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1573A -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1573A
KR20130071573A KR1020110138848A KR20110138848A KR20130071573A KR 20130071573 A KR20130071573 A KR 20130071573A KR 1020110138848 A KR1020110138848 A KR 1020110138848A KR 20110138848 A KR20110138848 A KR 20110138848A KR 20130071573 A KR20130071573 A KR 20130071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
button
selection butt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형
이명현
권용성
이정한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8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1573A/ko
Publication of KR20130071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60H1/00657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automatic and non-automatic control, e.g. for changing from automatic to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센터페시어 패널에 설치된 컨트롤 커버와, 상기 컨트롤 커버에 설치되어 공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작부는, 차실내 토출공기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냉방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냉방모드 선택 버튼과 난방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난방모드 선택 버튼으로 각각 분리 형성되며, 수동 송풍모드 및 자동 송풍모드 중 하나의 송풍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송풍모드 선택 버튼을 구비하고, 차실내 토출공기의 습도를 낮추는 제습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습모드 선택 버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방모드 선택 버튼, 난방모드 선택 버튼, 송풍모드 선택 버튼 및 제습모드 선택 버튼을 구비하여 어느 특정 버튼을 누를 경우에 해당되는 기능을 즉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탑승자가 공조장치를 보다 편리하게 조작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강화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Controlle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탑승자가 공조장치를 보다 더 편리하게 조작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실내의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냉난방장치인 히터 및 에어컨으로 구성된 공조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차량 운행 중 차실내 탑승자의 쾌적함 및 안락함을 증대시키고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위의 환경변화에 따른 온도 및 습도와 공기환경 등을 적당하게 유지함으로써 탑승자에게 쾌적한 느낌을 주게 된다.
차량용 공조 시스템은 모드, 블로어, 인테이크 및 A/C(에어컨) 등의 자동 제어 인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온도를 만족시키기 위해 차실내 온도 및 차실외 온도 등을 감지하여 풍향, 풍량, 내/외기 및 A/C ON/OFF 등을 자동으로 조정하게 된다.
도 1은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차량용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조작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공조 시스템은 차량 내/외부에 설치되는 차내 온도 센서(410:Incar Sensor), 차외 온도 센서(420:Ambient Sensor), 일사량 센서(430), 습도 센서(440), 증발기 온도 센서(450), 냉각수 온도 센서(460), 및 유해 가스 감지 센서(470)로부터 내/외기 정보가 제어 유니트(100)에 입력되어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공조 기능을 자동적으로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은 출구에 각각 도어(510d)(520d)(530d)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510), 페이스 벤트(520), 및 플로어 벤트(530)가 설치되는 공조 케이스(500)와, 상기 공조 케이스(500)의 입구(550)에 연결되고 상부에 인테이크 도어(630)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내기 흡입구(610) 및 외기 흡입구(620)가 설치되며 송풍기 모터(650)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640)에 의해 내기 또는 외기를 공조 케이스(500)의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기(600)와, 상기 공조 케이스(500)의 내부 유로 중 상류측에 설치되는 증발기(700)와, 상기 공조 케이스(500)의 내부 유로 중 하류측에 설치되고 전방에 설치되는 템프 도어(540)에 의해 송풍 개도가 조절되는 히터 코어(7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700)는 압축기(720)와 관로로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720)는 응축기(730)와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730)는 리시버 드라이어(740)와 연결되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740)는 상기 증발기(700)와 연결되는 팽창 밸브(750)와 연결됨으로써 냉방 사이클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 코어(710)는 엔진(800)과 연결됨으로써 난방 사이클이 구성된다.
따라서, 냉방 모드 제어 시에는 상기 송풍기(600)에 의해 송풍되는 내기 또는 외기가 상기 증발기(700)를 거치면서 증발기(70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채 개방된 벤트들(510)(520)(530)을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난방 모드 제어시에는 송풍 공기가 상기 증발기(700) 및 상기 히터 코어(710)를 거치면서 히터 코어(710)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채 개방된 벤트들(510)(520)(530)을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제어 유니트(100)는 인테이크 도어(630), 송풍기 모터(650), 템프 도어(540) 및 각종 벤트들(510)(520)(530)의 각각의 도어들(510d)(520d)(530d)을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미도시)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내/외기 유입, 풍량, 온도 및 풍향에 대한 공조 모드 패턴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조작부(200)에는 에어컨 작동 버튼(201), 풍향 선택 버튼(202), 외기 온도 표시 버튼(203), 자동 버튼(204), 자동 해제 버튼(205), 풍량 조절 버튼(206), 앞유리창 성에 제거 버튼(207), 뒷유리창 열선 버튼(208), 온도 설정 버튼(209), 내/외기 선택 버튼(210), 유해 가스 자동 차단 버튼(211) 및 표시 패널(212) 등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차량용 공조장치의 경우, 탑승자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 버튼을 여러번 조작해야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송풍을 위해 풍량 조절 버튼(206)을 선택할 경우에 에어컨 작동 버튼(204)을 별도로 off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운전 중에 일어나는 행위이므로 안전상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탑승자가 공조장치를 보다 더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는, 차량의 센터페시어 패널에 설치된 컨트롤 커버와, 상기 컨트롤 커버에 설치되어 공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차실내 토출공기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냉방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냉방모드 선택 버튼과 난방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난방모드 선택 버튼으로 각각 분리 형성되며, 수동 송풍모드 및 자동 송풍모드 중 하나의 송풍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송풍모드 선택 버튼을 구비하고, 차실내 토출공기의 습도를 낮추는 제습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습모드 선택 버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송풍모드 선택 버튼에 의해 자동 송풍모드로 선택되면,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 방향을 상하 또는 좌우로 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모드 선택 버튼은, 상기 수동 송풍모드와 자동 송풍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조작부와, 상기 제1조작부를 통해 수동 송풍모드로 선택되면 송풍량을 조절하는 제2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송풍모드 선택 버튼의 제1조작부는 푸시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제2조작부는 다이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리모컨 또는 스위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으로 상기 조작부를 리모트 제어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방모드 선택 버튼, 난방모드 선택 버튼, 송풍모드 선택 버튼 및 제습모드 선택 버튼을 구비하여 어느 특정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에 해당되는 기능을 즉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탑승자가 공조 컨트롤러를 보다 더 편리하게 조작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강화할 수가 있다.
