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102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102A
KR20130021102A KR1020110083427A KR20110083427A KR20130021102A KR 20130021102 A KR20130021102 A KR 20130021102A KR 1020110083427 A KR1020110083427 A KR 1020110083427A KR 20110083427 A KR20110083427 A KR 20110083427A KR 20130021102 A KR20130021102 A KR 20130021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parking space
generatin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4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10083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1102A/en
Publication of KR20130021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1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PURPOSE: A parking control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implify a parking route and reduce time to complete parking by enabling a driver find a parking space and approach to a parking space. CONSTITUTION: A parking control apparatus includes at least one lateral sensor, a queue determining unit(220), a parking route generation unit(230), a steering unit, and a parking control unit(200). At least one lateral sensor is installed in the both sides of a vehicle and senses an object located in the both sides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proceeds toward a parking space by a driver during a right angle parking. The queu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location and the queue state of the vehicle inside of the parking space by using the result sensed by the lateral sensor. The parking route generation unit generates a parking route so that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he queue state of the vehicle determined in the queue determining unit. The steering unit performs a steering control according to the parking route. The parking control unit generates a steering command signal and controls the steering unit according to the parking route. [Reference numerals] (200) Parking control unit; (210) Separation width calculation unit; (220) Queue determining unit; (230) Parking route generation unit

Description

주차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Park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

본 발명은 자동 주차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주차공간을 인식하고 주차공간에 접근하도록 한 다음, 주차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센서 개수를 줄여 원가를 감소시키고 자동 주차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차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parking control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by allowing a driver to recognize a parking space and access a parking space, and then generate and provide a parking path,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sensors to reduce costs and providing automatic parking. A park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he time required.

최근의 차량은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어, 새로운 차량이 급격히 출시되어 운행되고 있고, 그로 인해 교통체증, 주차문제 등 다양한 사회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Recently, vehicles are becoming a necessity of modern people, and new vehicles are rapidly released and operated, resulting in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traffic jams and parking problems.

특히, 주차문제는 심각하여 한정된 지역, 도시, 국가에서 차량이 증가할수록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은 줄어들 수밖에 없는 형편이고, 이러한 주차공간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 한대가 주차할 수 있도록 구획해놓은 주차구획이 점점 협소해지고 있다.In particular, the parking problem is serious, and as the number of vehicles increases in limited regions, cities, and countries, parking spaces are inevitably reduced, and parking is divided so that one vehicle can park to solve the shortage of parking spaces. The compartments are getting narrower.

또한, 주차구획이 없는 주차공간에서도 여러 대의 차량이 함께 주차하는 경우에는 차량 간의 간격이 좁을 수밖에 없으며, 이 경우 운전자가 육안으로 주변 장애물을 확인하고 차량을 직접 운전하여 좁은 주차 공간에 주차하거나 좁은 주차 공간에서 차량을 출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re are several vehicles parked together in a parking space without a parking compart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s must be narrow.In this case, the driver checks the surrounding obstacles with the naked eye and drives the vehicle directly to park in a narrow parking space or narrow park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leave a vehicle in space.

이에 따라 최근에는 차량에 자동주차보조시스템을 탑재하여, 자동주차보조시스템에서 차량 주변을 촬영한 영상 등을 확인하여 자동으로 주차하거나 출차하는 기술도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주차보조시스템은 차량을 주차 공간에 주차할 때 차량을 자동으로 조향하여 주차 또는 출차를 보조한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hat is equipped with an automatic parking assistance system in the vehicle, and automatically parking or leaving the vehicle by checking images taken around the vehicle in the automatic parking assistance system. The automatic parking assist system automatically steers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to assist in parking or leaving the vehicle.

자동주차보조시스템은 센서를 이용하여 주차공간을 스캔 및 인식하도록 하고 있으며, 인식된 주차공간을 기준으로 주차 또는 출차를 위해 주차경로 또는 출차경로를 생성하고 있다. The automatic parking assist system scans and recognizes parking spaces using a sensor, and generates a parking route or a departure route for parking or leaving the parking space based on the recognized parking space.

그런데, 이렇게 주차공간을 인식하는 과정부터 주차가 완료될 때까지의 과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경우, 주차가 완료되기까지 짧게는 일 회에서 다수 회의 선회경로를 포함하는 주차경로가 생성된다. 주차경로를 따라 차량이 이동하다가 목표 주차 위치와 오차가 발생할 경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주차경로를 다시 설정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차량의 선회경로 횟수가 증가하게 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process from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parking space to the completion of the parking, a parking path including a plurality of turning paths is generated at least once until the parking is completed. When the vehicle moves along the parking path and the target parking position and error occur, the parking path must be reset to compensate for this, and the number of turning paths of the vehicle generally increases.

