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108A - Save and reading method of tag data on digital device - Google Patents

Save and reading method of tag data on digit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108A
KR20130044108A KR1020110108405A KR20110108405A KR20130044108A KR 20130044108 A KR20130044108 A KR 20130044108A KR 1020110108405 A KR1020110108405 A KR 1020110108405A KR 20110108405 A KR20110108405 A KR 20110108405A KR 20130044108 A KR20130044108 A KR 20130044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information
screen
tag
informati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4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중
Original Assignee
김경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중 filed Critical 김경중
Priority to KR1020110108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4108A/en
Publication of KR20130044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1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8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e.g. browsing and visualisation, 2d or 3d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storing, opening, and accessing tag information in a digital device of a user is provided to store the tag information in a user device an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thereby utilizing the tag information as information communication resources. CONSTITUTION: An initial mode selection screen(201) of an application is composed of a direct web access mode, an automatic tag information storage and web page access mode, a tag information storage mode, a tag information search mode, and a termination button. An automatic tag information recording and storing screen is composed of various items and displays a storage button, a cancel button, an initial button, and a search button in a lower part of the screen. [Reference numerals] (200) Tag information storing/opening/accessing application; (201) Initial mode selec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300) User device; (AA) Select a mode on an initial screen of the application; (BB) Close or scan; (CC) Optical code reader; (DD) RFID reader, NFC reader; (EE) Install/operate the application; (FF) Smart phone, table PC, smart TV; (GG) A. Direct web access mode; (HH) B. Automatic tag information storing and webpage accessing mode; (II) C. Tag information storing mode; (JJ) D. Tag information searching mode

Description

사용자 디지털기기에서 태그정보를 저장, 열람, 접속하는 방법 { save and reading method of TAG data on digital device }How to save, view, and access tag information on your digital device {save and reading method of TAG data on digital device}

광코드 및 RFID TAG 인식기술,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정보제공 기술, 광코드 및 RFID TAG에 기록된 데이타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열람하며 유무선 전화 및 정보제공 서버에 연결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작기술.Optical code and RFID TAG recognition technology, information providing technology us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pplication production technology to store / view data recorded on optical code and RFID TAG on user device and connect to wired / wireless telephone an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RFID태그와 RFID리더 기술은, 생산관리/창고관리/출하관리/판매관리뿐만 아니라 RFID 태그 인식을 바탕으로 한 정보제공 기술의 발달로, 근래는 휴대통신기기와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상품정보는 물론, 정품과 비정품을 구별하여 주기까지 한다. 최근 RFID리더칩셋과 NFC칩셋이 장착된 휴대폰/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접속과 업무처리가 활성화되고 있다.RFID tag and RFID reader technology is not only production management / warehouse management / shipment management / sales management but als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providing technology based on RFID tag recognition. Distinguish between genuine and non-genuine products. Recently, internet access and business processing through mobile phones / smartphones equipped with RFID reader chipsets and NFC chipsets have been activated.

또한 광코드(QR코드/바코드/이미지코드 등) 데이타를 스마트폰 카메라로 읽어들여 특정 URL의 웹사이트나 웹요소를 연결 제시하고 있다.
In addition, optical code (QR code / bar code / image code, etc.) data is read by a smartphone camera and linked to a website or web element of a specific URL.

*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The technology behind the invention

"특허출원 10-2004-0071495: 알에프아이디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정품인증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Patent application 10-2004-0071495: Authentica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RFI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알에프(RF)모듈과 무선통신모듈로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와 인터넷으로 접속되며 제품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인증서버로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조회 대상 제품이 정품인지 여부를 인증받기 위한 정품인증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알에프(RF)모듈을 탑재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여 대상 제품에 부착된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의 메모리로부터 적어도 서비스코드, 서버코드 및 제품고유번호를 포함한 데이터를 읽고, 상기 서비스코드가 정품인증서비스 실행루트 기준코드와 일치하는지 비교함으로써 상기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가 정품인증서비스 대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정품인증서비스 대상이 아닌 경우 서비스 불능을 표시하고 종료하는 단계; (c) 상기 단계(a)에서 정품인증서비스 대상인 경우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부터 상기 서버코드에 의해 지정된 상기 인증서버로 제품고유번호와 단말기인식번호를 송신하는 단계; (d) 인증서버에 의하여 수신된 제품고유번호가 제품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비교하는 단계; (e)단계(d)에서 제품고유번호가 제품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제품고유번호의 유통 상태가 판매 부적절상태인 경우, 제품의 부존재 또는 판매부적절 상태를 디스플레이로 표시하고 서비스를 종료하는 단계; (f) 단계(d)에서 제품고유번호가 제품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고 또한 유통상태가 판매적합 상태인 경우, 해당제품의 유통상태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g)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구매 의사를 묻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h) 단계(g)에서 구매가 선택되지 않는 경우 서비스가 종료되는 단계; (i) 단계(g)에서 구매가 선택되는 단계; (j) 제품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제품의 유통 상태 데이터를 갱신 기록하고, 단말기인식번호를 부기하며, 제품데이터베이스의 갱신 기록 사실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정품인증서비스 방법.
Activation for authenticating whether the product to be inspected is genuine by using a system consisting of RF modu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isplay unit and the authentication server with product database. A service method; (a) reading data including at least a service code, a server code and a product unique number from a memory of an RFID tag attached to a target product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RF module; Determining whether the RFID tag is an object of the activation service by comparing whether the ID code corresponds to an activation service execution root reference code; (b) displaying service termination and terminating if the activation service is not a target in the step (a); (c) transmitting a product unique number and a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designated by the server code in the case of the activation service in step (a); (d) comparing whether a product unique number received by the authentication server exists in the product database; (e) if the product unique number does not exist in the product database in step (d), or if the distribution status of the product unique number is inappropriate for sale, displaying the absence or inappropriate sale of the product on a display and terminating the service; ; (f) in step (d), if the product unique number is present in the product database and the distribution state is in the sales-fit state, transmitting the distribution state data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unit; (g) displaying a message on the display asking a user's intention to purcha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 terminating the service if no purchase is selected in step (g); (i) a purchase is selected in step (g); (j) updating and recording the distribution status data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in the product database, adding a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and displaying the update record fact of the product database on the display; Activation service method consisting of.

