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227A -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227A
KR20130064227A KR1020110130736A KR20110130736A KR20130064227A KR 20130064227 A KR20130064227 A KR 20130064227A KR 1020110130736 A KR1020110130736 A KR 1020110130736A KR 20110130736 A KR20110130736 A KR 20110130736A KR 20130064227 A KR20130064227 A KR 20130064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user
sound
information
us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우
김용우
김문주
Original Assignee
(주)세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니스 filed Critical (주)세니스
Priority to KR102011013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4227A/ko
Publication of KR20130064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이상의 사용자기기와 음향기기를 포함하는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음향기기는, 선곡정보, 상기 사용자기기 선택정보 및 진행관련정보를 입력받는 선택수단; 상기 선곡정보에 대응하는 음악의 진행에 따라 진행관련정보를 표시하며,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의 연주에 관한 모범 패턴 및 평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의 연주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의 연주에 관한 연주 평가점수 또는 연주 평가등급을 산정하는 평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에 의해 특정한 곡을 노래할 수 있게 하는 외에도 기타, 베이스, 드럼, 키보드 등의 악기를 모범 패턴에 의해 연주할 수 있도록 하여 통합적인 악기 연주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되, 연주에 관한 평가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연주 기능, 녹화 기능 등을 부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ystem for Providing Musical Instrument Play Servic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에 의해 특정한 곡을 노래할 수 있게 하는 외에도 기타, 베이스, 드럼, 키보드 등의 악기를 모범 패턴에 의해 연주할 수 있도록 하여 통합적인 악기 연주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되, 연주에 관한 평가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연주 기능, 녹화 기능 등을 부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음악은 시대에 관계없이 사랑받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노래를 부르는 문화가 발달하여 노래방 관련 산업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에는 인터넷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노래방이라는 특정한 장소를 방문하지 않고서도 사용자가 음악 파일을 전송받은 후 장소에 무관하게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서비스도 출현하였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82647호 '인터넷을 이용한 노래방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은 노래방 사용자의 음성 및 영상 데이터와 선곡된 곡의 반주를 혼합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넷을 통해 수신기에 해당하는 1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가 시청할 수 있도록 상기 혼합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실시간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82647호 등의 종래기술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노래를 부르는 외에 다양한 악기를 직접 연주하고 그 평가를 받고 싶은 욕구를 반영할 수 없었다.
음악이 사회 저변에 광범위하게 자리 잡는 추세에 따라서 사용자는 노래를 하는 외에도 기타, 베이스, 드럼, 키보드 등의 악기들을 직접 연주하는 문화가 보급되는데 반해 종래기술들은 이러한 악기 연주 서비스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않고 있다.
특히, 악기들은 대부분 고가이며 특정한 장소에서 다양한 악기들을 구비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종래 인터넷상의 개인화된 노래방 서비스에 의하면 노래를 부르는 서비스 외의 악기 연주 서비스는 그 효과가 반감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이크에 의해 특정한 곡을 노래할 수 있게 하는 외에도 기타, 베이스, 드럼, 키보드 등의 악기를 모범 패턴에 의해 연주할 수 있도록 하여 통합적인 악기 연주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되, 연주에 관한 평가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연주 기능, 녹화 기능 등을 부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1 이상의 사용자기기와 음향기기를 포함하는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음향기기는, 선곡정보, 상기 사용자기기 선택정보 및 진행관련정보를 입력받는 선택수단; 상기 선곡정보에 대응하는 음악의 진행에 따라 진행관련정보를 표시하며,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의 연주에 관한 모범 패턴 및 평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의 연주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의 연주에 관한 연주 평가점수 또는 연주 평가등급을 산정하는 평가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선택수단이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상기 사용자기기 중 수동연주하기로 선택되지 않은 상기 사용자기기에 관한 자동연주 선택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자동연주하기로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에 관한 음향을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수단이 