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1299A - Base station and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 Google Patents

Base station and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299A
KR20130011299A KR1020110072355A KR20110072355A KR20130011299A KR 20130011299 A KR20130011299 A KR 20130011299A KR 1020110072355 A KR1020110072355 A KR 1020110072355A KR 20110072355 A KR20110072355 A KR 20110072355A KR 20130011299 A KR20130011299 A KR 20130011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base station
identifier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3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15216B1 (en
Inventor
김태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2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216B1/en
Publication of KR20130011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2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2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base station and a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are provided to improve the whole capacity of a communication system by opening a scheduling method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terminal by using frequency selectivity. CONSTITUTION: A management unit(211) manages one or more data queues classified according to one or mor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A resource allocation unit(213) allocates radio resources to one or more terminals by considering a bandwidth possessed by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 communication unit(214) transmits the data stored in the data queues based on the radio resources. [Reference numerals] (211) Management unit; (212) Storage unit; (213) Resource allocation unit; (214) Communication unit; (215) Identifier allocation unit

Description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의 스케줄링 방법{BASE STATION AND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BASE STATION AND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의 스케줄링 방법이 개시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의 통신 사업자들이 기지국을 공유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의 특징인 주파수 선택성(Frequency Selectivity)을 활용하여 단말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케줄링 기법을 개시함으로써, 통신 시스템 전체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A base station and a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are disclosed. In particula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heduling scheme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terminal by using a frequency selectivity (Frequency Selectivity) characteristic of a Long Term Evolution (LTE) communication system in a communication system that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roviders share a base st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capable of improving overall communication system capacity.

최근, 이동통신 망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유저에게 한정된 자원을 활용하여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amount of data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reases, research in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n optimal service using limited resources to a user has been actively conducted.

특히, 최근에는 통신 사업자간 소정의 계약을 통해 하나의 망을 구축하고, 상기 구축된 망을 공유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In particular, recently, discussions have been made on how to establish a network through a predetermined contract between communication providers and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by sharing the constructed network.

예컨대, 구축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기지국의 경우, 가입자가 많고, 수익이 많이 발생하는 도심 지역에서는 통신 사업자들이 각자 망을 구축하여 유저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인구나 가입자가 많이 않지만 커버리지 확보를 위해 기지국 구축이 필요한 비도심 지역에서는 하나의 기지국을 구축하고, 여러 통신 사업자들이 상기 기지국을 공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면, 기지국 구축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ase station that requires a lot of construction costs, in an urban area where there are many subscribers and a lot of profits, telecommunication operators can establish a network and provide communication services to users, but there are many populations or subscribers, but coverage is secured. In a non-city area where a base station needs to be established for a single base station, and several communication providers share the base station to provide a servi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and time according to the base station construction.

통신 사업자들이 하나의 기지국을 공유하여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으로는 각 통신 사업자들이 하나의 기지국을 공유하되, 각자 별도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각 통신 사업자들이 각자 셀을 구성한 후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As a method of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sharing a base station to perform a communication service, each service provider shares one base station, but each carrier uses a separate frequency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after each service provider configures its own cell. There is this.

하지만, 최근에 등장하고 있는 LTE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통신 방법과 달리, 주파수 선택성을 이용하여 주파수 효율을 높이는 기법에 도입되고 있다.However, in recent LTE communication systems, unlike conventional communication methods, they have been introduced into a technique for improving frequency efficiency using frequency selectivity.

이에 따라, 통신 사업자들이 하나의 기지국을 공유하면서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법보다 상기 LTE 통신 시스템의 특징인 주파수 선택성을 활용하여 각 통신 사업자들이 하나의 통합된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면서, 단말에 가장 좋은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셀 용량의 측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다.Accordingly, each service provider utilizes one integrated frequency band by utilizing frequency selectivity,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LTE communication system, rather than a technique in which service providers share one base station and use a separate frequency band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In addition, it may be efficient in terms of cell capacity to utilize a technique for allocating the best frequency band to the terminal.