"특허출원 10-2004-7012019: 코드정보를 사용한 정보제공 시스템""Patent application 10-2004-7012019: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using code information"

코드 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열의 일부분을 비밀키에 의해 암호화한 암호화부분과 관리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공개부분을 합한 코드정보의 발행을 행하는 코드발행 서버시스템과, 상기 코드정보의 암호화부분을 디코드하기 위한 공개키를 관리하는 공개키 관리서버와, 네트워크를 매개로 하여 제공하는 정보를 관리하는 광고주 서버를 구비한 광고주 서버시스템과, 촬상소자를 사용한 촬영기능을 가져 상기 코드정보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코드정보를 디코드함으로써, 암호화부분과 공개부분을 취득하고, 그 취득한 공개부분에 포함되는 관리처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매개로 하여 그 광고주 서버시스템으로의 액세스를 행하여, 상기 디코드에 의해 취득한 암호화부분을 상기 광고주 서버시스템으로 송신하는 휴대단말을 구비하며, 상기 광고주 서버시스템은, 상기 휴대단말측에서의 디코드에 의해 얻어진 공개부분에 포함되는 관리처 어드레스를 토대로 하는 상기 휴대단 말측으로부터의 액세스에 따라 송신되어 온 상기 암호화부분을 상기 공개키에 의해 디코드하고, 그 디코드된 암호화부분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광고주 서버로부터 상기 휴대단말로 상기 네트워크를 매개로 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정보를 사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A code issuing server system for issuing code information in which a portion of a string constituting code information is encrypted with a secret key and a disclosure portion including a management destination address, and a disclosure for decoding the encryption portion of the code information. An advertiser server system having a public key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keys, an advertiser server for managing information provided via a network, and an image capturing function using an imaging device to photograph the code information, By decoding the information, the encrypted portion and the public portion are obtained, access is made to the advertiser server system via the network using the management address included in the obtained public portion, and the encrypted portion obtained by the decoding is obtained. A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to the advertiser server system, The advertiser server system decodes, by the public key, the encrypted portion transmitted in accordance with an access from the portable terminal side based on a management destination address included in the public portion obtained by decoding on the portable terminal side, and decodes the encoded portion.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ncrypted portion from the advertiser server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특허출원 10-2006-0067326: RFID 태그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Patent Application 10-2006-0067326: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RFID Tag"

이동통신망을 통해 RFID 리더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과 접속되고, ODS(Object Directory Service) 서버, OIS(Object Information Server) 서버 및 단말정보 제공 서버와 접속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RFID 태그의 식별정보가 전송됨에 따라, 상기 ODS 서버에 접속하여A content providing system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RFID read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nected to an object directory service (ODS) server, an object information server (OIS) server, and a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ODS server is accessed.

해당 RFID 태그의 상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URL 정보를 획득하는 URL 획득부;A URL obtaining unit obtaining URL information in which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FID tag is stored;

상기 URL 획득부에서 획득한 URL에 따라 상기 OIS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RFID 태그의 상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태그의 상세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태그 상세 정보 획득부;Accessing the OIS server according to the URL obtained by the URL obtaining unit, obtain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FID tag, and providing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ta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ta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ag detailed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상기 태그의 상세 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이, 태그의 상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RFID 태그의 식별정보와 함께 전송되는 이동통신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tag selects any one of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tag, the terminal informatio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 from provider server

통신 단말의 사양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규격 확인부; 및 상기 태그 상세 정보 획득부가 획득하여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 가능한 형태로 구성한 상기 RFID 태그의 상세 정보를, 상기단말 규격 확인부에서 획득한 단말 사양에 맞게 변환하는 트랜스코더; 를 포함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A terminal specification checking unit obtaining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ranscoder for convert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RFID tag, which is obtained in the form of a tag detailed information obtaining unit and provid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a terminal specification acquired by the terminal standard checking unit.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an RFID tag comprising a.

"특허출원 10-2008-0037928: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인식 및 제공 시스템""Patent Application 10-2008-0037928: Product Information Recognition and Provision System Using Two-Dimensional Barcode Using Mobile Phone Camera"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으로서, 제품의 정보를 세부 분류에 따른 개별 수치로서 표현하되, 상기 개별 수치를 소정 면적을 가진 2차원 공간에 일정 규칙을 가지고 조합하여 2차원 바코드를 생성하는 2차원 바코드 생성모듈;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휴대폰 내지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 중 어느 하나에 저장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 휴대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특정 제품에 부여된 2차원 바코드를 스캔 처리하는 스캔모듈; 휴대폰에 구비되어, 스캔 처리된 2차원 바코드를 휴대폰에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처리를 통해 2차원 바코드를 식별하는 식별모듈; 휴대폰에 구비되어, 상기 식별모듈을 통해 식별된 2차원 바코드에 대한 제품의 기본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품 품질을 확인하는 기본정보 제공모듈; 상기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에 구비되어, 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 이외의 추가 정보를 수요자가 요구할 때 제품에 대한 확장정보를 수요자의 휴대폰에 제공하는 확장정보 제공모듈;A system for recognizing and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through a two-dimensional bar code using a mobile phone camera, expressing product information as individual values according to a detailed classification, and combining the individual values with a predetermined rule in a two-dimensional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 two-dimensional barcode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two-dimensional barcode; A two-dimensional barcode database storing the two-dimensional barcode in a mobile phone or a two-dimensional barcode management server; A scan module which scans a two-dimensional bar code assigned to a specific product using a camera of the mobile phone; An identif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and identifying the two-dimensional barcode by comparing the scanned two-dimensional barcode with a two-dimensional barcode database stored in the mobile phone; A basic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which is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and provides basic information of the product for the two-dimensional barcode identifi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module and confirms the product quality; An expansion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provided in the two-dimensional barcode management server and providing extended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to the mobile phone of the consumer when the consumer requests additional information other than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휴대폰에 구비되어, 상기 식별모듈에서 2차원 바코드를 식별하지 못할 때 키패드를 통해 제품의 부가 정보를 수요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아 상기 부가 정보 및 해당 2차원 바코드를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식별 요청 모듈; 상기 2차원 바코드 관리 서버에 구비되어, 1차적으로 상기 부가정보 및 상기 휴대폰에서 전송된 2차원 바코드를통해 상기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 처리를 통해 관련된 제품에 대한 복수 개의 2차원 바코드를 복수 개 찾고, 2차적으로 이 중 가장 형상이 근접한 2차원 바코드를 찾아 휴대폰에 전송하는 식별 확인 모듈; 상기 2차원 바코드 관리 서버에 구비되는 것으로, 특정 이익과 이해관계를 가진 복수 명의 수요자에 대한 휴대폰 번호를 그룹핑(grouping)하여 상기 2차원 바코드 서버에 저장하는 그룹 지정부, 상기 그룹 지정부를 통해 지정된 그룹 내 수요자 중 어느 하나의 수요자가 상기 2차원 바코드 서버를 통해 특정 제품에 대한 확장 정보를 요청할 때, 상기 확장정보 제공모듈과 연동하여 그룹 내 모든 수요자의 휴대폰에 확장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공유부, 상기 정보 공유부를 통해 전송된 확장 정보를 자동으로 수요자의 휴대폰에 저장 처리하는 저장부로 이루어져 있는, 그룹 관리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When the identification module does not identify the two-dimensional barcode in the mobile phone, the identification request module for receiv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product directly from the consumer via the keypad and transmits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two-dimensional barcode to the two-dimensional barcode management server ; A plurality of two-dimensional barcodes for the associated product is provided in the two-dimensional barcode management server, primarily through comparison processing with the two-dimensional barcode database through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two-dimensional barcod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phone. An identification verification module for finding and secondarily finding a two-dimensional bar code closest to the shape and transmitting the two-dimensional barcode to a mobile phone; A group designation unit provided in the two-dimensional barcode management server, the group designation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mobile phone numbers for a plurality of consumers having a specific interest and interest in the two-dimensional barcode server and the group designated by the group designation unit An information shar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extens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phones of all the consumers in the group in conjunction with the extension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when a consumer of any one of the consumer requests the extens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product through the two-dimensional barcode server, Product consisting of a two-dimensional barcode using a mobile phone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group management module, consisting of a storage unit for automatically storing and processing the extended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information sharing unit to the mobile phone of the consumer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
Information Recognition and Provision System.

