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205A - Method for servicing a quiz using a smart phone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rvicing a quiz using a smart phone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205A
KR20130012205A KR1020110064299A KR20110064299A KR20130012205A KR 20130012205 A KR20130012205 A KR 20130012205A KR 1020110064299 A KR1020110064299 A KR 1020110064299A KR 20110064299 A KR20110064299 A KR 20110064299A KR 20130012205 A KR20130012205 A KR 20130012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z
information
smartphone
smart phone
ans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2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혜성
Original Assignee
이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현 filed Critical 이광현
Priority to KR1020110064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2205A/en
Publication of KR20130012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2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64Quiz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quiz service method with a smart phone and a system therefor are provided to supply a quiz to a quiz applicant by driving an application by providing the quiz through a smart phone including a giveaway quiz application. CONSTITUTION: At a quiz starting time, a quiz information generating unit(210) generates quiz informatio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smart phone. A quiz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220) transmits the generated quiz information to the smart phone. A quiz answer receiving unit(240) receives a quiz answer from a quiz applicant of the smart phone. A target inquiry unit(250) inquires into a target person according to the answer. [Reference numerals] (100) Smart phone; (210) Quiz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20) Quiz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230) Member DB; (240) Quiz answer receiving unit; (250) Target inquiry unit; (260) Prize forward requesting unit; (300) Advertiser server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METHOD FOR SERVICING A QUIZ USING A SMART PHONE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Quiz service method using a smartphone and a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METHOD FOR SERVICING A QUIZ USING A SMART PHONE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가능한 스마트폰을 통해 경품 퀴즈를 제공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z service method using a smartphone and a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a quiz service method using a smartphone for maximizing the advertising effect by providing a prize quiz through a portable smartphone and the same It relates to a system for performing.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게임 서비스는 1999년에 시작되어 매년 2배 이상의 급성장을 하고 있으며, 2003년에는 그 시장 규모가 1000억원 이상으로 거대해졌다. 그러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게임 서비스 규모가 거대하고 그 서비스의 종류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퀴즈서비스의 제공 방식은 매우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퀴즈서비스는 퀴즈서비스 제공 사업자가 게임 서비스 서버에 문제를 미리 저장해 놓으면, 퀴즈응모자가 개별적으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고, 객관식의 형태로 출제되는 퀴즈를 숫자키를 이용하여 푸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문제를 다 푼 뒤에는 서버에 점수를 저장하고 일정 기간, 예를들어 일주일이나 한 달의 기간 동안 저장된 점수 중 높은 점수를 획득한 사람에게 포인트나 경품 등의 보상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the game ser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gan in 1999, and has grown more than twice as fast each year, and in 2003, the market has grown to over 100 billion won. However, although the game service sca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huge and various kinds of services are made, the quiz service is provided in a very simple form. The quiz service is a method in which a quiz service provider stores a problem in a game service server in advance, and a quiz applicant individually connects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and uses a numeric key to solve a quiz that is presented in a multiple choice form. After the problem is solved, the score is stored on the server and rewarded for points or prizes to the person who scores the highest sco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xample, a week or month.

한편, 지상파 방송이나 위성 방송을 통해서도 퀴즈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또한 단문 형식의 문제를 객관식으로 출제하고, 퀴즈응모자는 ARS를 이용하여 정답을 맞추고 방송이 끝나는 순간, 또는 일정 기간 후 정답자를 추첨하여 경품을 제공하는 단순한 형태에 지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quiz service is also provided through terrestrial or satellite broadcasting. However, this also is a simple form of questions in a multiple-choice questions, quiz applicants to use the ARS to answer the correct answer, and at the end of the broadcast, or after a period of time to draw the correct answer to give a prize.

이러한 기존의 퀴즈 프로그램은 퀴즈응모자가 정답을 입력하고 퀴즈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기다려야 하는 지루함이 있었다. 또한 몇 명이 퀴즈에 참가하였는지, 자신이 몇 등 정도 되는지를 확인할 방법이 전혀 없기 때문에, 게임의 흥미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퀴즈응모자는 퀴즈 게임 참여를 기피하게 되고, 퀴즈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도 상업성이 떨어지므로 퀴즈서비스 제공을 기피하게 된다.The existing quiz program was bored that the quiz applicant has to enter the correct answer and wait until the quiz ends.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way to check how many people participated in the quiz, how many of them, etc.,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game is less interesting. Accordingly, the quiz applicant avoids participating in the quiz game, and the operators who provide the quiz service also avoid the quiz service because the commerciality is low.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가능한 스마트폰을 통해 경품 퀴즈를 제공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iz service method using a smartphone for maximizing the advertising effect by providing a prize quiz through a portable smartphone.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퀴즈서비스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iz service system using a smartphone for performing the above quiz service metho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은, 휴대전화 기능과 컴퓨팅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에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퀴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퀴즈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발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의 퀴즈응모자로부터 퀴즈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퀴즈 답변을 근거로 정답에 대응하는 대상자를 조회하는 단계와, 조회된 퀴즈 답변자의 퀴즈응모자 정보를 근거한 배송지 정보로 경품 발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quiz service method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as a quiz start time arrives on a smartphone having a mobile phone function and a computing function. Generating a quiz information, sending the generated quiz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receiving a quiz answer from a quiz applicant of the smartphone, and a subject corresponding to a correct answer based on the quiz answer. Inquiring step, and requesting the prize delivery with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based on the quiz applicant information of the inquired quiz respond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퀴즈정보는 암호화되어 상기 스마트폰에 발송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quiz information may be encrypted and sent to the smartphon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암호화된 퀴즈정보는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됨에 따라 복호화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may be decrypted as the quiz start time arrives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암호화된 퀴즈정보는 복수의 퀴즈들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퀴즈들은 순차적으로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consists of a plurality of quizzes, the plurality of quizzes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퀴즈정보는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퀴즈응모자가 선택한 다른 퀴즈응모자의 스마트폰과 공유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quiz information may be shared with the smartphone of the other quiz applicant selected by the quiz applicant through the smartphone.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은, 상기 퀴즈정보를 생성하기 이전에, 조건부 퀴즈응모용 회원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퀴즈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회원정보를 근거로 해당 스마트폰에 상기 퀴즈정보를 발송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quiz service method using a smartphone, before generating the quiz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conditional quiz application member information, and sending the quiz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In step, the quiz information may be sent to the corresponding smartphone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시스템은, 휴대전화 기능과 컴퓨팅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에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퀴즈정보를 생성하는 퀴즈정보 생성부와, 생성된 퀴즈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발송하는 퀴즈정보 발송부와, 상기 스마트폰의 퀴즈응모자로부터 퀴즈 답변을 수신하는 퀴즈답변 수신부와, 상기 퀴즈 답변에 따른 대상자를 조회하는 대상자 조회부와, 조회된 퀴즈 답변자의 퀴즈응모자 정보를 근거한 배송지 정보로 경품 발송을 요청하는 경품발송 요청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quiz service system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isplay function of the smart phone as a quiz start time arrives on a smart phone having a mobile phone function and a computing function. A quiz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e displayed quiz information, a quiz information sending unit for sending the generated quiz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a quiz answ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quiz answer from the quiz applicant of the smartphone, and the quiz answer The subject inquiry unit for querying the subject according to, and the prize dispatch request unit for requesting the prize delivery with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based on the quiz applicant information of the inquired quiz responder.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시스템은 조건부 퀴즈응모용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퀴즈정보 발송부는 상기 회원 DB에 저장된 상기 조건부 퀴즈응모용 회원정보를 근거로 해당 스마트폰에 상기 퀴즈정보를 발송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quiz service system using a smartphone further includes a member DB for storing conditional quiz application member information, the quiz information send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conditional quiz application me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ber DB The quiz information can be sent to the smartphon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퀴즈정보 발송부에서 발송된 퀴즈정보를 저장하고,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됨에 따라, 상기 퀴즈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퀴즈응모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퀴즈 답변을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에 발송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mart phone stores the quiz information sent from the quiz information sending unit, and as the quiz start time arrives, displays the quiz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 phone, and manipulates the quiz applicant. According to the quiz answers can be sent to the quiz service serv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퀴즈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퀴즈정보는 암호화되어 있고, 상기 스마트폰은 암호화된 퀴즈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됨에 따라, 상기 암호화된 퀴즈정보는 복호화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quiz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quiz information generation unit is encrypted, the smart phone receives and stores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and as the quiz start time arrives,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Decod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 phon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폰은 암호화된 퀴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암호화된 퀴즈정보는 복수의 퀴즈들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퀴즈들은 순차적으로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martphone receives encrypted quiz information,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quizzes, a plurality of quizzes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퀴즈정보는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퀴즈응모자가 선택한 다른 퀴즈응모자의 스마트폰과 공유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quiz information may be shared with the smartphone of the other quiz applicant selected by the quiz applicant through the smartphone.

이러한 퀴즈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의하면, 경품 퀴즈응모 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에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됨에 따라 표시되는 퀴즈가 제공되므로 일반 퀴즈응모자는 어플 구동을 통해 퀴즈를 제공받고, 정답 획득을 위해, 인터넷 조회(예를들어, 광고주의 홈페이지 등)를 통해 퀴즈정답을 획득하고, 획득된 퀴즈정답을 발송하므로써, 실시간 조회수가 급증할 수도 있어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퀴즈응모자는 퀴즈정답을 맞춤에 따라 경품을 얻을 수 있고, 퀴즈서비스 사업자는 광고를 유치하여 일정 수수료를 획득할 수 있으며, 광고주는 단기간에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quiz service method and a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since a quiz is displayed as the quiz start time arrives on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prize quiz application, the general quiz applicant is provided with a quiz through driving the app, and the answer is correct. For obtaining, by obtaining a quiz correct answer through an Internet query (for example, the advertiser's homepage, etc.), and by sending the obtained quiz correct answer, real-time views may increase rapidly to maximize the advertising effect. Accordingly, the quiz applicant can obtain a prize according to the personalized quiz answer, the quiz service operator can obtain a certain fee by attracting advertisements, advertisers can maximize the advertising effect in a short tim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퀴즈서비스 서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메모리부에 저장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아이폰 오에스 계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에 기억된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는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로딩화면이다. 도 6b는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로딩후 초기 화면이다.
도 7a는 포털사이트를 활용한 검색 힌트에 대응하는 사용자화면이고, 도 7b는 이미지와 텍스트를 이용한 힌트에 대응하는 사용자화면이며, 도 7c는 지도를 이용한 힌트에 대응하는 사용자화면이고, 도 7d는 동영상을 이용한 힌트에 대응하는 사용자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퀴즈시작 화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퀴즈 진행에 따른 사용자화면들이다.
도 10a는 퀴즈 경품 획득에 따른 사용자화면이고, 도 10b는 퀴즈 경품 획득 실패에 따른 사용자화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스마트폰에 기억된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조건부 퀴즈답변에 따른 대상자 조회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a는 퀴즈 진행을 위한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초기화면이다. 도 15b는 경품 퀴즈서비스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화면이다.
도 16a는 퀴즈 제시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화면이다. 도 16b는 퀴즈 정답 선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화면이다. 도 16c는 퀴즈 응모의 제한 시간 초과에 따라 알람 표시되는 사용자화면이다.
도 17은 퀴즈 정답을 맞춤에 따라 표시되는 사용자화면이다.
도 18은 다음 퀴즈 힌트를 위한 인터넷 사이트 검색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화면이다.
도 19는 지난 퀴즈 결과 조회에 따라 표시되는 사용자화면이다.
도 20은 참여한 퀴즈 결과 표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화면이다.
1A and 1B are flowchart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quiz service method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quiz service server shown in FIG. 1.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martphone illustrated in FIG. 1.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Phone OS hierarchy structure for implementing a smartphone application stored in a memory unit illustrated in FIG. 3.
FIG. 5 is a flowchart for schematically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prize quiz application stored in the smartphone illustrated in FIG. 1.
Figure 6a is a loading screen of the prize quiz application. Figure 6b is the initial screen after the loading of the prize quiz application.
7A is a user screen corresponding to a search hint using a portal site, FIG. 7B is a user screen corresponding to a hint using images and text, FIG. 7C is a user screen corresponding to a hint using a map, and FIG. Use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hint using the video.
8 is a quiz start screen of the prize quiz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D are user screens according to the quiz progress.
FIG. 10A is a user screen according to a quiz prize acquisition, and FIG. 10B is a user screen according to a quiz prize acquisition failure.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quiz service method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flowchart for schematically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prize quiz application stored in the smartphone illustrated in FIG. 11.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ubject inquiry step according to a conditional quiz answer illustrated in FIG. 11.
14A to 14C are flowchart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quiz service method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a is the initial screen of the prize quiz application for the quiz progress. 15B is a user screen for sharing of a prize quiz service.
16A is a user screen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quiz presentation screen. 16B is a user screen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quiz correct answer selection. 16C is a user screen that displays an alarm when a time limit for quiz entry is exceeded.
17 is a user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a quiz correct answer.
18 is a user screen for explaining an Internet site search for the next quiz hint.
19 is a user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a previous quiz result inquiry.
20 is a user screen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participating quiz results display.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A and 1B are flowchart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quiz service method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스마트폰(100)은 퀴즈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다운로드한다(단계 S100). 도 1에서는 스마트폰(100)이 퀴즈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다운로드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퀴즈서비스 서버(200)가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앱스토어와 같은 온라인 마켓(미도시)에 업로드시키고, 스마트폰(100)이 상기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1A and 1B, the smartphone 100 accesses the quiz service server 200 and downloads a prize quiz application (step S100). In FIG. 1, the smartphone 100 connects to the quiz service server 200 and downloads a prize quiz application. However, the quiz service server 200 presents the prize quiz application in an online market such as an app store (not shown). ), And the smartphone 100 may download the prize quiz application.

