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503A - Method of electric power control using wirelessly-connected switch or outlet and smart media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of electric power control using wirelessly-connected switch or outlet and smart media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503A
KR20130083503A KR1020120004107A KR20120004107A KR20130083503A KR 20130083503 A KR20130083503 A KR 20130083503A KR 1020120004107 A KR1020120004107 A KR 1020120004107A KR 20120004107 A KR20120004107 A KR 20120004107A KR 20130083503 A KR20130083503 A KR 20130083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outlet
switch
smart devic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1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주일
Original Assignee
허주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주일 filed Critical 허주일
Priority to KR1020120004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3503A/en
Publication of KR20130083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5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7/00Apparatus for pounding, forming, or pressing meat, sausage-meat, or meat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03Processing cephalop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 power control method using a power switch or a socket and a smart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are provided to transmit a data signal of the user interface manipulation of a smart device program through a local wireless communicating function installed in the device. CONSTITU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witch or a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ocket initiates wireless communication (S102). A smart device receives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witch or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ocket (S203). The smart device transmits a power control comman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witch or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ocket (S211). The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witch or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ocket receives and executes the power control command (S104, S105). A power blocking func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witch or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ocket is controlled by executing application programs installed at the smart device. [Reference numerals] (AA) Wireless power switch/socket; (BB) Smart device application program; (CC) Start; (DD,FF,HH) No; (EE,GG,II) Yes; (JJ) End; (S101) Communication switch ON; (S102) Wireless communication start; (S103) Communication signal transmission; (S104) Receiving control command; (S105) Processing control command; (S106) Power control ON/OFF; (S201) Application program ON; (S202) Wireless communication start; (S203) Receiving signals; (S204) Registered ID?; (S205) Registering ID/inputting contents; (S206) Shifting input contents; (S207) Reservation?; (S208) Set time?; (S209) Control command standby; (S210) Instant control command; (S211)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Description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Method of electric power control using wirelessly-connected switch or outlet and smart media device}Power control method using wireless switch and outlet and smart device {Method of electric power control using wirelessly-connected switch or outlet and smart media device}

본 발명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송수신부, 마이콤, 통신제어스위치를 포함한 무선통신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를 스마트기기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기기의 무선통신 기능으로 스위치나 콘센트의 전원차단을 제어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멀티미디어플레이어 등의 스마트기기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스위치나 콘센트의 전원을 차단하는 등 제어기능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trol method using a power switch or an outlet and a smart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a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witch or an outlet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ransceiver, a microcomputer, and a communication control switch. Provides control functions such as switching off the power to the switch or outlet through smart device applications such as smartphones, tablet PCs, and multimedia players that control the power off of the switch or outle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smart device through the user interface. It is about a method.

최근 통신환경과 정보통신 기기 제조기술의 발달로 무선 인터넷 통신과 음성 통화가 가능한 스마트폰 등 휴대형 통신기기가 급속하게 다양화 되고 있다. 이중 특히, 미국의 애플(Apple)社가 태블릿 형태의 휴대용 통신기기인 아이패드(iPad)를 출시하고, 국내에서도 삼성전자에서 갤럭시탭(Galaxy Tab)을 출시하는 등, 스마트폰의 급성장과 함께 화면이 확대되고 기능이 강화된 패널형태의 휴대형 통신기기인 태블릿PC가 급속도로 보급되어, 향후 스마트폰과 태블릿PC로 대변되는 스마트기기의 사용이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manufacturing technology,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capable of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and voice call are rapidly diversifying. In particular, Apple, in the US, released iPad, a tablet-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released Galaxy Tab from Samsung Electronics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the tablet PC, which i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 the form of an expanded and enhanced panel type, will be rapidly spread, and the use of smart devices represented by smartphones and tablet PCs will grow rapidly.

