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298A - Method for registering contents - Google Patents

Method for registering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298A
KR20130062298A KR1020130028703A KR20130028703A KR20130062298A KR 20130062298 A KR20130062298 A KR 20130062298A KR 1020130028703 A KR1020130028703 A KR 1020130028703A KR 20130028703 A KR20130028703 A KR 20130028703A KR 20130062298 A KR20130062298 A KR 20130062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gital content
storage medium
content
code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7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7523B1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20130028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523B1/en
Publication of KR20130062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2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5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PURPOSE: A contents registration method is provided to optimally edit contention to be registered in a storage medium by comparing contents with data storage condition information of a storage medium. CONSTITUTION: A client terminal mounts a specific web browser transceiving specific information or data with a server or a web server(170). A device determines if a codec of the contents is registered to storage medium(175). The device determines a parameter converting the codec in the contents within contents quality corresponding to the codec of the contents. The device converts the codec of the contents to be registered in the storage medium using the parameter. The device confirms the codec of the contents to be registe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a codec to be able to be registered in the storage medium. [Reference numerals] (100) Client terminal; (105,185) Data editing application; (110) Reading out unit; (115) Determination unit; (120) Extraction unit; (125) Editing unit; (130) Transmission unit; (135) Data storage condition; (140) Data editing module; (145) Data format information; (155) Data; (160) Memory unit(HDD); (160) Generation unit; (165) Storage unit; (170) Web server; (175) Storage medium; (180) Distribution server; (AA) Keyboard; (BB) Mouse; (CC) Web browser; (DD) Mount the data editing application; (EE) Network; (FF) Transmit and store data to the storage medium; (GG) Data generating program; (HH) Generate data; (II) Photographing; (JJ) Digital camera; (KK) Generate image data; (LL) Provide the image data; (MM) Store the image data

Description

컨텐츠 등록 방법{Method for Registering Contents}How to Register Contents {Method for Registering Contents}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컨텐츠를 등록하는 장치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될 컨텐츠의 코덱(CODEC)과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한 코덱을 확인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컨텐츠의 코덱이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한 코덱인지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의 코덱이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컨텐츠의 코덱에 대응하는 컨텐츠 품질 내에서 상기 컨텐츠의 코덱을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하게 변환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코덱을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하게 변환하는 컨텐츠 등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registration method executed in a device for registering content to a storage medium on a wired or wireless network. Check that the codec of the content is a codec that can be registe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if the codec of the content is not registerable in the storage medium, the device determines that the codec of the content is within the content quality corresponding to the codec of the content. And a parameter for converting the codec of the content into the storage medium so as to be registerable, and converting the codec of the content into the storage medium using the determined parameter.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인터넷에 게시되는 웹사이트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블로그(Blog) 또는 일인미디어라는 용어가 등장하면서 웹사이트 제작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지지 못한 일반인도 패키지 형태의 웹 게시 마법사 프로그램을 통해 소정의 개인 웹사이트를 제작 및 게시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인터넷에 게시되는 웹사이트의 수는 더욱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number of websites published on the Internet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general people who do not have a general knowledge about website production with the recent appearance of the term blog or one-person media are packaged. The web publishing wizard program is used to create and publish certain personal websites. As a result, the number of websites published on the Internet is increasing explosively.

상기와 같은 블로그 형태의 개인 웹사이트는 단방향의 일방적인 컨텐츠 제공 위주의 웹사이트(예컨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을 통해 웹 문서 또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사이트)가 아니라, 기본적으로 양방향으로 상호 작용하는 게시판 위주의 웹사이트로서, 상기 웹사이트에 방문한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서버에 구비된 게시판으로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예컨대, 문자 컨텐츠, 사운드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를 전송하여, 상기 게시판과 연계된 소정의 저장매체에 등록 및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The personal website in the form of a blog is not a one-way unidirectional content providing website (e.g., a website providing a web document or predetermined digital content through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but basically two-way. As a bulletin board-oriented website that interacts with a web site, a client terminal visiting the web site transmits predetermined digital content (eg, text content, sound content, image content, or multimedia content) to a bulletin board provided in the server. And a function of registering and storing in a predetermined storage medium associated with the bulletin board.

즉, 상기와 같은 블로그 형태의 개인 웹사이트에 등록 및 게시되는 대부분의 디지털 컨텐츠는 결국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게시판과 연계된 소정의 저장매체에 일단 저장된 후, 상기 게시판이 제공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시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서버로 업로드(Uploa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at is, most digital contents registered and posted on the personal web site of the blog form are eventually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r more client terminals and once stor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medium associated with the bulletin board, and then provided by the bulletin boar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back to the client terminal (eg, uploaded from the client terminal to the server (Upload)) through the interface.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게시판 위주의 개인 웹사이트는 기존에 기업이 운영하는 컨텐츠 제공 위주의 웹사이트와 달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의 용량을 제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소정의 제약 내지 제한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대부분의 블로그 형태의 개인 웹사이트에는 500KB이상의 이미지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제약 내지 제한하고 있다.
By the way, the bulletin board-oriented personal website as described above is generally limited to the capacity of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edetermined digital content provided from the client terminal, unlike a website for providing contents operated by a company. To this end, certain restrictions or restrictions are applied to predetermined digital contents transmitted from the client terminal. For example, most blog-type personal websites restrict or restrict the transmission and storage of image content of 500 KB or more.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상기와 같이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여 그 용량을 상기 저장매체의 제약 내지 제한 범위 이내로 스스로 알아서 수동으로 조절해야 하는데, 이 과정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통상의 지식 이상의 가진자가 아니면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포함되어 있다.
Therefore, the client should edit the digital content transmitted to the storage medium as described above and adjust the capacity by itself within the constraints or limitations of the storage medium. This process requires a person who has more than the general knowledge about the digital content. Or it contains problems that cannot be achieved.

또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용량을 상기 저장매체의 제약 내지 제한 범위 이내로 조절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상기 편집된 디지털 컨텐츠의 질이 편집되지 이전의 원본보다 떨어지는 문제점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해당 디지털 컨텐츠가 생성되는 시점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소정의 편집 알고리즘에 따라 일방적으로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 및 변환하기 때문이다.
In addition, even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capacity of the digital content within the constraints or limitations of the storage medium, the quality of the edited digital content includes a problem that the original content is not edited, which is lower than the original, which is generated This is because the digital content is edited and converted unilateral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diting algorithm without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 viewpoint.

