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675A - 디스플레이장치, 이에 접속되는 외장형 주변장치 및 그 영상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이에 접속되는 외장형 주변장치 및 그 영상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675A
KR20130076675A KR1020120054906A KR20120054906A KR20130076675A KR 20130076675 A KR20130076675 A KR 20130076675A KR 1020120054906 A KR1020120054906 A KR 1020120054906A KR 20120054906 A KR20120054906 A KR 20120054906A KR 20130076675 A KR20130076675 A KR 20130076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eripheral device
signal
external peripher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영
조순제
함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2194902.8A priority Critical patent/EP2610736A1/en
Priority to US13/711,839 priority patent/US9508311B2/en
Priority to CN201210560033.2A priority patent/CN103188534B/zh
Publication of KR2013007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5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xternal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5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제1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1차 처리하고, 1차 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으로 표시되게 2차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영상처리부와;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외장형 주변장치가 접속되는 주변장치 접속부를 포함하며, 영상처리부는, 주변장치 접속부에 외장형 주변장치가 접속되면 1차 처리된 영상신호를 외장형 주변장치에 전송하고, 외장형 주변장치에 의해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한 2차 처리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이에 접속되는 외장형 주변장치 및 그 영상표시방법 {DISPLAY APPARATUS, EXTERNAL PERIPHERAL DEVICE CONNECTABLE THEREOF AND IMAGE DISPLAYING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이에 접속되는 외장형 주변장치 및 그 영상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제공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존 동작을 개선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외장형 주변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에 접속되는 외장형 주변장치 및 영상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의 다양한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전송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현 예로는 TV 또는 모니터 등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빠른 속도로 업그레이드되고 소프트웨어 역시 신규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는 고가의 전자제품에 속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한번 구매한 후 재구매 시까지 적어도 5년 이상이 소용되므로, 그 동안 업그레이드 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하드웨어적인 업그레이드의 경우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내장된 일부 부품을 물리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므로 제조 측면 및 사용 측면 모두에서 용이하지 않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경우에도 보다 발전된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키기 위하여는 이에 대응하게 설계된 하드웨어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제1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1차 처리하고, 상기 1차 처리된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으로 표시되게 2차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영상신호를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외장형 주변장치가 접속되는 주변장치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주변장치 접속부에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1차 처리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에 의해 상기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된 상기 영상신호에 대한 상기 2차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영상신호를 상기 제1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제1영상처리부와; 상기 제1영상처리부 또는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대해 상기 2차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2영상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영상처리부는, 상기 주변장치 접속부에 대한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의 접속 여부에 따라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 및 상기 제2영상처리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그래픽신호를 오버랩(overlap)시키는 합성 처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래픽신호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장치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는, 프레임 단위로 송수신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 수신부와; 외부의 영상소스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영상처리 프로세스는,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방송신호 및 상기 영상신호 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PIP (picture-in-picture) 영상으로 합성 처리하는 멀티플렉싱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제1유아이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가 상기 제1유아이 영상 데이터를 변형시켜 생성한 제2유아이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면, 상기 제2유아이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유아이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1유아이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에서 생성된 제3유아이 영상 데이터가 합성되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해 상기 제2유아이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유아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외장형 주변장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제1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1차 처리하고, 상기 1차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되게 2차 처리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1차 처리된 영상신호를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고, 상기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 상기 영상신호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2차 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그래픽신호를 오버랩시키는 합성 처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래픽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는, 프레임 단위로 송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된 제1유아이 영상 데이터를 변형시켜 제2유아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제2유아이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유아이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1유아이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제3유아이 영상 데이터가 합성되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제1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1차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되게 2차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신호를 1차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신호를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외장형 주변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면, 상기 1차 처리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된 상기 영상신호에 대한 상기 2차 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로부터 상기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된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외장형 주변장치의 제어방법은,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제1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1차 처리하고, 상기 1차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되게 2차 처리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1차 처리된 영상신호를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 상기 영상신호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2차 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예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예시도,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영상표시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8은 도 6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
도 9는 도 7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이에 접속될 수 있는 외장형 주변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존 동작을 개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어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TV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 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TV 이외에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구현 예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표시 가능한 영상의 종류가 방송 영상에 한정되지 않는 바, 외부의 다양한 영상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생성할 수 없는 그래픽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수신한 영상에 합성하여 이를 다시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존 동작을 개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내장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보다 업그레이드된 구성을 포함하여, 상기 업그레이드된 구성에 의하여 영상신호가 처리되게 하여 보다 향상된 화질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하여 유선으로 접속됨으로써 외장형 주변장치(200)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사이에 데이터/정보/신호/전원이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외장형 주변장치(200) 및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호간의 물리적/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단자 구성(150, 210)을 각각 포함한다.