광고주 서버(300)는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에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통한 퀴즈 제공을 요청한다(단계 S102).Advertiser server 300 requests the quiz service server to provide a quiz through the prize quiz application (step S102).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는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통한 퀴즈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104). 상기 퀴즈정보는 퀴즈와 상기 퀴즈에 대응하는 퀴즈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퀴즈는 객관식 형태일 수도 있고, 주관식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퀴즈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로 연속하여 표시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퀴즈관련 정보는 퀴즈 힌트와 퀴즈시작 시각정보, 경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퀴즈 힌트는 텍스트 타입일 수도 있고, 휴대전화 기능과 컴퓨팅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의 특성을 활용하여 홍보를 위한 특정 회사의 URL 링크, 특정 회사나 특정 회사에서 출시한 신규 제품의 홍보를 위한 인터넷 사이트 검색 URL 링크 등일 수 있다.The quiz service server 200 generates the quiz information through the prize quiz application (step S104). The quiz information may include a quiz and quiz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iz. The quiz may be a multiple choice form or a short answer form. In addition, quizzes may be made of one, or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to be displayed in succession to each other. The quiz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 quiz hint, quiz start time information, priz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quiz hint may be a text type, a link to a URL of a specific company for promotion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martphone having a mobile phone function and a computing function, and an internet site for promoting a new product released by a specific company or a specific company. Search URL link, or the like.

부가적으로,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는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다운로드한 스마트폰들 전체에게 푸시 알림을 이용하여 경품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푸심 알림은 대규모의 광고가 요구되는 경우, 보다 많은 사람들이 경품 퀴즈에 응모하도록 퀴즈 참여를 독려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quiz service server 200 may transmit the prize information using the push notification to all the smartphones downloaded the prize quiz application. Such push notifications can be used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a quiz so that more people can enter the prize quiz when large-scale advertisements are required.

상기 스마트폰(100)은 다운로드된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기동한다(단계 S106). 상기한 경품 퀴즈응모용 어플의 기동에 따라 후술되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화면이 상기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될 수 있다. The smartphone 100 launches the downloaded prize quiz application (step S106). A user screen as shown in FIG. 6A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 phone 100 according to the start of the prize quiz application.

상기 스마트폰(100)은 도래하는 퀴즈관련 정보를 퀴즈서비스 서버(200)에 요청한다(단계 S108). The smartphone 100 requests the quiz service server 200 to arrive at the quiz-related information (step S108).

상기 스마트폰(100)은 도래하는 퀴즈관련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110). The smartphone 100 receives the quiz-related information to arrive (step S110).

상기 퀴즈관련 정보는 퀴즈 일련번호(QuizID), 객관식인지 주관식인지에 따른 퀴즈타입(QuizType), 퀴즈제목(QuizTitle), 퀴즈시작시각(StartTime), 퀴즈종료시각(EndTime), 서버현재시각(CurrentTime), 제한시간(LimitMinu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마트폰(100)이 퀴즈관련 정보를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에 요청하고, 이에 따라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가 퀴즈관련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100)에 제공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별도의 요청 절차없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가 퀴즈관련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The quiz-related information is a quiz serial number (QuizID), quiz type (QuizType), quiz title (QuizTitle), quiz start time (StartTime), quiz end time (EndTime), server current time (CurrentTime) , LimitMinut, and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mart phone 100 requests the quiz-related information to the quiz service server 200, and accordingly the quiz service server 200 provides the quiz-related information to the smart phone 100 Although illustrated, the quiz service server 200 may provide quiz-related information to the smart phone 100 without a separate request procedure.

상기 스마트폰(100)은 도래하는 퀴즈관련 정보를 표시하고, 퀴즈시작 시간의 카운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112). 상기 퀴즈관련 정보 및 퀴즈시작 시간의 카운트 정보는 후술되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화면이 상기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될 수 있다.The smartphone 100 displays the coming quiz-related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count information of the quiz start time through the display unit (step S112). The quiz-related information and the count information of the quiz start ti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 phone 100 as shown in FIG. 6B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스마트폰(100)은 현재 시각이 퀴즈시작 시각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14).The smartphone 100 checks whether the current time is the quiz start time (step S114).

단계 S114에서 현재 시각이 퀴즈시작 시각으로 체크되면, 상기 스마트폰(100)은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에 퀴즈를 요청한다(단계 S116).If the current time is checked as the quiz start time in step S114, the smart phone 100 requests a quiz to the quiz service server 200 (step S116).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가 상기 스마트폰(100)에 퀴즈를 발송함에 따라(단계 S118), 상기 스마트폰(100)은 수신된 퀴즈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120). 상기한 퀴즈는 후술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화면이 상기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퀴즈는 객관식 형태의 퀴즈일 수도 있고, 주관식 형태의 퀴즈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퀴즈는 1회성 퀴즈일 수도 있고, 복수의 퀴즈들이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연속성 퀴즈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마트폰(100)이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됨에 따라 퀴즈를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에 요청하고, 이에 따라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가 퀴즈를 상기 스마트폰(100)에 제공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별도의 요청 절차없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가 퀴즈를 상기 스마트폰(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퀴즈시작 시각은 퀴즈서비스 서버에서 설정될 수 있다. As the quiz service server 200 sends a quiz to the smart phone 100 (step S118), the smart phone 100 displays the received quiz through the display unit (step S120). In the quiz, a user screen as illustrated in FIG. 8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 phone 100. The quiz may be a quiz in a multiple choice form or a quiz in a multiple choice form. In addition, the quiz may be a one-time quiz, or may be a continuity quiz in which a plurality of quizzes are sequentially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smart phone 100 requests a quiz to the quiz service server 200 as the quiz start time arrives, and accordingly, the quiz service server 200 sends a quiz to the smart phone 100. Although providing an example, the quiz service server 200 may provide a quiz to the smart phone 100 without a separate request procedure. The quiz start time may be set in a quiz service server.

상기 스마트폰(100)은 퀴즈 답변을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에 제공한다(단계 S122). 만일, 퀴즈가 복수의 퀴즈들로 이루어진 연속성 퀴즈라면, 복수의 퀴즈들 각각에 대응하여 퀴즈 답변이 기입됨에 따라 매 퀴즈 답변을 퀴즈서비스 서버(200)에 제공할 수도 있고, 퀴즈 답변들을 패키지화하여 퀴즈서비스 서버(2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The smartphone 100 provides a quiz answer to the quiz service server 200 (step S122). If the quiz is a continuity quiz composed of a plurality of quizzes, the quiz answer may be provided to the quiz service server 200 as quiz answers are writte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quizzes, or the quiz answers may be packaged. It may be provided to the service server 200.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는 퀴즈 정답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24). The quiz service server 200 checks whether the quiz is correct (step S124).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는 단계 S124의 체크 결과에 따른 정답 또는 오답 알람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100)에 발송하고(단계 S126), 상기 스마트폰(100)은 정답 또는 오답 알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128). 예를들어, 정답 알람 메시지는 후술되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화면이 상기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될 수 있다.The quiz service server 200 sends the correct or incorrect alar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of step S124 to the smart phone 100 (step S126), the smart phone 100 displays the correct or incorrect alarm message display unit (Step S128). For example, the correct answer alarm mess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 phone 100, a user screen as shown in Figure 9a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는 퀴즈 답변에 따른 당첨 대상자를 조회한다(단계 S130). 상기한 당첨 대상자는 단순 선착순 방식에 의해 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당첨 대상자는 조건부 선착순 방식, 성별 선착순, 연령별 선착순, 지역별 선착순 등과 같은 다양한 선착순 방식들에 의해 선정될 수도 있다. 상기한 단계 S130은 후술되는 도 13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quiz service server 200 inquires the winners according to the quiz answer (step S130). The winner may be selected by a simple first-come, first-served basis. In addition, the winner may be selected by various first-come-first-served schemes such as conditional first-come-first-served manner, gender first-come-first-served basis, age-first-come first-served basis, and regional first-come-first-served basis. Step S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3.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는 퀴즈에 따른 경품 발송을 상기 광고주 서버(300)에 요청한다(단계 S132).The quiz service server 200 requests the advertiser server 300 to send a prize according to a quiz (step S132).

상기 광고주 서버(300)는 퀴즈응모자 정보에 근거한 배송지로 경품을 발송한다(단계 S134). The advertiser server 300 sends the prize to the delivery destination based on the quiz applicant information (step S134).

상기 스마트폰(100)은 퀴즈응모자의 조작에 의해 다음 퀴즈 힌트가 요청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136), 다음 퀴즈 힌트가 요청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다음 퀴즈 힌트를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에 요청한다(단계 S138). The smartphone 100 checks whether the next quiz hint is requested by the operation of the quiz applicant (step S136), and if the next quiz hint is checked as requested, the next quiz hint is the quiz service server 200. Request to step S138.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는 다음 퀴즈 힌트 정보를 조회하여(단계 S140), 스마트폰(100)에 발송한다(단계 S142). The quiz service server 200 inquires the next quiz hint information (step S140), and sends it to the smartphone 100 (step S142).

상기 스마트폰(100)은 다음 퀴즈 힌트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144). 상기한 다음 퀴즈 힌트는 후술되는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화면이 상기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될 수 있다. 퀴즈응모자는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되는 다음 퀴즈 힌트를 근거로 다음 퀴즈에 대한 정답을 미리 예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빠르게 퀴즈 정답을 기입할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폰의 장점을 살려 퀴즈의 힌트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퀴즈응모자는 다양한 형태의 간접광고를 체험하게 된다. The smartphone 100 displays the next quiz hint through the display unit (step S144). In the following quiz hint, a user screen as illustrated in FIGS. 7A to 7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100. The quiz applicant can predict the correct answer for the next quiz in advance based on the next quiz hi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us, the quiz answer can be written more quickly. As such, taking advantage of the smart phone can provide a variety of hints of the quiz, the quiz applicant will experience various forms of indirect advertising.

상기 스마트폰(100)은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종료 요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146),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종료가 요청되지 않으면, 단계 S106으로 피드백하고,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종료가 요청되면 종료한다. The smartphone 100 checks whether or not to request the end of the prize quiz application (step S146), if the termination of the prize quiz application is not requested, feedback to step S106, and terminates when the end of the prize quiz application is requested do.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퀴즈서비스 서버(200)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quiz service server 200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퀴즈서비스 서버(200)는 퀴즈정보 생성부(210), 퀴즈정보 발송부(220), 회원 DB(230), 퀴즈답변 수신부(240), 대상자 조회부(250), 경품발송 요청부(2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quiz service server 200 includes a quiz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10, a quiz information sending unit 220, a member DB 230, a quiz response receiving unit 240, a subject inquiry unit 250, and prizes. The dispatch request unit 260 is included.

상기 퀴즈정보 생성부(210)는 휴대전화 기능과 컴퓨팅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100)에 표시되는 퀴즈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퀴즈정보는 퀴즈와 상기 퀴즈에 대응하는 퀴즈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퀴즈는 객관식 형태일 수도 있고, 주관식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퀴즈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로 연속하여 표시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퀴즈관련 정보는 퀴즈 힌트와 퀴즈시작 시각정보, 경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퀴즈 힌트는 텍스트 타입일 수도 있고, 휴대전화 기능과 컴퓨팅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의 특성을 활용하여 홍보를 위한 특정 회사의 URL 링크, 특정 회사나 특정 회사에서 출시한 신규 제품의 홍보를 위한 인터넷 사이트 검색 URL 링크 등일 수 있다.The quiz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10 generates quiz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martphone 100 having a mobile phone function and a computing function. The quiz information may include a quiz and quiz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iz. The quiz may be a multiple choice form or a short answer form. In addition, quizzes may be made of one, or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to be displayed in succession to each other. The quiz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 quiz hint, quiz start time information, priz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quiz hint may be a text type, a link to a URL of a specific company for promotion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martphone having a mobile phone function and a computing function, and an internet site for promoting a new product released by a specific company or a specific company. Search URL link, or the like.

상기 퀴즈정보 발송부(220)는 생성된 퀴즈정보를 상기 스마트폰(100)에 발송한다. 상기 퀴즈정보에 구비되는 퀴즈관련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100)에 먼저 발송한 후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되면 퀴즈를 상기 스마트폰(100)에 발송할 수도 있고, 퀴즈와 퀴즈관련 정보를 일시에 상기 스마트폰(100)에 발송할 수도 있다. 상기 퀴즈정보는 암호화되지 않고 상기 스마트폰(100)에 발송될 수도 있고, 암호화되어 상기 스마트폰(100)에 발송될 수도 있다. 암호화되지 않고 발송되는 경우는, 예를들어, 퀴즈관련 정보를 먼저 발송한 후,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되면 발송되는 경우이다. 한편, 암호화되어 발송되는 경우는, 예를들어, 퀴즈와 퀴즈관련 정보를 일시에 발송되는 경우이다. 이때 퀴즈는 암호화되어 발송된다. The quiz information sending unit 220 sends the generated quiz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100). Quiz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in the quiz information to the smart phone 100 first and then when the start time of the quiz can be sent to the smart phone 100, the quiz and quiz-related information at the time It may be sent to the phone 100. The quiz information may be sent to the smartphone 100 without being encrypted, or may be encrypted and sent to the smartphone 100. If the message is sent without encryption, for example, the quiz-related information is sent first, and then the quiz start time arrives. On the other hand, when encrypted and sent, for example, quiz and quiz-related information are sent at one time. At this time, the quiz is sent encrypted.

