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893A - 탬퍼 - Google Patents

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893A
KR20130037893A KR1020110102408A KR20110102408A KR20130037893A KR 20130037893 A KR20130037893 A KR 20130037893A KR 1020110102408 A KR1020110102408 A KR 1020110102408A KR 20110102408 A KR20110102408 A KR 20110102408A KR 20130037893 A KR20130037893 A KR 20130037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mper
pressing
recognition sound
handl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래
박종한
Original Assignee
조성래
박종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래, 박종한 filed Critical 조성래
Priority to KR102011010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7893A/ko
Publication of KR20130037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사용자가 항상 일정한 압력을 인식하면서 탬핑(tamping)을 실시할 수 있는 탬퍼에 관한 것으로, 안쪽으로 홈이 형성된 하우징 기능을 갖는 손잡이부, 포터 필터에 담긴 커피 가루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손잡이부와 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지지부 및 상기 가압부에서의 가압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도록 인식음을 발생하는 인식음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탬퍼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인식음 발생 수단을 통해 포터 필터에 최적의 압력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맛과 향기를 구비한 에스프레소 커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탬퍼{tamper}
본 발명은 에스프레소 커피를 만드는 도구 중 하나인 탬퍼(tamp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항상 일정한 압력을 인식하면서 탬핑(tamping)을 실시할 수 있는 탬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스프레소 커피는 전용 에스프레소 기계를 통한 작업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는 100년에 가까운 에스프레소 커피의 역사를 통해 재료 및 공정상의 여러 조건이 표준화(입자크기 0.4㎜, 1 회분 무게 8g, 프렌치 로스트 정도의 볶음 정도, 탬핑시 압착 무게 20kg, 추출시 수압 9기압)된 까닭이다.
가정용으로 쓰이는 에스프레소 추출 기계는 커피 원두를 넣어주기만 하면 자동으로 에스프레소 커피가 추출되는 완전 자동식이 많으나,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기계는 대부분 반자동식으로서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만이 기계의 힘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뿐, 커피를 분쇄하여 커피가루를 바스켓에 담아 다진 후 기계에 장착하는 과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즉,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은 크게는 커피를 분쇄하는 과정과 분쇄된 커피가루를 바스켓에 담아 다지는 과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전자인 커피를 분쇄하여 입자로 만드는 과정은 전용 전동 분쇄기를 통하면 해결되므로 비교적 간편하고 편차 또한 적게 나타난다.
그러나 바스켓에 분쇄된 커피를 다지는 탬핑 과정은 그 과정 자체가 추출 결과물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는 맛과 향은 물론 '크레마' 라고 불리는 거품층 형성에 있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에서 보면 매우 중요한 과정임에도 불구, 인간이 직접 다져주어야 하는 수작업으로서, 개인에 따라서 편차가 있음은 물론, 동일한 작업자라도 작업자의 신체 상황에 따라 편차가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즉 탬핑을 약하게 하면 빨리 투과되고 세게 하면 천천히 투과되어 더 진한 맛이 추출된다
이러한 탬핑을 하기 위해서는 탬퍼(tamper)가 사용된다.
탬퍼의 종류는 그라인더에 부착되어 있는 탬퍼와 스테인리스 탬퍼, 알루미늄 탬퍼, 플라스틱 탬퍼 등이 있다. 스테인리스 탬퍼는 무거운 편이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탬핑할 수 있는 반면, 알루미늄 탬퍼는 자기 스스로 탬핑하는 힘을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반면에 플라스틱 탬퍼는 주로 수평을 맞추기 위해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탬퍼는 손잡이와 손잡이의 하단에 고정된 가압부로 구분되며, 가압부의 평편한 바닥면으로 바스켓에 담긴 커피 가루를 가압하여 다진다.
여기에서 커피 가루를 다지는 압력은 10kgf/cm2 내지 30kgf/cm2 정도가 적당하며, 탬핑 시의 압력은 커피의 맛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건들 중 하나이다
그러나, 커피를 전문적으로 만드는 '바리스타'들에게 있어 탬핑 시의 가압력은 각자의 기술 중 하나로서, 일반인이 양질의 에스프레소 커피를 만들 수 있을 정도의 적절한 가압력을 익힌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 1 및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탬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탬퍼(100)는 안쪽으로 홈(111)이 형성된 하우징 기능을 갖는 손잡이(110), 상기 손잡이(110)의 홈(111) 입구에 위치하는 가압부(130), 상기 홈(111)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압부(130)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인 코일스프링(120) 및 상기 가압부(130)의 외측에서 상기 홈(111)의 안쪽으로 관통해 상기 코일스프링(120)을 홈(111)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압력조절나사(140)로 구성된다.