본 발명의 목적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컨텐츠를 등록하는 장치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될 컨텐츠의 코덱(CODEC)과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한 코덱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장치는 상기 컨텐츠의 코덱이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한 코덱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의 코덱이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컨텐츠의 코덱에 대응하는 컨텐츠 품질 내에서 상기 컨텐츠의 코덱을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하게 변환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코덱을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하게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등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ent registration method executed in a device for registering content to a storage medium on a wired or wireless network, wherein the device is capable of registering a codec of content to be registered on the storage medium and the storage medium. Checking the codec and the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codec of the content is a codec that can be registered on the storage medium, and when the codec of the content is not registerable on the storage medium, the device corresponds to the codec of the content. Determining a parameter for converting the codec of the content to the storage medium so as to be registerable within the content quality and converting the codec of the content to the storage medium using the determined parameter. It is to provide a content registration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등록 방법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컨텐츠를 등록하는 장치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될 컨텐츠의 코덱(CODEC)과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한 코덱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장치는 상기 컨텐츠의 코덱이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한 코덱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의 코덱이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컨텐츠의 코덱에 대응하는 컨텐츠 품질 내에서 상기 컨텐츠의 코덱을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하게 변환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코덱을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하게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ent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ent registration method executed in a device for registering content on a storage medium on a wired or wireless network, wherein the device includes a codec of the content to be registered on the storage medium and the storage medium. Determining a codec that can be registered in the; and determining, by the device, whether the codec of the content is a codec that can be registe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when the codec of the content is not registerable in the storage medium, Determining a parameter for registerably converting the codec of the content to the storage medium within a content quality corresponding to the codec; and converting the codec of the content to the storage medium using the determined parame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컨텐츠의 코덱에 대응하는 컨텐츠 품질 내에서 최상의 품질로 코덱을 변환하는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ntent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ameter includes a value for converting the codec to the best quality within the content quality corresponding to the codec of the content.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품질은, 색상, 명암, 선명도, 압축률, 안티 얼라이언스(Anti Allian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ntent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qualit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lor, contrast, sharpness, compression ratio, and anti-alliance.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웹사이트에 구비되어 컨텐츠의 업로드가 가능한 게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ntent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mediu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lletin board provided on the website to upload the content.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사운드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ntent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ound content, image content, and multimedia content.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저장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하도록 최적으로 편집하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없는 디지털 컨텐츠도 전송과정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전송될 수 있는 소정의 컨텐츠 구조로 편집 및 최적화하여 전송 및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ent terminal checks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compares it with data storage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storage medium, and store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By determining whether to optimally edit the storage medium so that it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digital content that cannot be transmitted and stored and managed by the storage medium on the network may be transferred to the storage medium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The advantage is that it can be edited and optimized for transmission and storage.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시스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3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여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조건에 부합하도록 편집하는 바람직한 일 예시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품질 및 성능을 최적화되도록 편집하는 바람직한 일 예시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품질 및 성능을 최적화되도록 편집하는 다른 일 예시도면이다.
1 is a preferred system diagram of a system for transmitting, storing and managing data (or digital content) to a storage medium on a network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storing and managing data (or digital content) to a storage medium on a net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diting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n a client terminal, transmitting the same to a storage medium on a network, and storing and managing the same.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red example of editing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o meet a condition that can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red example of editing to optimize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other exemplary diagram for editing to optimize quality and performance of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title.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 구성 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중에서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실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이외에 문자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사운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여 설명하여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uses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of various kinds of data (or digital content) in order to efficiently describe the techn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explains how to carry ou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scribed using text data (or digital content), sound data (or digital content), and / or multimedia data (or digital content) in addition to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s determined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시스템 도면이다.
1 is a preferred system diagram of a system for transmitting, storing and managing data (or digital content) to a storage medium on a net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1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인터넷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Person Computer; PC) 내지 키오스크(KIOSK),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무선 단말기(예컨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등)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서버 또는 웹서버(170)와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FIG. 1, the client terminal 100 may be a personal computer (PC) to a kiosk (KIOSK) connected to the Internet, or a wireless terminal (eg,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onnec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or a Smart Phone, etc.), and a predetermined server or web through at least one wired or wireless network. The server 170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session.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프로그램이 탑재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서 생성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1, the client terminal 100 is equipped with at least one data (or digital content) generating program for generating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or is generated externally through at least one or more interfaces. It is preferable that the function which receives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is moun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는 문자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프로그램(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워드, 한글과컴퓨터사의 아래아한글을 포함하는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 사운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프로그램(예컨대, 골드웨이브사의 골드웨이브, 사운드파운더리사의 사운드포지를 포함하는 사운드 제작 및 편집 프로그램),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프로그램(예컨대, 어도비사의 포토샵, JASC사의 페인트샵을 포함하는 이미지 제작 및 편집 프로그램), 및/또는 외부 소스로부터 소정의 동영상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프로그램(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미디어엔코더, 미스틱미디어사의 블레이즈메디어를 포함하는 동영상 생성 및 편집 프로그램) 등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ent terminal 100 has at least one data (or digital content) generating program for generating text data (or digital content) (e.g. A word processor program including; and at least one or more data (or digital content) generation programs for generating sound data (or digital content) (eg, a gold wave from Gold Wave, Inc. Editing program), at least one data (or digital content) generating program for generating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e.g., Adobe's Photoshop, an image creation and editing program including JASC's paint shop), and / or external Predetermined video from source At least one data (or digital content) generating program for generating data (or digital content) (e.g., a Microsoft Windows Media Encoder, a video creation and editing program including Mystic Media's Blaze Media) desirab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프로그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생성부(160)와 상기 생성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00)기 PC라면 하드디스크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에 저장하는 저장부(165) 등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generating program includes a client 160 for generating at least one data (or digital content) and the generated data (or digital content). It is preferable that a storage unit 165 or the like is stored in a memory unit (for example, a hard disk drive (HDD) if the client terminal 100 is a PC) provided in the terminal 100.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외부장치(예컨대, 디지털 카메라)에서 생성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50)에 저장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lient terminal 100 receives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generated by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digital camera) through at least one interface (for example, a universal serial bus (USB)) and receives the client terminal ( It is preferable that a function of storing in the memory unit 150 provided in the 100 is provided.