따라서, 기존의 자동주차보조시스템은, 주차공간의 인식을 위해 다수의 전후방 센서와 측면 센서가 설치되므로 원가가 상승한다. 또한, 주차공간 내에 차량이 정확히 주차하기 위해 다수 회의 선회경로를 따라 차량을 전진 및 후진시키기 때문에 주차완료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automatic parking assistance system, since a plurality of front and rear sensors and side sensors are installed to recognize the parking space, the cost increase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complete parking because the vehicle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a plurality of turning paths in order to accurately park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주차완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주차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 한다. In this contex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which can reduce the number of sensors and shorten the time to completion of parking.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차량의 양측에 설치되며, 직각주차시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이 주차공간을 향해 진행하면 상기 차량의 양측면에 위치한 물체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센서; 상기 측면 센서에서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공간내의 위치 및 정렬상태를 판단하는 정렬 판단부; 상기 정렬 판단부에서 판단된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정렬상태에 따라 상기 주차공간 내에 상기 차량이 주차되도록 주차경로를 생성하는 주차경로 생성부; 상기 주차경로에 따라 조향 제어를 수행하는 조향 장치; 및 상기 주차경로에 따라 조향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향 장치를 제어하는 주차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차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at least one for detecting the object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proceeds toward the parking space by the driver at right angles parking Side sensor; An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position and an alignment state in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by using the result detected by the side sensor; A parking path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parking path so that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alignment state of the vehicle determined by the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A steering device that performs steering control according to the parking path; And a parking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 steering device by generating a steering command signal according to the parking path.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직각주차시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이 주차공간을 향해 진행하면 상기 차량의 양측면에 위치한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공간에 대한 정렬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정렬상태에 따라 상기 주차공간 내에 상기 차량이 주차되도록 주차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경로에 따라 조향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is parked by the driver toward the parking space at the right angle parking step for detecting the object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Determining an alignment state of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using the detected result; Generating a parking path such that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according to the alignment state of the vehicle; And controlling steering of the vehicle by generating a steering command signal according to the parking path.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주차 제어 시스템은 2개의 센서만으로 주차공간을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원가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주차공간을 운전자가 파악하고 주차공간으로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주차경로가 단순해지고, 주차가 완료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와 만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control system can grasp the parking space with only two sensors,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cost. In addition, by allowing the driver to grasp the parking space and approach the parking space, the parking path can be simplified and the time for the parking to be completed can be reduced,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제어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차 제어 시스템에 의해 주차가 진행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제어 시스템에서 반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a par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parking by the parking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semi-automatic parking in a par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a par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차량 제어 시스템은, 직각주차시 주차공간에 차량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주차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주차 제어 시스템(100), 차량의 양 측면에 장착된 제1 및 제2측면 센서(120,130), 제1 및 제2측면 센서(120,130)의 동작 시작을 위해 운전자가 조작하는 감지시작 버튼(105), 주차 제어의 시작 또는 종료를 위해 운전자가 조작하는 주차모드 버튼(110),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휠속도 센서(140), 기어 상태를 감지하는 기어포지션 센서(150), 주차 제어와 관련된 각종 메시지(기어변경메시지, 주차종료메시지 포함)를 출력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HMI:Human Machine Interface, 이하 "HMI" 라 칭함, 160), 주차 제어 시스템(100)으로부터 조향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조향 장치(180), 운전자의 브레이크 동작에 따라 브레이크 신호(Brake Signal)를 주차 제어 시스템(100)으로 전달하는 브레이크 장치(170)를 포함한다. The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es a parking control system 100 for controlling a vehicle to be parked quickly and safely in a parking space at a right angle parking, first and second side sensors 120 and 130 mounted at both sides of the vehicle, and a first And a detection start button 105 operated by the driver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ide sensors 120 and 130, a parking mode button 110 operated by the driver to start or end parking control, and a wheel to detect the speed of the vehicle. Human Machine Interface (HMI), which outputs the speed sensor 140, the gear position sensor 150 for detecting a gear state, and various messages related to parking control (including gear change messages and parking stop messages). 160, a steering device 180 that receives a steering command signal from the parking control system 100, and a brake that transmits a brake signal to the parking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a driver's brake operation. And a microphone device 170.

여기서, 주차 제어 시스템(100)은, 주차모드 버튼(110), 제1 및 제2측면 센서(120,130), 휠속도 센서(140), 기어포지션 센서(150), HMI(160), 조향 장치(180), 브레이크 장치(170) 등과 연결되어 주차 제어에 필요한 신호,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을 주고 받는다.Here, the parking control system 100, the parking mode button 110, the first and second side sensors 120 and 130, the wheel speed sensor 140, the gear position sensor 150, HMI 160, steering device ( 180, the brake device 170, and the like, exchange signals, information, or data necessary for parking control.