또는,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본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무선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될 수 있는 바, 이 경우에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별도의 외부 전원 또는 배터리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외장형 주변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해 유선으로 접속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단독으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외장형 주변장치(200)가 접속되면, 외장형 주변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거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여기에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제공하지 않는 영상처리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영상처리보다 업그레이드된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다시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달하게 된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외장형 주변장치(200)의 구성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을 구성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외장형 주변장치(2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수신부(110), 신호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사용자입력부(140), 및 주변장치 접속부(150)를 포함하고,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210), 제2영상처리부(220), 그래픽 신호 생성부(23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외부의 영상소스(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신호처리부(120)로 전달하며, 수신부(110)는 방송국의 송출장치(미도시)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신호 수신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111)는 안테나(미도시) 및/또는 튜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10)는 외부의 영상소스(미도시)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영상신호 수신부(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 수신부(113)는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규격이나 영상소스(미도시)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신호 수신부(113)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130)로 전달하거나 주변장치 접속부(150)로 전달한다.
신호처리부(120)는 제1영상처리부(121) 및 제3영상처리부(123)을 포함한다. 제1영상처리부(121)는 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제1영상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제1영상처리는 상기 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압축된 영상신호이면, 압축 해제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 예를 들면,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영상처리는 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두 개의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PIP(Picture in Picture) 영상이 되도록 하는 멀티플렉싱 처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신호 수신부(111)로 수신되는 방송신호와 영상신호 수신부(113)로 수신되는 외부 영상신호를 PIP 영상이 되도록 합성하는 멀티플렉싱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영상처리부(123)는 제1영상처리부(121)에 의하여 제1영상처리된 영상신호 또는 주변장치 접속부(150)를 통하여 외장형 주변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2영상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제3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영상처리부(123)는 주변장치 접속부(150)에 외장형 주변장치(200)가 접속되어 있으면, 주변장치 접속부(150)를 통하여 외장형 주변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2영상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제3영상처리를 수행하고, 주변장치 접속부(150)에 외장형 주변장치(200)가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제1영상처리부(121)에 의하여 제1영상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제3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3영상처리는 후술할 디스플레이 패널 타입에 대응하여 영상 포맷을 변환시키는 포맷변환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영상처리는 영상신호에 대하여 제3영상처리를 수행하기 이전에 해당 영상신호가 멀티플렉싱 처리되어 있다면, 디멀티플렉싱 처리를 수행한 후에 포맷변환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영상처리 이외에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음성신호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음성신호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처리된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제1영상처리 및 제3영상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미도시), 메모리(미도시), 전자부품(미도시), 배선(미도시)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실장된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신호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제3영상처리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및 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예를 들어,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신호처리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및 입력 패널(panel)이나,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된다. 또는, 사용자입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입력메뉴(미도시)를 통해 기 설정된 커맨드를 신호처리부(12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입력을 주변장치 접속부(150)를 통하여 외장형 주변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주변장치 접속부(150)는 외장형 주변장치(200)가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장치 접속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영상신호가 전달되는 제1포트(미도시)와, 외장형 주변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영상신호가 전달되는 제2포트(미도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외장형 주변장치(200) 사이의 제어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는 제3포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포트 및 제2포트는 HDMI 및 DVI 중 하나와 같은 디지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포트는 HDMI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와 같은 디지털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및 전원이 송수신되도록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포트(미도시)를 통하여 제1영상처리부(121)에 의하여 제1영상처리된 영상신호가 외장형 주변장치(200)로 전송되고, 제2포트(미도시)를 통하여 외장형 주변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제2영상처리가 수행된 영상신호가 수신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장형 주변장치(200)로부터 영상신호가 제2포트(미도시)가 아닌 제1포트(미도시)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입력될 수도 있다.
