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6337A - Operation and dis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uto defog system - Google Patents

Operation and dis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uto defo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6337A
KR20130026337A KR1020110089879A KR20110089879A KR20130026337A KR 20130026337 A KR20130026337 A KR 20130026337A KR 1020110089879 A KR1020110089879 A KR 1020110089879A KR 20110089879 A KR20110089879 A KR 20110089879A KR 20130026337 A KR20130026337 A KR 20130026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
indicator
operation button
defog
auto def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8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15708B1 (en
Inventor
박지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9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708B1/en
Publication of KR20130026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3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7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60S1/02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using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60S1/082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60S1/082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 B60S1/086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including additional sensors
    • B60S1/086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including additional sensors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n operation and display device of an automatic defog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defog system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selectively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defog system by using an operation button and to display the operational state of the automatic defog system with an indicator. CONSTITU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defog system is as follow. A controller displays the on-state of the automatic defog system with an indicator of an operation button when a user turns on the operation button after starting an engine(S11). The controller receives the signal of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S12,S13)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current indoor conditions satisfy automatic defog operating conditions based on the detected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windshield(S14). When the automatic defog operating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controller operates an air conditioning device in an automatic defog mode and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automatic defog mode with the indicator of the operation button. [Reference numerals] (AA,CC,GG,EE,II) No; (BB,DD,FF,HH,JJ) Yes; (S11) Turning a vehicle engine on; (S12) Switching an operation button on?; (S13) Receiving measurement values(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sensor; (S14) Satisfying automatic defog entry conditions?; (S15) Air-conditioner is turned on?; (S16) Operating the air-conditioner; (S17,S17') Operating the air-conditioner in an automatic defog mode; (S18,S18') Satisfying automatic defog releasing conditions or switching the operation button off?; (S19) Returning the air-conditioner to a normal air-conditioning mode; (S19') Turning the air-conditioner off

Description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Operation and dis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uto defog system}Device for displaying the user's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auto defog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auto defog system using the same {Operation and dis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uto defog system}

본 발명은 수동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에서 오토디포그 시스템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온/오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작동 상태를 표시해줄 수 있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while allowing a user to selectively turn on / off an auto defog system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passive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uto defog system using the same. .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와 외부 사이에는 온도차가 있으므로 습도가 높을 경우 차량 윈도우에 수증기가 응축되어 시야를 차단하는 포깅(fogging) 현상이 발생한다.In general, since there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vehicle, when the humidity is high, water vapor condenses on the vehicle window, causing a fogging phenomenon that blocks the view.

이러한 포깅 현상은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증대시키고, 특히 전방의 윈드쉴드 글래스에 포깅 현상이 발생하면 주행 중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차단하므로 심각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The fogging phenomenon increases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especially when the fogging phenomenon occurs on the windshield glass in front of the driver, the front vision of the driver may be blocked while driving, which may cause serious accidents.

이에 공조장치를 이용하여 윈도우의 습기를 제거하고 습기 생성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move moisture from the window by using an air conditioner and to prevent moisture generation.

공조장치의 작동 모드는 공기유입방식과 공기토출방식에 따라 여러 모드로 분류되고 있는데, 공기유입방식에 따라서는 외기모드와 내기모드, 혼합모드 등으로 구분되고, 공조장치의 에어 인테이크부에는 내기유입구와 외기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에어 인테이크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is classified into various modes according to the air inflow method and the air discharge method. The air inflow method is divided into the air mode, the bet mode, and the mixed mode. And air intake door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side air inlet.

외기모드에서는 에어 인테이크 도어에 의해 내기유입구가 닫히고 외기유입구가 열려 차량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In the outdoor mode, the air inlet door is closed and the air inlet is opened to allow fresh air from outside the vehicle.

반면 내기모드에서는 에어 인테이크 도어에 의해 외기유입구가 닫히고 내기유입구가 열려 차량 내부 공기를 재유입 및 순환시킴으로써 신속한 공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betting mode, the air intake door is closed by the air inlet door and the inlet is opened to allow quick air conditioning by re-introducing and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vehicle.

공기 토출 방식에 따라서는 페이스 모드(FACE; 또는 벤트(Vent) 모드라 함)와 디프로스트 모드(DEF), 플로어 모드(FLR), 바이레벨(Bi-level) 모드 등으로 구분되며, 이를 위해 공조장치는 공기 유동 경로를 변화(풍향 조절)시키는 도어와, 각 벤트를 개폐시키는 벤트 도어를 포함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air discharging method, it is divided into face mode (FACE) or vent mode, defrost mode (DEF), floor mode (FLR), and bi-level mode. The apparatus includes a door for changing the air flow path (wind adjustment) and a ven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each vent.