도 1에서는, 주차 제어 시스템(100)이, 감지시작 버튼(105), 주차모드 버튼(110), 제1 및 제2측면 센서(120,130), 휠속도 센서(140), 기어포지션 센서(150), HMI(160), 조향 장치(180), 브레이크 장치(170) 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일 뿐이며, 주차 제어 시스템(100)이 감지시작 버튼(105), 주차모드 버튼(110), 제1 및 제2측면 센서(120,130), 휠속도 센서(140), 기어포지션 센서(150), HMI(160), 조향 장치(180), 브레이크 장치(170)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FIG. 1, the parking control system 100 includes a detection start button 105, a parking mode button 110, first and second side sensors 120 and 130, a wheel speed sensor 140, and a gear position sensor 150. Although not shown, the HMI 160, the steering device 180, the brake device 170, etc., but this is just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arking control system 100 is a detection start button 105, Among the parking mode button 110, the first and second side sensors 120 and 130, the wheel speed sensor 140, the gear position sensor 150, the HMI 160, the steering device 180, the brake device 170, and the like. It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또한, 이러한 주차 제어 시스템(100)은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arking control system 100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제1 및 제2측면 센서(120,130)는, 주차 제어가 시작되어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공간을 향해 후진시키면, 차량의 좌측 및 우측에 있는 물체에 대한 감지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된 감지결과를 주차 제어 시스템(100)으로 제공한다. The first and second side sensors 120 and 130 generate a detection result for object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when parking control is started and the driver moves backward toward the parking space, and parks the generated detection result. Provided to the control system 100.

이때, 측면 센서(130)는, 차량이 후진되는 동안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차량의 좌측 및 우측에 있는 물체에 대한 감지신호를 지속적으로 생성하여 주차 제어 시스템(100)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주차 제어 시스템(100)에서는 차량의 좌측 및/또는 우측에 있는 물체와의 이격폭 및 그 변화량을 산출하여 차량의 주차공간 내에서의 위치와 기울어짐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ide sensor 130 continuously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for the object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vehicl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ile the vehicle is reversed to provide to the parking control system 100. Accordingly, the parking control system 100 calculates the separation width with respect to the objects on the left and / or right side of the vehicle and the amount of change thereof so that the position and the degree of inclination in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can be measured.

이러한 측면 센서(130)는,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더 센서일 수 있다. The side sensor 130 may be an ultrasonic sensor or a radar sensor.

휠속도 센서(140)는,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로터와 폴피스 사이의 자계 변화를 대응하는 펄스신호를 출력한다. 로터의 외주면에는 톱니 형상의 치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터의 회전시 치차와 폴피스 사이의 자계가 변화한다. 따라서 휠의 1회전에 따른 펄스의 개수는 일정하며, 이격폭 산출부(210)는 펄스의 개수에 따라 차량의 이동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The wheel speed sensor 140 outputs a pul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between the rotor and the pole piece rotating together with the wheel. A tooth-shaped tooth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and the magnetic field between the tooth and the pole piece changes when the rotor is rotated. Therefore, the number of pulses according to one rotation of the wheel is constant, and the separation width calculation unit 210 may calculate the moving distan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ulses.

기어포지션센서(150)는 현재의 기어의 위치에 해당되는 기어포지션신호를 출력한다.The gear position sensor 150 outputs a gear posi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rrent gear.

조향 장치(180)는, 조향휠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회전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조향각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향각 센서(190)는 토크센서일 수 있다. 토션바는 조향휠과 연결된 입력축과 출력축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하여 비틀리며, 토크 센서는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위치하여 토션바의 비틀림량을 감지하여 회전정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steering apparatus 180 may include a steering angle sensor that detects a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outputs a rotation information signa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angle sensor 190 may be a torque sensor. The torsion bar is twisted by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and the torque sensor is located between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to detect the amount of torsion of the torsion bar and output the rotation information signal.

주차 제어 시스템(100)은, 직각 주차시 일단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공간내로 후진시키면, 차량의 주차공간에 대한 위치를 판단하여 차량의 주차경로를 설정한다.
The parking control system 10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and sets the parking path of the vehicle once the driver reverses the vehicle into the parking space at the right angle parking.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간략하게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제어 시스템(10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arking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riefly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본 주차 제어 시스템(100)은, 이격폭 산출부(210), 정렬 판단부(220), 주차경로 생성부(230), 주차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The parking control system 100 includes a separation width calculation unit 210, an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220, a parking path generation unit 230, and a parking control unit 200.

