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455A -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455A
KR20130037455A KR1020110101860A KR20110101860A KR20130037455A KR 20130037455 A KR20130037455 A KR 20130037455A KR 1020110101860 A KR1020110101860 A KR 1020110101860A KR 20110101860 A KR20110101860 A KR 20110101860A KR 20130037455 A KR20130037455 A KR 20130037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humidity
battery
power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민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1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7455A/ko
Priority to US13/618,631 priority patent/US9407744B2/en
Publication of KR20130037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은,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측정된 습도를 바탕으로 침수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침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와의 연결을 해제하여 전원을 오프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침수 상황에 의한 누전, 쇼트(Short) 등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침수 상황을 감지하여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이 다양한 상황에 노출되어 오동작하거나 동작이 불가능할 정도로 망가지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침수되어 내부의 부품들이 손상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침수 상황에 대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 침수 라벨을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침수 라벨을 부착하는 방식은 휴대용 단말기의 고장의 원인이 침수인지 여부만을 판단하는 방안이기 때문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침수 시 내부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침수 시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법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침수 상황을 감지하고,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침수 상황이 감지될 시,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은,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측정된 습도를 바탕으로 침수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침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와의 연결을 해제하여 전원을 오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와, 측정된 습도를 바탕으로 침수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침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와의 연결을 해제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침수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침수 상황이 감지될 시,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함으로써, 침수 상황에 의한 누전, 쇼트(Short)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침수 상황을 감지하고,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이하 설명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모든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MP3,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습도 센서(110), 스위치(120), 배터리(130), RF모듈(140) 및 복수의 집적회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하며, 본 발명에 따라 침수 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습도 센서(110)로부터 제공되는 습도 값을 바탕으로 침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침수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시, 상기 스위치(120)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13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 포함된 부품들의 전원을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습도 센서(110)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 주변의 습도 상황을 나타내는 현재 습도 값을 제공받아 미리 설정된 임계 습도와 비교하고, 상기 현재 습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습도보다 높을 시, 침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13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120)로 출력한다. 반면, 상기 현재 습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습도보다 낮거나 같을 시, 상기 제어부(100)는 침수 상황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침수 상황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배터리(130)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스위치(120)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 포함된 상기 제어부(100), RF 모듈(140) 및 다수의 집적회로(150)로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치(120)를 제어한다.
상기 습도 센서(1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도 값을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습도 센서(110)는 주기적으로 주변 습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습도 값을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할 수도 있고, 현재 측정된 습도 값과 이전에 측정된 습도 값을 비교하여 두 값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현재 측정된 습도 값을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습도 센서(110)는 종래에 제공된 다양한 방식의 습도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12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1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 포함된 RF 모듈(140) 및 다수의 집적회로(150)로 전달한다. 즉, 상기 스위치(12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 포함된 부품들 중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는 모든 부품들과 상기 배터리(130) 간의 전원 공급 선로를 연결하거나,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는 모든 부품들과 상기 배터리(130) 간의 전원 공급 선로의 연결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배터리(13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상기 스위치(120)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 부품들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RF모듈(14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외부 기기와의 신호를 송수신 처리한다. 상기 RF모듈(140)은 상기 스위치(120)를 통해 상기 배터리(130)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될 시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스위치(120)를 통해 상기 배터리(130)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시, 전원이 오프된다.
상기 복수의 집적회로(15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서 상기 배터리(130)의 전원을 이용하는 각종 집적회로들을 의미한다. 상기 복수의 집적회로(150) 각각은 상기 스위치(120)를 통해 상기 배터리(130)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될 시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스위치(120)를 통해 상기 배터리(130)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시, 전원이 오프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직접회로(150)는 PMIC(Power Management IC)(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PMIC는 상기 배터리(130)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시, 상기 PMIC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각종 부품들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PMIC는 상기 배터리(130)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시, 상기 습도 센서(11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기 제어부(100)가 습도 센서(110)로부터 습도 값을 제공받고, 습도 값을 바탕으로 침수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스위치(120)를 제어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설계 방식에 따라 상기 습도 센서(110)가 현재 측정된 습도 값을 바탕으로 침수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위치(120)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습도 센서(110)가 현재 측정된 습도가 기 설정된 임계 습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스위치(120)로 전원 공급 차단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1단계에서 주기적으로 습도를 측정하고, 203단계로 진행하여 측정된 습도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 습도를 비교한다. 여기서, 임계 습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설계 시 설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비교 결과 현재 측정된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5단계에서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 장착된 배터리(130)와 상기 배터리(13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필요로하는 각종 부품들 간의 선로 연결을 해제한 후,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현재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침수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130)와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 포함된 각종 부품들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반면, 상기 비교 결과 현재 측정된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20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 장착된 배터리(130)와 상기 배터리(13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필요로하는 각종 부품들 간의 선로 연결을 유지하여, 상기 각종 부품들로 상기 배터리(130)의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측정된 습도를 바탕으로 침수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침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와의 연결을 해제하여 전원을 오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침수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측정된 습도와 미리 설정된 임계 습도를 비교하는 과정과,
