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7530A - 영상 보안 전송 장치 및 방법과 그 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보안 전송 장치 및 방법과 그 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7530A
KR20130067530A KR1020110134150A KR20110134150A KR20130067530A KR 20130067530 A KR20130067530 A KR 20130067530A KR 1020110134150 A KR1020110134150 A KR 1020110134150A KR 20110134150 A KR20110134150 A KR 20110134150A KR 20130067530 A KR20130067530 A KR 20130067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ryption
image
region
decod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세
한진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4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7530A/ko
Priority to US13/705,065 priority patent/US8929545B2/en
Publication of KR20130067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6Interfaces masking personal details for privacy, e.g. blurring faces, vehicle license 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52Systems using zones in a single scene defined for different treatment, e.g. outer zone gives pre-alarm, inner zone gives alar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 G08B13/19667Details realated to data compression, encryption or encoding, e.g. resolution modes for reducing data volume to lower transmission bandwidth or memory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5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64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being scramb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통해 수집되는 영상을 보안 처리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집 영상의 인식 및 이벤트 탐지를 통해 수집 영상의 내용을 분석한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비암호화, 관심 영역 암호화 및 전체 영역 암호화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이러한 결정을 통해 수집 영상을 암호화 없이 인코딩하거나, 기 정의된 관심 영역을 암호화한 후 수집 영상을 인코딩하거나, 수집 영상의 전체를 암호화 및 인코딩하도록 함으로써, 개인 정보 보호의 효과를 충족시킴은 물론 유해한 영상 정보를 차단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으며, 또한 수집되는 영상을 그 내용에 따라 비암호화, 일부 영역(관심 영역) 암호화, 전체 영역 암호화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기 때문에, 영상 감시 시스템의 운영에서 불필요하게 시스템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관제 측면에서 재생되는 영상의 암호화 상태를 통해 직관적으로 이벤트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영상 보안 전송 장치 및 방법과 그 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IDEO SURVEILLANC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SURVEILLANCE VIDEO THEREOF}
본 발명은 카메라를 통해 수집되는 영상을 보안 처리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수집 영상을 그 내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선택적으로 암호화된 영상을 복호화하는데 적합한 영상 보안 전송 장치 및 방법과 그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Closed-circuit television)로 통칭되는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보안 시스템은 이미 많은 분야에서 감시 및 보안 방법으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감시 카메라에서 영상 압축 기술이 포함된 고성능의 디지털 네트워크 카메라로 점차 이동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에 영상 인식, 이벤트 탐지 기술까지 포함한 이른바 지능형 카메라가 차세대 기술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 개발이 현재 관련 분야에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상 감시 시스템의 기능 고도화에 따른 부작용이 사회적 문제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개인정보 노출의 문제이다. 최근 각종 포털 사이트들에서 특정 지역의 CCTV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있어, 그 영상에 노출된 사람들을 여과없이 그대로 보여줌으로써 개인이 특정 시간에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정보, 즉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감시 영상을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해당 영상을 볼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만이 복호화 키를 가지고 수신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암호화 기능을 영상 감시 시스템에 도입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와 같이 암호화 기능을 영상 감시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식으로는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이 가능할 수 있다.
하나는 영상의 전체 영역을 암호화하여 복호화하지 않을 경우엔 영상 자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도록 하는 전체 영상 암호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영상의 내용 중 얼굴로 대표되는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는 영역을 얼굴 인식 등이 가능한 영상 인식 기능으로 추출하여 그 영역만을 암호화하는, 통속적으로 프라이버시 마스킹이라 불리는 관심 영역 암호화 방식이다.
그런데, 전자의 경우 전체 영상 암호화를 하게 된다면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관제센터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관제요원의 경우를 생각해 볼 때, 정상적인 영상을 볼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권한자와 일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요원을 분리해서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 입력되는 영상 자체가 식별이 전혀 불가능하므로 일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이 아무런 의미가 없게 된다. 또한, 카메라 영상을 통해 지리정보나 교통정보와 같은 생활정보를 일반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자 경우에도 혹시 있을 개인정보 침해에 대비하여 전체 암호화를 수행한다면 정보 제공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시스템 관점에서 볼 때도 전체 암호화를 실시간으로 연속적으로 계속 수행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은 정보까지도 암호화하기 위해서 시스템 자원을 낭비하게 된다는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영상 정보가 가지는 특수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는 상술한 두 암호화 방법 중 후자를 사용하여 필요한 영역만을 추출한 후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영상 수신 측에서는 특정 사건이 발생하여 개인의 식별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 권한을 가진 사람이 그 영상을 복호화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영상 암호화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이것은 영상 내용에 따라 필요한 정보만을 암호화한다는 의미가 된다.
그런데, 영상 내용에 따른 암호화라는 관점에서 볼 때, 현재의 방법론에서는 아주 중요한 부분을 간과하고 있다. 즉, 영상 내용에 개인정보 침해의 요소가 있는 부분을 방지하는 것은 영상에 노출된 사람을 위한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영상을 보게 되는 사람을 위해서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 있다.
예컨대, 폭행, 특수 절도, 성범죄 또는 투신/분신자살, 인명 차량 사고 등의 폭력성이나 혐오성이 있는 영상일 경우엔 이를 보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의도하지 않게 유해한 정보를 받아들이게 되고, 이는 정신적으로 굉장한 충격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최근에 폭행 사건 영상 등이 뉴스를 통해 여과없이 방송된 후, 사회적으로 굉장한 물의를 불러일으킨 바 있다.
