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9827A - Glasses type camera using by pupil tracker - Google Patents

Glasses type camera using by pupil trac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9827A
KR20130059827A KR1020110126020A KR20110126020A KR20130059827A KR 20130059827 A KR20130059827 A KR 20130059827A KR 1020110126020 A KR1020110126020 A KR 1020110126020A KR 20110126020 A KR20110126020 A KR 20110126020A KR 20130059827 A KR20130059827 A KR 20130059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glasses
pupil
eyeglas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욱
허원호
한국진
곽경재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한국산업기술대학
김동욱
허원호
한국진
곽경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한국산업기술대학, 김동욱, 허원호, 한국진, 곽경재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한국산업기술대학
Priority to KR1020110126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9827A/en
Publication of KR20130059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8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PURPOSE: A glasses camera using pupil recognition is provided to photograph a predetermined image by controlling a direction and an operation of the glasses camera based on pupil movement of a glasses wearer, thereby accurately and efficiently photographing images. CONSTITUTION: A first camera(10)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a glass frame of glasses(100). The first camera estimates a pupil position and a pupil state of a user. A second camera(20) is mounted on the glasses.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re selectively operated and photograph images. A control unit estimates and recognizes the pupil state of the user with the first camera. The control unit photographs images corresponding to the view of the user by using a motor unit and the second camera. The control unit stores the images in a memory unit(40).

Description

동공인식을 이용한 안경 카메라{GLASSES TYPE CAMERA USING BY PUPIL TRACKER}Glasses camera using pupil recognition {GLASSES TYPE CAMERA USING BY PUPIL TRACKER}

본 발명은 동공인식을 이용한 안경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에 부착된 디지털 카메라가 착용자의 동공 움직임 및 눈깜빡임에 의해 제어되면서 소정 영상을 촬영하도록 이루어진 동공인식을 이용한 안경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tacle camera using a pupil recogn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ectacle camera using a pupil recognition is configured to take a predetermined image while the digital camera attached to the glasses is controlled by the wearer's pupil movement and eye blink. .

IT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는 그 응용 범위가 매우 폭넓고 다양하게 확산되고 있는 실정인데, 특히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일반적인 사진촬영 뿐만 아니라 특정 동영상을 촬영한 후 저장 및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the application range of digital cameras is very wide and wide. In particular, the digital camera includes not only general photography but also a function of storing and transmitting a specific video after recording. have.

이에, 최근에는 안경이나 헬멧 등에 디지털 카메라가 일체로 부착된 제품들이 개발되어,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해당 안경이나 헬멧 등을 특정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동선을 따라 해당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Recently, products with integrated digital cameras, such as glasses or helmets, have been developed so that a specific user can take a corresponding image along the user's line while wearing the corresponding glasses or helmet with the digital camera. Is don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안경이나 헬멧 등에 부착된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안경 또는 헬멧의 특정 지점에 디지털 카메라가 고정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해당 디지털 카메라는 항상 안경 또는 헬멧의 부착 위치에서 일정한 전방의 영상만을 촬영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digital camera attached to the conventional glasses or helmet 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camera is always fixed at a specific point of the glasses or helmet, so that the digital camera is always in front of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glasses or helmet. The problem is that only the image of the film is generated.

