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118A - 센서를 이용한 광 프로브 및 광 프로브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를 이용한 광 프로브 및 광 프로브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118A
KR20130014118A KR1020110076050A KR20110076050A KR20130014118A KR 20130014118 A KR20130014118 A KR 20130014118A KR 1020110076050 A KR1020110076050 A KR 1020110076050A KR 20110076050 A KR20110076050 A KR 20110076050A KR 20130014118 A KR20130014118 A KR 20130014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vibrator
optical
converter
conver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희
강현서
김영선
박형준
임권섭
이종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76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4118A/ko
Priority to US13/476,108 priority patent/US8873121B2/en
Publication of KR2013001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3Scanning systems hav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fibres, light guides or waveguides as scann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G02F1/295Analog deflection from or in an optical waveguide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한 광 프로브 및 광 프로브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광 프로브는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의 광 경로를 변환시키는 광 변환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진동자, 진동자의 움직임을 광 변환부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 광 변환부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센서 및 위치 센서로부터 인식된 위치를 기초로 진동자를 제어하여 광 변환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 프로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광 프로브 제어 방법은 광 변환부가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의 광 경로를 변환시키는 광 변환 단계, 진동자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단계, 기계적 움직임을 광 변환부에 전달하여 상기 광 변환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조정된 광 변환부의 위치와 제어부가 설정한 위치를 비교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프로브 제어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초점 위치를 정확히 제어함으로써 광 프로브를 이용한 정밀 조사가 가능해지고, 시스템의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제작의 용이성을 높이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를 이용한 광 프로브 및 광 프로브 제어 방법{OPTICAL PROBE AND CONTROL METHOD BY USING SENSOR}
본 발명은 광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센서를 이용한 광 프로브 및 광 프로브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 프로브에 대한 기술은 다수 제안되어 왔으며, 일반적으로 광 프로브를 주사(Scanning)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즉, 광 프로브에 대한 핵심 기술이 표본에 대한 주사 기술에 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기술 개발이 중점적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이다. 주사 방식에 따른 광 프로브 제작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광섬유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반사거울(reflecting mirror)을 사용하여 광 경로를 주사거울(scanning mirror)쪽으로 전환시키며 주사거울을 미세전자기계시스템(micro electro machanical systems, MEMS) 등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광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3차원 영상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광 프로브 기술이다.
이러한 광 프로브는 주사거울만을 미세 조정함으로써 간단히 실시간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두 개의 거울을 사용하고, 이를 정렬해야 함으로써 광 정렬 및 제작 공정이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미세전자기계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므로 제작비용이 상승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광섬유에 초점렌즈(focusing lens)와 반사거울을 부착하고, 외부에서 광섬유를 전후로 움직이거나 회전을 시킴으로써 주사가 가능한 광 프로브를 제작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광 프로브는 광섬유 상에 초점렌즈와 반사거울을 부착함으로써 소형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외부에서 광섬유를 제어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미세한 제어를 필요로 하는 광 프로브의 주사과정에서 광섬유가 비틀리거나 휨에 따라 부정확한 주사 결과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왜곡된 영상이 구현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셋째, 소형 모터에 주사거울을 부착하고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주사를 진행하는 광 프로브를 제작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광 프로브는 소형 모터를 사용하여 주사를 진행함으로써 광 프로브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모터의 빠른 회전으로 인해 광 프로브 자체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부정확한 주사 결과가 야기될 수 있으며, 원형 대칭인 표본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광 프로브의 경우에는 방사각 사이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여 별도의 데이터 