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244A - Mobile terminal and screen spotligh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screen spotligh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244A
KR20130090244A KR1020120011413A KR20120011413A KR20130090244A KR 20130090244 A KR20130090244 A KR 20130090244A KR 1020120011413 A KR1020120011413 A KR 1020120011413A KR 20120011413 A KR20120011413 A KR 20120011413A KR 20130090244 A KR20130090244 A KR 20130090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rea
spotlight
mobile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4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유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1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0244A/en
Publication of KR20130090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2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07General aspects irrespective of display type, e.g. determination of decimal point position, display with fixed or driving decimal point, suppression of non-significant zer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terminal and a screen spot light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arbitrarily adjust the size and range of the bright are of the screen. CONSTITUTION: A display unit (151) displays an execution screen. A memory (160) stores the area and the related information which will be spot light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a control unit (180) spot lights the fixed area in the execution screen. The execution screen comprises a menu screen, an application screen, and a text screen. The related information comprises the brightness of the spot light area, the initially shape, size, and the position. [Reference numerals]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 Broadcast reception unit; (112) Mobile communication unit; (113) Wireless internet module; (114)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115)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20) A/V input unit; (121) Camera; (122) Microphone; (130) User input unit; (140) Sensing unit; (150) Output unit; (151) Display unit; (152) Sound output unit; (153) Alarming unit; (160) Memory; (170) Interface unit; (180) Control unit; (181) Multimedia module; (190) Power supply unit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 스포트라이트 방법{MOBILE TERMINAL AND SCREEN SPOTLIGHTING METHOD THEREOF} MOBILE TERMINAL AND SCREEN SPOTLIGH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 밝게 볼 수 있도록 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 스포트라이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screen spotlighting method thereof, in which only a desired portion of a screen can be seen brightly.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Examples of such various functions include a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a function of photographing a video or a moving image through a camera, a voice storage function, a music file playback function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an image or video display function. Some mobile terminals include additional functions to execute games, and some other mobile terminals are also implemented as multimedia devices. Moreover, recent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broadcast or multicast signals to watch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그 중에서 이동 단말기의 터치 기능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버튼/키 입력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편리하게 단말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최근에는 단순한 입력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함께 단말기의 중요한 기능으로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기능이 이동단말기에 더욱 다양한 형태로 적용됨에 따라 그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Further, efforts for supporting and increasing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continue. Such efforts include not only changes and improvements in structural components that form the mobile terminal, but also improvements in software or hardware. Among them, the touch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allows a user who is unfamiliar with the button / key input to conveniently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by using the touch screen. In recent years, not only simple input but also user interface (UI) Is becoming an important function of Accordingly, as the touch function is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in various forms, development of a user interface (UI) corresponding thereto is further demanded.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스크린)의 밝은 부분의 크기와 범위는 고정되어 있다. 즉, 화면은 이동 단말기가 파워-온되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대기상태에서 활성화상태로 바뀌게 되면 내부의 표시장체에 전원이 인가되어 밝게 보인다.The size and range of the bright part of the screen (screen) in the mobile terminal is fixed. That is, when the mobile terminal is powered on or changed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activated state by the user input, power is applied to the internal display body, and thus the screen is bright.

사용자는 화면상에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주위의 밝기 또는 눈의 피로도를 고려하여 사용자 메뉴에서 화면의 전체적인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The user can perform a desired task on the screen, and adjust the overall brightness of the screen in the user menu in consideration of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or eye fatigue.

그런데,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스크린)의 밝은 부분(Spot light)의 크기와 범위는 고정되어 있어 활성화 상태에서 화면 전체가 밝게 표시되지만, 실제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부분은 전체 화면의 일부분에 해당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활성화 상태에서 화면 전체를 항상 밝게 표시하는 것은 불필요한 전력 소모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타인에게 원치 않은 정보가 노출될 가능성이 많게 된다.By the way, the size and range of the spot light of the screen (screen) in the mobile terminal is fixed, so that the entire screen is displayed brightly in the activated state, but the part used by the user corresponds to a part of the entire screen. Therefore, conventionally displaying the entire screen brightly in the active state may caus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it is likely that unwanted information is exposed to others.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의 밝은 부분의 크기와 범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 스포트라이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a screen spotlighting method thereof in which a user can arbitrarily adjust the size and range of a bright portion of the scree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밝은 부분의 이동 및 확대축소가 가능한 스포트라이트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 스포트라이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spotlight function capable of moving and enlarging a bright part and a screen spotlight method there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화면 스포트라이트 방법의 일실시예는,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스포트라이트될 영역 및 관련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 정보에 따라 실행 화면중에서 상기 설정된 영역을 스포트라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a screen spotlight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playing an execution screen; Setting an area to be spotlighted and related information; And spotlighting the set area in the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the related information.

상기 실행화면은 메뉴화면, 어플리케이션 화면 및 텍스트 화면을 포함한다.The execution screen includes a menu screen, an application screen, and a text screen.

