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217A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217A
KR20130012217A KR1020110067161A KR20110067161A KR20130012217A KR 20130012217 A KR20130012217 A KR 20130012217A KR 1020110067161 A KR1020110067161 A KR 1020110067161A KR 20110067161 A KR20110067161 A KR 20110067161A KR 20130012217 A KR20130012217 A KR 20130012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wledge map
map
web
knowledge
so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방기수
박용환
박승근
Original Assignee
방기수
박승근
박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기수, 박승근, 박용환 filed Critical 방기수
Priority to KR1020110067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2217A/en
Priority to PCT/KR2011/008316 priority patent/WO2013005892A1/en
Publication of KR20130012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2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roviding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and a system thereof are provided to generate a knowledge map customized for each user by a gradually growing knowledge map through the spontaneous participation of a plurality of internet users. CONSTITUTION: A software module includes the following: A link map engine module(112) processes an event generated in a GUI(Graphic User Interface) in real time. The link map engine module maintains tracking for dynamic information exploration in the web. A knowledge map editor module(118) registers a map in a corresponding site by accessing the web. [Reference numerals] (110) RDMS backend connector; (112) Link map engine; (114) Navigator frame work connector; (116) Graphic interface tool; (118) Knowledge map editor

Description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본 발명은 동적/진화형 지식 맵을 제공하기 위한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for providing a dynamic / evolutionary knowledge map.

사용자가 인터넷사이트를 방문하고 해당 사이트를 기록해두고자 할 때에 웹브라우저의 메뉴인 북마크 기능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북마크 기능을 이용해서 웹 서핑 과정에서 발견한 웹 사이트 주소를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 및 관리하면서 필요 시 북마크된 웹 주소를 클릭하여 해당 웹 사이트를 접속하는 방식이지만, 자신의 컴퓨터를 떠나서는 북마크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결함이 존재한다. 이러한 대안으로 구글(Google) 북마크와 소셜테깅(Social Tagging) 방법이 개발되었다.When a user visits an internet site and wants to record the site, the user uses the bookmark function, which is a menu of a web browser. Using this bookmarking function, you can save and manage the website address found in the web surfing process on your computer and click the bookmarked web address to access the website when needed. There is a flaw that cannot be used. As an alternative, Google bookmarks and social tagging have been developed.

상기 구글 북마크는 클라우딩 컴퓨팅 환경 하에서 사용자에게 북마크 서비스를 제공해줌으로써 웹 브라우저 북마크 서비스 모델이 갖는 한계였던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어디에서든지 아무 때나 웹에 접속을 할 수 있기만 하면 디바이스에 관계없이 북마크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웹 브라우저의 북마크 기능을 웹으로 이전하는데 그쳤기 때문에, 관리해야 할 정보가 비교적 많으며 수시로 시공간에 상관없이 어떤 컴퓨터에서나 자신의 북마크를 이용할 필요성이 있는 전문 사용자들을 제외하고는, 일반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접근이 가능하지 않았다.The Google bookmarks provide users with bookmarking services 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time and space limitations of the web browser bookmarking service model, and providing bookmarks regardless of the device as long as they can access the web anytime and anywhere. It's available, but since we've only moved the bookmarks feature of the web browser to the web, there's a lot of information to manage and it's common, except for professional users who need to use their bookmarks on any computer at any time and place. The users were not easily accessible.

또한, 고급 사용자의 경우에 있어서도 자신이 저장 관리하고 있는 잘 선별된 북마크를 일반 사용자들과 공유하고 싶어도 자신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공개하지 않는 한 거의 불가능했기 때문에 참여, 개방 및 공유하는 웹의 큰 흐름을 타고 있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dvanced users, even if they want to share their well-selected bookmarks with general users, it is almost impossible unless they disclose their ID and password. There is a limit that can not ride.

반면, 소셜 테깅 혹은 소셜 북마크 서비스는 자신의 북마크 관리를 기존의 폴더 관리 방식이 아닌 단어 테깅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웹 사이트를 잘 대변해줄 수 있는 단어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북마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고, 나아가 자신의 북마크를 제3의 일반 사용자들에게 공개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수많은 사람이 테깅 참여를 이끌어 냈으나, 정보자원을 조직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계층화된 카테고리 구조를 표현할 방법과 카테고리 간의 상호 관계 등을 나타낼 수 없다는 한계가 들어나게 됨에 따라 그 활용성이 감소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social tagging or social bookmarking service uses the word tagging method rather than the existing folder management method, so that bookmarks can be easily managed by using words that can represent the website well. In addition, by allowing people to open their bookmarks to third-party users, a large number of people have engaged in tagging, but they will show how to express the hierarchical category structure needed to organize information resources and how they can be interrelated. There is a limit that the utility decreases as the limit of the number is introduced.

따라서, 본 발명은 웹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 자원들을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그래픽 형태의 지식 맵으로 생성, 편집 및 관리하고, 상기 지식 맵을 웹 사용자에게 개방, 공유 및 참여의 과정을 통해 분야 별 동적/진화형 지식 맵을 제공하기 위한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edit and manag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sources existing on the web in the form of a graphic knowledge map according to the user's purpose, and open the knowledge map to a web user through the process of opening, sharing and participat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for providing a dynamic / evolutionary knowledge map.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웹 사이트에 접속한 서비스 사용자에게 온톨로지(Ontology) 구조로 조직화된 지식 맵을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웹 사이트에 등록된 사용자에게 개인별 웹 주소를 부여하는 과정과, 상기 부여된 웹 주소에 개인화 서비스인 마이 페이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화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지식 맵 에디터를 통해 상기 마이 페이지 내에 사용자별 특화된 지식 맵을 생성하거나 기 제공된 지식 맵을 편집하도록 하여 동적/진화형 지식 맵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 knowledge map organized in an ontology structure to a service user accessing a web site; Create a user-specific knowledge map in the My Page through a process of assigning an individual web address, generating a My Page, a personalization service, and a knowledge map editor provided by the Personalization Service. And providing a dynamic / evolutionary knowledge map by editing the provided knowledge map.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웹 사이트에 접속한 서비스 사용자에게 온톨로지 구조로 조직화된 지식 맵을 제공하고, 상기 웹 사이트에 회원 등록된 사용자에게 개인별 웹 주소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웹 주소에 개인화 서비스인 마이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개인화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지식 맵 에디터(editor)를 통해 상기 마이 페이지 내에 사용자별 특화된 지식 맵을 생성하거나 혹은 기 제공된 지식 맵을 편집하도록 하여 동적/진화형 지식 맵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providing a knowledge map organized in an ontology structure to a service user accessing a web site, and providing a personal web address to a user registered on the web site. Create a My Page, which is a personalization service, and create a user-specific knowledge map in the My Page through a knowledge map editor provided by the Personalization Service, or provide a previously provided knowledge map. It includes a software module that allows editing to provide a dynamic / evolutionary knowledge map.