물론, 방송 콘텐츠나 VoD 기반의 웹서비스 같은 경우엔 사전에 이런 것들을 차단하여 방지할 수도 있겠지만, 실시간으로 영상을 송수신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의 경우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영상들이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늘 내포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영상 암호화의 측면에서 생각해 보면, 개인 정보 보호만을 위한 암호화 기법을 적용했을 경우, 어떤 행위를 하고 있는 대상의 개인 정보는 영상에서 보호되나 그 행위 자체는 그대로 노출되므로, 특히 그 행위가 유해한 것이라면 이를 수신측에서 식별할 수 없도록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추가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13550호(공개일 : 2007. 01. 3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 정보에 적용되는 두 가지 암호화 기법인 전체 영역 암호화와 관심 영역 암호화를 영상 내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개인 정보 보호와 유해 영상 정보 차단을 모두 수행하는데 적합한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암호화 기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입력되는 물리적인 영상을 수집하여 정보화하는 영상 입력 블록과, 수집 영상을 인식하고 이벤트를 탐지하여 상기 수집 영상의 내용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 블록과, 상기 수집 영상의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비암호화, 관심 영역 암호화 및 전체 영역 암호화 중 어느 하나의 암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는 암호화 선택 블록과, 상기 결정된 암호화 선택 기준에 의거하여 상기 수집 영상에 대해 상기 비암호화, 관심 영역 암호화 및 전체 영역 암호화 중 어느 하나와 인코딩을 실행하는 영상 처리 블록과, 인코딩된 영상과 암호화 관련 정보를 영상 보안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 영상 보안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입력되는 수집 영상의 인식 및 이벤트 탐지를 통해 상기 수집 영상의 내용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 영상의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비암호화, 관심 영역 암호화 및 전체 영역 암호화 중 어느 하나의 암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비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선택 기준이 결정될 때, 상기 수집 영상의 인코딩을 실행하는 제 1 영상 처리 과정과, 상기 관심 영역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선택 기준이 결정될 때, 기 정의된 관심 영역을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관심 영역을 포함하는 수집 영상의 인코딩을 실행하는 제 2 영상 처리 과정과, 상기 전체 영역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선택 기준이 결정될 때, 상기 수집 영상의 전체에 대한 암호화 및 인코딩을 실행하는 제 3 영상 처리 과정과, 상기 제 1 영상 처리 과정 내지 제 3 영상 처리 과정 중 어느 한 과정의 실행을 통해 생성되는 인코딩된 영상과 암호화 관련 정보를 영상 보안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영상 보안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영상 보안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인코딩된 영상과 암호화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 블록과, 상기 암호화 관련 정보로부터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에 의거하여 비복호화, 관심 영역 복호화 및 전체 영역 복호화 중 어느 하나의 복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는 복호화 선택 블록과, 상기 결정된 복호화 선택 기준에 의거하여 상기 인코딩된 영상에 대해 디코딩 실행, 디코딩 및 관심 영역 복호화 실행, 디코딩 및 전체 영역 복호화 실행 중 어느 하나를 처리한 후 저장 또는 재생하는 영상 처리 블록을 포함하는 영상 보안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영상 보안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인코딩된 영상과 암호화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관련 정보로부터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에 의거하여 비복호화, 관심 영역 복호화 및 전체 영역 복호화 중 어느 하나의 복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비복호화를 위한 복호화 선택 기준이 결정될 때, 상기 인코딩된 영상의 디코딩을 실행하는 제 1 영상 처리 과정과, 상기 관심 영역 복호화를 위한 복호화 선택 기준이 결정될 때, 상기 인코딩된 영상의 디코딩 및 관심 영역의 복호화를 실행하는 제 2 영상 처리 과정과, 상기 전체 영역 복호화를 위한 복호화 선택 기준이 결정될 때, 상기 인코딩된 영상의 디코딩 및 복호화를 실행하는 제 3 영상 처리 과정과, 제 1 영상 처리 내지 제 3 영상 처리 과정 중 어느 한 과정을 통해 처리된 영상을 저장 또는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영상 보안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집 영상의 인식 및 이벤트 탐지를 통해 수집 영상의 내용을 분석한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비암호화, 관심 영역 암호화 및 전체 영역 암호화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이러한 결정을 통해 수집 영상을 암호화 없이 인코딩하거나, 기 정의된 관심 영역을 암호화한 후 수집 영상을 인코딩하거나, 수집 영상의 전체를 암호화 및 인코딩하도록 함으로써, 개인 정보 보호의 효과를 충족시킴은 물론 유해한 영상 정보를 차단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집되는 영상을 그 내용에 따라 비암호화, 일부 영역(관심 영역) 암호화, 전체 영역 암호화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기 때문에 영상 감시 시스템의 운영에서 불필요하게 시스템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수집되는 영상을 그 내용에 따라 비암호화, 일부 영역(관심 영역) 암호화, 전체 영역 암호화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기 때문에 관제 측면에서 재생되는 영상의 암호화 상태를 통해 직관적으로 이벤트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전형적인 영상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안 전송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수집 영상을 그 내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안 수신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선택적으로 암호화하여 수신된 영상을 선택적으로 복호화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영상 보안 전송 장치가, 수집 영상의 인식 및 이벤트 탐지를 통해 수집 영상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비암호화, 관심 영역 암호화 및 전체 영역 암호화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며, 이를 통해 수집 영상의 인코딩 실행, 기 정의된 관심 영역을 암호화한 수집 영상의 인코딩 실행, 수집 영상의 전체에 대한 암호화 및 인코딩 실행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생성되는 인코딩된 영상과 암호화 관련 정보를 영상 보안 수신 장치로 전송하며, 영상 보안 수신 장치가, 인코딩된 영상과 함께 수신된 암호화 관련 정보로부터 추출한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에 의거하여 비복호화, 관심 영역 복호화 및 전체 영역 복호화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이를 통해 인코딩된 영상의 디코딩 실행, 인코딩된 영상의 디코딩 및 기 정의된 관심 영역의 복호화 실행, 인코딩된 영상의 디코딩 및 복호화 