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506A -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set up according to network available for receiver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set up according to network available for rece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506A
KR20130066506A KR1020120132606A KR20120132606A KR20130066506A KR 20130066506 A KR20130066506 A KR 20130066506A KR 1020120132606 A KR1020120132606 A KR 1020120132606A KR 20120132606 A KR20120132606 A KR 20120132606A KR 20130066506 A KR20130066506 A KR 20130066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network
commun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토모미 타키자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71516A external-priority patent/JP5873314B2/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712,53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30148540A1/en
Publication of KR2013006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5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call setting method and a device thereof according to a network usable to a receiving device is provided to perform a smooth call and to reduce traffic of a 3G network. CONSTITUTION: An call-sending device(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110), a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120), and a call-sending control unit(130).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via network.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sets up communication environment by receiving available network information of a call-receiving device from an external server when the call-sending device sets up a call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call-receiving device and an IP network. The call-sending control unit sets up a call through the IP network according to the set communication environment. [Reference numerals] (110) Communication unit; (120)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130) Call-sending control unit

Description

착신 장치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른 호 설정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set up according to network available for receiver}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establishment according to network available to called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set up according to network available for receiver}

본 발명은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해 통화를 수행할 때, 착신 장치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call set up)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a call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a called device when performing a call over an IP (internet protocol) network.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3G 회선(3 generation) 의 부하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통신 기능을 가진 PC, 휴대전화, 태블릿 단말 및 TV 등 장치의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면 인터넷상의 콘텐츠 등을 이용하기 쉽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량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의 통신량은 네트워크를 압박하고 있다. 특히 단말 장치에서 영상 통화를 수행할 때, 영상 통화의 품질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속도에 영향을 받기 쉽다. 따라서 단말 장치가 부하가 많이 걸린 3G 회선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영상 통화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With the spread of smart phones, the load on 3G lines (3 generation) is increasing. In addition, users of devices such as PCs, mobile phones, tablet terminals, and TVs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re increasing. In addition, since such devices are made easy to use contents on the Internet, for example, the amount of communication is increasing. Therefore, the traffic of these devices is pressing the network. In particular, when performing a video call in the terminal device, the quality of the video call is easily affected by the speed of the network used by the terminal device. Therefore, when the terminal device uses a heavily loaded 3G line, the terminal device may not use a video call smoothly.

또 패킷 통신 프로토콜의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전화 서비스(이하, IP전화라고 한다)가 알려져 있다. IP전화에는, P2P(Peer to Peer)기술을 베이스로 하여 기본적으로는 IP전화 단말끼리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것이 있다. 그리고 IP전화는 PC뿐 아니라 휴대전화, 태블릿 단말, 텔레비젼 등 사용할 수 있는 장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제3세대 휴대전화 회선(이하, 3G회선이라고 한다)에 접속되어 있는 장치는, IP전화로 영상 통화를 할 경우 데이터량이 많기 때문에 영상이나 음성이 끊긴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a telephone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P telephone) provided by using IP (Internet Protocol) of a packet communication protocol is known. Some IP telephones basically connect IP telephone terminals directly based on P2P (Peer to Peer) technology. And IP phones are increasing in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used, not only PCs, but also mobile phones, tablet terminals, and televisions. However, a device connected to a third generation mobile phone l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3G line) has a problem that video or audio is interrupted because of a large amount of data when making a video call with an IP phone.

또한, 사용자가 복수의 아이디(ID, identification)를 사용자가 소유한 단말 장치마다 할당하여 사용하고 있는 경우, 통화 가능하도록 활성화되어 있는 아이디 모두 통화 가능하다고 볼 수 없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자택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PC(personal computer)나 TV(television)가 사용하는 아이디로 로그인하여 통화 가능하도록 활성화 해두고 외출한 경우, 그 아이디는 착신 신호가 있어도 응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단말 장치와 호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In addition, when a user assigns and uses a plurality of IDs (IDs) for each terminal device owned by the user, all of the IDs activated to be able to call may not be considered to be available for call. For example, if a user logs in with an ID used by a personal computer (PC) or a television (television) that can be used at home, and the user is enabled to make a call, the ID cannot be answered even with an incoming call. There is a problem. Therefore,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for the user to set up a call with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IP 네트워크를 통해 통화를 수행할 때, 착신 장치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a call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a called device when performing a call over an IP network.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갖는 하나의 특징은, 발신 장치가 IP 네트워크를 통해서, 착신 장치와 호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착신 장치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통신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통신 환경에 따라 호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method for the originating device to establish a call with the destination apparatus over the IP network,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set according to the network available to the destination apparatus Making; And setting up a call according to the set communication environment.

더하여, 상기 통신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장치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사용 가능한 통화 방법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통화 방법 중 사용할 통화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 방법은 음성 통화 방법과 영상 통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tting of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may include: displaying available call methods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called device; And determining a call method to be used among the displayed call methods according to a user input, wherein the call method includes a voice call method and a video call method.

더하여, 상기 통신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장치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사용 가능한 통신 장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통신 장치 중 통화 요청을 전송할 통신 장치를 적어도 하나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통신 환경에 따라 호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통신 장치에 통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tting of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may include displaying a communication device available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destination device; Determin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to transmit a call request among the displayed communication devices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setting up a call according to the set communication environment includes transmitting a call request to the determined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더하여, 상기 통신 장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장치가 자택 내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자택 내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ing of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displaying a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using the in-home network if the called device may use the in-home network.

더하여, 상기 통신 장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장치가 공중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상기 공중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통신 장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ing of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display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using the public wireless network, if the destination device may use a public wireless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발신 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에 의한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의해 통화 방법 또는 통신 장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통화 방법 또는 통신 장치에 따라 호 설정하는 발신 장치(300)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의해 통화 방법 또는 통신 장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통화 방법 또는 통신 장치에 따라 호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통화 방법 또는 통신 장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통화 방법 또는 통신 장치에 따라 호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통화 시스템(1)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단말(11)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단말(31)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등록 장치(40)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단말(31)이 취득하여 관리하는 주소록 기억부(903)의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단말(31)의 표시부(907)에 표시되는 통화 기능 선택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통화 시스템(1a)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등록 장치(40a)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의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통화 시스템(1b)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의한 단말(11b)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의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setting up a call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a destin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call originating apparatus 100 for setting up a call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called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determines a call method or communication device by user input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called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ll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all method or communication device.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originating apparatus 300 to se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up a call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destin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 method for determining a call method or a communication device by user input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called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tting up a cal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all method or the communication device. Flowchart.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call method or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destin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tting up a cal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all method or communication devic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ll system 1 for establishing a call according to an available networ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rminal 11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rminal 31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registration device 4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ata in the address book storage unit 903 acquired and managed by the terminal 3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setup method according to an available networ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all function selection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907 of the terminal 3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ll system 1a for establishing a call according to an available network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registration device 40a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ll system 1b for establishing a call according to an available network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rminal 11b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setup method according to an available network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throughout the drawings.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ordinary or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shall properly define the terms of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호 설정이란, 네트워크의 발신 장치가 필요로 하는 주소 ID, 네트워크를 통한 경로 선택 및 착신 장치에 연결 허용 등을 포함한 2개 단말 간의 통신 회선 설정 처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발신 장치가 신호를 송출해서 네트워크를 경유, 착신 장치에 연결이 완료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Call setup refers to communication line setting processing between two terminals including an address ID required by the originating apparatus of the network, route selection through the network, and allowing connection to the terminating apparatus, and the originating apparatus sends out a signal to the network. Via, it refers to a series of processes that complete the connection to the called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setting up a call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a destin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시스템은 발신 장치(100)와 착신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for setting up a call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a called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lling device 100 and a called device 200.

발신 장치(100)와 착신 장치(2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이 가능한 장치가 될 수 있으며,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 TV(Smart TV),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lling device 100 and the called device 200 may be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through various types of networks used by a user, and may include a personal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mobile phone, a tablet PC, and a navigation device. navigation terminal, smart 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smart TV,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이때 발신 장치(100) 및 착신 장치(200)가 수행하는 통신 방법은 IP(internet protocol)를 사용한 통신 방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P2P(peer to peer) 또는 Push 형태의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by the calling device 100 and the called device 200 may be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n IP (internet protoc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 peer-to-peer or push-type communication method. can do.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발신 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call originating apparatus 100 for setting up a call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called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발신 장치(100)는 통신부(110), 통신 환경 설정부(120) 및 발신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origin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120, and an originating control unit 130.

통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exchange data through a network.

통신 환경 설정부(120)는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통신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는 착신 장치(200)의 네트워크 환경이 바뀔 때 마다, 착신 장치(200)가 외부의 서버로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여, 외부의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발신 장치(100)는 착신 장치(200)와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호 설정할 때,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 상기 착신 장치(200)의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 환경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환경에 따라 호 설정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120 may set a communi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destination apparatus 200. Whenever the network environment of the destination device 200 changes, the network available to the destination device 200 transmits the network information available to the destination device 200 to the external server, and the external server Can be stored in. Therefore, when the originating apparatus 100 sets up a call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ting apparatus 200 through the IP network, it sets up a communication environment by receiving available network information of the terminating apparatus 200 from the external server. And call can be set up according to the set communication environment.

발신 제어부(130)는 설정된 통신 환경에 따라 IP 네트워크를 통해 호 설정할 수 있다.The originating controller 130 may set up a call through an IP network according to the set communication environm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에 의한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의해 통화 방법 또는 통신 장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통화 방법 또는 통신 장치에 따라 호 설정하는 발신 장치(300)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3 determines a call method or communication device by user input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called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ll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all method or communication device.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originating apparatus 300 to set.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에 의한 발신 장치(300)는 통신부(310), 통신 환경 설정부(320), 발신 제어부(330) 및 디스플레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통신부(310), 통신 환경 설정부(320) 및 발신 제어부(330)는 도 2의 통신부(110), 통신 환경 설정부(120) 및 발신 제어부(130)와 대응되는 것으로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call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10, a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320, a call control unit 330, and a display unit 340. It may include. The communication unit 310,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320, and the outgoing control unit 330 of FIG. 3 correspond to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120, and the outgoing control unit 130 of FIG. 2. Will be omitted.

