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988A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pp arrangement area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pp arrangement ar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988A
KR20130082988A KR1020110142725A KR20110142725A KR20130082988A KR 20130082988 A KR20130082988 A KR 20130082988A KR 1020110142725 A KR1020110142725 A KR 1020110142725A KR 20110142725 A KR20110142725 A KR 20110142725A KR 20130082988 A KR20130082988 A KR 20130082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lot
contents
app
f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7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승주
김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142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2988A/en
Publication of KR2013008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9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provide various contents to a user by utilizing an empty space of an application arrangement space of a user terminal, thereby improving a ripple effect of advertising contents. CONSTITUTION: A database server (13)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about an application arrangement space per user. The application arrangement space where contents are arranged includes multiple slots. A database server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s. A meta data managing unit (113) obtains the contents from the database server. A content recommending unit (114) selects a recommended content from the contents obtained by the meta data managing unit and provides the recommended content to a user. A content arrangement status managing unit (111) checks a slot of which a state is empty in the application arrangement space. A slot managing unit (112) obtains size information including the length and height of the slot and provides the size information to the meta data managing unit. [Reference numerals] (11) Web management server; (111) Content arrangement status managing unit; (112) Slot managing unit; (113) Meta data managing unit; (114) Content recommending unit; (121) Batch database; (122) Slot database; (123) Content database; (124) Folder database; (13) Database server

Description

앱 배치 공간을 활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pp arrangement area}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app layout space and method thereof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pp arrangement area}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앱(app) 배치 공간을 활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an app layout space.

최근에는 휴대 단말 및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컴퓨터와 같은 보다 향상된 고급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응용 소프트르웨어 즉,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이라고 명명함)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고, 다양한 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같은 운영 체제를 가진 스마트폰간에 앱을 공유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앱에 대한 개발이 증가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앱 마켓(app market)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앱을 제공받아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다.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portable terminals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spread of smart phones that provide more advanced advanced functions such as computers is increasing. Smartphones can connect directly to the Internet using the wireless Internet, as well as various ways to access the Internet using various browsing programs. In addition, users can create their own application software, that is, applica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ps') by themselves, implement various interfaces for users through various apps, and between smartphones with the same operating system. It has many advantages, such as sharing apps.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various apps that can be used on a smartphone is increasing, and a user can receive various kinds of apps through an app market and use them on his smartphone.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서는 설치된 앱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메인 화면 상에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icon)들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앱에 해당하는 아이콘만을 메인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아이콘을 클릭하는 동작만으로 해당하는 앱을 실행시켜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In general, in order to use an installed app more conveniently in a smartphone, icons corresponding to the app are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of the smartphone. The user may select to display only an icon corresponding to a desired app on the main screen, and may execute a corresponding app and receive a desired service by simply clicking an ic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 단말에서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이 표시되는 앱 배치 공간을 토대로, 앱이나 광고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including an app or an advertisement, based on an app layout space in which icons corresponding to an app are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위의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가 배치되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하는 앱 배치 공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 및 관리하고,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앱 배치 공간에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슬롯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메타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메타 데이터 관리부에 의하여 획득된 컨텐츠로부터 추천 컨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추천부를 포함한다.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 problem, and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about the app placement space including a plurality of slots in which the content is arranged for each user, and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ntent Database server; A metadata management unit obtaining at least one content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a size of at least one slot in which no content is disposed in the app placement space from the database server; And a content recommendation unit for selecting recommended content from the content obtained by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and providing the recommended content to the user.

여기서, 상기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엠프티 상태의 슬롯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메타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을 합한 크기에 대응하는 컨텐츠, 상기 복수의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 중에서 설정 개수의 슬롯들을 합한 크기에 대응하는 컨텐츠, 하나의 엠프티 상태의 슬롯 크기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컨텐츠 추천부로 제공할 수 있다. Her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mpty state slots in which the content is not arranged,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may includ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um of the slots of the plurality of empty state, and among the plurality of empty state slots. The content recommender may provide at least one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um of the set number of slots and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lot size of one empty state.

이외에도,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앱 배치 공간에서 엠프티 상태의 슬롯을 찾는 컨텐츠 배치 현황 관리부; 및 상기 엠프티 상태인 슬롯의 길이와 높이를 포함하는 크기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 관리부로 제공하는 슬롯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includes a content placement status management unit for finding an empty slot in the app placement space; And a slot manager configured to obtain size information including a length and a height of the empty slot and provide the metadata to the metadata manager.

여기서 상기 슬롯의 배치 상태는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엠프티 상태, 사용자가 직접 설치한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인스톨 상태, 상기 시스템이 추천한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추천 상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폴더를 나타내는 폴더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Here,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slot may be an empty state in which no content is placed, an installation state indicating that content installed by the user is arranged, a recommendation state indicating that the content recommended by the system is arranged, and at least one. It may have at least one state of a folder state indicating a folder including the content of the.

한편, 상기 앱 배치 공간에서 폴더 상태의 슬롯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슬롯 관리부는 상기 폴더에 포함된 컨텐츠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앱 배치 공간의 제1 방향의 최대 슬롯 수에서 상기 확인된 컨텐츠의 개수를 감산하여 추천 컨텐츠 개수를 산출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 관리부는 산출된 추천 컨텐츠 개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컨텐츠 추천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타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선택된 폴더의 폴더명에 관련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추천 컨텐츠 개수만큼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컨텐츠 추천부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slot in a folder state is selected in the app placement space, the slot manager checks the number of contents included in the folder,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slots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app placement space. The number of recommended content may be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number, and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may selec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number of recommended content and provide the content to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In addition,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may select and provide the content recommendation content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recommended content from among the contents belonging to the category related to the folder name of the selected folder.