공조장치의 벤트는 차량 플로어 및 운전자 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플로어 벤트, 얼굴 및 가슴 등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페이스 벤트, 차량의 윈드쉴드 글래스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디프로스트 벤트로 구분되고, 각 벤트의 입구부에 벤트 도어가 설치되어 공조장치의 작동 모드에 따라 해당 벤트를 개폐시키고 있다.Vents are classified into floor vents for discharging air to the vehicle floor and driver's feet, face vents for discharging air to the face and chest, and defrost vents for discharging air to the windshield glass of the vehicle. The vent door is provided at the inlet of each vent to open and close the v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윈도우의 습기 제거 및 생성 방지를 위해서는 상기한 통상적인 공조 제어와는 달리 포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공조장치의 특별한 제어가 필요하며, 주로 외기를 유입시켜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토출시키는 방식으로 공조장치를 제어한다.Unlike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control to remove moisture from the window, a special control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to prevent fogging is required.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is mainly discharged through a defrost vent by introducing external air. To control.

일반적인 디포그시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은 포깅 현상이 발생하거나 예상되었을 때 외기모드로 전환, 디프로스트 모드로 전환, 공조블로워 풍량 증대, 에어컨 작동(A/C on)의 방법으로 포깅 현상을 제거하거나 예방하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when defogging,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is to remove the fogging phenomenon by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switching to the defrost mode, increasing the airflow blower air volume, and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A / C on) when the fogging occurs or is expected. To prevent it.

한편, 최근 사용자 설정에 따라 실내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해주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해주는 오토 에어컨(FATC: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의 장착이 증가하고 있다.Meanwhile, recently, the installation of an automatic air conditioner (FATC: 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which automatically adjusts the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user settings and maintains a comfortable environment, is increasing.

오토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이하, 오토 에어컨 차량이라 함)에서는 공조 작동시 윈도우의 습기 발생 조건(포깅 발생 조건)을 감지하는 경우 습기를 자동으로 제거 및 생성 방지하는 오토디포그 시스템(ADS:Auto Defog System)을 구성하여, 이를 통해 오토디포그(autodefog) 모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vehicles equipped with auto air condition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uto air conditioner vehicle), the auto defog system (ADS: Auto) automatically removes and prevents moisture when the air conditioner (fogging condition) of the window is detected during air conditioning operation. Defog System) is configured so that autodefog mode can be performed.

즉, 차량 윈도우에 응집된 습기의 자동 제거 및 생성 방지를 위해 제어기가 윈도우 표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및 실내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의 신호를 입력받고, 검출된 온도와 이슬점 온도(검출된 습도로부터 계산됨)의 차이에 따라 자동으로 습기 제거 및 생성 방지를 위한 선택적이면서도 단계적인 공조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That is, in order to prevent the automatic removal and generation of moisture condensed on the vehicle window, the controller receives a signal of a temperature sensor detecting the window surface temperature and a humidity sensor detecting the indoor humidity, and the detected temperature and dew point temperature (detected Automatic and optional air conditioning control to remove moisture and prevent generation.

도 1은 오토 에어컨 차량에서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기본적으로 제어기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S1) 소정의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습기 발생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고,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공조장치를 오토디포그 모드로 제어하게 된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for automatic moisture removal in an auto air conditioner vehicle. Basically, the controller receives signals of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S1) and enters a predetermined auto defog entry condition (humidity generating condition). If the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auto defogging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the air conditioner is controlled in the auto defogging mode.

이때, 외기모드 전환(S2), 디프로스트 모드 전환(S3), 공조블로워 풍량 증대(S4), 에어컨 작동(S5) 등을 단계적으로 수행하게 되는데,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S2 ~ S5의 단계를 순서대로 수행하며, 각 단계의 작동만으로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다음 단계의 작동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제어가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external air mode switching (S2), defrost mode switching (S3), air conditioning blow air volume increase (S4), air conditioner operation (S5), etc. are performed in stages, S2 ~ S5 until the auto defog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Steps are performed in order, and if the auto defogger canceling condition is not satisfied by the operation of each step, the control is performed by proceeding to the operation of the next step.

예컨대,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에서 외기모드로 전환하되(S2), 외기모드 진입 및 소정 시간 경과 후에도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다음 단계, 즉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외기를 토출시키는 디프로스트 모드로 전환하는 식이다(S3).For example, when the auto defogging entry condition is switched to the external air mode (S2), but the auto defogging release condition is not reached even after entering the external air mode and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defrost which discharges the outside air through the next step, that is, the defrost vent. The mode is switched to (S3).

또한 디프로스트 모드를 통해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공조블로워의 풍량을 증대시키고(S4), 공조블로워의 풍량 증대로도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에어컨을 작동시킨다(S5).In addition, when the auto defog release condition is not reached through the defrost mode,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is increased (S4), and when the auto defog release condition is not reached even by the increase of the airflow blower air conditioner (S5). ).