이러한 무선 인터넷의 보급과 스마트기기 사용 증가에 따라 기존의 다양한 기기에 통신기능이 추가되어 상호간에 통신을 교류하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네트워킹이 폭넓은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전력공급 체계와 유비쿼터스 기술이 접목되어 다양한 서비스와 결합할 수 있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eed)기술이 상용화를 전제로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스마트 그리드 기술은 점진적으로 진행되어온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과 결합되어 휴대성있는 스마트기기를 통해 원거리에서 가정 내의 수많은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홈 오토메이션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통신네트워크와 각 전력 공급체계 통제 시스템을 연결해야 하므로, 기존의 가정 내에서 보다는 새로운 통신환경에 적합하도록 신축하는 아파트단지나 시범지역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보다 현실적이고 적용 가능한 홈 오토메이션 내지 원격 전원 공급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력 공급계통을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 시스템에 무선통신을 적용하여 근거리에서 스마트기기를 통해 손쉽게 제어하는 방식을 구상할 수 있다. 전원 제어장치를 무선화하는 기술과 상품에 대한 연구 개발은 이미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왔으나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무선 스위치 혹은 리모콘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 편이성 면에서 크게 부각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무선통신을 활용한 전원 제어와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06117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나, 등록특허 10-1009613 ‘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등스위치와 연동되는 전자제품 전원 온/오프 장치’ 등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전원 제어를 위한 스위치 등의 전원통제 체계에 무선통신을 적용한 사례들이다. 최근 스마트기기의 보급이 본격화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 내장된 블루투스 통신을 활용하면, 누구나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무선으로 가정 내 사용하지 않는 전원을 차단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보인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무선통신 기능을 활용하는 전원 제어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57910 ‘외부 전원 인가 제어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등록실용신안 20-0255521 ‘블루투스가 내장된 휴대폰을 이용한 컴퓨터 스위치’ 등의 기술이 있다. 이로부터 더 나아가, 스마트기기가 PC와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동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짐에 따라 이를 적극 활용하면, 무선통신을 통한 제어를 사용자의 편이에 적합하도록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통해 손쉽게 제어하고 다양한 부가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그 활용도가 더욱 높아 질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spread of the wireless Internet and the increase in the use of smart devices, ubiquitous networking, in which communication functions are added to various existing devices an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is being applied to a wide range of fields. In particular, smart grid technology, which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services by combining power supply system and ubiquitous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under the premise of commercialization. Such smart grid technology has been gradually progressed from home automation and home automation. Combined, it could also be used as a way to control numerous electronics in the home from a distance through portable smart devices. However, in order to apply home automation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connect a communication network and each power supply control system, so it is suitable to apply to an apartment complex or a pilot area that is suitable for a new communication environment rather than an existing home. In order to provide more realistic and applicable home automation or remote power supply control,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applied to a switch system that can cut off the power supply system to easily control a smart device at close rang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technology and products for wireless power control has been in progress for a long time, but it is difficult to stand out in terms of ease of use because a corresponding wireless switch or remote control is required to implement this. As a technology related to power contro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06117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r Patent Registration 10-1009613 'Linked with a light switch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Electronic power supply on / off device ”. These technologies are examples of applying wireless communication to power control systems such as switches for power control. With the recent spread of smart devices, the use of built-in Bluetooth communication in smartphones or tablet PCs makes it easy to block unused power in the home wirelessly by using smart devices that can be easily operated by anyone. As a technology related to power control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such a mobile terminal,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057910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xternal power supply control function', Registration Utility Model 20-0255521 'Bluetooth-embedded mobile phone Computer switch using the same technology. Further from this, as smart devices have the advantage of installing and running various programs such as a PC, and actively utilizing them, contro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through an application to suit the user's convenience. By controlling and add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their utilization can be further increas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 송수신부를 포함한 스위치나 콘센트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의 스마트기기에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설치하여 