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5177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5177A
KR20130055177A KR1020110120777A KR20110120777A KR20130055177A KR 20130055177 A KR20130055177 A KR 20130055177A KR 1020110120777 A KR1020110120777 A KR 1020110120777A KR 20110120777 A KR20110120777 A KR 20110120777A KR 20130055177 A KR20130055177 A KR 20130055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efrigerator
guide groove
barrier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운규
김선규
윤승진
황정연
이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0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5177A/en
Priority to US13/666,084 priority patent/US20130127322A1/en
Priority to EP12007660.9A priority patent/EP2594877B1/en
Priority to CN2012104649905A priority patent/CN103123199A/en
Publication of KR20130055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1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7Eg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4Refrigerators with a horizontal mull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 refrigerator is provided to increase convenience by hold a component like a tray in a recessed part of a barrier to move several foods at once. CONSTITUTION: A refrigerator comprises a barrier(16), a recessed part(154), and a cover(160). The barrier partitions a refrigeration room and a freezing room. The recessed part is recessed in the barrier at a predetermined depth. The cover opens and closes the top of the recessed part. A mounting protrusion(156)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cessed part to moun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ver. A guide groove(158) is extended from the mounting protrusion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ver.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that can efficiently use a space inside the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Generally, a refrigerator discharges cold air generated by a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 evaporator, etc.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and freeze or refrigerate food or the like.

냉장고는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울러, 김치 등의 음식이나 야채 등을 신선하게 유지하면서 보관하기 위한 김치냉장고도 역시 냉장고의 일종이다.The refrigerator generally includes a freezer for freezing food or beverage, and a refrigerator for storing the food or beverage at a low temperature. In addition, a kimchi refrigerator for keeping food and vegetables such as kimchi fresh is also a kind of refrigerator.

냉장고에 설치된 복수 개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는 힌지에 의해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회동된다.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도어 이외에도 서랍의 전면에 도어가 장착되어 서랍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서랍식 도어가 사용되기도 한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oors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by a hinge and is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In addition to the door pivoted by the hinge, a drawer door is also used in which a door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and is drawn or drawn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gether with the drawer.

냉장고의 냉동실과 냉장실은 다양한 크기의 음식물 등을 수용할 수 있고 공간활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을 상하로 구획하는 다수의 선반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are gener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helves for partitioning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up and down to accommodate food of various sizes and to increase space utilization.

최근에 소비자는 갈수록 대용량의 냉장고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크기가 점차 커지고 있으나, 전체 냉장고의 외관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데에는 다양한 제약사항이 존재하기 때문에, 냉장고 내부의 공간 사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Recently, consumers tend to prefer large refrigerators. Therefore, although the size of the refrigerator is gradually increasing, there are various limitations in increasing the size of the appearance of the entire refrigerator,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using the space inside the refrigerator.

한편 다양한 식품 중에서 달걀은 표면의 이물질로부터 세균이 번식한다는 사용자의 인식 때문에, 사용자들은 달걀을 다른 식품으로부터 분리해서 보관하고자 하는 욕구가 발생된다.On the other hand, because of the user's perception that the bacteria propagate from the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of the various foods, users have a desire to keep the eggs separated from other food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분하는 베리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efficiently use the barrier separating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베리어; 상기 베리어에 소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 상기 함몰부의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버의 외주면이 안착되는 안착턱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턱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arrier partitioning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 depression recessed in the barrier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ss, wherein a seating jaw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is seated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seating jaw, and having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over. A refrigerator is provided.

특히 상기 함몰부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커버의 두께보다 깊은 것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recessed depth of the recess may be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ver.

상기 안착턱의 외주면의 폭은 상기 가이드 홈의 외주면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The wid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jaw may be equal to the wid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groove.

한편 상기 가이드 홈은 냉동실 또는 냉장실의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고, 반면에 상기 가이드 홈은 냉동실 또는 냉장실의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guide groove may extend toward the rear of the freezer compartment or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while the guide groove may extend toward the front of the freezer compartment or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물론 상기 함몰부에는 계란이 안착되는 복수 개의 수용홈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다.Of course,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the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in which the eggs are seated.

또한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protruding upward.

물론 상기 베리어는 냉동실과 냉장실을 수평방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Of course, the barrier can distinguish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베리어; 상기 베리어에 소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 상기 함몰부의 상면에 마련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트레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rrier partitioning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 depression recessed in the barrier to a predetermined depth; It includes; a tra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pression, and extends from the depression, provide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tray is formed.