본 발명은 다수의 인터넷 사용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점진적으로 성장해가는 지식 맵을 구축하고, 사용자별 특화된 지식 맵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 검색 목적에 따른 지식 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knowledge map service according to the user's information retrieval purpose by building a knowledge map that gradually grows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of a plurality of Internet users, and generates a user-specific knowledge ma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모듈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알디엠에스 백엔드 커넥터(Raw Data Management System Backend Connector) 모듈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링크 맵 엔진 모듈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네비게이터 프레임워크(Navigator Framework) 모듈에 관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GUI(Graphical User Interface)툴 모듈(420)에 관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식 맵 에디터 모듈에 관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흐름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oftware module in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raw data management system backend connector module in the softwar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nk map engine module in a softwar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Navigator Framework module in a softwar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ool module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 knowledge map edi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observe that certain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은 웹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 자원들을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그래픽 형태의 지식 맵으로 생성, 편집 및 관리하고, 상기 지식 맵을 웹 사용자에게 개방, 공유 및 참여의 과정을 통해 분야 별 동적/진화형 지식 맵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웹 사이트에 접속한 서비스 사용자에게 온톨로지 구조로 조직화된 지식 맵을 제공하고, 상기 웹 사이트에 등록된 사용자에게 개인별 웹 주소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웹 주소에 개인화 서비스인 마이 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개인화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지식 맵 에디터를 통해 상기 마이 페이지 내에 사용자별 특화된 지식 맵을 생성하거나 기 제공된 지식 맵을 편집하도록 하여 동적/진화형 지식 맵을 제공하여 다수의 인터넷 사용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점진적으로 성장해가는 지식 맵을 구축하고, 사용자별 특화된 지식 맵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 검색 목적에 따른 지식 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edits and manag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sources existing on the web as graphic maps according to the user's purposes, and dynamically opens the knowledge maps to each web user through the process of opening, sharing and participating in the web. In order to provide an evolving knowledge map, a knowledge map organized in an ontology structure is provided to a service user who accesses a web site, and a personal web address is assigned to a user registered in the web site, and the given web is provided. By creating a My Page, which is a personalization service in the address, and creating a user-specific knowledge map in the My Page through the Knowledge Map Editor provided by the Personalization Service, or by editing a provided Knowledge Map to provide a dynamic / evolutionary knowledge map. Gradually growing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of a large number of Internet users Build an expression map, and maps by creating a specialized knowledge by the user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provide the knowledge Map Servic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information retrieval purposes.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모듈의 구성에 관해 도 1 및 도 2-6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oftware module in the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6.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모듈의 구성도이다.First,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oftware module in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모듈(100)은 알디엠에스 백엔드 커넥터(Raw Data Management System Backend Connector) 모듈(110)과, 링크 맵(Link Map)엔진 모듈(112), 네비게이터 프레임워크(Navigator Framework) 모듈(114), GUI(Graphical User Interface)툴 모듈(116), 지식 맵 에디터(Editor) 모듈(118)을 포함하고, 웹 사이트에 접속한 서비스 사용자에게 온톨로지 구조로 조직화된 지식 맵을 제공하고, 상기 웹 사이트에 회원 등록된 사용자에게 개인별 웹 주소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웹 주소에 개인화 서비스인 마이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개인화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지식 맵 에디터를 통해 상기 마이 페이지 내에 사용자별 특화된 지식 맵을 생성하거나 혹은 기 제공된 지식 맵을 편집하도록 하여 동적/진화형 지식 맵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1, in th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software module 100 may include a raw data management system backend connector module 110, a link map engine module 112, and a navigator frame. Knowledge that is organized in an ontology structure to service users who access the website, including the Navigator Framework module 114,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ool module 116, and the Knowledge Map Editor module 118. Providing a map, giving an individual web address to a user registered as a member of the web site, generating a My Page, which is a personalization service, to the given Web address, and providing the My Page through a knowledge map editor provided by the personalization service. Dynamic / evolutionary knowledge maps are provided by creating user-specific knowledge maps or editing the provided knowledge maps.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알디엠에스 백엔드 커넥터(Raw Data Management System Backend Connector) 모듈의 구성도이다.Here, referring to FIG. 2,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aw data management system backend connector module in a softwar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알디엠에스 백엔드 커넥터(Raw Data Management System Backend Connector) 모듈(110)은 해당 지식 맵의 관련 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사이트의 로그 기록에 대한 통계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조회 혹은 저장을 요청 받은 데이터를 DB에 요청해 처리한다. As shown in FIG. 2, the RDS backend connector module 110 registers relevan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knowledge map, performs statistical data processing on log records of the corresponding site, and inquires. Or, it processes the requested data to DB.

상기 알디엠에스 백엔드 커넥터는 내부 프로세스 로직 처리부(210)와, 외부 프로세스 로직 처리부(212)를 포함한다.The RMS backend connector includes an internal process logic processor 210 and an external process logic processor 212.

상기 내부 프로세스 로직 처리부(210)은 신규 맵의 일반 사항인 맵의 이름, 맵의 설명(Description), 맵 생성일자, 수정일자 등을 등록하는 기능과 프로세스 로직부(214)에서 통계 데이터, 카테고리(Category), 카테고리 정보(Category Info), 회원 카테고리 정보(Member Category Info), 회원 맵 리스트(Member Map List), 마이 카테고리(My Category), 회원 정보(Member Info) 및 각종 로그에 대한 통계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세스 로직을 처리하는 기능으로 동작한다.The internal process logic processing unit 210 registers a name of a map, a description of a map, a map creation date, a modification date, and the like, which are general items of a new map, and statistical data and categories in the process logic unit 214. Statistical data processing for Category, Category Info, Member Category Info, Member Map List, My Category, Member Info, and various logs It acts as a function to process process logic.

