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231A - 웹 어플리케이션의 저작권 보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 어플리케이션의 저작권 보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231A
KR20130020231A KR1020110082732A KR20110082732A KR20130020231A KR 20130020231 A KR20130020231 A KR 20130020231A KR 1020110082732 A KR1020110082732 A KR 1020110082732A KR 20110082732 A KR20110082732 A KR 20110082732A KR 20130020231 A KR20130020231 A KR 20130020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ver
web application
un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10082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0231A/ko
Publication of KR2013002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5Arrangement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e.g. for managing licenses at corporate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06F21/121Restricting unauthorised execution of programs
    • G06F21/128Restricting unauthorised execution of programs involving web programs, i.e. using technology especially used in internet, generally interacting with a web browser, e.g.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applets, jav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06F21/14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against software analysis or reverse engineering, e.g. by obfus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저작권 보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난독화하여 난독화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난독화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압축하여 압축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한 후 암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의 복호화를 수행하여 난독화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의 난독을 해독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랫폼에서 네트워크 데이터 수신과 동시에 자동으로 저작권 보호 처리 과정을 적용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이 오프라인으로 저장되어도 내용이 노출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웹 어플리케이션의 저작권 보호 시스템{COPYRIGHT PROTECTION SYSTEM FOR WEB APPLICATIONS}
본 발명은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평문 텍스트로 전송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난독화 과정, 암호화 과정, 압축 과정을 통하여 네트워크 데이터 수신과 동시에 자동으로 저작권 보호 처리 과정을 적용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인터넷의 용이함, 접근가능성 및 편리성은 컴퓨터를 사용하고 정보를 액세스하고자 하는 방법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WWW(World Wide Web; 종종 웹으로 불림)'은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가장 대중화된 수단들 중 하나이다. 웹은 사용자에게 세계 도처에 분포된 서버로부터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을 통해 검색된 인터링크된 하이퍼텍스트 문서와 같은 거의 무한한 수의 자원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웹은 기본적인 클라이언트-서버 포맷에서 동작하며, 여기서 서버는 웹 문서 또는 이진수 오브젝트(binary objects)를 저장하며 네트워크상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송신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사항에서 자원을 실행하는 전용 컴퓨터 또는 개별 컴퓨터 어플리케이션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검색된 정보를 보기위하여 또는 소정 방식으로 서버상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도록 요구하기 위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와 대화(interact)할 수 있다.
웹 페이지라 불리는 웹상의 문서는 전형적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또는 유사한 언어로 쓰여지며, 특정 기계를 특정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s)'과 파일 또는 자원이 액세스될 수 있는 경로명에 의해 식별된다. 종종태그로 불리며 HTML 서류에 임베디드된(embedded) 코드는 그 서류상에 특정 워드 및 이미지를 URL과 연관시켜, 사용자가 키를 누르거나 또는 마우스를 클릭함에 의해 다른 파일 또는 페이지를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이들 파일은 일반적으로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및 오디오로 구성되며, 또한 애플랫(applets) 또는 다른 임베디드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이 프로그램은 하이퍼링크상에서 클릭킹에 의해 사용자가 이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때 실행하는, 예컨대 Java 또는 ActiveX로 작성된다. 웹 페이지를 보는 사용자는,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요구 정보를 폼의 사용을 통해 서버에 전송하며, 'FTP(File Transfer Protocol)'을 통해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채팅 룸에서 사용자 참여를 용이하게 하며, 보안 사업 트랙잭션(transaction)을 행하고, 웹 페이지상에서 링크를 사용함에 의해 전자우편을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콤포넌트와 또한 대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파일은 저작물이 평이한 텍스트 형태로 전송되기 때문에 파일의 저작권이 도용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평문 텍스트로 전송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난독화 과정, 암호화 과정, 압축 과정을 통하여 네트워크 데이터 수신과 동시에 자동으로 저작권 보호 처리 과정을 적용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난독화하여 난독화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난독화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압축하여 압축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서버(101);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한 후 암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해 복호화를 수행하여 난독화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난독화된 데이터에 대해 난독을 해독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하는 단말 장치(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저작권 보호 시스템에서 서버(101)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코드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면서 불필요한 연산을 부가하여 프로그램 코드의 난독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버(101)는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동일한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또는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서로 상이한 비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상의 암호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서버(101)는 인터넷, 인트라넷,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iTV 네트워크,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HTTP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단말 장치(103)는 PMP, MP3 플레이어, 내비게이터, 휴대형 게임기, PDA, UMPC, 스마트 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터넷이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기존에는 저작자가 직접 난독화 등의 방법을 통해 저작물을 보호하던 방식에서 저작물이 평이한 텍스트로 되어 있더라도 플랫폼에서 네트워크 데이터 수신과 동시에 자동으로 저작권 보호 처리 과정을 적용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이 오프라인으로 저장되어도 내용이 노출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저작권 보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복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저작권 보호 시스템은 서버(101) 및 단말 장치(1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서버(101)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저작권 보호를 위한 처리 과정을 거쳐 단말 장치(103)로 전송한다. 이때, 웹 어플리케이션은 전용 또는 공유 서버상에서 구현되거나 다수의 서버들을 통해 분배되며, 예컨대 HTML로 제한되지 않는, 웹하드 소프트웨어, 공용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CGI') 스크립트, 펄(Perl) 스크립트, 데이터베이스 정보, 또는 임의의 타입의 정보 자원 또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서버(101)는 인터넷, 인트라넷,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iTV 네트워크,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또는 예컨대 제한되지 않는, HTTP, HTTPs, HTTPd,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WebDAV(web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 및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임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 환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3)는 PMP, MP3 플레이어, 내비게이터, 휴대형 게임기, PDA, UMPC, 스마트 폰과 같이 인터넷이 가능한 다양한 휴대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3)는 서버(101)가 제공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콘텐츠 및 웹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3)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일반 인터넷 사이트와 동일한 형태로 문서와 동영상을 볼 수 있는 풀 브라우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먼저, 단말 장치(103)로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101)를 설명하기로 한다. 서버(101)는 난독화부(111), 암호화부(121), 압축부(131) 및 송신부(1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난독화부(111)는 제어부(141)의 제어에 따라 단말 장치(103)로 전송할 웹 어플리케이션을 난독화하여 난독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난독화란 난독처리되기 전의 소스 코드, 오브젝트 코드 또는 실행파일 등의 프로그램 코드와 동일한 기능을 갖으나 불필요한 연산 등을 부가하여 리버스 엔지니어링이 어렵도록 코드를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소스 코드가 있다고 하자.