주변장치 접속부(15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외장형 주변장치(200)가 영상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영상신호는 프레임 단위로 송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주변장치 접속부(150)를 통하여 외장형 주변장치(200)로 전송하고,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제2영상처리된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 프레임 단위로 영상신호를 송수신하게 되면, 전달 지연 시간이 감소되고 비디오 싱크를 맞추는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외장형 주변장치(200)로 전달되는 모든 신호는 컨텐츠 보안을 위하여 암호화 될 수 있다. 물론, 암호화된 신호는 외장형 주변장치(200)에서 암호 해제된 후 처리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기술의 발전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업그레이드를 필요로 한다. 업그레이드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조 단계에서 제안되지 않았던 새로운 포맷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이거나, 또는 고화질 영상을 요구하는 트렌드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수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시스템 부하를 보다 경감시키고자 하는 경우 등 다양하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업그레이드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각각의 측면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업그레이드하도록 마련된 외장형 주변장치(200)가 주변장치 접속부(150)에 접속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존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구성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다.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가지고 있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자원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자원에 대응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형 주변장치(200)가 포함하는 이들 구성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기한 적어도 일부 자원보다 향상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존 자원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대체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또는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지원하지 않는 새로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생성하지 못하는 그래픽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에 상기 그래픽 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다시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외장형 주변장치(2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210), 제2영상처리부(220), 그래픽 신호 생성부(2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210)는 주변장치 접속부(150)에 접속됨으로써 외장형 주변장치(200) 및 디스플레이장치(10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210)는 주변장치 접속부(150)와 접속하도록 주변장치 접속부(150)에 대응하는 규격에 따라 마련되며, 주변장치 접속부(150)의 복수의 포트(미도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외장형 주변장치(200) 사이의 영상신호가 송수신되도록 HDMI 및 DVI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1포트(미도시)와 데이터, 제어신호 및/또는 전원이 송수신되도록 하는 제3포트(미도시)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여기에 구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장형 주변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210)를 통하여 접속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신호처리부(120)의 제1영상처리부(121)에 의하여 제1영상처리된 영상신호를 외장형 주변장치(20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2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외장형 주변장치(200)가 영상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영상신호는 프레임 단위로 송수신될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210)를 통하여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수신하고,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제2영상처리된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 프레임 단위로 영상신호를 송수신하면, 전달 지연 시간이 감소되고 비디오 싱크를 맞추는데 용이한 이점이 있다.
제2영상처리부(220)는 영상신호에 대하여 제2영상처리를 수행한다.
제2영상처리는 제1영상처리 중 적어도 일부의 제4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제5영상처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5영상처리 프로세스는, 제4영상처리 프로세스보다 업그레이드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이다. 제4영상처리 프로세스 및 제5영상처리 프로세스는 상호 구별을 위하여 편의상 지칭한 것이며, 또한 하나의 단위 프로세스일 수 있고, 복수의 단위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5영상처리 프로세스는 제4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비하여 기능적으로 향상되며, 이는 칩셋과 같은 하드웨어의 개선 또는 알고리즘/실행코드/프로그램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의 개선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제2영상처리부(220)는 제1영상처리된 제1영상신호에 대하여 상기 제1영상처리 중 적어도 일부의 제4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제5영상처리 프로세스를 더 수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영상처리부(220)는 영상신호에 대하여 화질 개선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제1영상신호에 비하여 화질이 개선된 제2영상신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2영상처리는 영상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그래픽 신호를 오버랩시키는 합성 처리를 포함할 수 있고, 그래픽 신호는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영상처리는 영상신호에 하기의 그래픽 신호 생성부(230)에 의하여 생성된 그래픽 신호가 오버랩되도록 멀티플렉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부(140)에서 "메뉴"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이 수행되면, 이 입력이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210)를 통하여 외장형 주변장치(200)로 전달되고, 그래픽 신호 생성부(230)는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이미지(예를 들어, 메뉴에 대응하는 GUI 영상)를 생성하여 제2영상처리부(220)로 전달한다. 