한편 상기 추천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앱 배치 공간의 엠프티 상태의 슬롯에 추천 컨텐츠를 배치한 경우, 상기 엠프티 상태의 슬롯의 상태가 추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commended content is placed in the empty state slot of the app placement space in the user terminal provided with the recommended content, the state of the empty state of the slot may be changed to the recommended state.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사용자별로 앱 배치 공간의 슬롯마다 어떠한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 식별 정보, 슬롯 식별 정보, 슬롯의 배치 상태, 컨텐츠 식별 정보가 대응되어 있는 배치 데이터베이스; 각 슬롯별로 앱 배치 공간에서 해당 슬롯의 위치, 슬롯의 길이, 슬롯의 높이, 그리고 앱 배치 공간의 크기가 저장되어 있는 슬롯 데이터베이스; 컨텐츠별로 컨텐츠 식별 정보, 컨텐츠 타이틀, 해당 컨텐츠가 속하는 카테고리,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길이 및 높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별로 생성한 폴더별로 어떠한 종류의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 식별 정보, 폴더 식별 정보, 폴더명, 컨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폴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database server stores information indicating what content is arranged in each slot of the app deployment space for each user, and the deployment database to whic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lo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arrangement status of the slot, and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 ; A slot database that stores the location of the slot, the length of the slot, the height of the slot, and the size of the app layout space in each app layout space; A content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including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content title, a category to which the content belongs, and a length and height of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for each content; And information indicating what kind of content is included for each folder generated for each user, and may include a folder database includ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lder name, an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의 앱 배치 공간-- 상기 앱 배치 공간은 컨텐츠가 배치되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함--에서,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엠프티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컨텐츠와 컨텐츠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엠프티 상태의 슬롯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컨텐츠로부터 추천 컨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providing method, where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comprises: an app arrangement space of a user, wherein the app arrangement space includes a plurality of slots in which the content is placed. Identifying at least one slot in a tee state; Acquiring, b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t least one content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empty slot from a content database including content and content size information; And selecting recommended content from the obtained content and providing the recommend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엠프티 상태의 슬롯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을 합한 크기에 대응하는 컨텐츠, 상기 복수의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 중에서 설정 개수의 슬롯들을 합한 크기에 대응하는 컨텐츠, 하나의 엠프티 상태의 슬롯 크기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mpty state slots in which the content is not arranged, the acquiring of the content may include content corresponding to a sum of sizes of the plurality of empty state slots and slots of the empty state. At least one of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um of the set number of slots and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lot size of one empty state may be obtained.

여기서 상기 추천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앱 배치 공간의 엠프티 상태의 슬롯에 추천 컨텐츠를 배치한 경우, 상기 엠프티 상태의 슬롯의 상태가 추천 상태로 변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when the recommended content is placed in the empty state slot of the app placement space by the user terminal provided with the recommended content, the step of changing the state of the empty state of the slot to the recommended state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의 앱 배치 공간--상기 앱 배치 공간은 컨텐츠가 배치되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함--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폴더에 해당하는 슬롯이 선택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슬롯의 폴더에 포함된 컨텐츠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앱 배치 공간의 제1 방향의 최대 슬롯 수에서 상기 확인된 컨텐츠의 개수를 감산하여 추천 컨텐츠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추천 컨텐츠 개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컨텐츠 중에서 추천 컨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the app placement space of the user-the app placement space includes a plurality of slots in which the content is arranged, at least one content Confirming that a slot corresponding to the containing folder is selected; Checking the number of contents included in the folder of the identified slot, and subtracting the number of the identified contents from the maximum number of slots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app layout space to calculate the number of recommended contents; Select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number of recommended contents; And selecting recommended content from the selected content and providing the recommend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여기서, 상기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폴더의 폴더명에 관련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추천 컨텐츠 개수만큼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The selecting of the content may include selecting as many contents as the number of recommended contents from among contents belonging to a category related to a folder name of the selected folder.

또한 상기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폴더의 폴더명 또는 상기 폴더에 속하는 컨텐츠들의 정보에 연관된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추천 컨텐츠 개수만큼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The selecting of the content may include selecting as many contents as the number of recommended contents from among folder names of the selected folder or contents related to information of contents belonging to the folder.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서, 상기 컨텐츠는, 앱, 위젯,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feature, the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pp, a widget, and an advertisem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앱 배치 공간의 빈 공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앱, 위젯, 광고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앱이나 광고 컨텐츠의 파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various content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by utilizing an empty space of the app arrangement space of the user terminal. The user can easily be provided with various contents such as apps, widgets, and advertisements, and can also improve the ripple effect of various apps or advertising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앱 배치 공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치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롯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정 사용자의 앱 배치 공간상에서의 컨텐츠 배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들간의 연관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유동적 크기를 가지는 컨텐츠를 추천한 앱 배치 공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앱 배치 공간에서 폴더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들간의 연관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pp layout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atch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slot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content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folder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ntent arrangement state on an app deployment space of a predetermined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ssociation operation between components of a system when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pp deployment space recommending content having a fluid size.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reen for selecting a folder in an app layout space.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ssociation operation between components of a system when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은 네트워크(2, 인터넷 등 접속 가능한 모든 형태의 네트워크를 포함함)을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3)과 연결되어, 컨텐츠를 제공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되는 앱(application, app), 위젯(widget), 광고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총칭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 through a network (including all types of networks accessible by the Internet, etc.). , To provide content. Here, the content refers to various types of services including an application (application, app), widget, and advertisement provided through the system.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별로 앱을 제공하고 사용자별로 제공된 앱을 관리하는 앱 관리 서버(11), 앱 관리 및 컨텐츠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를 포함하며, 광고 제공 서버(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제공 서버(13)가 컨텐츠 제공 시스템(1)에 포함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고 제공 서버(13)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1)과는 독립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광고 제공 서버(13)는 사용자 단말(3)로 제공할 광고를 저장 및 관리하며, 앱 관리 서버(11)로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3)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includes an app management server 11 for providing an app for each user and managing an app provided for each user, and a database server 12 for storing data for app management and content provision. It may further include (13). Here, although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erver 13 is illustrated as being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erver 13 may be formed in an independent form from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It may be implemented.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erver 13 may store and manage advertisements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 and provide the advertisement management server 11 to the user terminal 3.

사용자 단말(3)은 네트워크(2)를 통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앱 서비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스마트 단말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 is a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the network 2, and for example, a smart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including an app service may be us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의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structure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앱 관리 서버(11)는 도 2에서와 같이, 컨텐츠 배치 현황 관리부(111), 슬롯 관리부(112), 메타데이터 관리부(113), 그리고 컨텐츠 추천부(114)를 포함한다. The app management server 11 includes a content arrangement status management unit 111, a slot management unit 112, a metadata management unit 113, and a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14 as shown in FIG. 2.