상기 외부 프로세스 로직 처리부(212)는 상기 링크 맵 엔진 모듈(216)에서 조회 혹은 저장을 요청받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요청해 처리한다. 이때, 정보 조회의 경우 데이터베이스(216)로부터 데이터를 조회 받아 테이블 확인, 카테고리, 인스턴스 및 사용자 정보 확인 후 프로시저, 함수, 뷰, 테이블 등을 거쳐 처리된 데이터를 링크 맵 엔진(216)으로 전송한다.
The external process logic processing unit 212 requests and processes data received from the link map engine module 216 for inquiry or storage from a database. At this time, in the case of information inquiry, after receiving data from the database 216 and checking the table, category, instance, and user information, the process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link map engine 216 through a procedure, a function, a view, a table, and the like.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링크 맵 엔진 모듈의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nk map engine module in a softwar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맵 엔진 모듈은 사용자 GUI 상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실시간 처리하고, 웹을 통한 동적 정보 탐색 수행을 위한 트랙킹(Tracking)을 유지하고,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지식 맵에 억세스(access)하여 관리를 수행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해당 지식 맵 정보를 사용자 GUI로 호출하거나 혹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As shown in FIG. 3, the link map engine module processes an event occurring on a user GUI in real time, maintains tracking for performing dynamic information search through the web, and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knowledge map. It provides an interface to access and perform management to call the knowledge map information with the user GUI or store it in a database.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링크 맵 엔진은 쿼리 엔진(Query Engine)모듈(310), 온톨로지 스키마 투스 (Ontology Schema Toos)모듈(314), 웹 서비스(Web Service)모듈 및 풀 텍스트 통합(Full-Text Integration)모듈(310)과 연동되어 상기 네비게이터 프레임워크(Navigator Framewokr)에서 발생한 요청사항을 참조하여 알디엠에스 백엔드 커넥터 모듈(110)를 통해 해당 지식 맵 정보를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불러오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카테고리(Category) Xml, 카테고리 정보(Category Info) Xml, 회원 카테고리 정보(Member Category Info) Xml, 회원 맵 리스트(Member Map List) Xml, 마이 카테고리(My Category) Xml, 회원 정보(Member Info) Xml 와 같이 각 Xml로 구성된 필드별 구문을 분석하는 Xml 분석부(312)를 포함하며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상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실시간 처리하고 동적 정보 탐색(Dynamic Navigation)이 가능하도록 트랙킹(tracking)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웹 브라우져 등의 다양한 응용프로그램들이 지식 맵에 접근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준다.
More specifically, the link map engine includes a query engine module 310, an ontology schema toos module 314, a web service module, and a full-text integration. A function of interworking with the module 310 to load the corresponding knowledge map information into the user graphic interface or store it in a database through the RMS backend connector module 110 with reference to a request generated by the Navigator Framewokr. Category Xml, Category Info Xml, Member Category Info Xml, Member Map List Xml, My Category Xml, Member Info Xml analysis unit 312 for parsing the fields of each Xml, such as Xml) and processes the events occurring on the user graphic interface in real time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information retrieval and functions to maintain the tracking (tracking) to the possible (Dynamic Navigation), a Web browser to access the knowledge map, and provides an interface that allows you to manag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네비게이터 프레임워크(Navigator Framework) 모듈에 관한 구성도이다.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avigator framework module in a softwar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비게이터 프레임워크는 GUI 툴 모듈 및 지식 맵 에디터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요청하고, 전송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 및 데이터화하여 해당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As shown in FIG. 4, the navigator framework requests processing of events generated in the GUI tool module and the knowledge map editor, and controls to decrypt and data the transmitted encrypted data and display them on the corresponding screen.

더욱 상세하게는, 링크 맵 엔진(410)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카테고리(Category), 카테고리 정보(Category Info), 회원 카테고리 정보(Member Category Info), 회원 맵 리스트(Member Map List) 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를 지식 맵 에디터 모듈(422) 및 GUI(Graphical User Interface)툴 모듈(420)로 전송한다.More specifically, the data input from the link map engine 410 is decoded and classified by category, category information, member category information, and member map list.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knowledge map editor module 422 and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ool module 420.

또한, 링크 맵 엔진(410)으로부터 웹화면 구성 데이터가 출력되면 사이트 메쉬(Sitemesh) Xml 및 데코레이션(Decoration) Xml를 이용하여 화면을 410과 같이 구성하여 지식 맵을 디스플레이 한다.
In addition, when the web screen configuration data is output from the link map engine 410, the screen is configured as shown in 410 using a site mesh Xml and a decoration Xml to display a knowledge map.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GUI(Graphical User Interface)툴 모듈(420)에 관한 구성도이다.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ool module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GUI 툴 모듈은 상기 지식 맵 에디터 모듈을 이용하여 조직화된 지식구조를 사용자 GUI를 통해서 제시해 주고, 웹상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상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지식 맵의 이름을 나타내는 메인 카테고리가 상기 사용자 GUI 상의 동심원 혹은 타원 중앙에 위치하고 하부 카테고리는 점진적으로 외곽의 동심원 혹은 타원에 위치하도록 동작한다.As shown in FIG. 5, the GUI tool module presents a knowledge structure organized using the knowledge map editor module through a user GUI, and represents a name of the knowledge map to express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data existing on the web. The main category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or ellipse on the user GUI and the lower category is gradually located in the outer concentric or ellipse.

더욱 상세하게는, 50 과정에서 편집하고자 하는 맵을 선택하고, 51 과정에서 해당 맵의 속성을 통해 조건을 전달하고, 52 과정에서 상기 조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요청하고, 53 과정에서 상기 요청된 데이터의 데이터 분석을 수행한 후 이를 해당 지식 맵의 제목과 다수의 카테고리 별 노드로 출력한다.More specifically, in step 50, the map to be edited is selected, the condi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attributes of the corresponding map in step 51,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dition is requested in step 52, and the requested data in step 53. After analyzing the data, it outputs the title of the corresponding knowledge map and the nodes for each category.

이후, 에이치티엠엘부(510)에서 카테고리 간의 대등 및 인접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서 동일 위치의 동심원 혹은 타원에 다수의 카테고리가 위치하도록 제어하며, 상세화면 팁 제공 모듈(512) 상의 카테고리 이름이나 최종 노드 위에 커서를 위치하면 관련 요약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특정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해당 카테고리와 링크된 하위 카테고리를 동심원 혹은 타원 안쪽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에게 동적인 집중 검색 환경을 조성한다.Subsequently, in order to express the equality and proximity between the categories in the HMT 510, a plurality of categories are controlled to be located in concentric circles or ellipses of the same position, and the category name or the final node on the detailed screen tip providing module 512 is provided. When the cursor is positioned above, the control is displayed to display related summary information. When a user clicks on a specific category, a sub-category linked with the category is moved into a concentric circle or an ellipse to create a dynamic focused search environment for the user.