즉, 이에 따라, 종래의 안경이나 헬멧 등에 부착된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된 영상이 사용자의 시선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가 촬영을 원하는 정확한 지점의 영상을 획득하는데 한계가 있게 되는 한편, 해당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촬영이나 정지 등의 작동을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위치 등을 조작해야만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igital camera attached to glasses or helmets, since the captured image does not exactly match the user's gaze, there is a limit in acquiring the image of the exact point that the user wants to capture.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switch or the like must be operated to control operations such as shooting or stopping of the camera.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안경에 부착된 디지털 카메라가 착용자의 동공 움직임을 기초로 그 방향 및 동작이 제어되면서 구동되도록 함에 따라, 안경 착용자의 시선에 의한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영상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동공인식을 이용한 안경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hat the digital camera attached to the glasses to be driven while the direction and operation is controlled based on the pupil movement of the wear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yeglass camera using pupil recognition, which enables more accurate and efficient image capturing by a wearer's ey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공인식을 이용한 안경 카메라는, 착용자의 눈 주위에 위치하는 한 쌍의 안경테와, 상기 한 쌍의 안경테를 연결하는 브릿지 및, 각 안경테 일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안경다리를 포함하는 안경과; 상기 안경의 일측 안경테 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동공 위치 및 상태를 추적하는 제 1카메라와; 상기 안경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동작되면서 해당 영상을 촬영하는 제 2카메라와; 상기 제 2카메라의 상.하.좌.우 촬영 방향을 조절하는 모터부와; 상기 제 2카메라의 촬영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제 1카메라를 매개로 안경 사용자의 동공 상태를 추적하여 인식한 후, 그 인식값에 따라 상기 모터부 및 제 2카메라를 구동시켜 사용자의 시선에 따른 영상이 제 2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후 저장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Eyeglass camera using the pupil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air of eyeglass frames located around the wearer's eyes, a bridge connecting the pair of eyeglass frames, and each side of the eyeglass frame rear Glasses comprising a pair of glasses legs extending to form; A first camera installed in front of one side of the eyeglass frame and tracking a pupil position and state of the user; A second camera mounted on the glasses and selectively operating while capturing a corresponding image; A motor unit for adjusting up, down, left, and right photographing directions of the second camera; A memory unit storing the captured image of the second camera; After tracking and recognizing the pupil state of the eyeglass user through the first camera, the motor unit and the second camera are driven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value, and the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gaze is captured and stored through the second camer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for each component so that it can be;

바람직하게, 상기 제 2카메라 및 모터부는 상기 안경의 일측 안경다리 전단부 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와 메모리부 및 장치 구동에 필요한 소정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는 상기 안경의 안경다리에 내장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second camera and the motor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glasses legs of the glasses, th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power required for driving the control unit, the memory unit and the device in a state built in the glasses legs of the glasse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stalled.

바람직하게, 상기 안경의 일측 안경다리 후단부 측에는 해당 촬영 영상을 유무선 통신수단을 매개로 외부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rear end portion of one side of the glasse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o the external terminal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에 부착된 디지털 카메라가 안경 착용자의 동공 움직임을 기초로 그 방향 및 동작이 제어되면서 소정 영상에 대한 촬영을 행함에 따라, 안경 착용자의 시선에 맞춰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영상 촬영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as the digital camera attached to the glasses to shoot a predetermined image while the direction and operation is controlled based on the pupil movement of the glasses wearer, according to the eye of the glasses wearer The effect is that accurate and efficient image shooting is achieved.

즉, 등산객이나 여행객 등은 카메라를 별도로 주머니나 가방 등에 휴대하지 않은 상태에서, 안경이나 선글라스 등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매우 편리하게 경치 등의 각종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That is, a hiker or a traveler does not carry a camera separately in a pocket or a bag, and thus, it is possible to take various images such as scenery with a camera attached to glasses or sunglasses.