컨텐츠 배치 현황 관리부(111)는 사용자별로 사용중인 앱들의 정보와 사용자별로 컨텐츠 배치 상태를 관리하고, 확인한다. 여기서 컨텐츠 배치 상태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표시 가능한 전체 화면상에서 각 슬롯별로 어떠한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여기서 슬롯은 화면 상에서 소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나 앱 등의 컨텐츠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는 공간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슬롯들을 포함하고 앱 등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이 표시되는 공간을 "앱 배치 공간"이라고 명명한다. 앱 배치 공간의 행(row)과 열(column)별로 포함 가능한 최대 슬롯수가 정해진다. 앱 배치 공간에는 앱을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실질적으로 배치되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컨텐츠가 앱 배치 공간의 슬롯에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The content placement status management unit 111 manages and confirms the information placement status of each app and the content placement status for each user. Here, the content arrangement state indicates what content is arranged for each slot on the entire screen tha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slot represents a space for displaying an icon corresponding to content such as a menu or an app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on the screen. Hereinafter, a space including these slots and displaying icons corresponding to contents such as an app is referred to as an "app layout space". The maximum number of slots that can be included in each row and column of the app layout space is determined.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cluding the app is substantially disposed in the app layout space, bu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ntent is disposed in the slot of the app layout spac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앱 배치 공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pp layout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배치 상태는 4가지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인스톨(installed) 상태, 엠프티(empty) 상태, 추천 상태, 그리고 폴더 상태를 포함한다. The content arrangement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our states. That is, it includes an installed state, an empty state, a recommended state, and a folder state.

인스톨 상태는 해당 슬롯에 메뉴나 앱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직접 설치한 상태임을 나타내며, 제1 상태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설치한 앱(예: Talking tom)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I)를 나타낸다. The installation state indicates that a user directly installs a content corresponding to a menu or an app in a corresponding slot, and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stat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application (eg, Talking tom) installed by the user is disposed (I).

엠프티 상태는 해당 슬롯에 어떠한 컨텐츠도 배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내며, 제2 상태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어떠한 컨텐츠도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빈 슬롯(I2)이 엠프티 상태이다. The empty state indicates that no content is placed in the slot, and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stat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empty slot I2 in which no content is arranged is empty.

추천 상태는 사용자에 의한 것이 아니라 시스템(1)에 의해 추천된 앱이나 광고 컨텐츠 등이 배치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제3 상태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 The recommendation state indicates that an app or advertisement content recommended by the system 1 is arranged, not by the user, and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third state.

폴더 상태는 해당 슬롯에 배치된 컨텐츠가 폴더에 해당함을 나타내며, 제4 상태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 사용자는 폴더를 생성하고 해당 폴더에 복수의 앱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폴더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도 3과 같은 앱 배치 공간에 배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폴더(I3)가 클릭되면 도 3에서와 같이, 해당 폴더에 포함된 복수의 앱들이 표시된다. The folder state indicates that the content disposed in the slot corresponds to the folder, and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ourth state. A user can create a folder and install multiple apps in that folder. In this case,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folder may be arranged in the app arrangement space as shown in FIG. 3, and when the folder I3 is clicked,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apps included in the folder are displayed.

컨텐츠 배치 현황 관리부(111)는 사용자의 앱 배치 공간에서 제2 상태 즉,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을 찾는다. 예를 들어,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3)로부터의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앱 배치 공간 상의 배치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토대로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을 찾을 수 있다. The content arrangement status management unit 111 finds slots of a second state, that is, empty state, in the user's app placement space. For exampl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cquired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accessing user terminal 3, and the slots of the empty state may be found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lacement state on the app placement space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have.

슬롯 관리부(112)는 메뉴나 앱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들이 배치되고 컨텐츠들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는 전체 화면 즉, 앱 배치 공간을 구성하는 슬롯들을 관리하며, 이를 위하여 앱 배치 공간의 사이즈와 슬롯별 배치 위치, 그리고 공간 정보를 관리한다. 슬롯 관리부(112)는 앱 배치 공간의 슬롯별로 컨텐츠를 배치하고 배치 관련 정보를 해당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슬롯 관리부(112)는 컨텐츠 배치 현황 관리부(111)에 의하여 찾아진 엠프티 상태의 슬롯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메타 데이터 관리부(113)로 제공한다. The slot manager 112 manages slots constituting an entire screen, that is, an app layout space, in which contents including a menu or an app are arranged and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can be displayed. Manages location, slot location and space information. The slot manager 112 arranges content for each slot of the app deployment space and stores and manages the deployment related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database server 12. In addition, the slot manager 112 obtains information on the slot of the empty state found by the content arrangement status manager 111 and provides it to the metadata manager 113.

메타 데이터 관리부(113)는 광고 및 추천에 활용될 컨텐츠에 대한 명칭, 해당 컨텐츠가 속하는 카테고리, 그리고 아이콘 사이즈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관리한다. 또한 메타 데이터 관리부(113)는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관련된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찾아서 컨텐츠 추천부(114)로 제공한다. The metadata manager 113 manages metadata including a name of a content to be used for advertisement and recommendation, a category to which the content belongs, and an icon size. In addition,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113 finds information on related contents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lots in the empty state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14.

컨텐츠 추천부(114)는 메타 데이터 관리부(113)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추천 컨텐츠를 선택한다. 컨텐츠 추천부(114)는 예를 들어, 제공받은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컨텐츠들을 추천 컨텐츠로 선택하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들이 많이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들을 추천 컨텐츠로 선택한다.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14 selects recommended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from among the contents provided from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113.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14 selects, for example, contents suitable for a user's disposition as recommended contents from among the provided contents, or selects contents downloaded by many users as recommended contents.