이때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함몰부의 외주면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guide groove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epression.

물론 상기 함몰부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커버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Of course, the recessed depth of the recess may be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cover.

본 발명에 따르면, 베리어에 계란을 독립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달걀을 개별적으로 독립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eggs independently on the barrier, it is possible to individually store the eggs that can be offensive to the user individual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리어에 여러 개의 식품을 한꺼번에 이동시킬 수 있는 트레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냉장고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mount a component such as a tray that can move a plurality of food at the same time on the barri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using the 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커버가 이동된 도면.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커버가 이동된 도면.
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n which the door is open in FIG.
3 shows the main parts of one embodiment;
4 is a view in which the cover is moved in FIG.
Fig. 5 shows the main parts of another embodiment.
6 is a view in which the cover is moved in FIG.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in which a door is opened in FIG. 1.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는 냉동실(32)과 냉장실(22)이 상/하로 구획되어 냉동실(32)이 냉장실(22)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Type)과, 냉동실(32)과 냉장실(22)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Type)의 냉장고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In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ezer compartment 32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2 are partitioned up and down, and the freezer compartment 3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2, and the freezer compartment. The same applies to the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32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22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냉동실(32)과 냉장실(22)이 상/하로 구획되고 냉동실(32)이 냉장실(22)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텀 프리져 타입(Bottom Freezer-Type)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reezer compartment 32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2 are partitioned up and down, and the freezer compartment 32 is located below the freezer compartment 22. Explain.

일반적으로 냉동실(32)에서는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고, 냉장실(22)에서는 냉동실(32)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식품을 보관한다.In general, the freezing chamber 32 maintains the temperature below freezing,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22 stores the food while maintaining a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than the freezing chamber 32.

상기 냉장고(10)는 본체에 의해서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되는 기계장치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며 보호한다. 상기 냉장고(10)의 본체는 외부에서 사용자가 보았을 때에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2)와 내부에 식품이 보관되는 보관실, 즉 상기 냉동실(32) 및 상기 냉장실(22)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4)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와 상기 인너 케이스(14)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냉기가 순환되는 통로 등이 형성될 수 있다.The refrigerator 10 forms an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by a main body, and seals and protects a mechanical device accommodated therein from the outside.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10 has an outer case 12 which forms an overall appearance when viewed by a user from the outside and an inner case which forms a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food is stored, that is, the freezing compartment 32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2. (14).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case 12 and the inner case 14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cold air is circulated.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와 상기 인너 케이스(14)의 사이 공간에 형성된 기계실(미도시)에는 냉매를 순환시켜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매사이클장치가 설치된다. 냉매사이클장치를 이용해 냉장고 내부를 저온으로 유지하여 보관하는 식품류의 신선도를 유지될 수 있다. 냉매사이클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액체상태의 냉매를 기체상태로 상변환시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증발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a coolant cycle device is installed in a machine room (not shown)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case 12 and the inner case 14 to generate cool air by circulating a coolant. By using a refrigerant cycle device can maintain the freshness of foods to keep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at a low temperature. The refrigerant cycle apparatus include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an evaporator (not shown) for performing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by phase-converting a liquid refrigerant into a gaseous state.

상기 냉장고(10)에는 냉동실(32)을 개폐할 수 있도록 냉동실 도어(30) 및 냉장실(22)을 개폐할 수 있도록 냉장실 도어(20)가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30) 및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그 일단이 힌지에 의해서 상기 냉장고(10)의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30) 및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 도어(20) 및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전방을 향해서 냉장고의 양 모서리를 중심으로 개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0 includes a freezer compartment door 20 to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30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2 to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32. One end of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30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is rotatably installed in a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10 by a hinge.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30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That is, as shown in Figure 2,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30 may be installed in a form that is open around both corners of the refrigerator toward the front.

상기 냉동실(32)과 상기 냉장실(22)의 사이에는 베리어(Barrier)(16)가 설치되어, 상기 냉동실(32)과 상기 냉장실(22)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16)는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져, 상기 인너 케이스(1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16)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냉동실(32)과 상기 냉장실(22)이 상기 베리어(16)를 기준으로 상/하로 구획될 수 있도록 한다.A barrier 16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reezing chamber 32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22 to distinguish the freezing chamber 32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22. The barrier 16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be formed in the inner case 14. The barrier 16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llows the freezing compartment 32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2 to be divided up and down based on the barrier 16.