또, 의료 산업에 있어서는 수술이나 관절경 시술 시에 사용자의 시선에 맞춰 카메라가 원하는 지점을 촬영하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수술 및 시술을 행할 수가 있게 되는 한편, 군사 장비에 적용시킬 경우에는 해당 착용자의 움직임 및 시선에 맞춰 보다 정확하고 생생한 정보를 원격지 측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medical industry, the camera captures a desired spot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gaze during surgery or arthroscopy, so that more efficient surgery and procedures can be performed. And according to the eyes will be able to provide more accurate and vivid information to the remote si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공인식을 이용한 안경 카메라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공인식을 이용한 안경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pectacle camera using a pupil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ectacle camera using the pupil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공인식을 이용한 안경 카메라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공인식을 이용한 안경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pectacle camera using a pupil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ectacle camera using a pupil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동공인식을 이용한 안경 카메라는, 안경(100)에 부착된 촬영 카메라가 착용자의 동공 움직임 및 눈깜빡임 등에 맞춰 그 방향 및 동작이 제어됨에 따라, 착용자의 시선에 따른 영상을 동공 움직임을 통해 촬영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First, in the spectacle camera using the pupil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photographing camera attached to the spectacles 100 controls the direction and motion of the wearer according to the pupil movement and blinking of the wearer, the pupil according to the eye of the wearer is pupil-held. Implemented to shoot through the movement.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동공인식을 이용한 안경 카메라는, 소정 형상을 갖는 안경(100) 몸체에 제 1 및 제 2카메라(10,20)와, 메모리부(40)와, 모터부(30)와, 전원부(60)와, 통신부(50) 및, 제어부(70) 등이 부착 및 내장 설치되어 구성된다.To this end, the spectacle camera using the pupil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0 and 20, the memory unit 40, the motor unit 30 in the glasses 100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power supply unit 60, the communication unit 50, the control unit 70, and the like are attached and built-in.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안경(100)은 착용자의 양쪽 눈 주위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안경테(110)와, 상기 한 쌍의 안경테(110)를 상호 연결하는 브릿지(130) 및, 각 안경테(110)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착용자의 양쪽 귀에 각각 걸쳐지는 한 쌍의 안경다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is well known, the spectacles 100 include a pair of spectacle frames 110 correspondingly located around both eyes of the wearer, a bridge 130 interconnecting the pair of spectacle frames 110, and each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spectacles 120 extending from the one side of the spectacle frame 110 to extend to both ears of the wearer, respectively.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안경(100)의 일측 안경테(110) 전방에는 안경 착용자의 일측 눈의 동공 위치 및 상태를 추적하는 제 1카메라(10)가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 안경다리(120)의 전단부 측에는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2카메라(2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ront of one side of the spectacle frame 110 of the spectacles 100, a first camera 10 for tracking the pupil position and state of one eye of the spectacle wearer is installed, and one side of the spectacles 120 is provid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second camera 20 for photographing the front image is installed.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카메라(10)를 매개로 동공추적 시스템이 구축되게 되는데, 상기 동공추적 시스템은 명암대비 및 형태 추적 등을 통해 눈동자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하는 영상처리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가 있으며, 그 이외에 적외선으로 동공을 추적하여 위치 및 상태를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pil tracking system is constructed through the first camera 10. The pupil tracking system may be implemented through an image processing technology for identifying the real-time position of the pupil through contrast and shape tracking.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track the pupil by infrared to determine the location and condition.

이러한 기술은 해당 분야의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is technique is known in the art,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모터부(30)는 상기 제 1카메라(10)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한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카메라(20)의 방향 및 각도 등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모터부(30)는 상기 제 2카메라(20)를 상.하.좌.우로 유동시키기 위해 미세한 움직임을 컨트롤할 수 있는 서보전동기가 적용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motor unit 30 is provided to control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second camera 2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first camera 10. The motor unit 30 is preferably configured by applying a servo motor that can control the fine movement to move the second camera 20 up, down, left and right.

또,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 1카메라(10)를 통해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의 눈깜박임이 검출되면, 이를 제 2카메라(20)의 촬영 또는 종료 신호를 인식하여 제 2카메라(20)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70 detects an image of the second camera 20 photographing or the end signal when the blinking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set through the first camera 10 is detected, the photographing of the second camera 20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상기 메모리부(40)는 상기 제 2카메라(20)로부터의 촬영 영상이 저장되는 SD 메모리 카드로서, 타측 안경다리(120)의 후단부 측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원부(60)는 해당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각 부에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The memory unit 40 is an SD memory card in which the captured image from the second camera 20 is stored, and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separat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other leg of the leg 120, and the power supply unit 60. Is provided to supply power to each unit for driving the corresponding device.

상기 통신부(50)는 상기 제 2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의 외부 단말기(20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통신부(50)는 무선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 해당 외부 단말기(200)와의 유선접속을 위한 입출력단자를 추가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50 is provided to transmit an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20 to an external terminal 200 such as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computer, etc.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50 may be implemented as a Bluetooth antenna for wireless transmission, in addition to this may be configured by additionally forming an input and output terminal for a wired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terminal 20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카메라(10)는 일측 안경테(110)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2카메라(20) 및 모터부(30)는 일측 안경다리(120)의 전단부 측에, 상기 통신부(50)는 일측 안경다리(120)의 후단부 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메모리부(40)는 타측 안경다리(120) 후단부 측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전원부(60) 및 제어부(70)는 상기 안경다리(120)의 내부 일정 지점에 내장된 상태로 구성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amera 10 is formed in front of one side of the spectacle frame 110, the second camera 20 and the motor unit 30 is on the front end side of one side of the eyeglasses 120 The communication unit 50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side of one eyeglass leg 120, and the memory unit 40 is selectively detachably provide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other eyeglass leg 120, and the power supply unit. 60 and the control unit 70 is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inside of the glasses leg 120.