상기 관련 정보는 스포트 라이트 영역의 밝기, 초기모양, 크기 및 위치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다. The related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brightness, initial shape, size and position of the spotlight area.

상기 스포트라이트 영역이외의 영역은 전원이 인가되지 않거나 어둡게 처리된다. Areas other than the spotlight area are not powered or darkened.

상기 스포트라이트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이동, 복사, 확대/축소 및 삭제된다. The spotlight area is moved, copied, enlarged / reduced and deleted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화면 스포트라이트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실행화면에서 특정 영역 및 관련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영역을 어둡게 처리하여 스포트라이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other embodiment of a screen spotlight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splaying an execution screen; Setting a specific area and related information in the execution screen; And darkening the specific area according to the related information to form a spotlight area.

상기 실행화면은 메뉴화면, 어플리케이션 화면 및 텍스트 화면을 포함한다.The execution screen includes a menu screen, an application screen, and a text screen.

상기 관련 정보는 특정 영역의 밝기 및 크기를 포함한다.The related information includes brightness and size of a specific area.

상기 특정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위치 및 크기가 변경된다.The specific area is changed in position and size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상기 특정 영역과 스포팅라이트 영역이 만나는 부분은 그라데이션 처리된다.The portion where the specific area and the spotting light area meet is gradated.

상기 실행 화면에서 키 패드가 선택되면 스포트 라이트 영역은 유지되고, 상기 어둡게 처리되는 특정 영역만 줄어든다. When the keypad is selected in the execution screen, the spot light area is maintained, and only the specific dark area is reduc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스포트라이트 또는 블랙라이트될 영역 및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execution screen; A memory storing an area to be spotlighted or blacklighted and related information; And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실행 화면중에서 상기 설정된 영역을 스포트라이트하거나 블랙라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potlight or blacklight the set area in the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상기 실행화면은 메뉴화면, 어플리케이션 화면 및 텍스트 화면을 포함한다.The execution screen includes a menu screen, an application screen, and a text screen.

상기 관련 정보는The relevant information

스포트 라이트 또는 블랙라이트될 영역의 밝기 및 크기를 포함한다.Brightness and size of the area to be spotlighted or blacklighted.

상기 스포트라이트 영역이외의 영역은 전원이 인가되지 않거나 어둡게 처리된다. Areas other than the spotlight area are not powered or darkened.

