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078A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phon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078A
KR20130014078A KR1020110075640A KR20110075640A KR20130014078A KR 20130014078 A KR20130014078 A KR 20130014078A KR 1020110075640 A KR1020110075640 A KR 1020110075640A KR 20110075640 A KR20110075640 A KR 20110075640A KR 20130014078 A KR20130014078 A KR 20130014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or phone
door
phone system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79106B1 (en
Inventor
유인목
변정수
Original Assignee
롯데건설 주식회사
테크노빌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건설 주식회사, 테크노빌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5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106B1/en
Publication of KR20130014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0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1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PURPOSE: A door phon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randomly arrange number buttons for inputting passwords for releasing a door lock on different positions every time a door phone is operated. CONSTITUTION: A door phone includes a video processor(460), a memory(463), and a touch panel(462). The video processor processes an image taken by a camera unit and an image outputted to a display unit. The memory stores data related to the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The touch panel receives a touch signal of a user. The display unit displays a 10 key image for receiving a password for releasing a locking unit on a side of the display unit. [Reference numerals] (411) Storage unit; (420) Communication unit; (430) Locking unit; (431) Locking drive unit; (440) Door handle unit; (441) Switch unit; (451) Detection sensor unit; (452) Camera unit; (453) RF card reader unit; (463) Memory; (AA) Voice; (BB) Image; (CC) Power supply

Description

도어폰 시스템 및 제어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phone}Door phone system and control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phone}

본 발명은 도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의 현관문 등에 구비되는 도어록 시스템에 터치 패널을 구비하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이 구동될 때마다 랜덤키로 표출되도록 하여 비밀번호가 반복적으로 입력된다 하더라도 지문이 동일 위치에 남지 않도록 하고 열 또는 광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외부인이 접근시 도어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증을 위한 화면 등이 표시되도록 하고 출입문의 도어 핸들에 스위치를 구비하여 안티 패닉, 세이프 핸들 및 2중 잠금 기능을 스위치의 구동에 의해서 조절하도록 하며 도어록 시스템이 외출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 실내의 불필요한 전원 장치에 대한 전원 차단과 가스밸브의 차단 및 엘리베이터 호출 기능이 포함된 도어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phon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a touch panel is provided in a door lock system provided in a front door of a home, and the password is repeatedly displayed by a random key whenever a screen for inputting a password is driven. Even if it is inputted, the fingerprint does not remain in the same position, and the heat or light sensor is provided so that the screen for authentic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door phone when an outsider approaches, and the switch is provided on the door handle of the door. Anti-panic, safe handle and double lock functions are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and the power cut off for unnecessary power supply in the room, gas valve shut off and elevator call function when the door lock system is set to go out mode. A door phon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현재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인터폰이나 비디오폰과 같은 비디오 도어폰을 댁내에 설치하고 있고, 출입문 사용편의를 위해서 도어록을 선택적으로 추가 설치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어록에는 비밀번호 입력방식, 지문인식, 홍채인식, 음성인식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고, 현재까지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인 디지털 도어록이나 카드키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다른 방식과 겸용한 겸용방식도 보급되고 있다.Currently, most homes have video door phones, such as interphones and video phones, installed in the home, and door locks are selectively installed for convenience of access doors. There are various types of door locks such as password input method, fingerprint recognition, iris recognition, voice recognition, etc. Until now, digital door lock or card key, which is a method of inputting a password, has become the mainstream, and also a combination method with other methods It is becoming.

일 예로 도 1은 한국공개특허2005-0104095호에 개시된 지문인식 및 지문, 영상, 음성 저장과 외부 유무선 다중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복합기능 도어용 비디오 폰 및 도어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 평소에는 지문을 중심으로 방문자를 확인하고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되 동시에 음성, 영상 정보를 실시간 및 다중으로 확인 저장하여 실시간으로 외부의 침입자가 무단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후에는 방문 사실확인이 가능한 보안 방범 시스템으로서 사람이 없는 부재중에도 방문객과 휴대폰의 음성, 화상 송수신 기능을 이용한 양방향 통화나 무선이나 인터넷 등의 다중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데이터 통신으로 장소에 관계 없이 집이나 사무실의 상황을 외부에서 원격으로 확인하고 도어를 개폐 작동하므로서 방문객의 출입을 확인 통제할 수 있으며, 한정된 메모리 장치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데이터 저장 장치의 교환 및 데이터 업데이트 기능 등 메모리 확장 기능의 부가로 등록되지 않은 지문도 영상, 음성과 함께 저장할 수 있어서 완벽한 보안 및 방범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지문인식 및 지문, 영상, 음성 저장과 외부 유무선 다중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For example, Figure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ideo phone and door key system for a multi-function door capable of fingerprint recognition and fingerprint, image, voice storage and external wired and wireless multi-data communication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0104095. This is a security security system that checks and saves visitors and saves voice and video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multiplely to prevent unauthorized intruders from entering in real time. Two-way calls using the voice and video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s of the visitor and the mobile phone or various data communication using multiple media such as wireless or internet even when there are no people, remotely checks the situation of home or office from outside 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visitors can check and control access. In addition, by adding memory expansion functions such as data storage device exchange and data update function to efficiently use a limited memory device, unregistered fingerprints can be stored together with video and audio for a complete security and security system. It enables recognition and fingerprint, video, audio storage and external wired and wireless multiple data communication.

다른 예로 도 2는 한국등록특허 10-0711214호에 개시된 도어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 디지털 도어락의 건전지 교환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댁내에서 방문자 영상확인, 통화기능, 충전지 교체시기 통보 기능을 탑재하며, 디지털 도어락 출입문의 현재 상태확인 및 원격제어(원격 방문자 확인 및 통화기능, 원격 문열림, 원격 비밀번호 변경, 원격 충전지교체시기 통보기능)가 가능하도록 한다.As another example, Figure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gital door lock system using a door phone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11214, which can solve the inconvenience of replacing the battery of the digital door lock, visitor image confirmation, call function, It is equipped with the function to notify the time to replace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the digital door lock door and remote control (remote visitor check and call function, remote door open, remote password change, remote battery change time notification function).