상기 회원 DB(230)는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다운로드한 회원정보, 예를들어, 성별, 연령, 관심사, 지역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회원정보를 통해 광고주가 원하는 타켓팅 형태의 퀴즈가 퀴즈응모자의 스마트폰에 제공될 수 있어,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The member DB 230 stores member information, for example, gender, age, interests, regional information, etc., which have been downloaded a prize quiz application. Through such member information, a quiz in the form of targeting desired by the advertiser can be provided to the smartphone of the quiz applicant, thereby increasing the advertising effect.

상기 회원정보에는 조건부 퀴즈응모용 회원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부 퀴즈응모용 회원정보는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다운로드한 퀴즈응모자가 어느 시간대에 퀴즈를 다운로드할 것인지 등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어, 근무시간대에는 퀴즈응모를 하지 않으므로 퀴즈응모자는 퀴즈정보의 수신이나 응모를 거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성된 퀴즈응모자정보가 상기한 조건부 퀴즈응모용 회원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The member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conditional quiz application member information. The conditional quiz application member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when the quiz applicant who downloaded the prize quiz application will download the quiz. For example, the quiz applicant may refuse to receive or apply the quiz information during the working hours, and thus the quiz applicant information generated may be included in the conditional quiz application member information.

상기 퀴즈답변 수신부(240)는 상기 스마트폰의 퀴즈응모자로부터 퀴즈 답변을 수신한다. 상기한 퀴즈 답변시 스마트폰의 폰 번호, 퀴즈응모자의 개인정보, 예를들어, 성별, 나이, 지역 등에 대한 정보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퀴즈응모자의 개인정보의 제공은 퀴즈응모자의 허가하에 제공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러한 퀴즈응모자의 개인정보는 조건부 선착순 방식으로 당첨 대상자가 선정되는 경우 이용될 수 있다. The quiz answer receiving unit 240 receives a quiz answer from the quiz applicant of the smartphone. When answering the quiz, the phone number of the smartphon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quiz applicant, for example, information on gender, age, region, etc. may be further provided. It is obvious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quiz applicant should be provided under the permission of the quiz applicant.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quiz applicant may be used when the winner is selected in a conditional first-come, first-served basis.

상기 대상자 조회부(250)는 상기 퀴즈 답변에 따른 대상자를 조회한다. 상기한 대상의 조회는 정답을 맞춘 퀴즈응모자들중 단순 선착순 방식에 의해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대상의 조회는 조건부 선착순 방식, 성별 선착순, 연령별 선착순, 지역별 선착순 등과 같은 다양한 선착순 방식들에 의해 선정될 수도 있다. The subject inquiry unit 250 inquires a subject according to the quiz answer. The inquiry of the above object may be selected by a simple first-come-first-served manner among quiz applicants who have correct answers. In addition, the inquiry of the object may be selected by various first-come-first-served methods such as conditional first-come-first-served manner, gender first-come-first-served basis, age-first-come first-served basis, and regional first-come first-served basis.

상기 경품발송 요청부(260)는 조회된 퀴즈 답변자의 퀴즈응모자 정보를 근거한 배송지 정보로 경품 발송을 상기 광고주 서버(300)에게 요청한다. The prize sending request unit 260 requests the advertiser server 300 to send a prize with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based on the quiz respondent information of the inquired quiz responder.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martphone illustrated in FIG. 1.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폰(100)은 제어부(110), 터치인식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메모리부(140), 무선회로부(150), 근거리 통신부(160), 오디오처리부(170) 및 진동구동부(180)를 포함한다.1 and 3, the smartphone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touch recognition unit 120, a display unit 130, a memory unit 140, a wireless circuit unit 150, and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60. , An audio processor 170 and a vibration driver 180.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인식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메모리부(140), 무선회로부(150), 근거리 통신부(160), 오디오처리부(170) 및 진동구동부(180)와 같은 구성요소들과의 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과정을 통해 스마트폰의 모든 기능을 통제하고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10 may include a touch recognition unit 120, a display unit 130, a memory unit 140, a wireless circuit unit 150,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60, an audio processor 170, and a vibration driver 180. The process of receiving or transmitting signals and / or data with the components controls and controls all functions of the smartphone.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메모리부(140)에 탑재된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기동시켜, 퀴즈응모자의 조작에 따라 퀴즈응모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에서 발송된 퀴즈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고,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됨에 따라, 상기 퀴즈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며, 퀴즈응모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퀴즈 답변을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200)에 발송한다. The controller 110 starts a prize quiz entry application mounted in the memory unit 140 and performs a quiz entry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quiz applicant.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10 stores the quiz information sent from the quiz service server 200 in the memory unit 140 and, as the quiz start time arrives, displays the quiz information in the display unit 130. ), And sends the quiz answer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quiz applicant to the quiz service server (200).

예를들어, 상기 퀴즈정보 생성부(200)에 의해 생성된 퀴즈정보는 암호화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110)는 암호화된 퀴즈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며, 상기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됨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암호화된 퀴즈정보를 복호화시켜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quiz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quiz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0 is encrypted,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memory unit 140, the quiz start time As it arrives,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40 may be decrypted and displayed.

한편, 상기 퀴즈정보 생성부(200)에 의해 생성된 퀴즈정보는 암호화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110)는 암호화된 퀴즈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며, 상기 퀴즈시작 시작이 도래됨에 따라, 복호화된 퀴즈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quiz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quiz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0 is encrypted, the control unit 110 decrypts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memory unit 140, the start of the quiz is coming As a result, the decoded quiz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다른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암호화된 퀴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암호화된 퀴즈정보는 복수의 퀴즈들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퀴즈들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스마트폰에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10 receives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quizzes, a plurality of quizzes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smartphon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can do.

또 다른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퀴즈정보가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퀴즈응모자가 선택한 다른 퀴즈응모자의 스마트폰과 공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퀴즈의 공유는 일대다 퀴즈형태가 다대다 퀴즈형태로 확장되는 소셜 형태의 퀴즈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공유된 그룹원들간의 다수결 결과에 따라 정답이 응모되도록 소셜 형태의 퀴즈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그룹을 지어 퀴즈에 참여하고 그룹 전원이 정답 조건에 만족했을 때, 해당 그룹원들에게 소정의 경품을 발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룹원들간의 유대관계를 높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10 may perform the operation of sharing the quiz information with the smartphone of the other quiz applicant selected by the quiz applicant through the smartphone. The sharing of these quizzes can be used as social quizzes that extend from one-to-many quiz form to many-to-many quiz form. For example, it can be used as a quiz in a social form so that the correct answer is applied according to the majority vote result among the shared group members. In addition, when a group participates in a quiz and all of the groups satisfy the correct answer conditions, a predetermined prize may be sent to the corresponding group members. As a result, the ties between the group members can be increased.

상기 터치인식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한 퀴즈응모자의 터치동작에 따른 명령을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 위에는 별도의 터치패널이 더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다. The touch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es a command according to the touch operation of the quiz applicant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110. To this end, it is obvious that a separate touch panel is further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130.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폰의 정보를 알려주는 정보화면, 여러 가지 기능을 보여주는 메뉴 화면,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 화면, 이에 따른 결과 화면 등을 표시한다. 따라서, 스마트폰 퀴즈응모자는 이를 보고 자기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display unit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n information screen for notifying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a menu screen showing various functions, an input screen for inputting letters or numbers, the result screen, etc. Is displayed. Therefore, the smartphone quiz applicant can see this and perform the desired function.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처리된 기능을 구동하는 프로그램, 퀴즈응모자의 편리성과 기본적인 여러 기능을 구현하는 소정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보통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및 롬(ROM; Read Only Memory)을 포함한다. 이중에서 플래쉬 메모리에는 기본적인 실시간(real time) 처리운영시스템(OS; operating system)과 스마트폰의 호처리 소프트웨어(software)가 저장되며, 이들 프로그램의 변수 및 상태는 상기 램으로부터 읽어들여 동작시킨다. 상기 롬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되고, 전기적으로 지우거나 다시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데이터가 저장되며, 제어부(100)의 명령에 따른 입/출력을 수행한다. 상기 롬에 저장되는 데이터로서는 지워지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NAM(number assignment module) 파라메터(parameter), 기타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및 이름, 문자메시지, 동영상 등) 등이다. The memory unit 140 stores a program for driving a function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10, a predetermined program for implementing convenience and basic functions of a quiz applicant, and the like. The memory unit 140 generally includes a flash memory,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a read only memory (ROM). In the flash memory, a basic real time operating system (OS) and a call processing software of a smartphone are stored, and variables and states of these programs are read from the RAM and operated. The ROM is composed of an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and stores nonvolatile data that can be electrically erased or stored again, and performs input / output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controller 100. The data stored in the ROM is a NAM (number assignment module) parameter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without being erased, other data for storage (phone number and name, text message, video, etc.).

또한, 상기 플래쉬 메모리는 처리속도가 빠르고 데이터가 보존되는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로서, 스마트폰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할 경우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다. In addition, the flash memory is a non-volatile memory that has a high processing speed and data is stored. When the software of the smartphone is upgraded, the upgraded software is stored.

예를들어,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경품 퀴즈응모 어플은 상기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품 퀴즈응모 어플은 도래하는 퀴즈관련 정보를 표시하고, 퀴즈시작 시간을 카운트하여 표시하고, 퀴즈시작시각이 도래됨에 따라, 퀴즈서비스 서버에 퀴즈를 요청한 후, 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퀴즈응모자는 표시되는 퀴즈를 풀고, 퀴즈답변이 기입됨에 따라, 경품 퀴즈응모 어플은 퀴즈답변을 퀴즈서비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퀴즈답변을 획득하기 위해 퀴즈힌트를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공되는 힌트를 근거로 인터넷 검색 등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 검색이 수행되면, 특정 키워드에 대한 실시간 검색횟수가 급격히 증가하게되어 특정 경품의 광고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For example, a prize quiz application that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the flash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ze quiz application application display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ing quiz, count and display the quiz start time, as the quiz start time arrives, after requesting a quiz to the quiz service server, This can be received and displayed. The quiz applicant solves the displayed quiz, and as the quiz answer is filled, the prize quiz application can transmit the quiz answer to the quiz service server. In addition, a quiz hint may be requested to obtain a quiz answer, and accordingly, an internet search may be further performed based on the provided hint. When such an internet search is performed, the number of real-time searches for a specific keyword is rapidly increased, and thus the advertisement effect of a specific prize can be obtained.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품 퀴즈응모 어플은 조건부 퀴즈응모용 개인정보를 퀴즈서비스 서버에 제공하고, 퀴즈서비스 서버로부터 발생된 조건부 퀴즈를 수신하여 퀴즈응모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조건부 퀴즈응모용 개인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광고주의 타켓 퀴즈가 가능하다. 또한, 퀴즈응모자는 조건부 퀴즈응모용 개인정보를 등록하므로써, 근무시간대나 심야시간대와 같이 불필요하게 퀴즈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ize quiz application can provide the personal information for conditional quiz application to the quiz service server, and receive a conditional quiz generated from the quiz service server to perform the quiz application procedure. For example, target quiz of advertisers is possible by utilizing personal information for conditional quiz application. In addition, the quiz applicant can block the reception of the quiz information unnecessarily, such as working hours or late night hours by registering personal information for conditional quiz application.

또한, 상기 경품 퀴즈응모 어플은 퀴즈응모자의 조작에 의해 다른 퀴즈응모자의 스마트폰에 퀴즈가 공유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공유를 통해 특정 개인이 아는 지인들에게 퀴즈를 홍보하여 홍보자 본인이나 지인들이 퀴즈 당첨받을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개인과 연계된 지인들간의 유대 관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ize quiz application can be made to share the quiz on the smartphone of the other quiz applicant by the operation of the quiz applicant. This sharing promotes the quiz to acquaintances who know a particular individual, increasing the chances that a person or acquaintance can win the quiz.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lay a role of increasing the ties between friends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individual.

상기 무선회로부(150)는 이동통신망과 통신채널을 설정하여, 외부의 전화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나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10)에 전송하거나,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측의 전화기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wireless circuit unit 150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ceives a telephone call, a text message, or voice data sent by an external telephone through an antenna,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control unit 110 or the memory. It transmits the data stored in the unit 140 to the telephone of the transmitting side through the antenna.

상기 근거리 통신부(160)는 근거리무선통신채널을 통해 인접하는 다른 스마트폰과의 근거리무선통신채널을 설명한다.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60 describ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another smartphone adjacent to each other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상기 오디오처리부(170)는 스마트폰의 퀴즈응모자가 마이크를 통하여 녹음하는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하여 이를 제어부(110)에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아날로그음성을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The audio processor 170 processes the analog voice recorded by the quiz contestant of the smart phone through the microphone as digital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10 or process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output the analog voice through the speaker. It plays a role.

상기 진동구동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진동자(미도시)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진동구동부(180)는 진동벨이 울리도록 진동자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진동구동부(180)에 의해 구동되는 진동벨은 문자 수신이나 착신 전화 알람을 알리는 진동벨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문자 수신이나 착신 전화 알람을 알리는 진동벨의 경우, 2초 진동과 2초 휴식이 반복되는 방식이라면,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된 경우, 3초 진동과 10초 휴식이 반복되는 방식일 수 있다. The vibration driver 180 controls the vibrator (not shown) to be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For exampl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quiz start time has arrived, the vibration driving unit 180 may drive the vibrator so that the vibration bell rings. The vibration bell driven by the vibration driver 180 may be set differently from the vibration bell for notifying a text reception or an incoming call alarm.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vibrating bell for notifying text reception or incoming call alarm, if the 2 second vibration and 2 second break are repeated, if the quiz start time arrives, the 3 second vibration and 10 second break are repeated. Can be.