    측정된 습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습도보다 높은 경우, 침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측정된 습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습도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 침수 상황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의 연결을 해제하여 전원을 오프하는 과정은,
    상기 배터리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연결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 공급을 필요로하는 집적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와,
    측정된 습도를 바탕으로 침수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침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와의 연결을 해제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습도와 미리 설정된 임계 습도를 비교하여 측정된 습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습도보다 높은 경우, 침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측정된 습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습도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 침수 상황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연결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와의 연결 해제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 공급을 필요로하는 집적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10101860A 2011-10-06 2011-10-06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037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860A KR20130037455A (ko) 2011-10-06 2011-10-06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US13/618,631 US9407744B2 (en) 2011-10-06 2012-09-14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860A KR20130037455A (ko) 2011-10-06 2011-10-06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455A true KR20130037455A (ko) 2013-04-16

Family

ID=4804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860A KR20130037455A (ko) 2011-10-06 2011-10-06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07744B2 (ko)
KR (1) KR201300374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3802A (ko) * 2013-04-15 2014-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침수 여부 결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04031B1 (ko) * 2020-12-30 2021-09-24 (주)우보재난시스템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의 제어방법
KR102304022B1 (ko) * 2020-12-30 2021-09-24 (주)우보재난시스템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0867B2 (en) 2012-02-01 2019-03-26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rying electronic devices
US10876792B2 (en) 2012-02-01 2020-12-29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rying electronic devices
US10690413B2 (en) 2012-02-01 2020-06-23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rying electronic devices
US9644891B2 (en) 2012-02-01 2017-05-09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rying electronic devices
US9970708B2 (en) 2012-02-01 2018-05-15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rying electronic devices
KR102169120B1 (ko) 2012-02-01 2020-10-22 리바이브 일렉트로닉스, 엘엘씨 전자 디바이스 건조 방법 및 장치
US11713924B2 (en) 2012-02-01 2023-08-01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rying electronic devices
US9488564B2 (en) 2012-11-14 2016-11-08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cting moisture
WO2014153007A1 (en) 2013-03-14 2014-09-25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rying electronic devices
EP2821897B1 (en) * 2013-07-04 2019-08-21 Sony Corporation Finger detection on touch screens for mobile devices
CN105637725B (zh) * 2013-07-10 2019-04-23 振兴电子有限责任公司 用于控制给电子设备的电能的装置和方法
CN104580654B (zh) * 2013-10-09 2019-05-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及电子防水的方法
CN104021981A (zh) * 2014-05-16 2014-09-03 昆山佑翔电子科技有限公司 安全电源开关
CN104021982A (zh) * 2014-05-16 2014-09-03 昆山佑翔电子科技有限公司 电源开关
CA3009047A1 (en) * 2014-12-23 2016-06-30 Revive Electronics, L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to electronic devices
JP6100814B2 (ja) * 2015-02-13 2017-03-2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水没保護回路付き数値制御装置
WO2018086143A1 (zh) * 2016-11-14 2018-05-1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电池、电池管理系统、移动平台以及用电设备
EP3398243B1 (en) 2016-11-14 2021-06-09 SZ DJI Technology Co., Ltd. Multi-battery system and management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2971A (en) * 1984-02-07 1986-04-15 Matsh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utomatic high-frequency heating apparatus
US5230055A (en) * 1991-01-25 1993-07-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ttery operated computer operation suspension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sensor inputs
US5889466A (en) * 1997-01-14 1999-03-30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power control based on environmental conditions
US7325748B2 (en) * 2002-09-03 2008-02-05 Phillip F. Acker, Jr. Ventilation system with humidity responsive ventilation controller
JP2007251830A (ja) * 2006-03-17 2007-09-27 Nec Corp 携帯端末、その回路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106264B (zh) * 2006-07-14 2010-12-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防水自动保护装置
CN101604836A (zh) * 2008-06-13 2009-12-1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US20110153469A1 (en) 2009-12-23 2011-06-23 Patricia Denise Mackenzi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inventory within a virtual warehous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3802A (ko) * 2013-04-15 2014-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침수 여부 결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04031B1 (ko) * 2020-12-30 2021-09-24 (주)우보재난시스템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의 제어방법
KR102304022B1 (ko) * 2020-12-30 2021-09-24 (주)우보재난시스템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07744B2 (en) 2016-08-02
US20130088094A1 (en)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745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TWI508407B (zh) 手機進水自動保護系統及方法
CN109217248B (zh) 一种连接器的故障处理方法和系统
US10248179B2 (en) Method and controller for power throttling upon system on portable device, corresponding portable device,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products
EP2919345A1 (en) Thermal protection circuit
KR102037194B1 (ko) 단락 방지 검출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
TWI571734B (zh) 電源管理電路與方法以及電腦系統
US20100103566A1 (en) Protection circui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TWI389412B (zh) 充放電保護電路及充電保護方法
AU2017387185B2 (en) Battery leakage current detection method, device and circuit
US10084212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safety method
KR101282137B1 (ko) 휴대용 장치 및 휴대용 장치의 제어 방법
EP2782202B1 (en) Protec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201403119Y (zh) 一种具有温度监控功能的手机
JP2011234112A (ja) 無線装置および無線装置の過熱防止方法
JP2018026218A (ja) 電気機器
US20140237268A1 (en) Moisture shutdown control
WO2012081242A1 (ja) 携帯電子機器
KR1006970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보호장치 및 자동전원 차단방법
US20160299179A1 (en) Scheme capable of estimating available power range according to extra power range and employing available power range as reference of performing power throttling upon a system
JP2011186596A (ja) 電流監視安全システム、その動作方法、及び携帯機器
JP5910208B2 (ja)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その異常検出装置、その異常検出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20230023668A1 (en) Battery device and battery protection method for same
CN105094266A (zh) 电池保护系统与电池保护方法
JP7157865B1 (ja) 機器内蔵電池の保護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