상기 냉동실(32)의 중앙에는 격벽(18)이 설치되어, 상기 냉동실(32)을 두 개의 구분된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격벽(18)은 상기 인너 케이스(14)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좌우에 두 개로 구분된 상기 냉동실(3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개별적으로 각각의 냉동실(32)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A partition 18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reezing compartment 32 to divide the freezing compartment 32 into two separate spaces. The partition wall 18 may b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inner case 14 to form the freezing compartment 32 divided into two sides. Thus,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30 may individually open or close each freezing compartment 32.

한편 상기 냉장실(22)에는 상기 냉동실(32)과 달리 상기 냉장실(22)의 중앙을 좌우로 구분하는 격벽이 설치되지 않으나, 상기 냉동실(32)에 적용된 것과 같이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freezer compartment 32,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2 is not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that divides the center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2 from side to side, but may be installed as applied to the freezer compartment (32).

한편 상기 냉동실(32)과 상기 냉장실(22)에는 각각 선반, 드로워, 바스켓 등이 배치되어서 식품을 보관할 수 있다. In the freezer compartment 32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2, shelves, drawers, baskets, etc. may be arranged to store food.

상기 냉동실(32)에는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한 드로워(40)가 설치된다. 상기 드로워(40)에는 식품 등이 수용되어 보관된다. 상기 드로워(40)의 전면에는 커버가 수직하게 배치되어 냉동실 도어(30)가 개방되어도 냉기가 냉동실(32) 내부에 보존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reezer compartment 32 is provided with a drawer 40 capable of drawing in or drawing out. The drawer 40 stores food and the like. A cover is vertically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drawer 40 so that cold air may be stor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32 even whe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30 is opened.

상기 드로워(40)는 상기 냉동실(32) 내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격벽(18)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A plurality of drawers 40 may be dispos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32, but may be disposed at both sides with the partition 18 therebetween.

상기 냉동실(32) 또는 상기 냉장실(22)에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150)이 설치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냉동실 도어(30) 또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를 개방하는 경우에 상기 광원(150)이 가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원(150)은 상기 냉동실(32) 또는 상기 냉장실(22)의 후방(이때 후방은 냉동실 또는 냉장실의 안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함)을 향해서 빛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eezing chamber 32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22 is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150 for irradiating light, so that when the user opens the freezing chamber door 30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20, the light source 150 is provided. Can be operated. At this time, the light source 150 is preferably irradiated with the light toward the rear of the freezing chamber 32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22 (the rear means the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freezing chamber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도 3은 일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커버가 이동된 도면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3 is a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n embodiment, and FIG. 4 is a view in which a cover is moved in FIG. 3.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일 실시예에서는 수평방향으로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베리어(16)에 소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154) 및 상기 함몰부(154)의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160)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cess 16 includes a recess 154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barrier 16 partitioning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over 160 that opens and closes an upper surface of the recess 154.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함몰부(154)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커버(160)의 두께보다 깊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154)에 상기 커버(160)가 거치되더라도, 상기 함몰부(154)의 내부에는 식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154)의 함몰된 깊이는 최대한으로는 상기 베리어(16)의 두께보다 작은 정도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함몰부(154)에 수용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recessed depth of the depression 154 is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ver 160. Therefore, even if the cover 160 is mounted on the depression 154, a space in which the food is accommodated is formed in the depression 154. The recessed depth of the recessed portion 154 may be formed to a degre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arrier 16 to the maximum, and may b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accommodated in the recessed portion 154.

한편 상기 함몰부(154)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버(160)의 외주면이 안착되는 안착턱(15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턱(156)은 상기 함몰부(154)보다는 높고, 상기 안착턱(156)이 형성된 상기 베리어(16)의 주변 보다는 낮은 단차를 이룬다.Meanwhile, a seating jaw 156 o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160 is seated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pression 154. The seating jaw 156 is higher than the depression 154 and forms a step lower than the periphery of the barrier 16 in which the seating jaw 156 is formed.

상기 안착턱(156)은 상기 커버(160)의 외주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160)의 외주면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160)가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경우에, 상기 안착턱(156)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의 띠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안착턱(156)에 상기 커버(160)를 위치시켜서, 상기 커버(160)의 위치를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다. The seating jaw 156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ver 160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ver 160 can be seated. When the cover 160 has a rectangular shape, the seating jaw 156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a rectangular band as a whole. The user may conveniently fix the position of the cover 160 by placing the cover 160 on the seating jaw 156.