이와 같이 차량 내 온/습도 검출을 통해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습기 제거 및 생성 방지를 위해,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상기 S2 ~ S5 단계를 자동 수행하는 방식으로 공조 제어가 이루어진다.As such, when the conditions for entering the auto defog are satisfied through the detection of temperature / humidity in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 is performed by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steps S2 to S5 until the conditions for auto defog release are satisfied in order to remove moisture and prevent generation. Is done.

이러한 공조 제어는 디포그를 위해 에어컨 작동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무조건 에어컨을 작동시킬 경우 차량 연비가 악화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으로, 에어컨 작동을 최소화하면서 디포그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상황에서만 에어컨을 작동시키므로 습기 제거의 목적 달성과 더불어 연비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This air conditioning control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effective air conditioner for defog, but it takes into account that the fuel economy may deteriorat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unconditionally, and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only when necessary for defog while minimizing the air conditioner operation. In addition to achieving its goals, it also contributes to improved fuel economy.

이와 같이 오토 에어컨 차량에서는 차량 시동 후 운전자가 공조장치를 온(on) 시키고 나면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오토디포그 모드의 진입 및 해제가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별도로 버튼이나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모드 진입 및 해제 판정, 오토디포그 모드의 공조 제어 과정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uto air conditioner vehicle, when the driver turns on the air conditioner after starting the vehicle, the auto defogging mode is automatically entered and releas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auto defogging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user separately sets a button or a switch. Even if no operation is performed, the mode entry and release determination and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of the auto defog mode are all performed automatically.

또한 오토 에어컨 차량의 오토디포그 시스템에서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차량의 공조 모드가 일반 공조 모드에서 오토디포그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이 필요한데, 오토 에어컨 차량의 경우 통상 공조장치의 작동 상태나 모드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LCD 등)가 구비되므로, 이 디스플레이부의 오토디포크 심볼을 점등시켜 오토디포그 모드가 작동됨을 표시해주고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in the auto defogger system of the auto air conditioner vehicle,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 user that the air conditioning mode of the vehicle has been switched from the normal air conditioning mode to the auto defogging mode. Since a display unit (LCD, etc.) is provided to indicate the operation state or mode of the display unit, the auto depot symbol is turned on to indicate that the auto defog mode is activated.

한편, 상기와 같은 공조 제어 과정은 오토 에어컨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오토 에어컨의 경우 외기모드로의 전환, 디프로스트 모드로의 전환, 풍량 제어, 에어컨 작동이 모두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고, 특히 별도의 수조작이 없더라도 제어기가 FET 회로를 제어하여 공조블로워의 회전속도와 풍량을 전기적으로 자동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a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an auto air conditioner vehicle. In the case of the auto air conditioner, the switch to the outside air mode, the switch to the defrost mode, the air volume control, and the air conditioner operation may all be automatically controlled. Even if there is no manual operation, it is possible for the controller to control the FET circuit to electrically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rotation speed and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반면 수동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이하, 수동 에어컨 차랑이라 함)의 경우 외기모드로의 전환, 디프로스트 모드로의 전환, 에어컨 작동은 필요 시점에서 제어기가 자동으로 전환 및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공조블로워의 풍량 조절에 대해서는 운전자가 직접 풍량조절 스위치를 조작할 때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passive air condition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assive air conditioner car),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witch and operate the air conditioner, the defrost mode, and the air conditioner when necessary. Therefore, the airflow control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is possible only when the driver directly operates the airflow control switch.

따라서, 수동 에어컨 차량에서는 상기한 공조 제어 과정 중 습기 제거를 위한 풍량 증대 과정(S4)의 수행이 불가하고,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모드가 오토 에어컨 차량만큼 세분화될 수 없다. Therefore, in the air conditioner vehicle, the air volume increase process S4 for removing moisture is not performed in the air conditioner control process, and the air conditioner control mode for removing moisture cannot be subdivided as much as the auto air conditioner vehicle.

수동 에어컨 차량에서는 풍량조절 스위치로서 주로 회전식 풍량조절 노브(가변 레지스터(resistor) 타입)가 사용되므로 운전자 수조작이 있기 전에는 전기적으로 스위치 제어 및 풍량 제어가 불가능하다. In a manual air conditioner vehicle, a rotary air volume control knob (variable resistor type) is mainly used as the air volume control switch, so that switch control and air volume control are not possible until there is manual operation by a driver.

