱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VSNCP 패킷과 연관된 다양한 양상들이 Point-to-Point Protocol (PPP) Vendor Protocol란 명칭의 RFC 3772에서 추가로 기술되며, 그에 의해 그것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또한, VSNCP 패킷과 연관되는 다양한 양상들은 또한 The Point-to-Point Protocol(PPP)란 명칭의 RFC 1661에서 기술되며, 그에 의해 그것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또한 포함된다. VSNCP 패킷은 제어 패킷의 타입을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하나의 옥텟 코드 필드(702)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 필드(702)는 VSNCP 구성-요청, 구성-ack, 구성-nak, 구성-거절, 종결-요청, 종결-ack 및 코드-거절 코드들을 포함할 수 있는 7개의 상이한 코드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구성-nak 코드는 이용되지 않을 수 있고, 이 코드와 함께 송신되는 임의의 메시지는 응답으로 코드-거절 메시지가 송신되게 할 수 있다. VSNCP 패킷은 추가로 요청들 및 대답들을 매칭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하나의 옥텟 식별자 필드(704)를 포함할 수 있다. VSNCP 패킷은 코드, 식별자, 길이 및 데이터 필드들을 포함해서 패킷의 총 길이를 표시하는데 이용되는 2 옥텟 길이 필드(706)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VSNCP 패킷은 또한 특정한 밴더를 식별하기 위해 3 옥텟 밴더 OUI(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708)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시지의 잔여부는 아래에서 추가로 기술될 바와 같이 데이터(710)를 송신하기 위해 할당된다.
핸드오프 부착을 위해 VSNCP 구성-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때, 메시지는 데이터 필드(710)에서 송신되는 다수의 구성 옵션들을 포함한다. 아래에 포함되는 표 1은 3GPP2 VSNCP의 일 구현에서 송신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 옵션들의 리스트를 제공한다.
구성 옵션 타입(10진수) 구성 옵션 길이(옥텟)
PDN 식별자 01 3 PDN 식별자는 PDN에 대해 UE에 의해 선택된 1개의 옥텟 식별자이다. 유효한 값들은 0 내지 14이다. 값 15는 미래 사용을 위해 보존됨. 이 옵션은 모든 3GPP2 VSNCP 패킷들에서 최초의 구성 옵션으로서 존재되어야 함.
액세스 포인트 명칭 02 2-102 액세스 포인트 명칭 IE의 값 필드
PDN 타입 03 3 유효한 값들은,
1 - IPv4
2 - IPv6
3 - IPv4/IPv6
PDN 타입 IE의 값 부분
PDN 어드레스 04 3-15 "PDN 어드레스" IE의 값 부분. VSNCP 구성-요청 메시지는 APN으로의 초기 부착을 위해 UE에 의해 송신되고 PDN 어드레스 옵션의 PDN 타입 필드는 '000'으로 세팅되어야 하고, PDN 어드레스 옵션의 길이 필드는 3으로 세팅되고, IPv4 또는 IPv6 어드레스 정보는 포함되지 않음.
프로토콜 구성 옵션들 05 3-253 프로토콜 구성 옵션 값의 값 부분
부착 타입 07 3 유효한 값들은,
1 - PDN으로의 "초기 부착"
3 - PDN으로의 "핸드오버" 부착
IPv4 디폴트 라우터 어드레스 08 6 4-옥텟 IPv4 어드레스로서 인코딩됨. PDN에 대한 PDN 게이트웨이에 의해 할당된 IPv4 디폴트 라우터 어드레스를 포함함
IPv6 HSGW 링크 로컬 어드레스IID 11 10 HSGW 링크 로컬 어드레스의 8-옥텟 IPv6 인터페이스 식별자로서 인코딩됨
사용자 콘택스트 식별자 12 3 사용자 콘택스트 식별자는 동일한 APN으로의 PDN 접속들 각각을 위해 UE에 의해 선택된 4-비트 식별자임.
이머전시 표시자 13 3 유효한 값들은,
1 - "이머전시 서비스 요청"
0 - "비-이머전시 서비스 요청"
이 구성 옵션의 부재는 "비-이머전시 서비스 요청"을 암시함
VSNP 확장 코드 지원 15 3 송신자가 VSNP 확장 코드의 송신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함.
유효한 값들은,
0 - 송신자가 VSNP 확장 코드를 지원하지 않음,
1 - 송신기가 VSNP 확장 코드를 지원함.
이 구성 옵션의 부재는 VSNP 확장 코드 성능이 지원되지 않음을 암시함
압축 파라미터들 16 >=4 이 옵션은 송신자에 의해 지원되는 프로토콜 타입을 표시함. 허용된 IP 압축-프로토콜 타입들은,
0x0003 - PPP를 통한 ROHC. 특정한 파라미터들의 코딩은 타입, 길이 및 IP-압축 프로토콜 필드들을 제외하고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 옵션을 따름.
다른 값들은 보존됨.
이 구성 옵션은 VSNP 확장 코드 지원 옵션이 또한 포함되는 경우 메시지에만 포함될 수 있고 값 1로 세팅됨
이 옵션들의 다수의 예들은 동일함 메시지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동일한 프로토콜 타입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음.