따라서, 통신 사업자들이 하나의 기지국을 공유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LTE 통신 시스템의 특징인 주파수 선택성을 활용하여 셀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research method for maximizing cell capacity by utilizing frequency selectivity,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LTE communication system, in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communication providers share one base st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의 통신 사업자들이 기지국을 공유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LTE 통신 시스템의 특징인 주파수 선택성을 활용하여 단말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케줄링 기법을 개시함으로써, 통신 시스템 전체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 a scheduling scheme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terminal by utilizing frequency selectivity, which is a feature of an LTE communication system, in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share a base station. To help.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별로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Queue)를 관리하는 관리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의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 저장하는 저장부,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피드백된 채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이 보유한 대역폭을 고려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 상기 할당된 무선 자원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at least one data queue divided by at least one carrier, the at least one data carrier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core network of the at least one A storage unit for dividing each communication provider into the at least one data queue and wirelessly considering the bandwidth hel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for the at least one terminal based on channel information fed back from at least one terminal. A resource allocating unit for allocating resources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at least one data queue based on the allocated radio resources for the at least one terminal.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원 할당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이 보유한 대역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 상기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ource allocating unit may allocate the radio resource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so as not to exceed a bandwidth hel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서 상기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sequentially extract the data from the at least one data queue and transmit the data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간 구분이 가능한 식별자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할당하는 식별자 할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 저장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서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의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ation further comprises an identifier allocator for allocating an identifier that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the at least one carrier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the storage unit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The received data is classified into the at least one data queue based on the identifier and stored in the at least one data queue, and the communication unit extracts the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from the at least one data queue.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may transmit to each core network.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자 할당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간 구분이 가능한 식별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식별이 가능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C-RNTI(Contro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구성하여 상기 C-RNT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er allocating unit includes an identifier that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and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at least one terminal. Identifier) can be configured to allocate the C-RNTI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스케줄링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별로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의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 저장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피드백된 채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이 보유한 대역폭을 고려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 상기 할당된 무선 자원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cheduling method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managing at least one data queue divided by at least one carrier,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re network of each of the at least one carrier, the at least one Storing the at least one data queue by dividing each service provider into the at least one data queue, in consideration of a bandwidth hel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arrier for the at least one terminal based on channel information fed back from at least one terminal. And allocating data stored in the at least one data queue based on the allocated radio resources for the at least one terminal.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이 보유한 대역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 상기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locating of the resource may allocate the radio resource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so as not to exceed a bandwidth hel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서 상기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may sequentially extract the data from the at least one data queue and transmit the data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지국의 스케줄링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간 구분이 가능한 식별자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서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의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is assigned an identifier that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the at least one carrier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the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Storing each of the at least one carrier based on an identifier based on an identifier and storing the at least one data queue and extracting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from the at least one data queu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o the core network.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자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간 구분이 가능한 식별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식별이 가능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C-RNTI를 구성하여 상기 C-RNT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할당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assigning the identifier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comprises an identifier that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the at least one carrier and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at least one terminal. A C-RNTI may be configured to allocate the C-RNTI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의 통신 사업자들이 기지국을 공유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LTE 통신 시스템의 특징인 주파수 선택성을 활용하여 단말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케줄링 기법을 개시함으로써, 통신 시스템 전체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 a scheduling scheme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terminal by utilizing frequency selectivity, which is a feature of an LTE communication system, in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share a base station.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의 통신 사업자들이 각자의 주파수 대역을 통합하여 셀을 운용함으로써, 각자 별도의 대역폭을 가지고 단독으로 셀을 운용할 때보다 전체적인 셀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overall cell capacity than whe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operators operate cells by integrating their respective frequency bands, respectively, when operating a cell alone with a separate bandwidth.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스케줄링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duling method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전술한 바와 같이, 최근에 등장하고 있는 LTE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통신 방법과 달리, 주파수 선택성을 이용하여 주파수 효율을 높이는 기법에 도입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ecent LTE communication system, unlike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method, it is introduced to a technique for improving frequency efficiency using frequency selectivity.