본 도면1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사진 촬영을 통해 이미지 컨텐츠를 생성하는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USB를 통해 이미지 컨텐츠를 제공받아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50)에 저장하는 실시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In FIG. 1, as an exemplary embodiment, an implementation method of receiving image contents through a USB from a digital camera for generating image contents through photographing and storing them in the memory unit 150 provided in the client terminal 100 is illustrated. .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는 상기 서버 또는 웹서버(170)와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소정의 웹브라우저가 탑재되며, 또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기능이 구비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탑재되는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웹브라우저에 플러그인(Plug-in)의 형태로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1, the client terminal 100 is equipped with a predetermined web brows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or data with the server or the web server 170, and for editing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A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equipped with a function is mounted, and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is linked to the web browser in the form of a plug-in. desirable.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네트워크 상에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배포하는 소정의 배포서버(180)에 저장 및 관리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요청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웹서버(170)에 접속하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배포서버(180)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다운로드 및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is stored and managed in a predetermined distribution server 180 for distribut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to the client terminal 100 on a network. In response to a request of 100 or an event in which the client terminal 100 accesses the web server 170, the client terminal 100 is preferably downloaded and mounted from the distribution server 180 to the client terminal 1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다운로드 및 탑재하는 배포서버(180)의 기능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접속하는 웹서버(170)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of the distribution server 180 to download and moun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to the client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is the client terminal 100 It may be provided in the web server 170 to be connec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예컨대, 웹서버(170)에 구비된 저장매체(175))에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0)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0)에 대응하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키도록 미리 정의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알고리즘 및 이를 처리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35)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 및/또는 압축방식을 확정 또는 변경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종류(예컨대, 문자, 사운드, 이미지,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연계하여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50)로부터 상기 저장매체(175)로 전송 및 저장할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는 추출부(120)와, 상기 추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독출부(110)와, 상기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판독 및 상기 판독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을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편집을 판단하는 판단부(115)와, 상기 판단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을 통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는 편집부(125)와, 상기 편집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전송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stores the data on a storage medium 175 (eg, the storage medium 175 provided in the web server 170) on the network.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0 required for storing (or digital content) and predetermined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0 A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lgorithm predefined to optimize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ructure and a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module 135 for processing the same, and a file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To determine or change the format and / or compression scheme of at least one data (or digital content) type (e.g., text, sound, image, And / or at least one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corresponding to the multimedia content) is linked to the storage medium 175 from the memory unit 150 provided in the client terminal 100. Extraction unit 120 for extracting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to be transmitted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and a reading unit for reading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from the extracted data (or digital content). 110, the read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is read and the read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to compare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The determination unit 115 that determines the editing of the content and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module 140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editing unit 125 optimizes and edits the digital content into a predetermined structure of data (or digital content) that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75, and the edited data (or digital content) is stored on the network.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ransmission unit 130 for transmitting and storing to 175.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 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 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 등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될 소정의 저장매체(175)가 구비된 웹서버(170), 또는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 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 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 등이 필요한 경우, 상기 웹서버(170) 또는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공간으로부터 수신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or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module 140, or the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may be It may be provided in a web server 170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torage medium 175 to store data (or digital content), or in a separate storage space provided on a network. In this case, the data (or digital conten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or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module 140, or data (or digital) in the course of editing the data (or digital content) by the editing application 105. Contents) format information 145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receive and use from the separate storage space provided on the web server 170 or the network.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은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될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저장매체(175)에 실제로 저장될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별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 내에서 소정의 조건문(예컨대, if… else if… else…)의 실행코드 형태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 내, 또는 상기 저장매체(175)가 구비된 웹서버(170), 또는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파라미터 정보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to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75 meets a predetermined condition to be actually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75. As a condition, it is included in the form of executable code of a predetermined conditional statement (eg, if… else if… else…) i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or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 Or in the form of parameter information stored in a web server 170 provided with the storage medium 175 or a separate storage space provided on a network.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은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될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용량 및/또는 파일포맷을 제한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limits the file capacity and / or file format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to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75, or It is desirable to limit the attributes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예컨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라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용량을 500KB로 제한하거나,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을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또는 SWF(ShockWave Flash)로 제한하거나,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가로방향 픽셀 수를 500픽셀로 제한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s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limits the file size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o 500 KB, or Limit the file format of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o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GIF (Graphics Interchange Format), or SWF (ShockWave Flash), or limit the number of horizontal pixels in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You can limit it to 500 pixel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와 비교되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할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is compared with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to compare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t is desirable to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or not to ed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과 무관하게 클라이언트의 판단(예컨대,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 상기 입력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MMI(Man Machine Interface)를 통해 웹브라우저를 거쳐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으로 제공됨.)에 의해 해당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를 변경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s determined by the client regardless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for example, user input data input through a keyboard or a mouse, the The input user input data is provided to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via a web browser via MMI (Man Machine Interface).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ructure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Can be determined to change.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원본을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도록 편집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실행모듈로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편집 애플리케이션(105) 내에서 미리 정의된 소정의 수치계산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예컨대, 컨텐츠 편집을 위한 소정의 수치계산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클래스(Class) 또는 객체(Object) 또는 스크립트(Script))의 형태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과 동적으로 연결되는 라이브러리(Dynamic Linking Library; DLL), 또는 액티브액스(ActiveX) 컨트롤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module 140 is a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lgorithm required to edi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original to mee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An execution module for editing the data (or digit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code, the program code including a predetermined numerical calculation algorithm defined i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eg, for content editing). Dynamic library included in the form of a class or object or script including a predetermined numerical algorithm, or dynamically linked to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Linking Library (DLL), 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in the form of ActiveX (ActiveX) contro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도록 편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편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module 140 may edi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to mee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aim to edi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nto a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structure desired by the client.

예컨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라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색상, 명암, 선명도 등을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형태로 편집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s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module 140 displays the color, contrast, sharpness, etc.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Can be edited to the desired format.

