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777A - 손가락 움직임에 의한 신호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손가락 움직임에 의한 신호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777A
KR20130061777A KR1020110128013A KR20110128013A KR20130061777A KR 20130061777 A KR20130061777 A KR 20130061777A KR 1020110128013 A KR1020110128013 A KR 1020110128013A KR 20110128013 A KR20110128013 A KR 20110128013A KR 20130061777 A KR20130061777 A KR 20130061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inger
input device
muscle
sign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훈
Original Assignee
박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훈 filed Critical 박세훈
Priority to KR1020110128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1777A/ko
Publication of KR20130061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손등 근육 움직임(신호)을 이용하여 신호를 인식하고, 이를 전자기기의 제어 또는 데이터 입력 신호로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편리하게 전자기기를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신호 입력 장치에 있어서,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손등에 위치한 근육의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근육 움직임 신호 동작감지수단, 상기 근육 움직임 신호 동작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손등 근육의 움직임 신호의 발생 위치에 따라 움직임이 발생한 손가락을 구분하고, 손가락의 움직임 횟수에 대한 신호를 외부기기에 부합하는 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손가락 신호처리수단, 및, 상기 손등 근육 동작감지수단에 의해 획득된 신호를 다양한 외부기기 중 사용자의 선택에 부합하는 기기의 신호로 처리하도록 신호처리수단의 신호처리 방식을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 처리수단의 신호처리 방식을 신호 처리수단으로부터 받은 신호에 의하여 신호 처리수단으로 전송하는 메모리수단을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만으로 유비쿼터스 환경 내의 각종 기기에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기의 신호 입력을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손가락 움직임에 의한 신호 입력 장치{Signal input device by activity of fingers}
본 발명은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손등 근육 움직임(신호)을 이용하여 신호를 인식하고, 이를 전자기기의 제어 또는 데이터 입력 신호로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편리하게 전자기기를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휴대용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무선 인터넷의 보급과 컴퓨터, 통신, 가전 등을 융합하는 유비쿼터스 추세에 더불어 다양한 제품들이 직관적이고 편리한 스마트 IT제품으로의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사용자들이 자신에게 가장 익숙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각종 기기를 제어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고 편리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새로운 입력장치들의 개발이 점차 필요로 되고 있다.
기존 입력장치들에는 세탁기 등의 기기에 포함된 버튼형 입력장치, 컴퓨터 등의 기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키보드형 입력장치, TV 또는 에어컨 등의 기기에 무선으로 동작하는 리모컨형 입력장치, 음성인식 입력장치 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원거리 입력의 제약, 휴대성의 제약, 손의 자유로움 제약, 조작 복잡성, 소음의 발생 등의 많은 문제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입력 장치의 근래의 기술 변화는 몸의 일부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로 진화되고 있다. 그 중 사용자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손 또는 손가락의 동작을 통해 가상적인 입력장치 역할을 하는 가상 입력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착용가능한 정보 입력 장치,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입력방법’이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공개된 한국 특허 출원(출원번호 10-2007-0095435)은 손가락의 구부림에 따라 변화하는 손가락의 소정 부위와 손가락의 다른 부위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여 이를 입력 신호로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장치 및 입력 방법은 손 사용에 주로 쓰이는 손가락의 바닥 면에 장치가 있어 주먹을 쥐거나 임의의 물체를 쥔 상황에서는 사용이 불가하고, 사용자가 거리 감지 센서의 거리를 정확히 맞추는 것이 어려워 오류의 확률이 크기 때문에 신뢰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착용하는 장잡형 문자입력장치’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공개된 한국 특허 출원(출원번호 10-2001-0070653)은 장갑의 형상으로 되어 엄지손가락을 움직여 나머지 네 손가락에 위치한 다수의 입력 점들을 접촉하므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장치 및 입력 방법은 손 사용에 주로 쓰이는 손가락의 바닥 면에 입력 장치가 있고 이를 손가락끼리 접촉시켜야만 입력되므로 주먹을 쥐거나 임의의 물체를 쥔 상황에서는 사용이 불가하고 동작의 제한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공개된 한국 특허 출원(출원번호 10-2007-0095435)은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손목 근육 떨림(신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손목은 손등에 비해 신호발생원의 원동력(손가락)과 거리가 멀어 근육의 움직임이 적고 각각 손가락별 근육들이 한 곳에 집중되어있고 신호발생원(손목 근육)의 범위 또한 적어 충분한 구분을 하기 어렵고 손목에 집중되어 있는 정맥과 같은 기타 혈관들의 맥박으로 인한 입력 인식 오류의 확률이 커져 신뢰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손목근육을 통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손가락을 구부려 근육을 수축시키는 동작이 필요한데 이는 자동차의 핸들과 같은 임의의 물체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는 이미 손가락이 구부러져 손목근육이 수축되어 신호가 발생 되는 상황이므로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문제가 있다.