<예문 1>
i=1;
while(i<100){
중략... i++;}
<예문 1>을 참조하면, 변수 i가 100 미만이 될 때까지 반복하면서 i의 값을 1씩 증가시키는 소스 코드이다. 난독화부(111)가 <예문 1>의 소스 코드를 난독화하면, <예문 2>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예문 2>
i=1; j=100
while((i<100) && (((i*j*(j+1)*(j+1))%4)==0)){
중략... i++; j=j*i+3; }
<예문 2>를 참조하면, i*j*(j+1)*(j+1)은 j가 홀수이던 짝수이던 항상 4의 배수가 되고, 따라서, ((i*j*(j+1)*(j+1))%4)==0은 항상 참이 된다. 이와 같이 루프에 조건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난독화하는 방법이 있고, 이외에도 여러 가지 난독화 하는 방법이 존재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암호화부(121)는 난독화부(111)에 의해 난독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부(141)의 제어에 따라 수신한 난독화된 데이터를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암호화부(121)가 사용하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암호화 알고리즘은 암복호화에 사용되는 키(key)의 특성에 따라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동일한 대칭키(Symmetric Key) 암호화 알고리즘과, 암복호화 키가 서로 상이한 비대칭키(Asymmetric Key)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구분된다.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은 데이터 처리형식에 따라 스트림 암호화 알고리즘과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나눌 수 있는데, 대칭키 암호화 방식은 암호화 속도가 빠른 반면에 키의 안전한 분배가 요구된다. 공개키 알고리즘은 공개키(Public Key)와 비밀키(Private Key)라는 두 개의 키를 사용하는데, 공개키는 개방된 네트워크상에 공개하고 비밀키는 각자가 비밀히 보관한다.
따라서 공개키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 평문을 암호화하여 전달하면, 상대방의 공개키로 평문을 암호화하여 전달하고, 상대방은 자신의 비밀키로 복호화하여 이를 해독한다. 이러한 공개키 기반(PKI)에서는 송신자가 자신의 아이디 등을 비밀키로 암호화하여 수신자에게 보낼 경우에 수신자는 송신자가 공개한 키로 서명을 해독하여 서명이 수신자로부터 전달된 것임을 확인할 수가 있다. 이를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 혹은 전자서명이라 하며 송신자의 신원 및 메시지 무결성(Integrity)을 확인(Authentication)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압축부(131)는 암호화부(121)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부(141)의 제어에 따라 수신한 암호화된 데이터를 압축한 후, 압축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저장부(161)는 제어부(141)의 제어에 따라 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송신부(151)는 제어부(141)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41)에 저장된 데이터를 단말 장치(103)로 전송한다.
서버(101)에 의해 저작권 보호 처리 과정을 거친 데이터를 수신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복원하는 단말 장치(103)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한 단말 장치(103)는 수신부(113), 압축 해제부(123), 복호화부(133) 및 난독 해독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113)는 서버(10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압축 해제부(123)는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여 암호회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복호화부(133)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난독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복호화부(133)는 암호화부(121)시 사용된 알고리즘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 방법을 이용하여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개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한 경우, 암호화부(121)는 공개키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암호화를 수행하기 때문에, 복호화부(133)는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난독 해독부(143)는 데이터의 난독을 해독하여 원래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저작권 보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저작권 보호를 위한 기술적 구성의 대부분은 [도 1]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프로세스의 흐름에 대해서만 간략히 설명한다. 프로세스 순서는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일부 단계가 서로 순서를 바꾸어 구성될 수 있다.
(S201 단계) : 서버(101)는 외부의 단말 장치(103)로 전송할 웹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에 대해서 1차로 난독화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난독화 조치가 이루어진 데이터를 생성해낸다.