기기 자체적으로 내장된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스마트기기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에 따른 데이터 신호를 스위치나 콘센트에 전송함으로써, 전원 차단이나 연결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switch or an outlet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ransceiver, such as Bluetooth, by installing an application on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PC The built-i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ransmits the data signal according to the user interface operation of the smart device program to a switch or an outlet, so that a power switch or an outlet and a smart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easily controlled. It is to provide a power control method using a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은 통신 송수신부, 마이콤, 통신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무선 통신 송수신이 가능하고, 마이콤과 디스플레이 및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스위치나 콘센트가 무선통신을 개시하는 단계, 스마트기기가 무선통신을 수신하는 단계, 스마트기기가 전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스위치나 콘센트가 제어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witch or an outlet and a power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device. The smart device including the microcomputer and the display and the input device, the switch or outlet to initiate a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the smart device recei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e smart device power control command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witch, the outle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tep of executing a control comman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꽂는 콘센트나 조명기구 등의 스위치에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무선통신 송수신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에 전원 제어를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무선으로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갈수록 보급이 확대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등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가정 내의 전기 장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컨트롤 장치나 리모콘 없이 사용자가 다양한 기능을 쉽게 사용하여 전기제품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전력 사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ower control method using a power switch or an outlet and a smart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 a switch such as an outlet or a lighting device that plugs in electrical appliances frequently used in daily lif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power wirelessly by installing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power in a smart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which is gradually spreading. By controlling the power of electrical devices in the home, the user can easily cut off the power supply by using various functions without a separate control device or a remote controller, thereby reducing the power usage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세부내용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내용을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witch or an outlet and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tch or an outlet and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screen of a smart devic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details on a user interface screen of a smart de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content in a user interface screen of a smart de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은 크게 무선통신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100)과 스마트기기(200)로 구성되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다. 무선통신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100)는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110)에 무선통신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 송수신부(101), 통신을 통한 제어와 데이터 저장 기능을 제공하는 마이콤(MICOM ; MIcroProcessor COMputer)(102), 무선통신 기능을 ON/OFF하는 통신 제어 스위치(1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마트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멀티미디어플레이어와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나 미디어기기로,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통신 송수신부(201), 표시사항을 화면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202), 키패드나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장치(203), 자체 프로세서인 마이콤(2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휴대 통신 기기로써 근거리 무선통신과 무선인터넷이 가능하고 자체적으로 프로세서 기능을 내장하여 프로그램을 설치, 구동할 수 있으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데 불편함이 없을 것이다. 스마트기기와 스위치나 콘센트 간의 무선 통신은 가정내 근거리 사용을 주목적으로 하는 바, 적외선, RF(Radio Frequency), Bluetooth, Zigbee,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Wi-fi, 무선랜(Wireless LAN) 등이 가능할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witch or an outlet and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ower control method using a power switch or outlet and a smart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utilizes a system consisting of a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witch or outlet 100 and the smart device 200, It is provid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witch or outlet 100 is a communication switch 101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wireless communication to a power switch or outlet 110 that is used daily, and a microcomputer (MICOM; MIcroProcessor) that provides control and data storage functions through communication. And a communication control switch 