또 다른 예로 도 3은 한국공개특허 2009-0090287호에 개시된 비디오 도어폰과 연동된 얼굴인식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 도어록을 도어의 잠김/열림을 제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현재 가정에서 사용되는 비디오 도어폰과 연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출입문 손잡이 위치에 장착되어, 외부 출입자를 감지하는 적외선감지부(12)와, 적외선에 감지된 출입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4)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서 입력된 얼굴을 검출하는 얼굴인식부(13)와, 사용자의 얼굴 인증 안내를 위한 적/녹색 표시등(16)과,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하여 숫자(1~0), 기능키로 된 키패드(17a)와 문자스크린(17b)을 구비한 키패드부(17)와, 도어의 열림/닫힘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8)와, 도어록(10)의 동작상태 및 출입문 개폐상태에 대한 음성정보가 출력되는 스피커(19)와, 통신모듈/안테나(50) 및 리모컨(70)과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20)와, 도어오픈모터(23)를 작동시켜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개폐구동부(22)와, 도어 실내 일측에 위치하여 수동으로 도어록(10)을 잠금상태 또는 열림상태로 절환 시키는 개폐작동수단(24)과, 상기 도어록(10)의 구동을 위한 기본 메모리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부(25)와, 비밀번호와 사용자의 얼굴인식정보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부(26)와, 방문자의 얼굴인식정보를 저장하는 제3메모리부(27)와, 도어 실내 일측에 충전용 배터리가 장착되어 도어록(10) 전체 기기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28)와,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11)를 구비하는 도어록(10)과; 실외의 일측에 장착되어 방문자의 얼굴을 확인하기 위한 카메라와, 방문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와, 방문 시 내부인의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와, 방문자가 방문을 알릴 때 사용하는 초인종 등을 구비하며, 하기 실내기(4)와 유선으로 연결된 실외기(6)와; 실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록(10)에서 촬영된 출입자의 얼굴영상과 상기 실외기(6)에서 촬영된 방문자의 얼굴영상을 화면 출력시키는 모니터와, 방문자와 통화를 할 수 있는 송수화기와, 도어의 열림을 제어하는 열림 버튼과, 방문자와의 음성을 출력시키는 스피커 등을 구비하는 실내기(4)와; 상기 실내기(4)와 커넥터(56)로 연결되어 도어록(10) 및 리모컨(70)과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53)와, 상기 안테나(53)를 통해서 상기 도어록(10)으로부터 얼굴영상정보 및 경보음발생 명령정보를 수신하고, 리모컨(70)과 음성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RF모듈(52)과, 수신된 얼굴영상 및 명령/음성 정보를 커넥터(56)를 통해 상기 실내기(4)에 송신하고, 상기 실내기(4)로부터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RF모듈(52)로 보내는 유선통신모듈(55)과, 상기 RF모듈(52), 유선통신모듈(55)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주제어부(51)와, 상기 실내기(4)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정보와 상기 도어록(10)/리모컨(70)으로부터 수신되는 얼굴영상/명령/음성 정보를 상기 주제어부(51)의 제어에 따라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54)를 구비하는 통신모듈/안테나(50)와; 실외의 방문자와 무선으로 통화를 할 수 있는 마이크(72a)/스피커(72b)와, 상기 마이크/스피커(72a/72b)와 각각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로 변환하는 음성코덱(72)과, 안테나(73a)를 통해 무선으로 명령정보를 도어록(10)에 송신하고, 통신모듈/안테나(50)와 음성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73)과, 무선으로 도어록의 열림을 제어 할 수 있는 열림 버튼(74)과, 작동 조작이 가능한 ON/OFF버튼(75)과, 통화 개시를 위한 통화버튼(76)과, 각종 송수신 데이터가 일시 저장되는 메모리(77)와, 전체 기기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수납부(미도시)와, 모든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리모컨제어부(71)를 구비하는 휴대용 리모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another example, FIG.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ace recognition digital door lock system interlocked with a video door phon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0090287. The door lock is not only used to control the locking / opening of the door but is currently used in homes. It is mounted at the door handle position so that i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video door phone, the infrared detection unit 12 for detecting an external person, the camera unit 14 for photographing the face of the person detected in the infrared, and through the camera A face recognition unit 13 for detecting an input face, a red / green indicator light 16 for guiding a user's face authentication, and a keypad 17a with numbers 1 to 0 and function keys for inputting a password. And a keypad unit 17 having a character screen 17b, a detection sensor 18 for detecting the opening / closing of the door,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voice information regard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door lock 10 and the door opening / closing state. ( 19),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0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 antenna 50 and the remote controller 70, and the door open / close drive unit 2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operating the door open motor 23. ),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means 24 for manually switching the door lock 10 to the locked state or the open state located on one side of the door interior, and a first memory unit for storing a basic memory for driving the door lock 10. 25, a second memory unit 26 for storing a password and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 third memory unit 27 for storing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visitor, and a rechargeable battery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oor. A door lock 10 having a power supply device 28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entire door lock 10 and a control unit 11 for overall control; It is equipped on one side of the outdoor and has a camera for checking the visitor's face, a microphone for inputting the visitor's voice,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voice of the insider when visiting, and a doorbell used when the visitor announces the visit. An outdoor unit 6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4 by wire; A monitor mounted on one side of the room and outputting a face image of the visitor photographed by the door lock 10 and a face image of the visitor photographed by the outdoor unit 6, a handset capable of talking with the visitor, and a door An indoor unit (4) having an opening button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to the visitor, and the like; The indoor unit 4 and the connector 56 are connected to the door lock 10 and the remote control 70 and the antenna 53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d the face image information and alarm from the door lock 10 through the antenna 53 Receives sound generation comman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F module 52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information with the remote control 70, and the received face image and command / voice information to the indoor unit 4 through the connector 56 The main controller 51 control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55 and the RF module 52 and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55 which receive voice information from the indoor unit 4 and transmit the received voice information to the RF module 52. And a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door unit 4 and facial image / command / 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oor lock 10 / remote control 70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51 ( A communication module / antenna 50 having 54); A microphone 72a / speaker 72b capable of talking wirelessly with an outdoor visitor, and a voice codec 72 connected to the microphones / speakers 72a / 72b, respectively, to convert an audio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o analog or digita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73 for wirelessly transmitting command information to the door lock 10 through the antenna 73a,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informa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 antenna 50, and wirelessly opening the door lock. An open button 74 that can be controlled, an ON / OFF button 75 that can be operated, a call button 76 for starting a call, a memory 77 that temporarily stores various transmission / reception data, and all devices It includes a battery storage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the driving power of the portable remote control 70 having a remote control unit 71 for controlling all the components.

그런데 상기에서 예시한 것을 포함한 종래 기술은 도어록에 비밀번호가 설정되는 경우 버튼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도어록을 해제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고정된 버튼이 반복해서 눌려지게 되므로 지문이 특정 버튼에만 남게 되어 제3자가 버튼에 남아있는 지문을 채취하는 경우 비밀번호에 사용되는 버튼을 알게 되어 보안상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By the way, in the prior art, including the above example, when the password is set in the door lock, the button is fixed, so when the password is input to release the door lock, the fixed button is repeatedly pressed, so that the fingerprint remains only on a specific button. If the third party takes the fingerprints remaining on the button, there is a security problem to know the button used for the password.

한편 도어록의 경우, 도어록의 잠금 상태를 이중으로 하기 위해 도어의 핸들에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잠금 장치가 더 구비되는데 비상 상황의 경우 사용자가 도어 핸들이 잠금 장치가 잠금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기억하지 못하여 도어 핸들을 돌려 문을 열려고 해도 문이 열리지 않아 당황하게 되고 특히 어린이의 경우 문이 열리지 않음으로 인해 패닉 상태에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door lock, in order to double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the handle of the door is further provided with a manually operated locking device.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user cannot remember that the door handle is set to lock the door. Even if the door is opened by turning the handle, the door does not open and it is embarrassing. In particular, a child may be in a panic state due to the door not opening.

이외에도 통상 도어록 시스템에는 건전지에 의해 구동되므로 건전지가 방전되는 경우 도어록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oor lock system is driven by a battery in gener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oor lock does not operate normally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이외에도 사용자가 외출 중이거나 외출하고자 도어록을 외출 설정하고 엘리베이터를 조작하여 엘리베이터를 대기하는 등의 경우 사용자가 외출함에 따라 불필요하게 작동되고 있는 전원(예: 조명, TV, 등)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도어록을 해제하고 실내로 들어가야 하며 이때 엘리베이터가 도착하였으나 탑승하지 못하여 다시 엘리베이터를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s going out or wants to go out, the door lock is set out and the elevator is operated to wait for the elevator.If the user wants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unnecessary power supply (eg, lighting, TV, etc.) as the user goes o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oor lock again to enter the interior and the elevator arrives but cannot wait to wait for the elevator again.