또한 상기 안착턱(156)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버(16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15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158)은 상기 베리어(16)의 후방(도 3에서 도면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향해서, 상기 커버(160)가 상기 베리어(16)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커버(160)가 상기 베리어(16)의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함몰부(154)의 내부가 개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groove 158 extending from the seating jaw 156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ver 160 is formed. The cover groove 158 may move toward the rear of the barrier 16 toward the rear of the barrier 16 (the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figure in FIG. 3). When the cover 160 moves to the rear of the barrier 16, the inside of the recess 154 may be opened.

물론 도 3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상기 가이드 홈(158)은 상기 베리어(16)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홈(158)이 상술한 형태와 달리 상기 안착턱(156)의 다른 모서리에 접하게 형성되는 방식이다. 이 경우에 상기 커버(160)은 상기 가이드 홈(158)의 위치에 따라 상기 베리어(16)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커버(160)가 상기 베리어(16)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함몰부(154)의 내부가 개방될 수 있다.Unlike the illustrated in FIG. 3, the guide groove 158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barrier 16. In this case, the guide groove 158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other edge of the seating jaw 156, unlike the above-described form. In this case, the cover 160 may be moved forward of the barrier 16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guide groove 158. When the cover 160 moves forward of the barrier 16, the inside of the recess 154 may be opened.

이러한 구성은 상기 가이드 홈(158)의 위치를 변경한 것에 불과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서 당업자가 충분히 변형가능한 정도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이나 별도 도면을 이용해서 도시하지 않는다.Such a configuration is only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guide groove 158, and is not illustrated using the detailed description or the separate drawings because the skilled person can sufficiently deform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가이드 홈(158)은 상기 커버(160)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가이드 홈(158)의 원하는 위치에 상기 커버(160)를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홈(158)은 상기 커버(160)가 완전히 상기 함몰부(154)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상기 커버(160)의 세로방향 길이 보다 길게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groove 158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at of the cover 160 to stop the cover 160 at a desired position of the guide groove 158. Meanwhile, the guide groove 158 preferably extends long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over 160 such that the cover 160 completely escapes the recess 154.

이때 상기 안착턱(156)의 외주면의 폭은 상기 가이드 홈(158)의 외주면의 폭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커버(160)를 상기 안착턱(156)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홈(158)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커버(160)가 특정 구성요소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이동시키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ting jaw 156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groove 158. This is to smoothly move the cover 160 without being caught by a specific component when the cover 160 is moved from the seating jaw 156 to the guide groove 158.

또한 상기 가이드 홈(158)은 상기 안착턱(156)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홈(158)과 상기 안착턱(156)이 동일한 높이를 이뤄서, 사용자는 상기 커버(160)를 상기 안착턱(156)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홈(158)으로, 또는 상기 가이드 홈(158)에서 상기 안착턱(156)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158 may have the same height as the seating jaw 156. The guide groove 158 and the seating jaw 156 have the same height,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cover 160 from the seating jaw 156 to the guide groove 158 or at the guide groove 158. The mounting jaw 156 can be easily moved.

반면, 상기 가이드 홈(158)과 상기 안착턱(156)에는 경계를 구분짓는 다수 개의 일렬로 배치된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기에 의해서 사용자가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상기 커버(160)는 상기 가이드 홈(158) 또는 상기 안착턱(156)에 위치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uide groove 158 and the seating jaw 156 may form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ranged in a line to separate the boundary. The cover 160 may be maintained in the guide groove 158 or the seating jaw 156 unless the user applies a forc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by the protrusion.

상기 커버(160)가 상기 안착턱(156)에서 벗어나서, 상기 가이드 홈(158)을 따라서 안내되면, 상기 커버(160)는 상기 함몰부(154)를 개방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함몰부(154)에 식품을 보관할 수 있고, 그 이후에 상기 커버(160)를 상기 안착턱(156)에 이동시켜서 상기 함몰부(154)를 밀폐할 수 있다.When the cover 160 is moved away from the seating jaw 156 and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158, the cover 160 opens the depression 154. Subsequently, the user may store food in the depression 154, and then move the cover 160 to the seating jaw 156 to seal the depression 154.