이격폭 산출부(210)는, 차량의 양측에 설치된 제1 및 제2측면 센서(120,130)로부터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를 산출한다. 이때, 이격폭 산출부(210)는, 차량이 제1지점에 위치할 때 제1측면 센서(120)로부터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와, 제2측면 센서(130)로부터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를 1회 산출한다. 그런 다음, 이격폭 산출부(210)는, 차량이 제2지점에 위치할 때 제1측면 센서(120)로부터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와, 제2측면 센서(130)로부터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를 1회 산출한다. The separation width calculation unit 210 calculates a distance from an object sensed by the first and second side sensors 120 and 130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separation width calculation unit 210,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detected from the first side sensor 120 and the distance detected from the second side sensor 130 when the vehicle is located at the first point. Calculate once. Then, the separation width calculation unit 210, when the vehicle is located at the second point,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detected from the first side sensor 120 and the object detected from the second side sensor 130. Calculate the distance once.

여기서, 제1지점과 제2지점은, 미리 설정된 지점이 아니라, 차량이 후진하면서 제1측면 센서(120)와 제2측면 센서(13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물체가 감지된 지점들이다. 이때, 제1지점과 제2지점은 물체가 감지된 후 그 물체의 감지가 지속적인 경우 선택되며, 차량의 후진이 운전자에 의해 정지되기 전까지 감지된 다수의 지점 또는 연속적인 지점 중 두 지점을 뜻한다. Here,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re not preset points, but are points at which an object is detect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side sensor 120 and the second side sensor 130 while the vehicle moves backward. In this case,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re selected when the detection of the object continues after the object is detected, and means two points among a plurality of points or continuous points detected until the reverse of the vehicle is stopped by the driver. .

즉, 차량이 후진하면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지점에서 제1 및 제2측면 센서(120,130) 모두에서 물체가 감지되고, 'B'지점까지 연속적으로 감지되면, 이격폭 산출부(210)는 'A'지점과 'B'지점 사이에서 'A'지점과 'B'지점을 포함하는 어느 두 점을 제1지점과 제2지점으로 선택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vehicle reverses, as shown in FIG. 3 (c), when the object is detected by both the first and second side sensors 120 and 130 at the 'A' point, and continuously detected until the 'B' point, The separation width calculation unit 210 may select any two points including the 'A' point and the 'B' point between the 'A' point and the 'B' point as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측면 센서(130)가 초음파 센서인 경우, 이격폭 산출부(210)는, 초음파의 속도를 이용하여 물체와의 거리를 산출한다. 즉, 이격폭 산출부(210)는, 초음파 발생신호와 반사신호를 비교하여 차량의 전후방 또는 측면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When the side sensor 130 is an ultrasonic sensor, the separation width calculation unit 210 calculates a distance from the object using the speed of the ultrasonic waves. That is, the separation width calculation unit 210 may compare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signal and the reflected signal to calculate a distance from an object existing in front, rear, or side surfaces of the vehicle.

측면 센서(130)가 레이더 센서인 경우, 이격폭 산출부(210)는, 펄스 방식, 변조 방식, 간섭계 방식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후방 또는 측면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 중 펄스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이격폭 산출부(210)는, 광 펄스가 차량과 물체 사이를 왕복하는 시간으로부터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When the side sensor 130 is a radar sensor, the separation width calculation unit 210 may calculate a distance to an object existing in front and rear or side surfaces of the vehicle by using a pulse method, a modulation method, an interferometer method, and the like. In the case of using the pulse method, the separation width calculation unit 210 may calculate the distance from the time when the light pulse reciprocates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ject.

정렬 판단부(220)는, 차량이 진행하면서 제1측면 센서(120)로부터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 및 제1지점과 제2지점간의 변화량과, 제2측면 센서(130)로부터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 및 제1지점과 제2지점간의 변화량을 차량의 주행속도를 기준으로 해석하여 차량의 주차공간에 대한 위치 및 기울어짐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The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220 may include a distance between an object detected by the first side sensor 120 and an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s the vehicle progresses, and an object detected by the second side sensor 130. The distance and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can be interpreted based on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to determine the position and inclination of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정렬 판단부(220)는, 제1지점과 제2지점 간의 물체와의 이격폭 변화량을 차량의 주행속도를 기준으로 해석하는 추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차량의 주차공간에 대한 위치 및 기울어짐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The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e position and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parking space by using an estimation algorithm that analyzes the change in the separation width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based on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can do.

예를 들어, 제1지점에서 제1측면 센서(120)에서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가 60cm이고 제2측면 센서(130)에서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가 40cm라고 하고, 제2지점에서 제1측면 센서(120)에서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가 50cm이고 제2측면 센서(130)에서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가 50cm라고 하자. 그러면 차량이 제1측면 센서(120)에서 감지된 물체를 향해 이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or example, a distance from an object detected by the first side sensor 120 is 60 cm and a distance from an object detected by the second side sensor 130 is 40 cm at a first point, and the first point at a second point. Assume that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sensed by the side sensor 120 is 50 cm and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detected by the second side sensor 130 is 50 cm. Then, it can be seen that the vehicle is moving toward the object detected by the first side sensor 120.