디폴트 APN 표시 17 3 유효한 값들은,
0 - "요청된 APN이 디폴트 APN이 아님"
1 - "요청된 APN이 디폴트 APN 임"
표 1은 일 예를 나타내며, 다른 변동들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서 예견된다. 몇몇 구현들에서, 구성 옵션 명칭들은 변할 수 있고, 타입은 비-10진수 값들(예를 들어, 정수)에 의해 표현될 수 있고, 비-연속적일 수 있으며, 길이는 변할 수 있고 및/또는 유효한 값들은 도시된 것보다 더 많은 값들 또는 더 적은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구현들에서, 1 내지 6 범위의 유효한 값들 및 5 옥텟들의 부착 타입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표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성 옵션들은 VSNCP 구성-요청 메시지 내의 많은 수의 옥텟들을 점유할 수 있으며 그 메시지는 핸드오프 동안 중단 간극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하고 시그널링 채널 상에서 VSNCP 구성-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다수의 구성 옵션들을 전송하기 보다는, 소스 및 타겟 네트워크들의 구성들 간의 공통 정보를 레버리지(leverage)할 수 있는 단일의 구성 옵션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옵션들 대부분은 2개의 네트워크들의 성능들 대부분이 공통적일 수 있기 때문에 소스 LTE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타겟 eHRPD 네트워크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도 7B는 표 1에서 위의 기술된 구성 옵션들 대신 다양한 구현들에 따라 이용될 수 있는 단일의 구성 옵션의 예를 도시한다. 새로운 구성 옵션(703)은 빠른 핸드오프 부착 구성 옵션으로서 기술될 수 있다. 새로운 구성 옵션 데이터는 HSGW(213)가 PDN 게이트웨이와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옵션들의 전체 세트를 획득 또는 유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충분한 정보를 eHRPD 네트워크 내의 HSGW(214)에 제공하도록 위의 표 1에서 기술된 구성 옵션들로부터 필수 데이터를 캡슐화할 수 있다. 구성 옵션(703)은 이용되는 구성 옵션 타입을 표시하는 하나의 옥텟 타입 필드(712)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구성 옵션 타입은 현재 정의된 구성 옵션 타입들과의 오버랩을 방지하도록 10진수 값(18)으로 세팅될 수 있다.
구성 옵션(703)은 4비트 PDN 식별자 필드(7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필드에 대한 유효한 값들이 0 내지 14가 되도록 정의될 수 있지만, 단지 4 비트들만이 필수적일 수 있다. 몇 개의 구성 옵션들이 빠른 부착 구성 옵션 내로 캡슐화되기 때문에, 표 1의 구성 옵션들에 의해 요구되는 타입 및 길이 필드들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N 식별자 필드는 보통 3개의 옥텟들을 요구할 수 있으며, 이들 중 2개는 구성 옵션의 타입 및 길이 필드들에 의해 점유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구성 옵션(703)은 다른 구성 옵션들과 함께 단지 4비트 PND-ID 값을 이용하도록 허용한다. 구성 옵션(703)은 다수의 PDN 접속들의 식별을 허용하기 위해 4비트 사용자 콘택스트 식별자 필드(7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옵션(703)은 또한 APN 필드(724)에 의해 요구되는 옥텟들의 수를 특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4비트 APN 길이 필드(715)를 포함한다. 구성 옵션(703)은 네트워크-개시된 QoS(quality of service) 또는 UE-개시된 QoS 중 어느 하나와 같이 네트워크가 지원할 수 있는 QoS 성능이 무슨 타입인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1비트 베어러 제어 모듈 필드(7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1비트 이머전시(emergency) 필드(720)는 이머전시 서비스 요청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2개의 보존된 필드들(722)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APN 필드(724)는 UE가 접속하기를 바라는 PDN(packet data network)을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구성 옵션(703) 메시지에 또한 포함된다. 표 1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APN은 총 100개의 옥텟들을 요구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제공되는 일 구현에 따라, APN 필드(724)의 길이는 16개의 옥텟들(그것이 4비트 APN 길이 필드(715)가 특정할 수 있는 최대값인 경우)로 제한될 수 있다. 이는 구성 옵션(703)에 의해 요구되는 최대 수의 옥텟들이 메시지의 효율적인 전송 및 프로세싱을 위해 충분히 작게 유지된다는 것을 보장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APN-길이 필드(734)를 사용함으로써, APN 필드(724)에서 옥텟들의 수는 변할 수 있고, APN이 16개보다 적은 옥텟들을 이용할 때 구성 옵션(703)에 대해 요구되는 감소된 수의 옥텟들을 허용할 수 있다.
도 7b에서 기술된 구성 옵션(703)을 이용함으로써, 잔여 구성 옵션들이 송신되지 않을 수 있다. HSGW(214)가 구성 옵션(703)을 갖는 VSNCP 메시지를 수신할 때, HSGW는 PDN-GW(218)과 통신하는데 필요한 포맷으로 감소된 메시지를 변환하기 위해 LTE 네트워크로부터 리트리브되거나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이용하여 보유되는 공통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LTE 네트워크와 eHRPD 네트워크들 간에 공통 정보를 이용하고, 구성 옵션 데이터를 구성 옵션(703) 내로 캡슐화/감소시킴으로써, VSNCP 구성-요청 메시지에 대해 요구되는 바이트들의 총 수는 상당히 감소된다. 도 7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VSNCP 구성-요청 메시지(701)의 총 크기는 APN 필드(724) 없이 구성 옵션들의 3 바이트들과 함께, APN 필드(724)에 대한 최대 16 바이트들과 함께 도 7a에서 도시된 VSNCP 메시지 포맷 헤더 필드에 대한 7 바이트들을 포함해서 최대 26 바이트들일 수 있다. 트래픽 채널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기 이전에 시그널링 채널 상에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과 함께 도 7a 및 도 7b에서 기술된 감소된-크기 구성-요청 메시지를 이용함으로써, 중단 간극은 VSNCP 콘택스트가 설정되는데 필요한 시간이 트래픽 채널 설정에 대해 요구되는 것을 넘는 추가 시간을 부가함 없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도 7c는 다른 구현에 따른 VSNCP 패킷 데이터 포맷의 예를 도시한다.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7개의 코드들이 제어 패킷의 타입을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코드 필드(726)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 일 구현에 따라, 제 8 코드는 구성-요청 메시지와 별개로 부가적인 VSNCP 제어 메시지(705)를 정의하도록 부가될 수 있다. 이 구성 메시지(705)는 고속-핸드오프-요청 메시지로서 기술될 수 있다. 메시지 포맷은 이어서 구성-요청 메시지에 의해 요구되는 포맷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정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7b에서 도시된 구성 옵션 타입 필드(712)를 특정해야 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그 결과, 도 7b에서 도시된 필드들 중 일부는 하나의 옥텟 타입 필드(712)를 생략한 채로 고속-핸드오프-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3 옥텟 OUI 필드(708)는 또한 VSNCP 데이터 메시지 포맷(705)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VSNCP 데이터 메시지 포맷(705)에 대한 바이트들의 총 수는 VSNCP 패킷 헤더 및 구성 옵션들에 대한 4 바이트들 및 APN 필드(742)에 대한 최대 16 바이트들 총 최대 20 바이트들로 감소될 수 있다.