상기 함몰부(154)에는 달걀이 안착되는 복수 개의 수용홈(164)이 형성된 플레이트(162)가 수용된다. 상기 복수 개의 수용홈(164)은 각각 하나의 달걀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를 일부 절개한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플레이트(16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몰부(154)에 장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62)를 상기 함몰부(154)의 특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높이 고정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고정 돌기를 상기 함몰부(154)의 내측에 다양한 높이에 따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기 고정 돌기에 의해서 상기 플레이트(162)는 원하는 높이에 따라 가변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The depression 154 is accommodated in the plate 16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164 on which the eggs are seated.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164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sphere is partially cut so that one egg may be located. As shown in FIG. 4, the plate 162 may be mounted to the recess 154 in a detachable manner. In order to fix the plate 162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depression 154,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types of height fixing mean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form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at various heights inside the depression 154. In this case, the plate 162 may be variably positioned according to a desired height by the fixing protrusion.

이때 상기 플레이트(162)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168)가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168)에 손을 파지시킨 후에, 상기 플레이트(162)를 상기 함몰부(154)로부터 상측으로 꺼낼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68)는 전체적으로 'ㄷ'자의 형상을 갖고, 그 중앙에 손을 위치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ate 162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168 protruding upward. After the user grips the hand on the handle 168, the user may take the plate 162 upward from the depression 154. The handle portion 168 has a shape of 'C' as a whole, it can be placed in the center of the hand.

상기 손잡이부(168)의 양단은 상기 플레이트(162)의 양측단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168)를 들어 올렸을 때, 사용자의 힘이 상기 플레이트(162)에 고르게 전달되어, 상기 플레이트(162)를 안정적으로 들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Both ends of the handle 168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plate 162. When the user lifts the handle 168, the user's force is evenly transmitted to the plate 162, so as to stably lift the plate 162.

다양한 식품 중에서 달걀은 특히 깨지기 쉽기 때문에 여러 개를 쌓는 형태로 보관하기 어렵다. 또한 달걀은 표면의 이물질로부터 세균이 번식한다는 사용자의 인식 때문에 보관하는데 다른 식품에 비해서 신경이 많이 쓰이는 식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함몰부(154)를 상기 커버(160)에 의해서 개폐하는 방식으로, 상기 함몰부(154)를 상기 냉장실(22)의 다른 공간으로부터 밀폐시켜 그 내부에 달걀을 보관할 수 있다.Among various foods, eggs are particularly fragile, making it difficult to store them in stacks. In addition, eggs are stored because of the user's perception that bacteria grow from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pening and closing the recessed portion 154 by the cover 160, the recessed portion 154 is sealed from the other sp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2 to form an egg therein. I can keep it.

한편 상기 커버(160)의 상부에는 돌출편(161)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돌출편(161)은 상기 커버(160)로부터 상측으로 일정한 높이로 상승되도록 돌출된 구성요소이다. 사용자는 상기 돌출편(161)에 손을 파지한 후에, 상기 커버(16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160)의 이동 경로는 상기 안착턱(156)부터 상기 가이드 홈(158)이 형성된 부분까지로 제한된다.Meanwhile, the protrusion piece 161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160. The protruding piece 161 is a component protruding from the cover 160 to rise upward at a constant height. After the user grips the hand on the protruding piece 161, the user may move the cover 160 back and forth. At this time, the movement path of the cover 160 is limited from the seating jaw 156 to a portion where the guide groove 158 is formed.

상기 커버(160)는 상기 안착턱(156) 또는 상기 가이드홈(158)에 거치되어 있을 뿐, 다른 고정 부재는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커버(160)를 상기 안착턱(156) 또는 상기 가이드 홈(158)으로부터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Since the cover 160 is mounted on the seating jaw 156 or the guide groove 158 only and no other fixing member is installed, the cover 160 is mounted on the seating jaw 156 or the user. It is possible to take out from the guide groove 158.

상기 커버(16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160)가 상기 함몰부(154)를 밀폐하는 상태에 상기 커버(160)를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함몰부(154) 내에 수용된 식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cover 160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Even if the cover 160 does not move the cover 160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154 is closed, the food 160 contained in the recess 154 can be confirmed.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커버가 이동된 도면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nother embodiment, and FIG. 6 is a view in which a cover is moved in FIG. 5.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is as follow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함몰부(154)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트레이(160a)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얕은 것이 가능하다. 즉 도 3 및 도 4의 일 실시예에서 안착턱의 깊이와 동일하게 상기 함몰부(154)의 깊이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ssed depth of the recess 154 may be the same as or shall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ray 160a. That is, in one embodiment of FIGS. 3 and 4, the depth of the recess 154 may be formed to be equal to the depth of the mounting jaw.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냉장고 내부에 보관된 식품들을 냉장고로부터 꺼내면서, 상기 트레이(160a)의 상면에 식품들을 잠시 거치한 후에, 상기 트레이(160a)를 이동시켜서 거치된 식품들을 한꺼번에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내부에 보관된 다양한 반찬통들을 상기 트레이(160a)에 거치하고, 상기 트레이(160a)를 이동시켜서 반찬통들을 동시에 냉장고 외부의 원하는 장소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may take out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from the refrigerator, temporarily place the foo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160a, and then move the tray 160a to move the loaded foods at once. . For example, various side dishes stored in the refrigerator may be mounted on the tray 160a, and the trays 160a may be moved to simultaneously move the side dishes to a desired place outside the refrigerator.