특히, 수동 에어컨 차량에서 운전자가 풍량조절 스위치를 저단으로 조작해놓은 상태에서 풍량 부족시에는 디프로스트 모드를 통한 습기 제거에 한계가 있으므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In particular, in a manual air conditioner vehicle,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air volume control switch at a low stage, when the air volume is insufficient, there is a limit in removing moisture through the defrost mode, and thus it needs to be improved.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원 출원인은 수동 에어컨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오토디포그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에 대해 특허 출원한 바 있다[특허출원 10-2011-0075493, 2011. 07. 28 출원].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present applicant has filed a patent for an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for auto defog that can be applied to a passive air conditioner vehicle (Patent application 10-2011-0075493, filed on July 28, 2011).

이는 수동 에어컨 차량의 오토디포그 작동시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외기를 토출시키는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디프로스트 벤트의 풍량 배분율(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세분화하여 제어하고, 공조블로워의 저단 풍량에서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디프로스트 배분량)을 증대시켜 풍량 부족을 보완해주도록 구성된다.This is controlled by subdividing the air volume distribution ratio (the air distribution volume to the defrost vent)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blower in the defrost mode in which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efrost ven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uto defog of the manual air conditioner vehicle. In addition, it is configured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air volume by increasing the air distribution (defrost distribution) from the low stage air flow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to the defrost vent.

그러나, 이 역시 사용자 의지에 따라 오토디포그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미흡한 측면이 있고, 오토디포그 시스템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온/오프하기 위한 제어 로직이나 오토디포그 작동 상태를 표시해주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However, this also has a weak aspect in the configuration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auto defog system according to the user's will, and control logic or auto defog operation state for the user to selectively turn on / off the auto defog system. There is no configuration for display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동 에어컨 차량에서 오토디포그 시스템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온/오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작동 상태를 표시해주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while allowing the user to selectively operate on / off the auto defog system in a manual air conditioner vehicle, and using the auto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the defog syste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동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에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온/오프 조작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온/오프 조작에 따른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어기에 연결된 작동 버튼을 차량 내 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동 버튼은, 외측면에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작동 버튼임을 나타내는 심볼이 표시되어 있는 동시에,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auto defog system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passive air conditioner, the operation button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o enable the input of the signal according to the on / off operation Is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can be operated in the vehicle, and the operation button is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to indicate that the operation button of the auto defog system is display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to operate the auto defog system.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user's operation and an operation state of an auto defog system, comprising an indicator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그리고, 본 발명은, 수동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에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온/오프 조작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온/오프 조작에 따른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어기에 연결된 작동 버튼을 차량 내 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 시동 온 후 사용자가 작동 버튼을 온 조작한 경우, 제어기가 작동 버튼의 인디케이터를 통해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온 조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시에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의 검출값을 토대로 현재의 실내 조건이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기가 공조장치를 오토디포그 모드로 작동시키는 동시에 작동 버튼의 인디케이터를 통해 오토디포그 모드의 진입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used for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auto defog system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passive air conditioner can operate the operation button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o enable the input of the signal according to the on / off operation in the vehicle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auto defog system installed in the position, when the user turns on the operation button after starting the vehicle, the controller displays the on-operation state of the auto defog system through the indicator of the operation button and at the same time the temperature senso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indoor condition satisfies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based on the detected value of the humidity sensor; If the auto-defog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ntroller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in the auto-defog mode and displaying an entry state of the auto-defog mode through the indicator of the operation button; Provide a metho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작동 버튼의 오프 조작시에 제어기가 오토디포그 시스템을 오프시키는 동시에 작동 버튼의 인디케이터를 통해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auto defo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the controller to turn off the auto defog system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and to display the off state of the auto defog system through the indicator of the operation butt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mo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오토디포그 시스템이 작동 버튼을 통해 온 조작된 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한 제1인디케이터와; 작동 버튼이 온 조작된 후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여 공조장치가 오토디포그 모드로 작동되고 있음을 표시하기 위한 제2인디케이터;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auto defo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cator comprises: a first indicator for indicating that the auto defog system is operated on through an operation button; And a second indicator for indicating that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ing in the auto defog mode by satisfying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after the operation button is turned on.

또한 상기 작동 버튼을 통해 오토디포그 시스템이 오프 조작되면, 제어기가 상기 제1인디케이터와 제2인디케이터를 모두 오프하여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auto defog system is turned off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the controller may turn off both the first indicator and the second indicator to display an off state of the auto defog system.

또한 제어기가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의 검출값을 토대로 현재의 실내 조건이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임을 판정한 경우 오토디포그 모드를 해제하는 동시에 제2인디케이트는 오프하고 제1인디케이터는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온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current indoor condition is the auto defogger canceling condition based on the detected values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humidity sensor, the auto defogger mode is released, the second indicator is turned off, and the first indicator is the auto defogger system. Control to display the on state of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공조장치의 조작부에 구비된 작동 버튼을 이용하여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하여 알려줄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lectively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auto defog system by using the operation button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display the operation status of the auto defog system through an indicator to inform It becomes possible.