상기 스포트라이트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이동, 복사, 확대/축소 및 삭제되며, 상기 블랙라이트 영역은 이동, 확대/축소 및 삭제된다. The spotlight area is moved, copied, enlarged / reduced and deleted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and the blacklight area is moved, enlarged / reduced and deleted.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 밝게 보이도록 화면의 밝은 부분의 크기, 범위 및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타인에게 원치 않은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adjusting the size, range, and position of a bright part of the screen so that the user only wants to be bright, and in particula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unwanted information is not exposed to oth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스포트라이트 영역을 통해 스포트라이트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구성도.
도 4는 메뉴 화면에 스포트라이트 영역을 통해 스포트라이트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메뉴 화면에서 가능한 스포트라이트 영역의 다양한 응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메뉴 화면에서 스포트라이트 영역을 삭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블랙라이트 영역을 이용하여 스포트라이트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구성도.
도 8은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블랙라이트 영역을 이용하여 스포트라이트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가능한 블랙라이트 영역(51)의 다양한 응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화면 스포트라이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mobile terminal may operat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menu configuration diagram for setting a spotlight function through the spotlight area in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n example of performing a spotlight function through a spotlight area on a menu screen.
5A-5D illustrate various application examples of spotlight areas possible on a menu screen.
6 illustrates an example of deleting a spotlight area from a menu screen.
7 is a menu configuration for setting the spotlight function using the black light area in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an example of performing a spotlight function using a black light area on an application screen.
9A to 9C are diagrams showing various application examples of the black light area 51 possible on the application scree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spotlight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mentioned "module" and "part"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fixed terminals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applied to the fixed terminal, except for components specifically configured for mobile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udio / video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A controller 170, a controller 180, a power supply 190, and the like. 1 shows a mobile terminal having various components. However, not all illustrated components are required. A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illustrated components, or a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allow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network o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ing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In particular, the broadcasting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Only Digital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ing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 (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can be built in or externally.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confirm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typical example of 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According to the current technology, the GPS module calculates distance information and accurate time information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then applies trigonometry to the calculated information to obtain three-dimensional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It can be calculated accurately. At present, a method of calculat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an error of the calculated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another satellite is widely used. In addition, the GPS module can calculate speed information by continuously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An audio / video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n,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51.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camera 121 may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camera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 (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The microphone 122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Particularly,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module 151 described later, it can be called a touch screen.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 (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Also, it is responsible for a sens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Meanwhi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This will be discussed later in connection with touch screens.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사용자가 이동할 때 이동방향을 계산하는 지자기 센서, 회전방향을 계산하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센서를 포함한다. The sensing unit 140 includes a geomagnetic sensor for calculating a moving direction when a user moves, a gyro sensor for calculating a rotating direction, and an acceleration sensor.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s, earphone ports, and the like.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Her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 USIM "), and the like. In addition, an apparatus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port.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ransfer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to transmit data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Various command signals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various command signals or the power source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d an alarm unit 153.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The display module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module 151 and the touch pad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to constitute a touch screen, the display module 151 can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The display module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Some of these displays can be configured to be transparent so that they can be viewed from outside.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a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OLED) or the like. In addition,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modules 1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n external display module (not shown) and an internal display module (not shown) at the same time. The touch screen may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touch input position and area but also the touch input pressure.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n acoustic signal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that occur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touch input, and the like.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inform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utput a signal in a vibration mode.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the alarm unit 153 can output a vibration to notify it. Alternatively, when the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unit 153 can output the vibration by the feedback to the key signal input. The user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rough the vibration output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151 or the sound output module 152.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80 and may stor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 In addition, the memory 160 may store data on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ted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 And an optical disc. Also,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for performing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60 on the Internet.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80. [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로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as a battery,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And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80.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software code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100 shown in Fig. 1 is configured to be operable in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a frame or packet, includ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satellite-based communication system .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Hereinafter,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The communication system may use different air interfaces and / or physical layers. For example, wireless interfaces that can be used by communication system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 (especially Long Term Evolution (LT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CDM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communication systems including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2, the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100,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BSs) 270, and 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275 , And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280. The MSC 28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290 and is also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BSCs 275. BSCs 275 may be coupled in pairs with BS 270 through a backhaul line. The backhaul line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E1 / 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or xDSL. Thus, a plurality of BSCs 275 may be included in the system shown in FIG.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Each BS 270 may comprise at least one sector, and each sector may comprise an omnidirectional antenna or an antenna pointing to a particular direction of radial from BS 270. [ In addition, each sector may include two or more antennas of various types. Each BS 27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a plurality of frequency assignments, each of which has a specific spectrum (eg, 1.25 MHz, 5 MHz, etc.).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The intersection of sectors and frequency assignments may be called a CDMA channel. BS 270 may be referred to as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 In this case, the word "base station" may be referred to as a combination of one BSC 275 and at least one BS 270. [ The base station may also indicate “cell site”. Alternatively,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ors for a particular BS 270 may be referred to as a plurality of cell site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2, a broadcasting transmitter (BT) 295 transmits a broadcasting signal to the terminals 100 operating in the system.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shown in FIG. 1 is provided in the terminal 100 to receive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by the BT 295.

뿐만 아니라, 도 2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In addition, FIG. 2 illustrates several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atellites 300. The satellites 300 help to locat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0. Although two satellites are shown in FIG. 2, useful lo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two or more satellites.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shown in FIG. 1 cooperates with satellites 300 to obtain desired location information. Here, you can track your location using all of the technologies that can track your location, as well as your GPS tracking technology. Also, at least one of the GPS satellites 300 may optionally or additionally be responsible for satellite DMB transmission.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Among the typical operation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BS 270 receives a reverse link signal from the various terminals 100. At this time, the terminals 100 are connecting a call, transmitting or receiving a message, or performing another communication operation. Each of the reverse link signals received by the particular base station 270 is processed by the particular base station 270. The data resulting from the processing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BSC 275. The BSC 275 provides call resource allocation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s, including the organization of soft handoffs between the base stations 270. The BSC 275 also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MSC 280 and the MSC 280 provides additional transmission services for connection with the PSTN 290. [ Similarly, the PSTN 290 connects to the MSC 280, the MSC 280 connects to the BSCs 275, and the BSCs 275 communicate with the BSs 270 ).

일반적으로 스포트라이트(Spotlight)는 무대의 한 부분이나 특정 인물만을 특별히 밝게 비추는 조명 방식 또는 그런 조명을 의미한다. Spotlight generally refers to a lighting method or such lighting that only one part of the stage or a specific person shines brightly.

본 발명은 스프트라이트 기능을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적용하여 특정 메뉴 또는 일부 내용만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밝게 비추어줌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정보 노출을 방지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the sprite function to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to brighten the specific menu or only a part of the contents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prevent information exposur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 밝게 볼 수 있도록 화면에 스포트라이트 영역을 설정한다. 상기 스포트라이트 영역은 밝게 보이는 부분이고, 나머지 부분은 어둡게 보이는 영역으로 블랙라이트 영역이라 칭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spotlight area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only sees the desired part brightly. The spotlight area is a part that looks bright, and the remaining part is a dark part that is called a black light area.

본 발명은 2가지 방법으로 스프트라이트 모드(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the sprite mode (function) in two ways.