또한, 이상의 발명들은 한 개의 입력장치로 상기 입력장치 제작 시 고려된 단일 종류의 외부기기에만 사용이 가능하였고, 이는 적용되는 외부 기기가 바뀌는 상황에 있어 신호입력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손등의 각 손가락별 근육 움직임(신호)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기들의 신호를 입력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자유롭고 직관적이며 신뢰성 높게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손가락 움직임에 의한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개의 상기 입력 장치를 복수 기기의 입력에 맞는 복수의 입력모드를 저장하는 메모리 부에 의하여, 복수의 다양한 외부 기기 중 사용자가 원하는 기기의 입력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적절한 순간 유기적으로 다양한 용도의 적절한 신호의 입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더욱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신호 입력 장치에 있어서,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손등에 위치한 근육의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근육 움직임 신호 동작감지수단,
상기 근육 움직임 신호 동작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손등 근육의 움직임 신호의 발생 위치에 따라 움직임이 발생한 손가락을 구분하고, 손가락의 움직임 횟수에 대한 신호를 외부기기에 부합하는 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손가락 신호처리수단,
및, 상기 손등 근육 동작감지수단에 의해 획득된 신호를 다양한 외부기기 중 사용자의 선택에 부합하는 기기의 신호로 처리하도록 신호처리수단의 신호처리 방식을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 처리수단의 신호처리 방식을 신호 처리수단으로부터 받은 신호에 의하여 신호 처리수단으로 전송하는 메모리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별 입력의 성공 유무, 입력정보 및 외부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감지출력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신호 입력 대상인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관리하고, 상기 신호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전송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만으로 유비쿼터스 환경 내의 각종 기기에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장치의 제어를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을 사용 시 주로 사용되는 손바닥 면 또는 손가락의 바닥면이 아니며, 굽히는 부분에서 근육의 수축이 일어나는 팔목과 다르게, 손가락을 펴는 동작에서 근육의 수축이 일어나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의 손등 근육 움직임(신호)을 이용함으로써, 손에 아무것도 쥐지 않은 상태는 물론 주먹 또는 자동차의 핸들과 같은 임의의 물체를 쥔 상황에서도 자유롭게 신호의 입력이 가능한 손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손가락 동작에 의한 팔목근육에 비해 사용자의 손가락 동작에 따른 손등근육은 움직임이 크고, 상기 각각의 손등근육은 독립적으로 떨어져 있어 이산적인 신호획득이 용이하고, 상기 손등근육은 넓은 범위에서 동작이 발생하고, 상기 손등근육은 지방이 적고 혈관의 영향을 덜 받아 안정적으로 동작을 감지하기 용이하여 입력신호의 오류확률이 낮아 손가락 동작을 통한 입력의 신뢰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가락 동작에 따른 손등근육을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 시, 손가락별 입력의 성공 유무, 입력정보 및 외부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시각 화부 또는 진동 화부 또는 소리 화부 등으로 표현되는 감지출력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편리하게 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의 증진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손등 근육 동작감지수단에 의해 획득된 신호를 다양한 외부기기 중 사용자의 선택에 부합하는 기기의 신호로 처리하도록 신호처리수단의 신호처리 방식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수단을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입력기기를 통해 복수의 다양한 외부기기 중 사용자가 원하는 기기의 입력모드를 선택적함으로써, 적절한 순간 다양한 용도의 적절한 신호의 입력을 제공하여 다양성과 경제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갑형, 밴드형, 접착형의 다양한 형태로 입력장치 구성이 가능하여 특수한 환경 또는 분야에서 입력장치로서의 적용이 용이하여 적용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을 이용한 신호 입력 장치의 일실시예 블록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과 이에 따른 발생 신호와의 일실시예 맵핑 관계 테이블.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 입력 장치의 실제 착용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 입력 장치의 신호 입력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동작 알고리즘.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발생의 인지를 위한 감지 출력부 중 진동 감지 출력부 실시예.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발생의 인지를 위한 감지 출력부 중 위치 감지 출력부 실시예.
도 5c 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발생의 인지를 위한 감지 출력부 중 색 감지 출력부 실시예.
도 5d 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발생의 인지를 위한 감지 출력부 중 숫자 감지 출력부 실시예.
도 5e 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발생의 인지를 위한 감지 출력부 중 소리 감지 출력부 실시예.
도 6a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 입력 장치의 외부 형태 중 반 장갑 형태 실시예.
도 6b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 입력 장치의 외부 형태 중 장갑 형태 실시예.
도 6c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 입력 장치의 외부 형태 중 밴드 형태 실시예.
도 6d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 입력 장치의 외부 형태 중 부착 형태 실시예.
도 7a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다양한 상황 중 사용자의 손은 완전히 주먹을 쥔 상태도 아니며, 완전히 손가락을 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신호 입력 장치(100)의 작동예.
도 7b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다양한 상황 중 사용자의 손은 완전히 주먹을 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입력 장치(100)의 작동예.