제2영상처리부(220)는 생성된 그래픽 신호를 영상신호에 오버랩되도록 합성처리하고, 합성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210)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달한다. 그래픽 신호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공할 수 있는 GUI 영상보다 좀더 업그레이드된 GUI 영상이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조 시의 소프트웨어로는 생성할 수 없는 새로운 유형의 GUI 영상 또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영상처리는, 제2영상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영상신호가 멀티플렉싱 처리되어 있다면, 디멀티플렉싱 처리를 수행한 후에 제2영상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신호 생성부(230)는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2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입력에 대응하는 그래픽 신호를 생성하여 제2영상처리부(220)로 전달한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그래픽 신호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입력에 대응하는 이미지(예를 들어, GUI 영상)보다 좀더 업그레이드된 이미지이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조 시의 소프트웨어로는 생성할 수 없는 새로운 유형의 이미지 또는 GUI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가 컨텐츠 보안을 위하여 암호화된 것이면,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상기 암호화된 신호를 암호 해제한 후 제2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예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0-1)은 제어부(195)를 더 포함하고,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사용자입력부(260) 및 제어부(280)를 더 포함한다. 그 외 구성요소의 기능은 도 2의 대응 구성요소의 기능과 동일/유사하므로 동일/유사한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95)는 디스플레이장치(100-1)의 구성요소들, 즉 수신부(160), 신호처리부(170), 디스플레이부(180) 및 주변장치 접속부(19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영상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외장형 주변장치(200)에 마련된 사용자입력부(26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어부(28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260)는 외장형 주변장치(2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및 입력 패널(panel)이나, 외장형 주변장치(200)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된다. 또는, 사용자입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사용자 입력을 터치로써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외장형 주변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외장형 주변장치(200)의 구성요소들, 즉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240), 제2영상처리부(250), 사용자입력부(260) 및 그래픽 신호 생성부(2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영상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사용자입력부(260)로부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입력을 수신하면, 이를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240)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장치(100-1)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1)가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라 영상처리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예시도로서, 영상신호에 대해 외장형 주변장치(200)에 의하여 생성된 그래픽 신호가 오버랩되고, 이러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A)과 그래픽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B)이 표시된다. 영상신호의 영상(A)는 방송신호 또는 외부의 영상소스로부터 공급받은 영상신호가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수신한 영상신호(A)에 대하여 제1영상처리를 수행한 영상신호를 외장형 주변장치(200)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 또는 외장형 주변장치(200)에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입력에 대응하는 그래픽 신호가 그래픽 신호 생성부(230, 270)에서 생성된다.
예를 들면, 그래픽 신호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생성할 수 있는 유형의 GUI 영상이거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생성할 수 있는 GUI 영상보다 업그레이드된 GUI 영상일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40, 260)를 통하여 "메뉴" 에 대응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그래픽 신호 생성부(230, 270)는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메뉴"를 나타내는 GUI 영상(B)을 생성한다.
외장형 주변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에 상기 생성된 그래픽 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제2영상신호를 생성하고, 이 제2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다시 전달한다. 디스플레장치(100)는 제2영상신호에 대하여 제3영상처리를 수행한 제3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영상신호의 영상(A) 및 그래픽 신호의 영상(B)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영상표시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수신부(110)를 통하여 영상신호를 수신한다(S301). 상기 영상신호는 방송국으로부터의 방송신호 또는 외부 영상소스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한 영상신호에 대하여 제1영상처리부(121)가 제1영상처리를 수행한다(S302).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장치 접속부(150)에 외장형 주변장치(200)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3).
만약 외장형 주변장치(200)가 접속되어 있으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영상처리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외장형 주변장치(200)로 전달한다(S304).
외장형 주변장치(200)의 제2영상처리부(22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에 대하여 제2영상처리를 수행하고, 제2영상처리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S305).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장형 주변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에 대하여 제3영상처리부(123)에서 제3영상처리를 수행하며(S306),제3영상처리가 수행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부(130)에서 표시된다(S307).