이때, 상기 안경(100) 몸체에 설치되는 각 구성요소들은 해당 안경(100)의 크기나 형상,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그 설치위치가 변경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each component installed in the glasses 100 body, of course, depending on the size, shape, use, etc. of the glasses 100,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arious changes can be designed.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동공위치의 추적을 위한 제 1카메라(10) 및 소정 영상의 촬영을 위한 제 2카메라(20), 상기 제 2카메라(20)의 위치 및 동작 제어를 위한 모터부(30) 및 제어부(70) 등을 포함하여 안경 카메라를 구성한 상태에서, 임의의 사용자가 해당 안경 카메라를 착용한 후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 1카메라(10)는 착용자의 일측 동공 위치 및 상태를 추적하여 그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제어부(70)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amera 10 for tracking the pupil position, the second camera 20 for capturing a predetermined image, and the motor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second camera 20. In a state in which the spectacle camera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unit 30 and the control unit 70, and when any user wears the spectacle camera to drive the first camera 10, the first camera 10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wearer. By tracking the data on the state in real time to the control unit 70 side.

이에,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 1카메라(10)로부터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시선 및 눈깜빡임 등을 인식한 후, 그에 맞춰 상기 제 2카메라(20)가 소정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부(30) 측에 제어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controller 70 analyzes the data from the first camera 10 to recognize the wearer's eyes and blinks, and then the second camera 20 to take a predetermined image accordingly.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tor unit 30 side.

또한,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부(30)가 구동되면, 상기 모터부(30)와 연결된 제 2카메라(20)는 해당 안경 카메라 착용자의 시선에 맞춰 상.하.좌.우로 미세한 움직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상기 제 2카메라(20)는 상기 제 1카메라(10)의 동공인식을 기초로 한 착용자의 시선에 맞춰 전방의 소정 영상을 촬영할 수가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motor unit 30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 the second camera 20 connected to the motor unit 30 corresponds to the eye of the corresponding eyeglass camera wearer. The fine movement is made to the right, so that the second camera 20 can take a predetermined image in front of the wearer based on the pupil recognition of the first camera 10.

또,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 1카메라(10)로부터의 데이터 분석에 따라,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눈깜빡임이 검출된 경우에는 해당 영상의 촬영 시작 및 종료 등이 이루어지도록 제 2카메라(20)를 제어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70 may detect a blinking time exceed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according to data analysis from the first camera 10. 20).

상기 제 2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된 해당 영상은 상기 메모리부(4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블루투스 안테나 등으로 구현되는 통신부(50)를 통해 실시간으로 외부 단말기(200) 측으로 전송될 수도 있게 된다.      The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2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0, and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200 in real tim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0 implemented by a Bluetooth antenna. Will b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공인식을 이용한 안경 카메라를 통해서는, 안경(100)에 부착된 제 1 및 제 2카메라(10,20)를 매개로 안경 착용자의 시선에 맞춰 전방의 소정 영상을 촬영하여 제공할 수가 있게 되며, 또한 해당 영상의 촬영 시작 및 종료는 별도의 버튼조작 등이 없이 눈깜빡임을 통해 제어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rough the spectacle camera using the pupil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aking a predetermined image of the front in accordance with the eye of the spectacle weare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0, 20) attached to the spectacles (100) In addition, the start and end of the recording of the video can be controlled by blinking the eye without a separate button operation.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제 1카메라, 20: 제 2카메라,
30: 모터부, 40: 메모리부,
50: 통신부, 60: 전원부,
70: 제어부, 100: 안경,
110: 안경테, 120: 안경다리,
130: 브릿지, 200: 외부 단말기.
10: first camera, 20: second camera,
30: motor portion, 40: memory portion,
50: communication unit, 60: power supply unit,
70: control unit, 100: glasses,
110: glasses frame, 120: glasses legs,
130: bridge, 200: external terminal.

Claims (3)