또한, 예컨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은 소정의 필터(Filter) 효과(도시생략)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특수효과(예컨대, 인물 사진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서 인물의 얼굴을 깨끗한 피부로 표현되도록 하기 위해 명암 및/또는 대조값을 변경하고 블러(Blur) 효과를 주는 특수효과)를 주어 편집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for example,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module 140 may generate a special effect (eg, in the form of a portrait photograph) that the client desires to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hrough a predetermined filter effect (not shown).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may be edited by changing the contrast and / or contrast and giving a blur effect in order to express the face of the person as clean skin.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 또는 압축방식을 변경하는데 요구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포맷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체(Structure) 또는 객체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방식을 포함하고 있는 코덱(Codec)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is information or data required for changing a file format or compression method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nd includes a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file format information. Or it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form of an object, or preferably in the form of a codec (Codec)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compression schem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추출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종류(예컨대, 문자, 사운드, 이미지,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파일포맷 및/또는 압축방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 및/또는 압축방식을 변경하는데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may be a data (or digital content) type (eg, text) for data (or digital content) extracted from the client terminal 100. , Sound, image, and / or multimedia content), or i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does not include any file format and / or compression scheme that can be stored on the storage medium 175. Preferabl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required to change the file format and / or compression scheme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는 소정의 구조체 또는 파일압축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로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과 동적으로 링크되는 라이브러리(DLL), 또는 액티브액스 컨트롤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the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is included i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as program code including a predetermined structure or file compression algorithm, or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t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form of a library (DLL) that is dynamically linked with the editing application 105, or in the form of active ax control.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 및/또는 압축방식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생략되어도 무방하며, 압축방식의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기 구비되어 있는 코덱(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소정의 압축코덱이 기 구비되어 있는 경우)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may be omitted when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a file format and / or a compression method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n this case, a codec (eg, in the case where a predetermined compression codec is provided in the client terminal 100) may be used.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되는 추출부(12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50)로부터 상기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할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이 추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xtraction unit 120 included i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transmits the data to the storage medium 175 from the memory unit 150 included in the client terminal 100 to store the predetermined data ( Or digital content), wherein the extracted data (or digital conten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data including data (or digital content) header information and / or data (or digital content) generation information.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is preferably inclu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추출부(12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예컨대, USB 또는 NIC(Network Interface Card))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 또는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여도 무방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or 120 is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at least one interface (for example, USB or Network Interface Card (NIC)) provided in the client terminal 100 Alternatively, the data (or digital content) may be extracted from the storage space.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되는 독출부(110)는 상기 추출부(120)가 추출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이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는 상기 판단부(115)에 의해 상기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과 비교되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를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편집부(125)에 의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를 편집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ader 110 included i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includes data (or digital content) header information and / or data (or digital content) from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xtracted by the extractor 120. And read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including digital content) gener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read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is edi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115. It is preferable to compare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included in the application 105 to provide a basis for determining whether to change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ructure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lso, the editing unit 125 edit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ructure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That of providing a reference is preferr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독출부(110)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방법은, 우선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의 확장자를 판독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와 파일포맷을 통해 일차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해더를 독출한 후 상기 해더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와 파일포맷을 확정(예컨대, 대부분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파일의 해더에는 해당 파일의 포맷 및/또는 코덱을 판단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자가 포함되는데, 상기 독출부(110)는 이와 같은 식별자를 통해 상기 파일포맷을 확정)한 후, 상기 파일포맷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in which the reading unit 110 reads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from the data (or digital content), first, read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Read the extension of the included file to determine the data (or digital content) type and file format first, and use the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file format to the data After reading the header of the (or digital content), the header and the file format of the data (or the digital content) are determined by reading the header (e.g., the header of the file that stores most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t includes a unique identifier that can determine the format and / or codec of the, the reading unit 110 through the identifier At least one data including data (or digital content) header information and / or data (or digital content) generation information from the data (or digit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le format after the file format is determined. (Or digital content) It is desirable to read attribute information.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되는 판단부(115)는 상기 독출부(110)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공간(예컨대, 웹서버(170)에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을 저장하는 소정의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추출 및 수신)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로부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etermination unit 115 included i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may includ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read out from the data (or digital content) by the reader 110 and the data ( Or a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or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for storing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in the web server 170) on a network (eg, a web server 170). Compare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extracted and received by (100), and store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on the storage medium 175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r determining whether to optimize by editing to a digital content) structu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판단부(115)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으로부터 동일한 항목에 해당하는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로부터 추출된 값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을 만족하는지 판독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를 편집하도록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or not the determination unit 115 optimizes and edit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nto a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structure that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75. The method may include extracting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same item from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read from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nd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and extracting the extracted item. By comparing values and reading whether the value extracted from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satisfie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f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orage conditions 135 are not satisfied,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o edi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ructure.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되는 편집부(125)는 상기 판단부(115)에 의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를 편집하도록 판단되거나, 또는 클라이언트가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소정의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를 편집하도록 요구하는 경우, 상기 독출부(110)에 의해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diting unit 125 included i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115 to edi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ructure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or When the client requests to edi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ructure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through a predetermined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the data (or digital content) read by the reader 110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ructure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s edited us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편집부(125)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를 편집하는 것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예컨대, 저장매체(175)에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는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는 것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지 못한 자라도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로 전송 및 저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클라이언트의 의도를 반영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편집하는 것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iting unit 125 to edi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ructure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f the storage condition 135 does not meet the storage condition 135 (e.g., a condition in which the data (or digital content)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75),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75. To optimize and edi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ructure, and to transmi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to the storage medium 175 even if the user does not have ordinary knowledge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nto a data (or digital content) structure that reflects the client's intent in the process of storing It is preferable to include etc.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이고, 상기 저장매체(175)에 JEPG 또는 GIF의 파일포맷과 500KB 이하의 용량을 가진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도록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포함된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는 것은, 500KB이상의 용량을 갖는 TIFF 또는 BMP의 파일을 500KB 이내의 JEPG 또는 GIF 파일포맷으로 변경하되,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JEPG와 GIF 중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가장 적절하게 표현하는 소정의 파일구조로 최적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s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and the image medium (or digital) has a file format of JEPG or GIF and a capacity of 500 KB or less in the storage medium 175. Content is stored i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so tha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s optimized to a data (or digital content) structure that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75. Editing by changing a TIFF or BMP file having a capacity of 500 KB or more to a JEPG or GIF file format of 500 KB or less, and reading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read from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Optimized to a predetermined file structure that best represents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among the JEPG and GIF To mean that the key is, if you explain it more in detail as follows.

ISO/IEC JTC 1과 ITU-T가 공동으로 표준화한 JPEG 포맷은 사진과 같은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위한 파일포맷으로서, 적응 불연속 코사인 변환(Adaptive 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 ADCT) 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압축하는데, 상기 적응 불연속 코사인 변환은 비압축 시의 이미지 컨텐츠를 5분의 1에서 최대 30분의 1까지 압축할 수 있는 반면, 안티 얼라이어스(Anti Alliance)가 심하기 때문에 경계선이 뭉게지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The JPEG format, jointly standardized by ISO / IEC JTC 1 and ITU-T, is a file format for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such as photographs, and includes an encoding including Adaptive 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 (ADCT). An algorithm compresses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wherein the adaptive discontinuous cosine transform can compress uncompressed image content from one-fifth to up to one-third, while anti-allied (Anti Alliance) ) Is a serious problem, which includes a problem that the border line is agglomerated.

반면 미국의 컴퓨서브(CompuServer)사가 1987년에 개발한 GIF 포맷은 래스터 화상(raster image)을 전송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파일포맷으로서, 상기 GIF 포맷은 LZW 부호화 알고리즘(이스라엘 컴퓨터 학자 Abraham Lempel, Jacob Zib, Terry welch가 고안한 압축 알고리즘)을 통해 이미지 컨텐츠를 압축하는데, 상기 LZW 알고리즘은 최대 256가지 색을 표현하며, 특정한 색을 투명색(Transparent Color)으로 지정하는 투명 GIF, 화상을 저해상도부터 서서히 뚜렷한 화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GIF, 및/또는 GIF를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GIF 애니메이션 등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GIF 포맷은 이미지의 경계선이 선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GIF format, developed in 1987 by CompuServer of the United States, is a widely used file format for transmitting raster images, which are LZW encoding algorithms (Israel computer scholars Abraham Lempel, Jacob Zib, Image compression is performed using Terry welch's compression algorithm.The LZW algorithm expresses up to 256 colors, and a transparent GIF that designates a specific color as a transparent color. An interface GIF that can be displayed and / or a GIF animation that continuously displays the GIF can be provided. For this purpose, the GIF format is characterized in that a boundary of an image is clea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독출부(110)가 독출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한 알고리즘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판단부(115)가 이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JPEG로 변경할지 또는 GIF로 변경할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편집부(125)는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JPEG 또는 GIF 포맷 중에서 특정의 파일포맷으로 변경시킨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ading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read by the reading unit 110, it is possible to check the algorithm for generating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he determination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115 determines whether to change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o JPEG or GIF, and the editing unit 125 determines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Change to a specific file format in JPEG or GIF format.