이때, 상기 에이치티엠엘부(510)의 종속형 시트(cascading style sheet, 515)을 통해 웹 문서의 전반적인 스타일을 미리 저장해두고, 문서 전체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자바 스크립트 라이브러리 모듈(516)을 통해 웹 브라우저간의 호환성을 맞추고 이를 통해 출력된 데이터를 조직화된 사용자별 지식 구조를 갖는 지식 맵(514)이 생성된다.
In this case, the overall style of the web document is stored in advance through the cascading style sheet 515 of the HMT 510, maintains the consistency of the entire document, and is provided through the JavaScript library module 516. The knowledge map 514 is created to match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web browsers and to organize the output data through the user-specific knowledge structur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식 맵 에디터 모듈에 관한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knowledge map edi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식 맵 에디터 모듈은 웹에 접속하여 해당 사이트에 맵을 등록하고, 상기 맵의 카테고리를 편집하고, 상기 카테고리와 연결된 링크의 부속정보를 추가, 삭제 및 수정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As illustrated in FIG. 6, the knowledge map editor module provides an interface for accessing the web, registering a map in a corresponding site, editing a category of the map, and adding, deleting, and modifying sub information of a link connected to the category. to provide.

여기서, 상기 지식 맵은 해당 지식 맵을 생성자가 설정한 편집 권한 등급인 생성자 고유 편집 권한 혹은 생성자 승인 후 편집 권한 혹은 생성자 승인 없이 편집 권한 개방 등급을 통해 차등화된 편집 권한이 부여되어 지인 혹은 그룹 혹은 전체 사용자를 대상으로 공개된다.In this case, the knowledge map is assigned to the creator-specific editing authority, which is the editing authority level set by the creator of the knowledge map, or the editing authority after the approval of the creator or the editing authority opening grade without approval of the creator is granted to an acquaintance or a group or the whole. It is open to users.

더욱 상세하게는, 600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맵 정보가 입력되면, 601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맵 정보가 기존 맵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602 과정에서 맵인스턴스 등록 후에 603 과정에서 610에 보인 바와 같은 해당 맵에 대한 각 소스 별 수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600 과정에서 수행되는 맵 정보 입력 시 해당 화면에 다수의 맵이 썸네일로 표시되어 604 과정에서 소정 맵에 대한 썸네일이 선택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map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user in step 600, after checking whether the input map information is an existing map in step 601, the corresponding map as shown in step 603 after step 603 is registered after the map instance registration in step 602. Perform source-specific modifications to the map.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p information input in step 600 is input, a plurality of maps are displayed as thumbnails on the corresponding screen, and a thumbnail for a predetermined map is selected in step 604.

또한, 해당 사이트에 기 제공된 맵인 경우, 605 과정에서 마이 맵 버튼을 클릭하여 606 과정에서 맵 리스트를 표시하고, 607 과정에서 상기 표시된 맵 리스트에서 소정 맵 선택 여부에 따라 608 과정으로 이동하여 선택맵 리스트를 표시하고, 611 과정에서 맵 명칭을 변경한다. 한편, 607 과정에서 맵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609 과정으로 이동하여 마이 맵 인스턴스 선택을 수행하여 612에 보인바와 같이 사용자별 마이 맵 키, 카테고리 별 노드 및 제목을 등록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ap previously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site, the map list is displayed in step 606 by clicking the my map button in step 605, and the process moves to step 608 according to whether a predetermined map is selected in the displayed map list in step 607. In step 611, the map name is changed. On the other hand, if the map is not selected in step 607,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609 to select the my map instance to register the my map key per user, the node for each category and the title as shown in 612.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모듈의 구성을 살펴보았다.The configuration of the software module in the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해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710 과정에서 웹 사이트에 접속한 서비스 사용자에게 온톨로지 구조로 조직화된 지식 맵을 제공한다.First, in step 710, a knowledge map organized in an ontology structure is provided to a service user accessing a web site.

상기 지식맵은 해당 지식 맵을 생성한 생성자가 설정한 편집 권한 등급인 생성자 고유 편집 권한 혹은 생성자 승인 후 편집 권한 혹은 생성자 승인 없이 편집 권한 개방 등급과 같이 차등화된 편집 권한 등급이 부여되어 지인 혹은 그룹 혹은 전체 사용자를 대상으로 공개된다.The knowledge map may be assigned a unique editing authority, which is an editing authority level set by the creator who created the corresponding knowledge map, or a graded editing authority level, such as an editing authority opening after author approval, or an open editor authority without approval of the creator. It is open to all users.

상기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식 맵은 사용자의 정보사용 목적에 따른 지식 맵과 특정 학문 분야별로 구축된 지식 맵으로, 각각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은 구조이다.The knowledge map provided by the site is a knowledge map according to a user's information use purpose and a knowledge map constructed for each specific academic field, and have a structure as shown in Tables 1 and 2, respectively.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인문과학분야Humanities 고고학, 인류학, 철학, 심리학, 사학, 영어영문학Archeology, Anthropology, Philosophy, Psychology, History, English Literature 사회과학분야Social Science 경제학, 경영학, 통계학, 신문방송학, 정치학, 사회학, 지역연구, 여성학Economics, Business Administration, Statistics, Journalism, Politics, Sociology, Regional Studies, Women's Studies 건축과 예술분야Architecture and art 미술과 디자인, 음악, 공연예술, 건축학, 사진학Art and Design, Music, Performing Arts, Architecture, Photography 수학과 과학분야Mathematics and Science 수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구과학, 농생물학Mathematics, Physics, Chemistry, Biology, Earth Sciences, Agricultural Biology 기술과 공학분야Technology and engineering 항공공학, 화학공학, 컴퓨터공학, 전기전자공학, 재료공학, 기계공학Aeronautical engineering, chemical engineering, computer engineering,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materials engineering, mechanical engineering 의학과 약학분야Medicine and Pharmacy 의학, 간호학, 치의학, Allied Health, 약학Medicine, Nursing, Dentistry, Allied Health, Pharmacy 전문기술분야Field of expertise 패션과 미용, 호텔과 식당, 스포츠와 레져, 관광 및 여행, 식품위생Fashion and beauty, hotels and restaurants, sports and leisure, tourism and travel, food hygiene

상기 표 1 및 표 2의 각 지식 맵은, 전체 3단계의 온톨로지 분류 체계로 디자인된 구조로 구성되어 제1단계는 지식 맵 이름,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의 이름으로 정의된 지식 맵에 속하는 하부 카테고리,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에 속한 세부 카테고리로 구성된다. Each knowledge map of Table 1 and Table 2 has a structure designed by the ontology classification system of three levels, where the first step is a knowledge map name and the second step is a knowledge map defined by the name of the first step. The lower category to belong, and the third step is composed of detailed categories belonging to the second step.