특히, 사용자가 작동 버튼의 조작을 통해 오토디포그 시스템을 임의로 강제 오프시킬 수 있는데,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어 윈도우의 습기 제거가 불필요한 상황임에도 오토디포그 모드가 작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오토디포그 시스템을 오프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user can forcibly turn off the auto defog system by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When the auto defog mode is activated even when the field of view is secured enough to remove moisture from the window, the auto defog system can be arbitrarily turned on by the user. Can be turned off.

도 1은 종래의 오토 에어컨 차량에서 자동 습기 제거(오토디포그)를 위한 공조 제어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에서 작동 버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작동 상태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by-step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for automatic moisture removal (auto defogging) in a conventional auto air conditioner vehicle.
2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operation button in the user operation and operation state display device of the auto defo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display state of the indicator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auto defog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uto defo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본 발명은 수동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에서 오토디포그 시스템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온/오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작동 상태를 표시해줄 수 있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while allowing a user to selectively turn on / off an auto defog system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passive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uto defog system using the same. .

이러한 본 발명에서 오토디포그 모드 진입시 습기 제거 및 생성 방지를 위한 공조 제어 과정에 대해서는, 본원 출원인 및 발명자에 의해 출원된 특허출원 10-2011-0075493(2011. 07. 28)에 개시된 제어 과정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for removing moisture and preventing generation when entering the auto defog mode is the same as the control process discl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75493 filed by the applicant and the inventor (Jul. 28, 2011).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에서 작동 버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작동 상태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operation button in the user operation and operation state display apparatus of the auto defo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display state of the indica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auto defog system. .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uto defo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오토디포그 시스템은 윈도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실내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와, 윈도우 온도와 실내습도에 의해 계산된 이슬점 온도의 차이로부터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판정하고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공조장치의 작동을 제어하여 공조장치의 작동 모드를 오토디포그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이와 더불어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를 위한 작동 버튼(11)을 더 포함한다.First, the auto defog system judges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ing the window temperature, the humidity sensor detecting the indoor humidity, and the dew point temperature calculated by the window temperature and the indoor humidit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in the auto defog mode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when the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and further including an operation button 11 for displaying the user operation and the operation status. .

상기 작동 버튼(11)은 차량 내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버튼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조장치의 조작부(10) 일측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The operation button 11 is a button installed to enable in-vehicle operation, and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peration unit 10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s shown in FIG. 2.

상기 작동 버튼(11)의 외측면에는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작동 버튼임을 나타내는 심볼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오토디포그 시스템을 온(on)/오프(off)시키고자 할 때 심볼을 확인한 뒤 선택하여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On the outer side of the operation button 11 is a symbol indicating that the operation button of the auto defog system, so when the user wants to turn on (on) / off (off) the auto defog system after checking the symbol It can be selected and operated.

상기 작동 버튼(11)은 사용자가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버튼이며, 온/오프 조작에 따른 신호가 제어기에 입력되도록 제어기와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operation button 11 is a button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selectively turn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auto defog system, 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so that a signal according to the on / off operation is input to the controller.

또한 상기 작동 버튼(11)에는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온/오프 상태와 더불어 작동 버튼의 온 조작 상태에서 오토디포그 모드로 진입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2,13)가 구비되며, 상기 인디케이터는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button 11 is provided with indicators 12 and 13 indicating that the auto defogging mode has been entered from the on / off state of the auto defogging system and the on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button, and the indicator is a controller. It is provided to operat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여기서, 작동 버튼(11)에 구비되는 인디케이터는 사용자가 작동 버튼을 온 조작하여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작동이 온 된 상태임을 표시하는 제1인디케이터(12)와, 작동 버튼이 온 조작된 후(즉, 오토디포그 시스템이 온 조작된 후)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여 공조장치가 오토디포그 모드로 작동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제2인디케이터(13)로 구성된다.Here, the indicator provided in the operation button 11 is a first indicator 12 indicating that the operation of the auto defog system is turned on by the user turning on the operation button, and after the operation button is turned on (that is, And a second indicator 13 that indicates that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s operating in the auto defog mode by satisfying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after the auto defog system is turned on.

상기 각 인디케이터(12,13)는 작동 버튼(11) 외측면에서 점멸 상태가 보일 수 있도록 작동 버튼에 LED를 설치하고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LED의 점멸상태가 제어되도록 LED 구동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LED 인디케이터가 될 수 있다. Each of the indicators 12 and 13 is provided with an LED driving circuit for installing the LED on the operation button so that the blinking state can be see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peration button 11 and controlling the blinking state of the L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It may be an LED indicator configured.