만약 S303단계에서, 주변장치 접속부(150)에 외장형 주변장치(200)가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영상처리부(121)는 제1영상신호를 제3영상처리부(123)로 전달하고, 제3영상처리부(123)가 제1영상신호에 대하여 제3영상처리를 수행하여, 제3영상신호가 되도록 한다(S306).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부(12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외장형 주변장치(200)가 접속되면 제1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1차 처리한 영상신호를 외장형 주변장치(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신호처리부(120)는 외장형 주변장치(200)에 의해 해당 영상신호가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되면, 이와 같이 처리된 영상신호를 외장형 주변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2차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영상으로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300) 및 외장형 주변장치(400)의 구성에 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디스플레이시스템(1)을 구성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300) 및 외장형 주변장치(4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제1수신부(310), 제1신호처리부(320), 제1디스플레이부(330), 제1사용자입력부(340), 제1UI생성부(350), 제1저장부(360), 제1주변장치 접속부(37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380)를 포함하고, 외장형 주변장치(400)는 제1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410), 제2UI 생성부(42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제1수신부(310)는 외부의 영상소스(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제1신호처리부(320)로 전달하며, 제1수신부(310)는 방송국의 송출장치(미도시)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수신부(310)는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안테나(미도시) 및/또는 튜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수신부(310)는 외부의 영상소스(미도시)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규격이나 영상소스(미도시) 및 디스플레이장치(300)의 구현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수신부(310)는 HDMI, USB, 컴포넌트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신호처리부(320)는 제1수신부(31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제1디스플레이부(3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신호처리부(320)는 예를 들어,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 인터레이스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 디테일 강화,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 변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신호처리부(320)는 제1제어부(380)의 제어 하에서 후술할 제1 UI 생성부(350)에 의하여 생성된 제1 UI영상과 제1수신부(31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합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제1주변장치 접속부(370)에 외장형 주변장치(400)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 수행된다. 상기 합성된 영상신호를 후술할 제1디스플레이부(330)의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에 대응하는 영상 포맷으로 포맷 변환 처리를 수행한 후에 제1디스플레이부(33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신호처리부(320)는 제1제어부(380)의 제어 하에서 제1 UI 생성부(350)에 의하여 생성된 제1UI 영상이 외장형 주변장치(400)에 의하여 변형된 제2 UI 영상과 제1수신부(31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합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주변장치 접속부(170)에 외장형 주변장치(400)가 접속된 경우에 수행된다. 상기 합성된 영상신호를 후술할 제1디스플레이부(330)의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에 대응하는 영상 포맷으로 포맷 변환 처리를 수행한 후에 제1디스플레이부(330)로 출력할 수 있다.
제1신호처리부(320)는 상기 기재한 영상처리 이외에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음성신호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상기 음성신호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처리된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신호처리부(320)는 상기 기재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미도시), 메모리(미도시), 전자부품(미도시), 배선(미도시)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실장된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부(330)는 신호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부(330)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용자입력부(34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제1사용자입력부(340)는 디스플레이장치(3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 및 입력 패널이나, 디스플레이장치(300)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 등으로 구현된다. 또는, 제1사용자입력부(340)는 제1디스플레이부(3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디스플레이부(3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사용자는 제1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된 입력메뉴(미도시)를 통해 기 설정된 커맨드를 제1제어부(38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제1UI 생성부(350)는 제1제어부(380)의 제어 하에 제1UI 영상을 생성하여 제1저장부(360)에 전달한다. 상기 제1 UI 영상은 제1사용자 입력부(140)에 의하여 입력된 제1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UI 영상이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하여 "메뉴"에 대응하는 제1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제1 UI 영상은 상기 "메뉴"에 대응하는 UI영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신호처리부(320) 및 제1UI 생성부(350)가 상호 별개의 구성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신호처리부(320) 및 제1UI 생성부(350)는 일체의 구성으로 구현되며, 제1신호처리부(320)가 제1UI 생성부(350)의 동작까지 수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저장부(360)는 제1제어부(380)의 제어 하에 제1UI 생성부(350)에 의하여 생성된 제1UI 영상이 저장된다. 제1저장부(360)는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저장부(360)는 제1제어부(380)에 의하여 액세스되며, 제1제어부(380)에 의한 저장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가능하다. 또한, 제1저장부(360)는 외장형 주변장치(400)가 접속되면, 외장형 주변장치(400)에 포함된 리드/라이트 수단(411)에 의하여 저장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가능하다.