아파트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경우 외출을 하기 위해서는 통상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게 되는데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현관문을 닫은 후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의 승하강 버튼을 눌려야만 해당층에 엘리베이터가 도착하게 되는데, 이 경우 불필요하게 시간이 소모되어 최대한 빠른 시간에 엘리베이터가 도착되도록 하는 요구가 있어 왔다.The user who lives in the apartment usually uses an elevator to go out. To use the elevator, the elevator arrives on the floor only by closing the front door and pressing the lift button on the elevator operation panel. There has been a demand for time-consuming and elevator arrivals as soon as possi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요구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가정의 현관문 등에 구비되는 도어록 시스템에 터치 패널을 구비하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이 구동될 때마다 랜덤키로 표출되도록 하여 비밀번호가 반복적으로 입력된다 하더라도 지문이 동일 위치에 남지 않도록 하고 열 또는 광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외부인이 접근시 도어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증을 위한 화면 등이 표시되도록 하고 출입문의 도어 핸들에 스위치를 구비하여 안티 패닉, 세이프 핸들 및 2중 잠금 기능을 스위치의 구동에 의해서 조절하도록 하며 도어록 시스템이 외출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 실내의 불필요한 전원 장치에 대한 전원 차단과 가스밸브의 차단 및 엘리베이터 호출 기능이 포함된 도어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requirements, the door lock system provided in the front door of the home, etc., but the touch panel to display the password every time the password input screen is driven so that the password is Even if it is repeatedly input, the fingerprint does not remain in the same position, and a heat or light sensor is provided so that a screen for authentic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door phone when an outsider approaches, and a switch is provided on the door handle of the door. Anti-panic, safe handle and double lock functions can be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and when the door lock system is set to go out mode, power cut off for unnecessary power supply in the room, gas valve shut off and elevator call function are inclu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phon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 시스템은, 감지 센서부, 카메라부, RF카드 리더부, 락킹부, 통신부, 도어폰에 구비된 장치를 제어하는 도어폰 제어부, 출입문의 외측에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터치패널부 및 출입문의 내측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락킹부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해제하는 도어핸들부가 포함되는 도어폰과 실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폰의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월패드를 포함하며,Door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oor sens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evice provided in the detection sensor unit, camera unit, RF card reader unit, locking unit, communication unit, door phone, the outside of the door The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predetermined image on the touch panel unit and a touch panel unit for receiving a touch input signal from the user and a door handle unit whi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door and releases the locking unit by a user's operation. Installed on one side and includes a wall pa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door phone,

상기 도어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비디오 프로세서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패널부가 더 구비되며,The door phone includes a video processor for processing an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and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a memory unit storing data related to the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and a user's touch signal. The touch panel unit for receiving the input is further provided,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락킹부의 락킹을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10key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10key값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시마다 랜덤하게 변경되며,In the display unit, a 10key image for receiving a password for unlocking the locking unit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10key value is randomly changed at every hour of the display unit.

상기 랜덤하게 변경되는 10key값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랜덤함수발생기에 의해 생성된 랜덤값에 의해 각 키값이 변경되고,Each key value of the randomly changed 10key value is changed by a random value generated by a random function generator stored in the memory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콜버튼 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상기 콜버튼 메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터치패널부가 소정시간 미만 터치되는 경우 상기 도어폰 제어부는 상기 월패드에 출입자가 접근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In the display unit, a call button menu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panel unit for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button menu, the door phone controller indicates that an accessor has access to the wall pad. Send an informing signal,

상기 콜버튼 메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터치패널부가 소정시간 이상 터치되는 경우 상기 도어폰 제어부가 상기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되도록 하며, 상기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월패드는 엘리베이터 관리부에 해당층에 엘리베이터가 도착하도록 엘리베이터 호출신호를 출력하고, 댁내 전원관리부에 미리 정해진 전원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며, 가스공급이 차단되도록 가스밸브 구동부에 가스밸브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When the touch panel part is touch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button menu, the door phone controller causes the door phone system to be set to the outing mode, and the wall pad when the door phone system is set to the outing mode. Outputs an elevator call signal to the elevator management unit to arrive at the floor on the corresponding floor, cuts off power supply to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unit in the home power management unit, and outputs a gas valve driving signal to the gas valve driving unit so that the gas supply is cut off. do.

또한 상기 콜버튼 메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터치패널부가 소정시간 이상 터치되는 경우 상기 도어폰 제어부가 상기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소정의 위치에 전원 설정 메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장치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touch panel unit is touch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button menu, the door phone control unit sets the door phone system to the outing mode, and a power setting menu is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select the power supply is supplied with power.

한편 상기 도어핸들부의 일측에는 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도어폰 제어부는 도어폰 시스템이 재실모드로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도어폰 제어부는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door handle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witch so that when the switch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door phone control unit to set the door phone system in the room mode, and when the switch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door phone control unit The door phone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 to go out mode.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센서부, 카메라부, RF카드 리더부, 락킹부, 통신부, 도어폰에 구비된 장치를 제어하는 도어폰 제어부, 출입문의 외측에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터치패널부 및 출입문의 내측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락킹부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해제하는 도어핸들부가 포함되는 도어폰과 실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폰의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월패드를 포함하는 도어폰 시스템의 제어방법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ensor unit, the camera unit, the RF card reader unit, the locking unit, the communication unit, the door phon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evice provided in the door phone, a predetermined image on the outside of the door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phone and a room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d a touch panel unit for receiving a touch input signal from the user and a door handle unit for releasing the locking unit by a user's opera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door phone system including a wall pa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door phone,

상기 감지 센서부로부터 감지 센서를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 detection sensor from the detection sensor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콜버튼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call button menu on the display unit;

상기 콜버튼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서 상기 터치패널부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 touch input signal of a user through the touch panel unit at a position where the call button menu is displayed;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랜덤 10key의 인증번호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터치패널부를 터치하여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단계;Displaying an authentication number of a random 10 key on the display unit and a user inputting an authentication number by touching a touch panel unit;

상기 인증번호가 승인된 경우 상기 락킹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the authentication number is approv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unit.

한편 상기 콜버튼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서 상기 터치패널부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에서,Meanwhile, in the step of receiving a user's touch input signal through the touch panel unit at the position where the call button menu is displayed,

사용자가 터치패널부를 터치하는 시간이 소정시간 미만인 경우, 랜덤 10key의 인증번호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터치패널부를 터치하여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로 진입하고,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panel unit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authentication number of the random 10 key is displayed and the user enters the step of inputting the authentication number by touching the touch panel unit.

사용자가 터치패널부를 터치하는 시간이 소정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폰 제어부는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로 진입하도록 한다.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panel unit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door phone control unit enters the door phone system to set the outing mode.

또한 상기 콜버튼 메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터치패널부가 소정시간 이상 터치되는 경우 상기 도어폰 제어부가 상기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소정의 위치에 전원 설정 메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장치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touch panel unit is touch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button menu, the door phone control unit sets the door phone system to the outing mode, and a power setting menu is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select the power supply is supplied with power.

다른 한편으로 상기 락킹부의 잠금 상태 해제 이후 임의의 시점에서 도어핸들부에 구비된 스위치 상태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도어폰 제어부는 도어폰 시스템이 재실모드로 설정되도록 하고, 스위치 상태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도어폰 제어부는 도어폰 시스템이 재실모드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ate of the switch provided in the door handle part is in the first position at any time after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art is released, the door phone control unit causes the door phone system to be set to the occupancy mode, and the switch state is When in the 2 position, the door phon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phone system is set to the room mode.

