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254A - Elevator controlling system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vator controlling system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254A
KR20130087254A KR1020120008447A KR20120008447A KR20130087254A KR 20130087254 A KR20130087254 A KR 20130087254A KR 1020120008447 A KR1020120008447 A KR 1020120008447A KR 20120008447 A KR20120008447 A KR 20120008447A KR 20130087254 A KR20130087254 A KR 20130087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elevator car
service tool
control pane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4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52610B1 (en
Inventor
전종백
이원기
임병철
Original Assignee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20008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610B1/en
Publication of KR20130087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2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6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PURPOSE: An elevator control system apparatus is provided to allow a worker to accurately and quickly implement various works such as inspection, adjustment, and repair for an elevator with directly checking the condition of an elevator car at not only an existing machinery room but a working place. CONSTITUTION: An elevator control system apparatus includes a connecting connector (150) and a service tool (200). The connectors inside and outside an elevator car (110), and at a platform are connected through a control panel and a communication line in a machinery room. The service tool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s. The service tool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connector inside and outside the elevator car, and at the platform, and inspects and repairs the elevator cars and facilities related to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of the control panel. [Reference numerals] (100) Control unit; (110) Elevator car; (112) Inner control panel; (120) Elevator control panel; (130) Connecting box; (150) Connecting connector; (200) Service tool; (AA) Connection with a connecting connector (150)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ELEVATOR CONTROLLING SYSTEM APPARATUS} Elevator control system device {ELEVATOR CONTROLLING SYSTEM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관련 설비들을 서로 연결하는 서비스 툴 제어 시스템망(이하, '통신망'이라 약칭함)을 구축하여, 엘리베이터 카 및 엘리베이터 관련 설비에 대한 보수나 점검 등의 작업을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작업자가 원하는 한 곳 이상의 장소에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nd in particular, by establishing a service tool control system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connects elevators and elevator-related facilities to each other, such as maintenance or inspection of elevator cars and elevator-related facilities, etc. An elevator control system device for easily performing work in one or more places desired by at least one operator.

엘리베이터는 종적 교통운반 수단으로서, 소규모 빌딩에서부터 수십 층의 초고층 건물에 이르기까지 건물의 용도에 따라 기능별로 설치 및 운행되며, 건물의 고층화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역할을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Elevators are longitudinal transportation means, ranging from small buildings to skyscrapers of tens of floor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building. They are install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building.

도 1에는 이러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1 schematically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such an elevator system.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강로(1)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3) 및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3)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계실(5)로 구성된다. 상기 기계실(5)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엘리베이터 카(3)를 움직이는 권상기, 엘리베이터 카(3)의 이상속도를 검출하는 조속기, 동력전원의 수전반, 엘리베이터 카(3)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반(전기제어시스템)이 설치된다. 미 설명 부호 7은 평형추 9는 로프이다. As shown, the elevator system consists of an elevator car 3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hoistway 1 and a machine room 5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car 3.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in the machine room 5, a hoist that moves the elevator car 3, a governor for detecting an abnormal speed of the elevator car 3, a power switchboard, and a movement of the elevator car 3 are controlled. A control panel (electric control system) is installed. Reference numeral 7 is a counterweight 9 is a rope.

한편, 상기 제어반은 마이크로 컴퓨터가 함께 장착되어 있고, 승강로(1) 및 기계실(5)에서 이루어지는 결선상태, 엘리베이터 카(3)의 에러검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설치/보수 및 각종 입/출력 신호상태 등을 감시하고, 아울러 엘리베이터 카(3)가 설치되는 빌딩의 정보에 맞는 사양 변경 및 기계적인 시스템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3)에 적용되는 데이터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panel is equipped with a microcomputer, the connection state made in the hoistway (1) and the machine room (5), the error inspection of the elevator car (3), the installation / maintenance of the elevator system and various input / output signal state, etc. And monitors the specifications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elevator car 3 is installed and adjusts data applied to the elevator car 3 according to the mechanical system.

즉, 엘리베이터의 효율적인 제어를 위한 사양 변경 및 조정, 그리고 점검이나 각종 고장으로 인한 보수 행위가 상기의 제어반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작업자가 일련의 행위를 위해서는 반드시 제어반이 있는 기계실(5)에 접근해야함을 말한다. 현재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점검하고 보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기계실(5)에 있는 제어반에 노트북이나 콘솔과 같은 서비스 툴(tool)을 직렬 또는 병렬 통신방식으로 연결하여 작업을 하게 된다. In other words, specification changes and adjustments for efficient control of elevators, and maintenance by inspection or various failures are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panel. This means that the operator must have access to the machine room 5 with the control panel for a series of actions. In order to check and repair the current elevator system, the operator works by connecting a service tool such as a laptop or console to the control panel in the machine room 5 by serial or parallel communication.