제1 주변장치 접속부(170)는 외장형 주변장치(400)가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된다. 제1주변장치 접속부(370)는 후술할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410)에 포함되어 있는 리드/라이트 수단(411)에 대응하는 제1포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장형 주변장치(400)가 제1주변장치 접속부(37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0)에 접속되면, 리드/라이트 수단(411)에 의하여 제1저장부(360)에 액세스하여 저장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주변장치 접속부(17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와 외장형 주변장치(400) 상호 간에 영상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2포트(미도시)와, 디스플레이장치(300)와 외장형 주변장치(400) 상호 간에 제어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는 제3포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포트는 HDMI 및 DVI 중 하나와 같은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포트는 HDMI CEC와 같은 디지털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및 전원이 송수신되도록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부(38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380)는 제1신호처리부(32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제1 주변장치 접속부(170)를 통한 신호/정보/데이터의 송수신 동작, 제1사용자입력부(34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외장형 주변장치(400)로 전달되는 모든 신호는 컨텐츠 보안을 위하여 암호화 될 수 있다. 물론, 암호화된 신호는 외장형 주변장치(400)에서 암호 해제된 후 처리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기술의 발전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업그레이드를 필요로 한다. 업그레이드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조 단계에서 제안되지 않았던 새로운 포맷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이거나, 또는 고화질 영상을 요구하는 트렌드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300)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수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시스템 부하를 보다 경감시키고자 하는 경우 등 다양하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업그레이드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각각의 측면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300)를 업그레이드하도록 마련된 외장형 주변장치(400)가 제1주변장치 접속부(370)에 접속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300)의 기존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구성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다.
외장형 주변장치(400)는 디스플레이장치(300)가 가지고 있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자원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자원에 대응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형 주변장치(400)가 포함하는 이들 구성은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상기한 적어도 일부 자원보다 향상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장형 주변장치(40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에 접속되면, 디스플레이장치(300)의 기존 자원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대체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또는 외장형 주변장치(40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생성하지 못하는 UI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0)로부터 수신한 UI 영상에 상기 UI영상을 합성처리하여 다시 디스플레이장치(300)로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장치(300)로부터 수신한 UI 영상을 수정하여 다시 디스플레이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외장형 주변장치(4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장형 주변장치(400)는 제1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410), 제2UI 생성부(42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410)는 제1주변장치 접속부(370)에 접속됨으로써 외장형 주변장치(400) 및 디스플레이장치(30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410)는 제1주변장치 접속부(370)와 접속하도록 제1주변장치 접속부(370)에 대응하는 규격에 따라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주변장치 접속부(370)의 복수의 포트(미도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410)는 리드/라이트(read/write) 수단(411)을 포함하며, 리드/라이트 수단(411)은 제2제어부(430)의 제어 하에서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1저장부(360)에 액세스하여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가능하다. 리드/라이트 수단(411)은 제1주변장치 접속부(370)에 대응되게 마련된 제1포트(미도시)와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300)와 외장형 주변장치(400) 사이의 영상신호가 송수신되도록 HDMI 및 DVI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2포트(미도시)와 데이터, 제어신호 및/또는 전원이 송수신되도록 하는 제3포트(미도시)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여기에 구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장형 주변장치(400)가 디스플레이장치(300)에 제1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410)를 통하여 접속되면, 제2제어부(430)의 제어 하에서 리드/라이트 수단(411)은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1저장부(360)에 액세스하여 저장되어 있는 제1UI 영상을 리드할 수 있다. 또한, 리드/라이트 수단(411)은 외장형 주변장치(400)에 의하여 제1UI 영상이 변형되어 생성되는 제2UI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1저장부(360)에 액세스하여 기록할 수 있다.
제2UI 생성부(420)는 제2제어부(430)의 제어 하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410)의 리드/라이트 수단(411)에 의하여 리드된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1저장부(360)에 저장된 제1UI 영상을 변형하여 제2UI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UI 영상의 변형은 제1UI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수정하여 제2UI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UI 생성부(42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1UI 생성부(350)가 제공할 수 없는 아이템, 화질, 색상 등을 생성할 수 있는 바, 제1UI 영상의 아이템, 화질, 색상 등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제2UI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1UI 영상의 변형은 제2UI생성부(420)에 의하여 새로이 생성한 제3UI 영상을 제1UI영상과 합성하여 제2UI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UI 생성부(42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1UI생성부(350)가 생성할 수 없는 메뉴항목 등을 제3UI영상으로 생성하여 제1UI영상과 합성하여 제2UI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2제어부(430)는 외장형 주변장치(4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2제어부(430)는 제1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410)를 통한 신호/정보/데이터의 송수신 동작, 제2UI 생성부(420)의 제2UI영상 생성 등을 제어함으로써 외장형 주변장치(4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3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가 컨텐츠 보안을 위하여 암호화된 것이면, 외장형 주변장치(400)는 상기 암호화된 신호를 암호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도 2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상이한 점은 외장형 주변장치(600)가 사용자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63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그 외 구성요소의 기능은 도 6의 대응 구성요소의 기능과 동일/유사하므로 동일/유사한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500)의 제2수신부(510)는 제1수신부(310)와, 제2신호처리부(520)는 제1신호처리부(320)와, 제2디스플레이부(530)는 제1디스플레이부(330)와, 제3UI생성부(540)는 제1UI생성부(350)와, 제2저장부(550)는 제1저장부(360)와, 제2주변장치 접속부(560)는 제1주변장치 접속부(370)와, 제3제어부(570)는 제1제어부(380)와 동일/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여기에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외장형 주변장치(600)의 제2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610)는 제1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410)와, 제4UI생성부(620)는 제2UI생성부(420)와 동일/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여기에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외장형 주변장치(600)의 제2사용자입력부(63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4제어부(64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사용자입력부(630)는 외장형 주변장치(6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 및 입력 패널이나, 외장형 주변장치(600)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선택을 터치로써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제4제어부(640)는 외장형 주변장치(600)의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사용자입력부(630)를 통하여 제2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면, 제4제어부(640)는 상기 제2사용자 선택을 제2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6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500)가 외장형 주변장치(600)로부터 제2사용자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제2사용자선택에 대응하는 제1UI영상을 생성하도록 제3UI생성부(540)를 제어하고, 상기 제1UI영상을 제2저장부(550)에 저장할 수 있다.