또한, 조작 버튼을 간소화하고 직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차량 탑승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공조 컨트롤러를 조작할 수가 있다.
또한, 자동 송풍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풍향을 제어하여 탑승자가 불필요하게 풍향을 변경하는 조작을 줄일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보다 더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 방식으로 제어하므로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보다 더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 차량용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조작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공조장치를 자동으로 풍향 제어하는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공조장치를 리모트 제어하는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종래와 동일한 부분은 종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공조장치를 자동으로 풍향 제어하는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공조장치를 리모트 제어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는, 차량 탑승자가 공조장치를 보다 더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센터페시어 패널(220)에 설치된 컨트롤 커버(230)와, 상기 컨트롤 커버(230)에 설치되어 공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200)는, 차실내 토출공기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냉방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냉방모드 선택 버튼(240)과 난방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난방모드 선택 버튼(250)으로 각각 분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200)는 수동 송풍모드 및 자동 송풍모드 중 하나의 송풍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송풍모드 선택 버튼(26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200)는 차실내 토출공기의 습도를 낮추는 제습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습모드 선택 버튼(270)을 구비한다.
상기 냉방모드 선택 버튼(240)은 에어컨을 작동시켜 차실내를 냉방하는데 사용된다. 즉, 냉방모드 선택 버튼(240)이 눌러지면, 모터의 구동에 의한 압축기(720)의 작용으로 토출되는 열교환매체, 즉 냉매가 응축기(730), 팽창밸브(750) 및 증발기(700)를 거쳐 다시 압축기(720)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송풍팬(640)에 의해 발생되는 송풍공기를 증발기(700) 쪽에서 열교환시켜 냉기로 바꾸어 차량의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는 사이클이 작동한다.
상기 난방모드 선택 버튼(250)은 차실내를 난방하는데 사용된다. 즉, 난방모드 선택 버튼(250)이 눌러지면,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히터코어(710)쪽에서 송풍공기를 열교환시켜 온기로 바꾸어 차량의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난방하는 사이클이 작동한다.
상기 송풍모드 선택 버튼(260)은 송풍기 모터(650)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즉, 송풍모드 선택 버튼(260)이 눌러지면, 송풍기 모터(650)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640)에 의해 내기 또는 외기를 차량의 실내에 송풍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송풍모드 선택 버튼(260)에 의해 자동 송풍모드로 선택되면,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 방향을 상하 또는 좌우로 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자동 송풍모드로 선택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풍향을 제어하게 되므로 탑승자가 불필요하게 풍향을 변경하는 조작을 줄일 수가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보다 더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모드 선택 버튼(260)은, 상기 수동 송풍모드와 자동 송풍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조작부와, 상기 제1조작부를 통해 수동 송풍모드로 선택되면 송풍량을 조절하는 제2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모드 선택 버튼(260)의 제1조작부는 푸시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제2조작부는 다이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습모드 선택 버튼(270)은 디프로스트 벤트(510)를 개방하도록 디프로스트 도어(510d)를 동작시켜 실내 토출 공기에 의하여 유리창에 낀 성에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즉, 제습모드 선택 버튼(270)이 눌러지면, 디프로스트 도어(510d)의 개도가 조절되어 디프로스트 도어(510)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어 유리창에 낀 성에를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탑승자에 의해 어느 특정한 버튼이 눌러지게 되면, 눌러진 해당 버튼의 기능만이 수행되게 되므로 차량 탑승자가 공조 컨트롤러를 보다 더 편리하게 조작할 수가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강화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는, 리모컨 또는 스위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280)으로 상기 조작부(200)를 리모트 제어할 수가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보다 더 강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탑승자가 공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조작부(200)의 특정 버튼(240,250,260,270)을 직접 누르거나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280)을 이용하여 선택하게 되면, 해당되는 기능이 즉시 수행된다.