상기 재실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도어폰 제어부는 도어폰 시스템에 구비된 이중잠금장치, 안티패닉 모드가 활성화되고 세이프 핸들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하며, 외출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이중잠금장치, 안티패닉 모드가 비활성화되고 세이프 핸들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the door phone control unit is set to the occupant mode, the door lock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double lock device, an anti-panic mode is activated and the safe handle function is deactivated, and when set to go out mode, the double lock device, anti-panic mode is deactivated. And the safe handle function is activat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은, 도어록을 해제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숫자 버튼이 도어폰이 구동될 때마다 서로 다른 위치에 랜덤하게 배열되므로 비밀번호가 눌려지는 위치가 매번 바뀌므로 제3자에게 비밀번호가 노출되지 않으며, 도어 핸들에 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안티패닉, 세이프 핸들 및 이중 잠금 장치가 가능하게 되고, 스위치 또는 도어폰의 시스템의 콜버튼을 이용하여 외출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엘비베이터를 월패드를 통해 호출하여 엘리베이터가 최대한 빨리 해당층에 도착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전원이 요구되는 최소한의 장치를 제외한 전원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절전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가스 밸브를 차단하므로 화재를 예방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Door phone system a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number button for receiving a password input to release the door lock is randomly arranged in different positions every time the door phone is driven, the password is pressed Since the location is changed every time, the password is not exposed to third parties, and a switch is further provided on the door handle to enable anti-panic, safe handle and double locking devices, and by using a call button of the switch or the door phone system. When set to go out mode, the elevator is called through the wall pad so that the elevator arrives at the floor as soon as possible, thereby minimizing the waiting time for the user to use the elevator.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It can save power and shut off the gas valve to prevent fir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합기능 도어용 비디오 폰 및 도어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과 연동된 얼굴인식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 시스템에서 실내 전원, 가스밸브 및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 시스템 제어방법의 절차도이다.
도 7은 보 발명에 따른 도어폰 시스템에서 외출모드 설정에 따른 실내 전원, 가스밸브 및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절차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 시스템에서 락킹 스위치의 상태에 따른 도어폰 모드 설정에 관한 일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 시스템에서 비밀번호 입력화면이 사용시마다 변경되는 일 예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ideo phone and door key system for a multi-functional do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gital door lock system using a door 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ace recognition digital door lock system interlocked with a video door 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oor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for driving an indoor power source, a gas valve and an elevator in the door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door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rocedure of controlling the indoor power, gas valve and elevator according to the outgoing mode setting in the door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of setting the door phone mod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locking switch in the door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ample in which the password input screen is changed every time in the door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공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또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known configurations or obvious matter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 시스템에서 실내 전원, 가스밸브 및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oor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for driving an indoor power source, a gas valve, and an elevator in the door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되는 월패드, 출입문의 외부에 설치되는 도어폰(51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door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l pad installed indoors and a door phone 510 installed outside the door.

상기 월패드는 월패드 전체를 제어하는 월패드 제어부(530)와 도어폰에서 전달되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출력부(532)와 음향이 출력되는 음향출력부(531)가 포함되어 있으며, 인터페이스부(533)가 구비되어 있어 엘리베이터 관리부(534)에 엘리베이터(540) 구동하는 신호를 전달하고, 전원관리부(535)에 댁내 전원 장치(55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전원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가스밸브 구동부(536)에 가스밸브(560)를 폐쇄하도록 하는 가스 밸브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The wall pad includes a wall pad controller 530 for controlling the entire wall pad, an image output unit 532 for display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door phone, and an audio output unit 531 for outputting sound. 533 is provided to transmit a signal for driving the elevator 540 to the elevator management unit 534, and outputs a power control signal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home power supply unit 550 to the power management unit 535, gas valve The gas valve control signal for closing the gas valve 560 is output to the driving unit 536.

또한 월패드 내부 설정 등을 사용자가 가변할 수 있도록 입력부(537)가 더 포함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통상 상기 월패드에는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화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는 공지의 기술이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 구성이 아니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537 is further included to allow the user to change the internal setting of the wall pad,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wall pad is generally provided with a device for enabling a telephone call. The apparatus for making a phone call is a well-known technique and is not a main component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도어폰(51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폰 전체를 제어하는 도어폰 제어부(410), 월패드와 음향 및 영상을 송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 월패드와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420), 상용전원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부, 도어폰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411), 현관문의 외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 패널부(462),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61),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비디오 프로세서부(460),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부(460)의 설정 정보 내지는 비디오 신호를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부(463), 현관문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락킹부(430), 현관문의 실내측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락킹부를 구동하는 도어 핸들부(440), 상기 도어 핸들부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상기 도어 핸들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부(441), 현관문의 실외측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물의 접근을 인지하는 감지 센서부(451), 현관문의 실외측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실외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부(452), 미리 등록된 번호의 RF카드에 대해 상기 락킹부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설정된 RF카드 리더부(4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door phone 510 transmits / receives a control signal with a wall signal controller 410 for controlling the entire door phone, a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ound and an image with a wall pad, and a wall pad. A communication unit 420 to receive driving power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a power unit for converting into a predetermined DC voltage, a storage unit 411 for storing door phone setting information, and installed outside the front door to input a user's touch input signal. A touch panel unit 462 for receiving, a display unit 461 for displaying an image, a video processor unit 460 for processing an image signal, and a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setting information or a video signal of the video processor unit 460 Part 463, the locking unit 430 to open or close the front door, the door handle 440 is installed on the interior side of the front door to drive the locking unit by the user's operation, A switch unit 44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oor handle unit 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oor handle unit, a sensor unit 45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utdoor side of the front door to recognize an approach of an object, and the other of the outdoor side of the front door. The camera unit 452 is installed at one side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n RF card reader 453 configured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locking unit with respect to an RF card of a pre-registered numb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 시스템의 동작원리를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door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먼저 사용자가 실외에서 실내로 이동하는 경우의 도어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실외에서 실내로 이동하는 경우 잠금되어 있는 락킹부(430)를 해제하여 출입문을 개방하게 된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door phone system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outdoor to the indoor will open the door by releasing the locked locking unit 430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outdoor to the indoor.

락킹부(430)의 잠금을 해제하는 방법으로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법과 미리 등록된 RF카드를 사용하는 방법 내지는 카메라부(452)의 얼굴인식 또는 홍채 인식의 방법이 있다.Methods of unlocking the locking unit 430 include a method of inputting a password, a method of using a pre-registered RF card, or a method of face recognition or iris recognition of the camera unit 452.

상기에서 카메라에 의해 얼굴을 인식하는 방법 내지는 홍채를 인식하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RF 카드를 이용한 방법 역시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 역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Since a method of recognizing a face or an iris by a camera is well known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method using the RF card is also known technology,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 시스템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락킹부(43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부(461)는 소위 10key방식의 숫자 버튼을 도 9에서 보는 것과 같이 출력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61)에 표시된 숫자 버튼을 눌러서 미리 설정된 번호의 순서대로 입력하면 터치패널부(462)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진 위치를 측정하여 도어폰 제어부(410)에 전달한다.In order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unit 430 by inputting a password in the door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461 outputs a so-called 10-key type number button as shown in FIG. 9. When the user presses the numeric buttons displayed on the display 461 and inputs them in the order of preset numbers, the touch panel unit 462 measures the touched position by the user and transmits the touched position to the door phone controller 410.

도어폰 제어부(410)는 디스플레이부(461)에 표시되는 숫자 버튼의 위치와 터치 패널에 의해 인식된 터치 위치를 비교하여 터치 위치를 숫자 버튼에 매핑하고 매핑된 숫자 번호의 순서를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일치되는 경우 락킹 구동부(431)를 구동하여 락킹부(43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일치되지 않은 경우, 월패드(400')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되지 않은 비밀 번호가 입력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카메라부(452)를 구동하여 현관문의 실외측 상황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은 비디오 프로세서부(460)에 의해 처리되어 도어폰 제어부(410)에 전달되고 다시 월패드(400')에 영상 및 음성 신호 라인을 통해 전달되어 월패드(400')의 음향 출력부(531) 및 영상 출력부(532)에 출력된다.The door phone controller 410 compares the position of the numeric button displayed on the display 461 with the touch position recognized by the touch panel, maps the touch position to the numeric button, and maps the sequence of the mapped numeric number to a preset password. If it is matched, the lock driving unit 431 is driven to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locking unit 430, and if it does not match, the password that does not match the preset password is input to the wall pad 400 '. The camera transmits a signal and simultaneously drives the camera unit 452 to capture the outdoor situation of the front door, and the captured image is processed by the video processor 460 to be delivered to the door phone controller 410, and again the wall pad 400. ') Is transmitted through the image and audio signal lines and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531 and the image output unit 532 of the wall pad 400'.