등이 종래의 발명으로, 사용자 디바이스로 광코드 또는 RFID 태그를 태깅하고 정보서버를 연결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에 인증결과 및 정보 등을 제공을 하는 방법이 주였다.The related art is a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result and information to a user device by tagging an optical code or an RFID tag with a user device and connecting an information server.

현재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RFID 태그와 광코드를 통한 웹 접속서비스는 특정 URL를 다이렉트로 연결하는 특징이 있으나, 이는 단순하게 특정 URL에 해당되는 웹사이트나 웹요소(동영상,사진,이벤트페이지 등)를 디지털 단말기의 화면에 제시시키거나 사용자가 활성화된 주소를 터치/클릭할 시 특정 웹 페이지를 연결하는 수준이다. 그러나 현대인이 접하는 정보태그인 RFID 태그와 광코드(QR코드,PDF417,이미지코드 등)에는 실로 많은 정보(성명,전화번호,웹주소,사진,특징 등)를 기록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이러한 소중한 태그정보를 체계적으로 저장, 열람, 서브정보별로 연결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지 않음으로, 현대인은 온/오프라인에서 수 많은 정보태그를 접하고 있으나, 기업과 개인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단지 웹정보서버에 접속하는 수단에 그치고 있다.
Currently, web access services through RFID tags and optical codes using mobile devices have a feature of directly connecting a specific URL. It is a level that connects a specific web page when presented on the screen of a digital terminal or when the user touches / clicks an activated address.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a lot of information (name, phone number, web address, photo, features, etc.) can be recorded on RFID tags and optical codes (QR code, PDF417, image code, etc.) Since there is no application for systematically storing, reading, and connecting such valuable tag information in a user device including a user, modern people are exposed to many information tags on / offline, but corporate and individual users use them. It is merely a means of accessing a web information server.

본 출원은 더 나아지는 통신환경과 사용자 디바이스의 저장환경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일상 접하는 소중한 태그정보를 다양한 디지털기기에 체계적으로 자동 저장한 후 검색/열람하여 서브정보별로 전화연결하거나 온라인에 접속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consideration of a better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a storage environment of a user device, the present application systematically automatically stores valuable tag information commonly encountered by users in various digital devices, and then searches / views and connects by phone or online by sub information. To provide a service.

1. 다양한 대상체(명함, 신문, 행사카드, 봉투, 쇼핑백, 스티커, 라벨, 달력, 도서, 잡지, 홍보책자, 전단지, 포스터, 증명서, 인증서, 보증서, 계약서, 포장수단, 판촉물, 티켓, 영수증, 계산서, 도로 및 건물 표지판, 광고 및 안내 사인물, 호출안내판 등)에 구비되는 정보태그(RFID 태그와 광코드)에, 1. Various objects (business cards, newspapers, event cards, envelopes, shopping bags, stickers, labels, calendars, books, magazines, brochures, flyers, posters, certificates, certificates, guarantees, contracts, packaging, promotional materials, tickets, receipts, Information tags (RFID tags and optical codes) included in bills, road and building signs, advertisements and signs, call signs, etc.,

약속된 데이타(이름 또는 사명, 휴대폰번호, 유선전화번호, 인터넷전화번호, 주소, SNS접속 URL 및 ID, 메신저/카카오톡접속 URL 및 ID, 웹사이트 URL, G메일접속 URL 및 ID, 사진, 메모, 저장일시 등)를 기록하여 이를 일반에 제공하며,Promised data (name or company name, mobile phone number, landline phone number, internet phone number, address, SNS access URL and ID, messenger / KakaoTalk access URL and ID, website URL, Gmail access URL and ID, photo, memo , Date and time of storage) and provide it to the public.

2a. 정보태그 태깅시 정보태그(RFID 태그와 광코드)에 기록된 약속된 데이터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체계적으로 자동 저장하며, 차후 검색/열람하여 서브정보별로 통화연결하거나 웹접속을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제공한다.2a. Automatically systematically save the promised data recorded in the information tag (RFID tag and optical code) in the user device when tagging the information tag, and then create an applica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each sub information or connected to the web by searching and reading it later. to provide.

2b. 정보태그 태깅시 정보태그(RFID 태그와 광코드)에 기록된 약속된 데이터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체계적으로 자동 저장하며, 동시에 웹접속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제공한다.2b. When tagging information tag, it automatically saves the promised data recorded in the information tag (RFID tag and optical code) in the user device systematically and manufactures and provides an application that can access the web at the same time.

다양한 대상체의 정보태그에 기록된 약속된 데이타(이름 또는 사명, 휴대폰번호, 유선전화번호, 인터넷전화번호, 주소, SNS접속 URL 및 ID, 메신저/카카오톡접속 URL 및 ID, 웹사이트 URL, G메일접속 URL 및 ID, 사진, 메모, 저장일시 등)를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체계적으로 자동 저장과 검색/열람이 가능하고, 열람된 개별정보별로 통화연결하거나 웹접속을 할 수 있어, 기업에 있어서는 마케팅 효율이 증대 되고 개인 사용자는 태그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Promised data recorded in information tags of various objects (name or company name, mobile phone number, landline phone number, internet phone number, address, SNS connection URL and ID, messenger / KakaoTalk access URL and ID, website URL, G-mail) Access URL, ID, photo, memo, and date and time of storage) can be automatically saved and searched / viewed on the user's device. The augmented and personal user can store tag information on the user device.

이는 종래에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단순히 웹에 연결하는 수준을 뛰어 넘어 사용자 디바이스에 태그 정보를 저장한 후 검색/열람과 통화/접속이 가능한 것으로, 태그정보를 소중한 정보통신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This is more than simply connecting to the web using tag information in the past, the tag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the user device after being searched / viewed and talked / accessed, and the tag information can be utilized as valu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resources.