한편 데이터베이스 서버(12)는 도 2에서와 같이, 배치 데이터베이스(121), 슬롯 데이터베이스(122),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3), 폴더 데이터베이스(124)를 포함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database server 12 includes a batch database 121, a slot database 122, a content database 123, and a folder database 12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치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롯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atch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slot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ontent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older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배치 데이터베이스(121)는 사용자별로 앱 배치 공간의 슬롯별로 어떠한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도 4에서와 같이, 배치 데이터베이스(121)는 사용자 식별 정보(USER_ID), 슬롯 식별 정보(SLOT_ID), 배치 상태, 컨텐츠 식별 정보(CONTENTS_ID)를 저장한다. The deployment database 121 stores information indicating what content is arranged for each user of each slot of the app deployment space. To this end, as shown in FIG. 4, the placement database 121 store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_ID, slo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LOT_ID, placement status, an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TENTS_ID.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앱 배치 공간에 "USER_ID_0001"이라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가지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메뉴, 폴더나 앱들에 관련된 아이콘들이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정 사용자의 앱 배치 공간상에서의 컨텐츠 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For example, assume that icons related to menus, folders, or apps used by a user ha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USER_ID_0001" are arranged in the app deployment space as shown in FIG. 8.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arrangement state on an app deployment space of a predetermined us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과 같이, 앱 배치 공간의 슬롯들에 소정의 컨텐츠들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SLOT_ID_0002"라는 슬롯 식별 정보를 가지는 슬롯에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지 않지 않은 경우, 배치 데이터베이스(121)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 "USER_ID_0001"가 사용하는 슬롯들 중에서 슬롯 "SLOT_ID_0002"는 엠프티(EMPTY) 상태가 저장되어 해당 슬롯에는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슬롯 "SLOT_ID-0001"에는 인스톨(INSTALLED) 상태가 표시되어 해당 슬롯에는 사용자가 직접 설치한 앱이 배치되고, 배치된 앱은 "CON_ID_0001"의 식별 정보를 가지는 컨텐츠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엠프티 상태의 슬롯 "SLOT_ID_0001"에 사용자가 직접 새로운 앱을 배치하면, 도 8의 화살표 방향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해당 슬롯의 배치 상태가 인스톨(INSTALLED) 상태로 변경되고, 배치된 앱에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 "CON_ID_0020"이 저장된다. As shown in FIG. 8, in the state where predetermined contents are arranged in slots of the app layout space, when the contents are not disposed in the slot having the slo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SLOT_ID_0002”, the layout database 121 may include FIG. 4. As shown in FIG. 2, slots “SLOT_ID_0002” among slots used by the user “USER_ID_0001” indicate that an empty state is stored so that content is not disposed in the slot. In addition, an installed state is displayed in the slot "SLOT_ID-0001", and an app installed by the user is placed in the corresponding slot, and the deployed app stor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tent h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CON_ID_0001". In this state, when a user directly places a new app in the empty slot "SLOT_ID_0001", as shown in the arrow direction of FIG. 8, the placement state of the corresponding slot is changed to the installed state and installed in the deployed app. Corresponding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_ID_0020" is stored.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배치 데이터베이스(121)를 통하여 사용자마다 사용 가능한 슬롯별로 해당 슬롯의 배치 상태가 어떠하고 어떠한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Through the layout database 121 having such a structure, it can be seen that the layout status of the corresponding slots and what contents are arranged for each available slot for each user.

슬롯 데이터베이스(122)에는 각 슬롯들의 정보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와 같이, 각 슬롯별로 앱 배치 공간에서 해당 슬롯의 위치를 나타내는 X 축 상의 좌표에 대응하는 X 위치, Y축 상의 좌표에 대응하는 Y 위치, 슬롯의 길이, 슬롯의 높이, 그리고 앱 배치 공간의 크기를 저장한다. 여기서 앱 배치 공간의 크기는 표시 가능한 화소 사이즈 예를 들어, 640×960를 나타내며, 슬롯의 길이 및 높이는 화소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슬롯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슬롯 정보를 토대로, 해당 슬롯에 어떠한 종류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slot database 122 stores information of each slot.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for each slot, the X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on the X axis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slot in the app layout space, the Y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on the Y axis, the length of the slot, the height of the slot, It stores the size of the app placement space. Herein, the size of the app layout space may represent a displayable pixel size, for example, 640 × 960, and the length and height of the slot may be expressed in pixel units. Based on the slot information stored in the slot database 122,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at kind of content can be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slot.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3)는 컨텐츠들의 정보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와 같이, 각 컨텐츠별로 컨텐츠 식별 정보, 컨텐츠 타이틀, 해당 컨텐츠가 속하는 카테고리,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길이 및 높이를 포함한다. 여기서 길이 및 높이는 화소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The content database 123 stores information of contents.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each content includes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content title, a category to which the corresponding content belongs, and a length and height of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length and height may be expressed in pixel units.

예를 들어, 도 6에서, 슬롯 "SLOT_ID_0002"에 표시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3)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컨텐츠는 "CON_ID_0001"이라는 식별 정보를 가지고 타이틀은 "실시간 검색"이며, "검색"이라는 카테고리에 속하며,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사이즈가 길이 "50" 및 높이 "50"을 가지는 크기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23)에 저장된다.  For example, in FIG. 6,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slot "SLOT_ID_0002" may be stored in the content database 123, in which case the content h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_ID_0001" and the title is "real-time search". ,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ize of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content is a size having a length "50" and a height "50" is stored in the database 123.

이러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3)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가 어떠한 카테고리에 속하면서 슬롯 상에 표시될 때의 필요한 사이즈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엠프티(EMPTY) 상태의 슬롯에 새로운 컨텐츠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슬롯의 크기(길이 및 높이)에 따라 적절한 크기를 가지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ent database 123, it is possible to know what size is required when each content belongs to which category and is displayed on the slot. Accordingly, when new content is to be displayed in a slot in an empty state, content having an appropriate size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length and height) of the corresponding slot.

폴더 데이터베이스(124)에는 폴더 관련 정보가 저장되며, 사용자별로 생성한 폴더별로 어떠한 종류의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 식별 정보, 폴더 식별 정보, 폴더명, 컨텐츠 식별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USER_ID_0001"가 생성한 폴더 "FOLDER_ID_001"은 "게임"이라는 폴더명을 가지고, 해당 폴더에는 "CON_ID_0001", "CON_ID_0006"의 식별 정보를 가지는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Folder relat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folder database 124, and information indicating what kind of content is included for each folder created for each user.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lder name, an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stored. For example, a folder "FOLDER_ID_001" created by the user "USER_ID_0001" has a folder name "Game",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contents ha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CON_ID_0001" and "CON_ID_0006" are stored in the folder. do.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such a structure.