도 7c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다양한 상황 중 사용자의 손은 자동차의 핸들과 같은 바 형태의 물체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입력 장치(100)의 작동예.
도 7d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다양한 상황 중 사용자의 손은 부피가 큰 물체를 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입력 장치(100)의 작동예.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을 이용한 신호 입력 장치의 일실시예 블록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과 이에 따른 발생 신호와의 일실시예 맵핑 관계 테이블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 입력 장치의 실제 착용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 입력 장치의 다양한 기기 적용 위한 모드 변환을 포함한 입력 장치의 일실시예 동작 알고리즘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발생의 인지를 위한 감지출력부의 다양한 실시예 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 입력 장치의 다양한 외부 형태의 실시예 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 입력 장치의 사용자의 다양한 상황에서의 본 장치 작동예 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을 이용한 신호 입력 장치의 일실시예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입력 장치(100)는, 손등 근육 움직임 감지부(110), 신호 처리부(120), 메모리부(130), 무선 전송부(140), 및 감지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손등 근육 움직임 감지부(110)는 손가락 움직임에 따른 손등에 위치한 근육의 움직임(신호)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손등 근육 움직임 감지부(110)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등 근육의 움직임 감지 정도의 민감도를 갖는 센서를 이용하여 장갑 형태 및 밴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 신호 처리부(120)는 손등 근육 움직임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손등 근육의 움직임(신호) 발생 위치에 따라 움직임이 있는 손가락을 구분하고 손가락의 움직임 횟수 등에 대한 신호를 목적에 맞게 처리하고 이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신호 처리부(120)를 통해 처리 및 발생 된 신호는 메모리부(130)로 전송되어, 이 신호를 받은 메모리부(13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신호 처리부(120)의 신호처리 방식을 신호 처리부(120)로 전송하여, 신호 처리부(120)의 신호처리 방식을 변화시킨다.
여기서, 신호 처리부(120)를 통해 처리 및 발생 된 신호는 무선 전송부(140)로 전송되어 부합하는 외부 기기(200)로의 입력 신호로 사용된다.
여기서, 신호 처리부(120)를 통해 처리 및 발생 된 신호는 감지 출력부(150)로 전송되어 감지된 신호에 대한 입력 성공유무, 및 어느 손가락의 동작에 의하여 어떠한 신호가 발생 되었는지에 대한 상태, 및 외부기기와의 연결 상태 및 현재 신호 처리부(120)에서 적용되고 신호처리 모드 상태 등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출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신호 처리부(120)는 손등 근육 동작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손등 근육의 움직임(신호)에 간섭 또는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각 손가락마다 설정된 센서의 임계값을 기준으로 발생된 간섭을 처리하거나 오류를 보정 하여 움직임이 있는 손가락을 구분하고 해당 손가락의 움직임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부(130)는 상기 신호 처리부(120)가 상기 손등 근육 동작 감지부(110)에서 의해 획득된 신호를 다양한 외부 기기(200) 중 사용자의 선택에 부합하는 적절한 입력 신호로 변화해주기 위한 다양한 신호처리 방식을 저장하고, 손등 근육 동작 감지부(110)가 일정 신호를 감지하면 저장된 신호처리 방식 정보를 신호 처리부(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단일의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외부 기기(200)에 대한 다양한 모드의 입력을 원하지 않고 한가지의 외부 기기(200)에 대한 입력으로만 전용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부(130)는 본 발명에서 부가 요소이다.
그리고, 무선 전송부(140)는 신호 입력을 대상으로 하는 임의의 외부 기기(200)(예, 휴대폰, 차량용 전자기기, 홈 유비쿼터스 기기, MP3, 가전기기 등)와의 연결을 관리하고, 신호 처리부(120)에 의해 인식된 선택 기기에 적합한 신호등을 외부 기기(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공지의 유선 전송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전송부(140)는 본 발명에서 부가 요소이다.
그리고, 감지 출력부(150)는 신호 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신호로부터 손등 근육 동작 감지부(110)를 통해 감지된 신호에 대한 입력 성공유무, 및 어느 손가락의 동작에 의하여 어떠한 신호가 발생 되었는지에 대한 상태, 및 외부기기와의 연결 상태 및 현재 신호 처리부(120)에서 적용되고 신호처리 모드 상태 등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하여 시각화, 진동화, 음향화 기기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 출력부(150)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한 손가락 별로 진동을 내는 진동모듈 형태 및 입력신호와 신호처리모드를 시각화 하기위한 7-segment 형태 및 디지털 LCD 형태 및 LED 전구의 색 변화 및 음향화를 위한 다양한 멜로디를 구비한 스피커 형태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 입력 장치(100)는 위에 열거한 감지 출력부(150)의 실시예들 중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여러 가지 형태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 출력부(150)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부가 요소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과 이에 따른 발생 신호와의 일실시예 맵핑 관계 테이블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등 근육 동작 감지부(110)에서 감지하는 사용자 손가락의 다양한 움직임 형태와, 이에 따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120)가 발생시키는 이에 대응하는 신호들의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서, 데이터 입력 장치(100)는 손등 근육을 감지하는 장갑 형태 입력 장치(620)로 가정하고, 데이터 입력 장치(100)의 신호 발생원인 손가락의 움직임은 손가락의 펴짐으로 가정하여 살펴본다.