첫번째 방법은 화면에 직접 스포트 라이트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이고, 두번째 방법은 블랙라이트 영역영역을 이용하여 즉, 블랙라이트 영역이외의 영역을 스포트 라이트 영역으로 간주하는 방법이다. The first method is to set the spotlight area directly on the screen, and the second method is to use the blacklight area area, that is, to consider an area other than the blacklight area as the spotlight area.

상기 스포트 라이트 영역 및 블랙라이트 영역의 크기, 모양 및 밝기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The size, shape and brightness of the spot light area and the black light area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상기 스포트 라이트 영역은 드래그 등의 터치동작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스포트 라이트 영역은 테두리(가장자리)의 드래그 모션에 따라 이동된다. 또한, 블랙라이트 영역 역시 어두운 부분내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드래그 모션에 의해 이동된다. 또한, 상기 블랙라이트 영역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터치 인식을 제한 할 수도 있다. The spot light area may be moved by a touch operation such as dragging. That is, the spotlight area is moved according to the drag motion of the edge (edge). In addition, the black light region is also moved by drag motion at an arbitrary position within the dark portion. In addition, in the black light region, touch recognition may be limited as necessary.

상기 스포트라이트 영역 및 브랙라이트 영역은 두 손가락의 확장 모션에 따라 확대/축소된다. 사용자는 사용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스포트라이트 영역 또는 브랙라이트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The spotlight area and the breaklight area are enlarged / reduced according to the extended motion of two fingers. The user adjusts the size of the spotlight area or the blacklight area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us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트라이트 기능을 설정하는 메뉴 구성도로서, 스포트 라이트 영역을 설정하는 예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configuration for setting a spotligh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 스포트라이트 기능은 휴대폰 설정메뉴에서 스포트 라이트 모드를 선택함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스포트 라이트모드는 스포트라이트 메뉴와 블랙라이트 메뉴로 구성된다. 상기 스포트라이트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는 스포트라이트 영역에 대한 상세 설정, 예를들면 밝기, 모양, 크기 및 스포트 라이트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어두운 부분에 대한 밝기 또는 투명도를 설정할 수 있는 세부 메뉴가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3, the spotlight function may be set by selecting the spotlight mode in the mobile phone setting menu. The spotlight mode includes a spotlight menu and a blacklight menu. When the spotlight menu is selected, the user is presented with a detailed menu for setting detailed settings of the spotlight area, for example, brightness, shape, size, and brightness or transparency of the remaining dark areas except for the spotlight area.

상기 밝기 메뉴가 선택되면 스포트라이트 영역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바(bar)가 표시되고, 모양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스포트라이트 영역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가 표시되며, 크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스포트라이트 영역에 대한 다양한 크기가 표시되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위치메뉴가 선택되면 좌표로 구분된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스포트라이트 영역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스포트라이트 영역의 크기 및 위치는 사용자가 터치동작에 의해 확대/축소 및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특별히 크기와 위치를 지정하지 않는다면 기본형으로 특정 위치에 표시된다. When the brightness menu is selected, an adjustment bar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spotlight area is displayed, when the shape menu is selected, at least one shape for the spotlight area is displayed, and when the size menu is selected, the spotlight area is displayed in the spotlight area. Various sizes are displayed, and although not shown, when the location menu is selected, a screen separated by coordinates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et the position of the spotlight area. In particular, since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spotlight area can be enlarged / reduced and moved by the user's touch operation, the spotlight area is displayed at a specific position by default unless the user specifically designates the size and position.

상기 스포트라이트 모드(기능)는 기본적으로 도 3과 같이 사용자자 휴대폰설정 메뉴에서 직접 선택하여 진입하거나 또는 작업중에 화면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여 설정할 수 있다. The spotlight mode (function) can be set by directly selecting a user's mobile phone setting menu as shown in FIG. 3 or by touching a specific part of the screen during a work.

상기 스포트라이트 모드가 설정되면 인디케이터 영역에 현재 스포트라이트 모드가 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여 스포트라이트 모드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When the spotlight mode is set, an icon indicating that the spotlight mode is activated is displayed in the indicator area. The user can change the setting of the spotlight mode by selecting the icon.

도 4는 메뉴 화면에 스포트라이트 영역을 이용하여 스포트라이트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4 illustrates an example of performing a spotlight function using a spotlight area on a menu screen.