이하에서, 스마트폰중 애플사에서 제공되는 아이폰(iPhone)의 OS 계층 구조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brief description of the OS hierarchy of the iPhone (iPhone) provided by Apple of the smartphone.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메모리부에 저장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아이폰 오에스 계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Phone OS hierarchy structure for implementing a smartphone application stored in a memory unit illustrated in FIG. 3.

도 4를 참조하면, 아이폰(iPhone)의 OS 계층 구조는 코아 오에스(Core OS) 계층, 코어 서비시스(Core Services) 계층, 미디어(Media) 계층 및 코코아 터치(Cocoa Touch) 계층으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4, the OS layer structure of the iPhone includes a core OS layer, a core services layer, a media layer, and a cocoa touch layer.

상기 코아 오에스 계층은 메모리/프로세서 관리, 파일 시스템, 네트워크, 각종 하드웨어 드라이버 등, 운영체제 하단의 커널 레벨에서 제공하는 커널 API이다. The core OS layer is a kernel API provided at the kernel level at the bottom of the operating system, such as memory / processor management, file system, network, and various hardware drivers.

상기 코어 서비시스 계층은 코어 파운데이션(Core Foundation) 모듈, 씨에프네트워크(CFNetwork) 모듈, 코어 로케이션(Core Location) 모듈, 에스큐라이트(SQLite) 모듈 및 엑스엠엘(XML) 모듈을 포함하고, Core Foundation, CFNetwork, SQLite, POSIX threads와 같은 파일의 입/출력, 낮은 수준의 데이터 타입, 소켓 등에 관련된 서비스이다. 상기 코어 서비시스 계층은 코아 오에스(Core OS) 레벨에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하며 대부분 C-언어로 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공하는 많은 기능들은 코코아터치의 파운데이션 프레임 워크(Foundation Framework)에서 오브젝티브-씨(Objective-C) 프레임워크로 제공된다. The core service layer includes a Core Foundation module, a CFNetwork module, a Core Location module, an SQLite module and an XML module, and includes a Core Foundation, Services related to input / output of files such as CFNetwork, SQLite, POSIX threads, low level data types, sockets, etc. The core services layer provides an API with relatively easy access to the Core OS level and provides a framework in most C-language. Many of the features provided here are provided by the Objective-C framework in CocoaTouch's Foundation Framework.

상기 코어 파운데이션 모듈은 배열, 스트링, 날짜, URL, 로우레벨 데이터 등 아이폰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기본적인 C-언어 API를 제공하고, 상기 씨에프네트워크 모듈은 서버와 통신하여 공지사항과 랭킹정보를 받아올 수 있는 BSD 소켓 및 HTTP, FTP 프로토콜 등 네트워크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하는 프레임워크이다.The core foundation module provides a basic C-language API for iPhone applications such as arrays, strings, dates, URLs, low-level data, etc. The CNNetwork module communicates with a server to receive announcements and ranking information. It is a framework that provides APIs for easy access to the network such as sockets and HTTP and FTP protocols.

상기 코어 로케이션 모듈은 GPS, 주변검색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퀴즈응모자의 현재 위치(위도, 경도) 정보와 관련된 API를 제공하는 프레임워크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품 퀴즈응모 어플은 상기한 코어 로케이션 모듈을 이용하여 퀴즈응모자의 현재 위치 정보, 즉 퀴즈응모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퀴즈서비스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The core location module is a framework that provides an API related to the current location (latitude,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quiz taker that can be used for GPS, surrounding search, and the like. The prize quiz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provide the quiz service server with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quiz applicant, that i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possessed by the quiz applicant using the core location module.

상기 에스큐라이트 모듈은 아이폰 어플리케이션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파일기반의 경량 데이터베이스이고, 상기 엑스엠엘 모듈은 XML 파싱을 위한 libXML2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상기 코어 서비시스 계층은 보안, 주소록 등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SQLITE module is a file-based lightweight database that can be easily used in an iPhone application, and the XML module provides a libXML2 library for XML parsing. In addition, the core service layer provides services related to security, address book, and the like.

상기 미디어 계층은 쿼츠(Quartz) 모듈, 코어 애니메이션(Core Animation) 모듈, 오픈지엘 이에스(OpenGL ES) 모듈, 코어 오디오(Core Audio) 모듈, 오픈에이엘(OpenAL) 모듈 및 비디오(Video) 모듈을 포함하고, 비디오, 오디오, 2D/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한다.The media layer includes a Quartz module, a Core Animation module, an OpenGL ES module, a Core Audio module, an OpenAL module, and a Video module. It provides API for implementing video, audio, 2D / 3D graphics and animation.

상기 쿼츠 모듈은 OS X의 벡터를 기반으로 한 그래픽 엔진이다. 선과 도형을 그리고 이미지, 비트맵, PDF를 출력하고 색상, 위치에 관련된 C-언어로 된 API를 Core Graphic 프레임워크를 통해 제공한다. 상기 코어 애니메이션 모듈은 각종 애니메이션과 시각효과를 제공하는 Objective-C로 된 프레임워크이다. The quartz module is a graphics engine based on OS X's vector. It draws lines and figures, prints images, bitmaps, PDFs, and provides a C-language API for color and position through the Core Graphic framework. The core animation module is a framework in Objective-C that provides various animations and visual effects.

상기 오픈지엘 이에스 모듈은 게임 등과 같은 고성능의 2D/3D 그래픽 출력을 위한 OpenGL ES 1.1에 개발한 C 프레임워크이다. OpenGL ES를 사용한 게임은 이를 지원하는 다양한 모바일 플랫폼에서의 포팅을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코어 오디오 모듈은 마이크를 통해 녹음하고 음악파일을 출력하고 각종 음향효과를 제공하는 C언어로된 오디오 관련 프레임워크이고, 상기 오픈에이엘 모듈은 OpenGL ES와 유사한 개념의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하는 게임 등을 위한 고성능 3D 오디오 라이브러리이다. 상기 비디오 모듈은 mov, mp4, 3gp와 같은 각종 동영상 파일의 출력을 지원한다. 이는 Objective-C를 기반으로 한 미디어 플레이어 프레임워크(Media Player framework)를 이용하여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The OpenGL ES module is a C framework developed in OpenGL ES 1.1 for outputting high performance 2D / 3D graphics such as games. Games using OpenGL ES can be easily ported to the various mobile platforms that support it. The core audio module is an audio-related framework in C language that records through a microphone, outputs music files, and provides various sound effects, and the Open-A module is a game that supports a cross platform similar concept to OpenGL ES Is a high performance 3D audio library. The video module supports the output of various video files such as mov, mp4, and 3gp. This can be easily accessed using the Media Player framework, which is based on Objective-C.

상기 코코아 터치 계층은 파운데이션 프레임워크(Foundation Framework) 모듈 및 유아이키트 프레임워크(UIKit Framework) 모듈을 포함하고, iPhone개발의 기본이 되는 계층으로 Objective-C를 기반으로 한 핵심적인 두개의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벤트 처리 등과 함께 이상에서 언급한 로우레벨의 기술들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The Cocoa Touch layer includes the Foundation Framework module and the UIKit Framework module, and has two core frameworks based on Objective-C as a basic layer of iPhone development. have. Along with the user interface and event handling, it provides a framework that makes it easier to use the low-level techniques mentioned above.

상기 파운데이션 프레임워크 모듈은 배열, 스트링, 날짜 로우레벨 데이터 등에 관련된 클래스를 제공하는 기본적인 프레임워크이다. 위의 코어 파운데이션(Core Foundation)에서 제공하는 기본 API들의 Objective-C 레퍼 클래스를 제공한다.The foundation framework module is a basic framework that provides classes related to arrays, strings, date low level data, and the like. Provides Objective-C wrapper classes of the basic APIs provided by Core Foundation above.

상기 유아이키트 프레임워크 모듈은 각종 컨트롤, 윈도우등의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이벤트 처리등 iPhone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API를 제공하는 프레임워크이다.The child kit framework module is a framework that provides APIs related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iPhone application, such as various controls, a user interface (UI) such as windows, and event processing.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에 기억된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는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로딩화면이다. 도 6b는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로딩후 초기 화면이다. 도 7a는 포털사이트를 활용한 검색 힌트에 대응하는 사용자화면이고, 도 7b는 이미지와 텍스트를 이용한 힌트에 대응하는 사용자화면이며, 도 7c는 지도를 이용한 힌트에 대응하는 사용자화면이고, 도 7d는 동영상을 이용한 힌트에 대응하는 사용자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퀴즈시작 화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퀴즈 진행에 따른 사용자화면들이다. 도 10a는 퀴즈 경품 획득에 따른 사용자화면이고, 도 10b는 퀴즈 경품 획득 실패에 따른 사용자화면이다. FIG. 5 is a flowchart for schematically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prize quiz application stored in the smartphone illustrated in FIG. 1. Figure 6a is a loading screen of the prize quiz application. Figure 6b is the initial screen after the loading of the prize quiz application. 7A is a user screen corresponding to a search hint using a portal site, FIG. 7B is a user screen corresponding to a hint using images and text, FIG. 7C is a user screen corresponding to a hint using a map, and FIG. Use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hint using the video. 8 is a quiz start screen of the prize quiz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D are user screens according to the quiz progress. FIG. 10A is a user screen according to a quiz prize acquisition, and FIG. 10B is a user screen according to a quiz prize acquisition failure.

도 5를 참조하면, 어플 메인화면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T100). 상기 어플 메인화면에는 카운트되는 퀴즈시작 시각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품 퀴즈응모 어플 로딩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퀴즈서비스 서버와 통신하여 퀴즈 타이머 정보, 퀴즈정보, 퀴즈 스케줄, 사용자정보 등을 불러온다. 상기 퀴즈 타이머 정보, 퀴즈정보, 퀴즈 스케줄, 퀴즈응모자정보 등은 퀴즈관련 정보일 수 있다. 즉, 실질적인 퀴즈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후 초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상기 로딩후 초기 화면에는 타이머 영역, 직접광고 및 퀴즈 영역, 힌트 영역이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application main screen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step T100). The main screen of the app includes counting quiz start time inform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A, the prize quiz application loading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Referring to FIG. 6A, a quiz timer server, a quiz information, a quiz schedule, a user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communicated with a quiz service server. The quiz timer information, quiz information, quiz schedule, quiz applicant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quiz related information. That is, the actual quiz may not be provided.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B, the initial screen after loading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fter the loading, the initial screen displays a timer area, a direct advertisement, a quiz area, and a hint area.

상기 타이머 영역에서, 퀴즈가 진행 중이지 않을 때, 다음 퀴즈의 남은 시간이 표시되며 시간이 감소한다. 한편, 퀴즈가 진행 중일 때, 진행중인 퀴즈의 제한시간이 표시되며 시간이 감소한다.In the timer area, when the quiz is not in progress, the remaining time of the next quiz is displayed and the time decreas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quiz is in progress, the time limit of the ongoing quiz is displayed and the time decreases.

상기 직접광고 및 퀴즈 영역에서, 퀴즈가 진행 중이지 않을 때, 해당 영역에 해당 스폰서(또는 광고주)의 광고가 노출된다. 한편, 퀴즈가 진행 중일 때, 퀴즈 영역이 올라오며 해당 퀴즈를 진행한다. In the direct advertisement and quiz area, when the quiz is not in progress, an advertisement of the sponsor (or advertiser) is exposed in the corresponding area. On the other hand, when a quiz is in progress, the quiz area comes up and proceeds with the quiz.

이어, 무료문자 등을 통한 공유 요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T102). 예를들어, 퀴즈응모자가 도 6b에 도시된 사용자화면에서 <카톡친구공유>라는 아이콘을 클릭 또는 터치여부를 체크한다. Then,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sharing request through the free text (step T102). For example, the quiz contestant checks whether the user clicks or touches an icon called <Katok Friend Sharing> on the user screen shown in FIG. 6B.

단계 T102에서 무료문자 등을 통한 공유 요청으로 체크되면, 무료문자 등을 통한 경품 퀴즈서비스를 공유한다(단계 T104). If it is checked in step T102 that the sharing request through the free text, etc., the prize quiz service through the free text, etc. are shared (step T104).

다음 퀴즈 힌트 요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T106). 예를들어, 퀴즈응모자가 도 6b에 도시된 사용자화면에서 <다음퀴즈 힌트보기>라는 아이콘을 클릭 또는 터치여부를 체크한다. It is checked whether to request the next quiz hint (step T106). For example, the quiz contestant checks whether the user clicks or touches the icon of <view next quiz hint> on the user screen shown in FIG. 6B.

단계 T106에서 다음 퀴즈 힌트가 요청되면, 다음 퀴즈 힌트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T108). 예를들어, 다음퀴즈 힌트 보기 버튼을 누르면, 별도의 화면, 즉 웹뷰가 열리며, 진행될 퀴즈에 대한 힌트 또는 힌트를 찾기 위한 포털사이트 검색(도 7a에 도시)이나, 이미지와 텍스트를 이용한 힌트(도 7b에 도시), 지도 검색(도 7c에 도시), 동영상을 이용한 힌트(도 7d에 도시) 등과 같은 여러가지 방법들이 소개된다. 이러한 힌트는 광고주의 프로모션과 관련된 내용의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f the next quiz hint is requested in step T106, the next quiz hi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tep T108). For example, pressing the Show Next Quiz Hints button opens a separate screen, a web view, and a portal site search (shown in Figure 7a) to find hints or hints about the quiz that will take place, or a hint using images and text ( 7b), map search (shown in FIG. 7c), hints using video (shown in FIG. 7d), and the like are introduced. These hints can expect the advertising effect of the content related to the promotion of the advertiser.