도 1: 다양한 대상체에 구비되는 정보태그
도 2: 정보태그를 구비한 명함의 예
도 3: 정보태그를 구비한 신문의 예
도 4: 정보태그를 구비한 행사카드 및 봉투의 예
도 5: 정보태그를 구비한 쇼핑백,스티커,라벨의 예
도 6: 정보태그를 구비한 달력의 예
도 7: 정보태그를 구비한 도서,잡지,홍보책자의 예
도 8: 정보태그를 구비한 증명서,인증서,보증서의 예
도 9: 정보태그를 구비한 다양한 포장재의 예
도 10: 정보태그를 구비한 다양한 판촉물의 예
도 11: 정보태그를 구비한 티켓,영수증의 예
도 12: 정보태그를 구비한 도로/건물 표지판의 예
도 13: 정보태그를 구비되는 다양한 광고/안내 사인물의 예
도 14: 태그정보의 저장/열람/접속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초기화면에서 모드 선택하기
도 15: 태그정보의 저장/열람/접속 어플리케이션-
태그정보 자동기록 및 저장단계
도 16: 태그정보의 저장/열람/접속 어플리케이션-
태그정보 검색단계
도 17: 태그정보의 저장/열람/접속 어플리케이션-
태그정보 열람 및 선택단계
도 18: 태그정보의 저장/열람/접속 어플리케이션-
태그정보별 연결/접속단계
도 19: 태그정보의 저장/열람/접속 시스템
도 20: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디바이스
1: Information tag provided to various objects
Fig. 2: Example of a business card with an information tag
Figure 3: Example of a newspaper with an information tag
Figure 4: Example of Event Card and Envelope with Information Tag
5: Example of shopping bag, sticker, label with information tag
Figure 6: Example of a calendar with an information tag
Figure 7: Examples of books, magazines, and promotional booklets with information tags
8: Example of certificate, certificate, warranty with information tag
9: Examples of various packaging materials with information tags
10: Examples of various promotional items with information tags
11: An example of a ticket and a receipt with an information tag
12: Example of road / building sign with information tag
13: Examples of various advertisement / guide signs with information tags
14: Store / View / Access Application of Tag Information
Selecting a mode on the application home screen
15: Store / View / Connect Application of Tag Information-
Tag information automatic recording and saving step
Fig. 16: Store / view / access application of tag information
Tag information search step
17: Store / View / Access Application of Tag Information
Tag information viewing and selection stage
18: Store / View / Access Application of Tag Information
Connection / connection step by tag information
19: Storage / Viewing / Access System of Tag Information
20: User device in which tag information storage / view / access application is installed

현대인은 수없이 다양한 대상체(명함, 신문, 행사카드, 봉투, 쇼핑백, 스티커, 라벨, 달력, 도서, 잡지, 홍보책자, 전단지, 포스터, 증명서, 인증서, 보증서, 계약서, 포장수단, 판촉물, 티켓, 영수증, 계산서, 도로 및 건물 표지판, 광고 및 안내 사인물, 호출안내판 등)에 구비된 정보태그를 접한다. Modern people have numerous objects (business cards, newspapers, event cards, envelopes, shopping bags, stickers, labels, calendars, books, magazines, brochures, flyers, posters, certificates, certificates, certificates, contracts, packaging, promotions, tickets, Receive information tags on receipts, bills, road and building signs, advertisements and signs, and call signs.

현재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RFID 태그와 광코드를 통한 웹 접속서비스는 특정 URL를 다이렉트로 연결하는 특징이 있으나, 이는 단순하게 특정 URL에 해당되는 웹사이트나 웹요소(동영상,사진,이벤트페이지 등)를 디지털 단말기의 화면에 제시시키거나 사용자가 활성화된 주소를 터치/클릭할 시 특정 웹 페이지를 연결하는 수준이다. 그러나 현대인이 접하는 정보태그인 RFID 태그와 광코드(QR코드,PDF417,이미지코드 등)에는 실로 많은 정보를 기록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이러한 소중한 태그정보를 체계적으로 저장, 검색/열람, 서브정보별로 연결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지 않음으로, 현대인은 온/오프라인에서 수 많은 정보태그를 접하고 있으나, 기업과 개인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단지 웹정보서버에 접속하는 수단에 그치고 있다.Currently, the web access service through the RFID tag and the optical code using a mobile device has a characteristic of directly connecting a specific URL, but this simply means that a website or web element (video, photo, event page, etc.) corresponding to a specific URL is directly connected. It is a level that connects a specific web page when presented on the screen of a digital terminal or when the user touches / clicks an activated address.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much information can be recorded on RFID tags and optical codes (QR code, PDF417, image code, etc.) that are encountered by modern people, such valuable tag information is systematically stored in user devices including mobile devices. Since there is no application for connecting to search / reading and sub information, modern people are exposed to many information tags on / offline, but companies and individual users are only means of accessing web information servers using them.

[도 1 내지 13]에는 정보태그인 RFID 태그와 광코드(QR코드,PDF417,이미지코드 등)가 구비되는 대상체의 예를 도식화 하였다.
1 to 13 illustrate an example of an object having an information tag, an RFID tag, and an optical code (QR code, PDF417, image code, etc.).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일상 접하는 소중한 태그정보를 다양한 디지털기기에 체계적으로 자동 저장하고 검색/열람하여 서브정보별로 전화연결하거나 온라인에 접속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에 업그레이드로 설치운영이 가능한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 어플리케이션으로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g that can be installed and operated as an upgrade to the user device in order to provide a ser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online or online by sub-information by automatically storing and retrieving and browsing the valuable tag information that users encounter everyday on a variety of digital devices Information storage / view / access The main contents of the application are as follows.

1. 약속된 항목과 순서 및 약속된 표기로 기록된 정보태그의 배포1. Distribution of information tags recorded in promised items and order and promised notation.

종래의 정보태그에도 일반적으로 웹사이트 또는 웹요소 URL, 전화번호 등이 기록되어 일반에 배포되어 제공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종래의 정보태그를 태깅하여 다이렉트로 웹접속하거나 콜센타에 콜링할 수 있다.In general, the information tag is recorded on the website or web element URL, telephone number, etc. and distributed to the public. Of course,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ag a conventional information tag by direct web access or call to the call center.

