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934A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태블릿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태블릿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934A
KR20130092934A KR1020120036777A KR20120036777A KR20130092934A KR 20130092934 A KR20130092934 A KR 20130092934A KR 1020120036777 A KR1020120036777 A KR 1020120036777A KR 20120036777 A KR20120036777 A KR 20120036777A KR 20130092934 A KR20130092934 A KR 20130092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enu
page
note
tab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632B1 (ko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761,546 priority Critical patent/US9250768B2/en
Priority to JP2014557563A priority patent/JP6385827B2/ja
Priority to CN201380019789.9A priority patent/CN104220971A/zh
Priority to PCT/KR2013/001022 priority patent/WO2013122355A1/en
Priority to EP13154835.6A priority patent/EP2626779B1/en
Publication of KR20130092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블릿에 관한 것으로, 정보의 표시와 정보의 입력이 모두 가능한 디스플레이와; 오른손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오른손 사용자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왼쪽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왼손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왼손 사용자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오른쪽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태블릿{TABLET HAVING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태블릿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표시하면서 동시에 펜 기반의 입력 또는 터치 기반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가진 태블릿에 관한 것이다.
컴퓨팅 분야에 있어서, 펜/스타일러스 기반의 입력은 스마트 패드와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들의 광범위한 사용과 함께 널리 보급되고 있다. 펜/스타일러스 기반의 입력을 통해 스마트 패드와 스마트 폰 등에서 필기를 하거나 그림을 그리는 작업이 가능하다. 이 기능은 학생들이 강의 시간에 강의 내용을 필기하거나, 직장인들이 회의 시간에 회의 내용을 기록하는 등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펜/스타일러스 기반의 입력을 수행함에 있어서, 필기 또는 드로잉 도중에 메뉴(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필기 또는 드로잉 작업 중이던 손을 옮겨 메뉴를 조작한 후 다시 필기 또는 드로잉 작업을 재개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연속성이 확보되지 않고, 이 때문에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태블릿에 펜/스타일러스 기반의 입력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입력 작업의 연속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은, 정보의 표시와 정보의 입력이 모두 가능한 디스플레이와; 오른손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오른손 사용자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왼쪽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왼손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왼손 사용자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오른쪽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정보의 입력은, 펜 기반의 입력과 터치 기반의 입력 가운데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베젤을 더 포함하고; 오른손과 왼손의 접근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근접 센서가 베젤에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적어도 두 개의 근접 센서를 통해 오른손과 왼손의 접근 유무 및 접근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적어도 두 개의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시키도록 하는 외부 입력을 수신하고; 외부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적어도 두 개의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시키며; 오른손 사용자 모드와 왼손 사용자 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외부 입력을 수신하고; 오른손 사용자 모드와 왼손 사용자 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선택에 응답하여 오른손 사용자 모드와 왼손 사용자 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로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오른손 사용자 모드일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왼쪽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왼손 사용자 모드일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오른쪽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적어도 두 개의 근접 센서를 통한 오른손과 왼손의 접근 유무 및 접근 방향의 검출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적어도 두 개의 근접 센서를 활성화시키도록 하는 외부 입력을 수신하고; 외부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적어도 두 개의 근접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왼손의 접근이 검출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왼쪽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오른손의 접근이 검출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오른쪽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왼손의 접근이 검출되면 오른손 사용자 모드로 설정하고; 오른손의 접근이 검출되면 왼손 사용자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디스플레이의 가로:세로 비율은 국제 표준 용지 규격의 가로:세로 비율을 따를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사용자 이벤트(펜 이벤트 또는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이벤트에 상응하는 명령을 발생시키는 팔레트 모듈과; 팔레트 모듈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한 정보의 표시에 관여하는 뷰 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펜 엔진을 통해 펜 객체를 생성하는 펜 관리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뷰 모듈은, 레이어 관리자 모듈과 레이어를 갖는 캔버스 뷰 모듈과; 노트의 페이지의 정보를 관리하는 노트 관리자 모듈과; 노트 관리자 모듈로부터 페이지의 비트맵을 받아 비트맵을 사용자 이벤트에 따라 출력하여 화면이 구성되도록 하는 업페이지 뷰 모듈과; 노트 관리자 모듈로부터 페이지의 비트맵을 받아 비트맵을 사용자 이벤트에 따라 애니메이션으로 출력하는 컬 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캔버스 뷰 모듈은, 뷰 모듈로부터 펜 객체를 받고, 레이어 관리자 모듈로부터 그리고자 하는 비트맵을 받으며, 사용자 이벤트에 응답하여 드로잉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캔버스 뷰 모듈의 레이어 관리자 모듈은, 노트 관리자 모듈로부터 현재 페이지 객체를 받으며, 레이어의 액션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레이어는 필기 또는 그림이 수정될 때마다 액션 히스토리 객체를 만들어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페이지는, 내용의 추가/수정/삭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제 1 레이어와; 내용의 추가/수정/삭제가 이루어지는 제 2 레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1 레이어는 미리 작성된 서식을 포함하는 서식 레이어일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1 레이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와 이미지 가운데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전체를 필기/드로잉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필기/드로잉 객체가 겹치는 부분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더 위쪽에 표시되고 필기/드로잉 객체가 더 아래에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필기/드로잉 객체가 겹치는 부분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더 선명하게 표시되고, 필기/드로잉 객체가 상대적으로 덜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근접 센서는 고주파 발진형 센서와 정전 용량형 센서, 자기형 센서, 광전형 센서, 초음파형 센서 가운데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태블릿이 움직일 때 태블릿의 동적 힘을 측정하여 태블릿의 운동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가속도 센서가 자이로스코프 센서일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태블릿이 회전을 검출하고; 태블릿이 회전하면 태블릿이 회전 방향을 고려하여 오른손 사용자 모드와 왼손 사용자 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의 모드에 맞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통해 투사되는 광 신호를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변환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광 센서가 태블릿 주변의 광량을 검출하기 위한 조도 센서일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외부 포트를 통한 유선 통신과 안테나를 통해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외부 포트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와 파이어와이어(FireWire) 포트 가운데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전송하거나, 음파가 마이크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 것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과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지며, 터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전면 배치와 후면 배치, 양면 배치 가운데 어느 하나의 배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터치 스크린이 감압식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표시 장치이면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터치 스크린이 감압식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이 전자 종이이면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과 후면 가운데 어느 한 쪽에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터치 스크린이 정전 용량 방식일 때,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터치 스크린이 전자기 유도 방식일 때,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터치 스크린으로서 터치 입력을 위한 정전 용량 터치 패널과 펜 입력을 위한 전자기 유도 패널이 모두 사용될 때, 정전 용량 터치 패널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하고 전자기 유도 패널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 버튼을 가진 확장형 메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의 탭 조작에 의해 확장형 메뉴 버튼이 확장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의 확장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의 확장된 영역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 버튼을 확장된 영역 밖으로 인출하면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 버튼이 독립형 메뉴 버튼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 버튼을 드래그 & 드롭 방식을 통해 확장된 영역 밖으로 인출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 버튼은, 색상 설정을 위한 제 1 하위 메뉴 버튼과; 펜 설정을 위한 제 2 하위 메뉴 버튼과; 툴 설정을 위한 제 3 하위 메뉴 버튼과; 선 굵기를 선택하여 설정하기 위한 제 4 하위 메뉴 버튼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1 하위 메뉴 버튼은, 선택할 색상을 색상환 표시와 허니콤 표시 가운데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1 하위 메뉴 버튼의 탭 조작 시마다 색상환 표시와 허니콤 표시가 토글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2 하위 메뉴 버튼을 통해 선택 가능한 펜 종류가 확장형 메뉴 버튼의 확장 시 디폴트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선택 가능한 펜 종류는, 펜과 잉크 펜, 붓 펜, 하이라이팅 펜 가운데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4 하위 메뉴 버튼은, 슬라이드 방향에 따라 선 굵기가 변화하는 슬라이드 바 형태일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3 하위 메뉴 버튼은, 사각형 모양의 잘라내기/복사/삭제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제 1 툴과; 사용자가 원하는 자유로운 모양의 잘라내기/복사/삭제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제 2 툴과; 잘라내기/복사를 통해 선택한 대상을 원하는 위치에 붙여넣기 위한 제 3 툴과;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사진 또는 그림 등)를 불러오기 위한 제 4 툴과;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1 툴을 통해 사각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사각 영역에 대한 잘라내기/복사/삭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팝 업이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2 툴을 통해 자유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자유 영역에 대한 잘라내기/복사/삭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팝 업이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잘라내기/복사를 통해 클립보드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3 툴의 탭 조작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붙여넣기 할 위치가 지정되도록 하고; 지정된 위치에 데이터의 붙여넣기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붙여넣기 할 위치가 지정되면, 지정된 위치에 붙여넣기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팝 업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제 4 툴의 탭 조작에 응답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의 썸네일들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썸네일들 가운데 불러올 이미지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불러올 이미지가 선택되면 이미지를 붙여넣기 할 위치가 지정되도록 하고; 붙여넣기 할 위치가 지정되면, 지정된 위치에 붙여넣기 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팝 업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이 확장된 상태일 때 확장형 메뉴 버튼을 한 번 더 탭하면 확장형 메뉴 버튼이 확장되기 전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의 프레스 조작에 의해 빠른 지우개 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이 확장되지 않은 상태일 때 확장형 메뉴 버튼을 프레스하면 펜 기반의 입력이 지우개처럼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미리 정해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독립형 메뉴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적어도 하나의 독립형 메뉴 버튼은, 선 굵기 조절과 펜 종류 선택을 위한 제 1 독립형 메뉴 버튼과; 페이지 레벨과 노트 레벨 사이의 전환을 위한 제 2 독립형 메뉴 버튼과; 색상 선택 및 채도 조절을 위한 제 3 독립형 메뉴 버튼과; 펜 기반의 입력과 터치 기반의 입력 사이의 전환을 위한 제 4 독립형 메뉴 버튼과; 미리 정해진 회수의 단위 작업을 취소하고 이전 상태를 복구하기 위한 제 5 독립형 메뉴 버튼과; 제 5 독립형 메뉴 버튼을 통해 복구된 단위 작업을 미리 정해진 회수만큼 취소하기 위한 제 6 독립형 메뉴 버튼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이메일 서비스를 통해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제 7 독립형 메뉴 버튼과; 현재의 페이지 다음에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추가)하기 위한 제 8 독립형 메뉴 버튼과; 현재 페이지의 필기/드로잉 객체를 모두 삭제하기 위한 제 9 독립형 메뉴 버튼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1 독립형 메뉴 버튼을 일정 시간 이상 프레스하면 선 굵기 표시창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서로 다른 선 굵기가 미리 정해진 최소 굵기에서 미리 정해진 최대 굵기까지 차례로 전환되면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1 독립형 메뉴 버튼의 프레스 조작을 종료하면, 그 종료 시점에서 표시되는 선 굵기가 선택되어 해당 선 굵기로 필기/드로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2 독립형 메뉴 버튼의 탭 조작을 통해 페이지 레벨과 노트 레벨 사이의 상호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3 독립형 메뉴 버튼을 일정 시간 이상 프레스하면 채도 표시창에 해당 색상의 채도가 미리 정해진 최소 값부터 미리 정해진 최대 값까지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3 독립형 메뉴 버튼의 프레스 조작을 종료하면, 그 종료 시점에서 표시되는 채도가 선택되어 해당 채도로 필기/드로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색상이 무채색이면 색상의 채도대신 밝기(농담)가 미리 정해진 최소 값부터 미리 정해진 최대 값까지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7 독립형 메뉴 버튼을 탭하면 현재 페이지를 이메일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팝 업이 생성되고, 팝 업의 메뉴 선택을 통해 해당 메뉴로 현재 페이지를 이메일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현재 페이지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펜 이벤트와 터치 이벤트 모두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그래픽적인 표현을 통해 독립형 메뉴 버튼이 탄성(彈性)을 가진 것처럼 동작하도록 표현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그래픽적인 표현을 통해 독립형 메뉴 버튼이 자성(磁性)을 가진 것처럼 동작하도록 표현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노트 레벨일 때 확장형 메뉴 버튼의 탭 조작에 의해 노트 레벨의 작업 메뉴를 포함하는 제 1 노트 레벨 팝 업이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1 노트 레벨 팝 업은, 새로운 노트를 생성하기 위한 <새로운 노트 생성> 메뉴와; 이미 생성되어 있는 PDF 파일을 불러오기 위한 <PDF 불러오기> 메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새로운 노트 생성>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노트 커버 이미지와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고, 노트 커버 이미지의 상단에는 노트의 제목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창을 표시하며, 가상 키보드를 통해 노트의 제목을 수신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수신된 제목의 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PDF 불러오기>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이미 저장되어 있는 PDF 파일들의 목록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PDF 파일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선택된 PDF 파일의 불러오기를 진행하며, 불러온 PDF 파일들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선택된 PDF 파일의 불러오기를 진행할 때 불러오기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진행 상태 표시창을 통해 선택한 PDF 파일의 불러오기 진행 상태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노트 레벨일 때 확장형 메뉴 버튼을 프레스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노트를 선택하면 노트 레벨의 작업 메뉴를 포함하는 제 2 노트 레벨 팝 업이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2 노트 레벨 팝 업은, 노트를 복사하기 위한 <복사> 메뉴와; 노트를 잘라내기 위한 <잘라내기> 메뉴와; 노트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메뉴와; 노트를 PDF 파일로 변환 후 메일에 첨부하여 전송하기 위한 <PDF파일로 메일 보내기> 메뉴와; 노트의 커버 이미지를 바꾸기 위한 <커버 바꾸기> 메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복사>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복사를 위해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노트를 붙여넣기 할 위치를 수신하고, 붙여넣기 할 위치의 수신에 응답하여 복사 메뉴 팝 업을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복사 메뉴 팝 업의 메뉴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선택에 응답하여 해당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복사 메뉴 팝 업은, 복사한 노트를 선택한 위치의 노트보다 순서 상 앞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앞에 붙여넣기> 메뉴와; 복사한 노트를 선택한 위치의 노트보다 순서 상 뒤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뒤에 붙여넣기> 메뉴와; 복사한 노트의 내용을 포함하는 새로운 노트를 생성하기 위한 <노트 생성>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잘라내기>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잘라내기를 위해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노트를 붙여넣기 할 위치를 수신하고, 붙여넣기 할 위치의 수신에 응답하여 잘라내기 메뉴 팝 업을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며, 잘라내기 메뉴 팝 업의 메뉴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선택에 응답하여 해당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잘라내기 메뉴 팝 업은, 잘라내기한 노트를 선택한 위치의 노트보다 순서 상 앞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앞에 붙여넣기> 메뉴와; 잘라내기한 노트를 선택한 위치의 노트보다 순서 상 뒤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뒤에 붙여넣기> 메뉴와; 잘라내기한 노트의 내용을 포함하는 새로운 노트를 생성하기 위한 <노트 생성>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삭제>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노트를 삭제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PDF 파일로 메일 보내기>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한 노트를 PDF 파일로 변환하며; 이메일 작성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이메일 작성 화면에 변환된 PDF 파일이 자동으로 첨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이메일 작성 화면은, 수신자 이메일 계정과 참조 이메일 계정, 제목, 파일 첨부를 위한 입력 창과; 본문 입력 창과; 가상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커버 바꾸기>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커버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커버의 선택을 수신하며, 선택된 노트의 커버를 선택된 새로운 커버로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커버는 태블릿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커버는 온라인 마켓에서 구입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커버는 커스텀 제작되어 배포되는 커스텀 커버일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페이지 레벨일 때 확장형 메뉴 버튼의 탭 조작에 의해 페이지 레벨의 작업 메뉴를 포함하는 제 1 페이지 레벨 팝 업이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1 페이지 레벨 팝 업은,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새로운 페이지 생성> 메뉴와; 이미 생성되어 있는 PDF 파일을 불러오기 위한 <PDF 불러오기> 메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새로운 페이지 생성>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PDF 불러오기>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이미 저장되어 있는 PDF 파일들의 목록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PDF 파일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선택된 PDF 파일을 