예컨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서 독출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에 포함된 펌웨어 버전이 특정 디지털 카메라가 사용하는 펌웨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JPEG로 변경하는 것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최적화시켜 변경하는 바람직한 방법이다. 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서 독출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에 포함된 펌웨어 버전이 코렐드로우(Corel Draw)와 같이 벡터맵 방식의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펌웨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경계선이 선명한 GIF 포맷으로 변경하는 것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최적화시켜 변경하는 바람직한 방법이다.
For example, if the firmware version included i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read from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ncludes firmware information used by a specific digital camera,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a JPEG. Is a preferred method of optimizing and changing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On the other hand, if the firmware version included i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read from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ncludes firmware information including a vector map image generation program such as Corel Draw Changing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o a GIF format having a clear boundary line is a preferred method of optimizing and changing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인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클라이언트의 의도를 반영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편집하는 것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색상, 명암, 선명도 등과 같은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파라미터들을 소정의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처리하되,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컨텐츠 속성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파라미터들을 가장 적절한 값으로 최적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s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has a data (or digital content) structure that reflects the intention of the client. Editing includes processing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parameters such as color, contrast, sharpness, etc.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o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hrough a predetermined image processing algorithm, wherein the image This means that the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read from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s read out to optimize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parameters to the most appropriate values.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화상 이미지에 있어서, 자연광 내지 백열등 아래의 피사체를 형광등 촬영모드에서 촬영하면 상기 피사체의 색상은 원래의 색상보다 푸르게 변하게 되고, 반대로 형광등 아래의 피사체를 자연광 내지 백열등 촬영모드에서 촬영하면 상기 피사체의 색상을 원래의 색상보다 붉게 변하게 된다.
In an image taken by a digital camera, when a subject under natural light or an incandescent lamp is photographed in the fluorescent light recording mode, the color of the subject is changed to a blue color than the original color. The color of the subject becomes reddish than the original color.

예컨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서 독출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에 포함된 촬영모드에 상기 이미지를 촬영할 당시의 조명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의 의도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피사체의 색상을 가능한 원래의 색상이 되도록 원한다면, 상기 형광등 촬영모드에서 촬영된 자연광 내지 백열등 아래 피사체의 색상은 좀더 붉은색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고, 반대로 자연광 내지 백열등 촬영모드에서 촬영된 형광등 아래 피사체의 색상은 좀더 푸른색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For example, the image capturing mode included i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read out from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ncludes illumination information at the time of capturing the image, and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read. If the client's intention to transmit to the storage medium 175 is to make the color of the subject included in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as original color as possible, the subject under natural light or the incandescent lamp photographed in the fluorescent light shooting mod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olor of the light to red, and on the contrary, the color of the subject under fluorescent light photographed in natural light or incandescent light shooting mode needs to be changed to blue.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되는 전송부(130)는 상기와 같이 저장매체(175)에 저장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로 편집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예컨대, 웹서버(170)에 구비된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ransmission unit 130 included i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stores the edited data (or digital content) in an optimal state that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75 as described above. 175 (for example, the storage medium 175 provided in the web server 170) is transmitted to and stored.

도면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storing and managing data (or digital content) to a storage medium 175 on a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2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실시간 다운로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배포서버(180)와, 상기 배포서버(180)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다운로드 및 탑재되는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전송하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매체(175)를 구비한 웹서버(170)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웹서버(170)에 접속하고, 상기 웹서버(170)에 구비된 소정의 저장매체(175)(예컨대, 웹사이트에 구비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업로드가 가능한 게시판)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요청한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상기 웹서버(170)에 접속하여 게시판에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업로드 버튼을 클릭한다.
Referring to FIG. 2, a distribution server 180 that downloads a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to a client terminal 100 in real time and records it on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the client terminal 100. And a client terminal 100 that downloads and mounts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from the distribution server 180, and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transmitted by the client terminal 100. In the system consisting of a web server 170 having a storage medium 175 is stored, the client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web server 170, the predetermined storage provided in the web server 170 A request is made to transmit and store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to the medium 175 (eg, a bulletin board capable of uploading data (or digital content) included in a website). For example, the client terminal 100 accesses the web server 170 and clicks the upload data (or digital content) button on the bulletin board.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상기 웹서버(170)에 구비된 소정의 저장매체(175)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요청하면, 상기 웹서버(170)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편집하여 상기 저장매체(175)로 전송하도록 미리 정의된 기술구성을 포함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배포하는 소정의 배포서버(180)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탑재하도록 요청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lient terminal 100 requests to transmit and store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to a predetermined storage medium 175 provided in the web server 170, the web server 170 sends a request. Distribution of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including a predefined technical configuration to edit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on the client terminal 100 to be transmitted to the storage medium 175. Request to moun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to the client terminal 100 through the distribution server 180 of.

예컨대, 상기 웹서버(170)는 상기 배포서버(180)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네트워크 연결정보(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네트워크를 통해 웹서버(170)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스택으로부터 독출된 IP 주소)를 제공하고, 상기 배포서버(180)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배포하도록 요청한다.
For example, the web server 170 uses the distribution server 180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lient terminal 100 (eg, the client terminal 100 to the web server 170 via a network). Provide an IP address read from a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IP) stack and distribute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from the distribution server 180 to the client terminal 100. do.

상기와 같이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배포하는 것이 요청되면, 상기 배포서버(18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탑재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탑재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이전 버전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탑재되어 있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최신 버전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다운로드 및 탑재한다.
Whe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is requested to be distributed to the client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the distribution server 180 sends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to the client terminal 100. Make sure that the editing application 105 is mounted, and tha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is not mounted on the client terminal 100, or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of the previous version. ), The latest version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is downloaded and mounted to the client terminal 1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배포서버(180)는 웹서버(170) 내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소정의 이동형 저장매체(175)를 통해 배포되거나,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최신 버전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기 탑재되어 있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최신 버전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다운로드 및 탑재하는 과정이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ibution server 180 may be provided in the web server 170, and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removable storage medium 175. If the client terminal 100 is already distributed with the latest version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or the latest version of the data (or the digital content) to the client terminal 100. The process of downloading and mounting the editing application 105 may be omitted.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최신 버전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탑재되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클라이언트가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포함하는 소정의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판독(예컨대, 클라이언트가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중에서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선택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판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50)로부터 상기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할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한다.
When the latest version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is mounted on the client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lient or a keyboard or mouse. Read user input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for example, data selected by the client to be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75 among at least one or more data (or digital contents) stored in the memory unit 150 (or digital contents)). And extracts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to be stored and transmitted from the memory unit 150 provided in the client terminal 100 to the storage medium 175.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USB 또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소정의 외부장치로부터 직접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거나, 또는 NIC을 통해 LAN(Local Area Network) 상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공유 메모리로부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via a USB or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1394 port provided in the client terminal 100.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directly from the device or to extrac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from the shared memory of another client terminal 100 connected on a local area network (LAN) via a NIC. .