그렇기 때문에, 종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점검하고 보수하는 행위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초래되고 있다. For this reason, the following problems are caused in the act of inspecting and repairing a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먼저, 작업자는 기계실(5)의 내부에서만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기계실(5) 외부에서 일어나는 각종 상황을 제대로 알 수 없다. 즉, 엘리베이터 카(2) 내부에서만 발견되는 진동, 출발시 충격, 이상 소음 등의 문제를 알 수 없고, 승장표시기 이상동작, 홀 부름 작동 이상문제, 엘리베이터 카(3)의 상부에서 확인이 가능한 장치 들에 대한 동작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을 하면서 조정할 수 없었다. First, since the worker has to work only inside the machine room 5, it is impossible to know the various situations which take place outside the machine room 5 properly. That is, problems such as vibration, starting-up impact, abnormal noise, and the like, which are found only inside the elevator car 2, cannot be known, and an abnormality of the boarding indicator indicator, an abnormal problem in calling the hall, and a device which can be confirm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3 are known. It was not possible to adjust while check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ield in real time.

또한 엘리베이터 카(3)가 멈춘 경우, 작업자는 기계실(5)까지 직접 가서 점검 및 보수를 해야만 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3)의 내부에 승객이 있는 경우라면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엘리베이터를 정상 운행시켜 승객들을 안심시켜야 하지만, 현재의 보수 과정으로는 엘리베이터 카(3)를 재기동시키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고 잇다. In addition, when the elevator car 3 stopped, the operator had to go directly to the machine room 5 and check and repair. Therefore, if there are passengers inside the elevator car 3, the elevator should be operated normally as soon as possible to reassure the passengers, but the current maintenance process takes a lot of time to restart the elevator car (3). .

뿐만 아니라, 현재는 엘리베이터 카(3)가 멈춘 경우, 엘리베이터 카(3) 내부에 설치된 인터폰을 통해 관리자와 통화를 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있는 수준이다. 하지만 관리자는 엘리베이터 카(3)의 고장 점검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 수 없어, 승객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승객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또 갑자기 엘리베이터 카가 다시 기동할 경우 승객들이 놀라거나 다칠 경우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levator car 3 is stopped at present, the level of the current situation is recognized by talking to the manager through an interphone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3. However, the manager is not able to know the failure check state of the elevator car 3 in real time, and does not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to the passengers. As a result, passengers do not hide their anxiety, and if the elevator suddenly restarts, passengers may be surprised or inju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위한 조정, 보수 및 점검 행위 등을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관련설비가 연결된 어느 장소에서라도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작업자가 다중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allow the at least one or more operators to perform multiple adjustments, maintenance and inspection activities fo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t any place connected to the elevator and the elevator-related equipment will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조정, 보수 및 점검 등의 행위를 작업자가 해당 개소에서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operator to visually check the operation, such as adjustment, maintenance and inspection of the elevator directly at the loc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장으로 인해 정지 상태인 엘리베이터 카를 원격 제어하여 최단 시간내에 엘리베이터 카를 재기동 시키도록 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tely control an elevator car stopped by a failure so as to restart the elevator car in the shortest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고장 점검 상태를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승객들이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passengers inside an elevator car to accurately recognize in real time the failure check state of the elevato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기계실의 제어반과 통신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및 외부, 그리고 승강장에 각각 설치되는 접속 커넥터; 그리고 상기 접속 커넥터에 연결하는 서비스 툴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툴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및 외부, 그리고 승강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된 접속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반과의 원격 제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및 엘리베이터 관련 설비에 대한 점검 및 보수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nnection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of the machine room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and installed in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elevator car, and the platform, respectively; And a service tool for connecting to the connection connector, wherein the service tool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connector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elevator car and a platform for an elevator car according to a remote control with the control panel.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perform the inspection and repair acts on the elevator-related equipment.

또한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 중지된 경우, 상기 서비스 툴은 상기 접속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에서 제어반의 제어 메인보드에 홀딩(holding) 되어 있는 에러(error)에 대해 리셋(rese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vator car is stopped, the service tool may perform a reset operation on an error held in the control main board of the control panel whil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nector.

또한 엘리베이터 카가 안전 스위치 동작으로 운행 중지된 경우, 상기 서비스 툴은 상기 안전 스위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안전 스위치를 바이-패스(By-Pass) 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정상 속도보다 느린 속도 이하로 운행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levator car is stopped by the safety switch operation, the service tool can check the position of the safety switch, bypass the safety switch (By-Pass) and drive the elevator car at a speed lower than the normal speed. have.