불러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선택된 PDF 파일의 불러오기를 진행할 때 선택된 PDF 파일들을 불러오면서 불러오기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진행 상태 표시창을 통해 선택한 PDF 파일의 불러오기 진행 상태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페이지 레벨일 때 확장형 메뉴 버튼을 프레스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선택하면 페이지 레벨의 작업 메뉴를 포함하는 제 2 페이지 레벨 팝 업이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2 페이지 레벨 팝 업은, 페이지를 복사하기 위한 <복사> 메뉴와; 페이지를 잘라내기 위한 <잘라내기> 메뉴와; 페이지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메뉴와; 페이지를 PDF 파일로 변환 후 메일에 첨부하여 전송하기 위한 <PDF파일로 메일 보내기> 메뉴와; 페이지의 속지 이미지를 바꾸기 위한 <속지 바꾸기> 메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복사>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복사를 위해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붙여넣기 할 위치를 수신하고, 붙여넣기 할 위치의 수신에 응답하여 복사 메뉴 팝 업을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며, 복사 메뉴 팝 업의 메뉴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선택에 응답하여 해당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복사 메뉴 팝 업은, 복사한 페이지를 선택한 위치의 페이지보다 순서 상 앞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앞에 붙여넣기> 메뉴와; 복사한 페이지를 선택한 위치의 페이지보다 순서 상 뒤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뒤에 붙여넣기> 메뉴와; 복사한 페이지의 내용을 포함하는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페이지 생성>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잘라내기>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잘라내기를 위해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붙여넣기 할 위치를 수신하고, 붙여넣기 할 위치의 수신에 응답하여 잘라내기 메뉴 팝 업을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며, 잘라내기 메뉴 팝 업의 메뉴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선택에 응답하여 해당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잘라내기 메뉴 팝 업은, 잘라내기한 페이지를 선택한 위치의 페이지보다 순서 상 앞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앞에 붙여넣기> 메뉴와; 잘라내기한 페이지를 선택한 위치의 페이지보다 순서 상 뒤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뒤에 붙여넣기> 메뉴와; 잘라내기한 페이지의 내용을 포함하는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페이지 생성>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삭제>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삭제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PDF 파일로 메일 보내기>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한 페이지를 PDF 파일로 변환하며; 이메일 작성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이메일 작성 화면에 변환된 PDF 파일이 자동으로 첨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이메일 작성 화면은, 수신자 이메일 계정과 참조 이메일 계정, 제목, 파일 첨부를 위한 입력 창과; 본문 입력 창과; 가상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속지 바꾸기>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선택을 수신하며, 선택된 페이지의 속지를 선택된 새로운 속지로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속지는 태블릿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속지는 온라인 마켓에서 구입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속지는 커스텀 제작되어 배포되는 커스텀 속지일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디스플레이에서의 줌 아웃 동작을 통해 노트 레벨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노트의 수가 증가하고; 디스플레이에서의 줌 인 동작을 통해 노트 레벨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노트의 수가 감소하며; 확장형 메뉴 버튼을 프레스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에서의 드래그 동작을 통해 노트 레벨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복수의 노트가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을 프레스하지 않은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에서의 드래그 동작을 통해 노트 레벨에서 화면 넘기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디스플레이에서의 줌 아웃 동작을 통해 페이지 레벨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수가 증가하고; 디스플레이에서의 줌 인 동작을 통해 페이지 레벨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수가 감소하며; 확장형 메뉴 버튼을 프레스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에서의 드래그 동작을 통해 페이지 레벨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복수의 페이지가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을 프레스하지 않은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에서의 드래그 동작을 통해 페이지 레벨에서 화면 넘기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디스플레이에서의 줌 인 동작 및 줌 아웃 동작을 통해 노트 레벨과 페이지 레벨 각각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노트의 수가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감소 또는 증가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줌인 동작에 의해 16노트-4노트-1노트-16페이지-4페이지-1페이지의 순서로 표시가 이루어지고; 줌 아웃 동작에 의해 1페이지-4페이지-16페이지-1노트-4노트-16노트의 순서로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그래픽적인 표현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테두리 중 제 1 구간이 자성을 갖도록 표현되어 제 1 테두리 구간에 독립형 메뉴 버튼이 달라붙도록 표현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그래픽적인 표현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테두리 중 제 2 테두리 구간이 휴지통으로 작용하도록 표현되어 단위 메뉴 버튼과 컨텐츠가 제 2 테두리 구간을 통과하면서 삭제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2 테두리 구간을 통해 삭제된 단위 메뉴 버튼이 확장형 메뉴 버튼을 통해 복원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 2 테두리 구간을 통해 삭제된 컨텐츠가 복원 명령을 통해 복원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에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필기/드로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태블릿에 펜/스타일러스 기반의 입력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입력 작업의 연속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크게 개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태블릿의 제어 계통을 제어 모듈 단위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모듈들의 터치/펜 이벤트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태블릿의 제어 계통을 장치 단위로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태블릿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의 왼손 사용자 모드(제 2 모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의 오른손/왼손 사용자 모드의 자동 전환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의 오른손/왼손 사용자 모드의 수동 전환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태블릿의 회전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 자동 전환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에서의 다양한 조작(Interaction)의 범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확장형 메뉴 버튼의 확장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색상 설정 메뉴 버튼을 통한 색상 설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툴 설정 메뉴 버튼을 통한 툴 설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툴 설정 메뉴 버튼의 사각 영역 선택 툴을 이용한 사각 영역 선택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툴 설정 메뉴 버튼의 자유 영역 선택 툴을 이용한 자유 영역 선택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툴 설정 메뉴 버튼의 붙여넣기 툴을 이용한 붙여넣기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툴 설정 메뉴 버튼의 이미지 불러오기 툴을 이용한 이미지 불러오기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확장형 메뉴 버튼의 확장된 영역에 존재하는 하위 메뉴 버튼들을 확장된 영역 밖으로 인출하여 독립형 메뉴 버튼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의 빠른 선 굵기 전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0은 <홈(Home)> 메뉴 버튼의 탭 조작을 통해 페이지 레벨과 노트 레벨 사이의 상호 전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의 빠른 채도/밝기 전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에서의 펜 기반의 입력 모드와 터치 기반의 입력 모드의 선택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3은 실행 취소(Undo) 및 반복 실행(Redo)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4는 현재의 페이지를 이메일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5는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의 빠른 지우개 모드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태블릿의 독립형 메뉴 버튼의 제 1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태블릿의 독립형 메뉴 버튼의 제 2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태블릿의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테두리(boundary)에 부여된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태블릿의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테두리(boundary)에 부여된 또 다른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태블릿의 노트 레벨에서의 확장형 메뉴 버튼의 탭 조작을 통한 메뉴 호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2는 도 31의 팝 업에서 <새로운 노트 생성>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노트 레벨에서 새로운 노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3은 도 31의 팝 업에서 <PDF 불러오기>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노트 레벨에서 PDF 파일을 불러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태블릿의 노트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의 프레스 조작을 통한 메뉴 호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5는 도 34의 팝 업의 <복사>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노트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노트를 복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6은 도 34의 팝 업의 <잘라내기>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노트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노트를 잘라내기 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7은 도 34의 팝 업에서 <삭제>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노트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노트를 삭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8은 도 34의 팝 업의 <PDF 파일로 메일 보내기>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노트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노트를 PDF 파일로 변환하여 메일에 첨부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9는 도 34의 팝 업의 <커버 바꾸기>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노트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노트의 커버를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0은 본 발명의 태블릿의 페이지 레벨에서의 확장형 메뉴 버튼의 탭 조작을 통한 메뉴 호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1은 도 40의 팝 업의 <새로운 페이지 생성>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페이지 레벨에서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2는 도 40의 팝 업의 <PDF 파일로 불러오기>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페이지 레벨에서 PDF 파일을 불러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3은 본 발명의 태블릿의 페이지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의 프레스 조작을 통한 메뉴 호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4는 도 43의 팝 업의 <복사>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페이지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페이지를 복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5는 도 43의 팝 업의 <잘라내기>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페이지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페이지를 잘라내기 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6은 도 43의 팝 업에서 <삭제>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페이지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페이지를 삭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7은 도 43의 팝 업의 <PDF 파일로 메일 보내기>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페이지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페이지를 PDF 파일로 변환하여 메일에 첨부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8은 도 43의 팝 업의 <속지 바꾸기>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페이지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페이지의 속지를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9는 본 발명의 태블릿에서의 레이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0은 이미 생성되어 있는 문서/이미지를 배경 레이어로 하는 필기/드로잉 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1은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전체를 필기/드로잉 영역으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2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의 확장형 메뉴 버튼과 터치 동작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작업을 나타낸 도면.
도 53은 줌 인과 줌 아웃에 의한 노트 레벨과 페이지 레벨 사이의 화면 표시 전환을 나타낸 도면.
도 54는 본 발명의 태블릿의 화면 넘기기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5는 본 발명의 태블릿에서 동영상 재생과 필기/드로잉의 동시 수행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 기기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컨텐츠를 표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로써, 예를 들면,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PC)(이하 태블릿이라 함),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디지털 액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태블릿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왼손 사용자는 주로 왼손으로 펜을 파지한 채 필기나 드로잉 등의 정보 입력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이고, 오른손 사용자는 주로 오른손으로 펜을 파지한 채 필기나 드로잉 등의 정보 입력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이다. 또한, 왼손 사용자 모드는 사용자가 주로 왼손으로 펜을 파지한 채 필기나 드로잉 등의 정보 입력 작업을 수행하는 모드이고, 오른손 사용자 모드는 사용자가 주로 오른손으로 펜을 파지한 채 필기나 드로잉 등의 정보 입력 작업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100)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블릿(100)은 베젤(110)에 의해 그 외형이 한정되고, 디스플레이(102)가 베젤(110)에 의해 지지된다. 디스플레이(102)의 가로:세로 비율은 국제 표준 용지 규격의 가로:세로 비율을 따른다. 즉, 디스플레이(102)의 긴 쪽과 짧은 쪽의 비율이 약 1.414:1의 비율을 갖는다. 태블릿(100)의 디스플레이(102)는 디스플레이(102) 상에 정보를 표시하면서, 이와 함께 펜 기반의 입력 또는 터치 기반의 입력이 가능하다. 펜 기반의 입력은 펜(108)(또는 스타일러스)을 이용하는 입력 방식이고, 터치 기반의 입력은 손가락과 같은 신체의 일부를 이용하는 입력 방식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펜(108)은 스타일러스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02)의 입력 영역은, 펜 기반의 입력만을 허용하는 제 1 입력 영역과 펜 기반의 입력 및 터치 기반의 입력을 모두 허용하는 제 2 입력 영역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면, 펜 기반의 입력만을 허용하는 제 1 입력 영역은 사용자가 펜(108)을 이용하여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영역이고, 펜 기반의 입력 및 터치 기반의 입력을 모두 허용하는 제 2 입력 영역은 메뉴 선택 또는 옵션 설정 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이다. 필요에 따라 제 1 입력 영역과 제 2 입력 영역 모두 펜 기반의 입력과 터치 기반의 입력이 모두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펜(108)을 이용하여 필기하거나 그림을 그리는 입력을 펜 기반의 입력으로 정의하고, 손가락 등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컨텐츠를 탭(Tap)/프레스(Press)/드래그(Drag) 하는 것을 터치 기반의 입력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100)의 베젤(110)에는 적어도 두 개의 근접 센서(112a)(112b)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근접 센서(112a)(112b)는 사용자의 두 손(106L)(106R) 가운데 어느 하나가 태블릿(100)의 베젤(110)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106L)(106R)의 접근 유무에 따라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숨기거나 표시한다. 즉, 사용자의 손(106L)(106R)이 베젤(11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있지 않으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102) 상에 표시하지 않다가(숨김), 사용자의 손(106L)(106R)이 베젤(11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면 숨어 있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102)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처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감추었다가 필요한 경우에만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102)의 입력 영역 전체를 필기/드로잉을 위한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근접 센서(112a)(112b)의 설치 위치는 왼손 사용자와 오른손 사용자 모두를 고려하여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태블릿(100)의 서로 반대쪽 양 측면에 각각 하나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태블릿(100)의 또 다른 위치에 더 많은 근접 센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근접 센서(112a)(112b)를 통해 태블릿(100)의 어느 방향에서 사용자의 손(106L)(106R)이 접근하는지를 검출하고, 그 접근 방향에 따라 오른손 사용자 모드와 왼손 사용자 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왼손의 접근이 검출되면 오른손 사용자 모드로 설정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의 왼쪽에 표시하고, 오른손의 접근이 검출되면 왼손 사용자 모드로 설정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의 오른쪽에 표시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태블릿(100)의 제어 계통을 제어 모듈 단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화살표는, 화살표의 시작점에 있는 모듈이 화살표로 지시된 모듈의 자원을 이용하는 개념을 나타낸다. 팔레트 모듈(Palette Module)(202)은 사용자 이벤트(펜 이벤트 또는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벤트에 상응하는 명령을 뷰 모듈(View Module)(204)에 내린다. 펜 관리자 모듈(Pen Manager Module)(206)은 적어도 하나의 펜 엔진(206a)을 통해 펜 객체를 생성한다.
이 가운데 뷰 모듈(204)은, 팔레트 모듈(202)로부터 받은 명령을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하위 모듈에 전달한다. 뷰 모듈(204)의 하위 모듈은 캔버스 뷰 모듈(Canvas View Module)(208)과 노트 관리자 모듈(Note Manager Module)(210), 업 페이지 뷰 모듈(UpPage View Module)(212), 컬 뷰 모듈(Curl View Module)(214)이 있다. 캔버스 뷰 모듈(208)은 내부적으로 레이어 관리자 모듈(Layer Manager Module)(208a)과 레이어(Layer)(208b)를 갖는다. 캔버스 뷰 모듈(208)은, 뷰 모듈(204)로부터 펜 객체를 받고, 레이어 관리자 모듈(208a)로부터 그리고자 하는 비트맵(Bitmap)을 받으며, 사용자 이벤트에 응답하여 드로잉(그리기)을 수행한다. 캔버스 뷰 모듈(208)의 레이어 관리자 모듈(208a)은 노트 관리자 모듈(210)로부터 현재 페이지 객체를 받으며, 레이어(208b)의 액션 히스토리를 관리한다. 캔버스 뷰 모듈(208)의 레이어(208b)는 필기 또는 그림이 수정될 때마다 액션 히스토리 객체를 만들어 저장한다. 노트 관리자 모듈(210)은, 내부에 노트(Note)(210a)를 가지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어플로 줄여서 표현하기도 함)이 가진 노트(210a)의 페이지(210b)의 정보를 관리한다. 각각의 페이지(210b)는 해당 페이지(210b)가 가지는 비트맵을 저장하거나 불러온다. 업 페이지 뷰 모듈(212)은 노트 관리자 모듈(210)로부터 페이지(210b)의 비트맵을 받아 해당 비트맵을 사용자 이벤트에 따라 출력하여 화면이 구성되도록 한다. 컬 뷰 모듈(214)은 노트 관리자 모듈(210)로부터 페이지(210b)의 비트맵을 받아 해당 비트맵을 사용자 이벤트에 따라 애니메이션으로 출력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모듈들의 터치/펜 이벤트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점선 화살표는 터치 기반의 입력에 따른 이벤트(즉 터치 이벤트)에 따른 동작 관계를 나타내고, 2점 쇄선 화살표는 펜 기반의 입력에 따른 이벤트(즉 펜 이벤트)에 따른 동작 관계를 나타내며,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명령/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낸다.
캔버스 뷰 모듈(208)은 레이어 관리자 모듈(208a)에 드로잉 명령을 전달하여 그리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레이어 관리자 모듈(208a)은 노트 관리자 모듈(210)에 세이브 명령(SAVE)을 발생시켜서 그리기 작업에 의해 생성된 그림이 저장되도록 하거나, 로드 명령(LOAD)을 발생시켜서 이미 저장되어 있는 그림을 노트 관리자 모듈(210)로부터 가져오도록 한다. 노트 관리자 모듈(210)은 페이지(210b)로부터 비트맵을 가져와 업 페이지 뷰 모듈(212) 또는 컬 뷰 모듈(214)에 비트맵을 전송한다. 업 페이지 뷰 모듈(212)은 노트 관리자 모듈(210)로부터 비트맵을 수신하여 터치 이벤트에 맞는 화면을 구성한다. 컬 뷰 모듈(214)은 노트 관리자 모듈(210)로부터 비트맵을 수신하여 터치 이벤트에 맞는 애니메이션을 구현한다. 팔레트 모듈(202)은 터치 이벤트 또는 펜 이벤트에 응답하여 드로잉에 사용되는 도구(SETPEN)를 캔버스 뷰 모듈(208)에 제공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태블릿(100)의 제어 계통을 장치 단위로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402)는 중앙 처리 장치(CPU)로서 태블릿(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며, 이를 위해 메모리(404)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제어에 필요한 명령어를 발생시킨다.