단계 T106에서 다음 퀴즈 힌트가 요청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T108을 수행한 후, 메인화면 숨김이 요청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T110). In step T106, the next quiz hint is checked as not requested, or after performing step T108, it is checked whether the main screen hiding is requested (step T110).

단계 T110에서 메인화면 숨김이 요청되면, 표시되는 메인화면을 숨기고, 경품 퀴즈응모 어플이 구동중이라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의 일정 영역(예를들어, 상단영역)을 통해 표시한다(단계 T112). When the main screen is hidden in step T110, the main screen is displayed and the icon indicating that the prize quiz application is running is displayed through a predetermined area (for example, the upper area) of the display unit (step T112).

단계 T112에서 메인화면 숨김이 요청되지 않거나 단계 T112를 수행한 후, 퀴즈 수신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T114).In step T112, the hiding of the main screen is not requested, or after performing step T112, it is checked whether a quiz is received (step T114).

단계 T114에서 퀴즈가 수신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퀴즈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T116). 상기한 퀴즈가 수신되는 경우는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됨에 따라 퀴즈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될 수 있다. If it is checked in step T114 that the quiz is received, the quiz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s shown in FIG. 8 (step T116). When the quiz is received, it may be provided by the quiz service server as the quiz start time arrives.

단계 T116에 이어, 퀴즈응모자에 의한 퀴즈 답변이 기입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T118).After step T116, it is checked whether a quiz answer by a quiz applicant is entered (step T118).

단계 T118에서 퀴즈응모자에 의해 퀴즈 답변이 기입됨에 따라, 퀴즈 답변을 퀴즈서비스 서버에 전송한다(단계 T120).As the quiz answer is filled in by the quiz applicant in step T118, the quiz answer is transmitted to the quiz service server (step T120).

단계 T120에 이어, 퀴즈서비스 서버로부터 퀴즈 답변 결과의 수신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T122). Following step T120, it is checked whether a quiz answer result is received from the quiz service server (step T122).

단계 T122에서 퀴즈 답변이 수신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수신된 퀴즈 답변 결과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T124). 예를들어, 퀴즈 답변이 정답이라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퀴즈 답변이 오답이라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부가적으로, 해당 퀴즈를 푸는데 소요된 총소요시간을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도 있다. If it is checked in step T122 that the quiz answer is received, the received quiz answer result is displayed via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step T124). For example, if the quiz answer is correct, the user screen as shown in FIG. 9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f the quiz answer is incorrect, the user screen as shown in FIG. 9B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dditionally, the total time required to solve the quiz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form of a user screen as shown in FIG. 9C.

상기한 정답을 통지하는 화면이나 오답을 통지하는 화면은 퀴즈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근거로 표시될 수도 있고, 퀴즈응모자의 액션(퀴즈를 푸는 액션)에 따라 즉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총소요시간은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고, 퀴즈응모자의 액션에 따라 즉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The screen for notifying the correct answer or the screen for notifying the wrong answer may be displayed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quiz service server, or may be immediate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quiz contestant's action (the quiz release action). In addition, the total time required may be provided from the server, or may be displayed immediately according to the action of the quiz taker.

또한, 해당 퀴즈의 문제 및 정답과 함께 경품정보 및 경품당첨자 정보까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prize information and prize winner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quiz question and answ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form of a user screen as shown in FIG. 9D.

한편,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퀴즈 경품 획득에 따른 사용자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도 있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퀴즈 경품 실패에 따른 사용자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0a, the user screen according to the quiz prize acquisi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s shown in Figure 10b, the user screen according to the quiz prize failur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이어,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종료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T126), 경품 퀴즈응모 어플 종료로 체크되지 않으면 단계 T100으로 피드백하고,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종료로 체크되면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종료시킨다. Then,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end of the prize quiz application (step T126), if not checked in the end of the prize quiz application feedback to step T100, if the end of the prize quiz application is terminated the prize quiz application.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퀴즈관련 정보를 표시하고,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됨에 따라 퀴즈를 제공받아 퀴즈를 푸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퀴즈응모자가 정상적으로 퀴즈를 풀지 못하는 상황(예를들어, 근무시간이나 중요한 회의시간, 수면시간)에는 퀴즈도착은 퀴즈응모자에게 불편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퀴즈응모자가 퀴즈수신 시간대를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대에만 퀴즈를 풀도록 퀴즈서비스 서버는 퀴즈를 제공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quiz-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quiz is solved by receiving the quiz as the quiz start time arrives. However, in situations where the quiz applicant does not normally take the quiz (for example, working hours, important meeting time, sleep time), the arrival of the quiz may provide inconvenience to the quiz applicant.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quiz applicant may set a time zone for receiving a quiz, and the quiz service server may provide a quiz so as to solve the quiz only in the set time zone.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quiz service method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스마트폰(400)은 퀴즈서비스 서버(500)에 억세스하여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다운로드한다(단계 S200). Referring to FIG. 11, the smartphone 400 accesses the quiz service server 500 and downloads a prize quiz application (step S200).

상기 스마트폰(400)은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에 조건부 퀴즈응모용 회원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202). 이때 제공되는 조건부 퀴즈응모용 회원정보는 퀴즈응모자의 성별, 퀴즈응모자의 연령, 응모시간대, 지역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퀴즈응모자가 퀴즈수신을 허락하는 시간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smartphone 400 provides conditional quiz application member information to the quiz service server 500 (step S202). At this time, the conditional quiz application member information provided may include the gender of the quiz applicant, the age of the quiz applicant, the application time zone, and loc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quiz applicant may include time zone information to allow quiz reception.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퀴즈응모자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204).The quiz service server 500 stores quiz applicant information (step S204).

상기 광고주 서버(600)는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에 퀴즈 제공을 요청한다(단계 S206).The advertiser server 600 requests the quiz service server 500 to provide a quiz (step S206).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조건부 퀴즈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208). 상기 조건부 퀴즈정보는 조건부 퀴즈와 상기 조건부 퀴즈에 대응하는 조건부 퀴즈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부 퀴즈는 객관식 형태일 수도 있고, 주관식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건부 퀴즈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로 연속하여 표시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조건부 퀴즈관련 정보는 퀴즈 힌트와 퀴즈시작 시각정보, 경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퀴즈 힌트는 텍스트 타입일 수도 있고, 휴대전화 기능과 컴퓨팅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의 특성을 활용하여 홍보를 위한 특정 회사의 URL 링크, 특정 회사나 특정 회사에서 출시한 신규 제품의 홍보를 위한 인터넷 사이트 검색 URL 링크 등일 수 있다.The quiz service server 500 generates conditional quiz information (step S208). The conditional quiz information may include conditional quiz and conditional quiz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ditional quiz. The conditional quiz may be a multiple choice form or a short answer form. In addition, the conditional quiz may be made of one, or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to be displayed in succession to each other. The conditional quiz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 quiz hint, quiz start time information, priz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quiz hint may be a text type, a link to a URL of a specific company for promotion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martphone having a mobile phone function and a computing function, and an internet site for promoting a new product released by a specific company or a specific company. Search URL link, or the like.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생성된 조건부 퀴즈정보를 상기 스마트폰(400)에 발송한다(단계 S210).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상기한 조건부 퀴즈정보를 스마트폰에 발송하기 이전에,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다운로드한 스마트폰들중 조건부 퀴즈응모에 적합한 스마트폰들 전체에게 푸시 알림을 이용하여 경품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푸심 알림은 대규모의 광고가 요구되는 경우, 보다 많은 사람들이 경품 퀴즈에 응모하도록 퀴즈 참여를 독려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 quiz service server 500 sends the generated conditional quiz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400 (step S210). The quiz service server 500, before sending the above conditional quiz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among the smartphones that have downloaded the prizes quiz application prizes using push notification to all the smartphones suitable for conditional quiz application prizes Information can also be sent. Such push notifications can be used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a quiz so that more people can enter the prize quiz when large-scale advertisements are required.

상기 스마트폰(400)은 조건부 퀴즈를 수신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퀴즈 답변을 조회한다(단계 S212). 본 실시예에서는 퀴즈정답을 맞추기 위해 인터넷을 통한 조회 단계가 포함되었으나, 퀴즈정답을 알고 있는 퀴즈응모자나, 미리 퀴즈힌트를 통해 퀴즈정답을 알고 있는 퀴즈응모자는 상기한 인터넷을 통한 퀴즈 답변 조회는 생략될 수 있다. The smartphone 400 queries the quiz answers through the Internet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al quiz (step S21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quiry step through the Internet is included to match the quiz answer, but the quiz applicant who knows the quiz answer, or the quiz applicant who knows the quiz answer through the quiz hint in advance, omits the quiz answer query through the Internet. Can be.

상기 스마트폰(400)은 조건부 퀴즈 답변을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에 제공한다(단계 S214).The smartphone 400 provides a conditional quiz answer to the quiz service server 500 (step S214).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퀴즈 정답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16).The quiz service server 500 checks whether the quiz is correct (step S216).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조건부 퀴즈답변에 따른 당첨 대상자를 조회한다(단계 S218).The quiz service server 500 queries the winners of the conditional quiz answer (step S218).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당첨결과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폰(400)에 전송한다(단계 S220).The quiz service server 500 transmits the winning result message to the smartphone 400 (step S220).

상기 스마트폰(400)은 당첨결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222). The smartphone 400 displays the winning result message through the display unit (222).

한편,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상기 광고주 서버(600)에게 퀴즈에 따른 경품을 요청한다(단계 S224).On the other hand, the quiz service server 500 requests a prize according to the quiz to the advertiser server 600 (step S224).

상기 광고주 서버(600)는 퀴즈응모자 정보에 근거한 배송지로 경품을 발송한다(단계 S226).The advertiser server 600 sends a prize to a delivery destination based on quiz applicant information (step S226).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스마트폰에 기억된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 12 is a flowchart for schematically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prize quiz application stored in the smartphone illustrated in FIG. 11.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스마트폰(400)은 경품퀴즈 정보 수신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02). 11 and 12, the smartphone 400 checks whether the prize quiz information is received (step S402).

단계 S402에서 경품퀴즈 정보가 수신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스마트폰(400)은 어플 메인화면을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한다(단계 S404). 이때, 퀴즈시작시간이 카운트되어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될 수 있다. If it is checked in step S402 that the prize quiz information is received, the smartphone 400 displays the app main screen on the display unit (step S404). At this time, the quiz start time may be coun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이어, 상기 스마트폰(400)은 퀴즈응모자의 조작에 의한 무료문자 등을 통한 공유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06). Subsequently, the smartphone 400 checks whether or not there is a request for sharing through free characters by the operation of the quiz applicant (step S406).

단계 S406에서 무료문자 등을 통한 공유 요청이 있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스마트폰(400)은 무료문자 등을 통해 다른 사용자의 스마트폰과의 경품 퀴즈서비스를 공유한다(단계 S408). If it is checked in step S406 that there is a request for sharing via free text, etc., the smartphone 400 shares the prize quiz service with the smartphone of another user through free text (step S408).

단계 S406에서 무료문자 등을 통한 공유 미요청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408에 이어, 상기 스마트폰(400)은 메인화면 숨김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10). In step S406 is checked as a non-share request through a free text or the like, or after step S408, the smartphone 400 checks whether there is a request to hide the main screen (step S410).

단계 S410에서 메인화면 숨김 요청이 있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스마트폰(400)은 메인화면을 숨기고, 어플 구동중이라는 아이콘을 표시한다(단계 S412). If it is checked in step S410 that there is a request for hiding the main screen, the smartphone 400 hides the main screen and displays an icon that the application is being driven (step S412).

단계 S410에서 메인화면 숨김 미요청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412를 수행한 후, 상기 스마트폰(400)은 경품 퀴즈 수신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14). After checking in step S410 that the main screen is not hidden or performing step S412, the smartphone 400 checks whether a prize quiz is received (step S414).

단계 S414에서 퀴즈 수신으로 체크되면, 상기 스마트폰(400)은 퀴즈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퀴즈를 표시한다(단계 S416). If it is checked in step S414 to receive the quiz, the smartphone 400 displays the quiz received from the quiz service server 500 (step S416).

이어, 상기 스마트폰(400)은 퀴즈응모자의 조작에 의한 퀴즈 답변이 기입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18).Subsequently, the smartphone 400 checks whether a quiz answer by a quiz applicant's operation is entered (step S418).

단계 S418에서 퀴즈 답변이 기입된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스마트폰(400)은 퀴즈 답변을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에 전송한다(단계 S420). If it is checked in step S418 that the quiz answer is entered, the smart phone 400 transmits the quiz answer to the quiz service server 500 (step S420).

이어, 상기 스마트폰(400)은 퀴즈 답변 결과의 수신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22). Subsequently, the smartphone 400 checks whether a quiz answer result is received (step S422).

퀴즈 답변 결과가 수신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스마트폰(400)은 수신된 퀴즈 답변 결과를 상기 스마트폰(400)의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한다(단계 S424). If it is checked that the quiz answer result is received, the smartphone 400 displays the received quiz answer result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400 (step S424).