통신 환경 설정부(320)는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통신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통신 환경 설정부(320)는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최적의 통화 방법 또는 통신 장치를 결정하거나, 우선 순위에 따라 통화 방법 또는 통신 장치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320 may set a communi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destination apparatus 200.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320 determines an optimal call method or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called device 200, or displays a list of call methods or communication devices according to priorities, Can be decided accordingly.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있어서, 통신 환경 설정부(320)가 통화 방법 또는 통화 요청을 전송할 통신 장치를 결정하는 경우,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통신 방법 또는 통신 장치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통화 방법 또는 통신 장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음성 통화 및 영상 통화 중 발신 장치(300)에서 수행될 통화 방법 또는 통화 요청을 전송할 통신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설정될 수 있는 통화 방법은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통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320 determines a communication method or a communication device to transmit a call request, the communication method or the communication device has priority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destination device 200. By determining the rank and displaying the call method or communication device list according to the priorit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call method or a communication device to transmit a call request to be performed in the calling device 300 during a voice call and a video call according to a user input.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method that can be set is not limited to a voice call or a video call, but may include another call method.

통신 환경 설정부(320)가 통화 방법을 설정하는 경우,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가 3G 회선 또는 영상 통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네트워크이면, 통신 환경 설정부(320)는 음성 통화를 우선 순위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음성 통화 및 영상 통화 중 발신 장치(100)에서 수행될 통화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가 무선 LAN, LTE(long term evolution), 펨토셀(femtocell) 또는 영상 통화가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네트워크이면, 통신 환경 설정부(320)는 영상 통화를 우선 순위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음성 통화 및 영상 통화 중 발신 장치(100)에서 수행될 통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320 sets the call method, if the network available to the receiving device 200 is a 3G line or a network where video calls cannot be made smoothly,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320 performs a voice call. The display method may be displayed in the priority order and set a call method to be performed in the calling device 100 during a voice call and a video call according to a user input. If the network available to the destination apparatus 200 is a wireless LAN, a long term evolution (LTE), a femtocell, or a video call,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320 may prioritize the video call. The display method may determine a call method to be performed in the calling device 100 during a voice call and a video call according to a user input.

따라서, 발신 장치(300)는 착신 장치(100)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영상 통화를 수행할 지 음성 통화를 수행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originating apparatus 300 may determine whether to conduct a video call or a voice call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in the called device 100.

또한, 통신 환경 설정부(320)가 통화 요청을 전송할 통신 장치를 결정하는 경우, 통신 환경 설정부(320)는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착신 장치(200)의 사용자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통화 요청을 전송할 통신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착신 장치(200)는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장치로서,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320 determines the communication device to transmit the call request,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320 uses the network available to the destination device 200 to locate the user of the destination device 200. May be determined approximately, and a communication device to which a call request is to be transmitt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In this case, the called device 200 is a portable device capable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may include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and a smartphone.

착신 장치(200)가 자택 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을 사용할 수 있는 영역에 있는 경우, 착신 장치(200)의 사용자가 자택 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환경 설정부(320)는 상기 자택 내 무선 LAN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착신 장치(200)의 아이디와 동일한 아이디를 사용하는지 여부 또는 소정의 식별 정보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발신 장치(300)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통화 요청을 전송할 통신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아이디는 IP 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사용자의 아이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는 착신 장치(200)의 사용자와 동일하거나 관련이 있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통신 장치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택 내 무선 LAN은 상기 사용자의 자택 또는 상주 지역 내에서 사용되고 공중에 공개되지 않는 무선 LAN을 의미할 수 있으며, 통신 방식은 LAN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destination apparatus 200 is in an area where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in a home can be us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of the destination apparatus 200 is located in the home. Therefore,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320 may use the wireless LAN in the home, the list of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selec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using the same ID as the ID of the destination device 200 or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display apparatus may determine a communication device to transmit a call request according to a user input of the calling device 300. In this case, the ID may be an ID of a user used in an application capabl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IP.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mmunication device is used by a user who is the same as or related to the user of the destination apparatus 200. In addition, the wireless LAN in the home may mean a wireless LAN that is used in the home or resident area of the user and is not open to the public,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LAN, and may include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착신 장치(200)가 공중 무선 LAN을 사용할 수 있는 영역에 있는 경우, 착신 장치(200)의 사용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환경 설정부(320)는 휴대가 가능하고 상기 착신 장치(200)의 아이디와 동일한 아이디를 사용하거나 소정의 식별 정보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발신 장치(300)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화 요청을 전송할 통신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공중 무선 LAN은 공중에 공개된 주거 지역이 아닌 영역에서 사용되는 무선 LAN을 의미할 수 있으며, 통신 방식은 LAN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destination apparatus 200 is in an area where a public wireless LAN can be us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of the destination apparatus 200 has gone out.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320 is portable and displays a list of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selected by using the same ID as the ID of the called device 200 or according to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alling device 300. The communication device to which the call request for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user input of. The public wireless LAN may mean a wireless LAN used in an area other than a residential area open to the public,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LAN and may include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있어서, 통신 환경 설정부(320)가 통화 방법 또는 통신 장치를 결정하는 경우, 발신 장치(3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지 않고,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최적의 통화 방법 또는 통신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320 determines a call method or a communication device, a network usable to the called device 200 without receiving an input from a user of the calling device 3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ptimal call method or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통신 환경 설정부(320)는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영상 통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중 발신 장치(100)에서 수행될 통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320 determines whether a video call can be made smoothly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called device 200, and determines a call method to be performed in the calling device 100 during a voice call or a video call. Can be.

또한, 통신 환경 설정부(320)가 통화 요청을 전송할 통신 장치를 결정하는 경우, 착신 장치(200)가 자택 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을 사용할 수 있는 영역에 있는 경우, 통신 환경 설정부(320)는 상기 자택 내 무선 LAN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착신 장치(200)의 아이디와 동일한 아이디를 사용하는지 여부 또는 소정의 식별 정보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에 통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320 determines a communication device to transmit a call request, when the destination device 200 is in an area where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in a home can be used,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 320 may use the wireless LAN in the home and transmit a call request to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ame ID as the ID of the destination apparatus 200 or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used.

착신 장치(200)가 공중 무선 LAN을 사용할 수 있는 영역에 있는 경우, 통신 환경 설정부(320)는 휴대가 가능하고 상기 착신 장치(200)의 아이디와 동일한 아이디를 사용하는지 여부 또는 소정의 식별 정보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에 통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If the terminating device 200 is in an area where a public wireless LAN can be used,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320 is portable and uses the same ID as that of the terminating device 200 or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all request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통신 환경 설정부(320)는 발신 장치(300)가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더 고려할 수 있다. 즉, 발신 장치(300)와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가 영상 통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네트워크인 경우, 통신 환경 설정부(320)는 영상 통화를 우선 순위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발신 장치(100)에서 수행될 통화 방법을 결정하거나, 영상 통화가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320 may further consider a network that the originating apparatus 300 can use. That is, when the network available to the calling device 300 and the called device 200 is a network capable of making a video call smoothly,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320 displays the video call as a priority and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calling device 100 may determine a call method to be performed or set a video call to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발신 장치(300)의 사용자가 착신 장치(200)의 사용자와 통화를 시도하려고 할 때, 발신 장치(300)는 통화 요청을 전송할 통신 장치를 결정하여 동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에 통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착신 장치(200)의 사용자가 상기 통화 요청을 수신 받은 어느 하나의 통신 장치에서 통화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발신 장치(300)의 사용자는 착신 장치(200)의 사용자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user of the originating apparatus 300 tries to make a call with the user of the terminating apparatus 200, the originating apparatus 300 determines a communication device to transmit a call request and simultaneously The call request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In addition, when the user of the called device 200 accepts the call request from any one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the call request, the user of the calling device 300 may perform a call with the user of the called device 200. have.

따라서, 착신 장치(200)가 TV나 PC와 같이 휴대 가능한 장치가 아닌 경우에,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장치를 기준으로 착신 장치(200)의 사용자의 대략적인 위치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휴대 장치에도 통화 요청을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착신 장치(200)의 사용자가 외출 중이어서 휴대 가능하지 않은 통신 장치에 통화 요청이 와도, 휴대 장치에서 통화 요청을 수신하여 발신 장치(300)의 사용자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alled device 200 is not a portable device such as a TV or a PC, the approximate position of the user of the called device 200 is determined based on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thus the user's portable device may be determined.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transmit a call request, even when a call request arrives at a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not portable because the user of the destination apparatus 200 is out, the mobile device receives the call request and talks with the user of the originating device 300. Can be performed.

발신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에 통화 요청을 전송하고, 응답 신호를 전송한 통신 장치를 착신 장치(200)로 설정하여 발신 장치(300)가 착신 장치(200)와 호 설정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originating control unit 330 transmits a call request to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and sets th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as the destination device 200 so that the originating device 300 can establish a call with the destination device 200. Can be controlled.

디스플레이부(340)는 우선 순위에 따라 생성된 통화 방법 또는 통신 장치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40 may display a call method or a communication device list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iority.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up a call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destin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발신 장치(100)의 통신 환경 설정부(120)는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통신 환경을 설정하고(S401), 설정된 통신 환경에 따라 발신 제어부(130)에 의해 착신 장치(200)와 호 설정할 수 있다(S40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발신 장치(100)는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최적의 통신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120 of the caller 100 set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caller 200 (S401), and the call controller 130 according to the set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call can be set up with the destination apparatus 200 (S4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originating apparatus 100 may set an optimal communi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terminating apparatus 200.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의해 통화 방법 또는 통신 장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통화 방법 또는 통신 장치에 따라 호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5 illustrates a method for determining a call method or a communication device by user input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called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tting up a cal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all method or the communication device. Flowchart.

발신 장치(300)는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사용 가능한 통신 장치와 통화 방법 목록을 우선 순위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501). 그리고 발신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발신 장치(300)가 통화 요청을 전송할 통신 장치와 통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S503). 발신 장치(300)는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에 통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505). 발신 장치(300)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S507), 발신 장치(300)는 최초로 수신된 응답 신호를 전송한 통신 장치를 착신 장치(200)로 설정하고, 결정된 통화 방법에 따라 착신 장치(200)와 호 설정하여 통화할 수 있다(S509).The calling device 300 may display a list of available communication devices and call methods according to priorities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called device 200 (S501). In addition, the calling device 300 may determine a call method and a communication device to which the calling device 300 transmits a call request according to a user input (S503). The originating device 300 may transmit a call request to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S505). When the calling device 300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S507), the calling device 300 sets the communication device which first transmitted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as the called device 200 and determines the determined call. According to the method, a call can be established and set up with the destination apparatus 200 (S509).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통화 방법 또는 통신 장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통화 방법 또는 통신 장치에 따라 호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call method or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destin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tting up a cal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all method or communication device.