이때 상기 트레이(160a)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식품이 거치될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으로 갖는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트레이(160a)에 거치된 식품이 상기 트레이(160a)의 외주면을 벗어나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트레이(160a)의 외주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 등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a flat surface having a sufficient are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160a so that a plurality of food can be placed. 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y 160a so that the food placed on the tray 160a does not leav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y 160a.

상기 함몰부(154)에는 상기 트레이(160a)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158)이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홈(158)도 상기 함몰부(154)의 깊이와 동일하게 단차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홈(158)과 상기 함몰부(154)의 높이가 동일하면, 사용자가 상기 트레이(160a)를 상기 가이드 홈(158)과 상기 함몰부(154)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The depression 154 may be formed with a guide groove 158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tray 160a. Preferably, the guide groove 158 is stepped to have the same depth as the depression 154. If the height of the guide groove 158 and the depression 154 is the same, the user may move the tray 160a within the guide groove 158 and the depression 154.

상기 가이드 홈(158)은 상기 베리어(16)의 전방(도 5 및 도 6에서 도면의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홈(158)의 폭은 상기 함몰부(154)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커버(160)의 폭과 유사한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guide groove 158 preferably extends in front of the barrier 16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drawing in FIGS. 5 and 6). The width of the guide groove 158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recess 154, and is similar to the width of the cover 160.

사용자는 상기 트레이(160a)를 상기 함몰부(154)로부터 상기 가이드 홈(158)을 따라 냉장고의 외측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홈(158)이 상기 트레이(160a)의 인출방향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트레이(160a)가 상기 가이드 홈(158)으로 이동된 후에는 사용자는 상기 트레이(160a)의 일측을 잡고 상기 트레이(160a)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160a)의 전체적인 형상이 단순해져서 상기 트레이(160a)의 제작이 용이해질 수 있고, 상기 트레이(160a)가 상기 베리어(16)에 거치된 형태가 단순화될 수 있다.The user may draw out the tray 160a from the depression 154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along the guide groove 158. Since the guide groove 158 is formed along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tray 160a, after the tray 160a is moved to the guide groove 158, the user grasps one side of the tray 160a, The tray 160a can be easily taken out. Accordingly, the overall shape of the tray 160a may be simplified, and thus the production of the tray 160a may be facilitated, and the shape in which the tray 160a is mounted on the barrier 16 may be simplified.

상기 가이드 홈(158)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처럼, 상기 베리어(16)의 경계까지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베리어(16)를 정면에서 봤을 때, 실질적으로 상기 함몰부(154)가 상기 베리어(16)의 끝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groove 158 may extend to the boundary of the barrier 16 as shown in FIGS. 5 and 6. That is, when the barrier 16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depression 154 may be formed to extend substantially to the end of the barrier 16.

이때 상기 가이드 홈(158)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160)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158)의 폭에 수직한 방향인 길이는 상기 트레이(160a)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uide groove 158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t is possible to extend to the same size as the width of the cover 160. In addition, the length perpendicular to the width of the guide groove 158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tray 160a.

반면에 상기 가이드 홈(158)의 길이가 상기 커버(160)의 길이보다 긴 것도 가능하다. 상기 트레이(160a)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상기 트레이(160a)를 일부 인출한 후에 상기 트레이(160a)의 상부에 다양한 식품을 안착시켜서 상기 트레이(160a)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158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over 160. When the length of the tray 160a is long, it is possible to move the tray 160a by placing a variety of food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160a after partially extracting the tray 160a.