다시 말해서, LTE 통신 시스템은 할당된 주파수를 FA(Frequency Allocation)로 구분하여 셀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최대 가능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하나의 셀을 이용하여 상기 셀 내에서 단말 별로 가장 좋은 주파수 영역을 할당한다.In other words, the LTE communication system does not divide the allocated frequency into FA (Frequency Allocation) and divides cells, but allocates the best frequency range for each UE in the cell by using one cell using the maximum possible frequency. .

예컨대, 기존의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HSPA(High Speed Packet Access) 시스템의 경우, 통신 사업자의 보유 주파수가 10MHz이더라도, 5Mhz 주파수 2개의 구별된 셀을 운용할 수 밖에 없었으나, LTE 통신 시스템은 최대 20MHz까지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단말로부터 피드백되는 채널 정보를 기초로 단말에 가장 좋은 주파수 대역을 할당함으로써, 셀 전체 용량을 최대로 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 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system, even though the carrier has a 10 MHz frequency, two distinct cells of 5 MHz frequency have to be operated, but LTE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e system may maximize the total cell capacity by allocating the best frequency band to the terminal based on channel information fed back from the terminal using frequencies up to 20 MHz.

따라서, 다수의 통신 사업자들이 기지국을 공유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LTE 통신 시스템의 특징인 주파수 선택성을 활용하여 시스템 전체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improving overall system capacity by utilizing frequency selectivity, which is a feature of the LTE communication system, in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roviders share a base station.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통신 사업자들이 기지국을 공유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주파수 선택성을 활용하여 단말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케줄링 기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relation to th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heduling scheme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terminal using the frequency selectiv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roviders share a base s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10),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 코어 네트워크 1(140) 및 코어 네트워크 2(150)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base station 110, a terminal 1 121, a terminal 2 122, a terminal 3 123, a terminal 4 131, a terminal 5 132, a core network 1 140, and a core network 2 150 is shown.

먼저, 기지국(110)은 통신 사업자 1과 통신 사업자 2에 의해 공유되고,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은 상기 통신 사업자 1의 서비스를 받는 단말이며, 단말 4(131), 단말 5(132)는 상기 통신 사업자 2의 서비스를 받는 단말이고, 코어 네트워크 1(140)은 상기 통신 사업자 1이 운용하는 코어 네트워크이고, 코어 네트워크 2(150)는 상기 통신 사업자 2가 운용하는 코어 네트워크인 것으로 가정한다.First, the base station 110 is shared by the carrier 1 and the carrier 2,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the terminal 3 (123) is a terminal receiving the service of the carrier 1, terminal 4 131, terminal 5 (132) is a terminal receiving the service of the carrier 2, core network 1 (140) is a core network operated by the carrier 1, core network 2 (150) is the carrier 2 It is assumed that the core network in which is operated.

상기 통신 사업자 1과 상기 통신 사업자 2는 기지국(110)을 공유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되, 각자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별도의 셀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주파수를 결합하여 하나의 넓은 주파수 대역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1 and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2 share a base station 110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but do not form a separate cell by using their respective frequencies, but rather by combining their respective frequencies to form one wide frequency band. can do.

예컨대, 상기 통신 사업자 1과 상기 통신 사업자 2가 각각 10MHz의 주파수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통신 사업자 1과 상기 통신 사업자 2는 10MHz 주파수 대역의 셀 2개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각 통신 사업자 간의 소정의 계약을 통해 전체 20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셀 1개를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1 and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2 each have a frequency of 10 MHz, the service provider 1 and the service provider 2 do not form two cells in the 10 MHz frequency band, but are predetermined between each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agreement of, it is possible to form one cell having a total frequency band of 20MHz.

기지국(110)은 상기 통신 사업자 1과 상기 통신 사업자 2 각각에 대한 데이터 큐를 관리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110 may manage data queues for each of the service provider 1 and the service provider 2.

만약, 코어 네트워크 1(140)과 코어 네트워크 2(150)로부터 기지국(110)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기지국(110)은 코어 네트워크 1(14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통신 사업자 1의 데이터 큐에 저장하고, 코어 네트워크 2(15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통신 사업자 2의 데이터 큐에 저장할 수 있다.If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core network 1 140 and the core network 2 150 to the base station 110, the base station 110 receiv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re network 1 140 and the data queue of the service provider 1.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re network 2 150 may be stored in the data queue of the service provider 2.