여기서, 신호1(201)은 손가락 움직임의 감지에서 엄지(11)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3초 이상 감지되었을 경우 발생한다. 이때, 신호1(201)은 기기의 전원이 꺼져있는상태에서는 전원 켜짐을 전원이 켜져있는 상태에서는 전원 꺼짐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신호2(202)는 손가락 움직임의 감지에서 엄지(11)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3초 미만 감지되었을 경우 발생한다. 이때, 신호2(202)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모드 중 하나의 신호 처리 모드를 신호 처리부(120)에 전송시켜 신호 처리부(120)의 신호 처리 모드를 변화시킨다.
그리고, 신호3(203)은 손가락 움직임의 감지에서 검지(12)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1초 미만 감지된 후 0.5초 이내 임의 손가락 재감지가 없는 경우 발생한다. 이때,
그리고, 신호4(204)은 손가락 움직임의 감지에서 중지(13)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1초 미만 감지된 후 0.5초 이내 임의 손가락 재감지가 없는 경우 발생한다.
그리고, 신호5(205)은 손가락 움직임의 감지에서 약지(14)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1초 미만 감지된 후 0.5초 이내 임의 손가락 재감지가 없는 경우 발생한다.
그리고, 신호6(206)은 손가락 움직임의 감지에서 소지(15)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1초 미만 감지된 후 0.5초 이내 임의 손가락 재감지가 없는 경우 발생한다.
그리고, 신호7(207)은 손가락 움직임의 감지에서 검지(12)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1초 미만 감지된 후 0.5초 이내 검지(12)의 연속적인 1초 미만 재감지가 발생된 후 0.5초 이내 재감지가 없는 경우 발생한다.
그리고, 신호8(208)은 손가락 움직임의 감지에서 중지(13)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1초 미만 감지된 후 0.5초 이내 중지(13)의 연속적인 1초 미만 재감지가 발생된 후 0.5초 이내 재감지가 없는 경우 발생한다.
그리고, 신호9(209)은 손가락 움직임의 감지에서 약지(14)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1초 미만 감지된 후 0.5초 이내 약지(14)의 연속적인 1초 미만 재감지가 발생된 후 0.5초 이내 재감지가 없는 경우 발생한다.
그리고, 신호10(210)은 손가락 움직임의 감지에서 소지(15)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1초 미만 감지된 후 0.5초 이내 검지(12)의 연속적인 1초 미만 재감지가 발생된 후 0.5초 이내 재감지가 없는 경우 발생한다.
그리고, 신호11(211)은 손가락 움직임의 감지에서 검지(12)와 중지(13)가 0.5초 미만의 차이로 동시 발생하여 각각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1초 미만 감지된 후 0.5초 이내 임의 손가락 재감지가 없는 경우 발생한다.
그리고, 신호12(212)은 손가락 움직임의 감지에서 검지(12)와 약지(14)가 0.5초 미만의 차이로 동시 발생하여 각각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1초 미만 감지된 후 0.5초 이내 임의 손가락 재감지가 없는 경우 발생한다.
그리고, 신호13(213)은 손가락 움직임의 감지에서 검지(12)와 소지(15)가 0.5초 미만의 차이로 동시 발생하여 각각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1초 미만 감지된 후 0.5초 이내 임의 손가락 재감지가 없는 경우 발생한다.
그리고, 신호14(214)은 손가락 움직임의 감지에서 중지(13)와 약지(14)가 0.5초 미만의 차이로 동시 발생하여 각각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1초 미만 감지된 후 0.5초 이내 임의 손가락 재감지가 없는 경우 발생한다.
그리고, 신호15(215)은 손가락 움직임의 감지에서 중지(13)와 소지(15)가 0.5초 미만의 차이로 동시 발생하여 각각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1초 미만 감지된 후 0.5초 이내 임의 손가락 재감지가 없는 경우 발생한다.
그리고, 신호16(216)은 손가락 움직임의 감지에서 약지(14)와 소지(15)가 0.5초 미만의 차이로 동시 발생하여 각각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1초 미만 감지된 후 0.5초 이내 임의 손가락 재감지가 없는 경우 발생한다.