실행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생성되는 디코딩 또는 디코딩/복호화된 영상을 저장 또는 재생하도록 한다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목적으로 하는 바를 실현함으로써 종래 방식에서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암호화 관련 정보는 비암호화일 때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관심 영역 암호화일 때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 암호화 키 및 관심 영역 좌표(예컨대, 얼굴 영상 좌표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체 영역 암호화일 때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 및 암호화 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관심 영역 암호화라 함은 카메라 등을 통해 수집한 영상에 대해 개인 정보 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얼굴 등으로 대표되는 개인 정보에 관련된 영역만을 별도로 추출하여 암호화를 실행함으로써, 수신하는 측에서 개인 정보 보호에 관련되지 않은 영역은 모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암호화 기법을 의미하고, 전체 영역 암호화라 함은 카메라 등을 통해 수집된 영상에 대해 전체 영역을 암호화하여 수신하는 측에서 영상의 내용 전체를 자동 인식할 수 없도록 하는 암호화 기법을 의미한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데 적합한 전형적인 영상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다수의 카메라로 된 카메라 그룹(102),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NVR : network video recorder)(104), 관제 서버(106) 및 감시 장치(10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그룹(102) 내 각 카메라는 자신이 담당하는 특정 영역을 촬상하여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4), 관제 서버(106), 감시 장치(108) 등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카메라는 후술하는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4), 관제 서버(106)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제어(또는 지령)에 따라 그 촬상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촬상 영역을 가변시킬 수 있다.
다음에,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4)는 각 카메라를 통해 수집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기능, 저장된 영상에 대한 검색 기능, 수집되는 영상을 다른 장치, 예컨대 관제 서버(106)나 감시 장치(108)로 전송하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4)는 본 발명의 영상 보안 전송 장치를 구성하거나 혹은 본 발명의 영상 보안 전송 장치와 영상 보안 수신 장치 모두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106)는 각 카메라 또는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4)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되는 영상을 모니터링하거나, 저장 매체에 저장하거나, 다양한 분석 기법을 통해 영상을 분석하거나, 저장된 영상을 감시 장치(108)로 전송하거나, 카메라 또는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4)를 구동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제 서버(106)는 본 발명의 영상 보안 수신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감시 장치(108)는, 예컨대 PC나 모바일 기기(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은 휴대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각 카메라 또는 관제 서버(106)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안 전송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영상 입력 블록(202), 영상 분석 블록(204), 암호화 선택 블록(206), 영상 처리 블록(208) 및 영상 전송 블록(21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 분석 블록(204)은 영상 인식부(2042) 및 이벤트 탐지부(2044)를 포함할 수 있고, 영상 처리 블록(208)은 영상 암호화부(2082) 및 영상 인코더(208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입력 블록(202)은 카메라 그룹(102) 내 각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물리적인 영상을 수집하여 정보화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에서의 정보화는, 예컨대 CCD나 CMOS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에, 영상 분석 블록(204)은 영상 입력 블록(202)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집 영상을 인식하고 이벤트를 탐지하여 수집 영상의 내용을 분석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영상 인식부(2042)와 이벤트 탐지부(2044)를 포함한다.
먼저, 영상 인식부(2042)는 수집 영상에 관심 영역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인식, 즉 얼굴로 대표되는 개인 정보와 관련된 영역(관심 영역)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인식하여 관심 영역이 존재할 때 관심 영역 정보(관심 영역의 좌표 정보)를 추출하여 수집 영상의 분석 결과로서 암호화 선택 블록(206)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탐지부(2044)는, 예컨대 백그라운드 모델링, 객체 검출 및 추적, 객체 특징 파라미터 추출 등과 같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집 영상에서의 이벤트 발생을 탐지하고, 탐지 결과 유해성, 폭력성, 혐오성, 특수 절도, 성범죄, 강력범죄 등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탐지될 때, 그에 상응하는 이벤트 탐지 정보를 생성하여 수집 영상의 분석 결과로서 암호화 선택 블록(206)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이벤트 탐지부(2044)는 학습 기능을 갖는 이벤트 탐지 모듈을 탑재하여 사람이 쓰러지는 것을 탐지(판단)하거나, 사람을 폭행하는 행위를 탐지하거나, 성별이 다른 사람을 부자연스럽게 만지거나 혹은 겁탈하는 행위를 탐지하거나, 주위를 경계하면서 물건 등을 집어 드는(훔치는) 행위를 탐지하거나, 사람의 노출 정도를 탐지하거나, 사람이 흉기로 누군가를 위협하는 행위를 탐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암호화 선택 블록(206)은 영상 분석 블록(204)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집 영상의 분석 결과(관심 영역의 존재 여부, 이벤트 탐지 정보 등)에 의거하여 수집 영상을 비암호화할 것인지, 관심 영역만을 암호화할 것인지 혹은 수집 영상의 전체 영역을 암호화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암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고, 이 결정된 암호화 선택 기준을 영상 처리 블록(208)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암호화 선택 기준은 비암호화 선택 기준, 관심 영역 암호화 선택 기준, 전체 영역 암호화 선택 기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또한 관심 영역은, 예컨대 얼굴로 대표되는 개인 정보와 관련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암호화 선택 블록(206)은 수집 영상에 기 정의된 관심 영역이 없고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암호화 없이 인코딩만을 실행하는 선택 기준을 결정하고, 수집 영상에 기 정의된 관심 영역이 존재하고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관심 영역을 암호화한 후에 전체 영역의 인코딩을 실행하는 선택 기준을 결정하며, 수집 영상에서 이벤트 발생이 탐지된 경우에는 수집 영상 전체에 대해 암호화 및 인코딩을 실행하는 선택 기준을 결정한다.