여기서, 상기 제3단계의 카테고리와 연결된 최종 노드는 웹 리소스가 존재하는 링크들이 위치하며, 상기 웹 리소스 링크들은 1)제목(Title), 2) 유알엘(Url), 3) 생성자(Creator), 4) 편집자(Publisher), 5) 설명(Description), 6) 갱신날짜(Date Issued), 7) 제목(Subject Headings), 8) 태그(Tags), 9) 리소스 타입(Resource Type), 10) 언어(Language), 11) 스크린 샷(Screenshot), 12) 체크된 날짜 기록(Date Record Checked), 13) 식별자(Unique Identifier)을 포함하는 문헌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지식 맵의 중간 및 최종 카테고리는 하기의 표 3과 같이 구성된다.Here, in the final node connected to the category of the third step, links in which web resources exist are located, and the web resource links are 1) Title, 2) Url, 3) Creator, 4 ) Publisher, 5) Description, 6) Date Issued, 7) Subject Headings, 8) Tags, 9) Resource Type, 10) Language ( Language), 11) Screenshot, 12) Date Record Checked, 13) Unique Identifier, and intermediate and final categories of the knowledge map are as follows. It is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3.

중간 카테고리 구성 요소Medium category component 참고자료, 교육자료, 학술자료, 뉴스와 미디어, 웹사이트Resources, Education, Academics, News & Media, Websites 최종 카테고리 구성 요소Final category component 백과사전, 사전, 강의자료, 교과서, 기타교육자료, 데이터베이스, 학술저널, 학술회의, 뉴스, 소셜미디어, 디렉터리, 전문기관Encyclopedias, dictionaries, lecture materials, textbooks, other educational materials, databases, academic journals, academic conferences, news, social media, directories, professional institutions

계속해서, 712 과정에서 상기 웹 사이트에 등록된 사용자에게 개인별 웹 주소를 부여하고, 714 과정에서 상기 부여된 웹 주소에 개인화 서비스인 마이 페이지를 생성한다. Subsequently, a personal web address is assigned to a user registered in the web site in step 712, and a my page, which is a personalization service, is generated in the assigned web address in step 714.

그리고, 716 과정에서 상기 개인화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지식 맵 에디터를 통해 상기 마이 페이지 내 사용자별 특화된 지식 맵을 생성한다.In operation 716, the user-specific knowledge map in the My Page is generated through the knowledge map editor provided by the personalization service.

상기 지식 맵은 웹을 통하여 수집된 페이지들을 분석하고, 상기 웹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읽어들여 지식 맵 구축 서비스로 특화된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해 생성된다.The knowledge map analyzes the pages collected through the web, reads the data existing on the web, and is generated through a software module specialized in the knowledge map construction service.

이때,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지식 맵 에디터를 이용하여 조직화된 지식구조를 사용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웹을 통해 제시해 주고, 웹상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상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지식 맵의 이름을 나타내는 메인 카테고리가 상기 사용자 GUI 상의 동심원 혹은 타원 중앙에 위치하고 하부 카테고리는 점진적으로 외곽의 동심원 혹은 타원에 위치하도록 동작하도록 제어한다.In this case, the software module presents the organized knowledge structure using the knowledge map editor through the web using a user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names the knowledge map to express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data existing on the web. The main category represented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or ellipses on the user GUI, and the lower category is gradually controlled to be located at the outer concentric circles or ellipses.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상기 지식 맵의 카테고리 간의 대응 및 인접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서 동일 위치의 동심원 혹은 타원에 다수의 카테고리가 위치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카테고리 이름 혹은 최종 노드 위에 커서를 위치하면 관련 요약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특정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해당 카테고리와 링크된 하위 카테고리를 동심원 혹은 타원 안쪽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에게 동적인 집중 검색 환경을 조성한다.In addition, the software module controls a plurality of categories to be located in concentric circles or ellipses at the same location in order to express correspondence and adjacent relationship between the categories of the knowledge map. If the user clicks on a specific category, a sub-category linked with the category is moved into a concentric circle or an ellipse to create a dynamic concentrated search environment for the user.

그리고,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사용자 GUI 상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실시간 처리하고, 웹을 통한 동적 정보 탐색 수행을 위한 트랙킹(Tracking)을 유지하고,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지식 맵에 억세스(access)하여 관리를 수행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해당 지식 맵 정보를 사용자 GUI로 호출하거나 혹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GUI 및 지식 맵 에디터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요청하고, 전송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 및 데이터화하여 해당화면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software module processes an event occurring on a user GUI in real time, maintains tracking for performing dynamic information search through the web, and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ccess and manage a corresponding knowledge map. It provides an interface to perform the control to call the knowledge map information to the user GUI or to store in the database, to request processing of events generated in the user GUI and the knowledge map editor, and to decrypt and data the transmitted encrypted data Display on the screen.

여기서, 상기 지식 맵 에디터는 웹에 접속하여 해당 사이트에 맵을 등록하고, 상기 맵의 카테고리를 편집하고, 상기 카테고리와 연결된 링크의 부속정보를 추가, 삭제 및 수정한다.Here, the knowledge map editor accesses the web, registers a map with a corresponding site, edits a category of the map, and adds, deletes, and modifies sub information of a link connected to the category.

이때, 상기 지식 맵이 사용자에 의해 특화된 지식 맵으로 생성된 경우, 상기 지식 맵 에디터 화면에서 제공하는 지식 맵 등록 화면에 지식 맵 명칭, 지식 맵에 대한 설명, 생성일자, 생성자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하고, "다음(next)"을 클릭하여 온톨로지 구축 화면으로 이동한다.In this case, when the knowledge map is generated by a user-specific knowledge map, information including a knowledge map name, a description of the knowledge map, a creation date, and a creator is input to the knowledge map registration screen provided on the knowledge map editor screen. Then, click "next" to go to the ontology building screen.

상기 기 제공된 지식 맵을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웹 서비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지식 맵 중에서 선별된 지식 맵의 "선택"링크를 클릭하여 마이페이지(My page) 내의 마이 맵(My map) 탭에 상기 선별된 지식 맵이 표시되며, 상기 지식 맵 등록화면에는 기존 맵 등록 정보를 지식 맵 에디터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지식 맵 에디터 화면을 통해 상기 등록 정보의 각 필드를 편집하여 형성된 맵에 개인 혹은 그룹 및 공개 혹은 비공개에 관한 설정이 가능한 편집을 제공한다.
If you want to edit the provided knowledge map, click the "Selection" link of the knowledge map selected from the knowledge map provided by the web service to the My map tab in the My page (My page) The knowledge map is displayed, and on the knowledge map registration screen, existing map registr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knowledge map editor screen, and individuals or groups and disclosures are displayed on the map formed by editing each field of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ed knowledge map editor screen. Or it provides a configurable edit on privacy.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operations relating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Meanwhile,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110: 알디엠에스 백엔트 커넥터 112: 링크맵 엔진
114: 네비게이터 프레임워크 커넥터 116: 그래픽 인터페이스 툴
118: 지식 맵 에디터
110: RMS backend connector 112: linkmap engine
114: Navigator framework connector 116: Graphical interface tool
118: Knowledge Map Editor