이때, 신호3(203)~신호16(216)은 임의의 외부 기기(200)에 임의의 입력으로 사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신호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엄지(11), 검지(12), 중지(13), 약지(14), 소지(15)의 움직임의 조합으로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상, 도 2에서는 신호 입력 장치(100)를 장갑 타입의 손등 근육 인지 징치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2에서는 비교적 움직임이 자유로운 엄지(11)의 움직임을 신호1(201), 신호2(202)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에서 검지(12), 중지(13), 약지(14), 소지(15)의 움직임의 조합을 통해 신호3(203)부터 신호16(216)까지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손가락들의 조합 방법과 신호의 개수를 한정적으로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손가락의 움직임이 상기 신호로 인지되기 위한 감지 시간의 조건을 임의로 정하여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각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발생한 상기 신호들의 용도가 신호1(201)은 기기의 전원관리, 신호(2)는 기기의 변환모드관리, 신호(3)~신호(16) 임의의 외부 기기(200)에 대한 입력 신호로 한정되어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기 발생한 신호들을 이용하여 외부기기(200)에 신호를 입력하여 동작시키는 실제 응용예를 살펴보면,
먼저, 외부기기(200)가 TV일 경우, 상기 입력 장치(100)의 신호 처리부(120)는 TV에 적합한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신호1(201)은 TV 전원 On/Off 신호로, 신호2(202)는 한 채널 상승 신호로, 신호3(203)은 볼륨 한칸 상승 신호로, 신호4(204)는 볼륨 한칸 하강의 신호 입력으로 매칭된다.
또한, 외부기기(200)가 차량에 관련된 외부기기일 경우, 상기 입력 장치(100)의 신호 처리부(120)는 차량에 관련된 외부기기에 적합한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신호1(201)은 왼쪽 방향지시등 제어 신호로, 신호2(202)는 오른쪽 방향지시등 제어 신호로, 신호3(203)은 비상등 제어, 신호4(204)는 와이퍼 제어 신호로, 신호5(205)는 크락션 제어 신호로, 신호6(206)은 창문 제어 신호 입력으로 매칭된다.
또한, 외부기기(200)가 홈유비쿼터스에 관련된 외부기기일 경우, 상기 입력 장치(100)의 신호 처리부(120)는 홈유비쿼터스에 관련된 외부기기에 적합한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신호1(201)은 형광등 제어 신호로, 신호2(202)는 에어컨 제어 신호로, 신호3(203)은 현관문 제어, 신호4(204)는 창문 제어 신호로, 신호5(205)는 난방장치 제어 신호 입력으로 매칭된다.
이상, 상기 발생한 신호들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200)에 신호를 입력하여 동작시키는 실제 응용예들에 있어 외부기기(200)는 TV, 차량관련 외부기기, 홈유비쿼터스 관련 외부기기에 한하여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예를 제시한 외부 기기(200)들에 있어서 매칭시킨 신호들 역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 입력 장치의 실제 착용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1이 설명한 신호 입력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실제 사용자의 손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은 사용자의 각 손가락(11)~(15)과 이에 연결된 각 손등 근육(21)~(25)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입력 장치(100) 각 손등 근육 별 손등 근육 동작 감지부(111)~(115), 신호 처리부(120), 메모리부(130), 무선 전송부(140), 및 감지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이때, 감지 출력부(150)는 사용자의 손가락 입력 성공 유무와 입력 손가락 위치의 인지를 위한 각 손등 근육에 장착하는 진동모듈(501)~(505), 현재 신호 처리 모드 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510)와 현재 입력한 신호의 상태를 숫자 형태로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511)를 포함하는 LCD 형태의 숫자 디스플레이 장치(154)로 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손을 이용한 입력에 따른 상기 입력 장치(100)의 동작 메카니즘의 일실시예를 보면, 사용자의 검지(12)를 움직이면 검지(12)지 연결 된 손가락 검지 손등 근육(22)은 움직임이 발생한다.
이때, 검지용 손등 근육 동작 감지부(112)는 입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신호 처리부(1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20)는 검지용 손등 근육 동작 감지부(112)로 전송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여 메모리부(130), 무선 전송부(140), 감지 출력부(150)로 전송한다.
이때, 메모리부(130)로의 전송에 있어서, 신호 처리부(120)는 신호 처리부(120)의 신호 처리 모드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신호인지 판단 후, 신호 처리 모드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신호일 때만 메모리부(13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무선 전송부(140)는 신호 처리부(120)로 전송 받은 전기적 신호를 신호 입력을 대상으로 하는 임의의 외부 기기(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감지 출력부(150)는 신호 처리부(120)로 전송 받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의 손가락 입력 성공 유무와 입력 손가락 위치의 인지를 위한 각 손등 근육에 장착하는 진동모듈(501)~(505)으로 전송하고, 현재 신호 처리 모드 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510)와 현재 입력한 신호의 상태를 숫자 형태로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511)를 포함하는 LCD 형태의 숫자 디스플레이 장치(154)로 전송 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인 손가락의 움직임만으로 원하는 기기의 원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입력 할 수 있고, 현재 사용자의 입력 상황을 시각과 진동으로 인지하여 신호 입력 장치(100)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도 3에서는 검지(12)의 움직임을 통하여 발생한 신호에 대한 신호 입력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손등 근육 동작 감지부(110)에 있어 각 손등 근육 별 손등 근육 동작 감지부(111)~(115)로 나뉘어진 형태에 대해 살표보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각 손등 근육의 동작을 한 개의 일체형 손등 근육 동작 감지부(110)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감지 출력부(150)에 있어 진동모듈(501)~(505)과 LCD 형태의 숫자 디스플레이 장치(154)을 포함하는 것에 대해 살펴보았지만 감지 출력부(150)의 구성에 있어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 인지와 편의에 도움을 주는 진동, 숫자 디스플레이, LED 색 변화, 소리를 통한 음향구분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단일의 신호 입력 장치(100)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상기 감지 출력부(150)의 포함 개수 또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 입력 장치의 다양한 기기 적용 위한 모드 변환을 포함한 입력 장치의 신호 입력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동작 알고리즘으로서, 도 2에서 나타낸 신호들의 입력 과정이다.