상기와 같이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할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추출되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추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독출한다.
Whe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to be transmitted and stored on the storage medium 175 is extracted as described above,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performs data (or digital content) from the extracted data (or digital content). Read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including header information and / or data (or digital content) generation information.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가 독출되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예컨대, 프로그램 코드 형태 또는 동적연결된 라이브러리나 액티브액스 컨트롤의 형태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되거나, 또는 저장매체(175)가 구비된 웹서버(170)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을 만족하는지 판독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으로 최적화시켜 편집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When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is read from data (or digital conten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may store the data (or digital content) on the storage medium 175.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eg, included i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in the form of program code or in the form of a dynamically linked library or active access control, or the storage medium 175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stored in the web server 170 or the storage space on the network is compared with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s read by reading whether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is satisfied. ) Is determined to be optimized by editing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of the storage medium 175.

상기 판단결과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으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도록 판단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는(예컨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클라이언트의 의도를 반영하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편집한다.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determined to optimize the data (or digital content) to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of the storage medium 175 to edi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 Store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using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read from the data (or digital content). Optimizing and editing to a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structure (e.g., the data (or digital content) can be stored on the storage medium 175), or the data (or digital content) The data is edited into a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structure that reflects the client's intention.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상기와 같이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편집되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웹서버(170)에 구비된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Whe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s edited as described above in the client terminal 100,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is optimized and edited into a predetermined structure that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75. The data (or digital content) is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75 provided in the web server 170.

도면3은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여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diting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n the client terminal 100 and transmitting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o a storage medium 175 on a network.

특히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와 같이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을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본 도면3에 실시되는 방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도면3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됨은 명백할 것이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2, FIG. 3 is a preferred embodiment illustrating in detail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storing data (or digital content) to a storage medium 175 on a network with respect to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of FIG. 3, and this FIG. 3 can help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or. Therefor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와 같은 흐름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예컨대, 이미지 컨텐츠를 편집하여 저장매체(175)로 전송 및 저장하도록 미리 정의된 구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 등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탑재되고,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통해 상기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할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 및 편집하여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로 전송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 것이다.
FIG. 3 is previously defined in the flow chart as shown in FIG. 2 to predetermine a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eg, to edit and transmit image content to a storage medium 175).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module 140,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for the structured data and at least one or mor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A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having a back side, and the like, and predetermined image data (storage) to be transmitted and stored to the storage medium 175 through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Or digital conten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causes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o extract and edit it sets forth in detail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storage medium (175) on the network.

도면3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웹서버(170)에 구비된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소정의 이미지가 추출되면(300),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클라이언트 단말(100)에 탑재된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의 확장자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을 1차로 결정한다(305).
Referring to FIG. 3, the client terminal 100 passes through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to a storage medium 175 on the network (= storage medium 175 provided in the web server 170). When a predetermined image to be transmitted and stored is extracted (300), the client terminal 100 (=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mounted on the client terminal 100) is a file containing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he file format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primarily determined through the extension of the data (305).

예컨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의 확장자가 “*.BMP”라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비트맵 이미지 컨텐츠이고, 상기 파일의 확장자가 “*.JPG”라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JEPG 포맷으로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해당한다.
For example, if the extension of the file including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 .BMP",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bitmap image content and the extension of the file is "* .JPG".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corresponds to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compressed in the JEPG format.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이 1차로 결정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추출(예컨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추출하거나, 또는 웹서버(170) 내지 네트워크 상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해더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1차로 결정된 파일포맷과 일치하는지 파일해더 유효성을 확인한다(310).
Therefore, when the file format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determined as primary as described above, the client terminal 100 extracts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corresponding to the file format (for example, Extract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included i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or format data (or digital content) stored in a storage space on the web server 170 or the network. (145), and compares the file header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with the file header to verify whether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matches the primary determined file format (310).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1차로 결정된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의 구조에 상기 파일해더에 포함된 정보가 정확하게 매칭된다면, 상기 파일해더 유효성을 확인되는 것이며, 그렇지 않다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해더 유효성은 확인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file header is correctly matched to the structure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determined file format, the file header It is desirable that the validity is checked, otherwise the file header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not checked.

만약 상기 1차로 결정된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해더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다면(315),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추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 이외에 다른 종류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추출하고, 이와 같이 추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통해 상기 파일해더에 대한 유효성을 재확인한다(320).
If the validity of the file header including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not authenticated through the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mined file format (315), the client terminal ( 100 extracts other types of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in addition to the extracted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and thus extract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Re-check the validity of the file header through (32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파일해더의 유효성을 재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통해 확인 가능한 모든 종류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에 대하여 유효성 인증이 시도되며, 모든 종류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에 대하여 시도된 파일해더 유효성 인증이 실패할 경우(325),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추출된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validating the validity of the file header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ll kinds of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or digital content) that can be checked through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145 is attempted for validity authentication, and if the attempted file header validation for all kinds of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fails (325), the client terminal 100 extracts the data. The image data (or the digital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storage medium 175 on the network to be terminated without performing the process of storing.

반면 상기 1차로 결정된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해더의 유효성이 인증되거나(330), 또는 다른 종류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해더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와 같이 파일해더의 유효성이 인증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에 대응하는 파일포맷으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포맷을 확정한다(335).
On the other hand, the validity of the file header including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authenticated through the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determined file format (330), or another kind. When the validity of the file header including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authenticated through the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the client terminal 100 is authenticated as described above. The format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determined in a file format corresponding to the data (or digital content) format information 145 (335).

상기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이 확정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확정된 파일포맷의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을 추출한다(340).
When the file format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client terminal 100 transmits and stores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of the determined file format to the storage medium 175 on the network. The predetermined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is extracted (340).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와 같이 파일포맷이 확정된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독출한다.
Also, the client terminal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data (or digital content) header information and / or data (or digital content) generation information from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file format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Read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상기와 같이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이 추출되고,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가 독출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345).
I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is extracted as described above, and at least one or mor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is read from the image data (or the digital content), the client terminal 100 reads the reado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satisfie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34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과정은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로부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의 특정항목에 매칭되는 항목의 속성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속성정보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 항목에 대하여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corresponds to an item matching a specific item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from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read from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Extract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attribute and confirming whether the extracted attribute information satisfie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is performed on at least on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item;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by making it.

만약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지 않는다면(350),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도면3과 같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에 저장될 수 있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도록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크기, 변경포맷, 및/또는 품질 파라미터의 변경값을 자동 결정한다(355).
I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does not mee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350), the client terminal 100 is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as shown in FIG. The image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to mee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that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75 on the network. Automatically determine the size, change format, and / or quality parameter change value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355).