사용자는 복수의 메뉴가 표시된 화면에서 휴대폰 설정 메뉴를 선택하거나 특정 위치를 롱터치하여 도 3과 같은 스포트라이트 모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포트라이트 모드메뉴에서 사용자는 스포트라이트 메뉴를 선택한 후 상기 메뉴화면에 표시될 스포트라이트 영역의 모양(e.g.,네모), 크기 및 위치(e.g.,전화걸기 아이콘)를 설정한 후 조정바를 이용하여 스포트라이트 영역의 밝기 및 스포트라이트 영역을 제외한 영역(어둡게 보이는 부분)의 투명도(또는 밝기)를 각각 조절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조정바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가 변화되는 밝기 및 투명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The user may display a spotlight mode menu as shown in FIG. 3 by selecting a mobile phone setting menu or by long touching a specific position on a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menus are displayed. In the spotlight mode menu, a user selects a spotlight menu, sets a shape (eg, a square), a size, and a position (eg, a dial icon) of the spotlight area to be displayed on the menu screen, and then uses the adjustment bar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spotlight area. And transparency (or brightness) of the area (the part which looks dark) except for the spotlight area.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allows the user to directly check the brightness and the transparency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djustment bar.

상기 스포트라이트 영역이외의 영역(어둡게 보이는 부분)은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과 초기 메뉴화면보다 어둡게 하는 방법이 있다. Areas other than the spotlight area (the part that looks dark) include a method of preventing power from being applied and a darker than an initial menu screen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스포트라이트 영역에 대한 세부 정보가 설정된 후 사용자가 확인버튼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화걸기"아이콘을 수용하는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을 생성하고, 해당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을 사용자가 설정한 밝기로 표시한다. 또한, 나머지 영역는 상기 설정된 투명도로 어둡게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포트라이트 영역(50)내의 전화걸기 아이콘을 선택하여 전화걸기를 수행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OK button after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potlight area is set, the controller 180 generates a spotlight area 50 that accepts a "call" icon, as shown in FIG. 4, and the spotlight area. (50) is displayed at the brightness set by the user. In addition, the remaining area is darkened with the set transparency. Accordingly, the user selects a dial icon in the spotlight area 50 to perform a dial.

본 발명에서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은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상기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은 이동, 복사 및 삭제가 가능하며, 필요할 경우 결합도 가능하다. 제어부(180)는 센서를 통해 상기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은 이동, 복사 및 삭제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otlight region 50 may be variously applied. The spotlight area 50 can be moved, copied and deleted, and can be combined if necessary.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e movement, copying, and deletion of the spotlight area 50 through a sensor and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corresponding thereto.

도 5a 내지 도 5d는 메뉴 화면에서 가능한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의 다양한 응용예를 도시한다. 5A to 5D show various application examples of the spotlight area 50 possible on the menu screen.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의 이동은 테두리(가장 자리)를 터치한 후 원하는 지점으로 드래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만약,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이 수평방향으로 최대 크기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하이동만 가능하고, 수직방향으로 최대 크기로 설정된 경우에는 좌우이동만 가능하다. 그 이외의 경우에는 상하좌우는 물론이고 대각선방향으로의 이동도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5A, the movement of the spotlight area 50 is made by touching the edge (edge) and dragging it to a desired point. If the spotlight area 50 is set to the maximum siz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ly the moving distance is possible, and if the spotlight area 50 is set to the maximum siz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ly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are possible. In other cases, it is possible to move in a diagonal direction as well as up, down, left, and right.

사용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을 터치(e.g.,멀티터치)하여 동일한 크기의 스포트라이트 영역을 생성할 수 있으며, 그 생성된 스포트라이트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 드래그 동작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As illustrated in FIG. 5B, the user may touch (eg, multi-touch) the spotlight area 50 to generate a spotlight area having the same size, and the generated spotlight area may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by a user's touch & drag operation. Is moved to.

도 5c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은 사용자의 터치동작, 즉 두 손가락을 밖으로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에 의해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5C, the spotlight area 50 may be enlarged or reduced by a touch operation of the user, that is, an operation of spreading or pinching two fingers out.

상기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은 사용자가 이동시키지 않는 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5d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스포트라이트 영역(50)안에 있는 메뉴화면을 왼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좌우화면이 이동되어, 스포트라이트 영역(50)에 는 오른쪽 화면의 메뉴가 표시된다. The spotlight area 50 is fixed unless the user moves it. Therefore, as shown in FIG. 5D, when the user slides the menu screen in the spotlight area 50 to the left, the left and right screens are moved, and the menu of the right screen is displayed in the spotlight area 50.

도 6은 메뉴화면에서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을 삭제하는 예를 나타낸다.6 shows an example of deleting the spotlight area 50 from the menu screen.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은 사용자가 임의로 삭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사용자가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의 특정 테두리(오른쪽 상단)을 롱터치하면 삭제버튼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해당 삭제 버튼을 선택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을 선택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삭제버튼에 의해 마지막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이 삭제되면 제어부(180)는 초기 메뉴 화면으로 복귀한다. The spotlight area 50 may be arbitrarily dele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6, since the delete button is displayed when the user long touches a specific border (upper right corner) of the spotlight area 50, the user selects the corresponding delete button to selectively select at least one spotlight area 50. Can be deleted. When the last spotlight area 50 is deleted by the delete button, the controller 180 returns to the initial menu screen.