이때, 상기 서비스 툴을 통해 단계별 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 In this case, a step-by-step authentication procedure is performed through the service tool.

또한 본원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조정, 점검 및 보수를 위하여 상기 서비스 툴이 상기 접속 커넥터에 접속되면, 상기 서비스 툴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진행 상태 정보를 통보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rvice tool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connector for adjustment,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elevator system, the service tool notifies the progress information inside the elevator car.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elevator control system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엘리베이터의 점검, 조정, 보수 동작을 종래 기계실로 한정하지 않고 작업자는 작업할 현장에서 직접 엘리베이터 카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정확하고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다. First, the inspection, adjustment, and repair operations of the elevator are not limited to the conventional machine room, and the operator can perform various tasks while checking the state of the elevator car directly at the site where the work is to be performed, thus enabling accurate and rapid measures.

또한 엘리베이터 카가 고장으로 운행 중지된 경우에도 작업자는 서비스 툴을 이용하여 가장 가까운 장소에서 고장 에러에 대한 리셋 동작을 수행하거나 동작된 안전스위치를 바이 패스 시켜 엘리베이터 카를 최단 시간에 다시 운행시킬 수 있어 카 내부의 승객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elevator car is stopped due to a malfunction, the operator can use the service tool to reset the failure error at the nearest location or bypass the operated safety switch to restart the elevator car in the shortest time. Can promote passenger safety.

뿐만 아니라 서비스 툴에 의한 각종 작업 내용을 카 내부의 승객들이 확인할 수 있어 승객들의 초조함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의 재 기동시 승객들이 사전 준비를 할 수 있어 2차 안전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ssengers inside the car can check the details of the work by the service tool, minimizing the anxiety of the passengers, and the passengers can prepare in advance when the elevator car is restarted, thus preventing the second safety accident. have.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보인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다중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다중 제어장치를 위한 통신망이 구축된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점검, 보수 등의 제어동작을 위하여 여러 장소에서 서비스 툴을 사용하는 것을 보인 예시도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general elevator system
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vator multip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a communication network for the elevator multiple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5 to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use of the service tool in various places for the control operation, such as inspection, maintenan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다중 제어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elevator multip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다중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vator multip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구축된 통신망을 연장하여 기계실의 제어반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및 외부, 승강장까지 통신망을 구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반(100), 엘리베이터 카(110) 내부에 설치된 내부 조작반(112) 및 LCD(114), 각 층의 승강대에 설치되는 승강대 조작반(승장버튼)(120),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부에 설치된 접속박스(130)을 통신망으로 상호 연결 구성한다. 상기 접속박스(130)는 통신망을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 구성이다. 물론,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부에 직접 통신 라인을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이 기 설치된 경우라면 상기의 접속박스(130)의 구성은 필요하지 않다.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he communication network established in the existing elevator system to build a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control panel of the machine room to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elevator car, platform. Specifically, the control panel 100, the internal operation panel 112 and the LCD 114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110,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lift button) 120 is installed on the platform of each floor, and the elevator car 110 Connection box 13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connection network configuration. The connection box 130 is a configuration installed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course, if the configuration tha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directly on top of the elevator car 110,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box 130 is not necessary.

상기 접속 박스(130) 및 상술한 제어반(100), 내부조작반(112), 승강대 조작반(120)에는 보수/점검/조정/사양변경 등을 할 수 있는 서비스 툴(노트북이나 콘솔 장비 등)(200)이 접속되도록 접속 커넥터(150)가 더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접속 커넥터(150)는 하나 이상의 단자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서비스 툴(200)에 형성된 다양한 단자와 연결되는 케이블의 종류에 대응하도록 이에 맞는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특정 케이블에 국한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접속 커넥터(150)는 외부와 단절되게 기계적인 잠금장치에 의해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connection box 130 and the control panel 100, the internal control panel 112, and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120 described above are service tools (laptop or console equipment, etc.) capable of maintenance, inspection, adjustment, and specification change (200). Connection connector 150 should be further configured. The connection connector 150 may be formed with one or more terminals. That is, connection terminals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ypes of cables connected to the various terminals formed in the service tool 200, so that they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cable. The connection connector 150 may be protected by a mechanical locking device to be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상기 제어반(100)은 상기 서비스 툴(200)의 원격 제어 요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어반(100)과 통신망으로 연결된 서비스 툴(200)에서 엘리베이터의 재 기동 요청이나 정지 상태인 엘리베이터 카를 일정 속도 이하로 기동하도록 하는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반은 리셋(Reset) 동작을 수행하거나 동작중인 안전 스위치를 우회하는 바이패스(BY-PASS)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상기 제어반(100)은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BY-PASS)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특정 기능의 하드웨어 장치가 장착되어어져 있고, 해당 기능이 프로그램화 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반(100)은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과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물론, 상기 제어반(100)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의 운행정보나 고장정보 등을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툴(200)로부터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반(100)은 상기 서비스 툴(200)로 각종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The control panel 100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a remote control request of the service tool 200. That is, when the service tool 200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10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generates a request for restarting the elevator or starting the elevator car in a stopped state at a predetermined speed or less, the control panel performs a reset operation or Performs BY-PASS function that bypasses the active safety switch. Accordingly, the control panel 100 is equipped with a hardware device having a specific function for performing the bypass function so that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can be performed, and the corresponding function should be programmed. Therefore, the control panel 100 should be provided with a program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s. Of course, the control panel 100 stores the driving information or failure information of the elevator car 110, and when a request is generated from the service tool 200, the control panel 100 is various information to the service tool 200. Will be provided.