그리고 나서, 기지국(110)은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로부터 피드백되는 채널 정보를 기초로 각 단말들에 대해 가장 좋은 무선 자원(Resource Block: RB)을 할당할 수 있다.Then, the base station 110 for each terminal based on the channel information fed back from the terminal 1 (121), terminal 2 (122), terminal 3 (123), terminal 4 (131), terminal 5 (132). The best radio resource (RB) can be allocated.

이때, 기지국(110)은 상기 각 단말들에 대해 상기 통신 사업자 1과 상기 통신 사업자 2가 각각 보유한 주파수 대역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RB를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110 may allocate the RB to each of the terminals so as not to exceed the frequency bandwidth of the carrier 1 and the carrier 2 respectively.

다시 말해서, 기지국(110)은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에 대해 상기 통신 사업자 1이 보유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폭인 10MHz를 넘지 않도록 상기 RB를 할당할 수 있고, 단말 4(131), 단말 5(132)에 대해 상기 통신 사업자 2가 보유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폭인 10MHz를 넘지 않도록 상기 RB를 할당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base station 110 may allocate the RB to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and the terminal 3 123 so as not to exceed 10 MHz, which is a frequency bandwidth of the carrier 1. The RB may be allocated to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132 so as not to exceed 10 MHz, which is a frequency bandwidth of the carrier 2.

관련하여, 기지국(110)은 상기 통신 사업자 1과 상기 통신 사업자 2가 각각 10MHz의 주파수를 보유하고 있고, 10MHz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RB의 개수가 50개라고 하는 경우,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상기 단말들에 대해 상기 RB를 할당할 수 있다.
In relation to the base station 110, when the carrier 1 and the carrier 2 each have a frequency of 10MHz, and the number of allocable RBs in the 10MHz frequency band is 50,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The RB may be allocated to the terminal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상기 Ki는 상기 통신 사업자 1이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에 대해 i번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서 할당할 수 있는 RB의 최대 개수를 의미한다.Here, K i denotes the maximum number of RBs that the service provider 1 can allocate to the i th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for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and the terminal 3 123. .

기지국(110)은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에 대해 RB의 할당을 완료하면, 상기 통신 사업자 1의 데이터 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상기 통신 사업자 2의 데이터 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로 전송한다.When the base station 110 completes the allocation of the RB to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the terminal 3 123,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132, the data queue of the service provider 1 is completed. The data stored in the data queue and the data stored in the data queue of the service provider 2 are sequentially extracted, and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the terminal 3 (123), the terminal 4 (131), the terminal 5 ( 132).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기지국(110)은 상기 통신 사업자 1의 데이터 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으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 사업자 2의 데이터 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단말 4(131), 단말 5(132)로 전송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base station 110 extracts the data stored in the data queue of the service provider 1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and the terminal 3 123, and the service provider. Data stored in the data queue 2 may be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132.

이상, 기지국(110)이 다운링크 데이터를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In the above, the process of transmitting downlink data by the base station 110 to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the terminal 3 123,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132 has been described.

이하에서는 기지국(110)이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여 코어 네트워크 1(140) 및 코어 네트워크 2(150)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base station 110 receives uplink data from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the terminal 3 123,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132 so that the base station 110 receives the uplink data. A process of transmitting to the core network 2 150 will be described.

먼저, 기지국(110)이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각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가 어느 통신 사업자의 데이터인지 식별할 필요가 있다.First, in order for the base station 110 to receive uplink data from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the terminal 3 123,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132, data transmitted from each terminal is transmitted. Needs to identify which carrier's data.

따라서,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로부터 기지국(110)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기지국(110)은 상기 통신 사업자 1과 상기 통신 사업자 2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를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에 할당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the terminal 3 123,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132 to the base station 110, the base station 110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110.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the service provider 1 from the service provider 2 may be allocated to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the terminal 3 123,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132.