제어부(402)에는 근접 센서(112a)(112b)와 가속도 센서(406b), 광 센서(406c)가 센서 구동부(406)를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센서 구동부(406)는 각각의 센서마다 독립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근접 센서(112a)(112b)는,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태블릿(100)에 접근하는지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앞서 도 1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 근접 센서(112a)(112b)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왼손 사용자인지 오른손 사용자인지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위치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 근접 센서(112a)(112b)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손이 태블릿(100)에 접근할 때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102)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손이 태블릿(100)으로부터 멀어지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102) 상에서 감출수도 있다. 근접 센서(112a)(112b)는 고주파 발진형 센서나 정전 용량형 센서, 자기형 센서, 광전형 센서, 초음파형 센서 가운데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가속도 센서(406b)는, 태블릿(100)이 움직일 때 가속도와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블릿(100)의 운동 상태를 검출하는데 이용된다. 가속도 센서(406b)는 자이로스코프 센서일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회전 요소를 포함하는 총 6축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어 회전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일반적인 가속도 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정밀하게 태블릿9100)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광 센서(406c)는,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센서(406c)는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통해 투사되는 광 신호를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광 센서(406c)는 태블릿(100) 주변의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조도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2)에는 통신부(410)와 오디오 신호 처리부(412)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통신부(410)는 외부 포트를 통한 다른 장치들과의 유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 안테나(410a)를 통해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외부 포트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나 파이어와이어(FireWire) 포트와 같이 외부 기기를 직접 연결할 수 있는 통신 포트일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412)는 사용자와 태블릿(1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412)는 오디오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412a)로 전송하거나, 음파가 마이크(412b)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 것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디스플레이(102)는 디스플레이 구동부(414)를 통해 제어부(402)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디스플레이(102)는 터치 스크린(102a)과 디스플레이 패널(102b)로 이루어진다. 터치 스크린(102a)은 디스플레이 패널(102b)에 대해 전면 배치와 후면 배치, 양면 배치 가운데 어느 하나의 배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102a)이 감압식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102b)이 액정 표시 장치(LCD)이면 터치 스크린(102a)은 디스플레이 패널(102b)의 앞쪽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2b)이 플렉시블(flexible)한 전자 종이이면 터치 스크린(102a)은 디스플레이 패널(102b)의 앞쪽과 뒤쪽 가운데 어느 한 쪽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2a)이 정전 용량 방식일 때, 터치 스크린(102a)은 디스플레이 패널(102b)의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2a)이 전자기 유도 방식일 때, 터치 스크린(102a)은 디스플레이 패널(102b)의 뒤쪽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입력을 위한 정전 용량 터치 패널과 펜 입력을 위한 전자기 유도 패널이 모두 사용되는 경우에는, 정전 용량 터치 패널을 디스플레이 패널(102b)의 앞쪽에 배치하고 전자기 유도 패널을 디스플레이 패널(102b)의 뒤쪽에 배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태블릿(100)의 디스플레이(102) 상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4)가 표시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는 확장형 메뉴 버튼(104a)과 독립형 메뉴 버튼(104b)(104c)(104d)(104e)(104f)(104g)(104h)(104k)(104m)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독립형 메뉴 버튼(104b)(104c)(104d)(104e)(104f)(104g)(104h)(104k)(104m) 전체를 대표하는 명칭으로서 독립형 메뉴 버튼 (104b)-(104m)을 사용하고자 한다.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은 탭(짧은 시간 동안 터치 후 손을 뗌) 조작을 통해 더 크게 확장되어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더 많은 하위 메뉴 버튼들을 보여준다(도 11 참조). 또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은 프레스(터치 상태를 일정 시간 이상 계속 유지함) 조작을 통해 펜 이벤트가 지우개로 동작하여 그림이나 글씨의 삭제가 가능하도록 한다(도 26 참조).
독립형 메뉴 버튼(104b)-(104m)은 <펜 굵기 조절 / 펜 선택(104b)>과 <홈(Home)(104c)>, <색상 선택 / 채도 조절(104d)>, <펜/터치 토글(104e)>, <실행 취소(Undo)(104f)>, <재실행(Redo)(104g)>, <SNS(104h)>, <페이지 생성(104k)>, <클리어(Clear)(104m)> 등의 메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펜 굵기 조절 / 펜 선택(104b)> 메뉴 버튼은, 제 1 독립형 메뉴 버튼으로서, 일정 시간 이상의 프레스 조작을 통해 선 굵기 조절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탭 조작을 통해 미리 정해진 다양한 종류의 펜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홈(Home)(104c)> 메뉴 버튼은, 제 2 독립형 메뉴 버튼으로서, 페이지 레벨과 노트 레벨 사이의 전환을 위한 것이다. 노트 레벨은 노트를 복사/삭제/수정할 수 있는 모드이다. <색상 선택 / 채도 조절(104d)> 메뉴 버튼은, 제 3 독립형 메뉴 버튼으로서, 기본적으로 특정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채색인 경우 해당 독립형 메뉴 버튼의 일정 시간 이상의 프레스 조작을 통해 채도 조절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무채색인 경우에는 해당 독립형 메뉴 버튼의 일정 시간 이상의 프레스 조작을 통해 농담(gradation) 조절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펜/터치 토글(104e)> 메뉴 버튼은, 제 4 독립형 메뉴 버튼으로서, 펜 기반의 입력과 터치 기반의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실행 취소(Undo)(104f)> 메뉴 버튼은, 제 5 독립형 메뉴 버튼으로서, 미리 정해진 회수(예를 들면 1회)의 단위 작업을 취소하고 이전 상태를 복구하기 위한 것이다. <재실행(Redo)(104g)> 메뉴 버튼은, 제 6 독립형 메뉴 버튼으로서, <실행 취소(Undo)(104f)> 메뉴를 통해 복구된 단위 작업을 미리 정해진 회수만큼(예를 들면 1회) 취소한다. <SNS(104h)> 메뉴 버튼은, 제 7 독립형 메뉴 버튼으로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나 이메일 서비스를 통해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페이지 생성(104k)> 메뉴 버튼은, 제 8 독립형 메뉴 버튼으로서, 현재의 페이지 다음에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추가)하기 위한 것이다. <클리어(Clear)(104m)> 메뉴 버튼은, 제 9 독립형 메뉴 버튼으로서,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있는 현재 페이지의 필기/드로잉 내용을 모두 삭제하여 페이지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4)의 모든 구성 요소들은 펜 이벤트와 터치 이벤트 모두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는, 오른손 사용자 모드(제 1 모드)일 때와 왼손 사용자 모드(제 2 모드)일 때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된다. 오른손 사용자 모드는 사용자가 오른손(106R)으로 펜(108)을 파지하고 펜(108)을 이용한 필기/드로잉 등의 방법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모드이며, 왼손 사용자 모드는 사용자가 왼손(106L)으로 펜(108)을 파지하고 펜(108)을 이용한 필기/드로잉 등의 방법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모드이다. 여기서 정보의 입력은 펜(108)을 잡은 손을 통해 이루어지는 터치 기반의 입력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100)에서는,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오른손 사용자 모드일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의 왼쪽에 표시함으로써 오른손을 이용한 정보 입력과 왼손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4)의 조작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오른손 사용자 모드에서 사용자가 오른손(106R)으로 펜(108)을 파지한 채 필기나 드로잉 등의 정보 입력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왼손(106L)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조작할 수 있다. 필기나 드로잉 등의 정보 입력 작업을 수행하던 오른손(106R)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조작하게 되면 수행 중이던 작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해야 하기 때문에 정보 입력 작업의 연속성이 결여되지만,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오른손 사용자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의 왼쪽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배치하면 사용자가 입력 작업 중인 오른손(106R)을 디스플레이(102)에서 떼지 않고 수행 중이던 필기나 드로잉 등의 정보 입력 작업을 계속하면서 왼손(106L)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조작할 수 있어 오른손(106R)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정보 입력 작업의 연속성이 확보되어 작업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100)의 왼손 사용자 모드(제 2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왼손 사용자 모드일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의 오른쪽에 표시함으로써, 왼손을 이용한 정보 입력과 오른손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4)의 조작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왼손 사용자 모드에서 사용자가 왼손(106L)으로 펜(108)을 파지한 채 필기나 드로잉 등의 정보 입력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오른손(106R)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조작할 수 있다. 필기나 드로잉 등의 정보 입력 작업을 수행하던 왼손(106L)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조작하게 되면 수행 중이던 작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해야 하기 때문에 정보 입력 작업의 연속성이 결여되지만,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왼손 사용자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의 오른쪽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배치하면 사용자가 입력 작업 중인 왼손(106L)을 디스플레이(102)에서 떼지 않고 수행 중이던 필기나 드로잉 등의 정보 입력 작업을 계속하면서도 오른손(106R)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조작할 수 있어 왼손(106L)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정보 입력 작업의 연속성이 확보되어 작업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른손(106R)을 이용하여 정보 입력을 수행하는 오른손 사용자 모드(제 1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의 왼쪽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표시하고, 왼손(106L)을 이용하여 정보의 입력을 수행하는 왼손 사용자 모드(제 2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의 오른쪽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표시함으로써 정보 입력 작업의 연속성 확보를 통해 작업 효율의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100)의 오른손/왼손 사용자 모드의 자동 전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자동 전환 방법에서는 근접 센서(112a)(112b)를 통해 사용자 신체의 접근을 검출하여 그 검출 결과에 따라 오른손 사용자 모드와 왼손 사용자 모드 사이의 상호 전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환경 설정 메뉴를 통해 근접 센서(112a)(112b)의 활성화를 선택하는 외부 입력이 발생하면, 태블릿(100)의 제어부(402)는 이 외부 입력(즉 선택)에 응답하여 근접 센서(112a)(112b)를 활성화시킨다(702). 활성화된 두 개의 근접 센서(102a)(102b)는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면 왼손 또는 오른손)가 접근하는지를 검출한다(704). 제어부(402)는 근접 센서(102a)(102b)의 검출 결과에 따라 오른손 사용자 모드 또는 왼손 사용자 모드를 설정한다. 만약 도 1의 태블릿(100)에서 왼쪽 근접 센서(102a)에 사용자 신체(예를 들면 왼손)의 접근이 검출되면, 제어부(402)는 사용자의 왼손이 태블릿(100)의 왼쪽에 접근하고 오른손을 통해 펜 기반의 입력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태블릿(100)을 오른손 사용자 모드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의 왼쪽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표시한다(706)(도 5 참조). 반대로 도 1의 태블릿(100)의 오른쪽 근접 센서(102b)에 사용자 신체(예를 들면 오른손)의 접근이 검출되면, 제어부(402)는 사용자의 오른손이 태블릿(100)의 오른쪽에 접근하고 왼손을 통해 펜 기반의 입력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태블릿(100)의 동작 모드를 왼손 사용자 모드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의 오른쪽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표시한다(708)(도 6 참조). 이와 같은 동작 모드의 상호 전환은 두 개의 근접 센서(102a)(102b) 중 어느 것에 인체의 접근이 검출되는지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설정된 자동 전환 모드는, 사용자가 근접 센서(102a)(102b)를 비활성화시킨 후 환경 설정 메뉴를 통해 오른손/왼손 사용자 모드를 직접 설정할 때까지 계속 유지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100)의 오른손/왼손 사용자 모드의 수동 전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수동 전환 방법에서는 근접 센서(112a)(112b)를 비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환경 설정 메뉴를 통해 직접 선택한 동작 모드에 따라 오른손 사용자 모드와 왼손 사용자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 모드가 고정된다. 즉, 사용자가 환경 설정 메뉴를 통해 근접 센서(112a)(112b)의 비활성화를 선택하면, 태블릿(100)의 제어부(402)는 이 선택을 수신하여 근접 센서(112a)(112b)를 비활성화 시킨다(802). 비활성화된 두 개의 근접 센서(102a)(102b)는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면 왼손 또는 오른손)가 접근하더라도 반응하지 않는다. 대신 제어부(402)는 환경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오른손 사용자 모드와 왼손 사용자 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외부 입력을 수신한다(804). 만약 사용자가 오른손 사용자 모드를 선택하면 태블릿(100)의 동작 모드를 오른손 사용자 모드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의 왼쪽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표시한다(806)(도 5에 도시된 상태 참조). 반대로 사용자가 왼손 사용자 모드를 선택하면 태블릿(100)의 동작 모드를 왼손 사용자 모드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의 오른쪽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표시한다(808)(도 6에 도시된 상태 참조). 이와 같이 수동 전환 모드를 통해 직접 설정된 동작 모드는, 사용자가 환경 설정 메뉴를 통해 오른손/왼손 사용자 모드를 변경하거나, 근접 센서(102a)(102b)를 활성화시켜서 자동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때까지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 모드로 계속 유지된다.
도 9는 태블릿(100)의 회전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104)의 위치 자동 전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경우 태블릿(100)이 가로가 짧고 세로가 긴 포트레이트(portrait) 방향이지만,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태블릿(100)이 90도 회전하여 가로가 길고 세로가 짧은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방향으로 바뀌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04)의 위치 역시 디스플레이(102) 상에서 그 위치가 태블릿(10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90도만큼 자동으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104)의 위치가 태블릿(100)이 회전하기 이전과 동일하게 오른손 사용자 모드 또는 왼손 사용자 모드 각각에서 요구되는 적절한 위치에 있게 된다. 태블릿(100)의 회전은 가속도 센서(406b)(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통해 검출한다. 도 9에서 참조 부호 904는 태블릿(100)이 회전하기 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경 전 위치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는 태블릿(100)이 회전함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된 위치에 표시됨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100)에서의 다양한 조작(Interaction)의 범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는 <탭(Tap)> 조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디스플레이(102) 상의 어느 한 지점을 가볍게 터치한 다음 곧바로 손을 떼는 동작이다. 도 10의 (B)는 <드래그(Drag)> 조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디스플레이(102) 상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로 다른 지점까지 끌어서 이동하는 조작이다. 도 10의 (C)는 <넘기기(Flicking)> 조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디스플레이(102)의 표면을 마치 책장을 넘기듯이 일정 수준 이상의 속도로 넘기는(Flicking) 조작이다. 이 조작을 통해 화면 또는 페이지의 넘김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의 (D)는 <줌 인(Zoom-in)> 조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두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와 중지 또는 엄지와 약지 등)을 모은 채 디스플레이(102) 상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로 모았던 손가락을 벌리는 조작이다. 이 조작을 통해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는 화면이 확대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는 객체(예를 들면 노트 또는 페이지)의 수는 감소하되 각 객체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도 10의 (E)는 <줌 아웃(Zoom-out)> 조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두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와 중지 또는 엄지와 약지 등)을 서로 벌린 채 디스플레이(102) 상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로 벌렸던 손가락을 모으는 동작이다. 이 조작을 통해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는 화면이 축소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는 객체(예를 들면 노트 또는 페이지)의 수는 증가하되 각 객체의 크기는 감소할 수 있다. 도 10의 (F)는 <프레스(Press)> 조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손가락으로 디스플레이(102)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채로 유지하는 동작이다. 프레스 동작을 위해 하나의 손가락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의 (G)는 <필기/드로잉(Writing/Drawing)> 조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펜을 이용하여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조작이다. 도 10에 나타낸 조작 범례 중에서 (A)에서 (F)까지의 범례로 나타낸 조작들은 펜을 잡은 손과 펜을 잡지 않은 손을 서로 바꾸어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와 같은 도 10에 나타낸 다양한 조작 범례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100)의 또 다른 특징들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도시하는 손 모양 아이콘에서 T는 탭(TAP) 조작을, P는 프레스(PRESS) 조작을, D는 드래그(DRAG) 조작을, F는 넘기기(FLICKING) 조작을, ZI는 줌 인(ZOOM-IN) 조작을, ZO는 줌 아웃(ZOOM-OUT) 조작을 의미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4)의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의 확장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서, (A)에 나타낸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탭하면 (B)에 나타낸 것처럼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이 확장되면서 확장된 영역(1102)에 하위 메뉴 버튼(1104a)(1104b)(1104c)(1104d)(1104e)(1104f)(1104g)(1104h)이 표시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하위 메뉴 버튼들(1104a)(1104b)(1104c)(1104d)(1104e)(1104f)(1104g)(1104h)을 참조 부호 1104로 대표하여 지칭하고자 한다.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이 확장된 상태일 때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한 번 더 탭하면 (B)의 확장된 상태에서 (A)의 확장되기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하위 메뉴 버튼(1104)은, 색상 설명 메뉴 버튼(1104e)과 펜 설정 메뉴 버튼(1104f), 툴 설정 메뉴 버튼(1104g), 선 굵기 설정 메뉴 버튼(1104h)을 포함할 수 있다. 색상 설명 메뉴 버튼(1104e)은, 제 1 하위 메뉴 버튼으로서, 다양한 색상을 선택하여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펜 설정 메뉴 버튼(1104f)은, 제 2 하위 메뉴 버튼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펜을 선택하여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툴 설정 메뉴 버튼(1104g)은, 제 3 하위 메뉴 버튼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툴을 선택하여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 굵기 설정 메뉴 버튼(1104h)은, 제 4 하위 메뉴 버튼으로서, 선 굵기를 선택하여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확장된 상태의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의 디폴트 모드는 펜 설정 모드(1104f)로서, 펜(예를 들면 연필)(1104a)과 잉크 펜(1104b), 붓 펜(1104c), 하이라이팅 펜(1104d) 메뉴가 표시되며, 사용자는 펜(1104a)과 잉크 펜(1104b), 붓 펜(1104c), 하이라이팅 펜(1104d) 메뉴 가운데 원하는 펜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색상 설정 메뉴 버튼(1104e)은 확장된 영역(1102)에 색상 설정을 위한 다양한 메뉴들을 호출하기 위한 것이다. 색상 설정 메뉴 버튼(1104e)을 탭하면 확장된 영역(1102)에 색상 설정을 위한 다양한 메뉴들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 가운데 원하는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도 12 참조). 툴 설정 메뉴 버튼(1104g)은 확장된 영역(1102)에 다양한 툴 메뉴들을 호출하기 위한 것이다. 툴 설정 메뉴 버튼(1104g)을 탭하면 확장된 영역(1102)에 <자르기>, <붙이기>, <불러오기> 등의 다양한 툴 메뉴들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 툴 메뉴들 가운데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도 13-17 참조). 펜 설정 메뉴 버튼(1104f)을 탭하면 디폴트 모드인 펜 설정 모드로 복귀한다. 선 굵기 설정 메뉴 버튼(1104h)은 슬라이드 바 형태로서 슬라이드 방향에 따라 선 굵기가 가늘어지거나 굵어진다. 사용자는 선 굵기 설정 메뉴 버튼(1104h)의 슬라이드 조작을 통해 펜의 선 굵기를 원하는 대로 조정하고 선택할 수 있다.