한편 상기 서비스 툴(200)은 상기 LCD(114)로 현재 작업자가 수행하고 있는 진행 사항이나 기타 정보 등을 표시한다. 이는 고장으로 멈춘 엘리베이터 카(110) 내부의 승객들에게 초조함을 최소화하도록 보수 작업이 수행되고 있는 사실이나 엘리베이터 카(110)가 재 기동시 승객들이 사전 준비할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Meanwhile, the service tool 200 displays progress or other informa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the operator on the LCD 114. This indicates the fact that maintenance work is being performed to minimize the impatience for passengers inside the elevator car 110 stopped by a failure or information that the passengers can prepare in advance when the elevator car 110 is restarted.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장치를 위한 통신망이 구축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 중 도 3은 승강로 및 기계실에 통신망이 구축된 예이고 도 4는 엘리베이터 카에서의 통신망이 구축된 예이다. 3 and 4 are exemplary diagrams in which a communication network for the elevator control system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Of these drawings, FIG. 3 is an example in which a communication network is constructed in a hoistway and a machine room, and FIG. 4 is an example in which a communication network is constructed in an elevator car.

도 3을 보면, 기계실의 제어반(100)에서 통신라인이 승강로(A)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통신라인(300)은 건물의 각 층의 승강장에 설치된 다양한 장치 등과 연결된다. 즉 홀 부름 버튼, 수직형 표시장치, 수평형 표시장치 등을 말할 수 있다. 이들 장치에는 서비스 툴(200)을 연결하는 접속 커넥터(150)가 형성된다. 이때 통신라인(300)을 연장하기 위하여 통신라인(300) 사이에 결합 브라켓과 같은 인터페이스 수단(310)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인터페이스 수단(310)은 승강로(A)의 벽면에 고정 설치된다. 3, in the control panel 100 of the machine room, a communication line is installed along the hoistway A, and the communication line 300 is connected to various devices installed in the hoist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That is, the hole call button, the vertical display device, the horizontal display device, and the like can be referred to. These devices are formed with a connection connector 150 for connecting the service tool 200. In this case, an interface means 310 such as a coupling bracket may be used between the communication lines 300 to extend the communication lines 300. In the drawing, the interface means 31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A.

도 4를 보면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부에서 서비스 툴(200)을 연결하여 점검, 조정, 보수 등을 행할 수 있도록 접속 박스(130)가 설치된다. 상기 접속 박스(130)에도 접속 커넥터(150)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4, a connection box 130 is installed to connect the service tool 200 from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110 to perform inspection, adjustment, and maintenance. The connection connector 150 is also formed in the connection box 13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제어 대상에 따라 2가지 방식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At this time,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in two ways according to the control target.

사양변경 및 조정 제어Specification change and adjustment control

이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 정보에 맞게 사양 변경 및 기계적인 시스템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를 기동하기 필요한 데이터 값으로 조정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 종래에는 작업자는 반드시 기계실에서만 제어반에 서비스 툴(200)을 연결하여 데이터 값을 조정하거나 변경하였다. This is the case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data values necessary to start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change and mechanical system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elevator is installed. In this case, in the related art, the operator necessarily connected the service tool 200 to the control panel only in the machine room to adjust or change data values.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작업자는 기계실에 접근할 필요없이 엘리베이터 카(110)의 내부 및 외부, 승강장 등 작업자가 작업하기 쉬운 위치에서 바로 접속 커넥터에 서비스 툴(200)을 접속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or can work by connecting the service tool 200 directly to the connection connector at a location where the operator is easy to work, such as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elevator car 110, the platform without access to the machine room. do.