도 7b에 기술되는 메시지 포맷에서, 최대로 APN 필드(724)가 16 바이트들까지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APN 필드(724)는 메시지 포맷(703)에 의해 요구되는 총 바이트들 중 큰 부분을 점유한다. 다른 구현에 따라, APN 필드(724)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하여 위에서 기술된 사전-등록 단계가 APN들을 사전-구성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PN들과 PDN-ID들 간의 맵핑은 UE(206)로부터 HSGW(214)로 송신될 수 있다. 맵핑은 핸드오프가 발생한 이후 삭제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핸드오프는,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APN 필드(724) 및 APN-길이 필드(715)를 포함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핸드오프가 발생하기 이전에 도 2의 다양한 엔티티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신호 흐름을 예시하는 다른 예시적인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특히, 도 8은 방금 기술된 바와 같은 구현에 따라 eHRPD RAN과의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설정하기 위해 핸드오프가 발생하기 이전에 교환될 수 있는 신호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의 예를 도시한다. UE(206)가 eHRPD를 통해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802)한 이후, UE는 eAN/ePCF(212)과 함께 eHRPD 세션 설정(804) 및 디바이스 인증(806)(예를 들어, A12 인증을 이용하여)을 수행한다. 이것에 이어서 HSGW(214)와의 A10 접속 셋업(808)이 이어질 수 있다. PPP LCP 콘택스트 설정 동안, UE는 APN들에 대한 PDN_ID들의 맵핑을 포함하는 LCP 구성-요청 메시지(810)를 HSGW(214)에 송신할 수 있다. HSGW(214)이 맵핑을 수락하는 경우, 값이 LCP 구성-ack 메시지(812)에서 송신된다. HSGW(214)는 이어서 UE(206)에 LCP 구성-요청 메시지(814)를 송신하고 UE(206)는 LCP 구성-ack 메시지(815)로 응답한다. 이 지점에서, EAP-AKA 인증 콘택스트(818a, 818b 및 818c)가 이어서 설정된다. 인증 이후에, HSGW(212)는 가입자 프로파일, 디폴트 APN(access point name), 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다른 필수 정보를 캐시할 수 있다(820). HSGW는 이어서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822). 부분적인 콘택스트가 설정된 이후, UE는 E-UTRA 네트워크(824)로 튜닝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되지 않은 다른 LCP 메시지들은 또한 맵핑을 HSGW(214)에 송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LCP-에코-요청 및 대답은 밴더 특정 옵션들과 함께 이용될 수 있거나, 밴더 특정 패킷들이 이용될 수 있다.
HSGW가 도 8에서 도시된 사전-등록 단계 동안 APN들에 대한 PDN-ID들의 맵핑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핸드오프 동안 수신된 PDN 식별자는 연관된 APN을 식별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7b 및 도 7c에서 도시된 메시지 포맷들은 APN 필드들 및 APN-길이 필드들을 제거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도 9는 구성 요청 메시지 포맷을 예시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사전-등록 단계와 함께 이용하기 위해 수정된 VSNCP 패킷 데이터 포맷들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9a는 도 7b에서 유사하게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리고 표 1에서 기술된 구성 옵션들 대신 이용될 단일의 구성 옵션(902)을 도시한다. 도 9a에서, APN 길이 필드 및 APN 필드는 생략된다. 그 결과, 도시된 구현에서, 요구되는 바이트들의 총 수는 VSNCP 메시지 포맷 헤더들에 대해 요구되는 7 바이트들 및 새로운 구성 옵션(901) 및 도 7b를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다른 필드들을 특정하는 타입 필드(902)에 대해 2 바이트들을 포함하는 9 바이트들일 수 있다. 도 9b는 타입 필드(902) 및 OUI 필드(708)의 제거를 허용하는 부가적으로 제공된 VSNCP 고속-핸드오프-요청 메시지를 식별하도록 제 8 코드를 정의하는 도 7c에 대응한다. 도 9b에서, APN 필드 및 APN-길이 필드는 도 8에서 도시된 사전-등록 단계와 함께 또한 생략될 수 있다. 그 결과, 요구되는 VSNCP 메시지 포맷은 도 9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총 3 바이트들일 수 있다.