(S202 단계) : 서버(101)는 난독화 조치가 이루어진 웹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에 대해서 2차로 암호화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웹 어플리케이션은 암호화된 형태로 출력된다.
(S203 단계) : 서버(101)는 위의 암호화된 웹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에 대해서 3차로 압축 절차를 수행한다.
(S204 단계) : 그 후, 서버(101)는 그 압축된 웹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단말 장치(103)로 전송한다. 서버(101)가 난독화를 수행하는 일 실시예 및 암호화를 수행하는 실시예는 [도 1]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복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웹 어플리케이션 복원을 위한 기술적 구성의 대부분은 [도 1]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프로세스의 흐름에 대해서만 간략히 설명한다. 프로세스 순서는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일부 단계가 서로 순서를 바꾸어 구성될 수 있다.
(S301 단계) : 먼저, 단말 장치(103)는 서버(10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S302 단계) : 단말 장치(103)는 서버(10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 압축을 해제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S303 단계) : 그 후, 단말 장치(103)는 데이터의 복호화를 수행하여 난독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S304 단계) : 이어서, 단말 장치(103)는 데이터의 난독을 해독하고, 이를 통해 웹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서버
111: 난독화부
121: 암호화부
131: 압축부
151: 송신부
103: 단말 장치
113: 수신부
123: 압축 해제부
133: 복호화부
143: 난독 해독부

Claims (5)

  1. 저작권 보호 시스템으로서,
    웹 어플리케이션을 난독화하여 난독화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난독화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압축하여 압축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서버(101);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한 후 암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해 복호화를 수행하여 난독화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난독화된 데이터에 대해 난독을 해독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하는 단말 장치(1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저작권 보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01)는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코드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면서 불필요한 연산을 부가하여 상기 프로그램 코드의 난독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저작권 보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01)는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동일한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또는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서로 상이한 비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저작권 보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01)는 인터넷, 인트라넷,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iTV 네트워크,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HTTP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저작권 보호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103)는 PMP, MP3 플레이어, 내비게이터, 휴대형 게임기, PDA, UMPC, 스마트 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터넷이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저작권 보호 시스템.
KR1020110082732A 2011-08-19 2011-08-19 웹 어플리케이션의 저작권 보호 시스템 KR20130020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732A KR20130020231A (ko) 2011-08-19 2011-08-19 웹 어플리케이션의 저작권 보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732A KR20130020231A (ko) 2011-08-19 2011-08-19 웹 어플리케이션의 저작권 보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231A true KR20130020231A (ko) 2013-02-27

Family

ID=47898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732A KR20130020231A (ko) 2011-08-19 2011-08-19 웹 어플리케이션의 저작권 보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02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896B1 (ko) * 2020-01-06 2021-06-30 주식회사 아미크 데이터 비식별화에 기반한 데이터 아카이빙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01631A (ko) 2020-06-30 2022-01-06 카페24 주식회사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2080547A1 (ko) * 2020-10-15 2022-04-21 주식회사 디알엠인사이드 웹 브라우저 기반 컨텐츠의 보안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896B1 (ko) * 2020-01-06 2021-06-30 주식회사 아미크 데이터 비식별화에 기반한 데이터 아카이빙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88419A (ko) * 2020-01-06 2021-07-14 주식회사 아미크 데이터의 전송 및 조회 시의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데이터 아카이빙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01631A (ko) 2020-06-30 2022-01-06 카페24 주식회사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2080547A1 (ko) * 2020-10-15 2022-04-21 주식회사 디알엠인사이드 웹 브라우저 기반 컨텐츠의 보안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6243B1 (en) Encrypted universal resource identifier (URI) based messaging
CN113364760A (zh) 一种数据加密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9785787B2 (en) Encrypting images on a client device for secure transmission and storage on a storage device
CN106599723B (zh) 一种文件加密方法及装置、文件解密方法及装置
CN107786331B (zh) 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019541B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170317823A1 (en) Zero Knowledge Encrypted File Transfer
JP2015517685A (ja) メディアデータ処理を実装する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04580086A (zh) 信息传输方法、客户端、服务器及系统
CN107302706B (zh) 图像防盗链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4602238A (zh) 一种无线网络连接方法、装置和系统
CN104243149A (zh) 加、解密方法,装置和服务器
CN104767746A (zh) 推送消息接收方法、消息推送方法、客户端及服务器
CN111431716B (zh) 数据传输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2511514A (zh) 一种http加密传输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798714B (zh) 一种基于hls的本地视频播放系统及播放方法
CN107204854A (zh) 一种基于usb‑token的数字签章方法
JP2013235465A (ja) ファイル処理システム
CN112822228A (zh) 一种基于国密算法的浏览器文件加密上传方法及系统
CN112560003A (zh) 用户权限管理方法和装置
KR20130020231A (ko) 웹 어플리케이션의 저작권 보호 시스템
CN104506530B (zh) 一种网络数据处理方法及装置、数据发送方法及装置
CN112565656B (zh) 视频通话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804058A (zh) 一种会议数据加解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3685239A (zh) 一种移动产品的实时加解密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