도 12는 색상 설정 메뉴 버튼(1104e)을 통한 색상 설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색상 설정을 위한 샘플 색상 표시 방식은 색상환 표시 방식(도 12의 (A))과 허니콤 표시 방식(도 1의 (B))이 있다. 색상환 표시 방식은, 도 12의 (A)에 나타낸 것처럼, 연속된 띠 모양으로 다양한 색상을 표시함으로써 정밀한 색상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허니콤 표시 방식은, 도 12의 (B)에 나타낸 것처럼, 미리 정해진 표준 색상들을 일정 크기의 셀로 이루어지는 허니콤 구조로 표시함으로써 편리하게 원하는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허니콤 방식 외에 다른 모양(예를 들면 사각형이나 원형 등)으로 셀을 구성하여 색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2의 (A)와 같은 색상환 표시 방식일 때 색상 설정 메뉴 버튼(1104e)은 허니콤 모양으로 전환되며, 이 허니콤 모양의 색상 설정 메뉴 버튼(1104e)을 터치하면 도 9의 (B)와 같은 허니콤 표시 방식으로 전환된다. 반대로, 도 12의 (B)와 같은 허니콤 표시 방식일 때 색상 설정 메뉴 버튼(1104e)은 색상환 모양으로 전환되며, 이 색상환 모양의 색상 설정 메뉴 버튼(1104e)을 터치하면 도 12의 (A)와 같은 색상환 표시 방식으로 전환된다. 도 12의 (A)와 같은 색상환 표시 방식은 정밀한 색상의 선택이 가능하지만 동일 색상을 반복하여 선택하기에는 다소 불편하다. 왜냐하면 색상환에서의 미세한 위치 변화에 의해 선택되는 색상 역시 미세하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 도 12의 (B)와 같은 허니콤 표시 방식은 미리 정해진 색상만을 선택할 수 있어 색상 선택의 자유도는 상대적으로 떨어지지만, 동일 색상을 반복하여 설정하기에는 (A)의 방식보다 훨씬 더 편리하다. 왜냐하면 일정 크기의 허니콤각 각 셀마다 서로 다른 고정된 색상을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원하는 셀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해당 색상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3은 툴 설정 메뉴 버튼(1104g)을 통한 툴 설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의 (A)에 나타낸 것처럼, 툴 설정 메뉴 버튼(1104g)은 사각 영역 선택 툴(1302a)과 자유 영역 선택 툴(1302b), 붙여넣기 툴(1302c), 이미지 불러오기 툴(1302d)로 이루어진다. 사각 영역 선택 툴(1302a)은, 제 1 툴로서, 사각형 모양의 잘라내기/복사/삭제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자유 영역 선택 툴(1302b)은 제 2 툴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자유로운 모양의 잘라내기/복사/삭제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붙여넣기 툴(1302c)은 제 3 툴로서, 잘라내기/복사를 통해 선택한 대상을 원하는 위치에 붙여넣기 위한 것이다. 이미지 불러오기 툴(1302d)은 제 4 툴로서,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사진 또는 그림 등)를 불러오기 위한 것이다.
도 14는 툴 설정 메뉴 버튼(1104g)의 사각 영역 선택 툴(1302a)을 이용한 사각 영역 선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낸 것처럼, 확장된 영역(1102)에 표시되고 있는 사각 영역 선택 툴(1302a)을 탭하고(도 14의 (A)) 펜(108)을 디스플레이(102) 표면의 어느 한 점에서 다른 점으로 드래그하면 어느 한 점과 다른 점 사이의 거리를 대각선으로 하는 사각형(1402)이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며(도 14의 (B)), 이 사각형(1102)의 내부 영역이 잘라내기/복사/삭제의 대상이 된다. 사각형(1402)이 설정된 후 디스플레이(102)에서 펜(108)을 떼면 선택한 사각형 영역 내부의 대상을 잘라내기/복사/삭제할 것인지를 묻는 팝 업(1404)이 생성되며(도 14의 (C)), 사용자는 팝 업(1404)의 메뉴 선택을 통해 잘라내기/복사/삭제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툴 설정 메뉴 버튼(1104g)의 자유 영역 선택 툴(1302b)을 이용한 자유 영역 선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 나타낸 것처럼, 확장된 영역(1102)에 표시되고 있는 자유 영역 선택 툴(1302b)을 탭하고(도 15의 (A)) 펜(108)을 디스플레이(102) 표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으로 움직이면 펜(108)의 이동 궤적에 상응하는 모양의 도형(1502)이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며(도 15의 (B)), 이 도형(1502)의 내부 영역이 잘라내기/복사/삭제의 대상이 된다. 도형(1502)이 설정된 후 디스플레이(102)에서 펜(108)을 떼면 선택한 자유 영역 내부의 대상을 잘라내기/복사/삭제할 것인지를 묻는 팝 업(1504)이 생성되며(도 15의 (C)), 사용자는 팝 업(1504)의 메뉴 선택을 통해 잘라내기/복사/삭제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은 툴 설정 메뉴 버튼(1104g)의 붙여넣기 툴(1302c)을 이용한 붙여넣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도 14의 과정을 통해 잘라 내거나 복사한 데이터와 도 15의 과정을 통해 잘라 내거나 복사한 데이터가 클립보드에 임시로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붙여넣기 툴(1302c)을 탭 한 다음(도 16의 (A)) 신체의 일부(예를 들면 손가락)로 디스플레이(102) 상의 붙여넣기 할 위치(1602)를 드래그(또는 탭)한 후 펜(108)으로 디스플레이(102)를 탭하면(도 16의 (B)) 지정된 위치(1602)가 붙여넣기 할 위치가 맞는지를 확인하는 팝 업(1604)이 생성되며(도 16의 (C)), 사용자는 팝 업(1604)의 메뉴 선택을 통해 해당 위치에 붙여넣기 할 것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지정된 위치(1602)에 붙여넣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7은 툴 설정 메뉴 버튼(1104g)의 이미지 불러오기 툴(1302d)을 이용한 이미지 불러오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에 나타낸 것처럼, 확장된 영역(1102)의 이미지 불러오기 툴(1302d)을 탭하면(도 17의 (A)),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의 썸네일들(1706)이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된다(도 17의 (B)). 사용자는 탭 또는 드래그를 통해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한 다음 디스플레이(102) 상의 붙여넣기 할 위치(1702)를 드래그(또는 탭)한 다음 펜(108)으로 디스플레이(102)를 탭하면 지정된 위치에 이미지 붙여넣기가 수행되도록 할 것인지를 묻는 팝 업(1704)이 생성되며(도 17의 (C)), 사용자는 팝 업(1704)을 통해 해당 위치에 이미지 붙여넣기가 수행되도록 할 것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지정된 위치(1702)에 이미지 붙여넣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의 확장된 영역(1102)에 존재하는 하위 메뉴 버튼들을 확장된 영역(1102) 밖으로 인출하여 독립형 메뉴 버튼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확장했을 때 확장된 영역(1102)에 표시되는 하위 메뉴 버튼들을 확장된 영역(1102)의 밖으로 드래그 & 드롭을 통해 인출하면 확장된 영역(1102)의 밖에 해당 메뉴의 독립형 메뉴 버튼이 생성된다. 예를 들면, 도 18의 (A) 및 (B)에 나타낸 것처럼, 하위 메뉴 버튼인 색상 표시부(1802)를 확장된 영역(1102) 밖으로 드래그 & 드롭하면 현재 선택되어 있는 색상을 표시하고 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형 메뉴 버튼(1804)이 생성된다. 이 독립형 메뉴 버튼(1804)을 탭하면 해당 색상을 언제든지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빨간 색의 사용 빈도가 매우 높을 때 (A)의 색상환 또는 (B)의 허니콤에서 원하는 빨간 색을 선택하여 색상 표시부(1802)에 원하는 빨간 색이 표시되도록 한 다음, 색상 표시부(1802)의 빨간 색을 확장된 영역(1102) 밖으로 드래그 & 드롭하면 확장된 영역(1102)의 밖에 빨간 색을 선택할 수 있는 독립형 메뉴 버튼(1804)이 생성된다. 이후 사용자는 빨간 색을 선택하고자 할 때 이 독립형 메뉴 버튼(1804)을 탭하는 것만으로도 원하는 빨간 색을 즉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독립형 메뉴 버튼(1804)은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그 위치를 변경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100)의 빠른 선 굵기 전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펜 굵기 조절 / 펜 선택(104b)> 메뉴 버튼을 일정 시간 이상 프레스하면 선 굵기 표시창(1902)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서로 다른 선 굵기가 순서대로 표시된다. 즉, 도 19의 (A)-(B)-(C)-(D)-(E)의 순서로 선 굵기가 미리 정해진 최소 굵기에서 미리 정해진 최대 굵기까지 차례로 전환되면서 표시된다. 최대 굵기를 표시한 다음에는 (E)-(D)-(C)-(B)-(A)의 순서로 다시 최대 굵기에서 최소 굵기까지의 선 굵기가 반복적으로 표시된다. <펜 굵기 조절 / 펜 선택(104b)>에서 손을 떼어 프레스 상태가 종료되면, 그 종료 시점에서 표시되는 선 굵기로 필기/드로잉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펜 굵기 조절 / 펜 선택(104b)>의 프레스 조작을 통해 쉽고 빠르게 선 굵기를 조절 및 선택할 수 있다.
도 20은 <홈(Home)(104c)> 메뉴 버튼의 탭 조작을 통해 페이지 레벨과 노트 레벨 사이의 상호 전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A)에 나타낸 페이지 레벨에서 <홈(Home)(104c)> 메뉴 버튼을 탭하면 즉시 (B)의 노트 레벨로 복귀하여 노트 레벨에서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노트 레벨에서는 노트(2002)의 선택과 삭제, 복사, 새로운 노트의 생성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의 (B)에는 모두 11개의 노트가 표시되어 있다. 노트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탭하면 다시 페이지 레벨로 전환된다. 페이지 레벨에서는 필기와 드로잉, 삭제, 복사, 새로운 페이지의 생성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100)의 빠른 채도/밝기 전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색상 선택 / 채도 조절(104d)> 메뉴 버튼을 일정 시간 이상 프레스하면 채도 표시창(2102)에 해당 색상의 채도가 미리 정해진 최소 값부터 미리 정해진 최대 값까지 순서대로 표시된다. 즉, 도 21의 (A)-(B)-(C)-(D)-(E)의 순서로 채도가 미리 정해진 최소 값부터 미리 정해진 최대 값까지 차례로 전환되면서 표시된다. 최대 값의 채도를 표시한 다음에는 (E)-(D)-(C)-(B)-(A)의 순서로 다시 채도가 미리 정해진 최대 값부터 미리 정해진 최소 값까지 차례로 전환되면서 표시된다. <색상 선택 / 채도 조절(104d)> 메뉴 버튼에서 손을 떼어 프레스 상태가 종료되면, 그 시점에서 표시되는 유채색의 채도가 선택되어 해당 채도로 필기/드로잉이 이루어진다. 무채색의 경우 채도대신 밝기의 표시 및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색상 선택 / 채도 조절(104d)> 메뉴 버튼의 프레스 조작을 통해 쉽고 빠르게 색상의 채도 또는 밝기를 조절 및 선택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100)에서의 펜 기반의 입력 모드와 터치 기반의 입력 모드의 선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펜/터치 토글(104e)> 메뉴 버튼은 펜 기반의 입력 모드와 터치 기반의 입력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이 <펜/터치 토글(104e)> 메뉴 버튼을 탭할 때마다 펜 기반의 입력 모드와 터치 기반의 입력 모드 사이의 상호 전환(toggle)이 이루어진다. 도 22의 (A)는 터치 기반의 입력 모드인데, 이 상태에서 <펜/터치 토글(104e)> 메뉴 버튼을 탭하면 도 22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은 펜 기반의 입력 모드로 전환된다(메뉴 버튼 104e가 펜 모양으로 변경됨). 도 22의 (B)에 나타낸 펜 기반의 입력 모드에서 <펜/터치 토글(104e)> 메뉴 버튼을 한 번 더 탭하면 다시 도 22의 (A)에 나타낸 터치 기반의 입력 모드로 전환된다(메뉴 버튼 104e가 손 모양으로 변경됨).
도 23은 실행 취소(Undo) 및 반복 실행(Redo)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행 취소(Undo)(104f)> 메뉴 버튼은, 도 23의 (A)에 나타낸 것처럼, 가장 최근의 작업부터 그 이전 작업의 방향으로 하나의 단위 작업씩 그 실행을 취소하고 그 이전 상태로 복구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가장 최근에 <쓰기1 - 쓰기2 - 삭제1 - 쓰기3>의 순서로 작업이 이루어졌다면, <실행 취소(Undo)(104f)> 메뉴 버튼을 탭 조작할 때마다 그 역순인 <쓰기3 - 삭제1 - 쓰기2 - 쓰기1>의 순서로 그 실행이 취소된다. <재실행(Redo)(104g)> 메뉴 버튼은, 도 23의 (B)에 나타낸 것처럼, <실행 취소(Undo)(104f)> 메뉴 버튼을 통해 이루어진 단위 작업의 복구를 하나의 단위 작업씩 취소한다. 예를 들면 바로 위에서 <쓰기3 - 삭제1 - 쓰기2 - 쓰기1>의 순서로 그 실행이 취소되었던 것이 <재실행(Redo)(104g)> 메뉴 버튼을 터치할 때마다 그 역순인 <쓰기1 - 쓰기2 - 삭제1 - 쓰기3>의 순서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도 24는 현재의 페이지를 이메일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SNS(104h)> 메뉴 버튼은 SNS와 메일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통해 해당 페이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4의 (A)에 나타낸 <SNS(104h)> 메뉴 버튼을 탭하면, (B)에 나타낸 것과 같은 팝 업(2402)이 생성된다. 이 팝 업(2402)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소셜허브(Social Hub), 이메일(Email), 포토에디터(Photo Editor), 올셰어(Allshare), 드롭박스(Dropbox), 지메일(Gmail), 피카사(Picasa),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의 메뉴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중에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메뉴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셜허브를 통해 SNS에 컨텐츠를 업로드하거나, 이메일에 컨텐츠를 첨부하여 전송하거나, 포토에디터를 실행시켜서 이미지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여기서, 소셜허브는,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과 같은 다양한 SNS 서비스에 올라오는 글과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한자리에서 보여주는 통합 관리자이다. 올셰어는,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등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해준다. 무선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무선 공유기가 사용될 수 있다. 드롭박스는, 클라우드 서비스 중 하나이다. 지메일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이메일 서비스이다. 피카사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다른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도 있다. 블루투스(Bluetooth)와 소셜허브(Social Hub), 이메일(Email), 포토에디터(Photo Editor), 올셰어(Allshare), 드롭박스(Dropbox), 지메일(Gmail), 피카사(Picasa),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외에,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의 다른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5는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에 나타낸 것처럼 기존의 페이지(2502)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페이지 생성(104k)> 메뉴 버튼을 탭하면, 현재의 페이지 대신 새로운 페이지(2504)를 생성(추가)된다. 만약 현재 하나의 페이지도 생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비어있는 상태의 첫 번째 새 페이지가 생성된다. 만약 이미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가 생성되어 있다면, 현재의 페이지 다음에 비어있는 상태의 새로운 페이지가 추가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100)의 빠른 지우개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이 확장되지 않은 상태일 때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하면 펜을 이용하여 현재 페이지의 기록 내용을 지울 수 있다. 즉, 오른손 사용자 모드를 예로 들면, 왼손(106L)으로 통합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한 상태에서 즉시 오른손(106R)으로 펜(108)을 이용하여 삭제(erasing)와 기록(필기/드로잉)을 빠르게 전환하면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오른손 작업의 연속성이 확보되어 작업 효율이 크게 개선된다.