도 10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를 도시한다. 블록(1002)에서, 방법을 구현하는 디바이스는 제 1 네트워크에 부착되고 제 1 네트워크와의 콘택스트를 생성한다. 디바이스는 데이터 비활동의 기간 동안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제 1 네트워크는 제 2 네트워크에 비해 비-선호 네트워크일 수 있다. 블록(1004)에서, 제 2 네트워크로의 접속은 제 1 네트워크와의 생성된 콘택스트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동시에 제 1 네트워크와의 적어도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유지한다.
도 11은 소스 네트워크로부터 타겟 네트워크로 무선 디바이스의 핸드오프와 연관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블록(10-1)에서, UE는 시그널링 채널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타겟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요청은 도 7b에 관하여 위에서 추가로 기술된 바와 같은 VSNCP 구성-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구성-요청 메시지는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단일의 구성-옵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요청은 도 7c에 따라 VSNCP 고속-핸드오프-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요청은 전력 공급과 같이 데이터 비활동의 기간 동안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청은 핸드오프에 대한 요구에 앞서 전송될 수 있다. 시그널링 채널은 예를 들어, 액세스 채널일 수 있고, 요청은 DoS(data over signaling)를 이용하여 액세스 채널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블록 10-2에서, UE는 타겟 네트워크 상에서 트래픽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프로시저들을 개시할 수 있다. 블록(10-2)에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은 트래픽 채널이 구성되기 이전에 전송될 수 있다.
도 12는 통신 시스템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기능적 블록도의 예를 도시한다. 위에서 기술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여기서의 교시들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노드와 통신하기 위해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이용하는 노드(예를 들어, 디바이스)내로 통합될 수 있다. 도 12는 노드들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몇 개의 샘플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시스템(1200)의 제 1 무선 디바이스(1210)(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및 제 2 무선 디바이스(1250)(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제 1 디바이스(12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는 데이터 소스(1212)로부터 전송(TX) 데이터 프로세서(1214)로 제공된다.
몇개의 양상들에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각자의 전송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2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한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팅, 코딩 및 인터리빙한다.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OFDM 기법들을 이용하여 파일롯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파일롯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식으로 프로세싱되는 알려진 데이터 패턴이고,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다.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멀티플렉싱된 파일롯 및 코딩된 데이터는 이어서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해 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한 변조 방식(예를 들어, BPSK, QPSK, M-PSK, 또는 M-QAM)에 기초하여 변조(즉, 심볼 맵핑)된다.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1230)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1232)는 디바이스(1210)의 프로세서(1230) 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에 의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및 다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예를 들어, OFDM에 대한) 변조 심볼들을 추가로 프로세싱할 수 있는 TX MIMO 프로세서(1220)에 제공된다. TX MIMO 프로세서(1220)는 이어서 NT개의 트랜시버들(XCVR)(1222A 내지 1222T)에 NT개의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몇개의 양상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1220)는 빔-포밍 가중치들을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에 그리고 심볼을 전송하고 있는 안테나에 적용한다.
각각의 트랜시버(1222)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 각자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프로세싱하고, MIMO 채널을 통한 전송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로 컨디셔닝(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상향 변환)한다. 트랜시버들(1222A 내지 1222T)로부터의 NT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이어서 NT개의 안테나들(1224A 내지 1224T)로부터 각각 전송된다.
제 2 디바이스(1250)에서, 전송된 변조된 신호들은 NR개의 안테나들(1252A 내지 12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 안테나(1252)로부터의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트랜시버(XCVR)(1254A 내지 1254R)에 제공된다. 각각의 트랜시버(1254)는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하향 변환)하고,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해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샘플들을 추가로 프로세싱한다.
수신(RX) 데이터 프로세서(1260)는 이어서 NT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한 수신기 프로세싱 기법에 기초하여 NR개의 트랜시버들(1254)로부터 NR개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 및 프로세싱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260)는 이어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해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260)에 의한 프로세싱은 디바이스(1210)에서의 TX MIMO 프로세서(12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1214)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싱에 상보적이다.
프로세서(1270)는 어느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이용할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한다(아래에서 논의됨). 프로세서(1270)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 및 랭크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포뮬레이트(formulate)한다. 데이터 메모리(1272)는 제 2 디바이스(1250)의 프로세서(1270) 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에 의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및 다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 및/또는 통신 링크에 관한 다양한 타입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이어서 데이터 소스(12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또한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1238)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변조기(1280)에 의해 변조되고, 트랜시버들(1254A 내지 1254R)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디바이스(1210)에 역으로(back) 전송된다.
디바이스(1210)에서, 제 2 디바이스(1250)에 의해 전송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하기 위해 제 2 디바이스(1250)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은 안테나들(1224)에 의해 수신되고, 트랜시버들(1222)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복조기(DEMOD)(1240)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1242)에 의해 프로세싱된다. 프로세서(1230)는 이어서 빔포밍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어느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이용할지를 결정하고 이어서 추출된 메시지를 프로세싱한다.
도 12는 또한 통신 컴포넌트들이 여기서 교시되는 바와 같이 액세스 제어 동작들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제어 컴포넌트(1290)는 여기서 교시되는 바와 같이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바이스(1250))에/로부터 신호들을 송신/수신하도록 디바이스(1210)의 프로세서(1230) 및/또는 다른 컴포넌트들과 협력할 수 있다. 유사하게, 액세스 제어 컴포넌트(1292)는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바이스(1210))에/로부터 신호들을 송신/수신하도록 디바이스(1250)의 프로세서(1270) 및/또는 다른 컴포넌트들과 협력할 수 있다. 각각의 디바이스(1210 및 1250)에 있어서, 기술된 컴포넌트들의 둘 이상의 컴포넌트들의 기능은 단일의 컴포넌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단일의 프로세싱 컴포넌트는 액세스 제어 컴포넌트(1290) 및 프로세서(1230)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단일의 프로세싱 컴포넌트는 액세스 제어 컴포넌트(1292) 및 프로세서(1270)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장치(1200)의 컴포넌트들은 도 12의 컴포넌트들내로/도 12의 컴포넌트들과 함께 통합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당업자들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도 13에서 도시된 단순화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300)보다 많은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도시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1300)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구현들의 몇몇 주도적인 특징들을 기술하는데 유용한 그러한 컴포넌트들만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300)는 부착 및 생성 회로(1302) 및 접속 회로(1304)를 포함한다.