보정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넷째, 주사거울을 프로펠러 중심에 부착하고, 일정한 속도로 유체를 흘려줌으로써 프로펠러의 회전을 유도하고, 이로써 주사거울을 회전시킴으로써 주사를 진행시키는 광 프로브를 제작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광 프로브는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별도의 유체 공급도관을 필요로 하며, 유체의 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다섯째, 광섬유 표면을 외부 피복으로 고정하고, 광섬유 외부에 설치된 초음파 변환기를 이용하여 반사 거울을 제어함으로써 조사를 진행하는 광 프로브를 제작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광 프로브는 반사거울을 제어할 때 광섬유를 고정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고정장치가 광 프로브 내에 존재해야 하므로 제작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반사거울만을 조절하여 주사를 진행해야 하므로 반사거울의 위치에 따라 광원의 초점 깊이가 달라진다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이 기술들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광섬유로부터 발생하는 광원을 효율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조사방식의 채택에 있으며, 이는 조사거울의 위치에 따라 항상 동일한 초점 깊이(위치)를 유지해야 하며, 조사를 진행할 때 조사거울이 안정적으로 구동되어야 한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넓은 영역에 대한 실시간 영상구현이 요구됨에 따라, 조사 범위가 넓고 조사 속도가 빨라야 한다는 조건을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광 프로브의 개발이 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광 프로브와 광 프로브 제어 방법은, 조사 거울의 위치 변화에 따른 초점 위치의 유지와 실시간 영상 구현이 가능한 조사 범위와 조사 속도를 만족하는 광 프로브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의 광 경로를 변환시키는 광 변환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의 움직임을 광 변환부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 상기 광 변환부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센서; 및 상기 위치 센서로부터 인식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진동자를 제어하여 상기 광 변환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 프로브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광 변환부가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의 광 경로를 변환시키는 광 변환 단계;진동자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기계적 움직임을 광 변환부에 전달하여 상기 광 변환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조정된 광 변환부의 위치와 상기 제어부가 설정한 위치를 비교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프로브 제어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행광 렌즈를 통해 광원을 평행광으로 변환하고, 초점 렌즈, 반사부를 일체형으로 진동자에 연결한다. 진동자에 전기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조사를 구현하게 된다. 이때, 전달 부재와 결합 마운트를 이용하여 진동자의 선형 운동이 초점 렌즈 및 반사부로 전달되어 조사가 가능하며, 특히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선형 운동 위치를 정확히 제어함으로써 광 프로브를 이용한 정밀 조사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조사 과정이 안정적이므로 고품질의 영상 구현이 가능하며, 시스템의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제작의 용이성을 높이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프로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프로브의 초점 렌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프로브의 반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따른 광 프로브의 진동자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광 프로브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에서는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하여 센서를 이용한 광 프로브 및 제어 방법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광 프로브와 광프로브와 연결된 광 케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광 프로브는 평행광 렌즈(100),광 변환부(200), 전달 부재(300), 진동자(400), 위치 센서(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평행광 렌즈(100)는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을 입사받아 평행광으로 변환한다. 일 구현예로 광섬유를 통해서 평행광 렌즈로 입사받을 수 있으며, 평행광 렌즈와 접촉되는 광섬유의 말단면은 광이 광섬유 방향으로 역반사(Back-reflection)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브루스터 각(Brewster Angle)을 고려하여 APC(Angled Physical Contact)형태로 만들 수 있다.
다른 구현예로, 평행광 렌즈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사형 렌즈(Graded-Index lens), 경사형 광섬유(Graded-Index Fiber)등이 사용될 수 있다.
APC(Angled Physical Contact)란 커넥터(Connector)의 종단면이 약 8°정도 각이 진 것으로서, 단면을 약 8°정도의 경사를 두어 빛의 반사 손실을 적게 한 방식을 말한다.
경사형 광섬유(Graded-Index Fiber)는 광섬유의 코어의 굴절률이 중심에서 가장 크며 주변으로 나감에 따라 완만하게 적어진다. 빛의 속도는 굴절률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코어의 중심 부근을 지나는 빛은 전파길이는 짧고 속도는 느리다. 이에 반해 코어의 가장자리를 지나는 빛은 전파길이는 길고 속도는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광섬유에 동시에 입사된 빛은 입사각에 관계없이 출력단에 거의 동시에 도달하게 된다.
광 변환부(200)는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의 광 경로를 변환시키는 구성으로, 초점 렌즈(210), 반사부(230), 결합 마운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초점 렌즈(210)는 평형광 렌즈(100)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며, 평형광 렌즈(100)를 통과한 광의 초점 위치를 조절한다.