다음에, 영상 처리 블록(208)은 암호화 선택 블록(206)으로부터 제공되는 암호화 선택 기준에 의거하여 수집 영상을 암호화하지 않고 인코딩(예컨대, H.264 비디오 인코딩, MPEG 비디오 인코딩 등)하거나, 관심 영역만을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관심 영역을 포함하는 수집 영상을 인코딩하거나 혹은 수집 영상의 전체 영역을 암호화 및 인코딩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영상 암호화부(2082)와 영상 인코더(208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영상 암호화부(2082)는 암호화 선택 블록(206)으로부터 제공되는 암호화 선택 기준이 수집 영상의 관심 영역에 대한 암호화 선택 기준일 때 기 정의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관심 영역만을 암호화하여 관심 영역의 좌표 정보와 함께 영상 인코더(2084)로 전달하고, 암호화 선택 기준이 수집 영상의 전체 영역에 대한 암호화 선택 기준일 때 기 정의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전체 영상을 암호화하여 영상 인코더(2084)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인코더(2084)는 암호화 선택 블록(206)으로부터 제공되는 암호화 선택 기준이 비암호화 선택 기준일 때 암호화되지 않은 전체 수집 영상을 기 정의된 인코딩 알고리즘(예컨대, H.264 비디오 인코딩 알고리즘, MPEG 비디오 인코딩 알고리즘 등)에 따라 인코딩한 후 암호화 관련 정보와 함께 영상 전송 블록(210)으로 전달하거나, 암호화 선택 블록(206)으로부터 제공되는 암호화 선택 기준이 수집 영상의 관심 영역에 대한 선택 기준일 때 영상 암호화부(2082)로부터 제공되는 암호화된 관심 영역을 포함하는 수집 영상을 인코딩한 후 암호화 관련 정보와 함께 영상 전송 블록(210)으로 전달하거나 혹은 암호화 선택 블록(206)으로부터 제공되는 암호화 선택 기준이 수집 영상의 전체 영역에 대한 선택 기준일 때 영상 암호화부(2082)로부터 제공되는 전체 영역이 암호화된 수집 영상을 인코딩한 후 암호화 관련 정보와 함께 영상 전송 블록(210)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암호화 관련 정보는 비암호화일 때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관심 영역의 암호화일 때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 암호화키 및 관심 영역 좌표(예컨대, 얼굴 영상 좌표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체 영역의 암호화일 때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 및 암호화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전송 블록(210)은 영상 처리 블록(208)으로부터 전달되는 암호화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인코딩된 영상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가능한 데이터로 변조한 후 영상 보안 수신 장치(예컨대, 도 1의 관제 서버(106))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영상 보안 전송 장치는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수집 영상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수집 영상을 암호화 없이 인코딩하여 영상 보안 수신 장치로 전송하거나, 암호화된 관심 영역을 포함하는 수집 영상을 인코딩하여 영상 보안 수신 장치로 전송하거나 혹은 전체 영역이 암호화된 수집 영상을 인코딩하여 영상 보안 수신 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영상 보안 전송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의 내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암호화하여 영상 보안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수집 영상을 그 내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영상이 입력(수집)되면(단계 302), 영상 입력 블록(202)에서는 수집 영상을 정보화한 후 영상 분석 블록(204)으로 전달한다.
다음에, 영상 분석 블록(204) 내 영상 인식부(2042)에서는 수집 영상에 관심 영역(예컨대, 얼굴로 대표되는 개인 정보와 관련된 영역)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인식하고, 관심 영역이 존재할 때 관심 영역의 좌표 정보를 추출하여 수집 영상의 분석 결과로서 암호화 선택 블록(206)으로 전달하고, 이벤트 탐지부(2044)에서는 수집 영상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탐지하고, 탐지 결과 유해성, 폭력성, 혐오성, 특수 절도, 성범죄, 강력범죄 등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탐지될 때, 그에 상응하는 이벤트 탐지 정보를 생성하여 수집 영상의 분석 결과로서 암호화 선택 블록(206)으로 전달한다(단계 304).
이어서, 암호화 선택 블록(206)에서는 전달된 수집 영상의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암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 즉 영상 분석 블록(204)으로부터 수집 영상에 관심 영역이 존재하지 않고 발생 이벤트가 없음을 의미하는 분석 결과가 전달될 때, 비암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고, 영상 분석 블록(204)으로부터 수집 영상에 관심 영역이 존재하고 발생 이벤트가 없음을 의미하는 분석 결과가 전달될 때, 관심 영역의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며, 영상 분석 블록(204)으로부터 수집 영상에 발생 이벤트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분석 결과가 전달될 때, 전체 영역의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여 영상 처리 블록(208)으로 전달한다(단계 306).
이에 응답하여, 영상 처리 블록(208)에서는 암호화 선택 블록(206)으로부터 전달되는 암호화 선택 기준에 의거하여 수집 영상을 암호화하지 않을 것인지(단계 308), 관심 영역만을 암호화할 것인지(단계 310) 혹은 수집 영상의 전체 영역을 암호화할 것인지(단계 312)를 체크한다.