발신 장치(300)는 착신 장치(200)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최적의 통신 장치와 통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S601). 발신 장치(300)는 결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에 통화 요청을 전송한다(S603). 발신 장치(300)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S605), 발신 장치(300)는 최초로 수신된 응답 신호를 전송한 통신 장치를 착신 장치(200)로 설정하고 결정된 통화 방법에 따라 호 설정 후 착신 장치(200)와 통화할 수 있다(S607).The calling device 300 may determine an optimal communication device and a call method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called device 200 (S601). The originating device 300 transmits a call request to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S603). When the calling device 300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S605), the calling device 300 sets the communication device that first transmitted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as the called device 200 and determines the call method. After the call is set according to the call to the device 200 can be called (S607).

이하 본 발명의 제4 내지 제6 실시 예에 의한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등록 장치를 더 포함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setting up a call according to an available network further including a registration device capable of storing information of terminals performing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to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통화 시스템(1)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ll system 1 for establishing a call according to an available networ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통화 시스템(1)은, 제1 시스템(10), 제1 네트워크(20), 제2 시스템(30), 등록 장치(40), 단말(50), 기지국(60), 제2 네트워크(70), 관문 교환기(80) 및 공중 무선 LAN장치(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call system 1 includes a first system 10, a first network 20, a second system 30, a registration device 40, a terminal 50, a base station 60, A second network 70, a gateway switch 80, and a public wireless LAN device 90 may be included.

발신자측(발신원)의 단말(31)은, 착신측(발신처) 단말(11, 12, 50)이 접속되어 있는 회선 정보를 등록 장치(40)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The terminal 31 of the caller side (caller) can acquire the line information to which the called party (caller) terminals 11, 12, and 50 are connected from the registration device 40.

그리고 단말(31)은, 취득한 착신측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회선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단말(31)은, 선택한 통신 모드(또는 통화 모드)를 사용하여 착신측 단말에 발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드를 선택하는 것은 단말(31)이 통신 시 사용할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착신 단말, 영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로 통화할 것인지 선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inal 31 can select the communication mode based on the obtained line information to which the called terminal is connected. The terminal 31 can transmit to the called terminal using the selected communication mode (or call mode). In this case, the selection of the communication mode may mean whether the terminal 31 selects a network to be used for communication, a destination terminal to perform communication, a video call or a voice call.

제1 시스템(10)은, 예를 들면 가정 내에 설치되어 있는 인트라넷으로서, 단말(11), 단말(12) 및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장치(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ystem 10 is, for example, an intranet installed in a home, and may include a terminal 11, a terminal 12, and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device 13.

단말(11) 및 단말(12)는 각각 패킷 통신 프로토콜의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전화 서비스(이하, IP전화라고 한다)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단말(11)은, 예를 들면 PC(Personla Computer)로서 무선 LAN규격의 통신을 사용하여 무선 LAN장치(13)에 접속되어 있다. 단말(12)은, 예를 들면 텔레비젼(이하, TV라고 한다)으로서, 무선 LAN규격의 통신을 사용하여 무선 LAN장치(13)에 접속되어 있다.The terminal 11 and the terminal 12 may each have a function of telephone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P telephone) provided by using an IP (Internet Protocol) of a packet communication protocol. The terminal 11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LAN apparatus 13 using, for example, communication of a wireless LAN standard as a personal computer (PC). The terminal 12 is, for example, a televi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V) and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LAN apparatus 13 by using wireless LAN standard communication.

무선 LAN장치(13)는, 무선 LAN규격에 기초한 통신을 하는 라우터(Router)기능을 가질 수 있다. 무선 LAN장치(13)에는 단말(11) 및 단말(12)가 접속되어 있다. 또 무선 LAN장치(13)에는, 단말(50)이 제1 시스템(10)의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단말(50)도 접속될 수 있다. 무선 LAN장치(13)는, 무선 LAN 장치(13)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11) 및 단말(12)와 제1 네트워크(20)가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다.The wireless LAN device 13 may have a router function for communicating based on the wireless LAN standard. The terminal 11 and the terminal 12 are connected to the wireless LAN apparatus 13. In addition, the terminal 50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LAN apparatus 13 when the terminal 50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first system 10. The wireless LAN device 13 can be connected so that the terminal 11 and the terminal 12 and the first network 20 connected to the wireless LAN device 13 can be mutually connected.

제1 네트워크(20)는, 예를 들면 인터넷일 수 있다.The first network 20 may be, for example, the Internet.

제2 시스템(30)은, 예를 들면 가정 내에 설치되어 있는 인트라넷으로서, 단말(31) 및 라우터(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ystem 30 may include, for example, a terminal 31 and a router 32 as an intranet installed in a home.

단말(31)은, 예를 들면 PC로서, LAN케이블에 의해 라우터(32)에 접속되어 있다.The terminal 31 is connected to the router 32 by LAN cable, for example, as a PC.

라우터(32)는, 라우터(32)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31)과 제1 네트워크(20)가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다.The router 32 may be connected so that the terminal 31 connected to the router 32 and the first network 20 can be interconnected.

등록 장치(40)는, 예를 들면 서버로서, 단말(11), 단말(12), 단말(50), 단말(31)의 IP전화용 ID정보, 기종 정보 및 재권(service area)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기종 정보란, 단말(11), 단말(12), 단말(50), 단말(31)의 기종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TV, PC,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 등이다. 재권 정보란, 단말(11), 단말(12), 단말(50), 단말(31)이 이용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종별, 즉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재권 정보란, 예를 들면 자택 무선 LAN(제1통신 방식)에 의한 접속(이하, 자택 무선 LAN접속이라고 한다), 공중 무선 LAN(제2통신 방식)에 의한 접속(이하, 공중 무선 LAN접속이라고 한다), 3G(제3세대)회선(제3통신 방식)에 의한 접속(이하, 3G회선 접속이라고 한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D정보란, 제1 시스템(10), 및 제2 시스템(30)의 이용자가 계약한 IP전화를 제공하고 있는 회사가 발행한 식별 번호이다.The registration device 40 stores, for example, a terminal 11, a terminal 12, a terminal 50, ID information for IP phones, model information, and service area information of the terminal 31 as a server. Can be. Model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garding the model of the terminal 11, the terminal 12, the terminal 50, and the terminal 31, for example, a TV, a PC, a smart phone, a tablet terminal, etc. The renegoti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the network used by the terminal 11, the terminal 12, the terminal 50, and the terminal 31, that is, a communication method. Financial rights information is, for example, connection by home wireless LAN (first communication method) (hereinafter called home wireless LAN connection) and connection by public wireless LAN (second communica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ublic wireless LAN connection). And 3G (third generation) line (third communication method) conn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3G line connection). The ID information is an identification number issued by the company providing the IP telephone contracted by the user of the first system 10 and the second system 30.

단말(5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다. 단말(50)은, 제1 시스템(10)내의 소정 범위안에 있는 경우 무선 LAN장치(13)에 접속된다. 또는 단말(50)은, 공중 무선 LAN내의 소정 범위안에 있는 경우 공중 무선 LAN장치(90)에 접속된다. 또는 단말(50)은 3G회선의 기지국(60)에 접속된다.The terminal 50 is a smartphone, for example. The terminal 5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LAN apparatus 13 when it is in the predetermined range in the 1st system 10. FIG. Or the terminal 50 is connected to the public wireless LAN apparatus 90, when it is in the predetermined range in a public wireless LAN. Alternatively, the terminal 50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60 of the 3G line.

기지국(60)은, 무선 단말과의 사이에서 3G회선에 의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장치이다. 기지국(60)은 제2 네트워크(70)에 접속되어 있다.The base station 60 is an apparatu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by 3G line with a wireless terminal. The base station 60 is connected to the second network 70.

제2 네트워크(70)는, 3G회선의 네트워크이다.The second network 70 is a network of 3G lines.

관문 교환기(80)는, 제2 네트워크(70)에서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20)에서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고, 교환한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20)에 송신한다. 또는 관문 교환기(80)는, 제1 네트워크(20)에서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를 제2 네트워크(70)에서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고, 교환한 데이터를 제2 네트워크(70)에 송신한다.The gateway exchange 80 converts data used in the second network 70 into data used in the first network 20, and transmits the exchanged data to the first network 20. Alternatively, the gateway exchange 80 converts data used in the first network 20 to data used in the second network 70, and transmits the exchanged data to the second network 70.

공중 무선 LAN장치(90)는, 예를 들면 공공 시설, 역, 음식점(점포) 등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LAN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The public wireless LAN apparatus 90 is a device which can use the Internet connection service using the wireless LAN installed in public facilities, a station, a restaurant (store), for example.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단말(11)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rminal 11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단말(11)은, 송수신부(801), 회선 정보 취득부(802), 고유 정보 기억부(803), 단말 정보 송신부(804), 통화 수단 제어부(805), 음성 통화부(806) 및 영상 통화부(80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terminal 11 includes a transceiver 801, a lin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802, a unique information storage unit 803, a terminal information transmitter 804, a call means control unit 805, and a voice call. The unit 806 and the video call unit 807 may be included.

아울러 단말(12) 및 단말(50)도 도 8의 단말(11)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12 and the terminal 50 may also include components included in the terminal 11 of FIG. 8.

송수신부(801)는 무선 LAN장치(13)를 통해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transceiver 801 transmits and receives a transmission signal and a reception signal through the wireless LAN device 13.

회선 정보 취득부(802)는, 송수신부(801)를 통해 단말(11)이 접속되어 있는 회선의 종별을 취득하고, 취득한 회선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재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회선 정보 취득부(802)는, 생성한 재권 정보를 단말 정보 송신부(804)로 전달할 수 있다.The lin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802 can acquire the type of the line to which the terminal 11 is connected via the transceiver unit 801, and can generate the renegoti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the acquired line. The lin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802 can transfer the generated reciprocal information to the terminal information transmitter 804.