이때, 차량의 주행속도가 빠를수록 주차공간에 대한 차량의 기울어짐 정도가 상대적으로 작고, 차량의 주행속도가 느릴수록 주차공간에 대한 차량의 기울어짐 정도가 상대적으로 크다. 이를 이용하면, 차량의 기울어짐 정도에 대한 추정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faster the speed of the vehicle is, the smaller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parking space is. The slower the speed of the vehicle is, the greater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parking space is. Using this, the estimation of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vehicle can be any number.

한편, 정렬 판단부(220)는, 제1측면 센서(120)와 제2측면 센서(130) 중 일측으로부터만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즉, 차량이 주차할 주차공간의 일측에만 다른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측면 센서로부터 감지된 물체와의 이격폭 및 제1지점과 제2지점간의 변화량을 차량의 주행속도를 기준으로 해석하여 차량의 주차공간에 대한 위치 및 기울어짐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220, when an object is detected only from one side of the first side sensor 120 and the second side sensor 130, that is, the other vehicle is parked only on one side of the parking space where the vehicle will park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and inclination of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by analyzing the separation width of the object sensed by the corresponding side sensor and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ints based on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have.

주차경로 생성부(230)는, 이격폭 산출부(210)에서 산출된 차량과 물체와의 이격폭과, 정렬 판단부(220)에서 판단된 주차공간에 대한 차량의 기울어짐 정도를 이용하여 주차공간을 파악하여 차량의 현재위치인 주차시작지점과, 차량의 주차가 완료되는 위치인 주차완료지점을 산출해낸다. 그런 다음, 주차경로 생성부(230)는 주차시작지점과 주차완료지점을 연결하는 주차경로를 생성한다. 주차경로는 주차시작지점과 주차완료지점, 주차공간의 폭 등에 따라, 1개 내지 복수개의 선회경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arking path generation unit 230 parks the vehicle by using the separation width of the vehicle and the object calculated by the separation width calculation unit 210 and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parking space determined by the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220. The space is identified to calculate the parking start point, which i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 parking completion point, which is the position where the parking of the vehicle is completed. Then, the parking path generation unit 230 generates a parking path connecting the parking start point and the parking completion point. The parking path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turning paths according to the parking start point, the parking completion point, and the width of the parking space.

이렇게 주차경로를 생성할 때, 주차경로 생성부(230)는, 차량의 양측면에 다른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경우와 차량의 일측면에 다른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경우 각각에 대해 상이한 방법으로 주차경로를 생성한다. When the parking path is generated in this way, the parking path generation unit 230 generates the parking path in different ways for each case where other vehicles are park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and when another vehicle is park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Create

먼저, 차량의 양측면에서 물체들이 감지된 경우, 즉, 주차공간의 양측면에 물체들이 존재하는 경우, 주차경로 생성부(230)는 차량의 양측면으로부터 감지된 물체들과 동일한 간격을 갖고 차량이 주차되도록 주차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제외한 주차공간의 폭이 1m이면, 차량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50cm의 이격폭을 가지고 차량이 주차되도록 주차경로를 생성하는 것이다. First, when objects are detect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that is, when there are objects on both sides of the parking space, the parking path generator 230 may park the vehicle at the same interval as the objects detected from both sides of the vehicle. You can create a parking route. That is, if the width of the parking space excluding the vehicle is 1m, the parking path is generated such that the vehicle is parked with a 50cm separation width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vehicle, respectively.

반면, 차량의 일측면에만 물체가 감지된 경우, 즉, 주차공간의 일측에만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주차경로 생성부(230)는 해당 물체와 차량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가 되도록 주차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경로 생성부(230)는 해당 물체와 차량과의 거리가 50cm가 되도록 주차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물체와 차량과의 거리는 차량의 종류, 주차공간의 크기 등에 의해 얼마든지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an object is detected only on one side of the vehicle, that is, when the vehicle exists only on one side of the parking space, the parking path generator 230 may set the parking path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vehicle is a predetermined distance. Can be generated. For example, the parking path generator 230 may generate the parking path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vehicle is 50 cm. Of course,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vehicle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vehicle, the size of the parking space, and the like.