광 변환부(200)와 평행광 렌즈(100)의 물리적 거리가 달라짐으로 인해서 초점 렌즈를 통과한 광의 초점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초점 렌즈(210)를 평형광 렌즈(100)와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시킴으로써 초점 위치 조절부가 선형 이동을 하더라도 평형광 렌즈(100)에 대하여 영향을 주지 아니하며, 평형광 렌즈(100)에 대한 하중의 영향등을 받지 아니하므로 파손의 위험성이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로 평행광 렌즈를 통과한 광은 공기중으로 도파하여 초점 렌즈로 입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초점 렌즈(210)를 설명한다. 초점 렌즈(210)는 원통형의 유리 내부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물질을 렌즈의 위치에 따라 달리 첨가하여 굴절률을 조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원통형 유리내부의 중단부분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물질을 첨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초점 위치(f)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로 초점 렌즈(210)는 반사부(230)와의 접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원통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사형 렌즈 (Graded-Index lens), 경사형 광섬유 (Graded-Index Fiber)와 같은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여 반사부(230)를 설명한다. 반사부(230)는 초점 렌즈(210)를 통과한 광의 광 경로를 변환시킨다. 반사부(230)는 측면 조영을 위하여 말단부가 소정 각도의 경사면을 가지도록 제작된 튜브(231)와, 튜브 말단부의 경사면에 형성된 반사체면(23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부(230)의 일 구현예로 경사면이 45°경사를 가지는 튜브형 유리로 제작될 수 있으며, 광원의 파장에 대해 반사 특성을 가지도록 경사면에 반사막을 형성하는 반사체면을 가질 수 있다. 형성된 반사막을 통하여 광원의 광 경로를 90°변환시킴으로써, 측정 표본에 대한 측면 조영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부의 다른 구현예로 실리카 라드(Silica Rod) 또는 코어리스 광섬유(Coreless Optical Fiber)를 이용하여 반사체면(233)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 변환부는 결합 마운트(250)과 결합하여 전달 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 마운트(210)는 반사부(230)와 결합하여 반사부(230)를 고정시키고 전달 부재(300)가 선형 운동을 하는 경우 초점 렌즈(210) 및 반사부(230)에 움직임을 전달시킴으로써 광 프로브의 조사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결합 마운트(250)는 위치 센서(500)에 인식되어 광 변환부(200)의 위치를 제어부(600)에서 설정되는 위치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전달 부재(300)은 전달 부재의 일단에 광 변환부(200)을 결합시키고, 전달부재의 타단에 진동자(400)을 결합하여 진동자(400)의 움직임을 광 변환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전달 부재(300)의 일 구현예로 전달 부재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라드(Rod)로 구현될 수 있다.
전달 부재(300)는 전달 부재의 타단에 진동자(400)가 결합하여 진동자가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좌우로 선형운동하는 경우, 광 변환부(200)에 대하여 움직임을 전달함으로써, 초점 렌즈(210) 및 반사부(230)를 좌우로 선형 운동시킨다.
진동자(400)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전달 부재(300)를 좌우로 선형 운동시키는 기계적 운동을 하는 기능을 가진다. 진동자(400)에 입력되는 신호는 초음파 대역의 전기적 신호일 수 있으며, 진동자는 탄성 소자(410)와 압전 소자(43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자(400)의 일 구현 예로, 진동자는 초음파 선형 운동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초음파 선형 운동자의 경우, 선형 운동의 속도가 35㎜/s 이상으로 빠르고 선형 운동의 범위가 15㎜이상으로서 실시간 영상구현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압전(Piezoelectric) 소자는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기계적 변형을 하는 소자를 의미하며 기계, 전기 양 에너지간의 상호 교환에 사용된다. 일 구현 예로 압전 세라믹(Piezoelectric Ceramic)을 이용하여 압전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진동자(400)는 탄성 소자(410)를 중심으로, 압전 소자(430)를 부착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따라 압전 소자(430)는 탄성 소자(410)를 중심으로 좌우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여 진동자(400)과 광 변환부(200)의 일 구현 예를 설명하면, 전기적 신호가 진동자(400)에 입력되는 경우 진동자의 전후 표면에 부착된 압전 소자(430)에 입력되는 경우, 도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430)의 표면이 팽창하여 진동자(400)는 기계적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진동자(400)의 좌우 표면이 팽창하게 되는 경우 도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자(400)와 연결된 진동자 라드(300)가 좌우로 선형 운동을 하게 된다.