예를 들어, 냉방모드 선택 버튼(240)이 눌러지거나 리모컨이나 스마트폰(280)을 이용하여 해당 버튼(240)이 선택되게 되면, 모터의 구동에 의한 압축기(720)의 작용으로 토출되는 열교환매체, 즉 냉매가 응축기(730), 팽창밸브(750) 및 증발기(700)를 거쳐 다시 압축기(720)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송풍팬(640)에 의해 발생되는 송풍공기를 증발기(700) 쪽에서 열교환시켜 냉기로 바꾸어 차량의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는 사이클이 즉시 작동하게 된다.
또는, 냉방모드 선택 버튼(250)이 눌러지거나 리모컨이나 스마트폰(280)을 이용하여 해당 버튼(250)이 선택되게 되면,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히터코어(710)쪽에서 송풍공기를 열교환시켜 온기로 바꾸어 차량의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난방하는 사이클이 즉시 작동한다.
또는, 송풍모드 선택 버튼(260)이 눌러지거나 리모컨이나 스마트폰(280)을 이용하여 해당 버튼(260)이 선택되게 되면, 송풍기 모터(650)가 작동하여 차량의 실내에 공기를 즉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자동 송풍모드가 선택되게 되면, 자동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풍향이 제어되게 된다.
또는, 제습모드 선택 버튼(270)이 눌러지거나 리모컨이나 스마트폰(280)을 이용하여 해당 버튼(270)이 선택되게 되면,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510)를 개방하도록 디프로스트 도어(510d)를 동작시켜 실내 토출 공기에 의하여 유리창에 낀 성에를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특정 버튼이 눌러지거나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280)을 이용하여 선택되게 되면, 특정한 기능이 즉시 수행되게 되므로, 차량 탑승자가 공조장치를 보다 편리하게 조작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강화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를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 조작부 220 : 센터페시어 패널
230 : 컨트롤 커버 240 : 냉방모드 선택 버튼
250 : 난방모드 선택 버튼 260 : 송풍모드 선택 버튼
270 : 제습모드 선택 버튼 280 : 리모컨(스마트폰)

Claims (5)

  1. 차량의 센터페시어 패널(220)에 설치된 컨트롤 커버(230)와, 상기 컨트롤 커버(230)에 설치되어 공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00)는,
    차실내 토출공기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냉방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냉방모드 선택 버튼(240)과 난방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난방모드 선택 버튼(250)으로 각각 분리 형성되며,
    수동 송풍모드 및 자동 송풍모드 중 하나의 송풍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송풍모드 선택 버튼(260)을 구비하고,
    차실내 토출공기의 습도를 낮추는 제습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습모드 선택 버튼(27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송풍모드 선택 버튼(260)에 의해 자동 송풍모드로 선택되면,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 방향을 상하 또는 좌우로 변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모드 선택 버튼(260)은, 상기 수동 송풍모드와 자동 송풍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조작부와, 상기 제1조작부를 통해 수동 송풍모드로 선택되면 송풍량을 조절하는 제2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송풍모드 선택 버튼(260)의 제1조작부는 푸시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제2조작부는 다이얼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5. 청구항 1에 있어서,
    리모컨 또는 스위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280)으로 상기 조작부(200)를 리모트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KR1020110138848A 2011-12-21 2011-12-21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KR20130071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848A KR20130071573A (ko) 2011-12-21 2011-12-21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848A KR20130071573A (ko) 2011-12-21 2011-12-21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573A true KR20130071573A (ko) 2013-07-01

Family

ID=4898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848A KR20130071573A (ko) 2011-12-21 2011-12-21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15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6989A (zh) * 2019-12-16 2021-06-1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自动驾驶车辆的空调装置的可分离式远程控制器以及远程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6989A (zh) * 2019-12-16 2021-06-1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自动驾驶车辆的空调装置的可分离式远程控制器以及远程控制方法
CN112976989B (zh) * 2019-12-16 2024-04-0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自动驾驶车辆的空调装置的可分离式远程控制器以及远程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6337A (ko)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10134611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070028937A (ko) 자동차의 정차시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40101465A (ko) 에어 커튼 방식의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9564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KR20130071573A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KR201000226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2015116963A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20140101085A (ko) 공간 분할을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38661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설정 온도 자동 조절 방법
KR101474825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1198745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템프도어 제어방법
JP5884682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00072553A (ko)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KR10168248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130070945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20970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인테이크 및 템프 도어 제어 방법
KR101331314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성에 제거 방법
KR100931678B1 (ko)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자동차 공조장치 제어방법
KR20130058872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34635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2005335414A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20130073122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기토출구 위치설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4848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50273B1 (ko) 자동차 공기 조화 장치의 외기 모드에서 내기 모드로의전환시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