고유 정보 기억부(803)에는, 단말(11)의 IP전화용 ID정보로서 이용자 고유 정보 및 기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unique information storage unit 803 can store user unique information and model information as the ID information for the IP telephone of the terminal 11.

아울러 단말(12)의 고유 정보 기억부(803)는, 단말(12)의 IP전화용 ID정보 및 기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50)의 고유 정보 기억부(803)는, 단말(50)의 IP전화용 ID정보 및 기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ique information storage unit 803 of the terminal 12 can store the ID information for the IP telephone and the mode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2. The unique information storage unit 803 of the terminal 50 can store the ID information for the IP telephone and the mode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50.

단말 정보 송신부(804)는, 고유 정보 기억부(803)로부터 단말(11)의 ID정보 및 기종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단말 정보 송신부(804)는, 취득한 ID정보 및 단말(11)의 기종 정보와, 회선 정보 취득부(802)로부터 받은 재권 정보를 관련시켜 송수신부(801)를 통해 등록 장치(40)에 전송할 수 있다.The terminal information transmitter 804 can acquire the ID information and the mode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 from the unique information storage unit 803. The terminal information transmitter 804 can transmit the acquired ID information, the mode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 and the renegoti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in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802 to the registration device 40 through the transceiver 801. have.

통화 수단 제어부(805)는, 송수신부(801)을 통해 발신측 단말(31)에서 송신된 송신 신호로부터 통화 모드를 추출한다. 통화 수단 제어부(805)는, 추출한 통화 모드에 기초하여 음성 통화부(806) 또는 영상 통화부(807)를 선택하고, 선택한 통화부를 사용하여 통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all means control unit 805 extracts the call mode from the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riginating terminal 31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801. The call means control unit 805 may select the voice call unit 806 or the video call unit 807 based on the extracted call mode, and control to call using the selected call unit.

음성 통화부(806)는, 통화 수단 제어부(805)의 제어에 따라 음성으로만 통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voice call unit 806 may control to call only by vo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all means control unit 805.

영상 통화부(807)은, 통화 수단 제어부(805)의 제어에 따라 음성과 영상으로 통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video call unit 807 may control to make a voice call and a video call under the control of the call means control unit 805.

아울러 단말(11, 12, 50)이, 제2 네트워크와 직접 접속 가능한 단말인 경우, 도 8의 송수신부(801)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s 11, 12, and 50 are terminals tha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network, the transceiver 801 of FIG. 8 may transmit and receive transmission signals and reception signals through an antenna (not shown).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단말(31)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rminal 31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단말(31)은, 송수신부(901), 단말 정보 취득부(902), 주소록 기억부(903), 통화 수단 제어부(904), 음성 통화부(905), 영상 통화부(906), 표시부(907) 및 입력부(908)를 포함할 수 있다.9, the terminal 31 includes a transceiver 901, a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902, an address book storage unit 903, a call means control unit 904, a voice call unit 905, and a video call unit. 906, a display unit 907, and an input unit 908.

송수신부(901)는, 라우터(32)를 통해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transceiver 901 transmits and receives a transmission signal and a reception signal through the router 32.

단말 정보 취득부(902)는, 등록 장치(40)로부터 착신자의 ID정보에 관련되어 등록되어 있는 각 단말의 재권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단말 정보 취득부(902)는, 취득한 재권 정보를 통화 수단 제어부(904)에 전달할 수 있다.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902 can acquire the subtitle information of each terminal registered in association with the ID information of the called party from the registration device 40. 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902 can transfer the acquired renegotiation information to the call means control unit 904.

주소록 기억부(903)에는, 착신자 정보, ID정보 및 기종 정보가 관련되어 저장되어 있다.In the address book storage unit 903, called party information, ID information and model information a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통화 수단 제어부(904)는, 단말 정보 취득부(902)가 출력하는 재권 정보와, 주소록 기억부(903)에서 독출한 착신자 정보, ID정보 및 기종 정보를 관련시키고, 관련시킨 정보를 표시부(907)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화 수단 제어부(904)는, 이용자가 입력부(908)를 통해 선택한 통신 기능에 기초하여 음성 통화부(905) 또는 영상 통화부(906)을 선택하고, 선택한 통화부를 사용하여 통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all means control unit 904 associates the resident rights information output from 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902 with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ID information, and model information read out from the address book storage unit 903, and displays the associated information. ) Can be displayed. The call means controller 904 may select the voice call unit 905 or the video call unit 906 based on the communication functi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908, and control the call to be made using the selected call unit. .

음성 통화부(905)는, 통화 수단 제어부(904)의 제어에 따라 음성으로만 통화하도록 제어한다.The voice call unit 905 controls to call only by vo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all means control unit 904.

영상 통화부(906)는, 통화 수단 제어부(904)의 제어에 따라 음성과 영상으로 통화하도록 제어한다.The video call unit 906 controls to make a voice call and a video call under the control of the call means control unit 904.

표시부(907)는, 예를 들면 모니터이다. 입력부(908)는, 예를 들면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이다. 아울러 표시부(907)가 터치 패널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표시부(907)는 입력부(908)을 겸비하도록 해도 좋다.The display unit 907 is a monitor, for example. The input unit 908 is, for example, a keyboard or a mouse.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unit 907 has a touch panel function, the display unit 907 may also have an input unit 908.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등록 장치(40)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registration device 4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등록 장치(40)는, 각 단말의 정보를 ID정보, 기종 정보 및 재권 정보로 구분하여 표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registration device 40 may divide information of each terminal into ID information, model information, and renegotiation information, and store the information in a table format.

예를 들면, 도 10의 2번째 줄을 참조하면, 단말(11)에 관한 정보는, ID정보가 ID-1이고, 기종 정보가 PC이고, 재권 정보가 자택 무선 LAN접속이다.For example, referring to the second line of FIG. 10, the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11 is ID information is ID-1, model information is a PC, and resident information is home wireless LAN connec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단말(31)이 취득하여 관리하는 주소록 기억부(903)의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ata in the address book storage unit 903 acquired and managed by the terminal 3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주소록 기억부(903)에는, 착신자 정보(예를 들면 이름), 착신자가 가지고 있는 ID정보, 그 ID정보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종 정보가 관련되어 저장될 수 있다. ID정보, 그 ID정보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종 정보는, 예를 들면 미리 착신자로부터 발신자에게 전자 메일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n the address book storage unit 903, called party information (e.g., name), ID information owned by the called party, and model information used in the ID information can be stored. The ID information and the model information used in the I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from the called party to the sender in advance by e-mail or the like, for example.

또 주소록 기억부(303)에는, 이와 같이 관련되어 있는 정보가 착신자 별로 저장될 수 있다.In the address book storage unit 303, the related information can be stored for each called party.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setup method according to an available networ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스텝 S1에서, 착신자는, 사용하고 있는 단말(11), 단말(12), 단말(50)의 IP전화용 ID정보, 기종 정보 및 재권 정보를, 제1 네트워크(20) 및 제2 네트워크(70)를 통해 등록 장치(40)에 등록한다. 예를 들면 단말(11)의 단말 정보 송신부(804)는, 회선 정보 취득부(802)가 취득한 재권 정보와, 고유 정보 기억부(803)에서 독출한 ID정보 및 기종 정보를 관련시켜 등록 장치(40)에 전송한다.In step S1, the called party uses the terminal 11, terminal 12, and IP telephone ID information, model information, and the re-authoriz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50, and the first network 20 and the second network 70. Is registered in the registration device 40 through the. For example, the terminal information transmitter 804 of the terminal 11 associates the copyright information acquired by the lin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802 with the ID information and the model information read out from the unique information storage unit 803 and registers ( 40).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예에서는, 단말(11)의 기종 정보는 PC이고, ID정보는 ID-1이고, 재권 정보는 자택 무선 LAN접속이다. 단말(12)의 기종 정보는 TV이고, ID정보는 ID-2이고, 재권 정보는 자택 무선 LAN접속이다. 단말(50)의 기종 정보는 스마트폰이고, ID정보는 ID-3이고, 재권 정보는 3G회선 접속이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and FIG. 10, the mode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 is a PC, the ID information is ID-1, and the financial information is a home wireless LAN connection. The mode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2 is TV, the ID information is ID-2, and the financial information is home wireless LAN connection. The mode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50 is a smartphone, the ID information is ID-3, and the financial information is a 3G line connection.

스텝 S2에서, 등록 장치(40)는, 단말(11), 단말(12), 단말(50)에서 송신된 IP전화용 ID정보, 기종 정보 및 재권 정보를 관련시켜 기억부에 등록한다.In step S2, the registration device 40 registers the ID information for the IP telephone, the model information, and the re-authoriz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1, the terminal 12, and the terminal 50 in association with the storage unit.

아울러 자택 무선 LAN회선인지 공중 무선 LAN회선인지는, 착신자가 각 단말에서 수동으로 등록 장치(40)에 등록할 수 있다. 또는 각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거친 서버의 이름을 등록 장치(40)가 판별하여 등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er can manually register with the registration device 40 at each terminal whether it is a home wireless LAN line or a public wireless LAN line. Alternatively, the registration apparatus 40 may determine and register the name of the server having rough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terminal.

스텝 S3에서, 발신자는, 단말(31)의 주소록 기억부(903)에서 착신자를 선택한다. 그리고, 단말(31)의 단말 정보 취득부(902)는, 선택된 착신자에 관련되어 기억되어 있는 ID정보를 주소록 기억부(903)에서 추출한다. 다음으로, 단말 정보 취득부(902)는, 추출한 ID 정보 별 재권 정보를 문의하기 위해 등록 장치(40)로 추출한 ID정보와 재권 정보의 요청를 전송한다.In step S3, the caller selects the called party from the address book storage unit 903 of the terminal 31. 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902 of the terminal 31 extracts, from the address book storage unit 903, ID information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selected called party. Next, 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902 transmits the request for the extracted ID information and the re-authorization information to the registration device 40 in order to inquire the re-authorization information for each extracted ID information.

다음으로, 등록 장치(40)는, 단말(31)로부터 수신한 ID정보와 재권 정보의 요청에 기초하여 ID 정보 별 재권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ID 정보 별 재권 정보를 단말(31)로 전송한다.Next, the registration device 40 extracts the reciprocal information for each ID information based on the request for the ID information and the renegoti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31, and transmits the extracted reciprocal information for each I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31. .