또한, 사용자는 메뉴화면에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이 표시된 상태에서 세부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의 특정 테두리(오른쪽 하단)을 롱터치하거나 또는 인디케이터 영역에서 현재 스포트라이트 모드가 실행중임을 나타내는 아이콘 선택시 표시되는 스포트라이트 메뉴에서 상세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change detailed settings while the spotlight area 50 is displayed on the menu screen. That is, the user may long-touch a specific border (lower right) of the spotlight area 50 or change the detailed setting in the spotlight menu displayed when an icon indicating that the spotlight mode is currently executed in the indicator area is select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트라이트 기능을 설정하는 메뉴 구성도로서, 블랙라이트 영역을 설정하는 예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configuration for setting a spotligh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ample of setting a blacklight region.

사용자는 스포트라이트 모드메뉴에서 블랙라이트 메뉴를 선택한 후 화면에 표시될 블랙라이트 영역의 모양, 크기 및 위치를 설정한 후 조정바를 이용하여 블략라이트 영역의 밝기와 백라이트 영역을 제외한 영역(밝게 보이는 부분)의 밝기를 각각 조절한다. 이때, 사용자는 조정바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밝기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블랙라이트 영역은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전원이 인가되지 않거나 또는 초기 메뉴화면보다 어둡게 표시된다. The user selects the black light menu from the spotlight mode menu, sets the shape, size, and position of the black light area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n uses the control bar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black light area and the area except the backlight area (the part that is visible). Adjust the brightness individually. In this case, the user may directly check the brightness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djustment bar.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the black light area is not powered or is displayed darker than the initial menu screen.

상기 블랙라이트 영역에 대한 세부 정보가 설정된 후 사용자가 확인버튼을 누르면, 제어부(180)는 화면에서 스포트라이트 영역에 해당되는 부분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거나 어둡게 처리한다. 따라서, 상기 블랙라이트 영역을 제외한 영역 즉, 밝은 부분이 앞에서 설명한 스포트라이트 영역(50) 처럼 보이게 된다. If the user presses a confirmation button after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black light area is set, the controller 180 does not apply power or darkens the power corresponding to the spot light area on the screen. Therefore, the region except for the black light region, that is, the bright portion, looks like the spotlight region 50 described above.

상기 스포트라이트 영역(50)과 마찬가지로 블랙라이트 영역 역시 이동, 삭제 및 확대/축소가 가능하다. Like the spotlight area 50, the black light area can also be moved, deleted and enlarged / reduced.

도 8은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블랙라이트 영역을 이용하여 스포트라이트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8 illustrates an example of performing a spotlight function using a black light area on an application screen.

사용자는 복수의 메뉴가 표시된 화면에서 휴대폰 설정 메뉴를 선택하거나 특정 위치를 롱터치하여 도 3과 같은 스포트라이트 모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포트라이트 모드메뉴에서 사용자는 블랙라이트 메뉴를 선택한 후 블랙라이트 영역의 모양, 크기 및 위치를 설정한 후 조정바를 이용하여 블랙라이트 영역의 밝기 및 블랙라이트 영역을 제외한 영역(밝게 보이는 부분)의 밝기를 각각 조절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조정바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가 변화되는 밝기 및 투명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The user may display a spotlight mode menu as shown in FIG. 3 by selecting a mobile phone setting menu or by long touching a specific position on a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menus are displayed. In the spotlight mode menu, the user selects the blacklight menu, sets the shape, size, and position of the blacklight area, and then uses the control bar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blacklight area and the brightness of the area excluding the blacklight area. Adjust each.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allows the user to directly check the brightness and the transparency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djustment bar.

상기 스포트라이트 영역이외의 영역(어둡게 보이는 부분)은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과 초기 메뉴화면보다 어둡게 하는 방법이 있다. Areas other than the spotlight area (the part that looks dark) include a method of preventing power from being applied and a darker than an initial menu screen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블랙라이트 영역에 대한 세부 정보가 설정된 후 사용자가 확인버튼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랙라이트 영역(51)을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블랙라이트 영역(51)은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이동 및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블랙라이트 영역(51)이외의 영역이 앞에서 설명한 스포트라이트 영역(50)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예를들어 카카오톡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화매용이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f the user selects the OK button after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black light area is set, the controller 180 generates the black light area 51 as shown in FIG. 8. The generated black light region 51 may be moved and adjusted in size by a user's touch operation. Therefore, since the area other than the black light area 51 plays the same role as the spotlight area 50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not only reduce power consumption when executing an application such as KakaoTalk, but als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exposed to others.

상기 블랙라이트 영역(51)은 스포트라이트 영역(50)처럼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상기 블랙라이트 영역(51) 역시 이동, 삭제 및 확대/축소가 가능하다. 제어부(180)는 센서를 통해 상기 블랙라이트 영역(51)의 이동, 삭제 및 확대/축소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The black light region 51 may be applied in various ways like the spotlight region 50. The black light region 51 may also be moved, deleted and enlarged / reduced.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e movement, deletion, and enlargement / reduction of the black light region 51 through a sensor and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corresponding thereto.