이와 관련하여, 먼저,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는 32비트의 M-TMSI를 기지국(110)의 식별을 위해 14비트를 할당하고, 셀의 식별을 위해 5비트를 할당하며,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의 식별을 위해 13비트를 할당할 수 있다.In this regard, first,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allocates 32 bits of M-TMSI to 14 bits for identification of the base station 110, 5 bits for identification of a cell, and a terminal 1 (121). 13 bits may be allocated for identification of the terminal 2 122, the terminal 3 123,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132.

보통,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는 호 설정을 하는 과정에서 S-TMSI(SAE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fier)를 사용하는데 상기 S-TMSI는 8비트의 MMEC(Mobility Management Entity Code)와 32비트의 M-TMSI로 구성된다.Usually,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the terminal 3 123,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132 use the SAE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fier (S-TMSI) during call setup. The S-TMSI is composed of 8-bit Mobility Management Entity Code (MMEC) and 32-bit M-TMSI.

이때, 상기 MME는 32비트의 M-TMSI를 기지국(110)의 식별을 위해 14비트, 상기 셀의 식별을 위해 5비트,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의 식별을 위해 13비트씩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ME is a 32-bit M-TMSI 14 bits for identification of the base station 110, 5 bits for identification of the cell, terminal 1 121, terminal 2 (122), terminal 3 (123), 13 bits may be allocated for identification of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132.

먼저, 하나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하에 구성될 수 있는 기지국이 214(16384)개를 넘는 경우는 MME의 용량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상기 MME는 기지국(110)의 식별을 위해 M-TMSI를 14비트 할당할 수 있다.First, since more than 2 14 (16384) base stations that can be configured under one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are practically im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capacity of the MME, the MME is used for identifying the base station 110. 14 bits of TMSI can be allocated.

또한, 하나의 기지국 내에 설정되는 셀의 개수는 25(32)개를 넘지 않기 때문에 상기 MME는 셀의 식별을 위해 M-TMSI를 5비트 할당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cells configured in one base station does not exceed 2 5 (32), the MME may allocate 5 bits of M-TMSI for cell identification.

또한, 하나의 셀 내의 단말의 수는 213(8992)개를 넘지 않는 것이 합리적이므로, 상기 MME는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의 식별을 위해 M-TMSI를 13비트 할당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reasonable that the number of terminals in one cell does not exceed 2 13 (8992), the MME includes a terminal 1 (121), a terminal 2 (122), a terminal 3 (123), a terminal 4 (131), 13 bits may be allocated to the M-TMSI for identification of the terminal 5 (132).

상기 MME가 M-TMSI의 할당을 완료한 이후에 기지국(110)은 상기 통신 사업자 1과 상기 통신 사업자 2 간에 구분이 가능한 식별자를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에 할당할 수 있다.After the MME completes the allocation of the M-TMSI, the base station 110 assigns an identifier that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the carrier 1 and the carrier 2 from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and the terminal 3 123. The terminal 4 may be allocated to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132.

이때, 기지국(110)은 16비트의 C-RNTI를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에 할당함으로써, 상기 통신 사업자 1과 상기 통신 사업자 2 간 구분이 가능한 식별자를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에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110 allocates the 16-bit C-RNTI to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the terminal 3 123,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132. An identifier capable of distinguishing between 1 and the service provider 2 may be allocated to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the terminal 3 123,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132.

C-RNTI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을 맺은 단말들에 할당되는 식별자로 기지국(110)은 상기 MME가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의 식별을 위해 이미 할당한 13비트의 M-TMSI를 복사하여 셀 내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를 구분해 주는 C-RNTI 값으로 활용할 수 있다.C-RNTI is an identifier assigned to terminals that have established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ion. The base station 110 indicates that the MME is a terminal 1 (121), a terminal 2 (122), a terminal 3 (123), and a terminal 4 (131). ), 13-bit M-TMSI already allocated for identification of terminal 5 (132) and copied in terminal 1 (121), terminal 2 (122), terminal 3 (123), terminal 4 (131), and terminal in the cell. It can be used as a C-RNTI value that distinguishes 5 (132).

그리고 나서, 기지국(110)은 나머지 3비트의 C-RNTI 값을 이용하여 각 통신 사업자들의 코어 네트워크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로 구성할 수 있다.Then, the base station 110 may be configured with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the core network of each carrier using the remaining three bits of the C-RNTI value.