녹화 선택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의 연주에 관한 영상 또는 음향정보를 녹화하는 녹화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평가수단이 산정하는 연주 평가점수 또는 연주 평가등급은,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별로 개별적으로 산정되거나, 2 이상의 상기 사용자기기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모든 상기 사용자기기에서의 평균 평가점수 또는 평균 평가등급으로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는 키보드이며, 상기 표시수단이 표시하는 모범 패턴은, 상기 키보드의 연주 대상 건반에 대응하되, 연주의 진행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키보드의 연주 대상 건반을 연주할 타이밍을 나타내는 기준점으로 접근하는 1 이상의 연주 아이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1 이상의 사용자기기와 음향기기를 포함하는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음향기기가, 선곡정보, 상기 사용자기기 선택정보 및 진행관련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음향기기가, 상기 선곡정보에 대응하는 음악의 진행에 따라 진행관련정보 및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의 연주에 관한 모범 패턴을 표시하며,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의 연주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음향기기가,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의 연주에 관한 평가 정보를 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음향기기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상기 사용자기기 중 수동연주하기로 선택되지 않은 상기 사용자기기에 관한 자동연주 선택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자동연주하기로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에 관한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B2) 상기 음향기기가, 녹화 선택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의 연주에 관한 영상 또는 음향정보를 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는 키보드이며, 상기 (B) 단계는, (B3) 상기 음향기기가, 상기 키보드의 연주 대상 건반에 대응하되, 연주의 진행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키보드의 연주 대상 건반을 연주할 타이밍을 나타내는 기준점으로 접근하는 1 이상의 연주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에 의해 특정한 곡을 노래할 수 있게 하는 외에도 기타, 베이스, 드럼, 키보드 등의 악기를 모범 패턴에 의해 연주할 수 있도록 하여 통합적인 악기 연주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되, 연주에 관한 평가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연주 기능, 녹화 기능 등을 부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향기기에 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택패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향기기에 관한 상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택패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관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기기(100)와 음향기기(200)를 포함한다.
사용자기기(100)는 수동 연주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 또는 연주 신호를 입력받아 음향기기(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악기 연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에 방문하는 사용자가 선택하여 연주하는 악기들을 의미한다.
사용자기기(10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외에 디지털 신호로 처리할 수 있는 악기를 포함하는바, 기타, 베이스, 드럼, 키보드 등을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나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타 또는 베이스의 연주 방식으로는 버튼 방식 또는 고전적인 줄 연주 방식을 포함하며, 그 외에도 일정한 패턴을 연주할 수 있는 모든 기구적인 연주 방식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으로는 고무 패드 등의 재질에 장착된 센서를 활용하는 전자드럼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일정한 패턴을 연주할 수 있는 드럼을 모두 포함한다. 탐(북)의 개수는 제한이 없으며 최대한 다수의 탐(북)을 포함한 기종을 사용한다면 다양한 연주 난이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로는 전자 키보드가 바람직하나 역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최대한 다수의 건반을 포함한 기종을 사용한다면 역시 다양한 연주 난이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음향기기(200)는 선택수단(210), 표시수단(220), 출력수단(230), 녹화수단(240), 평가수단(250), 제어수단(260) 및 데이터베이스(270)를 포함한다.
먼저, 선택수단(210)은 음향기기(200) 외부에 형성되는 선택패널의 버튼, 리모컨의 버튼 또는 터치패드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는 선곡정보와 사용자기기(100) 선택정보, 그리고 진행관련정보, 자동연주 선택정보, 녹화 선택정보를 입력받는다.
선곡정보는 사용자가 특정한 사용자기기(100)를 사용하여 연주하고자 하는 음악의 정보를 의미하며, 사용자기기(100) 선택정보는 선택 가능한 사용자기기(100) 중에서 사용자가 연주하고자 하는 기기의 종류 정보, 난이도 정보를 의미한다.
사용자가 선택하는 사용자기기(100)는 1 또는 2 이상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기기(100)의 종류뿐만 아니라 연주 난이도(Hard, Normal, Easy 등)를 선택할 수 있다.
진행관련정보는 선곡된 음악의 진행과 관련해 음향기기(200) 외부에 형성되는 선택패널의 버튼, 리모컨의 버튼 또는 터치패드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입력받는 정보로서, 시작, 종료, 취소, 일시중지, 예약 정보 등이 있다.