부착 및 생성 회로(1302)는 데이터 비활동의 기간 동안 제 1 네트워크에 부착하고 그와의 콘택스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착 및 생성 회로(1302)는 안테나, 트랜시버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부착 및 생성을 위한 수단은 부착 및 생성 회로(130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회로(1304)는 제 1 네트워크의께 생성된 콘택스트에 기초하여 제 2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동시에 제 1 네트워크와의 적어도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속 회로(1304)는 안테나, 트랜시버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접속하기 위한 수단은 접속 회로(1304)를 포함한다.
도 14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최적화된 핸드오프를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한다. 흐름의 구현은 위에서 기술된 방법들 또는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1402)에서, 네트워크 액세스를 바라는 디바이스가 전력 공급 시와 같이 데이터 비활동의 기간에 있을 수 있다.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일 수 있다. 블록(1404)에서, 디바이스는 eHRPD 네트워크와 같은 제 1 네트워크에 부착하고 제 1 네트워크와의 콘택스트를 설정한다. eHRPD 네트워크는 디바이스에 대한 선호 네트워크가 아닐 수 있다. 디바이스는 다수의 비-선호 네트워크들에 부착하고 그와의 콘택스트들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명확성을 위해, 제 1 비-선호 네트워크 및 제 2 선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구현이 기술된다.
블록(1406)에서, 디바이스는 LTE 네트워크와 같은 제 2 네트워크에 부착하고 그와의 콘택스트를 설정한다. LTE 네트워크는 eHRPD 네트워크에 비해 선호 네트워크일 수 있다. 블록(1408)에서, 디바이스는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시작한다.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활성 콘택스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제 1 네트워크와의 원래의 콘택스트는 휴면상태이다. 동시에 판단 블록(1410)에서, 제 1 네트워크와의 전체 콘택스트가 만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구현들에서, eHRPD 접속이 이용되지 않는 경우, 링크의 모두 다 또는 일부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자원들의 보존을 돕기 위해 폐쇄(close)될 수 있다. 제 1 네트워크 전체 콘택스트가 만료하지 않는 경우, 흐름은 주기적으로 만료를 검사하는 루프로 지속한다. 제 1 네트워크 전체 콘택스트가 만료하는 경우, 블록(1412)에서, 제 1 네트워크와의 부분적인 콘택스트가 유지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에 대한 eHRPD 네트워크 링크의 부분은 디바이스로부터, eHRPD 액세스 노드를 통한 HRPD 게이트웨이로의 링크와 같이 유지될 수 있는 반면에, 게이트웨이로부터 IP 앵커(anchor)로의 링크는 디바이스에 대해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분적인 콘택스트는 몇몇 구현들에서 네트워크에 대한 게이트웨이(예를 들어, HRPD 게이트웨이)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판단 블록(1414)에서, 통신은 제 2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유지되는 한 지속된다. 판단 블록(1414)은 제 2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여전히 살아있다는 것을 결정하고, 흐름은 블록(1410)으로 역으로(back) 지속된다. 판단 블록(1414)이 접속이 드롭(drop)(예를 들어, 열등한 무선 신호 조건들로 인해)되었다고 결정하면, 흐름은 블록(1416)으로 지속된다. 블록(1416)에서, 디바이스는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제 1 네트워크로 복구 요청을 전송한다. 시그널링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복구 프로세스는 네트워크와의 트래픽 채널을 설정한 이후 복구 요청이 전송된 경우보다 더 빨리 진행될 수 있다. 블록(1418)에서, 트래픽 채널이 제 1 네트워크에 대해 획득된다. 이 지점에서, 제 1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콘택스트는 복구되고 통신은 블록(1420)에서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네트워크로부터 제 1 네트워크로의 핸드오프는 어떠한 부분적인 콘택스트도 이용되지 않은 구현들에서보다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달성된다. 또한, 핸드오프는 콘택스트의 복구가 콘택스트를 복구하기 이전에 트래픽 채널을 설정하는 것에 의존하는 구현들에서보다 더 효율적으로 달성된다.
"제 1", "제 2" 등과 같은 지정을 이용한 본 명세서에서의 엘리먼트에 대한 임의의 참조는 일반적으로 이들 엘리먼트들의 양 또는 순서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이들 지정들은 2개 이상의 엘리먼트들 또는 엘리먼트의 인스턴스들 간을 구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여기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엘리먼트들에 대한 참조는 단지 2개의 엘리먼트들만이 거기서 이용될 수 있거나 제 1 엘리먼트가 반드시 몇개의 방식에서 제 2 엘리먼트에 선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언급이 없으면, 엘리먼트들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 전체에 걸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미립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광학 미립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당업자는 여기서 기재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 중 임의의 것은 전자 하드웨어(예를 들어, 디지털 구현, 아날로그 구현, 또는 이들 둘의 조합, 이들은 소스 코딩 또는 몇개의 다른 기법을 이용하여 설계될 수 있음), 명령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편의를 위해, 여기서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지칭될 수 있음), 또는 이들 둘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인지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성을 명확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의 견지에서 일반적으로 상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기술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판단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선 안 된다.