점검 및 보수Inspection and Repair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점검은 어느 특정 부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Inspection related to the elevator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site.

엘리베이터 카(110)의 운행과 관련하여 엘리베이터 카(110)의 내부나 상부, 또한 승강장에서 점검 요인은 발생한다.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110, an inspection factor occurs in the interior or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110, and also in the platform.

즉, 엘리베이터 카(110)의 진동이나 출발시 충격, 소음 등은 엘리베이터 카(110)의 내부에서 점검하는 것이 좋다. 또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부에는 다양한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들 장치들의 동작 상태등은 카(110) 상부에서 직접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또 승강장에서는 표시기 고장, 홀 부름 작동 이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강장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다. That is, it is preferable to check the vibration of the elevator car 110, the impact at the start, the noise, etc. in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car 110. In addition, a variety of devices ar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or car 110, it is preferable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se devices direct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ar (110). Also, it is advisable to check the platform at the platform because problems such as an indicator failure or a hall call malfunction may occur.

이들 점검 행위들에 대해서 종래에는 작업자는 기계실에 가서 제어반(100)에 서비스 툴(200)을 연결하여 점검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점검은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확인을 하면서 조사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past, these inspections were performed by the operator going to the machine room and connecting the service tool 200 to the control panel 100. However, as described above, such a check has a problem that the operator cannot check while checking in real time.

하지만, 본 실시 예에는 점검할 대상에 따라 작업자는 점검할 부분을 직접 확인하면서 점검 및 조사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점검할 대상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100)의 내부 또는 상부, 승강대에 각각 설치된 접속 커넥터(150)에 서비스 툴(200)을 접속하고 제어반(100)과의 통신을 통해 점검을 수행함으로서 점검 항목을 직접 확인하면서 점검이 가능하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or may check and inspect while directly checking the part to be checked. That is, the operator checks the service tool 200 by connecting the service tool 200 to each of the connection connectors 150 installed in the interior,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100, and the platform according to the object to be inspected, and performs the inspec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panel 100. You can check the items yourself.

이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더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예컨대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기계실에 있는 제어반(100)에 서비스 툴(200)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작업자는 서비스 툴(200)과 제어반(100)을 케이블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This can be more clearly seen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an operator connects the service tool 200 to the control panel 100 in the machine room as in the related art. The operator uses the service tool 200 and the control panel 100 by connecting the cables.

다른 예로 작업자가 승강장에서 제어동작을 할 경우이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승강장의 승강대 조작반(120)에 형성된 접속 커넥터(150)에 서비스 툴(200)을 케이블로 연결한다. Another example is when the operator makes a control action on the platform. This is shown in Figure 6, the operator connects the service tool 200 with a cable to the connection connector 150 formed on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120 of the platform.

또 다른 예로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110) 내부에서 서비스 툴(200)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110) 내부에 있는 내부 조작반(112)에 형성된 접속 커넥터(150)에 서비스 툴(200)을 연결하면 된다. 또한 상기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부에 있는 접속 박스(130)의 접속 커넥터(150)에 서비스 툴(200)을 연결하여 그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부에서 직접 서비스 툴(200)을 사용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 worker may use the service tool 200 inside the elevator car 110. This may be done by connecting the service tool 200 to the connection connector 150 formed in the internal control panel 112 inside the car 110 as shown in FIG. 7.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service tool 2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nector 150 of the connection box 13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or car 110 to directly service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or car 110. Tool 200 can be used.

이처럼 접속 커넥터(150)에 연결된 서비스 툴(200)은 통신망을 통해 제어반(100)과 연결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 제어반(100)을 원격 제어하는 효과를 가진다. As such, since the service tool 20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nector 15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service tool 200 has an effect of remotely controlling the control panel 100 at a long distance.

다음에는 엘리베이터 카(110)가 고장으로 인하여 운행이 멈춘 경우에 서비스 툴(200)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110)를 다시 운행시키는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Next, an example in which the elevator car 110 is operated again by using the service tool 200 when the elevator car 110 is stopped due to a failure is described.

엘리베이터 카(110)가 운행 도중 멈추게 되면 최단 시간에 내부에 갇힌 승객을 구출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다시 운행되게 해야 하는데, 다음의 2가지 방안이 제안된다. When the elevator car 110 is stopped during operation, the elevator car must be driven again to rescue passengers trapped inside in the shortest time. The following two methods are proposed.

첫번 째, 엘리베이터 카(110)을 리셋(reset) 시키는 경우이다. Firstly, the elevator car 110 is reset.