도 27은 본 발명의 태블릿(100)의 독립형 메뉴 버튼(2702)의 제 1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 1 특성은 탄성(彈性)으로서, 디스플레이(102) 상에서의 그래픽적인 표현을 통해 독립형 메뉴 버튼(2702)이 마치 탄성을 가진 것처럼 동작하도록 표현되는 특성이다. 즉, 도 27에 나타낸 것처럼, 독립형 메뉴 버튼(2702)에 대해 넘기기(Flicking) 조작을 가하면 해당 독립형 메뉴 버튼(2702)이 진행하다가 다른 대상(예를 들면 표시 영역의 테두리 또는 다른 독립형 메뉴 버튼)과 충돌하면서 탄성에 의해 방향이 바뀌고, 이후 속도가 감소하면서 서서히 멈추도록 표현된다(마치 당구대 위의 당구공의 움직임처럼). 독립형 메뉴 버튼(2702)의 속도와 이동 거리는 독립형 메뉴 버튼(2702)에 대해 가해지는 넘기기 조작의 강도에 따라 결정된다. 독립형 메뉴 버튼(2702)에 가해지는 넘기기 조작량이 클수록 독립형 메뉴 버튼(2702)의 속도와 이동 거리는 증가하고, 반대로 독립형 메뉴 버튼(2702)에 가해지는 넘기기 조작량이 작을수록 독립형 메뉴 버튼(2702)의 속도와 이동 거리는 감소한다. 이처럼 그래픽적인 표현을 통해 독립형 메뉴 버튼(2702)이 탄성을 갖도록 표현되어 마치 당구대 위의 당구공의 움직임과 유사한 형태의 동작 특성을 갖도록 구현함으로써, 독립형 메뉴 버튼(2702)을 이용한 캐주얼한 게임 요소 내지는 시각적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독립형 메뉴 버튼(2702) 외에도 컨텐츠의 아이콘(예를 들면 노트나 페이지의 아이콘 또는 이미지의 썸네일)도 탄성을 갖도록 표현함으로써 동일한 캐주얼한 게임 요소 내지는 시각적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독립형 메뉴 버튼(2702)의 제 1 특성인 탄성은 태블릿(100)의 환경 설정 메뉴를 통해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태블릿(100)의 독립형 메뉴 버튼(2802)의 제 2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 2 특성은 자성(磁性)으로서, 디스플레이(102) 상에서의 그래픽적인 표현을 통해 독립형 메뉴 버튼(2802)이 마치 자성을 가진 것처럼 동작하도록 표현되는 특성이다. 즉, 도 28에 나타낸 것처럼, 독립형 메뉴 버튼(2802)에 대해 넘기기(Flicking) 조작을 가하면 해당 독립형 메뉴 버튼(2802)이 진행하다가 다른 대상(예를 들면 표시 영역의 테두리 또는 다른 독립형 메뉴 버튼)에 닿으면 그 다른 대상과 달라붙도록 표현된다(마치 자석과 금속이 달라붙듯이). 독립형 메뉴 버튼(2802)에 대해 가해지는 넘기기 조작의 강도에 따라 결정된다. 독립형 메뉴 버튼(2802)에 가해지는 넘기기 조작량이 클수록 독립형 메뉴 버튼(2802)의 속도와 이동 거리는 증가하고, 반대로 독립형 메뉴 버튼(2802)에 가해지는 넘기기 조작량이 작을수록 독립형 메뉴 버튼(2802)의 속도와 이동 거리는 감소한다. 이처럼 그래픽적인 표현을 통해 독립형 메뉴 버튼(2802)이 자성을 갖도록 표현되어 마치 자석과 유사한 형태의 특성을 갖도록 구현함으로써, 독립형 메뉴 버튼(2802)을 이용한 캐주얼한 게임 요소 내지는 시각적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독립형 메뉴 버튼(2802) 외에도 컨텐츠의 아이콘(예를 들면 노트나 페이지, 이미지의 썸네일 또는 아이콘)도 탄성을 갖도록 표현함으로써 동일한 캐주얼한 게임 요소 내지는 시각적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독립형 메뉴 버튼(2802)의 제 2 특성인 자성은 태블릿(100)의 환경 설정 메뉴를 통해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태블릿(100)의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의 테두리(boundary)에 부여된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2) 상에서의 그래픽적인 표현을 통해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의 테두리 중 일부 구간이 자성(磁性)을 갖는 것으로 표현되며, 이 구간을 제 1 테두리 구간(2902)으로 명명한다. 제 1 테두리 구간(2902)은 접착 특성을 갖기 때문에 여기에 독립형 메뉴 버튼(2904)이 달라붙을 수 있다. 이 특성을 이용하면 앞서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복수의 독립형 메뉴 버튼(104b)-(104m)을 손쉽게 정렬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테두리 구간(2902)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자성을 갖지 않은 독립형 메뉴 버튼(2904)을 제 1 테두리 구간(2902)쪽으로 보내면 독립형 메뉴 버튼(2904)이 제 1 테두리 구간(2902)까지 진행하여 제 1 테두리 구간(2902)에 달라붙게 되는데, 이 방법을 이용하면 많은 수의 독립형 메뉴 버튼을 보다 쉽고 빠르게 제 1 테두리 구간(2902) 주변에 정렬시킬 수 있다. 독립형 메뉴 버튼(2904) 외에도 컨텐츠의 아이콘(예를 들면 노트나 페이지, 이미지의 썸네일 또는 아이콘) 역시 자성을 갖도록 표현함으로써 보다 쉽고 빠르게 정렬시킬 수 있다. 왼손 사용자 모드와 오른손 사용자 모드 각각에서 제 1 테두리 구간(2902)을 사용자 인터페이스(104)의 위치와 일치시키면, 펜을 잡지 않은 손이 제 1 테두리 구간(2902)에 달라붙은 독립형 메뉴 버튼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태블릿(100)의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의 테두리(boundary)에 부여된 또 다른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2) 상에서의 그래픽적인 표현을 통해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의 테두리 중 일부 구간이 아이템의 삭제를 위한 구간이 마련되며, 이 구간을 제 2 테두리 구간(3002)으로 명명한다. 제 2 테두리 구간(3002)은 메뉴 또는 컨텐츠의 아이콘을 삭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지통처럼 작용한다. 즉,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 내의 아이콘(3004)이 제 2 테두리 구간(3002)을 통과하면서 해당 아이콘(3004)이 삭제된다. 다만, 아이콘(3004)이 제 2 테두리 구간(3002)을 통과하여 삭제되더라도 해당 아이콘의 메뉴 또는 컨텐츠가 태블릿(100)에서 완전히 삭제되는 것은 아니며, 메뉴의 경우 확장형 메뉴 버튼(104a)으로부터 언제든지 복원(재생성)할 수 있으며, 컨텐츠 아이템의 경우 복원 명령을 통해 복원할 수 있다.
앞서 도 29에 나타낸 제 1 테두리 구간(2902)과 도 30에 나타낸 제 2 테두리 구간(3002)을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 구간은 제 3 테두리 구간으로서, 다른 특성이 부여되거나 아무런 특성도 갖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100)의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은, 노트 레벨과 페이지 레벨 각각에서 팝 업을 호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노트 레벨과 페이지 레벨 각각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의 탭 조작과 프레스 조작에 의해 서로 다른 팝 업이 호출될 수 있다. 즉, 노트 레벨에서 탭 조작과 프레스 조작에 의해 서로 다른 두 개의 팝 업이 호출될 수 있고, 페이지 레벨에서도 탭 조작과 프레스 조작에 의해 서로 다른 두 개의 팝 업이 호출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3은 노트 레벨에서 탭 조작에 의해 호출되는 팝 업을 나타낸 것이고, 도 34 내지 도 39는 노트 레벨에서 프레스 조작에 의해 호출되는 팝 업을 나타낸 것이다. 도 40 내지 도 42는 페이지 레벨에서 탭 조작에 의해 호출되는 팝 업을 나타낸 것이고, 도 43 내지 도 48은 페이지 레벨에서 프레스 조작에 의해 호출되는 팝 업을 나타낸 것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태블릿(100)의 노트 레벨에서의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의 탭 조작을 통한 메뉴 호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에 나타낸 노트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탭하면 (B)에 나타낸 것과 같은 팝 업(3102)(제 1 노트 레벨 팝 업)이 생성된다. 팝 업(3102)은 <새로운 노트 생성>과 <PDF 불러오기> 메뉴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팝 업(3102)의 <새로운 노트 생성> 메뉴를 통해 새로운 노트를 생성하거나, 이미 생성되어 있는 PDF 파일을 <PDF 불러오기> 메뉴를 통해 불러올 수 있으며, 팝 업(3102)의 빈 영역을 탭하면 마치 취소 메뉴를 선택한 것처럼 동작하여 (B) 상태에서 (A)의 노트 레벨로 복귀할 수 있다.
도 32는 도 31의 팝 업(3102)에서 <새로운 노트 생성>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노트 레벨에서 새로운 노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에 나타낸 노트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탭하면 앞서 도 31에서 설명한 팝 업(3102)이 생성된다. (B)와 같이 팝 업(3102)에서 <새로운 노트 생성> 메뉴를 선택하면, (C)에 나타낸 것과 같은 노트 커버 이미지(3202)와 가상 키보드(3204)가 나타난다. 노트 커버 이미지(3202)의 상단에는 노트의 제목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창(3206)이 마련되며, 가상 키보드(3204)를 이용하여 노트의 제목을 입력할 수 있다. 노트의 제목을 입력하면, (D)에 나타낸 것처럼, 정말 노트를 생성할 것인지 아니면 노트 생성을 취소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팝 업(3208)이 생성된다. <노트 생성> 메뉴를 선택하면 입력한 제목의 노트의 생성이 완료되고, 팝 업(3208)의 빈 영역을 탭하면 마치 취소 메뉴를 선택한 것처럼 동작하여 지금까지의 노트 생성 작업을 취소하고 (A)에 나타낸 것과 같은 노트 레벨의 초기 화면으로 복귀한다.
도 33은 도 31의 팝 업(3102)에서 <PDF 불러오기>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노트 레벨에서 PDF 파일을 불러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에 나타낸 노트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탭하면 앞서 도 31에서 설명한 팝 업(3102)이 생성된다. (B)와 같이 팝 업(3102)에서 <PDF 불러오기> 메뉴를 선택하면 (C)와 같이 이미 저장되어 있는 PDF 파일들의 목록(3306)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는 PDF 파일들의 목록(3306)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PDF 파일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D)와 같이 선택된 PDF 파일들을 불러오면서 불러오기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진행 상태 표시창(3308)을 통해 선택한 PDF 파일의 불러오기 진행 상태가 표시된다. 불러오기의 진행 선택한 PDF 파일의 불러오기가 완료되면, 불러온 PDF 파일들로 이루어진 새로운 노트(3310)가 생성된다.
도 34는 본 발명의 태블릿(100)의 노트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의 프레스 조작을 통한 메뉴 호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에 나타낸 노트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한 상태로 적어도 하나의 노트(3402)를 선택하면 (B)에 나타낸 것과 같은 팝 업(3404)(제 2 노트 레벨 팝 업)이 생성된다. 팝 업(3404)은 <복사>와 <잘라내기>, <삭제>, <PDF파일로 메일 보내기>, <커버 바꾸기> 메뉴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팝 업(3404)의 메뉴 선택을 통해 앞서 선택한 노트(3402)에 대해 <복사>와 <잘라내기>, <삭제>, <PDF파일로 메일 보내기>, <커버 바꾸기>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5는 도 34의 팝 업(3404)의 <복사>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노트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노트를 복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에 나타낸 노트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한 상태로 복사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트(3402)를 선택하면 (B)에 나타낸 것처럼 앞서 도 34의 설명에서 언급한 팝 업(3404)이 생성된다. 이 팝 업(3404)에서 <복사> 메뉴를 선택한 다음 (C)에 나타낸 것처럼 복사를 위해 선택한 노트(3402)를 붙여넣기 할 위치(노트 순서 상의 위치)에 있는 기존의 노트(3504)를 선택(탭)하고 (D)에 나타낸 것처럼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탭하면 (E)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새로운 팝 업(3506)(복사 메뉴 팝 업)이 생성된다. 이 팝 업(3506)은 <앞에 붙여넣기>와 <뒤에 붙여넣기>, <노트 생성> 메뉴를 포함한다. <앞에 붙여넣기> 메뉴는 복사한 노트(3402)를 (C)에서 선택한 위치의 노트(3504)보다 순서 상 앞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것이다. <뒤에 붙여넣기> 메뉴는 복사한 노트(3402)를 (C)에서 선택한 위치의 노트(3504)보다 순서 상 뒤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것이다. <노트 생성> 메뉴는 복사한 노트(3502)의 내용을 포함하는 새로운 노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팝 업(3506)의 빈 영역을 탭하면 마치 취소 메뉴를 선택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6은 도 34의 팝 업(3404)의 <잘라내기>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노트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노트를 잘라내기 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에 나타낸 노트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한 상태로 잘라내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트(3402)를 선택하면 (B)에 나타낸 것처럼 도 34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팝 업(3404)이 생성된다. 이 팝 업(3404)에서 <잘라내기> 메뉴를 선택한 다음 (C)에 나타낸 것처럼 잘라낸 노트(3402)를 붙여넣기 할 위치(노트 순서 상의 위치)에 있는 기존의 노트(3604)를 선택(탭)하고 (D)에 나타낸 것처럼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탭하면 (E)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새로운 팝 업(3606)이 생성된다. 이 팝 업(3606)은 <앞에 붙여넣기>와 <뒤에 붙여넣기>, <노트 생성> 메뉴를 포함한다. <앞에 붙여넣기> 메뉴는 잘라낸 노트(3402)를 (C)에서 선택한 위치의 노트(3604)보다 순서 상 앞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것이다. <뒤에 붙여넣기> 메뉴는 잘라낸 노트(3402)를 (C)에서 선택한 위치의 노트(3604)보다 순서 상 뒤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것이다. <노트 생성> 메뉴는 잘라낸 노트(3602)의 내용을 포함하는 새로운 노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팝 업(3606)의 빈 영역을 탭하면 마치 취소 메뉴가 선택된 것처럼 동작하여 팝 업(3606)을 제거하고 노트 레벨의 초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7은 도 34의 팝 업(3404)에서 <삭제>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노트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노트를 삭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에 나타낸 노트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한 상태로 삭제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트(3402)를 선택하면 도 34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팝 업(3404)이 생성된다. 이 팝 업(3404)에서 <삭제> 메뉴를 선택하면 앞서 (A)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노트(3402)가 삭제된다. (C)에서는 선택한 노트(3402)가 삭제되고 나머지 노트들이 순서가 정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38은 도 34의 팝 업(3404)의 <PDF 파일로 메일 보내기>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노트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노트를 PDF 파일로 변환하여 메일에 첨부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과정에서는 선택한 노트를 PDF 파일(Portable Document Format File)로 변환하여 이메일에 첨부하는 과정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모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100)은 통신부(410)를 통해 유선/무선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100)에 이메일 계정을 등록해 두면 태블릿(100)을 이용하여 이메일을 전송할 수 있다.
현재 작성 중인 노트나 이미 생성되어 있는 노트를 이메일에 첨부하여 전송하고자 할 때,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의 노트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한 상태로 이메일에 첨부하고자 하는 노트(3402)를 선택하면, (B)에 나타낸 것처럼 앞서 도 34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팝 업(3404)이 생성된다. 이 팝 업(3404)에서 <PDF 파일로 메일 보내기> 메뉴를 선택하면 (C)에 나타낸 것처럼 앞서 선택해 놓은 노트(3402)가 PDF 파일로 변환되는 과정이 표시된다. 선택한 노트(3402)의 PDF 파일로의 변환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D)에 나타낸 것과 같은 이메일 작성 화면이 표시된다. 이메일 작성 화면에는, 수신자 이메일 계정과 참조 이메일 계정, 제목, 파일 첨부를 위한 입력 창(3804)과 본문 입력 창(3806), 가상 키보드(3808)가 표시된다. 수신자 이메일 계정과 참조 이메일 계정, 제목, 본문의 입력과 파일 첨부가 완료되면 전송 버튼(3810)을 탭하여 이메일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파일 첨부를 위한 입력 창을 보면 00001.PDF, 00002.PDF, 00003.PDF라는 이름의 PDF 파일이 첨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앞서 사용자가 이메일 전송을 위해 선택한 노트(3402)의 파일명에 해당되며, 00001, 00002라는 파일명의 노트(3402)가 PDF 파일로 변환되어 자동으로 이메일에 첨부된 것이다. 도 38에 나타낸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이메일에 첨부하여 전송하고자 할 때, 해당 컨텐츠를 선택하고 <PDF 파일로 메일 보내기> 메뉴를 선택하기만 하면 해당 컨텐츠의 PDF 파일로의 변환과 이메일 첨부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이메일 전송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PDF 파일로 변환하는 것은 수신자가 별도의 실행 어플레이케이션이 필요없이,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PDF 뷰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필요에 따라 PDF 파일 대신 JPG 파일과 같은 다른 포맷의 파일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9는 도 34의 팝 업(3404)의 <커버 바꾸기>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노트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노트의 커버를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에 나타낸 노트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한 상태로 커버를 변경하고자 하는 노트(3402)를 선택하면 앞서 도 34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팝 업(3404)이 생성된다. 이 팝 업(3404)에서 (B)에 나타낸 것처럼 <커버 바꾸기> 메뉴를 선택하면, (C)에 나타낸 것처럼 태블릿(10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3904)(바람직하게는 다양한 디자인의 커버)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넘기기 조작을 통해 마치 책장을 넘기듯이 화면을 넘기면서 적어도 하나의 커버(3904)의 디자인을 살펴본 후 원하는 커버(3904)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402)는 앞서 선택한 노트(3402)의 커버를 사용자가 선택한 새로운 커버(3904)로 변경한다. 적어도 하나의 커버(3904)의 종류는 가죽 커버와 스프링 노트, 링 바인더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더 많은 다양한 디자인의 커버들이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커버(3904)는 태블릿(1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것일 수도 있고, 온라인 마켓에서 구입한 것일 수도 있으며, 다른 사용자에 의해 커스텀 제작되어 무료/유료로 배포하는 커스텀 커버일 수도 있다. 커버(3904)의 종류가 많아서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화면을 좌우로 넘기기 하여 마치 책장을 넘기듯이 각각의 커버(3904)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태블릿(100)의 페이지 레벨에서의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의 탭 조작을 통한 메뉴 호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에 나타낸 페이지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탭하면 (B)에 나타낸 것과 같은 팝 업(4002)이 생성된다. 팝 업(4002)은 <새로운 페이지 생성>과 <PDF 불러오기> 메뉴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팝 업(4002)의 <새로운 페이지 생성> 메뉴를 통해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거나, 이미 생성되어 있는 PDF 파일을 <PDF 불러오기> 메뉴를 통해 불러올 수 있으며, 팝 업(4002)의 빈 영역을 탭하면 마치 취소 메뉴가 선택된 것처럼 동작하여 (B) 상태에서 (A)의 페이지 레벨로 복귀할 수 있다.