그러나 기왕에 제공되는 정보태그를 폭 넓게 사용하고, 사용자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정보태그를 데이타를 분석하여 체계적 저장을 하기에 유리하도록, 정보태그에 기록되는 데이타(이름 또는 사명, 휴대폰번호, 유선전화번호, 인터넷전화번호, 주소, SNS접속 URL 및 ID, 메신저/카카오톡접속 URL 및 ID, 웹사이트 URL, G메일접속 URL 및 ID, 사진, 메모, 저장일시 등)를 약속된 항목과 순서 및 약속된 표기로 제공함이 옳다.However, the data recorded in the information tag (name or company name, mobile phone number, wired telephone) is widely used to make wide use of the information tag provided in the past, and it is advantageous for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device to analyze the data tag and store it systematically. Number, internet phone number, address, SNS access URL and ID, messenger / KakaoTalk access URL and ID, website URL, Gmail access URL and ID, photo, memo, date and time) It is correct to provide in written notation.

이러한 정보태그를 다양한 대상체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RFID 태그와 광코드 기록용 어플리케션이 제공되거나, 종래에 제공되는 RFID 태그와 광코드 기록용 어플리케션을 일부 보완하여 본 발명과 같이 약속된 항목과 순서 및 약속된 표기를 정하여 기록함으로 해결할 수 있다.
In order to apply such an information tag to various objects, a separate RFID tag and an optical code recording application are provided, or a part of the conventionally provided RFID tag and the optical code recording application is supplemented, and the items promis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solved by recording the order and promised notations.

2.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2. Tag information storage, reading and connection 어플리케이션의 특징Application features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 태블릿PC,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TV, 네비게이션, 기타의 디지털단말기 제조업자가 기본적으로 탑재하여 출시하거나, 앱스토어(또는 슈퍼 앱스토어)와 웹 페이지에 게재되어 사용자가 유무선 통신으로 사용자 디지털 단말기에 다운로드 하여, 실행파일이 자동설치되거나 실행파일을 수동설치하여 사용하며, 디지털 단말기의 펌웨어/ 운영프로그램(OS)/ 웹브라우저/ 화면크기 등에 알맞게 사용되도록 기종별로 제공하거나, 범용으로 호환사용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Application for storing / reading / accessing tag information is basically released by manufacturers of smart phones, tablet PCs, computers, laptops, smart TVs, navigation, and other digital terminal devices, or in app stores (or super app stores) and web pages. Posted and downloaded to the user's digital terminal b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executable file is automatically installed or the executable file is manually installed and used, and suitable for the digital terminal's firmware / operating program (OS) / web browser / screen size Provided separately or provided for universal use.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 어플리케이션 사용자는 [도 14]와 같이, ON상태의 어플리케이션 초기화면에서, 정보태그(RFID 태그와 광코드)를 태깅하여 다이렉트로 직접 웹 접속할 것인지, 정보태그를 태깅하여 태그데이타를 자동 저장시키며 동시에 웹페이지를 자동접속할 것인지, 정보태그를 태깅하여 태그데이타를 저장한 후 향후 검색열람하여 통화하거나 온라인 접속할 것인지, 이전에 저장한 태그별 정보를 검색 열람하여 통화하거나 온라인에 연결 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user of the application for storing / viewing / accessing tag informa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eb by tagging the information tag (RFID tag and optical code) on the application initial screen in the ON state as shown in FIG. Automatically save tag data and automatically access web pages at the same time, tag information tags to save tag data, and call or go online for future search, or search and view information by tag previously stored You can choose whether to connect.

3.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3. Tag information storage, reading and connection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및 동작Applicatio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가.어플리케이션 초기화면(201)의 구성 및 동작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initial screen 201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 어플리케이션의 ON상태 최초 화면은 [도 14]의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모드 선택화면(201)과 같이, A.다이렉트 웹접속모드, B.태그정보 자동저장 및 웹페이지 자동접속모드, C.태그정보 저장모드, D.태그정보 검색모드와 X 버튼(어프리케이션에서 나가기)으로 구성 포맷되며,Tag information storage / reading / access The initial screen of the ON state is similar to the initial mode selection screen 201 of the application shown in FIG. 14, such as A. Direct web connection mode, B. Tag information auto save and Web page auto connection mode, C. Tag information save mode, D It consists of tag information search mode and X button (exit application).

A.다이렉트 웹접속모드는, [도 15]의 (202)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이 종래의 정보태그와 본 발명 개념의 정보태그를 태깅하여, 정보태그(RFID 태그와 광코드)에 기록된 정보중 첫번째로 기록된 웹사이트나 웹요소 URL에 다이렉트로 온라인 접속을 수행한다. 이때 웹사이트나 웹요소 URL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저장부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는다.A. In the direct web connection mode, as shown in (202) of FIG. 15, the application tags the conventional information tag and the information tag of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mong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information tag (RFID tag and optical code). First of all, it makes direct online access to the recorded website or web element URL. In this case, the website or the web element URL is not stored in the storage memory of the user device.

B.태그정보 자동저장 및 웹페이지 자동접속모드는, [도 15]의 (203)과 같이, 정보태그를 태깅시, 정보태그(RFID 태그와 광코드)에 기록된 데이터가 사용자 디바이스 저장부 메모리에 체계적으로 자동 저장되며, 동시에 정보태그에 기록된 정보중 첫번째로 기록된 웹사이트나 웹요소 URL에 온라인 접속을 수행한다.B. In the tag information automatic storage and web page automatic connection mode, the data recorded in the information tag (RFID tag and optical code) is stored in the user device storage unit memory when the information tag is tagged as shown in (203) of FIG. The system automatically stores the data at the same time, and performs online access to the first recorded website or web element URL among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information tag.

C.태그정보 저장모드는, [도 15]의 태그정보 자동기록 및 저장단계(204)와 같이, 정보태그를 태깅하여 정보태그(RFID 태그와 광코드)에 기록된 데이터가 사용자 디바이스 화면에 자동으로 항목별로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는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저장버튼과 취소버튼을 사용하여 태깅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저장을 취소할 수 있다.C. In the tag information storage mode, as in the tag information automatic recording and storing step 204 of FIG. 15, data recorded in an information tag (RFID tag and optical code)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screen by tagging the information tag. It is displayed by item, and the user can save or cancel the tagged information by using the save button and the cancel button displayed on the device.

D.태그정보 검색모드는, [도 16]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모드 선택화면(201)에서 태그정보 검색모드(D)를 선택하거나 태그정보 자동기록 및 저장단계(204) 화면에서 검색버튼을 선택하여 검색모드에 진입하며, 검색모드는 이전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D. In the tag information search mode, as shown in FIG. 16, the tag information search mode D is selected on the initial mode selection screen 201 of the application, or the search button is selected on the tag information automatic recording and storage step 204 screen. The search mode is entered, and the search mode can search previously stored tag information.