상기에서 디스플레이부(461)에 숫자 버튼이 표시되도록 활성화되는 방법으로 감지 센서부(451), 일 예로 IR센서 내지는 광센서에 의해 열 내지는 광량이 변화되는 경우 이를 도어폰에 제어부(410)에 전달하면 도어폰 제어부(410)는 이를 사용자가 접근한 것으로 인식하여 디스플레이부(461)를 구동하여 숫자 버튼이 표시되도록 한다.When the number of heat or light is chang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451, for example, an IR sensor or an optical sensor, as a method of activating a number butt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61,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410 to the door phone. When the door phone controller 410 recognizes that the user has approached, the door phone controller 410 drives the display 461 to display the numeric buttons.

이때 숫자 버튼은 고정된 위치가 아니라 랜덤함수 발생기에 의해 출력되는 값에 의해 그 위치가 구동될 때마다 변경된다. 즉,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랜덤함수 발생기에 의해 최초에는 도 9(a)에서와 같이 통상의 10key와 같이 위치에 표시되나 다음 구동 시에는 도 9(b) 및 9(c)에서와 같이 통상의 10key의 숫자 버튼의 위치와는 전혀 다른 위치에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숫자 버튼이 구동시마다 변경되므로 고정된 위치에 지문이 남지 않아 외부인이 지문을 채취하여 비밀번호를 알아내는 것이 불가능해진다.At this time, the numeric button is changed every time the position is driven by the value output by the random function generator, not the fixed position. That is, as shown in FIG. 9, the random function generator is initially displayed in the position as shown in FIG. 9 (a) as in the case of a normal 10key, but in the next drive, it is normally shown in FIGS. 9 (b) and 9 (c). Is displayed in a completely different position from that of the 10key number butt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number button for inputting a password is changed every time the driver does not leave a fingerprint at a fixed location, it is impossible for an outsider to find a password by collecting a fingerprint.

상기에서 랜덤 함수 발생기는 비디오 프로세서부(460)에 구비된 메모리부(463)에 저장되어 있어 디스플레이부(461)에 숫자 버튼이 표시되도록 할 때마다 비디오 프로세서부(460)에 의해 독출되어 숫자 버튼의 배열을 변경하게 된다.The random function generator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463 included in the video processor unit 460, and is read out by the video processor unit 460 whenever the number butt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61. This will change the array of.

한편 숫자 버튼의 배열 정보 즉, 디스플레이부(461)에서의 각 숫자의 위치 정보는 도어폰 제어부(410)에 전달되어 저장부(411)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숫자 버튼의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터치 패널에서 인식된 위치 정보와 비교되어 터치되는 숫자를 인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number buttons, that i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number in the display unit 461 is transmitted to the door phone controller 410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1 to be touched when a touch of the number button is input by the user. The touched number is recognized by comparing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panel.

상기 도어폰(400)에서 이중 잠금 장치인 스위치부(44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현관문은 락킹부(430)가 현관문 프레임에 타공되어 있는 홈에 끼워짐으로써 현관문을 락킹하게 되는데 외부에서 열쇠로 불법적으로 락킹부(430)의 잠금 해제를 시도할 때 락킹부(43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이중 잠금 장치가 더 구비된다.The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441 that is a dual locking device in the door phone 400 will be described. In general, the front door is locked by the locking unit 43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which is perforated in the front door frame, the locking unit 430 when attempting to unlock the locking unit 430 illegally from the outside with a key The double locking device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locked state of the) is not released.

그런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중 잠금 장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가 이중 잠금을 설정하였음을 인지하고 있지 못하면 도어 핸들부(440)를 돌려 락킹부(43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자 하여도 이중 잠금 장치에 의해 락킹부(430)가 구동되지 않고 이에 따라 비상상황에서 사용자는 패닉 상태에 빠질 수 있게 된다.However,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e state of setting the double lock as described above, if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at the double lock is set by turning the door handle 440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unit 430 Even if the locking device 430 is not driven by the dual locking device, the user can panic in an emergency situation.

그러나 본 발명의 이중 잠금 장치는 도어 핸들을 조작하는 경우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도어 핸들부의 일측에 버튼형의 스위치부(441)가 더 구비되어 도어 핸들부가 조작되는 경우 걸림턱이 이완되어 이중 잠금 장치가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한다.However, the dual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utton-type switch 441 on one side of the door handle to release the lock when the door handle is operated, so that the locking jaw is relaxed when the door handle is operated. To be automatically released.

한편 상기 스위치부(441)에는 도어폰 제어부(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잠금 설정되는 경우에는 재실모드가 되고 잠금 해제되는 경우에는 외출모드가 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witch unit 44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oor phone control unit 410 when the lock is set to the occupancy mode, when the lock is to go out mode.

즉, 상기 스위치부(441)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이를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에 의하여 측정하여 상기 도어폰 제어부(410)에 전달하면 도어폰 제어부(410)는 도어폰 시스템 및 락킹 구동부(431)를 제어하여 재실모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441)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이를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에 의하여 측정하여 상기 도어폰 제어부(410)에 전달하면 도어폰 제어부(410)는 도어폰 시스템 및 락킹 구동부(431)를 제어하여 외출모드가 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switch unit 441 is in the first position, when the switch unit 441 is measured by a sensor for measuring the position and transmitted to the door phone control unit 410, the door phone control unit 410 is a door phone system and a locking driving unit 431. ) To enter the room mode. 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tch unit 441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sensor is measured by a position measuring sensor and transmitted to the door phone control unit 410, the door phone control unit 410 is a door phone system and the locking drive unit 431 To control the outing mode.

재실모드에서는 스위치부(441)가 도어핸들부(440)의 조작에 의해서만 동작되고 잠금 해제되어 락킹부(43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더라도 출입문이 개방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비상상황에서 문이 열리지 않아 패닉 상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중 잠금이 설정된다.In the occupancy mode, the switch unit 441 is operated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unit 440, and the door is not opened even when the lock state of the locking unit 430 is released and the user does not open the door in an emergency. A double lock is set at the same time to prevent falling into a state.

외출모드에서는 이중 잠금이 설정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락킹부(43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출입문이 개방된다. 도 8은 스위치부(441)의 상태에 따른 도어폰 모드 설정에 관한 일 예이다.In the outing mode, the double lock is not set, and thus the door is opened when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unit 430 is released. 8 is an example of door phone mode setting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witch unit 441.

상기에서는 도어폰 시스템을 외출모드와 재실모드를 스위치부(441)의 위치에 따라 즉, 제1위치에서는 재실모드로 제2위치에서는 외출모드로 설정하는 것에 설명하였으나 도어폰을 재실모드 또는 외출모드로 설정하는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부(461)에 표시되는 메뉴에 의해서도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door phone system is set to the outing mode and the occupancy mod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witch unit 441, that is, the occupancy mode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outgoing mode in the second position. It is also possible by the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461 in a way to set to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한편 외출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 도어폰 제어부(410)는 이를 월패드 제어부(530)에 전달하고 월패드 제어부(530)는 엘리베이터 관리부(534)에 해당층에 엘리베이터(540)가 이동되도록 엘리베이터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고 전원관리부(535)에 필수적으로 구동되어야 하는 장치를 제외한 전원장치(550)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phone control unit 410 transmits it to the wall pad control unit 530 when it is set to go out mode, the wall pad control unit 530 to the elevator to move the elevator 540 on the floor to the elevator management unit 534 It transmits a drive signal and outputs a signal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550 except for the device that is essential to the power management unit 535 to prevent unnecessary waste of power.