결국, 기지국(110)은 16비트의 C-RNTI 값 중 3비트에 대해서는 각 통신 사업자들의 코어 네트워크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로 구성하고, 나머지 13비트에 대해서는 셀 내 단말들을 구분해 주는 식별자로 구성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base station 110 may be configured with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core network of each carrier for 3 bits of the 16-bit C-RNTI value, and for the remaining 13 bits as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terminals in the cell. Can be.

기지국(110)은 C-RNTI의 구성을 완료한 이후 상기 C-RNTI를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에 할당할 수 있다.After the base station 110 completes the configuration of the C-RNTI, the C-RNTI is allocated to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the terminal 3 123,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132. can do.

그리고 나서, 기지국(110)은 앞서 다운링크의 경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에 대해 상기 통신 사업자 1과 상기 통신 사업자 2가 각각 보유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RB를 할당할 수 있다.Then, the base station 110 for the terminal 1 (121), terminal 2 (122), terminal 3 (123), terminal 4 (131), terminal 5 (132)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the downlink case above The RB may be allocated so as not to exceed the frequency bandwidth of the carrier 1 and the carrier 2 respectively.

다시 말해서, 기지국(110)은 상기 통신 사업자 1과 상기 통신 사업자 2가 각각 보유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이 10MHz인 경우,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에 대해 상기 통신 사업자 1이 보유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폭인 10MHz를 넘지 않도록 상기 RB를 할당할 수 있고, 단말 4(131), 단말 5(132)에 대해 상기 통신 사업자 2가 보유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폭인 10MHz를 넘지 않도록 상기 RB를 할당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base station 110 communicates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and the terminal 3 123 when the frequency bands each of the carrier 1 and the carrier 2 are 10 MHz. The RB may be allocated so as not to exceed 10 MHz, which is a frequency bandwidth possessed by the service provider 1, and the terminal 4 131 and 5 132 may not be exceeded by 10 MHz, which is the frequency bandwidth possessed by the service provider 2. RB can be allocated.

그 이후, 기지국(110)은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에 할당된 C-RNTI에 기초하여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를 구분하고,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 단말 4(131), 단말 5(13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코어 네트워크 1(140) 및 코어 네트워크 2(150)로 전송할 수 있다.Thereafter, the base station 110 bases the terminal 1 121 on the basis of the C-RNTI assigned to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the terminal 3 123,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132. ), The terminal 2 (122), the terminal 3 (123), the terminal 4 (131), the terminal 5 (132) to provide a service provider for the service, terminal 1 (121), terminal 2 (122), terminal Data received from the 3 123,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132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e network 1 140 and the core network 2 150.

관련하여, 기지국(110)의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기지국(110)은 각 단말에 할당된 C-RNTI에 기초하여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통신 사업자 1의 데이터로 구분하고, 단말 4(131), 단말 5(13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통신 사업자 2의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110 in more detail, the base station 110 is based on the C-RNTI assigned to each terminal from the terminal 1 (121), terminal 2 (122), terminal 3 (123) The transmitted data may be divided into data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1, and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132 may be divided into data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2.

그리고 나서, 기지국(110)은 단말 1(121), 단말 2(122), 단말 3(123)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 사업자 1의 데이터 큐에 저장하고, 단말 4(131), 단말 5(13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 사업자 2의 데이터 큐에 저장할 수 있다.Thereafter, the base station 110 stor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 121, the terminal 2 122, and the terminal 3 123 in the data queue of the service provider 1, and the terminal 4 131 and the terminal 5 ( The data transmitted from 132 may be stored in the data queue of the service provider 2.

그리고, 기지국(110)은 상기 통신 사업자 1의 데이터 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코어 네트워크 1(140)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 사업자 2의 데이터 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코어 네트워크 2(15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station 110 extracts data stored in the data queue of the service provider 1 and transmits the data stored in the data queue of the service provider 2 to the core network 1 140. Transmit to 150.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210)은 관리부(211), 저장부(212), 자원 할당부(213) 및 통신부(21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base station 210 includes a management unit 211, a storage unit 212, a resource allocation unit 213, and a communication unit 214.