도 9a 내지 도 9c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가능한 블랙라이트 영역(51)의 다양한 응용예이다. 9A to 9C illustrate various application examples of the black light area 51 that can be used in the application screen.

도 9a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랙라이트 영역(51)은 사용자가 상대방으로부터 대화내용을 받는 동안에는 고정되지만, 대화 내용을 입력하기 위하여 키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밝은 부분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에 카패드를 표시한다. 이때 블랙라이트 영역(51)은 키패드의 크기만큼 자동으로 줄어든다.As shown in FIG. 9A, the black light area 51 is fixed while the user receives a conversation from the other party, but when the keypad is selected for input of the conversation, a black pad is displayed at the lower part or the upper part of the bright part. . At this time, the black light area 51 is automatically reduced by the size of the keypad.

그리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블랙라이트 영역(50)은 사용자의 터치동작, 즉 두 손가락을 밖으로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에 의해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랙라이트 영역(50)은 스포트라이트 영역과 동일하게 사용자의 터치 &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되거나 롱터치시 나타내는 해제버튼에 의해 삭제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9B, the black light region 50 may be enlarged or reduced by a user's touch operation, that is, by spreading or pinching two fingers out. In addition, the black light region 50 may be moved by a user's touch and drag operation or may be deleted by a release button displayed during long touch, similar to the spotlight region.

특히 본 발명은 도 9c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래픽 처리 기법을 사용하여 블랙라이트 영역(50)이 밝은 부분과 닿는 부분을 그라데이션(gradation) 처리함으로써 색상을 부드럽게 처리할 수도 있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9C, the color processing may be smoothed by performing a gradation process on the part where the black light area 50 contacts the bright part using a graphic processing technique.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포트 라이트 영역(50)과 블랙라이트 영역(51)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어느 하나의 영역이 설정되면 나머지 영역은 자동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otlight area 50 and the black light area 51 are divided and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when any one area is set, the remaining area is automatically determined, and thus the same effect is obtain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화면 스포트라이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spotlight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서 스포트 라이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화면은 이동 단말기에서 표시 가능한 모든 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151)는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일부분만을 사용하거나 시간에 따라 시각적으로 일부분만을 보는 화면, 예를들면 메뉴 화면, 텍스트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한다(S10). As illustrated in FIG. 10, a user may execute a spotlight function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The screens are all screen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 screen where a user uses only a part as needed or visually sees only a part of time, for example, a menu screen, a text screen, and an application screen. (S10).

상기 화면에서 사용자는 스포트라이트 모드를 선택한 후 해당 모드에서 스포트라이트 영역 또는 블랙라이트 영역을 설정하고(S11, S12), 각 영역에 대한 상세 설정, 예를들면 크기, 밝기, 모양, 위치중에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한다 (S13). 상기 설정된 상세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차후 동일한 화면이 표시될 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On the screen, the user selects a spotlight mode and sets a spotlight area or a blacklight area in the mode (S11, S12), and at least one of detailed settings for each area, for example, size, brightness, shape, and position. Set (S13). The set detail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may be equally applied when the same screen is displayed later.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 후 확인버튼을 누르면 제어부(180)는 스포트라이트 영역이 설정되었는지 아니면 블랙라이트 영역이 설정되었는지 체크한다(S14). 체크결과 스포트라이트 영역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80)는 설정된 상세 정보에 따라 화면의 일정 위치에 일정 밝기로 스포트라이트 영역(50)을 표시하고(S15), 블랙라이트 영역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80)는 설정된 상세 정보에 따라 화면의 일정 위치에 일정 밝기로 블랙라이트 영역(51)을 표시한다(S16).After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and pressing the OK button, the controller 180 checks whether the spotlight area or the black light area is set (S14). If the spotlight area is set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spotlight area 50 at a predetermined brightnes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set detailed information (S15), and if the black light area is set, the controller 180 sets the set detai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he black light region 51 is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brightness on a certain position of the screen (S16).

이후 스포트라이트 또는 브랙라이트모드를 해제되거나 스포트라이트영역(50) 또는 블랙라이트 영역(51)을 터치 동작에 의해 삭제되면 제어부(1800는 스포트라이트 기능의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S18). When the spotlight or the blacklight mode is released or the spotlight area 50 or the blacklight area 51 is deleted by a touch operation, the controller 1800 ends all processes of the spotlight function (S18).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스포트라이트 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 밝게 보이도록 해당 부분의 밝기,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타인에게 원치 않은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adjusting the brightness, size, and position of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creen so that only a desired portion of the screen appears bright by using a spotlight function, and particularly, unwanted information is exposed to others.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Further, the computer may include a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s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It is possible.