제4제어부(640)는 제2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610)의 리드/라이트 수단(611)를 제어하여 제2저장부(550)에 액세스하여 제1UI영상을 리드하고, 상기 제1UI 영상에 변형을 가하여 제2UI영상을 생성하도록 제4UI생성부(6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4제어부(640)는 상기 생성된 제2UI영상이 제2저장부(550)에 기록되도록 리드/라이트 수단(6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UI영상의 변형과 관련된 내용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6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0)가 제1수신부(31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한다(S501). 제1제어부(380)는 제1사용자입력부(340)를 통하여 제1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면(S502), 상기 제1사용자선택에 대응하는 제1UI영상이 생성되도록 제1UI생성부(350)를 제어하고(S503), 상기 생성된 제1UI영상을 제1저장부(360)에 저장한다(S504).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제1주변장치 접속부(370)에 외장형 주변장치(400)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05). 상기 확인결과, 외장형 주변장치(400)가 접속되면, 외장형 주변장치(40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1저장부(360)에 액세스하여 제1저장부(360)에 저장되어 있는 제1UI영상을 리드하고, 상기 제1UI영상에 변형을 가한 제2UI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2UI영상을 제1저장부(360)에 기록되도록 한다(S506).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1신호처리부(320)는 상기 수신한 영상신호와 상기 제2UI영상을 합성처리하고 이를 제1디스플레이부(330)로 출력하고, 제1디스플레이부(330)는 상기 합성된 영상을 표시한다(S507).
S505단계에서, 외장형 주변장치(400)가 디스플레이장치(300)에 접속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신호처리부(320)는 상기 수신한 영상신호와 상기 제1UI영상을 합성처리하고 이를 제1디스플레이부(330)로 출력하고, 제1디스플레이부(330)는 상기 합성된 영상을 표시한다(S508).
도 9는 도 7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장치(500)가 제2수신부(51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한다(S601). 디스플레이장치(500)는 제2주변장치 접속부(560)에 외장형 주변장치(600)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02). 상기 확인결과, 외장형 주변장치(600)가 접속되면, 디스플레이장치(500)는 외장형 주변장치(600)로부터 제2사용자 선택을 수신한다(S603). 제3제어부(570)는 외장형 주변장치(600)로부터 제2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제2사용자선택에 대응하는 제1UI영상이 생성되도록 제3UI생성부(540)를 제어하고(S604), 상기 생성된 제1UI영상을 제2저장부(550)에 저장한다(S605).
외장형 주변장치(600)는 디스플레이장치(500)의 제2저장부(550)에 액세스하여 제2저장부(550)에 저장되어 있는 제1UI영상을 리드하고, 상기 제1UI영상에 변형을 가한 제2UI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2UI영상을 제2저장부(550)에 기록되도록 한다(S606).
디스플레이장치(500)의 제2신호처리부(520)는 상기 수신한 영상신호와 상기 제2UI영상을 합성처리하고 이를 제2디스플레이부(530)로 출력하고, 제2디스플레이부(530)는 상기 합성된 영상을 표시한다(S607).