관리부(211)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별로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를 관리한다.The management unit 211 manages at least one data queue divided by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저장부(21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의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212 divides data transmitted from the core network of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by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and stores the data in the at least one data queue.

자원 할당부(213)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피드백된 채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이 보유한 대역폭을 고려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The resource allocator 213 allocates radio resources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based on the channel information fed back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bandwidth hel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 할당부(21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이 보유한 대역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 상기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ource allocating unit 213 may allocate the radio resources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so as not to exceed the bandwidth hel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통신부(21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 상기 할당된 무선 자원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14 transmits data stored in the at least one data queue based on the allocated radio resource for the at least one terminal.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1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서 상기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4 may sequentially extract the data from the at least one data queue and transmit it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210)은 식별자 할당부(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ation 210 may further include an identifier allocator 215.

식별자 할당부(215)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간 구분이 가능한 식별자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할당한다.The identifier allocator 215 assigns an identifier that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이때, 저장부(21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 저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212 may store the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carrier based on the identifier and store the data in the at least one data queue.

이때, 통신부(21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서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의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214 may extract the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from the at least one data queue and transmit the data to the core network of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자 할당부(215)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간 구분이 가능한 식별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식별이 가능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C-RNTI를 구성하여 상기 C-RNT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할당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er allocator 215 configures the C-RNTI including an identifier that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and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at least one terminal. -RNTI may be allocated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10)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10)은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기지국(110)의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base station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Here, since the base station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station 1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스케줄링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duling method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310)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별로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를 관리한다.In step S310, at least one data queue divided by at least one carrier is managed.

단계(S320)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의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 저장한다.In step S320, data transmitted from the core network of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is divided into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and stored in the at least one data queue.

단계(S330)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피드백된 채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이 보유한 대역폭을 고려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In step S330, the radio resources are allocated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based on the channel information fed back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bandwidth hel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330)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이 보유한 대역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 상기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330, the radio resource may be allocated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so as not to exceed a bandwidth hel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단계(S340)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 상기 할당된 무선 자원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한다.In operation S340, the data stored in the at least one data queue is transmitted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based on the allocated radio resource.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340)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서 상기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340, the data may be sequentially extracted from the at least one data queue and transmitted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지국의 스케줄링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간 구분이 가능한 식별자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서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의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assigns an identifier that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the at least one carrier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the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to the identifier And stor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from the at least one data queue by dividing the data by the at least one service provider and stor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from the at least one data queu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o a network.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자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간 구분이 가능한 식별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식별이 가능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C-RNTI를 구성하여 상기 C-RNT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할당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assigning the identifier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comprises an identifier that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the at least one carrier and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at least one terminal. A C-RNTI may be configured to allocate the C-RNTI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이상,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스케줄링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스케줄링 방법은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기지국(110)의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above, the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Here, since the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station 1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스케줄링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scheduling method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10: 기지국
121: 단말 1 122: 단말 2
123: 단말 3 131: 단말 4
132: 단말 5
140: 코어 네트워크 1
150: 코어 네트워크 2
210: 기지국
211: 관리부 212: 저장부
213: 자원 할당부 214: 통신부
215: 식별자 할당부
110: base station
121: terminal 1 122: terminal 2
123: terminal 3 131: terminal 4
132: terminal 5
140: core network 1
150: core network 2
210: base station
211: management unit 212: storage unit
213: resource allocation unit 214: communication unit
215: identifier assignment unit