위치 센서(500)는 광 결합부(200)의 위치를 인식하고, 제어부(600)에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 예로 위치 센서(500)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 신호는 전선을 통해 제어부(6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600)은 위치 센서(500)에서 인식한 광 변환부(200)의 위치와 제어부에서 설정한 광 변환부의 위치가 대응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진동자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어 상기 광 변환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프로브.
광 변환부(200)의 위치와 제어부(600)에서 설정되는 위치가 대응되는지 여부의 판단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어부에서 진동자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어 광 변환부(200)의 위치를 조정한다. 위치 센서(500)는 광 변환부(200)와 결합된 결합 마운트(250)의 위치를 인식하여, 제어부에 인식된 위치를 전달한다. 제어부는 인식된 위치가 사용자가 설정한 임계치를 벗어난 경우에는 진동자(400)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여 전달 부재(300)을 통하여 결합 마운트(25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광 변환부(200)의 위치를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해석해서는 안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광 프로브 제어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광 변환 단계(S100)에서 광 변환부는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을 평행광 렌즈를 이용하여 평행광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평행광은 초점 렌즈(210)로 입사시킨다. 광 변환부는 입사된 평행광에 대하여 초점 렌즈의 위치 조절을 통해 광의 초점의 위치를 조정하고, 반사부를 이용하여 광 경로를 변환시킨다.
진동자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단계(S200)는 진동자가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전기적 신호에 대응되는 정도로 팽창 또는 수축등의 기계적 움직임을 한다.
광 초점 위치 조정 단계(S300)에서 진동자로부터 발생한 기계적 움직임을 광 변환부에 전달하여 광 변환부의 위치를 좌우 선형 이동시킴으로써 광 변환부의 위치를 조정한다. 광 변환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광의 초점 위치를 조정한다.
광 초점 위치 확인 단계(S400)은 제어부가 광 변환부의 위치를 인식하고 제어부가 설정한 위치와 비교하여 목적하는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광의 초점 위치는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어부에 설정한 위치에 대한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목적하는 위치에 있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인식된 광 변환부의 위치가 제어부가 설정한 위치의 오차 범위를 넘어가는 경우 진동자에 제어 신호를 보내어 광 변환부를 재조정한다.(S45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 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평행광 렌즈 200: 광 변환부
210: 초점 렌즈 230: 반사부
231: 튜브 233: 반사체면
250: 결합 마운트 300: 전달 부재
400: 진동자 410: 탄성 소자
430: 압전 소자 500: 위치 센서
600: 제어부
S100: 광 변환 단계
S200: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움직임으로 변환하는단계
S300: 초점 위치 조정 단계
S400: 초점 위치 확인 단계
S450: 광 변환부 재조정 단계

Claims (12)

  1.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의 광 경로를 변환시키는 광 변환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의 움직임을 광 변환부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
    상기 광 변환부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센서; 및
    상기 위치 센서로부터 인식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진동자를 제어하여 상기 광 변환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 프로브.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변환부는 상기 광을 굴절시키는 초점 렌즈; 및
    상기 초점 렌즈를 통과한 광의 광 경로를 변환 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광 변환부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프로브.
  3. 제2 항에 있어서, 광 변환부는 결합 마운트와 결합하여 전달 부재에 고정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프로브.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광 변환부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에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프로브.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센서에서 인식한 광 변환부의 위치와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한 광 변환부의 위치가 대응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진동자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어 상기 광 변환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프로브.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렌즈는
    광을 굴절률을 조절하기 위하여 선택된 매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프로브.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측면 조영을 위하여 말단부가 소정 각도의 경사면을 갖도록 제작된 튜브; 및
    상기 튜브의 말단부의 경사면에 형성된 반사체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프로브.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탄성 소자(Elastic Material); 및
    상기 탄성 소자에 부착되고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표면의 팽창/수축의 변형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전(Piezoelectric)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프로브.
  9. 제1 항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하여 상기 광 굴절부로 입사시키는 평행광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광 프로브.