자동연주 선택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사용자기기(100)를 자동으로 연주시킬지 여부에 관한 정보로서, 사용자가 자동연주를 선택하면 출력수단(230)이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사용자기기(100)에 관한 멜로디 또는 리듬을 자동으로 출력한다.
녹화 선택정보는 사용자가 녹화를 선택할지 여부에 관한 정보로서, 사용자가 녹화를 선택하면 녹화수단(240)이 영상 또는 음향정보를 녹화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음향기기(200) 외부에 형성되는 선택패널을 통해 사용자는 연주하고자 하는 곡을 좌측 메뉴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위에서 두 번째 곡을 선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연주하고자 하는 사용자기기(100)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하지 않은 사용자기기(100)의 자동연주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우측 메뉴를 보면 연주하고자 하는 사용자기기(100)로서 마이크와 키보드를 선택하였으며 나머지 기기들은 자동으로 연주되도록 설정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수단(220)은 음향기기(200) 외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진행관련정보를 표시하며, 선택패널은 특정한 곡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디스플레이 패널로 기능할 수 있고, 선곡된 음악의 진행과 함께 가사정보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선택된 사용자기기(100)의 연주에 관한 모범 패턴을 표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선택된 사용자기기(100)가 키보드인 경우로서, 표시수단(220)의 상단에는 모범 패턴(A)이 표시되며, 모범 패턴(A)은 키보드의 연주 대상 건반 각각에 대응되는 상하방향의 라인들과, 각각의 라인 내에서 연주의 진행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연주 아이콘(작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된다.
우측에 적색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연주 아이콘들은 일정한 속도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며, 특정한 연주 아이콘이 라인 B에 도달하는 순간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오차 내에 도달한 연주 아이콘에 대응하는 건반을 연주하면 해당 연주 아이콘의 연주를 성공한 것이 된다.
연주 아이콘은 곡의 종류에 따라 다수 개로 구성되며, 곡의 난이도 또는 연주 난이도가 높을수록 특정한 순간에도 다수 개의 연주 아이콘이 라인 B에 도달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선택된 사용자기기(100)가 키보드인 경우이나, 만약 다른 사용자기기(100)가 선택된다면 그에 적합한 다른 모범 패턴 형식이 제공되는 것은 당연하다.
아울러 표시수단(220)은 특정한 곡에 대한 연주가 종료된 이후 연주 평가점수 또는 연주 평가등급을 표시한다.
연주 평가등급 산정의 예를 들면, 특정한 사용자기기(100)에 대한 모범 패턴과 사용자 연주와의 일치도, 예를 들어 사용자기기(100)가 키보드인 경우 전체 연주 아이콘 개수 중에서 연주에 성공한 연주 아이콘 개수의 비율이 90~100%이면 Perfect 등급, 50~89%이면 Excellent 등급, 1~49%이면 Good 등급, 0%이면 Bad 등급 등으로 해당 사용자기기(100)에 대한 평가등급을 산정할 수 있다.