엘리베이터 카(110)가 운행 중 고장으로 인하여 승강로(A)의 소정 위치에서 멈추면 제어반(100)은 이를 감지하고 고장 발생 상태를 여러 채널을 통해 관리자나 작업자에게 통보하게 된다. When the elevator car 110 stop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oistway A due to a failure during operation, the control panel 100 detects this and notifies the manager or the worker of the failure state through various channels.

이에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카(100)를 최단 시간에 다시 구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서 가장 가까운 장소에 있는 접속 커넥터(150)에 서비스 툴(200)을 연결한다. 이 예를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즉 작업자는 고장발생시 그 원인을 확인해야 하는데 이때 기계실에 올라가지 않고서도 서비스 툴(200)을 1층이나 기준층에서 승강대 조작반(120)의 접속 커넥터(150)에 연결하고 일련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반(100)은 현재의 고장 발생 원인 정보를 상기 서비스 툴(200)로 전송하여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때의 고장 발생원인 정보는 상기 제어반(100)이 통신망을 통해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The worker has to drive the elevator car 100 again in the shortest time. Therefore, the worker connects the service tool 200 to the connection connector 150 in the closest place to the place where he is located. This example will be referred to FIG. 6. That is, the operator should check the cause when a failure occurs, and if the service tool 2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nector 150 of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120 on the first floor or the reference floor without performing a series of user authentication, The control panel 100 transmits current failure occurrence cause information to the service tool 200 so that an operator can check. The cause of the failure at this time is possible because the control panel 100 is recogniz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따라서 작업자는 고장 발생 원인을 확인하면 엘리베이터 카(110)의 주 전원을 차단 및 복구하지 않고서도 서비스 툴(200)을 제어반(100)에 원격 접속하여 제어반(100)의 제어 메인 보드 상에 홀딩(Holding) 되어 있는 에러(errer)에 대해 리셋 동작을 수행하여 엘리베이터가 재 기동되게 할 수 있다. 이때 고장 원인 등에 정보는 제어반(100)이 임시적으로 저장한 상태이다. Therefore, when the operator checks the cause of the failure, the service tool 200 is remotely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100 without holding and restoring the main power of the elevator car 110 to be held on the control main board of the control panel 100 ( The elevator can be restarted by performing a reset operation on the held error.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n the cause of the failure is the state that the control panel 100 temporarily stored.

이 처럼 리셋 동작만으로 엘리베이터를 재 기동할 수 있는 것은 엘리베이터의 고장 중 70% 이상이 주 전원을 차단하고 복구하는 것만으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reason why the elevator can be restarted by only a reset operation is that more than 70% of elevator failures can be solved by simply shutting off and restoring the main power.

이렇게 함으로써 작업자는 고장 원인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원격 조작에 의한 리셋 동작으로 엘리베이터를 다시 운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operator can quickly determine the cause of the failure, as well as enable the elevator to run again with a reset operation by remote operation.

두번 째, 고장으로 인해 정지 상태인 엘리베이터 카(110)를 일정 속도 이하로 운행시키는 경우이다.Second, the elevator car 110 is stopped at a certain speed due to a failure.

엘리베이터 카(110)의 운행 중 고장이나 안전 사고 등으로 엘리베이터 카(110)의 운행이 중지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대부분은 엘리베이터 카(110)의 구동과 관련된 안전 스위치가 동작하여 엘리베이터 카(110)가 정지되게 된다.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110,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110 may be stopped due to a breakdown or a safety accident. At this time, most of the safety switch associated with the driving of the elevator car 110 is operated so that the elevator car 110 is stopped.