Claims (30)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웹 사이트에 접속한 서비스 사용자에게 온톨로지(Ontology) 구조로 조직화된 지식 맵을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웹 사이트에 등록된 사용자에게 개인별 웹 주소를 부여하는 과정과,
상기 부여된 웹 주소에 개인화 서비스인 마이 페이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화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지식 맵 에디터를 통해 상기 마이 페이지 내에 사용자별 특화된 지식 맵을 생성하거나 기 제공된 지식 맵을 편집하도록 하여 동적/진화형 지식 맵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In the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method,
Providing a knowledge map organized in ontology structure to service users accessing the website;
Giving a personal web address to a user registered on the web site;
Generating a My Page, which is a personalization service, to the given web address;
And providing a dynamic / evolutionary knowledge map by creating a user-specific knowledge map or editing a provided knowledge map in the my page through the knowledge map editor provided by the personalization service. How to provide a web ser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맵은,
해당 지식 맵을 생성한 생성자가 설정한 편집 권한 등급인 생성자 고유 편집 권한 혹은 생성자 승인 후 편집 권한 혹은 생성자 승인 없이 편집 권한 개방 등급과 같이 차등화된 편집 권한 등급이 부여되어 지인 혹은 그룹 혹은 전체 사용자를 대상으로 공개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nowledge map,
The author's own editing authority, which is the editing authority level set by the creator who created the relevant knowledge map, or a graded editing authority level, such as editing authority after author approval or opening authority without approval of the creator, is granted to acquaintances, groups, or all users.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disclosed 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식 맵은,
사용자의 정보사용 목적에 따른 지식 맵과 특정 학문 분야 별로 구축된 지식 맵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nowledge map provided by the site,
A method of providing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knowledge map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usage purpose of the user and the knowledge map constructed for each specific academic fiel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식 맵은,
전체 3단계의 온톨로지 분류 체계로 디자인된 구조로 구성되어 제1단계는 지식 맵 이름,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의 이름으로 정의된 지식 맵에 속하는 하부 카테고리,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에 속한 세부 카테고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each of the knowledge map,
It consists of a structure designed by the ontology classification system of all three levels, where the first step is a knowledge map name, the second step is a subcategory belonging to the knowledge map defined by the name of the first step, and the third step is the second step. Method for providing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the detailed categories belonging to.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카테고리와 연결된 최종 노드는 웹 리소스가 존재하는 링크들이 위치하며, 상기 웹 리소스 링크들은 1)제목(Title), 2) 유알엘(Url), 3) 생성자(Creator), 4) 편집자(Publisher), 5) 설명(Description), 6) 갱신날짜(Date Issued), 7) 제목(Subject Headings), 8) 태그(Tags), 9) 리소스 타입(Resource Type), 10) 언어(Language), 11) 스크린 샷(Screenshot), 12) 체크된 날짜 기록(Date Record Checked), 13) 식별자(Unique Identifier)을 포함하는 문헌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final node connected to the category of the third step, links in which web resources exist are located, and the web resource links include 1) Title, 2) Url, 3) Creator, and 4) Editor. (Publisher), 5) Description, 6) Date Issued, 7) Subject Headings, 8) Tags, 9) Resource Type, 10) Language 11) Screenshot, 12) Date Record Checked, and 13) Docu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er (Unique Identifi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사용 목적에 따른 지식 맵은,
하기의 표 4와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knowledge map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user,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학문 분야 별로 구축된 지식 맵은,
하기의 표 5와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Figure pat00007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knowledge map constructed for each specific field of study,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5.
Figure pat0000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맵의 중간 및 최종 카테고리는 하기의 표 6과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Figure pat0000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termediate and final categories of the knowledge map are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6 below.
Figure pat0000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맵은,
웹을 통하여 수집된 웹 페이지들을 분석하고, 상기 웹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읽어들여 지식 맵 구축 서비스로 특화된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해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nowledge map,
A method of providing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eb pages collected through the web are analyzed and the data existing on the web is read and generated through a software module specialized in a knowledge map construction ser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지식 맵 에디터를 이용하여 조직화된 지식구조를 사용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웹을 통해 제시해 주고, 웹상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상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지식 맵의 이름을 나타내는 메인 카테고리가 상기 사용자 GUI 상의 동심원 혹은 타원 중앙에 위치하고 하부 카테고리는 점진적으로 외곽의 동심원 혹은 타원에 위치하도록 동작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oftware module,
The main category representing the name of the knowledge map is used to present the knowledge structure organized using the knowledge map editor through the web using the user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to express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existing on the web. A method of providing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a concentric circle or ellipse on a GUI and operates so that a lower category is gradually located at an outer concentric circle or ellips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상기 지식 맵의 카테고리 간의 대응 및 인접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서 동일 위치의 동심원 혹은 타원에 다수의 카테고리가 위치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카테고리 이름 혹은 최종 노드 위에 커서를 위치하면 관련 요약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특정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해당 카테고리와 링크된 하위 카테고리를 동심원 혹은 타원 안쪽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에게 동적인 집중 검색 환경을 조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oftware module,
In order to express the correspondence and the adjacent relationship between the categories of the knowledge map, the control is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categories are located in concentric circles or ellipses at the same location, and when the cursor is positioned on the category name or the last node, the related summary information is displayed. When a user clicks on a specific category, a method of providing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is provided by moving a sub-category linked with the category to a concentric circle or an ellipse to create a dynamic and concentrated search environment for the us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사용자 GUI 상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실시간 처리하고, 웹을 통한 동적 정보 탐색 수행을 위한 트랙킹(Tracking)을 유지하고,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지식 맵에 억세스(access)하여 관리를 수행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해당 지식 맵 정보를 사용자 GUI로 호출하거나 혹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oftware module,
Provides an interface for real-time processing of events occurring on the user GUI, maintaining tracking for performing dynamic information search through the web, and accessing and managing various knowledge maps.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call the knowledge map information to the user GUI or to store in the data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맵 에디터는,
웹에 접속하여 해당 사이트에 맵을 등록하고, 상기 맵의 카테고리를 편집하고, 상기 카테고리와 연결된 링크의 부속정보를 추가, 삭제 및 수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nowledge map editor,
A method of providing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comprising: registering a map on a corresponding site by accessing the web, editing a category of the map, and adding, deleting, and modifying sub information of a link connected to the catego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맵이 사용자에 의해 특화된 지식 맵으로 생성된 경우,
상기 지식 맵 에디터 화면에서 제공하는 지식 맵 등록 화면에 지식 맵 명칭, 지식 맵에 관한 설명, 생성일자, 생성자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하고, "다음(next)"을 클릭하여 온톨로지 구축 화면으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knowledge map is generated by a user-specified knowledge map,
Enter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of the knowledge map, the description of the knowledge map, the creation date, and the creator in the knowledge map registration screen provided on the knowledge map editor screen, and click "next" to move to the ontology construction screen.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제공된 지식 맵을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웹 서비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지식 맵 중에서 선별된 지식 맵의 "선택" 링크를 클릭하여 마이페이지(My page) 내의 마이 맵(My map) 탭에 상기 선별된 지식 맵이 표시되면, 상기 지식 맵의 등록화면에는 기존 맵 등록 정보를 지식 맵 에디터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지식 맵 에디터 화면을 통해 상기 등록 정보의 각 필드를 편집하여 형성된 맵에 개인 혹은 그룹 및 공개 혹은 비공개에 관한 설정이 가능한 편집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provided knowledge map is to be edited.
If the selected knowledge map is displayed on the My map tab in My page by clicking the "Select" link of the knowledge map selected from the knowledge maps provided by the web service, registration of the knowledge map On the screen, existing map registr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knowledge map editor screen, and an editable setting for individual or group and public or private is provided on a map formed by editing each field of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ed knowledge map editor screen.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사용자 GUI 및 지식 맵 에디터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요청하고, 전송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 및 데이터화하여 해당 화면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oftware module,
A method for providing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comprising requesting to process an event generated in a user GUI and a knowledge map editor, and decrypting and converting the transmitted encrypted data into a corresponding screen.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웹 사이트에 접속한 서비스 사용자에게 온톨로지 구조로 조직화된 지식 맵을 제공하고, 상기 웹 사이트에 회원 등록된 사용자에게 개인별 웹 주소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웹 주소에 개인화 서비스인 마이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개인화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지식 맵 에디터(editor)를 통해 상기 마이 페이지 내에 사용자별 특화된 지식 맵을 생성하거나 혹은 기 제공된 지식 맵을 편집하도록 하여 동적/진화형 지식 맵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the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Provide a knowledge map organized in an ontology structure to service users accessing the web site, give a personal web address to users registered as members of the web site, create a My Page, which is a personalization service, to the given web address, And a software module for providing a dynamic / evolutionary knowledge map by generating a user-specific knowledge map or editing a provided knowledge map in the My Page through a knowledge map editor provided by the personalization service.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사용자 GUI 상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실시간 처리하고, 웹을 통한 동적 정보 탐색 수행을 위한 트랙킹(Tracking)을 유지하고,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지식 맵에 억세스(access)하여 관리를 수행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해당 지식 맵 정보를 사용자 GUI로 호출하거나 혹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링크 맵(Link Map)엔진 모듈과,
웹에 접속하여 해당 사이트에 맵을 등록하고, 상기 맵의 카테고리를 편집하고, 상기 카테고리와 연결된 링크의 부속정보를 추가, 삭제 및 수정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지식 맵 에디터(Editor) 모듈과,
상기 지식 맵 에디터 모듈을 이용하여 조직화된 지식구조를 사용자 GUI를 통해서 제시해 주고, 웹상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상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지식 맵의 이름을 나타내는 메인 카테고리가 상기 사용자 GUI 상의 동심원 혹은 타원 중앙에 위치하고 하부 카테고리는 점진적으로 외곽의 동심원 혹은 타원에 위치하도록 동작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툴 모듈과,
상기 GUI 툴 모듈 및 지식 맵 에디터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요청하고, 전송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 및 데이터화하여 해당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네비게이터 프레임워크(Navigator Framework) 모듈 및
해당 지식 맵의 관련 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사이트의 로그 기록에 대한 통계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조회 혹은 저장을 요청 받은 데이터를 DB에 요청해 처리하는 알디엠에스 백엔드 커넥터(Raw Data Management System Backend Connector)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oftware module,
Provides an interface for real-time processing of events occurring on the user GUI, maintaining tracking for performing dynamic information search through the web, and accessing and managing various knowledge maps. A link map engine module for calling the knowledge map information with a user GUI or storing it in a database;
A knowledge map editor module for accessing the web, registering a map with a corresponding site, editing a category of the map, and providing an interface for adding, deleting, and modifying sub-information of links linked to the category;
In order to present the structure of knowledge organized using the knowledge map editor module through the user GUI, and to ex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existing on the web, the main category representing the name of the knowledge map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 or the ellipse on the user GUI. Located in the sub-category is gradually located in the outer concentric or ellipse (Graphical User Interface) tool module,
A navigator framework module for requesting to process an event generated in the GUI tool module and the knowledge map editor, and controlling to decrypt and data the transmitted encrypted data to display on a corresponding screen;
Raw Data Management System Backend Connector that registers the relevant information of the knowledge map, performs statistical data processing on the log records of the site, and requests and processes the data requested for inquiry or storage to the DB.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맵은,
해당 지식 맵을 생성한 생성자가 설정한 편집 권한 등급인 생성자 고유 편집 권한 혹은 생성자 승인 후 편집 권한 혹은 생성자 승인 없이 편집 권한 개방 등급을 통해 차등화된 편집 권한이 부여되어 지인 혹은 그룹 혹은 전체 사용자를 대상으로 공개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knowledge map,
The author's own editing authority set by the creator who created the knowledge map, or the author's own editing authority, or the author's approval after the author's approval, or the editing authority without the creator's approval, the graded editing authority is granted.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isclose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식 맵은,
사용자의 정보사용 목적에 따른 지식 맵과 특정 학문 분야 별로 구축된 지식 맵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knowledge map provided by the web site,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knowledge map according to the user's information use purpose and the knowledge map built for a specific academic field.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식 맵은,
전체 3단계의 온톨로지 분류 체계로 디자인된 구조로 구성되어 제1단계는 지식 맵 이름,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의 이름으로 정의된 지식 맵에 속하는 하부 카테고리,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에 속한 세부 카테고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each of the knowledge map,
It consists of a structure designed by the ontology classification system of all three levels, where the first step is a knowledge map name, the second step is a subcategory belonging to the knowledge map defined by the name of the first step, and the third step is the second step.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detailed categories belonging to.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카테고리와 연결된 최종 노드는 웹 리소스가 존재하는 링크들이 위치하며, 상기 웹 리소스 링크들은 1)제목(Title), 2) 유알엘(Url), 3) 생성자(Creator), 4) 편집자(Publisher), 5) 설명(Description), 6) 갱신날짜(Date Issued), 7) 제목(Subject Headings), 8) 태그(Tags), 9) 리소스 타입(Resource Type), 10) 언어(Language), 11) 스크린 샷(Screenshot), 12) 체크된 날짜 기록(Date Record Checked), 13) 식별자(Unique Identifier)을 포함하는 문헌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final node connected to the category of the third step includes links in which web resources exist, wherein the web resource links include 1) Title, 2) Url, and 3) Constructor. Creator, 4) Publisher, 5) Description, 6) Date Issued, 7) Subject Headings, 8) Tags, 9) Resource Type, Social knowledge map web, comprising: 10) Language, 11) Screenshot, 12) Date Record Checked, 13) Bibli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er Service delivery system.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사용 목적에 따른 지식 맵은,
하기의 표7과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knowledge map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user,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7.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학문 분야별로 구축된 지식 맵은,
하기의 표 8과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Figure pat00012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knowledge map constructed for each specific discipline,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8.
Figure pat0001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맵의 중간 및 최종 카테고리는 하기의 표 9와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Figure pat00013