2 이상의 사용자기기(100)를 연주하는 경우, 특정한 사용자기기(100)에 대한 연주 평가점수 또는 연주 평가등급 뿐만 아니라, 모든 사용자기기(100)에서의 평가점수 또는 평가등급을 합산(자동연주 기기 제외)하여 평균한 평균 평가점수 또는 평균 평가등급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나,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출력수단(230)은 사용자기기(100)의 연주에 따라서 음향을 출력하며, 음향기기(200)의 외부에 형성되는 스피커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기기(100)에 마이크가 포함되는 경우 출력수단(230)은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며, 특정한 악기인 경우 출력수단(230)은 모범 패턴의 멜로디 또는 리듬과는 무관하게 사용자로부터의 연주신호 입력에 따른 멜로디 또는 리듬에 따라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개인의 연주 수준 또는 취향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녹화수단(240)은 사용자로부터의 녹화 선택정보가 입력된 경우, 특정한 연주가 진행되는 동안 영상 또는 음향정보를 녹화함으로써 추후 사용자에게 동영상 파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음향기기(200) 외부에 형성되는 캠코더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평가수단(250)은 특정한 연주에 관한 연주 평가점수 또는 연주 평가등급을 산정함으로써 표시수단(220)이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연주 평가점수 또는 연주 평가등급은 특정한 사용자기기(100)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산정될 수도 있으며, 2 이상의 사용자기기(100)가 연주되는 경우 모든 사용자기기(100)에서의 연주 평가점수 또는 연주 평가등급을 합산한 평균 평가점수 또는 평균 평가등급으로 산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수단(260)은 선택수단(210), 표시수단(220), 출력수단(230), 녹화수단(240), 평가수단(250) 및 데이터베이스(270)를 제어하며 사용자기기(100)와의 정보 교환을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악기 연주 서비스의 제공을 구현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베이스(270)는 다수의 곡 정보, 사용자기기(100) 정보, 가사 정보, 사용자기기(100) 별 모범 패턴 정보, 평가점수 또는 평가등급 정보, 녹화 정보 등을 저장하며,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관리자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해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기기(200)의 선택수단(210)이, 음향기기(200) 외부에 형성되는 선택패널의 버튼, 리모컨의 버튼 또는 터치패드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는 선곡정보와 사용자기기(100) 선택정보, 그리고 진행관련정보, 자동연주 선택정보, 녹화 선택정보를 입력받는다(S10).
다음으로, 음향기기(200)의 표시수단(220)이, 선곡된 음악의 진행에 따라 진행관련정보, 가사정보, 선택된 사용자기기(100)의 연주에 관한 모범 패턴을 표시하며, 음향기기(200)의 출력수단(230)은 선택된 사용자기기(100)의 연주에 따라서 음향을 출력하고, 음향기기(200)의 녹화수단(240)은 녹화 선택정보가 입력된 경우 특정한 연주가 진행되는 동안 영상 또는 음향정보를 녹화한다(S20).
그리고, 음향기기(200)의 평가수단(250)이, 선곡된 음악의 진행이 종료된 이후 연주 평가점수 또는 연주 평가등급을 산정하며, 음향기기(200)의 표시수단(220)이 산정된 연주 평가점수 또는 연주 평가등급을 표시한다(S3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기기 200 : 음향기기
210 : 선택수단 220 : 표시수단
230 : 출력수단 240 : 녹화수단
250 : 평가수단 260 : 제어수단
270 : 데이터베이스

Claims (9)

1 이상의 사용자기기(100)와 음향기기(200)를 포함하는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향기기(200)는,
선곡정보, 상기 사용자기기(100) 선택정보 및 진행관련정보를 입력받는 선택수단(210);
상기 선곡정보에 대응하는 음악의 진행에 따라 진행관련정보를 표시하며,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100)의 연주에 관한 모범 패턴 및 평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220);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100)의 연주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수단(230); 및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100)의 연주에 관한 연주 평가점수 또는 연주 평가등급을 산정하는 평가수단(250);을 포함하는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230)은,
상기 선택수단(210)이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상기 사용자기기(100) 중 수동연주하기로 선택되지 않은 상기 사용자기기(100)에 관한 자동연주 선택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자동연주하기로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100)에 관한 음향을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210)이 녹화 선택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100)의 연주에 관한 영상 또는 음향정보를 녹화하는 녹화수단(2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수단(250)이 산정하는 연주 평가점수 또는 연주 평가등급은,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100)별로 개별적으로 산정되거나, 2 이상의 상기 사용자기기(100)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모든 상기 사용자기기(100)에서의 평균 평가점수 또는 평균 평가등급으로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100)는 키보드이며,
상기 표시수단(220)이 표시하는 모범 패턴은, 상기 키보드의 연주 대상 건반에 대응하되, 연주의 진행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키보드의 연주 대상 건반을 연주할 타이밍을 나타내는 기준점으로 접근하는 1 이상의 연주 아이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1 이상의 사용자기기(100)와 음향기기(200)를 포함하는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음향기기(200)가, 선곡정보, 상기 사용자기기(100) 선택정보 및 진행관련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음향기기(200)가, 상기 선곡정보에 대응하는 음악의 진행에 따라 진행관련정보 및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100)의 연주에 관한 모범 패턴을 표시하며,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100)의 연주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음향기기(200)가,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100)의 연주에 관한 평가 정보를 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음향기기(200)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상기 사용자기기(100) 중 수동연주하기로 선택되지 않은 상기 사용자기기(100)에 관한 자동연주 선택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자동연주하기로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100)에 관한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2) 상기 음향기기(200)가, 녹화 선택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100)의 연주에 관한 영상 또는 음향정보를 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방법.