따라서 작업자는 자신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접속 커넥터(150)에 서비스 툴(200)을 접속한다. 접속된 서비스 툴(200)은 제어반(100)을 원격 제어할 수 있고, 이에 제어반(100)은 현재 동작된 안전 스위치가 어느 위치에 설치된 안전 스위치인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상기 서비스 툴(200)로 전송되고, 따라서 작업자는 동작된 안전 스위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어반(100)을 원격 제어하여 현재 동작된 안전 스위치를 바이 패스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엘리베이터 카(110)를 일정 속도 이하로만 운행을 시키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사용자 인증이나 기능 수행을 위한 단계별 인증 절차를 반드시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이는 엘리베이터 카(110) 내의 승객 안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안전 스위치가 동작한 경우에 상술한 인증 절차를 거쳐 엘리베이터 카(110)가 일정 속도 이하로만 운행되도록 하는 기능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미리 설정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여기서, 상기 일정 속도라고 함은 엘리베이터 카(110)가 정상적으로 운행할 때의 속도 보다 느린 속도를 말하고 있는 것으로서, 정상 속도 대비 50%, 30%, 10% 등과 같이 초기 설정값에 의해 그 값은 결정될 수 있다. Therefore, the worker connects the service tool 200 to the connection connector 150 located closest to him. The connected service tool 200 may remotely control the control panel 100, whereby the control panel 100 may know in which position the safety switch currently operated is installed. Thi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tool 200, so that the operator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operated safety switch. Therefore, the operator performs a function of bypassing the currently operated safety switch by remotely controlling the control panel 100, and allows the elevator car 110 to run only below a certain speed. At this time, the operator must perform step-by-step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user authentication or function performance. This is because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assenger safety in the elevator car (110). Of course, when the safety switch is operated, it is obvious that the elevator system 110 has to be set in advance in the elevator system so that the elevator car 110 operates only at a predetermined speed or less through the above-described authentication procedure. Here, the constant speed refers to a speed slow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elevator car 110 normally operates, and the value is determined by an initial setting value such as 50%, 30%, 10%, etc., compared to the normal speed. Can be.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10)가 운행 중지된 경우라도 작업자는 서비스 툴(200)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110)를 정상적으로 운행시키기 이전이라도 임시적으로 엘리베이터 카(110)를 일정 속도 이하로 구동시킬 수 있어 카 내부의 승객을 빠른 시간에 외부로 빠져 나오게 할 수 있다. As such, even when the elevator car 110 is stopped, the worker may temporarily drive the elevator car 110 below a predetermined speed even before the elevator car 110 is normally operated using the service tool 200. Passengers inside the car can be pulled out quickly.

한편, 상기 서비스 툴(200)은 엘리베이터 카(110)의 고장으로 인해 접속 커넥터(150)에 서비스 툴(200)이 연결된 시점부터 점검이나 고장을 수리하기 까지의 모든 과정을 단계별로 승객들에게 통보할 수 있다. 이러한 행위는 상기 서비스 툴(200)이 접속 커넥터(150)에 접속하기만 하면 일련의 프로그램된 데이터가 LCD(114)와 같은 출력수단을 통해 통보되게 할 수 있거나 또는 서비스 툴(200)의 접속 상태를 상기 제어반(100)이 인지하여 제어반(100)에 의해 LCD(114)에 관련 정보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장 수리가 완료되어 엘리베이터 카(110)가 재 기동시 승객들에게 수리가 완료되어 엘리베이터 카(110)가 재 기동됨을 통보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갑자기 엘리베이터 카(110)가 재 기동될 때의 충격 등에 승객들이 대비할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tool 200 notifies the passengers step by step the whole process from the time when the service tool 2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connector 150 due to the failure of the elevator car 110 to check or repair the failure can do. This action may cause a series of programmed data to be notified via an output means such as LCD 114 or simply connect the service tool 200 to the connection connector 150 or the connected state of the service tool 200. The control panel 100 may recognize the control panel 100 to display related information on the LCD 114. When the breakdown is completed and the elevator car 110 restarts, the passengers are provided with a function of notifying the passengers that the repair is completed and the elevator car 110 is restarted, so that when the elevator car 110 is suddenly restarted. Allow passengers to prepare for impacts, etc.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110) 및 관련 설비 등에 대한 점검, 조정, 보수 등의 동작을 기계실에 국한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카 및 승강장 등에서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의 고장시 리셋 동작이나 회로의 바이 패스 기능을 이용하여 최단 시간에 엘리베이터 카를 재 기동되게 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operator to quickly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checking, adjusting, and repairing the elevator car 110 and related facilities, even in an elevator car and a boarding station. In addition, the elevator car can be restarted in the shortest time by using the reset operation in case of failure of the elevator car or the bypass function of the circuit.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작업자 1인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점검, 조정 및 보수 등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복수의 작업자가 각자 접속 커넥터에 서비스 툴을 연결하여 다중으로 작업을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at one worker performs the inspection, adjustment and maintenance of the elevator system, but a plurality of workers can work in multiple by connecting the service tool to each connection connector ha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hat modifications, variations and equivalents of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제어반 110 : 엘리베이터 카
112 : 내부 조작반 120 : 승강대 조작반
130 : 접속 박스 150 : 접속 커넥터
200 : 서비스 툴(service tool)
100: control panel 110: elevator car
112: internal operation panel 120: platform operation panel
130: connection box 150: connection connector
200: service tool

Claims (4)