도 41은 도 40의 팝 업(4002)의 <새로운 페이지 생성>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페이지 레벨에서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에 나타낸 페이지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탭하면 앞서 도 40에서 설명한 팝 업(4002)이 생성된다. (B)와 같이 팝 업(4002)에서 <새로운 페이지 생성>을 선택하면, (C)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새로운 페이지(4102)가 생성된다. 팝 업(4002)의 빈 영역을 탭하면 마치 취소 메뉴가 선택된 것처럼 동작하여 페이지 생성 작업을 취소하고 (A)에 나타낸 것과 같은 페이지 레벨의 초기 화면으로 복귀한다.
도 42는 도 40의 팝 업(4002)의 <PDF 파일로 불러오기>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페이지 레벨에서 PDF 파일을 불러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에 나타낸 노트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탭하면 앞서 도 40에서 설명한 팝 업(4002)이 생성된다. (B)와 같이 팝 업(4002)에서 <PDF 불러오기> 메뉴를 선택하면 (C)와 같이 이미 저장되어 있는 PDF 파일들의 목록(4206)이 표시된다. 원하는 PDF 파일을 선택하면 (D)와 같이 불러오기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진행 상태 표시창(4208)이 표시되면서, 선택한 PDF 파일의 불러오기 진행 상태가 표시된다. 불러오기의 진행 선택한 PDF 파일의 불러오기가 완료되면, 불러온 PDF 파일로 이루어진 새로운 페이지(4210)가 생성된다.
도 43은 본 발명의 태블릿(100)의 페이지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의 프레스 조작을 통한 메뉴 호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에 나타낸 페이지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한 상태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4302)를 선택하면 (B)에 나타낸 것과 같은 팝 업(4304)이 생성된다. 팝 업(4304)은 <복사>와 <잘라내기>, <삭제>, <PDF파일로 메일 보내기>, <속지 바꾸기> 메뉴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팝 업(4304)의 메뉴 선택을 통해 앞서 선택한 페이지(4302)에 대해 <복사>와 <잘라내기>, <삭제>, <PDF파일로 메일 보내기>, <속지 바꾸기>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4는 도 43의 팝 업(4304)의 <복사>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페이지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페이지를 복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에 나타낸 페이지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한 상태로 복사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4302)를 선택하면 (B)에 나타낸 것처럼 도 43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팝 업(4304)이 생성된다. 이 팝 업(4304)에서 <복사> 메뉴를 선택한 다음 (C)에 나타낸 것처럼 복사한 페이지(4302)를 붙여넣기 할 위치(페이지 순서 상의 위치)에 있는 기존의 페이지(4404)를 선택(탭)하고 (D)에 나타낸 것처럼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탭하면 (E)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새로운 팝 업(4406)이 생성된다. 이 팝 업(4406)은 <앞에 붙여넣기>와 <뒤에 붙여넣기>, <페이지 생성> 메뉴를 포함한다. <앞에 붙여넣기> 메뉴는 복사한 페이지(4302)를 (C)에서 선택한 위치의 페이지(4404)보다 순서 상 앞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것이다. <뒤에 붙여넣기> 메뉴는 복사한 페이지(4302)를 (C)에서 선택한 위치의 페이지(4404)보다 순서 상 뒤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것이다. <페이지 생성> 메뉴는 복사한 페이지(4302)의 내용을 포함하는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팝 업(4406)의 빈 영역을 탭하면 팝 업(4406)을 제거하고 페이지 레벨의 초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5는 도 43의 팝 업(4304)의 <잘라내기>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페이지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페이지를 잘라내기 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에 나타낸 페이지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한 상태로 잘라내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4302)를 선택하면 (B)에 나타낸 것처럼 도 43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팝 업(4304)이 생성된다. 이 팝 업(4304)에서 <잘라내기> 메뉴를 선택한 다음 (C)에 나타낸 것처럼 잘라낸 페이지(4302)를 붙여넣기 할 위치(페이지 순서 상의 위치)에 있는 기존의 페이지(4504)를 선택(탭)하고 (D)에 나타낸 것처럼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탭하면 (E)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새로운 팝 업(4506)이 생성된다. 이 팝 업(4506)은 <앞에 붙여넣기>와 <뒤에 붙여넣기>, <페이지 생성> 메뉴를 포함한다. <앞에 붙여넣기> 메뉴는 잘라낸 페이지(4302)를 (C)에서 선택한 위치의 페이지(4504)보다 순서 상 앞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것이다. <뒤에 붙여넣기> 메뉴는 잘라낸 페이지(4302)를 (C)에서 선택한 위치의 페이지(4504)보다 순서 상 뒤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것이다. <페이지 생성> 메뉴는 잘라낸 페이지(4302)의 내용을 포함하는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팝 업(4506)의 빈 영역을 탭 하면 마치 취소 메뉴가 선택된 것처럼 동작하여 팝 업(4506)을 제거하고 페이지 레벨의 초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6은 도 43의 팝 업(4304)에서 <삭제>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페이지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페이지를 삭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에 나타낸 페이지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한 상태로 삭제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4302)를 선택하면 도 43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팝 업(4304)이 생성된다. 이 팝 업(4304)에서 <삭제> 메뉴를 선택하면 앞서 (A)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4302)가 삭제된다. (C)에서는 선택한 페이지(4302)가 삭제되고 나머지 페이지들이 순서가 정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47은 도 43의 팝 업(4304)의 <PDF 파일로 메일 보내기>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페이지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페이지를 PDF 파일로 변환하여 메일에 첨부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과정에서는 선택한 페이지를 PDF 파일(Portable Document Format File)로 변환하여 이메일에 첨부하는 과정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모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100)은 통신부(410)를 통해 유선/무선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100)에 이메일 계정을 등록해 두면 태블릿(100)을 이용하여 이메일을 전송할 수 있다.
현재 작성 중인 페이지나 이미 생성되어 있는 페이지(예를 들면 00001, 00002, 00003이라는 파일명의 페이지)를 이메일에 첨부하여 전송하고자 할 때,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의 페이지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한 상태로 이메일에 첨부하고자 하는 페이지(4302)를 선택하면, (B)에 나타낸 것처럼 앞서 도 43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팝 업(4304)이 생성된다. 이 팝 업(4304)에서 <PDF 파일로 메일 보내기> 메뉴를 선택하면 (C)에 나타낸 것처럼 앞서 선택해 놓은 페이지(4302)가 PDF 파일로 변환되는 과정이 표시된다. 선택한 페이지(4302)의 PDF 파일로의 변환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D)에 나타낸 것과 같은 이메일 작성 화면이 표시된다. 이메일 작성 화면에는, 수신자 이메일 계정과 참조 이메일 계정, 제목, 파일 첨부를 위한 입력 창(4704)과 본문 입력 창(4706), 가상 키보드(4708)가 표시된다. 수신자 이메일 계정과 참조 이메일 계정, 제목, 본문의 입력과 파일 첨부가 완료되면 전송 버튼(4710)을 탭하여 이메일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파일 첨부를 위한 입력 창을 보면 00001.PDF, 00002.PDF, 00003.PDF라는 이름의 PDF 파일이 첨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앞서 사용자가 이메일 전송을 위해 선택한 페이지(4302)의 파일명에 해당되며, 00001, 00002이라는 파일명의 페이지(4302)가 PDF 파일로 변환되어 자동으로 이메일에 첨부된 것이다. 도 47에 나타낸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이메일에 첨부하여 전송하고자 할 때, 해당 컨텐츠를 선택하고 <PDF 파일로 메일 보내기> 메뉴를 선택하기만 하면 해당 컨텐츠의 PDF 파일로의 변환과 이메일 첨부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이메일 전송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PDF 파일로 변환하는 것은 수신자가 별도의 실행 어플레이케이션이 필요없이,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PDF 뷰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필요에 따라 PDF 파일 대신 JPG 파일과 같은 다른 포맷의 파일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8은 도 43의 팝 업(4304)의 <속지 바꾸기>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페이지 레벨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페이지의 속지를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에 나타낸 페이지 레벨에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한 상태로 속지를 변경하고자 하는 페이지(4802)를 선택하면 도 43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팝 업(4304)이 생성된다. 이 팝 업(4304)에서 (B)에 나타낸 것처럼 <속지 바꾸기> 메뉴를 선택하면, (C)에 나타낸 것처럼 태블릿(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디자인의 속지(4804)들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넘기기 조작을 통해 마치 책장을 넘기듯이 화면을 넘기면서 속지들(4804)의 디자인을 살펴본 후 원하는 속지(4804)를 선택할 수 있다. 속지(4804)의 종류는 일반적인 라인이 그려진 속지와 원고지, 악보를 그리기 위한 오선지, 격자가 그려진 방안지, 따라 쓰기 연습용지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더 많은 다양한 디자인의 속지들이 마련될 수 있다. 속지(4804)는 태블릿(1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것일 수도 있고, 온라인 마켓에서 구입한 것일 수도 있으며, 다른 사용자가 제작하여 무료/유료로 배포하는 커스텀 속지일 수도 있다. 속지(4804)의 종류가 많아서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화면을 좌우로 넘기기 하여 마치 책장을 넘기듯이 각각의 속지(3204)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9는 본 발명의 태블릿(100)에서의 레이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태블릿(100)의 레이어 구조는 내용의 추가/수정/삭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제 1 레이어와, 내용의 추가/수정/삭제가 이루어지는 제 2 레이어로 이루어진다.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서식의 속지(예를 들면 악보를 그리기 위한 오선지)를 배경 레이어(4902)(제 1 레이어)로서 구분하고, 사용자가 필기/드로잉하는 내용을 또 다른 필기/드로잉 레이어(4904)(제 2 레이어)로서 구분한다. 디스플레이(102) 상에서는 배경 레이어(4902)와 필기/드로잉 레이어(4904)가 하나로 합쳐진 상태(4906)로 표시되지만, 내용의 추가/수정/삭제는 필기/드로잉 레이어(4904)에 대해서만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49의 오선지 서식 위에 악보를 그리거나 수정하면 배경 레이어(4902)인 오선지의 서식은 그대로 유지된 채 필기/드로잉 레이어(4904)에만 악보가 그려지거나 수정된다. 이와 같은 배경 레이어(4902)와 필기/드로잉 레이어(4904)는 비록 서로 다른 레이어로 다루어지지만 서로 통합되어 하나의 페이지 단위로 취급된다.
도 50은 이미 생성되어 있는 문서/이미지를 배경 레이어로 하는 필기/드로잉 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9에 나타낸 속지의 경우 외에도, 미리 작성되어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이미지 위에 주석을 달거나 내용을 추가할 수 있다. 도 50에 나타낸 것처럼, 이미 작성되어 있는 문서/이미지를 배경 레이어(5002)로 하고 여기에 부가되는 주석이나 추가 내용을 별도의 필기/드로잉 레이어(5004)로 취급한다. 이와 같은 배경 레이어(5002)와 필기/드로잉 레이어(5004)는 하나로 합쳐진 상태(5006)로 표시되며, 비록 서로 다른 레이어로 다루어지지만 서로 통합되어 하나의 페이지 단위로 취급된다.
도 51은 디스플레이(102)의 표시 영역 전체를 필기/드로잉 영역으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1에 나타낸 것처럼, 디스플레이(102)의 화면 상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4a) 영역의 레이어(5102)와 필기/드로잉 영역의 레이어(5104)가 존재한다. 이처럼 사용자 인터페이스(104a)의 표시를 위한 레이어(5102)와 필기/드로잉을 위한 레이어(5104)를 구분하여 취급함으로써, 비록 디스플레이(102)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04a)가 표시되더라도,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04a)가 표시되는 영역을 포함한 디스플레이(102)의 전체 영역을 필기/드로잉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04a)가 표시되는 영역은 터치 기반의 입력에 대해서만 반응하고, 필기/드로잉 영역은 펜 기반의 입력에 대해서만 반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102)의 화면 전체를 필기/드로잉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102)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4a)와 필기/드로잉 내용이 겹치는 부분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4a)가 더 위쪽에 표시되고, 필기/드로잉 내용이 더 아래에 표시된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4a)와 필기/드로잉 내용이 겹치는 부분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4a)가 더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필기/드로잉 내용이 상대적으로 덜 선명하게(흐리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사용자 인터페이스(104a)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필기/드로잉 내용만이 온전히 표시된다.
도 52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100)의 확장형 메뉴 버튼(104a)과 터치 동작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2의 (A)는 노트 레벨에서의 작업으로서, 5204, 5206, 5208, 5210은 펜을 잡은 손(예를 들면 오른손 사용자의 오른 손)이고, 5212는 펜을 잡지 않은 손(예를 들면 오른손 사용자의 왼손)이다. 5212처럼 펜을 잡지 않은 왼손으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한 상태에서 펜을 잡은 오른손으로 5204, 5206, 5208, 5210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조작을 통해 여러 가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5204는, 펜을 잡은 손의 두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와 중지 또는 엄지와 약지 등)을 모았다가 벌리는 동작을 통해 줌 인(zoom in : 확대)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반대로 5206은, 펜을 잡은 손의 두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와 중지 또는 엄지와 약지 등)을 벌렸다가 모으는 동작을 통해 줌 아웃(zoom out : 축소)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 경우 줌 인에 의해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는 노트의 수가 16-4-1의 순서로 감소하고, 줌 아웃에 의해 1-4-16의 순서로 증가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02)에 4개의 노트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줌 인에 의해 1개의 노트가 표시되고 줌 아웃에 의해 16개의 노트가 표시된다. 여기서 1-4-16 또는 16-4-1의 숫자는 한 화면에 표시 가능한 최대 노트의 수를 의미하며 전체 노트의 수가 표시 가능한 최대 노트 수보다 적으면 전체 노트의 수 만큼 화면에 표시된다. 5208은 펜을 잡은 손의 어느 하나의 손가락(예를 들면 검지 또는 중지 등)으로 드래그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 경우, 펜을 잡지 않은 손이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5208과 같은 드래그에 의해 다중 선택이 이루어지지만, 펜을 잡지 않은 손이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5210과 같은 넘기기 조작에 의해 화면 넘기기 등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단, 펜을 잡은 손과 펜을 잡지 않은 손의 구분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더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펜을 잡은 손을 이용하는 작업과 펜을 잡지 않은 손을 이용하는 작업을 구분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 52의 (B)는 페이지 레벨에서의 작업으로서, 5214, 5216, 5218, 5220은 펜을 잡은 손(예를 들면 오른손 사용자의 오른 손)이고, 5222는 펜을 잡지 않은 손(예를 들면 오른손 사용자의 왼손)이다. 5222처럼 펜을 잡지 않은 왼손으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한 상태에서 펜을 잡은 오른손으로 5214, 5216, 5218, 5220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터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서로 다른 여러 가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5214는, 펜을 잡은 손의 두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와 중지 또는 엄지와 약지 등)을 모았다가 벌리는 동작을 통해 줌 인(zoom in : 확대)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반대로 5216은, 펜을 잡은 손의 두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와 중지 또는 엄지와 약지 등)을 벌렸다가 모으는 동작을 통해 줌 아웃(zoom out : 축소)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 경우 줌 인에 의해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수가 16-4-1의 순서로 감소하고, 줌 아웃에 의해 1-4-16의 순서로 증가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02)에 4개의 페이지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줌 인에 의해 1개의 페이지가 표시되고 줌 아웃에 의해 16개의 페이지가 표시된다. 여기서 1-4-16 또는 16-4-1의 숫자는 한 화면에 표시 가능한 최대 페이지의 수를 의미하며 전체 페이지의 수가 표시 가능한 최대 페이지 수보다 적으면 전체 페이지의 수 만큼 화면에 표시된다. 5218은 펜을 잡은 손의 어느 하나의 손가락(예를 들면 검지 또는 중지 등)으로 드래그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 경우, 펜을 잡지 않은 손이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5208과 같은 드래그 동작에 의해 다중 선택이 이루어지지만, 펜을 잡지 않은 손이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5220과 같은 넘기기 동작에 의해 화면 넘기기 등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단, 펜을 잡은 손과 펜을 잡지 않은 손의 구분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더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펜을 잡은 손을 이용하는 작업과 펜을 잡지 않은 손을 이용하는 작업을 구분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 52의 (C)는 필기 모드에서의 작업으로서, 5224, 5226, 5228, 5230은 펜을 잡은 손(예를 들면 오른손 사용자의 오른 손)이고, 5232는 펜을 잡지 않은 손(예를 들면 오른손 사용자의 왼손)이다. 5232처럼 펜을 잡지 않은 왼손으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한 상태에서 펜을 잡은 오른손으로 5224, 5226, 5228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터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서로 다른 여러 가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5224는, 펜을 잡은 손의 두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와 중지 또는 엄지와 약지 등)을 모았다가 벌리는 동작을 통해 줌 인(zoom in : 확대)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반대로 5226은, 펜을 잡은 손의 두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와 중지 또는 엄지와 약지 등)을 벌렸다가 모으는 동작을 통해 줌 아웃(zoom out : 축소)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 경우 줌 인에 의해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는 입력 페이지가 확대되고, 줌 아웃에 의해 축소된다. 5228은 펜은 잡은 손의 어느 하나의 손가락(예를 들면 검지 또는 중지 등)으로 드래그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 경우, 펜을 잡지 않은 손이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5228과 같은 드래그 & 탭 동작에 의해 다중 선택이 이루어지지만, 펜을 잡지 않은 손이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을 프레스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5230과 같은 넘기기 동작에 의해 화면 넘기기 등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단, 펜을 잡은 손과 펜을 잡지 않은 손의 구분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더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펜을 잡은 손을 이용하는 작업과 펜을 잡지 않은 손을 이용하는 작업을 구분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 53은 줌 인과 줌 아웃에 의한 노트 레벨과 페이지 레벨 사이의 화면 표시 전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3의 (A)-(C)에 나타낸 것처럼, 노트 레벨에서의 줌 인 동작에 의해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는 노트의 수가 미리 정해진 순서(16-4-1의 순서)로 단계적으로 감소하고, 줌 아웃에 의해 미리 정해진 순서(1-4-16의 순서)로 단계적으로 감소한다.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는 노트의 수가 1개인 상태에서 줌 인 동작을 수행하면 도 53의 (D)에 나타낸 것처럼 해당 노트의 페이지가 최대 16개까지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줌 인을 더 수행하면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수가 4-1의 순서로 단계적으로 감소한다. 이를 정리하면, 연속된 줌 인 동작에 의해 16노트-4노트-1노트-16페이지-4페이지-1페이지의 순서로 표시가 이루어진다. 반대로 줌 아웃의 경우에는, 연속된 줌 아웃 동작에 의해 1페이지-4페이지-16페이지-1노트-4노트-16노트의 순서로 표시가 이루어진다. 다만, 이는 한 화면에 표시되는 최대 노트/페이지의 수를 의미하며, 저장되어 있는 노트의 수 또는 페이지의 수가 적으면, 현재 존재하는 노트/페이지의 수만큼만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현재 존재하는 노트의 수가 7개일 때, 4노트 화면에서는 7개의 노트가 두 개의 화면(4개+3개)에 나뉘어 표시될 것이며, 8노트 화면에서는 7개의 노트가 하나의 화면에 모두 표시되되, 하나의 노트에 해당하는 공간이 비어있게 된다.