103 for turning on / off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he smart device i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r a media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a multimedia player, a communication transceiver 201 to enable communic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 display 202 for providing a display on a screen, a keypad. B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put device 203 through the touch screen, the microcomputer 204, which is its own proces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program can be installed and run, there will be no inconvenience in using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smart devices and switches or receptacles focuses on near-field use in the home, such as infrared,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Zigbee,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Wi-Fi, Wireless LAN, etc. This will be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상 생활에 통용되는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에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마이콤이 포함된 통신 송수신부(101)를 구비하고, 통신 기능을 ON/OFF할 수 있는 통신 제어스위치(103)를 갖는다. 이 스위치나 콘센트(100)를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하는 기기가 리모콘이나 컨트롤 장치가 아닌 스마트기기(200)라는 점이 본 발명의 중요한 요소이다. 스마트기기에 무선 전원 제어용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스마트기기 자체에 내장된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스위치나 콘센트의 전원 차단이나 연결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는 주변기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연결 기능을 자체적으로 내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상당수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은 통화기능, 블루투스통신, GPS, 각종 센서를 제어하여 응용프로그램에 사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응용프로그램을 스마트기기에 설치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10)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선으로 전원 차단이나 연결기능을 어려움없이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tch or an outlet and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 communication control switch 103 including a communication transmitter / receiver 101 including a microcomputer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to a power switch or an outlet commonly used in daily life, and capable of turning on / off a communication function is provided. Have An important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evice controlling the switch or the outlet 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s not a remote controller or a control device. By installing the wireless power control application on the smart device, through the user interface 210 of the application to utilize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Bluetooth built in the smart device itself to control the power cut or connection of the switch or outlet do. Most smartphones and tablet PCs recently released often have their own built-in Bluetooth communication connection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peripheral devices. Many applications have a call function, Bluetooth communication, GPS, and various sensors. Since it is used to control the application program by installing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a smart device, by operating the user interface screen 210, the user can wirelessly utilize the power off or connection function without difficult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스마트기기에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활성화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210)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제공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각 무선 스위치나 콘센트의 고유식별코드나 식별명칭, 위치 등이 표기되는 ID표시부(211), ON 또는 OFF로 현재 상태를 표시하고 이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제어표시부(212), 각 스위치나 콘센트에 연결된 기기의 내용이나 상세 내역이 있음을 표시하는 상세정보표시부(213), 정해진 시간에 자동으로 ON 또는 OFF되도록 설정한 내역을 표시하는 예약설정표시부(214)와 새로운 스위치나 콘센트를 추가 등록하기 위한 추가등록 버튼(215)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한눈에 사용 공간 내에서 작동중인 무선통신 스위치나 콘센트의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화면 또는 입력장치를 통해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screen of a smart devic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activated on the smart device, the user interface 210 is provided on the display screen.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n ID display unit 211 display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identification name, location, etc. of each wireless switch or outlet, and a control display unit 212 for displaying the current state by selecting ON or OFF and controlling the selected state. The detailed information display unit 213 for displaying the contents or details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switch or the outlet, the reservation setting display unit 214 for displaying the details set to ON or OFF automatically at a predetermined time, and a new switch or outlet. An additional registration button 215 for additional registration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grasp the operating stat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witch or an outlet that is operating in a space of use at a glance, and control the operation through a screen or an input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스위치나 콘센트와 같은 전원 공급체계에 무선통신기능과 제어기능을 부여하고,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무선 스위치나 콘센트를 제어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스위치나 콘센트 같은 전력 공급 측면(S101~S106)과 사용자가 스마트기기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조작하는 무선 제어 측면(S201~S211)으로 구분하여 흐름을 파악한다. 