사용자 단말(3)이 네트워크(2)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시스템(1)에 접속하여 앱이나 컨텐츠를 제공받는 경우, 제공받은 앱이나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가 컨텐츠 제공 시스템(1)에 저장 및 관리되고, 사용자 단말(3)의 화면 즉, 앱 배치 공간에 제공받은 앱이나 컨텐츠에 해당하는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3) 상에서 앱들은 폴더별로 저장 및 관리되는데, 사용자가 새로운 폴더를 생성하고 해당 폴더에 대응하여 제공받은 앱들을 대응시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이라는 폴더를 생성하고 게임에 관련된 복수의 앱들을 컨텐츠 제공 시스템(1)으로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생성한 폴더와 제공받은 앱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들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의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저장 및 관리된다. When the user terminal 3 accesses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via the network 2 and receives an app or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provided app or content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In addition, icons corresponding to the app or content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3, that is, the app arrangement space are displayed. In general, the apps are stored and managed for each folder on the user terminal 3. The user may create new folders and correspond to the app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folders. For example, a folder called "game" may be created and a plurality of apps related to the game may be provided to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and used. Folders created by the user and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app are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base server 12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사용자 단말(3)의 메인 화면상 즉, 앱 배치 공간에 사용자가 선택한 앱 등의 컨텐츠들이 표시된다. Contents such as an app selected by the user are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of the user terminal 3, that is, the app arrangement space.

먼저, 사용자 단말(3)의 앱 배치 공간에서 빈 슬롯 즉,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은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에 대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n empty slot, that is, empty slots without an icon in an app arrangement space of the user terminal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들간의 연관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9 is a flowchart of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mmending a cont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showing the association operation.

첨부한 도 9에서와 같이, 컨텐츠 배치 현황 관리부(111)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S100).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의 컨텐츠 배치 현황 관리부(111)는 네트워크(2)를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3)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예를 들어, 단말 식별 번호 등)를 토대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content arrangement status management unit 111 obtain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S100). For example, the content arrangement status management unit 111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may determine the user's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eg, a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etc.)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3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2.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컨텐츠 배치 현황 관리부(111)는 획득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토대로 배치 데이터베이스(121)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앱 배치 공간의 슬롯별 배치 상태를 확인한다(S110).The content placement status manager 111 searches the placement database 121 based on the acqui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checks the placement state of each slot of the app placement space of the corresponding user (S110).

앱 배치 공간의 슬롯별 배치 상태를 확인하여 엠프티 상태의 슬롯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을 추출한다(S120). 그리고 컨텐츠 배치 현황 관리부(111)는 추출된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의 식별 정보를 슬롯 관리부(112)로 제공한다. By checking the arrangement state for each slot of the app placement spac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empty state slot, and extracts the empty state slot (S120). The content arrangement status management unit 111 provides the slot management unit 112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empty slots.

슬롯 관리부(112)는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의 식별 정보를 토대로 슬롯 데이터베이스(122)를 검색하여, 해당 슬롯의 크기 즉, 길이와 높이를 확인한다(S130). 그리고 확인된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의 길이 및 높이를 포함하는 크기 정보를 메타 데이터 관리부(113)로 제공한다. The slot manager 112 searches the slot database 122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mpty slots and checks the size, that is, length and height of the corresponding slot (S130). In addition, size information including the length and height of the identified empty slots is provided to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113.

메타 데이터 관리부(113)는 제공받은 슬롯들의 크기 정보를 토대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3)를 검색하여 슬롯들의 크기 정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컨텐츠들을 찾는다(S140). 예를 들어, 도 10에서와 같이, 슬롯 관리부(112)에 의하여 엠프티 상태의 슬롯 예를 들어, "SLOT_ID_0002"를 가지는 슬롯에 대응하는 크기 정보(길이:50, 높이:50)를 제공받은 경우, 메타 데이터 관리부(113)는 크기 정보에 대응하는 길이 및 높이를 가지는 컨텐츠들 즉, 길이 50, 높이 50의 크기를 가지는 "CON_ID_0005", "CON_ID_0006"을 선택한다. The meta data manager 113 searches the content database 123 based on the size information of the provided slots to find contents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information of the slots (S14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slot management unit 112 is provided with size information (length: 50, height: 50) corresponding to a slot having an empty state, for example, a slot having “SLOT_ID_0002”.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113 selects contents having a length and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ize information, that is, "CON_ID_0005" and "CON_ID_0006" having a length of 50 and a height of 50.

그리고 메타 데이터 관리부(113)는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의 크기 정보에 대응하는 길이와 높이를 가지는 컨텐츠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가 이미 사용하고 있는 컨텐츠(예를 들어, CON_ID_0005의 컨텐츠)들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추천할 컨텐츠들을 획득한다(S150). 이하, 추천할 컨텐츠들을 "추천 후보 컨텐츠"라고 명명한다. 메타 데이터 관리부(113)는 획득한 추천 후보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추천부(114)로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113 finally removes contents (eg, contents of CON_ID_0005) that are already used by the corresponding user from among contents having a length and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ize information of empty slots. To obtain the content to be recommended (S150). Hereinafter, the content to be referred to as "recommended candidate content". The metadata manager 113 provides the content recommender 114 with information about the acquired candidate candidate contents.

컨텐츠 추천부(114)는 추천 후보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추천 컨텐츠를 선택한다(S160). 컨텐츠 추천부(114)는 추천 후보 컨텐츠가 하나인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를 추천 컨텐츠로 하여 사용자 단말(3)로 제공하고, 추천 후보 컨텐츠가 복수인 경우, 설정 추천 조건에 따라 설정 개수의 컨텐츠를 추천 컨텐츠로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3)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추천 후보 컨텐츠들 중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추천 컨텐츠로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14 selects recommended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from among the recommended candidate contents (S160). If there is one recommendation candidate content,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14 provides the corresponding content as the recommend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3, 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ecommendation candidate contents,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recommends a set number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setting recommendation conditions. The content is select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 For example, the most downloaded content among the recommended candidate contents may be selected as the recommended contents and provided to the user.

한편, 단계(S110)에서, 슬롯들의 배치 상태를 확인한 결과, 엠프티 상태의 슬롯이 없는 경우에는 위에 기술된 컨텐츠 제공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step S110,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arrangement of the slots, if there is no slot in the empty state, the above-described content providing process may not be performed.