각 인디케이터(12,13)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도 3의 (a)는 최초 시동 온 후 오토디포그 시스템이 오프된 상태를 나타내며, 이때 제1인디케이터(12)와 제2인디케이터(13)는 모두 오프된 상태로 제어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each indicator (12, 13), Figure 3 (a) shows the auto defogger system is turned off after the initial start-up, wherein the first indicator 12 and the second indicator 13 Are controlled to be off.

또한 도 3의 (b)는 사용자가 작동 버튼(11)을 온 조작하여 오토디포그 시스템은 온 된 상태이면서 오토디포그 모드는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고, 이때 제어기는 제1인디케이터(12)만 점등시키고 제2인디케이터(13)는 오프시킨다. In addition, (b) of FIG. 3 shows that the auto defogging system is turned on while the user turns on the operation button 11 while the auto defogging mode is released, and the controller lights only the first indicator 12. And the second indicator 13 is turned off.

또한 도 3의 (c)는 사용자가 작동 버튼(11)을 온 조작한 후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여 공조장치의 작동 모드가 오토디포그 모드로 진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때 제어기는 제1인디케이터(12)와 더불어 제2인디케이터(13)를 함께 점등시킨다.In addition, (c) of FIG. 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mode of the air conditioner enters the auto defogging mode by satisfying the auto defogging entry condition after the user turns on the operation button 11,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The second indicator 13 is turned on together with the first indicator 12.

또한 도 3의 (d)는 사용자가 작동 버튼(11)을 오프 조작하여 오토디포그 시스템이 오프된 상태를 나타내며, 이때 제어기는 제1 및 제2인디케이터(12,13)를 모두 오프시킨다.In addition, (d) of FIG. 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auto defogging system is turned off by the user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11, and the controller turns off both the first and second indicators 12 and 13.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작동 버튼을 선택적으로 조작함에 따른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과정에 대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ure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trol process of the auto defog system according to the user selectively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먼저, 차량 시동 온(on) 후(S11) 사용자가 작동 버튼(11)을 온 조작한 경우, 제어기는 작동 버튼의 제1인디케이터(12)를 온 작동(점등)시켜, 작동 버튼 조작에 의해 오토디포그 시스템이 온 된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First, when the user turns on the operation button 11 after the vehicle is turned on (S11), the controller turns on the first indicator 12 of the operation button (lights up), and the auto button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The defog system will be turned on.

이와 동시에 제어기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의 신호를 입력받게 되고(S12,S13), 검출된 윈도우 온도와 습도를 토대로 현재의 실내 조건이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게 된다(S14).At the same time, the controller receives the signals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humidity sensor (S12, S13), and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indoor condition satisfies the auto defogging entry condition based on the detected window temperature and humidity (S14).

이때,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윈도우 온도와 이슬점 온도(검출된 습도로부터 계산됨)의 차이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window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dew point temperature (calculated from the detected humidity) is less than the 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이어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한 상태에서 제어기는 현재 공조장치가 온 상태인지 또는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되는데(S15), 공조장치가 온 상태인 경우 공조장치를 바로 오토디포그 모드로 제어하게 된다(S17).Subsequently, in the state where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air conditioner is on or off (S15). When the air conditioner is in the on state, the controller directly controls the auto defog mode. (S17).

또한 공조장치가 오프 상태라면, 공조장치를 온 작동시킨 뒤(S16) 오토디포그 모드로 제어하게 된다(S17').In addition, if the air conditioner is in the off state,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n (S16) and controlled in the auto defog mode (S17 ').

또한 오토디포그 모드로 제어가 개시됨과 동시에 제어기는 작동 버튼(11)의 제2인디케이터(13)를 온 작동시켜, 현재의 실내 조건이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이면서 공조장치의 작동 모드가 오토디포그 모드로 진입하였음을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is started in the auto defog mode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roller turns on the second indicator 13 of the operation button 11 so that the current indoor condition satisfies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dicates that the auto defogging mode has been entered.

이후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즉 윈도우 온도와 이슬점 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오토디포그 모드는 해제되며, 이때 오토디포그 모드 진입 전에 공조장치가 온 상태였다면 공조장치를 다시 일반 공조 모드로 제어하고(S18,S19), 오토디포그 모드 진입 전에 공조장치가 오프 상태였다면 공조장치를 오프시킨다(S18'S19').After that, if the auto defog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that is,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window temperature and the dew point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value, the auto defog mode is released. The air conditioner is controlled (S18, S19), and if the air conditioner is in the off state before entering the auto defog mode,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ff (S18'S19 ').

이 경우 오토디포그 모드는 해제되었지만 작동 버튼(11)이 오프 조작된 상태가 아니므로 제2인디케이터(13)만 오프되고 제1인디케이터(12)는 온 상태로 유지된다.In this case, since the auto defogging mode is released but the operation button 11 is not in the off operation state, only the second indicator 13 is turned off and the first indicator 12 remains on.