먼저, 처음 사용할 때 무선통신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에 구비된 통신 제어 스위치를 ON(S101)한다. 전력 공급측면의 스위치나 콘센트의 통신 제어 스위치를 켜면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이 개시(S102)되고, 스위치나 콘센트로부터 무선통신 신호가 전송(S103)된다. 무선 제어 측면에서는 스마트기기의 응용프로그램을 ON(S201)함으로써 진행이 시작되며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어 전원의 제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응용프로그램이 시작되면 블루투스 등 약속된 방식의 무선통신을 개시(S202)하여 스위치나 콘센트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S201)한다. 수신한 무선통신 신호를 통해 해당 블루투스 등 무선통신 스위치나 콘센트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ID인지를 확인(S204)하여,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새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ID에 해당하는 정보를 입력(S205)한다. 이 입력단계를 통해 해당 스위치나 콘센트의 고유 통신코드나 식별을 위한 명칭, 위치, 연결된 전자제품 등의 기기를 상세히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각의 무선통신 스위치나 콘센트를 용이하게 식별하고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스위치나 콘센트의 ID를 확인하면, ON/OFF 예약이 되어있는 스위치나 콘센트인지를 확인(S207)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이 연결된 콘센트는 밤 12시에 자동으로 꺼지도록 설정해 둔다거나, 거실 조명이 연결된 스위치를 밤 12시에 꺼지도록 설정하는 등의 예약 내용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예약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마트기기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시계 기능의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의 시각이 예약되어 있는 시간인지를 확인(S208)한다. 예약된 내용이 있으나 아직 해당 시간이 아닌 경우에는 계속 대기상태를 유지(S209)하며 루핑(looping)되어, 해당 시간이 되면 제어명령을 전송(S211)한다. 이는 예약된 내용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이고, 예약된 내용이 없는 경우는 사용자가 특정한 스위치나 콘센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골라 즉시 제어하도록 조작함으로써 즉시 제어 명령을 발생(S210)한다. 예약 시간에 해당되어서건, 사용자가 즉시 제어명령을 발생하였건 제어 명령이 전송(S211)되면, 무선통신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에서 제어 명령을 수신(S104)하여, 해당되는 명령을 실행(S105)함으로써 해당되는 스위치나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원을 ON하거나 OFF(S106)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프로세스 중에 스마트기기 응용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언제든 이미 등록된 내용을 변경(S206)할 수 있으며, 제어 명령을 대기(S207)하는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언제든 제어 명령(S210)을 통해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control function to a power supply system such as a switch or an outlet, and controls a wireless switch or an outlet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by using a smart device. Therefore, the flow is identified by dividing the power supply side (S101 ~ S106) such as a switch or outlet and the wireless control side (S201 ~ S211) that the user operates through the smart device application. First, when used for the first time, the communication control switch provid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witch or outlet is turned on (S101). When the switch on the power supply side or the communication control switch of the outlet is turned on,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is started (S102),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witch or the outlet (S103). On the wireless control side, the process starts by turning on the application program of the smart device (S201), displays the application program, and the user interface is activated to facilitate the user's operation to perform the power control function. When the application is started, it initiat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promised method such as Bluetooth (S202) and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a switch or an outlet (S201). Check whe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switch or the outlet such as Bluetooth is already registered through the received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S204), and if not registered,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 to generate new information (S205). do. Through this input step, you can easily identify and control each wireless communication switch or outlet through the user interface by inputting the specific communication code of the corresponding switch or outlet or the device such as name, location, and connected electronics for identification in detail. It is. When the ID of the switch or the outlet is checked, it is checked whether the switch or the outlet is reserved for ON / OFF (S207). For example, make sure your outlet is set to automatically turn off at 12 o'clock at night, or set the switch to turn off at 12 o'clock at night. If the reservation is made, the smart device checks whether the current time is a reserved time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watch function provided by itself (S208). If there is a reserved content, but it is not yet the corresponding time, it keeps waiting state (S209) and loops (looping), and when the corresponding time is reache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S211). This is a case where the reserved content is set, and when there is no reserved content, the user selects a specific switch or outlet from the user interface screen and immediately controls it to generate an immediate control command (S210). Regardless of the reservation time, whether or not the user has immediately issued a control command, when the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S211), by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witch or outlet (S104), and executing the corresponding command (S105)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witch or