먼저, 상기 신호 입력 장치(100)를 착용한 손의 엄지(11)를 통해 엄지 장기 움직임이 감지되었는지 확인한다(401). 이로 인해, 신호 입력 장치(100)는 켜지게 되고(402), 외부 기기(200)와 연결을 시도한다.
상기 확인 결과(403), 외부 기기(200)와의 연결이 실패하면, 감지 출력부(150)을 통해 연결 실패를 표시(404)한 뒤 재 연결을 시도한다. 외부 기기(200)와의 연결이 성공하면, 감지 출력부(150)을 통해 연결 성공을 표시(405)한다.
이후, 사용자는 외부 기기에 적합한 신호 입력을 위한 신호 처리부(120)의 신호 처리 모드의 변화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엄지(11)의 움직임이 감지되었는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406), 엄지(11)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검지(12), 중지(13), 약지(14), 소지(15)의 움직임 감지 유무 확인으로 들어가고, 엄지(11) 움직임이 발생하면, 엄지 단기 움직임인지 감지한다.
상기 확인 결과(407), 엄지 단기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으면, 엄지 장기 움직임 신호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408), 엄지 장기 움직임이 아니라면 다시 엄지 움직임 감지 확인(406)으로 가고, 엄지 장기 움직임이 맞다면, 신호 입력 장치(100)는 꺼지게 된다(409).
상기 확인 결과(407), 엄지 단기 움직임이 발생하면, 신호 처리부(120)는 현재와 다른 외부 기기(200)에 적합한 신호 처리 모드로 바뀌게 된다(410).
이후, 엄지의 움직임이 정지되었는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411), 엄지 움직임이 정지 되지 않았다면, 엄지 단기 움직임이 감지되었는지 확인하고(407), 엄지 움직임이 정지 되었다면, 검지(12), 중지(13), 약지(14), 소지(15)의 움직임 감지 유무 확인으로 들어간다.
상기 확인 결과(412), 검지(12), 중지(13), 약지(14), 소지(15)중 어느 것의 움직임도 감지되지 않으면, 엄지 움직임이 감지로 들어가고(406), 검지(12), 중지(13), 약지(14), 소지(15)중 어느 것이든 움직임이 감지되면, 해당 손가락에 부합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413).
이후, 엄지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406).
상기와 같은, 신호 입력 장치(100)의 동작 알고리즘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엄지 장기 움직임은 엄지의 3초 이상 연속 움직임을, 엄지 장기 움직임은 3초 미만 연속 움직임으로 가정하여 살펴보았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신호 입력 장치(100)의 동작 알고리즘에서 엄지의 움직임을 상기 입력 장치(100)의 전원 On/Off 신호와 신호 처리부(120)의 모드 변환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살펴보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발생의 인지를 위한 감지출력부(150)의 다양한 실시예 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입력 장치(100)에 있어 감지 출력부(150)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일예로써, 도 5a는 진동 감지 출력부(151)에 있어, 각 손가락 움직임별 진동모듈(501)~(505)로 구성된다. 진동모듈(501)~(505)은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 입력 유무와 움직인 손가락의 위치를 인지 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써, 도 5b는 위치 감지 출력부(152)에 있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외부기기의 신호처리 모드의 상황을 복수개의 LED들의 점등 위치로 나타내주는 모드인지 위치 출력부(506)와 사용자의 손가락 입력 유무와 움직인 손가락의 위치를 인지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복수개의 LED들의 점등 위치로 나타내주는 입력인지 위치 출력부(507)로 구성된다.
다른 예로써, 도 5c는 색 감지 출력부(153)에 있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외부기기의 신호처리 모드의 상황을 디스플레이 화면 또는 LED다이오드의 색 변화로 나타내주는 모드인지 색 출력부(508)와 사용자의 손가락 입력 유무와 움직인 손가락의 위치를 인지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 또는 LED다이오드의 색 변화로 나타내주는 입력인지 색 출력부(509)로 구성된다.