도 1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그리고 여기에 기재되는 양상들과 관련하여 기술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집적 회로(IC), 액세스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 내에서 구현되거나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IC는 여기에서 기재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전기 컴포넌트들, 광학 컴포넌트들, 머신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IC 내에, IC 외부에 또는 둘 다에 상주하는 명령들 또는 코드들을 실행할 수 있다.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네트워크내의 또는 디바이스내의 다양한 컴포넌트들과 통신하도록 안테나들 및/또는 트랜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의 기능은 여기서 교시된 것과 일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된 기능(예를 들어, 첨부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 관하여)은 몇몇 양상들에서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유사하게 지정된 기능 "을 위한 수단"에 대응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기능들은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하거나 또는 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기재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상주할 수 있는 프로세서-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들은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 둘 다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 적절히 불릴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광 disc, 디지털 다용도 disc(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들은 레이저들을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러한 것들의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동작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내에 통합될 수 있는 머신 판독 가능한 매체 및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명령들 및 코드들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 또는 세트로서 상주할 수 있다.
임의의 기재된 프로세스에서 단계들의 임의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이 샘플 접근법의 예임이 이해된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은 본 개시의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첨부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시하며,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미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기술되는 구현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이 당업자들에게 쉽게 자명하게 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른 구현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여기서 도시된 구현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기재된 청구항들,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부합하는 최광의의 범위로 허여될 것이다. 단어 "예시적인"은 "예, 보기, 또는 예시로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여기서 배타적으로 이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여기서 기술되는 임의의 구현은 반드시 다른 구현들보다 선호되거나 유리한 것으로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별개의 구현들의 맥락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특정한 특징들은 또한 단일의 구현으로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역으로, 단일의 구현의 맥락으로 기술되는 다양한 특징들은 또한 다수의 구현들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준-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들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위에서 기술되고 심지어 그러한 것으로서 초기에 청구될 수 있을지라도, 청구된 조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몇몇 경우들에서, 조합으로부터 삭제될 수 있고, 청구된 조합은 준-조합 또는 준-조합의 변동으로 지향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동작들이 도면에서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들을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는 것, 또는 모든 예시된 동작들이 수행되는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선 안 된다. 특정한 상황들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기술된 구현들에서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의 분리는 모든 구현들에서 이러한 분리를 요구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선 안 되고, 기술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이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물건 내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물건들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다른 구현들은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청구항들에서 열거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들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4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의 방법으로서,
    데이터 비활동의 기간 동안, 제 1 네트워크에 부착(attach)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콘택스트(context)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제 2 네트워크에 비해 비-선호 네트워크임 - ;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생성된 콘택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동시에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적어도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불가용성(unavailability)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스위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하는 단계는,
    원래의 콘택스트를 복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전체 콘택스트를 복구하는 단계는,
    시그널링 채널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상에서 트래픽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은,
    상기 트래픽 채널이 설정되기 이전에 전송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채널 상에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데이터 오버 시그널링(data over signaling)을 이용하여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채널은 액세스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의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은,
    단일의 구성 옵션 메시지(single configuration option message)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일의 구성 옵션 메시지는 적어도 액세스 포인트 명칭 및 액세스 포인트 명칭의 길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구성 옵션 메시지는,
    구성 옵션 타입,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 사용자 콘택스트 식별자, 이머전시(emergency) 표시자, 및 베어러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의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은,
    밴더 특정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 고속 핸드오프 요청 메시지(vendor specific network control protocol fast handoff request message)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의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부분적인 콘택스트가 설정될 때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명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의 맵핑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의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해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네트워크는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와 연관된 액세스 포인트 명칭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맵핑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의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이볼브드 고속 패킷 데이터(evolved high rate packet data)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의 방법.
  1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데이터 비활동의 기간 동안, 제 1 네트워크에 부착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콘택스트(context)를 생성하도록 -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제 2 네트워크에 비해 비-선호 네트워크임 - ;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생성되는 콘택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동시에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적어도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불가용성(unavailability)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은,
    원래의 콘택스트를 복구하는 것
    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의 콘택스트를 복구하는 것은,
    시그널링 채널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것;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상에서 트래픽 채널을 설정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은,
    상기 트래픽 채널이 설정되기 이전에 전송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데이터 오버 시그널링(data over signaling)을 이용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그널링 채널은 액세스 채널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은,