손잡이(110)는 그 바닥면에 손잡이(110)의 길이방향으로 홈(111)이 형성되며, 홈(111)의 안쪽에는 암나사부(113)가 손잡이(110)를 관통해 손잡이(110)의 상단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며, 손잡이(110)의 바닥에 고정된 스토퍼(150)는 평판 구조로서 그 중심에는 상기 홈(1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중공(151)이 형성된다.
한편, 가압부(130)의 상단에는 상기 코일스프링(120)의 탄성력을 받을 수 있게 가압편(131)이 고정되며, 가압편(131)에 코일스프링(120)의 하단이 접해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코일스프링(120)이 제공하는 탄성력만큼의 압력으로 커피 가루를 다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을 사용하여도 일반인은 그 스프링의 압력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므로 지속적인 압력을 가하여 원하는 맛이나 향을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압력계 포터필터를 사용하는 구조가 시판되고 있지만, 이러한 압력계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매우 조심스럽게 조작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탬퍼는 에스프레소 커피 제조 작업을 전문적으로 하는 바리스타에게는 유효할 수 있어도, 일반인이 적정압력을 인식할 수 없어 그다지 효과가 없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440510호(2008.06.10 등록) 대한민국특허 공개공보 제2006-0084961호(2006.07.26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반 사용자라도 원하는 압력으로 포터필터에 담긴 커피 가루를 다질 수 있는 탬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탬핑의 작업시 인가되는 압력을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탬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탬퍼는 안쪽으로 홈이 형성된 하우징 기능을 갖는 손잡이부, 포터 필터에 담긴 커피 가루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손잡이부와 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지지부 및 상기 가압부에서의 가압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도록 인식음을 발생하는 는 인식음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탬퍼에 있어서, 상기 인식음 발생 수단은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 홈의 상부에 마련된 'く'자형 꺾쇠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마련된 돌기가 상기 꺾쇠에 맞닿을 때 인식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탬퍼에 있어서, 상기 인식음 발생 수단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 홈의 상부에 마련된 로드 셀, 상기 로드 셀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인식음을 발생하는 전자 회로부 및 상기 로드셀에 사용자가 인가한 압력을 전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탬퍼에 있어서, 상기 전자 회로부는 소정의 인식음을 발생하는 스피커, 미리 설정된 압력 값과 상기 로드 셀에서 측정된 압력 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 값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스피커, 제어부와 로드 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탬퍼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탬퍼에 의하면, 사용자는 인식음 발생 수단을 통해 포터 필터에 최적의 압력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맛과 향기를 구비한 에스프레소 커피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탬퍼에 의하면, 유압계 등을 설치하는 일 없이 통상의 탬퍼와 동일한 사이즈로 미리 정해진 압력 값을 인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탬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탬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탬퍼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로드 셀과 전기회로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 2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탬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탬퍼는 안쪽으로 홈이 형성된 하우징 기능을 갖는 손잡이부(10), 포터 필터(미 도시)에 담긴 커피 가루를 가압하는 가압부(20), 상기 손잡이부(10)와 가압부(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 상기 손잡이부(10)와 상기 연결부(30)에 결합된 지지부(40) 및 상기 가압부(20)에서의 가압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도록 인식음을 발생하는 인식음 발생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인식음 발생 수단은 상기 손잡이부(10)와 연결부(30)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50) 및 상기 손잡이부(10)의 내부 홈(11)의 상부에 마련된 'く'자형 꺾쇠(14)를 구비한다.
즉, 상기 손잡이부(10)는 내부에 대략 원형의 홈(11)이 손잡이부의 거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손잡이부(10)의 하부에는 오목부(12)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2)의 둘레 부분에는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다. 또 홈(11)의 내부의 일부분에는 좌우로 이동가능한 'く'자형 꺾쇠(14)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30)의 상부에는 상기 홈(11)에 삽입되는 돌기(31)가 형성되고, 연결부(30)의 중앙 부분에는 지지턱(32)을 형성한다.