25. The system of claim 24, wherein the intermediate and final categories of the knowledge map are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9 below.
Figure pat0001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맵은,
웹을 통하여 수집된 웹 페이지들을 분석하고, 상기 웹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읽어들여 지식 맵 구축 서비스로 특화된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해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knowledge map,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web pages collected through the web are analyzed, and the data existing on the web is read and generated through a software module specialized in a knowledge map construction servic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GUI 툴 모듈은,
상기 지식 맵의 카테고리 간의 대응 및 인접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서 동일 위치의 동심원에 다수의 카테고리가 위치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카테고리 이름이나 최종 노드 위에 커서를 위치하면 관련 요약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특정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해당 카테고리와 링크된 하위 카테고리를 동심원 혹은 타원 안쪽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에게 동적인 집중 검색 환경을 조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GUI tool module,
In order to express the correspondence and the neighbor relationship between the categories of the knowledge map, a plurality of categories are controlled to be located in concentric circles of the same location, and when the cursor is positioned on the category name or the last node, the related summary information is controlled and the user When a specific category is clicked,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is characterized by moving a sub-category linked with the category to a concentric circle or an ellipse to create a dynamic intensive search environment for the us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상기 지식 맵이 사용자에 의해 특화된 지식 맵으로 생성된 경우, 상기 지식 맵 에디터 화면에서 제공하는 지식 맵 등록 화면에 지식 맵 명칭, 지식 맵에 관한 설명, 생성일자, 생성자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하고, "다음(next)"을 클릭하여 온톨로지 구축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oftware module,
When the knowledge map is generated by a user-specific knowledge map, input information including a knowledge map name, a description of the knowledge map, a creation date, and a creator into a knowledge map registration screen provided on the knowledge map editor screen,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go to the ontology building screen by clicking "nex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웹 서비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지식 맵 중에서 선별된 지식 맵의 "선택"링크를 클릭하여 마이 페이지(My page)내의 마이 맵(My map)에 상기 선별된 지식 맵을 표시하면, 상기 지식 맵 등록화면에는 기존 맵 등록 정보를 지식 맵 에디터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지식 맵 에디터 화면을 통해 상기 등록 정보의 각 필드를 편집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oftware module,
When the selected knowledge map is displayed on the My map in My page by clicking the "Select" link of the selected knowledge map among the knowledge maps provided by the web service, the knowledge map registration screen is displayed. And displaying existing map registration information on a knowledge map editor screen and editing each field of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ed knowledge map editor screen.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는,
하위 카테고리에 대한 사용 빈도, 통계 데이터에 대한 색 및 크기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지식 맵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category,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by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frequency of use for a subcategory and color and size of statistical data.
KR1020110067161A 2011-07-07 2011-07-0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KR20130012217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161A KR20130012217A (en) 2011-07-07 2011-07-0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CT/KR2011/008316 WO2013005892A1 (en) 2011-07-07 2011-11-03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161A KR20130012217A (en) 2011-07-07 2011-07-0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217A true KR20130012217A (en) 2013-02-01