outlet is turned on or off (S106). If the smart device application is activated during the series of processes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change the already registered contents at any time (S206), and at any time in the state of waiting for the control command (S207), the control command (S210). ) To control the power of connected electronic device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세부내용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예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상세정보표시부(213)를 선택하여 무선통신 스위치나 콘센트의 정보로 입력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상세정보표시부를 선택하면 팝업이나 스크롤 형태로 입력된 상세 내용이 상세정보확인창(2131)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해당되는 스위치나 콘센트의 위치나 연결되어 있는 전자기기들의 내역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별도의 변경 기능을 통해 추가, 변경, 삭제가 가능하다. 정해진 시간에 ON또는 OFF하도록 설정하는 예약 설정내용을 표시하는 예약설정표시부(214)를 선택하면 설정되어 있는 예약 내용이 상세하게 표시되는 예약설정확인창(2141)이 활성화된다. 이 또한 변경하거나 설정을 취소할 수 있다. 이처럼 상세정보나 예약설정 내용을 제공하는 단계를 하위 단계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각각의 스위치나 콘센트의 기본정보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하여 조작할 수 있고 상세내용은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details on a user interface screen of a smart de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ser interface screen illustrated in FIG. 3, the detailed information display unit 213 may be selected to check contents input as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witch or an outlet. When the detailed information display unit is selected, the detailed information input in the form of a popup or a scroll is displayed on the detailed information confirmation window 2131. For example,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switch or outlet or the details of the connected electronic devices can be displayed. This can be added, changed or deleted through a separate change function. When the reservation setting display unit 214 that displays reservation setting contents to be set to ON or OFF at a predetermined time is selected, the reservation setting confirmation window 2141 displaying the set reservation contents in detail is activated. You can also change or cancel the setting. In this way, by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r reservation setting in sub-steps, the basic information of each switch or outlet can be checked and operated at a glance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You can change or cancel it freel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내용을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예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하단부에 위치한 추가등록 버튼(215)을 선택하면 활성화되는 인터페이스로, 새롭게 추가하는 무선통신 스위치나 콘센트를 등록하기 위한 단계인 도 4의 ID등록/내용입력(S203)단계에 해당하며, 각각의 화면에서 내용변경 항목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도 적용되는 화면이다. 각 무선통신 스위치나 콘센트가 고유하게 발생하는 무선통신 신호의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ID번호 표시부(2151)가 표시되며, 이 스위치나 콘센트를 식별하기 위해 명칭을 입력하는 식별명칭 입력부(2151), 위치정보 입력부(2153), 연결기기 입력부(2154) 등이 제공된다. 또한, 정해진 시간에 해당 스위치나 콘센트를 ON또는 OFF하기 위해 예약시간을 설정하는 예약설정 입력부(2155)가 제공된다. 예약설정 입력부는 정해진 시간에 커지거나 꺼지도록 설정하는 방법과 몇분 후에 켜지거나 꺼지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입력부는 스마트기기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문자입력부(216)를 활용하여 입력된다. 이 문자입력부는 디스플레이상에 제공되어 터치스크린을 통해 조작될 수 있으며, 이밖에 기기의 HW에 적용된 키패트를 통해 물리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입력단계들을 마치면 해당되는 스위치나 콘센트의 정보가 생성되어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로 저장되어 무선통신을 통해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할 때마다 확인하여 그 내용을 변경하거나 추가로 입력할 수도 있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content on a user interface screen of a smart de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dditional registration button 215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user interface screen illustrated in FIG. 3 is selected, the interface is activated. The ID registration / content input of FIG. 4, which is a step for registering a newly added wireless communication switch or an outlet (S203). This is the screen that is applied even when the contents change item is selected in each screen. ID number display portion 2151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generated by each wireless communication switch or outlet is displayed, and identification name input portion 2151 and position for inputting a name to identify the switch or outlet. An information input unit 2153, a connected device input unit 2154, and the like are provided. In addition, a reservation setting input unit 2155 for setting a reservation time to turn on or off the corresponding switch or outlet at a predetermined time is provided. The reservation setting input unit may select and input a method of turning on or off at a predetermined time and a method of turning on or off after a few minutes. Each such input unit is input by utilizing the character input unit 216 provided by the smart device itself. The character input unit may be provided on the display and manipulated through a touch screen, or may be physically input through a keypad applied to the device's HW. When the above input steps are completed,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witch or outlet is generated and stored as data of the application program. Whenever the user interface is activated to control the power switch or outle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tents of the switch or outlet are checked and changed. You can also type additionally.