일 예로 거실등, 화장실등 또는 TV의 경우 사용자가 외출하는 경우 구동될 필요가 없으므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V의 연결된 전원은 미리 특정 전원단자를 TV전원 단자로 지정하여 해당 전원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을 차단기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iving room light, a bathroom light, or a TV, it is preferable to cut off the power supply because the user does not need to be driven when the user goes out. The connected power of the TV may designate a specific power terminal as a TV power terminal in advance to cut off a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rresponding power terminal by a breaker.

또한 가스밸브 구동부(536)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여 가스밸브(560)가 차단되도록 하여 가스가 새어 나와 화재가 발생되는 위험을 차단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gas valve driving unit 536 so that the gas valve 560 is blocked, thereby preventing the gas from leaking out and causing a fire.

그런데 때에 거실등 또는 TV를 사용자가 외출하더라도 구동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사용자가 도어폰 외부의 디스플레이부(461)와 터치패널부(462)를 통해 전원 관리부(535)를 외출모드 설정 메뉴를 통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However, it is necessary to drive the living room light or the TV even when the user goes out. To this end, the user moves the power manager 535 through the display mode setting menu through the display unit 461 and the touch panel unit 462 outside the door phone. Can be set arbitrarily.

일 예로, 사용자가 장기 외출하는 경우 거실등을 켜거나 TV 소리가 나게 함으로써 실내에 사람이 있다고 외부에서 인식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goes out for a long time, it is necessary to externally recognize that there is a person indoors by turning on a living room light or making a TV sound.

이를 위해 사용자가 출입문을 개방하여 실외에 있는 경우 감지센서부(451)는 열 또는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센서 신호는 도어폰 제어부(410)에 전달되고 도어폰 제어부(410) 비디오 프로세서부(460)를 구동하여 소정의 메뉴가 디스플레이부(461)에 표시되도록 한다.To this end,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and is outdoors, the detection sensor unit 451 detects a change in heat or light quantity and the detected sensor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oor phone controller 410 and the video phone unit of the door phone controller 410. The menu 460 is driven to display a predetermined menu on the display unit 461.

상기에서 소정의 메뉴 중 콜버튼 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461)의 일측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터치패널부(462)를 상기 콜버튼 메뉴가 표시되는 위치를 소정 시간 이상 터치하면 도어폰 제어부(410)는 이를 외출모드 설정으로 인식하여 비디오 프로세서부(460)를 구동하여 외출모드 설정을 위한 소정의 메뉴가 디스플레이부(461)에 표시되도록 한다.Among the predetermined menus, a call button menu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461,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position where the call button menu is displayed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door phone controller 410. Recognizing this as the outgoing mode setting, the video processor unit 460 drives the predetermined menu for the outgoing mode setting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61.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461)에는 전원 설정 항목이 디스플레이되고 각 항목에는 해당 장치의 이름과 ON/OFF 설정 항목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해당 장치마다 전원 ON/OFF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display unit 461 displays a power setting item, and each item displays a nam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and an ON / OFF setting item so that the user can set the power ON / OFF for each corresponding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부(461)는 해당 메뉴에 따라 적절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메모리부(463)에 디스플레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도어폰이 사용되지 않는 평시에는 가구의 호수와 거주자 이름, 인증이 완료된 경우 인증 완료 메시지로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61 may store display information in the memory unit 463 so that appropriate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menu. For example, when the door phone is not used, the lake, the resident's name, and the authentication of the furniture are completed. The text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may be displayed as the authentication completion messag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 시스템 제어방법의 절차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door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다른 도어폰 시스템이 구동된 상태에서 감지 센서에 의해 열이나 광량의 변화가 감지되면(S610) 도어폰 제어부는 카메라를 구동하여 촬영된 영상 정보를 월패드에 전달한다(S611).When a change in heat or light amount is detected by a sensor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phone system is dri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610), the door phone control unit drives the camera to transfer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to the wall pad (S611).

이어 디스플레이부에는 해당 가구의 동 및 호 및 거주자 이름과 같은 호수 정보가 표시된다(S612). 상기 호수 정보는 도어폰이 구동되고 지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되 도어폰의 구동이 중지된 후 일정 시간 후에 디스플레이만 커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Subsequently, the display unit displays lake information such as a house, a house, and a resident's name of the furniture (S612). The lake information may be such that the door phone is driven and displayed continuously, but only the display grows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driving of the door phone is stopped.

이 후 거주자가 아닌 경우 내부의 사용자와 대화를 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부에는 콜버튼을 포함한 소정의 메뉴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기 콜버튼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터치패널부를 터치하면 콜버튼 기능이 활성화된다.(S620) 이때 터치패널부가 소정시간 미만으로 터치되는지 소정 시간 이상 터치되는지 판단한다(S621).After that, if the user is not a resident, the display unit which wants to talk with the user inside is displayed with a predetermined menu including a call button,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panel uni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call button is displayed, the call button function is performed.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ouch panel unit is touched for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S621).

소정 이내로 터치되는 경우는 세대통화하는 것으로 판단하고(S630), 월패ㄷ드를 통해 세대 거주자와 통화하고 세대 거주자는 월패드를 통해 출입문를 개방하는 신호를 도어폰에 전달하면 도어폰 제어부를 통해 락킹 구동부를 구동하여 락킹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S660).If it is touch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household call (S630), and the household residents communicate with the wall pad through the wall pad, and the household occupant delivers a signal for opening the door to the door phone through the door phone control unit through the door phone control unit Driving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unit (S660).

세대의 거주자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마이크와 스피커가 구동되고 세대 거주자가 월패드를 통해 문열림을 동작하는 경우 락킹부와 스위치부가 구동되어 이중 잠금과 도어 락킹이 해제된다. 한편 콜버튼이 구동되는 경우 월패드에 카메라 영상을 전달하는 것을 중지할 수도 있다(S624).When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are driven to talk to the residents of the household and the householder operates the door opening through the wall pad, the locking unit and the switch unit are driven to release the double lock and the door locki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call button is driven, it may stop transmitting the camera image to the wall pad (S624).

한편 콜버튼이 소정시간 이상 터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외출하는 경우로 판단하며 도어폰 제어부는 비디오 프로세서부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먼저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하도록 인증 메뉴를 표시한다(S630).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인증 메뉴에 따라 터치패널부의 해당 위치에서 인증데이터를 터치하여 입력하고 인증이 승인되면 외출모드 설정 메뉴를 표시한도록 한다(S631).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는 미인증되었음을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S631).Meanwhile, when the call button is touch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out. The door phone controller displays an authentication menu to check whether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by driving the video processor (S630). In response to the authentication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user touches and inputs authentication data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touch panel unit, and when the authentication is approved, the outing mode setting menu is displayed (S631). If authentication fails, the dat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at it is not authenticated (S631).

상기 외출모드 설정 메뉴 중 전원 설정 메뉴를 터치하여 사용자는 댁내 전원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S632), 외출모드 및 전원 장치에 전원 설정이 완료되면 전원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이 제어되며, 가스밸브가 차단되고 및 엘리베이터가 호출된다(S633).Touching the power setting menu of the outing mode setting menu, the user can arbitrarily set the power supply for the home power supply (S632), the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is controlled when the power setting for the outing mode and the power supply is completed. , The gas valve is blocked and the elevator is called (S633).

출입문을 개방하는 다른 방식으로 콜버튼을 구동하여 세대 통화를 통한 방식이 아닌 인증에 의한 방식에 의한 것도 가능하다.Another way of opening the door is to drive the call button, not by the generation call, but by authentication.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메뉴 중 콜버튼 메뉴가 아닌 인증 메뉴를 선택하면(S622), 디스플레이부에는 인증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랜덤 방식으로 10key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터치패널부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10key에 대응하는 위치를 터치하여 인증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데이터가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 데이터와 일치되지 않는 경우(S623) 디스플레이부 및 월패드의 영상출력부에는 인증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출력되고(S641) 도어폰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도어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도어폰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S640).Specifically, when the user selects an authentication menu other than a call button menu among 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622), the display unit displays 10keys on the display unit in a random manner to input authentication data, and the user displays the display on the touch panel unit. If authentication data is input by touching a location corresponding to 10key displayed on the input unit and the input data does not match the authentication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S623), authentication has failed in the display unit and the image output unit of the wall pad. The information displayed is output (S641), a warning message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of the door phone, 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ay be stored in the door phone storage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door phone controller (S640).