110 : 무선통신부 111 : 방송수신모듈
112 : 이동통신모듈 113 : 무선인터넷모듈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2: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wireless Internet module
140: sensing unit 150: output unit
151: display unit 160: memory
180:

Claims (17)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스포트라이트될 영역 및 관련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 정보에 따라 실행 화면중에서 상기 설정된 영역을 스포트라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스포트라이트 방법.
Displaying an execution screen;
Setting an area to be spotlighted and related information; And
Spotlighting the set area in the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the related information; Screen spotlight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화면은
메뉴화면, 어플리케이션 화면 및 텍스트 화면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스포트라이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ecution screen
Screen spotlight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menu screen, an application screen and a text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는
스포트 라이트 영역의 밝기, 초기모양, 크기 및 위치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스포트라이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lated information is
Screen spotlight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brightness, initial shape, size and position of the spotligh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스포트라이트될 영역 및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스포트라이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storing the set area to be spotlighted and related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트라이트 영역이외의 영역은
전원이 인가되지 않거나 어둡게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스포트라이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rea other than the spotlight area is
The screen spotlight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not applied or is dark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트라이트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이동, 복사, 확대/축소 및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스포트라이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otlight area is
The screen spotlight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oved, copied, enlarged / reduced and deleted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실행화면에서 특정 영역 및 관련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영역을 어둡게 처리하여 스포트라이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스포트라이팅 방법.
Displaying an execution screen;
Setting a specific area and related information in the execution screen; And
Darkening the specific area according to the related information to form a spotlight are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화면은
메뉴화면, 어플리케이션 화면 및 텍스트 화면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스포트라이팅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xecution screen is
Screen spott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menu screen, an application screen and a text scree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는
특정 영역의 밝기 및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스포트라이팅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lated information is
Screen spotlight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brightness and size of a specific are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위치 및 크기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스포트라이팅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pecific area is
The screen spotlight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and siz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과 스포팅라이트 영역이 만나는 부분은 그라데이션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스포트라이팅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ortion where the specific area and the spotting light area meet is gradient process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화면에서 키 패드가 선택되면 스포트 라이트 영역은 유지되고, 상기 어둡게 처리되는 특정 영역만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스포트라이팅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the keypad is selected on the execution screen, the spotlight area is maintained and only the specific area processed in the dark is reduced.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스포트라이트될 영역 및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실행 화면중에서 상기 설정된 영역을 스포트라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execution screen;
A memory storing an area to be spotlighted and related information; And
And a controller for spotlighting the set area in a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화면은
메뉴화면, 어플리케이션 화면 및 텍스트 화면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execution screen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menu screen, an application screen and a text scree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는
스포트 라이트 영역의 밝기, 초기모양, 크기 및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related information is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brightness, initial shape, size and position of the spotlight are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트라이트 영역이외의 영역은
전원이 인가되지 않거나 어둡게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rea other than the spotlight area is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not applied or darken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트라이트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이동, 복사, 확대/축소 및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potlight area is
A mobile terminal, which is moved, copied, enlarged / reduced and deleted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KR1020120011413A 2012-02-03 2012-02-03 Mobile terminal and screen spotlighting method thereof KR201300902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413A KR20130090244A (en) 2012-02-03 2012-02-03 Mobile terminal and screen spotligh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413A KR20130090244A (en) 2012-02-03 2012-02-03 Mobile terminal and screen spotligh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244A true KR20130090244A (en) 2013-08-13

Family

ID=4921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413A KR20130090244A (en) 2012-02-03 2012-02-03 Mobile terminal and screen spotligh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024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909A (en) * 2014-02-27 2015-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ervice thereof
US10417974B2 (en) 2014-04-15 2019-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909A (en) * 2014-02-27 2015-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ervice thereof
US10417974B2 (en) 2014-04-15 2019-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979B1 (en) Mobile terminal and application icon moving method thereof
KR101824007B1 (en) Mobile terminal and multitasking method thereof
KR101495176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ssion information thereof
KR101660746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etting application indicator thereof
US8565828B2 (e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ensor-equipped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1264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service blocking mode in mobile terminal
KR101879333B1 (en) Mobilr terminal and fan-shaped icon arrangement method
KR101495170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of mobile terminal
US20170255382A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1842457B1 (en) Mobile twrminal and text cusor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47445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input of mobile terminal
US20100004030A1 (en)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terminal
KR20150019795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51682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977075B1 (en) Mobile terminal having wide screen size and content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799462B1 (en) Mobile terminal and function limiting mode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279518B1 (en) Mobile terminal and screen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68523B1 (en) Mobile terminal using eye tracking function and event indication method thereof
KR20130090244A (en) Mobile terminal and screen spotlighting method thereof
KR101852431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191898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continuity thereof
KR20140069676A (en) Mobile terminal and key button changing method thereof
KR20130095088A (en) Mobile terminal and physcial key setting method thereof
KR10147446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memu bar and menu bar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415770B1 (en) Mobile terminal and lcd resolution compatibility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