다른 예로써, 도 5d는 숫자 감지 출력부(154)에 있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외부기기의 신호처리 모드의 상황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숫자로 나타내주는 모드인지 숫자 출력부(510)와 사용자의 손가락 입력 유무와 움직인 손가락의 위치를 인지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 숫자로 나타내주는 입력인지 숫자 출력부(511)로 구성된다.
다른 예로써, 도 5e는 소리 감지 출력부(155)에 있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외부기기의 신호처리 모드의 상황과 사용자의 손가락 입력 유무와 움직인 손가락의 위치를 인지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리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출력부들(151~155)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도 5에서는 사용자의 입력 인지와 편의에 도움을 주는 진동, 위치, 숫자, 색 변화, 소리 구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지만, 상기 신호 입력 장치(100)에 있어서 감지 출력부(15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동작에 따른 신호 입력 장치의 다양한 외부 형태의 실시예 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등 근육 동작 감지부(110), 신호 처리부(120), 메모리부(130), 무선 전송부(140), 및 감지 출력부(150)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 장치(100)의 외형 있어, 손가락이 자유로운 반 장갑 형태 신호 입력 장치(610),손 전체를 감싸는 장갑 형태 신호 입력 장치(620), 엄지(11)와 그 이외 손가락들(12~15) 사이에 존재하여 장치의 고정에 도움이 되는 연결부(631)를 포함하는 손등 부분에 끼는 밴드 형태 신호 입력 장치(630) 및 손등에 접착할 수 있는 특정 접착부분(641)을 포함한 손등에 부착하는 부착 형태 신호 입력 장치(640)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도 6에 구현한 다양한 외부 형태의 신호 입력 장치들(610,620,630,640)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목적과 용도에 맞게 선택 및 사용 할 수 있다.
이상, 도 6에서는 사용자의 용도와 목적에 부합하는 반 장갑 형태, 장갑 형태, 밴드 형태, 부착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지만, 상기 신호 입력 장치(100)의 외형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다양한 상황에서의 상기 신호 입력 장치(100)의 작동예 이다.
여기서, 데이터 입력 장치(100)는 손등 근육을 감지하는 장갑 형태 입력 장치(620)로 가정하고, 데이터 입력 장치(100)의 신호 발생원인 손가락의 움직임은 손가락의 펴짐으로 가정하여 살펴본다.
도 7a에 도시된 사용자의 상황에 있어, 사용자의 손은 완전히 주먹을 쥔 상태도 아니며, 완전히 손가락을 펴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 중 검지(12)를 통해 신호 입력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형태의 검지(12‘)로 변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의 예로는, 사용자의 손이 허공에 있거나, 쇼파 또는 탁자 등에 자연스럽게 손을 올린 상황에서 TV, 휴대폰, 에어컨, 세탁기 등의 외부 기기(200)에 신호를 입력 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도 7b에 도시된 사용자의 상황에 있어, 사용자의 손은 완전히 주먹을 쥔 상태이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 중 검지(12)를 통해 신호 입력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형태의 검지(12‘)로 변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의 예로는, 사용자가 손에 작은 물체를 쥐고 있거나, 어떠한 이유에서 주먹을 쥐어야 하는 상황에서 TV, 휴대폰, 에어컨, 세탁기 등의 외부 기기(200)에 신호를 입력 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도 7c에 도시된 사용자의 상황에 있어, 사용자의 손은 자동차의 핸들과 같은 바 형태의 물체를 쥐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 중 검지(12)를 통해 신호 입력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형태의 검지(12‘)로 변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의 예로는, 사용자가 운전을 하는 도중 핸들(710)을 쥐고 있는 상태에 있어, 전조등, 와이퍼 , 창문, 네비게이션 등의 차량 관련 외부 기기(200)를 제어해야하는 상황에서 신호를 입력 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도 7d에 도시된 사용자의 상황에 있어, 사용자의 손은 부피가 큰 임의의 물체(720)를 쥔 상태이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 중 검지(12)를 통해 신호 입력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형태의 검지(12‘)로 변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의 예로는, 사용자가 공이나 이와 유사한 물건을 쥐고 있는 상태에서 TV, 휴대폰, 에어컨, 세탁기 등의 외부 기기(200)에 신호를 입력 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상, 도 7에서는 다양한 상황에서의 사용자의 신호 입력 장치(100) 동작예를 살펴보았지만, 상기 신호 입력 장치(100)의 다양한 상황에서 동작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응용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 및 응용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신호 입력 장치 110 : 손등 근육 움직임 감지부
120 : 신호 처리부 130 : 메모리부
140 : 무선 전송부 150 : 감지 출력부
200 : 외부 기기
11 : 엄지 12 : 검지
13 : 중지 14 : 약지
15 : 소지 21 : 엄지 연결 손등 근육
22 : 검지 연결 손등 근육 23 : 중지 연결 손등 근육
24 : 약지 연결 손등 근육 25 : 소지 연결 손등 근육

Claims (11)

  1. 신호 입력 장치에 있어서,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손등에 위치한 근육의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근육 움직임 신호 감지수단;
    상기 근육 움직임 신호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손등 근육 움직임 신호의 발생 위치에 따라 움직임이 발생한 손가락을 구분하고, 손가락의 움직임 횟수에 대한 신호를 외부기기에 부합하는 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손가락 신호 처리수단; 및
    상기 근육 동작 감지수단에 의해 획득된 손가락 신호를 다양한 복수의 외부기기 중 사용자의 선택에 부합하는 기기의 신호로 처리하도록 하는 신호처리수단의 신호처리 방식을 저장하는 메모리수단;
    을 포함하는 신호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별 입력의 성공유무와 신호처리수단의 현재 신호처리 방식의 손가락 신호 입력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감지 출력수단
    을 더 포함하는 신호 입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신호 입력 대상인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관리하고, 상기 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신호 입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육 움직임 신호 감지수단은,