이와는 달리, 상기 베리어(16)의 일단이 막혀있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술한 베리어(16)의 형태와는 달리, 상기 함몰부(154)가 상기 베리어(16)의 끝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다만 이 경우에는 상기 함몰부(154)의 일단에는 완만한 경사가 형성된 경사면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트레이(160a)을 상기 함몰부(154)로부터 인출할 때에, 상기 트레이(160a)가 상기 가이드 홈(158)을 지나고, 최종적으로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트레이(160a)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Alternatively, one end of the barrier 16 may be blocked. That is, unlike the shape of the barrier 16 described above, the depression 154 does not extend to the end of the barrier 16. In this case, however,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gentle inclination at one end of the depression 154. When the user withdraws the tray 160a from the depression 154, the tray 160a passes through the guide groove 158 and finally ris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 Can be taken out easily.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can be seen in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냉장고 20: 냉장실 도어
30: 냉동실 도어 154: 함몰부
158: 가이드 홈 160: 커버
162: 플레이트 160a: 트레이
10: refrigerator 20: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freezer door 154: depression
158: guide groove 160: cover
162: plate 160a: tray

Claims (11)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베리어;
상기 베리어에 소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
상기 함몰부의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버의 외주면이 안착되는 안착턱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턱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barrier partitioning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 depression recessed in the barrier to a predetermined depth;
Includes;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depress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ss is formed a seating jaw is se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And a guide groove extending from the seating jaw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커버의 두께보다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ssed depth of the recessed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턱의 외주면의 폭은 상기 가이드 홈의 외주면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nd a wid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jaw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냉동실 또는 냉장실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groove extends toward the rear of the freezer compartment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냉동실 또는 냉장실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groove extends toward the front of the freezer compartment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에는 계란이 안착되는 복수 개의 수용홈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depress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are sea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5,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is provided with a handle protruding up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는 냉동실과 냉장실을 수평방향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barri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ivided into horizontal directions.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베리어;
상기 베리어에 소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
상기 함몰부의 상면에 마련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트레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barrier partitioning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 depression recessed in the barrier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a tray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And a guide groove extending from the reces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tra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함몰부의 외주면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guide groove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press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커버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recessed depth of the recess is equal to a thickness of the cover.
KR1020110120777A 2011-11-18 2011-11-18 Refrigerator KR20130055177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777A KR20130055177A (en) 2011-11-18 2011-11-18 Refrigerator
US13/666,084 US20130127322A1 (en) 2011-11-18 2012-11-01 Refrigerator
EP12007660.9A EP2594877B1 (en) 2011-11-18 2012-11-12 Refrigerator
CN2012104649905A CN103123199A (en) 2011-11-18 2012-11-16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777A KR20130055177A (en) 2011-11-18 2011-11-18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177A true KR20130055177A (en) 2013-05-28