상기 단계(308)에서의 체크 결과, 암호화 선택 블록(206)으로부터 비암호화 선택 기준이 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318)로 진행되며, 단계(318)에서는 암호화되지 않은 수집 영상에 대한 인코딩을 실행, 즉 영상 인코더(2084)가 암호화되지 않은 수집 영상 전체를 인코딩하게 된다.
상기 단계(310)에서의 체크 결과, 암호화 선택 블록(206)으로부터 관심 영역의 암호화 선택 기준이 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처리 블록(208) 내 영상 암호화부(2082)에서는 관심 영역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 영역을 추출한 후 암호화하여 영상 인코더(2084)로 전달하며(단계 314), 그 결과 영상 인코더(2084)에서는 암호화된 관심 영역을 포함하는 수집 영상을 인코딩하게 된다(단계 318).
상기 단계(312)에서의 체크 결과, 암호화 선택 블록(206)으로부터 전체 영역의 암호화 선택 기준이 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처리 블록(208) 내 영상 암호화부(2082)에서는 수집 영상의 전체 암호화하여 영상 인코더(2084)로 전달하며(단계 316), 그 결과 영상 인코더(2084)에서는 전체 영역이 암호화된 수집 영상을 인코딩하게 된다(단계 318).
여기에서, 인코딩된 영상, 즉 암호화 없이 인코딩된 영상, 관심 영역이 암호화되어 인코딩된 영상 또는 전체 영역이 암호화되어 인코딩된 영상은 암호화 관련 정보와 함께 영상 전송 블록(210)으로 전달되며, 그 결과 영상 전송 블록(210)을 통해 인코딩된 영상이 암호화 관련 정보와 함께 영상 보안 수신 장치 측으로 전송된다(단계 320). 여기에서, 암호화 관련 정보는 비암호화일 때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를 포함하고, 관심 영역의 암호화일 때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 암호화키 및 관심 영역 좌표(예컨대, 얼굴 영상 좌표 등)를 포함하며, 전체 영역의 암호화일 때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 및 암호화키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관심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의 암호화를 먼저 실행한 후 인코딩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한 예시적인 제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코딩을 먼저 실행한 후 관심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의 암호화를 실행하거나 혹은 영상 인코더와 암호화기를 통합하여 인코딩과 암호화가 동시에 실행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안 수신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영상 수신 블록(402), 복호화 선택 블록(404) 및 영상 처리 블록(406)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 처리 블록(406)은 영상 디코더(4062)와 영상 복호화부(40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수신 블록(402)은 도 2의 영상 보안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되는 인코딩된 영상과 암호화 관련 정보를 전송 전의 원 데이터로 복조하여 복호화 선택 블록(404)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복호화 선택 블록(404)은 영상 수신 블록(402)으로부터 전달된 암호화 관련 정보로부터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 영상의 비복호화, 관심 영역 복호화 및 전체 영역 복호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복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 즉 암호화 관련 정보로부터 비암호화 선택 기준이 추출될 때 비복호화 및 디코딩 실행을 위한 복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고, 암호화 관련 정보로부터 관심 영역 암호화 선택 기준, 암호화키 및 관심 영역의 좌표 정보(예컨대, 얼굴 영상 좌표 정보)가 추출될 때 관심 영역의 복호화 및 디코딩 실행을 위한 복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며, 암호화 관련 정보로부터 전체 영역 암호화 선택 기준 및 암호화키가 추출될 때 전체 영역의 복호화 및 디코딩 실행을 위한 복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여 영상 처리 블록(406)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처리 블록(406)은 복호화 선택 기준에 의거하여 인코딩된 영상에 대한 디코딩 실행, 디코딩 및 관심 영역 복호화 실행, 디코딩 및 전체 영역 복호화 실행 중 어느 하나를 처리한 후 저장 또는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영상 디코더(4062)와 영상 복호화부(406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영상 디코더(4062)는, 디코딩 알고리즘(예컨대, H.264 비디오 디코딩 알고리즘, MPEG 비디오 디코딩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인코딩된 영상을 인코딩 전의 원 영상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영상 복호화부(4064)는, 복호화 선택 블록(404)에 의해 관심 영역의 복호화를 위한 복호화 선택 기준이 결정될 때, 관심 영역 좌표 정보와 암호화키에 의거하여 수신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암호화된 관심 영역을 암호화 전의 원 데이터로 복호화하고, 복호화 선택 블록(404)에 의해 전체 영역의 복호화를 위한 복호화 선택 기준이 결정될 때, 암호화키에 의거하여 수신 영상의 전체 영역을 암호화 전의 원 데이터로 복호화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코딩된 영상 또는 디코딩/복호화된 영상(영상 데이터)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혹은 재생(화면 디스플레이 등)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영상 보안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의 내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암호화되어 수신된 영상을 선택적으로 복호화하여 저장 또는 재생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선택적으로 암호화하여 수신된 영상을 선택적으로 복호화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수신 블록(402)에서는 영상 보안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인코딩된 영상(암호화 관련 정보 포함)을 변조 전의 원 데이터로 복조하여 복호화 선택 블록(404)으로 전달한다(단계 502).
이에 응답하여, 복호화 선택 블록(404)에서는 전달된 암호화 관련 정보로부터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를 추출하고(단계 504), 이 추출된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 영상을 암호화 영상인지(단계 506), 관심 영역의 암호화 영상인지(단계 508) 혹은 전체 영역의 암호화 영상인지(단계 510)를 체크한다.