위에 기술된 실시 예에서는 엠프티 상태의 슬롯별로 해당 슬롯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추천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이때 추천하는 컨텐츠의 크기를 하나의 슬롯 크기에 한정하지 않고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을 토대로 확인되는 빈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추천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이 복수개로 확인된 경우,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을 합한 전체 크기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content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lot is recommended for each empty slot. However, the recommended content is not limited to one slot size. Based on the size, the content to be recommended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empty space. That is, when a plurality of empty slots are identified, the content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 size of the empty slots.

도 11은 유동적 크기를 가지는 컨텐츠를 추천한 앱 배치 공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pp deployment space recommending content having a fluid size.

예를 들어,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이 2개인 경우, 도 11에서와 같이, 두 개의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을 합한 크기에 대응하는 컨텐츠(C1)(예를 들어, 앱, 위젯, 또는 광고 배너 등)를 추천할 수 있다. 이 경우, 메타 데이터 관리부(113)는 제공받은 슬롯들의 크기 정보를 토대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3)를 검색하여 하나의 엠프티 상태의 슬롯 크기가 아니라, 현재 남아 있는 모든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의 크기들을 모두 고려하여 컨텐츠들을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세 개의 엠프티 슬롯이 있는 경우, 세 개의 슬롯들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컨텐츠, 두개의 슬롯들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컨텐츠, 하나의 슬롯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컨텐츠를 각각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찾아진 다양한 크기의 컨텐츠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컨텐츠를 앱 배치 공간에 추가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시스템(1)에서 정해진 조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컨텐츠들 중에서 소정 크기를 가지는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하거나 앱 배치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re are two empty slots, as shown in FIG. 11, the content C1 (eg, an app, a widget, or an advertisement banner, etc.)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two empty slots is added. ) Can be recommended. In this case,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113 searches the content database 123 based on the size information of the provided slots, and not all of the empty slot sizes in the current empty state. Consider the contents. For example, if there are three empty slots, the content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three slots, the content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two slots, the content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one slot size You can find each The various sizes of the found content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nd appropriately sized contents can be additionally placed in the app layout spac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lternatively, conten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mong contents of various sizes may be recommended to a user or arranged in an app placement space according to a condition determined by the system 1.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고정된 크기가 아니라 유동적인 크기를 가지는 컨텐츠를 앱 배치 공간에 추가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특히 광고 컨텐츠를 용이하게 추가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Through this method, content having a flexible size rather than a fixed size can be additionally arranged in the app layout space, and in particular, the advertisement content can be easily additionally arranged.

다음에는 폴더별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for each folder will be described.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3은 앱 배치 공간에서 폴더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들간의 연관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1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reen for selecting a folder in an app layout space.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ssociation operation between components of a system when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첨부한 도 1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앱 배치 공간에서 폴더를 클릭하면(S300),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되어 있는 폴더들 중에서 클릭된 폴더의 폴더명과, 해당 폴더에 대응하여 저장된 컨텐츠들의 개수를 추출한다(S310).As shown in FIG. 12, when the user clicks on a folder in the app layout space (S300),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displays the folder name of the clicked folder among the folders created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number of stored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folder is extracted (S310).

예를 들어,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은 앱 배치 공간에서 사용자가 폴더(F1)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컨텐츠 배치 현황 관리부(111)는 도 14에서와 같이, 배치 데이터베이스(121)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식별 정보 "USER_ID_0001"에 대응하는 슬롯들 중에서 클릭한 폴더가 배치된 슬롯 "SLOT_ID_0004"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슬롯의 배치된 컨텐츠 즉, 폴더의 식별 정보 "FOLDER_ID_001"을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한 폴더의 식별 정보를 슬롯 관리부(112)로 전달하며, 슬롯 관리부(112)는 전달받은 폴더의 식별 정보를 토대로 폴더 데이터베이스(124)를 검색하여 해당 폴더에 대응하는 폴더명과 컨텐츠 개수를 추출한다. 즉, 슬롯 관리부(112)는 폴더 데이터베이스(124)로부터 폴더 식별 정보 "FOLDER_ID_001"에 대응하는 폴더명 "게임"을 획득하고, 해당 폴더의 컨텐츠 개수 예를 들어 2개(CON_ID_0005, CON_ID_0006)을 획득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click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folder F1 in the app deployment space as illustrated in FIG. 13, the content placement status management unit 111 corresponds to the layout database 121 from the deployment database 121 as shown in FIG. 14. From the slots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_ID_0001",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lot "SLOT_ID_0004" in which the clicked folder is disposed is obtained, and the arranged contents of the slot, that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LDER_ID_001" of the folder, are obtained. Then, the acqui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older is transmitted to the slot manager 112, and the slot manager 112 searches the folder database 124 based o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older to extract the folder name and the number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folder. do. That is, the slot manager 112 obtains the folder name "game" corresponding to the f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LDER_ID_001" from the folder database 124, and acquires, for example, two (CON_ID_0005, CON_ID_0006) number of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folder. .

여기서 폴더의 컨텐츠 개수는 실질적으로 폴더에 추가적으로 컨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는 폴더 생성시 관련된 컨텐츠들이 순서대로 일렬로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따라 앱 배치 공간의 행별로 최대 배치 가능한 슬롯수를 이미 알고 있으므로, 최대 배치 가능한 슬롯수로부터 폴더에 이미 배치된 컨텐츠들의 수를 감산하여 현재 추가적으로 컨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 즉 슬롯개수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위의 제1 실시 예와는 같이 폴더에 해당하는 슬롯의 배치 상태를 토대로 엠프티 상태의 슬롯을 확인하여 추가적으로 배치 가능한 슬롯 개수를 알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number of contents of the folder is for judging whether the contents can be additionally arranged in the folder. Here, it is assumed that related contents are arranged in a line in order when a folder is created. Accordingly, since the maximum number of slots that can be placed per row of the app placement space is already known, the number of slots that are already placed in the folder can be subtracted from the maximum number of slots that can be placed in the folder. ha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number of slots that can be additionally arranged may be known by checking the empty slots ba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slots corresponding to the folder.

따라서 슬롯 관리부(112)는 폴더의 컨텐츠 개수를 토대로 해당 폴더에 추가적으로 배치 가능한 슬롯 개수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추천 컨텐츠를 개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추천 컨텐츠 개수와 폴더명을 메타데이터 관리부(113)로 제공한다(S320). Therefore, the slot manager 112 checks the number of slots that can b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folder based on the number of contents of the folder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recommended contents based on the number of slots. The calculated number of recommended contents and folder names are provided to the metadata managing unit 113 (S320).