이와 더불어 오토디포그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 버튼을 오프 조작한 경우에는 오토디포그 시스템을 오프시키며, 이때 오토디포그 모드 진입 전에 공조장치가 온 상태였다면 공조장치를 다시 일반 공조 모드로 제어하고(S18,S19), 오토디포그 모드 진입 전에 공조장치가 오프 상태였다면 공조장치를 오프시킨다(S18',S19').In addition, when the user turns off the operation button in the auto defog mode, the auto defog system is turned off, and if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n before entering the auto defog mode, the air conditioner is controlled again in the normal air condition mode ( S18 and S19, if the air conditioner is in the off state before entering the auto defog mode,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ff (S18 'and S19').

또한 작동 버튼을 오프 조작한 경우에는 작동 버튼(11)의 제1 및 제2인디케이터(12,13)를 모두 오프시켜 작동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오프 조작되었음을 표시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turned off, the first and second indicators 12 and 13 of the operation button 11 are turned off to indicate that the operation button is turned off by the user.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공조장치의 조작부에 구비된 작동 버튼을 이용하여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하여 알려줄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lectively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auto defog system by using the operation button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an display and inform the operation status of the auto defog system through an indicator. Will be.

특히, 사용자가 작동 버튼의 조작을 통해 오토디포그 시스템을 임의로 강제 오프시킬 수 있는데, 예컨대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어 윈도우의 습기 제거가 불필요한 상황임에도 오토디포그 모드가 작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오토디포그 시스템을 오프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user can forcibly turn off the auto defog system by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For example, when the auto defog mode is activated even when the field of view is secured enough to remove moisture from the window, the auto defog can b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user. The system can be turned off.

종래에는 앉은 키가 큰 운전자인 경우 운전자 호흡에 의해 습도센서의 검출값이 높게 검출되어 오토디포그 모드가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사례가 있었으나(오토디포그 시스템이 민감하게 작동함),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오토디포그의 불필요한 작동으로 인한 불만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a tall driver who is sitting, the detection value of the humidity sensor is detected by the driver's breathing so that the auto defog mode is operated unnecessarily (the auto defog system operates sensitively). The user can selectively operate the auto defog system on / off, thereby eliminating complaints caused by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auto defog system.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조작부
11 : 작동 버튼
12 : 제1인디케이터
13 : 제2인디케이터
10: control panel
11: operation button
12: first indicator
13: 2nd indicator

Claims (8)

수동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에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온/오프 조작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온/오프 조작에 따른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어기에 연결된 작동 버튼을 차량 내 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동 버튼은,
외측면에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작동 버튼임을 나타내는 심볼이 표시되어 있는 동시에,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
It is used for on / off operation of auto defog system in a vehicle equipped with manual air conditioner.It is configured by installing an operation button connected to the controller in a position that can be operated in a vehicle to enable input of signals according to on / off operation. ,
The operation butt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uto defog system, a symbol indicating that the operation button of the auto defog system is displayed, and an indicator for operating the auto defog system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is provided. User operation and operation status display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오토디포그 시스템이 작동 버튼을 통해 온 조작된 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한 제1인디케이터와;
작동 버튼이 온 조작된 후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여 공조장치가 오토디포그 모드로 작동되고 있음을 표시하기 위한 제2인디케이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dicator is
A first indicator for indicating that the auto defog system is in an operated state through an operation button;
A second indicator for indicating that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ing in the auto defog mode by satisfying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after the operation button is turned on;
Device for displaying the user operation and operation status of the auto defo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을 통해 오토디포그 시스템이 오프 조작되면, 상기 제1인디케이터와 제2인디케이터가 제어기에 의해 모두 오프되어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오프 상태를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auto defog system is turned off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both the first indicator and the second indicator are turned off by the controller to indicate an off state of the auto defog system. Operation and operation status indicator.
수동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에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온/오프 조작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온/오프 조작에 따른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어기에 연결된 작동 버튼을 차량 내 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 시동 온 후 사용자가 작동 버튼을 온 조작한 경우, 제어기가 작동 버튼의 인디케이터를 통해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온 조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시에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의 검출값을 토대로 현재의 실내 조건이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기가 공조장치를 오토디포그 모드로 작동시키는 동시에 작동 버튼의 인디케이터를 통해 오토디포그 모드의 진입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ed for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auto defog system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manual air conditioner, the auto depot installed with the operation button connected to the controller in a position that can be operated in the vehicle to enable input of signals according to the on / off opera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system,
If the user turns on the operation button after starting the vehicle, the controller displays the on-operation status of the auto defog system through the indicator of the operation button, and the current room condition is automatically adjusted based on the detected values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humidity sensor. Determining whether a defog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ntroller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in the auto defog mode and simultaneously indicating the entry state of the auto defog mode through the indicator of the operation button;
Control method of the auto defog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의 오프 조작시에 제어기가 오토디포그 시스템을 오프시키는 동시에 작동 버튼의 인디케이터를 통해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turned off, the controller turns off the auto defog system and simultaneously displays an off state of the auto defog system through an indicator of the operation button. Way.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오토디포그 시스템이 작동 버튼을 통해 온 조작된 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한 제1인디케이터와;
작동 버튼이 온 조작된 후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여 공조장치가 오토디포그 모드로 작동되고 있음을 표시하기 위한 제2인디케이터;
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indicator is
A first indicator for indicating that the auto defog system is in an operated state through an operation button;
A second indicator for indicating that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ing in the auto defog mode by satisfying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after the operation button is turned on;
Control method of the auto defo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을 통해 오토디포그 시스템이 오프 조작되면, 제어기가 상기 제1인디케이터와 제2인디케이터를 모두 오프하여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And when the auto defogging system is turned off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the controller turns off both the first indicator and the second indicator to display an off state of the autodefogging system.
청구항 6에 있어서,
제어기가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의 검출값을 토대로 현재의 실내 조건이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임을 판정한 경우 오토디포그 모드를 해제하는 동시에 제2인디케이트는 오프하고 제1인디케이터는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온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f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current room condition is the auto defogger canceling condition based on the detected values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humidity sensor, the auto defogger mode is released, the second indicator is turned off, and the first indicator is turned off. And controlling to display the on-state.