Family

ID=4722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777A KR20130055177A (en) 2011-11-18 2011-11-18 Refrigera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27322A1 (en)
EP (1) EP2594877B1 (en)
KR (1) KR20130055177A (en)
CN (1) CN103123199A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430A (en) * 2013-09-03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50048349A (en) * 2013-10-28 2015-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50100310A (en) * 2014-02-25 2015-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70039875A (en) * 2015-10-02 2017-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irgerator
KR20170043814A (en) * 2015-10-14 2017-04-24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Refrigerator
US10302351B2 (en) 2015-10-02 2019-05-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345032B2 (en) 2016-11-11 2019-07-0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928525B2 (en) 2018-01-24 2021-02-23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radiological surveillance of groundwat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5975B2 (en) * 2013-09-03 2019-11-0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9228776B2 (en) * 2014-02-24 2016-01-05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pantry compartment
CN104266429A (en) * 2014-10-24 2015-01-07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Refrigerator with yogurt machine
CN104501518A (en) * 2014-12-31 2015-04-08 湖北美的电冰箱有限公司 Yogurt machine module and refrigerator
WO2017057995A1 (en) 2015-10-02 2017-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US9759479B2 (en) * 2015-10-22 2017-09-12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modular system for incorporating a pantry compartment within an appliance
EP3889528B1 (en) * 2015-11-04 2023-01-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2138A (en) * 1986-03-10 1989-06-27 Devon Industries, Inc. Rigid disposable container for holding and dispensing of used medical sharps and other medical-surgical materials
IT1230958B (en) * 1989-06-30 1991-11-08 Eurodomestici Ind Riunite REFRIGERATOR, FREEZER OR SIMILAR WITH REMOVABLE CONTAINER IN WHICH VACUUM IS MADE.
KR0129496B1 (en) * 1993-12-08 1998-04-08 김광호 Variable volume type refrigerator
US5531346A (en) * 1994-10-13 1996-07-02 Sage Products, Inc. Biohazardous waste container
US5820235A (en) * 1997-03-10 1998-10-13 Tsai; Tsung-Yen Front panel assembly for a computer mainframe
US5912033A (en) * 1998-03-12 1999-06-15 Ferguson; Kathy Baked goods container
CA2257703C (en) * 1999-01-04 2002-10-08 Nedo Banicevic Refrigerator evaporator housing
US6296120B1 (en) * 2000-02-07 2001-10-02 Wegman's Food Markets, Inc. Multiple pastry box
JP2003056979A (en) * 2001-08-21 2003-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Refrigerator
US6763674B2 (en) * 2002-03-27 2004-07-20 Cold Core, Ltd. Perforated ice bin insert
US6976577B2 (en) * 2003-08-08 2005-12-20 Cadbury Adams Usa, Llc Mint package
JP4295197B2 (en) * 2004-11-10 2009-07-15 三菱電機株式会社 refrigerator
DE102004062236A1 (en) * 2004-12-23 2006-07-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Refrigerator has the evaporator within an angled dividing wal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hambers, with a horizontal plate forming the upper chamber base over the wall giving an additional compartment
US7284390B2 (en) * 2005-05-18 2007-10-23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intermediate temperature icemaking compartment
US7584843B2 (en) * 2005-07-18 2009-09-08 Philip Morris Usa Inc. Pocket-size hand-held container for consumer items
US7343757B2 (en) * 2005-08-11 2008-03-18 Whirlpool Corporation Integrated center rail dispenser
US7611029B2 (en) * 2006-05-18 2009-11-03 Double Team Inc. Drinking cup lid with a reclosable drink opening using a sliding member
US7934615B2 (en) * 2006-08-10 2011-05-03 J.L. Clark, Inc. Container having sliding door
CN100521885C (en) * 2006-08-25 2009-07-29 金宝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Sliding closure structure
CN100582618C (en) * 2007-05-28 2010-01-20 邓维波 Arc-shaped refrigerator sliding door and door seal
EP2119987B1 (en) * 2008-05-14 2012-02-2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provided with rapid cooling compartment for beverages
US20100287974A1 (en) * 2009-05-15 2010-11-18 Whirlpool Corporation Insulation panels applied to or as a feature modul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430A (en) * 2013-09-03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50048349A (en) * 2013-10-28 2015-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50100310A (en) * 2014-02-25 2015-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70039875A (en) * 2015-10-02 2017-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irgerator
US10302351B2 (en) 2015-10-02 2019-05-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641544B2 (en) 2015-10-02 2020-05-0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70043814A (en) * 2015-10-14 2017-04-24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Refrigerator
US10345032B2 (en) 2016-11-11 2019-07-0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684066B2 (en) 2016-11-11 2020-06-1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928525B2 (en) 2018-01-24 2021-02-23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radiological surveillance of groundwat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27322A1 (en) 2013-05-23
CN103123199A (en) 2013-05-29
EP2594877A3 (en) 2017-05-17
EP2594877A2 (en) 2013-05-22
EP2594877B1 (en)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5177A (en) Refrigerator
US8152256B2 (en) Accept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0885410B1 (en) Refrigerator with apparatus for preventing leakage of cooling air
KR101899808B1 (en) Refrigerator
KR102629953B1 (en) Refrigrator
KR20130045538A (en) Refrigerator
KR20130053214A (en) Refrigerator
KR20140055197A (en) Refrigerator
RU2421668C1 (en) Refrigerator
KR101995427B1 (en) Refrigerator
KR101638191B1 (en) Refrigerator
KR20130094042A (en) Refrigerator having drawing out type sliding door
KR101838065B1 (en) Refrigerator
KR20110080523A (en) Refrigerator comprising a drawer compartment with a cover assembly
KR101065722B1 (en) The refrigerator it arranges
KR20110040578A (en) Refrigerator with sliding doors
KR20090005503U (en) Refrigerator having egg tray
KR101884349B1 (en) Refrigerator
KR100786248B1 (en) Rack rail structure of wine storage
KR102214066B1 (en) Refrigerator
KR20130053215A (en) Refrigerator
KR20130045593A (en) Refrigerator
KR20070062350A (en) Shelves in refrigerator
KR101838066B1 (en) Shelf for Refrigerator
KR101150950B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