구체적으로는, 발신자는 도 11에 도시한 표 중에서 착신자(A)를 선택한다. 단말 정보 취득부(902)는, 착신자(A)에 관련되어 기억되어 있는 ID정보(ID-1∼ID-3)를 추출한다. 단말 정보 취득부(902)는, 추출한 ID정보(ID-1∼ID-3)와 재권 정보의 요청을 등록 장치(40)로 전송한다. 등록 장치(40)는, 단말(31)로부터 수신한 ID정보(ID-1∼ID-3)와 재권 정보의 요청에 기초하여 도 10의 표 중에서, 예를 들면 ID-1에 관련되어 기억되어 있는 재권 정보인 '자택 무선 LAN 접속'을 추출한다. 등록 장치(40)는, 추출한 재권 정보 '자택 무선 LAN 접속'과 ID-1을 관련시켜 단말(31)에 송신한다.Specifically, the caller selects the called party A from the table shown in FIG. 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902 extracts ID information (ID-1 to ID-3)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called party A. FIG. 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902 transmits the extracted ID information (ID-1 to ID-3) and the request for the re-authorization information to the registration device 40. The registration device 40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for example, ID-1 in the table of FIG. 10 based on the request of the ID information (ID-1 to ID-3) and the re-authoriz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31. Extracts home wireless LAN connection information. The registration device 40 associates the extracted resident rights information "home wireless LAN connection" with ID-1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31.

스텝 S4에서, 단말 정보 취득부(902)는, 등록 장치(40)로부터 취득한 재권 정보와, 주소록 기억부(903)에 기억되어 있는 착신자 정보 및 ID정보를 관련시킨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단말 정보 취득부(902)는, 생성한 표시 정보를 단말(31)의 표시부(907)에 표시한다. In step S4, 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part 902 produces | generates the display information which correlated the resident rights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registration apparatus 40,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stored in the address book storage 903, and ID information. 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902 displays the generated display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907 of the terminal 31.

스텝 S5에서, 발신자는, 표시부(907)위에 표시된 착신자의 각 ID의 재권 정보를 보면서 각 ID정보에 대해 입력부(908)를 사용하여 통화 기능을 선택한다. 통화 기능이란,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이다.In step S5, the caller selects the call function using the input unit 908 for each ID information while looking at the re-authorization information of each ID of the called part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907. The call function is a voice call or a video call.

도 13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단말(31)의 표시부(907)에 표시되는 통화 기능 선택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all function selection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907 of the terminal 3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 화면에는 착신자 정보, 착신자의 ID정보, 등록 장치(40)로부터 취득한 재권 정보 및 통화 기능 선택부가, 예를 들면 표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display screen may display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the called party ID information, the resident rights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registration device 40, and the call function selection unit, for example in a tabular format.

도 13에 도시한 예에서 발신자는, ID-1은 제1 시스템(10), 즉 자택에서 사용되어 무선 LAN환경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발신자는, ID-1의 통화 기능으로서 영상 통화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발신자는, ID-2가 ID-1과 동일하게 자택에서 사용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ID-2의 통화 기능으로서 영상 통화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착신자는, ID-3가 3G회선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영상의 송수신이 끊길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발신자는 ID-3의 통화 기능으로서 음성 통화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발신자는, 착신자(통화 상대)의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정보의 재권 정보에 대응하여 통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3, the caller judges that the ID-1 can transmit and receive images because the ID-1 is used in the first system 10, i.e., connected to the wireless LAN environment. Therefore, the caller can select a video call as the call function of ID-1. The caller can then determine that ID-2 is being used at home, similar to ID-1, and select the video call as the call function of ID-2. Next, the called party judges that video transmission and reception may be interrupted because ID-3 is connected via a 3G line. Thus, the caller can select a voice call as the call function of ID-3. That is, the caller can select the call function in response to the reciprocal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network to which the terminal of the called party (call partner) is connected.

또는 착신자가 제1 시스템(10)안에 머물러 단말(50)이 제1 시스템(10)안에 있는 경우, 단말(50)은 무선 LAN장치(13)를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접속한다. 이와 같이 단말(50)의 재권 정보가 자택 무선 LAN회선인 경우, 발신자는, 착신자가 자택에 있다고 판단하여 단말(50)의 통화 기능으로서 영상 통화를 선택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called party stays in the first system 10 and the terminal 50 is in the first system 10, the terminal 50 automatically detects and connects to the wireless LAN apparatus 13. In this way, when the financi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50 is a home wireless LAN line, the caller may determine that the called party is at home and select a video call as a call function of the terminal 50.

스텝 S6에서, 단말(31)의 통화 수단 제어부(304)는, 같은 재권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ID에 대해, 선택된 통화 기능에 기초하여 발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11)(ID-1), 단말(12)(ID-2) 및 단말(50)(ID-3)의 재권 정보가 모두 자택 무선 LAN접속인 경우, 통화 수단 제어부(904)는, ID-1, ID-2 및 ID-2에 대해 영상 통화부(906)를 사용하여 영상 통화를 하는 통화 모드로 발호할 수 있다. 아울러 통화 수단 제어부(904)가, 음성 통화부(905) 또는 영상 통화부(906)를 사용하여 행하는 송신 신호에는 통화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In step S6, the call means control unit 304 of the terminal 31 can call at least one or more IDs having the same financial information based on the selected call function. For example, when the right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 (ID-1), the terminal 12 (ID-2), and the terminal 50 (ID-3) are all home wireless LAN connections, the call means control unit 904 ) May call in a call mode in which a video call is made using the video call unit 906 for ID-1, ID-2, and ID-2.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means performed by the call means control unit 904 using the voice call unit 905 or the video call unit 906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e call mode.

스텝 S7에서, 통화 수단 제어부(904)는, 발호에 대한 착호(incoming call)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착호가 있는 경우, 스텝 S8로 진행한다. 착호가 없는 경우, 스텝S6으로 진행하여 미리 정해져 있는 횟수 또는 기간에 발호를 계속한다.In step S7, the call means control unit 904 determines whether there has been an incoming call to the call. If there is a call, the flow proceeds to step S8. If there is no incoming call, the flow advances to step S6 to continue calling for a predetermined number or period of time.

스텝 S8에서, 착호가 있는 경우, 통화 수단 제어부(904)는 착호가 있는 단말 이외로의 발호를 정지한다. 다음으로, 통화 수단 제어부(904)는, 착호가 있는 단말과의 통화를, 설정한 통화 기능에 의해 실행한다.In step S8, when there is a call, the call means control unit 904 stops the call to other than the called terminal. Next, the call means control unit 904 executes a call with the called terminal by the set call function.

착신측 단말(단말(11), 단말(12), 또는 단말(50))의 통화 수단 제어부(805)는, 단말(31)에서 송신된 송신 신호로부터 통화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한다. 통화 수단 제어부(805)는, 추출한 통화 모드에 기초하여 음성 통화부(806) 또는 영상 통화부(807)을 사용하여 발신측 단말(31)과 통화할 수 있다.The call means control unit 805 of the called terminal (terminal 11, terminal 12, or terminal 50) extracts information indicating the call mode from the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from terminal 31. The call means control unit 805 can communicate with the calling party terminal 31 using the voice call unit 806 or the video call unit 807 based on the extracted call mod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발신자 측에서, 착신자가 가지고 있는 ID 정보별 재권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재권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 기능을 선택하여 발호할 수 있다. 따라서 착신자가 가지고 있는 단말이 3G회선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음성 통화를 하는 모드에서 발호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통화가 끊기지 않아 원활한 통화를 할 수 있다. 또 자택 무선 LAN 또는 공중 무선 LAN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발신측에서 영상 통화를 하는 모드에서 발호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LAN을 경유하기 때문에 영상을 송수신해도 통화가 끊기지 않아 원활한 통화를 할 수 있다. 또 단말이 3G회선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상 통화가 아닌 음성 통화를 함으로써, 3G회선의 트래픽을 경감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er may acquire the re-entry information for each ID information owned by the called party, and select and call a call function based on the acquired re-entry information. Therefore, when the terminal possessed by the called party is connected to the 3G line, since the call is made in the voice call mode, the call is not interrupted and thus smooth communication is possible. When connected to a home wireless LAN or a public wireless LAN, the call can be made in a video call mode at the calling party. In this case, since the cal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LAN, the call is not interrupted and smooth calls can be made. When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3G line, by making a voice call instead of a video call, the traffic of the 3G line can be reduced.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발신자가 이용하는 단말로서 단말(31)이 PC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단말(31)은, IP전화 기능을 가진 TV,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 등이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in which the terminal 31 is a PC as a terminal used by the caller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terminal 31 may be a TV, a smartphone, a tablet terminal, or the like having an IP telephone function.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발신자가 착신자의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통화 기능을 선택하는 예를 설명했으나, 발신자의 단말(31)이, 착신자의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통화 기능을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caller selects a call function in response to a network to which the called party's terminal is connected has been described, but the caller's terminal 31 is connected to a network to which the called party's terminal is connected. In response, the call function may be selected.

발신자의 단말(31)이, 착신자의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통화 기능을 선택하는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재권 정보는, 자택 무선 LAN회선, 공중 무선 LAN회선 및 3G회선에 추가하여, 통신 사용 요금이 유료인 무선 LAN환경의 회선, 발신자에 대해 착신자가 해외의 네트워크인 회선이어도 좋다. 즉 재권 정보는, 발신자의 단말이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좋다.An example in which the caller's terminal 31 selects a call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network to which the called party's terminal is connected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home wireless LAN line, the public wireless LAN line, and the 3G line, the information for the re-rights may be a line of a wireless LAN environment where a communication fee is paid and a line of which the receiver is an overseas network. In other words, the renegoti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a state in which the caller's terminal is used.

착신자의 단말이 통신 속도가 고속이면서 통신 요금이 저렴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단말(31)은, 넉넉한 데이터 사이즈의 통신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called party's terminal is connected to a network having a high communication speed and a low communication rate, the terminal 31 can control to communicate with a sufficient data size.

착신자의 단말이 통신 요금이 비싼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단말(31)은, 작은 데이터 사이즈의 통신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called party's terminal is connected to a network having a high communication fee, the terminal 31 can control to communicate with a small data size.