주차 제어부(200)는, 운전자가 감지시작 버튼(105)을 누르면, 제1 및 제2측면 센서(120,130)로부터의 감지결과를 이격폭 산출부(210)로 제공하고, 이격폭 산출부(210)에서 제1 및 제2측면 센서(120,130)가 물체를 감지한 각 지점에서의 물체와 차량과의 이격폭을 산출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driver presses the detection start button 105, the parking controller 200 provides the sensing results from the first and second side sensors 120 and 130 to the separation width calculator 210, and the separation width calculator 210. The first and second side sensors 120 and 130 control to calculat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vehicle at each point where the object is detected.

주차 제어부(200)는, 운전자가 주차모드 버튼(110)을 누르면, 각 지점에서의 이격폭에 대한 정보를 정렬 판단부(220)로 제공하고, 정렬 판단부(220)에서 차량의 주차공간에 대한 기울어짐 정도를 판단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driver presses the parking mode button 110, the parking control unit 200 provides the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220 with information about the separation width at each point, and the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220 enters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To determine the degree of inclination.

또한, 주차 제어부(200)는, 이격폭 산출부(210)에서 산출된 이격폭과, 정렬 판단부(220)에서 판단된 차량의 기울어짐 정도를 주차경로 생성부(230)로 전달하고, 주차경로 생성부(230)에서 주차경로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parking control unit 200 transmits the separation width calculated by the separation width calculation unit 210 and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vehicle determined by the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220 to the parking path generation unit 230, and parks the vehicle. The path generation unit 230 controls to generate a parking path.

이렇게 주차경로가 생성되면, 주차 제어부(200)는 주차경로에 따라 조향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조향 장치로 전달한다.
When the parking path is generated in this way, the parking controller 200 generates a steering command signal according to the parking path and transmits the steering command signal to the steering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제어 시스템에서 반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semi-automatic parking in a par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운전자가 도 3(a)에서와 같이 주차공간 주위를 주행하던 중, 주차공간을 발견하고, 도 3(b)에서와 같이 후진 직각주차를 위해 차량을 전방으로 비스듬히 전진시킨다. 그런 다음, 운전자가 감지시작 버튼(105)을 선택하고(S400),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공간을 향해 후진하면, 주차 제어부(200)는 제1 및 제2측면 센서(120,130)로부터 감지된 물체의 감지결과를 입력받기 시작한다(S410). While the driver is traveling around the parking space as shown in FIG. 3 (a), the driver finds the parking space and advances the vehicle at an angle forward for oblique perpendicular parking as shown in FIG. 3 (b). Then, when the driver selects the start detection button 105 (S400), and as shown in Figure 3 (c), back toward the parking space, the parking control unit 200 is the first and second side sensors ( Start receiving input of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ed object from 120 and 130 (S410).

차량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지점에 도달하면, 주차 제어부(200)는 제1 및 제2측면 센서(120,130)로부터 물체의 감지결과를 입력받아 이격폭 산출부(210)로 제공한다. 그리고, 차량이 'B'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주차 제어부(200)는 제1 및 제2측면 센서(120,130)로부터 물체의 감지결과를 지속적으로 입력받아 이격폭 산출부(210)로 제공한다. When the vehicle reaches the point 'A', as shown in FIG. 3 (c), the parking control unit 200 receives the detection result of the object from the first and second side sensors 120 and 130, and calculates the separation width. Provided by 210. Then, the parking controller 200 continuously receives the detection result of the object from the first and second side sensors 120 and 130 until the vehicle reaches the point 'B' and provides it to the separation width calculator 210.

여기서 'B'지점은 운전자가 차량을 정지시킨 지점이며, 이때, 운전자는 HMI(160)를 통해 차량이 물체와 충돌 위험이 있다는 메시지를 받아서 차량을 정지시켰을 수도 있고, 운전자가 임의로 정지시켰을 수도 있다. Here, the 'B' point is the point where the driver stopped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driver may stop the vehicle by receiving a message that the vehicle is in danger of colliding with an object through the HMI 160, or the driver may stop the vehicle arbitrarily. .

일단 차량이 정지되면, 주차 제어부(200)는 HMI(160)를 통해 차량의 위치가 감지되었음을 메시지로 표시하고, 운전자가 주차모드 버튼(110)을 선택하면(S420), 이격폭 산출부(210)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이격폭 산출부(210)에서는 'A'지점과 'B'지점 사이의 복수의 지점에서 제1 및 제2측면 센서(120,130)로부터 감지된 물체와 차량과의 이격폭을 산출한다(S430). Once the vehicle is stopped, the parking control unit 200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s detected through the HMI 160, and when the driver selects the parking mode button 110 (S420), the gap width calculating unit 210 is displayed. ). Then, the separation width calculation unit 210 calculates the separation width between the object and the vehicle de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side sensors 120 and 130 at a plurality of points between the point 'A' and the 'B' (S430). ).