이어, 상기 스마트폰(400)은 다음 퀴즈 힌트 요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26). Then, the smartphone 400 checks whether the next quiz hint request (step S426).

단계 S426에서 다음 퀴즈 힌트 요청으로 체크되면, 상기 스마트폰(400)은 다음 퀴즈 힌트를 상기 스마트폰(400)의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한다(단계 S428). If the next quiz hint request is checked in step S426, the smartphone 400 displays the next quiz hint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400 (step S428).

단계 S426에서 다음 퀴즈 힌트 미요청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428을 수행한 후, 상기 스마트폰(400)은 퀴즈응모자의 조작에 의한 퀴즈서비스의 종료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30). After checking in the next quiz hint request in step S426 or after performing step S428, the smartphone 400 checks whether the quiz service is terminated by the operation of the quiz applicant (step S430).

단계 S430에서 퀴즈서비스의 종료로 체크되면 종료하고, 퀴즈서비스의 미종료로 체크되면 단계 S402로 피드백한다. If it is checked in the step S430 that the end of the quiz service is terminated, and if the end of the quiz service is checked, the feedback is fed back to step S402.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퀴즈응모자 본인이 퀴즈시간대를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대에만 퀴즈수신을 허락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퀴즈응모자가 설정한 조건부 퀴즈응모용 개인정보를 근거로 특정 퀴즈응모자에게만 퀴즈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광고주 서버의 타켓 마케팅의 일환으로, 퀴즈응모자들의 성별이나 나이, 지역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정보에 맞는 퀴즈응모자에게만 퀴즈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n example in which the quiz applicant himself sets the quiz time zone, and allows the quiz reception only in the set time zone. However, the quiz may be provided only to a specific quiz applicant based on the conditional quiz personal information set by the quiz applicant. That is, as part of the target marketing of the advertiser server, the quiz may be provided only to the quiz applicants who fit the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information such as gender, age, and region of the quiz applicants.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조건부 퀴즈답변에 따른 대상자 조회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ubject inquiry step according to a conditional quiz answer illustrated in FIG. 11.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당첨 대상자가 단순 선착순에 의해 선정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802). 11 and 13, the quiz service server 500 checks whether the winner is selected by simple first-come-first-served basis (step S802).

단계 S802에서 단순 선착순에 의해 선정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정답을 맞춘 대상자들에 대해 단순 선착순 정보를 조회한다(단계 S804). 예를들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대상자의 성별이나, 연령, 지역 등을 무시하고, 가장 먼저 정답을 맞춘 대상자들부터 카운트하여 일정수까지, 예를들어, 10번째 정답자까지, 100번째 정답자까지 조회한다. If it is checked in the step S802 to be selected by the simple first-come-first-served basis, the quiz service server 500 inquires the simple first-come-first-served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s who answered the correct answer (step S804). For example, the quiz service server 500 ignores the subject's gender, age, region, and the like, counts from the first correct answer to a certain number, for example, up to the 10th correct answer, and 100th. Search for the correct answer.

단계 S802에서 단순 선착순에 의해 선정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당첨 대상자가 조건부 선착순에 의해 선정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806). If it is checked in step S802 that it is not selected by the simple first-come-first-served basis, the quiz service server 500 checks whether the winner is selected by the conditional first-come-first-served basis (step S806).

단계 S806에서 조건부 선착순에 의해 선정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정답을 맞춘 대상자들에 대해 조건부 선착순 정보를 조회한다(단계 S808). 예를들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정답을 맞춘 대상자들을 순서대로 나열한 후, 첫번째부터 10번째까지, 100번째부터 110번째까지, 1000번째부터 1010번째까지 등과 같이 일정 주기로 정답자를 조회한다. If it is checked in step S806 to be selected by the conditional first-come-first-served basis, the quiz service server 500 inquires conditional first-come-first-served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s who answered the correct answer (step S808). For example, the quiz service server 500 lists the subjects who matched the correct answers in order, and then queries the correct answerers at regular intervals such as first to tenth, 100th to 110th, and 1000th to 1010th.

단계 S806에서 조건부 선착순에 의해 선정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당첨 대상자가 성별 선착순에 의해 선정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810). If it is checked in step S806 that it is not selected by the conditional first-come-first-served basis, the quiz service server 500 checks whether the winner is selected by the first-come, first-served basis (step S810).

단계 S810에서 성별 선착순에 의해 선정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정답을 맞춘 대상자들에 대해 성별 선착순 정보를 조회한다(단계 S812). 예를들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정답을 맞춘 대상자들을 남자 및 여자로 분류하고, 분류된 남자들중 선착순 몇 명, 분류된 여자들중 선착순 몇 명까지를 조회한다. If it is checked in the step S810 to be selected by the gender first-come-first-served basis, the quiz service server 500 inquires gender first-come-first-served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s who have correct answers (step S812). For example, the quiz service server 500 classifies the subjects who matched the correct answer into a man and a woman, and queries up to a first-come first-served number of classified men and a first-come-first-served number of classified women.

단계 S810에서 성별 선착순에 의해 선정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당첨 대상자가 연령 선착순에 의해 선정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814). If it is checked in the step S810 that it is not selected by the gender first-come-first-served basis, the quiz service server 500 checks whether the winner is selected by the age first-come-first-served basis (step S814).

단계 S814에서 연령별 선착순에 의해 선정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정답을 맞춘 대상자들에 대해 연령별 선착순 정보를 조회한다(단계 S816). 예를들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정답을 맞춘 대상자들을 연령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연령들에서 선착순 몇 명까지를 조회한다.If it is checked in step S814 to be selected by first-come-first-served basis for each age, the quiz service server 500 inquires first-come-first-served order information for each age for the subjects who answered the correct answer (step S816). For example, the quiz service server 500 classifies the subjects who matched the correct answer by age, and queries up to the first-come, first-served basis from the classified ages.

단계 S814에서 연령별 선착순에 의해 선정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당첨 대상자가 지역별 선착순에 의해 선정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818). If it is checked in step S814 that it is not selected by the first-come-first-served basis for each age, the quiz service server 500 checks whether the winner is selected by the first-come, first-served basis for each region (step S818).

단계 S818에서 지역별 선착순에 의해 선정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정답을 맞춘 대상자들에 대해 지역별 선착순 정보를 조회한다(단계 S820). 예를들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정답을 맞춘 대상자들을 지역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지역들에서 선착순 몇 명까지를 조회한다.If it is checked in the step S818 to be selected by the first-come-first-served basis for each region, the quiz service server 500 inquires the first-come, first-served order information for each region for the subjects who matched the correct answer (step S820). For example, the quiz service server 500 classifies the subjects who matched the correct answer by region, and queries up to the first-come-first-served number in the classified regions.

단계 S818에서 지역별 선착순에 의해 선정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당첨 대상자가 기타 선착순에 의해 선정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822). If it is checked in the step S818 that it is not selected by the first-come-first-served basis for each region, the quiz service server 500 checks whether the winner is selected by other first-come-first-served basis (step S822).

단계 S822에서 기타 선착순에 의해 선정되는 것으로 체크되지 않으면 단계 S220으로 피드백하고, 기타 선착순에 의해 선정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500)는 정답을 맞춘 대상자들에 대해 기타 선착순 정보를 조회한다(단계 S824). 본 실시예에서, 기타 선착순은 다양한 선착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성별 선착순, 연령별 선착순, 지역별 선착순 등이 서로 조합된 선착순 방식일 수도 있고, 퀴즈응모를 많이 한 스마트폰들내에서 적용된 선착순 방식 등이 채용될 수 있다. If it is checked in step S822 that it is not selected by the first-come-first-served basis, it is fed back to step S220. (Step S824). In this embodiment, other first-come-first-served basis can adopt various first-come-first-served methods. For example, the first-come-first-served method may be a combination of a first-come-first-served basis, a first-come-first-served basis, and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for each region.

단계 S804, 단계 S808, 단계 S812, 단계 S816, 단계 S820, 단계 S824에서 조회된 대상자들을 당첨자로 선정한 후(단계 S826), 단계 S220으로 피드백된다. After selecting the winners in step S804, step S808, step S812, step S816, step S820, and step S824 as winners (step S826), the process feeds back to step S220.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a는 퀴즈 진행을 위한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초기화면이다. 도 15b는 경품 퀴즈서비스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화면이다. 도 16a는 퀴즈 제시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화면이다. 도 16b는 퀴즈 정답 선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화면이다. 도 16c는 퀴즈 응모의 제한 시간 초과에 따라 알람 표시되는 사용자화면이다. 도 17은 퀴즈 정답을 맞춤에 따라 표시되는 사용자화면이다. 도 18은 다음 퀴즈 힌트를 위한 인터넷 사이트 검색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화면이다. 도 19는 지난 퀴즈 결과 조회에 따라 표시되는 사용자화면이다. 도 20은 참여한 퀴즈 결과 표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화면이다.14A to 14C are flowchart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quiz service method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a is the initial screen of the prize quiz application for the quiz progress. 15B is a user screen for sharing of a prize quiz service. 16A is a user screen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quiz presentation screen. 16B is a user screen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quiz correct answer selection. 16C is a user screen that displays an alarm when a time limit for quiz entry is exceeded. 17 is a user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a quiz correct answer. 18 is a user screen for explaining an Internet site search for the next quiz hint. 19 is a user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a previous quiz result inquiry. 20 is a user screen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participating quiz results display.

도 14a를 참조하면, 스마트폰(700)은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퀴즈서비스 서버(800)로부터 다운로드한다(단계 S300). 도 14a 내지 도 14c에서는 상기 스마트폰(700)이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800)에 접속하여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다운로드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800)가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앱스토어와 같은 온라인 마켓(미도시)에 업로드시키고, 상기 스마트폰(700)이 상기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4A, the smartphone 700 downloads a prize quiz application from the quiz service server 800 (step S300). In FIGS. 14A to 14C, the smart phone 700 accesses the quiz service server 800 and downloads a free quiz application. However, the quiz service server 800 connects the free quiz application with an app store. Upload to the same online market (not shown), the smartphone 700 may download the prize quiz application.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800)는 광고주 서버(900)로부터 퀴즈 제공을 요청받음에 따라(단계 S302), 암호화된 퀴즈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304). 상기 암호화된 퀴즈정보에는 퀴즈힌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암호화된 퀴즈정보를 생성하기 이전에 또는 이후에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800)는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다운로드한 스마트폰들 전체에게 푸시 알림을 이용하여 경품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푸심 알림은 대규모의 광고가 요구되는 경우, 보다 많은 사람들이 경품 퀴즈에 응모하도록 퀴즈 참여를 독려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The quiz service server 800 generates encrypted quiz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for providing a quiz from the advertiser server 900 (step S302) (step S304).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may include a quiz hint. Before or after generating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the quiz service server 800 may transmit the prize information using a push notification to all smartphones that have downloaded the prize quiz application. Such push notifications can be used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a quiz so that more people can enter the prize quiz when large-scale advertisements are required.

상기 스마트폰(700)은 다운로드된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기동한다(단계 S306). 예를들어, 상기 경품 퀴즈응모 어플이 기동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7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화면이 표시된다. 도 16a를 참조하면, 사용자화면의 상단에는 퀴즈시작까지 남은 시간이 타이머 형태로 표시되고, 사용자화면의 중간에는 퀴즈 정답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경품 관련 정보가 표시되며, 사용자화면의 하단에는 퀴즈참여를 위한 아이콘, 지난 퀴즈 확인을 위한 아이콘, 어플 설정을 위한 아이콘이 표시된다. The smartphone 700 launches the downloaded prize quiz application (step S306). For example, as the prize quiz application is started, the user screen as shown in FIG. 16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700. Referring to FIG. 16A, the time remaining until the start of the quiz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user screen in the form of a timer, and prize-related information that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quiz answer is displayed in the middle of the user screen. The icon for, the icon for checking the last quiz, the icon for setting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도 14a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상기 스마트폰(700)은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800)에게 경품 퀴즈응모 어플을 통한 퀴즈정보를 요청한다(단계 S308). 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Figure 14a, the smart phone 700 requests the quiz information through the quiz service application to the quiz service server 800 (step S308).

상기 스마트폰(700)은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800)로부터 암호화된 퀴즈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310). 상기 암호화된 퀴즈정보는 퀴즈와 상기 퀴즈에 대응하는 퀴즈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퀴즈는 객관식 형태일 수도 있고, 주관식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퀴즈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로 연속하여 표시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퀴즈관련 정보는 퀴즈 힌트와 퀴즈시작 시각정보, 경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퀴즈 힌트는 텍스트 타입일 수도 있고, 휴대전화 기능과 컴퓨팅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의 특성을 활용하여 홍보를 위한 특정 회사의 URL 링크, 특정 회사나 특정 회사에서 출시한 신규 제품의 홍보를 위한 인터넷 사이트 검색 URL 링크 등일 수 있다.The smartphone 700 receives encrypted quiz information from the quiz service server 800 (step S310).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may include a quiz and quiz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iz. The quiz may be a multiple choice form or a short answer form. In addition, quizzes may be made of one, or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to be displayed in succession to each other. The quiz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 quiz hint, quiz start time information, priz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quiz hint may be a text type, a link to a URL of a specific company for promotion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martphone having a mobile phone function and a computing function, and an internet site for promoting a new product released by a specific company or a specific company. Search URL link, or the like.

상기 스마트폰(700)은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800)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퀴즈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한다(단계 S312). The smartphone 700 stores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quiz service server 800 in the memory unit (step S312).