도 54는 본 발명의 태블릿(100)의 화면 넘기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의 탭 또는 프레스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A)에 나타낸 것과 같은 넘기기 동작에 의해 화면 넘기기 등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도 54의 (A)에서는 한 화면에 네 개의 노트가 표시되고 있으며, 넘기기 동작을 통해 기존의 네 개의 노트가 디스플레이(102) 상에서 사라지고 다른 네 개의 노트가 표시된다. (B)의 경우는 페이지 레벨에서의 화면 넘기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노트 레벨에서와 마찬가지로, 확장형 메뉴 버튼(104a)의 탭 또는 프레스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B)에 나타낸 것과 같은 넘기기 동작에 의해 화면 넘기기 등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도 54의 (B)에서는 한 화면에 네 개의 페이지가 표시되고 있으며, 넘기기 동작을 통해 기존의 네 개의 페이지가 디스플레이(102) 상에서 사라지고 다른 네 개의 페이지가 표시된다. 도 54의 (C)는 화면에 하나의 페이지만이 표시되고 있을 때의 넘기기 동작에 의한 페이지 넘김을 나타낸 것으로서, 마치 실제 노트의 페이지를 넘길 때처럼 페이지의 휘어짐과 음향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 나은 실제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4의 (C)처럼 페이지 레벨에서 필기 입력이 가능한 단일 페이지 표시 상태가 되면 확장형 메뉴 버튼(104a)과 그 주변의 독립형 메뉴 버튼(104b)-(104m)이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단, 펜을 잡은 손과 펜을 잡지 않은 손의 구분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더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펜을 잡은 손을 이용하는 작업과 펜을 잡지 않은 손을 이용하는 작업을 구분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 55는 본 발명의 태블릿(100)에서 동영상 재생과 필기/드로잉의 동시 수행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2)의 한 쪽(일부 영역)에 동영상(5502)이 재생되도록 하고, 동영상(5502)이 재생되는 동안 동영상(5502)이 재생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필기/드로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기능을 통해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동영상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여 기록하거나, 동영상 내용에 대한 느낌이나 생각 등을 기록할 수 있다.
100 : 태블릿
102 : 디스플레이
104a : 확장형 메뉴 버튼
104b : 펜 굵기 조절 / 펜 선택 메뉴 버튼
104c : 홈(Home) 메뉴 버튼
104d : 색상 선택 / 채도 조절 메뉴 버튼
104e : 펜/터치 토글 메뉴 버튼
104f : 실행 취소(Undo) 메뉴 버튼
104g : 재실행(Redo) 메뉴 버튼
104h : SNS 메뉴 버튼
104k : 페이지 생성 메뉴 버튼
104m : 클리어(Clear) 메뉴 버튼
106L, 106R : 왼손, 오른손
108 : 펜
110 : 베젤
112a, 112b : 근접 센서

Claims (119)

  1. 정보의 표시와 정보의 입력이 모두 가능한 디스플레이와;
    오른손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입력하는 오른손 사용자 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왼쪽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왼손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입력하는 왼손 사용자 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표시 영역의 오른쪽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태블릿.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입력은, 펜 기반의 입력과 터치 기반의 입력 가운데 적어도 하나인 태블릿.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베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른손과 상기 왼손의 접근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근접 센서가 상기 베젤에 마련되는 태블릿.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근접 센서를 통해 상기 오른손과 상기 왼손의 접근 유무 및 접근 방향을 검출하는 태블릿.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시키도록 하는 외부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외부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시키며;
    오른손 사용자 모드와 왼손 사용자 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외부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오른손 사용자 모드와 상기 왼손 사용자 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오른손 사용자 모드와 상기 왼손 사용자 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로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태블릿.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른손 사용자 모드일 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왼쪽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왼손 사용자 모드일 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오른쪽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태블릿.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근접 센서를 통한 상기 오른손과 상기 왼손의 접근 유무 및 접근 방향의 검출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태블릿.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근접 센서를 활성화시키도록 하는 외부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외부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근접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태블릿.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왼손의 접근이 검출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왼쪽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오른손의 접근이 검출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오른쪽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태블릿.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왼손의 접근이 검출되면 오른손 사용자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오른손의 접근이 검출되면 왼손 사용자 모드로 설정하는 태블릿.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가로:세로 비율은 국제 표준 용지 규격의 가로:세로 비율을 따르는 태블릿.
  1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사용자 이벤트에 상응하는 명령을 발생시키는 팔레트 모듈과;
    상기 팔레트 모듈로부터 상기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한 정보의 표시에 관여하는 뷰 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펜 엔진을 통해 펜 객체를 생성하는 펜 관리자 모듈을 포함하는 태블릿.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뷰 모듈은,
    레이어 관리자 모듈과 레이어를 갖는 캔버스 뷰 모듈과;
    노트의 페이지의 정보를 관리하는 노트 관리자 모듈과;
    상기 노트 관리자 모듈로부터 상기 페이지의 비트맵을 받아 상기 비트맵을 상기 사용자 이벤트에 따라 출력하여 화면이 구성되도록 하는 업페이지 뷰 모듈과;
    상기 노트 관리자 모듈로부터 상기 페이지의 비트맵을 받아 상기 비트맵을 상기 사용자 이벤트에 따라 애니메이션으로 출력하는 컬 뷰 모듈을 포함하는 태블릿.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캔버스 뷰 모듈은, 상기 뷰 모듈로부터 펜 객체를 받고, 상기 레이어 관리자 모듈로부터 그리고자 하는 비트맵을 받으며, 상기 사용자 이벤트에 응답하여 드로잉을 수행하는 태블릿.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캔버스 뷰 모듈의 상기 레이어 관리자 모듈은, 상기 노트 관리자 모듈로부터 현재 페이지 객체를 받으며, 상기 레이어의 액션 히스토리를 관리하는 태블릿.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는 필기 또는 그림이 수정될 때마다 액션 히스토리 객체를 만들어 저장하는 태블릿.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페이지는,
    내용의 추가/수정/삭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제 1 레이어와;
    내용의 추가/수정/삭제가 이루어지는 제 2 레이어로 이루어지는 태블릿.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이어는 미리 작성된 서식을 포함하는 서식 레이어인 태블릿.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이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와 이미지 가운데 적어도 하나인 태블릿.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전체를 필기/드로잉 영역으로 사용하는 태블릿.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필기/드로잉 객체가 겹치는 부분에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더 위쪽에 표시되고 상기 필기/드로잉 객체가 더 아래에 표시되는 태블릿.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필기/드로잉 객체가 겹치는 부분에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더 선명하게 표시되고, 상기 필기/드로잉 객체가 상대적으로 덜 선명하게 표시되는 태블릿.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고주파 발진형 센서와 정전 용량형 센서, 자기형 센서, 광전형 센서, 초음파형 센서 가운데 어느 하나인 태블릿.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블릿이 움직일 때 상기 태블릿의 동적 힘을 측정하여 상기 태블릿의 운동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태블릿.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가 자이로스코프 센서인 태블릿.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태블릿이 회전을 검출하고;
    상기 태블릿이 회전하면 상기 태블릿이 회전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오른손 사용자 모드와 상기 왼손 사용자 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의 모드에 맞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태블릿.
  27.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통해 투사되는 광 신호를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광 센서를 더 포함하는 태블릿.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태블릿.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센서가 상기 태블릿 주변의 광량을 검출하기 위한 조도 센서인 태블릿.
  30.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포트를 통한 유선 통신과 안테나를 통해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태블릿.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포트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와 파이어와이어(FireWire) 포트 가운데 적어도 하나인 태블릿.
  32. 제 1 항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전송하거나, 음파가 마이크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 것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태블릿.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과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전면 배치와 후면 배치, 양면 배치 가운데 어느 하나의 배치 형태를 갖는 태블릿.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이 감압식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표시 장치이면 상기 터치 스크린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하는 태블릿.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이 감압식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전자 종이이면 상기 터치 스크린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과 후면 가운데 어느 한 쪽에 배치하는 태블릿.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 용량 방식일 때, 상기 터치 스크린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하는 태블릿.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전자기 유도 방식일 때, 상기 터치 스크린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하는 태블릿.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서 터치 입력을 위한 정전 용량 터치 패널과 펜 입력을 위한 전자기 유도 패널이 모두 사용될 때, 상기 정전 용량 터치 패널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하고 상기 전자기 유도 패널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하는 태블릿.
  3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 버튼을 가진 확장형 메뉴 버튼을 포함하는 태블릿.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의 탭 조작에 의해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이 확장되는 태블릿.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의 확장된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 버튼이 표시되는 태블릿.
  4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의 확장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 버튼을 상기 확장된 영역 밖으로 인출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 버튼이 독립형 메뉴 버튼으로 전환되는 태블릿.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 버튼을 드래그 & 드롭 방식을 통해 상기 확장된 영역 밖으로 인출하는 태블릿.
  44.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 버튼은,
    색상 설정을 위한 제 1 하위 메뉴 버튼과;
    펜 설정을 위한 제 2 하위 메뉴 버튼과;
    툴 설정을 위한 제 3 하위 메뉴 버튼과;
    선 굵기를 선택하여 설정하기 위한 제 4 하위 메뉴 버튼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블릿.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위 메뉴 버튼은,
    선택할 색상을 색상환 표시와 허니콤 표시 가운데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하는 태블릿.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위 메뉴 버튼의 탭 조작 시마다 상기 색상환 표시와 상기 허니콤 표시가 토글되는 태블릿.
  47.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위 메뉴 버튼을 통해 선택 가능한 펜 종류가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의 확장 시 디폴트로 표시되는 태블릿.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가능한 펜 종류는,
    펜과 잉크 펜, 붓 펜, 하이라이팅 펜 가운데 적어도 하나인 태블릿.
  49.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하위 메뉴 버튼은,
    슬라이드 방향에 따라 선 굵기가 변화하는 슬라이드 바 형태인 태블릿.
  50.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하위 메뉴 버튼은,
    사각형 모양의 잘라내기/복사/삭제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제 1 툴과;
    사용자가 원하는 자유로운 모양의 잘라내기/복사/삭제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제 2 툴과;
    잘라내기/복사를 통해 선택한 대상을 원하는 위치에 붙여넣기 위한 제 3 툴과;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불러오기 위한 제 4 툴과;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블릿.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툴을 통해 사각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상기 사각 영역에 대한 잘라내기/복사/삭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팝 업이 생성되는 태블릿.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툴을 통해 자유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상기 자유 영역에 대한 잘라내기/복사/삭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팝 업이 생성되는 태블릿.
  53.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잘라내기/복사를 통해 클립보드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3 툴의 탭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를 붙여넣기 할 위치가 지정되도록 하고;
    상기 지정된 위치에 상기 데이터의 붙여넣기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태블릿.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붙여넣기 할 위치가 지정되면, 상기 지정된 위치에 붙여넣기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팝 업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태블릿.
  55.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4 툴의 탭 조작에 응답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의 썸네일들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썸네일들 가운데 불러올 이미지가 선택되도록 하는 태블릿.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러올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를 붙여넣기 할 위치가 지정되도록 하고;
    상기 붙여넣기 할 위치가 지정되면, 상기 지정된 위치에 붙여넣기 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팝 업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태블릿.
  57.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이 확장된 상태일 때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을 한 번 더 탭하면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이 확장되기 전의 상태로 복귀하는 태블릿.
  58.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의 프레스 조작에 의해 빠른 지우개 모드가 제공되는 태블릿.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이 확장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을 프레스하면 상기 펜 기반의 입력이 지우개처럼 동작하는 태블릿.
  6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미리 정해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독립형 메뉴 버튼을 더 포함하는 태블릿.
  61. 제 6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독립형 메뉴 버튼은,
    선 굵기 조절과 펜 종류 선택을 위한 제 1 독립형 메뉴 버튼과;
    페이지 레벨과 노트 레벨 사이의 전환을 위한 제 2 독립형 메뉴 버튼과;
    색상 선택 및 채도 조절을 위한 제 3 독립형 메뉴 버튼과;
    펜 기반의 입력과 터치 기반의 입력 사이의 전환을 위한 제 4 독립형 메뉴 버튼과;
    미리 정해진 회수의 단위 작업을 취소하고 이전 상태를 복구하기 위한 제 5 독립형 메뉴 버튼과;
    상기 제 5 독립형 메뉴 버튼을 통해 복구된 단위 작업을 미리 정해진 회수만큼 취소하기 위한 제 6 독립형 메뉴 버튼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또는 이메일 서비스를 통해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제 7 독립형 메뉴 버튼과;
    현재의 페이지 다음에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제 8 독립형 메뉴 버튼과;
    현재 페이지의 필기/드로잉 객체를 모두 삭제하기 위한 제 9 독립형 메뉴 버튼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블릿.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독립형 메뉴 버튼을 일정 시간 이상 프레스하면 선 굵기 표시창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서로 다른 선 굵기가 미리 정해진 최소 굵기에서 미리 정해진 최대 굵기까지 차례로 전환되면서 표시되는 태블릿.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독립형 메뉴 버튼의 프레스 조작을 종료하면, 그 종료 시점에서 표시되는 선 굵기가 선택되어 해당 선 굵기로 필기/드로잉이 이루어지는 태블릿.
  64.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독립형 메뉴 버튼의 탭 조작을 통해 페이지 레벨과 노트 레벨 사이의 상호 전환이 이루어지는 태블릿.
  65.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독립형 메뉴 버튼을 일정 시간 이상 프레스하면 채도 표시창에 해당 색상의 채도가 미리 정해진 최소 값부터 미리 정해진 최대 값까지 순서대로 표시되는 태블릿.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독립형 메뉴 버튼의 프레스 조작을 종료하면, 그 종료 시점에서 표시되는 채도가 선택되어 해당 채도로 필기/드로잉이 이루어지는 태블릿.
  67.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이 무채색이면 색상의 채도대신 밝기가 미리 정해진 최소 값부터 미리 정해진 최대 값까지 순서대로 표시되는 태블릿.
  68.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독립형 메뉴 버튼을 탭하면 현재 페이지를 이메일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팝 업이 생성되고, 상기 팝 업의 메뉴 선택을 통해 해당 메뉴로 상기 현재 페이지를 이메일로 전송하는 태블릿.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페이지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태블릿.
  70.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펜 이벤트와 터치 이벤트 모두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태블릿.
  7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그래픽적인 표현을 통해 상기 독립형 메뉴 버튼이 탄성(彈性)을 가진 것처럼 동작하도록 표현되는 태블릿.
  72.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그래픽적인 표현을 통해 상기 독립형 메뉴 버튼이 자성(磁性)을 가진 것처럼 동작하도록 표현되는 태블릿.
  73. 제 39 항에 있어서,
    노트 레벨일 때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의 탭 조작에 의해 상기 노트 레벨의 작업 메뉴를 포함하는 제 1 노트 레벨 팝 업이 생성되는 태블릿.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트 레벨 팝 업은,
    새로운 노트를 생성하기 위한 <새로운 노트 생성> 메뉴와;
    이미 생성되어 있는 PDF 파일을 불러오기 위한 <PDF 불러오기> 메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블릿.