한편 인증이 승인되면(S623) 락킹부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S660) 월패드에는 인증 데이터가 전달되고(S651), 인증이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고(S650) 도어폰 제어부는 도어폰을 재실모드로 설정하고 스위치를 구동하여 안티패닉, 이중잠금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한다.Meanwhile, if the authentication is approved (S623), the lock state of the locking unit is released (S660), and authentica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wall pad (S651),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s displayed (S650), and the door phone controller controls the door phone. Set it to the in-room mode and operate the switch to activate the anti-panic and double lock function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 시스템에서 외출모드 설정에 따른 실내 전원, 가스밸브 및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절차도이다.7 is a procedure of controlling the indoor power, gas valve and elevator according to the outgoing mode setting in the door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 시스템의 스위치부의 위치에 따라 외출모드 및 재실모드의 설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witch unit of the door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the outing mode and the room mode.

구체적으로 도어폰 제어부는 스위치가 제1위치에 있는지 제2위치에 있는지 판단하고(S710) 스위치가 제2위치에 있으면 외출모드로 설정되는 것으로 판단하여(S720) 월패드에 외출모드가 설정되었음을 전달한다(S721).In detail, the door phon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switch is in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S710), and if the switch is in the second position, determines that the switch is set to the outing mode (S720) and transmits that the outing mode is set to the wall pad. (S721).

상기에서 외출모가 설정되면 도어폰 시스템은 안티패닉 및 이중 잠금 기능이 비활성되고 세이프 핸들 기능이 활성화된다.When the outgoing hair is set in the above, the door phone system is deactivated the anti-panic and double lock function and the safe handle function is activated.

도어폰 제어부로부터 외출모드가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월패드에 전달되면 월패드는 월패드 제어부를 통해 전원관리부를 구동하여(S730) 미리 설정된 전원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S732).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outgoing mode is set from the door phone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the wall pad, the wall pad drives the power management unit through the wall pad control unit (S730) to block power supply to the preset power supply unit (S732).

또한 가스밸브 구동부를 구동하여(S740) 가스밸브를 차단하고(S741) 통신 선로를 통해 연결된 엘리베이터 관리부에 해당층으로 엘리베이터가 이동되도록 엘리베이터 구동 신호를 전달하고(S750) 엘리베이터는 해당층으로 이동된다(S751).In addition, by driving the gas valve driving unit (S740) shuts off the gas valve (S741) and transmits the elevator drive signal to the elevator management unit connected to the elevator management unit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S750) and the elevator is moved to the corresponding floor ( S751).

한편 본 발명에서는 외출모드에서 사용자가 특정 장치에 전원 공급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arbitrarily set the power supply to the specific device in the outing mode.

이를 위해 사용자가 도어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외출모드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에는 전원 설정 항목이 디스플레이되고(S732) 각 항목에는 해당 장치의 이름과 ON/OFF 설정 항목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해당 장치마다 전원 ON/OFF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To do this, when the user selects the outgoing mode setting menu on the display unit of the door phone, the power setting ite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732), and each item displays the nam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and the ON / OFF setting item. Allows you to set the power ON / OFF.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ON으로 설정된 장치는 비록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전원 공급이 차단되지 않고 전원 공급이 지속된다(S770).Accordingly, even if the device set to ON by the user is set in advance so that the power supply is cut off, the power supply is not interrupted and the power supply is continued (S770).

상기에서 스위치부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재실모드로 판단하여(S711) 락킹부를 구동하여(S760) 도어폰 시스템이 안티패닉 및 이중 잠금 기능이 활성화되고 세이프 핸들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한다(S761).When the switch unit is in the first position, it is determined as the occupancy mode (S711) to drive the locking unit (S760) so that the door phone system may activate the antipanic and double lock functions and the safe handle function (S761).

400: 도어폰 400': 월패드
410: 도어폰 제어부 420: 도어폰 통신부
430: 락킹부 440: 도어핸들부
441: 스위치부 460: 비디오처리부
461: 디스플레이부 462: 터치패널부
463: 메모리부
510: 도어폰 511: 스위치부
512: 도어핸들부 520: 디스플레이부
530: 터치패널부 534: 엘리베이터 관리부
535: 전원 관리부 536: 가스밸브 구동부
570: 월패드 제어부
400: door phone 400 ': wall pad
410: door phone control unit 420: door phone communication unit
430: locking portion 440: door handle portion
441: switch unit 460: video processing unit
461: display unit 462: touch panel unit
463: memory
510: door phone 511: switch unit
512: door handle portion 520: display portion
530: touch panel unit 534: elevator management unit
535: power management unit 536: gas valve driving unit
570: wall pad control

Claims (22)