반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정보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도록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파라미터의 변경값이 자동으로 결정되면(360),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도면3 내지 도면4 내지 도면5와 같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는 최상의 품질과 효과로 최적화되도록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색상, 명암, 및/또는 선명도 파라미터 변경값을 자동 결정한다(365).
On the other hand,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satisfie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or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 135, when the change value o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parameter is automatically determined (360), the client terminal 100 as shown in Figures 3 to 4 to 5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By using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used to optimize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o the best quality and effect that meet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Color, contrast, and / or sharpness parameter changes are automatically determined 365.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파라미터가 클라이언트가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포함하는 소정의 입력수단을 통해 수동으로 변경되어도 무방하며, 또는 상기와 같이 자동으로 결정된 후에 상기 입력수단으로 통해 클라이언트의 의도대로 재변경되어도 무방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parameter may be manually changed by the client through a predetermined input means including a keyboard or a mouse, or after the input is automatically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By means of this, it may be changed again as intended by the client.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라미터 변경값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도록 변경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파라미터의 변경값을 클라이언트가 승인하도록 요청한다.
If the parameter change value of the image data (or the digital content) is changed to conform to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client terminal 100 transmits the image data Content) parameter to be approved by the client.

만약 클라이언트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파라미터의 변경값을 승인하지 않는다면(370),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로 전송되지 않고 종료된다.
If the client does not approve the change value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parameter (370),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terminated without being transmitted to the storage medium 175 on the network.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파라미터의 변경값을 승인하지 않았을지라도,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이미 부합된다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175)로 전송되어 저장되어도 무방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lient does not approve a change value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parameter,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changed. If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is already met,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storage medium 175 via a network and stored.

반면 클라이언트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파라미터의 변경값을 승인한다면(375),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파라미터 변경값을 변경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대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한다(380).
On the other hand, if the client approves the change value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parameter (375), the client terminal 100 change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parameter change value to display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edited by inserting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nto at least one or mor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module 140 for editing (38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것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크기, 파일포맷, 품질 또는 색상, 명암, 선명도 등의 변경값을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순차적으로(예컨대, 선행된 변경값을 후행되는 변경값이 무효화시키지 않는 순서대로) 적용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iting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hrough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module 140 in the client terminal 100,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 Such as size, file format, quality or color, contrast, sharpness, etc., are applied to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sequentially (e.g., in order that subsequent changes do not invalidate subsequent changes). It is.

상기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편집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데(385), 이 과정은 기존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웹서버(170)에 업로드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When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edited as described above, the client terminal 100 transmits and stores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o the storage medium 175 provided on the network (385). This process is the same as the process of uploading and storing existing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o the web server 170.

도면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매체(175)에 저장할 수 있는 조건에 부합하도록 편집하는 바람직한 일 예시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red example of editing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n accordance with a condition that can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175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본 도면4는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에 저장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이 이미지 가로방향 픽셀 수가 500픽셀 이내이고, 파일 포맷은 JEPG와 GIF 중에서 선택되며, 색품질은 32비트 이내이고, 이미지 품질의 분해능이 인치당 72픽셀로 고정된 경우에 있어서, 가로방향 739픽셀 및 세로방향 570픽셀의 BMP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도록 편집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In particular, in FIG. 4,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for storing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n a storage medium 175 on a network has an image horizontal pixel number of 500 pixels or less, and the file format is JEPG. In the case where the color quality is selected within 32 bits and the resolution of the image quality is fixed at 72 pixels per inch, BMP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of 739 pixe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570 pixel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elected. Or when editing to meet the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추출된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픽셀 수를 상기 컨텐츠 속성정보를 근거로 이미지가 왜곡되지 않게 가로방향 500픽셀 및 세로방향 386픽셀로 결정한다.
Accordingly,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included in the client terminal 100 may distor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ixels of the extracted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500 pixe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386 pixe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determined.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픽셀 수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재조정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왜곡되지 않도록 가로방향 픽셀 수가 변경하면 그에 대응하여 세로방향 픽셀 수가 자동 변경되고, 반대로 세로방향 픽셀 수가 변경되면 그에 대응하여 가로방향 픽셀 수가 자동 변경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horizontal and vertical pixels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may be readjusted by a client, in which case the horizontal pixels do not distort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When the number is changed, the vertical pixel number is automatically changed correspondingly. On the contrary, when the vertical pixel number is changed, the horizontal pixel number is automatically changed correspondingly.

또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소정의 피사체(예컨대, 풍경)를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것이므로(예컨대, 컨텐츠 생성조건의 펌웨어에 특정 제조사의 디지털 카메라가 사용하는 펌웨어 버전이 확인되면), 상기 BMP의 파일포맷을 JPEG와 GIF 중에서 JPEG로 포맷으로 결정한다.
In additio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reads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so that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a predetermined object (eg, Since the scenery is taken with a digital camera (for example, when the firmware version used by the digital camera of a specific manufacturer is confirmed in the firmware of the content generation condition), the file format of the BMP is determined as JPEG from JPEG and GIF.

또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색품질 또는 이미지 품질을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는 32비트의 색품질과 인치당 72픽셀의 분해능으로 자동 결정한다.
In additio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is a 32-bit color quality of the color quality or image quality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o meet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Automatic resolution with resolution of 72 pixels per inch.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변경된 사진크기, 파일포맷, 및 품질 파라미터들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자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으로 최적화(예컨대, 컨텐츠 저장조건(135)의 제한범위 내에서 최상의 품질로 설정)된 것이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ged picture size, file format, and quality parameters are stored in the author medium on the basis of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s) (For example, set to the best quality within the limit of the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with the data (or digital content) storage condition 135 that can be used.

도면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품질 및 성능을 최적화되도록 편집하는 바람직한 일 예시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red example of editing to optimize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본 도면5는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명암 및/또는 색상을 최상의 품질 및 성능으로 최적화시키는 경우에 대한 것으로서, 자연광 아래의 피사체를 형광등 조명모드에서 촬영하여 화상 이미지가 원래 색상보다 약간 푸르게 나온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색상을 전체적으로 노란색 또는 붉은색 계열로 조정하고, 화사한 느낌을 주기 위해 이미지를 좀더 밝게 명암을 조정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is figure 5 is for the case of optimizing the contrast and / or color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with the best quality and performance, the image image is slightly bluer than the original color by shooting the subject under natural light in fluorescent lighting mode In this case, the color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adjusted to a yellow or red color as a whole, and the contrast of the image is brighter to give a bright feeling.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형광등 조명모드에서 촬영된 것을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색상을 전체적으로 노란색 내지 빨간색으로 변경하도록 색상값 변경을 자동 결정한다.
Therefore,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included in the client terminal 100 read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read from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hereby providing the image data (or The digital content is checked in the fluorescent lighting mode, and the color value change is automatically determined to change the color of the image data (or the digital content) from yellow to red as a whole.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낮 시간에 촬영된 것을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명암을 전체적으로 밝게 변경하도록 명암값 변경을 자동으로 결정한다.
In additio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included in the client terminal 100 reads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read from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thereby providing the image data (or The digital content) is checked during the day, and the change of the contrast value is automatically determined to change the brightness of the image data (or the digital content) as a who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색상 내지 명암 변경은 본 도면5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지 못한 자라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수치적인 값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미리보기 화면을 통해 색상 내지 명암을 변경하는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to contrast change as described above does not determine a numerical value so that even those without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easily change,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o automatically determine a parameter for changing the color to the contrast through the preview screen.