기계실의 제어반과 통신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및 외부, 그리고 승강장에 설치되는 접속 커넥터; 그리고
상기 접속 커넥터에 연결하는 서비스 툴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툴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및 외부, 그리고 승강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된 접속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반과의 원격 제어에 따라 엘리베이터카 및 엘리베이터 관련 설비에 대한 점검 및 보수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
A connection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of the machine room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and installed in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elevator car and the platform; And
A service tool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nector,
The service tool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connector installed in any one or more places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elevator car, and the platform to perform the inspection and repair operation for the elevator car and the elevator-related equipment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with the control panel. Elevator control system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 중지된 경우, 상기 서비스 툴은 상기 접속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반의 제어 메인보드에 홀딩(holding)되어 있는 에러(error)에 대해 리셋(reset)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elevator car is stopped, the service tool performs a reset operation on an error held in the control main board of the control panel whil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nector. Elevator control system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안전 스위치 동작으로 운행 중지된 경우, 상기 서비스 툴은 단계별 인증 절차를 수행하면서 상기 안전 스위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안전 스위치를 바이-패스(By-Pass)시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정상 속도보다 느린 속도 이하로 운행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f the elevator car is stopped due to the safety switch operation, the service tool checks the position of the safety switch while performing a step-by-step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bypasses the safety switch so that the elevator car is slower than the normal speed. An elevator control system device, which can be operated at a speed lower tha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조정, 점검 및 보수를 위하여 상기 서비스 툴이 상기 접속 커넥터에 접속되면, 상기 서비스 툴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진행 상태 정보를 통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when the service tool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connector for adjusting, checking and repairing the elevator system, the service tool notifies the inside of the elevator car of the progress status information.
KR1020120008447A 2012-01-27 2012-01-27 Elevator controlling system apparatus KR1013526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447A KR101352610B1 (en) 2012-01-27 2012-01-27 Elevator controlling system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447A KR101352610B1 (en) 2012-01-27 2012-01-27 Elevator controlling system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254A true KR20130087254A (en) 2013-08-06
KR101352610B1 KR101352610B1 (en) 2014-01-22

Family

ID=4921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447A KR101352610B1 (en) 2012-01-27 2012-01-27 Elevator controlling system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61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654B1 (en) 2017-07-24 2018-10-18 박재성 System for monitoring an elevator and distribution equipment based on MAPS(Motor Anomaly Predict Solution)
US10244374B2 (en) 2017-07-17 2019-03-26 Otis Elevator Company Service tool proximity detection
US10669122B2 (en) 2017-07-17 2020-06-02 Otis Elevator Company Service tool location-based function availability
EP3680204B1 (en) 2019-01-11 2022-11-16 KONE Corporation A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a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018B1 (en) 2021-10-29 2023-01-03 (주)엠투엠테크 AI IoT-based Elevator Predictive Maintenance System Projec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847A (en) * 1995-12-13 1997-06-17 Hitachi Ltd Guide display device for elevator
JP3320632B2 (en) * 1997-05-15 2002-09-03 株式会社東芝 Elevator control device
JP2003306277A (en) * 2002-04-12 2003-10-28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maintenance system
KR100711389B1 (en) 2005-10-24 2007-05-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Safety device of elevator and its operation testing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4374B2 (en) 2017-07-17 2019-03-26 Otis Elevator Company Service tool proximity detection
US10669122B2 (en) 2017-07-17 2020-06-02 Otis Elevator Company Service tool location-based function availability
KR101909654B1 (en) 2017-07-24 2018-10-18 박재성 System for monitoring an elevator and distribution equipment based on MAPS(Motor Anomaly Predict Solution)
EP3680204B1 (en) 2019-01-11 2022-11-16 KONE Corporation A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a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610B1 (en)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9529B1 (en) Remote monitoring support device
JP4071008B2 (en) Elevator device and hoistway monitoring device retrofit method
KR101352610B1 (en) Elevator controlling system apparatus
CN107848742B (en) Elevator control system and elevator system comprising same
CN107848743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or
WO2014184884A1 (en) Remote monitoring assistance device
WO2015198459A1 (en) Remote monitoring assistance device
CN110526064B (en) Function testing device for elevator car accidental movement protection system
JP6987901B2 (en) Remote monitoring support device
EP3613693B1 (en) Elevator system with sensors
JP6251652B2 (en) Control board
JP6278859B2 (en) Elevator maintenance method and elevator system
JP5599531B1 (en) Remote monitoring support device
JP2005255272A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6814126B2 (en) Power converter
JP7192081B2 (en) Remote monitoring support device
JPH09249360A (en) Limit switch operation inspection device of elevator
JP2007145472A (en) Restoration system of earthquake emergency operation
JP7475799B2 (en) How to monitor elevators
KR102469078B1 (en) Passenger rescue system using emergency call device
KR20180020515A (en) Elevator data communication system using by elevator call button lamp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JP6193822B2 (en) Control board
KR20130088991A (en) Elevator condition monitoring system
JP5399766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11046530A (en) Control device of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