다음,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은 획득한 폴더명을 토대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추천 컨텐츠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메타데이터 관리부(113)는 도 14에서와 같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3)를 검색하여 폴더명과 유사한 카테고리를 선택한다(S330). 그리고 선택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들을 찾아서 컨텐츠 추천부(114)로 전달한다(S340). 컨텐츠 추천부(114)는 메타 데이터 관리부(113)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들 중에서 추천 컨텐츠 개수만큼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3)로 제공한다(S350).  Next,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selects recommended content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based on the obtained folder name. In detail, as shown in FIG. 14, the metadata manager 113 searches the content database 123 and selects a category similar to a folder name (S330). In operation S340, the contents are found and belong to the selected category.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14 selects as many contents as the number of recommended contents from among the contents provided from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113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terminal 3 (S350).

이때, 컨텐츠 추천부(114)는 폴더명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들 중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컨텐츠들을 추천 컨텐츠 개수만큼 선택하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들이 많이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들을 추천 컨텐츠 개수만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3)로 추천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14 selects, for example, the number of recommended contents from among contents belonging to a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folder name, or the number of contents downloaded by other users as the number of recommended contents. It can be selected and recommended to the user terminal 3.

한편 위의 실시 예에서는 폴더명을 토대로 대응하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들을 제공하는 것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폴더명 이외에, 해당 폴더에 속하는 컨텐츠들의 정보를 토대로 추천 컨텐츠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category are provided based on the folder name. However, in addition to the folder name, the recommended content may be selected and provid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s belonging to the corresponding folder.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폴더에 포함되어 있는 앱에 관련된 설명을 포함하는 정보를 토대로, 유사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추천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가 영어사전, 일어 사전 등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폴더명이나 컨텐츠의 정보를 토대로 "오늘의 일본어"와 같은 유사 특성을 가지는 컨텐츠를 추천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based on information including a description related to an app included in a folder selected by a user, content providing similar information may be selected and provided as recommended content. For example, when a folder includes content such as an English dictionary or a Japanese dictionary, the content having similar characteristics such as "Japanese of the day" may be provided as the recommended content based on the folder name or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앱 배치 공간의 빈 공간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컨텐츠 추천이 이루어지며, 특히 광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t content recommendation is made by using an empty space of the app arrangement space of the user terminal, and in particular, the advertisement can be more effectively performed.

한편 위에 기술된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이 사용자 단말(3)과 분리되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컨텐츠 제공 및 추천을 수행하였으나, 위에 기술된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을 사용자 단말(3)에서 동작하는 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user terminal 3 and performs the content providing and recommendation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network, the content providing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the system 1 as a device operating in the user terminal 3.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의 구조를 토대로, 사용자 단말(3)상에서 자체적으로 앱 배치 공간 중에서 엠프티 상태의 슬롯을 확인하고, 확인된 슬롯에 대한 식별 정보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면서 컨텐츠 추천을 요청하는 처리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 장치는 앱 배치 공간에서 사용자가 폴더를 클릭하면 클릭된 폴더의 식별 정보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면서 컨텐츠 추천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 장치가 사용자 단말(3)에 구현되는 경우에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3)로부터 전송되는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으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그리고 슬롯 식별 정보나 폴더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추천 컨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당업자라면 위에 기술된 실시 예들을 토대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For example,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while checking the slot of the empty state in the app layout space on the user terminal 3 itself, while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confirmed slot A processing device for requesting content recommendation may be implemented. When the user clicks on the folder in the app placement space, the processing device may request content recommendation while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licked folder. When such a processing device is implemented in the user terminal 3,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receives a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3, and receive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lo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f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request. The extracted content may be selected and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recommended content. This process can be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pparatuses and / or methods,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such an embodimen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15)