나.어플리케이션 태그정보 자동 기록 및 저장단계(204) 화면 구성 및 동작B. Scree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pplication tag information automatic recording and storage step 204

A.[도 15]와 같이 태그정보 자동 기록 및 저장단계 (204)의 화면은, 상단으로 부터 이름/사명, 휴대폰번호, 유선전화번호1, 유선전화번호2, 인터넷전화번호, 주소, SNS접속 URL 및 ID-1, SNS접속 URL 및 ID-2, 메신저/카카오톡접속 URL 및 ID, 웹사이트 URL, G메일접속 URL 및 ID, 저장일시로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사진, 메모 등의 정보와 하단에 저장, 취소, 초기, 검색 버튼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포맷(format)된다. A. As shown in FIG. 15, the screen of the automatic tag information recording and storing step 204 includes a name / person name, a mobile phone number, a landline phone number 1, a landline phone number 2, an Internet phone number, an address, an SNS connection URL, and a URL from the top. ID-1, SNS access URL and ID-2, messenger / KakaoTalk access URL and ID, website URL, G-mail access URL and ID, and the date and time of storage. The Cancel, Initial, and Search buttons are formatted to be displayed.

B.사용자 디바이스를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 어플리케이션의 ON상태로 하여 [도 15]의 어플리케이션 초기 모드선택 화면(201)에서 태그정보 저장모드(C)를 선택하여 정보태그를 태깅할시, 정보태그(RFID 태그와 광코드)에 기록된 데이터가 사용자 디바이스 화면에 자동으로 항목별로 디스플레이된다.B. Save the user's device tag information When tagging the information tag by selecting the tag information storage mode (C) on the application initial mode selection screen 201 of FIG. 15 with the state turned ON, the data recorded in the information tag (RFID tag and optical code) is used. The items are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device screen.

C.사용자는 태그정보 자동 기록 및 저장단계 (204)의 화면 하단에 배치된 저장버튼과 취소버튼을 이용하여, 현재 태깅되어 보여지는 태그정보를 디바이스의 저장부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저장을 취소할 수 있다. 저장과 취소시 화면은 초기화 된다.C. The user can save or cancel the tag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in the storage memory of the device by using the save button and the cancel button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n the tag information automatic recording and storage step 204. have. The screen is initialized when saving or canceling.

D.사용자는 태그정보 자동 기록 및 저장단계 (204)의 화면 하단에 배치된 초기화버튼과 검색버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초기화면으로 전환 할 수도 있고, 검색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D. The user may switch the application to the initial screen or the search mode by using the initialization button and the search button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n the automatic tag information recording and storage step 204.

다.어플리케이션 태그정보 검색단계(205) 화면 구성 및 동작Application tag information search step (205) scree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태그정보 검색단계 화면은 [도 16]의 태그정보 검색단계(205) 화면과 같이 상부에 문자기록창과 검색하기 버튼과 중앙부에 문자판이 배치되고, 하부에 검색취소 버튼, 찾아보기 버튼, 초기화면 버튼이 배치되도록 포맷 된다. A. In the tag information search step screen, as shown in the tag information search step 205 screen of FIG. Is formatted to be placed.

B.사용자는 상부 문자기록창에, 태그별 항목정보를 중앙부 문자판을 이용하여 한글, 영문, 숫자로 검색하거나, 하부의 찾아보기 버튼을 이용하여 숫자, 한글, 알파벳 순으로 나열되는 태그별 정보를 선택하여 검색할 수 있다.B. The user can search for item information by tag in Korean, English, and numbers using the central dial, or use the browse button at the bottom to display information by tag, which is listed in numerical, Korean, and alphabetical order. You can select and search.

C.사용자는 태그정보 검색단계 (205)의 화면 하단에 배치된 검색취소 버튼과 초기화면 버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초기화면으로 전환 할 수 있다.C. The user may switch the application to the initial screen by using the cancel search button and the initial screen button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of the tag information retrieval step 205.

라.어플리케이션 태그정보 열람 및 선택단계(206) 화면 구성 및 동작D. View and Select Application Tag Information (206) Scree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태그정보 열람 및 선택단계 화면은 [도 17]의 태그정보 열람 및 선택단계(206) 화면과 같이, 상단으로 부터 이름/사명, 휴대폰번호, 유선전화번호1, 유선전화번호2, 인터넷전화번호, 주소, SNS접속 URL 및 ID-1, SNS접속 URL 및 ID-2, 메신저/카카오톡접속 URL 및 ID, 웹사이트 URL, G메일접속 URL 및 ID, 저장일시 항목으로 검색된 태그별 정보가 나열되며, 사진, 메모 등의 정보항목을 추가적으로 나열되도록 포맷 할 수도 있으며, 하단에 초기화면 버튼과 재검색 버튼이 배치되고, 우측에 항목별로 통화연결 버튼과 온라인접속 버튼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포맷(format)된다. A. Tag information viewing and selection stage As shown in the tag information viewing and selection step 206 screen of FIG. 17, the screen displays the name / person name, mobile phone number, landline telephone number 1, landline telephone number 2, Internet telephone number, address, SNS connection URL, and the like. ID-1, SNS access URL and ID-2, messenger / kakaotalk access URL and ID, website URL, GMail access URL and ID, information by tag searched by storage date and time are listed, and information such as photos and memos. The items may be formatted to be additionally listed. The initial screen button and the rescan button are disposed at the bottom, and the call connection button and the online connection button are displayed for each item on the right side.

B.사용자는 태그정보 열람 및 선택단계(206) 화면 우측에 항목별로 배치된 통화연결 버튼과 온라인접속 버튼을 선택하여 유무선 전화 연결을 시도하거나, 온라인 접속을 한다.B. The user selects a call connection button and an online connection button arranged for each item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of tag information viewing and selection step 206 to attempt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connection or to make an online connection.

C.사용자는 태그정보 열람 및 선택단계(206) 화면 하단에 배치된 초기화면 버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초기화면으로 전환 할 수 있다.C. The user may switch the application to the initial screen by using the initial screen button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for tag information viewing and selection step 206.

D.사용자는 태그정보 열람 및 선택단계(206) 화면 하단에 배치된 재검색 버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태그정보 검색단계(205)로 전환 할 수 있다.D. The user may switch the application to the tag information retrieval step 205 by using the rescan button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마.검색된 태그정보별 연결/선택 단계(207)E. Connection / Selection Step by Searched Tag Information (207)

검색된 태그정보별 연결/선택 단계는 [도 18]의 태그정보별 연결/선택 단계(207)와 같이, The connection / selection step for the retrieved tag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e connection / selection step for each tag information 207 of FIG. 18.

A.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휴대폰번호, 유선전화번호1, 유선전화번호2, 인터넷전화번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대방 통화장치에 연결을 시도되도록 프로그램화된다.A. The user selects one of the mobile phone number, landline phone number 1, landline phone number 2, and Internet phone number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device is programmed to attempt to connect to the other party's call device.