착신자의 단말이 통신 속도가 저속인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단말(31)은, 작은 데이터 사이즈의 통신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called party's terminal is connected to a network having a low communication speed, the terminal 31 can control to communicate with a small data size.

아울러 도 13에 도시한 통화 기능 선택 화면에서, 재권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 기능 초기치를 설정해 놓고, 발신자는, 변경이 있는 경우에만 통화 기능을 전환하도록 해도 좋다. 통화 기능의 초기치는, 예를 들어 자택 무선 LAN접속 및 공중 무선 LAN접속에 대해서는 영상 통화를 설정하고, 3G회선에 대해서는 음성 통화를 설정해 두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call function selection screen shown in Fig. 13, the call function initial value may be set based on the resident authority information, and the caller may switch the call function only when there is a change. For example, the initial value of the call function may be set to video call for home wireless LAN connection and public wireless LAN connection, and to set voice call for 3G line.

또 단말(31)은, 통화 기능 선택을 최초의 통화 시에만 하고, 다음 번부터는 처음에 선택된 통화 기능을 사용하여 발호하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the terminal 31 may make a call function selection only at the time of the first call and then call from the next time using the call function selected first.

도 12에 도시한 통화 시스템(1)의 처리시에 스텝S1 및 S2는, ID정보를 가지고 있는 착신자가 예를 들면 기기를 기동했을 때 또는 착신자가 각 단말로부터 수동으로 등록 장치(40)에 재권 정보를 등록하도록 해도 좋다.At the time of processing of the call system 1 shown in Fig. 12, steps S1 and S2 indicate that when the called party who has ID information starts the device, for example, or when the called person manually reenters the registration device 40 from each terminal. Information may be registered.

또 단말이 기동되지 않은 경우나, 등록 장치(40)에 재권 정보가 한 번도 등록되지 않은 경우도 있고, 착신자가 하나의 ID만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등록 장치(40)에 등록되는 재권 정보의 초기치를 자택 무선 LAN접속으로 설정해 두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the terminal may not be activated, or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may not be registered in the registration device 40 at all, or the called party may have only one ID. Therefore, the initial value of the renegoti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registration device 40 may be set in the home wireless LAN connection.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발신자는, 착신자가 가지고 있는 ID에 대응하는 모든 단말에 발호를 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단말(50)의 재권 정보가 3G회선 접속인 경우, 착신자가 제1 시스템(10)밖에 머물러 있다고 발신자가 판단하여 단말(50)에만 발호하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er has been described an example of making a call to all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ID that the called party ha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right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50 is 3G line connection, the caller may determine that the called party stays outside the first system 10 and call the terminal 50 only.

또는 단말(50)의 재권 정보가 자택 무선 LAN접속인 경우, 착신자가 제1 시스템(10)안에 머물러 있다고 발신자가 판단하여 단말(11)에만 발호하도록 해도 좋다.Alternatively, when the re-authoriz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50 is home wireless LAN connection, the caller may determine that the called party stays in the first system 10 and call the terminal 11 only.

아울러 본 실시형태에서 착신측 단말로서, 단말(11), 단말(12), 단말(50), 송신측 단말로서 단말(31)을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말(11), 단말(12), 단말(50)이 송신측 단말이어도 좋고, 단말(31)이 착신측 단말이어도 좋다. 또 각 단말(단말(11), 단말(12), 단말(50), 단말(31))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example which used the terminal 11, the terminal 12, the terminal 50, and the terminal 31 as a sending terminal was demonstrated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terminal 11, the terminal 12, and the terminal 50 may be a transmitting terminal, or the terminal 31 may be a called terminal. In addition, each terminal (terminal 11, terminal 12, terminal 50, terminal 31) may include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는, 착신자의 단말이 자택 무선 LAN에 접속, 공중 무선 LAN에 접속, 또한 3G회선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발신자 측에서 통화 기능을 선택하는 예를 설명하였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s described in which a caller selects a call function when the called party's terminal is connected to a home wireless LAN, connected to a public wireless LAN, or connected to a 3G line.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서는, 3G회선 등을 이용한 휴대형 무선 LAN(제4 통신 방식)라우터(이하, 휴대 무선 LAN장치라고 한다)를 통해 PC, 스마트폰 및 태블릿 단말로부터 인터넷에 접속하여 이용하고 있는 경우의 통화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wireless LAN (fourth communication method) rou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ortable wireless LAN device) using a 3G line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from a PC, a smartphone, and a tablet terminal. Calls will be explained when present.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통화 시스템(1a)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ll system 1a for establishing a call according to an available network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통화 시스템(1)과의 차이는, 등록 장치(40a) 및 휴대 무선 LAN장치(95)이다.The difference from the call system 1 of FIG. 7 is the registration device 40a and the portable wireless LAN device 95.

아울러 단말(11), 단말(12), 단말(5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도 8에 도시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단말(31)의 구성은, 제4 실시 예에 의한 도 9에 도시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11, the terminal 12, the terminal 50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ure 8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31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9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50)은, 휴대 무선 LAN장치(95) 및 기지국(60)을 통해 제2 네트워크(70)와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terminal 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network 70 through the portable wireless LAN apparatus 95 and the base station 60.

등록 장치(40a)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의 ID정보, 기종 정보, 재권 정보 및 소재 정보가 관련되어 저장되어 있다. In the registration apparatus 40a, as shown in FIG. 15, ID information, model information, financial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등록 장치(40a)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registration device 40a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소재 정보란, 각 단말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 또는 각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취득한 위도, 경도를 포함한 정보 또는 주소 등의 정보이다.The lo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a location where each terminal is installed or a location connected to each network. For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longitude, or address obtained by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휴대 무선 LAN장치(95)는, 무선 LAN규격에 기초한 통신을 하는 라우터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휴대 무선 LAN장치(95)에는 단말(50)이 접속되어 있다. 또 휴대 무선 LAN장치(95)는 접속되어 있는 단말(50)을, 기지국(60)을 통해 제2 네트워크(70)와 상호 접속한다.The portable wireless LAN device 95 has a router function for communicating based on the wireless LAN standard. The terminal 5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wireless LAN apparatus 95. In addition, the portable wireless LAN device 95 interconnects the connected terminal 50 with the second network 70 through the base station 60.

아울러 단말(50)이 휴대 무선 LAN장치(95)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단말(50)의 재권 정보는 휴대 무선 LAN접속이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50 is connected with the portable wireless LAN apparatus 95, the copyrigh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50 is portable wireless LAN connection.

다음으로, 휴대 무선 LAN장치(95)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의 재권 정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re-authorization information when the portable wireless LAN apparatus 95 is used.

휴대 무선 LAN장치(95)는, 제1 시스템(10)밖에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제1 시스템(10)안에서도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휴대 무선 LAN장치(95)가 제1 시스템(10)안에서도 사용되는 경우, 단말(50)의 재권 정보만으로는 착신자가, 제1 시스템(10)안에 있는지 제1 시스템(10)밖에 있는지를 판단하기 힘들다.The portable wireless LAN apparatus 95 may be used not only outside the first system 10 but also within the first system 10. When the portable wireless LAN apparatus 95 is also used in the first system 10,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called party is in the first system 10 or outside the first system 10 only by the financi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50. .

따라서 착신자는, 단말(11) 또는 단말(12)와 같이 제1 시스템(10)안에서만 사용하는 단말의 재권 정보를 등록 장치(40)에 등록할 경우, 거치형 단말이 설치되어 있는 소재 정보도 함께 등록한다. 아울러 거치형 단말이란, 제1 시스템(10)안에서만 사용하는 단말로서, 예를 들어 TV, 데스크탑 PC 등이 있다.Therefore, when the called party registers the copyrigh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used only in the first system 10 like the terminal 11 or the terminal 12 in the registration device 40, the called party also registers the material information where the stationary terminal is installed. do. In addition, a stationary terminal is a terminal used only in the 1st system 10, For example, TV, a desktop PC, etc. are mentioned.

예를 들면, 단말(50)이 GPS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단말(50)의 재권 정보와 소재 정보를 등록 장치(40)에 등록한다. 단말(11) 및 단말(12)가 GPS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단말(11) 및 단말(12)는, 예를 들면 소재 위치를 '자택'으로 하여 등록 장치(40)에 등록하도록 해도 좋다. 또는 단말(11) 및 단말(12)는, 단말(50)이 자택에서 사용되고 있을 때의 소재 정보를, 단말(11) 및 단말(12)의 소재 정보로서 등록하도록 해도 좋다.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50 is equipped with GP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50 of the terminal 50 is registered. When the terminal 11 and the terminal 12 do not have a GPS, the terminal 11 and the terminal 12 may be registered in the registration device 40 with the location of the home as 'home', for example. Alternatively, the terminal 11 and the terminal 12 may register the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terminal 50 is used at home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 and the terminal 12.

착신자가, 단말(50) 및 휴대 무선 LAN장치(95)를 제1 시스템(10)밖에서 사용하고 있는 경우, 단말(50)이 취득한 위치 정보를 재권 정보와 함께 등록 장치(40)에 등록하여 갱신한다. 아울러 갱신 간격은, 예를 들면 일정 시간마다 행해도 좋고, 또는 미리 정해져 있는 거리의 이동마다 행해도 좋다. 또는 갱신 간격은, 착신자의 이용 환경이 바뀌었을 때 수시로 갱신하도록 해도 좋다.When the called party is using the terminal 50 and the portable wireless LAN apparatus 95 outside the first system 10, the receiver registers and updates the posi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terminal 50 with the registration authority 40 together with the renegotiation information. do. In addition, an update interval may be performed every fixed time, for example, or may be performed for every movement of predetermined distance. Alternatively, the update interval may be updated from time to time when the use environment of the called party changes.

또 단말(50)이 GPS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휴대 무선 LAN장치(95)가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60)의 정보를 소재 정보로서 등록 장치(40a)에 등록하도록 해도 좋다.When the terminal 50 does not have a GPS function,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60 to which the portable wireless LAN apparatus 95 is connected may be registered in the registration apparatus 40a as the location information.