Claims (10)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별로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Queue)를 관리하는 관리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의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 저장하는 저장부;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피드백된 채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이 보유한 대역폭을 고려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 상기 할당된 무선 자원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기지국.
A management unit managing at least one data queue divided by at least on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 storage unit for divid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core network of each of the at least one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by the at least one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storing the data in the at least one data queue;
A resource allocator configured to allocate radio resources to each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based on channel information fed back from at least one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a bandwidth hel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at least one data queue on the basis of the allocated radio resources for the at least one terminal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이 보유한 대역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 상기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기지국.
The method of claim 1,
The resource allocation unit
And a base station for allocating the radio resource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so as not to exceed a bandwidth hel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arr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서 상기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전송하는 기지국.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base station sequentially extracting the data from the at least one data queue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간 구분이 가능한 식별자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할당하는 식별자 할당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 저장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서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의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기지국.
The method of claim 1,
An identifier allocator for allocating an identifier that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orage unit
Stor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into the at least one data queue by dividing the data by the at least one carrier based on the identifier;
The communication unit
The base station extracts the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from the at least one data queue and transmits to the core network of each of the at least one carri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할당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간 구분이 가능한 식별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식별이 가능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C-RNTI(Contro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구성하여 상기 C-RNT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할당하는 기지국.
The method of claim 3,
The identifier allocator
The C-RNTI is configured by forming a Contro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 including an identifier distinguishable between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and an identifier capable of identifying the at least one terminal. Base station assigned to.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별로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Queue)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의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 저장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피드백된 채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이 보유한 대역폭을 고려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 상기 할당된 무선 자원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스케줄링 방법.
Managing at least one data queue divided by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S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core network of each of the at least one telecommunications provider by the at least one telecommunications provider and storing the data in the at least one data queue;
Allocating radio resources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based on the channel information fed back from at least one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bandwidth retaine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arrier; And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at least one data queue based on the allocated radio resource for the at least one terminal;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이 보유한 대역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 상기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기지국의 스케줄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llocating the resource
And scheduling the radio resources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so as not to exceed a bandwidth hel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서 상기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전송하는 기지국의 스케줄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ransmitting step
The base station scheduling method of sequentially extracting the data from the at least one data queue to transmit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간 구분이 가능한 식별자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큐에서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각각의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스케줄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llocating an identifier that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Stor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into the at least one data queue by dividing the data by the at least one carrier based on the identifier; And
Extract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from the at least one data queue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data to a core network of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he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further compris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사업자 간 구분이 가능한 식별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식별이 가능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C-RNTI(Contro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구성하여 상기 C-RNT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할당하는 기지국의 스케줄링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llocating the identifier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The C-RNTI is configured by forming a Contro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 including an identifier distinguishable between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vider and an identifier capable of identifying the at least one terminal.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to assign to.
KR1020110072355A 2011-07-21 2011-07-21 Base station and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KR1018152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355A KR101815216B1 (en) 2011-07-21 2011-07-21 Base station and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355A KR101815216B1 (en) 2011-07-21 2011-07-21 Base station and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299A true KR20130011299A (en) 2013-01-30
KR101815216B1 KR101815216B1 (en) 2018-01-08

Family

ID=4784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355A KR101815216B1 (en) 2011-07-21 2011-07-21 Base station and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216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4133A1 (en) * 2009-05-22 2010-11-25 富士通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216B1 (en) 201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20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 priority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N106454687B (en) Method and equipment for allocating resources
CN106412794B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equipment
CN110945933B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first device and second device
US20210212104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and configuring sidelink data
EP3288329A1 (en) Frequency spectrum coordination device and method, and device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810063B2 (en) User device, base station, channel identification method, and identifier transmission method
KR1013557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persistent resource assignment in communication systems
EP2934033B1 (en) Method and base station for performing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lte trunking communication system
RU2580446C2 (en) Method and apparatus group users
JP665263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WO2012144320A1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RU2013113226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VISION OF DIFFERENTIATED SERVICES FOR USER EQUIPMENT
EP2846495A1 (en) Multi-flow transmission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UA109982C2 (en) METHOD OF DETERMINATION OF TRANSMISSION TIME INTERFACE, BASE STATION AND RADIO CONTROLLER
US20140029553A1 (en) Method for uplink access and terminal device
TW201618583A (en) Methods for data transmission in a machin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a base station
CN109756986B (en) Uplink data packet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user terminal
KR20120028197A (en) Group control method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method
CN106937397B (en) Resource scheduling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CN10695426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multi-band communication in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CN112996114B (en) Resource schedul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1819902B (en) Random access method and device
KR101815216B1 (en) Base station and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KR101843971B1 (en)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schedul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