Family

ID=4743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161A KR20130012217A (en) 2011-07-07 2011-07-0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12217A (en)
WO (1) WO2013005892A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913B1 (en) * 1999-11-23 2004-02-11 고성민 System and method displaying the results of search
KR100519979B1 (en) * 2003-12-24 2005-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Large-sacle Ontology Generation System
KR100661883B1 (en) * 2004-02-17 2006-12-27 경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Sevice Method and system for my contents using web-sevice
KR20090111243A (en) * 2008-04-21 2009-10-26 유민수 Knowledge mana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5892A1 (en)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oose et al. The linked open data landscape in libraries and beyond
Fernando et al. ArchiveWeb: collaboratively extending and exploring web archive collections—How would you like to work with your collections?
Diamadis et al. Efficient cooperative searching on the Web: system design and evaluation
Miller Data visualization as participatory research: a model for digital collections to inspire user-driven research
CN109791797B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nd displaying available information based on chemical structure similarity in large database
Hennesy et al. Measuring actual practices: A computational analysis of LibGuides in academic libraries
Mukherjee et al. Integration of domain-specific metadata schema for cultural heritage resources to DSpace: a prototype design
Nahotko Knowledge Organization Affordances in a Faceted Online Public Access Catalog (OPAC)
Zavalina Contextual metadata in digital aggregations: Application of collection-level subject metadata and its role in user interactions and information retrieval
Newcomer The detail behind web-scale: Selecting and configuring web-scale discovery tools to meet music information retrieval needs
KR10154791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evolving knowledge map
Dylko Using technological attributes to study online media: The case of user-generated content
Almeida et al. Fiction in a phenomenon-based classification
Rees et al. Discovering the local in national cultural heritage collections. How web maps can help the UK public engage with their ‘own places’
Dang The Women Film Pioneers Explorer: What Data Visualizations Can Tell Us About Women in Film History
Fernando et al. Archiveweb: Collaboratively extending and exploring web archive collections
Dobrovolska et al. Information research resources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phere on the internet
KR2013001221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 knowledge map web service
Gu Corpus triangulation: combining data and methods in corpus-based translation studies
Sassen Enhancing bibliographic access to dissertations
Benardou et al. From Europeana Cloud to Europeana Research: Tools, users and methods
Saha et al. Application and Integration of VIAF and OCLC FAST with Koha, VuFind, and Google CSE
Niu Organisation and description of datasets
Tomoyose et al. Vocabularies for Publishing Research Data
Millet-Lacombe Specifying a Generic Working Environment on Historical Data, based on MetaindeX, Kibana and Geph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