상기 단계(506)에서의 체크 결과, 수신 영상이 암호화 영상, 즉 암호화 관련 정보로부터 비암호화 선택 기준이 추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복호화 선택 블록(404)에서는 비복호화 및 디코딩 실행을 위한 복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여 영상 처리 블록(406)으로 전달하며, 그 결과 영상 처리 블록(406) 내 영상 디코더(4062)에서는 디코딩 알고리즘에 따라 인코딩된 영상을 디코딩하게 된다(단계 512).
상기 단계(508)에서의 체크 결과, 수신 영상이 관심 영역의 암호화 영상, 즉 암호화 관련 정보로부터 관심 영역의 암호화 선택 기준이 추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복호화 선택 블록(404)에서는 관심 영역 복호화 및 디코딩 실행을 위한 복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여 영상 처리 블록(406)으로 전달한다.
그 결과, 영상 처리 블록(406) 내 영상 디코더(4062)에서는 디코딩 알고리즘에 따라 인코딩된 영상을 디코딩한 후 영상 복호화부(4064)로 전달하고(단계 514), 영상 복호화부(4064)에서는 암호화 관련 정보로부터 추출한 관심 영역 좌표 정보와 암호화키에 의거하여 디코딩된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암호화된 관심 영역을 암호화 전의 원 데이터로 복호화하게 된다(단계 516).
상기 단계(510)에서의 체크 결과, 수신 영상이 전체 영역의 암호화 영상, 즉 암호화 관련 정보로부터 전체 영역의 암호화 선택 기준이 추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복호화 선택 블록(404)에서는 전체 영역 복호화 및 디코딩 실행을 위한 복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여 영상 처리 블록(406)으로 전달한다.
그 결과, 영상 처리 블록(406) 내 영상 디코더(4062)에서는 디코딩 알고리즘에 따라 인코딩된 영상을 디코딩한 후 영상 복호화부(4064)로 전달하고(단계 518), 영상 복호화부(4064)에서는 암호화 관련 정보로부터 추출한 암호화키에 의거하여 디코딩된 영상의 전체 영역을 암호화 전의 원 데이터로 복호화하게 된다(단계 520).
마지막으로, 단계(512), 단계(516) 또는 단계(520)의 선택적인 진행을 통해 생성되는 디코딩된 영상(또는 디코딩/복호화된 영상)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혹은 재생된다(단계 522).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수신된 영상이 관심 영역의 암호화 영상이거나 또는 전체 영역의 암호화 영상일 때, 인코딩된 영상의 디코딩을 먼저 실행한 후 관심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을 복호화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보안 전송 장치가 전체 영역의 인코딩을 먼저 실행하고 관심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의 복호화를 나중에 실행한 경우일 때, 수신된 영상의 관심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대한 복호화를 먼저 실행한 후 전체 영역을 디코딩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으며, 또한 수신된 영상이 영상 인코더와 암호화기를 통합하여 인코딩과 암호화가 동시에 실행된 영상인 경우일 때 영상 디코더와 복호화기를 통합하여 디코딩과 복호화가 동시에 실행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202 : 영상 입력 블록 204 : 영상 분석 블록
206 : 암호화 선택 블록 208 : 영상 처리 블록
210 : 영상 전송 블록 402 : 영상 수신 블록
404 : 복호화 선택 블록 406 : 영상 처리 블록
2042 : 영상 인식부 2044 : 이벤트 탐지부
2082 : 영상 암호화부 2084 : 영상 인코더
4062 : 영상 디코더 4064 : 영상 복호화부

Claims (21)

  1. 입력되는 물리적인 영상을 수집하여 정보화하는 영상 입력 블록과,
    수집 영상을 인식하고 이벤트를 탐지하여 상기 수집 영상의 내용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 블록과,
    상기 수집 영상의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비암호화, 관심 영역 암호화 및 전체 영역 암호화 중 어느 하나의 암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는 암호화 선택 블록과,
    상기 결정된 암호화 선택 기준에 의거하여 상기 수집 영상에 대해 상기 비암호화, 관심 영역 암호화 및 전체 영역 암호화 중 어느 하나와 인코딩을 실행하는 영상 처리 블록과,
    인코딩된 영상과 암호화 관련 정보를 영상 보안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 블록
    을 포함하는 영상 보안 전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 블록은,
    상기 수집 영상에 관심 영역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인식하여 추출하는 영상 인식부와,
    상기 수집 영상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탐지하는 이벤트 탐지부
    를 포함하는 영상 보안 전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블록은,
    상기 결정된 암호화 선택 기준에 의거하여 상기 수집 영상에 대해 상기 비암호화, 관심 영역 암호화 및 전체 영역 암호화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영상 암호화부와,
    암호화 결과로서 생성되는 영상을 인코딩하는 영상 인코더
    를 포함하는 영상 보안 전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관련 정보는,
    상기 비암호화일 때,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인
    영상 보안 전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관련 정보는,
    상기 관심 영역 암호화일 때,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 암호화키 및 관심 영역 좌표를 포함하는
    영상 보안 전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 좌표는,
    상기 수집 영상에 포함된 사람의 얼굴 영상 좌표인
    영상 보안 전송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관련 정보는,
    상기 전체 영역 암호화일 때,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 및 암호화키를 포함하는
    영상 보안 전송 장치.