상기 스마트폰(700)은 퀴즈응모자의 조작에 의해 경품 퀴즈서비스의 공유 요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14). 예를들어, 도 15a에 도시된 사용자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SNS 친구들과 함께 하기>하는 버튼이 터치되면, 도 15b에 도시된 사용자화면이 표시된다. 도 15b를 참조하면, 경품 퀴즈서비스의 공유는 카카오톡과 같은 무료문자를 통한 경품 퀴즈서비스의 공유, 트위터이나 페이스북과 같은 각종 SNS를 통한 경품 퀴즈서비스의 공유가 요청될 수 있다. The smart phone 700 checks whether or not to share the prize quiz service by the operation of the quiz applicant (step S314). For example, if a button for <with SNS friend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user screen shown in FIG. 15A is touched, the user screen shown in FIG. 15B is displayed. Referring to FIG. 15B, sharing of the prize quiz service may be requested to share the prize quiz service through free texts such as KakaoTalk, and share the prize quiz service through various SNS such as Twitter or Facebook.

도 14a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상기 스마트폰(700)은 퀴즈응모자에 의해 경품 퀴즈서비스의 공유 요청으로 체크되면, 해당 경품 퀴즈서비스를 선택된 매체, 예를들어, 무료문자를 통한 다른 스마트폰과의 공유 또는 SNS를 통한 다른 스마트폰과의 공유를 행한다(단계 S316). 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14A, when the smart phone 700 is checked by the quiz applicant as a share request of the prize quiz service, the prize quiz service is selected with another smartphone through a selected medium, for example, free text. Sharing with other smartphone via sharing or SNS is performed (step S316).

상기 스마트폰(700)은 퀴즈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퀴즈시작 시간의 카운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318). 예를들어, 상기 스마트폰(700)에 표시되는 퀴즈관련 정보와 카운트 정보는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단계 S318에서 도 15a와 같은 사용자화면이 표시되면, 단계 S306에 의해 표시되는 도 15a와 같은 사용자화면의 표시는 생략될 수도 있다. The smartphone 700 displays the quiz relat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and displays the count information of the quiz start time through the display unit (step S318). For example, the quiz related information and the coun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martphone 700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15A. In some cases, when the user screen as shown in FIG. 15A is displayed in step S318, the display of the user screen as shown in FIG. 15A displayed by step S306 may be omitted.

이어,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20). 단계 S320에서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 S318로 피드백한다. Then, it is checked whether the quiz start time has arrived (step S320). If it is checked in step S320 that the quiz start time has not arrived, the flow returns to step S318.

도 14b를 참조하면, 단계 S320에서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한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스마트폰(700)은 암호화된 퀴즈들을 복호화한다(단계 S322). 본 실시예에서는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되면 암호화된 퀴즈들을 복호화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단계 S312에서 암호화된 퀴즈정보를 저장할 때 복호화할 수도 있다. 물론, 퀴즈정보가 복호화하였다 하더라도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은 당연하다. Referring to FIG. 14B, when it is checked in step S320 that the quiz start time has arrived, the smartphone 700 decrypts the encrypted quizzes (step S322).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encrypted quizzes are decrypted when the quiz start time arrives. However,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may be decrypted when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is stored in step S312. Of course, even if the quiz information is decoded, if the quiz start time does not arrive it is natural to control not to display on the display.

이어, 상기 스마트폰(700)은 복호화된 퀴즈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324). 해당 퀴즈는 객관식 형태일 수도 있고, 주관식 형태일 수도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복호화된 퀴즈정보가 사용자화면에 표시된다. 퀴즈응모자는 <정답선택> 아이콘을 선택할 수도 있고, <힌트보기> 아이콘을 선택할 수도 있다. <정답선택>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답 선택을 위한 사용자화면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객관식 형태의 퀴즈를 도시하였으나, 퀴즈응모자가 직접 정답을 기입하는 주관식 형태의 퀴즈로 서비스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퀴즈 응모 시간이 설정된 시각을 초과하는 경우,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화면이 표시되어 퀴즈 응모에 실패했음을 알릴 수도 있다. Subsequently, the smartphone 700 displays the decoded quiz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step S324). The quiz may be a multiple choice form or a short answer form. Referring to FIG. 16A, the decoded quiz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user screen. The quiz applicant can select the <choose answer> icon or the <view hint> icon. When the <Select Answer> icon is selected, a user screen for selecting the correct answer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16B. In this embodiment, the multiple-choice quiz is illustrated, but it is obvious that the quiz applicant may be provided as a quiz-type quiz in which the correct answer is directly written. On the other hand, if the quiz application time exceeds the set time, the user screen as shown in Fig. 16c is displayed to inform that the quiz application failed.

도 14b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상기 스마트폰(700)은 퀴즈 힌트가 퀴즈응모자에 의해 요청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26). 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14B, the smartphone 700 checks whether a quiz hint is requested by the quiz applicant (step S326).

단계 S326에서 퀴즈 힌트 요청으로 체크되면, 상기 스마트폰(700)은 퀴즈 힌트를 상기 스마트폰(7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328). If the quiz hint request is checked in step S326, the smartphone 700 displays the quiz hint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700 (step S328).

상기 스마트폰(700)은 퀴즈응모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퀴즈 정답을 수신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한다(단계 S330). The smartphone 700 receives a quiz correct answer inputted by a quiz applicant's operation and stores it in a memory unit (step S330).

이어, 상기 스마트폰(700)은 다른 퀴즈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S332), 단계 S332에서 다른 퀴즈가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 S324로 피드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암호화된 퀴즈들을 복호화하여 저장한 후 순차적으로 퀴즈들을 퀴즈응모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을 설명하였으나, 퀴즈응모자가 하나의 퀴즈를 풀면 다음 퀴즈를 복호화하여 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Subsequently, the smart phone 700 checks whether another quiz exists (step S332), and if it is checked in step S332 that another quiz exists, it feeds back to step S324. In the present embodiment, a method of sequentially decoding and storing encrypted quizzes and sequentially providing quizzes to the quiz applicant may be performed by decoding and displaying the next quiz when the quiz applicant solves one quiz.

단계 S332에서 다른 퀴즈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스마트폰(700)은 퀴즈답변 정보를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800)에 전송한다(단계 S334). 여기서, 상기 퀴즈답변 정보에는 퀴즈정답뿐 아니라, 퀴즈정답을 기입한 시간정보, 퀴즈정답이 기입된 시점의 지역정보, 회원정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If it is checked in step S332 that no other quiz exists, the smartphone 700 transmits quiz answer information to the quiz service server 800 (step S334). Here, the quiz answer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not only a quiz answer but also time information in which the quiz answer is written, local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quiz answer is written, and member information.

상기 시간정보는 퀴즈 정답자의 선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첫번째부터 백번째까지 선착순으로 퀴즈정답자를 선택하는 경우, 또는 첫번째부터 열번째, 백번째부터 백열번째, 이백번째부터 이백열번째 등과 같이 준선착순으로 퀴즈정답자를 선택하는 경우 등에 상기한 시간정보는 이용될 수 있다. The time information may be used to select a quiz corrector. For example, when the quiz correcters are selected on a first-come-first-served basis, or when the quiz correcters are selected on a first-come-first-served basis, such as first to tenth, hundredth to one hundredth, and hundredth to two hundredth, etc. Time information can be used.

또한 상기한 지역정보는 특정 퀴즈를 맞춘 퀴즈응모자가 위치한 위치정보를 근거로 퀴즈정답자를 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한 지역정보는 퀴즈 정답을 맞춘 사람들중 서울 강남지역에서 10명, 경기 수원지역에서 10명, 대전 유성지역에서 10명, 제주지역에서 10명 등과 같이 퀴즈정답자를 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rea information may be used to select a quiz correct answerer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quiz applicant who fits a particular quiz is located. For example, the above regional information may be used to select quiz correctors such as 10 people in the Gangnam area of Seoul, 10 people in Suwon, Gyeonggi, 10 people in Daejeon Yuseong, and 10 people in Jeju. Can be.

또한, 상기 회원정보 역시 퀴즈 정답자의 선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연령대가 10대이면서 남자들 몇 명, 연령대가 30대이면서 여자들 몇 명 등과 같이 연령대 및 성별을 기준으로 퀴즈정답자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한 회원정보는 이용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회원 가입을 통해 퀴즈응모자 본인의 정보가 퀴즈서비스 서버(800)에 등록된 경우, 상기한 회원정보의 전송은 생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ber information may also be used to select a quiz correct answer. For example, when selecting a quiz corrector based on age and gender, such as a few men in their teens and a few men in their thirties, their membership information may be used. Of course, if the information of the quiz applicant himself through a separate membership is registered in the quiz service server 800, the transmission of the member information may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방식으로 퀴즈정답자를 선택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들이 상기 퀴즈답변 정보에 패키지화되어 퀴즈서비스 서버(800)에 전송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this embodiment, it is apparent that various information may be packaged in the quiz answer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quiz service server 800 in order to select the quiz answer answerer in various ways not mentioned.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800)는 상기 스마트폰(700)으로부터 제공되는 퀴즈답변 정보를 근거로 퀴즈 정답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36).The quiz service server 800 checks whether the quiz is correct or not based on the quiz answer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mart phone 700 (step S336).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800)는 정답 또는 오답 알람 메시지를 해당 스마트폰(700)에 전송한다(단계 S338).The quiz service server 800 transmits the correct or incorrect alarm message to the smartphone 700 (step S338).

상기 스마트폰(700)은 정답 또는 오답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340). 도 17은 퀴즈 정답을 맞춤에 따라 표시되는 사용자화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퀴즈응모자는 스마트폰에 정답이라는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자신이 푼 퀴즈가 정답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퀴즈 정답 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통해 퀴즈응모자 자신의 개인 상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smartphone 700 displays a correct or incorrect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the display unit (step S340). 17 is a user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a quiz correct answer. Referring to FIG. 17, the quiz applicant may confirm that the quiz he solved is the correct answer as he receives the message that the answer is correct in the smartphone. Through the message about whether the quiz is correct or not,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ducational effect to increase the personal common sense of the quiz applicant.

한편,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800)는 퀴즈 답변에 따른 당첨 대상자를 조회한다(단계 S342). 상기한 당첨 대상자는 선착순, 조건부선착순, 성별, 연령별, 지역별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조회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quiz service server 800 inquires the winner according to the quiz answer (step S342). The winner may be inquired in various forms such as first-come-first-served basis, conditional first-come-first-served basis, gender, age, region, and the like.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800)는 당첨결과 메시지를 스마트폰(700)에 전송한다(단계 S344).The quiz service server 800 transmits the winning result message to the smartphone 700 (step S344).

상기 스마트폰(700)은 도 10a나 도 10b에 도시된 당첨결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346). The smartphone 700 displays the winning result message shown in FIG. 10A or 10B through the display unit (step S346).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800)는 퀴즈에 따른 경품 배송을 상기 광고주 서버(900)에게 요청한다(단계 S348). The quiz service server 800 requests the advertiser server 900 for prize delivery according to the quiz (step S348).

이에 따라, 상기 광고주 서버(900)는 퀴즈응모자 정보를 근거한 배송지로 경품을 발송한다(단계 S350).Accordingly, the advertiser server 900 sends the prize to the delivery destination based on the quiz applicant information (step S350).

도 14c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700)은 다음 퀴즈 힌트가 요청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52). Referring to Figure 14c, the smartphone 700 checks whether the next quiz hint is requested (step S352).

다음 퀴즈 힌트를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800)에 요청한다(단계 S354). The next quiz hint is requested to the quiz service server 800 (step S354).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800)는 다음 퀴즈 힌트 정보를 조회한다(단계 S356). The quiz service server 800 queries the next quiz hint information (step S356).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800)는 조회된 다음 퀴즈 힌트를 스마트폰(700)에 전송한다(단계 S358). The quiz service server 800 transmits the next quiz hint to the smart phone 700 (step S358).

상기 스마트폰(700)은 다음 퀴즈 힌트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360). 상기한 다음 퀴즈 힌트는 텍스트 타입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스마트폰의 특성을 활용하여 홍보를 위한 특정 회사의 링크 제공 타입이나 인터넷 사이트 검색 타입 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The smartphone 700 displays the next quiz hint through the display unit (step S360). The following quiz hints may be provided in a text type, or may be provided as a link providing type or an internet site search type of a specific company for promotion by utilizing characteristics of a smartphone.

도 18을 참조하면, 인터넷 포탈 사이트의 검색창에는 특정 키워드가 기입된 웹페이지가 표시된다. 퀴즈응모자는 다음 퀴즈 힌트를 얻기 위해 제공받은 웹페이지에서 검색버튼을 클릭 또는 터치함으로써, 퀴즈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퀴즈 힌트를 얻기 위해 많은 퀴즈응모자가 특정 키워드가 기입된 웹페이지에서 단순히 검색버튼을 클릭 또는 터치함에 따라, 실시간 조회횟수를 증가하시게 된다. 이러한 실시간 조회횟수의 증가에 따라, 광고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즉, 미홍보된 제품의 이름이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기입된 경우, 이를 클릭 또는 터치하는 퀴즈응모자가 증가함에 따라, 실시간 조회수가 증가하고, 증가된 실시간 조회수는 해당 인터넷 포탈 사이트를 방문하는 이용자에게도 자연적으로 노출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광고 효과 역시 높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a web page including a specific keyword is displayed in a search box of an Internet portal site. The quiz applicant can obtain a quiz hint by clicking or touching a search button on a web page provided to obtain the next quiz hint. In order to obtain such a quiz hint, many quiz applicants simply click or touch a search button on a web page in which a specific keyword is entered,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real-time search. As the number of real-time views increases, the advertisement effect may be enhanced. That is, if the name of the unpromoted product is entered in the search box of the Internet portal site, as the number of quiz applicants who click or touch it increases, the real-time views increase, and the increased real-time views visit the corresponding Internet portal site. As the user can expect the effect to be naturally exposed to the user, the advertisement effect can be enhanced.