    단일의 구성 옵션 메시지(single configuration option message)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일의 구성 옵션 메시지는 적어도 액세스 포인트 명칭 및 액세스 포인트 명칭의 길이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구성 옵션 메시지는,
    구성 옵션 타입,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 사용자 콘택스트 식별자, 이머전시(emergency) 표시자, 및 베어러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은,
    밴더 특정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 고속 핸드오프 요청 메시지(vendor specific network control protocol fast handoff request message)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부분적인 콘택스트가 설정될 때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명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의 맵핑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와 연관된 액세스 포인트 명칭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맵핑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이볼브드 고속 패킷 데이터(evolved high rate packet data)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23.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데이터 비활동의 기간 동안, 제 1 네트워크에 부착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콘택스트(context)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제 2 네트워크에 비해 비-선호 네트워크임 - ;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생성된 콘택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동시에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적어도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불가용성(unavailability)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은,
    원래의 콘택스트를 복구하기 위한 수단에 결합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하기 위한 수단은,
    시그널링 채널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상에서 트래픽 채널의 설정을 개시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은,
    상기 트래픽 채널이 설정되기 이전에 전송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데이터 오버 시그널링(data over signaling)을 이용하여 상기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채널은 액세스 채널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은,
    단일의 구성 옵션 메시지(single configuration option message)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일의 구성 옵션 메시지는 적어도 액세스 포인트 명칭 및 액세스 포인트 명칭의 길이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구성 옵션 메시지는,
    구성 옵션 타입,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 사용자 콘택스트 식별자, 이머전시(emergency) 표시자, 및 베어러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은,
    밴더 특정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 고속 핸드오프 요청 메시지(vendor specific network control protocol fast handoff request message)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부분적인 콘택스트가 설정될 때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명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의 맵핑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
    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네트워크는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와 연관된 액세스 포인트 명칭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맵핑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33.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이볼브드 고속 패킷 데이터(evolved high rate packet data)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34.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데이터 비활동의 기간 동안, 제 1 네트워크에 부착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콘택스트(context)를 생성하게 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제 2 네트워크에 비해 비-선호 네트워크임 - ;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생성된 콘택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동시에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적어도 부분적인 콘택스트를 유지하기 위한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5. 제 34 항에 있어서,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불가용성(unavailability)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스위칭하게 하기 위한 코드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은,
    원래의 콘택스트를 복구하는 것
    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시그널링 채널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전송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네트워크 상에서 트래픽 채널의 설정을 개시하게 하기 위한 코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은,
    상기 트래픽 채널이 설정되기 이전에 전송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시그널링 채널 상에서 상기 요청을 전송하게 하기 위한 코드는,
    데이터 오버 시그널링(data over signaling)을 이용하여 상기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코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채널은 액세스 채널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은,
    단일의 구성 옵션 메시지(single configuration option message)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일의 구성 옵션 메시지는 적어도 액세스 포인트 명칭 및 액세스 포인트 명칭의 길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구성 옵션 메시지는,
    구성 옵션 타입,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 사용자 콘택스트 식별자, 이머전시(emergency) 표시자, 및 베어러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은,
    밴더 특정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 고속 핸드오프 요청 메시지(vendor specific network control protocol fast handoff request message)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2.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상기 부분적인 콘택스트가 설정될 때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명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의 맵핑을 전송하기 위한 코드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
    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네트워크는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와 연관된 액세스 포인트 명칭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맵핑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4.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이볼브드 고속 패킷 데이터(evolved high rate packet data)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KR1020137015648A 2010-11-16 2011-11-16 비-최적화된 핸드오프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1529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436510P 2010-11-16 2010-11-16
US61/414,365 2010-11-16
US201161440382P 2011-02-07 2011-02-07
US61/440,382 2011-02-07
US13/297,196 2011-11-15
US13/297,196 US8929334B2 (en) 2010-11-16 2011-11-15 Systems and methods for non-optimized handoff
PCT/US2011/061069 WO2012068304A1 (en) 2010-11-16 2011-11-16 Systems and methods for non-optimized handof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840A true KR20130094840A (ko) 2013-08-26
KR101529123B1 KR101529123B1 (ko) 2015-06-16

Family

ID=4531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648A KR101529123B1 (ko) 2010-11-16 2011-11-16 비-최적화된 핸드오프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29334B2 (ko)
EP (1) EP2641423A1 (ko)
JP (2) JP5992430B2 (ko)
KR (1) KR101529123B1 (ko)
CN (1) CN103210684B (ko)
BR (1) BR112013012059A2 (ko)
TW (1) TW201228421A (ko)
WO (1) WO20120683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113A (ko) * 2015-11-10 2020-05-25 오렌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가변적 볼륨 데이터 송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31780B (zh) 2007-11-09 2010-12-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网络优化切换的方法、设备及系统
WO2009132722A1 (en) * 2008-04-30 2009-11-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Bearer control mode (nw-only or user-only) handling in intersystem handover
US8743828B2 (en) 2010-11-16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non-optimized handoff
US9049537B2 (en) 2011-10-06 2015-06-02 Open Garden Inc. Discovering and connecting wireless devices without discoverability
KR101941505B1 (ko) * 2012-02-15 2019-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기지국들이 협력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US9369864B2 (en) * 2012-03-09 2016-06-14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lient-based capabilities management for communications networks