발신자는, 단말(31)의 표시부(307)에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착신자가 제1 시스템(10)안에 머물러 있는지, 제1 시스템(10)밖에 머물러 있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50)의 재권 정보가 휴대 무선 LAN접속, 소재 정보가 자택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 발신자는, 착신자가 제1 시스템(10)안에 머물러 있다고 판단하여, 예를 들면 단말(11)에만 발호하도록 해도 좋다. 또는 단말(50)의 재권 정보가 휴대 무선 LAN접속, 소재 정보가 자택 이외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 발신자는, 착신자가 제1 시스템(10)밖에 머물러 있다고 판단하여, 예를 들면 단말(50)에만 발호하도록 해도 좋다.The caller determines whether the called party stays in the first system 10 or only the first system 10 based on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7 of the terminal 31. Specifically, when the financi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50 is the portable wireless LAN connec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home, the caller judges that the called party stays in the first system 10, for example, the terminal. You may call only (11). Or, when the financi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50 is a portable wireless LAN connec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dicates information other than the home, the caller determines that the called party stays outside the first system 10, for example, the terminal 50. ) May be called onl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하면, 우선 거치형 단말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를 소재 정보로 하여, 재권 정보와 관련시켜 등록 장치(40a)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착신자가 휴대 무선 LAN장치(95)를 통해 단말(50)을 네트워크에 접속시킨 경우, 단말(50)의 소재 정보를 소정 시간 간격마다, 또는 사용 환경이 바뀌면 등록 장치(40a)에 등록하여 갱신할 수 있다. 발신자는, 각 단말의 소재 정보를 취합하여 등록 장치(40a)에 문의하고, 문의한 결과에 기초하여 착신자가 제1 시스템(10)(자택)안에 머물러 있는지, 제1 시스템(10)밖에 머물러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발신자는, 이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각 단말의 통화 기능을 전환하고 어떤 단말에 발호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착신자가 가지고 있는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회선에 맞춘 통화 기능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통화가 끊기지 않아 원활한 통화를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formation indicating a place where the stationary terminal is installed can be registered in the registration device 40a in association with the re-authorization information. When the called party connects the terminal 50 to the network via the portable wireless LAN apparatus 95,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50 is registered and updated in the registration device 40a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or when the usage environment changes. can do. The caller coll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terminal and inquires the registration apparatus 40a, a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inquiry, whether the caller stays in the first system 10 (home) or only the first system 10. Can be determined. The caller can switch the call function of each terminal and determine which terminal to call based on the determined result. As a result, since the call function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line to which the called party's terminal is connected, the call is not interrupted and smooth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아울러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하면, 발신자가 단말(31)의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보고 각 단말의 통화 기능을 전환하여 어떤 단말에 발호할지를 판단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단말(31)이 통화 기능 및 발호처를 판별하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caller switches to the call function of each terminal to determine which terminal to call by looking at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31 has been described, but the terminal 31 makes a call. The function and the call destination may be determined.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서는, 착신자가 사용하는 각 단말에 착신 이력 기능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착신 이력 기능이란, 발신자로부터 발호가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단말에 기록되어 남겨져 있는 정보이다.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each terminal used by the called party has a call history function will be described. The incoming call history function is information in which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call originated from a caller has been recorded and left in the terminal.

예를 들면 착신자의 단말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11), 단말(12), 단말(50)의 3대가 있는 환경을 예로 들어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또 예를 들면 착신자는, 단말(50)을 가지고 제1 시스템(10)안의 단말(11) 및 단말(12)가 설치되어 있는 방과는 다른 방에 머물러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receiver's terminal will be described below by taking an example of an environment in which there are three terminals 11, 12, and 50. As shown in FIG. For example, a description will be given by taking an example in which the called person stays in a room different from the room in which the terminal 11 and the terminal 12 in the first system 10 are installed with the terminal 50.

우선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와 같이, 단말(31)이 등록 장치(40)로부터 취득한 재권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907)에 표시 정보를 표시한다.First, as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907 displays the display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907 based on the resident rights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registration device 40.

발신자는, 표시부(907)에 표시된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착신자가 집에 있다고 판단한다.The caller determines that the called party is at home based on the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907.

단말(31)의 통화 수단 제어부(904)는, 착신자의 모든 ID에 대해 발호한다.The call means control unit 904 of the terminal 31 calls for all IDs of the called party.

다음으로 착신자는, 단말(50)을 사용하여 단말(31)로부터의 발호를 착신한다. 이 경우 단말(11) 및 단말(12)는 단말(31)로부터의 발호에 응하지 않았기 때문에 착신 이력이 기록된다.The called party then receives a call from the terminal 31 using the terminal 50. In this case, since the terminal 11 and the terminal 12 did not respond to the call from the terminal 31, the incoming call history is recorded.

착신자가, 단말(11) 및 단말(12)에 남겨져 있는 착신 이력을 본 경우, 예를 들면 착신 이력이 여러 개 남겨져 있으면 이미 단말(50)로 착신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없다.When the called person sees the incoming call history left in the terminal 11 and the terminal 12, for example, if several incoming call histories are left, it cannot be determined whether the called party has already called the terminal 50 or not.

따라서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있어서, 통화 시스템(1b)은 각 단말간 착신 이력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system 1b may synchronize the incoming history between each terminal.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의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통화 시스템(1b)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ll system 1b for establishing a call according to an available network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 시스템(1b)의 전체 구성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도 7에 도시한 통화 시스템(1)과 대응될 수 있고, 각 단말(단말(11b), 단말(12b), 단말(50b))의 기능이 도 7에 도시된 단말(11, 12, 50)과는 다르다. 아울러 단말(31)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도 9에 도시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all system 1b may correspond to the call system 1 shown in FIG. 7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terminal (terminal 11b, The functions of the terminal 12b and the terminal 50b) are different from the terminals 11, 12, and 50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31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9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의한 단말(11b)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rminal 11b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11b)은, 송수신부(1701), 회선 정보 취득부(1702), 고유 정보 기억부(1703), 단말 정보 송신부(1704), 통화 수단 제어부(1705), 음성 통화부(1706), 영상 통화부(1707), 착신 이력 기억부(1711) 및 착신 이력 동기부(1712)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7, the terminal 11b includes a transceiver 1701, a lin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702, a unique information storage unit 1703, a terminal information transmitter 1704, a call means control unit 1705, and a voice. A call unit 1706, a video call unit 1707, a call history storage unit 1711, and a call history synchronization unit 1712 are provided.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도 8에서 설명한 단말과는 달리,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의한 도 17의 단말(11b)은 착신 이력 기억부(1711) 및 착신 이력 동기부(17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12b) 및 단말(50b)의 구성은 단말(11b)와 동일할 수 있다.Unlike the termi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1b of FIG. 17 according to the six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ption history storage unit 1711 and a reception history synchronization unit 1712. It may further include.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12b and the terminal 50b may be the same as the terminal 11b.

착신 이력 기억부(1711)에는 발신측으로부터의 착신 이력이 기억되어 있다. 착신 이력은, 예를 들면 발신자 정보(ID정보 또는 이름), 착호 시각 및 발호를 착신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다.The incoming history storage unit 1711 stores the incoming history from the calling party. The incoming call history is, for example, caller information (ID information or name), a call time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call is received.

단말(11b)의 착신 이력 동기부(1712)는, 단말(11b)가 착신한 경우, 다른 단말(단말(12b) 및 단말(50b))에 대해 발호를 착신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한다.The incoming history synchronizer 1712 of the terminal 11b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call has been received for the other terminal (terminal 12b and terminal 50b) when the terminal 11b is called.

다른 단말(단말(12b) 및 단말(50b))의 착신 이력 동기부(1712)는, 단말(11b)로부터 수신한 발호를 착신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다른 단말(단말(12b) 및 단말(50b))의 착신 이력 기억부(1711)에 기입함으로써 착신 이력을 동기화할 수 있다.The incoming history synchronization unit 1712 of the other terminal (terminal 12b and terminal 50b) receiv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all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b is received from the other terminal (terminal 12b and terminal 50b). The incoming call history can be synchronized by writing to the incoming call history storage unit 1711.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의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호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setup method according to an available network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스텝 S1801에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와 같이 스텝 S1 내지 S7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In step S1801, the processing of steps S1 to S7 can be performed as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스텝 S1802에서, 단말(31)의 통화 수단 제어부(904)는, 발신자로부터의 발호에 대한 착호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발호에 대한 착호가 있었던 경우, 착호가 있었던 단말 이외로의 발호를 정지한다. 다음으로, 통화 수단 제어부(904)는, 발호에 대한 착호가 있었던 단말과의 통화를, 설정한 통화 기능에 의해 실행한다. 스텝 S1802에서는, 단말(50b)이 착신할 수 있다.In step S1802, the call means control unit 904 of the terminal 31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all for a call from the caller. If there is a call for a call, the call to a terminal other than the called call is stopped. Next, the call means control unit 904 executes a call with the terminal on which the call has been received by the set call function. In step S1802, the terminal 50b can receive the call.

스텝 S1803에서, 통화 수단 제어부(904)는, 통화가 완료된 후 착신자와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In step S1803, the call means control unit 904 can release the connection with the called party after the call is completed.

스텝 S1804에서, 단말(50b)의 착신 이력 동기부(1712)는, 발신자와의 접속이 해제된 후 제1 시스템(10)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11b) 및 단말(12b)의 착신 이력을 단말(50b)의 착신 이력과 동기화 시킬 수 있다.In step S1804, the incoming history synchronization unit 1712 of the terminal 50b receives the incoming history of the terminal 11b and the terminal 12b provided in the first system 10 after the connection with the caller is released. Synchronize with the incoming call history of 50b.

구체적으로는, 단말(50b)의 착신 이력 동기부(1712)는, 착신 이력 기억부(1711)에 기억되어 있는 발호를 착신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11b) 및 단말(12b)에 무선 LAN장치(13)를 경유하여 전송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coming history synchronization unit 1712 of the terminal 50b send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call is stored in the incoming history storage unit 1711 to the terminal 11b and the terminal 12b. Transmission may be via device 13.

단말(11b) 및 단말(12b)의 착신 이력 동기부(1712)는, 단말(50b)로부터 수신한 발호를 착신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각 착신 이력 기억부(1711)에 저장되어 있는 착신 이력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The incoming history synchronization unit 1712 of the terminal 11b and the terminal 12b stores the incoming history stored in each incoming history storage unit 1711 based 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call received from the terminal 50b has been received. You can update the information.