  8. 입력되는 수집 영상의 인식 및 이벤트 탐지를 통해 상기 수집 영상의 내용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 영상의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비암호화, 관심 영역 암호화 및 전체 영역 암호화 중 어느 하나의 암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비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선택 기준이 결정될 때, 상기 수집 영상의 인코딩을 실행하는 제 1 영상 처리 과정과,
    상기 관심 영역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선택 기준이 결정될 때, 기 정의된 관심 영역을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관심 영역을 포함하는 수집 영상의 인코딩을 실행하는 제 2 영상 처리 과정과,
    상기 전체 영역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선택 기준이 결정될 때, 상기 수집 영상의 전체에 대한 암호화 및 인코딩을 실행하는 제 3 영상 처리 과정과,
    상기 제 1 영상 처리 과정 내지 제 3 영상 처리 과정 중 어느 한 과정의 실행을 통해 생성되는 인코딩된 영상과 암호화 관련 정보를 영상 보안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영상 보안 전송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관련 정보는,
    상기 비암호화일 때,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보안 전송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관련 정보는,
    상기 관심 영역 암호화일 때,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 암호화키 및 관심 영역 좌표를 포함하는
    영상 보안 전송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 좌표는,
    상기 수집 영상에 포함된 사람의 얼굴 영상 좌표인
    영상 보안 전송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관련 정보는,
    상기 전체 영역 암호화일 때,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 및 암호화키를 포함하는
    영상 보안 전송 방법.
  13. 영상 보안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인코딩된 영상과 암호화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 블록과,
    상기 암호화 관련 정보로부터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에 의거하여 비복호화, 관심 영역 복호화 및 전체 영역 복호화 중 어느 하나의 복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는 복호화 선택 블록과,
    상기 결정된 복호화 선택 기준에 의거하여 상기 인코딩된 영상에 대해 디코딩 실행, 디코딩 및 관심 영역 복호화 실행, 디코딩 및 전체 영역 복호화 실행 중 어느 하나를 처리한 후 저장 또는 재생하는 영상 처리 블록
    을 포함하는 영상 보안 수신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선택 블록은,
    상기 암호화 관련 정보가 비암호화에 대한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디코딩 실행을 위한 복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는
    영상 보안 수신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선택 블록은,
    상기 암호화 관련 정보가 관심 영역 암호화에 대한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 암호화 키 및 관심 영역 좌표를 포함할 때, 상기 디코딩 및 관심 영역 복호화 실행을 위한 복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는
    영상 보안 수신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 좌표는,
    상기 인코딩된 영상에 포함된 사람의 얼굴 영상 좌표인
    영상 보안 수신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선택 블록은,
    상기 암호화 관련 정보가 전체 영역 암호화에 대한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 및 암호화키를 포함할 때, 상기 디코딩 및 전체 영역 복호화의 실행을 위한 복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는
    영상 보안 수신 장치.
  18. 영상 보안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인코딩된 영상과 암호화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관련 정보로부터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에 의거하여 비복호화, 관심 영역 복호화 및 전체 영역 복호화 중 어느 하나의 복호화 선택 기준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비복호화를 위한 복호화 선택 기준이 결정될 때, 상기 인코딩된 영상의 디코딩을 실행하는 제 1 영상 처리 과정과,
    상기 관심 영역 복호화를 위한 복호화 선택 기준이 결정될 때, 상기 인코딩된 영상의 디코딩 및 관심 영역의 복호화를 실행하는 제 2 영상 처리 과정과,
    상기 전체 영역 복호화를 위한 복호화 선택 기준이 결정될 때, 상기 인코딩된 영상의 디코딩 및 복호화를 실행하는 제 3 영상 처리 과정과,
    제 1 영상 처리 내지 제 3 영상 처리 과정 중 어느 한 과정을 통해 처리된 영상을 저장 또는 재생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영상 보안 수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 처리 과정은,
    상기 암호화 관련 정보가 비암호화에 대한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를 포함할 때 실행되는
    영상 보안 수신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상 처리 과정은,
    상기 암호화 관련 정보가 관심 영역 암호화에 대한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 암호화키 및 관심 영역 좌표를 포함할 때 실행되는
    영상 보안 수신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상 처리 과정은,
    상기 암호화 관련 정보가 전체 영역 암호화에 대한 암호화 선택 기준 정보 및 암호화키를 포함할 때 실행되는
    영상 보안 수신 방법.