이격폭 산출부(210)에서 산출된 각 지점에서의 물체와 차량과의 거리는 정렬 판단부(220)로 제공된다. 정렬 판단부(220)는, 이격폭 산출부(210)로부터 제공된 물체와 차량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제1측면 센서(120)에서 감지된 두 지점에서의 이격폭 변화량과, 제2측면 센서(130)에서 감지된 두 지점에서의 이격폭 변화량을 산출한다.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vehicle at each point calculated by the separation width calculation unit 210 is provided to the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220. The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220 may use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provided from the separation unit calculating unit 210 and the vehicle to change the separation width at two points detected by the first side sensor 120, and the second side sensor ( In step 130, the change in the separation width at the two points is calculated.

그리고 정렬 판단부(220)는, 휠속도 센서(140)로부터 차량의 속도를 제공받으며, 두 지점에서의 이격폭 변화량을 차량의 속도를 기반으로 한 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면, 차량의 위치 및 주차공간에 대한 기울어짐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S440). 정렬 판단부(220)에서 차량의 위치 및 주차공간에 대한 기울어짐 정도가 판단되면, 판단결과가 주차경로 생성부(230)로 전달된다. In addition, the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220 receives the speed of the vehicle from the wheel speed sensor 140 and analyzes the variation of the separation width at two points using an estimation algorithm based on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parking space may be determined (S440). When the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 degree of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parking space,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parking path generation unit 230.

주차경로 생성부(230)에서는 정렬 판단부(220)에서 판단된 차량의 위치 및 주차공간에 대한 기울어짐 정도를 이용하여 주차시작지점과 주차완료지점을 산출한다. 그런 다음, 주차경로 생성부(230)에서는 주차시작지점과 주차완료지점을 연결하는 주차경로를 생성하여 주차 제어부(200)로 전달한다(S460). The parking path generation unit 230 calculates a parking start point and a parking completion point by us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parking space determined by the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220. Then, the parking path generation unit 230 generates a parking path connecting the parking start point and the parking completion point and transmits it to the parking control unit 200 (S460).

주차 제어부(200)는 주차경로가 생성되면, 주차경로에 부합되는 조향명령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조향명령신호를 조향 장치(180)로 전달하여 차량이 주차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한다. When the parking path is generated, the parking control unit 200 generates a steering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arking path,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teering command signal to the steering device 180 so that the vehicle travels along the parking path.