    손가락의 펴는 동작에 따른 손등에 위치한 근육의 수축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입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근육 움직임 신호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손등 근육 움직임 신호를 메모리수단 제어에 적합하도록 처리하여, 신호 처리부의 신호 처리 모드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신호인지 판단 후, 신호 처리 모드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신호일 때만 메모리수단으로 메모리수단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입력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근육 움직임 신호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손등 근육의 움직임 신호를 상기 감지출력 수단에 적합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감지출력 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입력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근육 움직임 신호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손등 근육의 움직임 신호를 상기 무선 전송수단에 적합하도록 처리하여 무선 전송 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입력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수단은,
    모드 변환 손가락 움직임 동작을 통해 입력할 외부 기기에 상응하는 신호 변환 방식으로 신호 처리 수단의 처리 방식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입력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 손가락은,
    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입력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은,
    저장하고 있는 신호 처리수단의 신호처리 방식을 신호 처리수단으로부터 받은 신호에 의하여 신호 처리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입력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출력수단은,
    외부 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입력 장치.


KR1020110128013A 2011-12-02 2011-12-02 손가락 움직임에 의한 신호 입력 장치 KR20130061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013A KR20130061777A (ko) 2011-12-02 2011-12-02 손가락 움직임에 의한 신호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013A KR20130061777A (ko) 2011-12-02 2011-12-02 손가락 움직임에 의한 신호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777A true KR20130061777A (ko) 2013-06-12

Family

ID=48859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013A KR20130061777A (ko) 2011-12-02 2011-12-02 손가락 움직임에 의한 신호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177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8196A1 (de) 2013-05-30 2014-12-04 Mando Corporation Elektrische Lenk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S9971313B2 (en) 2014-08-28 201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or processing sensor signal corresponding to wrist muscle movement and devices including same
KR20180133148A (ko) * 2017-06-05 2018-12-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마우스
US10585484B2 (en) 2013-12-30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from a terminal to an electromyography (EMG)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8196A1 (de) 2013-05-30 2014-12-04 Mando Corporation Elektrische Lenk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S10585484B2 (en) 2013-12-30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from a terminal to an electromyography (EMG) device
US11687163B2 (en) 2013-12-30 2023-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from a terminal to an electromyography (EMG) device
US9971313B2 (en) 2014-08-28 201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or processing sensor signal corresponding to wrist muscle movement and devices including same
KR20180133148A (ko) * 2017-06-05 2018-12-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마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1764B2 (en) Neuromuscular control of physical objects in an environment
US9978261B2 (en) Remote controll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JP6669069B2 (ja) 検出装置、検出方法、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10139906B1 (en) Ring human-machine interface
KR100806029B1 (ko)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KR100793834B1 (ko) 손 동작을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00066664A1 (en) Wrist-worn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20110210931A1 (en) Finger-worn device and interaction methods and communication methods
US20080088468A1 (en) Universal input device
KR20160110992A (ko) 정보 처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EP2338154A1 (en) Finger-worn device and interaction methods and communication methods
JP2015121979A (ja) 装着型情報入力装置、情報入力システム、及び情報入力方法
US99491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 input to a device
JP2013045451A (ja) モーション感知スイッチ
KR20130061777A (ko) 손가락 움직임에 의한 신호 입력 장치
WO2015153690A1 (en) Wearable motion sensing computing interface
CN111837094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CN101604222A (zh) 一种计算机图形用户界面的输入设备和方法
KR20110137587A (ko) 공간 입출력 인터페이싱 장치 및 방법
CN108377212A (zh) 家用电器的控制方法及其电子系统
JP2005059812A (ja) 機器制御インターフェース
KR101499348B1 (ko) 손목 밴드형 기기 제어장치
KR100901482B1 (ko) 가상 메뉴 맵을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1651034B (zh) 智能眼镜以及智能眼镜的控制方法和控制芯片
JP2012083866A (ja) 指取り付け型触覚再現機能付き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