S602단계에서, 외장형 주변장치(600)가 디스플레이장치(500)에 접속되지 않으면, 그 이후의 디스플레이장치(500)의 동작은 도 8의 S502단계로 넘어가고, S503 단계, S504단계, S508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장치
110: 수신부
120: 신호처리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사용자 입력부
150: 주변장치 접속부
200: 외장형 주변장치
210: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
220: 제2영상처리부
230: 그래픽 신호 생성부

Claims (18)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제1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1차 처리하고, 상기 1차 처리된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으로 표시되게 2차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영상신호를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외장형 주변장치가 접속되는 주변장치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주변장치 접속부에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1차 처리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에 의해 상기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된 상기 영상신호에 대한 상기 2차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영상신호를 상기 제1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제1영상처리부와;
    상기 제1영상처리부 또는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대해 상기 2차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2영상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영상처리부는, 상기 주변장치 접속부에 대한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의 접속 여부에 따라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 및 상기 제2영상처리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그래픽신호를 오버랩(overlap)시키는 합성 처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래픽신호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장치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는, 프레임 단위로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 수신부와;
    외부의 영상소스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영상처리 프로세스는,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방송신호 및 상기 영상신호 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PIP (picture-in-picture) 영상으로 합성 처리하는 멀티플렉싱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제1유아이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가 상기 제1유아이 영상 데이터를 변형시켜 생성한 제2유아이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면, 상기 제2유아이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아이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1유아이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에서 생성된 제3유아이 영상 데이터가 합성되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해 상기 제2유아이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유아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외장형 주변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제1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1차 처리하고, 상기 1차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되게 2차 처리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1차 처리된 영상신호를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고, 상기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 상기 영상신호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2차 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주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그래픽신호를 오버랩시키는 합성 처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주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주변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는, 프레임 단위로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주변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된 제1유아이 영상 데이터를 변형시켜 제2유아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제2유아이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주변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아이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1유아이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제3유아이 영상 데이터가 합성되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주변장치.
  17.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제1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1차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되게 2차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신호를 1차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신호를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외장형 주변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면, 상기 1차 처리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된 상기 영상신호에 대한 상기 2차 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외장형 주변장치로부터 상기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된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외장형 주변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제1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1차 처리하고, 상기 1차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되게 2차 처리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1차 처리된 영상신호를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 상기 영상신호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2차 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제2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주변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20054906A 2011-12-28 2012-05-23 디스플레이장치, 이에 접속되는 외장형 주변장치 및 그 영상표시방법 KR20130076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94902.8A EP2610736A1 (en) 2011-12-28 2012-11-29 Display apparatus, connectable external peripheral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US13/711,839 US9508311B2 (en) 2011-12-28 2012-12-12 Display apparatus, connectable external peripheral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CN201210560033.2A CN103188534B (zh) 2011-12-28 2012-12-21 显示装置、可连接的外部外围设备和显示图像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44921 2011-12-28
KR1020110144921 2011-12-28
KR1020110146321 2011-12-29
KR20110146321 2011-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675A true KR20130076675A (ko) 2013-07-08

Family

ID=48990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906A KR20130076675A (ko) 2011-12-28 2012-05-23 디스플레이장치, 이에 접속되는 외장형 주변장치 및 그 영상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66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352B1 (ko) 방송수신용 디스플레이장치 및 신호처리모듈, 방송수신장치 및 방송수신방법
US939651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941782B2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of display system
JP2009141720A (ja) 映像表示装置、表示パネル及び映像処理装置
US20170012798A1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KR20130066168A (ko) 에이치디엠아이 신호로 방송 수신기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EP2621184A2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US9508311B2 (en) Display apparatus, connectable external peripheral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US20150242072A1 (en) Display system including a display apparatus and an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2013141230A (ja) アップグレード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US20130162608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display system
US9307176B2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2621182A1 (en) Display apparatus, apparatus for upgrading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of display system
US20130169876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30087747A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88712A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시스템의 데이터 처리방법
KR20130076675A (ko) 디스플레이장치, 이에 접속되는 외장형 주변장치 및 그 영상표시방법
JP2009141940A (ja) 映像表示装置、表示パネル及び映像処理装置
JP5548791B2 (ja) モニタ装置及び映像処理装置
JP5205439B2 (ja) 映像表示装置
KR101963777B1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방법
CN115278182A (zh) 显示设备
KR20130088622A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75627A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30088653A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