US9084268B2 (en) * 2012-04-27 2015-07-14 Apple Inc. Method for implementing specific termination cause codes in termination requests
GB2503247A (en) * 2012-06-20 2013-12-25 Renesas Mobile Corp User equipment only reports measurements relevant to maintaining a network connection when experiencing unfavourable signal conditions
CN103702364B (zh) * 2012-09-27 2017-08-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业务数据传输的方法、设备及系统
US8942705B1 (en) * 2012-12-18 2015-01-27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redirecting a mobile station via a traffic channel
JP6218166B2 (ja) * 2013-03-04 2017-10-25 国立研究開発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基地局間ハンドオーバ方法
US9705957B2 (en) 2013-03-04 2017-07-11 Open Garden Inc. Virtual channel joining
EP2779702A1 (en) 2013-03-12 2014-09-17 Alcatel Lucent Optimization of application layer traffic carried by an IP connection over a mobile network
CN103763746B (zh) * 2014-01-21 2017-09-2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网络切换装置和网络切换方法
US9503975B2 (en) 2014-02-07 2016-11-22 Open Garden Inc. Exchanging energy credits wirelessly
US9055499B1 (en) * 2014-02-25 2015-06-0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to control communication sessions over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WO2015172320A1 (zh) * 2014-05-13 2015-11-19 华为技术有限公司 视频缓存切换处理方法、装置和系统
CN105208610A (zh) * 2014-06-18 2015-12-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IPv6专有承载恢复处理方法、装置、系统及HSGW
EP3219150A4 (en) * 2014-11-12 2018-06-27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ular access point control
CN105704764A (zh) * 2014-11-26 2016-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网络切换方法及网络系统
JP6380071B2 (ja) * 2014-12-11 2018-08-29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無線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無線通信方法
CN113556684A (zh) * 2015-02-13 2021-10-2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户设备ue的ue上下文的处理方法和装置
WO2017121485A1 (en) * 2016-01-15 2017-07-2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Low activity state operation
US10952276B2 (en) 2016-08-10 2021-03-16 Ntt Docomo, Inc.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9565725B (zh) * 2016-08-10 2021-09-21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通信系统
US10952257B2 (en) 2016-11-23 2021-03-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ccess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performing same
WO2018179537A1 (ja) * 2017-03-29 2018-10-04 株式会社Nttドコモ 接続制御システム、接続制御方法及び管理サーバ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1425B1 (fr) * 2002-06-20 2004-09-24 Cit Alcatel Procede de fourniture de donnees de configuration de service a un dispositif de telephonie mobile, par un terminal informatique
US20050025164A1 (en) 2003-07-16 2005-02-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amless hand-off of mobile node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JP4422101B2 (ja) * 2003-09-12 2010-02-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途切れずに引渡しを行うためのコンテキスト転送
US7606201B2 (en) 2005-04-25 2009-10-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over enabler
EP1880559B1 (en) 2005-05-12 2015-08-12 Apple Inc. Using an access point name to select an access gateway node
GB0602402D0 (en) * 2006-02-07 2006-03-15 Lucent Technologies Inc Interworking between communication systems
EP1841142A1 (en) * 2006-03-27 2007-10-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es Co., Ltd. Sleep-state and service initiation for mobile terminal
US8743825B2 (en) 2006-08-17 2014-06-03 Nokia Corporation Handover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644247B2 (en) 2006-10-12 2014-02-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er-system handoffs in multi-access environments
JP5004199B2 (ja) 2007-06-18 2012-08-22 モトローラ モビリティ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リソース準備を伴う非3gppアクセスから3gppアクセスへの異種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間ハンドオーバ
EP2007162A3 (en) 2007-06-18 2011-11-16 Motorola Mobility, Inc. Non-3GPP IP access to E-UTRAN access inter-RAT handover
US8780856B2 (en) 2007-09-18 2014-07-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system handoffs in multi-access environments
US20090279502A1 (en) 2008-05-09 2009-11-12 Nokia Corporation Internetworking between wman and wlan networks
JP5133127B2 (ja) * 2008-05-15 2013-01-30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1224230B1 (ko) 2008-06-13 2013-01-21 노키아 코포레이션 시스템간 모빌리티 동안에 프레시 보안 콘텍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EP2315371A4 (en) 2008-08-15 2015-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AFETY PROTECTED METHOD FOR SUPPORTING NON-ACCESSIBLE LAYER PROTOCOL OPERATION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8190158B2 (en) * 2008-09-22 2012-05-29 Cellco Partnership Robust and fast inter-EBS handoff mechanism
CN101730024B (zh) * 2008-10-28 2012-07-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换的方法、系统和装置
EP2214444A1 (en) * 2009-01-30 2010-08-04 Nec Corporation Method for optimizing the reduction of mobility signalling at inter-rat change
WO2010147605A1 (en) 2009-06-19 2010-12-23 Zte (Usa) Inc. Internetworking techniques for transferring packets between source and target serving gateways
US8559392B2 (en) 2009-07-30 2013-10-15 Cisco Technology, Inc. Inter-technology handovers for wireless networks
US8553647B2 (en) * 2010-01-22 2013-10-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ptimization of non-optimized handoff from a first access technology to a second access technology
US20110213897A1 (en) 2010-02-26 2011-09-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leasing stale connection contexts
US8743828B2 (en) 2010-11-16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non-optimized handof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113A (ko) * 2015-11-10 2020-05-25 오렌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가변적 볼륨 데이터 송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68304A1 (en) 2012-05-24
JP6017611B2 (ja) 2016-11-02
BR112013012059A2 (pt) 2016-08-16
CN103210684B (zh) 2016-10-19
US20120188980A1 (en) 2012-07-26
JP2013543360A (ja) 2013-11-28
US8929334B2 (en) 2015-01-06
KR101529123B1 (ko) 2015-06-16
JP5992430B2 (ja) 2016-09-14
JP2015146596A (ja) 2015-08-13
TW201228421A (en) 2012-07-01
EP2641423A1 (en) 2013-09-25
CN103210684A (zh)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123B1 (ko) 비-최적화된 핸드오프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220061118A1 (en) Methods for supporting session continuity on per-session basis
CN108702723B (zh) 无线通信系统中的注销方法及其装置
US87438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n-optimized handoff
US10616936B2 (en) Method for (re)selection of control plane and user plane data transmission
WO2020185949A2 (en) Wireless device paging by a wireless network
US9554366B2 (en) Optimized always-on wireless service using network assistance and keep-alives
EP3485696A1 (en) Service gap control for a wireless device
CN113225702B (zh) Ue以及通信方法
US20140334427A1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associated with session management and mobility management
JP2016508330A (ja) 無線lanにオフロードされたトラフィックに対するハンドオーバ決定方法及び端末
WO201215454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control plan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EP3678427A1 (en) Method for performing registration with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9216392A1 (ja) UE(User Equipment)
CN116391444A (zh) 管理在移动网络之间的转换期间的下行链路数据
JP2020113880A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