이러한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일상 생활에서 가장 활용 빈도가 높은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에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블루투스 등 무선통신으로 스위치나 콘센트의 전원을 무선통신 방식으로 편리하게 ON하거나 OFF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rough the power switch or outlet and a power control application method using a smart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e user is provided with a user interface provided by installing the application on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hat is most frequently used in daily life It can be controlled to turn on or off the power of switch or outlet conveniently by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위치와 방향에 따라 제공하는 메뉴를 달리하도록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Althoug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providing a power control application using a power switch or an outlet and a smart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o change a menu provided according to the touch position a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modified and practic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100 : 무선통신 전원 스위치 / 콘센트
101 : 통신 송수신부
102 : 마이콤
103 : 통신 제어 스위치
110 : 전원 스위치 / 콘센트
200 : 스마트기기
210 : 응용프로그램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211 : ID표시부
212 : 제어표시부
213 : 상세정보표시부
2131 : 상세정보확인창
214 : 예약설정표시부
2141 : 예약설정확인창
215 : 추가등록 버튼
2151 : ID번호 표시부
2152 : 식별명칭 입력부
2153 : 위치정보 입력부
2154 : 연결기기 입력부
2155 : 예약설정 입력부
216 : 문자입력부
100: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witch / outlet
101: communication transceiver
102: micom
103: communication control switch
110: power switch / outlet
200: Smart devices
210: application user interface screen
211: ID display unit
212 control panel
213: detailed information display unit
2131: Detailed Information Confirmation Window
214: reservation setting display
2141: Reservation setting confirmation window
215: Add registration button
2151: ID number display unit
2152: identification name input unit
2153: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2154: connecting device input unit
2155: reservation setting input unit
216: character input unit

Claims (9)

적외선, RF(Radio Frequency), Bluetooth, Zigbee,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Wi-Fi, 무선랜(Wireless LAN)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무선통신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 송수신부, 시스템 제어와 데이터 저장 기능을 제공하는 마이콤(MICOM ; MIcroProcessor COMputer), 무선통신 기능을 ON/OFF하는 통신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통신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 와;
상기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 송수신이 가능하고, 마이콤디스플레이입력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멀티미디어플레이어와 같은 스마트기기 및;
상기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응용프로그램 ( application ) ;에 있어서,
무선통신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가 무선통신을 개시하는 단계;
스마트기기가 스위치나 콘센트의 무선통신을 수신하는 단계;
스마트기기가 스위치나 콘센트로 전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스위치나 콘센트가 전원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통해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무선통신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의 전원 차단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Communication transmitter / receiver , system control and data storage that can transmit / receiv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infrared,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Zigbee,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Wi-Fi, Wireless LAN A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witch or outlet including a microcomputer (MICOM; MIcroProcessor COMputer) providing a function, and a communication control switch for turning on / off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multimedia players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communication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re equipped with a microcomputer , a display and an input device. And;
In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 application ) ;
The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switch or outlet initiates wireless communication ;
Receiving, by the smart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of a switch or an outlet;
Transmitting, by the smart device, a power control command to a switch or an outlet;
A switch or an outlet receiving and executing a power control command; executing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a smart device through a power switch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or a power switch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a power cutoff function of an outlet; Power control method using outlet and smar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가 무선통신을 개시하는 단계가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에 구비된 별도의 통신 제어 스위치를 ON함으로써 실행되고,
각 스위치나 콘센트 고유의 식별 ID를 구별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switch or outlet initiates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executed by turning on a separate communication control switch provided in a power switch or an outlet,
Power control method using a power switch or outlet and a smart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communication so as to distinguish the unique identification ID of each switch or outl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가 스위치나 콘센트의 무선통신을 수신하는 단계가
등록된 ID인지를 확인하여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의 식별 명칭을 입력하는 단계;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의 위치를 입력하는 단계;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연결된 전자기기의 내역을 입력하는 단계;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ID 등록 및 내용입력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the smart device recei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switch or outlet
If it is not registered by checking whether it is a registered ID,
Inputting an identification name of a power switch or an outlet;
Inputting a location of a power switch or an outlet;
Inputting a descrip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switch or outlet; Power registration using a power switch or outlet and a smart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D registration and content input step comprising at least one of Control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가 스위치나 콘센트로 전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가
즉시 전원을 ON 또는 OFF하는 형태와;
예약시간을 설정하여 ON 또는 OFF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mart device transmits a power control command to a switch or an outlet
A form of immediately turning on or off the power supply;