B.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SNS접속 URL 및 ID-1, SNS접속 URL 및 ID-2, 메신저/카카오톡접속 URL 및 ID, 웹사이트 URL, G메일접속 URL 및 ID 중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대방 서버나 공중이용 서버에 온라인 접속되도록 프로그램화된다. 이때 서버가 전송하여 화면에 제시하는 접속창에 가급적 목표 ID가 표시 되도록 한다.B. The user device selects one of SNS connection URL and ID-1, SNS connection URL and ID-2, messenger / kakaotalk connection URL and ID, website URL, GMail connection URL and ID displayed on the screen. Is programmed to connect to the other server or public server online. At this time, the target ID should be displayed on the connection window transmitted by the server and presented on the screen.

C.사용자는 태그정보별 연결/선택 단계(207) 화면 하단에 배치된 초기화면 버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초기화면으로 전환 할 수 있다.C. The user may switch the application to the initial screen by using the initial screen button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 selection step 207 for each tag information.

D.사용자는 태그정보별 연결/선택 단계(207) 화면 하단에 배치된 재검색 버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태그정보 검색단계(205)로 전환 할 수 있다.
D. The user may switch the application to the tag information search step 205 by using the re-search button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for connecting / selecting the tag information step 207.

[도 19]는 태그정보의 저장/열람/접속 시스템을 도식화 하였으며, 종래의 태그 태깅시스템(RFID 태그와 광코드를 이용한 인증 및 정보제공 시스템)과 동일하며,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 어플리케이션(200)이 설치되어야 한다.FIG.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orage / reading / access system of tag information, the same as a conventional tag tagging system (authentication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n RFID tag and an optical code), and storing tag information in a user device 300. , Read, access application 200 should be installed.

[도 20]은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도식화 하였으며, 본 발명의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 어플리케이션(200)이 설치될 수 있는 디지털기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TV, 네비게이션 등이다.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device 300 in which tag information storage / reading / access applications are installed, and digital devices in which the tag information storage, viewing and connection application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clude a mobile phone, Smartphones, tablet PCs, computers, laptops, smart TVs and navigation.

100:광코드 또는 RFID TAG,
200:태그정보의 저장/열람/접속 어플리케이션,
201:어플리케이션 초기 모드 선택화면,
202:다이렉트 웹페이지 또는 웹요소 접속 화면,
203:태그정보 자동저장후 웹페이지 자동접속 화면,
204:태그정보 자동기록 및 저장단계 화면,
205:태그정보 검색단계 화면,
206:태그정보 열람 및 선택단계 화면,
207:태그정보별 연결/접속단계,
300:사용자 디바이스,
400:정보제공 서버,
A:다이렉트 웹접속 모드,
B:태그정보 자동저장 및 웹페이지 자동접속모드,
C:태그정보 저장모드,
D:태그정보 검색모드,
100: optical code or RFID TAG,
200: store / view / access application of tag information,
201: Application initial mode selection screen,
202: direct web page or web element access screen,
203: Automatically save web page after tag information is saved,
204: Tag information auto recording and storage step screen,
205: tag information search step screen,
206: Tag information viewing and selection step screen,
207: connection / connection step by tag information,
300: user device,
400: information server,
A: Direct web connection mode,
B: Tag information auto save and web page auto access mode,
C: Tag information storage mode,
D: Tag information search mode,