감지 센서부, 카메라부, RF카드 리더부, 락킹부, 통신부, 도어폰에 구비된 장치를 제어하는 도어폰 제어부, 출입문의 외측에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터치패널부 및 출입문의 내측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락킹부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해제하는 도어핸들부가 포함되는 도어폰과 실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폰의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월패드를 포함하는 도어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비디오 프로세서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패널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락킹부의 락킹을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10key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10key값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시마다 랜덤하게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
A sensor input unit, a camera unit, an RF card reader unit, a locking unit, a communication unit, a door phon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evices provided in the door phone, a display unit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on the outside of the door, and a touch input signal from the user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touch panel unit and the inside of the door and a door phone including a door handle for releasing the locking unit by the user's operation and a wall pa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om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door phone. In the door phone system comprising:
The door phone includes a video processor for processing an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and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a memory unit storing data related to the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and a user's touch signal. The touch panel unit for receiving the input is further provided,
The display unit has a 10-key image for receiving a password for unlocking the locking unit to be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10 key valu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unit is changed randomly every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하게 변경되는 10key값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랜덤함수발생기에 의해 생성된 랜덤값에 의해 각 키값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randomly changed 10 key value is a door phon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ach key value is changed by a random value generated by a random function generator stored in the memor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콜버튼 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상기 콜버튼 메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터치패널부가 소정시간 미만 터치되는 경우 상기 도어폰 제어부는 상기 월패드에 출입자가 접근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display unit, a call button menu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panel unit for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button menu, the door phone controller indicates that an accessor has access to the wall pad. Door phon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 sig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콜버튼 메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터치패널부가 소정시간 이상 터치되는 경우 상기 도어폰 제어부가 상기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door phone control unit sets the door phone system to the outing mode when the touch panel unit is touch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button menu.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월패드는 엘리베이터 관리부에 해당층에 엘리베이터가 도착하도록 엘리베이터 호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door phone system is set to go out mode, the wall pad is door do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elevator call signal so that the elevator arrives on the floor to the elevator management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월패드는 댁내 전원관리부에 미리 정해진 전원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전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door phone system is set to go out mode, the wall pad outputs a power control signal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unit to the home power management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월패드는 가스공급이 차단되도록 가스밸브 구동부에 가스밸브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wall pad outputs a gas valve driving signal to the gas valve driving unit so that the gas supply is cut off when the door phone system is set to the outing mode.
제1항에 있어서,
도어핸들부의 일측에는 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도어폰 제어부는 도어폰 시스템이 재실모드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of the door handle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witch, the door phone control unit door do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phone system is set to the room mode when the switch is in the first posi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 시스템이 재실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이중잠금장치, 안티패닉 모드가 활성화되고 세이프 핸들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oor phon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oor phone system is set to the room mode, the double lock device, the anti-panic mode is activated and the safe handle function is deactivated.
제1항에 있어서,
도어핸들부의 일측에는 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도어폰 제어부는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of the door handl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witch, the door phone control unit door do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phone system is set to go out mode when the switch is in the second posi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이중잠금장치, 안티패닉 모드가 비활성되고 세이프핸들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If the door phone system is set to go out mode, the double lock device, the anti-panic mode is inactive and the safe handle function is activated door phone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콜버튼 메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터치패널부가 소정시간 이상 터치되는 경우 상기 도어폰 제어부가 상기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소정의 위치에 전원 설정 메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장치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touch panel unit is touch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button menu, the door phone control unit sets the door phone system to the outing mode, and a power setting menu is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Door phon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select the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감지 센서부, 카메라부, RF카드 리더부, 락킹부, 통신부, 도어폰에 구비된 장치를 제어하는 도어폰 제어부, 출입문의 외측에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터치패널부 및 출입문의 내측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락킹부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해제하는 도어핸들부가 포함되는 도어폰과 실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폰의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월패드를 포함하는 도어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부로부터 감지 센서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콜버튼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콜버튼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서 상기 터치패널부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랜덤 10key의 인증번호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터치패널부를 터치하여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인증번호가 승인된 경우 상기 락킹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A sensor input unit, a camera unit, an RF card reader unit, a locking unit, a communication unit, a door phon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evices provided in the door phone, a display unit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on the outside of the door, and a touch input signal from the user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touch panel unit and the inside of the door and a door phone including a door handle for releasing the locking unit by the user's operation and a wall pa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om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door phone.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oor phone system comprising:
Receiving a detection sensor from the detection sensor unit;
Displaying a call button menu on the display unit;
Receiving a touch input signal of a user through the touch panel unit at a position where the call button menu is displayed;
Displaying an authentication number of a random 10 key on the display unit and a user inputting an authentication number by touching a touch panel unit;
If the authentication number is approved, the control method of the door phone system comprising the step of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콜버튼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서 상기 터치패널부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널부를 터치하는 시간이 소정시간 미만인 경우, 랜덤 10key의 인증번호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터치패널부를 터치하여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로 진입하고,
사용자가 터치패널부를 터치하는 시간이 소정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폰 제어부는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step of receiving a user's touch input signal through the touch panel unit at the position where the call button menu is displayed,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panel unit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authentication number of the random 10 key is displayed and the user enters the step of inputting the authentication number by touching the touch panel unit.
If the user touches the touch panel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door phone control unit controls the door phone system to enter the step of setting the outgoing mod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월패드는 엘리베이터 관리부에 해당층에 엘리베이터가 도착하도록 엘리베이터 호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도어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If the door phone system is set to go out mode, the wall pad outputs the elevator call signal to the elevator to the elevator management floor, the door phone system control metho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월패드는 댁내 전원관리부에 미리 정해진 전원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전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n the door phone system is set to go out mode, the wall pad outputs a power control signal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to the home power management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phone system control metho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월패드는 가스공급이 차단되도록 가스밸브 구동부에 가스밸브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the wall pad outputs a gas valve driving signal to the gas valve driving unit so that the gas supply is cut off when the door phone system is set to go out mode.
재14항에 있어서,
상기 콜버튼 메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터치패널부가 소정시간 이상 터치되는 경우 상기 도어폰 제어부가 상기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소정의 위치에 전원 설정 메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장치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n the touch panel unit is touch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button menu, the door phone control unit sets the door phone system to the outing mode, and a power setting menu is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method of the door phon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select the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의 잠금 상태 해제 이후 임의의 시점에서 도어핸들부에 구비된 스위치 상태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도어폰 제어부는 도어폰 시스템이 재실모드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n the state of the switch provided in the door handle portion is in the first position at any time after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unit is released, the door phone control unit allows the door phone system to be set to the room mode of the door phone system. Control method.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 시스템이 재실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이중잠금장치, 안티패닉 모드가 활성화되고 세이프 핸들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ntrol method of the door phon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oor phone system is set to the room mode, the double lock device, the anti-panic mode is activated and the safe handle function is deactivat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의 잠금 상태 해제 이후 임의의 시점에서 도어핸들부에 구비된 스위치 상태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도어폰 제어부는 도어폰 시스템이 재실모드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n the state of the switch provided in the door handle part is in the second position at any time after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unit is released, the door phone control unit allows the door phone system to be set to the room mode of the door phone system. Control method.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 시스템이 외출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이중잠금장치, 안티패닉 모드가 비활성화되고 세이프핸들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The control method of the door phon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oor phone system is set to go out mode, the double lock device, the anti-panic mode is deactivated and the safe handle is activated.
KR1020110075640A 2011-07-29 2011-07-29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phone KR1012791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640A KR101279106B1 (en) 2011-07-29 2011-07-29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640A KR101279106B1 (en) 2011-07-29 2011-07-29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078A true KR20130014078A (en) 2013-02-07
KR101279106B1 KR101279106B1 (en) 2013-06-26

Family

ID=4789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640A KR101279106B1 (en) 2011-07-29 2011-07-29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10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073A (en) 2014-07-30 2016-02-12 주식회사 코아트리 Ip/sip/ims door-phone and security system with the ip/sip/ims door-phone and ims core system
JP2017152973A (en) * 2016-02-25 2017-08-31 アイホン株式会社 Collective housing intercom system
KR20190131941A (en) * 2018-05-18 2019-11-27 주식회사 경동원 Door phone and entracne controll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474A (en) * 2003-05-07 2003-08-09 이상열 Multi-functional door lock apparatus
KR101016041B1 (en) * 2009-01-14 2011-02-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Digital door-lock with random characters array
KR101115885B1 (en) * 2009-03-14 2012-02-10 주진용 Face Recognition Digital Door Lock System Linked with Video Door Phone
KR101043067B1 (en) * 2009-03-20 2011-06-21 롬태크 주식회사 Multi-Functional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of Do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073A (en) 2014-07-30 2016-02-12 주식회사 코아트리 Ip/sip/ims door-phone and security system with the ip/sip/ims door-phone and ims core system
JP2017152973A (en) * 2016-02-25 2017-08-31 アイホン株式会社 Collective housing intercom system
KR20190131941A (en) * 2018-05-18 2019-11-27 주식회사 경동원 Door phone and entracne controll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106B1 (en)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885B1 (en) Face Recognition Digital Door Lock System Linked with Video Door Phone
KR100576797B1 (en) Digital door-lock system for home-automation
CN203366408U (en) Multifunctional entrance guard based on function application of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control chip
JP2004295408A (en) Control and monitor integrated system for residence
JP2004135197A (en) Integrated control/monitor system for residence
KR100711214B1 (en) Digital door-lock control system which uses the door phone
KR20210025909A (en) Smart door look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2791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phone
KR20110003773U (en) Office Face Recognition Digital Door Lock System
JP2004310614A (en) Interphone system
JP2004135200A (en) Interphone system
KR20090087862A (en) Office Face Recognition Digital Door Lock System
JP2011176494A (en) Intercom system
JP2007191915A (en) Electronic lock system and program therefor
KR100644200B1 (en) Home automation system with digital door lock
CN113645446A (en) Building intelligent access control automatic control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JP2004135199A (en) Interphone system
KR200407889Y1 (en) Door lock system having mode selecting function of home automation
KR20050104095A (en) Combination finger through electronic door lock and video phone used remote access control home security system
JP2007058663A (en) Interphone system
KR20040044250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door open
KR19980068633A (en) Recognizing access method of electronic door lock and device
CN219840490U (en) Closure device
KR20050008592A (en) a fingerprint recognition door system
KR100338869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signal in electric doo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