이와 같이, 본 주차 제어 시스템(100)에서는 직각주차시 운전자가 주차공간을 파악하여 주차공간을 향해 후진 또는 전진하도록 하고, 제1 및 제2측면 센서(120,130)로부터 물체가 감지되면,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및 주차공간에 대한 기울어짐 정도를 추정하여 주차경로가 생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주차 제어 시스템(100)은 2개의 센서만으로 주차공간을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센서의 개수를 줄여 원가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주차공간을 운전자가 파악하고 주차공간으로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주차경로가 단순해지고, 주차가 완료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와 만족을 도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arking control system 100, the driver grasps the parking space and moves backwards or forwards toward the parking space. When an object is det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ide sensors 120 and 130, The parking path is generated by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parking space. Accordingly, the parking control system 100 can grasp the parking space by using only two sensors,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sensors and significantly reducing the cost. In addition, by allowing the driver to grasp the parking space and approach the parking space, the parking path can be simplified and the time for the parking to be completed can be reduced, thereby enhancing user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As shown in FI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or the like can be included.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차량의 양측에 설치되며, 직각주차시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이 주차공간을 향해 진행하면 상기 차량의 양측면에 위치한 물체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센서;
상기 측면 센서에서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공간내의 위치 및 정렬상태를 판단하는 정렬 판단부;
상기 정렬 판단부에서 판단된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정렬상태에 따라 상기 주차공간 내에 상기 차량이 주차되도록 주차경로를 생성하는 주차경로 생성부;
상기 주차경로에 따라 조향 제어를 수행하는 조향 장치; 및
상기 주차경로에 따라 조향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향 장치를 제어하는 주차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차 제어 시스템.
At least one side sensor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vehicle and detecting an object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moves toward the parking space by the driver during the perpendicular parking;
An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position and an alignment state in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by using the result detected by the side sensor;
A parking path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parking path so that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the alignment state of the vehicle determined by the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A steering device that performs steering control according to the parking path; And
And a parking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steering apparatus by generating a steering command signal according to the parking pa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센서에서 감지된 물체와 상기 차량과의 이격폭을 산출하여 상기 정렬 판단부로 제공하는 이격폭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주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eparation width calculating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 separation width between the object sensed by the side sensor and the vehicle and provide the separation determination unit to the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판단부는, 상기 이격폭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차량의 양측부 중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는 물체와의 이격폭 및 상기 차량이 주행하면서 변화되는 상기 이격폭의 변화량을 상기 차량의 속도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주차공간에 대한 위치 및 기울어짐을 판단하는 주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alignment determination unit may be configured based on a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a change width of the separation width of the vehicle and a distance that is changed while the vehicle is driven, while the separation width of the vehicle is calculated by the separation width calculator. Parking control system for analyzing the position and inclination of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경로 생성부는, 상기 차량의 양측에서 물체들이 감지되면, 상기 각 물체들과 상기 차량의 간격이 동일한 상태로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공간 내에 주차되도록 주차경로를 생성하는 주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arking path generation unit, when the objects are detect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the parking control system for generating a parking path so that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with the same distance between the respective objects and the vehic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경로 생성부는, 상기 차량의 일측에서만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차량이 상기 물체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주차되도록 주차경로를 생성하는 주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arking path generation unit, when the object is detected only on one side of the vehicle, the parking control system for generating a parking path so that the vehicle is parked spaced apart from the objec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직각주차시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이 주차공간을 향해 진행하면 상기 차량의 양측면에 위치한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공간에 대한 정렬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정렬상태에 따라 상기 주차공간 내에 상기 차량이 주차되도록 주차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경로에 따라 조향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제어 방법.
Detecting objects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moves toward the parking space by the driver during the perpendicular parking;
Determining an alignment state of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using the detected result;
Generating a parking path such that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according to the alignment state of the vehicle; And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by generating a steering command signal according to the parking path.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정렬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양측에 위치하는 물체와의 이격폭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주행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이격폭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속도와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주차공간에 대한 위치 및 기울어짐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Determining the alignment of the vehicle,
Calculating a separation width with objects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vehicle;
Calculating a change amount of the separation width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running of the vehicle;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and inclination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parking space compared to the speed of the vehic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양측에서 물체들이 감지되면, 상기 각 물체들과 상기 차량의 간격이 동일한 상태로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공간 내에 주차되도록 주차경로를 생성하는 단계인 주차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Generating the parking path,
And when the objects are detected at both sides of the vehicle, generating a parking path such that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with the same distance between the respective objects and the vehic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일측에서만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차량이 상기 물체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주차되도록 주차경로를 생성하는 단계인 주차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Generating the parking path,
And generating a parking path such that the vehicle is parked spaced apart from the objec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an object is detected only on one side of the vehicle.
KR1020110083427A 2011-08-22 2011-08-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 KR201300211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27A KR20130021102A (en) 2011-08-22 2011-08-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27A KR20130021102A (en) 2011-08-22 2011-08-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102A true KR20130021102A (en) 2013-03-05

Family

ID=48174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427A KR20130021102A (en) 2011-08-22 2011-08-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110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786B1 (en) * 2013-05-22 2014-10-1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Smart parking assistant system and parking balance method
KR101498973B1 (en) * 2013-11-21 2015-03-05 현대모비스(주) Parking asistance system and parking asistance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786B1 (en) * 2013-05-22 2014-10-1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Smart parking assistant system and parking balance method
KR101498973B1 (en) * 2013-11-21 2015-03-05 현대모비스(주) Parking asistance system and parking asistance method
CN104648387A (en) * 2013-11-21 2015-05-27 现代摩比斯株式会社 Park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US9187125B2 (en) 2013-11-21 2015-11-17 Hyundai Mobis Co., Ltd. Park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US9393999B2 (en) 2013-11-21 2016-07-19 Hyundai Mobis Co., Ltd. Vehicle movement path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832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Obstacle for Parking
US8378850B2 (en) Vehicle park assist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a vehicle using such system
US201401638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 assistance
WO2009119577A1 (en) Parking space monitoring device
CN108944914A (en) Parking toll device and method
JP2006189393A (en) Peripheral object information acquiring device, and parking support device using same
US20080010018A1 (en) Parking support device
WO2008072473A1 (en) Parking support device
KR101824681B1 (en) Parking assistance apparatus provided with automatic parking mode selection and method thereof
KR20120046583A (en) Automatic parking system and method for in wheel type vehicle
JP2006193011A (en) Parking supporting device
JP2010018180A (en) Parking support device and parking support method
KR1012801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
KR20120022485A (en) Parking assistant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712399B1 (en) Obstacle display method of vehicle
KR20120094366A (en) Parking out control system
KR20130028183A (en) Parking out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3002110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
KR20090041086A (en) System for auto-parking a car and method for auto-parking using the same
KR20120032198A (en) Smart parking assist system performing parking-out assist operation
KR201900331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KR100907702B1 (en) Parking Guidance System and Parking Guidance Method Using the Same
KR1020723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larm of vehicle
KR20140142444A (en) Apparatus for searching parking spa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auto parking with the said apparatus
KR101470101B1 (en) Method of determining edge point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