이상의 처리에 의해 착신한 단말(50b)의 착신 이력 동기부(1712)는, 각 단말간의 착신 이력 정보를 동기화 시킬 수 있다.The incoming history synchronizer 1712 of the incoming terminal 50b can synchronize the incoming history information between the terminals.

아울러 발호를 착신한 단말은, 통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함께 다른 단말로 송신하여 착신 이력을 갱신하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the terminal receiving the call may transmit information indicating the talk time and the like to another terminal to update the incoming call histor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의하면, 착신자측의 발호를 착신한 단말이, 같은 네트워크상의 다른 단말의 착신 이력을 자신의 단말의 착신 이력과 동기화 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착신자는 발호를 착신하지 않은 단말의 착신 이력을 보고, 이 착신에 대해 이미 착신자측이 발호를 착신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착신 이력을 보고 그 착신 이력에 대해 이쪽에서 발호를 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ix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receiving a call on the called party's side can synchronize the incoming history of another terminal on the same network with the incoming history of its own terminal. As a result, the called party can see the incoming call history of the terminal not receiving the call, and can confirm that the called party has already called the call. Therefore, the incoming call history can be viewed and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necessary to call from the incoming call history.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의하면, 착신자측이 발호를 착신한 단말이, 같은 네트워크상의 다른 단말의 착신 이력을 자신의 단말의 착신 이력과 동기화 시키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발신자측 단말(31)이 착신자 단말의 착신 이력을 갱신하게끔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receiving the call from the called party has described an example of synchronizing the incoming history of another terminal on the same network with the incoming history of the own terminal. The reception history of the called party terminal may be controlled to be updated.

구체적으로는 발신자가 통화를 마친 후 단말(31)은, 스텝 S6에서 동시에 발호를 하여 착신하지 않았던 단말에 대해, 발호를 착신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착신자측 단말간의 착신 이력을 동기화 시키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after the caller finishes the call, the terminal 31 simultaneously calls in step S6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all is received to the terminal that did not receive the call to synchronize the incoming history between the called party's terminals. Can be.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재권 정보로서, 자택 무선 LAN접속, 공중 무선 LAN접속 및 3G회선 접속의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착신자가 단말(50)(50b 포함)을 가지고 해외에 나간 경우, 등록 장치(40)(40a 포함)에 재권 정보로서, 해외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및 체재 국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하여 등록하도록 해도 좋다. 즉 재권 정보는, 발신처의 단말이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좋다. 이 경우 착신자의 단말(50)(50b 포함)에 대응하는 ID-3의 재권 정보가 3G회선 접속이라 해도 해외와의 통화가 된다는 것을, 발신자는 발호 전에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발신자는, 용건을 간단히 하거나 체재 국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시차를 고려한 발호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home wireless LAN connection, public wireless LAN connection, and 3G line connection are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called party goes abroad with the terminal 50 (including 50b), the registration device 40 (including 40a) is added to the registration device 40 (including 40a) to ad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it is overseas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untry of stay. You may do so. In other words, the renegoti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of the originator is used. In this case, the caller can confirm before the call that the information of the ID-3 corresponding to the called party's terminal 50 (including 50b) is a call to a foreign country even if the 3G line is connected. Therefore, the caller can make a call considering the time difference based on information that simplifies the case or indicates the country of stay.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의하면, 착신자가 가지고 있는 ID 정보 별 재권 정보를 등록 장치(40)(40a 포함)에 등록하고, 발신자는 등록되어 있는 재권 정보를 등록 장치(40)에 문의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화 시스템(1)(1a 및 1b 포함)은 등록 장치(40)(40a 포함)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recipient registers the information for each ID information owned by the called party to the registration device 40 (including 40a), and the caller requests the registration device 40 for the registered permission information. Although described,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all system 1 (including 1a and 1b) may not have a registration device 40 (including 40a).

이 경우 착신자는, ID정보를 가지고 있는 단말의 기종 정보 및 초기의 재권 정보 등을 발신자에게 미리 송신하여 전달하도록 해도 좋다. 송신은, 예를 들면 전자 메일,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제1 시스템(10)밖으로 가지고 나가 사용하는 단말에 대해서만 같은 통신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된 경우, 착신자가 가지고 있는 단말, 예를 들면 단말(50)은, 그 단말이 접속 가능한 자택 무선 LAN, 공중 무선 LAN 및 3G회선 중 어디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재권 정보를 전자 메일로 발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소정 시간이란, 예를 들면 1시간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alled party may transmit the mode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having the ID information, the initial renegoti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e sender in advance. The transmission may use, for example, an electronic mail,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or the like. When the same communication state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only for a terminal to be taken out of the first system 10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terminal 50, which the receiver has,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transmit to the sender by e-mail the information of the financial rights indicating whether it is connected to a home wireless LAN, a public wireless LAN, or a 3G line. In addition, a predetermined time may be 1 hour, for exampl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권 정보로서 자택 무선LAN 접속, 공중 무선 LAN접속, 3G회선 접속을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재권 정보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규격, 펨토셀 등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해도 좋다.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home wireless LAN connection, public wireless LAN connection, and 3G line connection are used as the re-authorization informa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nancial information may include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LTE (long term evolution), femtocells, and the like.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의하면, 발신자측과 착신자측에서 IP를 사용한 전화 서비스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P2P(Peer to Peer)를 이용한 통신이나 Push타입의 통신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using a telephone service using IP at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 has been described, but it may be a communication using a peer-to-peer or a push typ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de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including all devices hav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devices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비록 상기 설명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들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달된 기술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기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삭제, 대체,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서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안의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섭된다.Although the foregoing is directed to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applicable to various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apparatus and method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deletion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in form and detai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re embrac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발신 장치가 IP 네트워크를 통해서, 착신 장치와 호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착신 장치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통신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통신 환경에 따라 호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설정하는 방법.
In the method in which the calling device establishes a call with the called device through the IP network,
Setting a communi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called device; And
And setting up a call according to the set communication environ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장치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사용 가능한 통화 방법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통화 방법 중 사용할 통화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 방법은 음성 통화 방법과 영상 통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설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tting of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Displaying the available calling method according to the available network to the called device; And
Determining a call method to be used among the displayed call methods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call method comprises a voice call method and a video cal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장치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사용 가능한 통신 장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통신 장치 중 통화 요청을 전송할 통신 장치를 적어도 하나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통신 환경에 따라 호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통신 장치에 통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설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tting of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Displaying available communication devices according to networks available to the destination device;
Determining at least one of the displayed communication devices to transmit a call request according to a user input;
Call setting according to the set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Sending a call request to the determined communication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장치가 자택 내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자택 내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설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displaying th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If the called device is able to use an in-home network, displaying th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using the in-home networ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장치가 공중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상기 공중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통신 장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설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displaying th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If the called device is able to use a public wireless network, display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using the public wireless network.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착신 장치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통신 환경을 설정하는 통신 환경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통신 환경에 따라 IP 네트워크를 통해 호 설정하는 발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network;
A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for setting a communi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a called device; And
And a call controller configured to call through an IP network according to the set communication environm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장치는
상기 착신 장치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사용 가능한 통화 방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환경 설정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통화 방법 중 사용할 통화 방법을 결정하고,
상기 통화 방법은 음성 통화 방법과 영상 통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origin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vailable call method according to the network available to the called device,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Determine a call method to be used among the displayed call methods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call method includes a voice call method and a video call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장치는
상기 착신 장치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사용 가능한 통신 장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환경 설정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통신 장치 중 통화 요청을 전송할 통신 장치를 적어도 하나 결정하고,
상기 발신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통신 장치에 통화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originating device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communication device usable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called device.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unit
Determin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to transmit a call request among the displayed communication devices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originating control section
Transmitting a call request to the determined communication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착신 장치가 자택 내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자택 내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isplay unit
And when the called device can use the in-home network, displaying a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using the in-home networ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착신 장치가 공중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상기 공중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통신 장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isplay unit
And when the called device is able to use a public wireless network, display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using the public wireless network.
발신 장치가 IP 네트워크를 통해서, 착신 장치와 호 설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착신 장치에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따라 통신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통신 환경에 따라 IP 네트워크를 통해 호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establishing a call with a destination apparatus through an IP network, the method of establishing a call comprising:
Setting a communi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a network available to the called device; And
And setting up a call over an IP network according to the set communication environment.
제1항에 있어서,
착신 장치가 발신 장치로부터의 발호를 착신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착신 장치의 착신자의 다른 단말로 전송하여 착신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설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alled device has received the call from the calling device to another terminal of the called party of the called device, and updating the incoming call history.
KR1020120132606A 2011-12-12 2012-11-21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set up according to network available for receiver KR201300665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12,531 US20130148540A1 (en) 2011-12-12 2012-12-12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set-up based on network available to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71516A JP5873314B2 (en) 2011-12-12 2011-12-12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JP-P-2011-271516 2011-12-12
KR1020120071374 2012-06-29
KR20120071374 2012-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506A true KR20130066506A (en) 2013-06-20

Family

ID=4886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606A KR20130066506A (en) 2011-12-12 2012-11-21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set up according to network available for recei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650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0867B1 (en) Video/vo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all transfer/pick-up method using thereof
EP2132919B1 (en) New events on multiple phones
JP5139256B2 (en) Position acquisition system
EP29281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calls
US9084094B2 (en) Method and device for group-transmitting multimedia messages
US20110130113A1 (en) Communication device
US20090017842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lephone Calling Method and Program Software for The Same
CN103379662B (en) The method of network insertion, interface equipment and mobile internet surfing equipment
US20130029671A1 (en) Communication system
US9326112B2 (en) Sending user device status information
EP2833609B1 (en) Communication system
AU2007254597B2 (en) Communication system
JP2007013616A (en) Presence server,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201300665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set up according to network available for receiver
JP2015211316A (en) Remote conference system, remote conference device, remote conference method, and program
JP5873314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116009B1 (en) Comminication method
JP3917155B2 (en) Call connection management system, call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and connection destination management apparatus program
KR20160026854A (en) Mobile device synchronization to a gateway
US201301485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set-up based on network available to receiver
KR101041386B1 (en) Internet telephone system for connecting to internet phone on the smartphone using push server
JP6919785B2 (en) Telephone control device
KR201000577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status of bell sound of mobile terminal
KR101136130B1 (en) Apparatus for home radio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214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based on address b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