따라서, 스프링(50)은 돌기(31)의 외주에 삽입되고, 오목부(12)와 지지턱(32)에 의해 지지되며, 걸림턱(13)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스프링(50)의 주변부는 지지부(40)에 의해 보호되므로, 손잡이부(10)에 의해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이 가압부(20)에 거의 수직인 부분으로만 인가되므로 균일한 가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프링(50)은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2에 도시된 탬퍼의 사용을 위한 조립 방법 및 탬핑을 위한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지지부(40) 상에 연결부(30)을 삽입하여 지지턱(32)이 지지부(40)에 걸어 맞춤하게 하고, 스프링(50)을 돌기(31)에 삽입한다.
그 후, 손잡이부(30)를 지지부(40)에 결합한다. 이때 돌기(31)는 손잡이부(20)의 홈(11) 내에 삽입한다. 또 이러한 결합은 예를 들어, 나사 결합으로 한다.
다음에 가압부(20)를 연결부(30)에 결합한다. 이러한 결합도 나사 결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탬퍼를 조립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압력의 스프링(5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맛과 취향에 따라 상기 스프링(50)은 8kgf/cm2, 10kgf/cm2, 15kgf/cm2, 20kgf/cm2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압력에 대한 반랄력을 갖는 것으로 마련하여 교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에 의해, 사용자가 탬핑 시 손잡이부(10)를 누르면, 그 압압력은 스프링(50)을 통해 가압부(20)에 전달되어 포터 필터에 갈아진 커피에 압력을 인가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압력의 인가시 원하는 압력을 갖는 스프링(50)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돌기(31)가 상기 꺾쇠(14)와 접하면, 소리음 예를 들어 '딸깍' 의 소리음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압력임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소리를 인지함과 동시에 손잡이부(10)에 인가되는 압력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맛과 향기를 구비한 에스프레소 커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3 및 도 4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또 도 2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탬퍼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로드셀과 전기회로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탬퍼의 인식음 발생 수단은 손잡이부(10)의 내부 홈(11)의 상부에 마련된 로드 셀(60), 상기 로드 셀(60)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인식음을 발생하는 전자 회로부(51) 및 상기 로드셀에 사용자가 인가한 압력을 전달하는 스프링(62)을 구비한다. 또 상기 스프링(62)은 사용자의 압력이 인가될 때 수축하여 상기 로드셀로 압력을 전달하고, 압력의 인가가 해제되는 경우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는 판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로드 셀(60) 및 전자 회로부(61)은 상기 홈(11)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호판(63) 상에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62)은 보호판(63)의 하부에 장착된다.
또 상기 연결부(30)의 상부에는 상기 스프링(62(\)와 접촉되는 압력전달용 돌기(35)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30)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지지부(40)에 인가되는 압력에 반발력을 상기 압력 전달용 돌기로 전달하는 지지판(33)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전자 회로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인식음을 발생하는 스피커(611), 미리 설정된 압력 값과 상기 로드 셀(60)에서 측정된 압력 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 값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611)를 작동시키는 제어부(612) 및 상기 스피커(611), 제어부(612)와 로드 셀(6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13)를 구비하며, 상기 전원부(613)는 상기 원형의 홈(11)에 대응하도록 박판 형식의 소형이고 원형인 건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구조의 탬퍼의 사용을 위한 조립 방법은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탬퍼의 조립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탬핑을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612)에는 8kgf/cm2, 10kgf/cm2, 15kgf/cm2 또는 20kgf/cm2 중의 어느 하나, 예를 들어 15kgf/cm2의 압력 값을 설정해둔다.
이 후, 사용자가 탬핑 시 손잡이부(10)를 누르면, 그 압압력은 압력전달용 돌기(35)를 거쳐 스프링(62)에 인가되며, 이 스프링(62)에 인가된 힘은 로드 셀(60)에서 측정된다.
즉 로드 셀(60)은 상기 스프링(62)에 인가된 압력을 받아 압축되고, 그 압축된 변형 값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상기 제어부(612)로 전달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612)는 미리 설정된 압력 값, 예를 들어 15kgf/cm2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피커(611)를 작동시켜 인식음을 발생하게 한다.
이러한 인식음을 사용자가 인지하여 압압력을 해제하면, 스프링(611)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고, 사용자는 포터 필터를 통해 원하는 맛과 향기를 구비한 에스프레소 커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탬퍼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에스프레소 커피를 마련할 수 있다.