착용자의 눈 주위에 위치하는 한 쌍의 안경테와, 상기 한 쌍의 안경테를 연결하는 브릿지 및, 각 안경테 일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안경다리를 포함하는 안경과;
상기 안경의 일측 안경테 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동공 위치 및 상태를 추적하는 제 1카메라와;
상기 안경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동작되면서 해당 영상을 촬영하는 제 2카메라와;
상기 제 2카메라의 상.하.좌.우 촬영 방향을 조절하는 모터부와;
상기 제 2카메라의 촬영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제 1카메라를 매개로 안경 사용자의 동공 상태를 추적하여 인식한 후, 그 인식값에 따라 상기 모터부 및 제 2카메라를 구동시켜 사용자의 시선에 따른 영상이 제 2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후 저장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공인식을 이용한 안경 카메라.
Glasses comprising a pair of spectacle frames positioned around the wearer's eye, a bridge connecting the pair of spectacle frames, and a pair of spectacles legs extending rearward from one side of each spectacle frame;
A first camera installed in front of one side of the eyeglass frame and tracking a pupil position and state of the user;
A second camera mounted on the glasses and selectively operating while capturing a corresponding image;
A motor unit for adjusting up, down, left, and right photographing directions of the second camera;
A memory unit storing the captured image of the second camera;
After tracking and recognizing the pupil state of the eyeglass user through the first camera, the motor unit and the second camera are driven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value, and the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gaze is captured and stored through the second camera. Eyeglass camera using a pupil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for each component to b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카메라 및 모터부는 상기 안경의 일측 안경다리 전단부 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와 메모리부 및 장치 구동에 필요한 소정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는 상기 안경의 안경다리에 내장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공인식을 이용한 안경 카메라.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camera and the motor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glasses legs of the glasses,
Eyeglass camera using the pupil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power required for driving the control unit, the memory unit and the device is installed in the state of the glasses legs of the glas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의 일측 안경다리 후단부 측에는 해당 촬영 영상을 유무선 통신수단을 매개로 외부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공인식을 이용한 안경 카메라.
The method of claim 1,
The eyeglass camera using the pupil recognition at one side of the eyeglass leg rear end side of the spectacles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o the external terminal side vi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KR1020110126020A 2011-11-29 2011-11-29 Glasses type camera using by pupil tracker KR201300598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020A KR20130059827A (en) 2011-11-29 2011-11-29 Glasses type camera using by pupil trac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020A KR20130059827A (en) 2011-11-29 2011-11-29 Glasses type camera using by pupil trac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827A true KR20130059827A (en) 2013-06-07

Family

ID=4885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020A KR20130059827A (en) 2011-11-29 2011-11-29 Glasses type camera using by pupil trac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9827A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851A (en) * 2014-04-15 2015-10-23 해성옵틱스(주) Eyeglasses for iris recognition
KR20150146078A (en) 2014-06-20 2015-12-3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Smart glasses with character recognition fuction and character recognition using the smart glasses
KR20160072994A (en) * 2014-12-16 2016-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and there of method using wearable glasses
WO2016182090A1 (en) * 2015-05-08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Glasses-typ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977243B2 (en) 2015-01-16 2018-05-22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executing vehicle function using wearable device and vehicle for carrying out the same
KR20200058306A (en) * 2018-11-16 2020-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of correcting visual fiel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248123B1 (en) * 2019-11-13 2021-05-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atigue control glasses
WO2021230559A1 (en) * 2020-05-11 2021-1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851A (en) * 2014-04-15 2015-10-23 해성옵틱스(주) Eyeglasses for iris recognition
KR20150146078A (en) 2014-06-20 2015-12-3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Smart glasses with character recognition fuction and character recognition using the smart glasses
KR20160072994A (en) * 2014-12-16 2016-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and there of method using wearable glasses
US9977243B2 (en) 2015-01-16 2018-05-22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executing vehicle function using wearable device and vehicle for carrying out the same
WO2016182090A1 (en) * 2015-05-08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Glasses-typ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514755B2 (en) 2015-05-08 2019-12-24 Lg Electronics Inc. Glasses-typ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00058306A (en) * 2018-11-16 2020-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of correcting visual fiel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248123B1 (en) * 2019-11-13 2021-05-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atigue control glasses
WO2021230559A1 (en) * 2020-05-11 2021-1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8938B2 (en) Wearable imaging device
US11344196B2 (en) Portable eye tracking device
US10686972B2 (en) Gaze assisted field of view control
KR20130059827A (en) Glasses type camera using by pupil tracker
US10310597B2 (en) Portable eye tracking device
US10165176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leveraging user gaze in user monitoring subregion selection systems
CN103698904A (en) Smart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635357B (en) A kind of wearable intelligent glasses
KR101908102B1 (en) Glasses for taking stereo scopic image
WO20210447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60144245A (en) Projector apparatus
KR101582890B1 (en) Smart glasses with character recognition fuction and character recognition using the smart glasses
TWI547909B (en) Eye's beahavior tracking device
JP2022113973A (en) Display method, display device, and program
WO2016149956A1 (en) Electronic glasses
JP2017152899A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