KR1020110134150A 2011-12-14 2011-12-14 영상 보안 전송 장치 및 방법과 그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30067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150A KR20130067530A (ko) 2011-12-14 2011-12-14 영상 보안 전송 장치 및 방법과 그 수신 장치 및 방법
US13/705,065 US8929545B2 (en) 2011-12-14 2012-12-04 Surveillance video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and surveillance video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150A KR20130067530A (ko) 2011-12-14 2011-12-14 영상 보안 전송 장치 및 방법과 그 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530A true KR20130067530A (ko) 2013-06-25

Family

ID=4861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150A KR20130067530A (ko) 2011-12-14 2011-12-14 영상 보안 전송 장치 및 방법과 그 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29545B2 (ko)
KR (1) KR2013006753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2882A (ko) * 2013-07-26 2015-02-0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서버, 감시 서버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감시 시스템
KR101538064B1 (ko) * 2015-02-05 2015-07-22 (주)씨앤에스아이 영상 통합관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영상 전송 및 공유 방법
KR101595966B1 (ko) 2016-01-05 2016-02-19 이철화 보안 전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쇄회로 텔레비젼 시스템
WO2016122003A1 (ko) * 2015-01-26 2016-08-04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이벤트 영상을 부분적으로 암호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85225A (ko) * 2018-01-10 2019-07-18 (주)아비요리퍼블릭 객체별 독립암호를 이용한 영상내 개인정보보호 방법
KR102129031B1 (ko) * 2020-02-27 2020-07-02 주식회사 지란지교데이터 동영상 내의 보안정보 비식별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4921B2 (en) * 2013-06-14 2019-11-12 Qualcomm Incorporated Tracker assisted image capture
CN104135605B (zh) * 2013-06-21 2015-08-0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拍照方法及装置
US9432390B2 (en) 2013-12-31 2016-08-30 Prometheus Security Group Global, Inc. Scene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s
CN103747258B (zh) * 2014-01-27 2015-02-04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高性能视频编码标准的加密处理方法
KR101564421B1 (ko) * 2014-05-02 2015-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EP3104598B1 (en) * 2015-06-08 2020-06-03 Teleste Oyj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ccess to a video content
CN105187770B (zh) * 2015-07-31 2019-04-16 深圳市哈工大交通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高安全性的图像处理平台
US9912838B2 (en) * 2015-08-17 2018-03-06 Itx-M2M Co., Ltd. Video surveillance system for preventing exposure of uninteresting object
US10192061B2 (en) 2017-01-24 2019-01-29 Wipro Limited Method and a computing device for providing privacy control in a surveillance video
CN107426533A (zh) * 2017-05-19 2017-12-01 国网天津市电力公司 一种基于视频加密压缩和影像识别的视频监控影像识别系统
GB2575021A (en) * 2018-06-20 2020-01-01 A Data Ltd Security device for networked camera system
US11782978B1 (en) * 2019-12-06 2023-10-10 Amazon Technologies, Inc. Techniques for storing and analyzing data
US20210152530A1 (en) * 2020-12-22 2021-05-20 Praveen Prasad Nair Tiered access to regions of interest in video frames
US11546141B1 (en) * 2021-03-23 2023-01-03 Amazon Technologies, Inc. Cryptographic protection for portions of media
KR20230023359A (ko) * 2021-08-10 2023-02-1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카메라 시스템
CN115225977B (zh) * 2022-06-29 2023-11-21 浪潮云信息技术股份公司 一种视频稀疏非对称加密方法
CN115134080B (zh) * 2022-08-25 2022-12-20 广州万协通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安全加密芯片的数据传输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5445A1 (en) * 2002-10-30 2004-05-06 Park Ho-Sang Apparatus for secured video signal transmission for video surveillance system
WO2006006081A2 (en) * 2004-07-09 2006-01-19 Emitall Surveillance S.A. Smart video surveillance system ensuring privacy
US20060137018A1 (en) * 2004-11-29 2006-06-2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secured surveillance data to authorized entities
KR100726138B1 (ko) 2005-07-26 2007-06-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시카메라의 오동작 감지 및 영상 암호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378295B1 (ko) 2009-12-18 2014-03-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의 프라이버시 마스킹 방법 및 장치
JP5269033B2 (ja) 2009-12-18 2013-08-21 韓國電子通信研究院 映像のプライバシーマスキング方法及び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2882A (ko) * 2013-07-26 2015-02-0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서버, 감시 서버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감시 시스템
WO2016122003A1 (ko) * 2015-01-26 2016-08-04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이벤트 영상을 부분적으로 암호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538064B1 (ko) * 2015-02-05 2015-07-22 (주)씨앤에스아이 영상 통합관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영상 전송 및 공유 방법
WO2016125974A1 (ko) * 2015-02-05 2016-08-11 주식회사 씨앤에스아이 영상 통합관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영상 전송 및 공유 방법
KR101595966B1 (ko) 2016-01-05 2016-02-19 이철화 보안 전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쇄회로 텔레비젼 시스템
KR20190085225A (ko) * 2018-01-10 2019-07-18 (주)아비요리퍼블릭 객체별 독립암호를 이용한 영상내 개인정보보호 방법
KR102129031B1 (ko) * 2020-02-27 2020-07-02 주식회사 지란지교데이터 동영상 내의 보안정보 비식별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29545B2 (en) 2015-01-06
US20130156185A1 (en)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7530A (ko) 영상 보안 전송 장치 및 방법과 그 수신 장치 및 방법
Padilla-López et al. Visual privacy protection methods: A survey
Senior et al. Enabling video privacy through computer vision
US10297126B2 (en) Privacy masking video content of alarm exceptions and mask verification
US20070296817A1 (en) Smart Video Surveillance System Ensuring Privacy
KR102219661B1 (ko) 대상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되는 이미지 프레임의 시퀀스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035299A (ko)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영상 보호처리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1722136A (zh) 保全系統及方法
Cheung et al. Protecting and managing privacy information in video surveillance systems
WO2011078074A1 (ja) 暗号化された画像を閲覧権者に応じた強度の不鮮明化処理を施した画像を出力することを特徴とする画像暗号化システム
CN110971933B (zh) 确保视频流的内容安全的视频捕获设备
US9615131B2 (en) System and method of motion detection on encrypted or scrambled video data streams
KR101951605B1 (ko) 영상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cctv 영상 보안 시스템
US201002596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KR101487461B1 (ko) 개인영상 정보보호 기능이 탑재된 얼굴인식 보안 관제 시스템
KR20140052243A (ko) 네트워크 데이터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
Fitwi et al. Privacy-preserving selective video surveillance
Kanwal et al. Preserving chain-of-evidence in surveillance videos for authentication and trust-enabled sharing
JP4112509B2 (ja) 画像暗号システム及び画像暗号方法
CN113038089B (zh) 智能识别的动态自解码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4414803B2 (ja) 監視システム
JP2005286849A6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CN110519562B (zh) 移动侦测方法、装置和系统
KR101677111B1 (ko) 보행자의 얼굴 검출 기반의 동적 객체 영상 프라이버시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KR102530463B1 (ko) 보행자 얼굴 검출 정보를 매개로 한 영상 보안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