10 : 손잡이부
20 : 가압부
30 : 연결부
40 : 지지부
50 : 스프링

Claims (5)

  1. 안쪽으로 홈이 형성된 하우징 기능을 갖는 손잡이부,
    포터 필터에 담긴 커피 가루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손잡이부와 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지지부 및
    상기 가압부에서의 가압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도록 인식음을 발생하는 는 인식음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음 발생 수단은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 홈의 상부에 마련된 'く'자형 꺾쇠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마련된 돌기가 상기 꺾쇠에 맞닿을 때 인식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음 발생 수단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 홈의 상부에 마련된 로드 셀, 상기 로드 셀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인식음을 발생하는 전자 회로부 및 상기 로드셀에 사용자가 인가한 압력을 전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회로부는 소정의 인식음을 발생하는 스피커, 미리 설정된 압력 값과 상기 로드 셀에서 측정된 압력 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 값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스피커, 제어부와 로드 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퍼.
KR1020110102408A 2011-10-07 2011-10-07 탬퍼 KR201300378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408A KR20130037893A (ko) 2011-10-07 2011-10-07 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408A KR20130037893A (ko) 2011-10-07 2011-10-07 탬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893A true KR20130037893A (ko) 2013-04-17

Family

ID=48438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408A KR20130037893A (ko) 2011-10-07 2011-10-07 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789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732B1 (ko) 2015-05-29 2016-06-27 최경식 포터필터용 탬퍼
KR101710100B1 (ko) * 2016-08-10 2017-02-24 최선욱 레벨링 탬퍼
US20170280925A1 (en) * 2014-09-22 2017-10-05 Clockwork Espresso Ltd. Coffee tamper
KR101964564B1 (ko) * 2018-10-03 2019-04-01 이재우 커피 탬퍼
KR102042056B1 (ko) * 2019-05-31 2019-11-08 이호준 커피 탬퍼
KR102175442B1 (ko) * 2019-08-20 2020-11-06 이호준 커피 탬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80925A1 (en) * 2014-09-22 2017-10-05 Clockwork Espresso Ltd. Coffee tamper
US10595667B2 (en) * 2014-09-22 2020-03-24 Clockwork Espresso Ltd. Coffee tamper
KR101633732B1 (ko) 2015-05-29 2016-06-27 최경식 포터필터용 탬퍼
KR101710100B1 (ko) * 2016-08-10 2017-02-24 최선욱 레벨링 탬퍼
KR101964564B1 (ko) * 2018-10-03 2019-04-01 이재우 커피 탬퍼
WO2020071799A1 (ko) * 2018-10-03 2020-04-09 이재우 커피 탬퍼
US11882957B2 (en) 2018-10-03 2024-01-30 Zae Woo Lee Coffee tamper
KR102042056B1 (ko) * 2019-05-31 2019-11-08 이호준 커피 탬퍼
KR102175442B1 (ko) * 2019-08-20 2020-11-06 이호준 커피 탬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7893A (ko) 탬퍼
US9981801B2 (en) Programming connector for beverage capsules, beverage capsules and kit of capsules and programming connectors
US6978682B2 (en) Force-adjustable hand-held coffee/espresso tamping device
CN108143278A (zh) 用于在波塔过滤器内对一定剂量的咖啡加压的设备
KR101457189B1 (ko) 포타필터 스탬핑 장치.
KR20130067719A (ko) 자동 탬핑 장치
US7927642B2 (en) Method for making coffee with a crema layer
WO2006016813A8 (en) Preparing tea with the aid of a tea pad and a coffee maker
US20070193452A1 (en) Apparatus for making coffee
KR101171108B1 (ko) 커피 탬퍼
WO2005076698A3 (en) Brewing filter apparatus
CN103027591A (zh) 具有控制输入的饮料设备过滤器组件
CN105916419A (zh) 用于食品制备机中的编码插入件
US10182678B2 (en) Manual brewing press
CN106073506A (zh) 一种冲击式恒定压力咖啡压粉器
CN207640188U (zh) 一种饮料冲泡机
KR20180102759A (ko) 깊이조절 커피 탬퍼
KR102175442B1 (ko) 커피 탬퍼
KR102259987B1 (ko)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KR20090112956A (ko)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KR200480686Y1 (ko) 휴대용 에스프레소 머신
US20140090565A1 (en) Buffer Structure of Portafilter
CN206197774U (zh) 一种冲击式恒定压力咖啡压粉器
KR102057500B1 (ko) 탬핑 장치
WO2020112067A2 (en) A device that distributes coffee homogenously and applies controlled and measurable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