Method of controlling power using a power switch or an outlet and a smart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set the reservation time ON or OFF;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시간을 설정하여 ON 또는 OFF하는 형태가
ON 또는 OFF하는 시간을 지정하는 방법과;
몇 분 후 ON 또는 OFF하는지를 지정하는 방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servation time is set to ON or OFF
A method for specifying a time for turning on or off;
How to specify whether the ON or OFF after a few minutes; Power control method using a power switch or outlet and a smart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4항 및 5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시간을 설정하여 ON 또는 OFF함에 있어서, 스마트기기의 시간정보를 참조하여 ON 또는 OFF하는 시간을 지정하거나, 몇 분 후 ON 또는 OFF하는지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nd 5,
In the ON or OFF setting the reservation time, the time switch ON or OFF by referring to the time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or specify the number of minutes after the ON or OFF the power switch or outle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control method using smart and smart devices
제 1항 내지 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응용프로그램 (application)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통신 중인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의 식별 명칭;
각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의 위치;
각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연결된 전자기기의 내역;
각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의 ON/OFF 작동 상태;
각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의 예약 설정 내역;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o 6,
The user interface of the applicatio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Identification of the power switch or outlet being communicated with;
The location of each power switch or outlet;
A description of the electronics connected to each power switch or outlet;
ON / OFF operating status of each power switch or outlet;
Scheduled setting details of each power switch or outlet; Power control method using a wireless switch capab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item or outlet and a smart devi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응용프로그램 (application)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항목 중,
하위 항목을 추가로 더 갖는 항목은 식별력있는 색상이나 형태로 구분하여 표기하고, 해당 항목을 선택하면 팝업이나 스크롤 형태로 하위의 세부 내용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Of the items provided by the user interface of the applicatio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Items with additional sub-items can be identified and distinguished by distinguishing color or form, and when the corresponding item is selected , sub-item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pop-ups or scrolls. Power control method using smar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의 응용프로그램에 입력된 내용을 변경하는 입력 내용 변경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 power control method using a power switch or an outlet and a smart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hanging an input content for changing the content input to the application program of the smart device.
KR1020120004107A 2012-01-13 2012-01-13 Method of electric power control using wirelessly-connected switch or outlet and smart media device KR201300835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107A KR20130083503A (en) 2012-01-13 2012-01-13 Method of electric power control using wirelessly-connected switch or outlet and smart medi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107A KR20130083503A (en) 2012-01-13 2012-01-13 Method of electric power control using wirelessly-connected switch or outlet and smart media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503A true KR20130083503A (en) 2013-07-23

Family

ID=48994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107A KR20130083503A (en) 2012-01-13 2012-01-13 Method of electric power control using wirelessly-connected switch or outlet and smart media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350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226B1 (en) * 2013-12-16 2014-11-07 제일정보통신(주) Smart Phone and Internet Used Broadcasting Equipment
KR20150140146A (en) * 2014-06-05 2015-12-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switch and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226B1 (en) * 2013-12-16 2014-11-07 제일정보통신(주) Smart Phone and Internet Used Broadcasting Equipment
KR20150140146A (en) * 2014-06-05 2015-12-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switch and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356B1 (en) Control device
EP2715460B1 (en) Companion control interface for smart devices
US11334208B2 (en) Control apparatus
EP3021642A1 (en) Ligh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light thereof
US20130156434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apparatus
US10608837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358787A1 (en) Network system of a home appliance and network setup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JP5739002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201541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ly controlling a system or appliance
CN105739318A (en) Intelligent socket, intelligent household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865857A (en) Method and device for starting electric cooker
WO2009117592A2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iance control via a personal communication or entertainment device
CN101478461A (en) Portable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ed object arbitrary selection
EP320046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181486B2 (en) Communication system, server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50222497A1 (e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display method, control program and server
KR201700679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tap based on an arduino
CN110770510B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30083503A (en) Method of electric power control using wirelessly-connected switch or outlet and smart media device
KR20170132020A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KR102521850B1 (en)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FOR ARTIFCIAL INTELLIGENCE IoT SYSTEM
US20120184332A1 (en) Mobile phone
KR102311315B1 (en) Smart terminal equipment for control device registration of intelligent home ECO system and the registration method
KR20130107405A (en) User interface displaying and operating method of touch screen smart media device to control direction and speed according to the touch direction and distance
US10698498B2 (en) Configurable device switching mechanism that enables seamless interactions with multip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