  10. 광 변환부가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의 광 경로를 변환시키는 광 변환 단계;
    진동자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기계적 움직임을 광 변환부에 전달하여 상기 광 변환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조정된 광 변환부의 위치와 상기 제어부가 설정한 위치를 비교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프로브 제어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진동자의 기계적 움직임을 상기 광 변환부에 전달하여 상기 광 변환부의 위치를 좌우로 선형 이동시킴으로써 광 변환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프로브 제어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광의 초점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상기 광 변환부의 위치를 인식하고 제어부가 설정한 위치의 오차 범위를 넘어가는 경우 진동자에 신호를 보내어 제어함으로써 광 변환부를 재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프로브 제어 방법.
KR1020110076050A 2011-07-29 2011-07-29 센서를 이용한 광 프로브 및 광 프로브 제어 방법 KR20130014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050A KR20130014118A (ko) 2011-07-29 2011-07-29 센서를 이용한 광 프로브 및 광 프로브 제어 방법
US13/476,108 US8873121B2 (en) 2011-07-29 2012-05-21 Optical probe using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050A KR20130014118A (ko) 2011-07-29 2011-07-29 센서를 이용한 광 프로브 및 광 프로브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118A true KR20130014118A (ko) 2013-02-07

Family

ID=4759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050A KR20130014118A (ko) 2011-07-29 2011-07-29 센서를 이용한 광 프로브 및 광 프로브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73121B2 (ko)
KR (1) KR201300141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8157A1 (en) 2015-02-27 2016-09-01 Hycor Biomedical, L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uspending and washing the contents of a plurality of cuvettes
TWI766942B (zh) 2017-02-13 2022-06-11 美商海科生醫有限責任公司 透過利用瞬態和穩態間隔振動移液管來混合流體或介質的設備和方法
US11231783B2 (en) * 2019-08-12 2022-01-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otactile sens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4087B1 (en) * 1991-04-29 2003-05-1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Fiber optic needle probes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ing
US7435941B2 (en) 2003-03-14 2008-10-14 Inphase Technologies, Inc. Methods for measuring optical characteristics by differential diffractive scanning
JP4545696B2 (ja) 2005-09-30 2010-09-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プローブ
US20090203991A1 (en) 2006-04-21 2009-08-13 Cedars-Sinai Medical Center Multiple imaging and/or spectroscopic modality probe
US7952718B2 (en) 2007-05-03 2011-05-31 University Of Washington High resoluti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based imaging for intraluminal and interstitial use implemented with a reduced form f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27760A1 (en) 2013-01-31
US8873121B2 (en) 201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7885B2 (en) Stub lens assemblies for use 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ystems
US8254417B2 (en) Fiber laser system with controllably alignable optical components thereof
JP4751471B2 (ja) 構成要素、サブアセンブリおよびアセンブリを自己整合する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8861900B2 (en) Probe optical assemblies and probes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US20090052849A1 (en) Optical fiber probe for side imag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797922B2 (en) Scanning probe microscope head design
WO1993010474A1 (en) Active alignment system for laser to fiber coupling
US8857220B2 (en) Methods of making a stub lens element and assemblies using same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pplications
US9366695B2 (en) Scanning probe microscope head design
KR20130014118A (ko) 센서를 이용한 광 프로브 및 광 프로브 제어 방법
JP2022503790A (ja) 光線偏向器を有する光学デバイス
US20060280421A1 (en) Variable light attenuator
KR20000067535A (ko) 광소자모듈
RU232807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вухсторонней оптической связи
JP2016114658A (ja) 光通信装置、及び光通信装置の製造方法
KR101346351B1 (ko) 광섬유 캔틸레버를 이용한 광학 스캔장치
JP6762392B2 (ja) 光通信装置、及び光通信装置の製造方法
US10101546B2 (en) Optica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optical module
JP3327760B2 (ja) 光走査装置及び該装置のレンズ組立方法
KR101758021B1 (ko) 가스 센서
US20150099961A1 (en) Photo-acoustic probe for clinical image
JP2015055788A (ja) 光伝送路の位置合わせ方法、位置合わせ装置、及び位置合わせプログラム
US11394461B2 (en) Free space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ctuator system and optical relay system
US20120081771A1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laser pointer
JP2005086569A (ja) 光通信用光学装置の角度調節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