도 14c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상기 스마트폰(700)은 퀴즈응모자의 조작에 의한 각 퀴즈의 결과목록이 요청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62).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14C, the smartphone 700 checks whether a result list of each quiz by a quiz applicant's operation is requested (step S362).

단계 S362에서 각 퀴즈들의 결과목록이 요청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각 퀴즈의 결과목록을 조회하고, 조회된 결과를 상기 스마트폰(700)에 제공한다(단계 S364).If it is checked in step S362 that the result list of each quiz is requested, the result list of each quiz is queried and the inquiry result is provided to the smart phone 700 (step S364).

상기 스마트폰(700)은 각 퀴즈의 결과목록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도 19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366). 도 19에 도시된 사용자화면에는 특정 일자별 또는 특정 회차별 퀴즈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텍스트가 표시된다. The smartphone 700 displays the result list of each quiz as shown in FIG. 19 through the display unit (step S366). In the user screen illustrated in FIG. 19, text for confirming a quiz result by a specific date or a specific time is displayed.

단계 S362에서 각 퀴즈의 결과목록이 요청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366을 수행한 후, 참여한 퀴즈 결과의 요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68).In step S362, the result list of each quiz is checked as not requested, or after performing step S366,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requested quiz result is requested (step S368).

단계 S368에서 참여한 퀴즈 결과가 퀴즈응모자의 조작에 의해 요청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참여한 퀴즈 결과를 조회하고, 조회된 결과를 상기 스마트폰(700)에 제공한다(단계 S370). If the result of the quiz participated in step S368 is checked as being requested by the operation of the quiz applicant, the result of the participated quiz is inquired and the inquiry result is provided to the smartphone 700 (step S370).

상기 스마트폰(700)은 해당 퀴즈응모자가 참여한 퀴즈 결과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372). 예를들어, 도 19에 도시된 텍스트들중 사용자가 특정 회차의 퀴즈결과를 클릭 또는 터치하면, 도 20과 같은 퀴즈결과 화면이 표시된다. 이러한 퀴즈결과 화면을 통해 퀴즈 당첨자의 정보 일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smartphone 700 displays the quiz result of the corresponding quiz applicant through the display unit (step S372). For example, if a user clicks or touches a quiz result of a specific round among the texts shown in FIG. 19, a quiz result screen as shown in FIG. 20 is displayed. Through the quiz results screen, you can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winner of the quiz.

단계 S368에서 참여한 퀴즈 결과가 퀴즈응모자의 조작에 의해 미요청되는 것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372를 수행한 후, 퀴즈응모자에 의한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종료 요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74). 단계 S374에서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종료가 요청되지 않으면 단계 S306으로 피드백하고, 경품 퀴즈응모 어플의 종료 요청으로 체크되면 종료한다. The quiz result participated in step S368 is checked as not requested by the operation of the quiz applicant, or after performing step S372,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end of the giveaway quiz application by the quiz applicant (step S374). If the end of the prize quiz application is not requested in step S374, the feedback to step S306, and if the end request of the prize quiz application is checked, it ends.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퀴즈서비스 사업자는 퀴즈를 발송하고, 퀴즈응모자들은 퀴즈의 답을 발송하며, 발송된 정답들중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약정된 경품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조건은 무조건 선착순, 남녀성비에 따른 선착순, 지역별 선착순, 준선착순, 예를들어, 첫번째부터 열번째, 백번째부터 백열번째, 이백번째부터 이백열번째 등과 같이 선착순 등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quiz service provider sends out a quiz, the quiz applicants send out the answer of the quiz, and if the predetermined conditions are met among the correct answers sent, the contract can be given a prize. Here, 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according to gender ratio, a first-come-first-served basis for each region, a first-come-first-served basis, for example, a first to tenth, a hundredth to a hundredth, a hundredth to a hundredth, and the like.

또한, 경품 퀴즈응모 어플 형태로 퀴즈가 제공되므로 일반 퀴즈응모자는 어플 구동을 통해 퀴즈를 제공받고, 정답 획득을 위해, 인터넷 조회(예를들어, 광고주의 홈페이지 등)를 통해 퀴즈정답을 획득하고, 획득된 퀴즈정답을 발송하므로써, 실시간 조회수가 급증할 수도 있어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quiz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rize quiz application, the general quiz applicant is provided with a quiz through driving the app, and in order to obtain a correct answer, the quiz answer is obtained through an internet inquiry (for example, the advertiser's homepage), By sending the obtained quiz answer, the number of real-time views may increase rapidly, thereby maximizing the advertising effect.

또한, 퀴즈응모자는 퀴즈정답을 맞춤에 따라 경품을 얻을 수 있고, 퀴즈서비스 사업자는 광고를 유치하여 일정 수수료를 획득할 수 있으며, 광고주는 단기간에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quiz applicant can get a prize according to the personalized quiz answers, the quiz service operators can obtain a certain fee by attracting advertisements, advertisers can maximize the advertising effect in a short time.

100, 400, 700 : 스마트폰 200, 500, 800 : 퀴즈서비스 서버
300, 600, 900 : 광고주 서버 110 : 제어부
120 : 터치인식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메모리부 150 : 무선회로부
160 : 근거리 통신부 170 : 오디오처리부
180 : 진동구동부 210 : 퀴즈정보 생성부
220 : 퀴즈정보 발송부 230 : 회원 DB
240 : 퀴즈답변 수신부 250 : 대상자 조회부
260 : 경품발송 요청부
100, 400, 700: smartphone 200, 500, 800: quiz service server
300, 600, 900: advertiser server 110: control unit
120: touch recognition unit 130: display unit
140: memory unit 150: wireless circuit unit
160: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audio processing unit
180: vibration driving unit 210: quiz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20: quiz information sending section 230: member DB
240: quiz answer receiving unit 250: subject inquiry unit
260: prize sending request

Claims (13)

휴대전화 기능과 컴퓨팅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에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퀴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퀴즈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발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의 퀴즈응모자로부터 퀴즈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퀴즈 답변을 근거로 정답에 대응하는 대상자를 조회하는 단계; 및
조회된 퀴즈 답변자의 퀴즈응모자 정보를 근거한 배송지 정보로 경품 발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
Generating quiz informatio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smart phone as a quiz start time arrives at a smart phone having a mobile phone function and a computing function;
Sending the generated quiz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Receiving a quiz answer from the quiz applicant of the smartphone;
Querying a subject corresponding to a correct answer based on the quiz answer; And
Quiz service method using a smart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requesting the delivery of the prize with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based on the quiz responder information of the quiz respon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퀴즈정보는 암호화되어 상기 스마트폰에 발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 The quiz servic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quiz information is encrypted and sent to the smartpho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퀴즈정보는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됨에 따라 복호화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The quiz servic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is decrypted as the quiz start time arrives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 pho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퀴즈정보는 복수의 퀴즈들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퀴즈들은 순차적으로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 The quiz servic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quizzes, and the plurality of quizzes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퀴즈정보는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퀴즈응모자가 선택한 다른 퀴즈응모자의 스마트폰과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quiz information is shared with a smartphone of another quiz applicant selected by the quiz applicant through the smart 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퀴즈정보를 생성하기 이전에, 조건부 퀴즈응모용 회원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퀴즈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회원정보를 근거로 해당 스마트폰에 상기 퀴즈정보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and storing conditional quiz application member information before generating the quiz information.
The step of sending the quiz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a quiz service method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to send the quiz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smartphone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휴대전화 기능과 컴퓨팅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에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퀴즈정보를 생성하는 퀴즈정보 생성부;
생성된 퀴즈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발송하는 퀴즈정보 발송부;
상기 스마트폰의 퀴즈응모자로부터 퀴즈 답변을 수신하는 퀴즈답변 수신부;
상기 퀴즈 답변에 따른 대상자를 조회하는 대상자 조회부; 및
조회된 퀴즈 답변자의 퀴즈응모자 정보를 근거한 배송지 정보로 경품 발송을 요청하는 경품발송 요청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시스템.
A quiz information generation unit generating quiz informatio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smart phone as a quiz start time arrives at a smart phone having a mobile phone function and a computing function;
Quiz information sending unit for sending the generated quiz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Quiz answ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quiz answer from the quiz applicant of the smartphone;
A subject inquiry unit for searching a subject according to the quiz answer; And
Quiz service system using a smart phone including a prize sending request unit for requesting the delivery of the prize with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based on the quiz responder information of the inquired quiz responder.
제7항에 있어서, 조건부 퀴즈응모용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퀴즈정보 발송부는 상기 회원 DB에 저장된 상기 조건부 퀴즈응모용 회원정보를 근거로 해당 스마트폰에 상기 퀴즈정보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member DB for storing conditional quiz application member information,
The quiz information sending unit quiz service system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sending the quiz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smartphone based on the conditional quiz application me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ber DB.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퀴즈정보 발송부에서 발송된 퀴즈정보를 저장하고,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됨에 따라, 상기 퀴즈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퀴즈응모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퀴즈 답변을 상기 퀴즈서비스 서버에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mart phone stores the quiz information sent from the quiz information sending unit, and as the quiz start time arrives, displaying the quiz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 phone, Quiz service system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sending the quiz answer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to the quiz service serv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퀴즈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퀴즈정보는 암호화되어 있고, 상기 스마트폰은 암호화된 퀴즈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퀴즈시작 시각이 도래됨에 따라, 상기 암호화된 퀴즈정보는 복호화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quiz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quiz information generation unit is encrypted, the smartphone receives and stores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As the quiz start time arrives,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is decryp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quiz service system using a smart phon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퀴즈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퀴즈정보는 암호화되어 있고, 상기 스마트폰은 암호화된 퀴즈정보를 복호화하여 저장하며,
상기 퀴즈시작 시작이 도래됨에 따라, 복호화된 퀴즈정보가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quiz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quiz information generation unit is encrypted, the smartphone decrypts and stores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As the start of the quiz comes, the quiz service system using a smart 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coded quiz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 phon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암호화된 퀴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암호화된 퀴즈정보는 복수의 퀴즈들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퀴즈들은 순차적으로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martphone receives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The encrypted quiz informa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quizzes, quiz service system using a smart 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quizzes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smart phon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퀴즈정보는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퀴즈응모자가 선택한 다른 퀴즈응모자의 스마트폰과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시스템.The quiz service system of claim 9, wherein the quiz information is shared with a smartphone of another quiz applicant selected by the quiz applicant through the smartphone.
KR1020110064299A 2011-06-30 2011-06-30 Method for servicing a quiz using a smart phone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300122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299A KR20130012205A (en) 2011-06-30 2011-06-30 Method for servicing a quiz using a smart phone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299A KR20130012205A (en) 2011-06-30 2011-06-30 Method for servicing a quiz using a smart phone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205A true KR20130012205A (en) 2013-02-01

Family

ID=4789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299A KR20130012205A (en) 2011-06-30 2011-06-30 Method for servicing a quiz using a smart phone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2205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741B1 (en) * 2013-10-15 2015-06-12 (주)엠투커뮤니티 Online voting and quiz providing system and method
KR20220135009A (en)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위시모바일 Computer programs and recording media to provide live communication control services
KR20220135010A (en)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위시모바일 System of control communication for controlling streaming of multiple client terminals
KR20220135007A (en)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위시모바일 Live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741B1 (en) * 2013-10-15 2015-06-12 (주)엠투커뮤니티 Online voting and quiz providing system and method
KR20220135009A (en)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위시모바일 Computer programs and recording media to provide live communication control services
KR20220135010A (en)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위시모바일 System of control communication for controlling streaming of multiple client terminals
KR20220135007A (en)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위시모바일 Live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0328B2 (en) Networked profiling and multimedia content targeting system
US8561097B2 (en) Multimedia content viewing confirmation
US8499241B2 (en) Virtual community for incentivized viewing of multimedia content
US8607143B2 (en) Multimedia content viewing confirmation
US8484563B2 (en) View confirmation for on-demand multimedia content
US9256888B2 (en) Matching advertising to game play content
US20110264494A1 (en) System for an incentive-based distribution of a marketing material
US8589794B2 (en) View confirmation using a challenge
CN108197975A (en) The method for pushing and system of information
WO2010026462A1 (en) Multimedia content viewing confirmation
KR101930316B1 (en) Advertising Event and Company Promo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game and method
US201902991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an application client
US118539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user-responsive reactive advertising via voice interactive input/output devices
KR20160036521A (en) Selectable Text Messaging Styles for Brand Owners
KR20130012205A (en) Method for servicing a quiz using a smart phone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US201102827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unctional advertisements
US100197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atic testing to determine user attention for advertisements
US201601586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gital Advertising Game
KR20150098265A (en) Advertisement system for attracting participation of smartphone users and method thereof
JP2015049545A (en) Promoted questionnaire program and questionnaire system
US20170061503A1 (en) Method for Managing and Distributing Interactive Advertisements
WO2015060787A1 (en) Online campaign system and method
KR20130062391A (en) The method for running free gift event
KR20130023554A (en) An advertizing promotion device based on mission games for a smart phone
KR101067562B1 (en) Marketing method using smart-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