KR1020110089879A 2011-09-05 2011-09-05 Operation and dis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uto defog system KR1013157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879A KR101315708B1 (en) 2011-09-05 2011-09-05 Operation and dis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uto defo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879A KR101315708B1 (en) 2011-09-05 2011-09-05 Operation and dis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uto defo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337A true KR20130026337A (en) 2013-03-13
KR101315708B1 KR101315708B1 (en) 2013-10-10

Family

ID=48177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879A KR101315708B1 (en) 2011-09-05 2011-09-05 Operation and dis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uto defo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70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3420A (en) * 2014-09-12 2016-11-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For vehicle except the method and system of mist
CN112124249A (en) * 2020-09-22 2020-12-25 上海福太隆汽车电子科技有限公司 Automatic defogging control method
CN115113791A (en) * 2021-03-18 2022-09-27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Input recep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reception system
FR3121244A1 (en) * 2021-03-24 2022-09-30 Psa Automobiles Sa Motor vehicle comprising a graphical interface for automatic demisting of a glazed surface of said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353B1 (en) 2017-01-26 2018-09-21 윤수현 auto defog system for car using graphen heating element
US11144053B2 (en) 2019-04-04 2021-10-12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Controlling driving condition components of an autonomous vehicle based on a current driving mode and current conditio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657A (en) * 2003-08-08 2005-02-22 구성태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high speed thaw of snow and ice at glass on the car and method thereof
JP2007320521A (en) 2006-06-05 2007-12-13 Calsonic Kansei Corp Display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operating part
KR20100072553A (en) * 2008-12-22 2010-07-01 한라공조주식회사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217676B1 (en) * 2010-01-26 2013-01-02 한라공조주식회사 Controller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3420A (en) * 2014-09-12 2016-11-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For vehicle except the method and system of mist
US9878592B2 (en) 2014-09-12 2018-01-30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defogging of vehicle
CN106143420B (en) * 2014-09-12 2019-06-1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demisting
CN112124249A (en) * 2020-09-22 2020-12-25 上海福太隆汽车电子科技有限公司 Automatic defogging control method
CN112124249B (en) * 2020-09-22 2024-03-29 上海福太隆汽车电子科技有限公司 Automatic demisting control method
CN115113791A (en) * 2021-03-18 2022-09-27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Input recep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reception system
FR3121244A1 (en) * 2021-03-24 2022-09-30 Psa Automobiles Sa Motor vehicle comprising a graphical interface for automatic demisting of a glazed surface of sai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708B1 (en)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708B1 (en) Operation and dis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uto defog system
JP2005306201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293963B1 (en)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for defogging of vehicle
KR101222506B1 (en) The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for fogging prevention
KR101986639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20080080759A (en) Control method for def mode of car air conditioner
KR20100022693A (en) The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645184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20090017816A (en) The defogging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48108B1 (en) Display controlling method of fog probability in a car
JP4706774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649685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511507B1 (en) Temperature door control method of Air-conditining system for vehicle
KR10115572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ar air conditioner
KR20100072553A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0931678B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 method using interactive interface
JP2005067230A (en) Vehicular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40034635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699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ake of inner air and outer air with fuction of preventing fogging
KR20110002652A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vehicle
KR200358426Y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3341333A (en)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air-conditioner for vehicle
KR20110020377A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vechicle
KR20130071573A (en) Controlle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KR102346525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