  75.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새로운 노트 생성>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노트 커버 이미지와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고, 상기 노트 커버 이미지의 상단에는 노트의 제목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창을 표시하며,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노트의 제목을 수신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제목의 노트를 생성하는 태블릿.
  76.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DF 불러오기>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이미 저장되어 있는 PDF 파일들의 목록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PDF 파일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선택된 PDF 파일의 불러오기를 진행하며, 불러온 PDF 파일들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노트를 생성하는 태블릿.
  77. 제 7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PDF 파일의 불러오기를 진행할 때 상기 불러오기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진행 상태 표시창을 통해 선택한 PDF 파일의 불러오기 진행 상태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태블릿.
  78. 제 39 항에 있어서,
    노트 레벨일 때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을 프레스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노트를 선택하면 상기 노트 레벨의 작업 메뉴를 포함하는 제 2 노트 레벨 팝 업이 생성되는 태블릿.
  79.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트 레벨 팝 업은,
    노트를 복사하기 위한 <복사> 메뉴와;
    노트를 잘라내기 위한 <잘라내기> 메뉴와;
    노트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메뉴와;
    노트를 PDF 파일로 변환 후 메일에 첨부하여 전송하기 위한 <PDF파일로 메일 보내기> 메뉴와;
    노트의 커버 이미지를 바꾸기 위한 <커버 바꾸기> 메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블릿.
  80. 제 7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사>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복사를 위해 선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트를 붙여넣기 할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붙여넣기 할 위치의 수신에 응답하여 복사 메뉴 팝 업을 생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복사 메뉴 팝 업의 메뉴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선택에 응답하여 해당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태블릿.
  81.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메뉴 팝 업은,
    상기 복사한 노트를 상기 선택한 위치의 노트보다 순서 상 앞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앞에 붙여넣기> 메뉴와;
    상기 복사한 노트를 상기 선택한 위치의 노트보다 순서 상 뒤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뒤에 붙여넣기> 메뉴와;
    상기 복사한 노트의 내용을 포함하는 새로운 노트를 생성하기 위한 <노트 생성> 메뉴를 포함하는 태블릿.
  82. 제 7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잘라내기>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잘라내기를 위해 선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트를 붙여넣기 할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붙여넣기 할 위치의 수신에 응답하여 잘라내기 메뉴 팝 업을 생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며, 상기 잘라내기 메뉴 팝 업의 메뉴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선택에 응답하여 해당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태블릿.
  83. 제 82 항에 있어서, 상기 잘라내기 메뉴 팝 업은,
    상기 잘라내기한 노트를 상기 선택한 위치의 노트보다 순서 상 앞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앞에 붙여넣기> 메뉴와;
    상기 잘라내기한 노트를 상기 선택한 위치의 노트보다 순서 상 뒤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뒤에 붙여넣기> 메뉴와;
    상기 잘라내기한 노트의 내용을 포함하는 새로운 노트를 생성하기 위한 <노트 생성> 메뉴를 포함하는 태블릿.
  84. 제 7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삭제>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트를 삭제하는 태블릿.
  85. 제 7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DF 파일로 메일 보내기>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한 노트를 PDF 파일로 변환하며;
    이메일 작성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이메일 작성 화면에 상기 변환된 PDF 파일이 자동으로 첨부되도록 하는 태블릿.
  86. 제 8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메일 작성 화면은,
    수신자 이메일 계정과 참조 이메일 계정, 제목, 파일 첨부를 위한 입력 창과;
    본문 입력 창과;
    가상 키보드를 포함하는 태블릿.
  87. 제 7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 바꾸기>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커버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의 선택을 수신하며, 상기 선택된 노트의 커버를 상기 선택된 새로운 커버로 변경하는 태블릿.
  88.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태블릿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것인 태블릿.
  89.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온라인 마켓에서 구입하는 것인 태블릿.
  90.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커스텀 제작되어 배포되는 커스텀 커버인 태블릿.
  91. 제 39 항에 있어서,
    페이지 레벨일 때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의 탭 조작에 의해 상기 페이지 레벨의 작업 메뉴를 포함하는 제 1 페이지 레벨 팝 업이 생성되는 태블릿.
  92. 제 9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페이지 레벨 팝 업은,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새로운 페이지 생성> 메뉴와;
    이미 생성되어 있는 PDF 파일을 불러오기 위한 <PDF 불러오기> 메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블릿.
  93. 제 9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새로운 페이지 생성>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태블릿.
  94. 제 9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DF 불러오기>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이미 저장되어 있는 PDF 파일들의 목록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PDF 파일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선택된 PDF 파일을 불러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태블릿.
  95. 제 9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PDF 파일의 불러오기를 진행할 때 선택된 PDF 파일들을 불러오면서 불러오기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진행 상태 표시창을 통해 선택한 PDF 파일의 불러오기 진행 상태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태블릿.
  96. 제 39 항에 있어서,
    페이지 레벨일 때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을 프레스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선택하면 상기 페이지 레벨의 작업 메뉴를 포함하는 제 2 페이지 레벨 팝 업이 생성되는 태블릿.
  97. 제 9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페이지 레벨 팝 업은,
    페이지를 복사하기 위한 <복사> 메뉴와;
    페이지를 잘라내기 위한 <잘라내기> 메뉴와;
    페이지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메뉴와;
    페이지를 PDF 파일로 변환 후 메일에 첨부하여 전송하기 위한 <PDF파일로 메일 보내기> 메뉴와;
    페이지의 속지 이미지를 바꾸기 위한 <속지 바꾸기> 메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블릿.
  98. 제 9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사>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복사를 위해 선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붙여넣기 할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붙여넣기 할 위치의 수신에 응답하여 복사 메뉴 팝 업을 생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며, 상기 복사 메뉴 팝 업의 메뉴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선택에 응답하여 해당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태블릿.
  99. 제 9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메뉴 팝 업은,
    상기 복사한 페이지를 상기 선택한 위치의 페이지보다 순서 상 앞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앞에 붙여넣기> 메뉴와;
    상기 복사한 페이지를 상기 선택한 위치의 페이지보다 순서 상 뒤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뒤에 붙여넣기> 메뉴와;
    상기 복사한 페이지의 내용을 포함하는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페이지 생성> 메뉴를 포함하는 태블릿.
  100. 제 9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잘라내기>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잘라내기를 위해 선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붙여넣기 할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붙여넣기 할 위치의 수신에 응답하여 잘라내기 메뉴 팝 업을 생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며, 상기 잘라내기 메뉴 팝 업의 메뉴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선택에 응답하여 해당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태블릿.
  101. 제 100 항에 있어서, 상기 잘라내기 메뉴 팝 업은,
    상기 잘라내기한 페이지를 상기 선택한 위치의 페이지보다 순서 상 앞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앞에 붙여넣기> 메뉴와;
    상기 잘라내기한 페이지를 상기 선택한 위치의 페이지보다 순서 상 뒤쪽에 붙여넣기 하기 위한 <뒤에 붙여넣기> 메뉴와;
    상기 잘라내기한 페이지의 내용을 포함하는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페이지 생성> 메뉴를 포함하는 태블릿.
  102. 제 10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삭제>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삭제하는 태블릿.
  103. 제 9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DF 파일로 메일 보내기>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한 페이지를 PDF 파일로 변환하며;
    이메일 작성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이메일 작성 화면에 상기 변환된 PDF 파일이 자동으로 첨부되도록 하는 태블릿.
  104. 제 10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메일 작성 화면은,
    수신자 이메일 계정과 참조 이메일 계정, 제목, 파일 첨부를 위한 입력 창과;
    본문 입력 창과;
    가상 키보드를 포함하는 태블릿.
  105. 제 9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지 바꾸기>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선택을 수신하며, 상기 선택된 페이지의 속지를 상기 선택된 새로운 속지로 변경하는 태블릿.
  106. 제 105 항에 있어서,
    상기 속지는 상기 태블릿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것인 태블릿.
  107. 제 105 항에 있어서,
    상기 속지는 온라인 마켓에서 구입하는 것인 태블릿.
  108. 제 105 항에 있어서,
    상기 속지는 커스텀 제작되어 배포되는 커스텀 속지인 태블릿.
  109.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서의 줌 아웃 동작을 통해 노트 레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노트의 수가 증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서의 줌 인 동작을 통해 상기 노트 레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노트의 수가 감소하며;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을 프레스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서의 드래그 동작을 통해 상기 노트 레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복수의 노트가 선택되는 태블릿.
  110. 제 10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을 프레스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에서의 드래그 동작을 통해 상기 노트 레벨에서 화면 넘기기 동작이 이루어지는 태블릿.
  11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서의 줌 아웃 동작을 통해 페이지 레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수가 증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서의 줌 인 동작을 통해 상기 페이지 레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수가 감소하며;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을 프레스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서의 드래그 동작을 통해 상기 페이지 레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복수의 페이지가 선택되는 태블릿.
  112. 제 11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을 프레스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에서의 드래그 동작을 통해 상기 페이지 레벨에서 화면 넘기기 동작이 이루어지는 태블릿.
  113.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서의 줌 인 동작 및 줌 아웃 동작을 통해 노트 레벨과 상기 페이지 레벨 각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노트의 수가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감소 또는 증가하는 태블릿.
  114. 제 113 항에 있어서,
    상기 줌인 동작에 의해 16노트-4노트-1노트-16페이지-4페이지-1페이지의 순서로 표시가 이루어지고;
    상기 줌 아웃 동작에 의해 1페이지-4페이지-16페이지-1노트-4노트-16노트의 순서로 표시가 이루어지는 태블릿.
  1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그래픽적인 표현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테두리 중 제 1 구간이 자성을 갖도록 표현되어 상기 제 1 테두리 구간에 상기 독립형 메뉴 버튼이 달라붙도록 표현되는 태블릿.
  1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그래픽적인 표현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테두리 중 제 2 테두리 구간이 휴지통으로 작용하도록 표현되어 상기 단위 메뉴 버튼과 컨텐츠가 상기 제 2 테두리 구간을 통과하면서 삭제되는 태블릿.
  117. 제 1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테두리 구간을 통해 삭제된 상기 단위 메뉴 버튼이 상기 확장형 메뉴 버튼을 통해 복원되는 태블릿.
  118. 제 1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테두리 구간을 통해 삭제된 상기 컨텐츠가 복원 명령을 통해 복원되는 태블릿.
  1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필기/드로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태블릿.
KR1020120036777A 2012-02-13 2012-04-09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태블릿 KR101967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61,546 US9250768B2 (en) 2012-02-13 2013-02-07 Tablet having user interface
JP2014557563A JP6385827B2 (ja) 2012-02-13 2013-02-08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タブレット
CN201380019789.9A CN104220971A (zh) 2012-02-13 2013-02-08 具有用户界面的平板电脑
PCT/KR2013/001022 WO2013122355A1 (en) 2012-02-13 2013-02-08 Tablet having user interface
EP13154835.6A EP2626779B1 (en) 2012-02-13 2013-02-11 Tablet having user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171 2012-02-13
KR20120014171 2012-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934A true KR20130092934A (ko) 2013-08-21
KR101967632B1 KR101967632B1 (ko) 2019-04-11

Family

ID=4921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777A KR101967632B1 (ko) 2012-02-13 2012-04-09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태블릿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85827B2 (ko)
KR (1) KR101967632B1 (ko)
CN (1) CN104220971A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486B1 (ko) * 2013-09-06 2014-05-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418018B1 (ko) * 2013-09-27 2014-07-09 김길선 터치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50051832A (ko) * 2013-11-05 2015-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5116216A1 (en) * 2014-01-31 2015-08-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paper display writer
KR20170053711A (ko) * 2014-09-12 2017-05-16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한 터치 표면에 대한 비활성 영역
US9804773B2 (en) 2012-07-30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touch based drawing input method and apparatus
WO2017209568A1 (ko) * 2016-06-03 201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06725A (ko) * 2016-07-11 2018-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958967B2 (en) 2014-10-13 2018-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ng electronic pen
US9983681B2 (en) 2014-10-21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in response to event related to motion of external object
KR20180003200U (ko) 2017-05-02 2018-11-12 이병성 직선 표시기
WO2020032347A1 (ko) * 2018-08-08 2020-02-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드로잉 환경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0060121A1 (ko) * 2018-09-18 2020-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필기 입력에 대한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US10747388B2 (en) 2016-03-14 2020-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2050772A1 (ko) * 2020-09-04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리뷰 드로잉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1390091B2 (en) 2010-06-02 2022-07-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riting electronic paper
WO2023049303A1 (en) * 2021-09-24 2023-03-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menus, windows, and cursors on a display with a notch
US11644732B2 (en) 2014-01-31 2023-05-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57106B (zh) * 2015-03-23 2020-07-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JP5933093B1 (ja) * 2015-11-04 2016-06-08 株式会社Cygames 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
JP5937773B1 (ja) * 2016-03-09 2016-06-22 株式会社Cygames 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
CN108717345A (zh) * 2018-06-08 2018-10-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功能控件的展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0187810B (zh) * 2019-05-27 2020-10-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绘图方法及终端设备
KR102400481B1 (ko) * 2019-12-19 2022-05-19 주식회사 카카오 이모티콘 탐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KR20210117540A (ko) * 2020-03-19 2021-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어 제스처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4459A (ja) * 2010-06-30 2012-01-19 Brother Ind Ltd 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4289A (ja) * 1996-01-29 1997-08-05 Canon Inc 文書編集装置
US6002402A (en) * 1997-04-09 1999-12-14 Symante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drag-and-drop object from a popup menu item
US6337698B1 (en) * 1998-11-20 2002-01-08 Microsoft Corporation Pen-based interface for a notepad computer
US7895536B2 (en) * 2003-01-08 2011-02-22 Autodesk, Inc. Layer editor system for a pen-based computer
US20080250349A1 (en) * 2007-04-05 2008-10-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Graphical user interface
US8726190B2 (en) * 2007-09-28 2014-05-13 Adobe Systems Incorporated Automatically transform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8933892B2 (en) * 2007-11-19 2015-01-13 Cirque Corporation Touchpad combined with a display and having proximity and touch sensing capabilities to enable different functions or interfaces to be displayed
US20110032424A1 (en) * 2009-08-04 2011-02-10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cally annotating displays produced in a television receiver
CN102118514A (zh) * 2011-03-31 2011-07-06 深圳市五巨科技有限公司 移动通信终端及其菜单设置方法
CN102299996A (zh) * 2011-08-19 2011-12-28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手持设备操作方式识别方法及手持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4459A (ja) * 2010-06-30 2012-01-19 Brother Ind Ltd 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0091B2 (en) 2010-06-02 2022-07-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riting electronic paper
US10956030B2 (en) 2012-07-30 2021-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touch based drawing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9804773B2 (en) 2012-07-30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touch based drawing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10282087B2 (en) 2012-07-30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touch based drawing input method and apparatus
KR101400486B1 (ko) * 2013-09-06 2014-05-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418018B1 (ko) * 2013-09-27 2014-07-09 김길선 터치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50051832A (ko) * 2013-11-05 2015-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5116216A1 (en) * 2014-01-31 2015-08-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paper display writer
CN105934788A (zh) * 2014-01-31 2016-09-07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电子纸显示器书写器
US11644732B2 (en) 2014-01-31 2023-05-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device
US10558275B2 (en) 2014-01-31 2020-02-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paper display writer
KR20170053711A (ko) * 2014-09-12 2017-05-16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한 터치 표면에 대한 비활성 영역
US9958967B2 (en) 2014-10-13 2018-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ng electronic pen
US9983681B2 (en) 2014-10-21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in response to event related to motion of external object
US10747388B2 (en) 2016-03-14 2020-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990748B2 (en) 2016-06-03 2021-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cover of note in electronic device
KR20170137491A (ko) * 2016-06-03 2017-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7209568A1 (ko) * 2016-06-03 201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06725A (ko) * 2016-07-11 2018-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03200U (ko) 2017-05-02 2018-11-12 이병성 직선 표시기
WO2020032347A1 (ko) * 2018-08-08 2020-02-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드로잉 환경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017174A (ko) * 2018-08-08 2020-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로잉 환경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328469B2 (en) 2018-08-08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rawing environment
WO2020060121A1 (ko) * 2018-09-18 2020-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필기 입력에 대한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WO2022050772A1 (ko) * 2020-09-04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리뷰 드로잉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WO2023049303A1 (en) * 2021-09-24 2023-03-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menus, windows, and cursors on a display with a no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20971A (zh) 2014-12-17
JP2015510641A (ja) 2015-04-09
KR101967632B1 (ko) 2019-04-11
JP6385827B2 (ja)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632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태블릿
EP2626779B1 (en) Tablet having user interface
EP395675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 companion-display mode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US11641517B2 (en) User interface for camera effects
AU2019338180B2 (en) User interfaces for simulated depth effects
AU2017272222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user interface objects
US20200081614A1 (en) Device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etting Autofocus Reference Point in Camera Application User Interface
EP3178222B1 (en) Remote camera user interface
EP3410287B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user interface objects
WO2020055613A1 (en) User interfaces for simulated depth eff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