Claims (5)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모드 선택화면(201)은,
A.다이렉트 웹접속모드, B.태그정보 자동저장 및 웹페이지 자동접속모드, C.태그정보 저장모드, D.태그정보 검색모드와 X 버튼(어프리케이션에서 나가기)으로 구성 포맷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 어플리케이션.
Tag information storage, viewing, and connection applications,
The initial mode selection screen 201 of the application,
A. Direct web access mode, B. Tag information auto save and web page auto access mode, C. Tag information save mode, D. Tag information search mode and X button (Exit from the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at Application for storing, viewing and accessing tag information.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 어플리케이션으로,
태그정보 자동 기록 및 저장단계 (204) 화면은,
A.상단으로 부터 이름 또는 사명, 휴대폰번호, 유선전화번호1, 유선전화번호2, 인터넷전화번호, 주소, SNS접속 URL 및 ID-1, SNS접속 URL 및 ID-2, 카카오톡접속 URL 및 ID, 웹사이트 URL, G메일접속 URL 및 ID, 저장일시, 사진, 메모 정보 항목으로 구성되고, 하단에 저장, 취소, 초기, 검색 버튼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포맷(format)되며,
B.사용자 디바이스를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 어플리케이션의 ON상태로 하여 어플리케이션 초기 모드선택 화면(201)에서 태그정보 저장모드(C)를 선택하여 정보태그를 태깅할시, 정보태그(RFID 태그와 광코드)에 기록된 데이터가 사용자 디바이스 화면에 자동으로 항목별로 디스플레이 되며,
C.사용자는 태그정보 자동 기록 및 저장단계 (204) 화면 하단에 배치된 저장버튼과 취소버튼을 이용하여, 현재 태깅되어 보여지는 태그정보를 디바이스의 저장부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저장을 취소할 수 있고, 저장과 취소시 화면은 초기화 되며,
D.사용자는 태그정보 자동 기록 및 저장단계 (204)의 화면 하단에 배치된 초기화버튼과 검색버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초기화면으로 전환 할 수도 있고, 검색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 어플리케이션.
Tag information storage, viewing, and connection applications,
Automatic tag information recording and storage step (204) screen,
A. Name or company name from the top, mobile phone number, landline phone number 1, landline phone number 2, Internet phone number, address, SNS access URL and ID-1, SNS access URL and ID-2, KakaoTalk access URL and ID , Website URL, GMail access URL and ID, storage date, photo, memo information items, and at the bottom is formatted to display the Save, Cancel, Initial, Search buttons,
B. Save and view tag information of user device When tagging the information tag by selecting the tag information storage mode (C) on the application initial mode selection screen 201 in the ON state, the data recorded in the information tag (RFID tag and optical code)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screen. Displayed by item,
C. The user can automatically save or cancel the tag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in the storage memory of the device by using the save button and the cancel button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f you save or cancel, the screen will be reset.
D. The user can switch the application to the initial screen or the search mode by using the initialization button and the search button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n the automatic tag information recording and storage step 204, characterized in that the tag can be switched to the search mode Application for storing, reading and accessing information.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 어플리케이션으로,
태그정보 검색단계(205) 화면은,
A.상부에 문자기록창과 검색하기 버튼과 중앙부에 문자판이 배치되고, 하부에 검색취소 버튼, 찾아보기 버튼, 초기화면 버튼이 배치되도록 포맷 되며,
B.사용자는 상부 문자기록창에, 태그별 항목정보를 중앙부 문자판을 이용하여 한글, 영문, 숫자로 검색하거나, 하부의 찾아보기 버튼을 이용하여 숫자, 한글, 알파벳 순으로 나열되는 태그별 정보를 선택하여 검색할 수 있으며,
C.사용자는 태그정보 검색단계 (205)의 화면 하단에 배치된 검색취소 버튼과 초기화면 버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초기화면으로 전환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 어플리케이션.
Tag information storage, viewing, and connection applications,
Tag information search step 205 screen,
A. The text record window and search button at the top and the letter board are arranged at the center, and the search cancel button, the browse button, and the initial screen button are arranged at the bottom.
B. The user can search for item information by tag in Korean, English, and numbers using the central dial, or use the browse button at the bottom to display information by tag, which is listed in numerical, Korean, and alphabetical order. You can choose to search.
C. The application for storing, viewing and accessing tag information, wherein the user can switch the application to the initial screen by using the cancel search button and the initial screen button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n the tag information retrieval step 205.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 어플리케이션으로,
태그정보 열람 및 선택단계(206) 화면은,
A.상단으로 부터 이름/사명, 휴대폰번호, 유선전화번호1, 유선전화번호2, 인터넷전화번호, 주소, SNS접속 URL 및 ID-1, SNS접속 URL 및 ID-2, 메신저/카카오톡접속 URL 및 ID, 웹사이트 URL, G메일접속 URL 및 ID, 저장일시, 사진, 메모 항목으로 검색된 태그별 정보가 나열되며, 하단에 초기화면 버튼과 재검색 버튼이 배치되고, 우측에 항목별로 통화연결 버튼과 온라인접속 버튼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포맷(format)되며,
B.사용자는 태그정보 열람 및 선택단계(206) 화면 우측에 항목별로 배치된 통화연결 버튼과 온라인접속 버튼을 선택하여 유무선 전화 연결을 시도하거나, 온라인 접속을 하며,
C.사용자는 태그정보 열람 및 선택단계(206) 화면 하단에 배치된 초기화면 버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초기화면으로 전환 할 수 있으며,
D.사용자는 태그정보 열람 및 선택단계(206) 화면 하단에 배치된 재검색 버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태그정보 검색단계(205)로 전환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 어플리케이션.
Tag information storage, viewing, and connection applications,
Tag information viewing and selection step 206 screen,
A. From the top name / company name, mobile phone number, landline phone number 1, landline phone number 2, Internet phone number, address, SNS access URL and ID-1, SNS access URL and ID-2, messenger / KakaoTalk access URL and ID , The information of each tag searched by the website URL, GMail access URL and ID, storage date, photo, and memo items are listed, and the initial screen button and rescan button are arranged at the bottom, and the call connection button and online connection by item on the right side. The button is formatted to display
B. The user attempts to connect the wired / wireless telephone or make an online connection by selecting the call connection button and the online connection button arranged for each item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for viewing and selecting tag information.
C. The user can switch the application to the initial screen by using the initial screen butt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o view and select the tag information step 206.
D. The user can switch the application to the tag information retrieval step 205 by using the rescan button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 어플리케이션으로,
태그정보별 연결/선택 단계(207)는,
A.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휴대폰번호, 유선전화번호1, 유선전화번호2, 인터넷전화번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대방 통화장치에 연결을 시도되도록 프로그램화 되며,
B.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SNS접속 URL 및 ID-1, SNS접속 URL 및 ID-2, 메신저/카카오톡접속 URL 및 ID, 웹사이트 URL, G메일접속 URL 및 ID 중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대방 서버나 공중이용 서버에 온라인 접속되도록 프로그램화 되며,
C.사용자는 태그정보별 연결/선택 단계(207) 화면 하단에 배치된 초기화면 버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초기화면으로 전환 할 수 있으며,
D.사용자는 태그정보별 연결/선택 단계(207) 화면 하단에 배치된 재검색 버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태그정보 검색단계(205)로 전환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정보 저장,열람,접속용 어플리케이션.
Tag information storage, viewing, and connection applications,
The connection / selection step 207 for each tag information may include:
A. The user selects one of the mobile phone number, landline phone number 1, landline phone number 2 and internet phone number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device is programmed to try to connect to the other party's call device.
B. The user device selects one of SNS connection URL and ID-1, SNS connection URL and ID-2, messenger / kakaotalk connection URL and ID, website URL, GMail connection URL and ID displayed on the screen. Is programmed to be online to the other server or public server,
C. The user can switch the application to the initial screen by using the initial screen button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for connection / selection step 207 for each tag information.
D. The user can switch the application to the tag information search step 205 using the rescan button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for connection / selection step 207 for each tag information. application.
KR1020110108405A 2011-10-22 2011-10-22 Save and reading method of tag data on digital device KR201300441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405A KR20130044108A (en) 2011-10-22 2011-10-22 Save and reading method of tag data on digit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405A KR20130044108A (en) 2011-10-22 2011-10-22 Save and reading method of tag data on digita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108A true KR20130044108A (en) 2013-05-02

Family

ID=48656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405A KR20130044108A (en) 2011-10-22 2011-10-22 Save and reading method of tag data on digita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410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1949A (en) * 2021-04-07 2021-06-04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label inter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1949A (en) * 2021-04-07 2021-06-04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label inte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7786B2 (en) Codeless QR code
US20120168493A1 (en) Matrix Barcode System
US20140164193A1 (en) Electronic receipt system, commodity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electronic receipt management server and method
US200701623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ieving remote data based on local indicia
US20100075602A1 (e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ating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by means of active advertisements in portable information transceivers
US201202180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printed media based on radio frequency memory tag detection
JP41066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10101085A1 (en) Remote code reader system, local code reader, host computer, advertisement support method, inpu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CN101414307A (en)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picture searching
US20070239848A1 (en) Uniform resource locator vectors
US20070106618A1 (en) Wireless-linked online transaction system for portabl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US20110226850A1 (en) Online barcode directory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utilizing the same
US20150356616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implemented in a mobile computing device that displays alternate images to communicate a product purchase or a product promotion to a user of the mobile computing device
KR102110723B1 (en) System for managing big data material information based on swatch automatic recognition
JP2001273226A (en) Device and method for linking materiality with network service
KR20130007506A (en) Information provide method and business transaction system of object take data record tag
US20070182826A1 (en) Data access, resolution, and delivery method through the use of multi-bit digital icons
JP2017033157A (en) Commodity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commodity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terminal, application program, and management server
JP2002150142A (en) Commodity sales system and advertising medium used in the system
US95697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system
KR20120093466A (en) Online information provide method and book have search information code and data record tag
JP2003150488A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dium
KR20130044108A (en) Save and reading method of tag data on digital device
JP4121818B2 (en) Individual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11182658B1 (en) Machine-readable code rendering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