도면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품질 및 성능을 최적화되도록 편집하는 다른 일 예시도면이다.
6 is another exemplary diagram for editing to optimize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본 도면5는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선명도를 최상의 품질 및 성능으로 최적화시키는 경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의 측광모드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이미지를 보다 선명하게 할 것인지 아니면 보다 흐리게 할 것인지 조정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In particular, FIG. 5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harpness o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optimized to the best quality and performance. More specifically, FIG. 5 includes data (or digital) included in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photographed by a digital camera. Content) This is a case of adjusting whether the image is sharper or more blurred by reading the metering mode of attribute information.

예컨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인물사진 내지 정물사진 이라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한 디지털 카메라의 측광모드는 인물사진 또는 정물사진에 적합한 측광모드(예컨대, 아웃포커싱 모드)를 사용하였을 것이며,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풍경사진 이라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한 디지털 카메라의 측광모드는 풍경사진에 적합한 측광모드를 사용하였을 것이다.
For example, i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a portrait photo or a still photo, the metering mode of the digital camera that generated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a metering mode suitable for a portrait or still photo (eg, out of focusing mode). If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is a landscape picture, the metering mode of the digital camera that generated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would have used a metering mode suitable for the landscape picture.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에 포함된 측광모드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좀더 돋보이게 하기 위해 선명도를 자동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풍경을 촬영한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좀더 선명하게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data (or digital content) editing application 105 included in the client terminal 100 reads the metering mode included in the data (or digital content) attribute information read from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Sharpness is automatically determined to make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stand out more. When photographing a landscap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mage data (or digital content) be more clearly adjus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선명도 변경은 본 도면6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지 못한 자라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수치적인 값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미리보기 화면을 통해 선명도를 변경하는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rpness change as described above is not determined numerical value so that even a person who does not have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It is desirable to have the viewing screen automatically determine the parameters that change the sharpness.

100 : 클라이언트 단말 105 : 데이터 편집 애플리케이션
110 : 독출부 115 : 판단부
120 : 추출부 125 : 편집부
130 : 전송부 135 : 데이터 저장조건
140 : 데이터 편집모듈 145 : 데이터 포맷정보
150 : 메모리부 155 : 데이터(디지털 컨텐츠)
160 : 생성부 165 : 저장부
170 : 웹서버 175 : 저장매체
180 : 배포서버
185 : 데이터 편집 애플리케이션DB 190 : MMI
100: client terminal 105: data editing application
110: reading unit 115: judgment unit
120: extraction unit 125: editing unit
130: transmission unit 135: data storage conditions
140: data editing module 145: data format information
150: memory unit 155: data (digital content)
160: generation unit 165: storage unit
170: web server 175: storage medium
180: distribution server
185: data editing application DB 190: MMI

Claims (5)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컨텐츠를 등록하는 장치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될 컨텐츠의 코덱(CODEC)과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한 코덱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장치는 상기 컨텐츠의 코덱이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한 코덱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코덱이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컨텐츠의 코덱에 대응하는 컨텐츠 품질 내에서 상기 컨텐츠의 코덱을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하게 변환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코덱을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 가능하게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등록 방법.
In the content registration method executed in the device for registering the content to a storage medium on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dentifying a codec of a content to be registered on the storage medium and a codec that can be registered on the storage medium;
Determining, by the device, whether a codec of the content is a codec that can be registered in the storage medium;
If the codec of the content is not registerable with the storage medium, determining, by the device, a parameter for converting the codec of the content with the storage medium so as to be registerable within the content quality corresponding to the codec of the content; And
And converting the codec of the content to be registered in the storage medium by using the determined parame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컨텐츠의 코덱에 대응하는 컨텐츠 품질 내에서 최상의 품질로 코덱을 변환하는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등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rameter is
And a value for converting the codec to the best quality within the content quality corresponding to the codec of the content.
제 1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품질은,
색상, 명암, 선명도, 압축률, 안티 얼라이언스(Anti Allian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등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ent quality is
A content registration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color, contrast, sharpness, compression rate, and anti allian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웹사이트에 구비되어 컨텐츠의 업로드가 가능한 게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등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orage medium,
Content registration method comprising a bulletin board provided on the website to upload the cont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사운드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등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ent is:
Content registration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sound content, image content, multimedia content.
KR20130028703A 2013-03-18 2013-03-18 Method for Registering Contents KR1014875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8703A KR101487523B1 (en) 2013-03-18 2013-03-18 Method for Registering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8703A KR101487523B1 (en) 2013-03-18 2013-03-18 Method for Registering Content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687A Division KR20120060195A (en) 2012-05-24 2012-05-24 Method for Converting Codec of Cont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298A true KR20130062298A (en) 2013-06-12
KR101487523B1 KR101487523B1 (en) 2015-02-09

Family

ID=48860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8703A KR101487523B1 (en) 2013-03-18 2013-03-18 Method for Registering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523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2787B2 (en) * 1999-10-08 2007-09-26 ヤマハ株式会社 Content data distribution method and telephone terminal device
KR20040051924A (en) * 2002-12-13 200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wo term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523B1 (en) 201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2674B2 (en) Imaging system that provides dynamic viewport tiering optimized for specific client device types
CN109670427B (en)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350820B2 (en) Photo selection for mobile devices
US20080032739A1 (en) Management of digital media using portable wireless devices in a client-server network
US8553977B2 (en) Converting continuous tone images
JP2020115350A (en)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platform and image device
CN114788296A (en) Coordinated control for display media
Chun WebGL Models: End-to-End 30
US106811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content using cloud
CN117076811A (en) Webpage export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0509826B2 (en) Server device, clien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60217115A1 (en) Server device, clien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00010041A (en) Method for sending data selectively
KR20060080662A (en)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sending data selectively, method for sending data selectively
KR20060080663A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data, recording medium
KR20130062298A (en) Method for registering contents
KR20120060195A (en) Method for Converting Codec of Contents
Bendell et al. High Performance Images: Shrink, Load, and Deliver Images for Speed
US11810267B2 (en) Efficient server-client machine learning solution for rich content transformation
KR20130055626A (en) Method for converting and registering contents
KR20120049856A (en) Method for registering contents
US20160261674A1 (en) Providing a html file by picture transport protocol
WO2018115847A1 (en) Image provisioning and access methods and apparatus
WO2021228821A1 (en) Method for compressing and delivery of an image file
CN115550299A (en) Image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