컨텐츠가 배치되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하는 앱 배치 공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 및 관리하고,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앱 배치 공간에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슬롯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메타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메타 데이터 관리부에 의하여 획득된 컨텐츠로부터 추천 컨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추천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A database server that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an app deployment space including a plurality of slots in which content is arranged for each user, and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ntents;
A metadata management unit obtaining at least one content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a size of at least one slot in which no content is disposed in the app placement space from the database server; And
Content recommender to select the recommended content from the content obtained by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to provide to the user
Including,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엠프티 상태의 슬롯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메타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을 합한 크기에 대응하는 컨텐츠, 상기 복수의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 중에서 설정 개수의 슬롯들을 합한 크기에 대응하는 컨텐츠, 하나의 엠프티 상태의 슬롯 크기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컨텐츠 추천부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mpty slots in which the content is not arranged,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may includ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um of the slots of the plurality of empty state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um of the set number of slots among the slots of the empty states, and slots of one empty state. A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t least one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ize to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 배치 공간에서 엠프티 상태의 슬롯을 찾는 컨텐츠 배치 현황 관리부; 및
상기 엠프티 상태인 슬롯의 길이와 높이를 포함하는 크기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 관리부로 제공하는 슬롯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content placement status manager for finding an empty slot in the app placement space; And
The slot manager which obtains size information including the length and height of the empty slot and provides the metadata to the metadata manager.
Further comprising,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배치 상태는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엠프티 상태,
사용자가 직접 설치한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인스톨 상태,
상기 시스템이 추천한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추천 상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폴더를 나타내는 폴더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가지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slot
An empty state where no content is placed,
Installation status indicating that user-installed content has been deployed,
A recommendation state indicating that the content recommended by the system is arranged;
Folder status indicating a folder containing at least one content
A content providing system having at least one sta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앱 배치 공간에서 폴더 상태의 슬롯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슬롯 관리부는 상기 폴더에 포함된 컨텐츠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앱 배치 공간의 제1 방향의 최대 슬롯 수에서 상기 확인된 컨텐츠의 개수를 감산하여 추천 컨텐츠 개수를 산출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 관리부는 산출된 추천 컨텐츠 개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컨텐츠 추천부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n the slot of the folder state is selected in the app placement space,
The slot manager checks the number of contents included in the folder, subtracts the number of the identified contents from the maximum number of slots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app layout space,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recommended contents.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select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number of recommended content and provides the content to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선택된 폴더의 폴더명에 관련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추천 컨텐츠 개수만큼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컨텐츠 추천부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nd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selects the content as many as the recommended content number from among contents belonging to a category related to the folder name of the selected folder and provides the content to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앱 배치 공간의 엠프티 상태의 슬롯에 추천 컨텐츠를 배치한 경우, 상기 엠프티 상태의 슬롯의 상태가 추천 상태로 변경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n the recommendation content is placed in the empty state slot of the app placement space in the user terminal provided with the recommended content, the state of the slot of the empty state is changed to the recommended stat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사용자별로 앱 배치 공간의 슬롯마다 어떠한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 식별 정보, 슬롯 식별 정보, 슬롯의 배치 상태, 컨텐츠 식별 정보가 대응되어 있는 배치 데이터베이스;
각 슬롯별로 앱 배치 공간에서 해당 슬롯의 위치, 슬롯의 길이, 슬롯의 높이, 그리고 앱 배치 공간의 크기가 저장되어 있는 슬롯 데이터베이스;
컨텐츠별로 컨텐츠 식별 정보, 컨텐츠 타이틀, 해당 컨텐츠가 속하는 카테고리,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길이 및 높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별로 생성한 폴더별로 어떠한 종류의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 식별 정보, 폴더 식별 정보, 폴더명, 컨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폴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The database server
A layout database in which information indicating what content is arranged for each slot of the app layout space for each user is stored,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lo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layout status of the slot, and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 to each other;
A slot database that stores the location of the slot, the length of the slot, the height of the slot, and the size of the app layout space in each app layout space;
A content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including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content title, a category to which the content belongs, and a length and height of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for each content; And
A folder database containing information indicating what kind of content is included for each folder created for each user and includ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lder name, an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앱, 위젯,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The conten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pp, a widget, an advertisement.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의 앱 배치 공간--상기 앱 배치 공간은 컨텐츠가 배치되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함--에서,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엠프티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컨텐츠와 컨텐츠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엠프티 상태의 슬롯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컨텐츠로부터 추천 컨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Identifying, b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t least one slot in an empty state in which content is not disposed, in an app placement space of the user, wherein the app placement space includes a plurality of slots in which the content is placed;
Acquiring, b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t least one content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empty slot from a content database including content and content size information; And
Selecting recommended content from the obtained content and providing the recommended content to a user terminal;
Includ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엠프티 상태의 슬롯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을 합한 크기에 대응하는 컨텐츠, 상기 복수의 엠프티 상태의 슬롯들 중에서 설정 개수의 슬롯들을 합한 크기에 대응하는 컨텐츠, 하나의 엠프티 상태의 슬롯 크기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mpty slots in which the content is not arranged,
Acquiring the content,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um of the sizes of the slots in the empty stat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um of the set number of slots in the plurality of empty states,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lot sizes in one empty state Obtaining at least one of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앱 배치 공간의 엠프티 상태의 슬롯에 추천 컨텐츠를 배치한 경우, 상기 엠프티 상태의 슬롯의 상태가 추천 상태로 변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n the recommended content is placed in the empty state slot of the app placement space in the user terminal provided with the recommended content, the step of changing the state of the slot of the empty state to the recommended state, content providing method .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의 앱 배치 공간--상기 앱 배치 공간은 컨텐츠가 배치되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함--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폴더에 해당하는 슬롯이 선택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슬롯의 폴더에 포함된 컨텐츠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앱 배치 공간의 제1 방향의 최대 슬롯 수에서 상기 확인된 컨텐츠의 개수를 감산하여 추천 컨텐츠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추천 컨텐츠 개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컨텐츠 중에서 추천 컨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Determining, b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that a slot corresponding to a folder including at least one content is selected in an app placement space of the user, wherein the app placement space includes a plurality of slots in which the content is placed;
Checking the number of contents included in the folder of the identified slot, and subtracting the number of the identified contents from the maximum number of slots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app layout space to calculate the number of recommended contents;
Select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number of recommended contents; And
Selecting recommended content from the selected content and providing the recommended content to a user terminal;
Includ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폴더의 폴더명에 관련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추천 컨텐츠 개수만큼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lecting of the content may include selecting as many contents as the number of recommended contents from among contents belonging to a category related to a folder name of the selected fold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폴더의 폴더명 또는 상기 폴더에 속하는 컨텐츠들의 정보에 연관된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추천 컨텐츠 개수만큼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lecting of the content may include selecting as much content as the number of the recommended content from among contents associated with a folder name of the selected folder or information of contents belonging to the folder.





KR1020110142725A 2011-12-26 2011-12-26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pp arrangement area KR201300829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725A KR20130082988A (en) 2011-12-26 2011-12-26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pp arrangement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725A KR20130082988A (en) 2011-12-26 2011-12-26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pp arrangement are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988A true KR20130082988A (en) 2013-07-22

Family

ID=4899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725A KR20130082988A (en) 2011-12-26 2011-12-26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pp arrangement are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298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7465A (en) * 2020-06-30 2020-10-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Application icon sort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7465A (en) * 2020-06-30 2020-10-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Application icon sort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31257B1 (en) Application interfa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9654598B1 (en) User customization of cards
KR101113349B1 (en) Intelligent download of application programs
KR101812657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applications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KR101503191B1 (en) Apparatus and methods of extending application services
US2014018175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relevant applications
JP6371707B2 (e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ontrol system, an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US201302193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 shortcut menu
KR20120067830A (en) System for map service in mobile web, and terminal for the same
US20130275913A1 (en) Presentation of Items on a Display
US10126918B2 (en) Customized guided workflow element arrangement
RU2741479C2 (en) Mobile advertisement provisioning system and method
US9674685B2 (en) Data toll subsidy management
KR20180089004A (en) Multi-servic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NFC Tag And How to Use
CN108600780A (en) Method for pushed information
US20130125023A1 (en)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application information
CN104731897A (en) Method and device for achieving information displaying
US89660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eb contents
KR20150019668A (en) Supporting Method For sugges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search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11310086A (en) Page jump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515998B1 (en) Method for providing space market widget, market server and user deivce thereof
KR2013008298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pp arrangement area
KR20150059206A (en) Advertising Method Using Lock Screen of Mobile Device, Mobile Device and Program Distributing Server therefor
WO2017067228A1 (en) Method for displaying user purchase records, smart mobile telephone, server, and system
US8972373B2 (en) Customization of the appearance of a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