제6항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사용자기기(100)는 키보드이며,
상기 (B) 단계는,
(B3) 상기 음향기기(200)가, 상기 키보드의 연주 대상 건반에 대응하되, 연주의 진행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키보드의 연주 대상 건반을 연주할 타이밍을 나타내는 기준점으로 접근하는 1 이상의 연주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130736A 2011-12-08 2011-12-08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64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736A KR20130064227A (ko) 2011-12-08 2011-12-08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736A KR20130064227A (ko) 2011-12-08 2011-12-08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227A true KR20130064227A (ko) 2013-06-18

Family

ID=4886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736A KR20130064227A (ko) 2011-12-08 2011-12-08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42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7252A (ko) * 2018-10-27 2020-05-07 장순철 인공지능 악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0085836A3 (ko) * 2018-10-27 2020-06-18 장순철 인공지능 악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80872B1 (ko) 2021-08-23 2022-03-30 여단열 반주 기능을 구비한 바이올린족 현악기
CN117636900A (zh) * 2023-12-04 2024-03-01 广东新裕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音频特征形状匹配的乐器演奏质量评价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7252A (ko) * 2018-10-27 2020-05-07 장순철 인공지능 악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0085836A3 (ko) * 2018-10-27 2020-06-18 장순철 인공지능 악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3228089A (zh) * 2018-10-27 2021-08-06 感性波长株式会社 人工智能乐器服务提供系统
KR102380872B1 (ko) 2021-08-23 2022-03-30 여단열 반주 기능을 구비한 바이올린족 현악기
CN117636900A (zh) * 2023-12-04 2024-03-01 广东新裕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音频特征形状匹配的乐器演奏质量评价方法
CN117636900B (zh) * 2023-12-04 2024-05-07 广东新裕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音频特征形状匹配的乐器演奏质量评价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4180B2 (ja) 撥弦楽器演奏評価装置
JP2006065331A (ja) 移動通信端末機における音楽演奏を制御する装置及び方法
JP2008253440A (ja) 音楽再生制御システム、音楽演奏プログラム、および演奏データの同期再生方法
JP2006243102A (ja) 演奏補助装置及び演奏補助プログラム
KR20130064227A (ko)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46212A (ko) 합주 시스템
JP5130348B2 (ja) 携帯用電子機器を利用したカラオケ協演方法
JP5842383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カラオケ装置
JP4211388B2 (ja) カラオケ装置
JP2013024935A (ja) カラオケ装置
JP4171680B2 (ja) 音楽再生装置の情報設定装置、情報設定方法、及び情報設定プログラム
JP4585473B2 (ja) 電子早見本装置
JP5787279B2 (ja) 楽音演奏装置
JP5345809B2 (ja) 楽器型演奏装置及び楽器演奏システム
JP2016139038A (ja) 反復再生機能を備えるカラオケ端末
JP6425560B2 (ja) 反復再生機能を備えるカラオケ装置
JP5551983B2 (ja) カラオケ演奏制御システム
JP2006178049A (ja) 音楽再生装置
JP5290822B2 (ja) カラオケ装置、カラオケ装置の制御方法、及びカラオケ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4299747B2 (ja) 電子早見本装置
JP2014071215A (ja) 演奏装置、演奏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6394366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用プログラム
JP5505012B2 (ja) 電子音楽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080372A (ja) カラオケ装置
JP6343921B2 (ja) プログラム及び楽音発生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